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16)

도시계획기사
(2003-03-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도시계획론

1. 도시재정 관리에 있어서 도시정부가 세입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채택한다고 볼 수 없는 것은?

  1. 공채 발행
  2. 개발이익의 환수
  3. 공생산(共生産)방식의 도입
  4. 수익자 부담금 제도의 확대
(정답률: 알수없음)
  • 공생산 방식은 도시재정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채택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도시재정을 증대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시와 민간기업이 함께 협력하여 도시개발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도시재정을 증대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공생산(共生産)방식의 도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도시화가 진행되는 단계 중 집적의 불이익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단계는?

  1. 도시화 단계
  2. 교외화 단계
  3. 재도시화 단계
  4. 역도시화 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역도시화 단계에서는 도시의 중심부에서 인구와 경제활동이 이동하여 교외나 지방으로 분산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도시 중심부의 인프라와 시설물 등이 불필요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등의 불이익이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또한, 인구의 이동으로 인해 도시 중심부의 고가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도시의 경제적 발전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시민과 도시정부가 공동으로 공공서비스를 공급하는 공생산(co-production)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 유형은?

  1. 도로수선, 공원, 지하철
  2. 도시가스, 병원, 주차장
  3. 범죄예방, 도서관, 노인 및 유아문제
  4. 경찰, 상수도, 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범죄예방, 도서관, 노인 및 유아문제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공생산에 가장 적합합니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도시정부와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면서 서로의 역할과 책임을 공유하며, 더 나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면, 도로수선, 공원, 지하철, 도시가스, 병원, 주차장, 경찰, 상수도, 전기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기 어렵거나,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필요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공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혐오시설의 입지를 둘러싼 이른바 NIMBY 현상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 아닌 것은?

  1. NIMBY 현상은 국민들의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 증대와 관련이 있다.
  2. NIMBY 현상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혐오 시설 입지에 따라 적절한 피해 보상책도 강구하여야 한다.
  3. NIMBY 현상은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완화될 것이다.
  4. NIMBY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향후 지방정부의 중재자로서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NIMBY 현상은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완화될 것이다." 이 설명은 올바르지 않다.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더라도 국민들의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와 혐오시설 입지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NIMBY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피해 보상책과 함께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소통이 필요하다. 또한, 지방정부의 중재자 역할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각종 도시의 활동이 지역공간에 투영되어 나타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용도지역지구제
  2. 도시 기능체계
  3. 도시 공간구조
  4. 토지이용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 공간구조는 각종 도시의 활동이 지역공간에 투영되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도시 내부의 도로, 건물, 공원 등의 구조와 배치, 그리고 도시와 주변 지역의 연결성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도시 공간구조"가 정답입니다. 용도지역지구제는 토지의 용도를 분류하고 지정하는 제도, 도시 기능체계는 도시 내부의 기능적인 분류와 배치를 의미하며, 토지이용계획은 토지의 이용과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인구지표 산정기준 중 틀린 것은?

  1. 경제활동인구 = 15-64세 전 인구
  2. 성비 = (여자인구 ÷ 남자인구) × 10
  3. 가임여성연령계급 = 15 - 49세
(정답률: 알수없음)
  • 성비 = (여자인구 ÷ 남자인구) × 10 은 틀린 기준이 아닙니다.

    성비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여자인구를 남자인구로 나눈 후 10을 곱해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100명당 남성과 여성의 비율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비가 105라면 100명당 남성이 50명, 여성이 55명이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민들이 도보로 상점이나 기타 공공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 크기의 반경을 페리(C.A.perry)는 얼마로 설정하였는가?

  1. 1/2마일(약 800m)
  2. 1/3마일(약 500m)
  3. 1/4마일(약 400m)
  4. 1/5마일(약 300m)
(정답률: 알수없음)
  • C.A. Perry는 도보로 이동하는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의 크기를 설정할 때, 1/4마일(약 400m)을 선택했다. 이는 도보 이동 거리가 1/4마일 이내인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상점이나 공공시설 등을 이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이 반경 내에 필요한 시설들이 모두 갖춰져 있다면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생활 환경 시설의 광역 이용 체계에 있어 대생활권(광역대도시 생활권)의 이용 시설물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전문 의료시설 및 연구기관
  2. 특수 복지시설
  3. 국제 규모의 경기시설
  4. 유통 판매 연쇄점, 수퍼마켓
(정답률: 알수없음)
  • 유통 판매 연쇄점과 수퍼마켓은 대개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광역 대도시 생활권 전체에서 이용되는 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대생활권의 이용 시설물로 분류되지 않는다. 반면에 전문 의료시설, 특수 복지시설, 국제 규모의 경기시설은 대생활권 전체에서 이용되는 시설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시의 기본계획 수립에서 생태계 구성요소를 중요한 계획인자로 고려한다. 그 요소의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지형형태, 광물자원, 풍향, 지표구조
  2. 바람, 물, 온도, 습도, 지표구조, 광물자원
  3. 지형, 지표, 지질구조, 기후, 수계, 동식물
  4. 등고선, 계곡, 하천, 저습지, 취락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의 기본계획 수립에서 생태계 구성요소를 중요한 계획인자로 고려하는 이유는 도시가 생태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시의 기본계획 수립에서는 지형, 지표, 지질구조, 기후, 수계, 동식물 등의 생태계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도시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지형, 지표, 지질구조, 기후, 수계, 동식물은 도시 생태계를 이해하고 보호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지형, 지표, 지질구조는 도시의 지형적 특성을 나타내며, 기후와 수계는 도시의 생태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동식물은 도시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생태계 구성요소들을 고려하여 도시의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의 구성요소를 크게 세가지로 나눈다면, 다음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1. 사람, 활동, 토지와 시설
  2. 활동, 토지와 시설, 문화
  3. 사람, 자연, 문화
  4. 활동, 토지와 시설, 자연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는 사람이 살고 활동하는 공간이며, 이를 위해 토지와 시설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사람, 활동, 토지와 시설"이 가장 옳은 답입니다. 문화나 자연은 도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사람과 활동, 토지와 시설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독시아디스(Doxiadis)가 인간정주학(EKISTICS)에서 거대도시(metropolis)로 정의한 인구규모는 얼마인가?

  1. 100만
  2. 200만
  3. 500만
  4. 1000만
(정답률: 알수없음)
  • 독시아디스는 인간정주학에서 거대도시를 200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도시로 정의했다. 이는 도시의 인구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도시의 경제, 문화, 사회 등이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바로크(Baroque) 도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1. 바로크형 도시계획은 기하학적 규칙성을 지니고 있다
  2. 바로크 도시는 경제성을 강조한 격자형 도시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3. 바로크의 도시형태는 장중한 공공건물과 넓은 도로를 특징으로 한다
  4. 베르사이유, 칼스루에, 포츠담과 같은 도시는 바로크 도시의 대표적인 사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바로크 도시는 경제성을 강조한 격자형 도시구조를 나타내고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바로크 도시는 기하학적 규칙성을 지니고 있으며, 장중한 공공건물과 넓은 도로를 특징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시구조이론과 주창자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동심원이론 - 버제스(Burgess)
  2. 선형이론 - 호이트(Hoyt)
  3. 다핵심이론 - 해리스(Harris)와 울만(Ullman)
  4. 다차원이론 - 디킨슨(Dickinson)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구조이론은 도시의 공간적 구조와 사회적 구조를 연구하는 이론이다. 이론은 다양한 주창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이 중 일부는 다른 이론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다차원이론은 디킨슨이 개발한 이론으로, 다른 이론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다차원이론과 주창자의 연결이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재개발구역 선정기준에 있어 지역의 성격과 노후도에 따라 구분되는 유형이 아닌 것은?

