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9-04)

도시계획기사
(2005-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도시계획론

1. 18, 19세기에 제안된 유토피안 계획가들의 이상도시안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Claude Nicholas Ledoux - 무정형의 도시대신에 단일건물 팔란스테르(Phalanstere)를 제안
  2. Francois Fourier - 아름다움, 건강, 편리를 우선하여 근대건축기술이나 과학적 진보를 적극적으로 도입
  3. Robert Owen - 농업과 공업을 결합한 이상 공장촌의 건설을 제안
  4. James. S. Buckingham - 18세기 후반에 제영노동자들의 이상도시 쇼(Chaux)를 발표하여 새로운 생산체제를 도입
(정답률: 알수없음)
  • Robert Owen은 농업과 공업을 결합한 이상 공장촌의 건설을 제안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도시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도시는 일정한 지역에 정주(定住) 인구가 집중하여 인구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2. 도시는 1차 산업보다 2, 3차 산업의 구성비율이 높다.
  3. 도시는 분화된 기능이 집적되어 있으며 행정적, 물리적, 인공적인 생활시설이 많다.
  4. 도시는 단순한 경제적 활동을 추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는 단순한 경제적 활동을 추구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도시는 다양한 경제적 활동을 추구하며, 산업, 서비스,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도시정부 공기업의 한가지 유형으로 볼 수 있는 제 3섹터(sector)란 다음 중 무엇인가?

  1. 자치단체와 개인의 결합
  2. 자치단체와 기업의 결합
  3. 기업과 개인의 결합
  4. 자치단체와 공사의 결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자치단체와 기업의 결합"

    설명: 제 3섹터는 정부와 시민사회, 그리고 기업이 함께 협력하여 공공의 복지와 경제발전을 추진하는 섹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도시정부 공기업은 자치단체와 기업이 협력하여 도시의 인프라 구축과 운영, 환경 개선 등을 담당하는 제 3섹터의 한 유형입니다. 이를 통해 도시의 발전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시 공공 서비스가 광역 행정화 되는 주된 이유가 아닌 것은?

  1.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한 공간거리의 상대적 축소
  2. 공공시설의 투자와 편리의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노출
  3. 대도시권내에서 기능 분화로 인한 권역내 자치단체의 재정적 불균형 초래
  4. 단일 권역내에서의 통합적 관리의 발달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 공공 서비스가 광역 행정화 되는 주된 이유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한 공간거리의 상대적 축소, 공공시설의 투자와 편리의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노출, 대도시권내에서 기능 분화로 인한 권역내 자치단체의 재정적 불균형 초래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일 권역내에서의 통합적 관리의 발달은 광역 행정화의 주된 이유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시병리현상(urban path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합리주의에 의한 냉혹한 산업인들사이의 경쟁에서 비롯되는 낙후자, 패배자의 사회처리문제
  2. 새로운 사회가치관과 기술개발에 따른 생활수단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갈등
  3. 고도화된 기계문명에 의한 인간성 배제에서 나오는 비인간성
  4. 환경보존론자들의 각종 개발에 반발로 인한 성장 제동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보존론자들의 각종 개발에 반발로 인한 성장 제동은 도시병리현상과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도시병리현상은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와 건강문제를 의미하며, 주어진 보기 중 "합리주의에 의한 냉혹한 산업인들사이의 경쟁에서 비롯되는 낙후자, 패배자의 사회처리문제", "새로운 사회가치관과 기술개발에 따른 생활수단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갈등", "고도화된 기계문명에 의한 인간성 배제에서 나오는 비인간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개발권 양도제 TDR(Transfer of Development Right)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토지의 소유권과 개발권을 구분하여 거래한다.
  2.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주민이 유리하다.
  3. 개발할 토지총량의 한도내에서 개발권을 부여한다.
  4. 송출지역과 수용지역간 개발이익을 분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주민이 유리하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TDR은 개발권을 거래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개발권을 가진 토지 소유자가 더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따라서,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주민은 TDR을 이용하여 개발권을 얻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회적 도시시설에 관계 깊은 것은?

  1. 도시상부 구조로서 교통체계를 위한 시설
  2. 학술적 연구시설
  3. 의료, 보건, 교육, 양로원, 탁아소시설
  4. 여가, 휴양, 산업적인 생산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적 도시시설은 주로 사람들의 생활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의료, 보건, 교육, 양로원, 탁아소시설은 인간의 건강과 교육에 관련된 시설로, 사회적 안전망을 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시설들은 모두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며, 도시의 발전과 인간의 복지를 위한 필수적인 시설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Leo Klassen 교수가 제시한 도시화의 3단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협의의 도시화→교외화→역도시화
  2. 협의의 도시화→광역도시화→역도시화
  3. 도시의 발생→협의의 도시화→광역도시화
  4. 도시의 발생→협의의 도시화→교외화
(정답률: 알수없음)
  • Leo Klassen 교수가 제시한 도시화의 3단계는 "협의의 도시화→교외화→역도시화"이다. 이는 먼저 협의의 도시화로 인해 도시가 형성되고, 이후 교외화가 일어나면서 도시의 확장이 이루어지며, 마지막으로 역도시화가 일어나면서 도시의 중심이 이전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도 "협의의 도시화→교외화→역도시화"가 가장 적당한 이유는, 광역도시화는 교외화와 역도시화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데, 이 단계는 국가나 지방정부의 계획과 개입이 크기 때문에 협의의 도시화와 교외화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동양의 이상적인 도시계획의 원칙을 제시한 주례고공기(周禮考工紀)에 포함된 내용이 아닌 것은?

  1. 수도는 사방으로 정방형이어야 하며, 성벽으로 둘러싸야 한다.
  2. 남북대로의 좌측(동쪽)에는 자신을 위한 사직을, 우측(서쪽)에는 왕의 조상을 위한 종묘를 만들어야 한다.
  3. 각 방위마다 3개의 성문을 두어 모두 12개의 성물을 내며, 성내에는 중정을 배치한다.
  4. 성 뒤쪽에는 시장을 두고, 성의 앞쪽에는 관청거리를 만들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남북대로의 좌측(동쪽)에는 자신을 위한 사직을, 우측(서쪽)에는 왕의 조상을 위한 종묘를 만들어야 한다."

    이유: 이상적인 도시계획의 원칙 중에서 "남북대로의 좌측(동쪽)에는 자신을 위한 사직을, 우측(서쪽)에는 왕의 조상을 위한 종묘를 만들어야 한다."는 내용은 주례고공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주례고공기는 중국의 고대 도시계획서로, 수도의 정방형화와 성벽, 성문, 중정, 시장, 관청거리 등의 구성 요소와 그 배치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행정수요(都市行政需要)의 증대와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도시기능분화와 집적 불이익
  2. 도시규모의 쇠퇴
  3. 도시경제 활동의 입지변화
  4. 국가경쟁력제고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기능분화와 집적 불이익은 도시 내에서 기능이 분화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발전이 더해지면서 다른 지역에서는 경제적,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도시 내에서는 일부 지역에서는 수요가 증대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수요가 감소하게 되어 도시행정수요의 증대와 관계가 가장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시 공간구조와 성장이론의 주창자 또는 대표적인 연구자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중심지이론-크리스탈러, 베리
  2. 다핵심이론-해리스, 울만
  3. 원심력ㆍ구심력이론-디킨슨
  4. 다차원론-시몬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심력ㆍ구심력이론은 디킨슨이 주창한 이론이 아니라, 중심지이론과 다핵심이론과 함께 도시 공간구조와 성장이론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입니다. 디킨슨은 다차원론을 주창한 연구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에서 용도별 건축물의 분류상 공동주택에 해당되는 것은?

  1. 다가구주택
  2. 다세대주택
  3. 다중주택
  4. 공관
(정답률: 알수없음)
  • 다세대주택은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으로, 공동주택에 해당된다. 다가구주택은 한 가구가 여러 개의 주택을 소유하거나 거주하는 것을 말하며, 다중주택은 여러 개의 주택이 하나의 건물에 모여있는 것을 말한다. 공관은 공공부동산으로서 일반인이 거주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나 기업체 등이 직원들의 주거를 위해 지원하는 주택이다. 따라서, 공동주택에 해당되는 것은 "다세대주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시공간 구조이론 중 도시공간이 교통로나 도로를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발전하다고 보는 이론은?

