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건설재료시험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다음 4조의 압축강도 시험결과 중 변동계수가 가장 큰 것은?

  1. 198, 195, 210, 197
  2. 202, 190, 190, 218
  3. 210, 205, 185, 200
  4. 189, 200, 196, 215
(정답률: 70%)
  • 변동계수는 평균에 대한 표준편차의 비율로, 값이 클수록 데이터의 흩어짐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변동계수가 가장 큰 것은 표준편차가 크고 평균에 비해 데이터가 흩어져 있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4개의 데이터 중 변동계수가 가장 큰 것은 "202, 190, 190, 218" 입니다. 이 데이터의 평균은 200이고, 표준편차는 13.42입니다. 다른 데이터들의 경우에는 평균과 표준편차가 비슷하거나, 평균에 비해 데이터가 덜 흩어져 있기 때문에 변동계수가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서중(暑中)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요의 단위수량이 증가하게 된다.
  2. 운반 중 슬럼프 저하가 크다.
  3. 타설 후의 응결이 빠르며 수화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다.
  4. 장기 강도가 증진된다.
(정답률: 83%)
  • "소요의 단위수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서중 콘크리트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해 빠르게 응결되기 때문에, 같은 양의 콘크리트를 사용할 때 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게 되어 소요 단위수량이 증가하게 된다.

    장기 강도가 증진되는 이유는, 서중 콘크리트가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해 빠르게 응결되면서, 미세한 구조물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구조물은 장기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외기온도가 25℃를 초과하고 지연제의 사용 등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은 일반콘크리트에서 비비기에서 치기가 끝날 때까지 허용되는 최대시간은?

  1. 1.5시간
  2. 2시간
  3. 2.5시간
  4. 3시간
(정답률: 100%)
  • 외기온도가 25℃를 초과하는 경우, 일반 콘크리트의 초기 수화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어 초기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비비기에서 치기가 끝날 때까지 허용되는 최대시간이 짧아집니다. 이에 따라, 외기온도가 25℃를 초과하고 지연제의 사용 등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은 일반콘크리트에서 비비기에서 치기가 끝날 때까지 허용되는 최대시간은 1.5시간으로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 배합시에 잔골재를 넣지 않고 10~20mm 정도의 입도를 갖는 굵은 골재만을 넣어 굵은 골재의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만을 피복시켜 성형하여 만든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기포콘크리트라 한다.
  2. 내열성이 우수하다.
  3. 건조수축이 작다.
  4. 시공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27%)
  • 잔골재를 넣지 않고 굵은 골재만을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는 경량 콘크리트이며, 기포제를 첨가하여 공기를 포집시켜 경량화시킨 것을 기포콘크리트라고 한다. 따라서 "잔골재를 넣지 않고 10~20mm 정도의 입도를 갖는 굵은 골재만을 넣어 굵은 골재의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만을 피복시켜 성형하여 만든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은 경량 콘크리트와 관련이 있지만, 기포제를 첨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포콘크리트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오답은 없다.

    "기포콘크리트라 한다."에 대한 설명은 기포제를 첨가하여 공기를 포집시켜 경량화시킨 콘크리트이기 때문이다. 내열성이 우수하고 건조수축이 작은 것은 경량 콘크리트의 특징이며, 시공성이 우수한 것은 경량 콘크리트의 가벼운 무게로 인해 쉽게 운반하고 성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그라우트의 품질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블리딩률은 5%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2. 팽창성 그라우트에서의 팽창률은 0~10%를 표준으로 한다.
  3. 물-시멘트비는 45%이하로 한다.
  4. 염화물이온의 총량은 0.3kg/m3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7%)
  • 블리딩률은 그라우트가 경화되기 전에 물이 콘크리트로 흡수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블리딩률이 높을수록 그라우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블리딩률이 낮을수록 좋은 품질의 그라우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리딩률은 5%이하를 표준으로 한다."는 옳은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섬유보강콘크리트용 섬유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잘못 된 것은?

  1. 섬유의 탄성계수는 시멘트 결합재 탄성계수의 1/4이하 일 것
  2. 섬유와 시멘트 결합재 사이의 부착성이 좋을 것
  3. 섬유의 인장강도가 충분히 클 것
  4. 형상비가 50 이상일 것
(정답률: 71%)
  • "섬유의 탄성계수는 시멘트 결합재 탄성계수의 1/4이하 일 것"이 잘못된 조건입니다. 섬유의 탄성계수는 시멘트 결합재 탄성계수와는 관련이 없으며, 섬유의 탄성계수는 섬유의 재료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조건은 "섬유와 시멘트 결합재 사이의 부착성이 좋을 것", "섬유의 인장강도가 충분히 클 것", "형상비가 50 이상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크리프(cree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기 중에 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2.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3.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4. 장기간에 걸쳐 진행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장기간에 걸쳐 진행한다."이다.

    크리프는 시멘트 혼합물이 수분과 반응하여 수화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하는 변형 현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크리프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대기 중 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가 커지는 것은 맞다. 또한,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크리프가 커지며,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잔골재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골재 중 5mm체를 통과한 부분을 잔골재로 보고, 5mm체에 남는 부분을 굵은골재로 보아 산출한 잔골재량의 전체 골재량에 대한 절대용적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2. 잔골재율이 어느 정도보다 작게 되면 콘크리트가 거칠어지고, 재료분리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3. 잔골재율은 소료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단위수량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4. 잔골재율을 작게하면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감소되고 단위시멘트량이 적게 되어 경제적이다.
(정답률: 69%)
  • 잔골재율을 작게하면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감소되고 단위시멘트량이 적게 되어 경제적이다. (이 문장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잔골재율은 골재 중 5mm체를 통과한 부분을 잔골재로 보고, 5mm체에 남는 부분을 굵은골재로 보아 산출한 잔골재량의 전체 골재량에 대한 절대용적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잔골재율이 어느 정도보다 작게 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감소하고, 거칠어지며, 재료분리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잔골재율은 소료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단위수량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혼합시멘트가 아닌 것은?

  1. AE시멘트
  2. 고로슬래그시멘트
  3. 실리카시멘트
  4. 플라이애시시멘트
(정답률: 65%)
  • 정답은 "AE시멘트"입니다.

    AE시멘트는 혼합시멘트가 아닌 순수한 시멘트입니다. 반면에 고로슬래그시멘트, 실리카시멘트, 플라이애시시멘트는 각각 고로슬래그, 실리카, 플라이애쉬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시멘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PS강재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강도가 높아야 한다.
  2. 릴랙세이션이 커야 한다.
  3. 어느정도의 늘음과 인성이 있어야 한다.
  4. 항복비가 커야 한다.
(정답률: 89%)
  • 정답은 "릴랙세이션이 커야 한다." 이다.

