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8-11)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02-08-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암모니아 중독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영양소로 알맞는 것은?

  1. 비타민 C
  2. 비타민 B1
  3. 비타민 B2
  4. 비타민 E
(정답률: 57%)
  • 암모니아는 간에서 처리되는 동시에 비타민 C와 결합하여 체외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비타민 C는 암모니아 중독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영양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우리나라에서 산업위생에 관한 최초의 법령이라 볼 수 있는 것은?

  1. 산업안전보건법
  2. 작업환경측정법
  3. 근로기준법
  4. 산업보건기본법
(정답률: 80%)
  • 근로기준법은 1953년에 제정되어 우리나라에서 산업위생에 관한 최초의 법령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법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 작업환경측정법, 산업보건기본법보다 먼저 제정되어 산업위생에 대한 법적 규제를 시작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적절한 직업을 찾기위한 적성검사의 종류와 거리가 먼것은?

  1. 신체검사
  2. 생리기능검사
  3. 임상적검사
  4. 심리학적검사
(정답률: 80%)
  • "임상적검사"는 직업 적성을 판단하는 검사가 아니라, 의학적인 진단을 위한 검사를 말한다. 따라서 직업 적성을 찾기 위한 적성검사와는 거리가 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피로의 예방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적작업으로 바꾼다.
  2. 개인마다 작업량을 조절한다.
  3. 작업과정에 적절한 간격으로 휴식시간을 둔다.
  4. 작업환경을 정비,정돈한다.
(정답률: 90%)
  • 정적작업으로 바꾼다는 것은 피로를 예방하기 위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며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작업량이나 휴식시간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피로 판정시 생화학적 검사항목인 것은?

  1. 혈액, 뇨단백
  2. 근력,근활동
  3. 대뇌피질 활동
  4. 호흡순환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피로 판정시 생화학적 검사항목으로 혈액과 뇨단백이 선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장시간 동안 반복적이고 지루한 작업을 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옮기거나, 긴 시간 동안 서서 일하는 등의 노동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노동은 근육과 관련된 물리적인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근육피로는 혈액 내의 물질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액 내의 생화학적 검사항목을 살펴보면 근육피로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노동 중에 땀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이러한 땀에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뇨에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노동 중에 발생하는 신체적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피로 판정시 생화학적 검사항목으로 혈액과 뇨단백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허용농도(TLV) 적용상 주의할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산업장의 유해조건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지침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2. 산업위생전문가에 의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3. 24시간 노출 또는 정상 작업시간을 초과한 노출에 대한 독성 평가에는 적용될 수 없다.
  4. 대기오염평가 및 관리에 적용될 수 없으며 단순히 독성의 강도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기오염평가 및 관리에 적용될 수 없으며 단순히 독성의 강도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다."이다. TLV는 산업장의 유해조건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지침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산업위생전문가에 의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24시간 노출 또는 정상 작업시간을 초과한 노출에 대한 독성 평가에는 적용될 수 없다. 그러나 TLV는 단순히 독성의 강도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며, 대기오염평가 및 관리에는 적용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간공학 활용시에는 3단계를 거쳐야 되는데 선택 단계에서 중요시하는 내용은?

  1. 인간과 기계 관계의 구성인자간 특성
  2. 인간과 기계가 각기 해야할 일
  3. 인간과 기계 관계의 실험적 검토
  4. 작업수행에 필요한 직종간의 연결성
(정답률: 58%)
  • 선택 단계에서 중요시하는 내용은 작업수행에 필요한 직종간의 연결성입니다. 이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력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작업환경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작업환경이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작업자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간과 기계 관계의 구성, 작업 내용, 실험적 검토 등도 중요하지만, 선택 단계에서는 작업환경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직종간의 연결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강도율을 알맞게 나타낸 것은?

  1. (일정기간의 재해건수/일정기간중 연근로시간수) × 1,000,000
  2. (일정기간의 재해건수/일정기간의 평균종업원수) × 1,000
  3. (일정기간중 근로손실일수/일정기간중 연근로시간수) × 1,000
  4. (일정기간중 재해건수/일정기간의 평균종업원수) × 1,0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율은 일정기간 동안 근로자들이 발생시킨 근로 손실일수를 일정기간 동안의 연근로시간수로 나눈 후 1,000을 곱한 값입니다. 이유는 근로자들이 발생시킨 근로 손실일수가 많을수록 강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근로 손실일수를 연근로시간수로 나누어 비율을 구하고, 이를 1,000을 곱하여 적절한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작업강도와 그에 따른 작업대사율의 범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경작업 : 0 ~ 2
  2. 격심작업 : 4 ~ 7
  3. 중작업 : 2 ~ 4
  4. 중등작업 : 1 ~ 2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강도가 높을수록 작업대사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강도가 중간 수준인 중작업과 작업대사율이 중간 수준인 중등작업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중등작업은 작업강도가 적당하면서도 작업대사율이 높아서, 일정 시간동안 작업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바람직한 교대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각 반의 근무시간은 8시간씩으로 한다.
  2. 야근 후 다음 반으로 가는 간격은 최저 48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3. 야근근무의 연속은 일주일(5-7일)정도가 좋다.
  4. 2교대면 최저 3조의 정원을 그리고 3교대면 4조 편성으로 한다.
(정답률: 84%)
  • "야근 후 다음 반으로 가는 간격은 최저 48시간을 가지도록 한다."는 바람직한 교대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다.

    야근근무의 연속은 일주일(5-7일)정도가 좋은 이유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연속적인 야근근무는 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생산성과 집중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일정한 교대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레이노씨 현상(Raynaud's Phenonmenon)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는?

  1. 고열
  2. 한냉
  3. 영양
  4. 소음
(정답률: 87%)
  • 레이노씨 현상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춥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혈관이 수축하여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는 "한냉"입니다. 한냉은 손이나 발이 한쪽만 차가워지는 것을 말하며, 이는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레이노씨 현상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레이노씨 현상을 가진 환자는 한냉을 피하기 위해 따뜻하게 입고, 손과 발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굴뚝 검댕과 음낭암의 관계를 밝혀내어 '굴뚝청소부법'을 제정토록한 사람은?

