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콘크리트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1.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몇 %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치수의 체눈을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것인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86%)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일정한 크기의 체로 분류할 때, 그 중 가장 작은 치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치수보다 작은 입자는 모두 통과하게 됩니다. 이때, 질량비로 몇 % 이상을 통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체의 호칭치수입니다.

    예를 들어, 호칭치수가 90%인 경우, 굵은 골재를 일정한 크기의 체로 분류하여 가장 작은 치수의 체눈을 구한 후, 이 치수보다 작은 입자 중 질량비가 90% 이상인 입자만을 통과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500mL의 용기에 물을 가득 채우고 비중 2.5인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잔골재 200g을 넣었을 때 85g의 물이 넘쳐 흘렀다면 이 골재의 표면수율은 얼마인가?

  1. 4.3%
  2. 5.3%
  3. 6.3%
  4. 7.3%
(정답률: 19%)
  •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잔골재는 비중이 2.5이므로 200g의 잔골재는 부피가 80mL이다. 따라서 용기에는 500mL - 80mL = 420mL의 물이 들어있다.

    85g의 물이 넘쳐 흘렀다는 것은 잔골재가 85g의 물을 흡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부피로 환산하면 85mL이다.

    따라서 잔골재의 표면수율은 (85mL / 80mL) x 100% = 106.25%이다. 하지만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는 잔골재가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못하므로, 실제 표면수율은 100%가 최대값이다.

    따라서 표면수율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인 "4.3%"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중 점토덩어리는 질량백분율로 얼마 이하인가?

  1. 0.25
  2. 0.5
  3. 1.0
  4. 5.0
(정답률: 40%)
  • 굵은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는 일반적으로 5% 이하이며, 이 중에서도 점토덩어리는 질량백분율로 0.25% 이하로 제한됩니다. 이는 점토덩어리가 골재의 물성을 악화시키고 건축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멘트가 풍화되면 그 성질이 달라지는데 풍화된 시멘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중은 커진다.
  2. 응결 경화가 늦어진다.
  3. 강도가 증강된다.
  4. 수화열이 커진다.
(정답률: 74%)
  • 정답: 응결 경화가 늦어진다.

    설명: 시멘트가 풍화되면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응결 경화가 늦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도 충분히 경화되지 않아 강도가 증강되지 않으며, 수화열도 커지지 않습니다. 다만 비중은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멘트의 구성 화합물들이 물과 접촉하여 각각 특유한 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다른 화합물이 되는 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응결작용
  2. 수화작용
  3. 경화작용
  4. 수축작용
(정답률: 78%)
  • 시멘트의 구성 화합물들이 물과 접촉하여 각각 특유한 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다른 화합물이 되는 작용을 "수화작용"이라고 합니다. 이는 시멘트의 구성 화합물들이 물과 반응하여 수화물을 생성하고, 이 수화물이 시멘트 입자들을 결합시켜 강도를 높이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g의 시멘트가 가지고 있는 전체 입자의 표면적의 합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비표면적
  2. 총표면적
  3. 단위표면적
  4. 표면적
(정답률: 76%)
  • 정답은 "비표면적"입니다. 시멘트 입자의 표면적은 입자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하기 위해 단위 질량당 입자의 표면적을 나타내는 비표면적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1g의 시멘트가 가지고 있는 전체 입자의 표면적의 합계를 비표면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규산이석회가 비교적 많다.
  2. 한중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하다.
  3. 수화열이 낮아 댐, 터널공사에 적합하다.
  4. 조기 강도는 작고 장기 강도가 크다.
(정답률: 63%)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 중 "한중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는 규산이석회 함량이 높아서 수화열이 낮아 댐, 터널공사 등 대형 구조물 건설에 적합하며, 조기 강도는 작고 장기 강도가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한중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로 사용되는데, 이는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높은 강도를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중 조기강도가 가장 큰 시멘트는?

