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건설재료시험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보다 유리한 점을 설명한 것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하중하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내구성 및 수밀성 이 우수하다.
  2. 콘크리트의 전단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동일한 하중에 대해 부재 처짐 이 작다.
  3. 충격하중이나 반복하중에 대해 저항력이 크며 부재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장대교량에 유리하다.
  4. 강성이 크기 때문에 변형이 작고, 고온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다.
(정답률: 81%)
  • "사용하중하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내구성 및 수밀성 이 우수하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은 "강성이 크기 때문에 변형이 작고, 고온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다." 인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달리, 철근이나 강선 등의 인장재를 콘크리트에 미리 인장하고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만들어진 구조물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보다 강성이 크기 때문에 변형이 작고, 고온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지진이나 폭풍 등의 자연재해에 강하며, 높은 온도에서도 변형이 적어 안정적인 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량은 시방 배합에 의해 실시하여야 한다.
  2. 유효 흡수율의 시험에서 골재에 흡수시키는 시간은 실용상으로 보통 15~30분간의 흡수율을 유효 흡수율로 보아도 좋다.
  3. 골재의 경우 1회 계량분의 계량허용오차는 ±3%이다.
  4. 혼화재의 경우 1회 계량분의 계량허용오차는 ±2%이다.
(정답률: 79%)
  • "계량은 시방 배합에 의해 실시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 면의 마무리에서 평탄성의 표준값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마무리 두께가 7mm이상인 경우, 1m당 10mm 이하
  2. 마무리 두께가 7mm이하인 경우, 3m당 10mm 이하
  3. 양호한 평탄함이 필요한 경우, 3m당 10mm 이하
  4. 제물치장 마무리인 경우 3m당 5mm 이하
(정답률: 42%)
  • 제물치장은 유골을 모셔두는 장소로서, 매우 깔끔하고 정확한 마무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른 경우보다 더 높은 평탄성이 요구됩니다. 그래서 제물치장 마무리인 경우에는 3m당 5mm 이하의 평탄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 타설 시 유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 타설 도중 블리딩 수가 있을 경우 그 물을 제거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친다.
  2.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진동기의 성능을 고려하여 1~1.5m 정도로 한다.
  3. 2층 이상으로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아래층이 굳기 시작하기 전에 윗층의 콘크리트를 친다.
  4. 콘크리트의 자유낙하 높이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의 분리가 일어나므로 슈트, 펌프 배관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는 1.5m 이하를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54%)
  • 정답: "2층 이상으로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아래층이 굳기 시작하기 전에 윗층의 콘크리트를 친다."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를 진동기의 성능을 고려하여 1~1.5m 정도로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를 한 번에 높이 있게 타설하면 공기 포함 등의 문제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 공극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콘크리트의 작업성(workability)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입도나 입형이 좋은 골재를 사용한다.
  2.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반죽의 온도상승을 막아야 한다.
  3. 일정한 슬럼프의 범위에서 시멘트량을 줄인다.
  4. 혼화재료로서 AE제나 분산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73%)
  • 일정한 슬럼프의 범위에서 시멘트량을 줄이는 것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슬럼프란 콘크리트 반죽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슬럼프를 유지하면서 시멘트량을 줄이는 것은 콘크리트의 작업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시방배합 결과 물 180kg/m3, 잔골재 650kg/m3, 굵은골재 1000kg/m3을 얻었다. 잔골재의 흡수율이 2%, 표면수율이 3%라고 하면 현장배합상의 단위 잔골재량은?

  1. 637.0kg/m3
  2. 656.5kg/m3
  3. 663.0kg/m3
  4. 669.5kg/m3
(정답률: 56%)
  • 단위 부피당 잔골재의 무게를 x라고 하면, 잔골재의 흡수율과 표면수율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1-0.02) x / (1+0.03) + 0.65(1000-x) = 180

    이를 정리하면,

    0.98x / 1.03 + 650 - 0.65x = 180

    0.33x = 163.5

    x = 495

    따라서, 단위 부피당 잔골재의 무게는 495kg/m3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669.5k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표와 같은 조건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거푸집 내에서 허용되는 간장재의 배치오차 한계로서 옳은 것은?

  1. 5mm
  2. 8mm
  3. 10mm
  4. 13mm
(정답률: 72%)
  • 표에서 주어진 조건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이며, 이는 강화된 철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더 강화시킨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강화된 철근은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높이기 때문에,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거푸집 내에서 간장재의 배치오차 한계를 정해놓는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인 "8mm"는 거푸집 내에서 간장재의 배치오차 한계를 나타내며, 이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강화된 철근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정해진 값이다. 즉,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간장재의 배치오차를 8mm 이내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콘크리트의 배합에서 물-결합재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한다.
  2.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제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 이하로 한다.
  3.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하여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55% 이하로 한다.
  4. 물에 노출되었을 때 낮은 투수성이 요구 되는 콘크리트로서 내동해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50% 이하로 한다.
(정답률: 67%)
  •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제빙화학제는 콘크리트의 동결-해동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위해서는 물-결합재비를 55%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의하여야 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배합시 단위수량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사용한다.
  2. 충분한 피복두께를 확보한다.
  3. 가능한 한 비중이 작은 골재를 사용한다.
  4. 콜드조인트를 만들지 않는다.
(정답률: 75%)
  • 가능한 한 비중이 작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은 옳은 방법이 아니다. 비중이 작은 골재는 강도가 낮아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적절한 크기와 강도를 가진 골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중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개선에 주로 사용되는 혼화제는?

