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7-20)

콘크리트기능사
(2014-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1.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압송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압송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유동화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슬럼프 값을 아주 높게 한다.
  2. 보통 콘크리트를 펌프로 압송할 경우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40mm 이하, 슬럼프는 100~180mm의 범위가 적절하다.
  3. 펌프의 호퍼(hopper)에 콘크리트 투입시의 슬럼프를 120m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유동화 콘크리트를 원칙으로 한다.
  4. 일반적으로 안정하게 압송할 수 있는 최초의 슬럼프 값은 굵은골재의 최대 입경이 20~40mm이며 사용할 관의 지름이 150mm 이하의 경우 80mm 정도이다.
(정답률: 69%)
  • "일반적으로 안정하게 압송할 수 있는 최초의 슬럼프 값은 굵은골재의 최대 입경이 20~40mm이며 사용할 관의 지름이 150mm 이하의 경우 80mm 정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콘크리트를 펌프로 압송할 때는 굵은골재의 최대치수와 슬럼프 값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펌프의 호퍼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슬럼프 값은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압송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유동화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슬럼프 값을 아주 높게 한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하루 평균기온( )℃를 초과하는 시기에 시공할 경우에는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한다. ( ) 안에 들어갈 온도는?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79%)
  • 일반적으로 서중 콘크리트는 25℃ 이상에서 시공할 때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하루 평균기온이 25℃를 초과하는 시기에 시공할 경우에는 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잔골재의 안정성 시험에서 황산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손실 질량 백분율은 몇%이하이어야 하는가?

  1. 8%
  2. 10%
  3. 12%
  4. 15%
(정답률: 60%)
  • 잔골재는 카르보닐 철로 만들어져 있으며, 황산나트륨은 이를 산화시켜서 산화철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황산나트륨의 양이 적으면 산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안정성 시험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황산나트륨의 양이 많으면 카르보닐 철이 완전히 산화되어 손실 질량이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안정성 시험을 진행하면 손실 질량 백분율은 10%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휨강도 공시체 150mm×150mm×530mm의 몰드를 제작할 때 각 층은 몇 회씩 다지는가?

  1. 25회
  2. 50회
  3. 80회
  4. 92회
(정답률: 75%)
  • 휨강도 공시체의 크기가 150mm×150mm×530mm 이므로, 이를 4등분하여 각 층의 크기는 150mm×150mm×132.5mm가 된다.

    몰드 제작 시 각 층의 두께는 보통 10mm ~ 15mm 정도로 설정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12.5mm로 가정하면,

    한 층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양은 다음과 같다.

    150mm × 150mm × 12.5mm = 28125mm³

    몰드를 제작할 때는 보통 10% ~ 20% 정도의 여유를 두어야 하므로,

    한 층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양은 다음과 같다.

    28125mm³ × 1.2 = 33750mm³

    이제 전체 몰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양을 계산해보자.

    150mm × 150mm × 530mm = 11925000mm³

    한 층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양은 33750mm³ 이므로,

    전체 몰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층의 수는 다음과 같다.

    11925000mm³ ÷ 33750mm³ = 353.333... ≈ 354

    따라서, 각 층을 354회씩 다지면 전체 몰드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0회"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실제로는 한 층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의 양을 28125mm³로 가정하고,

    전체 몰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층의 수는 다음과 같다.

    11925000mm³ ÷ 28125mm³ = 424

    따라서, 각 층을 424회씩 다지면 전체 몰드를 만들 수 있다.

    이것이 "80회"가 정답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지기를 할 때 내부 진동기를 찔러 넣는 간격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1. 25cm 이하
  2. 50cm 이하
  3. 75cm 이하
  4. 100cm 이하
(정답률: 84%)
  • 내부 진동기를 찔러 넣는 간격이 너무 멀면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 포집이 발생하여 강도가 약해지고, 너무 가까우면 진동기가 콘크리트를 파손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간격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50cm 이하가 적당한 간격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중 콘크리트는 양생 중에 온도를 최소 얼마 이상 유지해야 하는가?

