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실내건축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장식물의 선정과 배치상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좋고 귀한 것은 돋보일 수 있도록 많이 진열한다.
  2. 여러 장식품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한다.
  3. 계절에 따른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4. 형태, 스타일, 색상 등이 실내공간과 어울리도록 한다.
(정답률: 86%)
  • "좋고 귀한 것은 돋보일 수 있도록 많이 진열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너무 많은 장식물을 진열하면 공간이 혼잡해 보이고, 장식물들이 서로 겹쳐 보이거나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의 장식물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너무 많은 장식물을 진열하면 공간이 혼잡해 보이고, 장식물들이 서로 겹쳐 보이거나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수의 장식물을 선택하고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을 구성하는 수평적 요소이다.
  2. 고저차로 공간의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3. 촉각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조건을 요구한다.
  4. 벽, 천장에 비해 시대와 양식에 의한 변화가 현저하다.
(정답률: 71%)
  • "벽, 천장에 비해 시대와 양식에 의한 변화가 현저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바닥도 시대와 양식에 따라 변화하며, 예를 들어 중세 시대의 성당 바닥과 현대 건물의 바닥은 매우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2인용 침대인 더블베드(double bed)의 크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00mm×2100mm
  2. 1150mm×1800mrn
  3. 1350mm×2000mm
  4. 1600mm×2400mm
(정답률: 79%)
  • 더블베드는 일반적으로 2인용 침대로 사용되며, 편안한 수면을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크기가 작으면 불편하고, 크기가 크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당한 크기는 "1350mm×2000mm"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000mm×2100mm": 가로가 너무 짧고, 세로가 너무 길어서 2인이 사용하기에는 좁습니다.
    - "1150mm×1800mm": 가로와 세로 모두 짧아서 2인이 사용하기에는 매우 좁습니다.
    - "1350mm×2000mm": 가로와 세로 모두 적당한 크기로, 2인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 "1600mm×2400mm": 가로와 세로 모두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또한, 침대 시트나 이불 등의 용품도 큰 사이즈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2인이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는 "1350mm×2000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조닝(zoning)계획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행동반사
  2. 사용목적
  3. 사용빈도
  4. 지각심리
(정답률: 57%)
  • 조닝(zoning) 계획 시에는 지역 내 사용목적, 사용빈도, 행동반사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지각심리는 조닝 계획 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과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지각심리란 인간이 자신의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조닝 계획은 이러한 인간의 지각심리를 고려하여 지역을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내 사용 목적과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지역을 분할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착시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길이의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길어 보인다.
  2. 사선이 2개 이상의 평행선으로 중단되면 서로 어긋나 보인다.
  3. 같은 크기의 2개의 부채꼴에서 아래쪽의 것이 위의 것보다 커 보인다.
  4. 달 또는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이 있을 때가 중천에 떠 있을 때보다 작아 보인다.
(정답률: 60%)
  • "같은 길이의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길어 보인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달 또는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이 있을 때가 중천에 떠 있을 때보다 작아 보이는 이유는, 지평선에 가까이 있을 때는 시선이 지평선과 수직적이기 때문에 거리가 가까워 보이고, 중천에 떠 있을 때는 시선이 수평선과 평행하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 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상점 내에 진열케이스를 배치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고객의 동선
  2. 마감재의 종류
  3. 실내의 색채계획
  4. 진열케이스의 수량
(정답률: 83%)
  • 고객의 동선은 상점 내에서 고객이 이동하는 경로와 방향을 의미합니다. 상점 내에 진열케이스를 배치할 때는 고객의 동선을 고려하여 진열케이스의 위치와 배치를 결정해야 합니다. 고객이 자연스럽게 진열케이스를 찾아갈 수 있도록 배치하면 상품에 대한 인지도와 구매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의 동선은 상점 내 진열케이스 배치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내디자인의 프로세스를 조사분석 단계와 디자인 단계로 나눌 경우, 다음 중 조사분석 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종합분석
  2. 정보의 수집
  3. 문제점의 인식
  4. 아이디어 스케치
(정답률: 77%)
  • 아이디어 스케치는 디자인 단계에 속하는 것이며, 조사분석 단계에서는 종합분석, 정보의 수집, 문제점의 인식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답은 "아이디어 스케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과 같은 특정을 갖는 부엌 작업대의 배치 유형은?

  1. 일렬형
  2. 병렬형
  3. ㄱ자형
  4. ㄷ자형
(정답률: 74%)
  • 일렬형은 작업대가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위의 그림에서 작업대가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렬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조명기구의 설치방법에 따른 분류에서 천장에 매달려 조명하는 방식으로 조명기구 자체가 빛을 발하는 액세서리 역할을 하는 것은?

