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10-05)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2003-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초음파탐상시험법

1. 자분탐상시험시 코일의 감은 수가 10회, L/D의 비가 4인 강봉을 코일법으로 검사할 때 요구되는 전류[A]는? (단, L은 봉의 길이, D는 외경임)

  1. 40A
  2. 525A
  3. 400A
  4. 1,125A
(정답률: 80%)
  • 코일의 감수와 강봉의 L/D 비가 주어졌으므로, 코일의 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강봉의 내경을 구해야 합니다. 외경과 L/D 비가 주어졌으므로, 내경은 외경에서 두께를 빼면 됩니다.

    외경 = D
    내경 = D - 2t (t는 두께)

    L/D = 4 = L/(D-2t)
    L = 4(D-2t)

    코일의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μN^2A/l

    여기서,
    μ: 자기유도계수 (4π x 10^-7 H/m)
    N: 코일의 감수 (10회)
    A: 코일의 면적 (강봉의 단면적)
    l: 코일의 길이 (강봉의 길이)

    A = π/4 x (D^2 - (D-2t)^2)
    l = L = 4(D-2t)

    따라서,

    L = μN^2π/4 x (D^2 - (D-2t)^2)/(4(D-2t))

    이제, 요구되는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L(I)
    V = L(dI/dt)
    I = V/(Lω)

    여기서,
    V: 시험용 전압 (주어지지 않음)
    ω: 시험용 주파수 (주어지지 않음)

    따라서, 답은 주어진 보기 중 "1,125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침투탐상시험시 습식 및 속건식 등의 형태를 설명하는데 사용하는 용어는?

  1. 유화제 (emulsifiers)
  2. 세정제 (cleaners)
  3. 현상제 (developers)
  4. 침투액 (penetrants)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습식 및 속건식 등의 형태를 설명하는 용어는 "침투액 (penetrants)"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는 "현상제 (developers)"가 정답이 아닙니다. "현상제 (developers)"는 침투액으로 처리된 부위에서 나타나는 결함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약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음파의 진행방향과 입자가 진동하는 방향이 같은 파는?

  1. 종파
  2. 횡파
  3. 판파
  4. 표면파
(정답률: 80%)
  • 종파는 음파의 진행방향과 입자가 진동하는 방향이 같은 파입니다. 이는 음파가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입자들이 그 방향과 수직으로 진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파는 음파의 진행방향과 입자의 진동방향이 같아서 파동이 일직선으로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초음파의 주파수가 변할 때 나타나는 현상은?

  1. 주기(T)가 일정해 진다.
  2. 음향 임피던스가 변한다.
  3. 속도가 일정해 진다.
  4. 초음파의 흡수량, 산란량, 분해능이 변한다.
(정답률: 84%)
  • 초음파의 주파수가 변하면 음파의 파장 길이도 변하게 되어, 초음파가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초음파의 흡수량, 산란량, 분해능이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초음파탐상시험으로 용접부를 검사할 때 주파수가 높은 것일수록 결함 크기를 측정하는 정확도는 어떻게 되는가?

  1. 높아진다.
  2. 낮아진다.
  3. 변화없이 일정하다.
  4. 주파수와 결함 크기는 측정과 무관하다.
(정답률: 80%)
  • 정답: 높아진다.

    설명: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결함의 크기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을수록 결함 크기를 측정하는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초음파탐상시험에서 탐상면이 거친 시험체에의 적당한 탐상 방법은?

  1. 평활한 탐상면에 사용하던 것보다 점도가 높은 접촉 매질과 저주파를 쓴다.
  2. 평활한 탐상면에 사용하던 것보다 점도가 낮은 접촉 매질과 저주파를 쓴다.
  3. 평활한 탐상면에 사용하던 것보다 점도가 높은 접촉 매질과 고주파를 쓴다.
  4. 평활한 탐상면에 사용하던 것보다 점도가 낮은 접촉 매질과 고주파를 쓴다.
(정답률: 46%)
  • 거친 시험체의 표면은 평활한 표면보다 불규칙하고 울퉁불퉁하여 초음파 파동이 반사되거나 산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점도가 높은 접촉 매질을 사용하면 초음파 파동이 시험체와 더 밀착하여 반사와 산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주파를 사용하면 파장이 길어져 시험체의 표면 불규칙성에 덜 민감해지므로 더욱 정확한 탐상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활한 탐상면에 사용하던 것보다 점도가 높은 접촉 매질과 저주파를 쓴다."가 적당한 탐상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근거리음장 한계거리에 대한 식으로 올바른 것은? (단, Xo : 근거리음장 한계거리, D : 원형진동자의 지름, λ : 시험체 내에서의 파장, n : 진동수, V : 시험체 내에서의 파의 속도)

(정답률: 94%)
  • 정답은 ""입니다.