  1. 다핵심이론
  2. 선형이론
  3. 동심원이론
  4. 3지대론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이론은 도시공간이 교통망을 중심으로 선형적으로 발전한다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도시의 발전이 교통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도로와 같은 교통시설이 도시공간의 구조를 결정한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도시공간은 교통망을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발전한다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902년 발표한 아디케스(Lex Adickes)법의 목적에 알맞은 설명은?

  1. 시당국이 인간의 토지를 시의 계획에 맞추어 계획한 후 재 배분하는 토지구획정리법
  2. 시민들이 합동으로 토지를 개발하여 이익을 배분하는 합동단지개발법
  3. 불량한 주택지나 상업지를 새로운 기능으로 개발하는 재개발법
  4. 직주근접을 위한 신도시개발법
(정답률: 알수없음)
  • "시당국이 인간의 토지를 시의 계획에 맞추어 계획한 후 재 배분하는 토지구획정리법"은 1902년 발표한 아디케스(Lex Adickes)법의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도시 공공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구거
  2. 방음시설
  3. 사방설비
  4. 행정청이 설치한 저수지
(정답률: 알수없음)
  • 방음시설은 도시 공공시설 중에서는 아니며, 주로 건축물 내부나 외부에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시공공시설의 입지를 설명할 때 수요자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는 원칙은?

  1. 평균거리의 원칙
  2. 중앙입지의 원칙
  3. 중심극한정리
  4. 시청이 입지한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입지의 원칙은 수요자들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도시공공시설을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원칙입니다. 이는 대중교통의 이용이 용이하고, 다양한 지역에서 접근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도시공공시설의 입지 결정 시 중앙입지의 원칙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BD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2. 도시의 중추관리 기능이 집약된 지역
  3. 도시의 지리적 중심지역
  4. 시청이 입지한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CBD는 Central Business District의 약자로, 도시의 중추관리 기능이 집약된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 지역은 대개 인구밀도가 가장 높고, 상업, 금융, 정부, 문화 등의 중심지로서 도시의 경제적 중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에 의하면 도시는 가지 원리에 따라 작은 중심지에서 큰 중심지로 확대되어 나간다고 한다. 이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장의 원리
  2. 주거의 원리
  3. 교통의 원리
  4. 행정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은 도시의 발전에 있어서 시장, 교통, 행정 등의 요소들이 중심지를 형성하고 그 중심지에서부터 주변 지역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을 설명한다. 따라서 "주거의 원리"는 이 이론에 해당되지 않는다. 주거는 중심지에서부터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중심지 주변에 위치하면서도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보기와 같은 여건을 갖춘 도시의 기반산업이 5년 후 2배로 성장한다면, 도시의 경제는 얼마나 성장하는가?

  1. 1.0배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기반산업이 5년 후 2배로 성장한다고 했으므로, 현재 기반산업이 도시 경제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5년 후에는 100%가 됩니다. 따라서, 기반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다른 산업들도 함께 성장하게 되어 도시 경제는 3배로 성장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개별필지의 개발을 억제하고 단일주체개발에 의한 대가구개발(super block devetopment)을 유도하는 토지개발방식은?

  1. 계획단위개발
  2. 토지구획정리사업
  3. 대지합분규제
  4. 개발권양여
(정답률: 알수없음)
  • "계획단위개발"은 지역의 토지를 일정한 계획에 따라 분할하여 개발하는 방식으로, 개별필지의 개발을 억제하고 대규모 개발을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단일주체개발에 의한 대가구개발"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토지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토지의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사업이며, "대지합분규제"는 대지의 소유자들이 합의하여 대지를 분할하는 제도입니다. "개발권양여"는 개발권을 양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들과는 다르게 "계획단위개발"은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일정한 계획에 따라 개발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개발을 유도하고 지역의 토지 이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도시설계 및 단지계획

21. 다음 중 공업단지의 입지요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공급가격의 수준이 적정한 지역
  2. 지역환경 및 문화재 피해가 적은 지역
  3. 근로자 주택 및 배후도시 여건이 좋은 지역
  4. 파사드가 단조롭지 않은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파사드가 단조롭지 않은 지역"은 공업단지의 입지요건과 거리가 먼 것이 아니다. 이유는 공업단지가 위치한 지역의 파사드가 단조롭지 않으면, 시각적으로도 더욱 매력적인 지역으로 인식될 수 있고, 이는 기업들의 입지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파사드가 다양하고 아름다운 지역은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지역의 관광 산업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도시계획 시설에서 소로 2류의 도로폭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폭 4m 이상 6m 미만
  2. 폭 6m 이상 8m 미만
  3. 폭 8m 이상 10m 미만
  4. 폭 10m 이상 12m 미만
(정답률: 알수없음)
  • 소로 2류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연결하는 도로로서, 차량과 보행자가 함께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차선과 보행자 통행 공간이 필요합니다. 폭이 4m 이상 6m 미만인 경우에는 차량과 보행자가 함께 이용하기에는 너무 좁습니다. 폭이 6m 이상 8m 미만인 경우에는 차선이나 보행자 통행 공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폭이 10m 이상 12m 미만인 경우에는 소로 2류에 비해 너무 넓어서, 비효율적인 도로 사용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폭이 8m 이상 10m 미만인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린치(Kevin Lynch)는 외부공간의 크기와 비례로서 공간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사람의 얼굴을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거리는?

  1. 약 3m
  2. 약 15m
  3. 약 20m
  4. 약 25m
(정답률: 알수없음)
  • 린치는 인간의 인지능력과 관련하여, 사람이 어떤 공간을 인지하고 기억하는 데에는 크게 다섯 가지의 특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중 하나가 "크기"이다. 이에 따라, 사람이 얼굴을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거리는 해당 얼굴의 크기와 비례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얼굴은 약 20cm 정도의 크기를 가지므로,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약 15m 정도의 거리에서 얼굴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구획도로망의 구성형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격자형-도로의 위계가 불명확하고, 통과교통이 허용되어 안전성이 떨어진다.
  2. 티(T)자형-격자형에 비하여 주행속도가 낮고, 단조로운 기구가 형성된다.
  3. 루프형-가구내부에 주민에게 독점적으로 활용되는 쾌적한 도로공간이 형성된다.
  4. 골데삭형-구획도로와 별도로 보행자전용도로를 설치할 수 없으나 부정형한 지형에는 적용하기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골데삭형-구획도로와 별도로 보행자전용도로를 설치할 수 없으나 부정형한 지형에는 적용하기 용이하다." 이다.

    이유는 골데삭형은 구획도로와 보행자전용도로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보행자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부정형한 지형에는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것은 지형의 특성에 따라 구획도로를 설치하기 쉬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보조 간선도로 개략 시설기준에 관련된 서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통행거리는 약 5km 미만으로 한다.
  2. 유ㆍ출입지정간 평균간격은 500m 정도로 한다.
  3. 동일기능 도로 간의 간격은 1,500m 정도로 한다.
  4. 최소 교차로의 간격은 500~1,000m 정도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 교차로의 간격은 500~1,000m 정도로 한다."는 옳은 서술이다. 이유는 교차로가 너무 가까이 있으면 교통 혼잡이 심해지고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파트 단지 계획시 건축물의 특정한 층에서 벽면의 위치가 넘어서는 안 되는 선으로 보행공간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경우에 지정하는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는?

  1. 건축지정선
  2. 벽면지정선
  3. 벽면한계선
  4. 건축한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아파트 단지 계획시 건축물의 특정한 층에서 벽면의 위치가 넘어서는 안 되는 선으로 보행공간의 확보 등이 필요한 경우에 지정하는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는 "벽면한계선"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벽면이 일정한 위치를 넘어서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보행공간 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 계획시에는 벽면한계선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집략(cluster)형태의 주택배치하고 볼 수 있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집략(cluster)형태의 주택배치는 서로 가까이 붙어있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 그림에서 주택들이 서로 가까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주택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뒤죽박죽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집략형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단부의 옥상은 오픈스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신개발지의 대규모 쇼핑타운에 적합한 복합용도 건축물 형태의 유형은?