  1.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2.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3. 석면 단열 시멘트
  4. 알루미나 시멘트
(정답률: 70%)
  • 알루미나 시멘트는 알루미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며, 이는 다른 시멘트보다 높은 조기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화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보입니다. 따라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화학공업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혼화재료 중에서 사용량이 시멘트 무게의 5% 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 계산에 관계되는 혼화재료는?

  1. 포졸란
  2. 응결촉진제
  3. AE제
  4. 발포제
(정답률: 61%)
  • 포졸란은 시멘트 무게의 5% 이상을 사용하며,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 계산에 관계되기 때문에 혼화재료로 사용됩니다. 포졸란은 시멘트와 함께 사용되면 응축수가 감소하고,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화학반응을 통해 시멘트의 수화물을 생성하여 콘크리트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포졸란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
  2. 장기강도가 크다.
  3. 풍화속도가 느리다.
  4. 수화작용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64%)
  •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는 물과 잘 반응하여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지만, 콘크리트가 마르는 과정에서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면서 수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균열이 생기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다.
  2. 혼화제로는 급결제를 사용한다.
  3. 굵은 골재는 최대치수가 20∼25mm의 부순돌 또는 강자갈을 사용한다.
  4. 시공방법으로는 건식공법과 습식공법이 있다.
(정답률: 50%)
  • 굵은 골재는 최대치수가 20∼25mm의 부순돌 또는 강자갈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40mm 이상의 큰 골재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S콘크리트의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작에 손이 많이 간다.
  2. 열피해를 받기 쉽다.
  3. 변형이 복구되지 않는다.
  4. 콘크리트 단면변화의 허용범위가 좁다.
(정답률: 38%)
  • PS콘크리트의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변형이 복구되지 않는다."가 아닙니다. PS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변형이 더 적게 일어나지만, 변형이 발생하면 복구되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는 PS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상 유연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계 시에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래 설명의 ( )에 알맞은 수치는?

  1. 5
  2. 10
  3. 15
  4. 50
(정답률: 86%)
  • 주어진 그림은 직각삼각형의 높이와 밑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때, 직각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넓이는 (10 × 5) ÷ 2 = 25가 됩니다. 이제 보기에서 넓이가 25인 수를 찾아보면 "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시멘트의 응결 시간을 늦추기 위하여 사용하는 혼화제로서 서중 콘크리트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 거리가 먼 경우, 또는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칠 때 콜드 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할 경우 등에 사용되는 혼화제는?

  1. 감수제
  2. 촉진제
  3. 급결제
  4. 지연제
(정답률: 87%)
  • 이 혼화제는 시멘트의 응결 시간을 늦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지연제"라고 부릅니다. 이는 콘크리트를 운반 거리가 먼 경우나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칠 때 콜드 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굵은 골재에 대해 나열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굵은 골재의 비중은 2.55∼2.70 정도이다.
  2. 골재의 비중이 작을수록 조직이 치밀하고 강도가 크다.
  3.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는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골재를 기준으로 한다.
  4. 흡수량이란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일 때의 골재 알에 들어 있는 모든 함수량을 말한다.
(정답률: 42%)
  • "골재의 비중이 작을수록 조직이 치밀하고 강도가 크다."라는 문장은 옳지 않습니다. 골재의 비중이 클수록 조직이 치밀하고 강도가 큽니다. 이는 골재의 비중이 클수록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입자간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흡수량이란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일 때의 골재 알에 들어 있는 모든 함수량을 말하며, 굵은 골재의 비중은 2.55∼2.70 정도이며,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는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골재를 기준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혼화재 그 자체는 수경성이 없지만 콘크리트 속에서 물에 녹아있는 수산화칼슘과 상온에서 천천히 화합하여 불용성 화합물을 만드는 것은?

