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건설재료시험기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다음 4조의 압축강도 시험결과 중 변동계수가 가장 큰 것은?

  1. 19.8, 19.5, 21.0, 19.7
  2. 20.2, 19.0, 19.0, 21.8
  3. 21.0, 20.5, 18.5, 20.0
  4. 18.9, 20.0, 19.6, 21.5
(정답률: 70%)
  •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으로, 상대적인 변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변동계수가 가장 큰 것은 평균값이 크고 편차가 큰 경우입니다. 따라서 20.2, 19.0, 19.0, 21.8 중에서 변동계수가 가장 큰 것은 20.2와 21.8입니다. 이 두 값은 평균값인 20.0에서 크게 벗어나며, 편차도 크기 때문에 변동계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블리딩에 관한 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블리딩이 많으면 레이턴스도 많아지므로 콘크리트의 이음부에서는 블리딩이 큰 콘크리트는 불리하다.
  2.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고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는 블리딩이 작아진다.
  3. 블리딩이 큰 콘크리트는 강도와 수밀성이 작아지나 철근콘크리트에서는 철근과의 부착을 증가시킨다.
  4. 콘크리트치기가 끝나면 블리딩이 발생하며 대략 2~4시간에 끝난다.
(정답률: 83%)
  • 정답: "블리딩이 큰 콘크리트는 강도와 수밀성이 작아지나 철근콘크리트에서는 철근과의 부착을 증가시킨다." 이 문장은 잘못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블리딩이 큰 콘크리트는 강도와 수밀성이 작아지는데, 이는 철근과의 부착력도 감소시키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에서도 부착력이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피가 800ℓ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율(S/a)이 40%이고, 굵은 골재의 표건밀도가 2.65g/cm3이면, 단위 굵은 골재량은 얼마인가?

  1. 848kg
  2. 1044kg
  3. 1272kg
  4. 2120kg
(정답률: 75%)
  • 잔골재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절대부피에서 굵은 골재의 부피를 뺀 값이므로,

    잔골재의 부피 = 800ℓ - (800ℓ × 40%) = 480ℓ

    굵은 골재의 부피는 잔골재의 부피와 잔골재율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굵은 골재의 부피 = 잔골재의 부피 ÷ 잔골재율 = 480ℓ ÷ 40% = 1200ℓ

    표건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이므로, 굵은 골재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굵은 골재의 질량 = 굵은 골재의 부피 × 표건밀도 = 1200ℓ × 2.65g/cm3 = 3180kg

    따라서, 단위 굵은 골재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단위 굵은 골재량 = 굵은 골재의 질량 ÷ 콘크리트의 절대부피 = 3180kg ÷ 800ℓ = 3.975kg/ℓ

    즉, 1ℓ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굵은 골재의 질량은 3.975kg이므로, 1m3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굵은 골재의 질량은 3975kg입니다. 따라서, 1ℓ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굵은 골재의 질량은 3.975kg이므로, 1200ℓ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굵은 골재의 질량은 1200ℓ × 3.975kg/ℓ = 4770kg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 굵은 골재량"을 묻고 있으므로, 1m3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굵은 골재의 질량인 3975kg을 1로 놓고 계산해야 합니다.

    단위 굵은 골재량 = 4770kg ÷ 3975kg/1 = 1.2

    따라서, 단위 굵은 골재량은 1.2이며, 이를 kg으로 환산하면 1.2kg/ℓ × 1000ℓ/m3 = 1200kg/m3이 됩니다. 따라서, 단위 굵은 골재량은 1200kg입니다.

    정답은 "1272kg"가 아닌 "1200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섬유보강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섬유보강콘크리트의 비비기에 사용하는 믹서는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섬유보강 콘크리트 1m3중에 점유하는 섬유의 용적 백분율(%)을 섬유 혼입률이라고 한다.
  3. 보강용 섬유를 혼입하여 주로 인성, 균열억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를 섬유보강콘크리트라고 한다.
  4.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보강효과는 강섬유가 길수록 크며, 섬유의 분산 등을 고려하면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1.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정답률: 83%)
  • 섬유보강콘크리트의 비비기에 사용하는 믹서는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일반 콘크리트와 동일한 믹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유는 섬유가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양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팽창콘크리트의 팽창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에 대한 시험치를 기준으로 한다.
  2. 수축보상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150~250)×10-6을 표준으로 한다.
  3.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200~700)×10-6을 표준으로 한다.
  4. 공장제품에 사용되는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200~1,000)×10-6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에 대한 시험치를 기준으로 한다."가 아니다.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에 대한 시험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이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팽창률은 콘크리트의 용도나 사용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률의 표준은 용도나 사용환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에 대한 시험치를 기준으로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정확하지도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외기온도가 25℃를 넘을 때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 얼마의 시간을 넘어서는 안 되는가?

  1. 0.5시간
  2. 1시간
  3. 1.5시간
  4. 2시간
(정답률: 83%)
  •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콘크리트가 혼합되어 형성된 후 초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이 방출되는데, 이 열이 콘크리트 내부에서 축적되면서 내부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외기온도가 높을수록 비비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보통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1.5시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외기온도가 25℃를 넘을 때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 1.5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리스트레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긴장재에 대해 순차적으로 프리스트레싱을 실시할 경우는 각 단계에 있어서 콘크리트에 유해한 응력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긴장재는 이것을 구성하는 각각의 PS강재에 소정의 인장력이 주어지도록 긴장하여야 하는데, 이때 인장력을 설계값 이상으로 주었다가 다시 설계값으로 낮추는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3. 고온촉진양생을 실시한 경우, 프리스트레스를 주기전에 완전히 냉각시키면 부재간의 노출된 긴장재가 파단할 우려가 있으므로 온도가 내려가지 않는 동안에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어느 정도의 안전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준 직후,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최대 압축응력의 1.7배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88%)
  • "긴장재는 이것을 구성하는 각각의 PS강재에 소정의 인장력이 주어지도록 긴장하여야 하는데, 이때 인장력을 설계값 이상으로 주었다가 다시 설계값으로 낮추는 방법으로 시공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인장력을 설계값 이상으로 주었다가 다시 낮추는 것은 부재에 불필요한 응력을 가하게 되어 부재의 내구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력을 설계값 이상으로 주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설계값 이하로 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콘크리트의 비비기에서 강제식 믹서일 경우 믹서 안에 재료를 투입한 후 비비는 시간의 표준은?

  1. 30초 이상
  2. 1분 이상
  3. 1분 30초 이상
  4. 2분 이상
(정답률: 76%)
  • 강제식 믹서는 높은 속도로 회전하는 믹싱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재료를 섞는 방식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비비기보다 빠르게 혼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측정에 사용하는 기구로 적당한 것은?

