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건축설비기사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일반

1. 돌쌓기 구조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수평력에 강하며 내구적이다.
  2. 조적식 구조에 속한다.
  3. 안산암은 강도와 내구성이 크므로 주로 구조용으로 사용된다.
  4. 실내 유효면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실내 유효면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이다.

    돌쌓기 구조는 수평력에 강하며 내구적인 특징이 있다. 이는 돌이 겹쳐져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때문이다. 또한 안산암은 강도와 내구성이 크므로 주로 구조용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돌쌓기 구조는 돌을 쌓는 방식으로 인해 실내 유효면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이는 돌쌓기 구조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계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계단 손잡이는 계단으로부터 높이 85cm 위치에 설치한다.
  2. 디딤판이 계속될 때 중간에 단이 없이 넓게 되어 다리쉼과 돌림 등에 쓰이는 부분을 계단참이라 한다.
  3.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단나비 30㎝, 단높이 18㎝ 를 표준으로 한다.
  4. 계단에 둘러싸인 공간을 계단홀이라 하고, 계단 앞의 넓은 공간을 계단통이라 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계단에 둘러싸인 공간을 계단홀이라 하고, 계단 앞의 넓은 공간을 계단통이라 한다." 이다. 계단에 둘러싸인 공간을 계단홀이라 하고, 계단 앞의 넓은 공간을 계단통이라고 하는 것은 영국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계단 앞의 넓은 공간을 계단발판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알루미늄 새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여닫음은 강제창호보다 투박하다.
  2. 공작이 자유롭고 기밀성이 있다.
  3. 콘크리트나 모르터에 직접 접하면 부식되기 쉽다.
  4. 은백색의 광택을 가지며, 광선 및 열의 반사율이 높다.
(정답률: 80%)
  • 알루미늄 새시의 특징 중에서 "여닫음은 강제창호보다 투박하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알루미늄 새시는 강제창호와 마찬가지로 여닫음이 매우 부드럽고 쉽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여닫음은 강제창호보다 투박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택의 동선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은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선이며, 동선이 가지는 요소는 빈도, 속도, 하중의 세 가지가 있다.
  2. 동선에는 공간이 필요하고 가구를 둘 수 없다.
  3. 동선은 가능한한 굵고 짧게 함이 좋다.
  4. 다른 종류의 동선과는 가능한한 근접교차시켜 편하게 한다.
(정답률: 73%)
  • "다른 종류의 동선과는 가능한한 근접교차시켜 편하게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동선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동선은 가능한한 직선적이고 굵고 짧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임대사무소 건물에서 5분간에 120명을 운반하려면 엘리베이터는 몇 대를 설치해야 하는가? (단,정원수는 15명이고 일주시간은 120초임)

  1. 2대
  2. 4대
  3. 6대
  4. 8대
(정답률: 67%)
  • 한 대의 엘리베이터는 5분(300초) 동안 15명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0명을 운반하려면 120명 ÷ 15명/대 = 8대의 엘리베이터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일주시간이 120초이므로, 한 대의 엘리베이터는 120초 동안 3명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분(300초) 동안 120명을 운반하려면 120명 ÷ 3명/대 = 40대의 엘리베이터가 필요합니다. 이 중 보기에서 주어진 옵션 중 가장 가까운 수는 "4대"이므로, 정답은 "4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무소 계획에서 사무실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는?

  1. 사무원수
  2. 사무종류
  3. 대지형태
  4. 사무실위치
(정답률: 89%)
  • 사무실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사무원수입니다. 이는 사무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공간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사무원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책상과 의자, 컴퓨터 등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사무실의 크기도 커져야 합니다. 따라서 사무소 계획에서는 사무원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사무실 크기를 결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병원의 간호사 대기소에 대한 다음 설명중 가장 부적당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1개소의 간호사 대기소에서 관리하는 병상수는 30 ∼ 40개소 이하로 한다.
  2. 간호사의 보행거리는 24m 이내가 되도록 한다.
  3. 가급적 각 간호단위, 각층 및 동별로 설치한다.
  4. 계단, 엘리베이터실과는 떨어진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급적 각 간호단위, 각층 및 동별로 설치한다."가 가장 부적당하다. 이유는 각 간호단위, 각층 및 동별로 설치하면 대기소가 많아져서 간호사들이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소는 병동 내부에 위치하면서도 계단, 엘리베이터실과는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 간호사들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결로 현상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기 회수의 증가
  2. 구조재의 열적 특성
  3. 실내습기의 과다 발생
  4. 실내외의 과다한 온도차
(정답률: 알수없음)
  • 결로 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응축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환기 회수가 증가하면 공기가 자주 교체되어 실내의 습기가 감소하게 되어 결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환기 회수의 증가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음의 세기의 레벨(sound intensity level)의 단위는?

  1. N/m2
  2. W/m2
(정답률: 67%)
  • 음의 세기는 데시벨(dB)로 측정되며, 이는 소리의 강도(intensity)에 대한 로그 스케일입니다. dB는 원래는 전기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dB는 소리의 강도가 10배씩 증가할 때마다 10dB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음의 세기를 dB로 표시할 때는 "㏈"이라는 단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실내음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의 계속시간이 길어지면 높이 감각은 둔해진다.
  2. 음은 실내에 동일하게 가도록 한다.
  3. 계획상 멀리 전달되게 하기도 하고 가까이에서 소멸되도록 하기도 한다.
  4. 청중이 많을수록 흡음력이 커서 잔향시간이 적어진다.
(정답률: 50%)
  • "음의 계속시간이 길어지면 높이 감각은 둔해진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는 음의 계속시간이 길어지면 높이 감각이 더욱 뚜렷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음의 주파수 성분이 더욱 명확하게 들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흡음재료 및 구조의 특성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공명형 흡음재들은 특정주파수 대역의 흡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2. 다공성 흡음재는 특히 저주파 대역에서 높은 흡음률을 나타낸다.
  3. 섬유계열의 흡음재들은 그 두께를 증가시킬수록 저주파 대역의 음에 대한 흡음력이 감소된다.
  4. 판진동 흡음재들은 일반적으로 고주파 대역의 음에 대한 높은 흡음력을 나타낸다.
(정답률: 55%)
  • 공명형 흡음재들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명 현상을 일으켜 흡음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철근 콘크리트 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요한 보로서 압축측에도 철근을 배근한 것을 복근 보라 한다.
  2. 전단력을 보강하여 보의 주근 주위에 둘러감은 철근을 늑근이라 한다.
  3. 내민보는 아래쪽이 모두 인장을 받으므로 하부로 인장주근을 배치한다.
  4. 주근의 배치는 특별한 때를 제외하고는 2단 이하로 한다.
(정답률: 59%)
  • "내민보는 아래쪽이 모두 인장을 받으므로 하부로 인장주근을 배치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내민보는 상부가 인장력을 받고 하부가 압축력을 받는 구조이므로, 상부에 인장주근을 배치해야 합니다. 이는 보의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무소 건물의 코어계획(core plan)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임대 면적이 작아진다.
  2. 코어의 외벽을 내진벽으로 할 수 있다.
  3. 설비계통을 집중시킬 수 있다.
  4.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70%)
  • "임대 면적이 작아진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코어계획은 건물 내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주로 엘리베이터, 계단, 화장실 등이 위치한다. 이를 통해 건물 내부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코어계획을 수립하면 오히려 임대 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병동부의 병실에 관한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

  1. 병실 창문의 높이는 90cm 이상으로 하여 환자의 눈이 창과 직면하지 않도록 한다.
  2. 대형 병원에서는 남여 병실을 병동단위로 구분한다.
  3. 병실의 크기는 병상의 크기와 스트레쳐 또는 휠체어의 통행 폭에 의해 최소치가 결정된다.
  4. 병실 출입문은 외여닫이로 하고 폭은 115c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9%)
  • "병실 창문의 높이는 90cm 이상으로 하여 환자의 눈이 창과 직면하지 않도록 한다."는 부적당한 기술이다. 이는 환자가 창문을 통해 바깥을 볼 수 없게 되어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실 창문의 높이는 환자가 바깥을 볼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로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플랫 슬래브(flat slab)의 구성요소인 것은?

