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12)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2009-07-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기탐상시험법

1. 초음파탐상시험에서 “거친 탐상을 한 후, 정밀 탐상한다.” 는 내용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거친 탐상으로 표시된 부분과 전체를 다시 자세히 탐상하는 것이다.
  2. 거친 탐상에서 발견된 곳을 대상으로 다시 자세히 탐상하는 것이다.
  3. 거친 탐상에서 표시된 곳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만 다시 탐상하는 것이다.
  4. 표준시험편 제작 시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탐상에서는 정밀 탐상을 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거친 탐상에서 발견된 곳을 대상으로 다시 자세히 탐상하는 것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처음에 전체적으로 거친 탐상을 하여 결함이나 이상이 있는 부분을 발견하고, 그 후에 발견된 부분을 대상으로 정밀 탐상을 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얻는다. 따라서 "거친 탐상에서 발견된 곳을 대상으로 다시 자세히 탐상하는 것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결함 중 침투탐상시험으로 발견이 불가능한 것은?

  1. 갈라짐
  2. 내부 기공
  3. 고온균열
  4. 분화구형 균열
(정답률: 80%)
  • 침투탐상시험은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이므로 내부 기공과 같은 내부 결함은 검출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내부 기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른 비파괴검사법과 비교하였을 때 침투탐상시험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1. 비금속의 표면에 사용할 수 없다.
  2. 기공이 많은 재료에 사용할 수 없다.
  3. 크기가 큰 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
  4. 원자번호가 큰 금속의 표면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1%)
  • 침투탐상시험은 표면에 있는 기공이나 균열 등을 검출하는데 주로 사용되는데, 기공이 많은 재료에는 침투액이 기공에 침투하여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비금속재료에 대한 비파괴검사를 실시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시험 방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자분탐상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79%)
  • 자분탐상시험은 금속재료의 결함 검사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비금속재료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비금속재료에 대한 비파괴검사로는 방사선투과시험, 초음파탐상시험, 침투탐상시험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각종 비파괴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방사선투과시험은 기록의 보관이 용이하나 방사선 피폭 등의 위험이 있다.
  2. 초음파탐상시험은 대상물의 내, 외부 결함을 모두 검출할 수 있으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3. 침투탐상시험은 표면 흠에 침투액을 침투시키는 방법이므로 흡수성인 재료는 탐상에 적합하지 않다.
  4. 와전류탐상시험은 유도전류를 변화시켜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으나 강자성체만 탐상이 가능하다.
(정답률: 84%)
  • "와전류탐상시험은 유도전류를 변화시켜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으나 강자성체만 탐상이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와전류탐상시험은 강자성체 뿐만 아니라 비자성체도 검출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누설검사를 할 때 1atm 을 다른 단위로 환산한 것중 틀린 것은?

  1. 14.7psi
  2. 760torr
  3. 980㎏/cm2
  4. 101.3kPa
(정답률: 69%)
  • 정답은 "980㎏/cm2" 입니다.

    1atm은 대기압을 의미하며, 이는 지표면에서 바다수면까지의 공기의 무게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입니다. 따라서 1atm은 다른 단위로 환산할 때, 해당 단위의 압력이 1atm과 같아지도록 계산됩니다.

    - 14.7psi: 1파운드 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 1atm과 약 0.9869psi로 비슷하다.
    - 760torr: 수은기압을 의미하는 단위. 1atm과 약 760torr로 같다.
    - 101.3kPa: 킬로파스칼로 표시된 압력. 1atm과 약 101.3kPa로 비슷하다.

    하지만 "980㎏/cm2"은 압력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단위가 아니며, 1atm과도 크게 다릅니다. 따라서 이는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구조물의 용접부 및 기계부품, 장치 등의 정기검사에 적용되며, 특히 고압용기, 석유탱크 등의 정기적 보수검사에서 유해한 결함 중의 하나인 표면균열의 검출에만 사용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1. 전자유도검사
  2. 누설검사
  3. 침투탐상검사
  4. 음향방출검사
(정답률: 58%)
  • 침투탐상검사는 용접부나 기계부품 등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자기유도액을 침투시켜 결함 부위에 존재하는 액체를 흡수시킨 후, 표면에 남아있는 자기유도액을 제거하고, 흡수된 액체가 존재하는 결함 부위를 발견하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따라서 표면균열과 같은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적합하며, 고압용기나 석유탱크와 같은 정기적 보수검사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른 누설검사법들과 비교하여 기포누설시험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시의 관찰이 용이하다.
  2. 누설 위치의 판단이 빠르다.
  3. 검사비용이 적게 들며 안전한 시험이다.
  4. 감도가 매우 높고, 정확한 교정이 용이하다.
(정답률: 45%)
  • 감도가 매우 높고, 정확한 교정이 용이하다는 것은 기포누설시험에서 작은 누설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교정이 쉽기 때문에 검사 결과의 정확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누설검사법들과 비교하여 기포누설시험이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L/D 의 비가 3, 코일의 감은 수가 10회 인 강봉을 코일법으로 자분탐상시험 할 때 요구되는 전류는 몇 A 인가? (단, 강봉은 1회에 측정 가능한 길이 이며, L은 봉의 길이, D는 봉의 외경이다.

