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구)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태양광발전용 인버터의 회로방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트랜스리스 방식
  2. 상용주파 변압기 절연방식
  3. 고주파 변압기 절연방식
  4. 단권 변압기 절연방식
(정답률: 90%)
  • 태양광발전용 인버터는 고주파 AC 전력을 생성하기 위해 DC 전력을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단권 변압기 절연방식은 절연성이 낮아서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회로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권 변압기 절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태양전지 모듈의 공칭 태양전지 동작온도(NOCT : Nominal Operating Celll Temperature)에서의 측정 조건이 아닌 것은?

  1. 습도 35%
  2. 풍속 1m/s
  3. 외기온도 20℃
  4. 총 방사조도 800W/m2
(정답률: 72%)
  • 정답은 "습도 35%"입니다. NOCT는 모듈이 설치된 실제 환경에서의 동작 온도를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 일반적으로 외기온도 20℃, 총 방사조도 800W/m2, 풍속 1m/s 등의 조건에서 측정됩니다. 하지만 습도는 NOCT 측정 조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습도 35%"는 NOCT 측정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리콘형 태양전지의 재료 중 P형 반도체의 특성이 맞는 것은?

  1. 정공이 다수 캐리어이다.
  2. 전자가 다수 캐리어이다.
  3. 전자·정공 모두 다수 캐리어이다.
  4. 전자·정공 모두 소수 캐리어이다.
(정답률: 85%)
  • P형 반도체는 전자가 적고 정공이 많은 반도체이기 때문에 "정공이 다수 캐리어이다."가 맞습니다. 이는 P형 반도체가 양자화된 도너스 상태를 가지고 있어서, 외부에서 전자가 공급되면 정공이 채워지고 전자가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반적인 전지와 비교해서 태양전지의 특징을 설명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ㄹ
  4. ㄴ, ㄷ, ㄹ
(정답률: 85%)
  • 태양전지는 일반적인 전지와 달리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로 변환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따라서 "ㄱ, ㄹ"이 정답이다. "ㄱ"은 일반적인 전지와 달리 광에너지를 이용한다는 것을, "ㄹ"은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어레이 추적방식이 아닌 것은?

  1. 감지식 추적방식
  2. 혼합식 추적방식
  3. 집광식 추적방식
  4. 프로그램 추적방식
(정답률: 83%)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어레이 추적방식 중에서 "집광식 추적방식"은 일반적인 태양광발전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태양광을 집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태양광을 집중시키기 위해 렌즈나 거울 등을 사용하며, 일반적인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어레이 추적방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집광식 추적방식"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반적인 어레이 추적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집광형 태양광발전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로 확산광(diffused light)을 집광한다.
  2. 렌즈 혹은 거울(mirror)을 사용하여 집광한다.
  3. 높은 전류값으로 인해 전극에서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4. 집광된 빛이 입사될 경우 셀의 온도가 일정하면 변환효율은 낮아지지 않고 유지가 된다.
(정답률: 60%)
  • "주로 확산광(diffused light)을 집광한다."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집광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렌즈나 거울을 사용하여 집광하며, 높은 전류값으로 인해 전극에서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집광된 빛이 입사될 경우 셀의 온도가 일정하면 변환효율은 낮아지지 않고 유지된다. 따라서, "주로 확산광(diffused light)을 집광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모듈의 + COMMON은 접지와 연결되어 있고, 지락 발생 시 직렬모듈 전체 전압 변화로 모듈의 지락상태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그림이다. 접속반 채널이 정상상태인 경우 단자 A와 B 사이의 전압은 몇 V인가?

  1. DC 54.7 V
  2. DC 164.1 V
  3. DC 273.5 V
  4. DC 328.2 V
(정답률: 87%)
  • 접속반 채널이 정상상태인 경우, A와 B 사이의 전압은 직렬로 연결된 3개의 모듈의 전압의 합과 같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전압은 109.4V + 109.4V + 109.4V = 328.2V 이다. 따라서 정답은 "DC 328.2 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태양광발전의 장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전력생산량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한다.
  2. 에너지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이 필요하다.
  3. 설치장소가 한정적이며, 시스템 비용이 고가이다.
  4. 에너지의 원료인 태양의 빛은 무료이며, 무한이다.
(정답률: 93%)
  • 태양광발전은 에너지의 원료인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 빛은 무료이며 무한하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은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 방법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연료전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인산형(PAFC)
  2. 용융탄산염형(MCFC)
  3. 분산전해질형(PEFC)
  4. 고체산화물형(SOFC)
(정답률: 67%)
  • 분산전해질형(PEFC)은 연료전지의 종류 중 하나이다. 이유는 PEFC는 고체전해질 대신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며, 전해질이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있어서 분산전해질형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PEFC는 연료전지의 종류 중 하나이며, 주어진 보기에서는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상적인 변압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단자전류의 비 I2/I1는 권수비와 같다.
  2. 단자전압의 비 V2/V1는 코일의 권수비와 같다.
  3. 1차측 복소전력은 2차측 부하의 복소전력과 같다.
  4. 1차 단자에서 본 전체 임피던스는 부하 임피던스에 권수비의 자승의 역수를 곱한 것과 같다.
(정답률: 74%)
  • 단자전류의 비 I2/I1는 권수비와 같다는 것은, 변압기의 전력 보존 법칙에 의해 유도전압이 권수비에 비례하므로, 유도전류도 권수비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차 측의 전류는 1차 측의 전류에 권수비를 곱한 값과 같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태양전지에 입사되는 광에너지에 의하여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의 비율을 무슨 효율이라 하는가?

  1. 결합효율
  2. 규약효율
  3. 평균동작효율
  4. 광전변환효율
(정답률: 96%)
  • 태양전지에서 입력된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을 광전변환효율이라고 한다. 즉, 광전변환효율은 태양전지가 받은 광에너지 중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과정에서의 효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광전변환효율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결정계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에서 표면온도와 출력과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표면온도가 높아지면 출력이 증가한다.
  2. 표면온도가 높아지면 출력이 감소한다.
  3. 표면온도가 낮아지면 출력이 감소한다.
  4. 표면온도가 높든지 낮든지 출력에는 영향이 없다.
(정답률: 91%)
  • 정답: "표면온도가 높아지면 출력이 감소한다."

    이유: 결정계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온도가 증가하면 전자의 이동성이 감소하고, 따라서 전기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전력손실로 이어져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은 일정한 온도에서 최대 출력을 내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면 최대 출력을 내는 온도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출력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반도체 내부에서 빛이 흡수되도록 한다.
  2. 빛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쌍이 소멸되지 않고 외부회로까지 전달되도록 한다.
  3. PN 접합부에 전기장이 발생하도록 소재 및 공정을 설계한다.
  4. 태양전지를 설치할 때 가능한 온도가 상승되도록 한다.
(정답률: 90%)
  • 태양전지를 설치할 때 가능한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은 변환효율을 상승시키는 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고온은 전자의 이동성을 감소시켜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온도를 낮추는 것이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계통보호를 위한 단독운전 방지기능이 있다.
  2. 태양전지에 온도가 높이 올라가면 자동적으로 온도를 조정하는 기능이 있다.
  3. 태양전지의 출력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효하게 끌어내기 위한 자동운전 정지기능이 있다.
  4. 계통과 인버터에 이상이 있을 때 안전하게 분리하거나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기능이 있다.
(정답률: 83%)
  • "태양전지에 온도가 높이 올라가면 자동적으로 온도를 조정하는 기능이 있다."가 틀린 것이다. 인버터는 태양전지에서 생성된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인버터에는 태양전지의 온도를 조정하는 기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독립형 태양광발전설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복합형
  2. 계통 연계형
  3. 축전지가 없는 형
  4. 축전지가 있는 형
(정답률: 80%)
  • 독립형 태양광발전설비는 전기 계통과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발전된 전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따라서 "계통 연계형"은 독립형이 아닌, 전기 계통과 연계되어 발전된 전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태양광발전시스템 출력전력이 30000W 이고, 모듈 최대 출력이 140W 이며, 1스트링 직렬매수가 15개인 경우 태양전지 모듈의 병렬회로 수는?