  1. 받침판(drop panel)
  2. 장선(joist)
  3. 작은보(beam)
  4. 내부보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랫 슬래브는 보통 천장과 바닥이 평평한 구조물로, 주로 상업용 건물이나 공공시설에서 사용됩니다. 이 구조물은 보통 받침판(drop panel), 작은보(beam), 내부보, 장선(joist) 등의 요소로 구성됩니다. 그 중에서도 받침판(drop panel)은 슬래브의 중앙에 위치하여 보강을 위해 두께가 더 두꺼운 부분입니다. 이는 슬래브의 하중을 분산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아파트 계획에서 메조넷 형(Maisonette Type)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택내의 공간 변화가 있다.
  2. 엘리베이터 이용상 비경제적이다.
  3. 양면 개구일 경우 일조, 통풍 및 전망이 좋다.
  4. 소규모 주택에서는 면적면에서 불리하다.
(정답률: 59%)
  • "엘리베이터 이용상 비경제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메조넷 형은 일반적으로 2층 혹은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계단과 함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비경제적이라는 주장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벽돌쌓기에서 공간쌓기를 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방습
  2. 내화
  3. 방충
  4. 방진
(정답률: 87%)
  • 공간쌓기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방습이다. 벽돌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만든 건축물 내부에는 습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건강에 해로울 뿐 아니라 건축물의 내구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공간쌓기를 통해 건축물 내부의 습기를 제어하고 방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장력만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건축구조 형식은?

  1. 스페이스 프레임구조
  2. 아치구조
  3. 셀구조
  4. 현수구조
(정답률: 62%)
  • 현수구조는 인장력을 이용하여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 형식입니다. 이는 철근이나 철사 등으로 이루어진 현수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지탱하는 방식으로, 현수의 인장력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현수구조는 스페이스 프레임구조나 아치구조와는 달리 압축력을 이용하지 않고 인장력만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지탱하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철골보와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일체화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1. 앵커볼트
  2. 스터드볼트
  3. 행거볼트
  4. 주걱볼트
(정답률: 90%)
  • 스터드볼트는 철골과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스터드볼트가 철골과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강력하게 연결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터드볼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학교의 배치계획에서 일종의 핑거 플랜으로 일조, 통풍등 교실의 환경조건이 균등할 뿐 아니라, 구조계획이 간단하며 규격형의 이용도 편리하지만, 반면에 상당히 넓은 대지를 필요로 하는 형은?

  1. 분산병렬형
  2. 폐쇄형
  3. 집합형
  4. 종합계획형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산병렬형은 학교 건물을 여러 개의 독립된 건물로 나누어 배치하는 형태이다. 이 형태는 각 건물이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계획이 간단하고 규격형의 이용도가 편리하다. 또한 각 건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교실의 일조와 통풍 등 환경조건이 균등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이 형태는 건물을 분산시켜 배치하기 때문에 상당히 넓은 대지를 필요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생설비

21. 수질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BOD값이 클수록 오염도가 적다.
  2. COD값이 클수록 오염도가 적다.
  3. BOD 제거율값이 클수록 처리능력이 양호하다.
  4. SS값이 클수록 탁도가 적다.
(정답률: 80%)
  • BOD는 생물이 분해할 수 있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BOD 제거율값이 클수록 처리 시 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처리능력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OD 제거율값이 높을수록 수질이 좋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배관의 끝부분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배관부품은?

  1. 부싱
  2. 플러그
  3. 유니언
  4. 니플
(정답률: 알수없음)
  • 플러그는 배관의 끝부분을 완전히 막아주는 부품으로, 물이나 기체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보호해줍니다. 따라서 배관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플러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평주관내의 공기가 감압되어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으로 배수 수직관의 가까이에 설치된 세면기 등에서 일어나기 쉬운 봉수 파괴 원인은?

  1. 증발 작용
  2. 모세관 현상
  3. 유도사이펀 작용
  4. 운동량에 의한 관성
(정답률: 알수없음)
  • 봉수 파괴는 수평주관내의 공기가 감압되어 발생하는데, 이는 수직관에서 물이 빠져나가면서 공기가 빈 공간을 채우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세면기 등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빠르면, 공기가 빠르게 흡입되어 감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봉수가 파괴됩니다. 이러한 감압 현상을 유도사이펀 작용이라고 합니다. 유도사이펀 작용은 유체가 흐르는 관에서 유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빠르게 흐르는 물이 봉수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감압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봉수가 파괴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이 용기 A와 용기 B의 수면에 동일한 대기압이 작용하고 물이 사이펀관내로 만수상태로 흐를 때 P1과 P2지점의 압력차[㎏/cm2]은 얼마인가?

  1. 0.05
  2. 0.35
  3. 0.40
  4. 0.45
(정답률: 90%)
  • 사이펀 원리에 따라 물은 용기 B에서 용기 A로 흐르게 됩니다. 이때, 물이 사이펀관을 통해 흐르기 때문에 용기 A와 용기 B의 수면은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P1과 P2 지점은 같은 수면 위에 있으므로 압력차는 높이 차이에 비례합니다.

    물의 밀도는 1 g/cm3 이므로, 물의 높이 차이는 10 cm 일 때, 압력차는 1 g/cm2 즉, 0.1 kg/cm2 입니다. 따라서, P1과 P2 지점의 높이 차이는 3.5 cm 이므로, 압력차는 0.35 kg/c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3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급격한 온도 상승에 따라 작용하는 감지기로 공장, 창고, 사무실, 응접실 등 비교적 온도 변화가 적은 장소에 적합한 것은?

  1. 차동식 감지기
  2. 정온식 감지기
  3. 광전식 감지기
  4. 이온화식 감지기
(정답률: 40%)
  • 차동식 감지기는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인 차이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감지기이다. 따라서 급격한 온도 상승에도 민감하게 작동하며, 비교적 온도 변화가 적은 장소에 적합하다. 이에 반해 정온식 감지기는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만 작동하므로 급격한 온도 상승에는 민감하지 않다. 광전식 감지기와 이온화식 감지기는 다른 원리로 작동하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중앙식 급탕 방식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호텔, 병원, 사무소 등 급탕 개소가 많고 소요 급탕량도 많이 필요한 대규모 건축물에 채용된다.
  2. 급탕 개소마다 가열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3. 직접 가열식은 저탕조와 보일러가 직결되어 있다.
  4. 간접 가열식은 급탕용 보일러와 난방용 보일러를 겸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식 급탕 방식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간접 가열식은 급탕용 보일러와 난방용 보일러를 겸용할 수 있다."이다.

