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건설재료시험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실시하는 그라우트에 대해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팽창률은 10%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 블리딩률은 5%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3. 팽창성 그라우트의 재령 28일 압축 강도는 20MPa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4. 물-시멘트는 45%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실시하는 그라우트는 팽창성 그라우트이며, 이 그라우트의 재령 28일 압축 강도는 20MPa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량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단위 굵은 골재량이 많을수록 건조 수축량은 크다.
  2. 분말도가 큰 시멘트일수록 건조 수축량은 크다.
  3. 습도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수축량은 작다.
  4. 물-시멘트비가 동일한 경우 단위 수량의 차이에 따라 건조 수축량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분말도가 큰 시멘트일수록 건조 수축량은 크다."입니다.

    분말도가 큰 시멘트는 물과 더 잘 혼합되어 건조 시 수축량이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보다 건조 수축량이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 재료에 염화물이 많이 함유되어 시공할 구조물이 염해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대한 조치로서 틀린 것은?

  1. 물-시멘트비를 작게 하여 사용한다.
  2. 충분한 철근 피복 두께를 두어 열화에 대비한다.
  3. 가능한 균열폭을 작게 만든다.
  4. 단위수량을 늘려 염분을 희석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수량을 늘려 염분을 희석시키는 것은 올바른 조치가 아닙니다. 오히려 더 많은 염분이 희석되어 구조물에 더 큰 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렸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를 배합 설계할 때 물-시멘트를 정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1. 내동행성
  2. 압축강도
  3. 단위 시멘트량
  4. 내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를 배합 설계할 때 물-시멘트 비율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내동성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단위 시멘트량"은 물-시멘트 비율을 결정하는 기준이 아니라, 콘크리트 내에 포함된 시멘트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즉, 콘크리트 내에 포함된 시멘트의 양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단위 시멘트량"은 물-시멘트 비율을 결정하는 기준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 콘크리트의 타설 후 다지기에서 내부 진동기를 사용할 경우 진동다지기는 얼마 정도의 간격으로 찌르는가?

  1. 20cm 이하
  2. 50cm이하
  3. 100cm 이하
  4. 150cm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다지기는 콘크리트를 다지는 과정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진동다지기를 사용할 때 간격이 너무 멀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밀착도가 낮아지고,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콘크리트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진동다지기를 사용할 때는 50cm 이하의 간격으로 찌르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댐 콘크리트 등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경우에 표준 양생한 재령 28일 공시체의 압축 강도를 콘크리트의 설계 기준 강도로 정하고 있다. 그 이유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크리프와 건조수축이 장기적으로 발생하므로
  2. 양생 방법에 따라 다르나. 재령 28일에서 강도 발현이 최대가 되므로
  3. 실제 구조물에서 재령 28일 이후의 강도 증진을 크게 기대할 수가 없으므로
  4. 거푸집 및 동바리 제거의 시기가 타설후 28일이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재령 28일 이후에도 강도가 증가하지만, 이 증가는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제 구조물에서는 재령 28일 이후의 강도 증진을 크게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는 크리프와 건조수축이 장기적으로 발생하므로 양생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재령 28일에서 강도 발현이 최대가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푸집 및 동바리 제거의 시기가 타설후 28일이므로 이 기간 이후에는 강도 증가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설계 기준 강도는 재령 28일 공시체의 압축 강도로 정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방 배합에서 규정된 배합의 표시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물-시멘트비
  2. 슬럼프
  3. 잔골재의 최대 치수
  4. 잔골재율
(정답률: 알수없음)
  • 시방 배합에서 규정된 배합의 표시법은 물-시멘트비, 슬럼프, 잔골재율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잔골재의 최대 치수는 배합의 표시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잔골재의 최대 치수는 혼합물의 품질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잔골재의 최대 치수는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배합의 표시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크리트 구조물의 온도 균열에 대한 시공상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 시멘트량을 적게 한다.
  2. 1회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줄인다.
  3. 수축 이음부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내부 온도를 낮춘다.
  4. 기존의 콘크리트로 새로운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이동을 구속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존의 콘크리트로 새로운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이동을 구속시키는 것은 올바른 대책이 아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열팽창 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콘크리트가 팽창하면 기존 콘크리트는 그에 맞춰 이동하지 못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대책은 단위 시멘트량을 적게 하거나 1회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줄이는 등 콘크리트의 열팽창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수축 이음부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내부 온도를 낮추는 것도 균열 방지에 효과적인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 반죽시에 충분한 혼합을 하게 되면 나타나는 현상을 열거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 시멘트 풀이 골재의 표면에 고르게 부착하게 한다.
  2. 공기량이 늘어난다.
  3. 워커빌리티가 향상된다.
  4. 재료 분리가 줄어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기량이 늘어난다." 이다.

    콘크리트 반죽시에 충분한 혼합을 하게 되면 시멘트 풀이 골재의 표면에 고르게 부착하게 되어 강도가 향상되고, 워커빌리티가 향상되어 쉽게 주형을 채울 수 있으며, 재료 분리가 줄어들어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공기량이 늘어나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가 포함되어 강도가 감소하고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반죽시에는 공기량을 최소화하여 혼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주어진 자료에서 절대 용적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 단위 잔골재량은 얼마인가?

  1. 531kg/m3
  2. 581kg/m3
  3. 766kg/m3
  4. 641kg/m3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 용적 방법은 잔골재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여 밀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잔골재의 부피가 주어져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밀도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잔골재의 부피를 구해보자. 주어진 그림에서 잔골재의 높이는 1m, 밑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1.5m와 2m이다. 따라서 잔골재의 부피는 1.5m x 2m x 1m = 3m3이다.

    다음으로, 잔골재의 무게를 구해보자. 문제에서는 잔골재의 단위 부피 중량이 1,920kg/m3으로 주어져 있다. 따라서 1m3의 잔골재 중량은 1,920kg이다. 잔골재의 부피가 3m3이므로, 잔골재의 총 중량은 1,920kg/m3 x 3m3 = 5,760kg이다.

    마지막으로, 잔골재의 밀도를 구해보자. 잔골재의 부피는 3m3이고, 무게는 5,760kg이므로, 잔골재의 밀도는 5,760kg / 3m3 = 1,920kg/m3이다.