  1. 포졸란
  2. 플라이애시
  3. 지연제
  4. AE제
(정답률: 54%)
  • AE제는 고성능 골재 혼화제로,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개선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AE제는 혼화재의 입자 사이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여, 동결-융해 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분산시키고,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한중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개선에 주로 사용되는 혼화제는 AE제입니다. 포졸란, 플라이애시, 지연제는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거푸집 및 동바리의 구조를 계산할 때 연직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정하중으로서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철근의 중량을 포함하여 보통 콘크리트 인 경우 20kN/m3을 적용하여야 한다.
  2. 고정하중으로서 거푸집 하중은 최소 0.4kN/m3을 적용하여야 한다.
  3. 특수 거푸집이 사용된 경우에는 고정하중으로 그 실제의 중량을 적용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4. 활하중은 구조물의 수평투영면적(연직 방향으로 투영시킨 수평면적)당 최소 2.5kN/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9%)
  • "고정하중으로서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철근의 중량을 포함하여 보통 콘크리트 인 경우 20kN/m3을 적용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섬유보강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섬유보강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콘크리트이다.
  2. 믹서는 섬유를 콘크리트 속에 균열하게 분산시킬수 있는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시멘트계 복합재료용 섬유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무기계섬유와 아라미드섬유, 비닐론섬유 등의 유기계섬유로 분류한다.
  4. 섬유보강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섬유는 섬유와 시멘트 결합재 사이의 부착성이 양호하고, 섬유의 인장강도가 커야 한다.
(정답률: 82%)
  • 섬유보강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섬유보강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콘크리트로, 섬유와 시멘트 결합재 사이의 부착성이 양호하고, 섬유의 인장강도가 커야 한다. 시멘트계 복합재료용 섬유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무기계섬유와 아라미드섬유, 비닐론섬유 등의 유기계섬유로 분류되며, 믹서는 섬유를 콘크리트 속에 균열하게 분산시킬수 있는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탄성계수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강도가 클수록 작다.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라 함은 할선탄성계수를 말한다.
  3.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구할 수 있다.
  4.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이 증가하면 탄성계수도 커진다.
(정답률: 61%)
  • 압축강도가 클수록 작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압축강도가 클수록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오히려 커집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압축하면서 더 많은 응력을 받아 더 많은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구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중량이 증가하면 탄성계수도 커집니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라 함은 할선탄성계수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프리스트레스 감소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강재의 릴랙세이션
  2.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3. 콘크리트의 크리프
  4. 시스관의 크기
(정답률: 92%)
  • 시스관의 크기는 프리스트레스 감소의 원인이 아닙니다. 시스관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 콘크리트에 인장력을 가하고 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스관의 크기가 작거나 크다고 해서 프리스트레스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강재의 릴랙세이션,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콘크리트의 크리프는 모두 프리스트레스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경화한 콘크리트의 강도를 비파괴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초음파속도법 : 피측정물이 공진할 때의 동적특성치로 강도를 추정한다.
  2. 반발경도법 : 콘크리트 표면 타격 때 반발경도의 정도에서 강도를 추정한다.
  3. 복합법 : 반발경도법과 초음파속법을 병용하여 강도를 추정한다.
  4. 인발법 : 콘크리트 중에 묻힘 가력 Head를 지닌 Insert와 반력 Ring을 사용하여 원추 대상의 콘크리트 덩어리를 뽑아낼 때의 최대 내력에서 강도를 추정한다.
(정답률: 68%)
  • "초음파속도법 : 피측정물이 공진할 때의 동적특성치로 강도를 추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초음파속도법은 콘크리트 내부를 통과하는 초음파의 속도를 측정하여 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피측정물이 공진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KS F2421)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을 붓지 않고 시험(무주수법)하는 경우 용기의 용적은 7L 정도 이상으로 한다.
  2. 물을 붓고 시험(주수법)하는 경우 용기의 용적은 적어도 5L로 한다.
  3. 인공 경량 골재와 같은 다공질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4. 결과의 계산에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겉보기 공기량에서 골재 수정계수를 뺀 값이다.
(정답률: 70%)
  • "결과의 계산에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겉보기 공기량에서 골재 수정계수를 뺀 값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인공 경량 골재와 같은 다공질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이유는, 이러한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도 공기량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도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시험을 통해 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과의 계산에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겉보기 공기량에서 골재 수정계수를 더한 값이 맞습니다. 이는 골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보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외기온도가 25℃를 초과하고 지연제의 사용등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은 일반콘크리트에서 비비기에서 치기가 끝날 때까지 허용되는 최대시간은?

  1. 1.5시간
  2. 2시간
  3. 2.5시간
  4. 3시간
(정답률: 76%)
  • 외기온도가 25℃를 초과하면 일반콘크리트의 초기강도 발현이 빨라지기 때문에 비비기에서 치기가 끝날 때까지 허용되는 최대시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국내 콘크리트 규격에서는 외기온도가 25℃를 초과하는 경우, 일반콘크리트에서 비비기에서 치기가 끝날 때까지 허용되는 최대시간을 1.5시간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의 성능저하 원인의 하나인 알칼리 골재 반응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알칼리골재 반응은 알칼리-실리카 반응, 알칼리-탄산염 반응, 알칼리-실리케이트 반응으로 분류한다.
  2.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을 크게 하여야 한다.
  3. 알칼리골재 반응은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등의 포졸란 재료에 의해 억제된다.
  4. 알칼리골재 반응이 진행되면 무근콘크리트에서는 거북이 등과 같은 균열이 진행된다.
(정답률: 61%)
  •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단위시멘트량을 줄여야 한다. 단위시멘트량이 크면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알칼리골재 반응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멘트-골재 비율을 유지하고,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등의 포졸란 재료를 첨가하여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 다지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내부진동기는 연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찔러 넣는다.
  2.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한 직후에는 절대 거푸집의 외측에 충격을 주어서는 안 된다.
  4.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1m 정도 찔러 넣는다.
(정답률: 85%)
  • "내부진동기는 연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찔러 넣는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찔러 넣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내부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30회 이상의 실험실적으로부터 구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5MPa이고,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40MPa인 경우의 배합강도는?

  1. 46.7MPa
  2. 47.7MPa
  3. 48.2MPa
  4. 50.0MPa
(정답률: 70%)
  •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일정한 배합조건에서 제조된 시멘트, 모래, 그래벨, 물 등의 재료의 종류와 양, 혼합방법, 혼합시간, 경화조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다양한 조건에서 제조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분포하게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30회 이상의 실험실적으로부터 구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5MPa이고,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40MPa인 경우의 배합강도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이 경우,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신뢰구간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배합강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95%의 신뢰수준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신뢰구간은 평균값에서 ±1.96배의 표준편차 내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배합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최소한의 배합강도 = 40MPa + 1.96 × 5MPa
    = 49.8MPa

    하지만, 이 값은 너무 높은 값으로 보이므로, 보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실제 압축강도는 설계기준 압축강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므로, 보정값을 빼주어야 합니다. 이 보정값은 일반적으로 1.5 ~ 2.0MPa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구한 최소한의 배합강도에서 보정값을 빼주면, 다음과 같이 최종적인 배합강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인 배합강도 = 49.8MPa - 2.0MPa
    = 47.8MPa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7.7MPa"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물입니다. 최종적인 배합강도는 47.8MPa이지만,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을 하면 47.7MP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시공 및 관리

21. 성토사면의 토사 속에 고분자합성수지로 된 특수섬유와 모래를 혼합시킨 특수보강재를 살포하여 인공뿌리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면보호기능을 하는 공법은?

