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9-26)

건축설비기사
(2020-09-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일반

1. 열전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류량은 온도구배와 물체의 열전도율에 반비례한다.
  2. 물체중에 온도차가 발생하면 열은 저온측에서 고온측으로 흐른다.
  3. 벽체표면과 이에 접하는 유체와의 전열현상을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다.
  4. 열류량은 표면온도와 유체온도의 차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2%)
  • 열전달은 물체 중에서 온도차가 발생하면 열이 저온측에서 고온측으로 흐르는 현상입니다. 벽체표면과 이에 접하는 유체와의 전열현상을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벽체표면과 이에 접하는 유체와의 전열현상을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력을 받는 부분에는 철근을 보강하여야 한다.
  2. 철근을 콘크리트로 피복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
  3. 철골구조에 비하여 장스팬 건축물이나 연약지반 조건의 건축에도 유리하게 사용된다.
  4. 철골구조에 비하여 내화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71%)
  • "철골구조에 비하여 장스팬 건축물이나 연약지반 조건의 건축에도 유리하게 사용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철골구조보다 더 높은 내구성과 강도를 가지며, 철근을 보강하여 인장력을 받는 부분에서도 더욱 견고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또한 철근을 콘크리트로 피복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내화성도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상점의 쇼윈도(show windo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쇼윈도의 크기는 상점의 종류와는 관계가 없다.
  2. 쇼윈도의 바닥높이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3. 상점규모가 2·3층인 경우, 쇼윈도를 입체적으로 취급하여 한눈에 상점에 대한 이미지를 강하게 주는 경우가 있다.
  4. 쇼윈도 내부의 밝기를 인공적으로 높게함으로써 쇼윈도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81%)
  • "쇼윈도의 크기는 상점의 종류와는 관계가 없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쇼윈도의 크기는 상점의 크기와 종류, 상품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대형 백화점의 경우 쇼윈도가 크고 다양한 상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소규모 의류 매장의 경우 쇼윈도가 작고 한정된 상품만을 전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택의 동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이 가지는 요소는 빈도, 속도, 하중이다.
  2. 동선은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선이다.
  3. 개인권, 사회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이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4. 가사노동의 동선은 가능한 북쪽에 오도록 하고 가능한 길게 처리한다.
(정답률: 84%)
  • "가사노동의 동선은 가능한 북쪽에 오도록 하고 가능한 길게 처리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유: 주택의 동선은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선이며, 빈도, 속도, 하중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개인권, 사회권, 가사노동권의 3개 동선이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서관의 건축계획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고는 증축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2. 열람실은 서고와 최대한 멀리 떨어져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3. 아동 열람실은 자유롭게 책을 꺼내볼 수 있도록 자유개가식으로 한다.
  4. 참고실은 안정된 분위기를 갖고 일반열람실과는 별실로 목록실, 출납대 근처에 설치한다.
(정답률: 79%)
  • 정답: 열람실은 서고와 최대한 멀리 떨어져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이유: 열람실은 서고와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독서자가 필요한 책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열람실과 서고가 가까이 위치하면 독서자가 필요한 자료를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독서 환경도 개선됩니다. 따라서, "열람실은 서고와 최대한 멀리 떨어져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는 설계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단독주택의 이점을 최대한 살려 경계벽을 통해 주택영역을 구분한 것은?

  1. 타운 하우스
  2. 클럽 하우스
  3. 테라스 하우스
  4. 중정형 하우스
(정답률: 74%)
  • 타운 하우스는 단독주택의 이점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경계벽을 통해 주택영역을 구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택 내부에는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생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주택 외부에는 작은 정원이나 테라스 등이 있어 실내외 모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스팬 구조물보다는 단스팬 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응력을 가한다.
  3. 프리텐션 공법은 부재 제작시 시스관을 미리 설치한다.
  4. 고강도 콘크리트 사용으로 부재 단면축소에 의한 구조물의 자중 경감효과가 있다.
(정답률: 38%)
  • 고강도 콘크리트는 강도가 높기 때문에 단면적을 줄일 수 있어 구조물의 자중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상점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장하는 손님과 종업원의 시선이 직접 마주치지 않게 한다.
  2. 고객 동선은 가급적 짧게 하고, 종업원 동선은 되도록 길게 한다.
  3. 손님쪽에서 상품이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매장가구를 배치한다.
  4. 진열창의 상품은 도로에 선 사람의 눈높이보다 약간 낮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4%)
  • 고객 동선은 가급적 짧게 하고, 종업원 동선은 되도록 길게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고객들이 불편을 느끼게 하고, 상품을 찾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올바른 설명은 "고객 동선은 가능한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상품 진열과 배치는 편리하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골구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해 경량의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2. 해체가 어렵고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3. 재료 특성상 압축재는 좌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4. 내화성이 낮아 내화피복이 필요하다.
(정답률: 74%)
  • 철골구조는 해체가 어렵고 재사용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고 해체도 비교적 쉽게 가능하다. 따라서 "해체가 어렵고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무소의 코어계획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과 엘리베이터 및 화장실은 가능한 한 접근시킨다.
  2. 엘리베이터 홀이 출입구면에 근접해 있어야 한다.
  3. 코어내의 공간과 임대 사무실 사이의 동선은 간단해야 한다.
  4. 엘리베이터는 가급적 한 곳에 집중시킨다.
(정답률: 66%)
  • "엘리베이터 홀이 출입구면에 근접해 있어야 한다."는 옳은 고려 사항이다. 이는 출입구와 엘리베이터 홀이 가까워질수록 이동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기 때문이다. 이는 건물 내부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동일한 조건(하중, 기둥간격 등)에서 슬래브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은?

  1. 일방향 슬래브
  2. 이방향 슬래브
  3. 플랫 슬래브
  4. 플랫 플레이트
(정답률: 52%)
  • 플랫 플레이트가 가장 두꺼운 이유는, 슬래브와 달리 플레이트는 양방향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하중을 받을 때, 플랫 플레이트는 더 두껍게 만들어져야 하며, 이는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잔향시간 계산에 필요한 인자가 아닌 것은?

  1. 실용적
  2. 실내 전 표면적
  3. 음원의 음압
  4. 실의 평균 흡음률
(정답률: 60%)
  • 잔향시간 계산에 필요한 인자는 실용적, 실내 전 표면적, 실의 평균 흡음률입니다. 음원의 음압은 잔향시간 계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잔향시간은 공간 내에서 소리가 반사되어 서서히 사라지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공간의 크기와 형태, 재질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음원의 음압은 잔향시간 계산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인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결로발생의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에서 수증기 발생을 억제한다.
  2. 비난방실 등으로의 수증기 침입을 억제한다.
  3. 벽체의 표면온도를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보다 크게 한다.
  4. 적절한 투습저항을 갖춘 방습층을 단열재의 저온측에 설치한다.
(정답률: 69%)
  • 적절한 투습저항을 갖춘 방습층을 단열재의 저온측에 설치하는 것은 결로발생을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옳지 않은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질문에서는 정답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건축물에 작용하는 풍압력의 크기 산정과 가장 거리가 먼 요소는?