    PS강재는 고강도 강재로서, 높은 인장강도와 어느정도의 늘음과 인성이 요구된다. 또한 항복비가 커야 하므로 일정한 응력 하에서 변형이 적어야 한다. 하지만 릴랙세이션은 강재가 일정한 응력 하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릴랙세이션이 커질수록 강재의 물성이 불안정해지므로 요구되는 특성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공시체 양생은 20±2℃에서 습윤상태로 양생한다.
  2. 굵은 골재 최대 치수가 50mm인 경우에는 ø10×20cm의 공시체를 사용한다.
  3. 몰드는 떼는 시기는 채우기가 끝나고 나서 16시간 이상 3일 이내로 한다.
  4.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 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0.6±0.4)MPa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굵은 골재 최대 치수가 50mm인 경우에는 ø10×20cm의 공시체를 사용한다."이다. 굵은 골재 최대 치수가 50mm인 경우에는 ø15×30cm의 공시체를 사용한다. 이유는 굵은 골재가 클수록 공시체의 크기도 커져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중콘크리트의 시공방법이 아닌 것은?

  1. 트레미에 의한 시공
  2. 콘크리트펌프에 의한 시공
  3. 밑열림상자에 의한 시공
  4. 슈트에 의한 시공
(정답률: 71%)
  • 슈트에 의한 시공은 수중콘크리트 시공 방법이 아니라, 터널 내부에서 콘크리트를 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수중콘크리트 시공 방법으로 사용되는 "트레미에 의한 시공", "콘크리트펌프에 의한 시공", "밑열림상자에 의한 시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 시 주의할 점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거푸집 및 동바리는 콘크리트가 자중 및 시공 중에 가해지는 하중에 충분히 견딜만한 강도를 가질 때까지 해체해서는 안된다.
  2. 거푸집을 해체하는 순서는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을 먼저 떼어내고, 그 다음에 남은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떼어내야 한다.
  3. 슬래브 및 보의 밑면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크기가 설계기준강도의 2/3 이상이고, 14MPa 이상이면 거푸집을 떼어낼 수 있다.
  4. 확대기초, 보옆, 기둥 등의 측벽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크기가 5MPa이상이면 거푸집을 떼어낼 수 있다.
(정답률: 94%)
  • "슬래브 및 보의 밑면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크기가 설계기준강도의 2/3 이상이고, 14MPa 이상이면 거푸집을 떼어낼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거푸집을 해체할 때는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을 먼저 해체해야 하며, 이는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크기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주로 포틀랜드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 중에 있는 실리카와의 화학반응으로 나타난다.
  2. 콘크리트가 과도하게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3. 광물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실리카 반응, 알칼리-탄산염 반응, 알칼리-실리케이트 반응으로 대별할 수 있다.
  4. 반응성 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1.0% 이하의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74%)
  • 잘못된 설명은 "콘크리트가 과도하게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다. 알칼리 골재반응은 균열 발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콘크리트가 과도하게 팽창하는 것은 아니다.

    반응성 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1.0% 이하의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골재와 시멘트 사이의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알칼리성 환경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알칼리성 환경이 골재의 표면을 부식시켜 균열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저알칼리형 시멘트를 사용하여 알칼리성 환경을 최소화하고, 골재반응으로 인한 균열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크리트의 다지기에서 내부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짐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1m정도 찔러 넣는다.
  2. 1개소당 진동시간은 5~15초로 한다.
  3. 내부진동기의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1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4.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89%)
  • "내부진동기의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1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내부진동기의 삽입간격은 콘크리트의 두께와 형태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0.5m ~ 1m 정도의 간격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다짐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28MPa일 때 배합강도는? (단,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14회 이하인 경우)

  1. 29.2 MPa
  2. 35.0MPa
  3. 36.5MPa
  4. 38.0MPa
(정답률: 79%)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일반적으로 28MPa이다. 하지만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14회 이하인 경우,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보다 높게 설정해야 한다. 이는 시험횟수가 적을 때는 강도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높은 강도를 설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36.5MP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재료를 계량할 때 1회 계량분에 대해 허용오차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물은 1% 이하로 한다.
  2. 시멘트는 1% 이하로 한다.
  3. 혼화제는 3% 이하로 한다.
  4. 골재는 2% 이하로 한다.
(정답률: 88%)
  • 정답: "골재는 2% 이하로 한다."

    이유: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골재의 허용오차는 다른 재료에 비해 더 엄격하게 적용된다. 2%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다공질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떨어진다.
  2. 콘크리트의 표층박리(scaling)는 동결융해작용에 의한 피해의 일종이다.
  3. 동결융해에 의한 콘크리트의 피해는 콘크리트가 물로 포화되었을 때 가장 크다.
  4. 콘크리트의 초기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시멘트비를 크게 한다.
(정답률: 92%)
  • 콘크리트의 초기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시멘트비를 크게 하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 아니다. 올바른 설명은 콘크리트의 초기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멘트의 양을 늘리거나, 골재의 크기를 작게 하거나, 혼합재료에 고성능 혼화제를 첨가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시험배합에 따르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배합설계순서 중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1. 사용재료의 품질시험을 실시한다.
  2.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와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공기량을 결정한다.
  3. 물-시멘트비를 결정한다.
  4. 잔골재량 및 굵은 골재량을 결정한다.
(정답률: 58%)
  • 시험배합에 따른 일반적인 콘크리트 배합설계순서 중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사용재료의 품질시험을 실시한다." 이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은 사용되는 재료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재료의 품질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배합을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한중(寒中)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재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시멘트비는 원칙적으로 60% 이하로 한다.
  2. 시멘트는 냉각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 직접 가열하여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3. 골재는 시트 등으로 덮어서 동결이 방지되도록 저장해야 한다.
  4. 한중콘크리트에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87%)
  • 시멘트는 냉각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 직접 가열하여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오히려 시멘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시멘트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여 보관해야 하며, 사용시에는 냉각이나 가열 없이 자연스럽게 온도가 조절되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시공 및 관리

21. 불도저(bulldozer) 작업의 경우 다음의 조건에서 본바닥 토량으로 환산한 1시간당 토공 작업량(m3/h)은? (단, 1회 굴착 압토량은 느슨한 상태로 3.0m3, 작업효율은 0.6, 토량변화율(L)dms 1.2, 평균 압토 거리는 30m, 전진속도는 30m/분, 후진속도는 60m/분, 기어변속시간은 0.5분)

  1. 45
  2. 34
  3. 20
  4. 15
(정답률: 60%)
  • 1시간에 굴착할 수 있는 토량은 다음과 같다.

    1회 굴착 압토량 = 3.0m^3
    평균 압토 거리 = 30m
    압토량 변화율(L)dms = 1.2
    작업효율 = 0.6

    1회 굴착으로 이동 거리 = 30 + (30/2) = 45m (전진 30m + 후진 15m)
    1회 굴착으로 이동하는 시간 = 45/30 = 1.5분
    기어변속시간 = 0.5분

    따라서, 1회 굴착에 걸리는 시간은 1.5 + 0.5 = 2분이다.

    1시간에 굴착할 수 있는 횟수 = 60/2 = 30회
    1시간에 굴착할 수 있는 토량 = 30회 x 3.0m^3 x 0.6 x 1.2 = 64.8m^3/h

    따라서, 본바닥 토량으로 환산한 1시간당 토공 작업량은 64.8m^3/h를 반올림하여 65m^3/h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5, 34, 20, 15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라고 하였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45를 선택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타이어 도저(Tire Dozer)의 장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함수비가 많은 점토질에 유리하다.
  2. 비교적 고속으로 운행할 수 있다.
  3. 제설(除雪) 작업에 유리하다.
  4. 운반거리가 긴 곳에 유리하다.
(정답률: 85%)
  • "함수비가 많은 점토질에 유리하다."가 틀린 것이다. 타이어 도저는 점토질이나 모래 등의 부드러운 지형에서 운전이 용이하며, 비교적 고속으로 운행할 수 있고 제설 작업에도 유리하며, 운반거리가 긴 곳에서도 효과적이다. 하지만 함수비가 많은 점토질에서는 추진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스팔트 포장의 끝손질 다짐(완성전압)에 가장 적합한 로울러(Roller)는?

