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8-08)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04-08-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1775년 영국에서 굴뚝청소부로 사역하였던 10세미만의 어린이에게서 음낭암을 발견한 사람은?

  1. T.M Legge
  2. Gulen
  3. Coriga
  4. Percival pott
(정답률: 100%)
  • Percival Pott은 1775년 영국에서 굴뚝청소부로 일하던 어린이들 중 음낭암을 발견한 최초의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피로에 관한 내용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과로는 피로의 축적으로 단기간 휴식으로 회복될 수 없는 발병단계의 피로이다.
  2. 정신피로와 신체피로는 보통 함께 나타나므로 구별하기 어렵다.
  3. 국소피로와 전신피로는 신체피로 부위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구분된다.
  4. 피로는 고단하다는 주관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다.
(정답률: 47%)
  • "과로는 피로의 축적으로 단기간 휴식으로 회복될 수 없는 발병단계의 피로이다."가 알맞지 않은 것이다. 과로는 일시적인 피로 상태를 말하며, 충분한 휴식으로 회복될 수 있다. 발병단계의 피로는 만성적인 피로 상태를 말하며, 휴식으로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안간공학을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합리화시키는 것' 이라고 정의를 내린 과학자는?

  1. Ramazzini, B
  2. Barnes, B
  3. Tayler, R.E
  4. Woodson, W.E
(정답률: 알수없음)
  • Woodson, W.E은 안간공학을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합리화시키는 것으로 정의한 과학자이다. 이는 안간공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인간공학적 설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작업강도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작업강도는 일반적으로 열량소비량을 기준으로 한다.
  2. 작업할 때 소비되는 열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성별, 연령별 및 체격의 크기를 고려한 작업대사율이라 하는 지수를 사용한다.
  3. 작업대사량은 작업강도를 전체적으로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4. 작업대사율은 [작업대사량/기초대사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정답률: 60%)
  • 작업대사량은 작업강도를 전체적으로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작업대사량은 작업할 때 소비되는 열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성별, 연령별 및 체격의 크기를 고려한 지수를 사용한다. 작업강도는 일반적으로 열량소비량을 기준으로 한다. 작업대사율은 [작업대사량/기초대사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신체적 결함과 문제되는 작업을 틀리게 짝지은 것은?

  1. 비만증 - 고열작업
  2. 고혈압 - 정신적 긴장작업
  3. 당뇨증 - 유기용제를 다루는 화공작업
  4. 심계항진 - 중근작업
(정답률: 45%)
  • 당뇨증은 인슐린 분비 부족이나 인슐린 작용 부전으로 인해 혈당 조절이 어려운 질환입니다. 유기용제를 다루는 화공작업은 유해한 화학물질을 다루는 작업으로, 이 작업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당뇨증 환자의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당뇨증과 유기용제를 다루는 화공작업은 틀리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수족신경마비, 시신경장해, 정신이상, 보행장해 등을 가져오는 '미나마타병'이란 어떤 금속에 중독되었을 때 나타나는 질병인가?

  1. Hg
  2. Pb
  3. Cr
  4. Cd
(정답률: 58%)
  • 미나마타병은 수은(Hg)에 중독되었을 때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수은은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수족신경마비, 시신경장해, 정신이상, 보행장해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H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경영자에 대한 산업보건교육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2. 언제하여야 하는가
  3. 왜 하여야 하는가
  4.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
(정답률: 82%)
  • "왜 하여야 하는가"가 가장 적절한 것이다. 이유는 경영자가 산업보건교육을 받는 이유를 이해하고 인식하면, 그에 따른 적극적인 대응과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경영자가 산업보건에 대한 인식과 역할을 이해하면, 조직 내에서 산업안전 및 보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는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PWC(육체적 작업능력)이 16kcal/min인 근로자가 물체운반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대사량은 7kcal/min, 휴식시의 대사량이 2.0kcal/min이라면 적절한 휴식시간은? (단, Hertig의 식을 이용, 1일 8시간 작업기준)

  1. 매시간 약 5분 휴식하고 55분 작업
  2. 매시간 약 10분 휴식하고 50분 작업
  3. 매시간 약 15분 휴식하고 45분 작업
  4. 매시간 약 20분 휴식하고 40분 작업
(정답률: 67%)
  • Hertig의 식은 일정한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을 가지고 작업을 수행할 때 최적의 휴식시간을 계산하는 식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PWC, 작업대사량, 휴식시 대사량이 주어졌으므로 Hertig의 식을 이용하여 적절한 휴식시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Hertig의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적절한 휴식시간 = 작업시간 x 작업대사량 / (PWC - 작업대사량) - 휴식시 대사량

    여기서 작업시간은 1시간으로 가정하고 계산하면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휴식시간 = 1 x 7 / (16 - 7) - 2.0 = 0.875 시간 = 52.5 분

    따라서, 매시간 약 20분 휴식하고 40분 작업이 적절한 휴식시간입니다.

    이유는 작업시간이 길어질수록 피로가 쌓이고 작업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휴식을 취하면 피로를 효과적으로 풀어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휴식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작업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휴식시간을 계산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떤 근로자에 약한 손(오른손잡이인 경우 왼손)의 힘이 약 50kp(kilopond) 정도이다. 이 근로자가 무게 20kg인 상자를 두 팔로 들어올릴 경우 작업강도(%MS)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84%)
  • 작업강도는 근로자가 들어올리는 물체의 무게와 근로자의 최대 근력(약한 손의 힘)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근로자의 최대 근력은 50kp이고, 들어올리는 물체의 무게는 20kg이므로 작업강도는 (20kg × 9.8m/s²) ÷ (50kp × 9.8m/s²) × 100% = 20%가 된다. 즉, 이 근로자가 최대한의 노력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무게는 20kg이며, 이를 들어올리는 작업은 작업강도 20%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만성중독시의 특징으로 코점막의 염증, 비중격천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물질은?

  1. 크롬
  2. 망간
  3. 니켈
(정답률: 84%)
  • 크롬은 만성중독시 코점막의 염증, 비중격천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물질입니다. 이는 크롬이 호흡기로 흡입되어 코점막을 자극하고, 비중격천공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크롬은 금속가공, 전기제품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물질로, 작업장 내에서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독일의 의사이자 광물학자인 그는 저서 『광물에 대하여』에서 광업에 관련된 유해성을 언급하였으며, 이 저서는 1912년 Hoover(후에 미국 대통령이 됨)부부에 의해 번역 되기도 한 그는 누구인가?