    근거리음장 한계거리는 원형진동자의 지름과 시험체 내에서의 파장에 비례하고, 진동수와 시험체 내에서의 파의 속도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가 올바른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세 개이상의 별개의 결정체를 한 탐촉자로 만든 것은?

  1. 분할형 탐촉자
  2. 샌드위치 결정 탐촉자
  3. 모자익 탐촉자
  4. 수직 직접접촉 탐촉자
(정답률: 55%)
  • 세 개 이상의 별개의 결정체를 한 탐촉자로 만든 것은 모자익 탐촉자입니다. 이는 각 결정체의 선택지를 합쳐서 하나의 선택지로 제시하고, 이 선택지를 선택한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는 각 결정체의 선택지를 경쟁시키는 다른 방식들과는 달리, 협력적인 선택을 유도하며, 모든 참가자들이 공평하게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초음파탐상시험시 에코높이의 조정에 관계되는 조정부는?

  1. 측정범위
  2. 음속
  3. 리젝션
  4. 지연(delay)
(정답률: 70%)
  •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에코높이는 검사 대상물체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초음파파장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과정에서 주변 잡음이나 다른 물체의 반사파도 함께 감지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에코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잡음이나 다른 반사파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초음파탐상시험기에는 리젝션(Rejection)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리젝션은 검사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초음파파장을 제외한 잡음이나 다른 반사파를 필터링하여 정확한 에코높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초음파탐상시험시 에코높이의 조정에 관계되는 조정부는 리젝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경사각탐촉자의 거리진폭특성곡선을 작성할 수 있는 표준시험편 구멍의 직경을 표시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STB-A2의 ø4×4
  2. ASME의 표준시험편 ø3.2
  3. STB-G의 ø4
  4. STB-A3의 ø4×4
(정답률: 25%)
  • 정답은 "STB-A3의 ø4×4"입니다.

    경사각탐촉자의 거리진폭특성곡선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표준시험편 구멍의 직경이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변화해야 합니다. 따라서 ø3.2와 ø4의 경우에는 직경이 일정하게 변화하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STB-A2의 ø4×4와 STB-A3의 ø4×4는 구멍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진폭특성곡선을 작성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TB-G의 ø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STB-A1의 용도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경사각 탐촉자의 측정범위를 조정한다.
  2. 경사각 탐촉자의 입사점을 측정한다.
  3. 경사각 탐촉자의 특성을 측정한다.
  4. 경사각 탐촉자의 분해능을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TB-A1은 경사각 탐촉자의 분해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각 탐촉자의 측정범위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용접부의 초음파탐상검사에 필요한 거리진폭특성곡선을 작성할 수 있는 시험편은?

  1. STB-A1
  2. STB-A2
  3. STB-G
  4. STB-N
(정답률: 28%)
  • STB-A2는 용접부의 두께가 25mm 이하인 경우에 사용되는 시험편으로, 초음파탐상검사에 필요한 거리진폭특성곡선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STB-A1은 두께가 50mm 이하인 경우에 사용되며, STB-G와 STB-N은 다른 종류의 시험편입니다. 따라서 STB-A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용접물을 초음파탐상시험할 때 CRT상에 실제 결함으로 오판하기 쉬운 지시가 나타나는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탐촉자내에서 발생하는 반사 초음파에 의한 지시
  2. 용접물의 기하학적인 구조 형태에 의한 지시
  3. 모재에 존재하는 라미네이션에 의한 지시
  4. 표준시험편에서 나타나지 않은 결함의 지시
(정답률: 64%)
  • 용접물의 기하학적인 구조 형태에 의한 지시는 초음파가 용접물 내부를 통과할 때, 결함이 아닌 부분에서도 반사되어 CRT상에 결함으로 잘못 표시될 수 있는 원인이 됩니다. 예를 들어, 용접물 내부에 있는 각도나 곡률 등의 형태에 따라 초음파가 반사되는 각도가 달라져서 결함이 아닌 부분에서도 지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물의 기하학적인 구조 형태를 고려하여 초음파탐상시험을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침법에 의한 초음파탐상시험에서 탐촉자와 시험편간의 물거리로 알맞는 것은?