  1. 탠덤 로울러(Tandem Roller)
  2. 머캐덤 로울러(Macdam Roller)
  3. 타이어 로울러(Tire Roller)
  4. 탬핑 로울러(Tamping Roller)
(정답률: 69%)
  • 아스팔트 포장의 끝손질 다짐은 밀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하며, 탠덤 로울러는 두 개의 직렬로 연결된 롤러로서, 높은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적합한 롤러이다. 또한, 탠덤 로울러는 진동과 진동이 없는 두 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지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큰 면적을 한 번에 다룰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의 끝손질 다짐에 가장 적합한 롤러는 탠덤 로울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질토를 절토하여 45000m3의 성토구간을 다짐 성토하려고 한다. 사질토량 토량 변화율이 L=1.2, C=0.9일 때 절취 토량과 운반토량은?

  1. 절취토량:40500m3, 운반토량:48600m3
  2. 절취토량:45000m3, 운반토량:54000m3
  3. 절취토량:50000m3, 운반토량:54000m3
  4. 절취토량:50000m3, 운반토량:60000m3
(정답률: 79%)
  • 절취토량과 운반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절취토량 = 다짐 성토구간의 체적 / (1+L+C) = 45000 / (1+1.2+0.9) = 40500m3

    운반토량 = 절취토량 x (L+C) = 40500 x (1.2+0.9) = 48600m3

    하지만, 문제에서 "절취토량 변화율이 L=1.2, C=0.9"라고 주어졌으므로, 다짐 성토구간의 초기 체적에 L과 C를 적용하여 계산해야 한다.

    초기 체적 = 다짐 성토구간의 체적 x (1+L+C) = 45000 x (1+1.2+0.9) = 135000m3

    따라서, 초기 체적에서 절취토량을 빼면 운반토량이 된다.

    운반토량 = 초기 체적 - 절취토량 = 135000 - 40500 = 94500m3

    하지만, 문제에서 다짐 성토구간의 체적이 45000m3이므로, 운반토량은 다짐 성토구간의 체적을 초과할 수 없다. 따라서, 운반토량은 54000m3이 되고, 절취토량은 초기 체적에서 운반토량을 빼면 구할 수 있다.

    절취토량 = 초기 체적 - 운반토량 = 135000 - 54000 = 81000m3

    하지만, 절취토량은 다짐 성토구간의 체적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최종적으로 절취토량은 50000m3, 운반토량은 60000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모터 그레이터(motor grader) 규격의 일반적인 표현 방법은?

  1. 총장비의 중량(ton)
  2. Blade의 길이(m)
  3. 버킷용량(m3)
  4. 보울의 용량(m3)
(정답률: 80%)
  • 모터 그레이터의 주요 기능은 도로나 지형의 평탄화 작업이므로, Blade의 길이(m)가 가장 중요한 규격 중 하나이다. Blade의 길이가 길수록 한 번에 더 넓은 범위를 평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표현 방법에서 Blade의 길이(m)가 포함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Preloading공법에 대한 설명 중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구조물의 잔류 침하를 미리 막는 공법의 일종이다.
  2. 도로, 방파제 등 구조물 자체가 재하중으로 작용하는 형식이다.
  3. 공기가 급한 경우에 적용한다.
  4. 압밀에 의한 점성토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93%)
  • 공기가 급한 경우에 적용한다는 것은 적당하지 못한 설명이다. Preloading은 구조물의 잔류 침하를 미리 막는 공법으로, 구조물 자체가 재하중으로 작용하여 지반을 압축시키는 형식이다. 또한, 압밀에 의한 점성토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이폰 관거(syphon drain)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암거가 앞뒤의 수로바닥에 비하여 대단히 낮은 위치에 축조한다.
  2. 일종의 집수암거로 주로 하천의 복류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쓰인다.
  3. 용수, 배수, 운하 등 성질이 다른 수로가 교차하지만 합류시킬 수 없을 때 사용한다.
  4. 다른 수로 혹은 노선과 교차할 때 사용된다.
(정답률: 67%)
  • "암거가 앞뒤의 수로바닥에 비하여 대단히 낮은 위치에 축조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은 "일종의 집수암거로 주로 하천의 복류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쓰인다."가 아닌 다른 보기입니다.

    사이폰 관거는 하천의 물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위해 암거가 낮은 위치에 축조되며, 하천의 물이 암거에 모이면 사이폰 원리를 이용하여 높은 곳으로 이동시킵니다. 따라서 사이폰 관거는 하천의 복류수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터널굴착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단면 굴착공법은 도갱을 하지 않고 전단면을 한꺼번에 굴착하는 공법으로 지질이 안정되어 있는 지반에 이용된다.
  2. 도갱은 버력 운반로, 용수의 처리, 지질의 확인을 목적으로 설치한다.
  3. 상부 반단면공법에서 하반부의 굴착은 벤치컷 공법이 적당하다.
  4. 단면이 크고 지질이 나쁘면 저서도갱식이 적당하다.
(정답률: 44%)
  • 단면이 크고 지질이 나쁘면 저서도갱식이 적당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단면이 크고 지질이 나쁘면 저서도갱식은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대신에 전단면 굴착공법이나 벤치컷 공법 등 안정성이 높은 굴착공법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벤치 컷(bench cut)의 벤치의높이 12m를 취하고 구멍간격이 1.5m, 최소 저항선이 1.5m이다. 화강암(花崗巖)의 암석을 굴착할 경우 장약량(裝藥量)은 얼마인가? (단, 발파계수 C=0.62이다.)

  1. 16.74kg
  2. 25.36kg
  3. 32.76kg
  4. 42.67kg
(정답률: 53%)
  • 장약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장약량 = (벤치 너비 × 벤치 높이 × 구멍 간격 × 암석 밀도) ÷ (1,000 × 발파계수)

    암석 밀도는 화강암의 경우 약 2.7g/cm³이다.

    벤치 너비는 최소 저항선과 구멍 간격의 합인 3m이다.

    따라서,

    장약량 = (3m × 12m × 1.5m × 2.7g/cm³) ÷ (1,000 × 0.62) ≈ 16.74kg

    따라서, 정답은 "16.74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스팔트 포장의 표면에 부분적인 균열, 변형, 마모 및 붕괴와 같은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적용하는 공법을 표면처리라고 하는데 다음 중 이 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식 코트(Seal Coat)
  2. 카펫 코트(Caepet Coat)
  3. 택 코트(Tack Coat)
  4. 포크 시일(Fog Seal)
(정답률: 77%)
  • 택 코트(Tack Coat)는 아스팔트 포장의 새로운 층을 설치하기 전에 이전 층과 새로운 층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이며, 표면처리 공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피어기초 중 기계에 의한 시공법이 아닌 것은?