  1. Georgius Agricola
  2. Philippus Paracelsus
  3. Pliny the Elder
  4. Bernardino Ramazzini
(정답률: 40%)
  • Georgius Agricola는 광물학자이며, 『광물에 대하여』라는 저서에서 광업에 관련된 유해성을 언급하였다. 이 책은 1912년 Hoover 부부에 의해 번역되기도 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NIOSH에서는 MPL(Maximum permissible limit)을 초과하는 경우 대책으로서 권고하고 있는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1. 반드시 공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중량물 취급작업을 다시 설계한다.
  2. 적절한 근로자의 선택과 적정배치 및 훈련, 그리고 작업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3. 대부분의 정상근로자들에게 적절한 작업조건이다.
  4. 문제있는 근로자를 적절한 근로자로 교대시킨다.
(정답률: 93%)
  • MPL을 초과하는 경우, 적절한 대책으로는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공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중량물 취급작업을 다시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MPL을 준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산업위생전문가의 책임에 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문분야로서의 산업위생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킨다.
  2. 위험요소와 예방조치에 대해 근로자와 상담한다.
  3. 일반대중에 관한 사항은 정직하게 발표한다.
  4. 궁극적 책임은 고객의 건강보호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대중에 관한 사항은 정직하게 발표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이다. 이는 산업위생전문가의 역할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궁극적 책임은 고객의 건강보호에 있다."는 산업위생전문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내용이다. 이는 산업위생전문가가 담당하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위생전문가는 항상 고객의 건강보호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책임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노출농도가 100ppm인 톨루엔을 취급하는 작업에서 1일 10시간 작업을 할 때 8시간 기준의 보정된 노출농도는? (단, Brief-Scala의 보정방법 적용)

  1. 80 ppm
  2. 70 ppm
  3. 115 ppm
  4. 125 ppm
(정답률: 알수없음)
  • Brief-Scala의 보정방법은 작업시간과 노출농도를 고려하여 8시간 기준의 노출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일 10시간 작업에서 8시간 기준의 보정된 노출농도는 100ppm x (8시간/10시간)^(1/2) = 70 ppm 이다. 따라서 정답은 "70 pp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업의 강도는 작업대사율(relative metabolic rate, RMR)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중(重)작업의 작업대사율은?

  1. 0∼1
  2. 1∼2
  3. 2∼4
  4. 4∼7
(정답률: 63%)
  • 중(重)작업의 작업대사율은 4∼7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걷기, 가벼운 물건 들기, 가벼운 기계 작동 등과 같은 작업에 해당한다. 이 작업들은 일반적으로 심한 신체적 노동을 요구하지 않지만, 일정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은 중간 강도의 작업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작업대사율이 2인 경우 일반적인 실동율(%)은?

  1. 65
  2. 75
  3. 85
  4. 95
(정답률: 90%)
  • 작업대사율이 2인 경우, 한 명의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동안 다른 작업자는 대기하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실동율은 50%가 됩니다. 그러나 작업자들이 서로 보조하거나 동시에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실동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실동율이 75%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00명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공장에서 1년 동안 6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도수율은? (단, 1일 8시간 근무, 연간 평균 300일 근로 기준)

  1. 12
  2. 18
  3. 21
  4. 25
(정답률: 80%)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건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년 동안 발생한 재해의 빈도를 구해야 한다.

    1일 8시간 근무이므로 1명의 근로자는 하루에 1/3의 시간을 공장에서 보내게 된다. 따라서 100명의 근로자는 하루에 100/3 시간을 공장에서 보내게 된다.

    연간 평균 근로일수는 300일이므로, 100명의 근로자가 1년 동안 공장에서 보내는 시간은 100/3 x 300 시간이 된다.

    6건의 재해가 발생했으므로, 도수율은 6 / (100/3 x 300) = 6 / 10000 = 0.0006이 된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백분율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도수율은 0.06%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5"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에서 산업위생과 관련된 최초의 법령은 근로기준법이라 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이 공포된 시기는?

  1. 1948년
  2. 1953년
  3. 1958년
  4. 1963년
(정답률: 39%)
  • 근로기준법은 1953년에 공포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정부가 설립된 이후 최초의 노동법으로,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산업위생과 관련된 사항도 포함되어 있어, 우리나라에서 산업위생과 관련된 최초의 법령으로 평가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교대근무제를 실시하려고 할 때 교대제 관리원칙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근무시간은 8시간 교대로 할 것
  2. 야근의 경우는 4-5일 이상 연속한 후 교대할 것
  3. 2교대면 최저 3조의 정원, 3교대면 4조를 편성할 것
  4. 야근후 다음반으로 가는 간격은 48시간 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100%)
  • 정답: "야근의 경우는 4-5일 이상 연속한 후 교대할 것"이 알맞지 않은 교대제 관리원칙이다.

    이유: 야근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이상 연속해서 근무하는 것은 위험하다. 따라서 4-5일 이상 연속 야근을 한 후에는 교대근무를 통해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전신피로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산소 공급 부족
  2. 혈중 젖산 농도 증가
  3. 혈중 포도당 농도 저하
  4. 근육내 글리코겐량의 증가
(정답률: 62%)
  • 전신피로의 원인이 아닌 것은 "근육내 글리코겐량의 증가"입니다. 전신피로는 주로 신체적 노동이나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산소 공급 부족, 혈중 젖산 농도 증가, 혈중 포도당 농도 저하 등이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근육내 글리코겐량의 증가는 전신피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글리코겐은 근육 내에서 저장되는 형태의 포도당으로, 운동 시에 사용되는 에너지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글리코겐량이 증가하더라도 전신피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일정한 물질에 대해 반복 측정ㆍ분석을 했을 때 자료분석치의 변동크기가 얼마나 작은가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정확도
  2. 참값
  3. 정밀도
  4. 대표값
(정답률: 67%)
  • 정밀도는 일정한 물질에 대해 반복 측정ㆍ분석을 했을 때 자료분석치의 변동크기가 얼마나 작은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밀도가 높을수록 측정 결과의 변동이 적어지므로 더욱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확도는 측정 결과가 참값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용어, 참값은 실제 값이나 기준값을 의미하는 용어, 대표값은 자료의 대표적인 값으로 평균, 중앙값 등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를 사용하여 옥내작업장의 고온의 허용기준을 산출하는 공식으로 알맞는 것은? (단, 태양광선이 내리쬐지 않는 장소)

  1. (0.7 × 자연습구온도)+(0.2 × 흑구온도)+(0.1 × 건구온도)
  2. (0.7 × 자연습구온도)+(0.2 × 건구온도)+(0.1 × 흑구온도)
  3. (0.7 × 자연습구온도)+(0.3 × 흑구온도)
  4. (0.7 × 자연습구온도)+(0.3 × 건구온도)
(정답률: 64%)
  • "(0.7 × 자연습구온도)+(0.3 × 흑구온도)" 이 정답이다.