  1. 팽창재
  2. 포졸란
  3. 실리카 흄
  4. 착색재
(정답률: 59%)
  • 혼화재 안에 있는 수산화칼슘과 상온에서 천천히 화합하여 불용성 화합물을 만드는 것은 포졸란입니다. 포졸란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며,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과 함께 칼슘실리케이트 결정체를 형성합니다. 이 결정체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성장하면서 콘크리트를 더 단단하게 만들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입도가 알맞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구성 및 수밀성이 좋아진다.
  2. 시멘트 풀의 양을 줄일 수 있다.
  3. 빈틈이 적어져 단위무게가 커진다.
  4. 골재의 사용량이 적어지므로 경제적이다.
(정답률: 42%)
  • 골재의 사용량이 적어지므로 경제적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골재의 사용량이 많아지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골재가 적게 사용되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수밀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더 많은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적정한 사용량을 유지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잔 골재의 적당한 조립률은?

  1. 1.8∼2.3
  2. 2.3∼3.1
  3. 5∼6
  4. 6∼8
(정답률: 74%)
  •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잔 골재의 적당한 조립률은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도, 그리고 골재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3∼3.1이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골재가 적당한 간격으로 분산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콘크리트의 밀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골재의 크기와 모양이 적당하면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 속에 거품을 일으켜 부재의 경량화나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는?

  1. 감수제
  2. 촉진제
  3. 기포제
  4. 지연제
(정답률: 86%)
  • 콘크리트 속에 기포를 일으켜 부재의 경량화나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는 "기포제"입니다. 기포제는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되면, 혼합물 내부에서 기포를 일으켜 경량화와 단열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줄이고, 내열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 중 틀린 것은?

  1. 알맞은 입도를 가질 것
  2. 연한 석편,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할 것
  3.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일 것
  4. 먼지, 흙, 유기 불순물 등의 유해량을 함유하지 않을 것
(정답률: 83%)
  • "연한 석편,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할 것"은 틀린 성질입니다. 이는 골재의 품질을 나타내는 입도 분포에서 중간 크기의 입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연한 석편과 가느다란 석편은 입도 분포에서 극단적인 크기를 갖기 때문에 골재의 품질을 나타내는 입도 분포에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은 "알맞은 입도를 가질 것", "깨끗하고, 강하며, 내구적일 것", "먼지, 흙, 유기 불순물 등의 유해량을 함유하지 않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AE 공기량이 어느 정도일 때 워어커빌리티(workability)와 내구성이 가장 좋은 콘크리트가 되는가?

  1. 1∼2%
  2. 5∼8%
  3. 4∼7%
  4. 7∼9%
(정답률: 65%)
  • AE 공기량이 4~7%일 때 콘크리트의 워어커빌리티와 내구성이 가장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에서는 공기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면서도 성형성이 유지됩니다. 1~2%는 공기량이 너무 적어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고, 5~8%와 7~9%는 공기량이 너무 많아 성형성이 떨어지고 강도와 내구성도 감소합니다. 따라서 4~7%가 가장 적절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콘크리트 블리딩(Bleed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반죽질기(Consistency)가 크면 콘크리트 작업은 어려우나 블리딩은 감소된다.
  2. 일반적으로 단위수량을 줄이고 AE 제, 시멘트 분산제 등을 쓰면 블리딩은 감소된다.
  3. 블리딩의 계속 시간은 콘크리트의 높이가 적을때와 온도가 높을때는 빨리 끝난다.
  4. 블리딩이 현저하면 상부의 콘크리트가 다공질로 되며 강도, 수밀성, 내구성 등이 감소된다.
(정답률: 53%)
  • "콘크리트 반죽질기(Consistency)가 크면 콘크리트 작업은 어려우나 블리딩은 감소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콘크리트 반죽질기가 크면 블리딩이 증가하게 됩니다. 콘크리트 반죽질기가 크다는 것은 물의 양이 많아져서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이 분리되어 표면으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블리딩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반죽질기가 크면 블리딩이 증가하게 되므로, 작업 시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한중 콘크리트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시의 콘크리트 온도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50∼0℃
  2. 0∼10℃
  3. 5∼20℃
  4. 20∼30℃
(정답률: 72%)
  • 콘크리트는 온도가 높으면 수분이 빨리 증발하여 강도가 약해지고, 온도가 낮으면 수분이 얼어서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 범위에서 시공해야 합니다. 따라서 한중 콘크리트 시공시 적절한 콘크리트 온도 범위는 5∼20℃입니다. 이 범위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 비비기에서 강제식 믹서를 사용할 경우 비비기 시간은 얼마이상을 표준으로 하는가?