  1. 풍속
  2. 건축물의 형상
  3. 건축물의 높이
  4. 건축물의 중량
(정답률: 70%)
  • 건축물의 중량은 풍속, 형상, 높이와 달리 건축물에 작용하는 풍압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건축물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풍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건축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을 설계할 때는 중량을 고려하여 구조물을 강화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노인 의료시설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자들의 주 생활공간이 병동부가 되므로 병동부 설계 시 거주성 확보에 유의한다.
  2. 노인들의 방향감각 감퇴증세를 보완하기 위해 분명하고 단순한 동선을 구성한다.
  3. 간호공간은 행동장애와 합병증세 등의 복합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분산배치에 의한 구성이 필요하다.
  4. 각종 질병 치료 시 신체능력의 회복과 보존을 위한 재활시설이 필요하다.
(정답률: 80%)
  • 옳지 않은 설명은 "환자들의 주 생활공간이 병동부가 되므로 병동부 설계 시 거주성 확보에 유의한다."입니다. 이는 옳은 설명이며, 노인 의료시설계획에서는 환자들의 생활환경을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간호공간은 행동장애와 합병증세 등의 복합성을 보완하기 위해 분산배치에 의한 구성이 필요합니다. 이는 각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노인들의 방향감각 감퇴증세를 보완하기 위해 분명하고 단순한 동선을 구성하며, 각종 질병 치료 시 신체능력의 회복과 보존을 위한 재활시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실외 용적이 5000m3이고 필요 환기량이 10000m3/h 일 때, 환기횟수는 시간당 몇 회인가?

  1. 0.5회
  2. 1회
  3. 2회
  4. 4회
(정답률: 74%)
  • 환기횟수는 시간당 환기량을 실외 용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환기횟수 = 환기량 ÷ 실외 용적

    환기횟수 = 10000m3/h ÷ 5000m3

    환기횟수 = 2회

    따라서, 시간당 환기횟수는 2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파트 평면형식 중에서 일조 및 통풍이 유리하고, 공용복도에 있어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으나 같은 층에 거주하는 사람과의 친교 기회가 많은 형식은?

  1. 홀형
  2. 집중형
  3. 편복도형
  4. 중복도형
(정답률: 81%)
  • 편복도형은 일조와 통풍이 좋은 장점과 함께 같은 층에 거주하는 이웃들과의 교류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용복도에 위치하여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아파트 평면형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사무소 건축에서의 렌터블 비(rentable ratio)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율
  2. 대지면적과 연면적의 비율
  3. 대지면적과 건축면적의 비율
  4. 대지면적과 주택호수의 비율
(정답률: 75%)
  • 렌터블 비(rentable ratio)란, 사무소 건물에서 실제 임대가 가능한 면적과 전체 건물 면적인 연면적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임대 가능한 면적이 전체 면적 중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학년과 학급을 없애고 학생들은 능력에 따라 교과를 선택하여 수업을 듣는 학교 운영방식은?

  1. 달톤형
  2. 플래툰형
  3. 종합교실형
  4. 특별교실형
(정답률: 65%)
  • 달톤형은 학생들이 능력에 따라 교과를 선택하여 수업을 듣는 학교 운영방식으로, 학년과 학급을 없애고 개별적인 학습을 중시합니다. 이러한 개별적인 학습은 마치 달리기 대회에서 선수들이 각자의 능력에 맞게 출발선에 서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달톤형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리조트호텔의 대지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회 등을 위해 외래객에게 개방되고 교통이 편리한 도시 중심지에 위치해야 한다.
  2. 주위의 경치가 좋아야 한다.
  3. 물이 맑고 수원이 풍부해야 한다.
  4. 수해나 풍해 등으로부터 위험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81%)
  • "연회 등을 위해 외래객에게 개방되고 교통이 편리한 도시 중심지에 위치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대지조건인 이유는, 이 조건은 도시 중심지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도시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생설비

21. 90℃의 물 500kg과 30℃의 물 1000kg을 단열 혼합하였을 때 혼합된 물의 온도는?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66%)
  • 두 물의 온도 차이가 크지만, 단열 혼합이므로 열이 충분히 전달되어 최종 온도는 두 물의 중간값인 50℃가 된다. 이는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른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탕조의 용량이 2m3이고 급탕배관 내의 전체 수량이 1m3일 때 개방형 팽창탱크의 용량은? (단, 급수의 밀도는 1.0g/cm3이고, 온수의 밀도는 0.983g/cm3이다.)

  1. 약 0.03m3
  2. 약 0.04m3
  3. 약 0.05m3
  4. 약 0.06m3
(정답률: 46%)
  • 저탕조와 급탕배관 내의 전체 수량을 합하면 총 3m3이므로, 개방형 팽창탱크의 용량은 3m3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급수와 온수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변화하면 부피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형 팽창탱크의 용량은 급수와 온수의 혼합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급수와 온수의 비율은 1:1에 가깝기 때문에 개방형 팽창탱크의 용량은 약 0.05m3 정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평주관 내의 공기가 감압되어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으로 배수 수직관의 가까이에 설치된 세면기 등에서 일어나기 쉬운 봉수 파괴 원인은?

  1. 증발 작용
  2. 모세관 현상
  3. 유도사이펀 작용
  4. 운동량에 의한 관성
(정답률: 73%)
  • 봉수 파괴는 수평주관 내의 공기가 감압되어 발생하는데, 이는 수직관에서 물이 빠져나가면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봉수 내부에 쌓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세면기 등에서 물을 사용하면 물의 운동량에 의해 공기가 갑자기 빠져나가면서 봉수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도사이펀 작용은 물의 운동량과는 관계없이 봉수 내부의 공기 압력을 감소시켜 봉수 파괴를 유발하는 원인입니다. 따라서 유도사이펀 작용은 봉수 파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건물 내의 급수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도직결방식은 고층의 급수 방법에 적합하다.
  2. 고가수조방식에서의 급수압력은 항상 변동한다.
  3. 압력수조방식에서는 수조를 건물 상부에 설치해야 하므로 건축 구조상 부담이 된다.
  4. 펌프직송방식에서 펌프 운전방식은 펌프의대수를 제어하는 정속방식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변속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률: 69%)
  • 펌프직송방식에서 펌프 운전방식은 펌프의 대수를 제어하는 정속방식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변속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유는 펌프직송방식은 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직접 올리는 방식으로, 펌프의 운전 방식에 따라서 급수압력이나 유량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펌프의 대수를 제어하는 정속방식과 회전수를 제어하는 변속방식으로 분류하여 적절한 운전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진공방지기(vaccum breaker)가 사용되는 대변기의 급수방식은?

