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콘크리트기능사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1. 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 500gf를 항량이 될때까지 건조시킨후 데시케이터내에서 실내온도까지 냉각시킨 무게가 480gf이었다. 흡수량은 몇 %인가?

  1. 4.2%
  2. 4.0%
  3. 3.2%
  4. 3.0%
(정답률: 46%)
  • 흡수량 = ((시료의 초기무게 - 시료의 최종무게) / 시료의 초기무게) x 100

    시료의 초기무게 = 500gf
    시료의 최종무게 = 480gf

    흡수량 = ((500gf - 480gf) / 500gf) x 100 = 4%

    하지만, 보기에서는 4%가 없고 4.2%가 있으므로, 이는 근사치로 반올림한 값일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단위 무게가 1589kg/m3,비중이 2.65인 잔 골재의 공극률은 얼마인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35%)
  • 공식: 공극률(%) = (1 - 비중/단위 무게) x 100

    계산: 공극률(%) = (1 - 2.65/1589) x 100 ≈ 40%

    이유: 공극률은 잔 골재 내부의 공간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비중이 높을수록 단위 무게당 공간 비율이 적어지므로 공극률이 낮아진다. 따라서, 비중이 2.65인 잔 골재는 단위 무게당 공간 비율이 적어서 공극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계산 결과, 공극률은 약 40%로 나타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멘트의 3대 화합물을 나열한 것은?

  1.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2. 석회, 알루미나, 산화철
  3. 석회, 실리카, 산화철
  4. 석회, 알루미나, 알칼리
(정답률: 63%)
  • 시멘트의 3대 화합물은 석회(CaO),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입니다. 이는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료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분들이기 때문입니다. 석회는 주로 석회암이나 조개껍질 등에서 추출되며, 실리카와 알루미나는 각각 광물인 굴착물과 박토사에서 추출됩니다. 이 세 가지 화합물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함께 반응하여 시멘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포틀랜드 시멘트의 응결 시간 중에서 종결 시간은 몇 시간 이하인가?

  1. 1시간
  2. 5시간
  3. 10시간
  4. 15시간
(정답률: 46%)
  • 포틀랜드 시멘트의 종결 시간은 10시간 이하입니다. 이는 시멘트가 혼합된 후 10시간 이내에 초기 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추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후에는 시간이 지날수록 강도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석고는 시멘트의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클링커를 분쇄할 때 몇%의 석고를 첨가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69%)
  • 석고는 시멘트의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클링커를 분쇄할 때 석고를 첨가하는 비율은 보통 2~5% 정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포장 콘크리트에 알맞는 굵은골재의 최대 치수는 몇 ㎜ 이하인가?

  1. 25㎜
  2. 40㎜
  3. 100㎜
  4. 150㎜
(정답률: 80%)
  • 포장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표면이 매끄러워야 하므로 굵은 골재의 크기가 작아야 합니다.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0㎜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멘트의 화합물중 수화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1. 규산삼석회
  2. 규산이석회
  3. 알루민산삼석회
  4. 알루민산철사석회
(정답률: 36%)
  • 알루민산삼석회는 알루미늄과 칼슘, 마그네슘 등의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알루미늄은 수화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따라서 알루민산삼석회가 시멘트의 화합물 중 수화속도가 가장 빠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AE제를 사용할 때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과의 부착 강도가 커진다.
  2.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3.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단위 수량이 줄어든다.
  4. 수밀성은 커지나 강도가 작아진다.
(정답률: 45%)
  • 수밀성은 커지나 강도가 작아진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AE제는 고성능 콘크리트 혼합재료로, 철근과의 부착 강도가 커지고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이 커지며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단위 수량이 줄어듭니다. 이는 AE제가 콘크리트 내부의 기공을 채워주고,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보기는 "수밀성은 커지나 강도가 작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시멘트의 응결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는?

  1. 지연제
  2. 발포제
  3. 급결제
  4. 기포제
(정답률: 81%)
  • 급결제는 시멘트의 응결을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입니다. 이는 시멘트와 물이 혼합되어 응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방출하여 응결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량 골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정석
  2. 화산암
  3. 자철광
  4. 적철광
(정답률: 88%)
  • 중량 골재는 주로 석회암, 화강암, 사암 등으로 이루어진 암석을 말합니다. 하지만 화산암은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암석으로 중량 골재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잔골재의 유해분 함유량의 한도 시험 규격에서 점토 덩어리 최대값은 무게비로 몇 %인가?