  1. 30
  2. 700
  3. 1167
  4. 1500
(정답률: 41%)
  • 자분탐상시험에서 요구되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 (L/D) x (L/D) x L x 3.14 x 10

    여기서 L/D는 강봉의 형상계수이며, L/D의 제곱은 강봉의 유동저항을 나타냅니다. L은 강봉의 길이, 3.14는 원주율, 10은 감은 수입니다.

    따라서, 강봉의 L/D 값이 0.3일 때,

    전류 = (0.3) x (0.3) x 1 x 3.14 x 10 = 2.826 A

    강봉의 L/D 값이 0.7일 때,

    전류 = (0.7) x (0.7) x 1 x 3.14 x 10 = 6.986 A

    강봉의 L/D 값이 1.167일 때,

    전류 = (1.167) x (1.167) x 1 x 3.14 x 10 = 15 A

    강봉의 L/D 값이 1.5일 때,

    전류 = (1.5) x (1.5) x 1 x 3.14 x 10 = 28.26 A

    따라서, 요구되는 전류는 15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X선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높은 주파수를 갖는다.
  2. 높은 지향성을 갖는다.
  3. 파장이 긴 전자파의 일종이다.
  4. 물체에 부딪치면 모두 반사한다.
(정답률: 53%)
  • 정답: "높은 주파수를 갖는다."

    설명: X선은 전자파의 일종으로, 파장이 매우 짧고 주파수가 높습니다. 이는 X선이 전자파 중에서도 가장 짧은 파장을 갖기 때문입니다. 높은 주파수는 높은 에너지를 의미하며, 이는 X선이 물체를 관통하고 조사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시험체 내부 중앙부의 결함 모양 검출에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자분탐상검사
  2. 침투탐상검사
  3. 방사선투과검사
  4. 와전류탐상검사
(정답률: 78%)
  • 시험체 내부 중앙부의 결함 모양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시험체를 통과하는 검사법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방사선투과검사가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입니다. 방사선투과검사는 시험체에 X선이나 감마선을 쏘아 투과한 후, 그림자를 촬영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험체의 두께나 밀도에 따라서 검사 결과가 달라지지 않으며, 결함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시간이 짧고, 검사 결과를 쉽게 분석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시험체 내부에만 존재하는 불연속의 위치와 깊이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침투탐상검사
(정답률: 63%)
  • 초음파탐상검사는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를 탐색하며, 불연속의 위치와 깊이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법입니다. 이는 초음파가 고체와 액체를 통과할 때 속도가 다르게 되어 반사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불연속 부위를 탐지하고 깊이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방사선투과검사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를 탐색하지만, 방사선의 위험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며, 자분탐상검사와 침투탐상검사는 시험체 표면에서부터 불연속을 탐지하는 방법이므로, 시험체 내부의 깊이를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금속학적 연속성이 파단 되었음” 을 나타내는 비파괴검사 용어로 적합한 것은?

  1. 겹침
  2. 수축
  3. 이음매
  4. 불연속
(정답률: 80%)
  • 정답: 불연속

    설명: 금속학적 연속성이 파단 되었다는 것은 금속 내부의 결함이나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금속의 일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금속 내부를 살펴볼 수 있는 비파괴검사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불연속은 금속 내부의 결함이나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금속의 일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는 기술입니다. 이음매는 금속 부품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기술이며, 겹침은 금속 부품의 겹쳐진 부분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기술입니다. 수축은 금속 부품이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결함을 검출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와전류탐상시험에서 다음 중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제일 작은 인자는?

  1. 시험 속도
  2. 시험 주파수
  3. 시험체의 전도율
  4. 시험체의 투자율
(정답률: 48%)
  • 와전류탐상시험에서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 변화에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시험 속도입니다. 이는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는 시험 속도와 무관하게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즉, 시험 속도가 빠르거나 느리더라도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는 변하지 않으므로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반면에 시험 주파수, 시험체의 전도율, 시험체의 투자율은 검사 코일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치므로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분탐상시험에서 일반적으로 형광자분을 사용하는 것이 비형광자분을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점은?