  1. 브라켓
  2. 펜던트
  3. 스탠드
  4. 캐스케이드
(정답률: 80%)
  • 펜던트는 천장에 매달려 조명하는 방식으로, 조명기구 자체가 빛을 발하는 액세서리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분류에 해당합니다. 브라켓은 벽에 부착하는 방식, 스탠드는 바닥에 세우는 방식, 캐스케이드는 계단 등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의자 및 소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파가 침대를 겸용할 수 있는 것을 소파베드라 한다.
  2. 세티는 동일한 두 개의 의자를 나란히 합해 2인이 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3. 라운지 소파는 편히 누울 수 있도록 쿠션이 좋으며 머리와 어깨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한쪽 부분이 경사져 있다.
  4. 체스터필드는 고대 로마시대 음식물을 먹거나 잠을 자기 위해 사용했던 긴 의자로 좌판의 한쪽 끝이 올라간 형태이다.
(정답률: 65%)
  • 체스터필드는 고대 로마시대 음식물을 먹거나 잠을 자기 위해 사용했던 긴 의자로 좌판의 한쪽 끝이 올라간 형태가 아니라, 영국에서 18세기에 만들어진 가죽 소파 스타일 중 하나로, 패딩이 두껍고 뒷면과 팔걸이가 높은 디자인을 가진 소파 스타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VMD(visual merchandising)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VP
  2. PP
  3. IP
  4. POP
(정답률: 70%)
  • VMD(visual merchandising)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POP"이다. POP는 "Point of Purchase"의 약어로, 상품을 구매하는 지점에서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마케팅 도구이다. VMD는 제품의 시각적인 인상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제품의 디스플레이, 진열, 조명, 색상 등을 활용하여 고객의 눈길을 끌고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POP는 VMD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무소 건축의 엘리베이터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발 기준층은 2개 층 이상으로 한다.
  2. 승객의 층별 대기시간은 평균 운전간격 이하가 되게 한다.
  3. 군 관리운전의 경우 동일 군내의 서비스 층은 같게 한다.
  4. 초고층, 대규모 빌딩인 경우는 서비스 그룹을 분할(죠닝)하는 것을 검토한다.
(정답률: 54%)
  • "출발 기준층은 2개 층 이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출발 기준층은 최소한 1개 층이어야 하며, 건물의 구조와 용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2개 층 이상으로 한다는 제한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단독주택의 현관 위치결정에 가장 주된 영향을 끼치는 것은?

  1. 건폐율
  2. 도로의 위치
  3. 주택의 규모
  4. 거실의 크기
(정답률: 82%)
  • 단독주택의 현관 위치 결정에 가장 주된 영향을 끼치는 것은 "도로의 위치"입니다. 이는 주택의 출입구와 연결되는 도로가 주변 환경과의 접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로의 위치에 따라 주택의 입구 위치와 방향, 주차장 위치 등이 결정되며, 이는 주택의 기능성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도로의 위치는 주변 환경과의 시각적 연결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주택의 디자인과 외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개방형 사무실(open offi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음이 적고, 독립성이 있다.
  2. 전체면적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실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4. 주변공간과 관련하여 깊은 구역의 활용이 용이하다.
(정답률: 83%)
  • "소음이 적고, 독립성이 있다."는 개방형 사무실의 특징과는 맞지 않습니다. 개방형 사무실은 다수의 직원이 한 공간에서 일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개인적인 독립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황금비례를 나타낸 것은?

  1. 1 : 1.414
  2. 1 : 1.618
  3. 1 : 1.681
  4. 1 : 1.861
(정답률: 77%)
  • 정답은 "1 : 1.618"이다. 이는 황금비(Phi)로 불리는 비율로, 자연계에서 많이 나타나는 비율이다. 이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체 길이) : (더 작은 부분의 길이) = (더 작은 부분의 길이) : (더 큰 부분의 길이)

    즉, (전체 길이) / (더 작은 부분의 길이) = (더 작은 부분의 길이) / (더 큰 부분의 길이) 이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더 작은 부분의 길이)^2 = (전체 길이) x (더 큰 부분의 길이) 이다.

    이 식을 풀면 (더 작은 부분의 길이) = (전체 길이) / (황금비) 이다.

    따라서, (전체 길이) : (더 작은 부분의 길이) = (전체 길이) : ((전체 길이) / (황금비)) = 1 : 1.618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디자인 원리 중 대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반된 성격의 결합에서 이루어진다.
  2.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이다.
  3. 많은 대비의 사용은 화려하고 우아한 여성적인 이미지를 준다.
  4. 모든 시각적 요소에 대하여 상반된 성격의 결합에서 이루어진다.
(정답률: 80%)
  • "많은 대비의 사용은 화려하고 우아한 여성적인 이미지를 준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비의 사용은 이미지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지만, 그 결과는 대비의 정도와 다른 요소들과의 조합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비가 많이 사용된다고 해서 반드시 여성적인 이미지를 준다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문과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은 공간과 인접공간을 연결시켜 준다.
  2. 문의 위치는 가구배치와 동선에 영향을 준다.
  3. 이동창은 크기와 형태에 제약없이 자유로이 디자인할 수 있다.
  4. 창은 시야, 조망을 위해서는 크게 하는 것이 좋으나 보온과 개폐의 문제를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79%)
  • "이동창은 크기와 형태에 제약없이 자유로이 디자인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이동창은 고정된 크기나 형태가 없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설명에 알맞은 전시공간의 특수전시방법은?