  1. 하이탱크식
  2. 세정밸브식
  3. 사이펀식
  4. 로탱크식
(정답률: 66%)
  • 진공방지기는 대변기의 급수방식 중 사이펀식과 로탱크식에서 사용되며, 세정밸브식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정밸브식"이 아닌 다른 보기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통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통기관은 통기의 목적 외에 배수관으로도 이용되는 부분을 말한다.
  2. 결합통기관은 배수수직관 내의 압력변화를 방지 또는 완화하기 위해 설치한다.
  3. 도피통기관은 각개통기방식에서 담당하는 기구수가 많은 경우 발생하는 하수가스를 도피시키기 위하여 통기수직관에 연결시킨 관이다.
  4. 신정통기관은 최상부의 배수수평관이 배수수직관에 접속된 위치보다도 더욱 위로 배수수직관을 끌어올려 대기 중에 개구하여 통기관으로 사용하는 부분이다.
(정답률: 50%)
  • 옳지 않은 설명은 "도피통기관은 각개통기방식에서 담당하는 기구수가 많은 경우 발생하는 하수가스를 도피시키기 위하여 통기수직관에 연결시킨 관이다." 이다. 도피통기관은 각개통기방식이 아닌 집중통기방식에서 사용되며, 하수가스를 도피시키는 것이 아니라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하수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펌프의 비속도 n을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회전수를 N, 최고 효율점의 토출량을 Q, 최고 효율점의 전양정을 H로 나타낸다.)

(정답률: 53%)
  • 정답은 ""이다.

    펌프의 비속도 n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n = (N1/N2) * (Q2/Q1)^((1/m)-1)

    여기서 N1은 최고 효율점에서의 회전수, Q1은 최고 효율점에서의 토출량, N2와 Q2는 비교하고자 하는 다른 상태에서의 회전수와 토출량이다. m은 펌프의 특성곡선에서 경사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위 식에서 N1/N2는 회전수의 비율을 나타내고, Q2/Q1은 토출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때, 최고 효율점에서의 전양정 H는 비속도와 무관하므로 식에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비속도 n을 나타내는 식은 회전수와 토출량의 비율에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기구의 필요급수압력이 가장 작은 것은?

  1. 샤워
  2. 일반수전
  3. 대변기 세정밸브
  4. 소변기 세정밸브(스툴형 소변기)
(정답률: 66%)
  • 일반수전이 가장 작은 필요급수압력을 요구하는 이유는, 샤워, 대변기 세정밸브, 소변기 세정밸브(스툴형 소변기)와 같은 기구들은 물을 충분히 뿌려주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압력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일반수전은 주로 손을 씻거나 그릇을 씻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압력이 높지 않아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수전이 가장 작은 필요급수압력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름 150mm, 길이 320m인 원형관에 매초 60L의 물이 흐를 때, 관내의 마찰손실수두는? (단, 관마찰계수 f = 0.03 이다.)

  1. 약 3.4m
  2. 약 10.2m
  3. 약 37.7m
  4. 약 40.8m
(정답률: 52%)
  • 마찰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h = f × (L/D) × (v^2/2g)

    여기서 L은 관의 길이, D는 관경,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 f는 관마찰계수이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Δh = 0.03 × (320/0.15) × (60/3600)^2/(2×9.81) ≈ 37.7m

    따라서, 정답은 "약 37.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급수관에서 수격작용의 발생 우려가 가장 높은 것은?

  1. 관의 분기
  2. 관경의 확대
  3. 관의 방향 전환
  4. 관내 유수의 급정지
(정답률: 76%)
  • 급수관에서 수격작용은 물의 움직임이 갑자기 변화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발생 우려가 높은 것은 관내 유수의 급정지입니다. 이는 물의 움직임이 갑자기 멈추면서 파동이 발생하고, 이 파동이 다시 급수관을 향해 돌아오면서 수격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급수관에서는 유수의 급정지를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간접배수로 하여야 하는 기구는?

  1. 욕조
  2. 세면기
  3. 대변기
  4. 세탁기
(정답률: 72%)
  • 간접배수란 하수관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중간에 배수구를 거쳐 배수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욕조, 세면기, 대변기는 하수관에 직접 연결되므로 간접배수로 하여야 하는 기구가 아닙니다. 하지만 세탁기는 물을 받은 후에 배수구를 거쳐 하수관으로 배수되므로 간접배수로 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양수량이 600L/min, 양정이 36m인 양수펌프의 축동력은? (단, 펌프의 효율은 70%이다.)

  1. 4.5 kW
  2. 5.0 kW
  3. 6.4 kW
  4. 7.1 kW
(정답률: 60%)
  • 양수량과 양정을 이용하여 펌프의 작업량을 구하고, 이를 효율로 나누어 축동력을 구할 수 있다.

    작업량 = 양수량 × 양정 = 600 L/min × 36 m = 21600 Lm/min
    작업량 = 21600 Lm/min × 1/60 min/s = 360 Lm/s

    축동력 = 작업량 ÷ 효율 = 360 Lm/s ÷ 0.7 = 514.3 W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 kW" 인 이유는, 514.3 W를 kW 단위로 변환하면 0.5143 kW 이므로, 반올림하여 5.0 k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체의 성질과 관련하여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1. 파스칼의 원리
  2. 스토크스의 원리
  3. 뉴턴의 점성법칙
  4. 베르누이의 정리
(정답률: 71%)
  • 위 그림은 베르누이의 정리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유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낮아지고, 속도가 느릴수록 압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체의 연속성과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유체의 속도와 압력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 + 1/2ρv^2 + ρgh = 상수 (P: 압력, ρ: 밀도, v: 속도, g: 중력 가속도, h: 높이)로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베르누이의 정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간접가열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난방용 보일러와 겸용할 수 있다.
  2.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 또는 고온수를 열원으로 한다.
  3. 저압보일러를 사용할 수 없으며 중압 또는 고압보일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4. 탱크에 가열코일을 설치하여 이 코일을 통해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73%)
  • 간접가열식 급탕방식은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 또는 고온수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물과 보일러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보일러에서 만들어진 증기나 고온수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야 한다. 따라서 저압보일러를 사용할 수 없으며 중압 또는 고압보일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캐비테이션의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입양정을 필요 이상으로 높에 하지 않는다.
  2. 흡입 조건이 나쁜 경우는 비속도를 작게 하기 위해 회전수가 작은 펌프를 사용한다.
  3. 흡수관을 가능한 한 짧고 굵게 함과 동시에 관내에 공기가 체류하지 않도록 배관한다.
  4. 설계상의 펌프 운전범위 내에서 항상 필요 NPSH가 유효NPSH보다 크게 되도록 배관계획을 한다.
(정답률: 68%)
  • 설계상의 펌프 운전범위 내에서 항상 필요 NPSH가 유효NPSH보다 크게 되도록 배관계획을 한다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이는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NPSH를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옳지 않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빈펌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펌프의 양수량은 축동력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2. 토출밸브를 닫고 펌프를 운전하면 양수량이 0 이다.
  3. 최대효율로 운전하고 있을 때의 양정을 상용양정이라 한다.
  4. 펌프의 양정과 양수량은 펌프의 회전수가 변하여도 항상 일정하다.
(정답률: 61%)
  • "펌프의 양정과 양수량은 펌프의 회전수가 변하여도 항상 일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펌프의 양수량은 회전수에 따라 변화하며, 회전수가 증가하면 양수량도 증가한다. 이는 펌프의 특성 중 하나인 헤드-흐름 곡선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화조의 유입수 BOD가 1000mg/L, 방류수 BOD가 400mg/L 일 때, BOD제거율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75%)
  • BOD 제거율은 (유입수 BOD - 방류수 BOD) / 유입수 BOD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00-400)/1000 x 100 = 60% 이므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물의 경도는 건축설비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관 내 스케일 발생 원인
  2. 급수펌프 소요 동력 증가 원인
  3.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감소 원인
  4. 배관 내 유체의 흐름 저항 감소원인
(정답률: 54%)
  • 물의 경도는 건축설비에서 중요한 이유는, 건물 내부에서 물이 원활하게 흐르기 위해서는 배관 내부에 스케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스케일이 발생하면 배관 내부의 지름이 줄어들어 유체의 흐름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물의 움직임이 둔화되고, 이는 급수펌프 소요 동력 증가,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 감소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관 내 유체의 흐름 저항 감소원인인 물의 경도는 건축설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국소식 급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관 및 기기로부터의 열손실이 많다.
  2. 건물완공 후에도 급탕개소의 증설이 비교적 쉽다.
  3. 급탕개소마다 가열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4. 주택 등에서는 난방 겸용의 온수보일러, 순간 온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6%)
  • "건물완공 후에도 급탕개소의 증설이 비교적 쉽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급탕 시설을 증설하려면 새로운 가열기와 배관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관 및 기기로부터의 열손실이 많은 이유는 급탕 시설에서 뜨거운 물이 배관을 통해 이동하면서 일어나는 열손실과 가열기에서 발생하는 열손실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종국유속과 관계있는 배관은?