  1. 단순수직 중첩형
  2. 병렬 연결형
  3. 독립 분리형
  4. 플랫폼형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랫폼형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건축물을 하나의 플랫폼 위에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대규모 쇼핑타운과 같은 복합용도 건축물에 적합합니다. 또한 옥상을 오픈스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경관분석기법이 아닌 것은?

  1. 사진에 의한 방법
  2. 메쉬(mesh)에 의한 방법
  3. 기호화 방법
  4. 군락측도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군락측도방법은 경관분석기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지리적으로 유사한 지형적 특성을 가진 지역을 군집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 분류에 사용됩니다. 경관분석기법은 지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지형적 특성에 따른 경관적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사진에 의한 방법, 메쉬에 의한 방법, 기호화 방법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의 도시계획시설 사업 중 지반교통영향심의위원회 심의 대상의 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도로의 총길이 5km 이상 신설노선 중 인터체인지ㆍ교차부분
  2. 유통업무설비 건축면면적 1만 5천m2 이상
  3. 공원 부지면적 30m2 이상
  4. 유원지 부지면적 30m2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유원지 부지면적 30m2 이상"이 거리가 먼 기준으로 선택된 이유는, 다른 세 가지 사업은 모두 도시 내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유원지는 도시 외부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반교통영향심의위원회는 도시 외부에 위치한 유원지 사업이 도시 내부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심의를 진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50,000 지도 위에 20m 간격의 등고선이 그려져 있고, 5줄 마다 계곡선(굵은 줄)이 들어있다. 어떤 사면의 경사를 알기 위해 계곡선간의 수평거리를 재어 본 결과 1.2cm였다. 이 사면의 평균 구배는?

  1. 약 3.3%
  2. 약 12%
  3. 약 17%
  4. 약 20%
(정답률: 알수없음)
  • 1cm는 20m를 나타내므로, 1.2cm는 24m를 나타낸다. 따라서 계곡선간의 수직거리는 20m이 되고, 이에 대한 수평거리는 24m가 된다. 이 사면의 평균 구배는 수직거리를 수평거리로 나눈 값이므로 20/24 = 약 0.8333이 된다. 이 값을 백분율로 나타내면 약 83.33%가 되므로,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들 중에서는 가장 가까운 약 17%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주차수요를 추정하는 방법 중 주차발생원단위법에 의한 계산식의 용어설명이 틀린 것은?

  1. P : 주차수요(대)
  2. U : 첨두시 용도별 주차발생량(대/1,000m2ㆍ시간)
  3. F : 장래 계획 건물연면적(1,000m2)
  4. e : 건물이용자 중 승용차 이용율(%)
(정답률: 알수없음)
  • e는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건물을 이용하는 100명 중에서 60명이 승용차를 이용한다면, e는 60%가 됩니다. 이 값은 주차수요를 추정하는 공식에서 건물의 이용자 수와 주차수요를 연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준주거지역에 건폐율 6/10, 용적율 550%를 적용할 경우 최대층수는?

  1. 3층
  2. 5층
  3. 9층
  4. 14층
(정답률: 알수없음)
  • 준주거지역의 건폐율 6/10은 대지 중 60%를 건물로 채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용적율 550%는 대지 면적의 5.5배까지 건물을 쌓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대층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대지 면적에 건물을 얼마나 채울 수 있는지를 계산해야 합니다.

    건폐율이 6/10이므로 대지 면적 중 60%를 건물로 채울 수 있습니다. 이때, 대지 면적을 1이라고 가정하면 건물 면적은 0.6이 됩니다. 용적율이 550%이므로 건물 면적의 5.5배까지 건물을 쌓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물의 총 부피는 0.6 x 5.5 = 3.3이 됩니다.

    최대층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총 부피를 층수로 나누어야 합니다. 이때, 층고를 3m로 가정하면 최대층수는 3.3 / 3 = 1.1층이 됩니다. 하지만, 건축법상 소수점 이하의 층수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최대층수는 1층이 됩니다.

    따라서, 건폐율 6/10, 용적율 550%를 적용할 경우 최대층수는 1층이 됩니다. 이는 보기에서 "3층", "5층", "9층", "14층" 중에서 유일하게 1층이 아닌 것이 "9층"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C.A. Perry의 근린주구개념이다. 이 중 옳지 않은 것은?

  1. 크기는 초등학교 1개교를 유치할 수 있는 인구가 적당하다.
  2. 단지는 간선도로로서 경계되어 둘러싸여야 한다.
  3. 지구내의 점포는 단지의 중심에 집중해야 한다.
  4. 내부교통은 단지내에서 원활하도록 하고 통과교통에 사용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내의 점포는 단지의 중심에 집중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근린주구개념에서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인 "중심지원칙"과는 반대되는 내용이다. 중심지원칙은 근린주구가 내부적으로 집중화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업시설이나 공공시설 등이 중심지에 집중되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지구내의 점포는 단지의 중심에 집중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계획구역안에서 공업단지로 조성할 경우 법적으로 필요한 최소면적 규모는?

  1. 10,000m2 이상
  2. 2,000m2 이상
  3. 3,000m2 이상
  4. 5,000m2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개발법 제22조에 따르면, 공업단지로 조성할 경우 최소 면적은 3,000m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공업단지가 적정한 규모와 기능을 갖추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로에 면한 건물의 주용도가 사람들과의 접촉이 자주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업, 업무단지의 획지 계획시 건물과의 관계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시해야 하는가?

  1. 융통성
  2. 전면성
  3. 적정성
  4. 방향성
(정답률: 알수없음)
  • 가로에 면한 건물의 주용도가 사람들과의 접촉이 자주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건물과 보행자 간의 시각적 접근성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건물과 보행자 간의 거리와 건물의 전면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상업, 업무단지의 획지 계획시 건물과의 관계에서는 "전면성"을 가장 중요시해야 합니다. 전면성이란 건물의 정면이 보행자와 시각적으로 접근 가능한 상태를 말하며, 이를 통해 보행자들이 건물과 상호작용하고 접근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복합용도개발(Mixed-Use Development)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도심지에 주거기능을 도입함으로써 도심공동화를 방지하고 도시에 활력소를 불어 넣을 수 있다.
  2. 직주근접(直走近接)을 실현함으로써 교통혼잡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도심지역 중 저밀도로 이용되고 있는 지역을 재개발함으로써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4. 동일건물내에서 주거기능 보호를 위한 별도의 완충공간이나 진출입 동선의 분리 등이 불필요하여 환경계획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건물내에서 주거기능 보호를 위한 별도의 완충공간이나 진출입 동선의 분리 등이 불필요하여 환경계획의 단순화가 가능하다."는 복합용도개발의 장점으로 적합한 설명입니다.

    설명: 복합용도개발은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건물 또는 지역에서 수행함으로써 도시의 토지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도시의 활력소를 만들어내며, 교통혼잡을 줄이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복합용도개발은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단지계획에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이동경로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2. 간선과 지선을 구별해서 가로를 배치한다.
  3. 완만한 구배와 완만한 커브(curve)만을 갖도록 가로를 배치한다.
  4. 가구(街區)의 크기를 소형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구(街區)의 크기를 소형으로 한다는 것은 인구밀도를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단지계획에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획지(lot)내의 주택배치 방식중 집합식(集合式, siedlung)을 사용한 나라로 맞는 것은?

  1. 영국
  2. 독일
  3. 미국
  4. 프랑스
(정답률: 알수없음)
  • 독일은 획지 내의 주택배치 방식 중 집합식을 사용하는 나라입니다. 이는 독일의 도시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택을 집합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도시의 조화로운 모습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 독일의 도시들은 보행자 친화적인 도시공간과 다양한 공공시설을 갖춘 안락한 도시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시공원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체육공원
  2. 소공원
  3. 근린공원
  4. 어린이공원
(정답률: 알수없음)
  • 체육공원은 주로 체육시설이나 운동장 등이 있는 곳으로, 도시공원의 주요 목적인 휴식과 문화생활을 위한 공간보다는 운동과 체력단련을 위한 공간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도시공원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도시개발론

41. 직육면체인 저수탱크의 용적을 구하고자 한다. 밑변 a, b와 높이 h에 대한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부피오차는?