  1. Alice Hamilton
  2. Galen
  3. Percivall Pott
  4. Ramazzini
(정답률: 72%)
  • 굴뚝 검댕은 직업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그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Percivall Pott은 18세기 영국의 외과의사로서, 굴뚝 청소부들이 발생하는 골육종과 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굴뚝 청소부들이 검댕에 걸리는 것은 광물 성분이 포함된 연기와 먼지가 원인이라는 것을 밝혀내었습니다. 이로 인해 굴뚝 청소부들의 안전을 위한 법률인 '굴뚝청소부법'이 제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에너지 대사율(Relative Metabolic Rate )를 알맞게 나타낸 것은?

  1. 작업에 소요된 열량 / 기초대사량
  2. 기초대사량 / 작업대사량
  3. 작업대사량 / 기초대사량
  4. 기초대사량 / 작업에 소요된 열량
(정답률: 73%)
  • 에너지 대사율은 작업에 소요된 열량과 기초대사량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작업에 소요된 열량을 분자로, 기초대사량을 분모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대사량 / 기초대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직업성 피부질환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종
  2. 성별
  3. 피부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성별은 직업성 피부질환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 요인과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이는 직업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 작업 도구 및 물질, 개인적인 특성 등이 직업성 피부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성별은 직업성 피부질환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납중독의 증상이 아닌 것은?

  1. 말초신경염이나 손처짐등을 포함한 신경근육계통의 장해
  2. Coproporphyrin뇨
  3. 망상적혈구와 친염기성 점적혈구의 증가
  4. 마뇨산 생성 및 배설
(정답률: 75%)
  • 납중독은 신경계, 혈액, 내분비계 등 다양한 부위에 영향을 미치며, 말초신경염이나 손처짐 등을 포함한 신경근육계통의 장해, Coproporphyrin뇨, 망상적혈구와 친염기성 점적혈구의 증가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뇨산 생성 및 배설은 납중독의 증상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작업강도의 일반적인 평가 기준은?

  1. 혈당치변화량
  2. 작업시간 및 밀도
  3. 소비산소량
  4. 열량소비량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강도의 일반적인 평가 기준은 열량소비량입니다. 이는 작업 중 소비되는 열량의 양을 나타내며, 작업의 강도와 집중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혈당치변화량, 작업시간 및 밀도, 소비산소량은 모두 작업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이지만, 열량소비량은 그 중에서도 가장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피로의 증상 중에서 틀린 것은?

  1. 소변의 단백질 또는 교질물질의 배설량이 증가한다.
  2. 혈액내에 혈당치, 젖산량이 높아진다.
  3. 권태감, 졸음이 온다.
  4. 체온 조절기능이 저하된다.
(정답률: 67%)
  • 혈액내에 혈당치와 젖산량이 높아지는 것은 산업피로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장시간의 노동으로 인해 근육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에너지를 소모하고, 이로 인해 혈당치와 젖산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태는 근육통, 피로감, 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당뇨증이 있는 작업자에게 문제되는 작업은?

  1. 외상 받기 쉬운작업
  2. 고열작업
  3. 유해가스작업
  4. 정신적 긴장작업
(정답률: 55%)
  • 당뇨증은 혈당 조절에 문제가 있어서 상처가 잘 나고 치유가 느리기 때문에 외상 받기 쉬운 작업에서는 상처가 생길 확률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외상 받기 쉬운 작업은 당뇨증이 있는 작업자에게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규폐증은 공기 중 분진내에 어느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가?

  1. 유리규산
  2. 석면
  3. 탄소가루
  4. 크롬
(정답률: 64%)
  • 규폐증은 공기 중 분진내에 함유된 물질이 호흡기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유리규산은 유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유리 조각이나 분말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것이 호흡기로 들어가면 폐에 침착되어 염증을 일으키고 결국 규폐증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유리규산은 규폐증의 주요 원인 물질 중 하나입니다. 석면, 탄소가루, 크롬도 마찬가지로 호흡기로 들어가면 규폐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고압환경에서 생기는 잠함병(Caisson disease)의 주된 원인이 되는 물질은?

  1. 산소(O2)
  2. 이산화탄소(CO2)
  3. 일산화탄소(CO)
  4. 질소(N2)
(정답률: 59%)
  • 고압환경에서 질소(N2)가 용해되어 혈액과 조직액에 쌓이다가 갑작스런 감압으로 인해 기체로 변환되면서 생기는 공기 폭발과 같은 현상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 내의 기체가 혈관을 막아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증상이 잠함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공기중의 유해물질,분진등을 측정시 시료를 채취하지 않고 측정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filter sample
  2. blank sample
  3. random sample
  4. mean sampl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lank sample"입니다.

    공기중의 유해물질, 분진 등을 측정할 때는 측정기에 시료를 직접 채취하여 측정합니다. 그러나 측정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오차나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측정기에 시료를 채취하지 않고 똑같은 조건에서 측정한 값을 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시료가 바로 "blank sample"입니다. 즉, 측정기에 시료를 채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값을 "blank sample"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측정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오차나 외부적인 영향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음력이 0.1W의 작은 점음원으로 부터 100m 떨어진 곳의 음압레벨(SPL : dB)은? (단, SPL=PWL-20logr-11)

  1. 약 30
  2. 약 40
  3. 약 50
  4. 약 60
(정답률: 46%)
  • 음압레벨(SPL)은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PWL(압력레벨)과 거리(r)에 따라 결정된다. 거리(r)가 멀어질수록 SPL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WL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PWL을 구해야 한다.

    음력이 0.1W인 경우, PW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WL = 10log(0.1/10^-12) = 100dB

    그리고, 거리(r)는 100m이므로,

    SPL = PWL - 20logr - 11 = 100 - 20log100 - 11 = 100 - 40 - 11 = 49dB

    따라서, 정답은 "약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0.001N - NaOH 수용액 중에 있는 [H+]는?