  1. 환경악화지역
  2. 안정지역
  3. 노후지역
  4. 철거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철거지역은 재개발 대상이 아닌 지역으로, 이미 건물이 철거되어 빈 공간이 된 지역을 말한다. 따라서 재개발 구역 선정기준에 있어 지역의 성격과 노후도에 따라 구분되는 유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느 도시의 최근 10년간의 인구가 등차급수적으로 600,000명에서 900,000명으로 증가하였다고 가정할 때, 이 기간동안의 연평균증가율은 몇 %인가?

  1. 2.5%
  2. 5.0%
  3. 6.5%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등차급수에서 첫째 항이 600,000이고, 공차가 a일 때, 10번째 항은 900,000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600,000 + 9a = 900,000

    a = 30,000

    따라서, 연평균 증가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900,000/600,000)^(1/10) - 1 = 0.0488

    즉, 약 4.88%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토지이용에서 도시문제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들 수 없는 것은?

  1. 이용주체간의 경합
  2. 토지의 난개발
  3. 급속한 교외화
  4. 외부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급속한 교외화는 도시 내부의 토지 이용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인이다. 이는 도시의 외곽 지역이 도시화되면서 도시의 중심부에서 인구 이동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도시 내부의 토지 이용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용주체간의 경합, 토지의 난개발, 외부효과는 도시문제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들 수 있지만, 급속한 교외화는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신도시 중 그 성격이 다른 도시는?

  1. 캔버라(Canberra)
  2. 브라질리아(Brasilia)
  3. 상디갈(Chandigarh)
  4. 밀톤 케인즈(Milton Keynes)
(정답률: 알수없음)
  • 밀톤 케인즈는 다른 신도시들과는 달리, 도시 계획이 자동차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도시 내 대부분의 건물들이 모두 같은 디자인으로 지어졌다는 점에서 다른 신도시들과 차별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최근 서울은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보다 많은 역도시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를 촉진한 원인으로 타당한 것은?

  1. 수도권 내 대학 입학정원의 동결
  2. 그린벨트의 설정
  3. 수도권 전철 등 교통망의 정비
  4. 수도권 소재 공장의 확대
(정답률: 알수없음)
  • 서울의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보다 많은 역도시화현상은 수도권 전철 등 교통망의 정비가 촉진한 원인 중 하나이다. 교통망의 개선으로 인해 서울과 주변 지역 간의 이동이 더욱 용이해졌기 때문에 주거지를 서울 외곽 지역으로 이전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시장실패의 요인이 아닌 것은?

  1. 공공재
  2. 외부성
  3. 위험과 불확실성
  4. 사리사욕 추구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재, 외부성, 위험과 불확실성은 시장실패의 대표적인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사리사욕 추구행위는 시장의 경쟁 원리를 깨뜨리고, 이기적인 행위로 인해 시장이 비효율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리사욕 추구행위는 시장실패의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집적경제의 구성요인이 아닌 것은?

  1. 내부적 규모의 경제
  2. 지방특화경제
  3. 범지구화경제
  4. 도시화경제
(정답률: 알수없음)
  • 집적경제는 지역 내부적인 경제 활동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경제 모델을 말한다. 따라서 "내부적 규모의 경제"와 "지방특화경제", "도시화경제"는 집적경제의 구성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범지구화경제"는 지역 내부적인 경제 활동이 아닌 지역 간 경제 활동을 의미하므로 집적경제의 구성요인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21. 등고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등고선 간격이 클수록 경사는 완만하다
  2. 등고선은 폐곡선이다
  3. 등고선은 절대로 교차하는 일이 없다
  4. 등고선의 선형과 간격으로 지형을 짐작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절대로 교차하는 일이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등고선은 서로 교차할 수 있습니다. 이는 높이가 같은 지점이 여러 군데에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고선은 교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형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주택단지 계획에서 크기 순으로 옳게 표시된 것은?

  1. 근린주구 → 근린분구 → 인보구 → 지역(지구)
  2. 지역(지구) → 근린주구 → 근린분구 → 인보구
  3. 지역(지구) → 인보구 → 근린주구 → 근린분구
  4. 지역(지구) → 근린분구 → 인보구 → 근린주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역(지구) → 근린주구 → 근린분구 → 인보구"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지구)은 대규모 주거지역이며, 인프라와 생활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 근린주구는 지역(지구) 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주거지역으로, 지역 내에서 필요한 상업시설과 생활시설이 모여 있습니다.
    - 근린분구는 근린주구 내에서 더 작은 규모의 주거지역으로, 주거지역과 상업시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 인보구는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지역이며, 주로 농업이나 자연환경 보전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지역(지구)에서부터 시작하여 규모가 작아지면서 상업시설과 생활시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는 근린주구, 근린분구, 그리고 인프라가 부족한 인보구 순서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000세대 이상의 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에는 유치원을 설치하여야 하나, 다음 중 어떤 경우에는 유치원을 설치하지 아니하여도 되는가?

  1. 당해 주택단지로부터 통행거리 300m 이내에 유치원이 있는 경우
  2. 당해 주택단지로부터 통행거리 500m 이내에 유치원이 있는 경우
  3. 당해 주택단지로부터 통행거리 1㎞ 이내에 유치원이 있는 경우
  4. 당해 주택단지로부터 통행거리 2㎞ 이내에 유치원이 있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주택단지에 유치원을 설치하는 것은 어린이의 안전과 교육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주택단지 내에 유치원을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당해 주택단지로부터 통행거리 300m 이내에 이미 유치원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주택단지에 유치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이미 주변에 유치원이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안전과 교육에 문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통행거리가 500m 이상인 경우에는 어린이들의 이동 거리가 너무 멀어져서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택단지 내에 유치원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방향 도로 방식(One way system)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속도를 빠르게 한다.
  2. 주거환경이 불량해진다.
  3. 주거지의 쾌적함을 증진시키다.
  4. 순환지구와 비순환지구간의 통과교통을 좌절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방향 도로 방식은 속도를 빠르게 하고, 순환지구와 비순환지구간의 통과교통을 좌절시키지만, 주거지의 쾌적함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주거환경이 불량해진다는 것은 일방향 도로 방식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은 각종 국지도로의 장· 단점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것은?

  1.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완전히 차단하여 안전성이 높다.
  2. 격자형은 획지의 넓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3. T자형은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로, 손실되는 땅이 적다.
  4. 루프(Loop)형은 세도로와 교차점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쿨데삭(Cul-de-sac)형은 통과교통을 완전히 차단하여 안전성이 높다."가 틀린 것이다. 쿨데삭 형태는 차량이 뒤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통과교통이 차단되는 단점이 있다. T자형은 쿨데삭의 문제점을 개선한 형태로, 손실되는 땅이 적다는 이유는 T자형이 차량이 뒤로 돌아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 많은 땅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린이 놀이터 배치 기준에 적합한 것은?

  1. 150제곱미터이상인 어린이놀이터는 건축물의 외벽면으로 부터 5m 이상 떨어진 곳에 배치되어야 한다
  2. 100제곱미터이상인 어린이 놀이터는 건축물의 1층 외벽면으로 부터 3m 이상 떨어진 곳에 배치되어야 한다
  3. 상업지역의 간선도로변에 배치해야 한다
  4. 어린이 놀이터는 그 폭을 5m 이상으로 하되 교차로변에 배치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50제곱미터 이상인 어린이놀이터는 많은 어린이들이 놀이를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건축물의 외벽면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는 건물에서 떨어져 있어서 건물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놀이터 내에서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주차형식 중 차량 1대당 소요 면적이 가장 최소인 것은?