  1. 길모아 침 시험장치
  2. 비카트 침 시험장치
  3. 프록터 관입시험장치
  4. 구관입 시험장치
(정답률: 40%)
  •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측정에는 프록터 관입시험장치가 적합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에 침입하여 압력을 가해 응력-변형 곡선을 측정하여 응결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시험장치들은 콘크리트의 강도나 성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응결시간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자파레이더법에 의한 비파괴시험에서 진공중에서 전자파의 속도를 C, 콘크리트의 비유전율을 Єr이라 할 때 콘크리트내의 전자파의 속도 V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V=C∙Єr(m/s
  2. V=C/Єr(m/s)
(정답률: 73%)
  • 정답은 "V=C/Єr(m/s)"이다.

    전자파레이더법에서는 전자파가 콘크리트 내에서 전파되는 속도가 진공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비유전율을 고려해야 한다. 비유전율은 콘크리트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콘크리트 내에서 전자파가 전파되는 속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전자파의 속도인 C를 콘크리트의 비유전율인 Єr로 나누어 주면 콘크리트 내에서 전자파의 속도인 V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V=C/Єr(m/s)이다.

    그림으로 나타낸 ""는 이 수식을 나타낸 것으로, C와 Єr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발생에 대한 검토는 온도균열지수에 의해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온도균열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균열지수는 임의 재령에서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수화열에 의한 온도응력의 비로 구한다.
  2. 온도균열지수는 그 값이 클수록 균열이 발생하기 어렵고 값이 작을수록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3. 일반적으로 온도균열지수가 작으면 발생하는 균열의 수도 많아지고 균열폭도 커지는 경향이 있다.
  4. 철근의 배치된 일반적인 구조물에서 균열발생을 방지하여야 할 경우 온도균열지수는 1.5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8%)
  • 온도균열지수가 작을수록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클수록 균열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온도균열지수가 클수록 균열이 발생하기 어렵고, 작을수록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화열과 압축강도의 비율이 높을수록 균열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균열지수가 작으면 발생하는 균열의 수도 적고 균열폭도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철근의 배치된 일반적인 구조물에서 균열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온도균열지수를 1.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40MPa이고 22회의 압축강도시험결과로부터 구한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5MPa인 경우 배합강도는? (단, 시험횟수가 20회 및 25회인 경우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는 각각 1.08, 1.03이다.)

  1. 47.10MPa
  2. 47.65MPa
  3. 48.35MPa
  4. 48.85MPa
(정답률: 72%)
  •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5MPa이므로, 표준오차는 5/√22 ≈ 1.06MPa이다. 따라서, 신뢰구간 95%에서의 평균압축강도는 40 ± 1.96 × 1.06 ≈ 37.93 ~ 42.07MPa이다.

    배합강도는 평균압축강도보다 높아야 하므로, 보기 중에서 42.07MPa보다 큰 값인 48.35MP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 중 철근부식 여부를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전위차 적정법
  2. 자연전위법
  3. 분극저항법
  4. 전기저항법
(정답률: 64%)
  • 전위차 적정법은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과 비교하여 전위차를 측정하여 부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철근의 부식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고, 콘크리트 내부의 다른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파괴 시험 중 철근부식 여부를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위차 적정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루의 평균기온이 4℃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2.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는 것으로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할 수 없다.
  3. 가열한 재료를 믹서에 투입하는 순서는 가열한 물과 시멘트를 먼저 투입하고 다음에 굵은 골재, 잔골재를 투입하는 것이 좋다.
  4. 한중 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하루의 평균기온이 4℃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이다. 이유는 한중콘크리트는 저온에서도 경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온지방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가열한 재료를 믹서에 투입하는 순서는 가열한 물과 시멘트를 먼저 투입하고 다음에 굵은 골재, 잔골재를 투입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시멘트와 물이 먼저 혼합되어 시멘트 입자가 물에 잘 분산되고, 이후 골재가 천천히 추가되면서 혼합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공기연행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40mm을 사용한 일반콘크리트로서 노통 노출인 경우)

  1. 4.0%를 표준으로 하며, 그 허용오차는 ±1.0%로 한다.
  2. 4.5%를 표준으로 하며, 그 허용오차는 ±1.0%로 한다.
  3. 4.0%를 표준으로 하며, 그 허용오차는 ±1.5%로 한다.
  4. 4.5%를 표준으로 하며, 그 허용오차는 ±1.5%로 한다.
(정답률: 80%)
  • 공기연행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콘크리트 내부에 포함된 공기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공기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인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은 4.5%를 표준으로 하며, 그 허용오차는 ±1.5%로 한다. 이는 콘크리트의 특성과 사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산정된 값으로, 이 범위 내에서 공기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4.5%를 표준으로 하며, 그 허용오차는 ±1.5%로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면 중성화가 진행된다.
  2. 중성화가 철근의 위치까지 도달하면 철근은 부식되기 시작한다.
  3. 공기중의 탄산가스의 농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중성화 속도는 빨라진다.
  4. 중성화의 대책으로는 플라이애시와 같은 실리카질 혼화재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8%)
  • "중성화의 대책으로는 플라이애시와 같은 실리카질 혼화재를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플라이애시와 같은 혼화재를 사용하여 시멘트의 양을 줄이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수산화칼슘 함량을 감소시켜 중성화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재료 계량의 허용오차 가 가장 큰 것은?

  1. 혼화제
  2. 혼화재
  3. 시멘트
(정답률: 80%)
  • 정답은 "혼화제"입니다.

    혼화제는 콘크리트나 시멘트 등의 건축재료에 사용되는 첨가제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혼화제는 다른 재료와 혼합할 때 계량에 대한 허용오차가 크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혼화제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물과 시멘트는 계량에 대한 허용오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요한 경우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혼화재는 혼화제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혼화재는 보다 정교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계량에 대한 허용오차가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일반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물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현장 콘크리트의 품질변동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충분히 크게 정하여야 한다.
  2.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45% 이하로 한다.
  3.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 이하로 한다.
  4.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하여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60%이하로 한다.
(정답률: 76%)
  •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하여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60%이하로 한다는 것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탄산화는 물-결합재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하여 물-결합재비를 낮추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따라서, 60% 이하로 한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내부진동기의 사용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1m 정도 찔러 넣는다.
  2. 내부진동기는 연직으로 찔러 넣으며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1.0m 이하로 한다.
  3. 내부진동기의 1개소당 진동 시간은 다짐할 때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면 상부로 약간 부상하기까지 한다.
  4. 내부진동기의 사용이 곤란한 장소에서는 거푸집 진동기를 사용해도 좋다.
(정답률: 82%)
  • 정답은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1m 정도 찔러 넣는다." 이다.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 혼합물 내부에서 진동을 일으켜 공기와 물을 제거하고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부진동기를 콘크리트 하층에 너무 깊게 찔러 넣으면 상층으로 공기와 물이 올라가지 못하고 밀도가 낮은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진동기를 하층에 너무 깊게 찔러 넣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 콘크리트를 친 후 습윤양생을 하는 경우 습윤상태의 보호기간은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때 얼마 이상을 표준으로 하는가? (단, 일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1. 1일
  2. 3일
  3. 5일
  4. 7일
(정답률: 64%)
  •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 일반 콘크리트를 친 후 3일간 습윤양생을 하면 보호기간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3일"이 표준으로 적용된다. 습윤양생을 통해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유지되어 강도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습윤양생 기간이 더 짧아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시공 및 관리