  1. 1 × 10-3㏖/ℓ
  2. 1 × 10-13㏖/ℓ
  3. 1 × 10-11㏖/ℓ
  4. 1 × 10-5㏖/ℓ
(정답률: 40%)
  • NaOH는 강염기이므로, 수용액에서 NaOH는 Na+와 OH- 이온으로 이온화됩니다. 이때, OH- 이온은 수용액에서 H+ 이온과 결합하여 H2O로 중화됩니다. 따라서, [H+]는 OH- 이온의 농도에 의존하며, NaOH의 농도에 비례합니다. NaOH의 농도가 0.001N이므로, OH- 이온의 농도는 0.001N입니다. 이때, 수성계에서의 이온곱의 원리에 따라, [H+] × [OH-] = 1 × 10-14㏖/ℓ 이 성립합니다. 따라서, [H+] = 1 × 10-14㏖/ℓ ÷ [OH-] = 1 × 10-14㏖/ℓ ÷ 0.001N = 1 × 10-11㏖/ℓ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실리카겔에 포집된 극성의 유기용제를 가장 쉽게 탈착시키는 물질은?

  1. 증류수
  2. 이황화탄소
  3. 메틸렌클로라이드
  4. 클로로포름
(정답률: 50%)
  • 실리카겔은 극성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포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극성 물질을 탈착시키기 위해서는 극성을 가진 용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증류수는 극성을 가진 물질을 용해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또한 실리카겔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여 극성 물질을 쉽게 탈착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류수가 가장 쉽게 실리카겔에 포집된 극성의 유기용제를 탈착시키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떤 시점에서 수치를 넘어서는 안된다는 상한치를 뜻하는 것으로 항상 표시된 농도이하를 유지해야 할 때 물질 앞에 표시하는 기호는?

  1. TWA
  2. STEL
  3. C
  4. TL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이다. "C"는 Ceiling의 약자로, 물질 농도가 이 값을 넘어서면 작업장에서 노출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TWA"는 Time-Weighted Average, "STEL"은 Short-Term Exposure Limit, "TLV"는 Threshold Limit Value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물질 노출량에 대한 규제 기준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분진발생 작업장에서 2.5ℓ /min의 유량으로 5시간 시료를 포집하고 시료채취 전ㆍ후의 여과지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각각 0.0721g과 0.0742g이었다. 분진농도는?

  1. 2.4㎎/m3
  2. 2.8㎎/m3
  3. 3.4㎎/m3
  4. 3.8㎎/m3
(정답률: 67%)
  • 분진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료채취량 = 유량 × 시간 = 2.5 × 5 × 60 = 750 mL
    여과지 중 분진의 무게 = 0.0742 - 0.0721 = 0.0021 g

    분진농도 = 분진의 무게 / 시료채취량 × 1000
    = 0.0021 / 750 × 1000
    = 2.8 mg/m³

    따라서 정답은 "2.8㎎/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떤 한공정에서 연속해서 30분동안 소음을 측정한 결과 소음레벨이 65㏈(A) (14분), 70㏈(A) (10분), 75㏈(A) (4분), 80㏈(A) (2분)이 되었다. 이 지점의 등가소음레벨은 몇 ㏈(A)인가?

  1. 79
  2. 75
  3. 72
  4. 70
(정답률: 46%)
  • 등가소음레벨은 소음의 강도와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으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이 동일한 청각적인 불쾌함을 유발하는 소음의 레벨을 말한다. 따라서, 각 레벨의 데시벨 값을 A-척도의 데시벨 값으로 변환하여 계산해야 한다.

    먼저, 각 레벨의 데시벨 값을 A-척도의 데시벨 값으로 변환한다.

    65㏈(A) = 65㏈
    70㏈(A) = 70㏈
    75㏈(A) = 75㏈ + 3㏈ = 78㏈
    80㏈(A) = 80㏈ + 6㏈ = 86㏈

    다음으로, 등가소음레벨을 계산한다.

    등가소음레벨 = 10log(1/30 × 10^(65/10) + 1/30 × 10^(70/10) + 1/30 × 10^(78/10) + 1/30 × 10^(86/10)) = 70㏈

    따라서,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펌프의 유량을 보정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1차표준' 장비는?

  1. spirometer
  2. pitot tube
  3. soap bubble meter
  4. rota meter
(정답률: 59%)
  • soap bubble meter는 펌프의 유량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1차 표준 장비입니다. 이는 펌프에서 나오는 공기나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노즐에 분사하고, 분사된 공기나 가스가 특정 거리를 이동할 때 생성되는 거품의 수를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혼합유기용제의 구성비(중량비)는 다음 보기와 같았다. 이 혼합물의 허용농도(TLV)는?

  1. 837 ㎎/m3
  2. 887 ㎎/m3
  3. 937 ㎎/m3
  4. 987 ㎎/m3
(정답률: 40%)
  • 혼합물의 구성비를 계산하면 (0.5 × 800) + (0.3 × 1200) + (0.2 × 2000) = 960 mg/m³ 이다. 이 값은 TLV 중 최대값인 1000 mg/m³ 보다 작으므로, 허용농도는 혼합물의 구성비인 960 mg/m³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937 mg/m³이 가장 근접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비흡습성이므로 먼지의 중량 분석에 적절하며 특히 유리 규산을 채취하여 X선회절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절한 여과지는?

  1. MCE여과지
  2. 유리섬유여과지
  3. PVC막여과지
  4. 은막여과지
(정답률: 54%)
  • 유리 규산은 비흡습성이므로 여과지가 비흡습성이어야 합니다. 또한 X선회절법으로 분석할 때는 여과지가 X선을 투과하기 쉬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여과지 중 PVC막여과지가 가장 적합합니다. PVC막여과지는 비흡습성이며, X선을 투과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유리 규산의 중량 분석에 적합한 여과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0.1N - K2Cr2O7(분자량 294.18) 500㎖을 만들 때 K2Cr2O7의 필요량은 얼마인가?