  1. 45° 주차방식
  2. 60° 주차방식
  3. 90° 주차방식
  4. 교차 주차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90° 주차방식이 가장 소요 면적이 적다. 이는 차량을 수직으로 주차하기 때문에 차량 길이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주차 공간 내에서 차량 이동이 쉬우며, 주차 및 이동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대가구(집단가구superblock)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960년대 이후 주택이론가들에 의해 창안되었다.
  2.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기본적인 목표이다.
  3. 도로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보차 분리가 가능하다.
  4. 대형건물, 집합주택을 배치하기 적당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1960년대 이후 주택이론가들에 의해 창안되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대가구는 1920년대부터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며, 1950년대에는 유럽에서도 대가구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따라서 "1960년대 이후"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음의 세기는 대수적 척도인 데시벨(DECIBEL)단위로 측정된다. 다음의 대표적인 음원의 세기 중 적당하지 아니한 것은?

  1. 160 데시벨 - 제트비행기의 소음
  2. 110-120 데시벨 - 자동차 경적
  3. 90 - 100 데시벨 - 지하철 소음
  4. 60 데시벨 - 번화가의 소음
(정답률: 알수없음)
  • 60 데시벨 - 번화가의 소음이 적당하지 않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번화가에서는 차량과 인간의 활동 소음 등으로 인해 70-80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0 데시벨은 번화가에서는 상대적으로 조용한 소음 수준이며, 이는 적당하지 않은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여가 및 운동시설 단지를 계획함에 있어서 체육시설의 설치· 이용에 관한 법률상의 공공체육시설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문체육시설
  2. 생활체육시설
  3. 직장체육시설
  4. 여가체육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여가체육시설은 공공체육시설의 범주에 속하지 않으며, 개인이나 단체가 이용하는 용도로 설치되는 시설로서, 주로 레저나 취미활동을 위한 시설을 말합니다. 따라서, 여가체육시설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막힌 도로의 최대 길이를 제한하는 이유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통행이 간접적이 되어 단지내 활동의 효율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2. 단지내의 편익 시설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3. 긴급 피난시 탈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4. 차량의 혼잡과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차량의 혼잡과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는 적합한 이유입니다. 막힌 도로는 차량의 이동 속도를 늦추고 교통 체증을 유발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을 높입니다. 따라서 막힌 도로의 최대 길이를 제한함으로써 차량의 혼잡과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대지분석에서 대지가 갖고 있는 자연적 성질을 분석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것은?

  1. 대지가 갖고 있는 기본적 성격과 상호작용을 파악
  2. 대지가 갖고 있는 잠재력 파악
  3. 대지가 갖고 있는 생태적 특색을 파악
  4. 인간상호간에 미칠 수 있는 특색이나 영향 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상호간에 미칠 수 있는 특색이나 영향 분석은 대지의 자연적 성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대지분석에서 적합하지 않은 이유입니다. 대지분석은 대지의 기본적 성격과 상호작용, 잠재력, 생태적 특색 등을 파악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과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간선 도로의 교차는 일정한 간격이내에서는 겹쳐서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1. 도로 건설비의 절약
  2. 교통체계상의 혼잡 방지
  3. 토지이용의 효율성 증대
  4. 대형건물의 건설촉진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간선 도로의 교차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은 교통체계상의 혼잡 방지를 위해서입니다. 교차로가 너무 가까이 있으면 차량이 서로 충돌하거나 교통량이 많아져서 교통체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로를 배치하여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교통체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입체 횡단보도교의 폭으로 틀리는 것은?

  1. 1분당 보행자수가 80인이상 120인미만인 경우 : 2.25m 이상
  2. 1분당 보행자수가 120인이상 160인미만인 경우 : 3.0m 이상
  3. 1분당 보행자수가 160인이상 200인미만인 경우 : 3.5m 이상
  4. 1분당 보행자수가 200인이상 240인미만인 경우 : 4.5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1분당 보행자수가 160인이상 200인미만인 경우 : 3.5m 이상"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보행자 수가 많을수록 보행자들이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보행자 수가 많을수록 폭이 넓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보행자 수가 160명 이상 200명 미만인 경우에는 3.5m 이상의 폭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단지계획에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동경로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2. 간선과 지선을 구별해서 가로를 배치한다.
  3. 완만한 구배를 갖고 완만한 커어브만을 갖도록 가로를 배치한다.
  4. 가구(街區)의 크기를 소형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구(街區)의 크기를 소형으로 한다는 것은 인프라와 시설물을 공유하고 밀집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인구 밀도를 높이고 도시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근린 상업지역 내에서 대지면적 2,000m2에 건폐율 6/10, 용적율 480%로 각층 동일한 바닥면적으로 건축하려고 할때 최대 몇 층까지 할 수 있는가?

  1. 5층
  2. 6층
  3. 8층
  4. 10층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물의 총 용적률은 건축물의 총 부피와 대지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문제에서는 용적률이 480%로 주어졌다. 따라서 대지면적 2,000m2에 대해 건축물의 총 부피는 2,000 x 480% = 9,600m3이 된다.

    건폐율은 대지면적 중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문제에서는 건폐율이 6/10로 주어졌다. 따라서 대지면적 2,000m2에 대해 건축물의 바닥면적은 2,000 x 6/10 = 1,200m2가 된다.

    각 층의 높이는 동일하다고 가정하므로, 건축물의 높이는 건축물의 총 부피를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높이는 9,600 / 1,200 = 8층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려는 단지계획 방법은?

  1. 점진주의
  2. 방법주의
  3. 행태주의
  4. 생태주의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주의는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며,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단지계획 방법이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생태주의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점진주의는 점차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방법, 방법주의는 문제 해결에 대한 방법을 중시하는 방법, 행태주의는 개인의 행동을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근린주구 단위(Neighborhood Unit)의 단지개발 방식을 창시한 인물은?

  1. Kevin Lynch
  2. Ebenezer Howard
  3. Clarence A.Perry
  4. Clarence Stein
(정답률: 알수없음)
  • 근린주구 단위(Neighborhood Unit)의 단지개발 방식을 창시한 인물은 Clarence A.Perry입니다. Perry는 1920년대에 도시계획 분야에서 활동하며, 도시의 기능적인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근린주구 단위를 제안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도시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 단위가 자체적으로 필요한 시설과 서비스를 갖추고, 이를 통해 도시 전체의 기능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후 이 방식은 도시계획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국지 도로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도시내 커뮤니티와 주간선(主幹線)을 연결
  2. 도시 구성상 모세혈관의 역할
  3. 주거의 기본 단위가 되는 가구(街區)의 크기를 규격화
  4. 주거환경을 보호하는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내 커뮤니티와 주간선(主幹線)을 연결"은 국지 도로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라, 국도나 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와 지역 사이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의 역할입니다. 국지 도로는 지역 내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지역 주민들의 생활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단지계획의 기본적인 목표로 가장 잘 짜여진 것은?

  1. 기능성 - 경제성 - 심미성
  2. 기능성 - 환경성 - 심미성
  3. 기능성 - 경제성 - 환경성
  4. 경제성 - 환경성 - 심미성
(정답률: 알수없음)
  • 단지계획의 기본적인 목표는 기능성, 경제성, 환경성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기능성은 주거, 교통, 문화 등의 기능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성은 투자비용과 운영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환경성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능성 - 경제성 - 환경성"이 가장 잘 짜여진 단지계획의 기본적인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도시개발론

41. 다음 1:50,000 지형도에서 등고선 간격에 대한 사항 중 맞는 것은?

  1. 주곡선 10m, 간곡선 5m, 조곡선 2.5m
  2. 주곡선 10m, 간곡선 5m, 조곡선 20m
  3. 주곡선 20m, 간곡선 10m, 조곡선 5m
  4. 주곡선 20m, 간곡선 10m, 조곡선 100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주곡선 20m, 간곡선 10m, 조곡선 5m"이다.