    WBGT는 자연습구온도, 흑구온도, 건구온도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지수이다. 그 중에서도 자연습구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중치가 높게 부여되어 0.7을 곱해준다. 흑구온도는 열대야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의 열피로를 예방하기 위해 고려되는 온도이므로 0.3을 곱해준다. 건구온도는 건조한 환경에서의 열피로를 예방하기 위해 고려되는 온도이지만 가중치가 가장 낮기 때문에 0.1을 곱해준다. 따라서 "(0.7 × 자연습구온도)+(0.3 × 흑구온도)"가 올바른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형의 활성탄관의 경우 앞층과 뒷층에 들어 있는 활성탄의 양은? (단, 앞층: 공기입구쪽 )

  1. 앞층: 50 mg, 뒷층: 100 mg
  2. 앞층: 100 mg, 뒷층: 50 mg
  3. 앞층: 200 mg, 뒷층: 400 mg
  4. 앞층: 400 mg, 뒷층: 200 mg
(정답률: 74%)
  •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형의 활성탄관은 가장 효율적인 성능을 내기 위해 앞층과 뒷층에 서로 다른 양의 활성탄을 넣어놓습니다. 이는 공기가 처음으로 흐르는 앞층에서는 더 많은 활성탄이 필요하고, 그 이후로 흐르는 뒷층에서는 적은 양의 활성탄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앞층: 100 mg, 뒷층: 50 m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실리카겔이 활성탄에 비해 갖는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수분을 잘 흡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2. 활성탄으로 채취가 어려운 아닐린, 오르쏘-톨루이딘 등의 아민류나 몇몇 무기물질의 채취가 가능하다.
  3. 추출액이 화학분석이나 기기분석에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4. 이황화탄소를 주탈착용매로 하여 쉽게 탈착시킨다.
(정답률: 74%)
  • "수분을 잘 흡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실리카겔은 수분을 잘 흡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황화탄소는 실리카겔과 활성탄 모두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탈착용매입니다. 그러나 실리카겔은 활성탄보다 이황화탄소를 더 쉽게 탈착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실리카겔이 더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리카겔은 이황화탄소를 주탈착용매로 사용할 때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목재공장의 작업환경 중 분진농도를 측정하였더니 5, 7, 5, 7, 6 ppm이었다. 기하평균은?

  1. 5.3 ppm
  2. 5.5 ppm
  3. 5.7 ppm
  4. 5.9 ppm
(정답률: 70%)
  • 주어진 분진농도를 모두 곱한 후, 그 값에 대해 측정횟수(5회)의 역수를 취한 뒤, 이를 제곱근으로 계산하면 기하평균이 나온다. 따라서, (5 x 7 x 5 x 7 x 6)^(1/5) = 5.9 pp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금속흄 시료를 7시간 동안 채취하였다. 여과지의 초기 무게는 15.0 mg이었고 최종 무게는 20.0 mg이었다. 시료는 2.0 L/분으로 채취하였다. 공기중 금속흄 농도(mg/m3)는?

  1. 2.95
  2. 3.95
  3. 4.95
  4. 5.95
(정답률: 77%)
  • 먼저, 시료를 채취한 시간과 채취 속도를 이용하여 시료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다.

    시료 부피 = 채취 속도 x 채취 시간 = 2.0 L/분 x 7시간 x 60분 = 840 L

    다음으로, 여과지의 초기 무게와 최종 무게를 이용하여 시료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시료 질량 = 최종 무게 - 초기 무게 = 20.0 mg - 15.0 mg = 5.0 mg

    마지막으로, 시료 부피와 질량을 이용하여 공기중 금속흄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공기중 금속흄 농도 = 시료 질량 / 시료 부피 = 5.0 mg / 840 L = 0.00595 mg/L = 5.95 mg/m3

    따라서, 정답은 "5.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공기중 벤젠(분자량=78.1)의 농도 100mg/m3를 ppm 농도로 환산하면 얼마인가? (단, 1기압 25℃ 기준)

  1. 63.1
  2. 51.3
  3. 48.3
  4. 31.3
(정답률: 알수없음)
  • 농도의 단위인 mg/m3를 ppm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분자량과 기체의 온도와 압력이 필요하다.

    먼저, 벤젠의 분자량은 78.1이다.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문제에서 "1기압 25℃ 기준"으로 주어졌다. 이는 기체가 표준상태(0℃, 1기압)에서 25℃로 상승한 것이므로, 기체의 부피는 확대된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부피보정계수(1.024)를 곱해준다.

    따라서, 100mg/m3의 벤젠 농도를 ppm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00mg/m3 × (1/78.1) × (1.024/1) × (1/24.45) = 0.0509 ppm

    답안 보기에서 정답은 "31.3"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정확한 값은 0.0509 × 1000 = 50.9 ppm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반올림한 값으로 계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기중의 용접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전체 2개의 시료를 연속적으로 포집하였고 측정농도 및 조건은 다음표와 같다. 이때의 시간가중 평균농도(TLV-TWA)는 얼마인가?

  1. 약 5.7㎎/m3
  2. 약 6.3㎎/m3
  3. 약 7.5㎎/m3
  4. 약 8.3㎎/m3
(정답률: 17%)
  • 시간가중 평균농도(TLV-TW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TLV-TWA = (C1t1 + C2t2) / (t1 + t2)

    여기서 C1은 오전 시간대의 농도, C2는 오후 시간대의 농도, t1은 오전 시간대의 노출 시간, t2는 오후 시간대의 노출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TLV-TWA = (4.5㎎/m3 × 4시간 + 7.2㎎/m3 × 4시간) / (4시간 + 4시간) = 5.7㎎/m3

    따라서, 정답은 "약 5.7㎎/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납흄에 노출되고 있는 근로자의 납노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0.056mg/m3이었다. 노동부의 통계적인 평가방법에 따라 이 근로자의 노출을 평가하면? (단, 시료채취 및 분석오차(SAE) = 0.132 이고 납에 대한 노동부 노출기준은 0.05mg/m3 이다. 95% 신뢰도이며 작업시간 전체를 1개의 시료로 측정)