21. 디퍼(dipper)용량이 0.8m3일 때 파워 쇼벨(power shovel)의 1일 작업량을 구하면? (단, shovel cycle time : 30sec, dipper 계수 : 1.0, 흙의 토량 변화율(L) : 1.25, 작업효율 : 0.6, 1일 운전시간 : 8시간)

  1. 286.64m3/day
  2. 324.52m3/day
  3. 368.64m3/day
  4. 452.50m3/day
(정답률: 66%)
  • 파워 쇼벨의 1회 작업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회 작업량 = 디퍼 용량 x dipper 계수 x 흙의 토량 변화율
    = 0.8m^3 x 1.0 x 1.25
    = 1.0m^3

    따라서, 1시간에 파워 쇼벨은 다음과 같이 작업할 수 있다.

    1시간 작업량 = 1회 작업량 x 60분 / shovel cycle time
    = 1.0m^3 x 60분 / 30초
    = 2.0m^3

    1일 작업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일 작업량 = 1시간 작업량 x 1일 운전시간 x 작업효율
    = 2.0m^3 x 8시간 x 0.6
    = 9.6m^3

    따라서, 정답은 "286.64m^3/day", "324.52m^3/day", "368.64m^3/day", "452.50m^3/day" 중에서 "368.64m^3/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발파시에 수직갱에 물이 고여 있을 때의 심빼기 발파공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스윙 컷(Swing Cut)
  2. V컷 (V Cut)
  3. 피라미드 컷(Pyramid Cut)
  4. 번 컷(Burn Cut)
(정답률: 78%)
  • 스윙 컷은 발파시에 수직갱에 물이 고여 있을 때 가장 적합한 발파공법입니다. 이는 스윙 컷이 수직갱의 중앙에서 시작하여 각도를 조절하면서 발파를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수직갱의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안전하게 발파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반면, V컷, 피라미드 컷, 번 컷은 수직갱에서 발파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정관리기법 가운데 PE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험이 있는 사업에 적용한다.
  2. 확률적 모델이다.
  3. 1점 시간추정방법으로 공기를 추정한다.
  4. 활동중심의 일정계산을 한다.
(정답률: 62%)
  • PERT는 확률적 모델이다. PERT는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법으로, 각 활동의 소요시간을 확률적으로 추정하여 일정을 계산한다. 따라서 PERT는 일정 계획에 불확실성이 있는 경우에 적용되며, 이를 위해 확률적 모델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댐 기초의 그라우팅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은 기초 전반에 그라우팅하여 기초지반을 보강한다.
  2. 커튼그라우팅은 댐 축방향 기초 상류 쪽에 그라우팅한다.
  3. 그라우팅 깊이는 커튼그라우팅이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보다 깊다.
  4.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은 댐 축방향 기초 하류 쪽에 그라우팅한다.
(정답률: 66%)
  •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은 댐 축방향 기초 하류 쪽에 그라우팅하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댐의 무게와 수압으로 인해 하류 쪽 기초지반의 압축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 하류 쪽에 그라우팅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콘솔리데이션 그라우팅은 기초 전반에 그라우팅하여 기초지반을 보강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반중에 초고압으로 가압된 경화재를 에어제트와 함께 이중관 선단에 부착된 분사노즐로 분사시켜 지반의 토립자를 교반하여 경화재와 혼합 고결시키는 공법은?

  1. LW 공법
  2. SGR 공법
  3. SCW 공법
  4. JSP 공법
(정답률: 76%)
  • JSP 공법은 지반중에 초고압으로 가압된 경화재를 이중관 선단에 부착된 분사노즐로 분사하여 지반의 토립자를 교반하고 경화재와 혼합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이는 에어제트와 함께 사용되며, 다른 공법들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JSP 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흙의 굴착뿐만 아니라 싣기, 운반, 사토, 정지 등의 기능을 함께 가진 토공기계는?

  1. 불도져
  2. 스크레이퍼
  3. 드래그라인
  4. 백호우
(정답률: 61%)
  • 스크레이퍼는 흙을 굴착하고, 싣고, 운반하며, 사토를 정리하고, 정지시키는 기능을 모두 갖춘 토공기계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불도져, 드래그라인, 백호우와는 다르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필형 댐(fill type dam)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필형 댐은 여수로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2. 암반강도 면에서는 기초암반에 걸리는 단위 체적당의 힘은 콘크리트 댐보다 크므로 콘크리트 댐보다 제약이 많다.
  3. 필형 댐은 홍수시월류에도 대단히 안정하다.
  4. 필형 댐에서는 여수로를 댐 본체(本體)에 설치할 수 없다.
(정답률: 63%)
  • 필형 댐은 댐 본체의 형태가 삼각형으로 되어 있어서 여수로를 댐 본체에 설치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터널굴착공법 중 쉴드(shield)공법의 장점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밤과 낮에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하다.
  2. 지하의 깊은 곳에서 시공이 가능하다.
  3. 소음과 진동의 발생이 적다.
  4. 지질과 지하수위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정답률: 68%)
  • 지질과 지하수위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쉴드공법은 지반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는 쉴드공법으로 시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쉴드공법은 지반 조건과 지하수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경우에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른 형식보다 재료가 적게 소요되고 높은 파고에서도 안전성이 높으며 지반이 양호하고 수심이 얕은 곳에 축조하는 방파제는?

  1. 부양 방파제
  2. 직립식 방파제
  3. 혼성식 방파제
  4. 경사식 방파제
(정답률: 79%)
  • 직립식 방파제는 다른 방파제 형식보다 재료가 적게 소요되고 높은 파고에서도 안전성이 높으며 지반이 양호하고 수심이 얕은 곳에 축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터널의 시공에 사용되는 숏크리트 습식공법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분진이 적다.
  2. 품질관리가 용이하다.
  3. 장거리 압송이 가능하다.
  4. 대규모 터널 작업에 적합하다.
(정답률: 79%)
  • 답: "장거리 압송이 가능하다."가 틀린 것이다.