  1. 0.1
  2. 0.3
  3. 0.5
  4. 1.0
(정답률: 35%)
  • 잔골재는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잔골재에는 유해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해분은 건설 현장에서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이를 제한하기 위해 규격이 존재합니다.

    잔골재의 유해분 함유량의 한도 시험 규격에서는 점토 덩어리의 최대값을 측정합니다. 이 최대값은 무게비로 나타내어집니다. 따라서, 점토 덩어리의 최대값이 1.0%인 것은, 잔골재의 무게 중 1.0% 이하의 점토 덩어리만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잔골재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규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시멘트가 풍화하면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비중이 작아진다.
  2. 응결이 늦어진다.
  3. 강도가 늦게 나타난다.
  4. 강열 감량이 작아 진다.
(정답률: 52%)
  • 강열 감량이 작아진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시멘트가 풍화하면 강열 감량이 증가하여 무게가 가벼워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시멘트 내부의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시멘트 입자가 덜 결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중이 작아지고 응결이 늦어지며 강도가 늦게 나타나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혼화재 중 용광로에서 나오는 슬래그를 급냉시켜 만든 가루는?

  1. 포촐라나(pozzolana)
  2. 플라이 애쉬(fly ash)
  3. 고로 슬래그 미분말
  4. AE제
(정답률: 70%)
  • 혼화재 중 용광로에서 나오는 슬래그를 급냉시켜 만든 가루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산업 부산물로,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됩니다. 또한, 환경 친화적인 재료로 인식되어 콘크리트 제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포촐라나와 플라이 애쉬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과 비슷한 산업 부산물이지만, 원료와 제조 과정이 다르며 특성도 다릅니다. AE제는 콘크리트의 공기 포함성을 높이는 첨가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감수제를 사용하면 여러 가지 효과가 나타난다. 그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단위 시멘트의 양이 늘어난다.
  3. 내구성이 좋아진다.
  4. 강도가 커진다.
(정답률: 59%)
  • 단위 시멘트의 양이 늘어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감수제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향상시켜 콘크리트를 더 쉽게 다룰 수 있게 하며,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시멘트의 양이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감수제는 시멘트의 양을 줄이고도 콘크리트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E 공기량은 시멘트의 양, 물의 양, 비비기 시간, 온도, 다지기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콘크리트 부피의 몇 %를 표준으로 하고 있는가?

  1. 1∼2 %
  2. 2∼4 %
  3. 4∼7 %
  4. 7∼10 %
(정답률: 64%)
  • AE 공기량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내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때 적절한 공기량은 4~7% 정도이다. 이 범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최적화하는 데 가장 적합한 범위로, 이 범위를 벗어나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부피의 4~7%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크사이트와 석회석을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재령 1일에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재령 28일의 강도를 내는 시멘트는?

  1. 알루미나 시멘트
  2. 플라이 애시 시멘트
  3. 고로 슬래그 시멘트
  4. 포틀랜트 포촐라나 시멘트
(정답률: 64%)
  • 알루미나 시멘트는 보크사이트와 석회석 대신 알루미나와 석회석을 혼합하여 만든 시멘트로, 다른 시멘트에 비해 높은 강도와 내화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재령 1일에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재령 28일 강도를 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시멘트와 물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화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화
  2. 양생
  3. 풍화
  4. 응결
(정답률: 67%)
  • 시멘트와 물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화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수화"라고 합니다. 이는 시멘트의 주성분인 석회안산염과 규산염이 물과 반응하여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과 칼슘하이드록시실리케이트 수화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수화물이 시멘트와 물을 결합시켜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 등의 건축재료를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입도가 알맞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구성 및 수밀성이 좋아진다.
  2. 시멘트 풀의 양을 줄일 수 있다.
  3. 빈틈이 적어져 단위무게가 커진다.
  4. 골재의 사용량이 적어지므로 경제적이다.
(정답률: 25%)
  • 골재의 사용량이 적어지므로 경제적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골재의 사용량이 많아지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골재가 적게 사용되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수밀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더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적정한 사용량을 유지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시멘트 중의 알칼리 성분이 골재 중의 여러 가지 조암광물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알칼리 골재 반응이라 하는데 이것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은?