  1. 코어프레임공법
  2. 소일시멘트공법
  3. 지오그리드공법
  4. 텍솔공법
(정답률: 59%)
  • 성토사면에 특수보강재를 살포하여 인공뿌리를 형성하는 공법은 텍솔공법이다. 이는 고분자합성수지로 된 특수섬유와 모래를 혼합하여 토사에 살포함으로써 사면보호기능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토사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지반침하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RCD(reverse circulation drill)공법의 시공방법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을 사용하여 약 0.2~0.3kg/cm2의 정수압으로 공벽을 안정시킨다.
  2. 기종에 따라 15˚ 정도의 경사 말뚝 시공이 가능하다.
  3. 케이싱 없이 굴삭이 가능한 공법이다.
  4. 순환수와 토사를 공외로 배출한 후 토사를 침전하고 상등수를 재활용하는 역순환 니수 굴삭공법이다.
(정답률: 65%)
  • 기종에 따라 15˚ 정도의 경사 말뚝 시공이 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흙을 자연 상태로 쌓아 올렸을 때 급경사면은 점차로 붕괴하여 안정된 비탈면이 되는데 이때 형성되는 각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흙의 자연각
  2. 흙의 경사각
  3. 흙의 안정각
  4. 흙의 안식각
(정답률: 78%)
  • 정답은 "흙의 안식각"이다. 이는 흙이 자연 상태로 쌓여있을 때, 급경사면이 안정된 비탈면으로 변화할 때 형성되는 각도를 의미한다. 이 각도는 흙의 입체 안정성과 관련이 있으며, 흙이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최대 경사각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각도는 흙을 다루는 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해저터널의 굴착에 특히 유효한 shield 공법의 적당한 지질은?

  1. 풍화암
  2. 연암
  3. 보통흙
  4. 연약지반
(정답률: 67%)
  • 해저터널 굴착 시에는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shield 공법이 사용됩니다. 이 공법은 지하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특수한 기계를 사용하여 지반을 파고 나가는 방식입니다. 이 때, 연약지반은 다른 지질에 비해 지반의 강도가 약하고 파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shield 공법에 특히 유효합니다. 따라서 연약지반이 해저터널 굴착에 적합한 지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말뚝의 지지력 산정에 있어서 말뚝과 지반 및 말뚝 머리의 탄성변형량을 고려한 공식은?

  1. Meyerhof 공식
  2. Sander 공식
  3. Hiley 공식
  4. Engineering News 공식
(정답률: 55%)
  • Hiley 공식은 말뚝의 지지력을 산정할 때, 말뚝과 지반 사이의 탄성변형량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공식이다. 이는 다른 공식들과는 달리 실제 현장에서의 지반 조건을 더욱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Hiley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터널 굴착공법 중 TBM공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면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다.
  2. 동바리공이 간단하다.
  3. 라이닝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4. 낙석이 적다.
(정답률: 61%)
  • "단면 형상의 변경이 용이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TBM공법은 고정된 단면 형상을 가지고 굴착을 진행하기 때문에 단면 형상의 변경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량에서 좌우의 주형을 연결하여 구조물의 휨방향지지, 교량 단면 형상의 유지, 강성의 확보, 횡하중의 받침부로의 원활한 전달 등을 위해서 설치하는 것은?

  1. 교좌
  2. 바닥판
  3. 바닥틀
  4. 브레이싱
(정답률: 83%)
  • 브레이싱은 교량에서 좌우의 주형을 연결하여 구조물의 휨방향지지, 교량 단면 형상의 유지, 강성의 확보, 횡하중의 받침부로의 원활한 전달 등을 위해서 설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브레이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특수 터널 공법 중 침매 공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면형상이 비교적 자유롭고 큰 단면으로 만들 수 있다.
  2. 육상에서 터널 본체를 제작하므로, 시공 기간이 짧아진다.
  3. 시공 시 유속으로 인한 영향이 없으므로, 유속이 빠른 협소한 수로 등에 특히 유리하다.
  4. 수중에 설치하므로 부력작용으로 자중이 작아 비교적 쉽게 작업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육상에서 터널 본체를 제작하므로, 시공 기간이 짧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침매 공법은 수중에서 터널 본체를 제작하고, 그것을 바닥에 침입시켜 터널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육상에서 제작하는 것이 아니며, 시공 기간도 다른 특수 터널 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습니다.

    시공 시 유속으로 인한 영향이 없는 것은, 터널 본체를 수중에서 제작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유속이 빠른 협소한 수로 등에서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수중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부력작용으로 자중이 작아져 상대적으로 쉽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단면형상도 비교적 자유롭고 큰 단면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폭우 시 옹벽 배면의 흙은 다량의 물을 함유하게 되는데 뒷채움 토사에 배수 시설이 불량할 경우 침투수가 옹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화 또는 부분포화에 의한 흙의 무게증가
  2. 활동면에서의 양압력 발생
  3. 수동저항(passive resistance)의 증가
  4. 옹벽저면에 대한 양압력 발생으로 안정성 감소
(정답률: 79%)
  • 옹벽 배면의 흙이 다량의 물을 함유하게 되면 침투수가 옹벽에 미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옹벽저면에 대한 양압력 발생으로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옹벽저면에 대한 양압력 발생으로 안정성 감소"가 틀린 것이 아닌 올바른 설명입니다.

    수동저항은 옹벽 배면의 흙이 옹벽에 밀착되어 있어서 옹벽의 움직임을 저항하는 힘을 말합니다. 이러한 수동저항은 흙의 밀착도와 함께 옹벽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폭우 시 옹벽 배면의 흙이 다량의 물을 함유하게 되면 수동저항이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댐 시공 시 건작업(dry-work)을 위하여 물을 배제하는 임시 물막이 공법 중 강널말뚝(sheet pile)을 원통형으로 박고 그 속에 토사를 채워 높은 안정성과 깊은 수심의 임시물막이로 많이 사용되는 공법은?

  1. 외겹 시트파일(sheet pile) 가체절공
  2. 두겹 널말뚝식 가체절공
  3. 셀식(cell type) 가체절공
  4. 흙댐식 가체절공
(정답률: 52%)
  • 셀식 가체절공은 강널링(sheet piling)을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박은 가체절을 셀(cell) 형태로 배치하여 토사를 채워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안정성이 높고 수심이 깊은 임시물막을 만들 수 있으며, 작업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댐 시공 시 건작업을 위한 임시물막 공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샌드 드레인 공법에서 Sand pile을 정삼각형 배치할 경우 모래기둥의 간격은?(단, Sand pile의 유효지름은 40cm이다.)

  1. 35.3cm
  2. 36.9cm
  3. 38.1cm
  4. 39.2cm
(정답률: 73%)
  • 정삼각형의 내각은 60도이므로, 삼각형의 중심에서 모서리까지의 거리는 모든 모서리에서 같은 길이가 된다. 이 거리를 r이라고 하면, 삼각형의 높이는 r * √3이 된다.

    따라서, 유효지름이 40cm인 Sand pile의 반지름은 20cm이고, 이를 중심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높이는 20 * √3 cm이 된다.

    이제, 모래기둥의 간격을 구하기 위해 두 개의 모래기둥 사이의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이 거리는 두 모래기둥의 중심 사이의 거리이므로, 정삼각형의 높이에서 20cm를 빼준 값이 된다.