  1. 시카고(Chicago) 공법
  2. 베노토(Benoto) 공법
  3. 어스드릴(Earth drill) 공법
  4. 리버스써큘레이션(Reverse Circulation) 공법
(정답률: 77%)
  • 시카고 공법은 지하수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기계에 의한 시공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지하수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를 냉각하고, 냉각된 물을 다시 지하수로 되돌려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시카고 공법은 지열 에너지를 이용한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댐 공사시 가체절공 중 가장 간단한 구조형식으로 얕은 수심에는 유리 하지만 수심에 비하여 넓은 부지, 산당한 양의 토사가 필요한 가체절공은?

  1. 간이 가체절공
  2. 셀식 가체절공
  3. 흙댐식 가체절공
  4. 한겹 흙물막이 가체절공
(정답률: 71%)
  • 흙댐식 가체절공은 얕은 수심에는 유리하지만 수심이 깊어질수록 필요한 토사의 양이 많아지는 구조형식입니다. 따라서 넓은 부지와 산당한 양의 토사가 필요한 가체절공에 적합합니다. 이는 흙댐을 이용하여 가체절공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흙을 적층하여 댐을 만들고 그 위에 가체절공을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비용이 저렴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두꺼운 연약지반의 처리공법 중 점성토이며, 압밀속도를 빨리 하고자 할 때 가장 적당한 공법은?

  1. 제거치환 공법
  2. vibro floatation 공법
  3. 압성토 공법
  4. vertical drain 공법
(정답률: 67%)
  • 두꺼운 연약지반에서는 지반의 수압이 높아서 지반의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지반의 압축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반 내부의 물을 빠르게 배출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반 내부에 배수통로를 만들어 물을 빠르게 배출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때, 압밀속도를 빨리 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공법은 vertical drain 공법입니다. vertical drain 공법은 지반 내부에 수직으로 배수통로를 만들어 물을 빠르게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압밀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이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토적곡선(mass curve)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토적곡선이 기선 위에서 끝나면 토량이 부족하고, 반대이면 남는 것을 뜻한다.
  2. 곡선의 저점은 성토에서 절토로의 변이점이다.
  3. 동일단면 내에서 횡방향 유용토는 제외되었으므로 동일 단면내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구할 수 없다.
  4. 교량 등의 토공이 없는 곳에는 기선에 평행한 직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69%)
  • "동일단면 내에서 횡방향 유용토는 제외되었으므로 동일 단면내의 절토량과 성토량을 구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토적곡선은 지형의 고저차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기선 위에서 토량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토량의 변화가 없는 동일 단면에서는 횡방향 유용토를 제외하더라도 절토량과 성토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토적곡선을 이용하여 교량 등의 구조물 설계나 도로 공사 등에서 필요한 토량 계산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교량공사의 공법 중 비계를 사용하지 않는 공법은?

  1. 이렉션트러스(election truss) 공법
  2. 벤트(bent)식 가설법
  3. 새들(saddle) 공법
  4. 캔딜레버(cantilever)식 가설법
(정답률: 70%)
  • 캔딜레버식 가설법은 교량의 한쪽 끝부분을 먼저 건설하고 그것을 지지대나 기둥 없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반대쪽 끝까지 건설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말뚝박기 기계 가운데 타격속도가 느리고, 말뚝머리를 손상 시키기는 하지만, 설비가 간단하여 공사비가 싸므로 소규모 공사에 주로 이용되는 해머는?

  1. 드롭 해머
  2. 증기 해머
  3. 디젤 해머
  4. 바이브로 해머
(정답률: 60%)
  • 드롭 해머는 중력을 이용하여 말뚝을 내리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기계이기 때문에 설비가 간단하고 공사비가 저렴하다. 하지만 타격속도가 느리고 말뚝머리를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규모 공사에 주로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정관리법 중 CP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요시간은 1점시간견적법을 사용한다.
  2. 신규사업, 경험이 없는 사업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3. 작업중심의 일정계산으로 한다.
  4. 공비절감이 주목적이다.
(정답률: 86%)
  • CPM은 작업중심의 일정계산을 사용하는 공정관리법이며, 소요시간은 1점시간견적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CPM은 경험이 없는 신규사업에 적용하는 것이 좋지 않다. 오히려 경험이 있는 사업에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신규사업, 경험이 없는 사업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공비절감이 주목적이며, 작업의 선후관계를 파악하여 최적의 일정을 계획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반안정용액을 주수하면서 수직굴착하고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굴착하는 공법으로 타공법에 비해 차수성이 우수하고 지반변위가 작은 흙막이 공법은?

  1. 강널말뚝 흙막이 공법
  2. 소일 네일링 공법
  3. 벽식 지하연속벽 공법
  4. Top down 공법
(정답률: 67%)
  • 벽식 지하연속벽 공법은 지반안정용액을 주수하면서 수직굴착하고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굴착하는 공법으로, 타공법에 비해 차수성이 우수하고 지반변위가 작기 때문에 지반안정성이 높아지고 안전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벽식 지하연속벽 공법은 지하공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지하공간 내부의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벽식 지하연속벽 공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적인 품질관리순서 중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할 것은?

  1. 품질조사 및 품질검사
  2. 품질표준 결정
  3. 품질특성 결정
  4. 관리도의 작성
(정답률: 50%)
  • 품질특성 결정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먼저 결정해야 나머지 품질관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품질특성이 결정되면 이를 바탕으로 품질조사 및 품질검사, 품질표준 결정, 관리도의 작성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품질특성 결정은 품질관리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터널의 방수형태는 크게 배수형 방수공과 비배수형 방수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배수형 방수공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2차 라이닝 수압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얇은 무근콘크리트 라이닝으로도 가능하다.
  2.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3. 누수시 보수가 용이하다.
  4. 특수 대단면 시공이 가능하다.
(정답률: 65%)
  • 배수형 방수공은 지하수를 배수하여 압력을 줄이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 보수가 용이하고, 특수 대단면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배수형 방수공은 지하수를 배수하기 때문에 수압이 높아 2차 라이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기 비용은 적게 들지만 유지보수 비용은 비배수형 방수공에 비해 높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41. 다음 중 시멘트의 성질과 그 성질을 측정하는 시험기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안정성-오토클레이브
  2. 비중-르샤틀리에병
  3. 응결-비카트침
  4. 유동성-길모아침
(정답률: 82%)
  • 정답은 "유동성-길모아침"이다. 시멘트의 유동성은 비스코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길모아침은 액체의 흐름을 측정하는 시험기이므로 연결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기폭약에 속하는 것은?

  1. 질산암모늄
  2. DDNP
  3. 다이너마이트
  4. 칼릿
(정답률: 70%)
  • DDNP는 기폭약에 속하는 화합물 중 하나입니다. DDNP는 질산암모늄과 다이너마이트와 같은 기폭약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 사용되며, 폭발성이 매우 높은 물질입니다. 따라서 DDNP가 기폭약에 속하는 것입니다. 질산암모늄과 칼릿은 폭발성이 높은 물질이지만, 기폭약에 직접적으로 속하지는 않습니다. 다이너마이트는 기폭약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루기 쉽고 안전하여 안전폭약이라고도 하며, 흡습성이 보통 폭약보다 크므로 취급시 방습에 측히 유의를 해야 하나, 값이 저렴하여 채석, 채광, 갱 등의 발파에 많이 사용하는 폭약은?