    급탕 개소마다 가열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한 이유는 각 개소마다 필요한 급탕량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가열기를 선택하고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열기는 유지보수와 수리를 위한 공간도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대.소변기 관련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자 감응식 소변기는 전원 공급방식과 건전지 사용 방식이 있다.
  2. 아파트에서 로우탱크식 대변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수압 때문이다.
  3. 대변기는 내부 유수면이 넓을수록 냄새방지에 효과적이다.
  4. 절수형 대변기는 절수형 플러시 밸브 등 전용의 기구가 필요하며, 설치 가격은 약간 비싸지만 절수효과에 따른 경비절약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파트에서 로우탱크식 대변기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수압 때문이 아니라, 공간 절약을 위해서이다. 로우탱크식 대변기는 탱크가 바닥에 가까이 위치하여 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때문에 아파트와 같이 공간이 제한된 곳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로의 패쇄나 유랑의 계속적인 변화에 의한 유량조절에 적합하지만 유체에 대한 마찰저항이 큰 밸브로 스톱 밸브라고 불리는 것은?

  1. 슬루스 밸브
  2. 게이트 밸브
  3. 글로브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글로브 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톱 밸브 중 하나로, 유로의 패쇄나 유랑의 계속적인 변화에 적합하며 유체에 대한 마찰저항이 크기 때문에 스톱 밸브라고 불립니다. 슬루스 밸브와 게이트 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완전히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체크 밸브는 유체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건물의 외벽, 창, 추녀 및 지붕 등에 설치하여 인접 건물의 화재에 의한 연소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는?

  1. 물분무설비
  2. 드렌처설비
  3. 스프링클러설비
  4. 연결송수관설비
(정답률: 88%)
  • 드렌처설비는 인접 건물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설비로, 건물의 외벽, 창, 추녀 및 지붕 등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인접 건물에서 발생한 불꽃이나 불씨 등이 건물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며, 건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연기와 열을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접 건물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설비로서, 드렌처설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스미터의 부착시 전기 개폐기, 전기 미터로부터 떨어져야 하는 거리는?

  1. 30 cm
  2. 60 cm
  3. 90 cm
  4. 120 cm
(정답률: 75%)
  • 가스미터와 전기 개폐기, 전기 미터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전기 개폐기와 전기 미터로부터 가스미터까지의 거리는 최소 60c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 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건물의 사용급수량은 그 건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급수량 산정과 관련이 없는 항목은?

  1. 급수대상인원수
  2. 건물의 유효면적
  3. 설치된 위생기구의 수
  4. 마찰저항 선도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저항 선도는 건물의 사용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항목으로, 급수량 산정과는 무관합니다. 급수대상인원수, 건물의 유효면적, 설치된 위생기구의 수는 모두 건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마찰저항 선도는 물이 흐르는 물관의 내부 마찰저항을 나타내는 값으로, 급수량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마찰저항 선도는 급수량 산정과는 관련이 없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건축설비용 배관 중 동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연성이 커서 가공이 쉽다.
  2. 강관에 비해 가벼워서 운반, 취급이 용이하다.
  3. 극연수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4. 내식성 및 열전도율이 크다.
(정답률: 59%)
  • "극연수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동관은 내식성이 높지 않아서 극연수에 대한 저항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동관은 극연수가 흐르는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30m 높이에 있는 고가수조에 매시 22m3의 물을 퍼 올리려한다. 펌프의 구경으로 적당한 것은? (단, 관내유속은 2m/sec로 한다.)

  1. 18mm
  2. 30mm
  3. 45mm
  4. 65mm
(정답률: 알수없음)
  • 고가수조에서 물을 퍼 올리기 위해서는 펌프가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양의 물을 펌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펌프의 유량이 일정해야 한다.

    유량(Q)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Q = A × v

    여기서 A는 관의 단면적, v는 유속이다.

    고가수조에서 물을 퍼 올리기 위해서는 펌프가 1시간에 22m3의 물을 펌핑해야 한다. 따라서 유량은 다음과 같다.

    Q = 22m3/h

    유속은 2m/sec로 주어졌으므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Q/v = (22m3/h) ÷ (2m/sec) = 11m2/h

    이제 구경을 구하기 위해서는 단면적과 반지름의 관계를 이용하면 된다.

    A = πr2

    r = √(A/π) = √(11m2/h ÷ π) ≈ 1.18m

    따라서 구경은 다음과 같다.

    d = 2r ≈ 2.36m ≈ 2360mm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5mm" 이므로, 정답은 "65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배관 중의 수격작용(water hammer)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감압밸브나 완폐쇄형의 밸브를 설치한다.
  2. 공기실을 설치한다.
  3. 밸브의 개폐를 천천히 한다.
  4. 급수의 공급압력을 높여 준다.
(정답률: 70%)
  • 수격작용은 배관 내부에서 물의 속도가 갑자기 변화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파손이나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감압밸브나 완폐쇄형의 밸브를 설치하거나, 공기실을 설치하여 공기를 축적해 수격작용을 완화시키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또한, 밸브의 개폐를 천천히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급수의 공급압력을 높여 준다." 입니다. 공급압력을 높이는 것은 오히려 수격작용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일러의 급수에 경도가 높은 물인 경수를 사용했을 경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일러의 전열효율이 저하된다.
  2. 보일러의 수명이 단축된다.
  3. 탕비기나 보일러에 스케일을 발생시킨다.
  4. 연관 및 황동관을 침식시킨다.
(정답률: 34%)
  • "보일러의 전열효율이 저하된다.", "보일러의 수명이 단축된다.", "탕비기나 보일러에 스케일을 발생시킨다."는 모두 경수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다. 하지만 "연관 및 황동관을 침식시킨다."는 경수의 경도가 높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이 아니라, 경도가 낮을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경도가 낮은 물은 부식성이 높아 연관 및 황동관을 침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연관 및 황동관을 침식시킨다."가 아닌 "보일러의 전열효율이 저하된다."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개 이상의 엘보(Elbows)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것은?

