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8-19)

실내건축산업기사
(2018-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실내디자인론

1. 공간을 에워싸는 수직적 요소로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바닥
  2. 천장
(정답률: 90%)
  • 벽은 수직적 요소로서 공간을 차단하여 수평방향을 차단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합니다. 즉, 벽은 방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방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벽은 방의 안전성과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착시현상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길이의 수평선이 수직선보다 길어 보인다.
  2. 사선이 2개 이상의 평행선으로 중단되면 서로 어긋나 보인다.
  3. 같은 크기의 도형이 상하로 겹쳐져 있을 때 위의 것이 커 보인다.
  4. 검정 바탕에 흰 원이 동일한 크기의 흰 바탕에 검정 원보다 넓게 보인다.
(정답률: 57%)
  • 정답: "같은 길이의 수평선이 수직선보다 길어 보인다."

    이유: 착시현상은 우리 뇌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길이의 수평선이 수직선보다 길어 보인다"는 현상은 우리 뇌가 수평선이 보다 더 길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 뇌가 수평선이 보다 더 자주 등장하고,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착시현상은 우리 뇌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발생하며, 이를 이해하고 인지하면 우리의 시각적 인식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동주택의 평면형식 중 계단실형(홀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통행부의 면적이 작아 건물의 이용도가 높다.
  2. 1대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이용 가능한 세대수가 가장 많다.
  3. 각 층에 있는 공용 복도를 통해 각 세대로 출입하는 형식이다.
  4. 대지의 이용률이 높아 도심지내의 독신자용 공동주택에 주로 이용된다.
(정답률: 53%)
  • 정답은 "통행부의 면적이 작아 건물의 이용도가 높다." 이유는 계단실형(홀형)은 각 층에 있는 공용 복도를 통해 각 세대로 출입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계단실과 복도의 면적이 줄어들어 대지의 이용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건물의 이용도가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실내 공간의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형의 공간은 중심성을 갖는다.
  2. 정방형의 공간은 방향성을 갖는다.
  3. 직사각형의 공간에서는 깊이를 느낄 수 있다.
  4. 천장이 모인 삼각형 공간은 높이에 관심이 집중된다.
(정답률: 72%)
  • "정방형의 공간은 방향성을 갖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정방형은 네 면이 서로 같은 길이이므로 방향성이 강조된다. 예를 들어, 정방형의 방에서는 벽면의 방향에 따라 가구나 물건의 위치가 결정되며, 이는 방의 느낌과 분위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디자인을 위한 조건 중 최소의 재료와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은?

  1. 독창성
  2. 경제성
  3. 심미성
  4. 합목적성
(정답률: 84%)
  • 경제성은 디자인을 만들 때 최소한의 비용과 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디자인을 만들 때 예산을 줄이고,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동시에 효과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내어 비즈니스적인 성공을 이룰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성은 디자인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바탕과 도형의 관계에서 도형이 되기 쉬운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규칙적인 것은 도형으로 되기 쉽다.
  2. 바탕 위에 무리로 된 것은 도형으로 되기 쉽다.
  3. 명도가 높은 것보다 낮은 것이 도형으로 되기 쉽다.
  4. 이미 도형으로서 체험한 것은 도형으로 되기 쉽다.
(정답률: 78%)
  • "명도가 높은 것보다 낮은 것이 도형으로 되기 쉽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형이 되기 쉬운 조건은 규칙적이고 명확한 형태를 가지며, 바탕 위에 떨어져 있는 것이 도형으로 되기 쉽습니다. 또한 이미 도형으로서 체험한 것은 도형으로 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개방형 (open plan) 사무공간에 있어서 평면계획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책상배치
  2. 설비시스템
  3. 조명의 분포
  4. 출입구의 위치
(정답률: 69%)
  • 개방형 사무공간에서 책상배치는 평면계획의 기준이 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책상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책상배치는 직원들의 업무 수행을 원활하게 하고,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촉진시키며, 작업환경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개방형 사무공간에서는 책상배치를 중심으로 평면계획을 설계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디자인의 원리 중 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칭적 균형은 가장 완전한 균형의 상태이다.
  2. 비대칭 균형은 능동의 균형, 비정형 균형이라고도 한다.
  3. 방사형 균형은 한 점에서 분산되거나 중심점에서부터 원형으로 분산되어 표현된다.
  4. 명도에 의해서 균형을 이끌어 낼 수 있으나 색채에 의해서는 균형을 표현할 수 없다.
(정답률: 83%)
  • "명도에 의해서 균형을 이끌어 낼 수 있으나 색채에 의해서는 균형을 표현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색채도 균형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색상의 대비나 색상의 분포 등을 조절하여 균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설명 에 알맞은 전시공간의 특수전시기법은?

  1. 디오라마 전시
  2. 파노라마 전시
  3. 아일랜드 전시
  4. 하모니카 전시
(정답률: 73%)
  • 이미지가 연속된 판화처럼 이어져 있어서, 전시공간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입체감과 현실감을 높여주는 특수전시기법이 파노라마 전시입니다. 디오라마 전시는 입체적인 모형을 이용하여 장면을 재현하는 방식이고, 아일랜드 전시는 섬을 주제로 한 전시입니다. 하모니카 전시는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상품의 유효진열범위에서 고객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도 편한 높이인 골든 스페이스(Golden Space)의 범위는?