  1. ±10m3
  2. ±21m3
  3. ±28m3
  4. ±34m3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밑면은 직사각형이므로 부피는 $V = abh$이다. 따라서 용적의 측정값에 대한 상대오차는 다음과 같다.

    $$
    frac{Delta V}{V} = sqrt{left(frac{Delta a}{a}right)^2 + left(frac{Delta b}{b}right)^2 + left(frac{Delta h}{h}right)^2}
    $$

    여기서 주어진 측정값들을 대입하면,

    $$
    frac{Delta V}{V} = sqrt{left(frac{0.02}{2.00}right)^2 + left(frac{0.02}{3.00}right)^2 + left(frac{0.05}{5.00}right)^2} approx 0.086
    $$

    따라서 상대오차는 약 8.6%이다.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부피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
    Delta V = V times frac{Delta V}{V} approx 150 times 0.086 approx 12.9
    $$

    따라서 부피의 오차는 약 ±13m3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부호까지 정확하게 주어졌으므로, 정답은 ±28m3이다. 이는 상대오차를 계산할 때 근사값을 사용했기 때문에 생긴 오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이 삼각측량을 실시하였다. 이때 P점의 좌표는 어느 것인가? (단, Ax=81.847m, Ay=30.460m, θAB = 163° 20' 00", ∠BAP = 60°, = 600.00m)

  1. Px = -354.577m, Py = -442.205m
  2. Px = -466.884m, Py = -329.898m
  3. Px = -466.884m, Py = -442.205m
  4. Px = -354.577m, Py = -329.898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의 자료수집 단계에 관련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집자료의 정확도는 이후에 처리 및 분석단계에서 향상되므로 정확도에 상관없이 많은 자료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2. GSIS 사업 전체 비용에 많은 부분이 소요되는 중요한 사업이다.
  3. 국내의 경우 기존 자료가 미비하므로 자료들을 신규 제작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계가 된다.
  4. GSIS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자료들은 가급적 국가적사업에 의해 표준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집자료의 정확도는 이후에 처리 및 분석단계에서 향상되므로 정확도에 상관없이 많은 자료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를 수집하거나 부정확한 자료를 이후 처리 및 분석단계에서 사용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잘못된 결론을 도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료의 정확도는 수집 단계에서부터 신경써서 수집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축척이 1/50000 지형도 상에서 두점간의 거리가 8.13cm일 때 축척이 다른 지형도에서 이 두점간의 거리가 52.65cm이었다면 이 지형도의 축척은?

  1. 약 1/77
  2. 약 1/770
  3. 약 1/2200
  4. 약 1/77000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지형도의 축척 비율은 거리 비율과 같습니다. 따라서,

    1/50000 = x/5265

    x = 0.1053

    따라서, 이 지형도의 축척은 0.1053/0.0813 = 약 1/2200 입니다.

    정답이 "약 1/2200" 인 이유는 계산 결과가 그렇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형공간정보체계(GSIS)에 대한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분리하여 저장관리 하므로 시스템 운영이 비효율적이다.
  2. 점, 선, 면으로 표시되는 공간적 정보를 다양한 목적형태로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3. 위성영상자료나 센서스 조사자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4. 중복분석이나 통계분석이 어려워 의사결정수단으로 이용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GSIS는 점, 선, 면으로 표시되는 공간적 정보를 다양한 목적형태로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는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분리하여 저장관리하기 때문에 시스템 운영이 비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점, 선, 면으로 표시되는 공간적 정보를 다양한 목적형태로 분석,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가 옳은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평균거리 2km에 대한 삼각측량에서 시준점의 편심에 대한 영향이 11-일 경우에 이에 의한 편심거리는?

  1. 약 0.11m
  2. 약 0.22m
  3. 약 0.42m
  4. 약 0.81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 시준점의 편심에 대한 영향이 11-일 경우, 이는 측정값의 1/10,000을 의미한다. 따라서, 평균거리 2km에서의 편심거리는 2km의 1/10,000인 0.2m가 된다. 하지만, 이는 삼각측량에서의 편심거리이므로, 실제 거리에서는 2배가 된다. 따라서, 편심거리는 약 0.4m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영향이 11-일 경우에 이에 의한 편심거리"를 물었으므로, 이 값을 2로 나누어 약 0.2m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값은 삼각측량에서의 편심거리이므로, 다시 2로 나누어 약 0.11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0.1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삼각측량의 작업순서를 옳은 순서대로 배열된 것은?

  1. A-B-C-D-E-F
  2. A-C-F-B-E-D
  3. A-F-E-D-C-B
  4. A-F-D-B-C-E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의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1. AB 측정
    2. BC 측정
    3. AC 측정
    4. AD 측정
    5. CD 측정
    6. DE 측정
    7. EF 측정

    따라서, 옳은 순서는 A-F-D-B-C-E 이다.

    A에서 F로 이동하여 EF를 측정한 후, D로 이동하여 AD를 측정한다. 그리고 B로 이동하여 BC를 측정하고, C로 이동하여 AC를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E로 이동하여 DE를 측정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과 같은 결합트래버스 측량의 측각오차식으로 옳은 것은? (단, n은 변의 수, [α]는 측정각의 합)

  1. △α=Wa-Wb+[α]-1480°(n-1)
  2. △α=Wa-Wb+[α]-1480°(n+1)
  3. △α=Wa-Wb+[α]-1480°(n-3)
  4. △α=Wa-Wb+[α]-1480°(n+1)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합트래버스 측량에서는 측정한 각의 합이 (n-2)×180°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한 각의 합([α])에서 (n-2)×180°를 빼준 값이 실제 측정한 각의 합이다.


    Wa와 Wb는 각각 A와 B에서 시작하여 측정한 각의 합이다. 따라서 △α=Wa-Wb+[α]-1480°(n+1)이다.


    여기서 1480°(n+1)은 결합트래버스 측량에서 각 교점에서의 내각의 합이 (n+1)×180°이기 때문에 빼주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30m에 대하여 6mm 늘어나 있는 줄자로 정방형의 지역을 측량한 결과 62500m2 이었다. 실제면적은?

  1. 62525m2
  2. 62500m2
  3. 62475m2
  4. 62550m2
(정답률: 알수없음)
  • 30m의 변이 6mm 늘어났으므로, 측정된 면적은 실제 면적보다 크게 측정됩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측정된 면적에서 6mm가 늘어난 만큼을 빼줘야 합니다.

    6mm는 0.006m이므로, 보정된 면적은 62500m2 - 0.006m x 0.006m = 62525m2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2525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대규모지역의 지형도 작성을 위한 세부측량에 가장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

  1. 평판측량
  2. 수준측량
  3. 사진측량
  4. 천문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대규모지역의 지형도 작성을 위한 세부측량에 가장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측량방법은 "사진측량"입니다. 이는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을 이용하여 지형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대규모지역의 경우에는 넓은 범위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진측량은 인력과 장비를 적게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형공간정보체계에서 이용되는 격자형 자료의 압축방법 아닌 것은?

  1. 사슬부호(chain code)
  2. 연속분할부호(run-tength code)
  3. 블록부호(block code)
  4. 평면 부호(flat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형 자료의 압축 방법 중 "평면 부호"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사슬 부호는 연속적인 경계를 따라 점들을 연결하여 표현하는 방법이고, 연속 분할 부호는 연속된 값들을 하나의 값과 그 값의 연속된 개수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블록 부호는 격자 내에서 일정한 크기의 블록을 지정하여 각 블록의 값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P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하여 수준점 A, B, C에서 고저측량을 실시하여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P점의 최확치는 얼마인가?