  1. 스위블형
  2. 루프형
  3. 슬리브형
  4. 벨로스형
(정답률: 70%)
  • 스위블형은 회전 가능한 연결부가 있어서, 배관의 신축이나 변위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엘보를 사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경우에는 스위블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형태의 엘보들은 신축을 흡수하지 못하거나, 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신축을 흡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급탕배관의 구배(기울기)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

  1. 중력순환식 1/100 정도, 강제순환식 1/150 정도
  2. 중력순환식 1/150 정도, 강제순환식 1/200 정도
  3. 중력순환식 1/50 정도, 강제순환식 1/100 정도
  4. 중력순환식 1/200 정도, 강제순환식 1/150 정도
(정답률: 36%)
  • 급탕배관의 구배(기울기)는 물의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중력순환식과 강제순환식으로 구분됩니다. 중력순환식은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방식이며, 강제순환식은 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중에서도 중력순환식은 배관의 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구배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중력순환식의 구배는 1/100 정도, 강제순환식의 구배는 1/150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물의 움직임을 최적화하기 위한 적절한 값으로, 경험적으로 산출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력순환식 1/150 정도, 강제순환식 1/200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개 이상의 대변기의 배수를 담당하는 배수수평지관의 관경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40A
  2. 60A
  3. 75A
  4. 100A
(정답률: 알수없음)
  • 2개 이상의 대변기의 배수를 담당하는 경우, 동시에 배수되는 양이 많아지므로 배수수평지관의 관경은 커져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관경은 100A입니다. 이유는 100A의 관경은 충분한 배수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0A나 60A의 경우, 대변기의 배수량이 많아질 경우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75A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는 충분하지만, 대규모 행사나 인원이 많은 공공시설 등에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대변기의 배수를 담당하는 경우에는 100A의 관경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플러시 밸브식 대변기에서 최소급수관경과 최저필요수압이 맞게 나열된 것은?

  1. 32A, 0.5kg/cm2
  2. 25A, 0.5kg/cm2
  3. 32A, 0.7kg/cm2
  4. 25A, 0.7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플러시 밸브식 대변기는 대개 최소급수관경과 최저필요수압이 함께 나열되어 있습니다. 이는 대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과 압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인 "25A, 0.7kg/cm2"는 최소급수관경이 25A이고 최저필요수압이 0.7kg/cm2인 경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최소급수관경이나 최저필요수압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배수ㆍ통기계통의 배관시험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배관공사가 완료되고 보온이나 매설 또는 은폐공사를 한 이후에 만수시험을 실시한다.
  2. 통수시험은 실제로 사용할 때와 같은 상태에서 물을 배출하여 실시한다.
  3. 만수시험은 수두 30mAq 또는 압력 3kg/cm2이상으로 30분 이상 유지하여야 한다.
  4. 연기시험이나 박하시험은 적은 인원만으로 누설점검이 가능하며 누설이 적은 경우에도 발견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통수시험은 실제로 사용할 때와 같은 상태에서 물을 배출하여 실시한다." 이유는 배관이 실제로 사용될 때는 물이 흐르기 때문에, 배관 시험도 실제 사용 상태에서 물을 흐르게 하여 시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설비

41. 흡수식 냉동기의 냉동사이클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압축→ 응축→ 팽창→ 증발
  2. 흡수→ 발생→ 응축→ 증발
  3. 흡수→ 증발→ 압축→ 응축→ 발생
  4. 압축→ 증발→ 응축→ 팽창
(정답률: 31%)
  • 흡수식 냉동기의 냉동사이클은 물과 냉매가 혼합된 용액을 이용하여 냉매를 흡수하고 방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매를 흡수하는 과정인 흡수가 먼저 일어나고, 그 다음으로 냉매를 방출하는 발생이 이어진다. 이후, 냉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로 만드는 응축과정이 일어나고, 마지막으로 냉매를 증발시켜 기체 상태로 만드는 증발 과정이 일어난다. 따라서, 정답은 "흡수→ 발생→ 응축→ 증발"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벽체 등의 구조물을 통한 손실열량을 계산하기 위해 H =K· A(ti - to)· P[Kcal/h]라는 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K는 무엇을 뜻하는가?

  1. 구조물의 열전도율
  2. 구조물의 열전달율
  3. 구조물의 열관류율
  4. 구조물의 열전도저항
(정답률: 80%)
  • K는 구조물의 열관류율을 뜻한다. 이는 구조물 내부에서 열이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구조물의 열전도율과 열전달율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K 값이 높을수록 구조물 내부에서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손실열량이 많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중앙공조방식 중 각층 유니트 방식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일러는 중앙 기계실에 있다.
  2. 환기 덕트는 불필요하거나 규모가 작아도 된다.
  3. 각층 유니트에는 냉동기가 들어 있어서 냉풍을 만들수 있다.
  4. 중앙공조기(AHU)는 1차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55%)
  • 각층 유니트에는 냉동기가 들어 있어서 냉풍을 만들수 있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각층 유니트는 각 층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냉난방 및 환기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냉동기가 들어 있어서 냉풍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습공기 선도상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의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가열변화
  2. 감습변화
  3. 가열가습변화
  4. 냉각감습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에서는 공기가 가열되면서 동시에 수증기가 추가되어 가열가습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가열가습변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석면 15%를 배합해서 만든 것으로 물에 개서 사용하는 보온재인데 열전도율이 낮고, 300 ∼ 320℃에서 열분해를 한다. 방습가공한 것은 습기가 많은 옥외배관에 적합하며 250℃ 이하의 파이프, 탱크의 보온용으로 사용된다. 이 보온재는 다음중 어느 것인가?

  1. 규산 칼슘 보온재
  2. 규조토 보온재
  3. 탄산마그네슘 보온재
  4. 경질 폴리우레탄포옴 보온재
(정답률: 42%)
  • 석면 15%를 배합해서 만든 것으로 열전도율이 낮고, 300 ∼ 320℃에서 열분해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방습가공한 것은 습기가 많은 옥외배관에 적합하며 250℃ 이하의 파이프, 탱크의 보온용으로 사용된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을 종합해보면, 이 보온재는 탄산마그네슘 보온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그림과 같은 여과장치의 효율(%)은?

  1. 27%
  2. 42%
  3. 53%
  4. 77%
(정답률: 알수없음)
  • 여과장치의 효율은 "투과율"과 "반사율"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투과율은 "여과된 빛의 양"을 "들어온 빛의 양"으로 나눈 값이고, 반사율은 "반사된 빛의 양"을 "들어온 빛의 양"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여과된 빛의 양은 27%, 반사된 빛의 양은 20%이므로,

    투과율 = 100% - 27% = 73%

    반사율 = 20%

    효율 = 투과율 + 반사율 = 73% + 20% = 93%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답안이 27%, 42%, 53%, 77%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53%를 선택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염화리튬(LiCl)을 사용하는 감습장치가 냉각 감습식보다 유리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공조되고 있는 실내의 건구온도가 0℃ 이상이고 노점온도가 0℃ 이하일 때
  2. 공조기 출구의 노점이 5℃이하일 때
  3. 실내 잠열부하의 변동이 클 때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경우
  4. 온도가 32℃ 이상 또는 10℃ 이하에서 저습도로 할 때
(정답률: 24%)
  • 염화리튬(LiCl)을 사용하는 감습장치는 상대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효과적이며, 실내 잠열부하의 변동이 크면 감습장치가 유지하는 상대습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냉각 감습식보다는 유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내 잠열부하의 변동이 클 때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경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신축이음쇠 중에서 방열기나 팬코일 유니트 등으로의 접속배관부에 사용되는 것은?

  1. 슬리브형
  2. 루프형
  3. 밸로우즈형
  4. 스위블형
(정답률: 38%)
  • 방열기나 팬코일 유니트와 같은 부품들은 설치 후에도 이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접속배관부의 위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위블형 신축이음쇠를 사용하면, 접속배관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신축이음쇠가 자유롭게 회전하며, 이를 통해 배관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위블형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배연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연배연
  2. 기계배연
  3. 머쉬룸배연
  4. 스모크타워배연
(정답률: 65%)
  • 머쉬룸배연은 식재료를 머쉬룸(버섯)과 함께 밀봉하여 조리하는 방식으로, 다른 세 가지는 모두 열을 가하여 조리하는 방식이므로 배연방식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에서 양정은 몇mAq인가? (단,배관 마찰손실수두는 30mAq, 기기저항수두는 10mAq 이며 속도수두는 무시한다.)