    따라서, 정답은 "641kg/m3"이 아니라 "1,920k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 원인의 하나인 알칼리 골재 반응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알칼리 골재 반응은 알칼리-실리카 반응, 알칼리 - 탄산염 반응, 알칼리-실리케이트 반응으로 분류한다.
  2. 알칼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단위 시멘트량을 크게 하여야 한다.
  3. 알칼리 골재 반응은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등의 포졸란 재료에 의해 억제된다.
  4. 알칼리 골재 반응이 진행되면 무근 콘크리트에서는 거북이등과 같은 균열이 진행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 골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단위 시멘트량을 줄여야 한다. 이유는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시멘트-골재 비율을 유지하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등의 포졸란 재료를 첨가하여 알칼리 골재 반응을 억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매스(mass)콘크리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부재 또는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한 온도의 상승을 고려하여 시공해야 하는 콘크리트이다.
  2.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 치수는 일반적인 표준으로서 넓이가 넓은 평판구조에서는 뚜께 80cm이상, 하단이 구속된 벽체에서는 두께 50cm이상으로 한다.
  3.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해서 균열 유발 줄눈(joint)을 둘 수 있으며, 줄눈의 간격은 4~5cm 정도이고, 줄눈의 단면 감소율은 20%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4. 온도 제어 대책으로서 타설 전에 물, 골재 등의 재료를 미리 냉각시키는 프리쿨링(pre-cooling) 방법이 효과적이지만, 타설 후의 파이프쿨링(pipe-cooling)은 유효한 방법이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 제어 대책으로서 타설 전에 물, 골재 등의 재료를 미리 냉각시키는 프리쿨링(pre-cooling) 방법이 효과적이지만, 타설 후의 파이프쿨링(pipe-cooling)은 유효한 방법이 아니다. - 이 설명이 잘못되었다. 파이프쿨링은 콘크리트 내부의 열을 빠르게 제거하여 온도 상승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대형 구조물의 경우 파이프쿨링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수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율이 큰 골재일수록 수축은 커진다.
  2. 단위 수량이 작을수록 수축은 작다.
  3. 양생 초기에 충분한 습윤양생을 하면 수축이 작아진다.
  4. 단위 시멘트량이 작으면 수축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 시멘트량이 작으면 수축이 커지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시멘트가 콘크리트 내에서 수분과 반응하여 수축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멘트의 양이 적을수록 수축이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경량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가 낮다.
  2. 탄성 계수가 작다.
  3. 열전도율이 작다.
  4. 흡수율이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량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강도가 낮다."이다. 경량 콘크리트는 가벼워서 운반과 설치가 쉽고, 탄성 계수가 작아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열전도율이 작아 단열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흡수율이 작아 수분 흡수가 적어 건조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매스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 중 적절치 않는 것은?

  1. 중용열 시멘트
  2. 플라이 애시
  3. 냉각수
  4. 급결제
(정답률: 알수없음)
  • 매스 콘크리트는 대량의 콘크리트를 빠르게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급결제는 콘크리트를 빠르게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그러나 급결제는 매스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적절치 않은 재료입니다. 이는 급결제가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스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적절한 재료는 중용열 시멘트, 플라이 애시, 냉각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일반적인 수중콘크리트의 시공상 유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물-시멘트비는 50%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2. 단위 시멘트량은 370 kg/m3 이상으로 한다.
  3. 흐르는 물 중에 시공할 때는 유속이 5m/min이하로 한다.
  4. 트레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13~18c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흐르는 물 중에 시공할 때는 유속이 5m/min이하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유의 사항입니다. 이유는 물의 유속이 높을 경우 콘크리트의 재료가 분리되거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강도가 떨어지거나 균일하지 않은 표면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중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는 유속을 5m/min 이하로 유지하여 적절한 혼합과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콘크리트 압축 강도 평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재하속도가 빠를수록 압축 강도는 높게 평가된다.
  2. 모양이 다르면 크기가 작은 공시체의 압축 강도가 높게 평가된다.
  3. 공시체 직경(D)과 높이(H)의 비(H/D)가 동일하면 원주형 공시체가 각주형 공시체보다 압축 강도가 작게 평가된다.
  4. 원주형과 각주형 공시체는 직경 또는 한 변의 길이(D)와 높이(H)의 비(H/D)가 작을수록 압축 강도는 높게 평가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시체 직경(D)과 높이(H)의 비(H/D)가 동일하면 원주형 공시체가 각주형 공시체보다 압축 강도가 작게 평가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공시체의 모양이 압축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시체의 모양과는 관계없이 크기가 크고 재하속도가 빠를수록 압축 강도가 높게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ø10×20cm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한 할열(쪼갬) 인장시험에서 파괴하중이 100kN이면 콘크리트의 할열(쪼갬) 인장 강도는?

  1. 1.6MPa
  2. 2.5MPa
  3. 3.2MPa
  4. 5.0MPa
(정답률: 알수없음)
  • 원주형 공시체의 지름은 10cm이므로 반지름은 5cm이다. 이를 이용하여 단면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A = πr^2 = 3.14 × 5^2 = 78.5cm^2

    파괴하중은 100kN이므로, 인장강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σ = F/A

    여기서, F는 파괴하중이고 A는 단면적이다. 따라서,

    σ = 100,000N / 78.5cm^2 = 1,273.89kPa = 1.27MPa

    하지만, 이는 콘크리트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인장강도이므로, 할열(쪼갬) 인장강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 값을 2로 나눠주어야 한다. 따라서,

    할열(쪼갬) 인장강도 = 1.27MPa / 2 = 0.635MPa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MPa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1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할열(쪼갬) 인장강도 = 0.635MPa / 1000 = 0.000635GPa = 0.635MPa

    따라서, 콘크리트의 할열(쪼갬) 인장강도는 3.2MPa가 아니라 0.635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혼화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플라이 애시는 항상 유동성을 증가시킨다.
  2. 실리카 흄은 강도는 증가시키나 내구성은 약간 떨어진다.
  3. 플라이 애시는 초기 강도와 장기 강도 모두가 약간 떨어진다.
  4. 플라이 애시는 수화열 발생을 억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라이 애시는 수화열 발생을 억제한다. 이는 플라이 애시가 물과 반응하여 수화합물을 생성하고, 이 수화합물이 콘크리트 내부에서 수화열을 발생시키는 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는 프리스트레스를 준 직후에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최대 압축응력의 ( ① )배 이상이어야 하며, 프리텐션 방식에 있어서는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가 최소 ( ② )이상이어야 한다. ( )속에 알맞은 것은? (순서대로 ① ②)

  1. 1.5, 25MPa
  2. 1.7, 25MPa
  3. 1.5, 30MPa
  4. 1.7, 30MPa
(정답률: 알수없음)
  • ①은 안전성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조건이며, 프리스트레스를 준 직후에는 콘크리트에 큰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②는 프리텐션 방식에서는 프리스트레스를 유지하기 위해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조건이다. 따라서 정답은 "1.7, 30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시공 및 관리

21. 토취장의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토질이 양호해야 한다.
  2. 용지매수가 쉽고 보상비가 적어야 한다.
  3. 토량이 충분하고 기계의 사용이 용이해야 한다.
  4. 운반로의 조건은 필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반로의 조건은 필요 없는 이유는 토취장에서 채취한 토사를 운반할 때, 운반로는 토취장 외부에 위치하며, 토취장의 조건과는 별개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암거의 배열방식 중 집수지거를 향하여 지형의 경사가 완만하고, 같은 습윤상태인 곳에 적합하며, 1개의 간선집수지 또는 집수지거로 가능한 한 많은 흡수거를 합류하도록 배열하는 방식은?