  1. 기구배수관
  2. 배수수직관
  3. 배수수평지관
  4. 배수수평주관
(정답률: 57%)
  • 종국유속은 배수시스템에서 물이 흐르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이 속도가 높을수록 배관 내부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배관의 내부를 부식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국유속이 높은 배수시스템에서는 내부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직경이 큰 배수수직관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수수직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설비

41. 기온, 습도, 기류의 3요소의 조합에 의한 실내온열감각을 기온의 척도로 나타낸 것은?

  1. 작용온도(OT)
  2. 유효온도(ET)
  3. 수정유효온도(CET)
  4. 예상온냉감신고(PMV)
(정답률: 73%)
  • 유효온도(ET)는 기온, 습도, 기류의 3요소의 조합에 의한 실내온열감각을 기온의 척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작용온도(OT)와는 달리 인간의 체감온도를 고려하여 계산된 값으로, 실제로 느끼는 온도와 더 가까운 값입니다. 수정유효온도(CET)는 유효온도를 보정한 값이며, 예상온냉감신고(PMV)는 인간의 체감온도와 환경의 열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급수로부터 각 유닛을 거쳐 나오는 총길이가 동일하므로 기기마다의 저항이 균일하게 되고, 따라서 유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배관 회로 방식은?

  1. 역환수방식
  2. 자연환수방식
  3. 간접환수방식
  4. 건식환수방식
(정답률: 73%)
  • 역환수방식은 각 유닛을 거쳐 나오는 총길이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배관을 설치하고, 각 기기마다의 저항을 균일하게 만들어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유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보일러 출력 표시방밥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것은?

  1. 정미출력
  2. 상용출력
  3. 정격출력
  4. 과부하출력
(정답률: 62%)
  • 가장 큰 값은 "과부하출력"입니다. 이는 보일러가 일시적으로 최대 출력을 내는 상황에서의 출력 값으로, 보통은 정격출력보다 높은 값입니다. 이는 보일러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충분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배관에서 위치수두 10mAq, 압력수두 30mAqm, 속도 2.5m/s로 관 속을 흐르는 물의 전수두는?

  1. 13.06m
  2. 13.24m
  3. 40.32m
  4. 42.54m
(정답률: 58%)
  • 전수두는 압력수두와 위치수두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수두는 10mAq + 30mAqm = 40mAq입니다. 이를 미터로 환산하면 40mAq x 0.1m/mAq = 4m입니다. 또한, 속도는 2.5m/s이므로, 전수두를 속도로 나누어서 시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4m / 2.5m/s = 1.6초입니다. 따라서, 물이 수배관을 통과하는 거리는 속도 x 시간 = 2.5m/s x 1.6초 = 4m입니다. 따라서, 전수두는 위치수두와 물이 흐르는 거리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4m + 36.32m = 40.32m이므로, 정답은 "40.3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온수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수의 현열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방식이다.
  2. 한랭지에서는 운전정지 중 동결의 우려가 있다.
  3.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짧아 간헐운전에 적합하다.
  4. 증기난방에 비해 난방부하 변동에 따른 온도조절이 용이하다.
(정답률: 74%)
  •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어서 간헐운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증기난방은 예열시간이 길어서 간헐운전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예열시간이 길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에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의 습공기 선도상에서 공기의 상태점 A가 C로 변하는 상태변화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가열감습
  2. 가열가습
  3. 냉각감습
  4. 증발냉각
(정답률: 52%)
  • 공기의 상태점 A에서 C로 변하는 상태변화는 "냉각감습"이다. 이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상대습도가 증가하는 상태변화를 의미한다.

    "증발냉각"이 정답인 이유는, 증발냉각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현상이다. 하지만 이 습공기 선도상에서는 증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증발냉각"은 정답이 아니다.

    따라서, "가열감습", "가열가습", "냉각감습" 중에서 "냉각감습"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상당외기온도차(ETD, Equivalent Temperature Differenc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난방부하의 계산에 있어서, 벽체를 통한 손실열량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
  2. 냉방부하의 계산에 있어서, 벽체를 통한 취득열량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
  3. 벽체 외부에 흐르는 공기의 속도에 따른 열 전달량을 고려한 온도차이다.
  4. 주로 외기에 접하고 있지 않은 간막이 벽, 천장, 바닥 드응로부터 열전달량을 구하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55%)
  • 정답은 "냉방부하의 계산에 있어서, 벽체를 통한 취득열량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이다.