  1. 13mAq
  2. 33mAq
  3. 43mAq
  4. 63mAq
(정답률: 54%)
  • 양정의 총 수두는 30mAq(배관 마찰손실수두) + 10mAq(기기저항수두) = 40mAq 이다. 따라서, 양정의 유량에 해당하는 수두는 70mAq - 40mAq = 30mAq 이다. 이때, 유량은 각 분기점에서의 유량이 합쳐진 값이므로, 1번 분기점에서의 유량은 20mL/s + 10mL/s = 30mL/s 이다. 따라서, 1번 분기점에서의 수송량은 30mL/s x 30mAq = 900mL/s*mAq 이다. 마찬가지로, 2번 분기점에서의 수송량은 20mL/s x 30mAq = 600mL/s*mAq 이다. 따라서, 양정에서의 총 수송량은 900mL/s*mAq + 600mL/s*mAq = 1500mL/s*mAq 이다. 이를 유량으로 환산하면 1500mL/s / 1000 = 1.5L/s 이다. 따라서, 양정의 수송량은 1.5L/s 이며, 이에 해당하는 수두는 30mAq 이므로, 양정은 43mAq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조계획시 조닝(Zoning)을 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실의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
  2. 실의 사용시간에 따라 분류한다.
  3. 내부존은 각 층별로 한다.
  4. 외부존은 방위별로 한다.
(정답률: 37%)
  • 내부존은 각 층별로 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각 층의 실내 환경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의 용도나 사용시간에 따라 분류하거나 외부존은 방위별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복사난방의 바닥코일 배관방식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식은?

  1. 횡진형 단회로식
  2. 횡진형 왕복회로식
  3. 회오리형 단회로식
  4. 회오리형 왕복회로식
(정답률: 알수없음)
  • 복사난방 시스템에서는 바닥코일에 냉난방매체가 순환하면서 열을 전달하는데, 이때 가장 효율적인 방식은 바닥면 전체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회오리형 왕복회로식이 가장 이상적인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바닥면 전체를 균일하게 냉난방매체가 순환하면서 열을 전달하며, 냉난방매체의 순환방향이 바뀌면서 열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횡진형 단회로식과 횡진형 왕복회로식은 바닥면 일부분에만 냉난방매체가 순환하므로 열전달이 불균일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오리형 단회로식은 바닥면 전체에 냉난방매체가 순환하지만, 순환방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열전달이 불균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조방식 중 외기냉방이 가능하지 않은 것은?

  1. 변풍량 단일덕트방식
  2. 팬코일유니트방식
  3. 각층유니트방식
  4. 이중덕트방식
(정답률: 50%)
  • 팬코일유니트방식은 외부 공기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 냉난방기에 내장된 팬코일을 통해 냉난방을 수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외기냉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팬코일유니트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난방도일(heating degree day)에 관한 다음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1. 난방도일이 큰 지역일수록 연료소비량은 증가한다.
  2. 난방도일의 계산에 있어서 일사량은 고려하지 않는다.
  3. 난방도일은 난방용 장치부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4. 추운날이 많은 지역일수록 난방도일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난방도일은 난방용 장치부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가 부적절한 설명이다. 난방도일은 일정 기간 동안 실외기온이 얼마나 낮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난방용 장치부하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난방용 장치부하는 건축물의 크기, 형태, 재료 등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중 덕트설비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유효흡입 헤드
  2. 플랜지 이음
  3. 피츠버그록
  4. 스탠딩심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흡입 헤드는 공기청정기의 일종으로, 덕트설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플랜지 이음, 피츠버그록, 스탠딩심은 모두 덕트설비에서 사용되는 부품이나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습공기 선도 상에서 공기 상태점 A가 C로 변할 때 이러한 공기의 상태변화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잠열변화
  2. 가열가습
  3. 냉각감습
  4. 증발냉각
(정답률: 알수없음)
  • 습공기 선도에서 A에서 C로 이동하는 과정은 고온 고습 상태에서 저온 저습 상태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는 증발냉각이라고 한다. 이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증발하여 열을 흡수하고, 그 결과로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다. 따라서 정답은 "증발냉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000㎏/h의 공기를 8℃로 냉각한 후 15℃까지 재열하여 송풍한다. 재열기로서 전기히타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전기히타의 최소 용량은 어느정도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40%)
  • 공기의 열용량은 질량, 온도, 비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냉각 후 재열하는 과정에서는 열용량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한 전기히타의 용량은 냉각하는 과정에서 빼앗긴 열의 양과 재열하는 과정에서 공급해야 할 열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공기를 8℃에서 15℃까지 데우는 과정에서 필요한 열의 양은 다음과 같다.

    Q = mCpΔT

    여기서,
    m = 1,000 kg/h (공기의 질량)
    Cp = 1.005 kJ/kg℃ (공기의 비열)
    ΔT = 15℃ - 8℃ = 7℃ (데우는 과정에서의 온도차)

    따라서, Q = 1,000 × 1.005 × 7 = 7,035 kJ/h

    이제 이 공기를 전기히타로 재열하는 과정에서는 7,035 kJ/h의 열을 공급해야 한다. 전기히타의 용량은 공급해야 할 열의 양과 전기히타의 효율에 따라 결정된다. 전기히타의 효율이 100%라고 가정하면, 필요한 전기히타의 용량은 다음과 같다.

    P = Q / η

    여기서,
    P = 전기히타의 용량 (단위: kW)
    η = 전기히타의 효율 (100% = 1)

    따라서, P = 7,035 / 1 = 7.035 kW

    하지만 전기히타의 효율은 100%가 아니므로, 실제 필요한 전기히타의 용량은 더 크게 나올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작은 값인 "2㎾"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의 송풍기 종류 중에서 저속덕트의 환기 및 공조용으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시로코팬
  2. 터보팬
  3. 리미트 로드팬
  4. 에어 포일팬
(정답률: 알수없음)
  • 시로코팬은 저속에서도 큰 공기량을 환기 및 공조할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종류의 송풍기들은 보다 높은 속도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의 풍량조절 댐퍼 중에서 덕트 분기부에 설치해서 풍량의 분배를 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버터플라이 댐퍼
  2. 루버댐퍼
  3. 스플릿 댐퍼
  4. 정풍량 댐퍼
(정답률: 70%)
  • 스플릿 댐퍼는 덕트 분기부에 설치하여 풍량의 분배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덕트 분기부에서 나눠진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의 덕트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플릿 댐퍼가 정답입니다. 버터플라이 댐퍼는 흐름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루버댐퍼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풍량 댐퍼는 공기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관내유속을 V(m/s), 관의 내경을 D(m), 유체의 밀도를 ρ(㎏/m3), 동점성계수를 v (m2/s)라고 할 때 레이놀드수 Re 는?