  1. 0℃
  2. 5℃
  3. 15℃
  4. 20℃
(정답률: 86%)
  • 한중 콘크리트는 양생 중에 최소 5℃ 이상의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 온도가 너무 낮으면 경화 과정이 느려지거나 멈추게 되어 강도가 낮아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양생 중에는 최소 5℃ 이상의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경사슈트에 의한 콘크리트 운반을 하는 경우 기울기는 연직 1에 대하여 수평을 얼마 정도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2%)
  • 경사슈트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된 지면을 오르내리는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이 때 기울기는 각도로 표시되며, 연직 1에 대하여 수평을 얼마나 이동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기울기가 2인 경우에는 연직 1에 대하여 수평으로 2만큼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사가 26.57도인 경우와 같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경사슈트가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기울기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를 수중에 낙하시키지 말아야 한다.
  2. 수중에 물의 속도가 5 이상일 때에 한하여 시공한다.
  3. 트레미나 포대를 사용한다.
  4. 정수중에 치면 더욱 좋다.
(정답률: 73%)
  • "수중에 물의 속도가 5 이상일 때에 한하여 시공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중 콘크리트는 물속에서 시공되는 콘크리트로, 물속에서의 수온, 염분, 압력 등의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제작됩니다. 따라서 물의 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수중 콘크리트는 수심이 깊은 해저에서 해양 구조물을 건설할 때 사용되며, 트레미나 포대를 사용하여 시공됩니다. 또한 정수중에 시공하는 것이 더욱 좋은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에 사용할 공시체는 시험 직전에 공시체의 지름을 몇 mm까지 2개소 이상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는가?

  1. 0.1mm
  2. 0.5mm
  3. 1mm
  4. 2mm
(정답률: 62%)
  •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에서는 공시체의 지름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측정 도구의 오차나 공시체의 형태 등으로 인해 한 번의 측정으로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여러 번 측정한 값들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습니다. 이 때, 공시체의 지름을 측정하는 도구의 최소 단위가 0.1mm 이므로, 이보다 작은 값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공시체의 지름을 0.1mm 단위로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슬럼프(slump) 시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오래전부터 여러 나라에서 많이 사용하여 왔다.
  2. 슬럼프 콘이 규격은 밑면 20cm, 윗면 10cm, 높이 30cm이다.
  3. 슬럼프 값을 측정할 때 콘을 벗기는 작업은 1분 30초 정도로 끝낸다.
  4. 3층으로 나누어 넣고 각 층마다 지름 16mm의 다짐대로 25회 다진다.
(정답률: 83%)
  • 슬럼프 값을 측정할 때 콘을 벗기는 작업은 1분 30초 정도로 끝낸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콘을 벗기는 작업은 15초 이내로 끝나며, 이후 1분 30초 동안 콘 위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응결 지연제를 혼입해서 사용해야 할 콘크리트는?

  1. 한중 콘크리트
  2. 서중 콘크리트
  3. 수중 콘크리트
  4. 진공 콘크리트
(정답률: 70%)
  • 서중 콘크리트는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로, 응결 지연제를 혼입하여 물의 증발을 막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응결 지연제를 혼입해서 사용해야 할 콘크리트는 서중 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골재를 체가름 시험 후 조립률의 계산시 필요하지 않는 체는?

  1. 40mm
  2. 25mm
  3. 5mm
  4. 1.2mm
(정답률: 85%)
  • 체가름 시험은 골재의 조립률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중 하나입니다. 이 시험에서는 골재를 일정한 크기의 체에 담아서 집합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체가름 시험 후 조립률을 계산할 때는 체에 들어가지 않는 크기의 골재는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25mm는 체의 크기보다 작아서 체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조립률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리 거푸집 안에 굵은골재를 채우고, 그 틈에 특수 모르타르를 펌프로 주입한 콘크리트는?