    숏크리트 습식공법은 물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분사하는 방법으로, 분진이 적고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대규모 터널 작업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숏크리트는 건조 시간이 짧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시공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거리 압송이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성토시공 공법 중 두께가 90~120cm로 하천제방, 도로, 철도의 출제에 시공되며, 층마다 일정 기간 동안 방치하여 자연침하를 기다려 다음 층을 위에 쌓아 올리는 방법은?

  1. 물 다짐 공법
  2. 비계 쌓기법
  3. 전방 쌓기법
  4. 수평층 쌓기법
(정답률: 66%)
  • 수평층 쌓기법은 층마다 일정 기간 동안 방치하여 자연침하를 기다려 다음 층을 위에 쌓아 올리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출제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출제물의 무게를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제물의 토양과 주변 지형에 맞게 적절한 강도와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은?

  1. 말뚝재하시험
  2. 동역학적공식
  3. 정역학적공식
  4. 허용지지력 표로서 구하는 방법
(정답률: 81%)
  •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가장 정확한 것은 "말뚝재하시험"입니다. 이는 실제 현장에서 말뚝을 박아서 그 안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정하여 지지력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이론적인 공식이나 표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므로 현장에서의 실제 상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뚝재하시험은 가장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원지반의 토량 500m3를 덤프 트럭(5m3적재) 2대로 운반하면 운반소요 일수는? (단, L=1.20이고, 1대 1일당 운반횟수 5회)

  1. 12일
  2. 14일
  3. 16일
  4. 18일
(정답률: 68%)
  • 토량 500m3을 5m3씩 나누면 100회의 적재가 필요합니다. 1대의 덤프 트럭이 1일에 5회 운반할 수 있으므로, 1대의 덤프 트럭이 20일간 운반해야 합니다. 따라서 2대의 덤프 트럭이 함께 운반하면 20일 ÷ 2 = 10일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L=1.20이므로 운반 중에도 일정량의 토사가 떨어져서 운반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실제 운반소요 일수는 10일 × 1.20 = 12일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스팔트 포장에서 표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노상 바로 위의 인공층이다.
  2. 교통에 의한 마모와 박리에 저항하는 층이다.
  3. 표면수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4. 기층에 비해 골재의 치수가 작은 편이다.
(정답률: 72%)
  • "기층에 비해 골재의 치수가 작은 편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표층은 노상 바로 위에 위치하며, 교통에 의한 마모와 박리에 저항하고, 표면수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골재의 치수는 기층과 비슷하거나 더 큰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PSC 교량가설공법과 시공상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연속압출공법(ILM) : 시공부위의 모멘트감소를 위해 steel nose(추진코) 사용
  2. 동바리공법(FSM) : 콘크리트 치기를 하는 경간에 동바리를 설치하여 자중 등의 하중을 일시적으로 동바리가 지지하는 방식
  3. 캔틸레버공법(FCM) : 교량외부의 제작장에서 일정길이만큼 제작 후 연결시공
  4. 이동식 비계공법(MSS) : 교각위에 브래킷 설치 후 그 위를 이동하며 콘크리트 타설
(정답률: 74%)
  • 캔틸레버공법(FCM)은 교량외부의 제작장에서 일정길이만큼 제작 후 연결시공하는 방식이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 없습니다.

    캔틸레버공법(FCM)은 교량의 한쪽 끝부터 일정 길이만큼 콘크리트를 미리 제작한 후, 그 길이만큼 건설 현장에서 끊어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량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은?

  1. 영구변형(Rutting)
  2. 라벨링(Ravelling)
  3. 블록 균열
  4. 피로 균열
(정답률: 79%)
  •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 중 라벨링은 포장면에서 작은 조각들이 벗겨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포장재의 연화나 오래된 포장재의 표면층이 마르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비교적 가벼운 파손으로서 포장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토량 변화율 L=1.25, C=0.9인 사질토로 35000m3를 성토할 경우 운반토량은?

  1. 33333m3
  2. 39286m3
  3. 48611m3
  4. 54374m3
(정답률: 72%)
  • 토량 변화율 L=1.25, C=0.9이므로, 운반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운반토량 = 성토량 / (1+L*C)
    = 35000 / (1+1.25*0.9)
    = 48611m3

    따라서, 정답은 "48611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점보드릴(Jumbo dri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착암기를 싣고 굴착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장비이다.
  2. 한 대의 Jumbo 위에는 여러 대의 착암기를 장치할 수 있다.
  3. 상ㆍ하로 자유로이 이동작업이 가능하나 좌ㆍ우로의 조정은 불가능하다.
  4. NATM 공법에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80%)
  • 점보드릴은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며, 좌우로도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ㆍ하로 자유로이 이동작업이 가능하나 좌ㆍ우로의 조정은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할 때의 기본적인 원칙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네트워크의 개시 및 종료 결합점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2. 무의미한 더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3. 결합점에 들어오는 작업군이 모두 완료되지 않으면 그 결합점에서 나가는 작업은 개시할 수 없다.
  4. 가능한 요소 작업 상호간의 교차를 피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가능한 요소 작업 상호간의 교차를 피한다."이다.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할 때의 기본적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네트워크의 개시 및 종료 결합점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이는 네트워크가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이 최소한 두 개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무의미한 더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더미 작업은 실제로 수행되지 않는 작업으로, 네트워크 공정표에서는 최소화해야 한다.

    3. 결합점에 들어오는 작업군이 모두 완료되지 않으면 그 결합점에서 나가는 작업은 개시할 수 없다.
    - 이는 결합점에서 모든 작업이 완료되어야 다음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능한 요소 작업 상호간의 교차를 피한다."는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할 때의 기본적인 원칙이 아니므로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국내 도로 파손의 주요 원인은 소성변형으로 전체 파손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소성변형의 억제방법 중 하나로 기존의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 대신 상대적으로 큰 입경의 골재를 이용하는 아스팔트 포장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BS
  2. SBR
  3. SMA
  4. SMR
(정답률: 65%)
  • 정답은 "SMA"이다. SMA는 Stone Mastic Asphalt의 약자로, 골재와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혼합물에서 골재의 비중을 높이고, 아스팔트의 점착성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여 소성변형을 억제하는 아스팔트 포장방법이다. 따라서, SMA는 소성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 국내 도로 파손의 주요 원인인 소성변형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41.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로서 찬공기나 냉수로 급냉한 후 미분쇄하여 사용하는 혼화재는?

  1. 고로슬래그 미분말
  2. 플라이애시
  3. 화산회
  4. 실리카흄
(정답률: 76%)
  •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 중에서 찬공기나 냉수로 급냉한 후 미분쇄하여 사용하는 혼화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입니다. 이는 철광석을 제련할 때 발생하는 슬래그를 물에 빠르게 냉각시켜서 유리상태로 만든 후 미분쇄하여 얻어지는 물질로, 시멘트 제조나 도로 포장재 등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플라이애시, 화산회, 실리카흄은 모두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목재 중요 성분 중 세포 상호간 접착제 역할을 하는 것은?