  1. 2.45g
  2. 4.90g
  3. 7.35g
  4. 14.7g
(정답률: 19%)
  • K2Cr2O7의 몰질량은 294.18g/mol 이므로, 0.1N의 경우 1L(1000mL)의 용액에 몰질량 29.418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500mL의 용액에는 14.709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K2Cr2O7의 질량은 분자량 294.18g/mol에 해당하는 몰질량의 1/2배인 147.09g/mol 이므로, 14.709g의 용액에 포함된 K2Cr2O7의 몰수는 14.709g / 147.09g/mol = 0.0999mol 이다. 따라서 0.1N - K2Cr2O7 500mL을 만들기 위해서는 약 0.0999mol의 K2Cr2O7이 필요하며, 이에 해당하는 질량은 0.0999mol x 294.18g/mol = 29.38g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5g"이 아닌 "29.38g"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정한 물질에 대해 반복 측정ㆍ분석을 했을 때 자료분석치의 변동크기가 얼마나 작은가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정확도
  2. 참값
  3. 정밀도
  4. 대표값
(정답률: 50%)
  • 정밀도는 일정한 물질에 대해 반복 측정ㆍ분석을 했을 때 자료분석치의 변동크기가 얼마나 작은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밀도가 높을수록 측정 결과의 변동이 적어지므로 더욱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확도는 측정 결과가 참값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용어, 참값은 실제 값이나 기준값을 의미하는 용어, 대표값은 자료의 대표적인 값으로 평균, 중앙값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작업환경 공기 중의 헵타논(TLV 50ppm)이 20ppm이고, 트리클로로에틸렌(TLV 50ppm)이 10ppm이며, 테트라클로로에틸렌(TLV 50ppm)이 25ppm이다. 이러한 공기의 복합노출지수는? (단, 각 물질은 상가작용을 일으킨다)

  1. 0.9
  2. 1.0
  3. 1.1
  4. 1.2
(정답률: 77%)
  • 복합노출지수는 각 물질의 노출농도를 TLV로 나눈 후 제곱하여 더한 값의 제곱근이다. 따라서, 헵타논의 복합노출지수는 (20/50)^2 = 0.16,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복합노출지수는 (10/50)^2 = 0.04,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의 복합노출지수는 (25/50)^2 = 0.25 이다. 이들을 더한 후 제곱근을 취하면, 복합노출지수는 (0.16 + 0.04 + 0.25)^0.5 = 1.1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증류수 500㎖속에 순수한 H2SO4가 24.5g 용해되어 있다면 몇 M용액인가? (단, 황의 원자량은 : 32 )

  1. 0.1M
  2. 0.3M
  3. 0.5M
  4. 0.7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용액의 몰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용질의 몰수와 용액의 부피가 필요하다.

    용액의 몰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몰수 = 질량 ÷ 분자량

    여기서 용액에 용해된 황산의 질량은 24.5g 이고, 황산의 분자량은 98g/mol 이다.

    따라서 몰수 = 24.5 ÷ 98 = 0.25 mol 이다.

    다음으로 용액의 부피를 L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500 mL = 0.5 L 이므로,

    용액의 몰농도 = 몰수 ÷ 용액 부피 = 0.25 ÷ 0.5 = 0.5 M 이다.

    따라서 정답은 "0.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느 작업장의 SO2 측정 농도가 5ppm이었다. 이를 ㎎/m3 단위로 환산하면? (단, 원자량 S=32, O=16, 온도 25℃, 기압 750㎜Hg)

  1. 11.2
  2. 12.9
  3. 13.5
  4. 14.2
(정답률: 30%)
  • 먼저, ppm은 천만분의 일 단위이므로 1ppm의 농도는 1mg/L 또는 1㎎/m3에 해당한다. 따라서, SO2의 분자량을 계산해보면 64g/mol이다.

    그리고, 25℃에서 750㎜Hg의 기압에서 1m3의 체적에 들어있는 기체의 몰수는 24.45mol이다.

    따라서, 5ppm의 SO2 농도는 5mg/L 또는 5㎎/m3에 해당하며, 이를 몰수로 환산하면 5×10-6×24.45mol = 1.2225×10-4mol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를 SO2의 분자량인 64g/mol로 곱해주면 7.808×10-3g 또는 12.9㎎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액체 포집 방법의 시료 포집 원리가 아닌 것은?

  1. 용해
  2. 흡착
  3. 흡수
  4. 반응
(정답률: 34%)
  • 액체 포집 방법은 샘플 중에서 원하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때 시료를 포집하는 원리는 다양하다. 그 중에서 "흡착"은 시료 분리를 위해 고체 표면에 분자가 흡착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흡착"은 액체 포집 방법의 시료 포집 원리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래 도면의 사선으로 표시된 범위에 사용되는(산,염기) 지시약은?

  1. 메틸오렌지
  2. 메틸 레드
  3. 페놀프탈레인
  4. 페닐블루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에서 보이는 범위는 pH 8.3 ~ 10.0 사이의 염기성 용액이다. 이 범위에서 사용되는 지시약은 페놀프탈레인이다. 이유는 페놀프탈레인은 pH 8.2 이상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며, 이 범위에서는 염기성 용액을 감지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지시약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자흡광광도계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Hollow Cathode Lamp
  2. Atomizer
  3. Premix burner
  4. Electron Capture Detector
(정답률: 50%)
  • 원자흡광광도계의 주요 구성요소 중에서 "Electron Capture Detector"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원자흡광분석에서 사용되는 다른 탐지기입니다. 원자흡광광도계의 주요 구성요소는 "Hollow Cathode Lamp", "Atomizer", "Premix burner"입니다. "Hollow Cathode Lamp"은 원자를 발생시키는 램프이고, "Atomizer"는 시료를 분무하는 장치이며, "Premix burner"는 시료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진동이란 전신진동과 국소진동으로 구분하는데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3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 변위(displacement)
  2. 속도(velocity)
  3. 공명(resonance)
  4. 가속도(acceleration)
(정답률: 58%)
  • 전신진동과 국소진동으로 구분하는 것은 진동의 발생 위치에 따른 구분이며,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요소는 변위, 속도, 가속도입니다. 하지만 공명은 진동의 특성 중 하나로, 특정 주파수에서 진동이 크게 증폭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공명은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요소가 아니며,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활성탄관(흡착)을 사용하여 채취하기 용이한 시료가 아닌것은?

  1. 방향족 유기용제
  2. 비극성류의 유기용제
  3. 지방족아민류
  4. 알코올류
(정답률: 50%)
  • 활성탄관은 흡착 작용을 이용하여 시료 중 특정 물질을 분리 및 추출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지방족아민류는 활성탄관에 흡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채취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지방족아민류가 극성이 낮아서 활성탄관의 흡착 작용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방족아민류는 활성탄관을 사용하여 채취하기 어려운 시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한냉작업장에서 취해야 할 개인 위생상 준수해야할 사항들이 많다. 다음중 이에 해당되지 않는 내용은?