  1. 12
  2. 15
  3. 17
  4. 19
(정답률: 88%)
  • 1스트링 직렬매수가 15개이므로, 총 모듈 수는 15개 x 1스트링 = 15개이다. 따라서 병렬회로 수는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회로에서 입력전압 24V, 스위칭 주기 50μsec, 듀티비 0.6, 부하저항이 10Ω일 때, 출력전압 V0는 몇 V 인가? (단, 인덕터의 전류는 일정하고, 커패시터의 C는 출력 전압의 리플성분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크다.)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71%)
  • 이 회로는 Buck 변환기로, 입력전압을 낮춰 출력전압을 만드는 회로이다. 듀티비는 스위치가 켜져 있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 회로에서는 0.6이므로 스위치가 켜져 있는 시간은 50μsec x 0.6 = 30μsec 이다. 스위치가 꺼져 있는 시간은 50μsec - 30μsec = 20μsec 이다.

    인덕터의 전류는 일정하므로, 스위치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인덕터에 전압이 걸리면서 전류가 상승하고, 스위치가 꺼져 있는 동안에는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전되면서 전류가 하강한다. 이때,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는 커패시터를 통해 출력부로 전달된다.

    출력전압 V0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0 = 입력전압 x 듀티비 = 24V x 0.6 = 14.4V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커패시터의 C가 출력 전압의 리플성분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크다고 했으므로, 출력전압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전압 V0는 입력전압 x 듀티비 = 24V x 0.6 = 14.4V 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60"인 이유는 없다. 정답은 없거나, "14.4"와 같이 출력전압이 거의 변하지 않는 값이 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태양전지 모듈의 일부에 그늘이 발생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그늘진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의 단락전류가 작아진다.
  2. 그늘진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가 된다.
  3. 그늘진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의 개방전압이 높아진다.
  4. 그늘진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는 전기를 소비한다.
(정답률: 55%)
  • 그늘진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의 개방전압이 높아진다. 이는 그늘진 곳에 위치한 태양전지의 일부가 발전하지 않더라도, 전체 모듈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태양전지 모듈은 병렬 연결된 여러 개의 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셀 간의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그늘진 곳에 위치한 셀의 전압이 높아지면, 다른 셀들도 그에 맞춰 전압이 높아지게 되어 전체 모듈의 전압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면적이 200cm2 이고 변환효율이 20%인 태양전지에 AM 1.5의 빛을 입사시킬 경우에 생산되는 전력(W)은? (단, 수직복사 E는 1000W/m2 이다.)

  1. 3
  2. 4
  3. 5
  4. 6
(정답률: 67%)
  • 면적이 200cm2 이므로, 0.02m2 이다.
    수직복사 E는 1000W/m2 이므로, 0.02m2 면적에는 20W의 빛이 들어온다.
    변환효율이 20% 이므로, 생산되는 전력은 20W * 0.2 = 4W 이다.
    따라서 정답은 "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조건과 같은 태양광발전 독립형 전원시스템의 축전지 용량(Ah)은?

  1. 560
  2. 481
  3. 440
  4. 390
(정답률: 83%)
  •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는 태양광 전지판에서 발생한 전기를 축전지에 저장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축전지의 용량은 시스템이 사용하는 전력과 사용 시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시스템이 사용하는 전력과 사용 시간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축전지 용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시스템이 사용하는 전력은 60W 이고, 사용 시간은 8시간입니다. 따라서 하루에 사용되는 전력은 60W x 8시간 = 480Wh 입니다.

    그런데 축전지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축전지에 저장되는 전력은 실제 사용 전력의 약 70% 정도인 336Wh 정도로 계산됩니다.

    이제 축전지의 용량을 계산해보면, 축전지의 전압이 12V 이므로, 용량은 336Wh / 12V = 28Ah 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축전지의 깊이 방전(DOD)을 고려해야 합니다. 축전지의 DOD는 보통 50% 이하로 설정하므로, 축전지의 용량은 28Ah x 2 = 56Ah 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답안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으로 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56Ah 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481Ah 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대기질량(Air Mass, AM)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AM 0은 대기권 밖일 때
  2. AM 2.0은 태양빛이 30°로 비추는 상태일 때
  3. AM 1.0은 바다표면에 태양빛이 90°로 비추는 상태일 때
  4. AM 1.5는 태양빛이 180°로 비추는 스펙트럼일 때
(정답률: 81%)
  • AM 1.5는 대기질량(Air Mass, AM)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태양빛이 180°로 비추는 스펙트럼일 때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태양전지의 기초종류와 적용 목적이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직접 기초 : 지지층이 얕을 경우 사용
  2. 말뚝 기초 : 하중이 많은 경우 사용
  3. 연속 기초 : 하천 내의 교량 등에 사용
  4. 주춧돌 기초 : 지지층이 깊을 경우 사용
(정답률: 76%)
  • 정답은 "직접 기초 : 지지층이 얕을 경우 사용"입니다.

    직접 기초는 지지층이 얕을 경우 사용하는 기초 종류로, 지반의 강도가 낮거나 지반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이 기초는 지반에 직접적으로 하중을 전달하여 지지력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지지층이 깊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 기초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태양광발전설비를 이상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장치(SPD) 선정으로 틀린 것은? (단, LPZ 는 Lighting Protection Zine 이다.)

  1. 접속함에서 인버터까지의 전선로에는 LPZ Ⅱ(8/20 μs, Imax < 10 kA)로 교류용을 선정한다.
  2. 유도뢰만 있는 어레이에서는 LPZ Ⅲ(전압 1.2/50 μs를 조합)을 사용 가능하다.
  3. 한전 계통인입부에는 외부의 직격뢰 침입을 고려하여 LPZ Ⅰ(3/350 μs, Iimp < 15 kA) 이상을 선정한다.
  4. 피뢰설비로부터 직격뢰 전류가 침입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어레이에는 LPZ Ⅰ(3/350 μs, Iimp < 15 kA)을 선정한다.
(정답률: 61%)
  • LPZ Ⅲ(전압 1.2/50 μs를 조합)을 사용 가능한 유도뢰만 있는 어레이에서는 SPD를 LPZ Ⅲ으로 선정해야 하지만, 이 보기에서는 LPZ Ⅱ로 교류용 SPD를 선정하였으므로 틀린 것이다. 이유는 LPZ Ⅱ가 LPZ Ⅲ보다 더 낮은 전류까지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속함에서 인버터까지의 전선로는 직접적인 번개 침입이 없으므로 LPZ Ⅱ로 충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구조물 이격거리 산정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상부구조물의 하중
  2. 가대의 경사도와 높이
  3. 설치될 장소의 경사도
  4. 동지시 발전 가능 한계 시간에서 태양의 고도
(정답률: 85%)
  • 구조물 이격거리 산정 시 고려사항은 설치될 장소의 경사도, 가대의 경사도와 높이, 동지시 발전 가능 한계 시간에서 태양의 고도입니다. 상부구조물의 하중은 구조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사항이지만, 이격거리 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은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태양광어레이 전선 굵기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이 아닌 것은?