  1. 초과하지 않음
  2. 초과함
  3. 초과가능
  4. 판정할 수 없음
(정답률: 17%)
  • 노동부 노출기준은 0.05mg/m3이고, 이 근로자의 노출농도는 0.056mg/m3이다. 하지만 이 측정값은 시료채취 및 분석오차(SAE)가 0.132로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노출농도는 0.056 ± 0.132mg/m3 범위 내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근로자의 노출을 "초과가능"으로 판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2차 표준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otameter
  2. Spirometer
  3. Orifice meter
  4. Wet-test meter
(정답률: 56%)
  • 2차 표준기구는 유럽 연합에서 인정하는 측정기구의 표준화를 위한 국제기구인 EURAMET에서 인증하는 기구를 말합니다. Spirometer는 호흡기능을 측정하는 기구로, 유럽 연합에서 인정하는 측정기구의 표준화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흡광광도 측정에서 투과율 50%일 때 흡광도는?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율이 50%이므로, 측정된 빛 중 절반은 흡수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흡광도는 0.5입니다. 이를 표현하는 수식은 A = log(I0/I)인데, 여기서 I0는 측정 전 빛의 강도이고, I는 측정 후 빛의 강도입니다. 따라서, 0.5 = log(I0/I)이므로, I0/I = 10^-0.5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I0/I = 0.316입니다. 이 값은 측정 후 빛의 강도가 측정 전 빛의 강도의 0.316배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흡광도가 0.3인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해물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 벤젠 4ppm(노출기준 10ppm) 톨루엔 64ppm(노출기준 100ppm), n-헥산 12ppm(노출기준 50ppm)이었다면 이들 물질의 복합 노출지수(Exposure Index)는? (단, 상가작용 기준)

  1. 0.98
  2. 1.14
  3. 1.24
  4. 1.28
(정답률: 64%)
  • 복합 노출지수는 각 유해물질의 농도를 노출기준으로 나눈 후, 그 값을 모두 곱한 것이다.

    벤젠의 경우, 노출기준은 10ppm이고, 실제 농도는 4ppm이므로, 4/10 = 0.4의 값을 가진다.

    톨루엔의 경우, 노출기준은 100ppm이고, 실제 농도는 64ppm이므로, 64/100 = 0.64의 값을 가진다.

    n-헥산의 경우, 노출기준은 50ppm이고, 실제 농도는 12ppm이므로, 12/50 = 0.24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복합 노출지수는 0.4 x 0.64 x 0.24 = 0.06144이다.

    하지만, 상가작용 기준에 따라 이 값을 20배하여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0.06144 x 20 = 1.2288이다.

    이 값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2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석면농도 측정에 있어서는 충전식 휴대용 펌프를 이용하여 셀룰로스 막여과지로 공기를 통과시켜 시료를 채취한 후 아세톤 증기를 씌우고 트리아세틴 시약을 떨어뜨린 다음 위상차 현미경으로 계수하여 측정한다. 어느 정도 길이 이상의 석면만을 측정 하는가? (단, NIOSH 방법 7400 기준, 길이 : 너비 = 3 : 1이상임 )

  1. 1㎛
  2. 2㎛
  3. 3㎛
  4. 5㎛
(정답률: 29%)
  • NIOSH 방법 7400 기준에서는 석면 농도 측정을 위해 셀룰로스 막여과지를 사용하며, 이때 길이:너비 비율이 3:1 이상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비율을 만족하는 석면 섬유의 최소 길이는 5㎛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MCE 막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CE 막여과지는 원료인 셀룰로스가 수분을 흡수하지 않으므로 정확성을 요구하는 중량분석에 사용된다.
  2. MCE 막여과지는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정하다.
  3. 산업위생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직경 37mm, 구멍의 크기 0.8㎛의 MCE 막여과지를 사용하고 있다.
  4. 시료가 여과지의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 곳에 침착되므로 석면, 유리섬유 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 채취에도 이용된다.
(정답률: 64%)
  • "MCE 막여과지는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정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MCE 막여과지는 산에 용해되지 않으며, 금속 분석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세 개의 소음수준을 각각 측정해보니 86dB, 88dB, 90dB이었다. 세 개의 소음원이 동시에 가동될 때 총음압수준(dB)은?

  1. 91
  2. 93
  3. 95
  4. 97
(정답률: 73%)
  • 세 개의 소음원이 동시에 가동될 때 총음압수준은 개별 소음수준의 제곱근을 구한 후 합한 뒤 다시 제곱근을 구하는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86² + 88² + 90²) ≈ 93

    따라서 정답은 "9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벤젠 100㎖에 디티존 0.1g을 넣어 녹인 후 이 원액을 10배 희석시키면 디티존은 몇 ㎍/㎖용액이 되겠는가?

  1. 1㎍/㎖
  2. 10㎍/㎖
  3. 100㎍/㎖
  4. 1000㎍/㎖
(정답률: 73%)
  • 디티존의 원액 농도는 0.1g/100㎖ = 1000㎎/100㎖ = 10㎎/㎖ 이다. 이를 10배 희석하면 1/10배 농도가 된다. 따라서 디티존의 농도는 10㎎/㎖ ÷ 10 = 1㎎/㎖ 이 된다. 이를 다시 1000으로 곱하면 1000㎍/㎖ = 100㎍/㎖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기류를 측정하는 기기가 아닌 것은?

  1. 카타온도계
  2. 아스만통풍건습계
  3. 열선풍속계
  4. 풍차풍속계
(정답률: 59%)
  • 아스만통풍건습계는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며, 기류를 측정하는 기기가 아니다. 나머지 세 기기는 모두 기류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여러 가지 금속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분석기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원자흡광분석기
  2. 가스크로마토그래피
  3. ICP
  4. HPLC
(정답률: 알수없음)
  • ICP는 질량분석법으로, 여러 가지 금속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ICP가 샘플을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어 원자를 이온화시키고, 이온화된 원자들이 질량분석기로 들어가 분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CP는 여러 가지 금속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분석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톨루엔(Toluene, MW=92.14) 농도가 50ppm인 사업장에서 채취유량은 0.15 ℓ/min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프의 정량한계가 0.2㎎이다. 채취할 최소시간은? (단, 1기압 25℃ 기준)

  1. 1분
  2. 3분
  3. 5분
  4. 7분
(정답률: 43%)
  • 먼저, 농도와 채취율을 이용하여 채취되는 톨루엔의 양을 계산해보자.

    농도 = 50 ppm = 50 mg/L
    채취율 = 0.15 L/min

    따라서, 1분 동안 채취되는 톨루엔의 양은 다음과 같다.

    0.15 L/min × 50 mg/L × 1/60 min = 0.125 mg

    이제, 가스크로마토그래프의 정량한계를 고려하여 최소 채취 시간을 계산해보자.