  1. 팔다리 운동으로 혈액순환 촉진
  2. 약간 큰 장갑과 방한화의 착용
  3. 건조한 양말의 착용
  4. 적절한 식염수의 섭취
(정답률: 65%)
  • 적절한 식염수의 섭취는 개인 위생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지만, 작업 중에 체내 염분과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작업 중에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체내 염분과 수분이 손실되기 때문에, 적절한 식염수를 섭취하여 체내 염분과 수분을 보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화학적 유해요인중 자극성 가스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염소(Cl2)
  2. 불소(F2)
  3. 암모니아(NH3)
  4. 일산화탄소(CO)
(정답률: 28%)
  • 일산화탄소(CO)는 무색, 무취이며 자극성이 없어서 자극성 가스로 보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일산화탄소는 매우 독성이 강하고 인체에 치명적인 가스입니다. 일산화탄소는 산소와 결합하지 않고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운반 능력을 감소시키고, 고농도의 일산화탄소를 흡입하면 뇌손상, 심장마비, 사망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는 자극성 가스로 보기 어렵지만 매우 위험한 유해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llergy성 접촉피부염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방법은?

  1. 면역글로부린 검사
  2. 조직검사
  3. 첩포검사
  4. 일반혈액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첩포검사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원인물질을 찾아내는데 가장 유용한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피부에 원인물질을 노출시키고 그 후에 피부에 생긴 반응을 관찰하여 원인물질을 찾아냅니다. 따라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귀덮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귀마개보다 차음효과는 작지만 개인차가 적고 보호구 착용여부가 쉽게 확인된다.
  2. 귀마개보다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법이 틀리거나 잃어 버리는 일이 적다.
  3. 귀에 질병이 있을때도 사용이 가능하다.
  4. 크기를 여러가지로 할 필요없다.
(정답률: 40%)
  • "귀마개보다 차음효과는 작지만 개인차가 적고 보호구 착용여부가 쉽게 확인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귀마개보다 차음효과는 작지만 개인차가 적고 보호구 착용여부가 쉽게 확인된다는 것이 귀덮개의 장점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 중에서 틀린 것을 찾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열경련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단시간의 급속한 고온환경 폭로후에 일시적으로 오는 생체작용이다.
  2. 체온이 상승하고 혈중 Cl-이온 농도가 현저히 감소한다.
  3.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온다.
  4. 복부와 사지 근육에 강직, 동통이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시간의 급속한 고온환경 폭로후에 일시적으로 오는 생체작용이다."가 알맞지 않은 것이다. 열경련은 급격한 체온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근육 경련으로, 체온이 상승하고 혈중 Cl-이온 농도가 감소하며 복부와 사지 근육에 강직, 동통이 일어나고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해화학물질이 체내로 침투되어 해독되는 경우 해독반응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은?

  1. 적혈구
  2. 효소
  3. 림프
  4. 백혈구
(정답률: 70%)
  • 유해화학물질이 체내로 침투되면, 그것을 해독하기 위해 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효소는 화학반응을 촉진하거나 억제하여 유해물질을 해체하거나 변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효소의 작용은 해독반응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유해물질이 체내에서 제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환경개선에 관한 다음의 기술중 잘못된 것은?

  1. 분진작업에는 습식으로 하는 방법의 고려가 필요함.
  2.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능한한 휘발성이 적은 물질로 대체함
  3. 제진장치의 선정에 있어서는 함유분진의 입경 분포를 고려함
  4. 전체환기장치의 경우 공기의 입구와 출구를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환기효과를 증대함
(정답률: 47%)
  • 전체환기장치의 경우 공기의 입구와 출구를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여 환기효과를 증대함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이 기술은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여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과정 중에서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입자로서 투과력은 가장 약하나 전리작용은 가장 강하며, 투과력이 약하기 때문에 외부조사로 건강상의 위해가 오는 일은 드물지만, 동위 원소를 흡입, 섭취할때의 내부조사로 심한 위해를 일으키는 전리방사선은?

  1. 중성자
  2. x선
  3. α 선
  4. β 선
(정답률: 25%)
  • α 선은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입자로서 전자와 양전하를 가진 헬륨 원자핵이다. 이 입자는 전자와 달리 질량이 크고 전하를 가지고 있어서 물질과 상호작용이 강하다. 따라서 내부조사로 인해 발생하는 전리방사선 중에서 가장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흡입분진의 종류에 따른 진폐증의 분류를 아래에 적었다. 유기성 분진에 의한 진폐증을 고르면?

  1. 농부폐증
  2. 용접공폐증
  3. 탄소폐증
  4. 규폐증
(정답률: 70%)
  • 농부폐증은 유기성 분진에 의한 진폐증으로,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기르는 농부들이 농약, 비료, 동물 분비물 등의 유기성 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호흡기로 흡입되어 폐에 침착되어 염증과 결절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 진행될 경우 호흡기능 저하와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중 고압환경에 폭로될 때 4기압이상의 공기중 질소가스에 의해 마취작용을 나타내는 질환은?

  1. 다행증
  2. 산소중독
  3. 잠함병
  4. 동통성 관절장해
(정답률: 알수없음)
  • 다행증은 고압환경에서 질소가 혈액과 조직에 용해되어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마취작용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고압환경에서 폭로될 때 4기압이상의 공기중 질소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다행증이 정답입니다. 산소중독은 고압환경에서 산소가 과다하게 공급되어 발생하는 질환, 잠함병은 고압환경에서 발생하는 수면장애, 동통성 관절장해는 고압환경에서 발생하는 관절통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한냉 환경에서 일어나는 제2도 동상의 증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수포를 가진 광범위한 삼출성 염증이 일어난다.
  2. 따갑고 가려운 감각이 생기고 혈관이 확장하여 발적이 생긴다.
  3. 심부조직까지 동결하면 창백하고 조직의 괴사와 괴저가 일어난다.
  4. 피부가 동결하면 창백하고 감각이 둔해지며 황백색으로 변한다.
(정답률: 64%)
  • 한냉 환경에서 일어나는 제2도 동상의 증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수포를 가진 광범위한 삼출성 염증이 일어난다." 이다. 이는 한냉 환경에서 발생하는 동상의 특징 중 하나로, 저온으로 인해 혈관이 수축하고 혈액순환이 감소하면서 조직 내부의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부족해지고, 이에 따라 염증 반응이 일어나 수포가 생기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국소진동의 경우에 주로 문제가 되는 주파수 범위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2 ~ 100 Hz
  2. 8 ~ 1500 Hz
  3. 1000 ~ 4000 Hz
  4. 4000 ~ 6000 Hz
(정답률: 50%)
  • 국소진동은 일반적으로 8 ~ 1500 Hz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 주파수 대역과 유사하며, 이 범위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그 외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소진동 문제에서는 이 범위를 가장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폐결핵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진폐증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질병은?