  1.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2. 중량 콘크리트
  3. PC콘크리트
  4. 진공 콘크리트
(정답률: 90%)
  • 미리 거푸집 안에 굵은골재를 채우고, 그 틈에 특수 모르타르를 펌프로 주입한 콘크리트는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입니다. 이는 미리 제작된 철근이나 강선 등의 프리플레이스트를 콘크리트 안에 넣어 제작하는 방식으로,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시공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시멘트의 비중은 보통 어느 정도인가?

  1. 2.51~2.60
  2. 3.04~3.15
  3. 3.14~3.16
  4. 3.23~3.25
(정답률: 65%)
  • 시멘트는 보통 석회암, 실리카, 알루미늄 등의 원료를 가열하여 만들어지는 물질로, 밀도가 높은 물질입니다. 따라서 시멘트의 비중은 대략 3.14~3.16 정도로 나타납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밀도가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도중에 부피가 늘어나게 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막는 데 사용하는 혼화재는?

  1. 공기연행제
  2. 플라이 애시
  3. 팽창성 혼화재
  4. 포졸란
(정답률: 79%)
  • 팽창성 혼화재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도중에 부피가 늘어나게 하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막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혼화재 내부에 있는 화학물질이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가스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압력을 발생시켜 부피를 늘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벽이나 기둥과 같이 높이가 높은 콘크리트를 연속해서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의 쳐 올라가는 속도는 일반적으로 30분에 얼마 정도로 하는가?

  1. 1m이하
  2. 1~1.5m
  3. 2~3m
  4. 3~4m
(정답률: 91%)
  •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콘크리트가 얼마나 빠르게 쳐 올라가는지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30분에 1~1.5m 정도의 높이를 올립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어서 다음 층을 올리기에 적당한 시간이며, 너무 빠르게 올리면 층간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포졸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규조토
  2. 규산백토
  3. 고로 슬래그
  4. 포졸리스
(정답률: 76%)
  • 포졸리스는 포졸란의 종류가 아닙니다. 포졸리스는 포졸란이 아니라, 포졸란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시멘트 종류입니다. 따라서, 포졸리스는 포졸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에서 부순돌을 굵은골재로 사용했을 때의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단위수량이 많아진다.
  2. 잔골재율이 작아진다.
  3. 부착력이 좋아서 압축강도가 커진다.
  4. 포장 콘크리트에 사용하면 좋다.
(정답률: 59%)
  • 잔골재율이 작아진다는 것은 굵은 골재를 사용하면서 콘크리트 내부에 공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잔골재의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추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잔골재율이 작아지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 사용하는 다짐대의 지름은 몇mm인가?

  1. 10mm
  2. 13mm
  3. 16mm
  4. 19mm
(정답률: 67%)
  •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서 사용하는 다짐대의 지름은 16mm입니다. 이는 ASTM C143 표준에서 규정된 지름입니다. 다짐대는 콘크리트 시멘트 혼합물을 특정한 형태로 다짐하여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측정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구분하는 체는?

  1. 1mm체
  2. 2mm체
  3. 3mm체
  4. 5mm체
(정답률: 91%)
  • 잔골재와 굵은골재는 입자 크기가 다릅니다. 잔골재는 2m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고, 굵은골재는 5m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5mm체를 사용하여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1mm체나 2mm체, 3mm체는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구분하기에는 입자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시공