  1. 수화열을 증가시킨다.
  2.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3. 균열을 발생시킨다.
  4. 수밀성을 좋게 한다.
(정답률: 43%)
  • 알칼리 골재 반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골재와 시멘트 사이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균열을 발생시킨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 알이 가라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워커빌리티
  2. 피니셔빌리티
  3. 리몰딩
  4. 블리딩
(정답률: 86%)
  • 콘크리트를 치면 시멘트와 골재 알이 가라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을 블리딩이라고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기와 물이 분리되어 밀도가 다른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때 물이 콘크리트 표면으로 올라오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높은 곳으로 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가장 적당한 운반기구는?

  1. 손수레
  2. 연직슈트
  3. 벨트 콘베이어
  4. 콘크리이트 플레이서
(정답률: 74%)
  • 높은 곳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연직슈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연직슈트가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안전하고 편리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직슈트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 방진, 방풍 기능이 있어서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공장에 있는 고정믹서에서 어느정도 비빈 콘크리트를 믹서에 싣고, 비비면서 현장에 운반하는 방법은?

  1.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2.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3.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4. 콘크리트 플레이서
(정답률: 46%)
  •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믹스트 콘크리트로, 공장에서 미리 비율에 맞게 혼합하여 운반하므로 현장에서의 혼합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빠르고 정확한 공사가 가능하며, 품질과 강도가 일정합니다. 이에 비해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는 운반 중 혼합되는 방식이므로 혼합 비율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는 공장에서 혼합 후 운반되지만 현장에서 추가적인 혼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플레이서는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직접 혼합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중콘크리트를 칠때 사용되는 기계 및 기구와 관계가 먼것은?

  1. 트레미
  2. 슬립폼페이버
  3. 밑열림상자
  4. 콘크리트펌프
(정답률: 52%)
  • 슬립폼페이버는 수중콘크리트를 칠 때 사용되는 기계나 기구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슬립폼페이버는 건축물의 외벽을 절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수중콘크리트와는 전혀 다른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슬립폼페이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의 물-시멘트(W/C)비를 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구성
  2. 수밀성
  3. 배합강도
  4.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정답률: 64%)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물-시멘트(W/C)비를 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크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즉,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크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간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물-시멘트(W/C)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밀성과 배합강도를 향상시키며, 결국 내구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골재의 비중은 어떤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가?

  1. 절대건조상태
  2. 공기중 건조상태
  3. 표면 건조포화상태
  4. 습윤상태
(정답률: 58%)
  •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골재의 비중은 표면 건조포화상태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골재가 표면 건조포화상태일 때 가장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골재의 비중을 측정하여 적절한 배합을 결정합니다. 절대건조상태나 공기중 건조상태는 실제 콘크리트 제작 시에는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습윤상태에서는 골재의 밀도가 낮아져 적절한 배합을 결정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크리트 비빔작업시 시멘트 계량의 허용오차는 얼마 이하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0%)
  • 콘크리트 비빔작업에서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멘트 계량의 허용오차는 작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비빔작업에서는 시멘트 계량의 허용오차가 1%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산업에서는 일반적인 허용오차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방배합에서 규정된 배합의 표시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물-시멘트비
  2. 잔골재의 최대치수
  3. 물, 시멘트, 골재의 단위량
  4. 슬럼프의 범위
(정답률: 68%)
  • 시방배합에서는 물-시멘트비, 물, 시멘트, 골재의 단위량, 슬럼프의 범위를 규정하여 배합을 표시합니다. 하지만 잔골재의 최대치수는 배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잔골재의 최대치수는 시공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배합을 표시하는데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배합의 표시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콘크리트의 시방배합 결정방법이 아닌 것은?

  1. 계산에 의한 방법
  2. 배합표에 의한 방법
  3. 경험적인 방법
  4. 시험배합에 의한 방법
(정답률: 75%)
  • 경험적인 방법은 과거의 경험과 노하우에 의존하여 시방배합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과학적이거나 정확한 계산에 기반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시방배합 결정에는 계산에 의한 방법이나 배합표에 의한 방법, 시험배합에 의한 방법 등 과학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운반 및 치기 도중에 심한 재료분리가 일어났으며 엉기기 시작한 콘크리트의 처리는?