  1. 자연식(natural system)
  2. 차단식(intercepting system)
  3. 빗식(gridiron system)
  4. 집단식(grouping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빗식은 지형의 경사가 완만하고, 같은 습윤상태인 곳에 적합하며, 1개의 간선집수지 또는 집수지거로 가능한 한 많은 흡수거를 합류하도록 배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 방식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 및 수평 배수로 이루어져 있어, 각 배수가 서로 교차하는 모양이 빗모양과 비슷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각 배수가 서로 연결되어 흡수거를 합류할 수 있으며, 간선집수지나 집수지거를 통해 흡수된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록 볼트(rock bolt)의 역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암반과의 분리작용
  2. 아치 형성작용
  3. 보의 형성작용
  4. block의 지보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록 볼트는 암반과의 분리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암반을 강화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암반과의 분리작용"은 옳지 않은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겨울철 동상에 의한 노면의 균열과 평탄성의 악화와 더불어 초봄의 노상지지력의 저하로 인한 포장의 구조파괴를 동결융해작용이라고 한다. 이는 3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여야 하는데 그중 관계가 없는 것은?

  1. 지반에 토질이 동상을 일으키기 쉬울 때
  2. 동상을 일으키기에 필요한 물의 보급이 충분할 때
  3. 기온이 순간적으로 급강하할 때
  4. 모관 상승고가 동결심도보다 클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기온이 순간적으로 급강하할 때는 동결융해작용과는 관계가 없는 조건이다. 동결융해작용은 지반에 토질이 동상을 일으키기 쉬울 때와 동상을 일으키기에 필요한 물의 보급이 충분할 때, 그리고 모관 상승고가 동결심도보다 클 때 발생한다. 따라서 기온이 순간적으로 급강하할 때는 동결융해작용과는 관계가 없으며, 이 조건은 정답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천이나 해안에 연한 암반 위에 두껍게 잡석층이 퇴적되어 있는 곳에 터널을 설치하면 굴착이 곤란하거나 용수 때문에 시공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질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습곡
  2. 단층
  3. 단구
  4. 애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단구"이다. 단구는 연암층 위에 두꺼운 잡석층이 쌓여 있는 지질구조로, 굴착이 어렵거나 용수 문제로 시공이 어렵다. 습곡은 강이나 하천이 굴착한 협곡을 말하며, 단층은 지반 내부에서 나타나는 층간 경계면을 말한다. 애추는 해안에서 바람과 파도에 의해 형성된 모래언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토곡선(mass curve)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토곡선이 평행선 아래에서 종결될 때에는 토량이 부족하고 평행선 위에서 종결될 때에는 토량이 남는다.
  2. 평행선 상에서 토량은 0이다.
  3. 유토곡선 상에 동일 단면 내의 절토량∙성토량은 구할 수 없다.
  4. 유토곡선의 모양이 볼록(凸)일때에는 절취굴착토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운반되고, 곡선의 모양이 오목일 때에는 절취굴착토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운반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토곡선 상에 동일 단면 내의 절토량∙성토량은 구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유토곡선 상에서는 각 지점에서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유토곡선의 모양이 볼록(凸)일 때에는 절취굴착토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운반되고, 곡선의 모양이 오목일 때에는 절취굴착토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운반됩니다. 이는 유토곡선이 토선의 기울기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운반되기 때문입니다.

    유토곡선이 평행선 아래에서 종결될 때에는 토량이 부족하고 평행선 위에서 종결될 때에는 토량이 남는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평행선 상에서 토량은 0이며, 이는 유토곡선이 평행선과 교차하는 지점에서 토량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여수로(spill way)의 종류 중 댐의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시켜 댐의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월류부를 보통 수평으로 하는 것은?

  1. 슈트(chute)여수로
  2. 측수로(side channel) 여수로
  3. 글로리 홀(glory hole)여수로
  4. 사이펀(siphon) 여수로
(정답률: 알수없음)
  • 슈트여수로는 댐의 본체와 완전히 분리되어 댐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월류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종류의 여수로이다. 다른 보기들은 댐의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여수로 종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스팔트 포장에서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보조기층에 전달하며, 교통하중에 의한 전단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는 층은?

  1. 차단층
  2. 기층
  3. 노체
  4. 노상
(정답률: 알수없음)
  • 기층은 아스팔트 포장에서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보조기층에 전달하며, 교통하중에 의한 전단에 저항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기층"입니다. 차단층은 지하수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하고, 노체는 아스팔트 포장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노상은 아스팔트 포장의 최상층으로서, 직접적인 교통하중을 받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말뚝 선단부에 구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 지지력을 크게 할 수 있다.
  2. 지지층의 깊이에 따라 말뚝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할수 있다.
  3. 운반취급이 용이하다.
  4. 말뚝체가 지반 중에서 형성되므로 품질 관리가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말뚝체가 지반 중에서 형성되므로 품질 관리가 쉽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말뚝이 지반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결함이나 불량이 발생할 경우 수정이 어렵고, 품질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교대에서 날개벽(wing)의 역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배면(背面)토사를 보호하고 교대 부근의 세굴을 방지한다.
  2. 교대의 하중을 부담한다.
  3. 유량을 경감하여 토사의 퇴적을 촉진한다.
  4.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대에서는 배면토사를 보호하고 교대 부근의 세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교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웰 포인트(well point) 공법으로 강제배수시 보통point와 point의 간격으로 적당한 것은?

  1. 1~2m
  2. 3~5m
  3. 5~7m
  4. 8~10m
(정답률: 알수없음)
  • 웰 포인트 공법은 지하수를 추출하기 위해 지면에 구멍을 뚫고 그 안에 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방법입니다. 이때, 보통 point와 point 사이의 간격은 1~2m로 설정합니다. 이유는 지하수의 유입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만약 point 간격이 너무 가깝다면, 지하수 유입량이 적어서 효율적인 배수가 어렵고, 반대로 너무 멀다면 지하수 유입량이 많아서 배수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적당한 간격인 1~2m로 설정하여 효율적인 배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덤프 트럭이 셔블 위치에서 짐을 싣고 사토장까지의 왕복 소요 시간이 20분이고 셔블로 싣는 시간은 한 대에 5분이 소요될 때 연속작업에 필요한 덤프 트럭의 소요대수는?