  1. 1분
  2. 1분30초
  3. 2분
  4. 2분30초
(정답률: 59%)
  • 강제식 믹서를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재료를 빠르게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비기 시간이 짧아집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비비기에서 강제식 믹서를 사용할 경우 표준 비비기 시간은 1분으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단위 시멘트량이 400㎏일 때 단위혼화재의 양은 ? (단, 혼화재의 사용은 단위시멘트량의 5% 이다)

  1. 10㎏/m3
  2. 20㎏/m3
  3. 30㎏/m3
  4. 40㎏/m3
(정답률: 58%)
  • 단위 시멘트량이 400㎏이므로, 혼화재의 양은 400㎏ x 0.05 = 2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습윤 상태로 보호하는 기간은?

  1. 2일이상
  2. 3일이상
  3. 4일이상
  4. 5일이상
(정답률: 56%)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초기 경화 후 5일 이상 습윤 상태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균일한 경화를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습윤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수화학적 반응이 지속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5일 이상 습윤 상태로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중 콘크리트 시공상 유의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는 쳐 넣은 뒤 초기에 얼지 않도록 잘 보호한다.
  2. 물, 시멘트, 골재를 가열하여 사용한다.
  3. 바람을 막고, 양생 중에는 콘크리트 온도를 5綽 이상으로 유지한다.
  4. 배합은 필요한 워커빌리티 얻는 범위 내에서 단위 수량을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정한다.
(정답률: 71%)
  • "바람을 막고, 양생 중에는 콘크리트 온도를 5℃ 이상으로 유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물, 시멘트, 골재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시멘트의 화학적 반응을 촉진시켜 초기 강도를 높이기 위함입니다. 콘크리트는 초기 강도가 높을수록 더욱 튼튼하고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시공 시 물, 시멘트, 골재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물-시멘트비가 40%인 단위 시멘트량은 300㎏/m3이다. 단위수량은?

  1. 100㎏/m3
  2. 110㎏/m3
  3. 120㎏/m3
  4. 130㎏/m3
(정답률: 54%)
  • 물-시멘트비가 40%이므로 시멘트의 비율은 60%이다. 따라서 시멘트의 단위량은 300㎏/m3이므로, 시멘트의 비율이 60%일 때의 단위량은 300㎏/m3 × 0.6 = 180㎏/m3이다. 이를 이용하여 물의 단위량을 구하면, 물의 비율은 100% - 60% = 40%이므로 물의 단위량은 300㎏/m3 × 0.4 = 120㎏/m3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콘크리트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미끄러져 내려 갈 수 있게 만든 홈통이나 관 모양의 것으로 만들어진 것은 어느 것인가?

  1. 콘크리트 플레이서
  2. 슈트
  3. 버킷
  4. 벨트 컨베이어
(정답률: 75%)
  • 정답은 "슈트"입니다. 슈트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콘크리트를 미끄러져 내리게 하는 장비로, 홈통이나 관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콘크리트 플레이서, 버킷, 벨트 컨베이어는 슈트와는 다른 종류의 콘크리트 운반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콘크리트 펌프와 같이 터널 등의 좁은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편리한 운반기계는?