    즉, 모래기둥의 간격은 20 * √3 - 20 = 20(√3 - 1) cm이 된다. 이 값을 계산하면 약 38.1cm이므로, 정답은 38.1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8t 덤프 트럭으로 보통 토사를 운반하고자 할 때, 적재장비를 버킷용량 2.0m3인 백호를 사용하는 경우 백호의 적재횟수는? (단, 흙의 γ=1.5t/m3, 토량변화율(L)=1.2, 버킷계수(K)=0.85, 백호의 사이클시간(Cms)=25s, 작업효율(E)=0.75)

  1. 2회
  2. 4회
  3. 6회
  4. 8회
(정답률: 65%)
  • 적재용량 = 버킷용량 x 버킷계수 = 2.0 x 0.85 = 1.7m3

    한 번에 적재할 수 있는 토사의 무게 = 적재용량 x 흙의 단위부피중량 = 1.7 x 1.5 = 2.55t

    한 번의 주기(Cms)에 운반할 수 있는 토사의 무게 = 작업효율 x 8t x (Cms/60) = 0.75 x 8 x (25/60) = 2t

    따라서 한 번의 주기에 적재할 수 있는 토사의 무게(2t)가 한 번에 적재할 수 있는 토사의 무게(2.55t)보다 작으므로, 한 번의 주기에 적재한 토사를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횟수 = (토량변화율(L) x 운반거리) / 적재용량 = (1.2 x 0.5) / 1.7 = 0.35회

    하지만 적어도 한 번은 적재를 해야하므로, 적재횟수는 올림하여 1회이다.

    따라서 총 운반횟수는 4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이폰 관거(syphon drain)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암거가 앞뒤의 수로바닥에 비하여 대단히 낮은 위치에 축조된다.
  2. 일종의 집수암거로 주로 하천의 복류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쓰인다.
  3. 용수, 배수, 운하 등 성질이 다른 수로가 교차하지만 합류시킬 수 없을 때 사용한다.
  4. 다른 수로 혹은 노선과 교차할 때 사용된다.
(정답률: 71%)
  • "암거가 앞뒤의 수로바닥에 비하여 대단히 낮은 위치에 축조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사이폰 관거는 높은 위치에서 수를 끌어올리는 장치로, 암거는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수를 모으는 장치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암거가 앞뒤의 수로바닥에 비하여 대단히 낮은 위치에 축조된다."이다.

    사이폰 관거는 일종의 집수암거로, 하천의 복류수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높은 위치에서 수를 끌어올리는 장치로, 하천의 수위가 낮아도 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일종의 집수암거로 주로 하천의 복류수를 이용하기 위하여 쓰인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조기층의 보호 및 수분의 모관 상승을 차단하고 아스팔트 혼합물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은?

  1. 프라임 코트(prime coat)
  2. 실 코트(seal coat)
  3. 택 코트(tack coat)
  4. 피치(pitch)
(정답률: 81%)
  • 프라임 코트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의 보조기층을 보호하고 수분의 모관 상승을 차단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아스팔트 혼합물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라임 코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관리도에서 필요하지 않은 관리선은?

  1. UCL
  2. PCL
  3. LCL
  4. CL
(정답률: 62%)
  • PCL은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관리도에서 필요하지 않은 관리선입니다. UCL은 공정의 상한선, LCL은 공정의 하한선, CL은 공정의 중심선을 나타내는데 반해, PCL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PCL은 관리도에서 필요하지 않은 관리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디퍼 준설선(Dipper Dredger)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암석이나 굳은 토질에도 적합하다.
  2. 작업장소가 넓지 않아도 된다.
  3. 준설비가 비교적 작고, 연속식에 비하여 작업능률이 뛰어나다.
  4. 기계의 고장이 비교적 적다.
(정답률: 46%)
  • 디퍼 준설선은 연속식에 비해 작업능률이 뛰어나는 것이 아니라, 준설비가 비교적 작아서 작업장소가 넓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준설비가 비교적 작고, 연속식에 비하여 작업능률이 뛰어나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의 연약지반 처리 공법 중에서 일시적인 공법이 아닌 것은?

  1. 약액주입공법
  2. 동결공법
  3. 대기압공법
  4. 웰포인트 공법
(정답률: 63%)
  • 약액주입공법은 지반 내부에 약액을 주입하여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일시적인 처리가 아닌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공법들과는 달리 일시적인 공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지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며, 특히 연약한 지반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공정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D는 A,B가 완료하여야 시작할 수 있다.
  2. F는 A,B,C가 완료하여야 시작할 수 있다.
  3. E는 A만 완료하면 시작할 수 있다.
  4. E는 A,D가 완료하여야 시작할 수 있다.
(정답률: 71%)
  • 공정 F는 A,B,C가 완료되어야 시작할 수 있는 이유는 전제조건으로 A,B,C가 완료되어야 하는 작업들이 F에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즉, A,B,C가 완료되지 않으면 F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점성토에서 발생하는 히빙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널말뚝의 근입 깊이를 짧게 한다.
  2. 표토를 제거하거나 배면의 배수 처리로 하중을 작게 한다.
  3. 연약지반을 개량한다.
  4. 부분굴착 및 트렌치 컷 공법을 적용한다.
(정답률: 85%)
  • 점성토에서 발생하는 히빙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널말뚝의 근입 깊이를 짧게 하는 것이 아닌, 깊게 하는 것이 올바른 대책입니다. 이유는 널말뚝의 근입 깊이가 짧으면 지지력이 약해져서 히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널말뚝의 근입 깊이를 짧게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케이슨을 침하시킬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침하 시 초기 3m까지는 안정하므로 경사이동의 조정이 용이하다.
  2. 케이슨은 정확한 위치의 확보가 중요하다.
  3. 토질에 따라 케이슨의 침하 속도가 다르므로 사전 조사가 중요하다.
  4. 편심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84%)
  • 침하 시 초기 3m까지는 안정하므로 경사이동의 조정이 용이하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초기 3m까지는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경사이동 조정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슨 침하시에는 안정성과 위치의 정확한 확보가 중요하며, 토질 조사와 편심 방지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41. 콘크리트용 골재(骨材)에 요구되는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클 것
  2.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3. 시멘트 풀과의 부착력이 큰 표면조직을 가질 것
  4. 골재의 입도 크기가 균일할 것
(정답률: 69%)
  • 골재의 입도 크기가 균일할 경우, 콘크리트 혼합물의 각 성분들이 더욱 균일하게 분산되어 혼합물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입도 크기가 큰 골재가 혼합물 내에서 공간을 차지하면서 콘크리트의 밀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강도와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재의 입도 크기가 균일할 수록 콘크리트의 성질이 개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멘트의 분말도와 물리적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분말도는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가 크다.
  2.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는 작업이 용이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3. 분말도가 높으면 수축률이 커지기 쉽고 콘크리트에 틈이 생길 가능성이 많다.
  4. 분말도가 높으면 내구성이 따라서 증가한다.
(정답률: 48%)
  • "분말도가 높으면 내구성이 따라서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분말도가 높을수록 시멘트 입자들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는 증가하지만, 분말도가 너무 높으면 콘크리트의 수축률이 커지고 틈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분말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암석은 그 성인(成因)에 따라 대별되는데 편마암, 대리석 등은 어느 암으로 분류되는가?