  1. 멀수록 좋다.
  2. 짧을수록 좋다.
  3. 시편 두께의 두 배이어야 한다.
  4. 교정시 사용한 거리와 같아야 한다.
(정답률: 70%)
  • 수침법에 의한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탐촉자와 시험편간의 물거리가 교정시 사용한 거리와 같아야 합니다. 이는 교정시 사용한 거리와 물거리가 같을 때, 탐촉자와 시험편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정시 사용한 거리와 같은 물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시험품의 입사면에 가까운 불연속들을 검출할 수 있는 초음파 탐상기의 성능을 설명하는 용어는?

  1. 감도
  2. 침투력
  3. 분리
  4. 근거리분해능
(정답률: 82%)
  • 근거리분해능은 초음파 탐상기가 물체 내부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불연속들을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물체 내부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작은 불연속들을 정확하게 분해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근거리분해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방사선투과시험의 형광스크린에 대해 올바른 설명은?

  1. 주로 감마선을 이용할 때 사용한다.
  2. 경금속을 검사할 때 필름 감광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주로 조사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 조사시간을 단축하고 PB(납)스크린보다 값이 훨씬 저렴해서 경제적이다.
(정답률: 67%)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형광스크린은 주로 조사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형광스크린은 방사선에 노출되면 빛을 내는데, 이를 이용하여 빠르게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형광스크린을 사용하면 더 빠르고 효율적인 조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와전류탐상검사를 수행할 때 시험부위의 두께 변화로 인한 전도도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1. 전압을 감소시킨다.
  2. 시험 주파수를 감소시킨다.
  3. 시험 주파수를 증가시킨다.
  4. fill-factor(필 펙터)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31%)
  • 시험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전류는 시험부위의 두께에 덜 영향을 받고, 더 깊은 부위까지 흐를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전도도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금속재료의 결함탐상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초음파탐상시험 주파수 범위는?

  1. 0.5MHz ∼ 10MHz
  2. 0.5kHz ∼ 50kHz
  3. 10kHz ∼ 10MHz
  4. 1Hz ∼ 1kHz
(정답률: 73%)
  • 금속재료의 결함탐상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초음파탐상시험 주파수 범위는 "0.5MHz ∼ 10MHz" 입니다. 이는 이 범위 내에서 초음파 파장이 적당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파장이 짧으면 재료 내부에서 산란이 많아져 신호가 약해지고, 파장이 길면 재료 내부에서 반사가 많아져 신호가 혼란스러워집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파장을 유지하면서 결함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진법으로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서 CRT상의 표시방법은?

  1. 시간과 거리의 함수에 대한 불연속반사와 같은 지시로 표시된다.
  2. 고정 주파수에서 공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3. 연속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공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4. 간헐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변조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진법으로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서 CRT상의 표시방법은 "연속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의 공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시로 표시된다." 이유는 공진법은 주파수를 조금씩 변화시키면서 공진상태를 찾아내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RT상에서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주파수에서의 공진상태를 표시하여 두께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몰 수침법에서 시험체의 첫번째 저면반사지시앞에 여러개의 전면반사지시가 나타나는 것을 없애려면?

  1. 음향 렌즈를 사용한다.
  2. 물의 온도를 낮춘다.
  3. 낮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4. 물거리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59%)
  • 전몰 수침법에서 시험체의 첫번째 저면반사지시앞에 여러개의 전면반사지시가 나타나는 것은 물거리가 짧아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물거리를 증가시키면 이러한 현상을 없앨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초음파탐상관련규격

21. 어떤 재질을 주파수 20MHz 탐촉자로 탐상할 때 파장은 얼마인가? (단, 그 재질 내부에서의 음속은 2.3×105cm/sec이다.)