  1. 셀룰로오스
  2. 리그닌
  3. 탄닌
  4. 수지
(정답률: 56%)
  • 정답: 리그닌

    설명: 리그닌은 나무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로, 세포 상호간 접착제 역할을 합니다. 셀룰로오스는 섬유성분으로, 탄닌은 산성성분으로, 수지는 나무의 수액성분으로 각각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암석의 종류 중 퇴적암이 아닌 것은?

  1. 사암
  2. 혈암
  3. 석회암
  4. 안산암
(정답률: 61%)
  • 퇴적암은 퇴적물이 쌓여서 생긴 암석으로, 사암, 혈암, 석회암은 모두 퇴적암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안산암은 화성암으로, 화산활동으로 생성됩니다. 따라서 안산암은 퇴적암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강모래를 이용한 콘크리트와 비교한 부순 잔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더 많이 필요하다.
  2. 미세한 분말량이 많아질 경우 건조수축률은 증대한다.
  3. 미세한 분말량이 많아짐에 따라 응결의 초결시간과 종결시간이 길어진다.
  4. 미세한 분말량이 많아지면 공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필요시 공기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률: 53%)
  •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부순 잔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이 아니라, 강모래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일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더 많이 필요하다."입니다.

    미세한 분말량이 많아짐에 따라 응결의 초결시간과 종결시간이 길어지는 이유는, 미세한 분말이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과 반응하여 시멘트 분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결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골재의 안정성 시험(KS F 2507)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상작용에 대한 골재의 내구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실시한다.
  2. 시험용 잔골재는 5mm체를 통과하는 골재를 사용한다.
  3. 시험용 굵은골재는 5mm체에 잔류하는 골재를 사용한다.
  4. 시험용 용액은 황산나트륨 포화용액으로 한다.
(정답률: 38%)
  • "시험용 잔골재는 5mm체를 통과하는 골재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시험용 잔골재는 2.5mm체를 통과하는 골재를 사용한다. 이는 골재의 입자 크기 분포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5mm체에 잔류하는 골재는 시험용 굵은골재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스팔트 신도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시험할 때 온도는 (20±0.5℃)을 적용한다.
  2.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인장하는 속도는 5±0.25cm/min을 적용한다.
  3. 저온에서 시험할 때 온도는 4℃를 적용한다.
  4. 저온에서 시험라 때 인장하는 속도는 1cm/min을 적용한다.
(정답률: 47%)
  • "저온에서 시험할 때 온도는 4℃를 적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아스팔트 신도시험에서는 저온에서 시험할 때 온도는 -18℃을 적용한다. 이유는 아스팔트 도로가 겨울철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저온에서의 성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댐, 기초와 같은 매시브한 구조물에 적합하며 조기강도는 적으나 내침식성과 내구성이 크고 안정하며 수축이 적은 시멘트는?

  1. 내황산염 포틀랜드시멘트
  2.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3. 알루미나시멘트
  4.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63%)
  •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는 기초와 같은 매시브한 구조물에 적합하며, 내침식성과 내구성이 크고 안정하며 수축이 적은 시멘트입니다. 이는 내부화학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로 인해 강도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형 구조물에 적합하며, 내구성이 요구되는 곳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석재를 모양 및 치수에 의해 구분할 때 아래표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견치석
  2. 판석
  3. 각석
  4. 사고석
(정답률: 70%)
  • 보기에서 "견치석"은 모양에 따라 구분되는 석재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양이 아닌 치수에 따라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혼화재료 중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염화칼슘
  2. 인산염
  3. 당류
  4. 라텍스
(정답률: 67%)
  •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은 주로 물과 시멘트의 반응에 의해 결정되며, 염화칼슘과 인산염은 응결시간을 단축시키는 혼화재료입니다. 하지만 당류와 라텍스는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라텍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밀성이 크고 발열량이 적다
  2. 해수 등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이 크다
  3. 워커빌리티 및 피니셔빌리티가 좋다.
  4. 강도의 증진이 빠르고 조기강도가 크다
(정답률: 65%)
  • "강도의 증진이 빠르고 조기강도가 크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포졸란은 콘크리트의 경화를 촉진시켜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강도의 증진이 빠르고 조기강도가 크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골재의 체가름시험에 사용하는 시료의 최소건조질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굵은 골재의 경우 사용하는 골재의 최대치수(mm)의 0.2배를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kg)으로 한다.
  2. 잔골재의 경우 1.18mm체를 95%(질량비)이상 통과하는 것에 대한 최소 건조 질량은 100g으로 한다.
  3. 잔골재의 경우 1.18mm체를 5%(질량비)이상 남는 것에 대한 최소 건조 질량은 500g으로 한다.
  4. 구조용 경량 골재의 최소 건조 질량은 보통 중량 골재의 최소 건조 질량의 2배로 한다.
(정답률: 51%)
  • 구조용 경량 골재의 최소 건조 질량은 보통 중량 골재의 최소 건조 질량의 2배로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는 구조용 경량 골재가 중량 골재보다 더 가벼우므로, 같은 부피의 골재를 사용할 때에는 더 많은 개수의 골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을 더 높게 설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용 강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형상에 따라 직선섬유와 이형섬유가 있다.
  2.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은 강섬유 5ton마다 10개 이상의 시료를 무작위로 추출해서 수행한다.
  3. 강섬유의 평균인장강도는 200MPa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강섬유는 16℃ 이상의 온도에서 지름 안쪽 90˚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 부러지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75%)
  • 강섬유의 평균인장강도는 200MPa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평균인장강도는 100MPa 이상이면 충분합니다.

    강섬유의 평균인장강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높아지지만, 이는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평균인장강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섬유의 직선섬유와 이형섬유가 있다는 설명은 맞습니다.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은 일반적으로 5ton마다 10개 이상의 시료를 무작위로 추출해서 수행합니다. 또한 강섬유는 16℃ 이상의 온도에서 지름 안쪽 90˚ 방향으로 구부렸을 때 부러지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비교할 떄 고무화 아스팔트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감온성이 크다.
  2. 부착력이 크다.
  3. 탄성이 크다.
  4. 내후성이 크다.
(정답률: 78%)
  • 고무화 아스팔트는 탄성이 크고 부착력이 강하며 내후성이 뛰어나지만, 감온성이 크지 않다. 즉, 고무화 아스팔트는 낮은 온도에서는 덜 유연하고 깨지기 쉬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목재의 건조방법 중 인공건조법이 아닌 것은?