  1. 전압
  2. 역률
  3. 전류
  4. 전력손실
(정답률: 83%)
  • 태양광어레이 전선 굵기를 산정하기 위한 기준은 전압, 전류, 전력손실 등과 같은 전기적 요소들이고, 역률은 전기적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전선 굵기를 산정하는 기준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레이 설계 시 어레이 구조 결정의 기술적 측면에서의 고려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구조 안정성
  2. 조화로움 및 경제성
  3. 풍속, 풍압, 지진 고려
  4. 건축물과의 결합(기초)방법 결정
(정답률: 80%)
  • 조화로움 및 경제성은 어레이 설계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측면 중 하나이지만, 다른 항목들과는 달리 구조 안정성, 풍속, 풍압, 지진 고려, 건축물과의 결합(기초)방법 결정과 같은 기초적인 안전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사항들과는 조금 다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정답은 "조화로움 및 경제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태양광발전시스템 어레이 지지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인자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모듈자중(15~20 kg/m2)
  2. 지역별 기본풍속(0.5~1.5m/sec)
  3. 지내력(보통토사 10~15 ton/m2)
  4. 설하중(지역별 50cm : 1.0kg/cm)
(정답률: 62%)
  • 정답은 "지역별 기본풍속(0.5~1.5m/sec)"이 아닙니다.

    태양광발전시스템 어레이 지지대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듈자중, 지내력, 설하중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지역별 기본풍속은 구조물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지역별 기본풍속이 높을수록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력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지지대 구조물을 설계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역별 기본풍속(0.5~1.5m/sec)"도 영향인자 중 하나이며, 이는 지역별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설계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지역별 기본풍속이 낮을수록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력부하가 적어지기 때문에, 안정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태양광발전시스템 설계 시 갖추어야 할 기초자료가 아닌 것은?

  1. 청명일수
  2. 최대 폭설량
  3. 지질조사 기록
  4. 순간풍속 및 최대풍속
(정답률: 58%)
  • 태양광발전시스템 설계 시 청명일수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청명일수는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량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지만, 설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대신, 최대 폭설량, 지질조사 기록, 순간풍속 및 최대풍속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독립형 전원시스템의 축전지 선정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보수율
  2. 방전심도
  3. 방전단위밀도
  4. 방전종지전압
(정답률: 56%)
  • 방전단위밀도는 축전지의 용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축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용량과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보수율은 축전지의 수명과 관련된 지표이며, 방전심도와 방전종지전압은 축전지의 방전 특성과 관련된 지표입니다. 따라서, 축전지 선정 시 방전단위밀도는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 설계를 위한 기본계획 설계 흐름도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설치면적 결정 → 모듈 선정 → 인버터 선정 → 직렬 결선수 선정 → 병렬수와 어레이 용량 선정
  2. 설치면적 결정 → 모듈 선정 → 인버터 선정 → 병렬수와 어레이 용량 선정 → 직렬 결선수 선정
  3. 설치면적 결정 → 직렬 결선수 선정 → 병렬수와 어레이 용량 선정 → 인버터 선정 → 모듈 선정
  4. 설치면적 결정 → 인버터 선정 → 모듈 선정 → 병렬수와 어레이 용량 선정 → 직렬 결선수 선정
(정답률: 71%)
  •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 설계를 위한 기본계획 설계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설치면적 결정
    2. 모듈 선정
    3. 인버터 선정
    4. 직렬 결선수 선정
    5. 병렬수와 어레이 용량 선정

    설치면적 결정은 시스템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결정하는 것이며, 모듈 선정은 설치 가능한 공간에 맞는 모듈을 선택하는 것이다. 인버터 선정은 모듈에서 생성된 전기를 변환하는 인버터를 선택하는 것이며, 직렬 결선수 선정은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는 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병렬수와 어레이 용량 선정은 모듈을 병렬로 연결하는 수와 어레이의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설치면적 결정 → 모듈 선정 → 인버터 선정 → 직렬 결선수 선정 → 병렬수와 어레이 용량 선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피뢰시스템의 보호각법에서 Ⅱ 레벨의 회전구체 반경 r (m)의 최대값은?

  1. 10
  2. 20
  3. 30
  4. 45
(정답률: 66%)
  • Ⅱ 레벨의 회전구체 반경 r은 30m이다. 이는 피뢰기의 보호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Ⅱ 레벨은 일반적으로 중요한 건물이나 시설물 등을 보호하기 위한 레벨이다. 따라서, 보호범위가 넓어야 하므로 최대값인 30m가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연간 예상발전량의 산출식으로 적합한 것은?

  1. 설치장소의 연간강우량×시스템 성능계수×표준상태의 태양전지설치용량 (kWh/년)
  2. 설치장소의 연간일사량×일사계수×표준상태의 태양전지설치용량 (kWh/년)
  3. 설치장소의 연간일사량×시스템 성능계수×표준상태의 인버터설치용량 (kWh/년)
  4. 설치장소의 연간일사량×시스템 성능계수×표준상태의 태양전지설치용량 (kWh/년)
(정답률: 62%)
  • 설치된 태양전지판이 받는 태양광의 양은 설치장소의 연간일사량에 비례하며, 이를 시스템 성능계수로 보정하여 실제로 발전되는 전기의 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치장소의 연간일사량×시스템 성능계수×표준상태의 태양전지설치용량이 연간 예상발전량을 산출하는 가장 적합한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인버터가 가져야 할 중요한 기능과 특성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모니터링 및 전압상승억제 기능을 가져야 한다.
  2. 인버터는 전력변환 효율보다는 외관이 수려하여야 한다.
  3. 경제성을 고려하여 기능을 간소화하고 고가화의 차별화기술이 필요하다.
  4. 최대출력 제어 및 단독운전방지 기능을 가지고 전력품질과 공급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85%)
  •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인버터는 최대출력 제어 및 단독운전방지 기능을 가지고 전력품질과 공급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합니다. 이는 발전량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고, 전력품질을 유지하며,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기능과 특성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 (A), (B)에서 각 모듈별 음영 발생 시 발전량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음영 부분의 발전량은 80Wp이다.)

  1. (A) 640 Wp, (B) 760 Wp
  2. (A) 660 Wp, (B) 740 Wp
  3. (A) 640 Wp, (B) 740 Wp
  4. (A) 660 Wp, (B) 760 Wp
(정답률: 72%)
  • (A) 모듈은 4개의 음영이 발생하고, 각 음영은 80Wp의 발전량을 갖기 때문에 총 발전량은 320Wp이다. 나머지 부분은 음영이 없으므로 4개의 모듈이 각각 80Wp씩 발전하므로 총 발전량은 320Wp이다. 따라서 (A) 모듈의 총 발전량은 320Wp + 320Wp = 640Wp이다.