  1. 규폐증
  2. 면폐증
  3. 농부폐증
  4. 석면폐증
(정답률: 알수없음)
  • 규폐증은 광물인 규산염을 많이 노출한 직업에서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질병 중 하나입니다. 규산염은 폐에 침착되어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호흡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폐결핵과 같이 호흡기계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재질이 일정하지 않고 균일하지 않아 정확한 설계가 곤란 하며 처짐을 크게 할 수 없어 진동방지라기 보다는 고체음의 전파방지에 유익한 방진재료는?

  1. 방진고무
  2. 공기용수철
  3. 코르크
  4. 금속코일용수철
(정답률: 80%)
  • 코르크는 구멍이 많고 부드러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진동을 흡수하고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고체음의 전파를 방지하는 데에 유익한 방진재료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방진고무나 공기용수철은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적고, 금속코일용수철은 진동을 전달하는 효과가 있어 진동방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총분진의 허용농도를 제1종, 제2종, 제3종 분진으로 나누는데 대표적인 기준 물질은?

  1. 산화철(FeO)
  2. 유리규산(SiO2)
  3. 실리콘(Silicon)
  4. 석면(Asbestos)
(정답률: 64%)
  • 유리규산은 대기 중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미세먼지 중 하나이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총분진의 허용농도를 제1종, 제2종, 제3종 분진으로 나눌 때 대표적인 기준 물질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작업환경 개선대책중 대치의 방법이 아닌 것은?

  1. 물질의 변경
  2. 사람의 변경
  3. 시설의 변경
  4. 공정의 변경
(정답률: 72%)
  • 사람의 변경은 작업환경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교육이나 훈련 등을 통해 작업환경에 대한 인식이나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므로 작업환경 개선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사람의 변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해 광선중 3200 ∼ 3800Å 파장에서 상피층 즉 각화층과 말피기층(malpighian layer)에서 흡수되며 피부에 홍반작용과 색소침착을 일으키는 광선은?

  1. 자외선
  2. 적외선
  3. 레이저광선
  4. 마이크로파
(정답률: 77%)
  • 유해 광선 중 3200 ~ 3800Å 파장은 자외선에 해당합니다. 이 파장의 자외선은 피부의 각화층과 말피기층에서 흡수되어 홍반작용과 색소침착을 일으키기 때문에 유해한 광선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외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접적인 마취작용은 없으나 체내에서 가수분해하여 2차적으로 마취작용을 내는 화학물질은?

  1. 에스테르류
  2. 파라핀계탄화수소
  3. 이소프로필에테르
  4. 아세틸렌계탄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에스테르류는 체내에서 가수분해되어 프로피온산, 아세트산 등의 화학물질로 분해됩니다. 이러한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화학물질들이 마취작용을 내는데 기여하게 됩니다. 따라서 에스테르류는 직접적인 마취작용은 없지만, 간접적으로 마취작용을 내는 화학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시광선의 조명부족에 의한 피해증상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안정피로
  2. 안구진탕증
  3. 녹내장
  4. 눈의 피로
(정답률: 46%)
  • 녹내장은 가시광선의 조명부족과는 관련이 없는 안과 질환으로서, 안압이 증가하여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력이 점차 감소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가시광선의 조명부족에 의한 피해증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잠수부가 수심 20m인 곳에서 작업하는 경우 이 근로자에게 작용하는 절대압은?

  1. 2기압
  2. 3기압
  3. 4기압
  4. 5기압
(정답률: 73%)
  • 잠수부가 수심 20m인 곳에서 작업하는 경우, 물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수심이 깊어질수록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 경우, 수심 10m마다 약 1기압씩 증가하므로, 수심 20m에서는 2기압의 압력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기압"이 아닌 "3기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송풍기 설계시 주의사항으로 적합치 아니한 것은?

  1. 송풍량과 송풍압력을 완전히 만족시켜 예상되는 풍량의 변동범위내에서 과부하하지 않고 완전한 운전이 되도록 한다.
  2. 송풍관의 중량을 송풍기에 가중시키지 않는다.
  3. 송풍배기의 입자농도와 그 마모성을 참작하여 송풍기의 형식과 내마모구조를 고려한다.
  4. 송풍기와 배관간에 Flexible bypass를 설치하여 송풍압력의 변동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송풍기와 배관간에 Flexible bypass를 설치하여 송풍압력의 변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적합한 주의사항입니다. 이는 송풍압력의 변동으로 인한 송풍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송풍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적합한 주의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산업환기시스템 점검시 피토관을 이용하여 그림과 같은 측정지점(송풍기앞과 뒤)에서 정압과 동압을 측정하였다. 정압과 동압 정값의 부호(+ 혹은 -)를 바르게 표기한 것은?

(정답률: 28%)
  • 송풍기 앞과 뒤의 측정지점에서 측정한 정압과 동압의 값은 다음과 같다.

    송풍기 앞: 정압 1000Pa, 동압 980Pa
    송풍기 뒤: 정압 980Pa, 동압 980Pa

    여기서 정압과 동압의 정의를 다시 한번 상기해보자. 정압은 유체가 정지한 상태에서의 압력을 의미하며, 동압은 유체가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압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송풍기 앞에서 측정한 정압은 1000Pa이지만, 송풍기 뒤에서 측정한 정압은 980Pa이다. 이는 송풍기가 유체를 흡입하여 압력을 낮추기 때문이다. 반면에 동압은 유체가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압력이므로, 송풍기 앞과 뒤에서 측정한 값이 동일하다.

    따라서 정압의 값은 송풍기 앞에서 측정한 값이 더 크므로 (+) 부호를, 동압의 값은 송풍기 앞과 뒤에서 측정한 값이 동일하므로 (0) 부호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톨루엔은 0℃일 때 증기압이 6.8mmHg이고 25℃일 때는 증기압이 28.4mmHg이다. 기온이 0℃일 때와 25℃인 경우의 포화농도 차이는?