21. 공극률이 적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시멘트 풀의 양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2.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증대된다.
  3.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 적어진다.
  4. 블리딩의 발생이 증대된다.
(정답률: 66%)
  • "블리딩의 발생이 증대된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공극률이 적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시멘트 풀의 양이 적어 경제적이며,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증대되어 강도가 향상되고, 건조수축이 적어져 균열 발생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블리딩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기 포집이 발생하여 물과 시멘트 풀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공극률이 적은 골재를 사용하면 물의 이동이 제한되어 블리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공기연행제를 사용할 때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커진다.
  2.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3.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단위 수량이 줄어든다.
  4. 수밀성은 커지나 강도가 작아진다.
(정답률: 50%)
  • 수밀성은 커지나 강도가 작아진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공기연행제는 콘크리트의 수분증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커지고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이 커지며, 워커빌리티가 좋아지고 단위 수량이 줄어듭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외기 온도가 25℃ 미만일 때 콘크리트는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원칙적으로 몇 시간 이내로 하는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정답률: 83%)
  • 콘크리트는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 초기 수화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반응은 온도에 따라 속도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외기 온도가 25℃ 미만일 때 콘크리트는 초기 수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2시간 이내로 타설이 끝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가경식 믹서일 때에는 1분 30초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강제식 믹서일 때에는 2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3.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 한다.
  4. 비비기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믹서 내부를 모르타르로 부착시켜야 한다.
(정답률: 78%)
  •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강제식 믹서일 때에는 2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유는 비비기 시간은 믹서의 종류와 크기,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종류와 양, 환경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강제식 믹서일 때에도 비비기 시간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시험을 실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에도 강제식 믹서일 때에는 1분 30초 이상을 표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 재료 배합시 재료의 계량 오차가 가장 적게 생기도록 해야 하는 것은?

  1. 혼화제
  2. 잔골재
  3. 굵은골재
(정답률: 81%)
  • 콘크리트 재료 배합시 물은 다른 재료에 비해 계량이 가장 적게 필요합니다. 따라서 물의 계량 오차가 적게 생기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물의 계량이 부족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지고, 물의 계량이 많으면 콘크리트의 수축률이 증가하여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물의 계량을 유지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 재료분리를 막기 위해 거푸집에 투입구를 설치하거나 연직슈트 또는 펌프배관의 배출구를 타설면 가까운 곳까지 내려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이 경우 슈트, 펌푸배관, 버킷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5m 이하
  2. 2.0m 이하
  3. 2.5m 이하
  4. 3.0m 이하
(정답률: 85%)
  • 거푸집에 투입된 재료가 내려오는 동안에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기 때문에, 높이가 높을수록 재료가 떨어지는 속도가 빨라진다. 이에 따라 슈트나 펌프배관 등의 배출구에서 재료가 내려오는 속도도 빨라지게 되는데, 이는 재료의 분리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슈트나 펌프배관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1.5m 이하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스앤젤레스 시험기를 사용한다.
  2.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3. 일반 콘크리트용 굵은골재의 마모율 한도는 40% 이하이다.
  4. 시료를 시험기에서 꺼내서 5mm의 망체로 친다. 이때, 습식으로 쳐도 된다.
(정답률: 66%)
  • 시료를 습식으로 쳐도 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굵은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한도 중 연한 석편은 질량백분율로 최대 몇%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가?

  1. 0.25% 이하
  2. 1.0% 이하
  3. 5.0% 이하
  4. 7.0% 이하
(정답률: 42%)
  • 굵은골재는 건축물의 구조물을 이루는 중요한 재료 중 하나이다. 하지만 굵은골재에는 유해물질인 연한 석편이 함유될 수 있다. 연한 석편은 건강에 해로운 물질로,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건축법에서는 굵은골재의 연한 석편 함유량을 규제하고 있다. 이 중 연한 석편의 질량백분율이 최대 5.0% 이하로 규정되어 있는 이유는, 이 수치 이하로 함유되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5.0%를 초과하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규제하고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골재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1. 단단하고 내구적일 것
  2. 무게가 가벼울 것
  3. 알맞은 입도를 가질 것
  4. 연한 석편,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하지 않을 것
(정답률: 77%)
  • 콘크리트를 만들 때 골재의 무게가 가벼울수록 혼합물의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건물 구조물의 하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골재가 무게가 가벼울수록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부피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
  2. 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
  3. 질량비로 95%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
  4. 부피비로 95%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
(정답률: 69%)
  • 정답은 "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입니다. 이유는 굵은골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준 중 하나인 부피비는 골재의 형태와 밀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대신 질량비를 기준으로 삼아 최소 치수인 체의 호칭치수로 나타내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즉, 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골재를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로 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굳지 않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mortar)에 있어서 골재 및 시멘트 입자의 침강으로 물이 분리하여 상승하는 현상으로 인하여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표면에 떠얼로사 가라앉은 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워커빌리티
  2. 레이턴스
  3. 피니셔빌리티
  4. 블리딩
(정답률: 74%)
  • 정답인 "레이턴스"는 골재와 시멘트 입자의 침강으로 인해 물이 분리되어 상승하는 현상으로 인해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표면에 떠얼로사 가라앉은 물질을 뜻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특성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레이턴스는 물의 상승과 관련된 용어로서 다른 보기들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일반 콘크리트에서 습윤양생은 며칠 이상 실시해야 하는가?(단, 일 평균 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1. 1일
  2. 3일
  3. 5일
  4. 7일
(정답률: 65%)
  •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일반 콘크리트에서 습윤양생은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강도를 갖추기 전에 수분을 유지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5일 정도 소요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 시험에 사용되는 시약으로 옳은 것은?