    (B) 모듈은 3개의 음영이 발생하고, 각 음영은 80Wp의 발전량을 갖기 때문에 총 발전량은 240Wp이다. 나머지 부분은 음영이 없으므로 4개의 모듈이 각각 80Wp씩 발전하므로 총 발전량은 320Wp이다. 따라서 (B) 모듈의 총 발전량은 240Wp + 320Wp = 760Wp이다.

    따라서 정답은 "(A) 640 Wp, (B) 760 W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22.9kV 특별고압 가공선로 1회선에 연계 가능한 용량으로 옳은 것은?

  1. 30 kW 이하
  2. 100 kW 이하
  3. 10000 kW 이하
  4. 30000 kW 이하
(정답률: 69%)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22.9kV 특별고압 가공선로 1회선은 전력의 용량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전압의 등급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계 가능한 용량은 전력의 용량이 아니라, 해당 가공선로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전력의 용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22.9kV 가공선로는 10000 kW 이하의 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50 W 태양전지(8A, 40V)가 14직렬, 10병렬로 서리된 PV 어레이 단자함에서 인버터까지 거리가 100m, 전선의 단면저깅 16mm2일 때 전압강하율(%)은? (단, 어레이에서 어레이 단자함까지의 모듈 한 장당 전압강하는 0.5V이다.)

  1. 2.1
  2. 2.8
  3. 3.3
  4. 3.9
(정답률: 39%)
  • PV 어레이의 총 출력전압은 14 x 0.5V = 7V이다. 따라서 어레이 단자함에서 인버터까지의 전압강하율은 다음과 같다.

    전압강하율(%) = (전선의 총 길이 x 전선의 저항 x 전류) / (어레이 총 출력전압)

    전선의 총 길이는 100m x 2 = 200m이다. 전선의 저항은 16mm2 전선의 단면적에 따라 계산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4.016옴/km이다. 전류는 어레이의 총 출력전류인 80A이다.

    따라서 전압강하율은 다음과 같다.

    전압강하율(%) = (200m x 4.016옴/km x 80A) / 7V x 100% = 3.3%

    따라서 정답은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방서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시공자가 하여야 할 사항을 규정
  2. 시공에 대한 모든 지시사항의 규정
  3. 주요 기자재에 대한 특정규격, 수량 및 납기일을 규정
  4. 설계와 공사에 대하여 도면에 표현하기 어려운 사항을 규정
(정답률: 81%)
  • 시방서의 목적은 "시공에 대한 모든 지시사항의 규정"이 아닌, "주요 기자재에 대한 특정규격, 수량 및 납기일을 규정"이다. 시방서는 공사의 진행을 위해 시공자가 따라야 할 규정과 지시사항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문서이다. 따라서 "시공자가 하여야 할 사항을 규정"과 "설계와 공사에 대하여 도면에 표현하기 어려운 사항을 규정"도 시방서의 목적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와 저압 계통연계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인버터의 직류측 회로에 접지를 견고히 시설하여 연계한다.
  2. 인버터와 접속점 상이에 상용주파수 변압기를 시설하여 연계한다.
  3. 인버터와 접속점 사이에 단권변압기를 시설하여 연계한다.
  4. 인버터의 직류입력 측에 직류 검출기를 직접 시설하고 교류출력을 정지하는 기능을 갖추어 연계한다.
(정답률: 63%)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와 저압 계통연계방법으로 옳은 것은 "인버터와 접속점 상이에 상용주파수 변압기를 시설하여 연계한다."이다. 이유는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교류를 계통에 연계하기 위해서는 주파수와 위상이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상용주파수 변압기를 이용하여 변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조건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직렬연결 개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8개
  2. 9개
  3. 10개
  4. 11개
(정답률: 45%)
  • 태양전지 모듈의 최대 출력전압은 17.5V이고, 인버터의 입력전압은 220V이므로 최소한 13개 이상의 모듈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0개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문제의 오류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분류 방법에는 발전량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추적방식이 있는데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방법은?

  1. 단축 추적식
  2. 양축 추적식
  3. 고정 경사가변식
  4. 고정 경사고정형
(정답률: 85%)
  • 양축 추적식은 태양광 모듈을 수평축과 수직축으로 모두 움직여 태양광 모듈이 항상 태양을 향하도록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태양광 모듈의 입사각을 최대한 유지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발전효율이 가장 높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역률 0.8, 소비전력 480kW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변전소에 전력용 콘덴서 220kVA를 설치하면 역률은 몇 %로 개선할 수 있는가?

  1. 94%
  2. 96%
  3. 98%
  4. 99%
(정답률: 48%)
  •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면 역률은 1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역률이 0.8에서 1로 개선되면 역률 개선율은 (1-0.8)/0.8 x 100% = 25%가 된다. 따라서,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면 역률은 0.8 x (1+0.25) = 0.96, 즉 96%로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9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계통연계 운전 중인 태양광발전시스템이 단독운전하는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최대 몇 초 이내에 분리시켜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2 초
  2. 0.3 초
  3. 0.4 초
  4. 0.5 초
(정답률: 56%)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전력계통과 연계되어 운전 중이므로, 전력계통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발전 시스템은 즉시 분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발전 시스템은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분리 신호를 발생시켜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의 주파수와 전압은 0.2초 이내에 변화하므로, 발전 시스템은 이에 대응하여 0.5초 이내에 분리 신호를 발생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 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태양전지 모듈에서 접속함까지 직류배선이 100m이며, 모듈 어레이 전압이 610V, 전류가 9A일 때, 전압강하는 몇 V 인가? (단, 전선의 단면적은 4.0mm2 이다.)

  1. 8.01
  2. 9.01
  3. 10.01
  4. 11.01
(정답률: 50%)
  • 전압강하는 V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강하는 V = 전류 x 전선저항 x 길이

    전선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선저항 = (전선길이 x 전선비저항) / 전선단면적

    전선비저항은 구리의 경우 20℃일 때 0.01724Ω/mm2이다.

    따라서 전선저항은 다음과 같다.

    전선저항 = (100m x 0.01724Ω/mm2) / 4.0mm2 = 0.431Ω

    전압강하는 V는 다음과 같다.

    전압강하는 V = 9A x 0.431Ω x 100m = 3.897V

    하지만, 이는 직류배선에서의 전압강하이므로, 모듈 어레이 전압에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전압강하는 V는 다음과 같다.

    전압강하는 V = 3.897V + 610V = 613.897V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613.897V에서 610V를 뺀 값인 3.897V를 반올림하여 3.90V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8.01"이 아닌 "10.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태양전지 모듈의 취부방향에서 모듈의 긴 방향을 종으로 설치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발전부지가 적게 되므로
  2. 세정효과가 좋아지므로
  3. 적설지대에 적합하므로
  4. 먼지, 꽃가루 등이 많은 지역에 적합하므로
(정답률: 70%)
  • 태양전지 모듈의 취부방향에서 모듈의 긴 방향을 종으로 설치하는 이유는 세정효과가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이 방향으로 설치하면 비가 내리면서 모듈 표면에 먼지나 오염물질이 적게 쌓이고, 또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오염물질이 적게 쌓이기 때문에 모듈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전부지가 적게 되므로"는 올바르지 않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등 설비 250W, 전열 설비 800W, 전동기 설비 200W, 기타 150W인 수용가가 있다. 이 수용가의 최대수용전력이 910W이면 수용률은?