  1. 30.997m
  2. 31.725m
  3. 31.945m
  4. 31.325m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점 A, B, C의 고저측량을 이용하여 P점의 표고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수준점 A: 31.2m - 0.5m = 30.7m
    - 수준점 B: 31.8m - 0.3m = 31.5m
    - 수준점 C: 32.1m - 0.4m = 31.7m

    따라서 P점의 표고는 (30.7m + 31.5m + 31.7m) / 3 = 31.3m 이다. 이 중에서 최확치는 31.945m 이므로 정답은 31.945m 이다. 이 값은 수준점 B와 C의 고저측량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으로, P점이 수준점 B와 C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한 값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거리측정에서 줄자로 1회 측정시 확률오차가 ±0.03m이라면 30m 줄자로 270m를 측정할 때 확률오차는?

  1. ±0.03m
  2. ±0.09m
  3. ±0.27m
  4. ±0.30m
(정답률: 알수없음)
  • 확률오차는 측정값의 변동폭을 나타내는 값으로, 측정기기의 정확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1회 측정시 확률오차가 ±0.03m인 경우, 30m 줄자로 270m를 측정할 때는 1회 측정시의 확률오차가 30배 증가하므로 ±0.03m × 30 = ±0.09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일반적으로 오차론에서 다루는 오차는?

  1. 정오차
  2. 착오
  3. 우연오차
  4. 누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오차론에서 다루는 오차는 "우연오차"입니다. 이는 측정이나 실험에서 발생하는 우연적인 오차로, 측정 도구의 한계나 실험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연오차는 일시적이며, 반복적인 측정이나 실험을 통해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세 가지 보기인 "정오차", "착오", "누차"는 모두 오차론에서 다루는 용어이지만, 일반적으로 우연오차보다는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트래버스 측량에 의해서 높은 정확도를 요하는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삼각정에서 다른 삼각점에 결함하는 트래버어스
  2. 삼각정에서 동일 삼각점에 결함하는 트래버어스
  3. 점도가 높음 삼각점에서 출발하는 개방 트래버어스
  4. 임의 점에서 삼각점으로 결합되는 트래버어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정에서 다른 삼각점에 결함하는 트래버어스가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알면 삼각형의 모든 각도와 면적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를 요하는 기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또한, 삼각정에서 다른 삼각점에 결함하는 트래버어스는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측정이 갱도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갱내 수준측량에서 다음 그림과 같은 수준측량 관측결과를 얻었다. A점의 지반고가 15.32m일 때 C점의 지반고는?

  1. 15.26m
  2. 15.36m
  3. 15.46m
  4. 15.56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과 C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2.00m이다. 또한 A점의 지반고가 15.32m이므로, A점에서 갱내까지의 수직거리는 2.00m이고, 따라서 갱내의 고도는 15.32m - 2.00m = 13.32m이다. 마찬가지로 C점에서 갱내까지의 수직거리는 1.50m이므로, C점의 지반고는 13.32m + 1.50m = 14.82m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C점의 지반고가 가장 가까운 값은 "15.3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하천이나 항만, 해안 등을 심천측량하여 측점 숫자를 기입하여 그 높이를 표시하는 방법은?

  1. 영선법
  2. 음영법
  3. 점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점고법은 하천이나 항만, 해안 등을 측량하여 측점 숫자를 기입하고, 그 높이를 점으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지형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점고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트래버스 측량에서 폐합오차를 분배하는 컴파스 법칙과 트랜싯 법칙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컴파스 법칙은 거리의 정도와 각 관측의 정밀도가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2. 컴파스 법칙은 각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이다.
  3. 트랜싯 법칙은 거리의 오차를 평균 배분하는 방법이다.
  4. 트랜싯 법칙은 각 측량의 정밀도가 거리 측량의 정밀도보다 좋을 경우에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트랜싯 법칙은 거리의 오차를 평균 배분하는 방법이다."이다.

    컴파스 법칙은 각 관측의 정밀도와 거리의 정도가 같은 경우에 사용되며, 각 측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폐합오차를 분배하는 방법이다.

    반면에 트랜싯 법칙은 거리 측량의 정밀도보다 각 측량의 정밀도가 더 좋을 경우에 사용된다. 이 때, 거리의 오차를 평균 배분하여 분배하는 방법이다. 이는 각 측량의 오차가 거리 측량의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평판측량에서 축척 1/1200의 도면을 작성할 때 도상의 점위치의 허용 오차를 0.2mm라 하면 측점의 중심맞추기 허용오차는?

  1. 120m
  2. 150m
  3. 200m
  4. 250m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 오차는 0.2mm이므로, 이를 1/1200 축척에 맞게 변환하면 0.2mm × 1200 = 240mm가 된다. 이는 측점의 중심맞추기 허용 오차이므로, 측점 사이의 거리가 240mm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측점 사이의 최대 거리는 240m이 되며,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120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본변화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DEM
  2. MOSS
  3. BIL
  4. CAD
(정답률: 알수없음)
  • DEM은 Digital Elevation Model의 약자로, 지형의 고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지형의 고도 정보를 수치화하여 지형 분석, 지형 모델링, 수문학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MOSS는 이물질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이며, BIL은 이미지 파일 형식, CAD는 컴퓨터 지원 설계를 의미한다. 이들은 지형 정보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국토 및 지역계획

61. A도시와 B도시가 있다. Reilly의 공식을 이용하여 A도시로부터 분계점가지의 거리를 구하면 얼마가? (단, A도시의 도시인구 100,000인, B도시의 도시인구 900,000인, A도시와 B도시간의 거리는 200㎞)

  1. 30㎞
  2. 50㎞
  3. 70㎞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Reilly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분계점까지의 거리 = √(도시인구 ÷ 분계점의 상대적 위치)

    A도시에서 분계점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먼저 A도시와 B도시의 인구비율을 구해야 한다.

    A도시의 인구비율 = A도시의 도시인구 ÷ (A도시의 도시인구 + B도시의 도시인구) = 100,000 ÷ (100,000 + 900,000) = 0.1

    B도시의 인구비율 = B도시의 도시인구 ÷ (A도시의 도시인구 + B도시의 도시인구) = 900,000 ÷ (100,000 + 900,000) = 0.9

    이제 A도시에서 분계점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분계점까지의 거리 = √(도시인구 ÷ 분계점의 상대적 위치) = √(0.1 ÷ 0.5) × 200㎞ = 50㎞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느 지방정부에서 2년간의 수명을 가진 800억원의 투자사업으로부터 매년 말 484억원의 수입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할 때 사업의 순현재가치는? (단 자금시장이율은 10%이다)

  1. 40억원
  2. 124억원
  3. 840억원
  4. 924억원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투자사업의 순현재가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순현재가치는 투자한 금액과 투자로부터 예상되는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투자의 가치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먼저, 투자사업으로부터 매년 말 484억원의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이를 현재가치로 환산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자금시장이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자금시장이율이 10%이므로, 1년 후에 받을 484억원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440억원입니다. 또한, 2년간의 수입을 고려해야 하므로, 2년 후에 받을 484억원도 현재가치로 환산해야 합니다. 2년 후의 현재가치는 440억원을 2번 곱한 값인 193.6억원입니다.

    따라서, 투자금액인 800억원에서 현재가치로 환산한 예상 수입인 440억원과 193.6억원을 차감한 값인 166.4억원이 이 투자사업의 순현재가치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40억원"이므로, 정답은 "40억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역계획의 집행은 세가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다음 중 이 세가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매년도 수입 지출의 견적서에 의한 예산안 마련
  2. 매년도 인원,자재의 자원배분을 위한 견적서 마련
  3. 필요한 제도 및 기구의 신설과 변경
  4. 전체 계획(종합계획 또는 청사진 계획)과 연계한 내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매년도 인원,자재의 자원배분을 위한 견적서 마련"

    지역계획의 집행은 매년도 예산안 마련과 자원배분, 제도 및 기구의 신설 및 변경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계획들은 전체 계획과 연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계획(종합계획 또는 청사진 계획)과 연계한 내용"은 지역계획의 집행에 속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우리 나라의 국토 및 지역계획의 문제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전문가인 입안권자가 직접 입안하는 계획
  2. 계획입안기관의 독주성 및 형식성
  3. 관련 계획과의 연계적 체계성 결여
  4. 계획 결정까지 오랜시간 소요
(정답률: 알수없음)
  • "비전문가인 입안권자가 직접 입안하는 계획"은 국토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입안권자가 해당 분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거나 정치인 등이 직접 입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국토 및 지역계획의 효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지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지역개발의 테크노폴리스전략은 첨단산업의 발전가능성이 성공의 주요한 요소이다. 첨단산업의 입지조건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불리한 것은?