  1. 디오라마 전시
  2. 파노라마 전시
  3. 아일랜드 전시
  4. 하모니카 전시
(정답률: 69%)
  • 이 전시공간은 360도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전시물을 중앙에 놓고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보아 파노라마 전시나 디오라마 전시가 될 수 있지만, 전시물이 섬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일랜드 전시가 가장 알맞다. 하모니카 전시는 전시물과 관련이 없는 단어이므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베네시안 블라인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평형 블라인드이다.
  2. 날개 사이에 먼지가 쌓이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3. 쉐이드라고도 하며 단순하고 깔끔한 느낌을 준다.
  4.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일광, 조망 및 시각의 차단정도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72%)
  • "쉐이드라고도 하며 단순하고 깔끔한 느낌을 준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베네시안 블라인드는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깔끔한 느낌을 주지만, 색상, 재질, 디자인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일반화된 것으로, 모든 경우에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엄숙, 의지, 신앙, 상승 등을 연상하게 하는 선은?

  1. 수직선
  2. 수평선
  3. 사선
  4. 곡선
(정답률: 78%)
  • 정답: 수직선

    설명: 수직선은 일직선상에서 수직으로 놓인 선으로, 땅과 하늘, 생과 사, 상승과 하강 등의 대립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수직선은 일정한 방향과 기준을 가지고 있어서, 정확한 위치나 거리를 나타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엄숙한 분위기나 강한 의지, 높은 신앙심, 상승하는 경향 등을 나타내는 데 수직선이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소음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음원을 음폐하고, 그 한계 내에 있는 벽을 어떤 구조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공명
  2. 분산
  3. 이동
  4. 흡음
(정답률: 78%)
  • 정답은 "흡음"입니다.

    음향의 전달을 막기 위해서는 음파를 흡수하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벽면에 흡음재를 사용하거나, 벽면 내부에 공기층을 만들어 음파를 흡수하는 방식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소음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까운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서 맺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근시
  2. 난시
  3. 원시
  4. 정상시
(정답률: 47%)
  • 정답은 "원시"이며, 이는 눈의 조절 기능이 부족하여 가까운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서 맺히는 상태를 뜻합니다. 즉, 눈이 너무 길어져서 빛이 망막 앞에서 이미 집중되어 버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가까운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눈을 더욱 더 가까이 가져가야 하며, 눈이 지치고 피로해지는 등의 불편함이 따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간 - 기계 시스템의 기본기능이 아닌 것은?

  1. 행동기능
  2. 감지(sensing)
  3. 가치기준 유지
  4.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정답률: 66%)
  • 인간 - 기계 시스템의 기본기능 중에서 "가치기준 유지"는 인간의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유지하고 존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계가 자율적으로 판단하거나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가치관과 윤리적 기준을 따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인간의 역할이며, 기계는 이를 지원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체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세포(Cells) → 기관(Organs) → 조직(Tissues) → 계(System)
  2. 세포(Cells) → 조직(Tissues) → 기관(Organs) → 계(System)
  3. 세포(Cells) → 조직(Tissues) → 계(System) → 기관(Organs)
  4. 세포(Cells) → 계(System) → 기관(Organs) → 조직(Tissues)
(정답률: 69%)
  • 세포는 인체의 기본 단위이며, 이들이 모여서 조직을 형성합니다. 조직들이 모여서 기관을 형성하고, 이들이 다시 모여서 계를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세포(Cells) → 조직(Tissues) → 기관(Organs) → 계(Syste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귀의 구조에 있어 내부에는 임파액(림프액)으로 차 있으며, 이 자극을 팽창시켜 청신경으로 보내는 기관은?

  1. 난원창
  2. 중이골
  3. 정원창
  4. 달팽이관
(정답률: 67%)
  • 내부에 있는 임파액을 팽창시켜 청신경으로 전달하는 기관은 달팽이관입니다. 이는 귀의 중이골 내부에 위치하며, 소리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수기에서 청색은 냉수, 적색은 온수를 나타내는 것은 양립성(compatibility)의 종류 중 무엇에 해당 하는 가?

  1. 운동 양립성
  2. 개념적 양립성
  3. 공간적 양립성
  4. 묘사적 양립성
(정답률: 62%)
  • 정수기에서 청색은 냉수, 적색은 온수를 나타내는 것은 "개념적 양립성"에 해당한다. 개념적 양립성은 서로 다른 개념이나 의미를 가진 것들이 함께 사용될 때 발생하는 양립성으로, 서로 다른 개념이나 의미를 가진 것들이 함께 사용될 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정수기에서 청색이 냉수를 나타내는데 다른 제품에서는 청색이 뜨거운 물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혼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공구 설계의 기본 원리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손잡이의 단면은 원형을 피할 것
  2. 손잡이의 재질은 미끄럽지 않을 것
  3. 양손잡이를 모두 고려한 설계일 것
  4. 공구의 무게를 줄이고 무게의 균형이 유지될 것
(정답률: 70%)
  • "손잡이의 단면은 원형을 피할 것"은 수공구를 사용할 때 손잡이가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원형의 손잡이는 손에 잡히지 않고 미끄러워지기 쉬우므로, 손잡이의 단면은 원형을 피해 다른 형태로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디자인된 손잡이는 사용자가 수공구를 더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시스템의 설계 과정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할 단계는?