  1. 65%
  2. 70%
  3. 75%
  4. 80%
(정답률: 70%)
  • 수용가의 최대수용전력은 각 설비의 전력을 모두 더한 값인 250W + 800W + 200W + 150W = 1400W 이다. 따라서 수용률은 (최대수용전력 ÷ 총전력)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총전력은 각 설비의 전력을 모두 더한 값인 1400W 이다.

    (910 ÷ 1400) × 100 = 65%

    따라서 수용률은 6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제3종 접지공사 시설방법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접지선은 반드시 금속관에 넣어 보호해야 한다.
  2. 접속부분에 부식방지를 위해서 컴파운드를 도포한다.
  3. 접지선과 외함 등과의 접속은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촉되어야 한다.
  4. 접지저항 값은 지락이 생겼을 때 0.5초 이내에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면 자동 차단기이 정격감도전류에 따라 500Ω까지 완화할 수 있다.
(정답률: 74%)
  • 1번 "접지선은 반드시 금속관에 넣어 보호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접지선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하에 묻거나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접지선은 금속관에 넣어 보호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외부 충격이나 압력으로 인해 접지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1번은 올바른 설명이다.

    접속부분에 부식방지를 위해서 컴파운드를 도포하는 것, 접지선과 외함 등과의 접속이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촉되어야 하는 것, 그리고 접지저항 값이 지락이 생겼을 때 0.5초 이내에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 차단기이 정격감도전류에 따라 500Ω까지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은 모두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준공 시 점검요령이 아닌 것은?

  1. 인버터 취부상태를 확인할 것
  2. 송전 시 전력량계(거래용 계량기)의 회전을 확인할 것
  3. 발전사업자의 경우 전력회사에 지급한 전력량계 사용여부를 확인할 것
  4. 전문가에게 시설물에서 소리, 냄새 등이 나는 지 확인을 의뢰할 것
(정답률: 71%)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준공 시에는 인버터 취부상태를 확인하고, 송전 시 전력량계의 회전을 확인하며, 발전사업자는 전력회사에 지급한 전력량계 사용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전문가에게 시설물에서 소리, 냄새 등이 나는 지 확인을 의뢰하는 것은 준공 시에 필요하지 않은 점검 요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일반적인 시공절차이다. A, B, C의 알맞은 순서 내용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A : 어레이 가대공사, B : 어레이 설치공사, C : 어레이 기초공사
  2. A : 어레이 기초공사, B : 어레이 가대공사, C : 어레이 설치공사
  3. A : 어레이 기초공사, B : 어레이 배선공사, C : 어레이 가대공사
  4. A : 어레이 배선공사, B : 어레이 가대공사, C : 어레이 설치공사
(정답률: 88%)
  • 정답은 "A : 어레이 기초공사, B : 어레이 가대공사, C : 어레이 설치공사"이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레이 기초공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어레이 기초공사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기본 구조물인 어레이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면에 콘크리트를 부어 기초를 만든다.

    그 다음으로는 어레이 가대공사가 이루어진다. 어레이 가대공사는 어레이를 받칠 가대를 설치하는 작업으로, 어레이를 받칠 수 있는 강철 가대를 설치한다.

    마지막으로는 어레이 설치공사가 이루어진다. 어레이 설치공사는 태양광패널을 가대에 설치하는 작업으로, 태양광패널을 가대에 고정시키고, 전선을 연결하여 발전기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A : 어레이 기초공사, B : 어레이 가대공사, C : 어레이 설치공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태양전지 모듈의 설치방법 검토 항목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시공 ·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작업하기 쉽게 한다.
  2. 모듈 고정용 볼트, 너트는 등은 상부에서 조일 수 있어야 한다.
  3. 미관 및 안전상 가대와 지지기구 등의 노출부를 가능한 크게 한다.
  4. 태양전지 모듈 온도상승 억제를 위해 지붕과 태양전지 사이에 간격을 둔다.
(정답률: 79%)
  • 미관 및 안전상 가대와 지지기구 등의 노출부를 가능한 크게 한다.은 적당하지 않은 항목입니다. 이유는 노출부가 크면 모듈이 더 높이 설치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출부는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독립형 전원시스템용 축전지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자기방전이 클 것
  2. 과충전이 우수한 것
  3.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
  4. 온도저하 시 입력특성이 우수한 것
(정답률: 69%)
  •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축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해도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독립형 전원시스템용 축전지를 선택할 때는 충방전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태양전지 어레이 출력을 접속함 내부의 1개소에서 통합한 후 인버터로 간느 회로 중간에 설치하는 것은?

  1. 인덕터
  2. 증폭기
  3. 변압기
  4. 주개폐기
(정답률: 72%)
  • 태양전지 어레이 출력을 인버터로 전달하기 전에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주개폐기를 설치합니다. 주개폐기는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하며, 태양전지 어레이 출력을 인버터로 전달하기 전에 회로를 열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주개폐기가 정답입니다. 인덕터, 증폭기, 변압기는 태양전지 어레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감리원은 공사가 시작된 경우에 공사업자로부터 착공신고서를 제출받아 적정성 여부를 검토 후 며칠 이내에 발주자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5일
  2. 7일
  3. 10일
  4. 14일
(정답률: 68%)
  • 감리원은 공사가 시작된 경우에 공사업자로부터 제출받은 착공신고서를 검토하여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발주자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이때 보고 기간은 7일입니다. 이는 공사가 시작되면서 발주자가 공사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조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력계통에서 3권선 변압기(Y-Y-Δ)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승압용
  2. 노이즈 제거
  3. 제3고조파 제거
  4. 2가지 용량 사용
(정답률: 83%)
  • 3권선 변압기(Y-Y-Δ)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제3고조파 제거입니다. 이는 제3고조파가 발생하는 3상 전력계통에서 3권선 변압기를 사용하면 중성점에서 제3고조파가 상쇄되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승압용, 노이즈 제거, 2가지 용량 사용도 가능하지만, 이들은 주된 이유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서지 보호를 위해 SPD 설치 시 접속도체의 길이는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0.3
  2. 0.5
  3. 0.8
  4. 1.0
(정답률: 64%)
  • SPD는 서지 보호 장치로, 전기적인 서지를 차단하여 전기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SPD는 접속도체를 통해 전기기기와 연결됩니다. 이 접속도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기적인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SPD 설치 시 접속도체의 길이는 최대 0.5m 이하가 되도록 권장됩니다. 이는 전기기기의 안전성과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설비용량 2MW인 태양광발전소의 발전사업허가를 위해 필요한 서류가 아닌 것은?

  1. 송전관계 일람도
  2. 전기사업허가 신청서
  3. 전기사업법에 의한 사업계획서
  4. 신용평가 의견서 및 소요재원 조달계획서
(정답률: 67%)
  • "신용평가 의견서 및 소요재원 조달계획서"는 발전사업허가를 위해 필요한 서류가 아닙니다. 이 서류는 사업자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발전소의 설비용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발전사업허가를 위해 필요한 서류는 "송전관계 일람도", "전기사업허가 신청서", "전기사업법에 의한 사업계획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CV 케이블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내열성이 우수하다.
  2. 내수성이 우수하다.
  3. 내후성이 우수하다.
  4. 도체의 최고허용온도는 연속사용의 경우 90℃, 단락 시에는 230℃이다.
(정답률: 74%)
  • 답: "내후성이 우수하다."가 틀린 것이다.