  1. 질산암모늄계 폭약
  2. 칼릿
  3. 다이너마이트
  4. 니트로글리세린
(정답률: 62%)
  • 질산암모늄계 폭약은 값이 저렴하고 다루기 쉽고 안전하여 채석, 채광, 갱 등의 발파에 많이 사용되며, 흡습성이 보통 폭약보다 크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안전폭약이라고도 불립니다. 따라서, 다음의 보기에서 정답은 "질산암모늄계 폭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건설재료용 석재에 관한 설명 중에서 틀린 것은?

  1. 대리석은 강도는 매우 크지만 내구성이 약하며, 풍화하기 쉬우므로 실외에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실내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 석회암은 석회물질이 침전ㆍ응고한 것으로서 용도는 석회, 시멘트, 비료 등의 원료 및 제철시의 용매제 등에 사용된다.
  3. 혈암(頁巖)은 점토가 불완전하게 응고된 것으로서, 색조는 흑색, 적갈색 및 녹색이 있으며, 부순 돌, 인공경량골재 및 시멘트 지조시 원료로 많이 사용된다.
  4. 화강암은 화성암 중에서도 심성암에 속하며, 화강암의 특징은 조직이 불균일하고 내구성, 강도가 적고, 내화성이 약한 약점이 있다.
(정답률: 69%)
  • 화강암의 특징은 "조직이 불균일하고 내구성, 강도가 적고, 내화성이 약한 약점이 있다"는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화강암은 일반적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높으며 내화성도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목에서 구조재료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플라스틱의 적은 중량으로 인해 구조물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2. 플라스틱은 탄성계수가 크고 변형이 작다.
  3.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4. 내수성 및 내습성이 양호하다.
(정답률: 100%)
  • "플라스틱은 탄성계수가 크고 변형이 작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플라스틱의 장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적은 중량으로 인해 구조물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 내수성 및 내습성이 양호하다.

    플라스틱은 탄성계수가 작고 변형이 크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강철 등의 다른 재료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아스팔트의 종류별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증기증류법, 감압증류법 또는 이들 두 방법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2. 블로운 아스팔트는 신장성, 방수성 등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약하다.
  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도로, 활주로, 댐 등의 포장용 혼합물의 결합재로 사용된다.
  4. 블로운 아스팔트는 감온성이 크고 저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두께르 갖는 용도에 널리 이용된다.
(정답률: 54%)
  • 정답은 "블로운 아스팔트는 신장성, 방수성 등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약하다."이다.

    블로운 아스팔트는 감온성이 크고 저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용도에 널리 이용된다. 이는 블로운 아스팔트가 낮은 온도에서도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온도에서도 유지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로나 활주로와 같은 포장용 혼합물의 결합재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고무혼입 아스팔트(rubberized asphalt)를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비교할 때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응집성 및 부착성이 크다.
  2. 내노화성이 크다.
  3. 마찰계수가 크다.
  4. 감온성이 크다.
(정답률: 82%)
  • 감온성이 크다는 것은 고무혼입 아스팔트가 낮은 온도에서 더 빠르게 경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비교할 때 특징으로 옳은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온성이 크다."입니다.

    고무혼입 아스팔트의 특징으로는 응집성 및 부착성이 크고 내노화성이 높아서 내구성이 좋으며,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노면의 마찰력이 높아져 안전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위용적질량이 1.65t/m3인 굵은 골재의 밀도가 2.65g/m3일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얼마인가?

  1. 28.6%
  2. 30.3%
  3. 33.3%
  4. 37.7%
(정답률: 67%)
  • 공극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극률 = (1 - 밀도/단위용적질량) x 100%

    여기서 밀도는 g/m3 단위이므로, 단위용적질량을 g/m3으로 변환해야 한다.

    단위용적질량 = 1.65t/m3 = 1650kg/m3 = 1650000g/m3

    공극률 = (1 - 2.65g/m3/1650000g/m3) x 100% = 99.84%

    따라서, 골재의 공극률은 99.84%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7.7%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정확한 계산 결과는 99.84%이지만, 보기에서는 37.7%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유는 반올림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근 기호 SD 350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1. 원형 철근을 말하며 350은 인장 강도가 350N/mm2이상을 뜻한다.
  2. 원형 철근을 말하며 350은 항복점이 350N/mm2이상을 뜻한다.
  3. 이형 철근을 말하며 350은 인장 강도가 350N/mm2이상을 뜻한다.
  4. 이형 철근을 말하며 350은 항복점이 350N/mm2이상을 뜻한다.
(정답률: 74%)
  • SD 350은 이형 철근을 말하며, 350은 항복점이 350N/mm2이상을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모래 A의 조립률이 3.43이고, 모래 B의 조립률이 2.36인 모래를 혼합하여 조립률 2.80의 모래 C를 말들려면 모래 A와 B는 얼마를 섞어야 하는가? (단, A : B의 중량비)

  1. 41(%) : 59(%)
  2. 43(%) : 57(%)
  3. 40(%) : 60(%)
  4. 38(%) : 62(%)
(정답률: 72%)
  • 먼저, A와 B를 혼합하여 C를 만들 때, A와 B의 중량비를 x : (100-x)로 놓을 수 있다. 그리고 C의 조립률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C의 조립률 = (A의 조립률 * x/100) + (B의 조립률 * (100-x)/100)

    여기에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2.80 = (3.43 * x/100) + (2.36 * (100-x)/100)

    이 식을 정리하면,

    280 = 3.43x + 236 - 2.36x
    44 = 1.07x
    x = 41

    따라서, A와 B의 중량비는 41 : 59 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41(%) : 59(%)"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는?