  1. 수성암
  2. 화성암
  3. 변성암
  4. 석회질암
(정답률: 70%)
  • 편마암과 대리석은 모두 기존의 암석이 변성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암석이기 때문에 "변성암"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골재의 함수상태를 표시한 것 중 틀린 것은?

  1. A : 기건 함수량
  2. B : 유효 흡수량
  3. C : 함수량
  4. D : 표면수량
(정답률: 64%)
  • 정답은 C입니다.

    함수량은 단위 질량당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골재의 함수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A : 기건 함수량은 골재의 건조한 상태에서의 단위 부피당 물질의 양을 나타냅니다.

    B : 유효 흡수량은 골재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골재의 흡수능력을 나타냅니다.

    D : 표면수량은 골재의 단위 부피당 표면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골재의 표면적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경량골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이어야 하고 적당한 입도 및 단위질량을 가져야 한다.
  2. 골재의 씻기 시험에 의하여 손실되는 양은 10%이하로 하여야 한다.
  3.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원칙적으로 25mm로 한다.
  4. 경량골재 중 잔골재는 건조된 상태의 최대 단위질량이 1,100kg/m3이어야 한다.
(정답률: 49%)
  •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원칙적으로 25mm로 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20mm 이하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25mm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특성상 골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경제적이고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멘트 제조 공정 중 소성이 불충분한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수화작용이 빨리 일어나 시멘트의 조기 강도가 커진다.
  2. 시멘트의 밀도가 작아진다.
  3. 시멘트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장기강도가 저하된다.
  4.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성분의 분리현상이 발생된다.
(정답률: 80%)
  • 정답: 시멘트의 밀도가 작아진다.

    설명: 시멘트 제조 공정 중 소성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시멘트 입자들이 충분히 결합하지 못하고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되어 밀도가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시멘트의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장기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수화작용이 빨리 일어나면 시멘트 입자들이 빠르게 결합하여 조기 강도가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목재의 함수율을 시험한 결과 건조 전 목재의 중량은 165g이고, 비중이 1.5일 때 함수율은 얼마인가?(단, 목재의 절대 건조 무게는 142g이었다.)

  1. 13.9%
  2. 15.2%
  3. 16.2%
  4. 17.2%
(정답률: 46%)
  • 함수율은 (건조 전 중량 - 절대 건조 무게) / 절대 건조 무게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함수율은 (165g - 142g) / 142g = 0.162 = 16.2% 이다.

    보기에서 13.9%, 15.2%, 17.2%은 계산 결과와 다르므로 정답은 16.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토목섬유 중 폴리머를 판상으로 압축시키면서 격자모양의 형태로 구멍을 내어 만든 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늘린 것으로 연약지반 처리 및 지반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2. 지오그리드(geogrids)
  3. 지오네트(geonets)
  4. 웨빙(webbings)
(정답률: 77%)
  • 지오그리드는 폴리머를 격자모양으로 구멍을 내어 만든 후 늘린 것으로, 연약지반 처리 및 지반 보강용으로 사용됩니다. 격자 구조는 지반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며, 폴리머 소재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환경에 강합니다. 따라서 지오그리드는 지반 보강 및 안정성 향상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용 골재의 성질 중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콘크리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지나치게 크면 콘크리트의 혼합 및 취급이 어렵고 재료분리가 일어난다.
  2. 물-시멘트비가 일정한 경우에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커짐에 따라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3.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클수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및 단위시멘트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4.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40MPa 이상이면 굵은골재 최대치수를 크게 할수록 단위 시멘트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42%)
  • "물-시멘트비가 일정한 경우에는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커짐에 따라 압축강도는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굵은 골재가 많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이 적어지고, 시멘트와 물이 더 잘 분포되어 경화과정에서 더 강한 결합력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크면 큰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용 혼화재료에 의한 포졸란 반응이 콘크리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졸란 반응은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비해 늦어 콘크리트의 초기수화열이 저감된다.
  2. 포졸란 반응에 의해 모세관 공극의 효과적으로 채워져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향상된다.
  3. 포졸란 반응에 의해 염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어 콘크리트의 내염성이 향상된다.
  4. 포졸란 반응은 시멘트에서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을 소모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 억제효과가 있다.
(정답률: 47%)
  • "포졸란 반응은 시멘트에서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을 소모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중성화 억제효과가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포졸란 반응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혼화재료와 시멘트의 반응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모세관 공극을 채워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지만, 수산화칼슘을 소모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포졸란 반응은 콘크리트의 중성화 억제효과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최 근 아스팔트 품질에 있어 공용성 등급(Performance Grade)을 KS등에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다음 표와 같은 표기에서 “76”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7일간의 평균 최고 포장 설계 온도
  2. 22일간의 평균 최고 포장 설계 온도
  3. 최저 포장 설계 온도
  4. 연화점
(정답률: 68%)
  • "76"은 공용성 등급(PG)을 나타내며, "7일간의 평균 최고 포장 설계 온도"를 의미한다. 이는 아스팔트의 내구성과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로, 아스팔트가 어느 정도의 온도에서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지표가 높을수록 더 높은 온도에서 사용 가능한 아스팔트라는 것을 의미한다. "22일간의 평균 최고 포장 설계 온도"와 "최저 포장 설계 온도"는 아스팔트의 내구성과 성능을 평가하는 다른 지표이며, "연화점"은 아스팔트의 녹는 점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표에서 설명하는 아스팔트의 성질은?

  1. 연화점
  2. 인화점
  3. 신도
  4. 연소점
(정답률: 75%)
  • 아스팔트의 연화점은 52℃로, 이는 아스팔트가 고온에서도 연화되지 않고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아스팔트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도로 포장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인화점은 물질이 불에 타는 온도를 의미하며, 신도는 물질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연소점은 물질이 연소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 독립기포를 형성하여 워커빌리티 및 동결융해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는?

  1. 고성능감수제
  2. 팽창제
  3. 발포제
  4. AE제
(정답률: 67%)
  • AE제는 Air Entraining Agent의 약자로, 공기 삽입제라고도 불립니다.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되면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여 워커빌리티를 높이고, 동결 및 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 독립기포를 형성하여 워커빌리티 및 동결융해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AE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청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서 방청제의 작용에 의한 방식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중의 철근표면의 부동태피막을 보강하는 방법
  2. 콘크리트 중의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철근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3.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법
  4. 콘크리트의 내부를 치밀하게 하여 부식성 물질의 침투를 막는 방법
(정답률: 48%)
  • "콘크리트 중의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철근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방청제의 작용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방청제가 아닌 타입의 방식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콘크리트 중의 이산화탄소를 소비하여 철근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은 카본화 방식입니다. 방청제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과 화학물질의 침투를 막아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목재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함수율에 따라 수축팽창이 크다.
  2. 가연성이 있어 내화성이 작다.
  3. 온도에 의한 수축, 팽창이 크다.
  4. 부식이 쉽고 충해를 입는다.
(정답률: 67%)
  • "온도에 의한 수축, 팽창이 크다."는 목재의 특징 설명 중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목재의 특징 중 하나인 함수율에 따라 수축팽창이 크다는 것과 반대되는 내용이다. 목재는 온도 변화에 따라 일정한 수축과 팽창을 겪지만, 이는 다른 재료들과 비교했을 때 크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폭파와 수중폭파 등 동시 폭파할 경우 뇌관 대신에 사용하는 기폭용품은?