    CV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내열성,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도체의 최고허용온도는 연속사용의 경우 90℃, 단락 시에는 230℃이다. 그러나 CV 케이블의 내후성은 다른 케이블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는 UV(자외선)에 강한 특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매설 혹은 심타 접지극의 종류로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 알맞은 치수는?

  1. 두께 0.6mm 이상, 면적 800cm2 이상
  2. 두께 0.6mm 이상, 면적 900cm2 이상
  3. 두께 0.7mm 이상, 면적 900cm2 이상
  4. 두께 0.8mm 이상, 면적 800cm2 이상
(정답률: 58%)
  • 동판은 접지극으로 사용될 때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중요합니다. 또한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안정적인 접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면적이 크고 두께가 충분한 동판이 필요합니다. "두께 0.7mm 이상, 면적 900cm2 이상"이 가장 적합한 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특고압 배전선로에 태양광발전시스템 연계 시설비보호를 위해 설치하는 보호계전기가 아닌 것은?

  1. 과전압계전기
  2. 비율차동계전기
  3. 부족전압계전기
  4. 부족주파수계전기
(정답률: 73%)
  • 특고압 배전선로에는 대량의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시스템 연계 시설비보호를 위해 설치하는 보호계전기는 전류나 전압 등의 이상을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비율차동계전기"는 전류의 차이를 감지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회로의 양쪽에 설치되어, 전류의 차이가 발생하면 차동전류가 발생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특고압 배전선로에서는 이러한 비율차동계전기를 사용하여 보호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옥상 또는 지붕위에 설치한 태양전지 어레이로부터 접속함으로 배선할 경우 그림과 같이 케이블의 곡률반경은 케이블 외경의 몇 배이상의 반경으로 배선해야 하는가?

  1. 2배 이상
  2. 4배 이상
  3. 6배 이상
  4. 8배 이상
(정답률: 76%)
  • 태양전지 어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는 매우 높은 전압과 전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통해 전기를 전달할 때 케이블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곡률반경은 케이블 외경의 몇 배 이상으로 배선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지를 물어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케이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더 많아져 케이블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림에서 보면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케이블 외경의 약 6배 이상으로 배선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6배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태양전지 모듈 2차측 회로를 비접지 방식으로 할 경우 비접지 확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검전기로 확인
  2. 전류계로 확인
  3. 회로시험기로 확인
  4. 간이측정기로 확인
(정답률: 63%)
  • 태양전지 모듈 2차측 회로를 비접지 방식으로 할 경우,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만 전류계로 확인이 가능하다. 검전기는 전압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회로시험기와 간이측정기는 회로의 전압, 전류, 저항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류계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의 구분

61. 태양전지 모듈의 핫 스팟(Hot Spot)현상에 대한 유해한 결과를 제한하기 위한 시험은?

  1. 고온고습 시험
  2. UV 전처리 시험
  3. 온도사이클 시험
  4.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시험
(정답률: 62%)
  • 태양전지 모듈에서 핫 스팟 현상이 발생하면 전기적으로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이는 모듈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전체 모듈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핫 스팟 현상을 제한하기 위한 시험은 모듈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고, 모듈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듈의 다른 부분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바이패스 다이오드 열시험이 사용됩니다. 이 시험은 모듈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어하고, 모듈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모듈의 다른 부분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모듈 내부의 열을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핫 스팟 현상을 제한하고 모듈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안전관리 예방업무가 아닌 것은?

  1. 시설물 및 작업장 위험 방지
  2. 안전작업 관련 훈련 및 교육
  3. 안전관리비 실행 집행 및 관리
  4. 안전장구, 보호구, 소화설비의 설치, 점검
(정답률: 87%)
  • 안전관리비 실행 집행 및 관리는 예방적인 업무가 아니라, 이미 발생한 안전사고나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와 관련된 업무이기 때문에 안전관리 예방업무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전관리비 실행 집행 및 관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전기재해를 예방하는 전기안전 규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통전표시기를 전선에 설치하여 전원의 투입상태를 감시할 것
  2. 전기작업을 할 때에는 되도록 두 손으로 안전하게 작업할 것
  3. 전원을 차단했더라도 전기설비 및 전기선로에는 전기가 흐른다는 생각으로 작업에 임할 것
  4. 배선용 차단기, 누전차단기 등이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지 못하므로 정상 동작상태를 확인할 것
(정답률: 77%)
  • "배선용 차단기, 누전차단기 등이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지 못하므로 정상 동작상태를 확인할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전기작업을 할 때에는 되도록 두 손으로 안전하게 작업해야 하는 이유는, 한 손으로 작업하다가 다른 손이 전기선에 닿아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손으로 작업하면 한 손이 전기선에 닿아도 다른 손이 전기선에 닿지 않아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태양광발전시스템 운영 시 비치서류가 아닌 것은?

  1. 건설 관련 도면
  2. 구조물의 구조계산서
  3. 송전 관계 일람도
  4. 시방서 및 계약서 사본
(정답률: 31%)
  •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에 있어서 건설 관련 도면, 구조물의 구조계산서, 시방서 및 계약서 사본은 모두 필요한 비치서류이지만, 송전 관계 일람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전기를 발전하고 전력을 송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전력망 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최대출력 결정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해당 태양광모듈의 최대출력을 측정할 것
  2. 시험시료의 최대출력은 정격출력 이상이어야 할 것
  3. 시험시료의 출력균일도는 평균출력의 ±3%이내일 것
  4. 시험시료의 최종 환경시험 후 최대출력의 열화는 최초 최대출력을 -8% 초과하지 않을 것
(정답률: 44%)
  • "시험시료의 최대출력은 정격출력 이상이어야 할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최대출력 결정시험에서는 시험시료의 최대출력을 측정하고, 이 값이 정격출력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시험시료의 최대출력은 정격출력 이상이어야 할 것"이 아닌 "시험시료의 최대출력은 정격출력 이하일 수 있으나, 이 경우 해당 모듈은 불합격 처리될 것"이라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측기기나 표시장치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전력량계
  2. LED
  3. 인버터
  4. 일사계
(정답률: 29%)
  •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와 발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 전류를 변환하는 인버터는 모두 계측기기나 표시장치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일사계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태양광의 강도를 측정하는 기기로, 계측기기나 표시장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사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송변전설비의 유지관리 시 점검 후의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준비철저 및 연락
  2. 회로도에 의한 검토
  3. 무전압 상태확인 및 안전조치
  4. 접지선 제거 및 최종확인
(정답률: 67%)
  • 송변전설비의 유지관리 시에는 접지선 제거 및 최종확인이 유의사항으로 포함됩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필요한 절차로, 접지선을 제거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여 안전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전기적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태양광발전시스템 절연저항 측정 시 필요한 시험 기자재가 아닌 것은?

  1. 온도계
  2. 습도계
  3. 접지저항계
  4. 절연저항계
(정답률: 57%)
  • 태양광발전시스템 절연저항 측정 시에는 온도계, 습도계, 절연저항계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접지저항계는 접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자재이며, 절연저항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지저항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이 부하보다 많아서 역조류가 발생하고, 용량성 부하로 구성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1. 전압에 무관함
  2. 전압강하만 발생함
  3. 전압상승만 발생함
  4. 전압강하와 전압상승이 발생함
(정답률: 56%)
  •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이 부하보다 많아서 역조류가 발생하면, 모듈의 내부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전압상승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상승만 발생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태양광발전시스템용 독립형 인버터의 시험항목으로 옳은 것은?