    등고선 간격은 지형의 경사도를 나타내는데, 주곡선은 높이가 일정한 지점을 연결한 선, 간곡선은 높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뉘어진 지점을 연결한 선, 조곡선은 높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뉘어진 지점을 더 세분화하여 연결한 선을 말한다.

    따라서, 주곡선 간격이 20m인 경우 지형의 높이 변화가 크고, 간격이 10m인 간곡선은 그 사이의 높이 변화를 나타내며, 5m인 조곡선은 더 세분화된 높이 변화를 나타낸다. 이는 지형의 상세한 경사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트랜싯의 기계오차에 대한 기술로서 옳은 것은?

  1. 수평축 오차는 목표의 높이에 따라 다르다.
  2. 시준축 오차는 목표의 높이에 관계 없이 일정하다.
  3. 연직축 경사에 따른 수평각 오차는 망원경의 정, 반관측 평균에 의해 소거 된다.
  4. 망원경의 외심오차는 눈금반의 중심과 연직축의 중심이 편위해서 생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축 오차는 목표의 높이에 따라 다르다. 이는 망원경의 수평축이 지면과 평행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목표가 높을수록 수평축 오차가 커진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목표의 높이를 고려한 보정값을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좌표변환 중 격자 방법에 의한 직접변환 방법은?

  1. 해석적 변환
  2. 가우스이중투영변환
  3. 부등각상사 변환
  4. 메르카토르 투영 변환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 방법에 의한 직접변환 방법은 부등각상사 변환입니다. 이는 지구의 표면을 일정한 크기의 사각형으로 나누어 각 사각형의 중심점을 이용하여 좌표를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계산이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아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축척 1:25,000지형도에서 100m 등고선상의 점과 120m 등고선상의 점을 도상거리에서 20mm을 얻었다. 이때 두점의 경사각은 얼마인가?

  1. 2° 17'26"
  2. 2° 18'38"
  3. 16° 17'15"
  4. 20° 17'42"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점 사이의 실제 거리는 지도상 거리에 비해 훨씬 크므로, 지도상 거리를 실제 거리로 환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도의 축척을 이용한다.

    지도의 축척은 1:25,000 이므로, 1cm 지도상 거리는 25,000cm 혹은 250m의 실제 거리에 해당한다. 따라서 20mm 지도상 거리는 500m의 실제 거리에 해당한다.

    이제 두 점 사이의 고도차를 구할 수 있다. 100m 등고선상의 점에서 120m 등고선상의 점으로 가는 고도차는 20m이다.

    두 점 사이의 거리와 고도차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구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약 2° 17'26" 이므로, 정답은 "2° 17'2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거리 측정에서 줄자로 한번 측정할 때의 확률오차가 ±0.01m이고 약 450m의 거리를 50m 줄자로 9회 나누어 측정했을때 이때의 확률오차는 얼마인가?

  1. ± 0.09m
  2. ± 0.07m
  3. ± 0.05m
  4. ± 0.03m
(정답률: 알수없음)
  • 한 번 측정할 때의 확률오차가 ±0.01m이므로, 50m 줄자로 1회 측정할 때의 확률오차는 ±(0.01m/50m) = ±0.0002이다. 이를 9회 반복하면, 각 측정값들의 오차는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하므로, 이들의 분산은 각각의 분산의 합과 같다. 따라서, 9회 측정한 결과의 확률오차는 ±(0.0002 x √9) = ±0.0006이다. 이를 다시 거리로 환산하면, ±(0.0006 x 450m) = ±0.27m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 0.03m"이다. 이는 반올림한 결과이며, 측정값들의 오차가 누적되어 발생하는 오차의 범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거간 간격이 5m로 등간격이고, 각 지거가 y1 = 2.8m, y2 = 9.4m, y3 = 11.6m, y4 = 13.8m, y5 = 6.4m 일 때 Simpson 제 1 법칙의 공식으로 구한 면적은?

  1. 208.7 m2
  2. 170 m2
  3. 469.2 m2
  4. 545.2 m2
(정답률: 알수없음)
  • Simpson 제 1 법칙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ba f(x) dx ≈ (b-a)/6 [f(a) + 4f((a+b)/2) + f(b)]

    여기서 a와 b는 적분 구간의 양 끝점이고, f(x)는 적분하려는 함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적분 대신 면적을 구하므로, f(x) 대신 y(x)를 사용하면 된다.

    우선, 지거간 간격이 5m로 등간격이므로, a=0, b=20이다. 따라서 면적을 구하려면 다음과 같은 적분을 계산해야 한다.

    A = ∫020 y(x) dx

    이를 Simpson 제 1 법칙의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A ≈ (20-0)/6 [y(0) + 4y(10) + y(20)]

    여기서 y(0) = 2.8, y(10) = 8.5, y(20) = 6.4 이므로,

    A ≈ (20-0)/6 [2.8 + 4(8.5) + 6.4] ≈ 208.7 m2

    따라서 정답은 "208.7 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평판측량에서 두 방향선의 교각이 80° 20', 한 방향선의 변위를 0.15㎜라고 할 때 교회점의 위치오차는?

  1. 0.11 ㎜
  2. 0.22 ㎜
  3. 0.28 ㎜
  4. 0.32 ㎜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방향선의 교각이 80° 20'이므로, 다른 두 방향선의 교각은 99° 40'이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해 교회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tan(99° 40') = x / 0.15
    x = 0.15 * tan(99° 40')
    x = 8.22

    따라서 교회점까지의 거리는 8.22㎜입니다. 이 거리에 두 방향선의 교각 오차를 고려하여 오차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an(80° 20') = y / 8.22
    y = 8.22 * tan(80° 20')
    y = 1.44

    따라서 교회점의 위치오차는 1.44㎜입니다. 하지만 이 오차는 두 방향선의 오차를 모두 고려한 것이므로, 한 방향선의 오차를 고려할 경우에는 반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1.44 / 2 = 0.72

    따라서 한 방향선의 변위가 0.15㎜일 때 교회점의 위치오차는 0.72㎜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0.2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A, B 2점간의 거리를 같은 광파거리측량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에 2점간 거리의 최확값은? (단, 1차평균 거리 1000.010m, 표준편차 0.006m 2차평균 거리 1000.020m, 표준편차 0.002m)

  1. 1000.020m
  2. 1000.004m
  3. 1000.006m
  4. 1000.008m
(정답률: 알수없음)
  • 광파거리측량기는 빛의 속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는 매우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1차평균 거리와 2차평균 거리의 차이가 매우 작은 것으로 보아,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2점간 거리의 최확값은 2차평균 거리인 1000.0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지도투영시 일어나는 왜곡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것은?

  1. 각이나 면적 등을 곡면에서 평면으로 변환할 때 왜곡이 일어나며 투영은 필연적으로 왜곡을 동반한다.
  2. 여러 가지의 왜곡을 단일 투영으로 모두 바로잡을 수는 없으며, 투영법의 선택에 따라 왜곡특성이 변한다.
  3. 주로 하나의 요소에 대한 왜곡이 최소화되면 그 동안 다른 요소들에 대한 왜곡도 어느 정도 보정이 된다.
  4. 투영에서 왜곡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지시원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투영에서 왜곡의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지시원을 이용한다." 이다.