  1. 기본 설계 단계
  2. 시험 및 평가 단계
  3. 시스템의 정의 단계
  4. 목표 및 성능 명세 결정 단계
(정답률: 64%)
  • 시스템의 설계 과정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할 단계는 "목표 및 성능 명세 결정 단계"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가져야 할 목표와 성능을 명확히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전반적인 설계를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목표와 성능 명세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설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 단계가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명의 위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정답률: 5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조명이 작업 영역을 밝게 비추고, 그림자를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작업 영역과의 거리가 적절하며, 작업자의 시야를 가로막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그림 중 같은 무게의 짐을 운반할 때 가장 에너지가 적게 소모되는 방법은?

  1. DOUBLE PACK
  2. RICE BAG
  3. YOKE
  4. HANDS
(정답률: 51%)
  • "DOUBLE PACK"은 양손에 각각 "RICE BAG"을 들고 가는 것보다 더 많은 짐을 운반할 수 있으며, "YOKE"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덜 힘들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에너지가 적게 소모된다. "HANDS"는 짐을 들고 가는 것보다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식물의 이름에서 유래된 관용색명은?

  1. 피콕블루(peacock blue)
  2. 세피아(sepia)
  3. 에메랄드 그린(emerald green)
  4. 올리브(olive)
(정답률: 77%)
  • 올리브(olive)는 올리브나무에서 열매를 말리면 생기는 색으로, 이 색은 올리브나무 열매의 색과 유사하여 그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을의 붉은 단풍잎, 붉은 저녁놀, 겨울 풍경색 등과 같이 친숙한 것들을 아름답게 생각하는 것'을 저드의 색채 조화이론으로 설명한다면 어느 원리인가?

  1. 질서의 원리
  2. 비모호성의 원리
  3. 친근감의 원리
  4. 동류성의 원리
(정답률: 75%)
  • 친근감의 원리는 사람들이 친숙하고 익숙한 것들을 더 아름답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는 원리이다. 따라서 가을의 붉은 단풍잎이나 겨울의 풍경색 같은 것들은 우리에게 친숙하고 익숙하기 때문에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면 주위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다가 어두움 속에서 시간이 지나면 식별할수 있는 현상과 관련 있는 인체의 반응은?

  1. 항상성
  2. 색순응
  3. 암순응
  4. 고유성
(정답률: 78%)
  • 이는 암순응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암순응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할 때, 눈의 망막에 있는 막세포들이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한 현상입니다. 이 때, 막세포들이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막소체의 농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눈의 민감도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어두운 곳에서 주위의 물체를 더 잘 식별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희망, 명랑함, 유쾌함과 같이 색에서 느껴지는 심리적 정서적 반응은?

  1. 구체적 연상
  2. 추상적 연상
  3. 의미적 연상
  4. 감성적 연상
(정답률: 55%)
  • 색은 구체적인 사물이나 상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추상적인 개념과 연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희망, 명랑함, 유쾌함과 같은 감정적인 반응은 추상적 연상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가장 짠맛을 느끼게 하는 색은?

  1. 회색
  2. 올리브그린
  3. 빨강색
  4. 갈색
(정답률: 60%)
  • 회색은 다른 색상과 비교하여 색감 대비가 낮아 눈에 덜 띄기 때문에 짠맛을 느끼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본색명(basic color names)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기본적인 색의 구별을 나타내기 위한 전문 용어이다.
  2. 국가와 문화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3. 한국산업표준(KS) A0011에서는 무채색 기본색명으로 하양, 회색, 검정의 3개를 규정하고 있다.
  4. 기본색명에는 스칼렛, 보랏빛 빨강, 금색 등이 있다.
(정답률: 70%)
  • "기본색명에는 스칼렛, 보랏빛 빨강, 금색 등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기본색명에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검정, 하양, 회색 등이 있습니다. 스칼렛과 보랏빛 빨강은 색상의 변형이나 음영에 해당하는 용어입니다. 금색은 무채색이 아닌 색조에 해당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방화, 금지, 정지, 고도위험 등의 의미를 전달하기위해 주로 사용되는 색은?

  1. 노랑
  2. 녹색
  3. 파랑
  4. 빨강
(정답률: 78%)
  • 빨강은 신호등에서도 금지, 정지를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되며, 불꽃이나 열기와 연관되어 방화나 고도위험을 나타내는 색으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방화, 금지, 정지, 고도위험 등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색은 빨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디지털 이미지에서 색채 단위 수가 몇 이상이면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한다고 할 수 있는가?