  1. 되비비기를 하여 사용한다.
  2. 물을 넣지 않고 거듭 비비기를 하여 사용한다.
  3. 사용 하여서는 안된다.
  4. 물을 사용하여 거듭 비빈 후 사용한다.
(정답률: 26%)
  • 정답은 "물을 넣지 않고 거듭 비비기를 하여 사용한다."입니다.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 모래, 그리고 자갈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때 재료들이 제대로 혼합되지 않으면 강도가 떨어지고 균일하지 않은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운반 및 치기 도중에 재료분리가 일어나 엉기기 시작한 콘크리트는 이미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물을 넣거나 되비비기를 하여 사용하면 강도가 떨어지고 균일하지 않은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사용하면 안됩니다. 물을 사용하여 거듭 비빈 후 사용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중에서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시공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표면공사
  2. 콘크리트 보수공사
  3. 터널(tunnel)공사
  4. 수중 콘크리트 공사
(정답률: 67%)
  • 수중 콘크리트 공사는 물 속에서 시공되는 콘크리트 공사로, 물의 압력과 수온 등의 영향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경도와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콘크리트 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철근의 배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거푸집안에 투입한 후 이동시킬 필요가 없도록 해야한다.
  3. 2층 이상으로 쳐 넣을 경우 아래층이 굳은 다음 윗층을 쳐야 한다.
  4. 높은 곳을 연속해서 쳐야할 경우 반죽질기 및 속도를 조정해야 한다.
(정답률: 79%)
  • 2층 이상으로 쳐 넣을 경우 아래층이 굳은 다음 윗층을 쳐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콘크리트는 굳어지는 과정에서 열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아래층이 굳기 시작하면 그 위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채워넣으면 열기가 발생하지 못하고 굳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층 이상으로 쳐 넣을 경우에는 아래층이 아직 완전히 굳기 전에 윗층을 채워넣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의 양생법 중 막양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거푸집판에 물을 뿌리는 방법
  2. 가마니 또는 포대등에 물을 적셔서 덮는방법
  3. 양생제를 뿌려 물의 증발을 막는 방법
  4. 비닐로 덮는 방법
(정답률: 36%)
  • 콘크리트를 막양생시키는 방법 중 양생제를 뿌려 물의 증발을 막는 방법은 콘크리트 표면에 양생제를 뿌려 물이 증발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방법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균일한 표면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 양생에서 제일 중요한 때는 어느 때인가?

  1. 초기양생
  2. 중기양생
  3. 말기양생
  4. 중기 및 말기양생
(정답률: 68%)
  • 콘크리트 양생에서 제일 중요한 때는 초기양생입니다. 초기양생은 콘크리트가 처음으로 형성되는 단계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초기양생에서 적절한 수분과 온도를 유지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고,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초기양생 단계에서 적절한 관리와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댐공사에서 수화열에 의한 균열을 막기 위해 재료를 인공 냉각하는데 다음 중 그 방법은?

  1. 프리쿨링법
  2. 벤트공법
  3. 프레시네공법
  4. 전기냉각법
(정답률: 83%)
  • 정답: 프리쿨링법

    설명: 프리쿨링법은 냉각재를 미리 적용하여 재료를 인공적으로 냉각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수화열에 의한 균열을 예방하고 재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냉각 방법이지만, 프리쿨링법은 냉각재를 미리 적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중 콘크리트는 정수중에서 치면 가장 좋은데, 부득이한 경우 수중 물의 속도가 얼마 이내에 한하여 시공하는가?

  1. 5cm/sec
  2. 10cm/sec
  3. 15cm/sec
  4. 20cm/sec
(정답률: 51%)
  • 수중 콘크리트는 물 속에서 시공되기 때문에 물의 흐름이 강할수록 시공이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중 콘크리트 시공은 물의 속도가 5cm/sec 이내일 때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c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통 콘크리트의 비비기로 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외기온도가 25℃이하이고 습기가 있을 경우 최대 몇 시간 이하를 원칙으로 하는가?