  1. v VD/ρ
  2. VD/ρ
  3. ρ VD/v
  4. VD/v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놀드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관내유속, 내경, 유체의 밀도, 동점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레이놀드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e = VD/ν

    여기서 V는 관내유속, D는 내경, ρ는 유체의 밀도, ν는 동점성계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VD/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 및 전기설비

61. 피드백 제어 방식 중 피드백 제어 목표치에 의한 분류에 속하는 것은?

  1. 비례동작
  2. 정치제어
  3. 단속도동작
  4. 프로세스제어
(정답률: 20%)
  • 정치제어는 피드백 제어 목표치에 의한 분류에 속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목표치를 설정하고, 그 목표치에 도달하기 위해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정치제어를 사용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떤 교류 회로에 전압을 가했더니 90° 위상이 늦은 전류가 흘렀다. 이 교류 회로의 성분은?

  1. 용량성
  2. 저항성
  3. 무유도성
  4. 유도성
(정답률: 60%)
  •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가 90°로 나타나므로 이 교류 회로는 "유도성" 성분을 가지고 있다. 이는 코일이나 트랜스포머 등의 회로 요소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류가 변화하면 자기장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전압이 유도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평행판 콘덴서의 양 극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면적만 3배로 하였다면 정전용량은 원래의 몇배가 되겠는가?

  1. 1/9배
  2. 1/3배
  3. 3배
  4. 9배
(정답률: 28%)
  • 정전용량은 각 극판의 면적과 극판 사이의 간격에 비례한다. 따라서 면적을 3배로 하면 정전용량도 3배가 된다.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3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인텔리젼트 빌딩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정보통신, 정보처리설비에 의한 사무실업무의 효율화, 고부가가치화
  2. 빌딩자동화 설비에 의한 건물유지관리에서의 에너지절약과 인력절감효과
  3. 인간공학과 쾌락함의 사고에 기초한 쾌적한 환경
  4. 초기 투자비의 절감을 통한 전체 건축비용의 절약
(정답률: 67%)
  • 인텔리젠트 빌딩의 효과 중 초기 투자비의 절감을 통한 전체 건축비용의 절약은 올바른 효과가 아닙니다. 이유는 인텔리젠트 빌딩은 초기 투자비가 높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절약과 인력 절감 등의 효과로 인해 전체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기 투자비의 절감은 인텔리젠트 빌딩의 효과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의 주용도인 은행, 상점 등이 2층에 있는 경우는 외부 도로에서 직접 에스컬레이터에 승강할 수 있는 위치가 좋다.
  2. 건물의 주용도인 식품점이나 식당이 지하층에 있는 경우는 1층의 주출입구에 가능한 한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3. 백화점 건물의 경우 각층의 중심부에 설치한다.
  4. 기차역의 경우 개찰구나 나가는 곳에 가까울수록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화점 건물의 경우 각층의 중심부에 설치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건물의 경우 중앙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그 주변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압이 80+j60 [V]이고 전류가 40+j40 [A]인 경우 피상전력(VA)은?

  1. 5657
  2. 7918
  3. 6564
  4. 5832
(정답률: 73%)
  •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상전력 = 전압 × 전류

    = (80+j60) × (40+j40)

    = 80×40 + 80×j40 + j60×40 + j60×j40

    = 3200 + 3200j + 2400j + 2400×(-1)

    = 3200 + 5600j - 2400

    = 5657 - 3199j

    따라서, 정답은 "565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전기의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전력은 열량으로 환산이 가능하다.
  2. 전력량은 단위시간에 전류가 하는 일량을 말한다.
  3. 전기회로에서 두 극 사이에 생기는 전기적인 고저차를 전위차 또는 전압이라 한다.
  4. 전류는 단위시간에 이동한 전기량을 말한다.
(정답률: 46%)
  • 정답은 "전력은 열량으로 환산이 가능하다." 이다. 전력은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열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전력은 단위시간에 일하는 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며, 단위는 와트(W)이다. 전력량은 단위시간에 전류가 하는 일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주로 킬로와트시(kWh)를 사용한다.

    전기회로에서 두 극 사이에 생기는 전기적인 고저차를 전위차 또는 전압이라 하며, 단위는 볼트(V)이다.

    전류는 단위시간에 이동한 전기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암페어(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온도상승에 의한 바이메탈의 완곡을 이용하는 감지기로서 특히 불을 많이 사용하는 보일러실과 주방 등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정온식 감지시
  2. 차동식 스폿형 감지기
  3.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4. 광전식 감지기
(정답률: 50%)
  • 보일러실과 주방은 불이 많이 사용되는 곳으로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온도상승에 반응하여 완곡을 이용하는 감지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온식 감지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전기식 자동제어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에서 이루어질 수 없는 제어 동작은?

  1. 비례제어 동작
  2. 단속도제어 동작
  3. 다위치제어 동작
  4. 비례적분제어 동작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식 자동제어시스템은 비례제어, 단속도제어, 다위치제어 등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비례적분제어 동작은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이는 비례적분제어는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의 차이를 적분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식 자동제어시스템에서는 비례적분제어 동작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빛의 분광특성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효과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연색성
  2. 색온도
  3. 시감도
  4. 순응도
(정답률: 54%)
  • 빛의 분광특성이 색의 보임에 미치는 효과를 연색성이라고 한다. 이는 빛의 스펙트럼에서 특정한 파장대의 빛이 우리 눈에 어떻게 보이는지에 따라 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파란색의 빛을 혼합하면 보라색이 되는데, 이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파장대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색성은 빛의 색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회로에서 5(Ω)에 걸리는 전압은?

  1. 16[V]
  2. 10[V]
  3. 8[V]
  4. 5[V]
(정답률: 54%)
  • 오옴의 법칙에 따라 5(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5[V]이다. 이는 전압 = 전류 x 저항에서 전류가 1[A]일 때, 5(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5[V]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회로의 모든 초기상태가 영(zero)인 선형제어 시스템에 단위 임펄스 입력을 가하였을 때 출력이 e-2t 였다면 이 시스템의 전달함수는?

  1. 1/s-2
  2. 1/s+2
  3. 2/s
  4. s+2/s
(정답률: 62%)
  • 입력 신호가 단위 임펄스이므로 초기 상태가 영이므로, 출력 신호는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과 같다. 따라서, 출력 신호가 e-2t 이므로,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은 e-2t 이다.

    임펄스 응답과 전달함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임펄스 응답 = 라플라스 역변환(전달함수)

    따라서, e-2t = 라플라스 역변환(G(s))

    G(s) = 1/(s+2)

    따라서, 정답은 "1/s+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200[V], 1[kw]의 전열기를 100[V]의 전압으로 사용할때 소비되는 전력[W]은?

  1. 100
  2. 200
  3. 250
  4. 500
(정답률: 50%)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100[V]로 감소하면 전류는 5배가 증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력은 5배가 증가하여 5[kW]가 됩니다. 하지만 전열기의 최대 출력은 1[kW]이므로, 전력은 1[kW]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소비되는 전력은 1[kW]가 됩니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답은 "100"이 아니라 "2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역률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무효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를 역률이라고 한다.
  2. 역률산정시에 필요한 피상전력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산술합이다.
  3. 백열전등이나 전열기의 역률은 100%에 가깝다.
  4. 역률은 부하의 종류와는 관계가 없으며 공급전력의 질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열전등이나 전열기는 전기를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발생하는 무효전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유효전력과 거의 같은 값을 가지게 되어 역률이 100%에 가깝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변압기는 다음 중 무슨 현상을 응용한 것인가?