  1. 세척성이 양호하다.
  2. 검출성이 양호하다.
  3. 제거성이 양호하다.
  4. 자화성이 양호하다.
(정답률: 91%)
  • 형광자분은 자외선 또는 녹색 레이저와 같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형광자분을 사용하면 검출성이 양호해지는데, 형광자분이 포함된 시료를 측정하면 형광자분이 방출하는 빛을 측정하여 시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형광자분을 사용하면 검출성이 양호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강자성체의 특성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자화가 잘 된다.
  2. 높은 투자율을 가진다.
  3. 자기이력곡선을 가진다.
  4. 자기이력곡선에 명확한 포화점이 있다.
(정답률: 34%)
  • 강자성체의 특성 중에서 "자기이력곡선에 명확한 포화점이 있다."는 특성이 아닙니다. 이는 약자성체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자기이력곡선은 자기장의 강도에 따라 자성체가 가지는 자기화능력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강자성체는 자화가 잘 되고, 높은 투자율을 가지며, 자기이력곡선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이력곡선에 명확한 포화점이 있는 것은 약자성체의 특성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이력곡선을 가진다."가 아닌 "자기이력곡선에 명확한 포화점이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건식법을 다른 자분탐상검사와 비교하였을 때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미세한 결함 검사에 효과적이다.
  2. 표면직하 결함 검사에 효과적이다.
  3. 거친 표면 검사에 효과적이다.
  4. 다량 부품의 검사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52%)
  • 거친 표면 검사에 효과적인 이유는 건식법이 검사 대상의 표면에 압력을 가해 진동시키면서 결함을 탐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면이 거친 부품에서도 결함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자분탐상검사에서 자분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 아닌 것은?

  1. 비독성이어야 한다.
  2. 낮은 보자성을 가져야 한다.
  3. 낮은 투자율을 가져야 한다.
  4. 검사품과 색대비가 좋아야 한다.
(정답률: 88%)
  • 자분탐상검사에서는 낮은 투자율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검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입니다. 검사 시간이 짧고 비용이 적게 들면 더 많은 샘플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분이 갖추어야 할 요건은 비독성, 낮은 보자성, 낮은 투자율, 검사품과 색대비가 좋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기탐상시험의 잔류자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처음 형성된 자계보다 항상 크다.
  2. 처음 형성된 자계보다 항상 작다.
  3. 처음 형성된 자계와 항상 일정하다.
  4. 처음 형성된 자계보다 항상 크거나 같다.
(정답률: 38%)
  • 잔류자기는 자기탐상시험에서 측정되는 지구의 자기장 안에서 특정 지역에서 측정된 지구 자기장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이 값은 해당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다르며, 지구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변동됩니다. 따라서 처음 형성된 자계보다 항상 작다는 것은, 지구 자기장이 형성된 이후에는 지질학적 변화와 지구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잔류자기가 감소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화시킨 후 자화전류를 끊고 자분을 뿌려주는 시험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속법
  2. 잔류법
  3. 습식법
  4. 건식법
(정답률: 79%)
  • 잔류법은 시료를 자화시킨 후 자화전류를 끊고 자분을 뿌려주는 시험방법입니다. 이는 시료 내에 자화된 입자들이 자화전류를 끊은 후에도 자화력을 유지하며 자분이 뿌려짐으로써 자화력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잔류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기탐상관련규격

21. 다음 중 자분탐상시험에서 결함을 확실히 검출하기 위해서는 결함의 방향과 자속의 방향을 어떻게 하여야 효과적인가?

  1. 자속과 결함의 방향이 45° 가 되게 한다.
  2. 자속과 결함의 방향이 90° 가 되게 한다.
  3. 자속과 결함의 방향이 180° 가 되게 한다.
  4. 자속과 결함의 방향이 210° 가 되게 한다.
(정답률: 80%)
  • 자분탐상시험에서는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자성체를 사용합니다. 자성체는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결함은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자속과 결함의 방향이 90° 가 되게 하면, 결함이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결함을 가장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자속과 결함의 방향이 45°나 180°, 210° 등으로 되게 되면, 결함이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결함을 검출하기 어려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길이 45㎝, 직경 2.5㎝ 의 중심도체를 사용하여 원형자화법으로 외경 5㎝ 의 부품을 검사할 때의 전류 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500A
  2. 800A
  3. 1000A
  4. 1800A
(정답률: 18%)
  • 원형자화법에서 중심도체의 길이와 직경은 검사 대상 부품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중심도체의 크기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적절한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형자화법에서 중심도체의 길이 L과 직경 D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만족합니다.