  1. 약 28,400ppm
  2. 약 36,400ppm
  3. 약 42,100ppm
  4. 약 50,200ppm
(정답률: 알수없음)
  • 증기압과 포화농도는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증기압이 4배가 되면 포화농도도 4배가 된다. 따라서, 25℃일 때의 증기압인 28.4mmHg를 6.8mmHg로 나누면 약 4.17이 나온다. 이는 0℃일 때의 포화농도가 4.17배 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5℃일 때의 포화농도인 약 28,400ppm을 4.17로 나누면 약 6,800ppm이 나오고, 이를 0℃일 때의 포화농도인 0ppm에 더하면 약 28,400pp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28,400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후드 개구면 속도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방법이 아닌것은?

  1. 테이퍼 부착
  2. 분리날개 설치
  3. 차폐막 사용
  4. 개구면적의 최소화
(정답률: 36%)
  • 개구면적의 최소화는 후드 내부의 공기 흐름을 최적화하여 속도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테이퍼 부착, 분리날개 설치, 차폐막 사용은 모두 후드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선하여 속도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방법이지만, 개구면적의 최소화는 후드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선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개구면적의 최소화가 후드 내부의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며, 다른 방법들은 이를 보완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1600℃이고 직경이 1.5m 인 원형 열처리로 상방에 캐노피형(레시바식)후드를 설치하고자 한다. 캐노피형 후드의 높이를 0.9m로 할 때 후드 개구면의 직경은?

  1. 2.18m
  2. 2.22m
  3. 2.40m
  4. 3.31m
(정답률: 1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사이크론 제진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사이크론 입구의 유속이 된다. 다음중 적당한 유입유속(m/sec)범위는? (단, 접선 유입식 기준이며 원통상부에서 접선방향)

  1. 1.5 ~ 5.0
  2. 5.0 ~ 10
  3. 7 ~ 15
  4. 20 ~ 30
(정답률: 48%)
  • 사이크론 입구의 유속은 입구의 크기와 입구에 유입되는 가스의 유속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사이크론 제진장치에서는 입구에서의 유속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효율적인 제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당한 유입유속 범위는 입구 크기와 가스 유속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7~15m/sec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입구에서의 유속이 너무 높아져서 가스 입구에서의 제진 효율이 떨어지거나, 반대로 너무 낮아져서 입구에서의 입자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이크론 제진장치에서는 적당한 유입유속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범위는 7~15m/sec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수증기 발생시 필요 환기량을 구하는 식은? (단, Q(m3/hr) : 필요환기량, Hs(㎉/hr) : 열부하, W(㎏/hr) : 수증기 부하량, △G(㎏/㎏건기) : 급배기의 절대습도차, △t=급배기의 온도차)

  1. Q = Hs / 0.3Δ t
  2. Q = Hs / 1.2Δ t
  3. Q = W / 0.3Δ G
  4. Q = W / 1.2Δ G
(정답률: 알수없음)
  • 수증기 부하량은 환기 시에 제거되어야 하므로 필요 환기량은 수증기 부하량에 비례합니다. 하지만 급배기의 절대습도차에 따라 필요한 환기량이 달라지므로, 급배기의 절대습도차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때, 급배기의 절대습도차가 1 kg/kg 건기일 때, 필요 환기량은 수증기 부하량을 1.2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Q = W / 1.2Δ 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국소 배기의 압력을 나타내는 수주(㎜H2O)는 대기의 기압(760㎜Hg)을 기준으로하여 표현한다. 대기 1기압에서 수주는?

  1. 10336㎜H20
  2. 10421㎜H20
  3. 10512㎜H20
  4. 10621㎜H20
(정답률: 39%)
  • 국소 배기의 압력을 나타내는 수주는 대기의 기압을 기준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대기 1기압에서 수주는 0㎜H2O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336㎜H2O"가 아닌 다른 것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후드의 유입 계수가 0.7이고 속도압(동압)이 20mmH20라면 압력손실은?

  1. 약 10 mmH2O
  2. 약 15 mmH2O
  3. 약 20 mmH2O
  4. 약 35 mmH2O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손실은 유입 계수와 속도압(동압)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압력손실은 0.7 x (20)^2 = 280 mmH2O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약 20 mmH2O"가 아니라 "약 280 mmH2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용해로가 있는 작업장에 환기를 위해 자연환기를 실시하고자 한다. 작업장 상부에 자연환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창문은 항상 열려있다면, 다음 중 가장 높은 환기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계절은? (단, 풍속 및 풍향은 동일하다고 가정)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알수없음)
  • 겨울이 가장 높은 환기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계절이다. 이는 겨울이 다른 계절에 비해 창문을 열어두었을 때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작업장으로 유입되면서 작업장 내부의 더운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환기효율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폭발농도 하한치(lower explosive limit,LEL)가 25%이면 화재나 폭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중 농도가 몇 ppm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가? (단, 안전계수는 고려하지 않는다)

  1. 25,000 ppm 이하
  2. 25,000 ppm 이상
  3. 250,000 ppm 이하
  4. 250,000 pp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LEL은 공기와 가스의 혼합물에서 가스의 최소 농도를 나타내는데, 이 값이 25%이므로 공기와 가스의 혼합물에서 가스의 최대 농도는 75%이다. 따라서 기중 농도는 75% × 1,000,000 ppm = 750,000 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기중 농도가 250,000 ppm 이하로 유지되면 안전한 범위 내에 있으므로 정답은 "250,000 ppm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주관에 45° 로 분지관이 연결되어 있다. 주관입구와 분지관의 속도압은 10㎜H2O로 같고 압력손실계수는 각각 0.2와 0.28이다. 주관과 분지관의 합류로 인한 압력손실은?

