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콘크리트기능사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1. 골재의 수분함량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중 가장 많은 양의 수분을 나타내는 것은?

  1. 유효흡수량
  2. 표면수량
  3. 흡수량
  4. 함수량
(정답률: 72%)
  • 정답은 "함수량"입니다.

    골재의 수분함량을 나타내는 용어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수분을 나타내는 것은 함수량입니다. 함수량은 골재 내부의 수분 함량을 나타내며, 골재의 전체 부피 중에서 수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함수량이 높을수록 골재 내부에 많은 양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댐과 같은 콘크리트 단면이 큰 공사에 가장 적합한 시멘트는?

  1.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2.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3. 고로 시멘트
  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89%)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형 구조물에 적합한 시멘트입니다. 또한 높은 초기 강도를 가지고 있어 빠른 건조가 가능하며, 물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물에 노출되는 구조물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댐과 같은 큰 공사에 적합한 시멘트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골재에서 F.M(Fineness Modulus)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1. 입도
  2. 조립률
  3. 잔골재율
  4. 골재의 단위량
(정답률: 82%)
  • F.M(Fineness Modulus)은 골재 입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조립률은 골재 입자들이 서로 끼워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골재 입자들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F.M과는 다른 개념이며, 골재의 조립률은 골재의 입도와 잔골재율, 그리고 골재의 단위량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극률이 적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수량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진다.
  2. 시멘트의 양이 줄어들어 경제적인 콘크리트를 만들 수있다.
  3. 건조수축이 작고 수밀성과 마멸저항이 큰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4. 큰 수화열이 발생하여 강도가 떨어진다.
(정답률: 58%)
  • "큰 수화열이 발생하여 강도가 떨어진다."이 틀린 것은, 공극률이 적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건조수축이 작고 수밀성과 마멸저항이 큰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으며, 경제적인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골재의 공극률이 적을 경우, 수화열이 발생하여 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플라이애시시멘트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동성이 커서 재료분리가 크다.
  2. 장기강도가 크다.
  3.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4. 워커빌리티가 좋아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9%)
  • 유동성이 커서 재료분리가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플라이애시시멘트는 시멘트의 대체재로 사용되며, 콘크리트 제조에 이용됩니다. 플라이애시시멘트는 미세한 입자 크기와 높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유동성이 높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가공성을 향상시키지만, 재료분리를 유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동성이 커서 재료분리가 크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 유동성이 커서 재료분리가 크다: X
    - 장기강도가 크다: O
    -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O
    - 워커빌리티가 좋아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O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콘크리트 제조용 굵은 골재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굵은 골재는 5mm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를 말한다.
  2. 내구성이 있고 구형이어야 한다.
  3. 소량의 유기물이 포함되어야 한다.
  4. 강도가 크고 입도가 고르게 섞여서 표준입도 범위에 들어야 한다.
(정답률: 83%)
  • "소량의 유기물이 포함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콘크리트 제조용 굵은 골재는 내구성이 있고 구형이어야 하며, 강도가 크고 입도가 고르게 섞여서 표준입도 범위에 들어가야 합니다. 하지만 유기물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굵은 골재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시멘트 저장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지상에서 30cm 이상 높은 마루에 저장한다.
  2. 습기가 차단되도록 방수되는 창고에 저장한다.
  3. 시멘트는 13포 이상 쌓토록 한다.
  4. 시멘트는 입하순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92%)
  • 시멘트는 13포 이상 쌓토록 한다. 이유는 시멘트는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데, 적절한 수분과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13포 이상 쌓으면 온도와 수분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시멘트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적절한 시멘트 저장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멘트의 분말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는 수화작용이 늦다.
  2. 분말도가 높으면 풍화하기 쉽다.
  3. 분말도가 높으면 수화작용에 의한 발열이 작아 균열 발생이 적다.
  4.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는 조기 강도가 작다.
(정답률: 61%)
  • 분말도가 높으면 입자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표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공기와 물이 쉽게 침투하여 시멘트 내부의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풍화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골재의 함수상태 중 표면건조포화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골재 알 속의 빈틈에 있는 물을 모두 없앤 상태
  2. 골재 알 속의 빈틈 일부가 물로 차 있는 상태
  3. 골재 알의 표면에는 물기가 없고, 알 속의 빈틈만 물로 차 있는 상태
  4. 골재 알 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고, 또 표면에 물기가 있는 상태
(정답률: 81%)
  • 골재 알의 표면에는 물기가 없고, 알 속의 빈틈만 물로 차 있는 상태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골재 알의 표면이 건조하고, 내부 빈틈에 물이 차 있어서 표면에서는 물이 증발하지 않고 유지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굵은 골재의 비중을 구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시료를 정해진 과정에 따라 측정한 결과 대기중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무게는 15.9kg, 물속에서의 무게는 9.9kg, 대기중 절대 건조상태의 무게는 12.6kg이었다. 이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 상태의 비중은?