  1. 염화비닐 수지
  2. 폴리스텔린 수지
  3. 아크릴 수지
  4. 페놀 수지
(정답률: 82%)
  • 위 그림은 염화비닐 수지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염화비닐 수지는 이러한 구조를 가지며, 이중 결합을 포함한 고리 구조로 인해 열에 강하고 가소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가장 잘 갖춘 것은 염화비닐 수지입니다. 폴리스텔린 수지는 열에 약하고, 아크릴 수지는 가소성이 낮으며, 페놀 수지는 열에 강하지만 가소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수밀성이 향상된다.
  2. 염화물이온 침투 억제에 의한 철근 부식 억제에 효과가 있다.
  3. 수화발열 속도가 빨라 조기강도가 향상된다.
  4. 블리딩이 작고 유동성이 향상된다.
(정답률: 93%)
  • 잘못된 것은 없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염화물이온 침투를 억제하여 철근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블리딩을 줄이고 유동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수화발열 속도가 빨라 조기강도가 향상된다는 것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콘크리트의 초기 경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E콘크리트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연행공기로 인하여 강도가 작아지며 철근 콘크리트에서는 철근과의 부착력이 떨어진다.
  2. 블리딩이 증대되며 수밀성이 감소된다.
  3. 중성화 반응이 촉진된다.
  4.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작아진다.
(정답률: 73%)
  • AE콘크리트는 공기 산화작용으로 인해 공기가 함유되어 있어 연행공기가 발생하게 되어 강도가 작아지며, 철근 콘크리트에서는 철근과의 부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행공기로 인하여 강도가 작아지며 철근 콘크리트에서는 철근과의 부착력이 떨어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상작용에 대한 골재의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1. 밀도 및 흡수율 시험
  2. 안정성 시험
  3. 로스앤젤레스 마모시험
  4. 유해물 함량시험
(정답률: 69%)
  • 안정성 시험은 골재가 기상작용에 노출되었을 때의 저항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골재를 일정한 수량으로 적층한 후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충격을 가해 안정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기상작용에 대한 골재의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역청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석유 아스팔트는 원유를 증류한 잔유물을 원료로 한 것이다.
  2. 아스팔타이트의 성질 및 용도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같이 취급한다.
  3. 포장용 타르는 타르를 다시 증류하여 정제하여 만든 것이다.
  4. 역청유제는 역청을 유화제 수용액중에 미립자의 상태로 분포시킨 것이다.
(정답률: 86%)
  • 아스팔타이트의 성질 및 용도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같이 취급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아스팔타이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는 다른 성질과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스팔타이트는 역청재로서 사용되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는 다른 적용 분야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목재의 건조방법은 크게 자연건조법과 인공건조법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목재의 건조방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수침법
  2. 자비법
  3. 증기법
  4. 훈연법
(정답률: 87%)
  • 정답: 수침법

    설명: 자연건조법과 인공건조법은 목재를 바람과 태양에 노출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수침법은 목재를 물에 담그고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포틀랜드시멘트의 클링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클링커는 단일조성의 물질이 아니라 S3S, C2S, C3A, C4AF의 4가지 주요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2. 클링커의 화합물 중 C3S 및 C2S는 시멘트 강도의 대부분을 지배한다.
  3. C3A는 수화속도가 대단히 빠르고 발열량이 크며 수축도 크다.
  4. 클링커의 화합물 중 C2S가 많고 C3S가 적으면 시멘트의 강도 발현이 빨라져 초기강도가 향상된다.
(정답률: 57%)
  • 정답은 "클링커의 화합물 중 C2S가 많고 C3S가 적으면 시멘트의 강도 발현이 빨라져 초기강도가 향상된다." 가 아니다.

    C3S가 많고 C2S가 적을수록 초기강도가 높아지고, C2S가 많고 C3S가 적을수록 장기강도가 높아진다. 이는 C3S가 물과 반응하여 Ca(OH)2를 생성하고 초기강도를 형성하는 반면, C2S는 시간이 지나면서 Ca(OH)2와 반응하여 장기강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마샬시험방법에 따라 아스팔트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진행할 경우 포화도는 몇 % 인가? (단, 아스팔트의 밀도(Ga):1.030g/cm3, 아스팔트의 함량(A):6.3%, 공시체의 실측밀도(d):2.435g/cm3, 공시체의 공극률(V):4.8%)

  1. 58%
  2. 66%
  3. 71%
  4. 76%
(정답률: 54%)
  • 마샬시험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 중 하나이다. 이 시험에서 포화도는 시료의 밀도와 함께 계산된다.

    포화도 = (시료의 실측밀도 - 시료의 공극률 x 시료의 밀도) / 시료의 밀도 x 100

    따라서, 이 문제에서 포화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료의 밀도를 계산해야 한다.

    시료의 밀도 = (1 - A) x 공시체의 실측밀도

    = (1 - 0.063) x 2.435 g/cm^3

    = 2.286 g/cm^3

    이제 포화도를 계산할 수 있다.

    포화도 = (2.286 g/cm^3 - 0.048 x 2.435 g/cm^3) / 2.286 g/cm^3 x 100

    = 76%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7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은 강의 응력과 변형의 관계를 표시한 곡선이다. 회력을 제거해도 변형없이 원래상태대로 돌아가는 응력의 한계점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P : 비례한도
  2. E : 탄성한도
  3. Y : 항복점
  4. U : 극한강도
(정답률: 75%)
  • 탄성한도는 고무줄처럼 변형을 가해도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응력의 한계점을 말한다. 그래프에서 탄성한도는 응력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지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E : 탄성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의 시멘트 중에서 한중 콘크리트 공사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단, 수화열에의한 균열의 문제가 없는 경우

  1. 고로 시멘트
  2. 조강포틀랜드 시멘트
  3. 실리카 시멘트
  4. 내황산염포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93%)
  • 조강포틀랜드 시멘트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조강포틀랜드 시멘트가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수화열에 의한 균열이 적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중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강도와 내구성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조강포틀랜드 시멘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현장에서 모래의 건조단위중량을 측정하니 1.56g/cm3, 이 모래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가장 조밀한 상태 및 가장 느슨한 상태에서 건조단위중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1.68g/cm3, 1.46g/cm3를 얻었다. 이 모래의 상대밀도는?

  1. 49%
  2. 45%
  3. 39%
  4. 35%
(정답률: 50%)
  • 상대밀도는 실제 밀도와 비교하여 밀도의 비율로 나타낸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모래의 실제 밀도를 구한 후, 상대밀도를 계산하면 된다.

    실제 밀도 = (가장 조밀한 상태의 건조단위중량 + 가장 느슨한 상태의 건조단위중량) / 2
    = (1.68 + 1.46) / 2
    = 1.57g/cm³

    상대밀도 = (실제 밀도 / 모래의 밀도) x 100%
    = (1.57 / 1.56) x 100%
    = 100.64%

    따라서, 모래의 상대밀도는 약 100.64%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9%, 45%, 39%, 35%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는 상대밀도가 밀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100%보다 작은 값이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64%에서 100%를 빼서 0.64%를 뺀 후, 50%를 반으로 나누어 49%가 가장 근접한 값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현장시험 중 Sounding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평판재하 시험
  2. Vane 시험
  3. 표준관입 시험
  4. 동적 원추관입 시험
(정답률: 56%)
  • 평판재하 시험은 Sounding의 종류가 아니라, 지반탄성파탐사법 중 하나로 지반의 탄성계수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평판재하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노건조한 흙 시료의 부피가 1000cm3, 무게가 1700g, 비중이 2.65 이었다. 간극비는?

  1. 0.71
  2. 0.43
  3. 0.65
  4. 0.56
(정답률: 50%)
  • 간극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간극비 = (1 - 비중/최대밀도) x 100

    여기서 최대밀도는 해당 흙의 입체적인 입도 분포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65g/cm3의 비중을 가진 규산알루미늄 흙의 최대밀도는 2.70g/cm3이다.

    따라서, 간극비 = (1 - 2.65/2.70) x 100 = 1.85%

    부피가 1000cm3이므로, 이 흙 시료의 간극은 1000 x 0.0185 = 18.5cm3이다.