  1. 무수황산나트륨 용액
  2. 염화칼슘 용액
  3. 실리카 겔
  4. 수산화나트륨 용액
(정답률: 74%)
  •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된 유기 불순물 시험에서는 유기 물질을 산화시켜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시험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산화탄소는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반응하여 탄산나트륨을 생성하며, 이 때 생성된 탄산나트륨은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험에서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50mm×150mm×530mm 크기의 콘크리트 시험체를 450mm 지간이 되도록 고정한 후 3등분점 하중법으로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35kN의 최대하중에서 중앙부분이 파괴되었다면 휨강도는 얼마인가?

  1. 4.7MPa
  2. 5.3MPa
  3. 5.6MPa
  4. 5.9MPa
(정답률: 60%)
  • 휨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PL/4

    여기서, M은 최대 모멘트, P는 최대하중, L은 지지간격이다. 이 문제에서는 L=450mm, P=35kN 이므로,

    M = 35×450/4 = 3937.5 Nm

    다음으로, 콘크리트 시험체의 단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150mm×150mm 이므로,

    A = 150×150 = 22500 mm²

    마지막으로, 휨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f = M/W

    여기서, W는 단면적당 중립면에서의 모멘트이다. 콘크리트 시험체가 정사각형이므로 중립면은 중앙이다. 중앙에서의 모멘트는 최대 모멘트의 절반인 1968.75 Nm 이다. 따라서,

    W = A×y = 22500×75 = 1687500 mm³

    여기서 y는 중립면에서의 높이이다. 콘크리트 시험체가 정사각형이므로 y=75mm 이다.

    따라서,

    f = 3937.5/1687500 = 0.00233 MPa = 2.33 kPa

    위의 계산 결과는 단위가 kPa 이므로, 4.7 MPa로 변환하면 4700 k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4.7 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의 혼화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용량이 시멘트 질량의 5% 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된다.
  2. 사용량이 콘크리트 질량의 1% 정도 이상이 되어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관계된다.
  3. 사용량이 콘크리트 질량이 5% 정도 이하의 것으로서 그 자체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된다.
  4. 사용량이 시멘트 질량의 1% 정도 이하의 것으로서 그 자체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된다.
(정답률: 62%)
  •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하거나 특정한 용도에 맞게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입니다. 이 중에서도 사용량이 시멘트 질량의 1% 정도 이하인 혼화제는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됩니다. 이는 혼화제가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시멘트와 같은 주요 재료에 비해 양이 매우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혼화제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극률이 25%인 골재의 실적률은?

  1. 12.5%
  2. 25%
  3. 50%
  4. 75%
(정답률: 86%)
  • 공극률이 25%인 골재는 골재 전체 중 25%가 공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부분은 75%이므로 실적률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골재를 함수상태에 따라 분류할 때 골재입자의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잇고, 표면에도 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는?