  1. 2.50
  2. 2.55
  3. 2.60
  4. 2.65
(정답률: 35%)
  • 굵은 골재의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굵은 골재의 부피 = 대기중 절대 건조상태의 무게 - 대기중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무게
    = 12.6kg - 15.9kg
    = -3.3kg

    하지만 부피는 항상 양수이므로, 부피를 절댓값으로 바꿔줍니다.

    굵은 골재의 부피 = |-3.3kg| = 3.3kg

    굵은 골재의 밀도 = 굵은 골재의 무게 / 굵은 골재의 부피

    굵은 골재의 무게 = 대기중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무게 - 물속에서의 무게
    = 15.9kg - 9.9kg
    = 6.0kg

    굵은 골재의 밀도 = 6.0kg / 3.3kg
    = 1.81818181818...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 상태의 비중은 밀도와 물의 밀도의 비율이므로,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 상태의 비중 = 밀도 / 물의 밀도
    = 1.81818181818... / 1.0
    = 1.81818181818...

    따라서,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 상태의 비중은 1.81818181818... 이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65 이므로 정답은 "2.6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중에 부피를 늘어나게 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혼화재료는?

  1. 포졸란
  2. 팽창재
  3. AE제
  4. 경화촉진제
(정답률: 76%)
  • 팽창재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 부피를 늘려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예방하는 혼화재료입니다. 즉, 콘크리트가 건조되면서 부피가 줄어들 때 팽창재가 부피를 늘려서 콘크리트의 내부 압력을 유지시켜 균열을 예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시멘트 중에서 조기강도가 제일 큰 것은?

  1. 실리카 시멘트
  2.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3. 알루미나 시멘트
  4. 슬랙 시멘트
(정답률: 70%)
  • 알루미나 시멘트는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조기강도가 다른 시멘트에 비해 높습니다. 이는 알루미나가 시멘트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나 시멘트가 조기강도가 제일 큰 시멘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철근 콘크리트에서 철근이 녹슬지 않도록 사용하는 혼화제는?

  1. AE제
  2. 경화촉진제
  3. 감수제
  4. 방청제
(정답률: 62%)
  • 방청제는 철근 콘크리트에서 철근이 녹슬지 않도록 사용되는 혼화제입니다. 이는 방청제가 철근 표면에 덮여 있는 산화물을 제거하고, 철근 표면을 보호하여 녹슬지 않도록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청제가 철근 콘크리트에서 철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립율 3.0, 7.0의 모래와 자갈을 무게비 1:3의 비율로 혼합할 때의 조립율을 구하면?