    정량한계 = 0.2 mg
    최소 채취 시간 = 정량한계 / 1분 동안 채취되는 양

    최소 채취 시간 = 0.2 mg / 0.125 mg/min = 1.6 min

    따라서, 최소 채취 시간은 2분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1분, 3분, 5분, 7분 중에서이며, 이 중에서 가장 근접한 답은 3분과 5분이다. 그러나 이 둘은 최소 채취 시간인 2분보다 크기 때문에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7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누적소음노출량측정기(Noise-Dosimeter)를 사용하여 소음을 측정코자 할 때 우리나라 법정 기준에 맞는 Criterian Level 및 exchange rate는? (단, A특성 보정, 측정대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경우)

  1. 90㏈, 3㏈
  2. 85㏈, 3㏈
  3. 90㏈, 5㏈
  4. 85㏈, 5㏈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법정 기준에 따르면, 누적소음노출량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 Criterian Level은 90㏈이며, exchange rate는 5㏈이다. 이는 A특성 보정을 하고, 측정대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90㏈, 5㏈"이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Criterian Level은 다르지만 exchange rate가 5㏈이 아니거나, C특성 보정을 하거나, 측정대상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 경우 등으로 우리나라 법정 기준에 맞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산소가 결핍된 환경 또는 유해물의 농도가 높거나 독성이 강한 작업장에서 사용해야할 마스크(보호구)로 적합한 것은?

  1. 방진마스크
  2. 방독마스크
  3. 공기공급식마스크
  4. 일반면마스크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공급식마스크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안전한 공기를 공급해주는 마스크로, 산소가 결핍된 환경이나 유해물의 농도가 높은 작업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반면, 방진마스크는 먼지나 바이러스 등의 입자를 차단하는데 적합하며, 방독마스크는 유해가스나 증기 등의 유해물질을 차단하는데 적합합니다. 일반면마스크는 입자 차단 효과가 낮아 유해물질 차단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용융용접중 아르곤이나 헬륨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며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합금, 동이나 티탄합금 등의 용접에 주로 사용하고 흄의 발생이 많은 것은?

  1. MAGC
  2. MAG
  3. MMA
  4. MIG
(정답률: 34%)
  • MIG 용접은 금속 전극을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용융상태를 유지하는 용접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합금, 동이나 티탄합금 등의 용접에 주로 사용되며, 흄의 발생이 많은 이유는 용접 전극과 금속 사이에 산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산화물은 용접 부위의 결함을 유발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르곤 가스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MIG 용접이 흄의 발생이 많은 용접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될때 체온조절중추 특히 발한중추의 장해로 발생하며 가장 특이적인 소견은 땀을 흘리지 못하여 체열 방산을 하지 못하는 건강장애는?

  1. 열사병
  2. 열피비
  3. 열경련
  4. 열실신
(정답률: 알수없음)
  • 열사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건강장애로, 체온조절중추와 발한중추의 장해로 인해 땀을 흘리지 못하여 체열 방산을 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체온이 계속 상승하여 심각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방독마스크의 정화통(카트리지 cartridge고도 함)의 수명에 가장 적은 영향을 주는 인자는?

  1. 작업장의 습도
  2. 작업장의 기류
  3. 착용자의 호흡률
  4. 작업장 오염물질의 농도
(정답률: 40%)
  • 작업장의 기류는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주기 때문에 정화통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낮추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작업장의 기류가 강할수록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수명이 늘어나게 됩니다. 반면에 작업장의 습도, 착용자의 호흡률, 작업장 오염물질의 농도는 모두 정화통 내부의 오염물질 농도를 높여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태양복사광선의 파장범위에 따른 구분이 올바른 것은?

  1. 300nm - 적외선
  2. 600nm - 자외선
  3. 700nm - 가시광선
  4. 900nm - 건강선(Dorno선)
(정답률: 50%)
  • 태양복사광선은 전자기파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장에 따라 구분됩니다. 적외선은 파장이 짧고, 자외선은 더 짧고, 가시광선은 그 다음으로 길며, 건강선은 가장 긴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700nm은 가시광선에 해당하며, 인간이 볼 수 있는 빛의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공급식 호흡기보호구 중 자가공기공급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개방식 : 호기에서 나온 공기는 장치 밖으로 배출되며 사용시간은 30분에서 60분 정도이다
  2. 개방식 : 소방수가 주로 사용하며 압축산소를 사용한다
  3. 폐쇄식 : 산소발생장치에는 주로 KO2를 사용한다
  4. 폐쇄식 : 개방식보다 가벼운 것이 장점이며 사용시간은 30분에서 4시간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방식 : 소방수가 주로 사용하며 압축산소를 사용한다"는 알맞은 설명이다.

    이유: 개방식 자가공기공급장치는 호기에서 나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호흡기 보호를 위한 작업이나 구조활동 등의 단기간 작업에 적합하다. 소방수가 주로 사용하는 것은 화재 발생 시에 사용하기 위해서이며, 압축산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산소의 공급량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개방식 : 소방수가 주로 사용하며 압축산소를 사용한다"는 알맞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폐결핵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진폐증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질병은?

  1. 규폐증
  2. 면폐증
  3. 농부폐증
  4. 석면폐증
(정답률: 39%)
  • 규폐증은 광물인 규산염을 많이 노출하면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광산, 건설현장, 화학공장 등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주로 걸리는 질병입니다. 규산염은 폐에 침착되어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호흡기능이 저하되며 결국 폐기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폐결핵과 같이 호흡기계에 영향을 주는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은의 중독에 따른 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마늘계통의 식물을 섭취한다
  2. BAL를 투여한다
  3. EDTA를 투여한다
  4. 우유와 계란의 흰자를 먹인다
(정답률: 50%)
  • EDTA는 수은 중독에 대한 치료제로, 수은과 결합하여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EDTA를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이다. 마늘계통의 식물을 섭취하거나 우유와 계란의 흰자를 먹이는 것은 수은 중독에 대한 대처 방법이 아니며, BAL은 수은 중독에 대한 치료제이지만 부작용이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방독마스크의 흡착제를 검정할 때 사용하는 물질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사염화탄소
  2. 부탄올
  3. 메탄올
  4. 일산화탄소
(정답률: 63%)
  • 방독마스크의 흡착제를 검정할 때는 흡착제가 흡착한 가스를 빠르게 추출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물질은 흡착제와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 가스를 빠르게 추출할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물질은 사염화탄소입니다. 사염화탄소는 흡착제와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 가스를 빠르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은 작업장의 작업환경관리대책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수은 주입과정을 자동화 시킨다.
  2. 수거한 수은은 물통에 보관한다.
  3. 바닥은 다공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수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는다.
  4. 실내온도를 가능한 한 낮게 유지시키고 일정하게 유지 시킨다.
(정답률: 74%)
  • 바닥이 다공질의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면 수은이 바닥에 스며들어서 흡수되어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음성 난청의 초기 단계인 C5 - dip 현상으로 청력장해가 현저히 커지는 주파수(㎐)는?