  1. 정전유도
  2. 전자유도
  3. 전계유도
  4. 전압유도
(정답률: 40%)
  • 변압기는 전자유도 현상을 응용한 것입니다. 전자유도 현상은 자기장 내에서 전류가 흐르면 그 주변에 자기장이 생기고, 이 자기장 내에서 다른 전선이나 회로가 위치하면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입니다. 변압기는 이러한 전자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압을 변환하는데 사용됩니다. 변압기의 일부인 1차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그 주변에 자기장이 생기고, 이 자기장이 2차 코일에 유도되어 전압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전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갯수와 각각의 코일에 인가된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변압비가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변압기의 결선방식이 아닌 것은?

  1. 3상 3선식
  2. 3상 4선식
  3. 단상 3선식
  4. 3상 2선식
(정답률: 54%)
  • 변압기의 결선방식은 주로 3상 3선식, 3상 4선식, 단상 3선식으로 구성되지만, 3상 2선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3상 2선식은 전기적으로 불가능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3상 2선식은 3상 3선식에서 중성선을 제거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전류의 균형이 깨져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3상 2선식은 올바른 결선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피뢰침의 총 접지 저항은 몇(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2
  2. 5
  3. 1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피뢰침의 총 접지 저항은 가능한 한 낮아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10Ω 이하로 접지 저항을 유지해야 합니다. 2Ω나 5Ω는 더 낮은 저항이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너무 낮은 값입니다. 15Ω는 너무 높은 값이므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종 접지공사가 필요한 곳은?

  1. 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
  2. 고저압의 혼촉 방지시설
  3. 피뢰기 및 방출 보호통
  4. 특별고압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
(정답률: 40%)
  • 고압 계기용 변성기의 2차측 전로는 고압 전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인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접지공사가 필요하다. 접지공사를 통해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변압기에 사용하는 철심용 강판의 두께로 알맞은 것은?

  1. 0.25
  2. 0.35
  3. 0.60
  4. 0.70
(정답률: 30%)
  • 변압기의 철심은 자기장을 유지하고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철심용 강판의 두께는 충분히 강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0.35mm의 두께가 가장 적절한 이유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충전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0.25mm보다는 두께가 두꺼우므로 자기장을 더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0.60mm 이상의 두께는 비용이 높아지고, 0.70mm 이상은 자기장 유지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0.35mm의 두께가 변압기에 사용하는 철심용 강판으로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3상 유도 전동기의 극수가 6, 주파수가 60㎐ 일 때 회전수는 몇 rpm인가?

  1. 100
  2. 600
  3. 1000
  4. 1200
(정답률: 알수없음)
  • 3상 유도 전동기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회전수 = (60 × 주파수) ÷ 극수 × 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회전수 = (60 × 60) ÷ 6 × 2 = 1200

    따라서 정답은 1200이다. 이유는 주어진 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설비관계법규

81. 실내장식물을 방염성능이 있는 것으로 해야되는 시설물로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3층의 헬스클럽장
  2. 5층의 촬영소
  3. 6층의 전시장
  4. 15층의 아파트
(정답률: 알수없음)
  • 실내장식물을 방염성능이 있는 것으로 해야되는 시설물은 대부분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방화벽 등의 방화시설이 갖춰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5층의 아파트는 일반 주거용 건물로서 방화벽 등의 방화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헬리포트의 내용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헬리포트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22m이상으로 할 것
  2. 헬리포트의 주위한계선은 백색으로 하되, 그 선의 너비는 38cm로 할 것
  3. 층수가 10층 이하인 건축물은 규모에 관계없이 헬리포트의 설치대상이 아님
  4. 헬리포트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15m 이내에는 헬리콥터의 이· 착륙에 장애가 되는 건축물· 공작물 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정답률: 9%)
  • "층수가 10층 이하인 건축물은 규모에 관계없이 헬리포트의 설치대상이 아님"이 옳지 않은 것이다. 헬리포트의 설치 대상은 건축물의 층수와는 관계없이, 헬리콥터의 이·착륙에 적합한 위치와 조건을 갖춘 지역에 설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수 있을 것
  3. 계단실 및 부속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로 할 것
  4.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연결되지 않도록 할 것
(정답률: 55%)
  •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연결되지 않도록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특별피난계단의 기본적인 구조 원칙과는 맞지 않는다. 특별피난계단은 비상시에 대량의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피난층 또는 지상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되,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연결되지 않도록 할 것"은 옳지 않은 구조 설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건축물의 용도변경시 건축법규정에서 건축사에 의한 설계를 적용하는 경우 바닥면적의 합계가 얼마이상인가?

  1. 100m2
  2. 300m2
  3. 500m2
  4. 1,000m2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법규정에서는 건축물의 용도변경시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일 경우 건축사에 의한 설계를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소방법시행령(별표 1)에서 분류하고 있는 특수장소이다. 이 중에서 위락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음악당
  2. 서커스장
  3. 경마장
  4. 특수목욕장
(정답률: 30%)
  • 위락시설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설로 분류되며, 특수목욕장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시설 중 하나입니다. 특수목욕장은 물에 잠기는 시설로서, 미끄러짐이나 음식물 등으로 인한 낙상 사고, 물에 빠지거나 미끄러져 다친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수목욕장은 위락시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은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중 지하층의 비상탈출구에 관한 내용이다. 유효너비와 유효높이로 적합한 것은?

  1. 유효너비 0.5m 이상, 유효높이 1.75m 이상
  2. 유효너비 0.75m 이상, 유효높이 1.5m 이상
  3. 유효너비 1.5m 이상, 유효높이 0.75m 이상
  4. 유효너비 1.75m 이상, 유효높이 0.5m 이상
(정답률: 73%)
  • 지하층의 비상탈출구는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인명구조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상탈출구는 적절한 크기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유효너비는 탈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너비를 의미하며, 유효높이는 탈출구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를 의미한다.

    이 중에서도 지하층의 비상탈출구는 특히 좁은 공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효너비와 유효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효너비가 0.75m 이상, 유효높이가 1.5m 이상이어야 적절한 크기와 조건을 갖춘 지하층의 비상탈출구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주거용 건축물의 급수관 지름 산정시 가구나 세대의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 가구수 산정이 틀린 것은?

  1. 바닥면적 85m2 미만인 경우 1가구로 산정
  2. 바닥면적 150m2초과 300m2이하인 경우 5가구로 산정
  3. 바닥면적 300m2초과 500m2이하인 경우 16가구로 산정
  4. 바닥면적 500m2초과시 17가구로 산정
(정답률: 알수없음)
  • 바닥면적이 작을수록 주거 공간이 적어지므로 가구수가 적어지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바닥면적 85m2 미만인 경우 1가구로 산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지하 3층, 지상 12층인 호텔로 각층 바닥 면적이 공히 4,000m2이며 각층의 층고는 공히 4m씩으로 G.L은 1층 바닥 높이와 같다. 이 호텔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상용 승강기 대수는?