  1. 500 ~ 850mm
  2. 850 ~ 1250mm
  3. 1250 ~ 1400mm
  4. 1400 ~ 1600mm
(정답률: 86%)
  • 고객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머물고, 손으로 잡기에도 편한 높이는 보통 850mm에서 1250mm 사이입니다. 따라서, 골든 스페이스의 유효진열범위는 850mm에서 1250mm 사이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소파나 의자 옆에 위치하며 손이 쉽게 닿는 범위내에 전화기, 문구 등 필요한 물품을 올려놓거나 수납하며찻잔, 컵 등을 올려놓기도 하여 차 탁자의 보조용으로도 사용되는 테이블은?

  1. 티 테이블(tea table)
  2. 엔드 테이블(end table)
  3. 나이트 테이블(night table)
  4. 익스텐션 테이블 (extension table)
(정답률: 64%)
  • 엔드 테이블은 소파나 의자 옆에 위치하여 필요한 물품을 올려놓거나 수납할 수 있는 작은 테이블로, 차 탁자의 보조용으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로 거실이나 침실에서 사용되며, 티 테이블은 주로 차를 마시는 용도로 사용되고, 나이트 테이블은 침대 옆에 놓여서 책이나 약 등을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익스텐션 테이블은 테이블의 길이를 늘릴 수 있는 기능이 있는 대형 테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내디자인 요소 중 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많은 선을 근접시키면 면으로 인식된다.
  2. 수직선은 공간을 실제보다 더 높아 보이게 한다.
  3. 수평선은 무한, 확대, 안정 등 주로 정적인 느낌을 준다.
  4. 곡선은 약동감, 생동감 넘치는 에너지와 운동감, 속도감을 준다.
(정답률: 72%)
  • "많은 선을 근접시키면 면으로 인식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선은 공간을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선의 방향, 굵기, 길이, 곡률 등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수직선은 공간을 높아 보이게 하고, 수평선은 안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반면에 곡선은 에너지와 운동감, 속도감을 느끼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축화조명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밸런스 조명은 창이나 벽의 커튼 상부에 부설된 조명이다.
  2. 코브 조명은 반사광을 사용하지 않고 광원의 빛을 직접 조명하는 방식이다.
  3. 광창 조명은 넓은 면적의 벽면에 매입하여 비스타(vista)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4. 코니스 조명은 벽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모든 빛이 아래로 직사하도록 하는 조명방식이다.
(정답률: 74%)
  • "코브 조명은 반사광을 사용하지 않고 광원의 빛을 직접 조명하는 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코브 조명은 광원을 벽면이나 천장에 가려진 공간에 설치하여 간접적으로 조명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내계획에 있어서 그리드 플래닝(grid planning)을 적용하는 전형적인 프로젝트는?

  1. 사무소
  2. 미술관
  3. 단독주택
  4. 레스토랑
(정답률: 75%)
  • 사무소는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구조와 공간 배치가 필요하며, 그리드 플래닝은 이를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사무소는 작업 공간과 회의실 등 다양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그리드 플래닝을 통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스툴(stool)의 종류 중 편안한 휴식을 위해 발을 올려놓는 데도 사용되는 것은?

  1. 세티
  2. 오토만
  3. 카우치
  4. 체스터필드
(정답률: 75%)
  • 오토만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이 달려있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스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부엌에서의 작업 순서를 고려한 효율적인 작업대의 배치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준비대→조리대→가열대→개수대→배선대
  2. 개수대→준비대→가열대→조리대→배선대
  3.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4. 개수대→조리대→준비대→가열대→배선대
(정답률: 86%)
  • 정답은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준비대: 식재료를 손질하고 조리하기 전에 필요한 작업을 하는 공간입니다. 예를 들어, 채소를 씻거나 껍질을 벗기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따라서, 식재료를 손질하는 작업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므로 준비대가 가장 먼저 위치해야 합니다.

    2. 개수대: 준비된 식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자르는 작업을 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준비된 식재료를 자르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개수대가 준비대 다음에 위치해야 합니다.

    3. 조리대: 자른 식재료를 조리하는 작업을 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자른 식재료를 조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조리대가 개수대 다음에 위치해야 합니다.

    4. 가열대: 조리된 음식을 따뜻하게 유지하거나, 조리하는 동안 필요한 가열 작업을 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조리된 음식을 따뜻하게 유지하거나, 조리하는 동안 필요한 가열 작업이 이루어지는 가열대가 조리대 다음에 위치해야 합니다.