    ETD는 벽체를 통해 들어오는 열의 양을 계산하기 위한 지표로, 냉방 시스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냉방 시스템은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실내 열을 제거하고, 외부 열을 차단해야 한다. 이때 벽체를 통해 들어오는 열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 ETD를 사용한다. ETD는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를 벽체의 열전달 계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이를 통해 냉방 시스템 설계에서 필요한 냉방 부하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공조배관계에 부압방지를 위한 배관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환펌프 토출측에 팽창탱크가 접속되는 것을 피한다.
  2. 순환펌프는 배관 도중 온도가 가장 높은 곳에 설치한다.
  3. 팽창탱크는 장치의 가장 높은 곳보다 더 높은 위치로 한다.
  4. 순환펌프는 배관 도중 가능한 한 압입양정이 높은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53%)
  • 순환펌프는 배관 도중 가능한 한 압입양정이 높은 곳에 설치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부적절한 설치로 인해 부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순환펌프는 일반적으로 배관의 가장 낮은 곳에 설치되며, 이는 냉각수나 냉매 등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압방지를 위해서는 팽창탱크와 같은 장치를 사용해야 하며, 이를 토출측에 접속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조방식 중 변풍량방식에 사용되는 변풍량 유닛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이패스형은 덕트 내 정압변동이 없다.
  2. 유인유닛형은 실내의 2차 공기를 유인하므로 집진효과가 크다.
  3. 교축형은 덕트 내의 정압변동이 크므로 정압제어방식이 필요하다.
  4. 교축형은 부하변동에 따라 송풍량을 변화시키고송풍기를 제어하므로 동력이 절약된다.
(정답률: 50%)
  • 유인유닛형은 실내의 2차 공기를 유인하므로 집진효과가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유인유닛형은 외부 공기를 유인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이며, 집진효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의 냉방부하 발생 요인 중 현열과 잠열 모두 갖는 것은?

  1. 인체발생열량
  2. 벽체로부터의 취득열량
  3. 유리로부터의 취득열량
  4. 덕트로부터의 취득열량
(정답률: 70%)
  • 인체발생열량은 인체의 신체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량으로, 현열과 잠열 모두를 갖는 요인입니다. 인체가 방 안에서 활동하면서 발생하는 열은 공기 중의 분자와 충돌하여 현열을 발생시키고, 땀 등으로 인체에서 방출되는 수증기는 공기와 열을 교환하여 잠열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인체발생열량은 냉방부하 발생 요인 중 현열과 잠열 모두를 갖는 유일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동관의 용도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급수관
  2. 급탕관
  3. 증기관
  4. 냉온수관
(정답률: 70%)
  • 동관은 냉온수나 급수, 급탕 등을 운반하는 파이프를 말한다. 따라서 증기관은 냉온수나 급수, 급탕을 운반하는 파이프와는 용도가 다르므로 가장 부적절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덕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덕트의 보강을 위해서 다이아몬드 브레이크 등을 사용한다.
  2. 덕트를 분기할 경우 덕트 굽힘부 가까이에서 분기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3. 덕트의 굽힙부에서 곡률반경이 작거나 직각으로 구부러질 때 안내날개를 설치한다.
  4. 단면을 바꿀 때 확대부에서는 경사도 30°이하, 축소부에서는 경사도 45°이하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59%)
  • "덕트의 보강을 위해서 다이아몬드 브레이크 등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덕트의 보강을 위해서는 보통 강철재나 알루미늄재 등을 사용합니다.

    덕트의 단면을 바꿀 때 확대부에서는 경사도 30°이하, 축소부에서는 경사도 45°이하가 되도록 하는 이유는 공기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경사도가 너무 크면 공기의 유동성이 나빠져서 효율적인 공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유리창에 의한 일사 냉방부하 산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방위
  2. 유리면적
  3. 차폐계수
  4. 열관류율
(정답률: 49%)
  • 유리창에 의한 일사 냉방부하 산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방위", "유리면적", "차폐계수"이다. 이들은 모두 유리창의 특성과 관련된 값이지만, 일사 냉방부하 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반면, "열관류율"은 유리창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일사 냉방부하 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열관류율이 낮을수록 유리창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양이 적어지므로, 냉방부하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와 비교한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고압응축기와 저압응축기가 있다.
  2. 고온증발기와 저온증발기가 있다.
  3. 고온발생기와 저온발생기가 있다.
  4. 냉각탑의 용량이 커진다.
(정답률: 51%)
  • 정답은 "고온발생기와 저온발생기가 있다."입니다.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와 달리 두 개의 흡수기와 두 개의 발생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고온발생기와 저온발생기가 있다는 것은, 냉동기 내부에서 열을 생성하는 부분이 두 개 있고, 이들이 각각 고온과 저온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냉동기의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과 같은 여과장치의 효율은?

  1. 25%
  2. 66%
  3. 75%
  4. 83%
(정답률: 67%)
  • 여과장치의 효율은 "희석도"로 나타내며, 희석도는 "원래 물의 농도 / 여과 후 물의 농도"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원래 물의 농도"와 "여과 후 물의 농도"를 구해야 합니다.

    여과장치를 통과하기 전의 물의 농도는 1000mg/L 이고, 여과장치를 통과한 후의 물의 농도는 250mg/L 입니다. 따라서 희석도는 1000/250 = 4 입니다.

    희석도가 4이므로, 여과장치의 효율은 1-1/4 = 0.75 = 75%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기조화기의 가열코일 입구와 출구에서 공기의 상태값이 변화하지 않는 것은?

  1. 엔탈피
  2. 상대습도
  3. 건구온도
  4. 절대습도
(정답률: 64%)
  • 가열코일 입구와 출구에서는 공기의 온도가 변화하고 있지만, 상대습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이는 공기의 절대습도가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절대습도는 공기 내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온도와 압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가열코일에서 공기가 가열되어도 수증기의 양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습도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외주부(perimeter zone)의 부하변동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기조화방식은?

  1. 단일덕트 방식
  2. 각층 유닛방식
  3. 팬코일 유닛방식
  4. 멀티죤 유닛방식
(정답률: 65%)
  • 외주부는 건물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지점으로,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변수가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부하변동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공기조화방식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팬코일 유닛방식은 냉난방기능을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부하변동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각층 유닛방식이나 멀티죤 유닛방식은 각 층마다 냉난방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외주부의 부하변동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기조화방식은 팬코일 유닛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느 사무실이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을 때, 이 사무실에 요구되는 환기량은?

  1. 500 m3/h
  2. 1000 m3/h
  3. 1500 m3/h
  4. 2000 m3/h
(정답률: 51%)
  • 이 사무실의 크기는 10m x 8m x 3m = 240m3 이다. 이 사무실의 인원수는 12명이므로, 인당 환기량은 20m3/h 이다. 따라서, 전체 환기량은 20m3/h x 12명 = 240m3/h 이다. 그러나, 이 사무실은 인접한 화장실과 부엌이 있으므로, 추가적인 환기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체 환기량에 1000m3/h을 더해준다. 따라서, 요구되는 총 환기량은 240m3/h + 1000m3/h = 1240m3/h 이다. 그러나, 이 사무실은 냉난방 시스템이 있으므로, 냉난방 시스템의 공기순환량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환기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총 환기량에 1000m3/h을 더해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환기량은 1240m3/h + 1000m3/h = 2000m3/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원형 덕트와 장방형 덕트의 환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d : 원형 덕트의 직경 또는 환산직경, a : 장방형 덕트의 장변길이, b : 장방형 덕트의 단변길이)

(정답률: 64%)
  • 정답은 ""이다.