  1. 0.325mm
  2. 0.255mm
  3. 0.115mm
  4. 0.055mm
(정답률: 60%)
  • 파장(wavelength)은 속도(speed)와 주파수(frequency)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파장 = 속도 / 주파수

    주어진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20MHz이고, 음속이 2.3×10^5cm/sec이므로,

    파장 = 2.3×10^5cm/sec / 20MHz

    = 2.3×10^5cm/sec / 20×10^6Hz

    = 0.0115cm

    = 0.115mm

    따라서, 정답은 "0.11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펄스반사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직접 접촉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수침법
  2. 표면파법
  3. 경사각법
  4. 수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펄스반사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직접 접촉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수침법"입니다. 수침법은 직접 접촉하여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직접 접촉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표면파법, 경사각법, 수직법은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측정이 가능한 비파괴 검사 방법이기 때문에 직접 접촉법과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표준시험편 중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측정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STB-A1
  2. STB-A2
  3. STB-G
  4. STB-N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TB-A1"입니다. 이는 경사각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측정에 사용할 수 있는 편으로, A1은 경사각 탐촉자의 입사점 측정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STB-A2는 경사각 탐촉자의 굴절각 측정에 사용되며, STB-G는 지질학적 측량에 사용되는 편이며, STB-N1은 지질학적 측량 및 지하수 관측에 사용되는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직법에 의한 초음파탐상시험시 발생하는 적산효과는 동일한 진행거리를 가지면서 여러 진행경로를 갖는 음파들의 중복에 의해 결함에코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현상이다. 다음 중 적산효과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은?

  1. 결함이 시험체 중심에 존재한다.
  2. 결함이 작다.
  3. 시험체가 얇다.
  4. 음파 진행거리가 길다.
(정답률: 42%)
  • 음파 진행거리가 길다. - 적산효과는 음파들이 중복되어 결함에코가 높아지는 현상이므로, 음파가 진행하는 거리가 길면 중복되는 음파의 수가 줄어들어 적산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경사각탐상에서 "탐촉자로 부터 나온 초음파빔의 중심축이 저면에서 반사하는 점 또는 탐상표면에 도달하는 점"이란 무엇인가?

  1. 스킵점
  2. 교축점
  3. 입사점
  4. 큐리점
(정답률: 69%)
  • 스킵점은 초음파빔이 경사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나아가는 방향이 수직으로 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 때, 초음파빔이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는 도중에 경사면의 각도가 너무 가파르면 반사되는 각도가 너무 커져서 초음파빔이 경사면을 벗어나게 됩니다. 이때 초음파빔이 경사면을 벗어나는 지점이 스킵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킵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초음파탐상시험시 사용하는 표준시험편의 종류 설명중 가장 적당치 않은 것은?

  1. 전체 감도의 표준으로 삼기 위한 것
  2. 거리에 따른 결함의 종류를 알기 위한 것
  3. 탐상기의 전체 분해능을 알기 위한 것
  4. 탐촉자의 성능을 알기 위한 것
(정답률: 47%)
  • 초음파탐상시험에서 거리에 따른 결함의 종류를 알기 위한 것은 적당치 않은 설명입니다. 초음파탐상시험에서 거리에 따른 결함의 종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탐촉자의 발진 각도와 수신 각도를 조절하여 탐상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거리에 따른 결함의 종류를 알기 위한 것"은 적당치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KS B 0816의 금속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 탐상도형을 표시기호로 나타낼 때 다음 중 틀린 것은?

  1. 흠집에코 : F
  2. 표면에코 : S
  3. 옆면에코 : W
  4. 끝면에코 : T
(정답률: 73%)
  • 정답: "옆면에코 : W"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끝면에코는 탐상체의 끝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음파를 의미합니다. 이는 탐상체의 끝면에 결함이 있을 경우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KS B 0816의 금속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끝면에코는 T로 표시됩니다.

    옆면에코는 탐상체의 옆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음파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결함 탐지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KS B 0816의 금속재료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옆면에코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KS D 0252의 규격은 안쪽 및 바깥쪽의 양면을 자동 아크용접으로 제조한 강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다음 중 이 규격의 적용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조한 관의 바깥지름이 300mm이하의 것에 적용한다.
  2. 제조한 관의 두께가 6mm이상의 것에 적용한다.
  3. 탄소강 강관의 길이방향 용접부에 적용한다.
  4. 페라이트계 합금강 길이방향 용접부에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제조한 관의 바깥지름이 300mm이하의 것에 적용한다."이다. 이유는 KS D 0252 규격은 바깥쪽의 양면을 자동 아크용접으로 제조한 강관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깥지름이 300mm 이상인 강관은 이 규격의 적용 범위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KS D 0040 건축용 강판의 초음파탐상시험시 2진동자 수직탐촉자에 의한 결함의 분류시 표시기호가 △이었다. 다음 중 올바른 것은?