    주로 하나의 요소에 대한 왜곡이 최소화되면 그 동안 다른 요소들에 대한 왜곡도 어느 정도 보정이 된다는 이유는, 지구의 표면을 평면 지도로 투영할 때 각 지점의 거리, 방향, 면적 등이 왜곡되는데, 이러한 왜곡은 투영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하나의 요소에 대한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그 요소에 맞는 적절한 투영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이로 인해 다른 요소들에 대한 왜곡도 어느 정도 보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준기의 관형기포관 눈금을 8눈금 이동하였더니, 60m 떨어진 표척의 읽음값이 0.046m 변화하였다. 이 수준기의 감도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감도는 눈금 하나의 이동으로 인해 표시값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8눈금 이동으로 0.046m의 변화가 있었으므로, 1눈금 이동으로는 0.046m/8 = 0.00575m의 변화가 있었다. 이를 인치로 환산하면 0.00575m / 0.0254m/inch = 0.22638inch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감도가 20인 것이 정답이다. (20" * 0.01134inch/눈금 = 0.2268inch/눈금)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형측량의 결과인 등고선도의 이용에서 틀린 것은?

  1. 지적도의 작성
  2. 노선의 도상선정
  3. 성토, 절토의 범위결정
  4. 집수면적의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도는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지도로, 지형측량의 결과물 중 하나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노선의 도상선정, 성토 및 절토의 범위 결정, 집수면적의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하지만 지적도의 작성은 지형측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작업으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입니다. 지적도는 토지의 소유자, 면적, 용도 등을 나타내는 지도로, 토지관리와 관련된 작업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측점 A에 트랜싯을 세우고 250m되는 거리에 있는 B점에 세운 pole을 시준 하였다. 이때 Pole이 말뚝중심에서 좌로 1.5cm가 떨어져 있었다 한다. 이에 대한 각도의 오차는 다음 어느 것인가?

  1. 10.38"
  2. 12.38"
  3. 13.38"
  4. 14.38"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각은 아크탄젠트(높이/거리)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는 1.5cm, 거리는 250m이다. 하지만 각도의 단위는 보통 도(degree)이므로 라디안으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아크탄젠트(0.015/250)을 계산하고, 그 결과에 180/π를 곱해 도 단위로 변환하면 약 0.334 도가 된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표기하면 12.3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중 자료의 위상(Topology)관계의 설정을 위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연결성(Connectivity)
  2. 단순성(Simplification)
  3. 인접성(Contiguity)
  4. 면적의 정의(Area Definition)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성은 자료의 위상 관계를 설정하는 요소가 아니라, 자료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한 과정이기 때문에 단순성이 정답입니다. 자료의 위상 관계를 설정하는 요소는 연결성, 인접성, 면적의 정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평판측량에서 축척 1/1000의 도면을 작성할 때 도상점의 위치 허용오차를 0.2mm라 하면 측점의 허용되는 구심오차 (求心誤差)는?

  1. 15 cm
  2. 25 cm
  3. 10 cm
  4. 5 cm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 축척이 1/1000이므로, 1mm의 실제 길이는 도면상에서 1/1000mm로 표현된다. 따라서, 허용오차가 0.2mm인 경우, 실제 길이에서의 허용오차는 0.2mm × 1000 = 200μm이 된다.

    구심오차는 측점의 위치 오차가 원의 중심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구심오차는 허용오차의 절반인 100μm이 된다.

    보기에서 정답이 "10 cm"인 이유는, 구심오차가 100μm인 경우, 이를 실제 길이로 환산하면 10cm가 된다. 즉, 측점의 위치가 원의 중심에서 10cm 이내에 위치하면 허용되는 구심오차는 100μm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래버어스의 전측선장이 900m일때 폐합비가 1/5000로 하기 위하여서는 축척 1/500 도면에서 폐합오차는?

  1. 0.36 mm
  2. 0.46 mm
  3. 0.56 mm
  4. 0.66 mm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비는 폐합선과 전측선 사이의 거리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폐합비가 1/5000이므로, 전측선에서 폐합선까지의 거리는 900m/5000 = 0.18m입니다.

    축척 1/500의 도면에서 1mm는 현실 세계에서 500mm, 즉 0.5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0.18m은 0.18/0.5 = 0.36mm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척 1/500 도면에서 폐합오차는 0.36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광파거리측량기가 많이 이용되는 이유 중 틀린 것은?

  1. 정확도가 높다.
  2. One-men Surveying이 가능하다.
  3.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전파거리측량기에 비해 조작시간이 짧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파거리측량기는 기상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광파거리측량기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데, 레이저는 기상조건에 따라서 가시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등부터 3등까지의 삼각점을 16km2에 대하여 2점씩 설치하고 1등부터 4등까지의 삼각점을 2km2에 대하여 1점씩 설치할때 80km2에는 몇개의 4등 삼각점을 설치하는 것이 좋은가?

  1. 40점
  2. 30점
  3. 20점
  4. 10점
(정답률: 알수없음)
  • 16km2에 2점씩 설치하면 1등부터 3등까지의 모든 삼각점이 설치되므로, 80km2에는 4등 삼각점만을 고려하면 된다. 4등 삼각점을 2km2에 1점씩 설치하면 40개의 삼각점이 설치된다. 하지만 4등 삼각점은 3등 삼각점보다 면적이 작으므로, 4등 삼각점을 더 많이 설치해도 된다. 따라서, 30점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오차의 발생원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원자료의 오차는 자료기반에 거의 포함되지 않는다.
  2. 지역을 지도화하는 과정에서 선으로 표현할 때 오차가 발생한다.
  3. 여러가지의 자료층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4. 자료입력을 수동으로 하는 것도 오차 유발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료의 오차는 자료기반에 거의 포함되지 않는다." 라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원자료에서 발생한 오차가 자료기반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원자료에서 발생한 오차는 지도화나 자료처리 과정에서 더욱 커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오차들은 최대한 줄이기 위해 보정작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원자료에서 발생한 오차는 자료기반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정작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간접적인 등고선 측량방법이 아닌 것은?

  1. 종단점법
  2. 레벨법
  3. 방안법
  4. 지성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레벨법은 직접적으로 측량 대상 지점에서 수평면을 설정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종단점법, 방안법, 지성선법은 모두 간접적인 등고선 측량 방법입니다. 종단점법은 측량 대상 지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지점들의 높이를 측정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이고, 방안법은 측량 대상 지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지점들의 높이를 추정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지성선법은 측량 대상 지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지점들의 높이를 측정하여 등고선을 그리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기온이나 토질, 고도와 같이 모든 곳에 존재하며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몇 군데의 기준점에서 관측하는 방법
  2. 횡단을 취하는 방법
  3. 등치선을 그리는 법
  4. 해당 구역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구역 안에서의 변화를 세밀히 추적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구역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구역 안에서의 변화를 세밀히 추적하는 방법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일정한 기준점에서만 관측하거나 횡단을 취하는 등 제한적인 관측 방법이기 때문에, 해당 구역 내부의 세부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해당 구역을 세밀하게 나누어 각 구역에서의 변화를 추적하는 방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국토 및 지역계획

61. 다음은 제 4차 국토종합계획의 시도별 발전방향을 적은 것이다.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부산 : 환태평양권 국제 해양· 물류 도시
  2. 대구 : 동북아권 국제정보· 교류 도시
  3. 광주 : 첨단광산업· 문화예술 중심도시
  4. 대전 : 과학기술 중추도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구 : 동북아권 국제정보· 교류 도시" 이다. 대구는 동북아권 국제정보· 교류 도시뿐만 아니라,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심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대구는 동북아시아와의 교류를 촉진하고, 국제적인 정보교류와 협력을 강화하여 지역 경제 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방향으로 계획이 수립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지역경제 성장예측에 관한 이론(모델)이 아닌것은?

  1.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
  2. 경제기반이론(Economic base theory)
  3. 헤롯,도마모델(Herrod - Domar model)
  4. 지니곡선(Gini curve)
(정답률: 알수없음)
  • 지니곡선은 소득 불평등을 측정하는 방법론으로, 지역경제 성장예측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지니곡선은 소득분배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0에서 1까지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공평하고,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불균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사항 중 지역계획과정에서 간접적인 주민참여 방식인 것은?