    5. 배선대: 전기, 가스, 수도 등의 배선이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전기, 가스, 수도 등의 배선이 이루어지는 배선대가 가장 마지막에 위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광 조절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커튼
  2. 루버
  3. 코니스
  4. 블라인드
(정답률: 75%)
  • 일광 조절 장치는 커튼, 루버, 블라인드와 같은 창문 장식용품을 말합니다. 하지만 코니스는 창문 위쪽에 설치되는 장식용품으로, 일광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일광 조절 장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정창은 비교적 크기와 형태에 제약없이 자유로이 디자인할 수 있다.
  2. 창의 높낮이는 가구의 높이와 사람의 시선 높이에 영향을 받는다.
  3. 충분한 보온과 개폐의 용이를 위해 창은 가능한 크게하는 것이 좋다.
  4. 창은 채광, 조망, 환기, 통풍의 역할을 하며 벽과 천장에 위치할 수 있다.
(정답률: 70%)
  • "충분한 보온과 개폐의 용이를 위해 창은 가능한 크게하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창이 크면 보온성이 떨어지고 개폐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단독주택의 현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거실의 일부를 현관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2. 바닥은 저명도·저채도의 색으로 계획하는 것이 좋다.
  3. 전실을 두지 않으며 현관문은 미닫이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현관문은 외기와의 환기를 위해 거실과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4%)
  • 현관은 외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바닥은 저명도·저채도의 색으로 계획하는 것이 좋다. 이는 먼지나 노란 빛 등의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여 청결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상점 내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동선은 짧고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다.
  2. 직원 동선은 되도록 짧게 하여 보행 및 서비스 거리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다.
  3. 고객 동선과 직원 동선이 만나는 곳에는 카운터 및 쇼케이스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4. 고객 동선은 흐름의 연속성이 상징적·지각적으로 분할되지 않는 수평적 바닥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4%)
  • "고객 동선은 짧고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고객이 복잡하고 긴 동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치고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구매 의사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점 내에서 고객이 이동하는 동선은 최대한 간단하고 짧게 설계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색채 및 인간공학

21. 기계가 인간을 능가하는 기능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단, 인공지능은 제외 한다.)

  1. 귀납적으로 추리, 분석한다.
  2. 새로운 개념을 창의적으로 유도한다.
  3.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의사결정을 한다.
  4. 구체적 요청이 있을 때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상기한다.
(정답률: 76%)
  • 기계가 인간을 능가하는 기능 중에서 "구체적 요청이 있을 때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상기한다."는 기능은 인간의 기억력과 관련된 기능으로, 기계는 인간과 달리 정보를 정확하고 빠르게 기억하고 상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기능에서 인간을 능가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간의 동작 중 굴곡에 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손바닥을 아래로
  2. 부위간의 각도 감소
  3. 몸의 중심선으로의 이동
  4. 몸의 중심선으로의 회전
(정답률: 61%)
  • "부위간의 각도 감소"는 굴곡 동작 중 해당 부위의 각도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손바닥을 아래로 굽힐 때 손목 부분의 각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관절 부분이 굴곡되어 움직이는 것으로, 굴곡 동작은 이러한 관절 부분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동작경제의 원리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가능하다면 낙하식 운반방법을 사용한다.
  2. 자연스러운 리듬이 생기도록 동작을 배치한다.
  3. 두 손의 동작은 동시에 시작하고, 각각 끝나도록 한다.
  4. 두 팔의 동작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움직인다.
(정답률: 65%)
  • "두 손의 동작은 동시에 시작하고, 각각 끝나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동작경제의 원리는 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일을 분업하고, 각각의 일을 특화된 기술과 장비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손의 동작이 동시에 시작하고 끝나도록 하는 것은 분업과 특화된 기술을 사용하는 원칙과는 맞지 않다. 대신에 각각의 동작이 자연스러운 리듬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인간공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기준의 요건이 아닌 것은?

  1. 적절성
  2. 고용률
  3. 무오염성
  4. 기준 척도의 신뢰성
(정답률: 67%)
  • 고용률은 인간공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기준 요건이 아닙니다. 인간공학 연구에서는 제품이나 시스템의 적절성, 무오염성, 기준 척도의 신뢰성 등을 고려합니다. 고용률은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경제 지표이며, 인간공학 연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굴절현상 시 진동수는 변함없다.
  2. 저주파일수록 회절이 많이 발생 한다.
  3. 반사 시 입사각과 반사각은 동일하다.
  4. 은폐(masking)효과는 은폐음과 피은폐음의 종류와 무관하다.
(정답률: 53%)
  • 은폐(masking)효과는 은폐음과 피은폐음의 종류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은폐음과 피은폐음은 소리의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은폐효과도 달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신적 피로의 징후가 아닌 것은?

  1. 긴장감 감퇴
  2. 의지력 저하
  3. 기억력 감퇴
  4. 주의 범위가 넓어짐
(정답률: 78%)
  • "주의 범위가 넓어짐"은 정신적 피로의 징후가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집중력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정신적 피로는 주로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주의력과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주의 범위가 넓어짐"은 오히려 정신적 피로와는 반대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랜돌트의 링(Landholt ring)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시력측정
  2. 청력측정
  3. 근력측정
  4. 심전도측정
(정답률: 62%)
  • 랜돌트의 링은 시력측정에서 사용되는 도구 중 하나로, 링 안에 있는 문자나 숫자를 보고 얼마나 잘 보이는지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력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일한 작업 시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심박수
  2. 작업방법
  3. 작업자세
  4. 작업속도
(정답률: 76%)
  • 심박수는 작업 시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입니다. 심박수가 높을수록 에너지 소비량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심박수"는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조명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작업의 형태
  2. 작업자 성별
  3. 작업에 나타나는 위험정도
  4. 작업이 수행되는 속도와 정확성
(정답률: 87%)
  • 조명의 적절성은 작업의 형태, 작업에 나타나는 위험정도, 작업이 수행되는 속도와 정확성과 같은 작업과 관련된 요소들에 따라 결정되는데, 작업자 성별은 조명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작업자 성별은 조명 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패널레이아웃(panel layout) 설계시 표시 장치의 그룹핑에 가장 많이 고려하여야 할 설계원칙은?