  1. 압연방향에 평행하게 주사할 경우 결함에코 높이가 DM선을 초과한 것
  2. 압연방향에 평행하게 주사할 경우 결함에코 높이가 DH선을 초과한 것
  3. 압연방향에 평행하게 주사할 경우 DL선을 초과 DM선 이하인 것
  4. 압연방향에 직각으로 주사할 경우 DL선을 초과 DM선 이하인 것
(정답률: 50%)
  • 강판의 압연방향에 평행하게 주사할 경우, 결함에코의 높이는 DM선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DL선은 결함에코의 최대 허용 높이를 나타내는 선이며, DM선은 결함에코의 최대 허용 높이보다는 작지만 수리가 필요한 결함을 나타내는 선이다. 따라서, DL선을 초과하지 않고 DM선 이하인 결함은 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미한 결함을 나타내므로, 표시기호로 △가 사용된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압연방향에 평행하게 주사할 경우 DL선을 초과 DM선 이하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KS B 0896에서 탐상기에 필요한 기능 중 주파수의 크기로 올바른 것은?

  1. 1 MHz
  2. 2 MHz
  3. 7 MHz
  4. 10 MHz
(정답률: 72%)
  • KS B 0896은 초음파 탐촉자의 주파수 범위를 규정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따라서 KS B 0896에서 탐상기에 필요한 기능 중 주파수의 크기는 초음파 탐촉자의 주파수 범위와 일치해야 합니다. KS B 0896에서 규정하는 초음파 탐촉자의 주파수 범위는 1 MHz에서 10 MHz까지이며, 이 중에서 탐상기에 필요한 주파수의 크기는 2 MHz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의료용 초음파 검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 하나로, 조직 내부의 해상도와 깊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KS B 0817에 의거 초음파탐상시험을 할 때 시험결과에 대한 기록에 기재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흠집이 있는 부분의 위치 등의 추정 스케치
  2. 흠집의 에코 높이 및 바닥면 다중 에코의 상태
  3. 필요로 하는 탐상 도형
  4. 에코 높이 구분선 설정서
(정답률: 59%)
  •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흠집이 있는 부분의 위치 등의 추정 스케치, 흠집의 에코 높이 및 바닥면 다중 에코의 상태, 필요로 하는 탐상 도형 등을 기록해야 하지만, 에코 높이 구분선 설정서는 초음파탐상시험 결과에 대한 기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에코 높이 구분선 설정서가 초음파탐상시험 이전에 이미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KS D 0040에 의거 2진동자 수직탐촉자에 의한 결함의 분류시 압연방향에 직각으로 주사할 때 표시기호로 X인 결함은?

  1. DL선 초과 DM선이하
  2. DM선을 초과
  3. DM선 넘어 DH선이하
  4. DH선을 초과
(정답률: 30%)
  • KS D 0040 기준으로, 2진동자 수직탐촉자에 의한 결함 검사에서 X 표시기호는 "DM선을 초과"하는 결함을 의미합니다. 이는 결함이 일정 크기 이상이며, 검사 대상 물체의 표면에서 일정 깊이 이상으로 침투한 경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DM선을 초과하는 결함은 검사 대상 물체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금속재료의 펄스반사법에 따른 초음파탐상시험 방법에서 최소 탐상거리와 같은 뜻으로 주로 탐촉자를 포함한 탐상기의 성능표시 용어는?

  1. 밴드폭
  2. 불감대
  3. 펄스 반복거리
  4. 탐상감도
(정답률: 0%)
  • 불감대는 탐촉자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의 강도가 약해져서 탐상기가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불감대는 탐상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다른 성능표시 용어들은 최소 탐상거리, 측정 가능한 주파수 범위, 신호의 반복 주기 등을 나타내는 반면, 불감대는 탐촉자와 탐상기의 조합에 따라 달라지는 초음파 신호의 강도에 대한 성능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KS B 0896에서 규정한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접촉 매질의 종류로 적당한 것은? (단, 탐상면의 거칠기는 80μm이상이다.)