  1. 심의회
  2. 델파이(Delphi)조사법
  3. 연구회
  4. 공청회
(정답률: 알수없음)
  • 델파이(Delphi)조사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지역계획과정에서 간접적인 주민참여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지역계획에 반영함으로써, 주민들의 의견을 간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델파이(Delphi)조사법"이 지역계획과정에서 간접적인 주민참여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영국에서는 1930년대에 들어오면서 지역개발과 계획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세가지 보고서가 출간되었는데, 이 가운데 스코트 보고서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1. 인구분산과 공업재배치
  2. 토지공개념
  3.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원
  4. 그린벨트
(정답률: 알수없음)
  • 스코트 보고서는 영국의 도시화와 인구증가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린벨트(녹지대)를 도입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린벨트는 도시와 농촌 지역 사이에 위치한 자연 보호 지역으로, 도시의 확장을 제한하고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그린벨트"가 스코트 보고서의 내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국토계획의 성격으로 잘못된 것은?

  1. 정책지향적
  2. 거시적 계획
  3. 지침 제시적 계획
  4. 구체적 실질적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계획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계획이어야 한다. 이는 국가의 발전 방향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대책과 실행 계획을 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책지향적이고 거시적인 계획은 중요하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체적 실질적 계획"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국토계획의 필수적인 성격이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인구 이동의 흐름(Migration Stream)을 측정하기 위해 순이동율을 구하고자 한다. 다음 중 맞는 것은?

  1. O/P*K
  2. I/P*K
  3. {(I-O)/P}*K
  4. {(I+O)/P}*K
(정답률: 알수없음)
  • 순이동율은 인구 이동으로 인해 인구 수가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동 인구 수와 출발지 또는 도착지 인구 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순이동율은 (이동 인구 수/출발지 또는 도착지 인구 수) * 1000으로 계산된다.

    이 문제에서는 출발지 인구 수(P), 이동 인구 수(I-O), 그리고 1000명당 이동 인구 수(K)가 주어졌다. 따라서 순이동율은 {(I-O)/P}*K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결절지역(Nodal Region)내 중심 지점의 크기와 그 지점간의 거리에 대한 관계를 언급한 레일리 (W.J.Reilly)의 법칙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두 중심 지점간의 흐름은 그 중심 지점의 크기 및 그 지점간의 거리의 제곱에 정비례 한다.
  2. 두 중심 지점간의 흐름은 그 중심 지점의 크기에 정비례하고 그 지점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3. 두 중심 지점간의 흐름은 그 중심 지점의 크기에 반비례하고 그 지점간의 거리의 제곱에 정비례한다.
  4. 두 중심 지점간의 흐름은 그 중심 지점의 크기 및 그 지점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두 중심 지점간의 흐름은 그 중심 지점의 크기에 정비례하고 그 지점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이다.

    이유는 결절지역 내에서 중심 지점의 크기가 커질수록 그 지점에서 발생하는 영향력이 커지기 때문에 흐름이 더 많아지게 된다. 또한, 두 중심 지점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영향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흐름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영향력이 더욱 빠르게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중심 지점 간의 흐름은 중심 지점의 크기에 정비례하고 그 지점 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를 사용하여 기반산업과 비기반산업을 나눔에 있어 기본적인 가정으로 틀린것은?

  1. 지역과 전국의 노동 생산성이 동일하다.
  2. 지역과 전국 간의 소비수준이 동일하다.
  3. 국가는 국가간 교역이 자유로운 개방 경제로 간주한다.
  4. 지역과 전국 간의 상품의 동질성이 보장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과 전국의 노동 생산성이 동일하다."는 기본적인 가정으로 틀린 것입니다. 지역마다 노동 생산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입지계수를 계산해야 합니다.

    국가는 국가간 교역이 자유로운 개방 경제로 간주하는 이유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입니다. 국가간 자유로운 교역은 경제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며,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술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총 고용이 50만명인 어느 지역의 경제기반승수가 2라면, 기반활동 고용이 1만명 증가할 때 총 고용은 어떻게 변화 할까?

  1. 52만명으로 증가
  2. 53만명으로 증가
  3. 54만명으로 증가
  4. 51만명으로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경제기반승수가 2이므로 기반활동 고용이 1만명 증가하면 총 고용은 2만명 증가합니다. 따라서, 50만명에서 1만명 증가한 51만명에 2를 곱한 102만명이 총 고용이 됩니다. 따라서, 기반활동 고용이 1만명 증가하면 총 고용은 52만명으로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지역개발전략 중에서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전략은 무엇인가?

  1. 성장거점개발전략
  2. 불균형개발전략
  3. 하향식 개발전략
  4. 내생적 개발전략
(정답률: 알수없음)
  • "내생적 개발전략"은 다른 전략과 달리 지역 자원과 특성을 바탕으로 개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다른 전략들은 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성장을 추구하는 것에 비해, "내생적 개발전략"은 지역의 문화, 역사, 환경 등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다른 전략들과는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도시권(또는 광역도시권)의 개념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대도시의 제기능이 주변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범위
  2. 중심대도시와 기능적 연계를 지닌 일상생활권
  3. 중심대도시와 행정력이 영향을 미치는 직접세력권
  4. 중심대도시와 경제.사회.문화적으로 통합된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심대도시와 행정력이 영향을 미치는 직접세력권"입니다. 대도시권은 대도시의 제기능이 주변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범위를 의미하며, 중심대도시와 기능적 연계를 지닌 일상생활권, 중심대도시와 경제.사회.문화적으로 통합된 지역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행정력이 영향을 미치는 직접세력권은 대도시권의 개념과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행정구역과 관련된 범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대도시권의 개념으로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방계획과 국토계획의 형태로서 정치적인 분류 중 상향적 (Buttom-up) 형태의 발전형식은?

  1. 국토계획→ 지방계획→ 도시계획
  2. 국토계획→ 도시계획→ 지방계획
  3. 도시계획→ 지방계획→ 국토계획
  4. 도시계획→ 국토계획→ 지방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정치적인 분류 중 상향적 형태의 발전형식은 지방에서부터 국가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따라서 지방에서부터 계획이 이루어지는 지방계획이 먼저 나오고, 그 다음으로 국가적인 규모에서의 계획인 국토계획이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지역적인 세부 계획인 도시계획이 이루어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도시계획→ 지방계획→ 국토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국토계획, 지역계획, 도시계획의 차별성은 다음의 어디에 중점을 두고 있는가?

  1. 경제적 조건과 수준
  2. 시간적 차이
  3. 토지이용상태
  4. 공간적 범위와 차이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계획은 전국적인 공간적 범위와 차이를 중점으로 하며, 지역계획은 특정 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차이를 중점으로 하며, 도시계획은 도시 내 특정 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차이를 중점으로 합니다. 이는 각각의 계획이 다른 공간적 범위와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역정책의 필요성을 경제적 관점에서 기술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통한 GRP 증대
  2. 과밀로 인한 불경제 방지
  3. 지역 정주 환경의 정비
  4. 인플레 해소 등 경제 안정 도모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통한 GRP 증대", "과밀로 인한 불경제 방지", "인플레 해소 등 경제 안정 도모"는 모두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역정책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지역 정주 환경의 정비"는 경제적인 측면보다는 지역사회의 발전과 안정을 위한 측면에서 필요한 것이다. 지역 정주 환경의 정비는 지역 내 주거환경, 교통환경, 문화환경 등을 개선하여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국가도시개발전략 중 집중효과를 초래하는 전략에 해당되는 것은?