    원형 덕트의 환산직경은 직경과 같으며, 장방형 덕트의 환산직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환산직경 = 2 × (a × b / (a + b))

    따라서, 원형 덕트의 환산식은 d^2 / 4 이고, 장방형 덕트의 환산식은 2 × (a × b / (a + 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송풍기의 회전속도가 460rpm 일 때 송풍기 전압은 32mmAq 이었다. 이 송풍기를 600rpm 으로 운전하였을 때의 송풍기 전압은?

  1. 32.0mmAq
  2. 41.7mmAq
  3. 54.4mmAq
  4. 71.00
(정답률: 46%)
  • 송풍기 전압과 회전속도는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회전속도가 460rpm 에서 600rpm 으로 증가하면 송풍기 전압도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전압과 회전속도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압1 / 전압2 = 회전속도1 / 회전속도2

    여기서 전압1은 초기 전압인 32mmAq, 회전속도1은 초기 회전속도인 460rpm, 전압2는 구하고자 하는 새로운 전압, 회전속도2는 새로운 회전속도인 600rpm 입니다.

    따라서 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2 / 전압2 = 460 / 600

    전압2 = 32 x 600 / 460

    전압2 = 41.7mmAq

    따라서 정답은 "41.7mmAq"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 및 전기설비

61. 다음 설명에 알맞은 화재의 종류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K급 화재
(정답률: 71%)
  • 이 그림은 가스불이 켜져있는 상태에서 가스불을 끄지 않고 나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가스불이 계속 켜져있는 상태에서 불이 붙어서 발생하는 화재로, 가스불이 연료인 B급 화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의 회로도와 같이 논리식이 Y=X1·X2로 표시되는 논리회로의 종류는?

  1. AND회로
  2. OR회로
  3. NOT회로
  4. NAND회로
(정답률: 68%)
  • 그림의 회로도에서 X1과 X2가 AND게이트에 입력되어 있고, 출력이 Y로 나오기 때문에 이 회로는 AND회로이다. AND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게이트이다. 따라서 X1과 X2가 모두 1일 때만 Y가 1이 되는 것이 이 회로의 동작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는 기기는?

  1. 저항
  2. 축전지
  3. 난방코일
  4. 솔레노이트 밸브
(정답률: 56%)
  •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은 전류, 자기장, 힘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생기고, 이 자기장과 수직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기기 중에서 자기장을 이용하여 힘을 발생시키는 기기인 솔레노이트 밸브가 암페어의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건축화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명기구 배치방식에 의하면 거의 전반조명방식에 해당된다.
  2. 조명기구 배광방식에 의하면 거의 직접조명방식에 해당된다.
  3.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을 조명기구 겸용으로 마무리하는 것이다.
  4. 천장면 이용방식으로는 다운라이트, 코퍼라이트, 광천장 조명 등이 있다.
(정답률: 63%)
  • "조명기구 배광방식에 의하면 거의 직접조명방식에 해당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건축화조명에서는 간접조명, 반사조명, 혼합조명 등 다양한 조명기구 배광방식이 사용된다. 직접조명은 조명기구에서 직접 빛을 발산하는 방식으로, 건축화조명에서도 사용되지만 전체적으로는 다양한 조명기구 배광방식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저압옥내배선 공사 중 점검할 수 없는 은폐된 장소에서 시설할 수 없는 공사는?

  1. 금속관공사
  2. 금속덕트공사
  3. 2종 가요전선관 공사
  4. 합성수지관(CD관 제외) 공사
(정답률: 53%)
  • 금속덕트공사는 공기를 통해 배선을 연결하는 공사로, 은폐된 장소에서도 시설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점검할 수 없는 은폐된 장소에서 시설할 수 없는 공사는 금속덕트공사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의 호스접결구의 설치위치로 옳은 것은?

  1. 바닥으로부터 높이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
  2. 바닥으로부터 높이 0.5m 이상 1.5m 이하의 위치
  3.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상 1.5m 이하의 위치
  4.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상 2m 이하의 위치
(정답률: 56%)
  •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의 호스접결구는 비가 내리는 경우에도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방수 처리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일정한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바닥으로부터 너무 낮으면 비가 내리는 경우에 물이 쉽게 들어갈 수 있고, 너무 높으면 호스를 연결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 높이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위치는 비가 내리는 경우에도 물이 들어가지 않으면서 호스를 연결하기도 쉽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소화설비의 소화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분무소화설비는 제거 소화법이다.
  2. 옥내소화전설비는 냉각 소화법이다.
  3. 스프링클러설비는 냉각 소화법이다.
  4. 불연성가스 소화설비는 질식 소화법이다.
(정답률: 64%)
  • "물분무소화설비는 제거 소화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물분무소화설비는 냉각 소화법이기 때문이다. 제거 소화법은 화재 발생 지점에서 연소 반응을 차단하거나 연료를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이다. 물분무소화설비는 불을 끄는 것보다는 불을 냉각시켜서 진압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저항 R과 인덕턴스 L의 병렬회로에 있어서 전류와 전압의 위상관계는?

  1. 전류는 전압보다 뒤진다.
  2. 전류와 전압은 동상이다.
  3. 전류는 전압보다 45° 앞선다.
  4. 전류는 전압보다 90° 앞선다.
(정답률: 49%)
  • 저항 R은 전압과 전류가 동상이므로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가 없습니다. 하지만 인덕턴스 L은 전류가 변화할 때 자기장을 생성하며, 이 자기장이 전류의 방향을 막아 전류가 늦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인덕턴스 L이 있는 병렬회로에서는 전류가 전압보다 뒤쳐지게 됩니다. 이를 위상차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용장소의 수전설비용량에 대한 최대 수용전력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은?

  1. 수용률
  2. 부등률
  3. 역률
  4. 부하율
(정답률: 68%)
  • 정답: 수용률

    수용률은 수용장소의 수전설비용량에 대한 최대 수용전력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즉, 수전설비용량이 얼마나 큰지에 따라 해당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전력량이 결정되며, 이를 수용률로 나타내게 됩니다. 부등률은 전압이나 전류의 변동이 발생했을 때 전력의 변동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역률은 전력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부하율은 특정 장치나 회로에서 사용 중인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설명에 알맞은 피드백 제어계의 구성요소는?

  1. 외란
  2. 제어대상
  3. 제어편차
  4. 주 피드백 신호
(정답률: 69%)
  • "외란"은 제어대상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을 의미합니다. 다른 구성요소들은 제어대상 내부의 변화나 주어진 목표와의 차이 등을 나타내는데 비해, 외란은 제어대상 외부에서 발생하는 영향으로 인해 제어편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구분됩니다. 주 피드백 신호는 제어대상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어편차를 감지하고, 제어편차를 보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광원에서 나가는 전광속 대비 피조면에 도달하는 광속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은?