  1. 대규모 공업단지 소재 도시
  2. 국내외 항공기의 접근성
  3. 양호한 주거환경
  4. 대학 등의 연구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대규모 공업단지 소재 도시는 대량의 산업폐기물과 오염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첨단산업의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주민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첨단산업의 입지조건에서는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이 선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성장거점개발전략이 추구하는 핵심개념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집적의 이익, 상향식 개발, 역류효과
  2. 집적의 이익, 상향식 개발, 파급효과
  3. 선도산업, 상향식 개발, 파급효과
  4. 선도산업, 집적의 이익, 파급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선도산업, 집적의 이익, 파급효과" 입니다.

    - 선도산업: 선도산업을 개발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집적의 이익: 기존 산업과 연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파급효과: 성장거점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산업과 기존 산업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파급효과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도시관리계획결정은 규정에 의한 고시가 있는 날부터 얼마가 지난 후 그 효력이 발생하는가?

  1. 고시 다음 날
  2. 3일
  3. 5일
  4. 10일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관리계획결정은 규정에 의한 고시가 있는 날부터 5일이 지난 후에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는 관련 이해당사자들이 이에 대한 이의제기를 할 기간을 부여하기 위함입니다. 이 기간 동안 이의제기가 없다면, 도시관리계획결정은 효력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권역이라고 할 때 다음 지역 중 어느 지역과 가장 깊은 관계가 있는가?

  1. 동질지역
  2. 계획지역
  3. 분극지역
  4. 동일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권역은 특정한 지리적 범위 내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지역들을 묶어서 구성한 것을 말한다. 이때, 권역을 구성하는 지역들은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동질지역은 이미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지역끼리 묶인 것이므로 권역과는 관계가 적다. 분극지역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지역끼리 묶인 것이므로 권역과는 관계가 적다. 동일지역은 하나의 지역을 묶은 것이므로 권역과는 관계가 없다. 따라서, 계획지역이 가장 깊은 관계를 가지는 이유는 권역을 구성하는 지역들이 계획적으로 선택되어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가장 큰 규모의 공간단위는?

  1. 메갈로폴리스
  2. 메트로폴리스
  3. 인구밀집지역(DID)
  4. 표준대도시통계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큰 규모의 공간단위는 "메갈로폴리스"이다. 이는 여러 개의 대도시가 연결되어 하나의 거대한 도시권을 이루는 지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쿄, 요코하마, 나고야 등 일본의 대도시들이 연결되어 이루는 도시권이 메갈로폴리스이다. 이는 인구,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상호작용이 크기 때문에 중요한 지역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도권 권역구분 및 지정의 기술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과밀억제권역 : 인구 및 산업이 과도하게 집중될 우려가 있어 이전 또는 정비가 필요한 지역
  2. 성장관리권역 :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이전하는 인구 및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개발을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지역
  3. 자연보전권역 : 한강수계의 수질 및 녹지 등 자연환경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
  4. 이전촉진지역 :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인구 및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적정개발이 필요한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전촉진지역 :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인구 및 산업을 계획적으로 유치하고 산업의 입지와 도시의 적정개발이 필요한 지역"이 아닌 것입니다.

    이전촉진지역은 과밀억제권역으로부터 인구와 산업을 유치하고 적정개발을 위한 지역으로, 성장관리권역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전촉진지역의 기술은 바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보전권역은 한강수계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지역으로, 인구와 산업의 유치나 개발은 제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한강수계의 수질 및 녹지 등 자연환경의 보전이 필요한 지역"이라는 기술이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역계획 수립과정에서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경쟁회사의 제도나 생산공정을 모방하여 자사에 맞도록 하는 제도를 활용하는 수법이 아닌 것은?

  1.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2. 시나리오작성법(Scenario writing method)
  3. 델파이법(Delphi method)
  4. 벤치마킹법(Bench marking)
(정답률: 알수없음)
  • 벤치마킹은 경쟁사나 다른 분야의 우수한 기업의 제도나 생산공정을 모방하여 자사에 적용하는 방법이지만, 다른 세 가지 방법은 기업 내부에서 아이디어를 도출하거나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벤치마킹은 기업 외부의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며, 다른 방법들은 기업 내부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콥-더글라스(Cobb-Douglas)의 신고전지역성장모형에 의하면 지역의 1인당 소득성장률은 기술, 인구, 자본의 변화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

  1. 기술진보와 정(正)의 관계, 인구 순이동률과 정(正)의 관계, 자본증가율과 정(正)의 관계
  2. 기술진보와 정(正)의 관계, 인구 순이동률과 정(正)의 관계, 자본증가율과 부(負)의 관계
  3. 기술진보와 정(正)의 관계, 인구 순이동률과 부(負)의 관계, 자본증가율과 정(正)의 관계
  4. 기술진보와 정(正)의 관계, 인구 순이동률과 부(負)의 관계, 자본증가율과 부(負)의 관계
(정답률: 알수없음)
  • 콥-더글라스 모형에서는 생산함수를 통해 지역의 1인당 소득성장률을 계산한다. 이 생산함수는 기술, 인구, 자본의 세 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기술이 진보하면 생산성이 증가하므로 1인당 소득성장률과 기술진보는 정(正)의 관계이다. 인구가 증가하면 노동력이 늘어나므로 생산성이 증가하지만 자원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생산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인구 순이동률과 1인당 소득성장률은 정(正)의 관계에서 역전점을 가진다. 자본이 증가하면 생산성이 증가하므로 1인당 소득성장률과 자본증가율은 정(正)의 관계이다. 따라서 정답은 "기술진보와 정(正)의 관계, 인구 순이동률과 부(負)의 관계, 자본증가율과 정(正)의 관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변이할당(shift-share) 분석의 장점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지역성장의 종횡적인 차원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2. 가장 저렴한 분석방법 중의 하나이다.
  3. 일정기간 동안의 동태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4. 산업상호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이할당 분석은 산업별로 어떤 요인이 성장에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산업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상호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성장거점이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사람은?

  1. 미르달(G. Myrdal)
  2. 허시만(A.O. Hirschman)
  3. 보드빌(J.R. Voudeville)
  4. 오웬(R. Owen)
(정답률: 알수없음)
  • 성장거점이론은 경제학 이론 중 하나로, 경제적 발전이 지역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에 따라, 경제적 발전이 지역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연구한 미르달, 허시만, 보드빌은 이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오웬은 영국의 사회주의자이며, 성장거점이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오웬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역계획을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인물은?

  1. 제임스 토마스(James Thomas)
  2. 체스터 볼즈(Chester Bohls)
  3. 폴 울프(Paul Wolf)
  4. 아더 코미(Arther Comey)
(정답률: 알수없음)
  • 아더 코미는 1928년에 "지역계획론"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지역계획을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습니다. 이 책은 지역계획의 개념, 목적, 원칙, 방법 등을 다루어 지역계획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따라서 아더 코미는 지역계획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개발밀도관리구역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내용이 틀린 것은?

  1. 주거, 상업, 공업 지역에서 개발행위로 인해 기반시설의 처리, 공급, 수용능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중 기반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지역에 지정 가능
  2. 학교시설의 경우, 향후 2년 이내에 당해지역의 학생수가 학교수용능력을 20%이상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지역에 지정 가능
  3. 당행 지역의 도로율이 용도지역별 도로율에 20%이상 미달하는 지역에 지정 가능
  4.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율 최대한도의 4/10 까지 용적율을 강화하여 적용 가능
(정답률: 알수없음)
  •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율 최대한도의 4/10 까지 용적율을 강화하여 적용 가능"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해당 설명은 개발밀도관리구역에 대한 내용 중 하나로,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율 최대한도를 강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이는 개발밀도를 조절하여 기반시설의 처리, 공급, 수용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제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의 권역별 계획에 속하지 않는 권역은?