  1. 접근성
  2. 연속성
  3. 유사성
  4. 폐쇄성
(정답률: 45%)
  • 패널레이아웃 설계시 가장 많이 고려하여야 할 설계원칙은 "유사성"이다. 이는 표시 장치의 그룹핑을 비슷한 형태, 색상, 크기, 스타일 등으로 일관성 있게 유지하여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빠르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으며, 일관성 있는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성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음(音)과 색에 대한 공감각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명도의 색은 낮은 음을 느낀다.
  2. 순색에 가까운 색은 예리한 음을 느끼게 된다.
  3. 회색을 띤 둔한 색은 불협화음을 느낀다.
  4. 밝고 채도가 낮은 색은 높은 음을 느끼게 된다.
(정답률: 60%)
  • "밝고 채도가 낮은 색은 높은 음을 느끼게 된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색과 음은 서로 다른 감각 체계이기 때문에 정확한 상호작용 방식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설명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색각에 대한 학설 중 3원색설을 주장한 사람은?

  1. 헤링
  2. 영·헬름홀츠
  3. 맥니콜
  4. 먼셀
(정답률: 53%)
  • 3원색설은 빨강, 초록, 파랑의 세 가지 색이 모여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을 주장한 사람은 영·헬름홀츠입니다. 그는 색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이 이론은 현대 컬러 시스템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L*a*b*색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와 b*는 모두 +값과 -값을 가질 수 있다.
  2. a*가 -값이면 빨간색 계열이다.
  3. b*가 +값이면 노란색 계열이다.
  4. L이 100이면 흰색이다.
(정답률: 50%)
  • 정답: "a*가 -값이면 빨간색 계열이다." 이 설명이 틀렸습니다.

    L*a*b*색 체계는 CIE 1976 L*a*b* 색 공간에서 색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체계에서 L*는 밝기를, a*는 빨강-초록 축을, b*는 노랑-파랑 축을 나타냅니다.

    a*와 b*는 모두 -값과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a*가 -값이면 녹색 계열, +값이면 빨간색 계열을 나타냅니다. b*가 -값이면 파란색 계열, +값이면 노란색 계열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a*가 -값이면 빨간색 계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색채의 상징에서 빨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정열
  2. 희망
  3. 위험
  4. 흥분
(정답률: 87%)
  • 빨강은 보통 열정, 사랑, 분노, 위험 등의 감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희망"은 빨강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희망"은 일반적으로 녹색과 관련이 있으며, 자연의 생명력과 연관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색상
  2. 채도
  3. 명도
  4. 동시
(정답률: 64%)
  • 이 보기는 색의 속성 중 하나인 채도와 명도를 나타내는데,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고,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명도"인 이유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색명을 분류하는 방법으로 톤(ton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명도만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2. 채도만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3. 명도와 채도를 포함하는 복합 개념이다.
  4. 명도와 색상을 포함하는 복합 개념이다.
(정답률: 69%)
  • 톤은 색상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도와 채도를 포함하는 복합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백터 방식(Vec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러스트레이터, 플래쉬와 같은 프로그램 사용방식이다.
  2. 사진 이미지 변형, 합성 등에 적절하다.
  3. 비트맵 방식보다 이미지의 용량이 적다.
  4. 확대 축소 등에도 이미지 손상이 없다.
(정답률: 48%)
  • "사진 이미지 변형, 합성 등에 적절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백터 방식은 일러스트레이터, 플래쉬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며, 비트맵 방식보다 이미지의 용량이 적고 확대 축소 등에도 이미지 손상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사진 이미지 변형, 합성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사진은 픽셀 단위로 이루어진 비트맵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색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난색계의 빨강은 진출, 팽창되어 보인다.
  2. 노란색은 확대되어 보이는 색이다.
  3. 일정한 거리에서 보면 노란색이 파란색보다 가깝게 느껴진다.
  4. 같은 크기일 때 파랑, 청록 계통이 노랑, 빨강계열보다 크게 보인다.
(정답률: 76%)
  • "같은 크기일 때 파랑, 청록 계통이 노랑, 빨강계열보다 크게 보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파랑과 청록은 빛 파장이 짧아서 눈에 더 잘 들어오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물체라도 더 크게 보이는 것이다. 노랑과 빨강은 빛 파장이 길어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물체라도 작게 보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먼셀 표색계에 의해 설명된다.
  2. 색채 조화론을 보다 과학적으로 설명하도록 정량적으로 취급한다.
  3. 색의 3속성에 대하여 지각적으로 고른 색채단계를 가지는 독자적인 색입체로 오메가 공간을 설정하였다.
  4. 상호간에 어떤 공통된 속성을 가진 배색으로 등가색 조화가 좋은 예이다.
(정답률: 39%)
  • "상호간에 어떤 공통된 속성을 가진 배색으로 등가색 조화가 좋은 예이다."는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대한 설명이 맞습니다. 이는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하기 위해 색의 속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먼셀기호 5B 8/4, N4에 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1. 유채색의 명도는 5이다.
  2. 무채색의 명도는 8이다.
  3. 유채색의 채도는 4이다.
  4. 무채색의 채도는 N4이다.
(정답률: 51%)
  • 정답은 "유채색의 채도는 4이다."입니다.

    먼셀기호는 색상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5B는 파란색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며, 명도는 5, 채도는 8/4입니다. 이때 채도는 0부터 10까지의 범위에서 나타내며, 10에 가까울수록 색이 진하고 선명해집니다. 따라서 8/4는 10에 가까운 채도를 가진 것이 아니라, 4에 가까운 채도를 가진 것입니다.