  1. 4비트 컬러
  2. 8비트 컬러
  3. 16비트 컬러
  4. 24비트 컬러
(정답률: 65%)
  • 24비트 컬러는 RGB 각각 8비트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총 2^8 x 2^8 x 2^8 = 16,777,216가지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풀컬러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선택지들은 색상 수가 적어서 풀컬러로 구현하기에는 부족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M = O/C”는 문ㆍ스펜서의 미도를 나타내는 공식이다. “0”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환경의 요소
  2. 복잡성의 요소
  3. 구성의 요소
  4. 질서성의 요소
(정답률: 48%)
  • "0"는 "Organization" 즉, 조직화된 구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M = O/C"는 조직화된 구조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동하는지를 나타내는 공식입니다. 이 때, "0"는 질서성의 요소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조직화된 구조는 일정한 질서와 규칙에 따라 운영되어야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만화영화는 시간의 차이를 두고 여러 가지 그림이 전개되면서 사람들이 색채를 인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원리로 나타나는 혼색은?

  1. 팽이를 돌렸을 때 나타나는 혼색
  2. 컬러슬라이드 필름의 혼색
  3. 물감을 섞었을 때 나타나는 혼색
  4. 6가지 빛의 원색이 혼합되어 흰빛으로 보여 지는 혼색
(정답률: 60%)
  • 팽이를 돌리면서 나타나는 혼색은 시간의 차이를 두고 여러 가지 색이 전개되면서 인식되는데, 이는 빛의 산란 현상으로 인해 일어납니다. 팽이가 돌아가면서 빛이 산란되어 여러 가지 색이 나타나는데, 이를 혼색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가공이 용이하고 내식성이 커 논슬립, 난간, 코너비드 등의 부속철물로 이용되는 금속은?

  1. 니켈
  2. 아연
  3. 황동
  4. 주석
(정답률: 50%)
  • 황동은 가공이 용이하고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부속철물로 많이 이용됩니다. 또한, 난간이나 코너비드 등의 부속철물은 금속의 강도와 내구성이 중요한데, 황동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 적합한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통 판유리의 연화온도의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400~1500℃
  2. 1000~1200℃
  3. 700~750℃
  4. 500~550℃
(정답률: 45%)
  • 판유리의 연화온도는 일반적으로 700~750℃ 사이에 있습니다. 이는 유리가 너무 높은 온도에서 연화되면 제작이 어렵고,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충분한 연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가 가장 적당한 것입니다. 1400~1500℃는 너무 높은 온도이고, 1000~1200℃는 다소 높은 온도이며, 500~550℃는 너무 낮은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급경성으로 내알칼리성 등의 내화학성이나 접착력이 크고 내수성이 우수하며 금속, 석재, 도자기, 유리,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의 접착에 모두 사용되는 접착제는?

  1. 페놀수지 접착제
  2. 요소수지 접착제
  3. 멜라민수지 접착제
  4. 에폭시수지 접착제
(정답률: 65%)
  • 에폭시수지 접착제는 내화학성이나 내알칼리성이 뛰어나며, 접착력과 내수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금속, 석재, 도자기, 유리, 콘크리트,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질에 모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에폭시수지 접착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KS L 4201에 따른 점토벽돌의 치수로 옳은 것은? (단, 단위는 mm)

  1. 190×90×57
  2. 190×90×60
  3. 210×90×57
  4. 210×90×60
(정답률: 72%)
  • KS L 4201은 점토벽돌의 치수를 규정하는 대한민국 국가 표준이다. 이에 따르면, 점토벽돌의 표준 치수는 190mm × 90mm × 57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90×90×57"이다. 다른 보기들은 KS L 4201에 규정된 치수와 다르거나, 유사한 치수이지만 표준이 아니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지를 지방유와 가열융합하고, 건조제를 첨가한 다음 용제를 사용하여 희석하여 만든 도료는?

  1. 래커
  2. 유성바니시
  3. 유성페인트
  4. 내열도료
(정답률: 56%)
  • 수지와 지방유, 가열융합을 통해 만들어진 유성바니시는 건조제를 첨가하여 희석한 용제로 만들어진 도료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유성바니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열린 여닫이문이 저절로 닫히게 하는 철물로서 여닫이 문의 윗막이대와 문틀 상부에 설치하는 창호철물은?

  1. 크레센트
  2. 도어클로저
  3. 도어스톱
  4. 도어홀더
(정답률: 71%)
  • 도어클로저는 여닫이문의 윗막이대와 문틀 상부에 설치되어 열린 문을 저절로 닫히게 하는 철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며 강화유리의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가진 재료는?

  1. 아크릴 시트
  2. 고무타일
  3. 폴리카보네이트
  4. 블라인드
(정답률: 52%)
  •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며 강화유리의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가지기 때문에 이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단열재의 선정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율이 낮을 것
  2. 비중이 클 것
  3. 열전도율이 낮을 것
  4. 내화성이 좋을 것
(정답률: 70%)
  • 선정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비중이 클 것"이다. 단열재는 부피 대비 무게가 가벼워야 하므로 비중이 클수록 단열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비중이 낮을수록 좋은 단열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상온에서 건조되지 않기 때문에 도포 후 도막형성을 위해 가열공정을 거치는 도장재료는?