  1. 2시간
  2. 2.5시간
  3. 1.5시간
  4. 1시간
(정답률: 47%)
  • 콘크리트가 비비기 시작하면 물과 시멘트가 반응하여 경화과정이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단단해지기 전까지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치기 전에는 경화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외기온도가 25℃ 이하이고 습기가 있을 경우 콘크리트의 경화과정은 2시간 이내에 완료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은 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콘크리트의 운반을 나타낸 것이다. 재료의 분리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깔때기의 길이는 몇 cm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타설높이가 1m 이상일 때)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31%)
  • 깔때기의 길이는 타설높이의 1/3 이상이어야 한다는 원칙이 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깔때기의 길이는 1m 이상이므로, 타설높이가 3m 이상일 때는 1m의 1/3인 33.3cm보다 큰 길이가 필요하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60cm이 유일하게 33.3cm보다 큰 값이므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콘크리트를 칠 때 상ㆍ하층이 일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진동다짐을 할 때 진동기를 아래층의 콘크리트 속에 약 몇 ㎝정도 찔러 넣어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6%)
  • 진동기를 콘크리트 속에 넣을 때, 진동기의 진동판과 콘크리트 사이에 공기가 끼어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 상층과 하층이 일체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동기를 콘크리트 속에 넣을 때는 최소한 10㎝ 이상 찔러 넣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두께와 진동기의 진동판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엉기기 시작하였을 때 다시 비비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되 비비기
  2. 거듭 비비기
  3. 믹서 비비기
  4. 혼합 비비기
(정답률: 47%)
  • 콘크리트나 모르타르가 엉기기 시작하면, 물과 시멘트 등을 다시 섞어서 혼합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시 비비는 작업을 "되 비비기"라고 합니다. "되"는 "다시"를 의미하며, 따라서 "되 비비기"는 "다시 비비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콘크리트를 친 다음 콘크리트가 수화 작용에 의하여 충분한 강도를 내고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콘크리트에 충분한 온도와 습도를 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콘크리트의 배합
  2. 콘크리트의 양생
  3. 콘크리트의 운반
  4. 콘크리트의 치기
(정답률: 84%)
  • 콘크리트의 양생은 콘크리트가 수화 작용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내고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기간 동안 콘크리트에 충분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강도를 갖게 되는 과정으로,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사용하는 다짐대의 지름은 몇 ㎜인가?

  1. 10㎜
  2. 13㎜
  3. 16㎜
  4. 19㎜
(정답률: 58%)
  •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서 사용하는 다짐대는 ASTM C143에 따라 지름이 16㎜이어야 합니다. 이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크기이며, 콘크리트의 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포오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있어서 굵은 골재의 크기가 어느 기준이상 되는 것이 상당량 있으면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이 기준은 얼마인가?

  1. 20mm
  2. 30mm
  3. 40mm
  4. 50mm
(정답률: 19%)
  •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굵은 골재의 크기가 일정 이상 커지면 콘크리트의 흐름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굵은 골재의 크기가 50mm 이상이면 슬럼프 시험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서 블리딩 물의 총량이 200mL이고 시료에 함유된 물의 총무게는 150kgf일때 블리딩률은?

  1. 0.1%
  2. 10%
  3. 0.8%
  4. 1.3%
(정답률: 25%)
  • 블리딩률은 블리딩 물의 총량을 시료의 총무게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블리딩률은 (200 / 150000) x 100 = 0.1333%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1%" 이므로, 반올림하여 정답은 "0.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골재의 체가름시험은 표준체에 시료를 넣고 (①)분 동안에 각체에 남는 시료량의 (②)% 이상이 그 체를 통과하지 않을 때까지 체를 흔든다. ( )속에 맞는 수치는?

  1. ① : 1 , ② : 1
  2. ① : 1 , ② : 2
  3. ① : 2 , ② : 1
  4. ① : 2 , ② : 2
(정답률: 23%)
  • 골재의 체가름시험에서는 시료를 넣은 후 일정 시간 동안 체를 흔들어 시료의 통과율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체가름시험에서의 ①은 시료를 넣은 후 흔들기 시작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②는 시료의 통과율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① : 1 , ② : 1"은 시료를 넣은 후 즉시 흔들기 시작하고, 시료의 통과율이 100% 이상이 되지 않을 때까지 흔들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골재의 체가름시험에서 가장 일반적인 조건이며, 따라서 정답은 "① : 1 , ② :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잔골재의 비중시험에 사용하지 않는 기계, 기구는?

  1. 르샤틀리에 비중병
  2. 시료분취기
  3. 저울
  4. 원추형 몰드
(정답률: 34%)
  • 잔골재의 비중시험은 시료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비중을 계산하는 것이므로, 시료분취기와 원추형 몰드는 시료를 채취하고 형성하는 데 사용되므로 사용되지만, 르샤틀리에 비중병은 시료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므로 사용되지 않는다. 저울은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므로 필수적인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름이 15cm 길이가 30cm인 콘크리트 공시체로 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시체 파괴시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 하중이 14,840kgf이었다. 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는?