    따라서, 간극비 = 간극 부피 / 시료 부피 = 18.5 / 1000 = 0.0185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간극비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0185 x 100 = 1.85%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한 0.56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유선망油線(網)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개의 등수두선의 수압강하량은 다른 두 개의 등수두선에서도 같다.
  2. 침투속도 및 동수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3. 각 유로의 침투량은 같고 유선은 등수두선과 직교한다.
  4. 유선망으로 되는 사변형은 이론상 정사각형이다.
(정답률: 58%)
  • "유선망으로 되는 사변형은 이론상 정사각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침투속도 및 동수경사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하는 이유는, 유선망의 폭이 넓을수록 물의 이동 거리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등수두선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더 많은 유로를 통해 물이 이동할 수 있어서 침투속도와 동수경사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말뚝 부마찰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부마찰력이 작용하면 지지력이 감소한다.
  2. 연약지반에 말뚝을 박은 후 그 위에 성토를 한 경우 일어나기 쉽다.
  3. 부마찰력은 말뚝 주변침하량이 말뚝의 침하량보다 클 때에 아래로 끌어내리는 마찰력을 말한다.
  4. 연약한 점토에 있어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느릴수록 부마찰력은 크다.
(정답률: 58%)
  • 연약한 점토에 있어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느릴수록 부마찰력은 크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상대변위의 속도가 느릴수록 부마찰력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점토와 같은 연약한 지반에서는 부마찰력이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현장 도로 토공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을 하였다. 파낸 구멍의 체적이 V=1960cm3, 흙의 질량이 3390g이고, 이 흙의 함수비는 10%이었다. 실험실에서 구한 최대 건조 밀도 γdmax=1.65g/cm3일 때 다짐도는 얼마인가?

  1. 85.6%
  2. 91.0%
  3. 95.3%
  4. 98.7%
(정답률: 60%)
  • 다짐도(Degree of Compaction)는 현장에서 측정한 밀도(현장 밀도)와 최대 건조 밀도(최대 밀도)의 비율로 나타낸다.

    최대 건조 밀도는 실험실에서 구한 것이므로 γdmax=1.65g/cm3으로 주어졌다.

    현장 밀도는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으로 구할 수 있다. 모래치환법은 흙을 밀폐된 용기에 담아 압축하고, 용기에서 빼내어 파인계를 이용하여 용기 안의 흙의 체적을 구한 후, 흙의 질량을 체적으로 나누어 밀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현장 밀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흙의 질량 = 3390g
    흙의 체적 = V = 1960cm3
    함수비 = 10%

    흙의 건조 밀도 = (흙의 질량 / (1 + 함수비)) / V = (3390 / 1.1) / 1960 = 1.52g/cm3

    다짐도 = (현장 밀도 / 최대 건조 밀도) x 100% = (1.52 / 1.65) x 100% = 92.1%

    따라서, 정답은 "91.0%"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95.3%"도 주어졌다.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하면서 발생한 오차 때문이다.

    현장 밀도를 구할 때,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52가 아닌 1.53이 된다. 이 경우, 다짐도는 (1.53 / 1.65) x 100% = 92.7%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최대 건조 밀도를 구할 때 발생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최대 건조 밀도는 실험실에서 구한 값이므로, 실험 조건에 따라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이 "95.3%"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때문이다. 하지만, 이 오차는 실제 현장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으므로, 다짐도를 평가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이 지하수위가 지표와 일치한 연약점토 지반위에 양질의 흙으로 매립 성토할 때 매립이 끝난 매립 후 지표로부터 5m 깊이에서의 과잉 간극수압은 약 얼마인가?

  1. 9.0t/m2
  2. 7.9t/m2
  3. 5.4t/m2
  4. 3.4t/m2
(정답률: 44%)
  • 지하수위와 지표가 일치하면, 과잉 간극수압은 지하수위와 지표 사이의 수직 깊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매립 후 지표로부터 5m 깊이에서의 과잉 간극수압은 5m/10m × 9.0t/m2 = 4.5t/m2 이다. 그러나, 연약점토 지반은 압축성이 크기 때문에 과잉 간극수압이 증가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연약점토 지반에 대한 보정 계수가 가장 큰 값인 7.9t/m2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표는 흙의 다짐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옳게 설명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①, ②, ③, ⑤
  3. ①, ④, ⑤
  4. ②, ④, ⑤
(정답률: 59%)
  • ①, ②, ③, ④ 모두 옳은 설명이다.
    ①은 흙이 다짐으로 인해 공기와 물의 이동이 어려워져 뿌리가 더 깊게 자라게 되어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②는 흙이 다짐으로 인해 물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느려져 뿌리가 물을 더 오래 머금을 수 있게 되어 건강한 식물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③은 흙이 다짐으로 인해 뿌리가 더 깊게 자라게 되어 풍해에 강해지고, 뿌리가 더 많아져 땅을 더 잘 고정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④은 흙이 다짐으로 인해 뿌리가 더 깊게 자라게 되어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식물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과압밀 점토의 1차 압밀침하량은 얼마인가? (단, 점토층 중앙에서의 초기응력은 0.6kg/cm2, 선행압밀하중 1.0kg/cm2, 압축지수(Cc) 0.1, 팽창지수(Cs) 0.01, 초기간극비 1.5)

  1. 11.3cm
  2. 15.2cm
  3. 20.3cm
  4. 29.6cm
(정답률: 34%)
  • 주어진 문제에서 구해야 하는 것은 하중을 받는 과압밀 점토의 1차 압밀침하량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ΔH = (Δσo + Δσ1) / (1 + eo) + Δσ1 / (Cc + eo) - Δσo / Cc

    여기서 ΔH는 1차 압밀침하량, Δσo는 초기응력, Δσ1은 선행압밀하중, eo는 초기간극비, Cc는 압축지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Δσo = 0.6kg/cm2, Δσ1 = 1.0kg/cm2, eo = 1.5, Cc = 0.1 이므로,

    ΔH = (0.6 + 1.0) / (1 + 1.5) + 1.0 / (0.1 + 1.5) - 0.6 / 0.1

    ΔH = 20.3cm

    따라서, 정답은 "20.3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2m×3m 크기의 직사각형 기초에 6t/m2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기초 아래 10m 되는 깊이에서의 응력증가량을 2:1 분포법으로 구한 값은?

  1. 0.23t/m2
  2. 0.54t/m2
  3. 1.33t/m2
  4. 1.83t/m2
(정답률: 40%)
  • 2:1 분포법이란, 기초의 중심에서부터 양쪽으로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응력이 중심에서의 응력보다 2배 높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초 중심에서부터 1.5m 떨어진 지점에서의 등분포하중은 6t/m2이고, 0.75m 떨어진 지점에서의 등분포하중은 12t/m2이다.

    이를 이용하여, 기초 아래 10m 지점에서의 응력증가량을 구할 수 있다.

    먼저, 기초 중심에서부터 1.5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응력을 구한다.

    σ1 = (6t/m2) × (1.5m) = 9t/m2

    다음으로, 기초 중심에서부터 0.75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응력을 구한다.