  1. 소부 도료
  2. 에나멜 페인트
  3. 아연 분말 도료
  4. 락카샌딩실러
(정답률: 34%)
  • 소부 도료는 가열에 의해 도막이 형성되는 열경화성 도장재료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건조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도포 후 가열공정을 거쳐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에나멜 페인트, 아연 분말 도료, 락카샌딩실러는 상온에서 건조되어 도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열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모르타르 배합수 중의 미응결수나 빗물 등에 의해 시멘트 중의 가용성 성분이 용해되어 그 용액이 조적조표면에 백색 물질로 석출되는 현상은?

  1. 백화현상
  2. 침하현상
  3. 크리프변형
  4. 체적변형
(정답률: 76%)
  • 백화현상은 시멘트 중의 가용성 성분이 미응결수나 빗물 등에 의해 용해되어 조적조표면에 백색 물질로 석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시멘트의 성분 중 하나인 석회안료가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시드(Ca(OH)2)를 생성하고, 이것이 미응결수나 빗물 등에 의해 용해되어 백색 칼슘하이드록시드 용액이 생성되고, 이 용액이 조적조표면에 노출되면서 칼슘하이드록시드가 석출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화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석회암이 변화되어 결정화한 것으로 실내장식재, 조각재로 사용되는 것은?

  1. 화강암
  2. 대리석
  3. 응회암
  4. 안산암
(정답률: 68%)
  • 석회암은 변화되어 결정화하면 대리석이 된다. 대리석은 석회암의 결정화된 형태로, 높은 광택과 아름다운 무늬로 인해 실내장식재나 조각재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대리석이 석회암이 변화하여 결정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도막 방수재를 사용한 방수공사 시공순서에 있어 가장 먼저 해야 할 공정은?

  1. 바탕정리
  2. 프라이머 도포
  3. 담수시험
  4. 보호재 시공
(정답률: 61%)
  • 도막 방수재를 사용한 방수공사 시공순서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공정은 "바탕정리"입니다. 이는 작업할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평평하게 만들어주는 과정으로, 방수재가 잘 부착되고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프라이머 도포, 담수시험, 보호재 시공은 이후에 이어지는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각종 단열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면은 암석으로부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내열성이 높은 광물섬유를 이용하여 만드는 제품으로 단열성, 흡음성이 뛰어나다.
  2. 세라믹 파이버의 원료는 실리카와 알루미나이며, 알루미나의 함유량을 늘리면 내열성이 상승한다.
  3. 경질 우레탄폼은 방수성, 내투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방습층을 겸한 단열재로 사용된다.
  4. 펄라이트 판은 천연의 목질섬유를 원료로 하며, 단열성이 우수하여 주로 건축물의 외벽 단열재 바름에 사용된다.
(정답률: 55%)
  • 펄라이트 판은 천연의 목질섬유를 원료로 하며, 단열성이 우수하여 주로 건축물의 외벽 단열재 바름에 사용된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통유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조상태에서 전도체이다.
  2. 급히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면 파괴되기 쉽다.
  3. 불연재료이지만 방화용으로서는 적당하지 않다.
  4. 창유리의 강도는 보통 휨강도를 말한다.
(정답률: 52%)
  • "건조상태에서 전도체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보통유리는 전기를 전달하지 않는 절연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시멘트 중 조기강도가 가장 큰 것은?

  1.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2. 고로시멘트
  3. 알루미나시멘트
  4. 실리카시멘트
(정답률: 43%)
  • 알루미나시멘트는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조기강도가 가장 큽니다. 이는 알루미나가 고온에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나시멘트는 고온에서 사용되는 화학공업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도료 중 내마모성,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하나 도막이 얇고 부착력이 약한 도료는?

  1. 수성 페인트
  2. 유성 페인트
  3. 유성 바니쉬
  4. 래커
(정답률: 49%)
  • 래커는 내마모성,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한 도료이지만, 도막이 얇고 부착력이 약한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빠른 건조와 광택감을 위해 도료를 얇게 발라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식이나 마모에 노출되지 않는 표면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종 점토벽돌의 압축강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78N/mm2
  2. 18.6N/mm2
  3. 20.59N/mm2
  4. 24.5N/mm2
(정답률: 59%)
  • 1종 점토벽돌은 건축재료 중 하나로, 압축강도가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1종 점토벽돌의 압축강도는 18.6N/mm2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건축물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최소한 20.59N/mm2 이상의 압축강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4.5N/mm2 입니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한 결과로, 1종 점토벽돌의 압축강도는 최소 24.5N/mm2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목재의 유용성 방부제로 사용되는 것은?

  1. 크레오소트유
  2. 콜타르
  3. 불화소다 2%용액
  4. P.C.P
(정답률: 43%)
  • P.C.P는 목재 방부제로 널리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목재를 부식, 해충, 곰팡이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크레오소트유, 콜타르, 불화소다 2%용액도 목재 방부제로 사용되지만, P.C.P는 그 중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목재를 소편(小片, chip)으로 만들어 유기질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가열ㆍ압착 성형한 판재 제품은?