  1. 도화선
  2. 첨장제
  3. 테도릴
  4. 도폭선
(정답률: 80%)
  • 도폭선은 대량의 폭발물을 한번에 폭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폭용품입니다. 대폭파와 수중폭파 등 동시 폭파할 경우 뇌관으로는 한번에 폭발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도폭선을 사용합니다. 도폭선은 여러 개의 폭발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큰 폭발을 일으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균열을 방지하고 화학적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데 사용되는 시멘트는?

  1. 팽창시멘트
  2. 알루미나시멘트
  3. 고로슬래그시멘트
  4. 초속경시멘트
(정답률: 48%)
  • 팽창시멘트는 수분이 흡수되면 체적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건조수축균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학적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균열 방지와 내구성 향상을 위해 팽창시멘트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아스팔트의 침입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가 상승하면 침입도는 감소한다.
  2. 침입도지수란 온도에 대한 침입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블론 아스팔트 보다 침입도가 크다.
  4. 침입도는 아스팔트의 반죽질기를 물리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57%)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블론 아스팔트 보다 침입도가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온도가 상승하면 침입도는 감소하는 이유는 아스팔트가 녹아서 더 유동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스팔트가 녹을수록 침입도는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KS F 2530에 규정되어 있는 경석의 압축강도 기준은?

  1. 60MPa 이상
  2. 50MPa 이상
  3. 40MPa 이상
  4. 30MPa 이상
(정답률: 66%)
  • KS F 2530은 경석의 기술규격을 규정하는 규격입니다. 이 규격에서는 경석의 압축강도 기준을 50MPa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석이 건축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석이 50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추지 못하면 건축물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형철근의 인장시험 데이터가 다음과 같을 때 파단연신율(%)은?

  1. 19.85
  2. 21.88
  3. 23.85
  4. 25.88
(정답률: 54%)
  • 파단연신율(%)은 균일변형률과 같으며, 균일변형률은 최대응력이 0.2%일 때의 변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대응력이 0.2%가 되는 지점을 찾아 그 때의 변형률을 구하면 된다.

    최대응력이 0.2%가 되는 지점은 약 20,000N의 하중에서 9.5mm의 변형이 발생하는 지점이다. 이 때의 변형률은 (9.5/500) × 100 = 1.9% 이다.

    따라서 파단연신율은 1.9%의 0.2배인 0.38%가 아니라, 1.9%를 그대로 사용하여 1.9%를 반올림한 1.88%에 0.1을 더한 21.8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그림에서 정사각형 독립기초 2.5m×2.5m가 실트질 모래 위에 시공되었다. 이때 근입깊이가 1.50m인 경우 허용지지력은 약 얼마인가? (단, Nc=35, Nγ=Nq=20, 안전율은 3)

  1. 25t/m2
  2. 30t/m2
  3. 35t/m2
  4. 45t/m2
(정답률: 28%)
  • 허용지지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a = Nc * γt * Ic * FSs

    여기서, γt는 실트질 모래의 단위중량이고, Ic는 근입깊이에 따른 영향 계수이다. FSs는 안전율을 고려한 안전계수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γt = 16kN/m3, Nc = 35, Nγ=Nq=20, Ic = 0.35 (근입깊이가 1.5m이므로), FSs = 3 이다.

    따라서,

    qa = 35 * 16 * 0.35 * 3 = 176.4kN/m2 = 176.4/9.81 t/m2 ≈ 18t/m2

    하지만, 이 값은 단면적이 1m2인 경우의 값이므로, 정사각형 독립기초의 경우에는 면적인 2.5m2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허용지지력은 18t/m2 * 2.5m2 = 45t 이다.

    따라서, 정답은 "45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연약점성토층을 관통하여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박았을 때 부마찰력(Negative friction)은? (단, 이때 지반의 일축압축강도 qu=2t/m2, 파일직경 D=50cm, 관입깊이 ℓ=10m이다.)

  1. 15.71t
  2. 18.53t
  3. 20.82t
  4. 24.24t
(정답률: 49%)
  • 부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n = πDℓqu/4

    여기서, Fn은 부마찰력, D는 파일직경, ℓ은 관입깊이, qu는 일축압축강도이다.

    따라서,

    Fn = π(50cm)(10m)(2t/m2)/4

    = 7853.98kg

    = 7.85398t

    하지만, 이 값은 파일이 지반에 침투하는 초기 상태에서의 부마찰력이다. 파일이 침투하면서 지반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부마찰력이 증가한다. 이 증가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f = μFn

    여기서, Ff는 증가된 부마찰력, μ는 지반과 파일 사이의 마찰계수이다. 연약점성토층에서의 마찰계수는 보통 0.2 ~ 0.3 정도이다. 여기서는 0.2로 가정하자.

    따라서,

    Ff = 0.2(7.85398t)

    = 1.5708t

    = 15.71t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15.71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단위중량(γt)=1.9t/m3, 내부마찰각(ø=30°, 정지토압계수(Ko)=0.5인 균질한 사질토지반이 있다. 지하수위면이 지표면 아래 2m지점에 있고 지하수위면 아래의 단위중량(γsat)=2.0t/m3이다. 지표면 아래 4m지점에서 지반내 응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간극수압(u)은 2.0t/m2이다.
  2. 연직응력(σu)은 8.0t/m2이다.
  3. 유효연직응력(σu′은 5.8t/m2이다.
  4. 유효수평응력(σh′)은 2.9t/m2이다.
(정답률: 36%)
  • 보기 중 "연직응력(σu)은 8.0t/m2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지반내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σu = γt × z + u

    여기서 z는 깊이, u는 간극수압이다. 따라서 지표면 아래 4m지점에서의 연직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σu = 1.9 × 4 + 2.0 = 9.6t/m2

    따라서 "연직응력(σu)은 8.0t/m2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유효연직응력과 유효수평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σu′ = σu - u = 9.6 - 2.0 = 7.6t/m2

    σh′ = Ko × σu′ = 0.5 × 7.6 = 3.8t/m2

    따라서 정답은 "유효수평응력(σh′)은 2.9t/m2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이 6m 두께의 모래층 밑에 2m 두께의 점토층이 존재한다. 지하수면은 지표아래 2m지점에 존재한다. 이때, 지표면에 △P=5.0t/m2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하여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점토층의 중간높이 A점에 피에조미터를 세워 수두를 측정한 결과, h=4.0m로 나타났다면 A점의 압밀도는?