  1. 3대
  2. 5대
  3. 7대
  4. 9대
(정답률: 알수없음)
  • 한 대의 덤프 트럭이 왕복하는데 20분이 걸리므로, 하나의 덤프 트럭이 한 번 왕복하는 데는 40분이 소요됩니다. 셔블로 짐을 싣는 시간이 5분이므로, 한 대의 덤프 트럭이 왕복하는 동안에는 8번의 셔블 작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연속작업을 위해서는 최소한 5대의 덤프 트럭이 필요합니다. 3대나 7대, 9대는 셔블 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연속작업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암석의 시험발파의 주 목적은?

  1. 발파량을 추정하려고 한다.
  2. 폭약의 종류를 결정하려고 한다.
  3. 폭파계수 C를 구하려고 한다.
  4. 발파장치를 결정하려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의 시험발파의 주 목적은 폭파계수 C를 구하려고 한다. 폭파계수 C는 암석의 폭발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암석의 내부 구조와 물성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폭파계수 C를 구하기 위해 암석 시료를 발파하여 발파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폭파계수 C를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히빙(heaving)의 방지대책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표토를 그대로 두고 하중을 크게 한다.
  2. 흙막이의 근입깊이를 깊게 한다.
  3. 트렌치(trench) 공법 또는 부분굴착을 한다.
  4. 지반을 개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토를 그대로 두고 하중을 크게 한다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지반의 토사성분이 압축되어 밀도가 높아지면서 지반의 수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지반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히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히빙 방지를 위해서는 표토를 제거하거나 지반을 개량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을 이용하여 암석을 굴착하여 터널 단면을 만들려고 한다. TBM 공법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설비투자액이 고가이므로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든다.
  2. 본바닥 변화에 대하여 적응이 곤란하다.
  3. 지반에 따라 적용 범위에 제약을 받는다.
  4. lining 두께가 두꺼워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lining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 이유는 터널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TBM 공법은 터널을 굴착할 때 지반을 파괴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터널 내부에 콘크리트나 철근 등으로 된 lining을 설치한다. 이 lining은 터널 내부를 보호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두꺼워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사 일수를 다음과 같이 견적한 경우 3점 견적법에 따른 적정 공사 일수는? (단 낙관일수 3일, 정상일수 5일, 비관일수 13일)

  1. 4일
  2. 5일
  3. 6일
  4. 7일
(정답률: 알수없음)
  • 3점 견적법에서 적정 공사 일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적정 공사 일수 = (낙관일수 + 4 x 정상일수 + 비관일수) / 6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3 + 4 x 5 + 13) / 6 = 6

    적정 공사 일수는 6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료 5개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각각 190kg/cm2, 200kg/cm2, 210kg/cm2, 205kg/cm2 및 195kg/cm2의 측정값을 얻었다. 이 시료의 변동계수는?

  1. 3.54%
  2. 3.84%
  3. 4.24%
  4. 4.84
(정답률: 알수없음)
  •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먼저 이 시료의 평균을 구해야 한다.

    평균 = (190 + 200 + 210 + 205 + 195) / 5 = 200kg/cm^2

    다음으로 표준편차를 구해야 한다.

    표준편차 = √[((190-200)^2 + (200-200)^2 + (210-200)^2 + (205-200)^2 + (195-200)^2) / 5] = 6.16kg/cm^2

    따라서 변동계수는 다음과 같다.

    변동계수 = (6.16 / 200) x 100 = 3.08%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54%"인 이유는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다짐기계 중에서 모래질 흙을 다지는 데 가장 알맞은 것은?

  1. 불도저
  2. 탠덤 롤러
  3. 진동 롤러
  4. 쉽스 풋 롤러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 롤러는 모래질 흙을 다질 때 진동을 통해 흙을 더욱 깊게 다질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알맞은 다짐기계입니다. 불도저는 큰 돌이나 땅을 움직이는 데에 적합하며, 탠덤 롤러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다질 때 사용됩니다. 쉽스 풋 롤러는 작은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며, 진동 롤러보다는 다짐력이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40,500m3(완성된 토양)의 성토를 하는데 유용토가 32,000m3(느슨한 토양)이 있다. 이때 부족한 토량은 본바닥 토량으로 얼마인가? (단, 흙의 종류는 사질토, 토량의 변화율은 L=1.25, C=0.80)

  1. 15,025m3
  2. 25,025m3
  3. 15,525m3
  4. 25,525m3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터널 공사에서 전단면 굴착에는 다음의 어느 기계를 사용하면 가장 효율적이겠는가?

  1. stoper 착암기 (drill)
  2. jumbo drill
  3. rock drill
  4. sinker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면 굴착은 대규모 작업이므로 효율적인 기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jumbo drill은 대형 굴착기로, 여러 개의 드릴을 한 번에 작동시켜 굴착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jumbo drill은 다른 기계들보다 더 많은 양의 작업을 짧은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41. 잔골재 A의 조립률이 2.5이고, 잔골재 B의 조립률이 2.9일 때, 이 잔골재 A와 B를 섞어 조립률 2.8의 잔골재를 만들려면 A와 B의 질량비를 얼마로 섞어야 하는가?

  1. 1:1
  2. 1:2
  3. 1:3
  4. 1:4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 A와 B를 질량비 x:y로 섞는다고 가정하면, 조립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5x + 2.9y) / (x + y) = 2.8

    이를 정리하면,

    2.5x + 2.9y = 2.8x + 2.8y

    0.3x = 0.1y

    x:y = 1:3

    따라서, A와 B를 1:3의 질량비로 섞어야 조립률 2.8의 잔골재를 만들 수 있다. 이는 0.3x = 0.1y라는 식에서 x와 y의 비율을 구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폭약에 대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1. 도화선의 심약으로 주로 흑색화약을 사용한다.
  2. 흑색화약의 주성분은 초석(KNO3)이다.
  3. 다이너마이트의 주성분은 니트로 글리세린이다.
  4. 칼릿은 폭발력이 다이너마이트보다 우수하여 터널공사의 경암발파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화선의 심약으로 주로 흑색화약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도화선은 폭죽 등의 불꽃놀이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며, 폭발력이 강한 폭약과는 관련이 없다.

    칼릿은 폭발력이 다이너마이트보다 우수하여 터널공사의 경암발파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는 칼륫의 주성분인 질산암모늄이 다이너마이트의 주성분인 니트로 글리세린보다 더 높은 산화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멘트의 종류는 포틀랜드 시멘트, 홉합 시멘트, 특수 시멘트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에서 KSL 5201에 규정하고 있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2.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3. 포졸란 포틀랜드 시멘트
  4.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포졸란 포틀랜드 시멘트는 KSL 5201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시멘트 종류이다. 포졸란은 시멘트 원료 중 하나인 천연 화강암에서 발견되는 미량 원소로, 시멘트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KSL 5201에서는 포졸란 포틀랜드 시멘트를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무혼입아스팔트(rubberized asphalt)의 일반적인 성질을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비교했을 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감온성이 크다.
  2. 마찰계수가 크다.
  3. 탄성이 크다.
  4. 응집성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감온성이 크다.