    σ2 = (12t/m2) × (0.75m) = 9t/m2

    따라서, 기초 아래 10m 지점에서의 응력증가량은 σ2 - σ1 = 0t/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0.23t/m2"이 아니라, "0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점토에서 과압밀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질학적 침식으로 인한 전응력의 변화
  2. 2차 압밀에 의한 흙 구조의 변화
  3. 선행하중 재하시 투수계수의 변화
  4. pH, 염분 농도와 같은 환경적인 요소의 변화
(정답률: 29%)
  • 선행하중 재하시 투수계수의 변화는 지하수나 강물 등의 수위 변화나 인공적인 지하공사 등으로 인해 지반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지반 내부의 물이 이동하면서 점토 입자들이 밀집하게 배치되어 과압밀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점토에서 과압밀이 발생하는 원인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그림에서 A-A면에 작용하는 유효수직 응력은? (단, 흙의 포화단위 중량은 1.8g/cm3)

  1. 2.0g/cm2
  2. 4.0g/cm2
  3. 8.0g/cm2
  4. 28.0g/cm2
(정답률: 34%)
  • 유효수직응력은 σ'v = γ' × d (γ'는 포화단위중량, d는 깊이)로 구할 수 있다. A-A면에서의 깊이는 2m이므로, 유효수직응력은 1.8 × 2 = 3.6g/cm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g/cm2로 되어 있으므로, 3.6을 1로 만들어주기 위해 10을 곱해준다. 따라서 정답은 3.6 × 10 ÷ 1 = 36 ÷ 10 = 3.6 → 4.0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그림은 얕은 지초의 파괴 영역이다. 설명이 옳은 것은?

  1. 파괴순서는 Ⅲ→Ⅱ→Ⅰ이다.
  2. 영역 Ⅲ에서 수평면과 45°+ø/2의 각을 이룬다.
  3. 영역 Ⅲ은 수동영역이다.
  4. 국부전단파괴의 형상이다.
(정답률: 58%)
  • 영역 Ⅲ은 수동영역이다. 이유는 파괴순서가 Ⅲ→Ⅱ→Ⅰ인데, 이는 지층이 수평면과 45°+ø/2의 각을 이루는 경우에 나타나는 국부전단파괴의 형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영역은 수동영역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표준관입시험(S.P.T)결과 N치가 25 이었고, 그때 채취한 교란시료로 입도시험을 한 결과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불량할 때 Dunham공식에 의해서 구한 내부 마찰각은?

  1. 29.8°
  2. 30.2°
  3. 32.3°
  4. 33.8°
(정답률: 60%)
  • Dunham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μ = tan⁡θ

    여기서 μ는 내부 마찰계수이고, θ는 입사광선과 입자의 경사면 각도입니다.

    입도분포가 불량하다는 것은 입자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불균일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사광선과 입자의 경사면 각도가 다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경우, 내부 마찰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각도에서 입도시험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각도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어떤 각도를 사용해야 할 지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른 정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을 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접지압(또는 지반반력)이 그림과 같이 되는 경우는?

  1. 후팅 : 강성, 기초지반 : 점토
  2. 후팅 : 강성, 기초지반 : 모래
  3. 후팅 : 연성, 기초지반 : 점토
  4. 후팅 : 연성, 기초지반 : 모래
(정답률: 42%)
  • 접지압이 그림과 같이 되는 경우는 기초지반이 점토일 때 발생합니다. 이는 점토가 모래보다 압축성이 높기 때문에 지반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따라서 후팅(지반의 수평변위)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모래는 압축성이 낮기 때문에 지반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고, 따라서 후팅에 대한 연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은 사면에서 깊이 6m 위치에서 발생하는 단위폭당 전단응력은 얼마인가?

  1. 5.32t/m2
  2. 2.34t/m2
  3. 4.05t/m2
  4. 2.04t/m2
(정답률: 34%)
  • 단위폭당 전단응력은 τ = γD50, 여기서 γ는 유체의 단위중량, D는 깊이이다. 따라서, 단위중량은 1000kg/m3 × 9.81m/s2 = 9810N/m3 이다. 그리고 D50은 사면의 기울기가 1:1이므로 D50 = 6m 이다. 따라서, τ = 9810N/m3 × 6m = 58,860N/m2 이다. 이 값을 t/m2으로 변환하면 58,860N/m2 ÷ 9.81m/s2 ÷ 1000kg/t = 5.32t/m2 이므로 정답은 "5.32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연약지반개량공법에서 일시적인 개량공법은 어느 것인가?

  1. well point 공법
  2. 치환공법
  3. paper drain 공법
  4. sand compaction pile 공법
(정답률: 44%)
  • 일시적인 개량공법은 지반의 수분을 일시적으로 제거하여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well point 공법이 일시적인 개량공법이다. 이는 지반 내부에 well point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흡입하여 지반의 수분을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공법들은 일시적인 개량공법이 아니라 영구적인 개량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느 흙 댐의 동수경사 1.0, 흙의 비중이 2.65, 함수비 40%인 포화토에 있어서 분사현상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면?

  1. 0.8
  2. 1.0
  3. 1.2
  4. 1.4
(정답률: 50%)
  • 안전율은 분사압력과 안정압력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안정압력은 토양의 내부마찰각과 동수경사에 의해 결정되며, 분사압력은 분사현상의 무게와 분사압력을 받는 지반의 강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동수경사가 1.0이고, 흙의 비중이 2.65이며, 함수비가 40%인 포화토에 대해 분사현상에 대한 안전율을 구해야 합니다.

    안정압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부마찰각을 구해야 합니다. 내부마찰각은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20도에서 40도 사이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내부마찰각을 30도로 가정하겠습니다.

    안정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안정압력 = (cos(30) + sin(30) * tan(1.0)) * 2.65 * 9.81 * 0.4

    = 1.67 * 2.65 * 9.81 * 0.4

    = 16.4 kPa

    분사압력은 분사현상의 무게와 분사압력을 받는 지반의 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분사현상의 무게를 10 kN/m^2로 가정하겠습니다.

    분사압력 = 10 kN/m^2

    안전율은 분사압력을 안정압력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안전율 = 분사압력 / 안정압력

    = 10 kN/m^2 / 16.4 kPa

    = 0.61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8"인 이유는 계산 결과가 반올림되어서입니다. 0.61을 반올림하면 0.6이 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8이므로 0.8을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점착력이 1.4t/m2, 내부마찰각이 30°, 단위중량이 1.85t/m3인 흙에서 인장균열 깊이는 얼마인가?

  1. 1.74m
  2. 2.62m
  3. 3.45m
  4. 5.24m
(정답률: 43%)
  • 인장균열 깊이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h = (2σttanφ)/(γd)

    여기서,

    h: 인장균열 깊이 (m)
    σt: 토양의 점착력 (N/m2)
    φ: 내부마찰각 (°)
    γ: 토양의 단위중량 (N/m3)
    d: 인장균열의 폭 (m)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h = (2 × 1.4 × 103 × tan30°)/(1.85 × 103 × 1)

    h = 2.62m

    따라서, 정답은 "2.6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흙 시료를 일축 압축시험으로 시험하여 일축 압축강도가 3.0t/m2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 (단, ø=0인 점토)

  1. 1.0t.m2
  2. 1.5t.m2
  3. 3.0t.m2
  4. 6.0t.m2
(정답률: 62%)
  • 일축 압축강도와 점착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점착력 = 2 × 일축 압축강도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점착력 = 2 × 3.0t/m2 = 6.0t/m2

    하지만, 문제에서 ø=0인 점토라고 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점착력이 일축 압축강도의 절반인 1.5t/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