  1. 섬유판
  2. 파티클보드
  3. 목모보드
  4. 코펜하겐리브
(정답률: 72%)
  • 주어진 설명에 따르면, 목재를 소편으로 만들어 유기질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가열ㆍ압착 성형한 판재 제품은 "파티클보드"이다. 이는 목재를 재활용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다 강한 제품을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티클보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화열량이 적어 한중공사에 적합하다.
  2. 단기강도는 조강포틀랜드시멘트보다 작다.
  3. 내구성이 크며 장기강도가 크다.
  4. 방사선 차단용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정답률: 35%)
  • "수화열량이 적어 한중공사에 적합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는 수화열량이 높아서, 수분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한중공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비상용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2.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하인 건축물
  3.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300m2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4.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500m2(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정답률: 41%)
  • 정답은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하로서 당해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300m2 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이다. 이유는 비상용승강기 설치는 건물의 높이와 함께 바닥면적과 층수에 따라 규정되는데, 높이 31m를 넘는 건물 중에서는 층수와 바닥면적이 일정 이상인 건물에는 비상용승강기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따라서, 층수가 4개층 이하이면서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m2 이내인 건물은 비상용승강기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건축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합계가 500m2인 판매시설
  2.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합계가 600m2인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3.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합계가 2000m2인 공장
  4.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합계가 300m2인 창고시설
(정답률: 61%)
  •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건축물은 대피시설, 교육연구시설, 의료시설, 숙박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판매시설 등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당해 용도의 바닥면적 합계가 300m2인 창고시설은 내화구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내화구조가 필요한 건축물의 기준 중 하나인 건축물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결로의 발생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내 습기의 과다발생
  2. 잦은 환기
  3. 시공불량
  4. 시공직후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의 미건조 상태
(정답률: 79%)
  • 결로는 습기가 공기 중에서 응축되어 생기는 것이므로, 실내 습기의 과다발생과 시공직후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의 미건조 상태는 결로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잦은 환기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한 공기를 유지함으로써 결로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잦은 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조명설계의 순서 중 가장 우선인 것은?

  1. 조명기구의 배치
  2. 조명방식의 결정
  3. 광원의 선택
  4. 소요조도의 결정
(정답률: 54%)
  • 조명설계의 순서 중 가장 우선인 것은 "소요조도의 결정"입니다. 이는 조명설계의 목적과 필요한 조도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조명기구의 배치, 조명방식의 결정, 광원의 선택 등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명설계를 시작할 때는 먼저 소요조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나머지 요소들을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로마네스크 건축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택에서 홀(hall)공간을 매우 중요시 하였다.
  2. X자형 스툴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3. 가구류는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4. 반원아치형 볼트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창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정답률: 64%)
  • 반원아치형 볼트는 창에도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학교의 바깥쪽에 이르는 출입구에 계단을 대체하여 경사로를 설치하고자 한다. 필요한 경사로의 최소 수평길이는? (단, 경사로는 직선으로 되어 있으며 1층의 바닥높이는 지상보다 50cm 높다.)

  1. 2m
  2. 3m
  3. 4m
  4. 5m
(정답률: 50%)
  • 경사로의 최소 수평길이는 경사각과 바닥과의 높이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1층의 바닥높이가 지상보다 50cm 높으므로, 경사로의 수평길이는 50cm의 높이 차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경사로의 최소 수평길이는 50cm가 되며, 이는 0.5m 혹은 1/2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이 "2m", "3m", "4m", "5m" 중 하나이므로, 0.5m로는 커버하지 못하고, 1m로는 너무 많은 경사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한의 경사로 수를 유지하면서 수평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2m 혹은 4m가 되어야 한다. 2m일 경우, 경사로의 각도가 너무 가파르게 되어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따라서 4m가 최적의 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건축물의 건축주가 해당 건축물의 설계자로부터 구조 안전의 확인 서류를 받아 착공신고를 하는 때에 그 확인 서류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대상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층수가 2층(주요구조부인 기둥과 보를 설치하는 건축물로서 그 기둥과 보가 목재인 목구조 건축물의 경우에는 3층) 이상인 건축물
  2. 높이가 13m 이상인 건축물
  3. 처마높이가 9m 이상인 건축물
  4.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9m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53%)
  •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9m 이상인 건축물이 옳지 않은 대상의 기준이다. 이유는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넓어질수록 건축물의 구조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면 건축물의 중앙부분에 집중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건축물의 기둥이나 보 등의 부재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는 건축물일수록 구조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방시설법령에 따른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는 5회 이상일 것
  2. 탄화(炭化)한 면적은 50cm2 이내, 탄화한 길이는 20cm 이내일 것
  3.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일 것
  4. 국민안전처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방법으로 발연량(發煙量)을 측정하는 경우 최대연기밀도는 400 이하일 것
(정답률: 51%)
  •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는 5회 이상일 것"은 옳은 기준이다. 이유는 방염대상물품은 불꽃에 직접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불꽃에 의해 녹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불꽃이 발생한 곳에서 불꽃이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는 5회 이상이 되어야 방염성능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숙박시설의 객실 간 경계벽이 소리를 차단하는데 장애가 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해 갖춰야 할 구조기준에 미달된 것은?