    무채색의 명도는 0이며, N4는 회색 계열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채색의 채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재료

41. 골재의 함수상태에 관한 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량=(표면건조상태의 중량)-(절대건조상태의 중량)
  2. 유효흡수량=(표면건조상태의중량)-(기건상태의 중량)
  3. 표면수량=(습윤상태의 중량)-(표면건조상태의 중량)
  4. 전체함수량=(습윤상태의 중량)-(기건상태의 중량)
(정답률: 50%)
  • "전체함수량=(습윤상태의 중량)-(기건상태의 중량)"이 옳지 않습니다.

    전체함수량은 골재가 완전히 포화된 상태에서의 중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체함수량은 "절대건조상태의 중량"이 아닌 "습윤상태의 중량"에서 "기건상태의 중량"을 뺀 값입니다.

    즉, 전체함수량 = 습윤상태의 중량 - 기건상태의 중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석재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강암은 온도상승에 의한 강도저하가 심하다.
  2. 대리석은 산성비에 약해 광택이 쉽게 없어진다.
  3. 부석은 비중이 커서 물에 쉽게 가라앉는다.
  4. 사암은 함유광물의 성분에 따라 암석의 질, 내구성, 강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
(정답률: 54%)
  • "부석은 비중이 커서 물에 쉽게 가라앉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부석이 물에 떠다니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부석은 비중이 높아서 물보다 더 무겁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는 물에 떠다니게 된다. 이는 부석의 표면이 물과 접촉면적이 작아서 부력이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알루미늄과 철재의 접촉면 사이에 수분이 있을 때 알루미늄이 부식되는 현상은 어떠한 작용에 기인한 것인가?

  1. 열분해 작용
  2. 전기분해 작용
  3. 산화 작용
  4. 기상 작용
(정답률: 47%)
  • 알루미늄과 철재는 서로 다른 금속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전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 수분이 존재하면 전해질로 작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분해 작용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작용으로 인해 알루미늄은 양이온으로 산화되어 부식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회반죽바름 시 사용하는 해초풀은 채취 후 1~2년 경과된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염분제거가 쉽기 때문이다.
  2. 점도가 높기 때문이다.
  3. 알칼리도가 높기 때문이다.
  4. 색상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61%)
  • 해초는 바다에서 자란 식물이기 때문에 염분 함량이 높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염분이 제거되어 염분 함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1~2년 경과된 해초풀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염분제거가 쉽기 때문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강화유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유리를 600℃ 이상의 연화점까지 가열한 후 급랭시켜 만든다.
  2. 파괴 시 파편이 예리하여 위험하다.
  3. 강도는 보통 유리의 3~5배 정도이다.
  4. 제조 후 현장가공이 불가하다.
(정답률: 77%)
  • 강화유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조 후 현장가공이 불가하다." 이다. 강화유리는 제조 후에도 일부 가공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가공된 구멍이나 절단면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조 과정에서 미리 가공이 가능하다. 파괴 시 파편이 예리하여 위험한 이유는, 강화유리가 제조 과정에서 급격한 냉각으로 인해 표면에 압력이 생기고, 이로 인해 내부의 응력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응력이 파괴 시에는 강력한 파편으로 분해되어 위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침엽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표적인 수종은 소나무와 느티나무, 박달나무 등이다.
  2. 재질에 따라 경재(hard wood)로 분류된다.
  3. 일반적으로 활엽수에 비하여 직통대재가 많고 가공이 용이하다.
  4. 수선세포는 뚜렷하게 아름다운 무늬로 나타난다.
(정답률: 61%)
  • 침엽수는 대개 활엽수에 비해 직통대재가 많고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건축재료나 가구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는 침엽수의 나무 구조와 성장 방식에 기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금속 가공제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이너는 얇은 판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도려낸 철물로서 환기구·라디에이터 커버 등에 이용된다.
  2. 펀칭메탈은 계단의 디딤판 끝에 대어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철물이다.
  3. 코너비드는 벽·기둥 등의 모서리부분의 미장바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논슬립은 천장·벽 등에 보드류를 붙이고 그 이음새를 감추고 누르는 데 쓰이는 것이다.
(정답률: 75%)
  • 코너비드는 벽·기둥 등의 모서리부분의 미장바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유는 모서리가 노출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부딪히거나 물건이 긁히는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너비드는 이러한 손상을 예방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크리트용 혼화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연제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운송시간에 따른 콜드 조인트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2. AE제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지만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3. 급결제는 초미립자로 구성되며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는 작으나, 장기강도는 일반적으로 높다.
  4. 감수제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골재분리 및 블리딩 현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0
(정답률: 41%)
  • 지연제는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운송되는 동안 시간을 더 주어 콘크리트가 굳어 콜드 조인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중밀도 섬유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목섬유(wood fiber)에 액상의 합성수지 접착제, 방부제 등을 첨가·결합시켜 성형·열압하여 만든 것은?

  1. 파티클보드
  2. M.D.F
  3. 플로어링보드
  4. 집성목재
(정답률: 59%)
  • M.D.F는 목섬유에 합성수지 등을 첨가하여 성형·열압하여 만든 중밀도 섬유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파티클보드", "플로어링보드", "집성목재"는 M.D.F와는 다른 제조 방법과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제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아스팔트 방수공사에서 솔, 롤러 등으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를 휘발성 용제에 용해한 비교적 저점도의 액체로서 방수시공의 첫 번째 공정에 사용되는 바탕처리재는?