  1. 4.0
  2. 5.0
  3. 6.0
  4. 8.0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감수제의 사용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풀의 유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워커빌리티를 좋게 할 수 있다.
  3. 단위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수화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정답률: 49%)
  • 시멘트 풀의 유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감수제는 시멘트 풀의 워커빌리티를 좋게하고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며 수화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지만, 시멘트 풀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오히려 감수제를 사용하면 시멘트 풀의 유동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요 화합물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규산이석회
  2. 규산사석회
  3. 알루민산삼석회
  4. 알루민산철사석회
(정답률: 35%)
  • 정답은 "규산사석회"입니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요 화합물로는 규산이석회, 알루민산삼석회, 알루민산철사석회가 있습니다. 규산사석회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요 화합물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로 물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르는,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은?

  1. 반죽질기
  2. 워커빌리티
  3. 성형성
  4. 피니셔빌리티
(정답률: 75%)
  • 반죽질기는 물의 양이 많거나 적음에 따라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따라서 반죽의 유동성과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콘크리트의 품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포졸란(Pozzolan)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규조토
  2. 규산백토
  3. 고로슬래그
  4. 포졸리스(Pozzolith)
(정답률: 83%)
  • 포졸리스(Pozzolith)는 포졸란의 종류가 아니라, 콘크리트 혼합물의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성능 혼화제입니다. 따라서 포졸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단위 수량 150kg/m3, 단위 시멘트량 315kg/m3, 공기량 3%로 결정했을 경우,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피는 얼마인가? (단, 시멘트의 비중은 3.15이고 혼화재는 사용하지 않았다.)

  1. 0.70m3
  2. 0.72m3
  3. 0.74m3
  4. 0.75m3
(정답률: 42%)
  • 단위 수량 150kg/m3에서 시멘트의 비중이 3.15이므로, 단위 시멘트량 315kg/m3은 1m3당 1000kg/3.15 = 317.46... ≈ 317kg의 시멘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m3의 콘크리트 중 시멘트의 부피는 317kg/3.15g/cm3 = 0.1m3이 됩니다.

    공기량이 3%이므로, 1m3의 콘크리트 중 공기의 부피는 0.03m3이 됩니다.

    따라서, 1m3의 콘크리트 중 시멘트와 공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절대부피는 1 - 0.1 - 0.03 = 0.87m3이 됩니다.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피는 0.87m3 중에서 골재의 부피가 되므로, 단위 수량 150kg/m3에서 골재의 비중을 x라고 하면, 150/(x+3.15+0.03) = x/1000 이 성립합니다. 이를 풀면 x ≈ 2.4kg/dm3이 됩니다.

    따라서, 1m3의 콘크리트 중 골재의 부피는 0.87m3 × 2.4kg/dm3 = 2.088m3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 골재량의 절대부피를 구하는 것이므로, 2.088m3를 1m3으로 나누어주면, 2.088/1 ≈ 0.72m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72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혼화재료의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1. 혼화제는 먼지나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고 변질되지 않도록 저장한다.
  2. 저장이 오래 된 것은 시험후 사용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3. 혼화재는 날리지 않도록 그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4. 혼화재는 습기가 약간 있는 창고내에 저장한다.
(정답률: 91%)
  • 혼화재는 습기가 약간 있는 창고내에 저장한다는 설명이 부적당하다. 혼화재는 습기에 노출되면 품질이 저하되거나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가경식 믹서의 콘크리트 비비기 시간은 믹서 안에 재료를 투입한 후 얼마이상을 표준으로 하는가?

  1. 1분 이상
  2. 1분 30초 이상
  3. 2분 이상
  4. 2분 30초 이상
(정답률: 90%)
  •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물, 그리고 추가적인 재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재료들은 믹서 안에서 충분히 섞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가경식 믹서의 경우, 적어도 1분 30초 이상을 비비기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시간 이상으로 비비기를 하면 재료들이 더욱 더 섞여서 콘크리트의 품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밀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단위수량을 되도록 적게 한다.
  2. 물-시멘트비를 되도록 적게 한다.
  3. 단위굵은골재량을 되도록 크게 한다.
  4. AE제를 사용치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51%)
  • AE제는 공기 삽입제로,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삽입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수밀 콘크리트는 고강도와 고밀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므로, 공기를 삽입하는 AE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AE제를 사용치 않음을 원칙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치면서 일반적으로 재료 계량의 양이 달라지지 않는 것은?