  1. 이용률
  2. 조명률
  3. 유지률
  4. 감광보상률
(정답률: 61%)
  • 조명률은 광원에서 나가는 전광속 대비 피조면에 도달하는 광속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 중 실제로 사용 가능한 빛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용률은 장비나 시스템이 사용 가능한 시간 대비 실제 사용한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며, 유지률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시간 대비 전체 시간 중 정상 작동하지 않은 시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감광보상률은 인간의 시각적 감각에 대한 보상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주파수가 120[Hz]인 교류 파형의 주기는?

  1. 약 0.083 [sec]
  2. 약 0.0083 [sec]
  3. 약 0.00083 [sec]
  4. 약 0.000083 [sec]
(정답률: 59%)
  • 주기는 한 주기가 완료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주파수는 1초당 완료되는 주기의 수를 말한다. 따라서,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1초당 120번의 주기가 완료된다. 이를 주기로 환산하면 1/120초가 걸리므로, 약 0.0083[se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인터폰설비의 통화망 구성 방식에 따른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모자식
  2. 상호식
  3. 복합식
  4. 개별식
(정답률: 56%)
  • 인터폰설비의 통화망 구성 방식에 따른 구분 중에서 "개별식"은 속하지 않는다. 이는 개별식이 다른 방식과는 달리 각 호실마다 독립적인 통화망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다른 호실과의 통화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별식은 다른 방식과는 구분되며, 일반적으로는 주거용이나 소규모 사무실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정전용량이 큰 콘덴서를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극판의 면적을 작게 한다.
  2. 극판의 거리를 멀게 한다.
  3. 극판 사이의 전압을 높게 한다.
  4. 극판 사이에 유전체를 삽입한다.
(정답률: 60%)
  •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극판 사이의 거리와 극판의 면적, 그리고 극판 사이의 유전체의 유전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극판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하거나 극판의 면적을 작게 하는 것 외에도, 유전체의 유전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극판 사이에 유전체를 삽입하는 것이다. 유전체는 전기를 잘 전달하지 않는 물질로, 극판 사이의 전하를 저장하여 콘덴서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스프링클러설비의 알람밸브에 리타딩챔버를 설치하는 주된 목적은?

  1. 오보를 방지한다.
  2. 자동배수를 한다.
  3. 방수압을 시험한다.
  4. 가압수의 온도를 검지한다.
(정답률: 68%)
  • 리타딩챔버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알람밸브에 설치되어, 스프링클러설비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오보(오작동)를 감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오보를 방지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기용접기의 주된 원리는 무엇을 응용한 것인가?

  1. 전자력
  2. 자기유도
  3. 전자유도
  4. 줄(Joule)열
(정답률: 66%)
  • 전기용접기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금속을 녹이고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줄(Joule)열 원리를 응용합니다. 전기를 통과시키면 금속 내부에서 전기 저항이 발생하면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로 인해 금속이 녹아서 결합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줄(Joule)열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급기팬에 220[V]의 교류전압을 가하니 10[A]의 전류가 전압보다 60° 뒤져서 흐른다. 이 급기팬을 2시간 사용할 때의 소비전력량은?

  1. 0.55[kWh]
  2. 2.2[kWh]
  3. 4[kWh]
  4. 792[kWh]
(정답률: 50%)
  • 급기팬의 소비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이므로, P = V*I*cos(θ)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cos(θ)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와 위상차이가 모두 주어졌으므로, 위의 식을 이용하여 소비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P = 220[V] * 10[A] * cos(60°) = 220[V] * 10[A] * 0.5 = 1100[W]

    따라서, 2시간 동안 사용한 소비전력량은 2시간 * 1100[W] = 2200[Wh] = 2.2[kWh]이다.

    정답은 "2.2[kW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최대 얼마 이하로 하는가? (단,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 제외)

  1. 150 m2
  2. 300 m2
  3. 500 m2
  4. 600 m2
(정답률: 48%)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가능한 빠르게 화재를 감지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경계구역이 넓으면 감지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되므로 면적은 최대한 작아야 한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이 600 m2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이는 해당 구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최대한 빠르게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방차로부터 스프링클러설비에 송수할 수 있는 송수구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경 65mm의 단구형으로 할 것
  2.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3. 지면을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4.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정답률: 60%)
  • "구경 65mm의 단구형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송수구의 크기는 건물의 크기와 사용목적, 화재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구경 65mm의 단구형으로 할 것이라는 제한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배선설비에 사용되는 전선의 굵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전압강하
  2. 허용전류
  3. 기계적강도
  4. 전선관 규격
(정답률: 59%)
  • 전압강하, 허용전류, 기계적강도는 전선의 안전성과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전선관 규격은 전선을 배선관에 넣을 때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배선설비에 사용되는 전선의 굵기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선관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설비관계법규

81.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2.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3.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4. 계단은 그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외의 창문 등으로부터 1m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
(정답률: 59%)
  • 옳지 않은 기준은 "계단은 그 계단으로 통하는 출입구외의 창문 등으로부터 1m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설치할 것"입니다. 이 기준은 오히려 옳은 기준이며, 피난계단은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계단과 출입구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대피 시간이 더 걸리므로, 출입구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축법령상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15층 이하이며,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건축물)

  1. 종교시설
  2. 판매시설
  3. 위락시설
  4.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정답률: 48%)
  • 다중이용 건축물은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이며, 15층 이하인 건축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종교시설", "판매시설", "위락시설",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중에서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위락시설"입니다. 이유는 위락시설은 대개 단일 용도로 사용되며, 다중이용 건축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300m2
  2. 600m2
  3. 1000m2
  4. 1200m2
(정답률: 47%)
  • 옥내소화전설비 설치 기준 중 하나인 "건축물의 연면적이 600㎡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6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방송 공동수신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
  2. 연립주택
  3. 다가구주택
  4. 다세대주택
(정답률: 64%)
  • 다가구주택은 하나의 건물 내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는 주택으로, 각 가구마다 별도의 출입구와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방송 공동수신설비 설치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반면,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은 하나의 건물 내에 여러 가구가 거주하며, 공동 출입구와 주소를 공유하기 때문에 방송 공동수신설비 설치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배연설비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2m2 이상으로 할 것
  2. 배연구는 예비전원에 의하여 열 수 있도록 할 것
  3. 배연구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 수 있는 구조로 할 것
  4. 건축물이 방화구획으로 구획된 경우에는 그 구획마다 1개소 이상의 배연창을 설치할 것
(정답률: 66%)
  •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2m2 이상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건축물의 크기와 용도, 화재위험성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이 없다. 따라서 해당 기준은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욕실 또는 조리장의 바닥과 그 바닥으로부터 높이 1m까지의 안벽의 마감을 내수재료로 하여야 하는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의 욕실
  2. 숙박시설의 욕실
  3.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장의 욕실
  4.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휴게음식점의 조리장
(정답률: 61%)
  • 아파트의 욕실은 건축법 시행규칙 제12조에 따라 내수재료로 마감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숙박시설의 욕실,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목욕장의 욕실,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휴게음식점의 조리장은 내수재료로 마감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판매시설의 경우,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바닥면적 합계가 3000m2 이상인 것
  2. 바닥면적 합계가 5000m2 이상인 것
  3. 바닥면적 합계가 7000m2 이상인 것
  4. 바닥면적 합계가 10000m2 이상인 것
(정답률: 53%)
  •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 시 불을 끄는 데에 사용되는 소방설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판매시설과 같은 대규모 건물에서는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물은 바닥면적 합계가 5000m2 이상인 것입니다. 이는 대규모 건물일수록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는 규정입니다. 따라서, "바닥면적 합계가 5000m2 이상인 것"이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건축허가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층수 기준은?