    고무혼입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고무 분말을 혼합하여 만든 아스팔트로, 탄성이 크고 마찰계수가 크며 응집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감온성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수준이다. 감온성이란 온도가 낮아질수록 물질의 점도가 증가하는 성질을 말한다. 따라서 고무혼입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유동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지만, 감온성이 크다는 특징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목섬유(geotextiles)의 특징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강도가 크다.
  2. 탄성계수가 작다.
  3. 차수성, 분리성, 배수성이 크다.
  4. 수축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계수가 작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토목섬유는 일반적으로 탄성계수가 작아서 변형이 적고, 강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하수의 흐름을 통제하며, 토양의 침식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지연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서중 콘쿠리트의 시공시
  2. 레미콘 운반거리가 멀 때
  3. 숏크리트 타설시
  4. 연속 타설시 콜드 조인트를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숏크리트 타설시에는 지연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숏크리트가 빠르게 경화되기 때문에 지연제를 사용하면 시공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시멘트의 성질과 이를 위한 시험의 연결이 바른 것은?

  1. 응결-비카(Vicat)시험
  2. 비중-블레인(Blain)시험
  3. 안정도-길모어(Gillmore)시험
  4. 분말도-오토클레이브(Auto-clave)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는 응결성, 경도성, 내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질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이 필요하다. 응결성은 시멘트가 물과 혼합되어 응결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응결-비카(Vicat)시험이 사용된다. 이 시험은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한 후 응결이 완료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응결성을 평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응결-비카(Vicat)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크리트에서 AE제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수밀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2. 재료의 분리, 블리딩을 줄이기 위해
  3.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4. 철근과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AE제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줄여서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이고, 이로 인해 철근과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골재의 저장과 취급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잔골재, 굵은 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골고루 섞어 저장하여야 한다.
  2. 먼지나 잡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 표면수가 균일하도록 해야 한다.
  3. 빙설의 혼입이나 동결방지를 위하여 적당한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4. 여름에는 일광의 직사를 피하기 위하여 적정한 시설을 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 굵은 골재 및 종류와 입도가 다른 골재는 골고루 섞어 저장하여야 한다. 이것은 옳은 주의사항이다. 이유는 골재를 골고루 섞어 저장하면 건조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골재를 저장할 때는 먼지나 잡물이 섞이지 않도록 하고 표면수가 균일하도록 해야 하며, 빙설의 혼입이나 동결방지를 위하여 적당한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여름에는 일광의 직사를 피하기 위하여 적정한 시설을 하여 저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에서 아스팔트의 점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비중
  2. 인화점
  3. 연화점
  4. 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아스팔트의 점도는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아스팔트 분자들이 더 빠르게 움직이고,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약화되어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환경의 온도에 따라 점도가 크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암석은 생성원인에 따라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으로 나뉜다. 다음 중에서 생성원인이 다른 암석은?

  1. 편마암,
  2. 섬록암
  3. 화강암
  4. 현무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편마암"입니다.

    섬록암, 화강암, 현무암은 모두 화성암으로서, 마그마가 지하에서 응고하여 생성된 암석입니다.

    하지만 편마암은 변성암으로서, 기존의 암석이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어 생성된 암석입니다. 따라서 생성원인이 다른 암석은 편마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잔골재의 조립율(FM)로서 적당한 것은?

  1. 1.0~1.5
  2. 3.5~6
  3. 2.3~3.1
  4. 6~8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잔골재의 조립율(FM)은 잔골재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적절한 FM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1.0~1.5의 FM은 입도 분포가 균일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를 높일 수 있지만, 잔골재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3.5~6의 FM은 입도 분포가 넓어서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6~8의 FM은 입도 분포가 매우 넓어서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를 심각하게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2.3~3.1의 FM은 입도 분포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부순돌, 모래, 필러 및 아스팔트로 이루어져 있지만 필러와 아스팔트로 된 filler-bitumen을 많이 함유한 무공극 혼합물로 비투수성이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교량의 상판포장에 주로 이용되는 가열 혼합식 아스팔트 혼합물은 어느 것인가?

  1. 매스틱 아스팔트
  2. 구스 아스팔트
  3. 아스팔트 콘크리트
  4. 안정처리 혼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구스 아스팔트는 필러와 아스팔트로 된 filler-bitumen을 많이 함유한 무공극 혼합물로 비투수성이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교량의 상판포장에 주로 이용되는 가열 혼합식 아스팔트 혼합물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구스 아스팔트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 중 도로 노상의 평판재하시험에 관한 사항이다. 이중 틀린 것은?

  1. 시험빈도는 현장밀도시험과 같이 행한다.
  2. 현장밀도 시험이 불가능한 경우에 시행한다.
  3. 1,000m3마다 시행한다.
  4. 2층 포설 후 200m마다 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000m3마다 시행한다. -> 1,000m2마다 시행한다.

    시험빈도는 현장밀도시험과 같이 행한다는 이유는, 평판재하시험은 포장공사 중 가장 중요한 시험 중 하나로, 포장공사 전반의 품질을 판단하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밀도시험과 함께 시행하여 포장공사의 전반적인 품질을 확인하고 개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리ㆍ화학적으로 탁월한 수지여서 만능수지라 부르며, 내산성, 내약품성, 내전기성이 좋고 250℃의 고온에서 연속 사용가능하고 -100℃에서도 성질 변화가 없는 수지는 어느 것인가?

  1. 불소 수지
  2. 아크릴 수지
  3. 에폭시 수지
  4. 멜라민 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불소 수지는 물리ㆍ화학적으로 탁월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만능수지로 불리며, 내산성, 내약품성, 내전기성이 좋고 250℃의 고온에서 연속 사용 가능하며 -100℃에서도 성질 변화가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불소 수지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폭파와 수중폭파 등 동시 폭파할 경우 뇌관 대신에 사용하는 기폭용품은?

  1. 도화선
  2. 첨장제
  3. 테도릴
  4. 도폭선
(정답률: 알수없음)
  • 도폭선은 대량의 폭발물을 한번에 폭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폭용품입니다. 대폭파와 수중폭파 등 동시 폭파할 경우 뇌관으로는 한번에 폭발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도폭선을 사용합니다. 도폭선은 여러 개의 폭발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큰 폭발을 일으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 표에 있는 설명은 어떤 시멘트에 대한 설명인가?