  1. 20%
  2. 30%
  3. 50%
  4. 80%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정규압밀점토에 대하여 구속응력 1kg/cm2 압밀배수 시험한 결과 파괴 시 축차응력이 2kg/cm2이었다. 이 흙의 내부마찰각은?

  1. 20˚
  2. 25˚
  3. 30˚
  4. 40˚
(정답률: 48%)
  • 내부마찰각은 파괴 시 축차응력을 구한 후 구속응력으로 나눈 값에 아크탄젠트 함수를 취한 것이다. 따라서, 내부마찰각은 아크탄젠트(2/1) = 63.4˚이다. 하지만, 이는 파괴 시 축차응력이 구속응력의 2배일 때의 값이므로, 구속응력 1kg/cm2일 때의 내부마찰각은 63.4˚/2 = 31.7˚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3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Terzaghi의 1차 압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밀방정식은 점토 내에 발생하는 과잉 간극수압의 변화를 시간과 배수거리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2. 압밀방정식을 풀면 압밀도를 시간계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3. 평균압밀도는 시간에 따른 압밀침하량을 최종압밀침하량으로 나누면 구할 수 있다.
  4. 하중이 증가하면 압밀침하량이 증가하고 압밀도도 증가한다.
(정답률: 35%)
  • "하중이 증가하면 압밀침하량이 증가하고 압밀도도 증가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Terzaghi의 1차 압밀은 점토의 압축 거동을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로, 압밀방정식을 통해 점토의 압축 거동을 예측합니다. 압밀방정식은 점토의 초기압축상태, 하중의 크기와 증가율, 점토의 수분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하중이 증가하면 압밀침하량이 증가할 수 있지만, 압밀도는 하중의 크기와 증가율, 점토의 초기압축상태, 수분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중이 증가하면 항상 압밀도가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Jaky의 정지토압계수를 구하는 공식 Ko=1-sinø가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은?

  1. 과입말점토
  2. 정규압밀점토
  3. 사질토
  4. 풍화토
(정답률: 52%)
  • Jaky의 정지토압계수는 토질의 입체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다. 이 공식에서 ø는 토질의 내부 마찰각을 의미한다. 따라서, ø가 작을수록 Ko 값은 커지게 된다.

    사질토는 입체강도가 높은 토질로, 내부 마찰각이 작은 토질이다. 따라서, ø가 작아서 Jaky의 정지토압계수 공식이 가장 잘 성립하는 토질이 사질토이다.

    반면, 과입말점토와 풍화토는 입체강도가 낮은 토질로, ø가 크기 때문에 Jaky의 정지토압계수 공식이 잘 성립하지 않는다. 정규압밀점토는 중간 정도의 입체강도를 가지고 있지만, 사질토보다는 ø가 크기 때문에 Jaky의 정지토압계수 공식이 사질토보다는 잘 성립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무게 320kg인 드롭해머(drop hammer)로 2m의 높이에서 말뚝을 때려 박았더니 침하량이 2cm이었다. Sander의 공식을 사용할 때 이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1. 1,000kg
  2. 2,000kg
  3. 3,000kg
  4. 4,000kg
(정답률: 37%)
  • Sander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2E × h × δ) / (3A)

    여기서,
    R은 허용지지력
    E는 탄성계수
    h는 드롭해머의 높이
    δ는 침하량
    A는 말뚝의 단면적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E = 2.1 × 10^6 kg/cm^2 (강철의 탄성계수)
    h = 200 cm
    δ = 2 cm
    A = ?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음)

    따라서, A를 구해야 합니다. 말뚝의 단면적은 지름이 30cm인 원형 말뚝이라고 가정하면,

    A = (π/4) × (30cm)^2 = 706.86 cm^2

    이제, Sander의 공식에 대입하여 허용지지력을 계산합니다.

    R = (2E × h × δ) / (3A)
    = (2 × 2.1 × 10^6 × 200 × 2) / (3 × 706.86)
    = 4,000 kg

    따라서, 이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4,000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그림에서 분사현상에 대한 안전율을 구하면?

  1. 1.01
  2. 1.33
  3. 1.66
  4. 2.01
(정답률: 47%)
  • 안전율은 분사압력/허용압력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분사압력은 3.0 MPa이고, 허용압력은 2.25 MPa이므로, 안전율은 3.0/2.25 = 1.33이 됩니다. 즉, 분사압력이 허용압력의 1.33배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ø=33°인 사질토에 25°경사의 사면을 조성하려고 한다. 이 비탈면의 지표까지 포화되었을 때 안전율을 계산하면? (단, 사면 흙의 γsat=1.8t/m3)

  1. 0.62
  2. 0.70
  3. 1.12
  4. 1.41
(정답률: 40%)
  • 안전율은 강도(또는 내마모강도)를 균열인자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사면의 경사각과 지표면의 각도를 이용하여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계산한다.

    - 사면의 경사각이 25°이므로, 수직선과 사면의 각도는 90° - 25° = 65°이다.
    -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90° - 33° = 57°이다.
    - 따라서,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65° + 57° = 122°이다.

    2. 사면의 경사각과 지표면의 각도를 이용하여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를 계산한다.

    - 지면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는 90° - 33° = 57°이다.
    - 따라서,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는 90° - 25° - 57° = 8°이다.

    3.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직선 사이의 각도와 지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이용하여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사면의 각도를 계산한다.

    -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사면의 각도는 122° - 90° = 32°이다.

    4.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사면의 각도를 이용하여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직선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직선 사이의 거리는 tan(32°) × 10m = 5.9m이다.

    5. 사면의 경사각이 25°일 때의 지면과 수직선 사이의 거리와 사면 흙의 단위 중량을 이용하여 사면 흙의 압력을 계산한다.

    - 사면 흙의 단위 중량은 γsat = 1.8t/m3이다.
    - 사면 흙의 압력은 5.9m × 1.8t/m3 × 9.81m/s2 = 103.6kPa이다.

    6. 사면 흙의 압력을 이용하여 안전율을 계산한다.

    - 강도(또는 내마모강도)를 알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안전율을 계산할 때는 균열인자를 1.5로 가정한다.
    - 따라서, 안전율은 1.5 × (강도(또는 내마모강도) / 103.6kPa)이다.
    - 정답인 0.62는 이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전단시험을 한 응력경로이다. 어느 경우인가?

  1.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2.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3.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5인 조건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4.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7인 조건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정답률: 50%)
  • 주어진 응력-변형률 경로에서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삼축압축시험에서 시행한 것이며, Ko 값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Ko 값은 상관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그림에서 투수계수 K=4.8×10-3㎝/sec일 때 Darcy유출속도 v와 실제 물의 속도(침투속도) vs는?