  1. 슈트
  2. 콘크리트 플레이서
  3. 버킷
  4. 벨트 컨베이어
(정답률: 73%)
  • 콘크리트 플레이서는 슈트나 버킷, 벨트 컨베이어와 달리 좁은 공간에서도 콘크리트를 운반할 수 있는 기계로, 터널 등의 좁은 공간에서 콘크리트를 운반하기에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콘크리트의 양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온이 상당히 낮은 경우에는 일정한 기간동안 열을 주거나 보온에 의해 온도제어를 한다.
  2. 콘크리트 양생기간 중에는 진동, 충격의 작용을 무시해도 된다.
  3. 촉진 양생을 할 때는 콘크리트에 나쁜 영향이 없도록 해야한다.
  4. 콘크리트의 수분 증발을 막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매트, 가마니 등을 물에 적셔서 덮는 등의 습윤상태로 보호해야 한다.
(정답률: 80%)
  • "콘크리트 양생기간 중에는 진동, 충격의 작용을 무시해도 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콘크리트 양생기간 중에는 오히려 진동과 충격이 콘크리트의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비빈 콘크리트의 운반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재료의 손실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2. 재료의 분리가 생기지 않아야 한다.
  3. 슬럼프의 감소가 생기지 않아야 한다.
  4. 되도록 늦게 운반해야 한다.
(정답률: 80%)
  • 비빈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슬럼프(콘크리트의 물성 변화로 인한 무게 중심 이동)가 감소하게 되므로, 되도록 늦게 운반하여 슬럼프 감소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되도록 늦게 운반해야 한다."가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슈트, 펌프 수송관, 버킷, 호퍼 등의 배출구와 치기면까지의 높이는 얼마 이하를 원칙으로 하는가?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률: 82%)
  • 배출구와 치기면까지의 높이가 1.5m 이하이어야 하는 이유는 인간의 안전을 위해서입니다. 만약 배출구나 치기면이 높이가 높다면, 작업 중에 사람이 떨어질 경우 큰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1.5m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진동다짐을 할 때에는 진동기를 아래층의 콘크리트 속에 어느 정도 들어가게 하는가?

  1. 10cm
  2. 20cm
  3. 30cm
  4. 40cm
(정답률: 60%)
  • 진동다짐을 할 때에는 진동기를 콘크리트 속에 깊이 들어가게 함으로써 진동파가 더 깊은 곳으로 전달되어 효과적인 다짐이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너무 깊이 들어가면 진동기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적절한 깊이를 유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0cm 정도가 적절한 깊이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 비비기는 미리 정해 둔 비비기 시간의 몇 배 이상 계속해서는 안 되는가?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86%)
  • 콘크리트 비비기는 일정한 시간 내에 일정한 양의 콘크리트를 섞어야 합니다. 비비기 시간을 너무 오래하면 콘크리트가 과도하게 혼합되어 공기 포함량이 증가하고 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리 정해 둔 비비기 시간의 몇 배 이상 계속해서 비비기를 하면 안 되며, 일반적으로 3배 이상 계속해서 비비기를 하면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생산된 콘크리트를 칠 때까지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휘저어 섞으면서 운반하는 형식의 트럭은?

  1. 트럭 믹서
  2. 덤프 트럭
  3. 애지테이터 트럭
  4. 스크레이퍼
(정답률: 26%)
  • 애지테이터 트럭은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생산된 콘크리트를 휘저어 섞으면서 운반하는 트럭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재료가 분리되지 않도록 섞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칠 때까지 재료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거푸집의 외부에 진동을 주어 내부 콘크리트를 다지는 기계로서, 터널의 둘레 콘크리트나 높은 벽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거푸집 진동기
  2. 내부 진동기
  3. 콘크리트 피니셔
  4. 표면 진동기
(정답률: 67%)
  • 거푸집 진동기는 건축물의 외부에 진동을 주어 내부 콘크리트를 다지는 기계로서, 터널의 둘레 콘크리트나 높은 벽 등에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은 "거푸집 진동기"입니다. 내부 진동기는 건축물 내부에서 사용되며, 콘크리트 피니셔는 콘크리트 표면을 다듬는 기계이고, 표면 진동기는 콘크리트 표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때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시멘트 비중
  2. 골재의 표면수량
  3. 잔골재의 5mm체 잔유율
  4. 굵은 골재의 5mm체 통과율
(정답률: 38%)
  • 시방배합은 시공 계획서에 따라 미리 계산된 콘크리트의 재료 비율을 말하며, 현장배합은 현장에서 필요한 양의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현장에서 원료를 혼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때는 현장에서 사용할 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방배합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때 시멘트 비중은 이미 시방배합에서 정해진 값이므로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시멘트 비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 각 재료의 1회분에 대한 계량오차 중 골재의 허용오차는?