    L/D = 2.5/5 = 0.5

    따라서,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검사 대상 부품의 크기에 대한 적절한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부품의 외경이 5㎝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부품의 길이 L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D x 0.5 = 5 x 0.5 = 2.5㎝

    이제, 중심도체의 길이 L과 부품의 길이 L을 이용하여 적절한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전류 값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I = (π/4) x (L/D) x (D/2)^2 x σ

    여기서, σ는 부품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5.8 x 10^7 S/m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 = (π/4) x (2.5/2.5) x (2.5/2)^2 x 5.8 x 10^7
    = 1800A

    따라서, 가장 적합한 전류 값은 1800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성체를 끌어당기는 힘을 갖고 있는 성질
  2. 자속의 방향과 수직인 단위면적당 자속선의 수
  3. 단위시간에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입자의 수
  4. 자계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면적내에 관측된 자분입자의 수
(정답률: 31%)
  • 자속밀도는 자성체 주변에 자속선이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자속선은 자성체 내부에서 생성되어 외부로 나가는 자기장의 경로를 나타내며, 자속의 방향과 수직인 단위면적당 자속선의 수가 많을수록 자속밀도가 높습니다. 이는 자속선이 밀집하게 분포되어 있어 자성체를 끌어당기는 힘을 높이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자속밀도는 자성체의 자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말굽형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자분탐상검사를 할때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전원이 필요 없으며 소형이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일정한 자속밀도를 유지하므로 전자석보다 검출능력이 높다.
  2. 시험체에 대한 자속의 유입 깊이가 교류에 비해 깊으므로 내부에 있는 결함 탐상에 가장 적합하다.
  3. 교류 전자석을 이용하는 자화기와 동일하게 시험면에 대한 자속밀도가 높아 표면 결함의 검출이 우수하다.
  4. 시험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시험면의 자속밀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결함의 검출 능력이 저하된다.
(정답률: 47%)
  • 정답은 "시험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시험면의 자속밀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결함의 검출 능력이 저하된다."입니다.

    말굽형 영구자석은 전원이 필요 없으며 소형이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일정한 자속밀도를 유지하므로 전자석보다 검출능력이 높습니다. 또한 시험체에 대한 자속의 유입 깊이가 교류에 비해 깊으므로 내부에 있는 결함 탐상에 가장 적합하며, 교류 전자석을 이용하는 자화기와 동일하게 시험면에 대한 자속밀도가 높아 표면 결함의 검출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시험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시험면의 자속밀도가 급격히 감소되어 결함의 검출 능력이 저하됩니다. 이는 자기장이 시험체를 통과할 때 시험체 내부에서 자기장이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말굽형 영구자석을 사용할 때는 시험체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자속밀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떤 전하(q)가 있을 때 이 전하로부터 거리 r 만큼 떨어진 곳에 같은 크기의 전하(q)에 작용하는 힘(F, 자계의 세기) 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k 는 상수이다.)

  1. F = k × q2 / r2
  2. F = k × q2 / r
  3. F = k × r2 / q2
  4. F = k × r / q2
(정답률: 48%)
  • 정답은 "F = k × q2 / r2"입니다.

    전하 간의 힘은 쿨롱 법칙에 의해 결정됩니다. 쿨롱 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F = k × (q1 × q2) / r2

    여기서 F는 전하 간의 힘, q1과 q2는 각각의 전하, r은 전하 간의 거리, k는 쿨롱 상수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두 전하가 같은 크기(q)를 가지므로 q1 = q2 = q입니다. 따라서 식은 다음과 같이 단순화됩니다.