  1. 농도 75% 이상의 글리세린 수용액
  2. 엔진오일
  3. 농도 50% 이상의 글리세린 수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은 접촉 매질을 사용하여 탐상면과 매질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고 초음파 파동의 전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수행된다. 따라서 접촉 매질은 탐상면의 거칠기를 최소화하고 초음파 파동의 전달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도 75% 이상의 글리세린 수용액은 접촉 매질로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글리세린은 점성이 높아 탐상면의 거칠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2. 농도가 높을수록 점성이 높아져 초음파 파동의 전달을 원활하게 한다.
    3. 글리세린은 물과 달리 증발하지 않아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강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에서는 농도 75% 이상의 글리세린 수용액이 적합한 접촉 매질로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KS B 0897에 규정한 경사각 탐촉자의 사용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동자의 공칭주파수는 5MHz이다.
  2. 시험주파수는 3.0 ∼ 6.5 MHz로 한다.
  3. 탐촉자의 공칭 굴절각과 탐상 굴절각의 차는 ±2° 로 한다.
  4. 빔 중심축의 치우침에 대한 판독단위는 1° 로 측정하여 2° 를 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4%)
  • "시험주파수는 3.0 ∼ 6.5 MHz로 한다." 이 항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 탐촉자의 성능이 최적화되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탐촉자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KS B 0831에서 표준시험편의 재료중 구상화 어닐링한 열처리 방법을 사용한 시험편은?

  1. STB-G
  2. STB-N1
  3. STB-A1
  4. STB-A3
(정답률: 70%)
  • KS B 0831에서 STB-G는 구상화 어닐링한 열처리 방법을 사용한 시험편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따라서 STB-G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KS B 0817에 의한 초음파탐상 장치의 성능 중에 시험할 때의 리젝션의 위치는?

  1.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2. 10%
  3. 20%
  4. 탐상기 성능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77%)
  • KS B 0817에 의한 초음파탐상 장치의 성능 중에 시험할 때의 리젝션의 위치는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다. 이유는 리젝션은 탐상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으로, 탐상기의 성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젝션의 위치는 각각의 탐상기에 맞게 설정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표준시험편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은?

  1. 수직탐상용 A2 시험편은 탐상기의 감도조정과 분해능점검에 사용된다.
  2. 수직탐상용 A3 시험편은 탐상기의 측정범위와 감도조정에 사용된다.
  3. STB-G는 경사각탐상시 감도조정외에 탐상기의 특성시험이나 탐촉자의 성능시험에 사용된다.
  4. STB-N1은 두께 13mm부터 60mm의 얇은 강판의 수직탐상에서 감도조정에 사용된다.
(정답률: 42%)
  • STB-N1은 두께가 얇은 강판의 수직탐상에서 감도조정에 사용되는 이유는, 이 시험편이 얇은 강판의 표준시험편으로서, 이러한 두께의 강판을 탐상할 때 감도조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KS B 0896에 의해 판 두께 20mm인 용접부를 굴절각 70도로 탐상할 경우의 측정범위로 적당한 것은?

  1. 100mm
  2. 125mm
  3. 150mm
  4. 200mm
(정답률: 알수없음)
  • 굴절각이 클수록 측정범위는 작아지므로, 굴절각 70도에 적당한 측정범위는 작은 값인 125mm이다. 즉, 125mm 이하의 측정범위를 가지는 탐상기를 사용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KS B 0817(금속재료의 펄스반사법에 따른 초음파탐상 시험방법 통칙)에 따른 에코높이 기록 방법이 아닌 것은?

  1. 표시기 눈금의 풀 스케일에 대한 백분율(%)
  2. 미리 설정한 기준선 또는 특정 에코 높이와의 비의 데시벨(dB) 값
  3. 미리 설정한 에코 높이를 구분하는 영역의 부호
  4. 흠 지시 길이의 중앙 또는 끝의 위치
(정답률: 40%)
  • 흠 지시 길이의 중앙 또는 끝의 위치는 KS B 0817에 따른 에코높이 기록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초음파탐상 시험에서 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흠 지시 길이의 중앙 또는 끝의 위치를 기준으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에코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흠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일반

41. 컴퓨터 웹 브라우저에서 현재 방문한 사이트를 추후에 다시 방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은?

  1. 다시읽기
  2. 즐겨찾기
  3. 검색
  4. 파일접속
(정답률: 50%)
  • 즐겨찾기는 컴퓨터 웹 브라우저에서 현재 방문한 사이트를 추후에 다시 방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를 쉽게 찾아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다시읽기는 이전에 방문한 페이지를 다시 불러오는 기능이며, 검색은 특정 키워드로 원하는 정보를 찾는 기능입니다. 파일접속은 컴퓨터나 서버에 저장된 파일에 접속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검색엔진의 논리 연산자 중 연산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는?