  1. 1 %
  2. 2 %
  3. 3 %
  4. 4 %
(정답률: 66%)
  • 콘크리트의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재료를 완벽하게 계량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일정한 오차는 허용됩니다. 이때 골재의 허용오차는 3%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골재의 계량이 1회분당 최대 3%의 오차를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려고
  2.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을 줄이려고
  3. 하중, 진동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4. 수화 작용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내기 위하여
(정답률: 62%)
  •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키려고"입니다. 이는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여 수화 작용에 의해 강도를 유지하고, 하중과 진동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의 블리딩(Bleeding)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최대 몇 mm이하인 콘크리트에 적용하는가?

  1. 30mm 이하
  2. 40mm 이하
  3. 50mm 이하
  4. 60mm 이하
(정답률: 30%)
  • 콘크리트의 블리딩(Bleeding)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과 시멘트의 분리가 일어나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블리딩 시험이 실시됩니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크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기 포함률이 높아지므로 블리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50mm 이하인 콘크리트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골재의 단위 무게 시험 방법중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용기를 떨어뜨리는 높이는 어느 정도인가?

  1. 20cm
  2. 15cm
  3. 10cm
  4. 5cm
(정답률: 46%)
  • 골재의 단위 무게 시험에서 충격을 이용하는 방법은 "용기를 5cm 높이에서 5번 떨어뜨려서 얻은 평균값"을 사용합니다. 이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골재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충분한 수의 시험을 수행하면서 얻은 결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골재안정성 시험을 할 때 황산나트륨을 용해시켜 황산나트륨용액을 만들었다. 용액의 비중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1. 1.151~1.174
  2. 1.251~1.274
  3. 1.151~1.284
  4. 1.251~1.284
(정답률: 41%)
  • 골재안정성 시험에서는 골재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골재를 물에 담갔을 때의 비중을 측정합니다. 이때, 골재가 물에 떠있지 않고 바닥에 잠겨 있어야 하므로 비중은 1보다 커야 합니다.

    황산나트륨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골재안정성 시험에서는 골재와 황산나트륨을 함께 물에 담갔을 때의 비중을 측정합니다. 이때, 황산나트륨의 농도가 높을수록 비중이 높아지므로, 황산나트륨을 용해시킨 용액의 비중이 1.151~1.174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51~1.17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 필요한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몇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배
  2. 2배
  3. 2.5배
  4. 3배
(정답률: 71%)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은 콘크리트가 얼마나 강력한지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에서는 콘크리트를 압축하면서 얼마나 많은 힘이 필요한지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담는 공시체가 필요한데, 이 공시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3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골재와 함께 강도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름 15cm, 높이 30cm인 공시체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인장 강도 시험을 하여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이 14789kgf이었다.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 (단, 소숫점 아래 첫자리에서 반올림)

  1. 15kgf/㎝2
  2. 17kgf/㎝2
  3. 19kgf/㎝2
  4. 21kgf/㎝2
(정답률: 50%)
  •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장강도 = 최대하중 / (단면적 × 굽힘반경)

    단면적은 원기둥의 경우 πr^2 이므로, 지름이 15cm인 경우 반지름은 7.5cm이 됩니다.

    따라서 단면적 = π × 7.5^2 = 176.71cm^2

    굽힘반경은 높이의 절반인 15cm이 됩니다.

    따라서 굽힘반경 = 15cm

    최대하중은 문제에서 주어진 값인 14789kgf입니다.

    인장강도 = 14789 / (176.71 × 15) ≈ 21kgf/㎝^2

    따라서 정답은 "21kgf/㎝^2"입니다.