  1. 습윤상태
  2. 표면건조 포화상태
  3. 공기 중 건조상태
  4. 절대건조상태
(정답률: 85%)
  • 골재입자의 내부와 표면에 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습윤상태라고 합니다. 이는 골재입자가 물에 적극적으로 흡수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골재의 물성질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타설한 콘크리트의 수분 증발을 막기 위해서 콘크리트의 표면에 양생용 매트, 가마니 등을 물에 적셔서 덮거나 살수하는 등의 조치를 하는 양생방법은?

  1. 습윤 양생
  2. 온도 제어 양생
  3. 촉진 양생
  4. 증기 양생
(정답률: 77%)
  • 습윤 양생은 콘크리트 표면에 물을 적시거나 물에 적셔서 덮음으로써 콘크리트의 수분 증발을 막는 방법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균일한 수분 분포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습윤 양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를 수송관을 통하여 압력으로 비빈 콘크리트를 치기 장소까지 연속적으로 보내는 기계는?

  1. 로울러
  2. 덤프트럭
  3. 콘크리트 펌프
  4. 트럭믹서
(정답률: 79%)
  • 콘크리트 펌프는 수송관을 통해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이동시키는 기계로, 콘크리트를 치기 장소까지 연속적으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수송하는 기능을 가진 다른 보기들인 로울러, 덤프트럭, 트럭믹서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블리딩(bleeding) 시험에서 물을 피펫으로 빨아내는 방법은 처음 60분 동안은 몇분 간격으로 표면의 물을 빨아내는가?

  1. 10분
  2. 20분
  3. 30분
  4. 40분
(정답률: 80%)
  • 블리딩 시험에서 처음 60분 동안은 10분 간격으로 물을 피펫으로 빨아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시간 간격이 너무 짧으면 물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고, 시간 간격이 너무 길면 물이 증발하여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분 간격으로 물을 피펫으로 빨아내는 것이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 재료시험

41.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지름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몇 배 이상이고 또한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배, 80mm
  2. 3배, 100mm
  3. 4배, 150mm
  4. 5배, 100mm
(정답률: 43%)
  •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시험에서는 시험체의 지름이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4배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15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시험체의 크기가 충분히 크면서도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여 시험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4배, 150m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서 시험온도로 옳은 것은?

  1. 17±3℃
  2. 20±3℃
  3. 23±3℃
  4. 25±3℃
(정답률: 80%)
  •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콘크리트를 혼합한 후 일정한 시간 동안 보관하여 물의 증발로 인한 척박화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에서 시험온도는 콘크리트의 보관 온도를 의미하며, 적절한 보관 온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험온도는 콘크리트의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온도로 설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부의 온도는 20℃ 정도이므로,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서는 20±3℃의 온도가 적절한 시험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멘트는?

  1. 고로 시멘트
  2.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3.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4.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87%)
  •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시멘트로, 건축물, 도로, 다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생산량이 많아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국내 시멘트 업체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를 얻기 위한 양생으로 한중 콘크리트 등에 사용되는 양생법은?

  1. 수중 양생
  2. 습사 양생
  3. 피막 양생
  4. 증기 양생
(정답률: 44%)
  •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증기 양생 방법이 사용됩니다. 증기 양생은 콘크리트 표면에 증기를 분사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빠르게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빠른 강도 획득과 동시에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콘크리트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골재의 계량오차는 ±3%
  2. 혼화제를 묽게 하는 데 사용하는 물은 단위 수량으로 포함하여서는 안 된다.
  3. 혼화재의 계량오차는 ±2%이다.
  4. 각 재료는 1배치씩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하며, 물과 혼화제 용액은 용적으로 계량해도 좋다.
(정답률: 70%)
  • "혼화제를 묽게 하는 데 사용하는 물은 단위 수량으로 포함하여서는 안 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 문장은 오히려 맞는 내용입니다. 혼화제를 묽게 하는 데 사용하는 물은 단위 수량으로 포함되지 않고, 따로 계량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혼화제를 묽게 하는 물의 양이 배치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혼화제를 묽게 하는 물은 단위 수량으로 계량되지 않고, 따로 계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매우 된 반죽의 빈배합 콘크리트를 불도저로 깔고 진동롤러로 다져서 시공하는 콘크리트는?