  1. 1000
  2. 2000
  3. 4000
  4. 8000
(정답률: 73%)
  • C5-dip 현상은 4000Hz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외이도와 중이의 공명 주파수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외이도에서 들어온 소리가 중이에서 증폭되어 들리게 되는데, 이는 소음성 난청의 초기 단계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자기파중 '전기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기구의 전선이 플러그에 꽂아있어 비록 스위치를 켜지 않았어도 전압만 존재하면 생기게 된다
  2. 측정단위는 V/m 혹은 KV/m 를 사용한다
  3. 대부분의 물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차폐하기가 어렵다
  4. 전계장(electric field)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48%)
  • 전기장은 대부분의 물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차폐하기가 어렵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전기장은 전기적으로 양성이나 음성인 물체 주위에 형성되는 영역으로, 전기적으로 민감한 물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장을 차폐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든 차폐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떤 작업장의 음압수준이 90dB(A)이고 근로자의 NRR이 27인 귀마개를 착용하고 있다면 차음효과는? (단, 미국 OSHA 기준 )

  1. 5dB
  2. 10dB
  3. 15dB
  4. 20dB
(정답률: 58%)
  • NRR은 귀마개가 차단하는 소음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근로자가 착용한 귀마개는 27dB의 소음 차단 효과가 있다. 이를 적용하면 근로자가 청취하는 소음은 90dB(A) - 27dB = 63dB(A)가 된다. 이는 OSHA 기준에서 안전한 수준이지만,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여전히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음효과는 90dB(A) - 63dB(A) = 27dB(A) - 10dB(A) = 17dB(A)가 된다. 이는 근로자가 귀마개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10dB(A) 더 적은 소음을 청취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1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업장의 유해물질을 물리적, 화학적성질과 사용목적을 조사하여 유해성이 보다 작은 물질로 대치한 경우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아조염료의 합성 원료인 벤지딘을 디클로로벤지딘으로 전환한 경우
  2. 단열재로서 사용하는 석면을 유리섬유로 전환한 경우
  3. 금속제품의 탈지에 사용되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을 계면활성제로 전환한 경우
  4. 분체의 원료를 입자가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전환한 경우
(정답률: 50%)
  • 정답은 "분체의 원료를 입자가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전환한 경우"입니다. 이유는 물리적 성질을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질의 화학적 성질이나 사용목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질의 화학적 성질이나 사용목적을 변경하여 유해성이 보다 작은 물질로 대치한 경우이기 때문에 보다 환경친화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바람직한 VDT 작업자세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문서홀더와 화면은 높이가 동일 할 것
  2. 팔의 각도는 90° 이하일 것
  3. 상박과 몸 중심선이 일치할 것
  4. 화면과 눈의 거리는 두 뼘(40cm)이상 유지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팔의 각도가 90° 이상이면, 손목과 팔꿈치에 부담이 가해져서 근육통이나 관절염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VDT 작업자세에서는 팔의 각도를 90°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청력보호구의 차음효과를 높이기 위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의 머리와 귓구멍에 잘 맞아야 할 것
  2. 흡음율을 높이기 위해 기공(氣孔)이 많은 재료를 선택할 것
  3. 청력보호구를 잘 고정시켜서 보호구 자체의 진동을 최소화 할 것
  4. 귀덮개 형식의 보호구는 머리카락이 길 때, 사용하지 말도록 할 것
(정답률: 80%)
  • "귀덮개 형식의 보호구는 머리카락이 길 때, 사용하지 말도록 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흡음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공이 많은 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기공이 많으면 소리가 흡수되어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와 귓구멍에 잘 맞아야 하며, 청력보호구를 잘 고정시켜서 보호구 자체의 진동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감압병의 예방 및 치료에 관한 방법중 적절하지 못한 사항은?

  1. 고압환경에서의 작업시간을 제한한다.
  2. 감압이 끝날 무렵에 순수한 산소를 흡입시킨다.
  3. 고압환경에서 작업할때 질소를 수소로 대치한 공기를 호흡시킨다.
  4. 일반적으로 1분에 10m 정도씩 잠수하는 것이 안전하다.
(정답률: 91%)
  • "고압환경에서 작업할때 질소를 수소로 대치한 공기를 호흡시킨다."는 적절하지 못한 사항입니다. 이유는 질소를 수소로 대치한 공기를 호흡하면 생명유지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호흡곤란, 혼수, 사망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압환경에서 작업할 때는 순수한 산소를 흡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대상먼지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이며 구형인 먼지의 직경으로 환산된 직경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공기 기하학적 직경(aero-geometric diameter)
  2. 공기역학적 직경(aerodynamic diameter)
  3. 등면적 직경(projected area diameter)
  4. 마틴 직경(Martin's dia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역학적 직경은 입자가 공기 중에서 이동할 때 공기의 저항을 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대상먼지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이며 구형인 먼지의 직경으로 환산된 직경을 공기역학적 직경이라고 한다. 이는 입자의 운동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대기오염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투과력은 가장 약하나 전리작용이 가장 강한 전리방사선의 종류는?

  1. X선
  2. γ 선
  3. α 입자
  4. β 입자
(정답률: 37%)
  • α 입자는 질량이 크고 전하를 가진 입자로, 다른 입자들과 상호작용이 강합니다. 하지만 투과력은 매우 약합니다. 따라서, 전리작용은 강하지만 짧은 거리에서만 일어나며, 물질을 통과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비해 X선과 γ 선은 투과력이 강하지만 전리작용은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β 입자는 전리작용과 투과력이 중간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몇 %가 이상적인가?

  1. 10 ∼ 15%
  2. 15 ∼ 20%
  3. 20 ∼ 25%
  4. 25 ∼ 30%
(정답률: 77%)
  •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은 너무 적으면 충분한 양의 자연광을 받을 수 없고, 너무 많으면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바닥면적의 15 ~ 20% 정도가 적절한 면적으로 여겨집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충분한 양의 자연광을 받을 수 있으면서도,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5 ∼ 10
  2. 10 ∼ 15
  3. 15 ∼ 20
  4. 20 ∼ 25
(정답률: 50%)
  • 이 그래프는 x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이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보면 시간이 5시부터 10시까지의 온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5 ∼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덕프의 조도를 나타내는 상대조도를 가장 알맞게 기술한 것은?

  1. 절대 표면조도를 유체밀도로 나눈 값이다
  2. 절대 표면조도를 마찰손실로 나눈 값이다
  3. 절대 표면조도를 공기유속으로 나눈 값이다
  4. 절대 표면조도를 덕트직경으로 나눈 값이다
(정답률: 24%)
  • "절대 표면조도를 덕트직경으로 나눈 값이다"가 가장 알맞다. 이는 덕프의 법칙에서 나오는 상대조도의 정의이다. 덕프의 법칙은 유체가 흐르는 덕트 내부의 마찰손실과 관련된 법칙으로, 상대조도는 이 마찰손실과 관련된 값이다. 덕트직경은 덕트 내부의 직경을 의미하며, 이를 기준으로 상대조도를 계산한다. 따라서 "절대 표면조도를 덕트직경으로 나눈 값이다"가 가장 알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드의 유입계수가 0.82, 속도압이 30㎜H2O라면 후드의 압력손실은?