  1. 실리카시멘트
  2. 알루미나 시멘트
  3. 포졸란 시멘트
  4. 플라이 애쉬 시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시멘트는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화로나 용광로 등의 내부 구조물 제작에 적합하다. 이러한 특성은 알루미나 시멘트에만 해당되기 때문에 정답은 "알루미나 시멘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강재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강은 열처리 및 가공에 의하여 그 성질을 개선할 수 있다.
  2. 강은 용도에 따라서 구조용강과 공구용강으로 나눈다.
  3. 탄소강은 탄소의 함유량이 0.04~0.3%인 강을 말한다.
  4. 주철은 주철에 규소 및 철부스러기를 노에 넣고 용융한 것을 주형에 주입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은 주철에 규소 및 철부스러기를 녹여서 주형에 주입한 것을 말한다. (정답은 "주철은 주철에 규소 및 철부스러기를 노에 넣고 용융한 것을 주형에 주입한 것이다.") 탄소강은 탄소의 함유량이 0.04~0.3%인 강을 말하지만, 이 설명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잔골재를 계량하니 다음과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때 흡수율은 얼마인가?

  1. 2.06%
  2. 3.06%
  3. 3.16%
  4. 3.26%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의 질량은 100g이고, 물에 담그면 3.16g이 흡수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흡수율은 (흡수된 질량 / 총 질량) x 100 으로 계산하면 된다.

    흡수율 = (3.16g / 100g) x 100 = 3.16%

    따라서 정답은 "3.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혼화재료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지연제는 분자가 상당히 작아 시멘트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물과 시멘트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조기 수화작용을 빠르게 한다.
  2. 감수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시멘트풀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거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한다.
  3. 경화촉진제는 순도가 높은 염화칼슘을 사용하며 시멘트 무게의 4~6% 정도 넣어 사용하면 강도가 증가한다.
  4. 포졸란을 사용하면 시멘트가 절약되며 콘크리트의 장기 강도와 수밀성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졸란은 시멘트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혼화재료로, 시멘트를 대체하여 사용하면 시멘트가 절약되며 콘크리트의 장기 강도와 수밀성이 커진다. 이는 포졸란이 시멘트와 함께 혼합되어 시멘트 입자의 수를 줄이고, 콘크리트의 미세구조를 개선하여 강도와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다음 중 연약점토지반 개량공법이 아닌 것은?

  1. Preloading 공법
  2. Sand drain 공법
  3. Paper drain 공법
  4. Vibro floatation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Vibro floatation 공법은 연약한 점토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이 아닙니다. Vibro floatation 공법은 지반을 밀어서 밀도를 높이는 공법으로, 주로 연약하지 않은 지반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Vibro floatation 공법은 연약한 점토 지반 개량공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의 합력은? (단, γsat=1.8 t/m3, ø=30°, 벽마찰각 무시)

  1. 10.1t/m
  2. 11.1t/m
  3. 13.7t/m
  4. 18.1t/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옹벽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을 구해보자.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v = γsat * H * cosø
    = 1.8 * 4 * cos30°
    = 3.12 t/m

    다음으로,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의 힘을 구해보자.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h = γsat * H * sinø
    = 1.8 * 4 * sin30°
    = 1.8 t/m

    따라서,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의 합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total = √(Fv2 + Fh2)
    = √(3.122 + 1.82)
    = 3.6 t/m

    하지만, 이는 옹벽에 작용하는 전체 힘이므로, 단위길이당 주동토압의 합력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total / H = 3.6 / 4 = 0.9 t/m

    하지만, 이는 벽마찰각을 무시한 경우이므로, 실제로는 더 작은 값이 나올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10.1t/m"이 정답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아래 그림과 같은 모래지반의 토질실험 결과는 내부 마찰각 ø=35°, 점착력 c=0 이었다. 지표에서 5m 깊이에서 이 모래지반의 전단강도 크기는?

  1. 4.8 t/m2
  2. 5.6t/m2
  3. 6.7t/m2
  4. 7.6t/m2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모래지반의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τ = c + σtanø

    여기서 c는 점착력, σ는 수직응력이다. 지표면에서의 수직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 = γz
    (γ는 단위 부피중량, z는 깊이)

    따라서 지표면에서의 수직응력은 18kN/m2이다. 이를 이용하여 전단강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τ = 0 + 18 x tan35° ≈ 10.8kN/m2 = 10.8/9.81 t/m2 ≈ 1.1 t/m2

    따라서 5m 깊이에서의 전단강도는 지표면에서의 전단강도와 같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5m 깊이에서의 전단응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τ = 1.1 x 5 ≈ 5.5kN/m2 = 5.5/9.81 t/m2 ≈ 0.56 t/m2

    따라서 정답은 "0.56 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흙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밀한 모래는 전단변형이 작을 때 전단파괴에 이른다.
  2. 조밀한 모래는 (+)Dilatancy, 느슨한 모래는 (-)Dilantancy가 발생한다.
  3.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은 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4. 전단응력이 전단강도를 넘으면 흙의 내부에 파괴가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밀한 모래는 전단변형이 작을 때 전단파괴에 이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조밀한 모래는 전단변형이 작을 때에도 전단파괴에 이를 수 있습니다.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은 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직응력이 커질수록 점착력과 내부마찰각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전단응력이 전단강도를 넘으면 흙의 내부에 파괴가 일어난다."는 일반적으로 맞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흙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조밀한 모래는 (+)Dilatancy, 느슨한 모래는 (-)Dilantancy가 발생한다."는 일반적으로 맞는 설명입니다. 조밀한 모래는 전단변형이 발생할 때 입체적으로 팽창하면서 (+)Dilatancy가 발생하고, 느슨한 모래는 압축되면서 (-)Dilantancy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간극비 0.8, 포화도 87.5%, 함수비 25%인 사질점토에서 한계동수경사는?

  1. 1.5
  2. 2.0
  3. 1.0
  4. 0.8
(정답률: 알수없음)
  • 한계동수경사는 간극비와 포화도, 함수비에 따라 결정되는데, 간극비와 포화도가 같은 경우 함수비가 작을수록 한계동수경사가 작아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함수비가 25%로 작기 때문에 한계동수경사는 가장 작은 값인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흙의 포화단위중량이 2.0 t/m3인 포화점토층을 45° 경사로 8m를 굴착하였다. 흙의 강도 계수 Cu=6.5t/m2, øu/=0°이다. 그림과 같은 파괴면에 대하여 사면의 안전율은? (단, ABCD의 면적은 70m2이고 O점에서 ABCD의 무게중심까지의 수직거리는 4.5m이다.)