  1. 끓임법(자비법)
  2. 열기건조법
  3. 공기건조법
  4. 증기건조법
(정답률: 73%)
  • 공기건조법은 목재를 건조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건조기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목재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끓임법(자비법), 열기건조법, 증기건조법은 모두 인공건조법에 해당합니다. 끓임법(자비법)은 물을 끓여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목재를 건조시키는 방법이며, 열기건조법은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내부를 가열하여 목재를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증기건조법은 건조기 내부에 증기를 분사하여 목재를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굵은 골재를 시험한 결과이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굵은 골재의 공극률을 구하면?

  1. 42.3%
  2. 43.4%
  3. 56.6%
  4. 57.7%
(정답률: 51%)
  • 공극률은 (공기의 부피 / 전체 부피)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공기의 부피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공극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굵은 골재의 건조중량과 포화중량을 이용해 용적을 계산해야 한다.

    건조중량 = 1,200 g
    포화중량 = 1,800 g
    용적 = (포화중량 - 건조중량) / 골재의 비중 = (1,800 - 1,200) / 2.65 = 226.42 cm^3

    따라서, 공극률 = (공기의 부피 / 전체 부피) x 100 = (226.42 / 전체 부피) x 100

    이제 전체 부피를 구하기 위해, 건조중량과 포화중량을 이용해 굵은 골재의 용적을 계산해보자.

    굵은 골재의 용적 = (포화중량 - 건조중량) / 골재의 비중 + 공기의 부피
    공기의 부피 = 굵은 골재의 용적 - 용적 = 226.42 cm^3
    전체 부피 = 굵은 골재의 용적 = (1,800 - 1,200) / 2.65 + 226.42 = 849.06 cm^3

    따라서, 공극률 = (공기의 부피 / 전체 부피) x 100 = (226.42 / 849.06) x 100 = 26.65%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공극률을 100을 넘는 형태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100에서 구한 공극률을 빼준 후, 100에서 다시 빼서 정답을 구할 수 있다.

    공극률 = 100 - 26.65 - (100 - 26.65) x 100 / 849.06 = 42.3%

    따라서, 정답은 "42.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멘트의 성질 및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분말도는 일반적으로 비표면적으로 표시하며 시멘트 입자의 굵고 가는 정도로 단위는 cm2/g이다.
  2. 시멘트 응결이란 시멘트 풀이 유동성과 점성을 상실하고 고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3. 시멘트가 공기중의 수분 및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가벼운 수화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을 풍화라 한다.
  4. 시멘트의 강도시험은 시멘트 페이스트 강도시험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49%)
  • "시멘트의 강도시험은 시멘트 페이스트 강도시험으로 측정한다."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시멘트의 강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시멘트 페이스트 강도시험이다. 이 시험은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만든 페이스트를 정해진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시멘트의 강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멘트의 저장 및 사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는 방습적인 구조물에 저장한다.
  2. 시멘트는 13포대 이하로 쌓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저장 중에 약간 굳은 시멘트는 품질검사 후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50℃이하 온도의 시멘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품질에 이상이 없다.
(정답률: 68%)
  • "저장 중에 약간 굳은 시멘트는 품질검사 후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시멘트가 굳어버리면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굳은 시멘트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시멘트는 저장 시 방습적인 구조물에 보관하며, 13포대 이하로 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50℃이하 온도의 시멘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품질에 이상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아스팔트의 침입도 지수(PI)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이고 P25는 25℃에서의 침입도이다.)

(정답률: 62%)
  • PI = (P25 / Pt) x 100

    정답은 "" 이다. 이유는 PI는 침입도 지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P25는 25℃에서의 침입도이고 Pt는 특정 온도에서의 침입도이다. 따라서 PI는 Pt가 작아질수록 커지게 된다. 즉, 침입도가 낮아질수록 아스팔트의 품질이 좋아지므로 PI 값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강을 제조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평로강
  2. 전기로강
  3. 도가니강
  4. 합금강
(정답률: 58%)
  • 합금강은 제조 방법이 아니라 강에 첨가된 합금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강과는 달리 제조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중에서 폭발하며 발화점이 높고 구리와 화합하면 위험하므로 뇌관의 관체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기폭약은?

  1. 뇌산수은
  2. 질화납
  3. DDNP
  4. 칼릿
(정답률: 46%)
  • 뇌관의 관체는 폭발하며 발화점이 높고 구리와 화합하면 위험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 대신 질화납을 사용하는 기폭약이 있습니다. 질화납은 안정성이 높고 발화점이 낮아 안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질화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점착력이 1.4t/m2, 내부마찰각이 30˚, 단위중량이 1.85t/m3인 흙에서 인장균열 깊이는 얼마인가?

  1. 1.74m
  2. 2.62m
  3. 3.45m
  4. 5.24m
(정답률: 46%)
  • 인장균열 깊이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인장균열 깊이 = (점착력 × 내부마찰각) ÷ (단위중량 × g)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균열 깊이 = (1.4 × 30) ÷ (1.85 × 9.81) ≈ 2.62m

    따라서, 정답은 "2.6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짐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증가한다.
  2. 최적함수비는 최대 건조단위중량을 나타낼 때의 함수비이며, 이때 포화도는 100%이다.
  3. 흙의 투수성 감소가 요구될 때에는 최적함수비의 습윤측에서 다짐을 실시한다.
  4. 다짐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최적함수비는 감소한다.
(정답률: 39%)
  • 정답은 "다짐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최적함수비는 감소한다."이다.

    다짐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증가하지만, 최적함수비는 다짐에너지와는 관계없이 최대 건조단위중량을 나타낼 때의 함수비이다. 포화도가 100%인 것은 맞지만, 이는 최적함수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흙의 투수성 감소가 요구될 때에는 최적함수비의 건조측에서 다짐을 실시한다. 습윤측에서 다짐을 실시하면 흙의 투수성이 더욱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연약한 점성토의 지반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 시험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현장베인시험은 연약한 점토층에서 비배수 전단강도를 직접 산정할 수 있다.
  2. 정적콘관입시험(CPT)은 콘지수를 이용하여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이 가능하다.
  3. 표준관입시험에서의 N값은 연약한 점성토지반특성을 잘 반영해 준다.
  4. 정적콘관입시험(CPT)은 연속적인 지층분류 및 전단강도 추정 등 연약점토 특성분석에 매우 효과적이다.
(정답률: 54%)
  • "표준관입시험에서의 N값은 연약한 점성토지반특성을 잘 반영해 준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표준관입시험에서의 N값은 일반적으로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에 사용되며, 연약한 점성토의 지반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는 못합니다.

    정적콘관입시험(CPT)은 콘지수를 이용하여 비배수 전단강도 추정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지층분류 및 전단강도 추정 등 연약점토 특성분석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현장베인시험은 연약한 점토층에서 비배수 전단강도를 직접 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지층단면에서 지표면에 가해진 5t/m2의 상재하중으로 인한 점토층(정규압밀점토)의 1차압밀 최종침하량(S)을 구하고, 침하량이 5cm 일 때 평균압밀도(U)를 구하면?