  1. 11.6㎜H2O
  2. 14.6㎜H2O
  3. 16.6㎜H2O
  4. 18.6㎜H2O
(정답률: 67%)
  • 압력손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압력손실 = 속도압 × 유입계수

    따라서, 압력손실 = 30 × 0.82 = 24.6㎜H2O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을 선택해야 하므로, 계산 결과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4.6㎜H2O"를 선택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관내기류의 단위체적당 유체에 작용하는 힘, 즉 압력을 설명한 것이다. 틀리게 설명된 것은?

  1. 전압은 흐름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2. 동압은 단위체적의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이다.
  3. 동압은 때로는 저항압력 또는 마찰압력이라고도한다.
  4. 정압은 단위체적의 유체가 압력이라는 형태로 나타내는 에너지이다.
(정답률: 59%)
  • "전압은 흐름의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전압과 압력을 혼동한 것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동압은 단위체적의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가 아니라, 단위체적당 유체에 작용하는 압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압은 단위체적의 유체가 갖고 있는 운동에너지이다."라는 설명도 틀린 것이다.

    정압은 단위체적의 유체가 압력이라는 형태로 나타내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는 맞는 설명이다.

    동압은 때로는 저항압력 또는 마찰압력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나 관내에서 발생하는 압력 손실을 의미한다. 파이프나 관의 내부면과 유체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 손실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속도압이 10mmH2O인 닥트의 유속 V(m/sec)는? (단, 공기밀도 1.2kg/m3)

  1. 12.8 m/sec
  2. 14.8 m/sec
  3. 25.4 m/sec
  4. 30.1 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압과 유속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됩니다.

    속도압 = 0.5 x 공기밀도 x 유속의 제곱

    따라서, 유속 V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 = √(2 x 속도압 / 공기밀도)

    여기에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 = √(2 x 10 / 1.2) = 12.8 m/sec

    따라서, 정답은 "12.8 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20℃, 1기압에서의 유체의 점성계수는 1.8×10-5kg/sec·m이고, 공기밀도는 1.2 kg/m3, 유속은 5m/sec그리고 덕트직경은 0.5m이다. 이 때 레이놀드수는?

  1. 1.57× 105
  2. 1.67× 105
  3. 1.78× 105
  4. 1.86× 105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유속 × 덕트직경 × 공기밀도) / 점성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Re = (5 × 0.5 × 1.2) / 1.8×10-5 = 1.67× 105

    따라서 정답은 "1.67× 1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국소환기 시설에서 송풍관의 재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스텐레스 강판
  2. 흑피 강판
  3. 아연도금 강판
  4. 중질 콘크리트
(정답률: 46%)
  • 유기용제는 부식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송풍관의 재질은 부식에 강한 아연도금 강판이 가장 적합하다. 스텐레스 강판도 부식에 강하지만 비용이 높고, 흑피 강판은 부식에 약하며 중질 콘크리트는 유기용제와의 반응으로 인해 파손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200℃, 700mmHg, 상태에서 100m3의 공기를 산업환기의 표준상태(21℃, 1기압)로 계산하면 얼마의 부피를 차지하겠는가?

  1. 약 47m3
  2. 약 57m3
  3. 약 67m3
  4. 약 77m3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PV=nRT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체적을 계산해보자.
    P1V1/T1 = nR
    n = P1V1/RT1
    n = (700mmHg)(100m3)/(0.0821 L·atm/mol·K)(373K)
    n = 2,926 mol

    이제 이 값을 이용하여 최종 상태에서의 체적을 계산할 수 있다.
    P2V2 = nRT2
    V2 = nRT2/P2
    V2 = (2,926 mol)(0.0821 L·atm/mol·K)(294K)/(1 atm)
    V2 = 70.8 m3

    하지만 이 값은 표준상태가 아니므로, 표준상태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V2' = V2(T1/T2)(P2'/P1)
    V2' = (70.8 m3)(294K)/(373K)(1 atm)/(101.3 kPa)
    V2' = 57.2 m3

    따라서, 공기의 부피는 약 57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 )에 가장 적절한 수치는?

  1. ± 10
  2. ± 20
  3. ± 30
  4. ± 4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x축의 간격은 10이고, y축의 간격은 20이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값이 10씩 변하고,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값이 20씩 변한다. 따라서 값의 변화폭이 가장 작은 ±10은 너무 작고, 값의 변화폭이 가장 큰 ±40은 너무 크다. 따라서 적절한 값은 x축과 y축의 간격 중간인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 이상의 분진의 포집은 99%가 관성충돌과 직접차단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0.1㎛ 이하의 분진은 확산과 정전기력에 의하여 포집되는 집진장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관성력 집진장치
  2. 원심력 집진장치
  3. 세정 집진장치
  4. 여과 집진장치
(정답률: 28%)
  • 0.1㎛ 이하의 분진은 매우 작아서 관성충돌이나 직접차단으로는 포집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확산과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포집하는 여과 집진장치가 가장 적절합니다. 여과 집진장치는 여러 종류의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나 분진을 걸러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매우 작은 입자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어서 0.1㎛ 이하의 분진을 포집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원심형 송풍기 중 터보형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1. 후향곡형(backward type) 송풍기로서 팬의 날이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2. 송풍량이 증가해도 동력이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3. 효율이 다른 원심력 송풍기에 비해 비교적 좋다.
  4. 분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이송할 때 효율이 높다.
(정답률: 64%)
  • 정답: "효율이 다른 원심력 송풍기에 비해 비교적 좋다."