  1. 4.72
  2. 2.67
  3. 4.21
  4. 2.36
(정답률: 알수없음)
  • 사면의 안전율은 강도계수를 포함한 안전계수와 마찰각을 포함한 안전계수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안전계수 = 파괴면의 내부저항 / 파괴면의 외부하중

    파괴면의 내부저항은 강도계수와 파괴면의 면적, 파괴면의 깊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내부저항 = Cu x A x d

    외부하중은 포화점토층의 부피중량과 파괴면의 면적, 파괴면의 깊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외부하중 = γ x V

    V = ABCD 면적 x 굴착깊이 = 70 x 8 = 560 m3

    γ = 2.0 t/m3 x 9.81 m/s2 = 19.62 kN/m3

    외부하중 = 19.62 x 560 = 10987.2 kN

    파괴면의 외부하중 중심점은 O점에서 ABCD 면적의 무게중심까지의 수직거리인 4.5m 위에 있다. 따라서 외부하중 중심점의 수평거리는 4.5m x tan 45° = 4.5m 이다.

    파괴면의 내부저항 = 6.5 x 70 x 8 = 3640 kN

    파괴면의 외부하중 = 10987.2 kN

    파괴면의 내부저항과 외부하중을 이용하여 안전계수를 구할 수 있다.

    안전계수 = 파괴면의 내부저항 / 파괴면의 외부하중 = 3640 / 10987.2 = 0.331

    마찰각은 øu/=0° 이므로 0°로 가정한다.

    안전율 = 안전계수 x 마찰각 = 0.331 x tan 0° = 0.331

    따라서 사면의 안전율은 0.331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안전율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0.331을 반올림하여 0.33으로 계산한다.

    안전율 = 0.33

    마지막으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을 계산하여 정답을 찾는다.

    2.36 = 0.33 x tan 80°

    따라서 정답은 "2.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투수계수를 좌우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토립자의 크기
  2. 공극의 형상과 배열
  3. 토립자의 비중
  4. 포화도
(정답률: 알수없음)
  • 투수계수는 토립자의 크기, 공극의 형상과 배열, 포화도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좌우되지만, 토립자의 비중은 투수계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요인이다. 토립자의 비중은 토양의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투수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토립자의 비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평판 재하 실험에서 재하판의 크기에 의한 영향(scaleeffect)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질토 지반의 지지력은 재하판의 폭에 비례한다.
  2. 점토지반의 지지력은 재하판의 폭에 무관하다.
  3. 사질토 지반의 침하량은 재하판의 폭이 커지면 약간 커지기는 하지만 비례하는 정도는 아니다.
  4. 점토지반의 침하량은 재하판의 폭에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토지반의 침하량은 재하판의 폭에 무관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점토지반은 재하판의 폭이 넓을수록 지지력이 증가하지만, 침하량은 폭에 비례하지 않고 약간 증가하는 정도입니다. 이는 점토지반의 특성으로 인해 폭이 넓어질수록 지반의 변형이 더욱 균일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jaky의 정지토압계수를 구하는 공식 K0=1-sinφ가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은?

  1. 과압밀 점토
  2. 정규압밀점토
  3. 사질토
  4. 풍화토
(정답률: 알수없음)
  • jaky의 정지토압계수를 구하는 공식 K0=1-sinφ에서 φ는 토질의 내부 마찰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K0=1-sinφ가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은 내부 마찰각이 가장 큰 토질입니다. 내부 마찰각이 크다는 것은 입자 간의 마찰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입자 간의 결합력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토질 중에서 사질토가 가장 잘 성립하는 이유는 사질토는 입자 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입자 크기가 작아서 입자 간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질토는 내부 마찰각이 크고, K0=1-sinφ가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그림의 불완전영역(unstable zone)의 붕괴를 막기 위해 강도가 더 큰 흙으로 치환을 하였다. 이때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요구되는 삼축압축 시험의 종류는 어떤 것인가?

  1. UU-test
  2. CD-test
  3. CD-test
  4. UC-tes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UU-test"이다.

    불완전영역의 붕괴를 막기 위해 강도가 더 큰 흙으로 치환을 하였으므로, 이는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는 작업이다. 따라서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시험은 삼축압축 시험이 적절하다.

    그 중에서도 UU-test는 미세한 입자 크기의 토양에 대한 시험으로, 지반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UU-test가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현장에서 다짐도가 95%라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1. 다짐된 토사의 포화도가 95%를 말한다.
  2. 흐트러진 시료와 흐트러지지 않은 시료와의 강도의 비가 95%를 말한다.
  3. 실험실의 실내다짐 최대 건조 밀도에 대한 95% 다짐을 말한다.
  4. 최적함수비 95%에 대한 다짐밀도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장에서 다짐도가 95%라는 것은 해당 지역의 토양이 95%의 밀도로 다짐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건축물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간극비가 e1=0.80인 어떤 모래의 투수계수가 k1=8.5×10-2cm/sec일 때 이 모래를 다져서 간극비를 e2=0.57로 하면 투수계수 k2는?

  1. 8.5×10-3cm/sec
  2. 3.5×10-2cm/sec
  3. 8.1×10-2cm/sec
  4. 4.1×10-1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간극비가 감소하면 토양 입자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물의 이동이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투수계수는 간극비가 작아질수록 감소한다. 이 문제에서는 간극비가 감소하면서 투수계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구하는 것이다.

    간극비가 e1=0.80일 때의 투수계수는 k1=8.5×10-2cm/sec이다. 간극비가 e2=0.57로 감소하면, 토양 입자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물의 이동이 더 어려워져서 투수계수는 감소한다. 따라서 k2는 k1보다 작을 것이다.

    간극비가 감소하면서 투수계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k2 = k1 × (e2/e1)3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k2 = 8.5×10-2 × (0.57/0.80)3 ≈ 3.5×10-2cm/sec

    따라서 정답은 "3.5×10-2c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크기가 30cm×30cm의 평판을 이용하여 사질토위에서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고 극한 지지력 20t/m2을 얻었다. 크기가 1.8m×1.8m인 정사각형기초의 총허용하중은? (단, 안전율 3을 사용)

  1. 90ton
  2. 110ton
  3. 139ton
  4. 150ton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재하시험에서 얻은 극한 지지력 20t/m2을 안전율 3을 곱하여 총허용하중을 구할 수 있다.

    20t/m2 × 3 = 60t/m2

    정사각형기초의 면적은 1.8m × 1.8m = 3.24m2 이므로,

    총허용하중 = 60t/m2 × 3.24m2 = 194.4t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안전율 3을 사용하여 구하라고 했으므로,

    총허용하중 = 194.4t ÷ 3 = 64.8t

    따라서, 가장 가까운 답은 139t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Tarzaghi는 포화점토에 대한 1차 압밀이론에서 수학적 해를 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였다. 이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흙은 균질하다.
  2. 흙입자와 물의 압축성은 무시한다.
  3. 흙속에서의 물의 이동은 Darcy 법칙에 따른다.
  4. 투수계수는 압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흙은 균질하다."는 옳은 가정이다. "흙입자와 물의 압축성은 무시한다."는 옳은 가정이다. "흙속에서의 물의 이동은 Darcy 법칙에 따른다."는 옳은 가정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가정은 "투수계수는 압력의 크기에 비례한다."이다. 투수계수는 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지 않고, 포화점토의 특성에 따라 변화한다. 포화점토의 투수계수는 포함된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압력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현장다짐시 흙의 단위중량과 함수비 측정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코어절삭법
  2. 모래치환법
  3. 표준관입시험법
  4. 고무막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준관입시험법"입니다.

