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1.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적합한 조립률의 범위는?
2. 해수, 산, 염류 등의 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해수공사에 알맞고 수화열이 많아서 한중 콘크리트에 알맞은 특수 시멘트는?
3. 콘크리트를 친 후 시멘트와 골재알이 가라 앉으면서 물이 올라와 콘크리트의 표면에 떠오른다.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4. 가루 석탄을 연소 시킬 때 굴뚝에서 집진기로 모은 아주 작은 입자의 재이며, 실리카질 혼화재로 입자가 둥글고 매끄럽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좋게 하고 수화열이 적으며, 장기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은?
5.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중에 부피를 늘어나게 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혼화재료는?
6. 고로 슬래그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 기상작용에 대한 골재의 내구성을 알기 위한 시험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8. 다음 표준체 중에서 골재의 조립률을 구할 때 사용하는 체가 아닌 것은?
9. 혼화재와 혼화제의 분류에서 혼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0. 잔골재의 정의에 대한 아래 표의 ( )에 알맞은 것은?
11. 다음 중 천연 골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2.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의 며칠 강도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28일 강도와 비슷한가?
13. 시멘트와 물을 반죽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4.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 중에서 부피가 가장 큰 것부터 작은 순으로 나열한 것은?
15. 다음 중 시멘트의 제조 과정에서 응결지연제로 석고를 클링커 질량의 약 몇 % 정도 넣고 분쇄하는가?
16. 굵은 골재의 밀도시험에서 5mm 체를 통과하는 시료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17.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 시험에서 표준모래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8. 잔골재 체가름 시험에서 조립률의 기호는?
19. 잔 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무게가 100g,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무게가 110g, 습윤 상태의 무게가 120g이었다면 이잔 골재의 흡수율은?
20. 시멘트가 응결할 때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속에 아주 작은 기포를 생기게 하는 혼화제로 알루미늄가루 등을 사용하며 프리팩트 콘크리트용 그라우트나 PC용 그라우트에 사용하면 부착을 좋게 하는 것은?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가경식 믹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비비기를 할 경우 비비기 시간은 믹서 안에 재료를 투입한 후 얼마 이상을 표준으로 하는가?
22.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콘크리트 배합에 있어서 단위수량 160kg/m3, 단위시멘트량 310kg/m3, 공기량 3%로 할 때 단위골재량의 절대부피는? (단, 시멘트의 비중은 3.15이다.)
24.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물-시멘트비가 48%, 잔골재율이 35%, 단위수량이 170kg/m3을 얻었다면 단위시멘트량은 약 얼마인가?
25. 콘크리트의 다지기에 있어서 내부진동기를 사용할 경우 아래층의 콘크리트 속에 몇 cm정도 찔러 넣어야 하는가?
26. 콘크리트 치기에 앞서 거푸집에 충분히 물을 뿌려야 하는 이유로 가장 중요한 것은?
27. 공장에 있는 고정 믹서에서 어느 정도 콘크리트를 비빈 다음, 트럭 믹서에 싣고 비비면서 현장에 운반하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28. 다음 중 콘크리트 운반기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29.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지기를 할 때 내부 진동기를 찔러 넣는 간격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30. 콘크리트 배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31. 한중 콘크리트는 양생 중에 온도를 최소 얼마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가?
32. 수중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되는 기계 및 기구와 관계가 먼 것은?
33. 콘크리트 양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34. 시방서 또는 책임기술자가 지시한 배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35. 콘크리트의 배합을 정하는 경우에 목표로 하는 강도를 배합강도라고 한다. 배합강도는 일반적인 경우 재령 몇 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는가?
36. 수송관 속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써 압송하며 터널 등의 좁은 곳에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편리한 콘크리트 운반장 비는?
37.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압축 공기에 의해 뿜어 붙여서 만든 콘크리트로 비탈면의 보호, 교량의 보수 등에 쓰이는 콘크리트는?
38. 콘크리트의 경화나 강도발현을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촉진양생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39. 잔 골재의 절대부피가 0.324m3이고 골재의 절대부피는 0.684m3일 때 잔 골재율을 구하면?
40.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ck와 물-시멘트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몇 mm이상 인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가?
42. 콘크리트 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체의 크기는 ø15×30cm이며, 시험 최대하중은 10600kg이었다. 이 때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43.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에서 골재의 수정계수 결정시 필요하지 않는 것은?
44.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길이와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5.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 이하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용 원주형 공시체의 직경과 높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46.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 사용하는 시료의 양생 온도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47. 콘크리트 배합설계 순서 중 가장 마지막에 하는 작업은?
48.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을 1회 수행하기 위한 표면 건조 포화상태의 시료 량은 최소 몇 g 이상이 필요한가?
49.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체의 지름은 골재 최대치수의 몇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50.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에서 공시체가 지간의 3등분 중앙부에서 파괴 되었을 때의 휨강도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P:시험기에 나타난 최대하중(kg), ℓ:지간길이(cm), b:파괴단면의 나비(cm), h:파괴 단면의 높이(cm))
51. 빈틈이 적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잘못된 것은?
5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3.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표면을 캐핑하기 위한 시멘트 풀의 물-시멘트비(W/C)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54. 다음 중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판정하는 시험방법은?
55. 골재알이 공기중 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되기까지 흡수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56.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방법 중에서 보일(Boyle)의 법칙을 이용하여 공기량을 구하는 것은?
57. 실내에서 건조시킨 상태로 골재의 알 속의 일부에만 물기가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58. 표면 건조 포화 상태 시료의 질량이 4000g 이고, 물속에서 철망태와 시료의 질량이 3070g이며 물속에서 철망태의 질량이 580g, 절대건조 상태 시료의 질량이 3930g일 때 이 굵은 골재의 절대 건조 상태의 밀도를 구하면? (단, 시험온도에서의 물의 밀도는 1g/cm3이다.)
59. 다음 중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 필요한 시험기구는?
60. 콘크리트의 블리딩량을 계산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