    F = k × q2 / r2

    따라서 옳은 답은 "F = k × q2 / r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따른 B형 대비시험편의 사용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장치의 성능 조사에 사용
  2. 자분의 성능 조사에 사용
  3. 탐상 유효범위 조사에 사용
  4. 검사액의 성능 조사에 사용
(정답률: 70%)
  • B형 대비시험편은 철강 재료의 결함을 탐지하기 위한 시험편으로, 자분탐상 시험에서 사용됩니다. 이 시험은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따라서 진행되며, B형 대비시험편은 자분모양 중 하나입니다. 이 시험에서 B형 대비시험편은 탐상 유효범위 조사에 사용됩니다. 이는 시험을 진행할 때, 탐상기의 성능이 어느 범위 내에서 유효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B형 대비시험편은 자분의 성능 조사나 검사액의 성능 조사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 우주용 자기탐상 검사방법(KS W 4041)에 따른 품질관리상 물을 매질로 하는 현탁액의 시험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은 현탁액의 알칼리성이 몇 pH를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4.2
  2. 5.6
  3. 9.2
  4. 10.6
(정답률: 32%)
  • 항공 우주용 자기탐상 검사방법(KS W 4041)에서는 현탁액의 pH가 9.2를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많아서 현탁액이 과도하게 알칼리성을 띄게 되면 검사 대상물질의 특성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pH 9.2를 넘지 않도록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규정된 B형 대비시험편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시험편의 외경은 50, 100, 200㎜ 가 있다.
  2. 피복한 도체를 관통구멍의 중심에 통과시킨다.
  3. 시험편 단면부에 자분을 잔류법으로 적용하여 사용한다.
  4. 용도에 따라 시험체와 같은 재질 및 지름의 것을 사용 할 수도 있다.
(정답률: 76%)
  • "시험편 단면부에 자분을 잔류법으로 적용하여 사용한다."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시험편의 단면부에 자분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편의 표면에 자분을 적용하여 사용합니다. 이는 시험편의 표면에 자분을 적용하여 시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시험편의 표면이 깨끗하고 평평해야 하며, 자분의 크기와 모양은 규정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의 A형 표준시험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2 표준시험편은 A1 표준시험편보다 높은 유효자계의 강도로 자분모양이 나타난다.
  2. A2 표준시험편은 A1 표준시험편보다 낮은 유효자계의 강도로 자분모양이 나타난다.
  3. A2 표준시험편과 A1 표준시험편은 판 두께만 다르고 인공 흠의 모양은 직선형으로 모두 같다.
  4. A1 표준시험편과 A2 표준시험편은 인공흠의 깊이, 판 두께 및 흠의 모양은 모두 같다.
(정답률: 59%)
  • A2 표준시험편은 A1 표준시험편보다 높은 유효자계의 강도로 자분모양이 나타난다. 이는 A2 표준시험편이 더 높은 강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시험 중에 발생하는 인공 흠의 모양이 더 복잡하고 깊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A2 표준시험편은 더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더 높은 강도를 요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① 대비시험편, ② 질량
  2. ① 전류, ② 탈자
  3. ① 표준시험편, ② 성능
  4. ① 자기량, ② 방향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시험체의 용접부 그루브면이 좁아 A형 표준시험편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표준시험편으로 옳은 것은?

  1. B형
  2. C형
  3. D형
  4. E형
(정답률: 39%)
  • A형 표준시험편은 용접부 그루브면이 넓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용접부 그루브면이 좁은 경우에는 A형 표준시험편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C형 표준시험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형 표준시험편은 용접부 그루브면이 좁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표준시험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기호를 M으로 표시하며 시험체 또는 시험할 부위를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의 자극 사이에 놓아 자화하는 시험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극간법
  2. 축통전법
  3. 전류관통법
  4. 직각통전법
(정답률: 90%)
  • 정답은 "극간법"입니다.

    극간법은 시험체 또는 시험할 부위를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의 자극 사이에 놓아 자화하는 시험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석의 극간에 시험체를 놓고 자석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의 자기적 성질을 측정합니다. 이 방법은 시험체의 자기적 성질을 비파괴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시험체의 크기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을 극간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연속법일 때의 자화조작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자화조작 중에 자분적용을 완료한다.
  2. 탈자를 한 후에 자분적용을 완료한다.
  3. 자화력을 제거한 후 자분적용을 완료한다.
  4. 자화조작 종료 후에 자분적용을 완료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자화조작 중에 자분적용을 완료한다."입니다.

    자화란 자성체가 자기장에 노출되어 자기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에서는 자화를 방지하기 위해 자화력을 제거하거나 자화조작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그러나 연속법에서는 자화조작을 해야하기 때문에 자분적용을 자화조작 중에 완료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의해 형광자분을 사용하여 자분모양을 관찰할 때 관찰면의 밝기와 자외선의 강도를 규정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관찰면의 밝기는 15[lx] 이하이며, 관찰면 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600[μW/cm2] 이상이어야 한다.
  2. 관찰면의 밝기는 20[lx] 이하이며, 관찰면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800[μW/cm2] 이상이어야 한다.
  3. 관찰면의 밝기는 30[lx] 이상이며, 관찰면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1000[μW/cm2] 이하이어야 한다.
  4. 관찰면의 밝기는 50[lx] 이상이며, 관찰면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1500[μW/cm2]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7%)
  •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자분모양을 관찰하는 시험입니다. 이 때, 관찰면의 밝기가 너무 높으면 자외선을 통해 자분모양을 관찰하기 어렵고, 반대로 너무 어두우면 자분모양을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밝기를 유지하기 위해 관찰면의 밝기는 20[lx] 이하로 규정되었습니다. 또한, 자외선의 강도가 너무 약하면 자분모양을 구분하기 어렵고, 강도가 너무 강하면 자분모양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자외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관찰면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800[μW/cm2] 이상으로 규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의한 자분모양의 관찰시 잔류법에서 시험체가 서로 접촉했을 때 또는 강자성체에 접촉했을 때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해 형성되는 부정형의 자분모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단면급변 지시
  2. 자기펜 자국
  3. 분산한 자분모양
  4. 원형상의 자분모양
(정답률: 75%)
  • 잔류법에서 시험체가 서로 접촉했을 때 또는 강자성체에 접촉했을 때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해 형성되는 부정형의 자분모양을 "자기펜 자국"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기펜이 자성체에 접촉하여 자성체의 자기장을 감지하고 그 자국을 남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펜 자국은 자성체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자분모양이 다음과 같을 때 지시길이는 어떻게 판정하는가?