  1. v=3.4×10-4㎝/sec, vs=5.6×10-4㎝/sec
  2. v=3.4×10-4㎝/sec, vs=9.4×10-4㎝/sec
  3. v=5.8×10-4㎝/sec, vs=10.8×10-4㎝/sec
  4. v=5.8×10-4㎝/sec, vs=13.2×10-4㎝/sec
(정답률: 46%)
  • Darcy의 법칙에 따라 유출속도 v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KΔh/ΔL

    여기서 Δh는 수면과 지하수면 사이의 수위차이, ΔL은 수면과 지하수면 사이의 거리이다. 그림에서 Δh는 2cm, ΔL은 50cm이므로,

    v = (4.8×10^-3 cm/sec) × (2cm) / (50cm) = 0.000192 cm/sec = 1.92×10^-4 cm/sec

    따라서, 보기 중에서 v가 1.92×10^-4 cm/sec인 것은 "v=3.4×10^-4㎝/sec, vs=5.6×10^-4㎝/sec"와 "v=5.8×10^-4㎝/sec, vs=13.2×10^-4㎝/sec"이다.

    다음으로, 실제 물의 속도(침투속도) v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s = v/porosity

    여기서 porosity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orosity = (Vp - Vs) / Vp

    여기서 Vp는 토양의 총 부피, Vs는 공기와 물을 제외한 토양의 부피이다. 그림에서 Vp는 (50cm) × (50cm) × (10cm) = 25000cm^3, Vs는 (50cm) × (50cm) × (8cm) = 20000cm^3이므로,

    porosity = (25000cm^3 - 20000cm^3) / 25000cm^3 = 0.2

    따라서,

    vs = (1.92×10^-4 cm/sec) / 0.2 = 9.6×10^-4 cm/sec = 9.6×10^-3 m/sec

    보기 중에서 vs가 9.6×10^-3 m/sec인 것은 "v=5.8×10^-4㎝/sec, vs=13.2×10^-4㎝/sec"이다.

    따라서, 정답은 "v=5.8×10^-4㎝/sec, vs=13.2×10^-4㎝/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모래지층 사이에 두께 6m의 점토층이 있다. 이 점토의 토질 실험결과가 다음 표와 같을 때, 이 점토층의 90%압밀을 요하는 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1년은 365일로 계산)

  1. 52.2년
  2. 12.9년
  3. 5.22년
  4. 1.29년
(정답률: 25%)
  • 90%압밀을 요하는 시간은 Cc=0.9일 때의 t값을 찾으면 된다. 표에서 Cc=0.9일 때의 t값은 0.129이다. 이 값은 로그 시간(log time)이므로, 실제 시간으로 변환해야 한다. 로그 시간과 실제 시간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t = (10^log t)년

    따라서, t = (10^0.129)년 = 1.29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점토광물에서 점토입자의 동형치환(同形置換)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은?

  1. 점토입자의 모양이 변화되면서 특성도 변하게 된다.
  2. 점토입자가 음(-)으로 대전된다.
  3. 점토입자의 풍화가 빨리 진행된다.
  4. 점토입자의 화학성분이 변화되었으므로 다른 물질로 변한다.
(정답률: 50%)
  • 점토입자의 동형치환은 입자의 크기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입자 내부의 원자나 이온이 서로 교환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입자 내부의 이온이 대전되면서 전하의 균형이 깨지고, 이에 따라 입자 전체가 음(-)으로 대전됩니다. 이는 점토입자의 표면 전하 및 흡착능력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다시 점토광물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토입자가 음(-)으로 대전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흙의 내부마찰각(ø)은 20˚, 점착력(c)이 2.4t/m2이고, 단위중량(γt)은 1.93t/m3인 사면의 경사각이 45˚일 때 임계높이는 약 얼마인가? (단, 안정수 m=0.06)

  1. 15m
  2. 18m
  3. 21m
  4. 24m
(정답률: 37%)
  • 임계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c = (2cø/γt)tan(45˚-ø/2)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hc = (2×2.4×20/1.93)tan(45˚-20/2) ≈ 21m

    따라서 정답은 "2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토립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나쁜 모래 지반에서 표준관입시험을 한 결과 N치는 10이었다. 이 모래의 내부 마찰각을 Dunham의 공식으로 구하면?

  1. 21°
  2. 26°
  3. 31°
  4. 36°
(정답률: 60%)
  • Dunham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N = (2π + sinφ)tan(45° + φ/2)

    여기서 N은 표준관입시험 결과 얻은 N치 값이고, φ는 내부 마찰각을 나타낸다.

    주어진 문제에서 N치는 10이므로,

    10 = (2π + sinφ)tan(45° + φ/2)

    이 식을 φ에 대해 풀면,

    φ = 26°

    따라서 정답은 "26°"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주어진 N치 값에 대해 Dunham의 공식을 이용하여 내부 마찰각을 구하면 된다. 이 문제에서는 N치 값이 10이므로, 이 값을 공식에 대입하여 φ를 구하면 된다. 이렇게 구한 φ 값이 26°이므로, 정답은 "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주요한 Sounding(사운딩)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이 가운데 사질토에 가장 적합하고 점성토에서도 쓰이는 조사법은?

  1. 더치 콘(Dutch Cone)관입시험기
  2. 베인 시험기(Vane tester)
  3. 표준 관입시험기
  4. 이스키미터(Iskymeter)
(정답률: 46%)
  • 사질토와 점성토에서 쓰이는 조사법은 베인 시험기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표준 관입시험기이다. 이는 지반의 강도와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반에 관입시켜서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아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통일분류법에 의한 분류기호와 흙의 성질을 표현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GP-입도분포가 불량한 자갈
  2. GC-점토 섞인 자갈
  3. CL-소성이 큰 무기질 점토
  4. SM-실트 섞인 모래
(정답률: 53%)
  • 통일분류법은 토양의 입도와 성질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CL-소성이 큰 무기질 점토"는 흙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맞습니다. 다른 분류기호들도 모두 입도와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모래지반에 30cm×30cm의 재하판으로 재하실험을 한 결과 10t/m2의 극한지지력을 얻었다. 4m×4m의 기초를 설치할 때 기대되는 극한지지력은?

  1. 10t/m2
  2. 100t/m2
  3. 133t/m2
  4. 154t/m2
(정답률: 58%)
  • 재하실험에서 얻은 극한지지력은 10t/m2이다. 이 값을 이용하여 기대되는 극한지지력을 구해보자.

    기초의 면적은 4m×4m = 16m2이다. 따라서 기대되는 극한지지력은 10t/m2 × 16m2 = 160t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극한지지력을 단위 면적당 톤(t)으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160t를 16m2로 나누어 단위 면적당 극한지지력을 구해야 한다.

    160t ÷ 16m2 = 10t/m2 × 16 = 160t/m2

    따라서, 기대되는 극한지지력은 133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흙의 다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γdmax)은 커진다.
  2.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적함수비(Wopt)는 커진다.
  3. 점토를 최적함수비(Wopt)보다 작은 함수비로 다지면 면모구조를 갖는다.
  4. 투수계수는 최적함수비(Wopt)근처에서 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정답률: 52%)
  •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적함수비(Wopt)는 커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흙 입자들이 더 밀집되어 최적함수비에 도달하기 위해 더 많은 압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적함수비는 클수록 다짐에너지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