    이유는 공식에 따라 계산한 결과이며, 소숫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측정기구는?

  1. 보일형
  2. 워싱턴 형
  3. 관입침
  4. 슈미트 해머
(정답률: 50%)
  •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측정기구는 워싱턴 형이다. 이는 워싱턴 대학에서 개발된 것으로,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콘크리트에 압력을 가해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아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 검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물-시멘트비가 55%일 때 40kgf짜리 시멘트 2포를 사용하는 배치에서 물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40kgf
  2. 44kgf
  3. 48kgf
  4. 52kgf
(정답률: 59%)
  • 물-시멘트비가 55%이므로 시멘트의 무게는 전체 중 45%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40kgf짜리 시멘트 2포를 사용하면 시멘트의 총 무게는 40kgf x 2 x 0.45 = 36kgf가 됩니다. 이제 물의 무게를 구하기 위해 전체 중 시멘트의 무게를 빼면 됩니다. 따라서 물의 무게는 40kgf x 2 - 36kgf = 44kgf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4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은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을 한 것이다. 슬럼프 값을 바르게 나타낸 항은?

  1. H1
  2. H2
  3. d2
  4. d2 - d1
(정답률: 73%)
  •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플라스틱 상태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콘크리트 시멘트와 물, 그리고 골재 등의 혼합물을 일정한 크기의 원통형 모양으로 채워서 압축하고, 원통을 빼면서 콘크리트가 떨어지는 정도를 측정한다. 슬럼프 값이 클수록 콘크리트의 플라스틱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슬럼프 값이 가장 큰 "H1"이 바르게 나타낸 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시 몰드 내부에 그리스를 발라주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탈형을 쉽게하고 이음새로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 편심하중을 방지하고 경제적인 공시체 제작을 위해
  3. 공시체 속의 공기를 제거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4. 몰드에 콘크리트를 채울때 골재 분리를 막기 위해
(정답률: 56%)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시 몰드 내부에 그리스를 발라주는 이유는 "탈형을 쉽게하고 이음새로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몰드에서 제거될 때 몰드와 콘크리트 사이에 생기는 마찰을 줄이고, 콘크리트가 몰드에 밀착되어 탈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음새로 콘크리트가 새는 것을 방지하여 공시체의 정확한 압축강도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중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판정하는 시험방법은?

  1. 압축강도시험
  2. 구관입시험
  3. 블리딩시험
  4. 단위무게시험
(정답률: 50%)
  • 워커빌리티는 콘크리트 혼합물의 가공성과 성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를 판정하는 시험 방법은 구관입시험입니다. 구관입시험은 콘크리트 혼합물을 구관에 담아 압축하고, 구관을 제거하여 콘크리트의 형태 안정성을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 혼합물의 가공성과 성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 기준이 되는 재령28일의 압축강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배합강도
  2. 배합설계
  3. 설계기준강도
  4. 시방배합
(정답률: 55%)
  • 설계기준강도는 콘크리트 부재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해진 압축강도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서는 이 기준강도를 바탕으로 강도를 계산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적절한 배합설계와 시방배합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설계기준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의 휨 강도시험에서 시험체를 만든 뒤 몇 시간 안에 몰드를 떼어 내는가?

  1. 10∼15시간
  2. 18∼20시간
  3. 24∼48시간
  4. 30∼50시간
(정답률: 64%)
  • 콘크리트는 초기 경화 후에도 계속해서 강도가 증가하며, 이를 성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초기 경화 단계에서는 콘크리트가 아직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에, 시험체를 몰드에서 떼어내기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시간은 보통 24~48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이후에야 콘크리트의 휨 강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4∼48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블리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2. AE제를 사용한다.
  3. 물의 양을 적게 한다.
  4. 단위 굵은 골재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40%)
  • 단위 굵은 골재량을 증가시키면 더 많은 공기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블리딩이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블리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슬럼프 시험에서 슬럼프 값은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측정하는가?