  1. 약 3㎜H2O
  2. 약 5㎜H2O
  3. 약 7㎜H2O
  4. 약 9㎜H2O
(정답률: 50%)
  • 압력손실계수는 유체의 흐름 상태와 관련된 값으로, 흐름이 원활할수록 작아지고, 흐름이 불안정할수록 커진다. 따라서 주관의 압력손실계수가 분지관의 압력손실계수보다 작으므로 주관에서 분지관으로 유체가 흐를 때 압력손실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주관과 분지관의 합류로 인한 압력손실은 약 5㎜H2O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관내기류의 단위체적당 유체에 작용하는 힘 즉 압력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 압력은 정압, 동압 및 전압 3종류로 구분된다.
  2. 전압은 단위 유체에 작용하는 정압과 동압의 총합이다.
  3. 동압을 때로는 저항압력 또는 마찰압력 이라고도 한다.
  4. 정압은 단위체적의 유체가 갖는 에너지로서 유체 부분에 압축작용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은 단위 유체에 작용하는 정압과 동압의 총합이다."가 잘못된 것이다. 전압은 압력과 관련된 개념이 아니라 전기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동압은 유체가 흐르는 물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말한다. 이때 유체의 속도나 방향에 따라 압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저항압력 또는 마찰압력이라고도 한다.

    정압은 유체가 일정한 부피 내에서 가지는 압력을 말한다. 이는 유체의 부피나 형태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압력은 정압, 동압 및 전압 3종류로 구분된다."와 "정압은 단위체적의 유체가 갖는 에너지로서 유체 부분에 압축작용을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Hood의 길이가 1.25m, 폭이 0.25m 인 외부식 슬롯형후드를 설치하고자 한다. 포집점과의 거리가 1.0m, 포집 속도는 0.5m/sec 일 때 송풍량은? (단, 플랜지가 없으며 공간에 위치하고 있음)

  1. 약 80 m3/min
  2. 약 100 m3/min
  3. 약 120 m3/min
  4. 약 140 m3/min
(정답률: 알수없음)
  • 송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송풍량 = (후드의 폭 × 후드의 길이 × 속도) ÷ 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송풍량 = (0.25m × 1.25m × 0.5m/sec) ÷ 1.0m

    송풍량 = 0.15625 m3/sec

    송풍량을 분 단위로 변환하면,

    송풍량 = 0.15625 m3/sec × 60 sec/min

    송풍량 = 9.375 m3/min

    따라서, 정답은 "약 80 m3/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송풍기 압이 100mmH2O이다. 이때 풍량은 150m3/min, 효율은 0.7일 때 소요동력(KW)은?

  1. 3.5
  2. 4.0
  3. 3.0
  4. 4.5
(정답률: 34%)
  •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요동력 = (풍량 × 압력) ÷ (효율 × 102 × 밀도)

    여기서,

    - 풍량: 150m3/min
    - 압력: 100mmH2O = 0.098kPa (1mmH2O = 0.098kPa)
    - 효율: 0.7
    - 밀도: 대기 중의 평균 밀도는 1.2kg/m3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소요동력 = (150 × 0.098) ÷ (0.7 × 102 × 1.2) ≈ 3.5

    따라서, 정답은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유해가스 처리법중 회수가치가 있는 불연성 희박농도가스의 처리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촉매 산화법
  2. 연소법
  3. 흡수법
  4. 흡착법
(정답률: 20%)
  • 희박농도의 불연성 가스는 대기오염물질로서 처리가 필요하지만, 회수가치가 있기 때문에 폐기물로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흡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흡착법은 희박농도의 가스를 고체 흡착제에 흡착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회수가치가 있는 가스를 회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흡착제는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처리 후에는 폐기물로 처리하기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희박농도의 불연성 가스 처리에는 흡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떤 공장에서 1시간에 2ℓ 의 메틸 에틸 케톤이 증발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다. K치는 6, 분자량은 72.06, 비중은 0.805 이며 허용기준 TLV는 200ppm이라면 이 작업장을 전체환기 시키기 위한 필요환기량(m3/min)은?

  1. 146
  2. 189
  3. 214
  4. 272
(정답률: 50%)
  • 먼저, TLV는 200ppm 이므로, 1m3의 공기 중에는 메틸 에틸 케톤이 200/106 × 72.06 × 0.805 = 0.0116g 이하로 함유되어야 한다.

    따라서, 1시간에 방출되는 메틸 에틸 케톤의 양은 2ℓ × 0.805 × 200/106 × 72.06 = 0.0233g 이다.

    필요환기량은 이 양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이므로, 필요환기량 = 0.0233 ÷ 0.0116 = 2m3/분 이다.

    따라서, 전체환기 시키기 위한 필요환기량은 2 × 60 = 120m3/시간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272" 인 이유는, 이 작업장의 부피가 120 ÷ 2 = 60m3 이므로, 전체환기 시키기 위한 필요환기량은 60 × 4.53 = 272m3/분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국소환기 시설에서 송풍관의 재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스텐레스 강판
  2. 흑피 강판
  3. 아연도금 강판
  4. 중질 콘크리트
(정답률: 40%)
  • 유기용제는 부식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송풍관의 재질은 부식에 강한 아연도금 강판이 가장 적합하다. 스텐레스 강판도 부식에 강하지만 비용이 높고, 흑피 강판은 부식에 약하며 중질 콘크리트는 유기용제와의 반응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시멘트, 미분탄, 곡물, 모래 등의 고농도 분진이나 마모성이 강한 분진 이송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심력 송풍기는?

  1. 프로펠러 송풍기
  2. 전향 날개형 송풍기
  3. 후향 날개형 송풍기
  4. 방사 날개형 송풍기
(정답률: 34%)
  • 방사 날개형 송풍기는 원심력이 강하고, 입구와 출구가 직선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고농도 분진이나 마모성이 강한 분진을 이송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송풍기들과는 달리 분진이 충돌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분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분진 및 유해화학 물질이 발생되는 작업장에 설치하는 국소 배기장치 후드의 설치상 기본 유의사항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발산원의 상태에 맞는 형과 크기일 것
  2. 발산원 부근에 최소 반송속도를 만족하는 정상기류를 만들 것
  3. 작업자가 후드에 흡인되는 오염기류내에 들어가거나 폭로되지 않도록 배치할 것
  4.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할 것"은 국소 배기장치 후드의 설치상 기본 유의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발산원 부근에 최소 반송속도를 만족하는 정상기류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이를 만족하지 않으면 오염물질이 후드로 흡입되지 않고 작업자나 주변 환경으로 퍼져서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후드의 위치와 크기, 배기량 등을 조절하여 최적의 정상기류를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