  1. 19 kgf/cm2
  2. 21 kgf/cm2
  3. 23 kgf/cm2
  4. 25 kgf/cm2
(정답률: 52%)
  • 공시체의 단면적을 구해야 합니다. 콘크리트 공시체의 단면적은 원뿔의 단면적과 같습니다. 따라서, 단면적은 πr2/4 × (l/2r) = π(15/2)2/4 × (30/(2 × 15)) = 176.71cm2 입니다.

    하중은 14,840kgf 이므로, 인장강도는 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14,840kgf / 176.71cm2 = 83.96kgf/cm2 입니다.

    하지만, 단위를 kgf/cm2에서 kgf/mm2로 변환해야 합니다. 1cm2는 0.1mm2이므로, 1kgf/cm2는 0.1kgf/mm2입니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83.96kgf/cm2 × 0.1 = 8.396kgf/mm2 입니다.

    마지막으로, kgf/mm2를 kgf/cm2로 변환해야 합니다. 1kgf/cm2는 10kgf/mm2이므로, 인장강도는 8.396kgf/mm2 × 10 = 83.96kgf/c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1 kgf/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에서 최대 휨 압축응력의 증가가 매분 몇 kgf/cm2을 넘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는가?

  1. 3.5kgf/cm2
  2. 5.0kgf/cm2
  3. 8∼10kgf/cm2
  4. 20kgf/cm2
(정답률: 30%)
  •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에서 최대 휨 압축응력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시험 중에 콘크리트의 균일한 변형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시험 중에 최대 휨 압축응력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험 중에 최대 휨 압축응력의 증가가 매분 8∼10kgf/cm2을 넘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3.5kgf/cm2와 5.0kgf/cm2는 너무 낮은 값이며, 20kgf/cm2는 너무 높은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데 쓰이는 각 재료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잔 골재율
  2. 물·시멘트비
  3. 증가계수
  4. 단위량
(정답률: 66%)
  •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멘트, 골재, 물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각 재료의 양은 단위량으로 표현됩니다. 즉, 잔 골재율은 1m3의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골재의 양을 1m3 단위로 표현한 것이고, 물·시멘트비는 1m3의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물과 시멘트의 비율을 단위량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증가계수는 콘크리트가 건조하면서 크기가 변화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 또한 단위량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각 재료의 양을 표현하는 것은 모두 단위량으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그림은 콘크리트의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장치인가?

  1. 공기량 측정기
  2. 단위용적 중량 시험기
  3. 로스앤젤스 시험기
  4. 블리딩 측정기
(정답률: 71%)
  • 이 시험장치는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 포함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량 측정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단위수량이 165kgf, 단위시멘트량이 300kgf일 때 물ㆍ시멘트비는 얼마인가?

  1. 45%
  2. 48%
  3. 55%
  4. 60%
(정답률: 72%)
  • 물/시멘트 비율은 단위수량당 물의 양을 시멘트의 양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물/시멘트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시멘트 비율 = 단위수량당 물의 양 ÷ 단위시멘트량

    여기서 단위수량당 물의 양은 시멘트 당 필요한 물의 양과 총 단위수량에서 시멘트가 차지하는 비율을 곱한 값입니다. 즉,

    단위수량당 물의 양 = (총 단위수량 × 필요한 물의 양) ÷ 단위시멘트량

    따라서 물/시멘트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시멘트 비율 = (총 단위수량 × 필요한 물의 양) ÷ (단위시멘트량 × 총 단위수량)

    물/시멘트 비율 = 필요한 물의 양 ÷ 단위시멘트량

    여기서 필요한 물의 양은 시멘트 당 필요한 물의 양과 총 단위수량에서 시멘트가 차지하는 비율을 곱한 값입니다. 즉,

    필요한 물의 양 = (총 단위수량 × 시멘트 당 필요한 물의 양) × (1 ÷ 단위시멘트량)

    따라서 물/시멘트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시멘트 비율 = [(총 단위수량 × 시멘트 당 필요한 물의 양) × (1 ÷ 단위시멘트량)] ÷ 단위시멘트량