  1. 시멘트
  2. 잔골재
  3. 굵은 골재
(정답률: 47%)
  •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현장에서 시방배합으로 고치더라도 시멘트의 양은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멘트의 양은 시방배합에서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문장의 ( )속에 적당한 것은?

  1. ① 0.5m ② 빨리
  2. ① 1m ② 빨리
  3. ① 0.5m ② 천천히
  4. ① 1m ② 천천히
(정답률: 70%)
  • 물체가 처음 위치에서 출발하여 시간당 이동한 거리를 계산하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2초 동안 1m를 이동했으므로, 1초당 이동한 거리는 0.5m가 됩니다. 따라서 첫 번째 빈칸에는 "0.5m"이 들어가고, 두 번째 빈칸에는 "천천히"가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뿜어 붙이기 콘크리트에 관한 다음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시멘트 건(gun)에 의해 압축공기로 모르타르를 뿜어 붙이는 것이다.
  2. 수축균열이 생기기 쉽다.
  3. 공사기간이 길어진다.
  4. 시공중 분진이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73%)
  • 정답: 공사기간이 길어진다.

    이유: 뿜어 붙이기 콘크리트는 시멘트 건에 의해 압축공기로 모르타르를 뿜어 붙이는 것으로,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빠르게 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사기간이 짧아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높은 곳에서 콘크리트를 내리는 경우, 버킷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하며 콘크리트 치기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깔대기 등을 이어서 만든 운반기구는?

  1. 콘크리트 펌프
  2. 연직 슈트
  3. 콘크리트 플레이서
  4. 벨트 컨베이어
(정답률: 76%)
  • 연직 슈트는 높은 곳에서 콘크리트를 내리는 경우에 사용되는 운반기구로, 콘크리트 치기의 높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깔대기 등을 이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장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온 30℃ 이상의 온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나타나는 현상중 옳지 않는 것은?

  1. 소요수량의 증가
  2. 수송중 슬럼프(Slump)증대
  3. 타설 후 빠른응결
  4.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 증가
(정답률: 41%)
  • 기온 30℃ 이상의 온도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나타나는 현상 중 옳지 않은 것은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 증가"입니다. 이는 오히려 콘크리트의 초기 응결을 더 빠르게 진행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수송중 슬럼프증대는 콘크리트의 물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데, 높은 기온에서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증발하면서 수분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흐름성이 감소하여 슬럼프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수송 중에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을 추가해야 하므로 소요수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재령 몇일의 강도를 설계의 표준으로 하고 있는가?

  1. 3일
  2. 7일
  3. 21일
  4. 28일
(정답률: 79%)
  • 콘크리트는 혼합물이 형성되고 경화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시간이 지나야 콘크리트의 강도가 충분히 발휘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8일 후의 강도를 설계의 표준으로 삼습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28일이 지나야 최종 경화되고 강도가 안정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8일 후의 강도를 기준으로 설계를 하면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압력으로 보내는 것으로 주로 터널의 둘레 치기에 사용되는 것은?

  1. 버킷(bucket)
  2. 벨트컨베이어
  3. 슈트
  4. 콘크리트 플레이서
(정답률: 85%)
  • 콘크리트 플레이서는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에 의해 압력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직접 콘크리트를 깔아주는 기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터널의 둘레 치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콘크리트 운반도중에 재료가 분리된 경우의 처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충분히 다시 비벼서 균질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2. 촉진제를 사용하여 다시 비벼서 타설하여야 한다.
  3. 물을 넣고 다시 비벼서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확보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4. 재료분리가 약간이라도 진행된 경우는 전량 폐기처분한다.
(정답률: 44%)
  • 콘크리트는 균질한 상태로 타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재료가 분리된 경우에는 충분히 다시 비벼서 균질한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콘크리트 내부에 공극이 생겨 강도가 떨어지거나 균일하지 않은 강도 분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분리된 재료를 다시 균일하게 섞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하루 평균기온이 최소 몇 ℃를 초과할 경우에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해야 하는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61%)
  • 서중 콘크리트는 하루 평균기온이 25℃ 이상일 때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25℃를 초과하는 기온에서 시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콘크리트 각 재료의 계량 허용오차(%)의 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바르게 표시된 것은?