  1. 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5cm인 것
  2.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5cm인 것
  3. 콘크리트블록조로서 두께가 15cm인 것
  4. 무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5cm인 것
(정답률: 53%)
  • 숙박시설의 객실 간 경계벽이 소리를 차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질량입니다. 따라서 소리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콘크리트나 철근콘크리트 등의 구조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콘크리트블록조는 블록을 쌓아서 만드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블록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이 공간으로 인해 소리가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블록조로서 두께가 15cm인 것은 소리 차단에 미달된 구조기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철골보에서 스티프너를 사용하는 주목적은?

  1. 보 전체의 비틀림 방지
  2. 웨브 플레이트의 좌굴 방지
  3. 플랜지 앵글의 단면 보강
  4. 용접작업의 편의성 향상
(정답률: 71%)
  • 스티프너는 보의 웨브 플레이트가 좌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웨브 플레이트의 좌굴 방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건축허가 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면적이 100m2 이상인 노유자 시설
  2. 차고ㆍ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층이 있는 주차시설
  3.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2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
  4.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15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정답률: 50%)
  • 연면적이 100m2 이상인 노유자 시설은 옳은 기준이다. 이는 노인복지시설, 요양원 등과 같이 노인들이 거주하는 시설을 말하며,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우므로 소방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르꼬르뷔제(Le Corbusier)가 제시한 근대건축의 5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유기적 공간
  2. 필로티
  3. 옥상정원
  4. 자유로운 평면
(정답률: 58%)
  • Le Corbusier가 제시한 근대건축의 5원칙은 "필로티", "옥상정원", "자유로운 평면", "가로모양 창문", "무색, 무광의 벽"입니다. 따라서 "유기적 공간"은 이 5원칙에 속하지 않습니다. "유기적 공간"은 건축물 내부의 공간을 자연적이고 유기적인 형태로 디자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Le Corbusier가 제시한 근대건축의 원칙 중 하나인 "기능성"과는 상반됩니다. Le Corbusier는 기능성을 강조하며, 건축물 내부의 공간을 명확하고 간결한 형태로 디자인하는 것을 주장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소방시설 중 소화설비가 아닌 것은?

  1. 자동화재탐지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옥외소화전설비
  4. 소화기구
(정답률: 71%)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방시설 중 소화설비가 아닌 것은 자동화재탐지설비입니다. 스프링클러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소화기구는 모두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벽돌벽을 여러 모양으로 구멍을 내어 장식적으로 쌓는 방법은?

  1. 공간쌓기
  2. 엇모쌓기
  3. 무늬쌓기
  4. 영롱쌓기
(정답률: 67%)
  • 영롱쌓기는 벽돌벽을 여러 모양으로 구멍을 내어 장식적으로 쌓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벽돌을 다양한 각도로 쌓아서 빛이 반사되어 빛깔이 반짝거리는 효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영롱"한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무창층이 되기 위한 기준은 피난 소화 활동상 유효한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 바닥면적의 얼마 이하일 때인가?

  1. 1/10
  2. 1/20
  3. 1/30
  4. 1/50
(정답률: 63%)
  • 무창층은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와 소방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층입니다. 따라서, 해당 층의 개구부 면적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피난 소화 활동상 유효한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 바닥면적의 일정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비율이 작을수록 무창층의 안전성이 높아지므로, 정답은 "1/30"입니다. 즉, 해당 층 바닥면적의 1/30 이상의 개구부 면적이 있어야 무창층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비상콘센트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스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용량이 30톤 이상인 탱크시설
  2.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에는 11층 이상의 층
  3.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m2 이상인 것은 지하층의 모든 층
  4.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정답률: 39%)
  • 가스시설 중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용량이 30톤 이상인 탱크시설은 비상시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화재나 폭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비상콘센트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층수가 11층 이상인 아파트
  2.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3. 숙박이 가능한 수련시설
  4.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정답률: 67%)
  • 층수가 11층 이상인 아파트는 대규모 건물이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크기 때문에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 등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다른 항목들은 인명피해가 크지 않거나 발생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건축물 증축 시 건축허가 권한이 있는 행정기관이 건축허가 등을 할 때 미리 동의를 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옳은 것은?

  1. 국무총리
  2. 소방안전관리자
  3. 국민안전처장관
  4.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
(정답률: 68%)
  • 건축물 증축 시 소방안전에 대한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소방안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는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압축부재가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얼마인가?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57%)
  • 압축부재가 원형 띠철근으로 둘러싸인 경우, 압축력은 원형 띠철근을 통해 전달되므로 원형 띠철근의 수에 따라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개수가 결정된다. 원형 띠철근이 4개인 경우, 각 띠철근이 90도 간격으로 위치하므로 축방향 주철근이 상호작용하는 방향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최소 개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연결송수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가스시설 또는 지하구는 제외)

  1.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6000m2 이상인 것
  2. 지하층을 포함하는 층수가 7층 이상인 것
  3.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
  4.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정답률: 49%)
  •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은 연결송수관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물의 기준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 기준은 지하가 긴 터널인 경우에는 소방시설물의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