  1. 매스 콘크리트
  2.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3. 강섬유 콘크리트
  4. 진동 롤러 다짐 콘크리트
(정답률: 86%)
  • 진동 롤러 다짐 콘크리트는 매우 된 반죽의 빈배합 콘크리트를 불도저로 깔고 진동롤러로 다져서 시공하는 콘크리트입니다. 이는 진동롤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밀착시키고 공기 포집을 방지하여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동 롤러 다짐 콘크리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2mm체를 95%(질량비) 이상 통과하는 잔골재 시료로 골재의 체가름 시험을 하고자 할 때 준비하여야 할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은?

  1. 100g
  2. 500g
  3. 1000g
  4. 2000g
(정답률: 54%)
  • 체가름 시험은 시료의 부피와 질량을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은 시료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이어야 한다. 1.2mm체를 95% 이상 통과하는 잔골재 시료를 사용할 경우, 시료의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시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은 100g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혼화재료는?

  1. 포졸란
  2. 플라이 애시
  3. 실리카 퓸
  4. 공기연행제(AE제)
(정답률: 83%)
  • 플라이 애시는 석탄, 석회암 등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잔재물로, 시멘트, 콘크리트, 벽돌 등의 제조에 사용됩니다. 이는 포졸란, 실리카 퓸, 공기연행제와 같은 혼화재료와 함께 사용되어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에 관한 설명을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
  2. 수화열 발생이 적다.
  3. 시멘트 풍화속도가 느리다.
  4. 콘크리트의 수화작용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70%)
  •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는 물과 잘 반응하여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지만, 물과 반응하는 양이 많아져 수화열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서 온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며, 이는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기 쉽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아래의 그림은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에서 잔골재를 원뿔형 몰드에 넣어 다지고 난 후 빼 올렸을 때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함수량이 많은 순서로 나열하면?

  1. A>C>B
  2. C>A>B
  3. B>A>C
  4. A>B>C
(정답률: 80%)
  • 정답은 "A>B>C"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A는 밀도가 가장 높은 부분으로, 잔골재가 가장 밀집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흡수율이 가장 낮습니다.

    B는 A와 C 사이에 위치하며, 밀도와 흡수율이 중간 정도입니다.

    C는 밀도가 가장 낮은 부분으로, 잔골재가 가장 희박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흡수율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A>B>C 순서로 함수량이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시험에 표준모래를 사용하는 이유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경제적인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시험하기 위함이다.
  2. 표준모래는 양생이 쉽고 온도에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이다.
  3. 표준모래는 품질이 좋고 강도가 크기 때문이다.
  4. 모래알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없애고 시험조건을 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정답률: 68%)
  •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시험에서 표준모래를 사용하는 이유는 "모래알의 차이에 의한 영향을 없애고 시험조건을 일하게 하기 위함이다."입니다. 즉, 표준모래는 모래알의 크기와 모양이 일정하며, 이를 통해 시험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시험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물-시멘트비가 50%이고 단위 수량이 180kg/m3일 때 단위 시멘트량은 얼마인가?

  1. 90kg/m3
  2. 180kg/m3
  3. 270kg/m3
  4. 360kg/m3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위골재량의 절대부피가 650l이고 잔골재율이 38%인 경우 단위굵은골재량의 절대부피는?

  1. 247l
  2. 403l
  3. 494l
  4. 508l
(정답률: 49%)
  • 잔골재율이 38%이므로, 단위골재량의 62%가 굵은골재이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절대부피는 650l x 0.62 = 403l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3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멘트와 물이 혼합하면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화물을 생성하는 반응은?