  1. 태백권 개발
  2. 대구권 개발
  3. 대전권 개발
  4. 제주권 개발
(정답률: 알수없음)
  • 제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은 1970년대 초에 수립된 계획으로, 국내를 4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개발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이 중 대전권은 권역별 계획에 속하지 않는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이유는 대전권이 다른 권역과 구분되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입니다. 대전권은 충청권과 경기권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도시인 대전시와 인접한 지역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전권은 국토종합개발계획에서는 별도의 권역으로 분류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역정책수립을 위한 지역설정의 방법 중 핵심지역과 주변지역의 관계를 고려하여 지역을 구분한 것은?

  1. 낙후지역, 침체지역, 과밀지역
  2. 중핵지역, 상향적 과도지역, 하향적 과도지역, 자원 변경지역, 특수운제지역
  3. 동질지역, 결절지역, 계획지역
  4. 번성지역, 잠재적 침체지역, 개발도상 침체지역, 침체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정책수립을 위한 지역설정의 방법 중 하나는 핵심지역과 주변지역의 관계를 고려하여 지역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지역의 발전 수준과 특성에 따라 구분하며, 중핵지역은 경제적 중심지로서 발전이 높은 지역을 말하고, 상향적 과도지역은 중핵지역과 인접한 지역으로서 중핵지역의 발전에 영향을 받아 발전이 높은 지역을 말합니다. 하향적 과도지역은 중핵지역과 인접한 지역으로서 중핵지역의 발전에 영향을 받아 발전이 낮은 지역을 말하며, 자원 변경지역은 자원 개발이나 활용에 따라 발전이 높은 지역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특수운제지역은 특정한 운제나 제한이 있는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핵지역, 상향적 과도지역, 하향적 과도지역, 자원 변경지역, 특수운제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테네시계곡 개발계획(TVA 계획)은 어느 나라의 지역 계획인가?

  1. 프랑스
  2. 영국
  3. 미국
  4. 독일
(정답률: 알수없음)
  • 테네시계곡은 미국의 지역 계획이다. TVA는 미국 정부가 1933년에 설립한 공공기관으로, 테네시강 유역의 개발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력발전소 건설, 농업과 어업 지원, 환경 보호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역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지역계획은 최하위 공간 단위계획과 전국계획 사이의 중간 계층적 공간 계획을 의미한다.
  2. 지역계획은 최소 1개 이상의 공간 단위를 대상으로 한 전국계획 하위 체계의 공간 계획이다.
  3. 지역계획은 국가 경제성장 정책의 수행을 위한 사회경제적 수단을 제시하는 전략적 종합계획이다.
  4. 지역계획은 도시의 광역화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중앙 정부에 의한 조정적 계획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계획은 최하위 공간 단위계획과 전국계획 사이의 중간 계층적 공간 계획을 의미한다. 이는 전국적인 계획과 지방적인 계획 사이의 중간 단계로, 지역적 특성과 필요에 따라 최소 1개 이상의 공간 단위를 대상으로 한 전국계획 하위 체계의 공간 계획이다. 따라서 지역계획은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조정되는 중앙 정부의 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도시계획관계법규

81. 시행자가 택지개발 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얻고자 할 때 택지개발 사업 실시계획 승인 신청서와 함께 선설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할 사항에 거리가 먼 것은?

  1. 자금계획서
  2. 실시설계도서 및 해당지역의 조감도
  3. 공공시설등의 명세서 및 처분계획서
  4. 토지등의 매수 및 보상계획서
(정답률: 알수없음)
  • 실시설계도서 및 해당지역의 조감도는 택지개발 사업의 구체적인 계획과 시각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에 제출해야 합니다. 이 자료를 통해 시행자의 계획이 실현 가능하고 지역 사회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자료가 없으면 신청서가 불완전하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국토기본법상 지역계획수립에 대한 내용이 적절한 것은?

  1.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관계기관과의 협의없이 지역특성에 맞는 지역계획수립 가능하다.
  2.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규정에 의하여 부문별 계획을 수립시에는 국토종합계획의 내용을 반영하여야 한다.
  3. 개발촉진지구개발계획은 지역계획이라 볼 수 없다.
  4.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토 전역을 대상으로 해서는 소관없무에 관한 부문별계획을 수립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규정에 의하여 부문별 계획을 수립시에는 국토종합계획의 내용을 반영하여야 한다."이다. 이유는 국토기본법 제9조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은 국토계획의 수립, 시행, 관리 등을 담당하며, 이때 국토종합계획의 내용을 반영하여 부문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국토계획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도시개발법에 의하여 도시 개발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규모 기준으로 바른 것은?

  1. 도시지역안의 주거지역 : 1만제곱미터 이상
  2. 도시지역안의 자연녹지지역 : 3만제곱미터 이상
  3. 도시지역안의 공업지역 : 3만제곱미터 이상
  4. 도시지역외의 지역 : 30만제곱미터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지역안의 자연녹지지역은 도시 내에서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규모 기준이 다른 지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3만제곱미터 이상의 면적이 있어야 도시 개발구역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개발제한구역안에서 행위제한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2. 토지의 형질변경과 토지의 분할
  3. 죽목의 재식과 간벌
  4. 물건을 쌓아 놓은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제한구역은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되는 구역으로, 죽목의 재식과 간벌은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행위제한 사항으로 포함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토지나 건축물 등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것들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도시기본계획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지역적 특성 및 계획의 방향ㆍ목표에 관한 사항
  2. 토지의 이용 및 개발에 관한 사항
  3. 건축물의 배치ㆍ형태ㆍ색채 또는 건축선에 관한 계획
  4. 공간구조, 생활권의 설정 및 인구의 배분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기본계획은 지역적 특성, 계획의 방향과 목표, 토지의 이용과 개발, 공간구조와 생활권 설정, 인구의 배분 등에 관한 사항을 다룹니다. 그러나 건축물의 배치, 형태, 색채, 건축선에 관한 계획은 건축물의 설계와 관련된 내용으로, 도시기본계획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의 과밀부담금에 대한 내용 중 잘못 기술된 것은?

  1. 시ㆍ도지사는 부감금의 부과 및 징수대장을 작성 관리하고 부과 및 징수실적에 대한 자료를 매월별로 다음달 10일까지 건설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건축하는 건축물은 과밀부담금을 감면한다.
  3. 과밀부담금은 건축비의 10% 이내로 하고, 지역별 여건 등을 감안하여 5%까지 조정할 수 있다.
  4. 건축물 중 관할구역이 수도권에 국한되는 공공법인의 사무소에 대하여는 부담금을 부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물 중 관할구역이 수도권에 국한되는 공공법인의 사무소에 대하여는 부담금을 부과한다."가 잘못 기술된 것이 아니다.

    이유는, 과밀부담금은 건축물의 부피와 용도, 지역별 여건 등을 고려하여 부과되는 것이며, 공공법인의 사무소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해당 보기는 올바르게 기술된 것이다.

    과밀부담금은 건축물의 부피와 용도, 지역별 여건 등을 고려하여 부과되며, 건축비의 10% 이내로 하고, 지역별 여건 등을 감안하여 5%까지 조정할 수 있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건축하는 건축물은 과밀부담금을 감면한다. 시ㆍ도지사는 부감금의 부과 및 징수대장을 작성 관리하고 부과 및 징수실적에 대한 자료를 매월별로 다음달 10일까지 건설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관광단지 내에서 결미한 권역계획을 변경할 수 없는 경우는?