  1. AND
  2. OR
  3. NOT
  4. NOR
(정답률: 46%)
  • 검색엔진의 논리 연산자 중 연산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는 "AND"입니다. 이는 검색어를 여러 개 입력할 때, 모든 검색어가 포함된 결과를 찾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OR" 연산자는 검색어 중 하나만 포함된 결과를 찾을 때 사용되며, "NOT" 연산자는 해당 검색어를 제외한 결과를 찾을 때 사용됩니다. "NOR" 연산자는 "OR" 연산자와 "NOT" 연산자를 결합한 것으로, 검색어 중 하나도 포함되지 않은 결과를 찾을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컴퓨터에서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로 최대 12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며, 주변장치를 127대 까지 하나의 포트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은?

  1. 직렬 포트
  2. 병렬 포트
  3. PS/2 포트
  4. USB 포트
(정답률: 알수없음)
  • USB 포트는 최대 12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며, 주변장치를 127대까지 하나의 포트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직렬 포트와 병렬 포트는 전송속도가 느리고, PS/2 포트는 주로 마우스와 키보드에 사용되며, 여러 대의 장치를 연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터넷에서 수많은 정보의 정보검색을 잘하기 위한 테크닉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소에 인터넷을 많이 이용한다.
  2. 다양한 키워드를 조합해 사용한다.
  3. 검색 엔진의 사용법과 기능을 마스터한다.
  4. 어느 한 검색엔진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24%)
  • 어느 한 검색엔진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정보의 다양성과 완전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각 검색엔진은 자체적인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면 보다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른 사람의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침입하여 타인의 컴퓨터 파일을 파괴하는 등의 피해를 입히는 행동을 하는 프로그램은?

  1. Vaccine
  2. Hacker
  3. Cracker
  4. Viru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irus"입니다. 바이러스는 다른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침입하여 자신의 복제본을 만들고, 그 복제본이 계속해서 다른 컴퓨터나 프로그램에 침투하여 파괴하는 등의 피해를 입히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컴퓨터 시스템의 안전성과 보안을 위협하며, 개인정보 유출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변형전과 변형 후의 위치가 어떤면을 경계로 하여 대칭이 되는 것과 같은 변형을 하는 것은?

  1. 전위(dislocation)
  2. 쌍정(twin)
  3. 상률(phase rule)
  4. 슬립벤드(slip band)
(정답률: 73%)
  • 쌍정은 결정 구조 내에서 일어나는 변형 중 하나로, 변형 전과 후의 위치가 일정한 면을 경계로 대칭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대칭성은 결정 내부에서 일어나는 원자의 이동이 일어나는 특정한 방향에 의해 유발됩니다. 따라서 쌍정은 결정 구조의 대칭성을 유지하면서 변형이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순산소에 의해 산화열로 정련하는 제강법은?

  1. 전로 제강법
  2. 지로우 제강법
  3. 도가니로 제강법
  4. 유동로 제강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순산소에 의해 산화열로 정련하는 제강법은 전로 제강법입니다. 이는 고로 안에 있는 철광석과 석탄을 이용하여 철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고온에서 철광석과 석탄이 반응하여 철과 가스가 생성됩니다. 이 가스는 순산소로 인해 산화되어 열을 발생시키며, 이 열로 철광석과 석탄이 녹아 철을 추출합니다. 이 방법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철의 순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순수한 시멘타이트(Fe3C)의 자기 변태점은?

  1. 870℃
  2. 770℃
  3. 410℃
  4. 210℃
(정답률: 알수없음)
  • 순수한 시멘타이트(Fe3C)는 자기적으로 비활성이므로 자기 변태점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10℃"이 아닌 다른 값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기변태점과 같은 의미는?

  1. 고온 가공점
  2. 변태 응력점
  3. 비스만테스점
  4. 퀴리점
(정답률: 64%)
  • 퀴리점은 금속이나 합금에서 결정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는 자기변태점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퀴리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반도체 금속은?

  1. Fe
  2. Si
  3. Al
  4. Mg
(정답률: 92%)
  • 반도체는 전기를 통과시키지 않거나 일부만 통과시키는 물질을 말합니다. 이에 반해 금속은 전기를 자유롭게 통과시키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반도체 금속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반도체 소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실리콘(Si)입니다. 이는 전자의 이동이 어느 정도 제한되어 있어 전기를 통과시키지 않거나 일부만 통과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리콘은 안정성이 높고 가공이 용이하여 반도체 소자 제작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Si"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순철의 용융점(℃)은?