  1. 아스팔트 컴파운드
  2. 아스팔트 루핑
  3. 아스팔트 펠트
  4. 아스팔트 프라이머
(정답률: 65%)
  •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아스팔트를 휘발성 용제에 용해시켜 비교적 저점도의 액체로 만든 바탕처리재입니다. 이는 솔, 롤러 등으로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어 아스팔트 방수공사의 첫 번째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스팔트 프라이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회반죽의 주요 배합재료로 옳은 것은?

  1. 생석회, 해초풀, 여물, 수염
  2. 소석회, 모래, 해초풀, 여물
  3. 소석회, 돌가루, 해초풀, 생석회
  4. 돌가루, 모래, 해초풀, 여물
(정답률: 68%)
  • 회반죽은 회를 굴릴 때 사용하는 반죽으로, 회를 신선하게 유지하면서도 맛과 향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반죽의 주요 배합재료는 소석회, 모래, 해초풀, 여물입니다.

    - 소석회: 식품처리에서 살균 및 방부작용을 하며, 회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모래: 회를 굴릴 때 마찰력을 높여 회의 표면을 부드럽게 굴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해초풀: 회의 향과 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여물: 회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소석회, 모래, 해초풀, 여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판유리제품 중 경도(硬度)가 가장 작은 것은?

  1. 플린트 유리
  2. 보헤미아 유리
  3. 강화유리
  4. 연(鉛)유리
(정답률: 74%)
  • 연(鉛)유리가 경도가 가장 작은 이유는, 연(鉛)이라는 원소가 유리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연(鉛)은 매우 부드러운 금속으로, 유리에 함유되면 유리의 경도를 낮추게 됩니다. 따라서 연(鉛)유리가 다른 유리 제품들보다 경도가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목재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목재의 진비중은 수종, 수령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다.
  2. 목재의 강도는 함수율이 증가하면 할수록 증대된다.
  3. 일반적으로 인장강도는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가 수직인 경우보다 크다.
  4. 목재의 인화점은 400~490℃ 정도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일반적으로 인장강도는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한 경우가 수직인 경우보다 크다." 이다. 이유는 목재의 구조가 섬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섬유 방향에 평행한 인장력은 섬유를 따라 작용하게 되어 더 큰 강도를 가지게 된다. 반면, 수직 방향의 인장력은 섬유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강도가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플라스틱 재료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소성과 가공성이 크다.
  2. 전성과 연성이 크다.
  3. 내열성과 내화성이 작다.
  4. 마모가 작으며 탄력성도 작다.
(정답률: 61%)
  • 플라스틱 재료는 마모가 작고 탄력성이 크다는 특징이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내열성과 내화성이 작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콘크리트 내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동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흡수성이 큰 골재를 사용해야 한다.
  2. 콘크리트 중성화는 표면에서 내부로 진행하며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분무하여 판단한다.
  3. 콘크리트가 열을 받으면 골재는 팽창하므로 팽창균열이 생긴다.
  4.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기준치 이상의 염화물은 철근부식을 촉진시킨다.
(정답률: 61%)
  • "콘크리트 동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흡수성이 큰 골재를 사용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콘크리트 동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흡수성이 낮은 골재를 사용해야 한다. 흡수성이 큰 골재를 사용하면 동해에 의한 피해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유는 흡수성이 큰 골재는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를 파괴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흡수성이 낮은 골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건축용 점토제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온 소성제품이 화학저항성이 크다.
  2. 흡수율이 큰 제품이 백화의 가능성이 크다.
  3. 제품의 소성온도는 동해저항성과 무관하다.
  4. 규산이 많은 점토는 가소성이 나쁘다.
(정답률: 54%)
  • 점토는 수분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흡수율이 큰 제품은 물을 많이 흡수하여 내부에서 백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경성 미장재료로 경화·건조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은?

  1. 회사벽
  2. 회반죽
  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4. 석고 플라스터
(정답률: 59%)
  • 석고 플라스터는 수분을 흡수하여 경화·건조되는 과정에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회사벽과 회반죽은 수분에 민감하여 치수 변화가 크고,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경화·건조 후에도 수분을 흡수하여 치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합성수지도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유성 페인트보다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널리 사용된다.
  2. 유성페인트보다 건조시간이 빠르고 도막이 단단하다.
  3. 유성페인트보다 내산,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
  4. 유성페인트보다 방화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54%)
  • "일반적으로 유성 페인트보다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널리 사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합성수지도료와 유성페인트의 가격 비교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도료는 유성페인트보다 저렴하지만, 특정 브랜드나 종류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금속면의 보호와 금속의 부식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료는?

  1. 방화도료
  2. 발광도료
  3. 방청도료
  4. 내화도료
(정답률: 74%)
  • 방청도료는 금속면에 바르면 표면을 보호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물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금속면의 보호와 부식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료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점토제품 중 소성온도가 가장 높고 흡수성이 작으며 타일이나 위생도기 등에 쓰이는 것은?