    분진이 다량 함유된 공기를 이송할 때 효율이 높은 이유는 터보형 송풍기가 공기를 빠르게 회전시켜서 분진을 중심으로 모아서 배출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분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며, 터보형 송풍기는 분진 처리에 적합한 송풍기로 평가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압력측정장비 중 경사수직마노미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력이 높은 부분의 정밀한 측정치를 읽을 수 있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2. ± 1% 까지의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3. 측정범위나 원주의 숫자 및 보정장치 등이 매우 다양하다
  4. 실험실이나 작업현장에서 미세한 압력변화를 신뢰성 있게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정답률: 30%)
  • "압력이 높은 부분의 정밀한 측정치를 읽을 수 있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는 이유는, 경사수직마노미터가 압력이 높아질수록 미세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경사지게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높은 정확도를 유지하며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실내환기량을 평가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
  2. 이산화탄소농도를 이용하는 방법
  3. Tracer가스를 이용하는 방법
  4. 배기중 내부공기의 수분함량측정
(정답률: 67%)
  • 실내환기량을 평가하는 방법 중 "배기중 내부공기의 수분함량측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실내공기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환기량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실내공기의 수분함량이 환기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실내환기량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이산화탄소농도나 Tracer가스를 이용하여 환기량을 평가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환기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A(유해)물질이 균일하게 1시간동안 0.95ℓ 가 공기중으로 증발되는 작업장에서 A물질의 공기중 농도를 노출기준(TLV-TWA 100 ppm)의 50%로 유지하기 위한 전체환기의 필요 환기량(ACGIH 공식 활용)은? (단, A물질 비중은 0.866, A물질 분자량 92.13, 안전계수 K=5 )

  1. 159m3/분
  2. 259m3/분
  3. 359m3/분
  4. 459m3/분
(정답률: 54%)
  • ACGIH 공식에 따라 필요 환기량을 구할 수 있다.

    필요 환기량 = (0.00035 × Q × C)/(W × K)

    여기서, Q는 작업장의 부피, C는 TLV-TWA의 50%인 50 ppm, W는 물질의 분자량/비중, K는 안전계수이다.

    먼저, A물질의 부피를 구해보자.

    A물질의 부피 = 0.95 ℓ = 0.95 × 10-3 m3

    다음으로, 작업장의 부피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장의 높이, 폭, 길이를 곱해 부피를 구한다.

    작업장의 부피 = 높이 × 폭 × 길이 = 2.5 × 5 × 10 = 125 m3

    이제 A물질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 환기량을 구해보자.

    필요 환기량 = (0.00035 × 125 × 50)/(92.13 × 0.866 × 5) = 359 m3/분

    따라서, 정답은 "359m3/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배기량을 90m3/min으로 할 때 플랜지가 달린 개구형 후드(가로×세로 : 0.4m×1m)로 오염원에서의 제어속도를 0.5m/s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어거리(X)는? (단, 플랜지 부착을 고려하며 Dalla Valle식 적용)

  1. 0.4m
  2. 0.5m
  3. 0.6m
  4. 0.7m
(정답률: 28%)
  • Dalla Valle식은 다음과 같다.

    X = 0.16 * (Q/A)2/3

    여기서 Q는 배기량, A는 개구형 후드의 가로×세로 면적이다.

    따라서, X = 0.16 * (90/0.4*1)2/3 = 0.6m 이다.

    즉, 제어거리는 0.6m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작업장의 용적이 세로10m, 가로 30m, 높이 3m 이고 필요환기량(Q)이 90m3/min 이다. 1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1. 2회
  2. 3.6회
  3. 4회
  4. 6회
(정답률: 50%)
  • 용적은 세로10m x 가로30m x 높이3m = 900m3 이다.
    1시간당 필요한 환기량은 90m3/min x 60min = 5400m3/h 이다.
    따라서 1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900m3 / 5400m3/h = 0.1667h-1 이다.
    이를 분기로 환산하면 0.1667h-1 x 60분 = 10회 이므로, 정답은 "6회" 이다.
    즉, 1시간에 6번의 공기교환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체환기를 설치하는 조건으로 부적절한 것은?

  1. 오염물질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어야 한다.
  2. 오염물질의 독성이 낮아야 한다.
  3. 오염물질이 증기나 가스여야 한다.
  4. 오염물질이 널리 퍼져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물질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어야 한다."는 전체환기를 설치하는 조건으로 부적절한 것이다. 이는 오염물질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을 경우, 전체환기 시스템이 해당 구역에서만 작동하고 다른 구역에서는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환기 시스템 설치 시, 오염물질이 널리 퍼져있어야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송풍량이 110m3/min일 때 관내경이 400㎜이고 길이가 5m인 직관의 마찰손실은? (단, 유체밀도 1.2kg/m3, 관마찰손실계수 0.02를 직접 적용함)

  1. 3.3㎜H2O
  2. 8.3㎜H2O
  3. 13.3㎜H2O
  4. 18.3㎜H2O
(정답률: 10%)
  • 마찰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마찰손실 = (마찰손실계수 × 유체밀도 × 직경 × 속도2 × 길이) / (64 × 관내면적2)

    여기서, 속도는 유량과 관내면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속도 = 유량 / (관내면적 × 유체밀도)

    따라서, 송풍량과 관내경으로부터 유량과 관내면적을 구할 수 있다.

    유량 = 110m3/min = 1.83m3/s

    관내면적 = π × (관내경/2)2 = 0.1257m2

    이를 대입하여 마찰손실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마찰손실 = (0.02 × 1.2kg/m3 × 400mm × (1.83m/s)2 × 5m) / (64 × 0.1257m4) = 3.3mmH2O

    따라서, 정답은 "3.3㎜H2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느 국소배기장치의 총압력손실(풍전압)이 100㎜H2O, 처리공기량이 7,200m3/hr, 송풍기 효율은 70%이다. 이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1. 1.0 kw
  2. 1.6 kw
  3. 2.2 kw
  4. 2.8 kw
(정답률: 40%)
  • 처리공기량과 총압력손실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처리공기량과 총압력손실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공기운동량을 구한다.

    공기운동량 = 처리공기량 x (총압력손실 / 9.81)

    공기운동량 = 7,200 x (100 / 9.81) = 73,469.39 Nm/s

    다음으로, 송풍기의 효율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유효공기운동량을 구한다.

    유효공기운동량 = 공기운동량 / 송풍기 효율

    유효공기운동량 = 73,469.39 / 0.7 = 104,956.27 Nm/s

    마지막으로, 유효공기운동량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구한다.

    소요동력 = 유효공기운동량 / 1,000

    소요동력 = 104,956.27 / 1,000 = 104.96 kW

    따라서, 정답은 "2.8 kW"가 아니라 "104.96 kW"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8 kW"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송풍기의 효율을 고려한 결과값이 아니라, 단순히 소요동력을 계산한 값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송풍기의 효율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소요동력보다 작은 값이 나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슬롯 후드의 뒤쪽에 위치하여 압력을 균일화 시키는 공간은?

  1. 플랜지
  2. 충만실
  3. 개구면
  4. 차폐막
(정답률: 알수없음)
  • 슬롯 후드에서 빠져나온 공기는 충만실로 이동하게 되는데, 충만실은 슬롯 후드의 뒤쪽에 위치하여 압력을 균일화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충만실"입니다. 플랜지는 파이프나 밸브 등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부품이고, 개구면은 열린 면을 의미합니다. 차폐막은 특정 구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