  1. 1601
  2. 1539
  3. 1400
  4. 912
(정답률: 알수없음)
  • 순철의 용융점은 1539℃이다. 이는 철의 용융점인 1538℃보다 높은 온도이며, 순철은 철과 탄소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탄소 함량이 적어 용융점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땜납,의약품,식품 등의 포장용 튜브로 사용되는 저용융점 금속은?

  1. 구리
  2. 주석
  3. 코발트
  4. 몰리브덴
(정답률: 55%)
  • 저용융점 금속은 높은 가공성과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포장용 튜브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주석은 저용융점 금속 중에서도 가장 낮은 녹는점을 가지고 있어서 가공이 용이하고, 높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의약품이나 식품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주석은 땜납, 의약품, 식품 등의 포장용 튜브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침탄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탄소 0.2 [%] 이하의 탄소강
  2. 탄소 0.7 [%] 정도의 탄소강
  3. 탄소 0.9 [%] 정도의 탄소강
  4. 탄소 1.0 [%] 이상의 탄소강
(정답률: 67%)
  • 침탄은 강철을 고온에서 태워서 표면에 탄화물을 형성시키는 공정입니다. 이때 사용하는 강재는 탄소 함량이 낮을수록 적합합니다. 탄소 함량이 낮을수록 침탄층이 더 얇아지고,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소 0.2 [%] 이하의 탄소강이 침탄에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상온에서 액체인 금속은?

  1. Hg
  2. Al
  3. Se
  4. Li
(정답률: 77%)
  • Hg는 상온에서 액체인 금속입니다. 이는 Hg의 높은 비유도성과 낮은 녹는점 때문입니다. Hg는 다른 금속들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비유도성을 가지고 있어 전기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Hg의 녹는점은 -38.83°C로 매우 낮기 때문에 상온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청동의 주 성분은?

  1. 구리, 망간
  2. 구리, 크롬
  3. 구리, 주석
  4. 구리, 텅스텐
(정답률: 70%)
  • 청동의 주 성분은 구리와 주석입니다. 이는 청동의 합금 구성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두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구리는 청동의 기본적인 구성 성분으로, 높은 전도성과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석은 구리와 함께 청동을 이루는 합금 성분 중 하나로, 구리와 함께 청동의 경도와 내식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구상흑연 주철의 흑연을 구상화시키는 첨가원소로 가장 좋은 것은?

  1. Mg
  2. Cr
  3. S
  4. Mo
(정답률: 55%)
  • 구상흑연 주철은 흑연 결정이 주요한 구성 요소이며, 이를 구성하는 원자들은 sp2 결합을 이루어 결정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sp2 결합은 π-전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 π-전자는 s-전자와 p-전자의 혼합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구상흑연 주철의 흑연을 구상화시키는 첨가원소는 s-전자와 p-전자를 가장 잘 혼합시키는 Mg가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철-탄소계 상태도에서 일어나지 않는 반응은?

  1. 포정반응
  2. 탄성반응
  3. 공정반응
  4. 공석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철-탄소계 상태도는 철과 탄소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이 상태도에서는 탄소와 철 사이에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포정반응, 공정반응, 공석반응과 같은 화학적인 반응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면, 탄성반응은 물체가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오는 반응으로, 화학적인 반응이 아니기 때문에 철-탄소계 상태도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탄성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가스 절단과 같은 원리로 표면에서 껍질을 벗기듯 표면을 가공하는 것은?

  1. 가스 스카핑
  2. 용사법
  3. 원자 수소법
  4. 레이저 용접
(정답률: 73%)
  • 가스 스카핑은 가스 절단과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여, 고열 가스를 이용하여 표면에서 껍질을 벗기듯이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가스 절단과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가스 스카핑"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다른 보기인 "용사법", "원자 수소법", "레이저 용접"은 가스 스카핑과는 다른 가공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여러개의 돌기를 만들어 용접하는 저항 용접법인 것은?

  1. 시임 용접
  2. 프로젝션 용접
  3. 점 용접
  4. 펄스 용접
(정답률: 84%)
  • 프로젝션 용접은 여러 개의 돌기를 만들어 용접하는 저항 용접법입니다. 이는 접합 부위에 저항을 증가시켜 열을 발생시켜 용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강도가 높은 용접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돌기를 만들어 용접하는 경우에는 프로젝션 용접이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에서 용접 작업할 때 전기의 열원이 필요하지 않는 용접법은?

  1.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
  2.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3. 논 가스 아크 용접
  4. 테르밋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테르밋 용접은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전기의 열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논 가스 아크 용접은 모두 전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테르밋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