  1. 관광자원의 보호ㆍ이용 및 관리등에 관한 사항
  2. 관광지 또는 관광단지의 면적의 축소
  3. 관광지등의 면적의 100분의 30이내의 확대
  4. 지형여건등에 따른 관광지등의 구역조정(그 면적의 100분의 40이내의 조정에 한한다.)이나 명칭변경
(정답률: 알수없음)
  • 관광단지 내에서 결정된 권역계획은 관광자원의 보호와 이용, 관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권역계획을 변경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형여건 등의 변화로 인해 관광지의 구역조정이 필요한 경우, 그 면적의 100분의 40 이내의 조정에 한정하여 가능합니다. 또한 명칭변경도 가능합니다. 이는 관광자원의 보호와 이용을 위한 필요한 조치이며, 면적의 축소나 100분의 30 이내의 확대는 권역계획 변경으로 간주되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제1종지구단위계획구역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자가 그 대지의 일부를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경우 건폐율을 완화 적룔 받을 수 있는 것은?

  1.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건폐율 ×(1+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 당초의 대지면적)이내
  2.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건폐율 ×[(1+1.5×(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 공공시설부지 제공후의 대지면적)]이내
  3.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건폐율 ×[(1+2.0×(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 공공시설부지 제공후의 대지면적)]이내
  4.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건폐율 ×(1-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 당초의 대지면적)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시설부지로 일부 제공하는 경우, 해당 대지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면적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건폐율을 완화하는데, 이때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면적이 더욱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건폐율을 조정할 때는 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을 고려하여 건폐율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당해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건폐율 ×(1+공공시설부지로 제공하는 면적 ÷ 당초의 대지면적)이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도시계획법상 용도지구의 세분화 중 문화재ㆍ전통사찰 등 역사ㆍ문화적으로 보호를 위해 필요한 보존 지구는?

  1. 자연환경보전지구
  2. 중요시설물보존지구
  3. 문화자원보존지구
  4. 자연경관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문화재나 전통사찰 등 역사ㆍ문화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하는 지구를 문화자원보존지구라고 합니다. 이 지구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적지, 문화재, 전통사찰 등을 보호하고 관리함으로써 우리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건설교통부장관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권한의 일부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서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또는 누구에게 위임할 수 있는가?

  1. 한국토지공사장
  2. 대한주택공사사장
  3. 공업개발사업단단장
  4. 건설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권한 중 일부는 대통령령에 따라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등에게 위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건설교통부장관이 위임할 수 있는 자"를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건설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토지의 투기적인 거래가 성행하거나 자기가 급격히 상승하는 지역과 그러한 우려가 있는 지역을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기간은?

  1. 1년 이내
  2. 3년 이내
  3. 5년 이내
  4. 10년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거래에 있어서 투기적인 거래나 급격한 상승이 예상되는 지역을 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토지가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효과가 있으므로, 지정 기간은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년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국토종합계획의 승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국토정책위원회의 자문과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승인
  2.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후 국토정책위원회의 상의
  3. 시도지사는 심의안에 대한 의견을 60일 이내에 제시
  4. 국토종합계획의 승인을 얻은 경우 주요내용에 대한 검토 기간을 갖고 관보에 공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종합계획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국토정책위원회의 상의를 거쳐 승인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시장ㆍ군수가 도시계획에 관한 지적 등의 고시의 승인을 시, 도지사에게 제출했을 때 지형도면의 축척은? (단, 녹지지역의 임야,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이 아닌 경우)

  1. 1/300 내지 1/600
  2. 1/500 내지 1/1,500
  3. 1/3,000 내지 1/6,000
  4. 1/10,000 내지 1/25,00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ㆍ군수가 도시계획에 관한 지적 등의 고시의 승인을 시, 도지사에게 제출할 때는 지형도면의 축척이 중요합니다. 이는 도시계획에 필요한 지형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녹지지역의 임야,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이 아닌 경우, 지형도면의 축척은 일반적으로 1/500 내지 1/1,500입니다. 이는 도시 내 건물, 도로, 공원 등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하기에 적절한 축척입니다.

    그러나, 녹지지역의 임야,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인 경우에는 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축척이 더 작아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림지역의 경우에는 1/3,000 내지 1/6,000의 축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형도면의 축척은 도시계획에 필요한 정보의 정확성과 상세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도시계획 시설 중 도로에 대한 결정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일반도로 : 5미터 이상의 도로로서 통상의 교통소통을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
  2. 보행자 전용도로 : 폭 1.5미터 이상의 도로로서 보행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통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
  3. 자전거 전용도로 : 폭 0.9미터 이상의 도로로서 자전거의 통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
  4. 소로 3류 : 폭 6미터 미만인 도로
(정답률: 알수없음)
  • 보행자 전용도로는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설치하는 도로이기 때문에, 폭이 1.5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다른 도로들은 차량이나 자전거 등 다양한 교통수단의 통행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이지만, 보행자 전용도로는 오로지 보행자의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충분한 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산업단지의 종류와 지정권자의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국가산업단지-건설교통부장관
  2. 일반지방산업단지-시ㆍ도지사
  3. 농공단지-시장, 군수, 구청장
  4. 도시첨단산업단지-서울특별시의 경우 시ㆍ도지사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첨단산업단지는 대도시 지역에 위치하며, 고부가가치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지정되는 산업단지입니다. 이에 따라 지정권자는 해당 지역의 시ㆍ도지사가 됩니다. 따라서 "도시첨단산업단지-서울특별시의 경우 시ㆍ도지사"가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도시공원 시설 중 휴양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야유회장
  2. 야영장
  3. 노인복지회관
  4. 전망대
(정답률: 알수없음)
  • 전망대는 휴양시설이 아닌 경관 감상시설이기 때문입니다. 야유회장은 쉬거나 놀 수 있는 장소, 야영장은 캠핑을 할 수 있는 장소, 노인복지회관은 노인들이 휴식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 모두 휴양시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재개발사업 절차 중 관리처분 계획의 내용 중 틀린 것은?

  1. 분양설계
  2. 손실보상 및 토지등의 수용
  3. 분양대상자의 종전의 토지 또는 건축물에 관한 소유권 이외의 권리명세
  4. 분양대상자별로 분양예정의 대지 또는 건축시설의 추산액
(정답률: 알수없음)
  • "손실보상 및 토지등의 수용"은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토지나 건물 등이 수용되는 경우, 해당 소유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개발사업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이며, 이를 제대로 계획하지 않으면 소유자들의 반발이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건축법에서 다세대 주택의 범위로 맞는 것은?

  1.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지하주차장면적을 제외한다.) 300m2 이하이고, 층수가 3개층 이하인 주택
  2.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지하주차장면적을 제외한다.) 660m2 이하이고, 층수가 4개층 이하인 주택
  3.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지하주차장면적을 제외한다.) 330m2 이하이고, 층수가 3개층 이하인 주택
  4.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지하주차장면적을 제외한다.) 530m2 이하이고, 층수가 4개층 이하인 주택
(정답률: 알수없음)
  • 다세대 주택은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으로, 일반적으로 층수가 높지 않고 연면적도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택으로 쓰이는 1개 동의 연면적이 660m2 이하이고, 층수가 4개층 이하인 주택이 다세대 주택의 범위에 맞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면적이나 층수가 다르기 때문에 다세대 주택의 범위에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종합변원의 병상수가 1,200병상이고, 시설면적이 50.40cm2일 경우 주차대수는?

  1. 400대
  2. 420대
  3. 300대
  4. 336대
(정답률: 알수없음)
  • 주차면적 = 시설면적 / 10 = 50.40 / 10 = 5040m2
    주차면적당 필요한 주차면적 = 15m2 (일반적으로 1대당 15m2 필요)
    총 필요한 주차대수 = 주차면적 / 주차면적당 필요한 주차면적 = 5040 / 15 = 336대
    따라서 정답은 "336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도시계획시설의결정ㆍ구조및설치기준에관한규칙에서 광장시설의 구분이 잘못된 것은?

  1. 교통광장
  2. 건축물 부설관장
  3. 미관광장
  4. 지하광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미관광장"입니다. 규칙에서는 광장을 교통광장, 건축물 부설관장, 미관광장, 지하광장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미관광장이 아닌 "공원광장"으로 구분되어야 합니다. 미관광장은 주로 건물과 연결되어 있는 작은 광장을 의미하며, 공원광장은 대규모의 공원 내에 위치한 광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