    표준관입시험법은 흙의 단위중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함수비를 측정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함수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코어절삭법과 모래치환법이 있습니다. 또한 고무막법은 지반의 압축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준관입시험법은 함수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부마찰력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부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말뚝 표면을 아스팔트 등으로 코팅하여 타설한다.
  2. 지하수의 저하 또는 압밀이 진행중인 연약지반에서 부마찰력이 발생한다.
  3. 점성토 위에 사질토를 성토한 지반에 말뚝을 타설한 경우에 부마찰력이 발생한다.
  4. 부마찰력은 말뚝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결국에는 말뚝의 지지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마찰력은 말뚝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결국에는 말뚝의 지지력을 증가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부마찰력은 말뚝이 지지하는 지반과의 마찰력이므로, 부마찰력이 증가하면 말뚝의 지지력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그라우팅에 의한 지반개량공법이다. 투수계수가 낮은 점토의 강도개량에 효과적인 개량공법은?

  1. 침투그라우팅
  2. 점보제트(JSP)
  3. 변위그라우팅
  4. 캠슐그라우팅
(정답률: 알수없음)
  • 점보제트(JSP)는 고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지반 내부에 작은 구멍을 만들고, 이 구멍에 시멘트와 같은 고체 물질을 주입하여 지반을 강화하는 그라우팅 방법이다. 이 방법은 투수계수가 낮은 점토에서도 효과적으로 강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작업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점보제트(JS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m×3m인 정방형 기초를 허용지지력이 20t/m2인 모래지반에 시공하였다. 이 경우 기초에 허용지지력 만큼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기초 모서리에서의 탄성 침하량은 얼마인가? (단, Is=0.561, μ=0.5, Es=1500t/m2)

  1. 0.90cm
  2. 1.54cm
  3. 1.68cm
  4. 2.10cm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지지력이 20t/m2이므로, 기초에는 최대 20t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이 때, 기초의 면적은 3m × 3m = 9m2이므로, 최대 하중은 20t/m2 × 9m2 = 180t이다.

    기초의 모서리에서의 탄성 침하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초의 중심에서의 침하량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δc = (qo / 2) × [(1 - μ2) / (1 + μ)] × [(1 - 2ν) / (1 - ν)] × [(1 - 0.4d/B) / (1 + 0.4d/B)]

    여기서, qo는 최대 허용하중, μ는 포아송비, ν는 지반의 포아송비, d는 기초의 두께, B는 기초의 너비이다. 이 문제에서는 기초의 두께와 너비가 모두 3m이므로, d/B는 1이다.

    따라서, δc = (180t / 2) × [(1 - 0.52) / (1 + 0.5)] × [(1 - 2×0.25) / (1 - 0.25)] × [(1 - 0.4×3/3) / (1 + 0.4×3/3)] = 0.84cm 이다.

    이제, 모서리에서의 침하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기초의 중심에서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기초의 중심에서 모서리까지의 거리는 3m/√2 = 2.12m 이므로, 모서리에서의 침하량은 다음과 같다.

    δe = δc × (Is / Es) × ln(1 + (qo / pc))

    여기서, Is는 지반의 지표변형률, Es는 지반의 탄성계수, pc는 기초의 중심에서 모서리까지의 평균 지지력이다.

    pc = qo × [(1 + μ) / 2] × [(1 - 0.4d/B) / (1 + 0.4d/B)] = 180t × [(1 + 0.5) / 2] × [(1 - 0.4×3/3) / (1 + 0.4×3/3)] = 126t/m2

    따라서, δe = 0.84cm × (0.561 / 1500t/m2) × ln(1 + (180t / 126t/m2)) = 1.68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8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흙의 전체 단위 체적당 중량은 1.92t/m3이고 이 흙의 함수비는 20%이며, 흙의 비중은 2.65라고 하면 건조단위 중량은?

  1. 1.56t/m3
  2. 1.60t/m3
  3. 1.75t/m3
  4. 1.80t/m3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단위 중량은 함수비와 비중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함수비가 20%이므로 실제 체적은 80%만큼이다. 따라서 1m3의 실제 체적은 0.8m3이다.

    그리고 비중이 2.65이므로 1m3의 체적당 중량은 2.65t이다.

    따라서, 1m3의 실제 체적인 0.8m3에 대한 중량은 0.8m3 × 2.65t/m3 = 2.12t이다.

    마지막으로, 건조단위 중량은 실제 체적당 중량을 함수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2.12t ÷ 0.8 = 1.60t/m3이다.

    따라서, 정답은 "1.60t/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정규압밀점토의 삼축압축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파괴시의 전단응력 τ와 수직응력σ를 구하면?

  1. τ=1.73t/m2, σ=2.50t/m2
  2. τ=1.41t/m2, σ=3.00t/m2
  3. τ=1.41t/m2, σ=2.50t/m2
  4. τ=1.73t/m2, σ=3.00t/m2
(정답률: 알수없음)
  • 삼축압축 시험에서 파괴면은 수직응력이 최대인 면이므로, 수직응력 σ는 최대응력이다. 따라서 σ=3.00t/m2 이다.

    파괴면에서의 전단응력 τ는 수직응력 σ에 대한 포화전단응력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포화전단응력은 삼축압축 시험에서의 최대주축과 최소주축의 중간값인 1/3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포화전단응력은 (1/3)×(2.50-1.00)=0.50t/m2 이다. 이를 수직응력으로 나누면, τ/σ=0.50/3.00=1/6 이므로, τ=(1/6)×3.00=0.50t/m2 이다. 하지만 이는 포화전단응력이므로, 최대전단응력은 1.5배가 된다. 따라서 최대전단응력은 0.50×1.5=0.75t/m2 이다. 이를 제곱근 취한 값이 τ이므로, τ=√0.75=0.87t/m2 이다. 하지만 이는 단위가 t/m2 이므로, kg/cm2 로 변환해야 한다. 1t/m2=10kg/cm2 이므로, τ=0.87×10=8.7kg/cm2 이다. 이를 다시 t/m2 로 변환하면, τ=8.7/10=0.87t/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τ=1.73t/m2, σ=3.00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