  1. 물 1% 이내
  2. 시멘트 2% 이내
  3. 골재 2% 이내
  4. 혼화제 용액 2% 이내
(정답률: 66%)
  • 콘크리트의 강도는 물의 양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 제조 시 물의 계량 허용오차가 가장 작아야 합니다. 따라서 "물 1% 이내"가 바르게 표시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단위 잔골재량의 절대 부피가 0.253m3이고, 잔 골재의 비중이2.60일 때 단위 잔골재량은 몇 kg/m3인가?

  1. 658
  2. 687
  3. 693
  4. 721
(정답률: 38%)
  • 단위 잔골재량의 절대 부피가 0.253m³이므로, 1m³의 잔골재량은 1/0.253 = 3.95이다.

    잔골재의 비중이 2.60이므로, 1m³의 잔골재의 질량은 3.95 x 2.60 = 10.27이다.

    따라서, 단위 잔골재량은 10.27kg/m³이다.

    정답은 "65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물-시멘트비가 44%, 단위시멘트량이 250kg/m3일 때 단위수량을 구한 값은?

  1. 105kg/m3
  2. 110kg/m3
  3. 115kg/m3
  4. 120kg/m3
(정답률: 49%)
  • 먼저 물과 시멘트의 비율은 44:56 이므로, 시멘트의 단위량은 250kg/m3 이므로 물의 단위량은 44/56 x 250kg/m3 = 196.43kg/m3 이다. 따라서 단위수량은 시멘트의 단위량과 물의 단위량을 합한 값인 250kg/m3 + 196.43kg/m3 = 446.43kg/m3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10kg/m3"이 아니므로, 정답은 "110kg/m3"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의 배합표시법에서 각 재료의 단위량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 1m2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재료의 양 (㎏)을 말한다
  2.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재료의 양 (㎏)을 말한다
  3. 콘크리트 1㎏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재료의 양 (m2)을 말한다
  4. 콘크리트 1㎏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재료의 양 (m3)을 말한다
(정답률: 75%)
  •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1m3 단위로 생산되기 때문에, 각 재료의 단위량을 표시할 때도 1m3를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재료의 양 (㎏)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콘크리트의 운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시간이 짧은 것이 좋다.
  2. 재료분리가 적은 것이 좋다.
  3. 경제적인 방법으로 운반해야 한다.
  4. 공기량의 변화가 큰 것이 좋다.
(정답률: 91%)
  • 공기량의 변화가 큰 것이 좋지 않은 이유는 콘크리트는 공기 중에서 경화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공기량이 많으면 경화 과정에서 공기 포함물이 생겨 구조적인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기량의 변화가 적은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콘크리트의 배합을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계산에 의한 방법
  2. 배합표에 의한 방법
  3. 시험 배합에 의한 방법
  4. 재하 시험에 의한 방법
(정답률: 58%)
  • 재하 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콘크리트의 배합을 결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하 시험에 의한 방법"입니다. 계산에 의한 방법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 비율을 계산하는 방법이고, 배합표에 의한 방법은 미리 정해진 배합표를 참고하여 적절한 재료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시험 배합에 의한 방법은 콘크리트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적절한 재료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습윤양생 기간은 최소 몇일 이상인가?

  1. 5일 이상
  2. 10일 이상
  3. 15일 이상
  4. 20일 이상
(정답률: 68%)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습윤양생 기간은 5일 이상입니다. 이는 시멘트가 초기 경화 후 일정 기간 동안 습기를 흡수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습윤양생 기간 동안 시멘트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강도가 증가합니다. 일반적으로 5일 이상의 습윤양생 기간을 거치면 시멘트의 강도가 안정화되며, 이후에는 건조한 환경에서 경화가 계속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중 콘크리트는 양생 중에 온도를 최소 얼마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가?