  1. 2㎜ 와 3㎜ 각각 2개의 지시길이로 판정한다.
  2. 3.8㎜ 와 3㎜ 각각 2개의 지시길이로 판정한다
  3. 연속한 1개의 지시로 간주되며 그 길이는 5㎜이다.
  4. 연속한 1개의 지시로 간주되며 그 길이는 6.8㎜이다.
(정답률: 71%)
  • 자분모양이 "2㎜ 와 3㎜ 각각 2개의 지시"로 이루어져 있을 때, 이는 연속한 1개의 지시로 간주되며 그 길이는 6.8㎜이다. 이유는 KS D 0213에서 자분모양의 판정 기준 중 하나인 "연속한 1개의 지시"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자분모양은 6.8㎜의 길이로 판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용접부의 경우 전처리는 원칙적으로 시험부위에서 모재측으로 약 몇 ㎜ 넓게 잡아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75%)
  • 용접부의 경우 전처리는 시험부위에서 모재측으로 약 20㎜ 넓게 잡아야 합니다. 이는 용접부의 열영향층(Heat Affected Zone, HAZ)을 포함하여 용접부의 전체적인 품질을 평가하기 위함입니다. HAZ는 용접부의 열처리로 인해 기계적 성질이 변화하는 영역으로, 이 영역도 시험 대상에 포함되어야 정확한 평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시험부위에서 모재측으로 약 20㎜ 넓게 전처리를 해야 용접부의 전체적인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그림과 같은 자화 방법은?

  1. 축통전법
  2. 직각통전법
  3. 프로드법
  4. 전류관통법
(정답률: 47%)
  • 이 그림은 축통전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축통전법은 시료를 자화시키기 위해 시료를 축으로 놓고 축 주위에 코일을 감아 전류를 흘려 시료를 자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료의 자화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철강 재료의 자성 분석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의한 탈자의 확인 방법에 이용되지 않는 것은?

  1. 곤충핀
  2. 투과도계
  3. 자기컴파스
  4. 가우스미터
(정답률: 40%)
  •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의한 탈자의 확인 방법에는 곤충핀, 자기컴파스, 가우스미터가 이용됩니다. 하지만 투과도계는 이 방법에 이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투과도계는 물질의 두께나 밀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에서는 탈자의 유무와 모양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과도계는 이 방법에 이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다음 중 전류지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매크로 시험으로 전류지시를 제거해 준다.
  2. 강자성체를 시험면에 접촉하여 제시험한다.
  3. 전류를 작게 하거나 잔류법으로 재시험한다.
  4. 시험면을 재차 전처리하고 연속법으로 재시험한다.
(정답률: 56%)
  • 전류지시란 시험 중에 자성체가 시험면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류를 말합니다. 이는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전류를 작게 하거나 잔류법으로 재시험하는 것은 전류지시를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전류를 작게 하면 자성체와 시험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져 전류지시가 줄어들고, 잔류법으로 재시험하면 자성체가 시험면에 더 이상 접촉하지 않아 전류지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들을 통해 정확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

41. 검색어를 통해 색인화된 인터넷 자료를 찾는데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1. Gopher
  2. WAIS
  3. Archile
  4. IRC
(정답률: 19%)
  • WAIS는 검색어를 통해 색인화된 인터넷 자료를 찾는데 특화된 서비스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WAIS는 검색어를 통해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엔진으로서 가장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비트맵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로 옳은 것은?

  1. zip
  2. bmp
  3. rar
  4. lha
(정답률: 60%)
  • 정답은 "bmp"입니다.

    비트맵 이미지 파일은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각 픽셀의 색상 정보를 저장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파일 크기가 크고, 압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비트맵 이미지 파일은 일반적으로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되며, 파일 확장자로는 "bmp"가 사용됩니다.

    반면에 "zip", "rar", "lha"는 압축 파일 형식의 확장자입니다. 이러한 파일 형식은 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어서 용량을 줄이거나, 파일 전송 시에 효율적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비트맵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압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크래커
  2. 네트워크 관리자
  3. 보안 관리자
  4. DB 관리자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인 스위치와 라우터입니다. 이 장비들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관리하며, 보안 관리자와 DB 관리자도 네트워크 보안과 데이터베이스 보안을 위해 관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이미지와 관련된 용어는 "크래커"입니다. 크래커는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침입하거나 악성 코드를 실행시켜서 시스템을 해킹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러한 공격을 막기 위해 보안 관리자와 네트워크 관리자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가상공간에서 지켜야 할 예절을 가리키는 용어는?