  1. 3층 이상
  2. 6층 이상
  3. 10층 이상
  4. 12층 이상
(정답률: 62%)
  • 건축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6층 이상의 건축물은 소방안전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허가등을 할 때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층수 기준은 6층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의 교실 간 소음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경계벽의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졸서 두께가 15cm 인 것
  2. 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2cm 인 것
  3. 무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5cm 인 것
  4. 콘크리트블록조로서 두께가 15cm 인 것
(정답률: 47%)
  • 콘크리트블록조는 경계벽을 구성하는 블록들을 쌓아서 만드는 방식으로, 블록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cm 이상이다. 따라서 15cm 두께의 콘크리트블록조는 옳은 구조이며, 다른 보기들은 두께나 구조가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건축부분의 권장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주택은 인동간격을 넓게 하여 저층부의 일사 수열량을 증대시킨다.
  2. 건축물의 첵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크게 한다.
  3. 거실의 층고 및 반자 높이는 실의 용도와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낮게 한다.
  4. 건물의 창 및 문은 가능한 작게 설계하고, 특히 열손실이 많은 북측 거실의 창 및 문의 면적은 최소화한다.
(정답률: 61%)
  • "건축물의 첵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크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에너지 절약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이다. 외피면적이 크면 건물 내부와 외부 간의 열전달이 많아져 에너지 소비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외피면적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축물의 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 또는 연면적에 대한 외피면적의 비는 가능한 작게 하는 것이 옳다. 이는 외피면적이 작아져 건물 내부와 외부 간의 열전달이 줄어들어 에너지 절약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승용승강기의 최소대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 8인승 승용승강기의 경우)

  1. 업무시설
  2. 숙박시설
  3.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
  4.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
(정답률: 62%)
  •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경우, 최소한 2대의 8인승 승용승강기가 필요하다. 이는 한 대의 승강기가 운행 중에 다른 층에서 호출을 받아야 하는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이용객의 불편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승강기 설치 규정에 따라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6000m2 이상인 경우, 최소한 2대의 승용승강기를 설치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이 가장 많은 승강기가 필요한 이유는 대규모 공연이나 행사가 열리는 공연장은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이용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계단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의 유효 높이는 1.8m 이상으로 할 것
  2. 중학교의 계단인 경우 단높이는 18cm 이하, 단너비는 26cm 이상으로 할 것
  3. 너비 3m를 넘는 계단에는 계단의 중간에 너비 3m 이내마다 난간을 설치할 것
  4. 높이 3m를 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유효너비 1.2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할 것
(정답률: 47%)
  • "계단의 유효 높이는 1.8m 이상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계단의 유효 높이는 일반적으로 2.4m 이하로 규정되어 있으며, 1.8m 이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계단의 유효 높이는 계단의 총 높이에서 계단의 수를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2.4m의 총 높이를 가진 계단이 12개의 단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각 단의 유효 높이는 2.4m ÷ 12 = 0.2m (20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건축물 관련 건축기준의 허용오차 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구 너비 : 2% 이내
  2. 반자 높이 : 2% 이내
  3. 벽체 두께 : 2% 이내
  4. 바닥판 두께 : 3% 이내
(정답률: 45%)
  • 벽체 두께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허용오차 범위가 2% 이내로는 설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벽체 두께 : 2% 이내"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신고 대상에 속하는 용도변경은?

  1. 전기통신시설군에서 자동차 관련 시설군으로의 용도변경
  2. 근린생활시설군에서 주거업무시설군으로의 용도변경
  3. 영업시설군에서 문화 및 집회시설군으로의 용도변경
  4. 교육 및 복지시설군에서 산업 등의 시설군으로의 용도변경
(정답률: 39%)
  • 근린생활시설군에서 주거업무시설군으로의 용도변경은 신고 대상에 속한다. 이유는 근린생활시설군과 주거업무시설군은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건축법상 용도변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선택지들은 용도가 유사하거나 관련이 없는 경우이므로 신고 대상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건축법령상 제1종 근린생활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용원
  2. 치과의원
  3. 마을회관
  4. 일반음식점
(정답률: 60%)
  • 제1종 근린생활시설은 주거지역 내에서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해 필요한 시설로서, 예를 들어 동네 마트, 우체국, 독서실 등이 속합니다. 일반음식점은 이에 해당하지 않으며, 상업지역 내에 위치하는 상업시설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일반음식점은 제1종 근린생활시설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건축물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교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집회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 이상인 건축물
  2. 장례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집회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m2 이상인 건축물
  3. 판매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 이상인 건축물
  4.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46%)
  • 정답은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건축물"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종교시설, 장례시설, 판매시설 등의 용도로 쓰이는 건축물이지만, 공장은 내화구조가 필요한 대상건축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내화구조란 화재 발생 시 건축물의 구조물이 불에 강한 성질을 가지도록 설계된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은 환기구의 안전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1m
  2. 2m
  3. 3m
  4. 4m
(정답률: 70%)
  • 환기구에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체와 환기구 사이의 거리가 2m 이상이어야 한다는 안전 기준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의 소방시설 중 소화활동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제연설비
  2. 비상방송설비
  3. 연소방지설비
  4. 무선통신보조설비
(정답률: 55%)
  • 비상방송설비는 소화활동설비가 아닙니다. 소화활동설비는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장비들을 의미하는데, 비상방송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안내 및 안전 정보를 전달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비상방송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에 따른 야간단열장치의 총열관류저항은 최소 얼마 이상되어야 하는가?

  1. 0.1 m2·K/W 이상
  2. 0.2 m2·K/W 이상
  3. 0.3 m2·K/W 이상
  4. 0.4 m2·K/W 이상
(정답률: 54%)
  • 야간단열장치는 건축물의 열손실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외부의 추운 공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야간단열장치의 총열관류저항이 높을수록 열손실이 적어지므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에 따라 야간단열장치의 총열관류저항은 최소 0.4 m2·K/W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건축물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를 충족시키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피뢰설비를 설비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높이 기준은?

  1. 10m 이상
  2. 15m 이상
  3. 20m 이상
  4. 30m 이상
(정답률: 63%)
  • 건축물의 높이가 20m 이상인 경우, 화재 등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뢰설비를 설치하여 안전을 보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높이 기준은 20m 이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