  1. 0.5cm
  2. 1cm
  3. 2cm
  4. 3cm
(정답률: 69%)
  • 슬럼프 시험에서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인 슬럼프 콘에는 1cm 단위의 눈금이 있습니다. 따라서 슬럼프 값은 0.5cm 단위로 측정됩니다. 즉, 슬럼프 값이 0.5cm 이하인 경우에는 눈금의 반을 읽어서 측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건조로에서 105± 5℃의 온도로 골재를 일정한 무게가 되도록 건조시킨 골재의 상태는?

  1. 절대 건조 상태
  2. 공기 중 건조 상태
  3. 표면 건조 포화 상태
  4. 습윤 상태
(정답률: 55%)
  • 105± 5℃의 온도로 골재를 일정한 무게가 되도록 건조시킨 경우, 골재 내부의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절대 건조 상태가 됩니다. 이는 골재 내부의 모든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더 이상 수분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절대 건조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체를 만들 때 15× 15× 53 cm 일 때 몇 층으로 몇회 다지는가?

  1. 3층 30회
  2. 3층 75회
  3. 2층 60회
  4. 2층 80회
(정답률: 63%)
  •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체는 15×15×53 cm 크기이며, 이를 2층으로 나누어 각 층마다 26.5 cm의 높이가 되도록 다지게 됩니다. 이때, 한 층을 다질 때마다 1.5 cm씩 감소시켜야 하므로, 첫 번째 층에서는 26.5 cm를 15 cm로 나눈 1.77회를 내림하여 1회 다지고, 두 번째 층에서는 25 cm를 15 cm로 나눈 1.67회를 내림하여 1회 다지게 됩니다. 따라서, 총 다지는 횟수는 1 + 1 = 2회이며, 각 층에서 다지는 횟수는 각각 1회씩이므로 "2층 80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콘크리트의 강도라 하면 일반적으로 어느 강도를 말하는 가?

  1. 압축강도
  2. 인장강도
  3. 전단강도
  4. 부착강도
(정답률: 78%)
  • 콘크리트의 강도라 하면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를 말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즉,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대해 강하고 인장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는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에서 로스엔젤레스 마모시험기는 매분 몇 회씩 회전하는가?

  1. 10∼23
  2. 20∼33
  3. 30∼33
  4. 40∼43
(정답률: 38%)
  • 로스엔젤레스 마모시험기는 12,000회의 회전을 하며, 이를 20분 동안 진행한다. 따라서 매분에 약 600회의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매분에 약 30~33회의 회전을 하는 것은 30~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콘크리트 인장 강도 시험시 시험체는 어떤 상태이어야 하는가?

  1. 완전히 마른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2. 양생이 끝난 뒤 마른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3. 양생이 끝난 뒤 즉시 젖은 상태에서 시험하여야 한다
  4. 양생이 끝난 후에는 아무때나 실시하여도 상관없다
(정답률: 52%)
  • 콘크리트는 수분이 반응하여 강도를 얻는 수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인장 강도 시험 시 시험체는 양생이 끝난 뒤 즉시 젖은 상태에서 시험하여야 합니다. 이는 시험체가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여 수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완전히 마른 상태에서 시험하면 수분이 부족하여 강도가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양생이 끝난 뒤 마른 상태에서 시험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시험체가 수분을 흡수하여 강도가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생이 끝난 뒤 즉시 젖은 상태에서 시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기중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무게가 4000g 이고, 물속에서의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의 무게가 2445g 일때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은 얼마인가?

  1. 1.64
  2. 0.61
  3. 0.39
  4. 2.57
(정답률: 35%)
  •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은 시료의 밀도를 물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물의 밀도는 1g/mL 이므로, 물속에서의 시료의 체적은 2445 mL 이다. 따라서 시료의 밀도는 4000g / 2445mL = 1.634g/mL 이다. 이 값을 물의 밀도로 나누면, 1.634 / 1 = 1.634 이므로,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은 1.634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2.57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