  1. 네티켓(Netiquette)
  2. 네티즌(netizen)
  3. 에티켓(etiquette)
  4. 유티켓(youtiquette)
(정답률: 55%)
  • 인터넷에서의 예절을 가리키는 용어는 "네티켓(Netiquette)"입니다. 이 용어는 "넷워크(Network)"와 "에티켓(Etiquette)"의 합성어로, 인터넷 상에서의 적절한 행동 방식과 규칙을 의미합니다. 네티켓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 존중하며, 상호작용할 때 지켜야 할 예절과 규칙을 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컴퓨터 기억장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 것은?

  1. KB, MB, GB, TB
  2. KB, MB, TB, GB
  3. KB, GB, MB, TB
  4. KB, TB, GB, MB
(정답률: 56%)
  • 정답은 "KB, MB, GB, TB"입니다.

    KB는 킬로바이트(Kilobyte)의 약자로, 1KB는 1024바이트를 의미합니다.

    MB는 메가바이트(Megabyte)의 약자로, 1MB는 1024KB, 즉 1,048,576바이트를 의미합니다.

    GB는 기가바이트(Gigabyte)의 약자로, 1GB는 1024MB, 즉 1,073,741,824바이트를 의미합니다.

    TB는 테라바이트(Terabyte)의 약자로, 1TB는 1024GB, 즉 1,099,511,627,776바이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량이 작은 것부터 차례로 KB, MB, GB, TB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이 소성변형을 할 때 외력이 재료에 가해지면 결정내에서 인접하고 있는 평행한 격자면에서 일어나는 것은?

  1. 재결정
  2. 슬립
  3. 피니싱
  4. 회복
(정답률: 59%)
  • 금속 소성변형 시 외력이 가해지면 결정 내에서 인접한 평행한 격자면에서 슬립이 일어납니다. 슬립은 결정 내에서 원자들이 이동하여 결정 구조의 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이는 금속의 플라스틱 변형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슬립은 금속 소성변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Fe3C(시멘타이트)에서 C의 원자비는 몇 % 인가?

  1. 15
  2. 25
  3. 45
  4. 75
(정답률: 62%)
  • Fe3C의 분자량은 Fe의 원자량 3개와 C의 원자량 1개를 합한 것이므로, Fe3C의 분자량은 3 x 55.85 + 12.01 = 177.56 g/mol 이다. 이 중에서 C의 원자량은 12.01 g/mol 이므로, C의 질량 비율은 12.01 / 177.56 x 100% = 6.76% 이다. 따라서, C의 원자비는 약 6.76%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금속의 결정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결정입자의 경계를 결정입계라 한다.
  2. 결정체를 이루고 있는 각 결정을 결정입자라 한다.
  3. 체심입방격자는 단위격자 속에 있는 원자수는 3개이다.
  4.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가 입체적으로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고 있는 것을 결정이라 한다.
(정답률: 82%)
  • 체심입방격자는 단위격자 속에 있는 원자수는 3개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체심입방격자는 단위격자 속에 있는 원자수는 1개입니다.

    체심입방격자는 결정구조에서 중심에 위치한 원자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체심입방격자를 중심으로 결정체가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단위격자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체심입방격자는 단위격자 속에 1개만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금속이 열 및 전기전도도가 좋은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액체이기 때문이다.
  2.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3. 자유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이다.
  4. 변태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62%)
  • 금속은 자유전자가 많이 존재하고, 이 자유전자들이 금속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열과 전기를 잘 전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유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이다."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경질 자성재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알니코 자석
  2. 페라이트 자석
  3. Nd 자석
  4. Si 강판
(정답률: 56%)
  • Si 강판은 경질 자성재료가 아닙니다. Si 강판은 비자성재료로, 전기적으로 저항이 높고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전기 및 열 관련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Fe-C계 평형 상태도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α-Fe이 γ-Fe로 변태하는 910° 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2변태점
  2. A3변태점
  3. A4변태점
  4. 공정점
(정답률: 62%)
  • 910°에서 α-Fe이 γ-Fe로 변태하는 것을 A3변태점이라고 합니다. 이는 Fe-C계 평형 상태도에서 α-Fe과 γ-Fe가 함께 존재하는 영역에서 α-Fe과 γ-Fe의 함량이 같아지는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는 α-Fe과 γ-Fe의 구조와 성질이 서로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910°에서의 변태점은 A3변태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기는 금속의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으로만 모두 나열한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ㄹ
  3. ㄷ, ㄹ, ㅁ
  4. ㄱ, ㄷ, ㄹ, ㅁ
(정답률: 62%)
  • - "ㄷ"은 금속이 뜨거워지면 팽창하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 "ㄹ"은 금속이 전기를 잘 전도하고 열을 잘 전달하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 "ㅁ"은 금속이 물과 반응하지 않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성질이 모두 금속의 특성 중 하나이므로 "ㄷ, ㄹ, ㅁ"이 옳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l-Si계 합금에 금속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플루오르화알칼리, 알칼리염류 등을 첨가하면 조직이 미세화되고 공정점이 내려간다. 이러한 처리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시효 처리
  2. 개량 처리
  3. 실루민 처리
  4. 용체화 처리
(정답률: 34%)
  • 알-Si계 합금에 금속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플루오르화알칼리, 알칼리염류 등을 첨가하여 조직을 미세화하고 공정점을 내리는 처리방법을 개량 처리라고 합니다. 이는 합금의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공정으로, 기존의 합금을 개량하여 더 나은 성능을 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개량 처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구조용 합금강 중에서 듀콜강, 해드필드강 등은 어느 합금강에 속하는가?