  1. 거점 개발(growth centers)
  2. 지역 대도시개발(regional metropolis)
  3. 중소 도시개발(secondary cities)
  4. 자유 방임(laissez-fair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자유 방임(laissez-faire)

    자유 방임 전략은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략으로, 개인과 기업의 자율적인 활동을 통해 도시 발전을 이루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집중효과를 초래하는 전략이 아니라 다른 전략들과는 달리 분산된 개발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성장거점으로 지역개발이 가능하기 위한 성장거점과 그 영향력 지대인 주변 지역간의 관계를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성장거점 도시는 주변 지역과 어느 정도 구조적 균형성을 가져야 한다.
  2. 성장거점 내의 주축산업은 주로 지역외에 시장을 갖는 수출분야의 산업이어야 한다.
  3. 성장거점 도시는 주변지역에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변지역 생활수준과 환경개선과 향상에 기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추진적 산업체가 성장거점 주변에 주로 집중하고 이러한 산업의 생산활동을 유지시켜 줄 사회 간접 자본도 이런 곳에 집중 투자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장거점 내의 주축산업은 주로 지역외에 시장을 갖는 수출분야의 산업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성장거점 도시는 주변 지역과 구조적 균형성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성장거점 도시가 발전하면서 주변 지역의 인구 유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변 지역의 경제적 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성장거점 도시는 주변지역에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변지역 생활수준과 환경개선과 향상에 기여해야 합니다.

    또한, 추진적 산업체가 성장거점 주변에 집중하고 이러한 산업의 생산활동을 유지시켜 줄 사회 간접 자본도 이런 곳에 집중 투자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성장거점 도시와 주변 지역의 경제적 발전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장거점 내의 주축산업이 주로 지역외에 시장을 갖는 수출분야의 산업이어야 한다는 것은 절대적인 규칙은 아닙니다. 성장거점 내에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산업이 발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경제가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장거점 내의 주축산업은 지역적 특성과 시장의 요구에 맞게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한계자원(Marginal resources)의 특성이 아닌것은?

  1. 현재의 시장구조하에서는 개발가치가 없다.
  2. 단위투입당 생산성이 매우 낮다.
  3. 개발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못하다.
  4. 자원의 매장량이 거의 고갈상태에 이르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원의 매장량이 거의 고갈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은 이미 대량으로 사용되어 왔고, 더 이상 채굴이나 생산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계자원의 특성이 아닌 것은 "자원의 매장량이 거의 고갈상태에 이르렀다"가 아닌 다른 것들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시장구조하에서는 개발가치가 없다"는 것은 시장에서 수요가 없거나 경쟁이 치열하여 개발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위투입당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것은 자원을 생산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발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은 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이나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로렌츠곡선(Lorenz Curve)이 지역계획에서 쓰이는 경우는?

  1. 지역주민의 소득분배 현황을 추계할 때
  2. 지역경제 구조의 변천을 추계할 때
  3. 지역고용 구조중 비농림업 부문 종사자의 비율을 추계할 때
  4. 지역총 생산량(G.R.P)중 공업부가가치의 비율을 추계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로렌츠곡선은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소득분배 현황을 추계할 때 로렌츠곡선을 사용하여 지역 내 소득불평등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소득불평등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수도권은 아래 지역구분 중 어디에 근거한 것인가?

  1. 동등성
  2. 결절성
  3. 동일성
  4. 합리성
(정답률: 알수없음)
  • 수도권은 행정 구역으로서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을 말한다. 이는 지리적, 경제적, 인구적으로 결절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구분은 결절성에 근거한 것이다. 결절성이란 특정한 지역이 다른 지역과 구분되어 독립성을 띄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역계획을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사람은?

  1. 제임스 토마스(James Thomas)
  2. 체스터 볼즈(Chester Bohls)
  3. 폴 울프(Paul Wolf)
  4. 아더 코미(Arther Comey)
(정답률: 알수없음)
  • 아더 코미는 1928년에 "지역계획론"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지역계획을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습니다. 이 책은 지역계획의 개념, 목적, 원칙, 방법 등을 다루어 지역계획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따라서 아더 코미는 지역계획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최초의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도시계획관계법규

81. 다음 중 국토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상의 도시기본계획에 관한 기초 조사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반시설 및 주거 수준의 현황과 전망
  2. 토지의 지번, 면적 및 지목 현황
  3. 도시계획과 관련된 다른 계획 및 사업의 내용
  4. 풍수해. 지진 그밖의 재해의 발생 현황 및 추이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기본계획은 도시의 발전 방향과 방안을 수립하는 계획으로, 이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도시 내 토지의 지번, 면적 및 지목 현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토지의 지번, 면적 및 지목 현황"이 가장 기초적인 조사 항목이며, 다른 항목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적인 정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택지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 신청은 택지개발계획이 승인된 날부터 몇 년 내에 하여야 예정지구 지정이 해제되지 않는가?

  1. 10년이내
  2. 5년이내
  3. 3년이내
  4. 2년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택지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 신청은 예정지구 지정일로부터 3년 이내에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예정지구 지정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택지개발사업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승인 신청을 빠르게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 의한 개발진흥지구를 설명한 것 중 사실과 다른 것은?

  1. 주거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취락개발진흥지구이다.
  2. 공업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산업개발진흥지구이다.
  3. 유통.물류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유통개발진흥지구이다.
  4. 관광.휴양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관광휴양개발진흥지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실과 다른 것은 없습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개발진흥지구는 주거, 공업, 유통, 관광 등의 기능 중심으로 개발될 수 있으며, 취락된 지역을 정비하여 개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주거기능 중심으로 개발. 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는 취락개발진흥지구이다."도 사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도시계획구역내의 녹지지역안에 있는 취락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떤 도시계획 결정이 필요한가?

  1. 취락지구의 지정
  2. 주거개발진흥지구 구역의 지정
  3. 주택개량재개발사업구역의 지정
  4. 경관지구의 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취락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취락지구의 지정이 필요합니다. 취락지구의 지정은 해당 지역을 녹지지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취락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환경의 개선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주거개발진흥지구 구역의 지정, 주택개량재개발사업구역의 지정, 경관지구의 지정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취락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취락지구의 지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상 도시계획 용도지역의 건폐율을 잘못 표현한 것은?

  1. 유통상업지역 : 80/100 을 초과할 수 없다.
  2. 준공업지역 : 70/100 을 초과할 수 없다.
  3. 준주거지역 : 60/100 을 초과할 수 없다.
  4. 보전녹지지역 : 20/100 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준주거지역은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중간 지역으로, 주거지역보다는 건물의 높이와 밀집도가 높고 상업지역보다는 낮은 건물과 적은 밀집도를 가지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건폐율이 높아지면 주거지역과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주거 환경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건폐율이 60/100을 초과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도시계획시설사업에 필요한 토지를 수용할 경우 공익사업을위한토지등의취득및보상에관한법률에 의한 사업인정및 그 고시로 보는 것은?

  1. 도시계획의 결정고시
  2. 실시계획의 고시
  3. 지형도면의 고시
  4. 단계별 집행계획의 공고
(정답률: 알수없음)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사업에 필요한 토지를 수용할 경우, 해당 사업이 공익사업으로 인정되어야 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계획의 고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시계획의 고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개발제한구역안에서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행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2. 토지의 형질변경과 토지의 분할
  3. 죽목의 재식과 간벌
  4. 도시계획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제한구역은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지역으로, 죽목의 재식과 간벌은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행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개발제한구역 안에서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행위입니다.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토지의 형질변경과 분할, 도시계획사업은 개발제한구역 안에서도 일부 허용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도시재개발법에서 말하는 공용 및 공공용시설이 아닌것은?