  1. 1대
  2. 2대
  3. 3대
  4. 4대
(정답률: 40%)
  • 이 호텔의 전체 높이는 지하 3층 + 지상 12층 = 15층이다. 따라서, 승강기가 없다면 최상층으로 가기 위해서는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계단의 총 높이는 15층 × 4m/층 = 60m이다. 하지만, 인간이 오르내리기에 적합한 계단의 높이는 보통 3m 이하이므로, 이 호텔의 경우 계단을 이용해 최상층까지 오르내리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비상용 승강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 대의 승강기가 한 번에 운송할 수 있는 최대 인원수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승강기 대수는 최소한 전체 인원수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호텔의 경우, 각 층의 면적이 4,000m2이므로, 한 층에 최소한 400명 이상의 인원이 머물 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호텔의 수용 인원은 400명/층 × 15층 = 6,000명 이상이다.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승강기 대수는 2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민간사업주관자인 경우 에너지사용계획을 수립하여 산업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시설은 연료를 연간 얼마이상 사용하는 경우인가?

  1. 10,000 티오이
  2. 30,000 티오이
  3. 50,000 티오이
  4. 100,000 티오이
(정답률: 37%)
  • 민간사업주관자인 경우 에너지사용계획을 제출해야 하는 시설은 연료를 연간 10,000 티오이 이상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에너지 사용량이 일정 수준 이상인 시설에서는 에너지 사용계획을 수립하여 관리하도록 규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건축법상 내화구조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철근콘크리트조의 벽으로 두께가 10센티미터 인 것
  2. 외벽 중 철근콘크리트조의 비내력벽으로 두께 5센티미터 인 것
  3. 철근콘크리트조 바닥으로 두께 8센티미터 인 것
  4. 철근콘크리트조 기둥으로 그 작은 지름이 20센티미터인 것
(정답률: 34%)
  • 철근콘크리트조는 내화구조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내화구조란, 화재 발생 시 건물의 구조물이 불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건축물의 벽, 바닥, 기둥 등이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조의 벽으로 두께가 10센티미터 인 것이 옳은 기준입니다. 이유는 철근콘크리트조의 벽은 건물의 구조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불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벽은 화재 발생 시에도 건물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거실의 용도에 따른 조도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조리 용도시 150룩스
  2. 포장 용도시 150룩스
  3. 계산 용도시 300룩스
  4. 판매 용도시 300룩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계산 용도시 300룩스"입니다. 계산 용도에서는 너무 밝거나 어두운 조도는 계산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밝기인 500룩스 이내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300룩스는 너무 어둡고, 계산에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소방검사시에 검사를 하는 사람은 검사결과를 기재한 검사서를 소방대상물 관계인에게 언제까지 교부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일
  2. 3일
  3. 7일
  4. 즉시
(정답률: 알수없음)
  • 소방검사결과는 즉시 소방대상물 관계인에게 교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방대상물의 안전을 위해 빠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소방법상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으로 맞는 것은?

  1. 고압식-25kg/cm2 이상
  2. 고압식-20kg/cm2 이상
  3. 저압식-15kg/cm2이상
  4. 저압식-10.5kg/cm2 이상
(정답률: 42%)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분사헤드는 저압식과 고압식으로 나뉘며, 이 둘의 차이는 분사압력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압축기를 통해 압축되어 저장되며, 고압식 분사헤드는 이 압축된 이산화탄소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고압식 분사헤드는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소화가 가능합니다. 반면, 저압식 분사헤드는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직접 사용하며, 분사압력이 낮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이 10.5kg/cm2 이상이어야 효과적인 소화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의 효율관리기자재가 아닌 것은?

  1. 전기냉장고
  2. 조명기기
  3. 전기청소기
  4. 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청소기는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의 효율관리기자재가 아닙니다. 이유는 전기청소기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기이지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기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반면, 전기냉장고와 조명기기는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자동차는 연비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 에너지 기술개발을 위한 사업에 투자 또는 출원을 권고할 수 있는 에너지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는 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에너지공급자
  2. 에너지사용기자재의 제조업자
  3. 에너지관련 기술용역업자
  4. 에너지개발업자
(정답률: 알수없음)
  • 에너지개발업자는 이미 에너지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이용합리화법상 에너지 기술개발을 위한 사업에 투자 또는 출원을 권고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에너지개발업자는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소방법상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하나의 방호구역 바닥면적은 몇 제곱미터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가?

  1. 1,000
  2. 2,000
  3. 2,500
  4. 3,000
(정답률: 알수없음)
  • 소방법상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에서 하나의 방호구역 바닥면적은 3,000 제곱미터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방호구역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큰 면적을 하나의 방호구역으로 설정하면 스프링클러가 모든 영역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고 화재 진압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00 제곱미터를 초과하는 면적은 여러 개의 방호구역으로 나누어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분뇨처리시설의 유지· 관리기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각 설비의 관리 상태를 주 1회이상 점검할 것
  2. 투입된 분뇨의 질적 및 양적 변화를 주 1회이상 점검하여 각 처리공정별 처리상황을 파악할 것
  3. 분뇨처리시설의 관리자는 분뇨처리시설의 가동 개시일로부터 5년마다 기술진단을 실시할 것
  4. 분뇨처리시설의 관리자는 분뇨처리시설을 유지· 관리하여야하며 점검한 결과를 기록하고 이를 최종기재한 날부터 5년간 보존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분뇨처리시설의 관리자는 분뇨처리시설의 가동 개시일로부터 5년마다 기술진단을 실시할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기술진단은 분뇨처리시설의 설계 및 시공상의 결함, 운전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점검입니다. 따라서, 기술진단은 분뇨처리시설의 가동 개시일로부터 5년마다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환기를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등의 면적은 그 거실의 바닥면적의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기계환기장치 및 중앙관리방식의 공기조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1/2
  2. 1/10
  3. 1/20
  4. 1/30
(정답률: 알수없음)
  • 환기를 위한 창문 등의 면적은 거실의 바닥면적의 일정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비율은 국내 건축법에서 정해져 있으며, 거실의 바닥면적이 클수록 창문 등의 면적도 그에 비례하여 커져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율은 거실의 바닥면적의 1/20 이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지역에너지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국내외 에너지수급 정세의 추이와 전망
  2. 지역안의 미활용 에너지원의 개발을 위한 대책
  3. 지역안의 환경친화적 에너지이용을 위한 대책
  4. 에너지 이용의 합리화
(정답률: 70%)
  • "국내외 에너지수급 정세의 추이와 전망"은 지역에너지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입니다. 이는 지역에너지계획이 해당 지역 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사용하는 것을 중점으로 다루기 때문입니다. "국내외 에너지수급 정세의 추이와 전망"은 전 세계적인 에너지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하여 지역의 에너지 계획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지역의 에너지 생산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당해 용도에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0m2 인 건축물에 에너지절약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공동주택중 기숙사
  2. 의료시설중 병원
  3. 교육연구 및 복지시설중 유스호스텔
  4. 판매 및 영업시설중 도매시장
(정답률: 67%)
  • 판매 및 영업시설중 도매시장은 대부분의 건물이 창고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에어컨, 난방 등의 에너지 소비가 적기 때문에 에너지절약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