  1. 0 ℃
  2. 5℃
  3. 15℃
  4. 20℃
(정답률: 78%)
  • 한중 콘크리트는 양생 중에 온도를 최소 5℃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반응이 유지되기 위해서입니다.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 발생하는 열반응은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를 높이며,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 온도가 5℃ 이하로 떨어지면 열반응이 멈추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해양콘크리트의 최대 물-시멘트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45% 이하
  2. 45∼50%
  3. 50∼55%
  4. 55% 이상
(정답률: 40%)
  • 해양콘크리트는 해양환경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로, 물에 노출되면서도 내구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적어야 하며, 이를 위해 물-시멘트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낮게 설정하면 시멘트와 물의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양콘크리트의 최대 물-시멘트비는 45~50%가 가장 적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0.5cm의 정밀도로 측정한다.
  2. 시료는 슬럼프 콘의 높이를 3등분하여 3층으로 나누어 넣고 가운데 층만 25회 다진다.
  3. 슬럼프 콘에 시료를 채우고 벗길때 까지의 전작업 시간은 3분 30초 이내로 한다.
  4. 슬럼프 콘 벗기는 작업은 10초 정도로 천천히 해야 한다.
(정답률: 43%)
  •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흐름성과 일관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콘크리트가 내려앉은 길이를 0.5cm의 정밀도로 측정하는 이유는 콘크리트의 일관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즉, 콘크리트가 일정한 속도로 내려앉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시 공시체의 함수상태는 어떤 상태로 해야 하는가?

  1. 노건조상태
  2. 공기중건조상태
  3. 표면건조포화상태
  4. 습윤상태
(정답률: 31%)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콘크리트를 압축하면서 파괴되는 최대 하중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시험에서는 콘크리트의 실제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시체를 습윤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실제 사용되는 환경에서 노출되는 습기와 비슷한 상태를 만들어내기 위함입니다. 습윤상태로 유지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시 공시체의 함수상태는 "습윤상태"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을 통하여 판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재료분리의 경향
  2. 응결, 경화의 시간
  3. 워커 빌리티의 상태
  4. 시멘트의 비중
(정답률: 43%)
  •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시멘트와 물의 비율, 총계수, 총표면적 등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블리딩 경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이 중에서 "재료분리의 경향"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시멘트와 물, 골재 등이 분리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한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방배합에서 단위수량 165kg/m3, 잔골재량 620kg/m3, 굵은골재량 1,300kg/m3이다. 현장배합으로 고칠 때 표면수량에 대한 조정을 하여 조정된 수량은 몇 kg/m3인가? (단, 잔골재 표면수량 1%, 굵은골재 표면수량 2%이며, 입도 조정은 무시한다.)

  1. 122
  2. 126
  3. 130
  4. 133
(정답률: 19%)
  • 시방배합에서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표면수량을 조정하여 적정한 시공성을 확보해야 한다.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표면수량은 각각 1%, 2%로 주어졌다. 따라서 조정된 수량은 다음과 같다.

    - 잔골재: 165kg/m3 / (1-0.01) = 166.67kg/m3
    - 굵은골재: 1,300kg/m3 / (1-0.02) = 1,326.53kg/m3

    조정된 수량을 이용하여 시방배합의 비율을 유지하면 다음과 같다.

    - 시방배합 비율: 잔골재 620kg/m3 : 굵은골재 1,300kg/m3 = 1 : 2.1
    - 조정된 수량 비율: 잔골재 166.67kg/m3 : 굵은골재 1,326.53kg/m3 = 1 : 7.96

    따라서 조정된 수량은 약 133kg/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그림과 같은 콘크리트의 시험 방법은?