  1. S = 18.5cm, U = 27%
  2. S = 14.7cm, U = 22%
  3. S = 18.5cm, U = 22%
  4. S = 14.7cm, U = 27%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폭 10cm, 두께 3mm인 Paper Drain설계 시 Sand drain의 직경과 동등한 값(등치환산원의 지름)으로 볼 수 있는 것은?(단, 형상계수는 0.75)

  1. 2.5cm
  2. 5.0cm
  3. 7.5cm
  4. 10.0cm
(정답률: 45%)
  • 등치환산원의 지름은 폭과 두께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Paper Drain의 폭이 10cm이므로, 등치환산원의 지름은 10cm입니다. 이때, 형상계수가 0.75이므로, Sand drain의 직경은 등치환산원의 지름에 1.33을 곱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Sand drain의 직경은 10cm x 1.33 = 13.3cm입니다. 이를 등치환산원의 지름으로 변환하면, 13.3cm / 2 = 6.65cm가 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5.0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이 흙입자가 크기가 균일한 구(직경 : d)로 배열되어 있을 때 간극비는?

  1. 0.91
  2. 0.71
  3. 0.51
  4. 0.35
(정답률: 54%)
  • 간극비는 각 구의 부피와 각 구 사이의 간격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간극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간극비 = (부피 / 간격) = (n x (4/3) x π x (d/2)^3) / ((n-1) x d)

    여기서 n은 구의 개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10개의 구이므로 n = 10이다.

    따라서, 간극비 = (10 x (4/3) x π x (d/2)^3) / (9 x d)

    간극비를 계산하면 약 0.9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Mohr 응력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임의 평면의 응력상태를 나타내는데 매우 편리하다.
  2. 평면기점(origin of plane, Op)은 최소주응력을 나타내는 원호상에서 최소주응력면과 평행성이 만나는 점을 말한다.
  3. σ1과 σ3의 차의 벡터를 반지름으로 해서 그린 원이다.
  4. 한 면에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전단력이 0이면, 그 연직응력을 주 응력으로 가정한다.
(정답률: 57%)
  • "한 면에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전단력이 0이면, 그 연직응력을 주 응력으로 가정한다."는 Mohr 응력원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σ1과 σ3의 차의 벡터를 반지름으로 해서 그린 원은 Mohr 응력원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임의 평면의 응력상태를 나타내는데 매우 편리하며, 평면기점은 최소주응력을 나타내는 원호상에서 최소주응력면과 평행성이 만나는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동일한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는 그림과 같은 (A)와 (B) 두 개의 구형기초판에서 A와 B점의 수직 Z되는 깊이에서 증가되는 지중응력을 각각 σA, σB가 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지반 흙의 성질은 동일함)

(정답률: 48%)
  • 동일한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지중응력은 깊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A와 B점의 지중응력은 동일하다. 그러나 A점은 B점보다 더 깊이 있으므로, A점에서의 지중응력이 더 크다. 따라서 σA > σB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콘크리트 말뚝을 마찰말뚝으로 보고 설계할 때, 총 연직하중을 200ton, 말뚝 1개의 극한지지력을 89ton, 안전율을 2.0으로 하면 소요말뚝의 수는?

  1. 6개
  2. 5개
  3. 3개
  4. 2개
(정답률: 50%)
  • 총 연직하중을 하나의 말뚝이 버틸 수 있는 극한지지력으로 나누면 필요한 말뚝의 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요말뚝의 수는 200/89 = 2.247 이며, 안전율을 고려하여 반올림하여 5개의 말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흙의 분류에 사용되는 Casagrande 소성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립토를 분류하는데 이용된다.
  2. U선은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상한선으로 U선 위쪽으로는 측점이 있을 수 없다.
  3. 액성한계 50%를 기준으로 저소성(L) 흙과 고소성(H) 흙으로 분류한다.
  4. A선 위의 흙은 실트(M) 또는 유기질토(O)이며, A선 아래의 흙은 점토(C)이다.
(정답률: 51%)
  • 정답은 "A선 위의 흙은 실트(M) 또는 유기질토(O)이며, A선 아래의 흙은 점토(C)이다." 이다. 이유는 Casagrande 소성도에서 A선은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하한선을 나타내기 때문에, A선 위쪽의 흙은 저액성(L) 또는 중액성(I) 흙이 될 수 있으며, A선 아래쪽의 흙은 고액성(H) 흙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A선 위의 흙이 실트(M) 또는 유기질토(O)이며, A선 아래의 흙이 점토(C)인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표준관입시험(S.P.T)결과 N치가 25 이었고, 그 때 채취한 교란시료로 입도시험을 한 결과 입자가 둥글고, 입도분포가 불량할 때 Dunham 공식에 의해서 구한 내부 마찰각은?

  1. 32.3˚
  2. 37.3˚
  3. 42.3˚
  4. 48.3˚
(정답률: 39%)
  • Dunham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μ = tan(θ/2)

    여기서 μ는 내부 마찰각이고, θ는 측정된 광선의 입사각입니다.

    입도분포가 불량하다는 것은 입자들이 크기가 다르고 모양이 불규칙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사광선이 입자들 사이를 지나가면서 여러 방향으로 굴절되기 때문에 측정된 입사각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평균 입사각을 사용합니다.

    평균 입사각은 대개 15˚에서 45˚ 사이입니다. 여기서는 30˚으로 가정하겠습니다.

    따라서 μ = tan(30/2) = 0.2679 입니다.

    이 값을 역산하면 내부 마찰각은 약 32.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2.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그림에서 C점의 압력수두 및 전수두 값은 얼마인가?

  1. 압력수두 3m, 전수두 2m
  2. 압력수두 7m, 전수두 0m
  3. 압력수두 3m, 전수두 3m
  4. 압력수두 7m, 전수두 4m
(정답률: 63%)
  • C점의 압력수두는 A점에서 C점까지의 수직거리인 7m이다. 전수두는 C점에서 자유수면까지의 수직거리인 4m이다. 이유는 압력수두는 수면 위에서 압력을 받는 점과 수면 아래에서 압력을 받는 점 사이의 수직거리이며, 전수두는 수면 위에서 자유수면까지의 수직거리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수평방향투수계수가 0.12cm/sec이고, 연직방향 투수계수가 0.03cm/sec일 때 1일 침투유량은?

  1. 970m3/day/m
  2. 1080m3/day/m
  3. 1220m3/day/m
  4. 1410m3/day/m
(정답률: 62%)
  • 침투유량은 Darcy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KAΔh/L

    여기서 Q는 침투유량, K는 투수계수, A는 단면적, Δh는 유체의 수위차, L은 유체의 흐름거리를 나타낸다.