  1. 토기
  2. 도기
  3. 석기
  4. 자기
(정답률: 74%)
  • 정답은 "자기"입니다. 자기는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는 안정적인 소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을 흡수하지 않는 비흡수성을 가지고 있어 위생도기나 타일 등에 적합합니다. 또한 자기는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재에도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일반

61.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 이 6,000m2인 건축물에 설치해야 하는 비상용승강기의 최소설치 대수는? (단, 8인승 승강기임)

  1. 2대
  2. 3대
  3. 4대
  4. 5대
(정답률: 55%)
  • 높이 31m를 넘는 건물은 4층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때, 한 대의 승강기가 최대 운행 가능한 층수는 약 20층이다. 따라서, 최소 2대 이상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또한, 최대 바닥면적이 6,000m2인 건물에는 인원이 많이 이동하므로, 승강기 이용률이 높아질 것이다. 이를 고려하여 3대 이상의 승강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정답은 "3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무창층이란 지상층 중 다음에서 정의하는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 바닥면적의 얼마 이하가 되는 층으로 규정하는가?

  1. 1/10
  2. 1/20
  3. 1/30
  4. 1/40
(정답률: 64%)
  • 무창층은 대개 건물의 안정성을 위해 설계되는데, 이는 지상층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구조물이 없는 층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창층은 지상층의 하중을 전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므로, 해당 층의 바닥면적 대비 개구부 면적이 적을수록 안정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무창층의 안정성을 위해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 바닥면적의 일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규정한다. 이 비율이 1/30인 이유는, 개구부 면적이 바닥면적의 1/30 이하일 경우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일반적인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에서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은 얼마 이내이어야 하는가?

  1. 10초
  2. 15초
  3. 20초
  4. 30초
(정답률: 66%)
  • 일반적인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기준에서는 불꽃이 올라가며 연소하는 상태가 20초 이내에 그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불꽃이 지속적으로 올라가며 연소하면서 화재가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20초 이내에 불꽃이 꺼지도록 방염대상물품이 제작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목조 건축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 수덕사 대웅전
  2. 부석사 무량수전
  3. 불국사 대웅전
  4. 봉정사 극락전
(정답률: 65%)
  • 봉정사 극락전은 7세기에 건립된 것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목조 건축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후대에 건립된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구조체의 열용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의 창면적비가 클수록 구조체의 열용량은 크다.
  2. 건물의 열용량이 클수록 외기의 영향이 작다.
  3. 건물의 열용량이 클수록 실온의 상승 및 하강 폭이 작다.
  4. 건물의 열용량이 클수록 외기온도에 대한 실내온도 변화의 시간지연이 있다.
(정답률: 51%)
  • "건물의 창면적비가 클수록 구조체의 열용량은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창면적비는 건물의 외피 면적과 내부 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건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창면적비가 크다고 해서 구조체의 열용량이 크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건물의 열용량이 클수록 외기의 영향이 작아지는 이유는 건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쉽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건물의 열용량이 클수록 실온의 상승 및 하강 폭이 작아지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마지막으로, 건물의 열용량이 클수록 외기온도에 대한 실내온도 변화의 시간지연이 있다는 것은 건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쉽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외기온도와 동일해지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은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층에 관한 법령 사항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A: 8층, B: 11층
  2. A: 8층, B: 16층
  3. A: 11층, B: 12층
  4. A: 11층, B: 16층
(정답률: 60%)
  • 건축법 시행규칙 제 27조에 따르면, 15층 이상의 고층건물에서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 외에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5층 이상의 고층건물에서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해야 하는 층을 찾아야 한다. 보기에서 A와 B가 해당하는 층이다. A는 11층이므로 15층 이상이 아니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B인 16층에서 특별피난계단을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 및 계단참의 유효너비 최소기준을 120cm 이상으로 적용하여야 하는 용도의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
  2. 고등학교
  3. 판매시설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집회장
(정답률: 55%)
  • 고등학교는 계단 및 계단참의 유효너비 최소기준을 120cm 이상으로 적용하여야 하는 용도의 건축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 판매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집회장은 대규모 인원이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유효너비 최소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자동화재탐지설비
  3. 상수도소화용수설비
  4. 연결송수관설비
(정답률: 48%)
  • 소화활동설비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설비를 말합니다.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설비로, 소화작업에 필수적인 설비입니다. 따라서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됩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불꽃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불이 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설비이며,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설비입니다.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설비 중 하나이지만, 상수도가 아닌 탱크나 저수지 등에서 소화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건축허가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범위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면적 400m2 이상인 건축물
  2. 항공기 격납고
  3. 방송용 송수신탑
  4.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1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
(정답률: 64%)
  •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1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은 옳은 대상이다. 이유는 이 시설은 대규모 차량이 주차되므로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소방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피난설비 중 객석유도등을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 상물은?