  1. 압축강도시험
  2. 인장강도시험
  3. 휨강도시험
  4. 블리딩시험
(정답률: 38%)
  • 위 그림은 인장강도시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콘크리트가 견디는 인장력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인장강도시험이 수행됩니다. 압축강도시험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며, 휨강도시험은 콘크리트의 휨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블리딩시험은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을 1회 수행하기 위해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는 최소 몇 g이상을 사용하는가?

  1. 100g
  2. 500g
  3. 1,000g
  4. 5,000g
(정답률: 58%)
  •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은 시료의 무게에 따라 결과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시료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500g 이상의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무엇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시험을 실시하는가?

  1. 골재의 단위중량
  2. 골재의 입도
  3. 기상작용에 대한 내구성
  4. 염화물 함유량
(정답률: 67%)
  • 골재의 안정성 시험은 골재가 기상작용에 노출될 때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기상작용은 강한 바람, 비, 눈, 열 등의 자연적인 요인으로 인해 골재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골재의 내구성이 기상작용에 대한 영향을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은 동일한 조건의 시료로 최소한 몇개 이상 공시체를 만들어야 하는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56%)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서는 시료의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한 3개 이상의 공시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통계적인 분석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샘플 개수이며, 3개 이상의 시료를 이용하면 시료 간의 변이를 파악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서는 최소한 3개 이상의 공시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골재알이 공기중 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되기까지 흡수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1. 함수량
  2. 흡수량
  3. 유효 흡수량
  4. 표면수량
(정답률: 57%)
  • 골재알이 공기중 건조상태에서 물을 흡수하면서 표면건조 포화상태가 되기까지 흡수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흡수량"입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실제로 골재알 내부에 저장되어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유효 흡수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 흡수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된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시약이 아닌 것은?

  1. 탄닌산
  2. 알콜
  3. 황산마그네슘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45%)
  •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된 유기불순물 시험에 사용하는 시약은 탄닌산, 알콜, 수산화나트륨이지만, 황산마그네슘은 이 시험에 사용되지 않는 시약입니다. 이유는 황산마그네슘은 유기물이 아닌 무기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미립분을 적절하게 포함한 세골재를 사용한다.
  2.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3.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4. AE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36%)
  •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는 물과 더 잘 혼합되어 더 많은 미립자를 생성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다."입니다.

    분말도가 작은 시멘트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물과 더 잘 혼합되어 더 많은 미립자를 생성하게 됩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기 포함을 증가시키고, 결국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을 악화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리딩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분말도가 큰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기량 측정방법중 공기가 전혀 없는 것으로 하여 시방배합에서 계산한 콘크리트의 이론 단위 무게와 실제로 측정한 단위 무게와의 차이로 공기량을 구하는 방법은?

  1. 공기실 압력법
  2. 무게법
  3. 부피법
  4. 워싱턴형 공기량 측정법
(정답률: 31%)
  • 무게법은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의 무게를 측정하여 공기가 없는 콘크리트의 이론 단위 무게와 실제 측정한 단위 무게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공기량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측정이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체 만들기에서 콘크리트를 채운뒤 일정시간이 지나서 된 반죽의 시멘트 풀로 표면을 캐핑할 때 시멘트 풀의 W/C 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3∼27%
  2. 27∼30%
  3. 35∼40%
  4. 40∼43%
(정답률: 62%)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체는 시멘트, 물, 모래, 그리고 자갈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반제품입니다. 이 중에서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시멘트 풀의 W/C 비는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W/C 비는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W/C 비가 낮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반대로 W/C 비가 높아질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낮아집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체를 만들 때는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W/C 비를 조절해야 합니다. 보기에서는 27∼30%가 가장 적절한 값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시멘트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비율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7∼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에 사용하는 콘의 규격으로 옳은 것은? (단, 나열순서는 밑면의 안지름, 윗면의 안지름, 높이임)