    물/시멘트 비율 = 시멘트 당 필요한 물의 양 ÷ 단위시멘트량

    따라서 이 문제에서 물/시멘트 비율은 165kgf 당 165kgf × (1 ÷ 300kgf) = 0.55, 즉 5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에서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1. 50mm
  2. 60mm
  3. 70mm
  4. 80mm
(정답률: 52%)
  •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와 물의 비율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클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와 물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블리딩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에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50mm 이하로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시 몰드 내부에 그리스를 발라주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탈형을 쉽게하고 이음새로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 편심하중을 방지하고 경제적인 공시체 제작을 위해
  3. 공시체 속의 공기를 제거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4. 몰드에 콘크리트를 채울때 골재 분리를 막기 위해
(정답률: 53%)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시 몰드 내부에 그리스를 발라주는 이유는 "탈형을 쉽게하고 이음새로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몰드에서 제거될 때 몰드와 콘크리트 사이에 생기는 마찰을 줄이고, 콘크리트가 몰드에 밀착되어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압축강도 측정이 가능해지며,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모울드의 크기로 옳은 것은?

  1. 15cm × 20cm
  2. 5cm × 15cm
  3. 10cm × 20cm
  4. 20cm × 30cm
(정답률: 49%)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은 일반적으로 10cm × 20cm 크기의 공시체 모듈드를 사용합니다. 이는 ASTM C39 표준에 따라 정해진 크기이며, 이 크기는 시험의 표준화와 비교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10cm × 20cm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중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필요없는 것은?

  1. 골재
  2. 혼화재료
  3. 철근
(정답률: 71%)
  •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는 골재, 혼화재료, 물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근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재료이지만, 배합설계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철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콘크리트 배합 설계에서 재료 계량의 허용 오차 중 물은 얼마 이내인가?

  1. 4%
  2. 3%
  3. 2%
  4. 1%
(정답률: 62%)
  • 콘크리트 배합 설계에서 물은 적절한 강도와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정확한 계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완벽한 계량은 어렵기 때문에 일정한 허용 오차가 있습니다. 이 중 물은 다른 재료에 비해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허용 오차가 가장 작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배합 설계에서 물의 계량 허용 오차는 보통 1% 이내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 사용되는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최소 몇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76%)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는 콘크리트를 압축하면서 파괴되는 과정을 관찰하고, 그 압축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공시체의 지름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공시체가 파괴되기 전에 굵은골재가 빠져나와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최소 3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골재의 실적률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1. 골재의 단위무게
  2. 골재의 빈틈률
  3. 골재의 조립률
  4. 골재의 비중
(정답률: 18%)
  • 골재의 실적률은 골재의 단위무게, 빈틈률, 비중 등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하지만 골재의 조립률은 골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이며, 실적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골재의 조립률은 골재의 실적률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만들 때 다짐은 몇 층 몇회를 하는가?

  1. 2층 25회
  2. 3층 25회
  3. 4층 30회
  4. 5층 30회
(정답률: 82%)
  •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만들 때는 일정한 압력을 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높이와 무게를 가진 층을 쌓아서 공시체를 만듭니다. 이때, 층의 수가 적으면 공시체가 너무 낮아져서 압력을 가하기 어렵고, 층의 수가 많으면 공시체가 너무 높아져서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층의 수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시험을 반복해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시험을 여러 번 반복합니다. 이때, 시험 횟수가 적으면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시험 횟수가 많으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험 횟수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층의 수와 시험 횟수를 고려하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만들 때는 "3층 25회"를 선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층의 수가 적당하면서도 시험 횟수가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에서 공기량 측정법을 잘못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

  1. 무게법
  2. 건조법
  3. 공기실 압력법
  4. 부피법
(정답률: 54%)
  • 정답은 "건조법"입니다.

    건조법은 콘크리트 시편을 건조기로 건조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후, 시편의 무게 차이를 측정하여 공기 함유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건조기로 건조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공기량을 측정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콘크리트 시험체를 만든 뒤 몇 시간안에 몰드를 떼어내야 하는가?

  1. 10∼24시간
  2. 20∼48시간
  3. 48∼72시간
  4. 72∼90시간
(정답률: 32%)
  • 콘크리트는 초기 경화 후에도 계속해서 경화가 진행되는데, 이를 '석회화'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반응하여 결정화되는데, 이 과정이 완료되기 전에 몰드를 떼어내면 콘크리트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시험체를 만든 뒤 몰드를 떼어내는 최소 시간은 20~48시간이며, 이 시간 이후에도 더 오랜 시간이 경과할수록 더욱 강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