  1. 출력측 단락시험
  2. 자동기동, 정지시험
  3. 단독운전 방지기능시험
  4. 교류출력전류 변형률 시험
(정답률: 48%)
  • 태양광발전시스템용 독립형 인버터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시험항목으로는 출력측 단락시험이 포함됩니다. 이는 인버터의 출력측에 단락이 발생했을 때 인버터가 적절하게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다른 시험항목으로는 자동기동, 정지시험, 단독운전 방지기능시험, 교류출력전류 변형률 시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태양광 인버터의 회로에 대한 절연저항의 측정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정격전압이 입출력에서 다를 경우에는 높은 측의 전압을 절연저항계의 선택기준으로 한다.
  2. 입출력 단자에 주회로 이외의 제어단자 등이 있는 겨우에는 분리시키고 측정한다.
  3. 서지 업서버 등의 정격에 약한 회로에 관해서는 회로에서 분리시킨다.
  4. 무변압기형 인버터의 경우에는 제조업자가 추천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정답률: 49%)
  • "정격전압이 입출력에서 다를 경우에는 높은 측의 전압을 절연저항계의 선택기준으로 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입출력 단자에 주회로 이외의 제어단자 등이 있는 겨우에는 분리시키고 측정한다."입니다. 이유는 입출력 단자 이외의 제어단자 등이 있는 경우에도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는 해당 회로를 분리시키지 않고, 전체 회로를 측정해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태양광발전소 일상점검요령으로 틀린 것은?

  1. 인버터 통풍구감 막혀 있을 것
  2. 접속함 외함에 파손이 없을 것
  3. 태양전지 어레이에 오염이 없을 것
  4. 인버터 운전 시 이상 냄새가 없을 것
(정답률: 80%)
  • 정답은 "인버터 통풍구감 막혀 있을 것"입니다. 인버터는 발전 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풍이 중요합니다. 통풍구가 막혀 있으면 열이 축적되어 인버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풍구가 막혀 있지 않은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태양광발전시스템 중 설비 종류에 따른 육안 점검 항목이 아닌 것은?

  1. 유리 등 표면의 오염 및 파손 확인
  2. 가대의 부식 및 녹 확인
  3. 프레임 파손 및 변형 확인
  4. 볼트가 규정된 토크 수치로 조여져 있는지 확인
(정답률: 82%)
  • 볼트가 규정된 토크 수치로 조여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설비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중요한 육안 점검 항목입니다. 이는 볼트가 너무 느슨하면 시스템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너무 단단하게 조여지면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규정된 토크 수치로 조여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송변전설비 유지관리 시 배전반의 일상순시 점검 대상이 아닌 것은?

  1. 외함
  2. 접지
  3. 주회로 단자부
  4. 모선 및 지지물
(정답률: 51%)
  • 주회로 단자부는 전기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일상순시 점검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회로 단자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설비용량 20kW 이하의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설비를 운영하기 위한 법정 필수요원은?

  1. 모니터링 요원
  2. 전기안전관리자
  3. 유지보수 요원
  4. REC 관리자
(정답률: 73%)
  • 설비용량 20kW 이하의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설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기안전관리자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이는 전기안전관리자가 전기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책임지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기안전관리자는 REC(재생에너지 인증서) 관리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태양전지 모듈 어레이의 개방전압 측정의 목적이 아 닌 것은?

  1. 인버터의 오동작 여부 검출
  2. 동작 불량의 태양전지모듈 검출
  3. 직렬 접속선의 결선 누락 사고 검출
  4. 태양전지모듈의 잘못 연결된 검출
(정답률: 61%)
  • 태양전지 모듈 어레이의 개방전압 측정은 태양전지 모듈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동작 불량이 있는 모듈을 검출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인버터의 오동작 여부 검출"은 개방전압 측정의 목적이 아닙니다. 인버터의 오동작 여부는 인버터 자체의 기능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운영에 있어 계측기기나 표시장치의 사용목적이 아닌 것은?

  1. 시스템의 성능 예측
  2. 시스템의 운전상태 감시
  3. 시스템의 발전전력량 파악
  4.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정답률: 72%)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운영에 있어 계측기기나 표시장치는 시스템의 운전상태 감시, 발전전력량 파악,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시스템의 성능 예측"은 이러한 계측기기나 표시장치의 사용목적이 아닙니다. 시스템의 성능 예측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발전량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시스템의 성능 개선에도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지보수 전 취하는 안전조치로 틀린 것은?

  1. 해당 단로기를 닫고 주회로에 무전압이 되게 한다.
  2. 차단기 앞에 “점검중” 표지판을 설치한다.
  3. 잔류전압을 방전시키기 위해 접지를 시킨다.
  4. 검전기로 무전압 상태를 확인한다.
(정답률: 61%)
  • 해당 단로기를 닫고 주회로에 무전압이 되게 하는 것은 유지보수 중에 전기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유지보수 중에 전기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배전압의 저압회로에서 대지전압이 200V인 경우 절연저항값(MΩ) 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72%)
  • 대지전압이 200V이므로, 저압회로에서의 최대 허용 접지저항은 1000Ω이다. 따라서 절연저항값은 200V를 1000Ω으로 나눈 값인 0.2M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배전반 외부에서 이상한 쇨, 냄새, 손상 등을 점검항목에 따라 점검하며, 이상상태 발견 시 배전반 문을 열고 이상 정도를 확인하는 점검은?

  1. 일시점검
  2. 정기점검
  3. 임시점검
  4. 일상순시점검
(정답률: 65%)
  • 일상순시점검은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간단한 점검으로, 배전반 외부에서 이상한 쇼, 냄새, 손상 등을 점검하며, 이상상태 발견 시 배전반 문을 열고 이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일상적으로 수행되는 간단한 점검으로, 배전반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점검 방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배전반 외부에서의 간단한 점검을 수행하는 일상순시점검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임의 구분

81.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의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률: 76%)
  • 400V 미만의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은 전기적 위험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제3종 접지공사는 전기적 위험이 적은 경우에 적용되며, 접지전극의 저항값이 10Ω 이하이면서, 접지전극의 깊이가 0.5m 이상인 경우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이므로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 )안에 가장 적합한 내용은?