  1. 풍화
  2. 수화
  3. 응결
  4. 경화
(정답률: 79%)
  • 시멘트와 물이 혼합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서 수화물이 생성됩니다. 이는 시멘트의 주성분인 석회안산염(Ca3SiO5)과 수화성이 높은 석회수화물(Ca(OH)2)이 물과 반응하여 수화물(CaO·SiO2·nH2O)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수화물은 시멘트의 경화와 강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콘크리트 내부에 독립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시멘트, 골재 주위에서 볼 베어링 작용을 하여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혼화제는?

  1. AE제
  2. 촉진제
  3. 지연제
  4. 발포제
(정답률: 43%)
  • AE제는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워크빌리티를 개선하는 혼화제입니다. 다른 보기인 촉진제, 지연제, 발포제는 이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잔골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흡수량이 3% 이상이면 콘크리트 강도나 내구성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
  2. 표건밀도는 보통 2.50~2.65g/cm3정도이다.
  3. 밀도가 큰 골재는 강도와 내구성이 크다.
  4. 흡수량은 골재 알 속의 빈틈이 많고 적음을 나타낸다.
(정답률: 35%)
  • "밀도가 큰 골재는 강도와 내구성이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잔골재의 밀도가 높을수록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는 것이 맞습니다. 흡수량이 3% 이상이면 콘크리트 강도나 내구성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흡수량이 낮을수록 골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수량이 낮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골재의 조립률(FM)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잔골재의 조립률은 2.3~3.1이다.
  2. 굵은골재의 조립률은 6~8이다.
  3. 골재의 조립률은 골재 알의 지름이 클수록 크다.
  4. 조립률이란 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치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42%)
  • "골재의 조립률은 골재 알의 지름이 클수록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골재의 조립률은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골재 알의 지름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조립률이란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치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조립률이 6이라면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비율이 6:1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골재의 체가름 시험 과정에서 골재가 체눈에 끼인 경우 올바른 조치는?

  1. 체눈에 끼인 골재는 손으로 밀어 체를 통과시킨다.
  2. 체눈에 끼인 골재 알은 부서지지 않도록 빼내고 체에 남는 시료로 간주한다.
  3. 체눈에 끼인 골재는 통과된 시료로 간주한다.
  4. 체눈에 끼인 골재는 부서지지 않도록 빼내고 전체 시료량에서 제외한다.
(정답률: 68%)
  • 체눈에 끼인 골재 알은 부서지지 않도록 빼내고 체에 남는 시료로 간주한다. 이유는 체눈에 끼인 골재는 체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골재는 부서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빼내고, 체에 남는 시료로 간주하여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콘크리트 슬래브의 포설기계의 일종으로 펴고, 다지며 표면 마무리 등의 기능을 하며 연속적으로 포설할 수 있는 장비는?

  1. 콘크리트 배쳐 플랜트
  2. 벨트 컨베이어
  3. 콘크리트 펌프
  4. 콘크리트 슬립 폼 페이버
(정답률: 53%)
  • 콘크리트 슬립 폼 페이버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포설하면서 동시에 펴고 다지며 표면 마무리까지 가능한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콘크리트 배쳐, 벨트 컨베이어, 콘크리트 펌프는 각각 콘크리트를 운반하거나 분사하는 역할을 하지만, 콘크리트 슬립 폼 페이버는 포설과 마무리까지 모두 가능한 특수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모양 치수의 허용차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시체의 정밀도는 지름에서 0.5% 이내로 한다.
  2. 공시체의 재하면의 평면도는 지름의 0.05% 이내로 한다.
  3. 재하면과 모선사이의 각도는 90°±0.5°로 한다.
  4. 공시체의 정밀도는 높이에서 3% 이내로 한다.
(정답률: 35%)
  • 공시체의 정밀도는 높이에서 3% 이내로 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공시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높이 차이가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규정한 것입니다. 이는 시험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