  1. 초등학교
  2. 공동구
  3. 공원
  4. 광장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재개발법에서 말하는 공용 및 공공용시설은 주로 도시의 공공복지를 위한 시설로서, 대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초등학교는 교육시설로서, 특정 대상인 학생들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므로 공용 및 공공용시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주택건설촉진법상 내용 중 틀린 것은?

  1. 국민주택이라함은 국민주택기금에 의한 자금을 지원 받아 건설되거나 개량되는 주택을 말한다.
  2. 건설교통부장관은 국민주택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국민주택사업 특별회계를 설치얇운용하여야 한다.
  3. 시장얇군수는 아파트지구의 지정이 있을 때에는 아파트지구 개발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도지사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4. 공동주택의 관리를 업으로 하는 자는 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없음

    해설: 모든 내용이 맞는 것으로 보입니다. "건설교통부장관은 국민주택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국민주택사업 특별회계를 설치얇운용하여야 한다."라는 내용은 국민주택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특별회계를 설치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도시공원 조성계획의 입안 결정에 관한 기술이다. 틀린것은?

  1. 도시공원 조성계획은 도시계획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2.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도지사에게 재정(裁定)이 있은 때에는 도시공원조성계획 입안자에 대한 협의가 성립된 것으로 본다.
  3. 2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치는 도시공원 대해서는 반드시 관계시장 또는 군수가 공동으로 입안해야 한다
  4. 2 이상의 도와 관련되는 도시공원에 협의가 성립되지 않는 도시공원에 대한 것은 건설교통부장관에게 그 재정(裁定)을 신청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2번이 틀린 것이다. 2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치는 도시공원 대해서는 관계시장 또는 군수가 공동으로 입안할 필요는 없다. 단, 해당 행정구역의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입안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공장 총량 규제의 설명 내용 중 틀린 사항은?

  1. 공장총량규제는 종전의 개별적 규제방식의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2. 건설교통부장관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시, 군, 구의 지역별로 공장 총허용량을 배분한다.
  3. 수도권의 공장 총량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공장 총량 규제는 공장건축물의 신축, 증축 또는 용도변경을 대상으로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교통부장관은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시, 군, 구의 지역별로 공장 총허용량을 배분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공장 총량 규제는 지자체별로 총량을 결정하고, 해당 지역 내에서 자유롭게 분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건설교통부장관이 개입하여 지역별로 배분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시.도지사는 관광개발기본계획에 의하여 구분된 권역을 대상으로 하여 권역별관광개발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 권역별관광개발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관광자원의 보호.개발.이용.관리 등에 관한 사항
  2. 환경보전에 관한 사항
  3. 관광권역의 설정에 관한 사항
  4. 관광지및 관광단지의 조성.정비.보완 등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관광권역의 설정은 이미 관광개발기본계획에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권역별관광개발계획에서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권역별관광개발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주차장법에서 단지조성사업 등에 따른 로외주차장을 설치하여야 하는 사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택지조성사업
  2. 역세권개발사업
  3. 도시철도건설사업
  4. 산업단지개발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주차장법에서는 주택지조성사업, 도시철도건설사업, 산업단지개발사업에 따른 로외주차장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역세권개발사업은 해당 법에 따른 로외주차장 설치 의무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역세권개발사업은 대개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고 차량 이용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로외주차장 설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국토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의 지구단위계획과 관련된 내용중 틀린 것은?

  1. 지구단위계획은 제1종지구단위계획과 제2종지구단위 계획으로 구분한다.
  2. 지구단위계획구역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3.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에 관한 도시관리계획결정고시 일부터 3년 이내에 계획수립 불가시 구역 지정에 관한 도시관리계획의 결정 자체가 실효된다
  4. 상세계획과 같이 지구단위계획으로 대단위의 용도지역의 변경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세계획과 같이 지구단위계획으로 대단위의 용도지역의 변경이 가능하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지구단위계획은 대단위의 용도지역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개발 및 보전 등을 종합적으로 계획하는 것입니다. 상세계획은 지구단위계획을 구체화하여 용도지역 등을 상세하게 결정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대단위의 용도지역 변경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건설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을 사회적.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몇 년마다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정비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종합계획은 국가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중요한 계획이므로, 사회적, 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수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자주 수정하면 계획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주기를 정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건설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을 5년마다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정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재개발사업의 비용부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재개발사업시행에 관한 비용은 일반적으로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시행하는 경우에는 당해 시· 군 또는 자치구가, 기타의 자가 시행하는 경우에는 그가 부담한다.
  2. 시· 군 또는 자치구는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외의 시행자가 시행하는 재개발사업으로 설치되는 공공시설 중 도로, 광장 등 주요 시설에 대하여는 그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할 수 있다.
  3.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우로서 당해 구역 및 주변지역의 이용에 제공되는 당해 재개발구역의 지정 당시 도시 계획으로 결정· 고시된 너비 20미터이상인 통과도로 로서 시· 도의 조례로 정하는 도로와 어린이공원에 대하여는 그 설치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여야 한다.
  4. 시행자가 공동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른 법령에 의하여 그 공동구에 수용될 시설을 설치할 의무가 있는 자에게 공동구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부담 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우로서 당해 구역 및 주변지역의 이용에 제공되는 당해 재개발구역의 지정 당시 도시 계획으로 결정· 고시된 너비 20미터이상인 통과도로 로서 시· 도의 조례로 정하는 도로와 어린이공원에 대하여는 그 설치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담하여야 한다. 이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도시개발사업에서의 특유한 재원확보 방법은?

  1. 수익자 부담금
  2. 원인자 부담금
  3. 체비지 매각
  4. 국고 보조금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개발사업에서는 일반적으로 체비지 매각을 통해 특유한 재원을 확보합니다. 이는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가 보유한 공공시설 등을 매각하여 얻은 자금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재원확보 방법에 비해 비교적 빠르고 쉽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 또는 군수가 주거.상업 또는 공업지역에서 개발행위로 인하여 기반시설의 처리.공급 또는 수용 능력이 부족할 것이 예상되거나 기반 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에 지정하는 구역은?

  1. 기반시설부담구역
  2. 개발밀도관리구역
  3. 제2종 지구단위계획구역
  4. 용도구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밀도관리구역은 개발행위로 인해 기반시설의 처리, 공급 또는 수용 능력이 부족할 것이 예상되거나 기반 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에 지정하는 구역입니다. 따라서 개발밀도를 제한하고, 기반시설을 보강하거나 새로 설치하여 지역의 발전을 지속 가능하게끔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반시설 부담구역은 기반시설 부담이 큰 지역, 제2종 지구단위계획구역은 도시 계획을 위한 구역, 용도구역은 토지의 용도를 지정하는 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은 건축선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인접대지경계선도 건축선으로 본다.
  2. 소요너비이상의 도로에 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로 경계선을 건축선으로 한다
  3. 사도에 대하여는 건축선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4. 지표화의 부분이라도 건축선을 넘어서 건축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소요너비이상의 도로에 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로 경계선을 건축선으로 한다"이다.

    이유는 소요너비 이상의 도로에 접하는 경우, 건축물의 입구와 출구 등이 도로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물과 도로 경계선을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로와 건축물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고, 도로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확보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지하도로의 설치기준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지하도로라 함은 폭 4m이상의 도로로 통상의 교통소통을 위해 설치된 지하차도를 말한다.
  2. 지하도로는 지상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목적으로 설치한다.
  3. 지하도로는 인구집중예상지역에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하여 설치한다.
  4. 지하도로는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시설이 있는 지역의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하여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지하도로의 설치 목적과 기준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 지하도로는 폭 4m 이상의 도로로, 지상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인구집중예상지역이나 다수의 시민이 이용하는 시설이 있는 지역의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해 설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