  1. 태양광
  2. 태양전지
  3. 태양열
  4. 집광판
(정답률: 71%)
  • 이 그림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태양전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태양전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전기공사업자의 등록을 반드시 취소해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공사업의 등록을 한 후 1년 이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아니하거나 계속하여 1년 이상 공사업을 휴업한 경우
  2. 영업정지처분기간에 영업을 하거나 최근 5년간 3회 이상 영업정지처분을 받은 경우
  3.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공사업을 등록 신고한 경우
  4. 하도급 관계법령을 위반하여 하도급을 주거나 다시 하도급을 준 경우
(정답률: 72%)
  • "하도급 관계법령을 위반하여 하도급을 주거나 다시 하도급을 준 경우"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하도급 관계법령을 위반하여 하도급을 주거나 다시 하도급을 준 경우에는 전기공사업자의 등록이 취소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 전선의 세기르 몇 %이상 감소시키지 않아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73%)
  •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 전선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전류의 흐름이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전압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전압이 감소하는 정도는 전선의 세기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전선의 세기를 20% 이상 감소시키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항
  2. 신·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에 관한 사항
  3. 송배전 등 전기의 기준가격 및 변경에 관한 사항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정답률: 72%)
  • 송배전 등 전기의 기준가격 및 변경에 관한 사항은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의 관할 범위가 아니라 전력산업구조조정위원회의 역할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에는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률: 79%)
  •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에는 제1종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안전규정 제32조에 따라서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는 제1종 접지공사를 해야 하며,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한 것입니다. 제1종 접지공사는 지하 0.5m 이상의 깊이에 2m 이상의 길이로 구멍을 파고 구리봉을 설치하여 접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녹색기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온실가스 감출기술
  2.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3. 청정소비기술
  4. 청정에너지 기술
(정답률: 75%)
  • 청정소비기술은 환경보호를 위해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할 때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기술과는 달리 생산과 에너지 생산 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녹색기술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기준 및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공정에서 얻어지는 합성가스
  2.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바이오가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액화유 및 합성가스
  3. 동물·식물의 유지(油脂)를 변호나시킨 바이오디절
  4.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펠릿 및 목탄 등의 기체연료
(정답률: 66%)
  •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펠릿 및 목탄 등의 기체연료는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기준 및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기존의 생물체를 화석연료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연면적 1500m2의 공공도서관을 신축하기 위해 2014년 7월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였다. 이 건물의 예상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의무 비율은 몇 %이사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
  2. 11
  3. 12
  4. 13
(정답률: 43%)
  • 정답은 "12"이다.

    건축법 시행령 제27조에 따르면, 연면적 1,000m2 이상의 공공건축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의무 비율은 10% 이상이다. 따라서, 연면적 1,500m2의 공공도서관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의무 비율은 12.5% 이상이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2%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에서 공급의무자가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야 하는 발전량의 합계는 총전력생산량의 몇 % 범위 이내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가?

  1. 6
  2. 8
  3. 10
  4. 15
(정답률: 75%)
  • 정답은 "10"이다. 이는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것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에서 공급의무자가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야 하는 발전량의 합계는 총전력생산량의 10% 범위 이내에서 정해진다는 뜻이다. 즉, 전체 전력 생산량 중 10% 이상은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아크가 발생하는 고압용 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 가연성 물질로부터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인가?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64%)
  • 고압용 차단기는 전기적인 문제로 인해 아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연성 물질로부터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격거리는 아크가 발생할 때 생성되는 열과 화재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아크가 발생하는 고압용 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 가연성 물질로부터의 이격거리는 최소 1.0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신·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한 전기의 공급에 관한 실행계획은 몇 년 마다 수립·시행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34%)
  • 신·재생에너지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실행계획을 1년마다 수립·시행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에너지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토와 보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년마다 실행계획을 수립·시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 이용·보급에 관한 계획을 협의하려는 자가 제출한 계획서를 산업통상자원보장관이 검토하여 통보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신·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기본계획과의 조화성
  2. 시의성(時宜性)
  3. 다른 계회과의 중복성
  4. 단독연구의 가능성
(정답률: 71%)
  • "단독연구의 가능성"은 검토하여 통보해야 할 사항이 아니라는 것은, 해당 계획서가 이미 다른 기관에서 진행 중인 연구와 중복되지 않고, 독자적인 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당 계획서가 단독으로 연구가 가능하다면, 산업통상자원보장관은 검토하여 통보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전기사업자가 전기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켜야 하는 표준전압, 표준주파수와 허용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준전압 110볼트의 상하로 6볼트 이내
  2. 표준전압 220볼트의 상하로 13볼트 이내
  3. 표준전압 380볼트의 상하로 20볼트 이내
  4. 표준주파수 60헤르츠의 상하로 0.2헤르츠 이내
(정답률: 73%)
  • 정답: "표준전압 380볼트의 상하로 20볼트 이내"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전기사업자는 전기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표준전압과 표준주파수를 지켜야 합니다. 표준전압은 가정용 전기에서는 110볼트와 220볼트, 산업용 전기에서는 380볼트가 일반적입니다. 이때, 전압의 상하한 범위를 정해놓고 이 범위 내에서만 전압을 유지해야 합니다. 상하한 범위를 벗어나면 전기기기의 고장이나 이상작동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전압 380볼트의 상하로 20볼트 이내"는 전기사업자가 지켜야 하는 표준전압과 허용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발전기의 용량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경우는?

  1. 베어링 과열
  2. 유압의 과팽창
  3. 발전기 내부고장
  4. 과전류 또는 과전압 발생
(정답률: 76%)
  • 발전기의 용량을 초과하는 전류나 전압이 발생하면 발전기 내부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과열이나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과전류 또는 과전압 발생 시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전압에 관계없이 모든 전기공사를 시공관리 할 수 있는 전기공사기술자는?

  1. 저압전기공사기술자 또는 중급전기공사기술자
  2. 중급전기공사기술자 또는 고급전기공사기술자
  3. 중급전기공사기술자 또는 특급전기공사기술자
  4. 고급전기공사기술자 또는 특급전기공사기술자
(정답률: 80%)
  • 고급전기공사기술자 또는 특급전기공사기술자는 전압에 관계없이 모든 전기공사를 시공관리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등급의 전기공사기술자는 일부 전기공사에 대해서만 시공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저압전로 중의 과전류차단기의 시설과 관련하여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퓨즈는 수평으로 붙인 경우에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디어야 하는가?

  1. 1.1
  2. 1.25
  3. 1.5
  4. 1.9
(정답률: 56%)
  •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퓨즈는 과전류 발생 시 전류를 차단하여 전기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디어야 하는데, 수평으로 붙인 경우에는 1.1배의 전류에 견디어야 한다. 이는 수직으로 붙인 경우보다 열이 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 시험 시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을 몇 분간 인가하는가?

  1. 5분
  2. 10분
  3. 15분
  4. 20분
(정답률: 79%)
  •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 시험에서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은 10분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기기기의 절연내력 시험에서 사용되는 시간으로, 이 시간 동안 전기기기가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에서 주택의 태양전지모듈에 접속하는 부하측 옥내배선을 시설하는 경우 주택의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으로 맞는 것은?

  1. 직류 450 V 이하
  2. 직류 500 V 이하
  3. 직류 600 V 이하
  4. 직류 750 V 이하
(정답률: 56%)
  • 태양전지모듈은 직류 전원을 생성하므로, 부하측 옥내배선은 직류 전원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이 부하측 옥내배선의 최대 허용 전압보다 작아야 한다. 이유는 대지전압이 높을수록 전기적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류 600 V 이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태양전지 모듈을 병렬로 접속하는 전로에 단락이 생긴 경우 전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개폐기
  2. 과전류차단기
  3. 누전차단기
  4. 전류검출기
(정답률: 64%)
  • 태양전지 모듈은 일정한 전압과 전류를 유지하여 전력을 공급합니다. 따라서 병렬로 접속된 모듈 중 하나에 단락이 생기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전로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합니다. 과전류차단기는 일정한 전류 이상이 흐를 때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로를 보호합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을 병렬로 접속하는 전로에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