  1. Ni 강
  2. Cr 강
  3. Mn 강
  4. W 강
(정답률: 48%)
  • 듀콜강과 해드필드강은 모두 망간 강입니다. 망간 강은 합금강 중에서 망간 함량이 높은 강종으로, 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며, 저온에서의 인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구조용 합금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재료를 실온까지 온도를 내려서 다른 형상으로 변형시켰다가 다시 온도를 상승시키면 어느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 합금으로 대표적인 합금이 Ni-Ti계인 것은?

  1. 형상기억합금
  2. 비정질합금
  3. 제진합금
  4. 클래드합금
(정답률: 80%)
  • Ni-Ti계 합금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재료가 실온에서 다른 형상으로 변형되었다가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질은 Ni-Ti계 합금의 구조적 특성과 결합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금속간 화합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유도가 5인 상태의 물질이다.
  2. 금속과 비금속사이의 혼합 물질이다.
  3. 금속이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합하여 부식이 일어난 물질이다.
  4. 두 가지 이상의 금속 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원래 원소와는 전혀 다른 성질을 갖는 물질이다.
(정답률: 53%)
  • 금속간 화합물은 두 가지 이상의 금속 원소가 간단한 원자비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원래 원소와는 전혀 다른 성질을 갖는 물질입니다. 이는 금속 원소들이 전자를 공유하거나 양전하를 띄어 전자를 주고 받는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결합 방식으로 인해 금속간 화합물은 금속 원소들의 특성과는 다른 새로운 물질로서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Fe, Ni과 같은 금속에 S의 불순물이 모여 있으면, 가공 중에 균열이 생기고 잘 부스러져 가공이 곤란해지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성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청열 메짐
  2. 적열 메짐
  3. 가공 경화
  4. 상온 시효
(정답률: 54%)
  • 이러한 성질을 "적열 메짐"이라고 한다. 이는 S의 불순물이 금속 내부에서 모여 결합력을 강화시켜 금속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가공 중에 균열이 생기고 부스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용접 전 장비 점검 및 준비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선의 접속은 견고하고 확실 한가 점검할 것
  2. 작업대와 모재에 적당한 습기가 있을 거서
  3. 직류 용접의 경우 정극성 또는 역극성을 선택할 것
  4. 용접봉이 선택되면 전류 및 전압을 조정할 것
(정답률: 78%)
  • "작업대와 모재에 적당한 습기가 있을 거서"는 틀린 것입니다. 용접 작업 시에는 작업대와 모재가 건조하고 깨끗해야 합니다. 습기가 있으면 용접 작업 중에 불쾌감을 유발하고 용접 부위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전에는 작업대와 모재를 청소하고 건조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정격 2차 전류 200 [A] 정격사용율 40%의 아크 용접기로 150 [A] 의 전류사용 시 허용사용률은 약 몇 %인가?

  1. 71
  2. 60
  3. 82
  4. 58
(정답률: 43%)
  • 정격 2차 전류가 200 [A]이고 정격 사용율이 40%이므로 최대 사용 가능한 전류는 200 [A] x 40% = 80 [A]입니다. 따라서 150 [A]의 전류를 사용할 경우, 허용 사용률은 150 [A] / 80 [A] x 100% = 187.5%입니다. 하지만 허용 사용률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최대 100%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허용 사용률은 80%입니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7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세틸렌가스의 화학식으로 맞는 것은?

  1. CH4
  2. C2H2
  3. C2H4
  4. C3H8
(정답률: 23%)
  • 아세틸렌은 탄소 2개와 수소 2개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화학식은 C2H2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탄소와 수소의 비율이 다르거나, 탄소나 수소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아세틸렌의 화학식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