  1. 숙박시설
  2. 종교시설
  3. 창고시설
  4. 방송통신시설
(정답률: 55%)
  • 객석유도등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장소에서 비상시 대피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피난설비 중 하나입니다. 종교시설은 대개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장소이며, 종교적인 의미가 있어 대피시에도 조심스럽게 대처해야 합니다. 따라서 종교시설은 객석유도등을 설치하여 대피를 원활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 계수는 거의 동일하므로 일체화가 가능하다.
  2.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인장력은 철근이 부담하는 것으로 한다.
  3. 습식구조이므로 동절기 공사에 유의하여야 한다.
  4. 타구조에 비해 경량구조이므로 형태의 자유도가 높다.
(정답률: 67%)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어 작용하므로, 선팽창 계수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타구조에 비해 경량구조이므로 형태의 자유도가 높다." 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타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무게를 가지므로, 형태의 자유도는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한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멘트모르타르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인 것
  2.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5cm인 것
  3.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3cm인 것
  4.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
(정답률: 51%)
  • 시멘트모르타르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cm인 것은 방화성능이 없기 때문에 규정한 방화구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불이 번지는 것을 막지 못하고, 인명과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사생활 보호차원에서 설치하는 차면시설에 대한 설치 기준이다. ( ) 안에 들어 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0.5m
  2. 1m
  3. 1,5m
  4. 2m
(정답률: 58%)
  • 차면시설은 보행자나 주행 중인 차량 등의 시야를 가리는 장애물로 인해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지점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차도와 보행자 도로 사이의 거리가 2m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보행자가 차도 위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기 위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르네상스 건축양식의 실내장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장식 수법은 외관의 구성수법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2. 실내디자인 요소로서 계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았다.
  3. 바닥마감은 목재와 석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4. 문양은 그로테스크문양과 아라베스크문양이 주로 사용되었다.
(정답률: 64%)
  • 실내디자인 요소로서 계단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실내장식에서 계단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르네상스 건축에서는 대형 계단이나 곡선형 계단 등 다양한 형태의 계단이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채광을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확보와 관련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때 거실의 용도가 집회용도의 회의기능일 경우 조도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조도는 바닥에서 85cm의 높이에 있는 수평면의 조도임)

  1. 100lux 이상
  2. 200lux 이상
  3. 300lux 이상
  4. 400lux 이상
(정답률: 52%)
  • 거실이 집회용도의 회의기능을 갖는 경우, 창문 등의 면적확보를 대체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조도는 바닥에서 85cm의 높이에 있는 수평면의 조도를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거실이 집회용도의 회의기능을 갖는 경우, 참석자들이 서로를 잘 볼 수 있어야 하므로 조도는 충분히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300lux 이상"이 옳은 답입니다. "100lux 이상"이나 "200lux 이상"은 조도가 너무 낮아서 참석자들이 불편할 수 있고, "400lux 이상"은 조도가 너무 높아서 눈이 아프거나 눈이 피로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20층의 아파트를 건축하는 경우 6층 이상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12,000m2일 경우에 승용승강기 최소 설치대수는? (단, 15인승 이하 승용승강기임)

  1. 2대
  2. 3대
  3. 4대
  4. 5대
(정답률: 51%)
  • 6층 이상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12,000m2이므로, 한 대의 승용승강기가 15인승 이하이므로 최대 용량은 15명이다. 따라서, 한 대의 승용승강기가 한 번에 운송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은 15명이다.

    20층의 아파트를 건축하는 경우, 거실 바닥면적이 6층 이상인 층이 15층이므로, 15층 이상의 층에는 승용승강기가 필요하다.

    한 대의 승용승강기가 한 번에 운송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이 15명이므로, 15층 이상의 층에는 최소 1대의 승용승강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15층 이상의 층이 6층 이상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가 12,000m2인 경우, 최소 1대의 승용승강기가 필요하다.

    또한, 아파트가 20층이므로, 15층 이상의 층이 5층이다. 따라서, 최소 5대의 승용승강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한 대의 승용승강기가 고장이 나거나 정비를 받을 때 다른 승강기가 대체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어야 하므로, 최소 1대의 여유분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승용승강기 최소 설치대수는 5대 + 1대(여유분) = 6대 이므로, 정답은 "5대"가 아닌 "4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화재예방, 소방시설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방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 및 소방시설의 범위이다. 빈칸에 들어갈 소방시설로 옳은 것은?

  1. 스프링클러 설비
  2. 옥외소화전 및 연결살수설비
  3. 비상방송설비
  4. 자동화재탐지설비
(정답률: 56%)
  • 특정소방대상물 중에서는 소방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옥외소화전 및 연결살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소방시설로서,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소방차량과 연결되어 있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소방시설은 건물 내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 대상물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지하구, 모래·석재 등 불연재료 창고 및 위험물 저장·처리시설 중 가스시설은 제외)

  1. 연면적 400m2(지하가 중 터널 또는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식 물 관련시설은 제외한다) 이상인 것
  2.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m2(공연장의 경우 100m2) 이상인 것
  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4. 3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정답률: 67%)
  • 3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은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대상물 기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작업 중인 옥내 작업장에서는 이미 출입구와 비상구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판단되어 이 기준에서 제외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목구조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재료의 강도, 강성에 대한 편차가 작고 균일하기 때문에 안전율을 매우 작게 설정할 수 있다.
  2. 경량이며, 중량에 비해 강도가 일반적으로 큰 편이다.
  3. 외관이 미려하고 감촉이 좋다.
  4. 증·개축이 용이하다.
(정답률: 59%)
  • "재료의 강도, 강성에 대한 편차가 작고 균일하기 때문에 안전율을 매우 작게 설정할 수 있다."는 목구조의 장점 중 하나가 아니라 단점이다. 이는 목재의 특성상 자연적인 변형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위해 충분한 안전율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목구조의 왕대공 지붕틀에서 휨 과 인장력이 동시에 발생 가능한 부재는?

  1. 평보
  2. 빗대공
  3. ㅅ자보
  4. 왕대공
(정답률: 40%)
  • 평보는 단순한 수평 구조물로, 휨과 인장력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빗대공과 ㅅ자보는 기울어진 구조물로 휨과 인장력이 발생할 때 각도에 따라 분리되어 발생하며, 왕대공은 수직 구조물로 휨과 인장력이 분리되어 발생합니다. 따라서, 휨과 인장력이 동시에 발생 가능한 부재는 평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