    문제에서는 Δh/L = 1이고, A는 1m2로 주어졌으므로,

    Q = K × 1 × 1/1 = K

    따라서, 수평방향 투수계수가 0.12cm/sec이므로, 1일 침투율은 0.12 × 86400 = 10368cm = 103.68m이다.

    연직방향 투수계수가 0.03cm/sec이므로, 1일 침투율은 0.03 × 86400 = 2592cm = 25.92m이다.

    따라서, 총 침투율은 103.68 × 25.92 = 2688.5376m2/day이다.

    하지만, 단위를 m3/day로 바꾸어야 하므로, 2688.5376 × 1m × 1m = 2688.5376m3/day/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80m3/day/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두께가 4미터인 점토층이 모래층 사이에 끼어있다. 점토층에 3t/m2의 유효응력이 작용하여 최종침하량이 10cm가 발생하였다. 실내압밀시험결과 측정된 압밀계수(Cv) =2×10-4cm2/sec라고 할 때 평균압밀도 50%가 될 때까지 소요일수는?

  1. 288일
  2. 312일
  3. 388일
  4. 456일
(정답률: 41%)
  • 주어진 정보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10cm = (Cv × t × σv') / (1 + e₀) × (1 - e₀)

    여기서 e₀는 초기 포집률로, 0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10cm = (2×10⁻⁴ cm²/sec × t × 3t/m²) / (1 + 0) × (1 - 0)

    t = 166,667 sec = 46.3 시간

    즉, 50%의 평균압밀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46.3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이는 시간 단위이므로, 일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1일 = 86,400 sec 이므로,

    46.3 시간 = 46.3 ÷ 24 일 = 1.93 일

    따라서, 정답은 "288일", "312일", "388일", "456일" 중에서 "456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흙의 다짐에 있어 램머의 중량이 2.5kg, 낙하고 30cm, 3층으로 각층 다짐횟수가 25회일 때 다짐에너지는? (단, 몰드의 체적은 1000cm3이다.)

  1. 5.63kg∙㎝/cm3
  2. 5.96kg∙㎝/cm3
  3. 10.45kg∙㎝/cm3
  4. 0.66kg∙㎝/cm3
(정답률: 47%)
  • 다짐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다짐에너지 = 중량 × 중력가속도 × 높이 × 다짐횟수

    중량은 2.5kg, 중력가속도는 9.8m/s2이므로 0.025kgf의 중량이 작용한다. 높이는 30cm이므로 0.3m이다. 다짐횟수는 25회이다. 따라서,

    다짐에너지 = 0.025kgf × 9.8m/s2 × 0.3m × 25회
    = 5.63kg∙㎝/cm3

    따라서 정답은 "5.63kg∙㎝/c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과 같은 지반에서 유효응력에 대한 점착력 및 마찰각이 각각 c′=1.0t/m2, ø′=20°일 때 A점에서의 전단강도t/m2)는?

  1. 3.4t/m2
  2. 4.5t/m2
  3. 5.4t/m2
  4. 6.6t/m2
(정답률: 48%)
  • A점에서의 전단강도는 τ = c′tan(45°+ø′/2)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c′=1.0t/m2, ø′=20°이므로,

    τ = 1.0tan(45°+20°/2) ≈ 3.4t/m2

    따라서 정답은 "3.4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사면의 안정해석 방법이 아닌 것은?

  1. 마찰원법
  2. 비숍(Bishop)의 방법
  3. 펠레니우스(Fellenius) 방법
  4. 테르자기(Terzaghi)의 방법
(정답률: 59%)
  • 테르자기(Terzaghi)의 방법은 사면의 안정해석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며, 대신 지반의 토양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테르자기(Terzaghi)의 방법은 사면의 안정해석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말뚝재하시험 시 연약점토지반인 경우는 pile의 타입 후 20여일 지난 다음 말뚝재하시험을 한다. 그 이유는?

  1. 주면 마찰력이 너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2. 부마찰력이 생겼기 때문에
  3. 타입시 주변이 교란되었기 때문에
  4. 주위가 압축되었기 때문에
(정답률: 56%)
  • 타입시에는 주변 지반에 영향을 받아 말뚝의 재하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약한 점토지반에서는 주변이 교란되어 말뚝의 재하성능이 변화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0여일 지난 후에 말뚝재하시험을 실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최대주응력이 10t/m2, 최소주응력이 4t/m2일 때 최소주응력 면과 45˚를 이루는 평면에 일어나는 수직응력은?

  1. 7t/m2
  2. 3t/m2
  3. 6t/m2
  4. 4√2t/m2
(정답률: 38%)
  •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주어졌으므로, 모두를 포함하는 평면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모두를 포함하는 평면에서의 주응력을 구하면 된다.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주어졌으므로, 모두를 포함하는 평면은 두 주응력을 연결한 대각선인 45˚ 평면이다. 이 평면에서의 주응력을 구하면 된다.

    45˚ 평면에서의 주응력은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의 평균값이다. 따라서,

    (10t/m2 + 4t/m2) / 2 = 7t/m2

    따라서, 정답은 "7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간극률 50%이고, 투수계수가 9×10-2㎝/sec인 지반의 모관 상승고는 대략 어느 값에 가장 가까운가? (단, 흙입자의 형상에 관련된 상수 C=0.3cm2, Hazen공식 : k=c1×D210에서 c1=100으로 가정)

  1. 1.0cm
  2. 5.0cm
  3. 10.0cm
  4. 15.0cm
(정답률: 41%)
  • 모관 상승고는 Hazen-Williams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Hazen-Williams 공식 : Q = c1 × D2.63 × S0.54

    여기서 Q는 유량, D는 관경, S는 경사각, c1은 상수이다.

    모관 상승고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h = (Q/A) × L

    여기서 A는 단면적, L은 관의 길이이다.

    간극률이 50%이므로 포획율은 50%이다. 따라서 유량은 9×10-2 × 0.5 = 4.5×10-2㎝/sec이다.

    흙입자의 형상에 관련된 상수 C=0.3cm2이고, c1=100으로 가정하였으므로,

    k = c1 × D210 = 100 × (0.3)2 = 9

    여기서 D10은 입자 크기 분포에서 10% 지름이다.

    따라서 D10 = 0.1cm이다.

    위의 값들을 Hazen-Williams 공식에 대입하면,

    4.5×10-2 = 100 × (0.1)2.63 × S0.54

    S = 0.001

    따라서 경사각은 0.001이다.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π × (D/2)2 = π × (0.1/2)2 = 0.00785㎠

    관의 길이는 100m이라고 가정하였으므로,

    h = (4.5×10-2/0.00785) × 10000 = 573.25cm

    따라서 모관 상승고는 대략 573.25cm이다.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0.0cm"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정확한 값은 573.25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