  1. 15cm, 10cm, 25cm
  2. 20cm, 15cm, 25cm
  3. 20cm, 10cm, 30cm
  4. 25cm, 15cm, 30cm
(정답률: 78%)
  •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에서는 콘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모은 후, 콘을 제거하고 콘크리트가 남긴 원통형의 높이 차이를 측정합니다. 이 때, 콘의 규격은 밑면의 안지름, 윗면의 안지름, 높이로 나타내어집니다. 따라서 슬럼프시험에 사용하는 콘의 규격은 "20cm, 10cm, 30cm"이 됩니다. 이는 밑면의 안지름이 20cm, 윗면의 안지름이 10cm, 높이가 30cm인 콘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에서 겉보기 공기량이 5.4%이고, 골재의 수정 계수가 2.3%일때, 콘크리트 공기량은?

  1. 2.3%
  2. 12.4%
  3. 3.1%
  4. 7.7%
(정답률: 65%)
  • 콘크리트 공기량 시험에서 측정되는 공기량은 겉보기 공기량과 골재의 수정 계수를 고려하여 보정된 값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공기량은 겉보기 공기량에서 골재의 수정 계수를 빼면 된다.

    공기량 = 겉보기 공기량 - (골재의 수정 계수 x 겉보기 공기량)
    공기량 = 5.4% - (2.3% x 5.4%)
    공기량 = 5.4% - 0.1242%
    공기량 = 3.1%

    따라서, 정답은 "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콘크리트 원주 시험체를 할렬시켜 인장강도를 구하고자 할때 시험공시체의 지름은 골재 최대 치수의 최소 몇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4/3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45%)
  • 콘크리트 원주 시험체를 할렬시켜 인장강도를 구하고자 할 때, 시험공시체의 지름은 골재 최대 치수의 최소 4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시험체의 지름이 작을 경우, 시험체의 중심부에서는 인장력이 집중되어 인장강도가 과대평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지름을 충분히 크게 가져야 인장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블리딩량은 규정된 측정시간 동안에 생긴 블리딩 물의 양을 무엇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나?

  1. 시험체의 총부피
  2. 시험체에 함유된 물의 총중량
  3. 시험체의 총표면적
  4. 시험체의 상면의 면적
(정답률: 20%)
  • 블리딩량은 시험체의 상면의 면적으로 나누어 구합니다. 이는 블리딩이 시험체의 상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블리딩 물의 양을 상면의 면적으로 나누어야 정확한 블리딩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블리딩량을 구하는 과정에서 필요하지 않은 값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치수로 적당한 것은?

  1. 20 × 20 × 45cm
  2. 20 × 20 × 50cm
  3. 15 × 15 × 45cm
  4. 15 × 15 × 53cm
(정답률: 66%)
  • 휨강도 시험은 시편의 길이가 일정하고, 시편의 양 끝에 적재하고 하중을 가하여 시편을 굽히는 시험이다. 따라서 시편의 길이는 일정해야 하며, 시편의 양 끝에 적재할 때 적절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시편의 두께는 충분히 있어야 하며, 시편의 폭은 시편을 적재할 때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15 × 15 × 53cm이 적당한 치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겉보기 배합에 의한 방법
  2. 계산 배합에 의한 방법
  3. 시험 배합에 의한 방법
  4. 배합표에 의한 방법
(정답률: 73%)
  • 겉보기 배합에 의한 방법은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필요한 재료의 양을 대략적으로 추정하여 배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한 계산이나 시험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다른 세밀한 방법들과는 달리 정확한 품질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시 매 층당 다짐은 몇 회인가? (시험체의 지름15cm, 높이 30cm의 경우)

  1. 20회
  2. 25회
  3. 30회
  4. 15회
(정답률: 82%)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시 매 층당 다짐 횟수는 25회입니다. 이는 국제표준인 ASTM C192에서 규정한 내용으로, 시험체의 지름이 15cm, 높이가 30cm인 경우 매 층당 다짐 횟수는 25회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압축하여 시험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