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작업대사율(RMR)을 알맞게 표시한 것은?

  1. 작업에 소요된 열량 – 안정시 열량 / 기초 대사량
  2. 작업에 소요된 열량 – 기초 대사량 / 기초 대사량
  3. 작업에 소요된 열량 – 안정시 열량 / 안정시 열량
  4. 작업에 소요된 열량 – 기초 대사량 / 안정시 열량
(정답률: 69%)
  • 정답은 "작업에 소요된 열량 – 안정시 열량 / 기초 대사량"입니다.

    작업대사율(RMR)은 기초 대사량을 기준으로 작업에 소요된 열량과 안정시 열량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기초 대사량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량을 의미하며, 안정시 열량은 식사나 운동 등으로 섭취한 열량과 소비한 열량이 균형을 이룰 때의 에너지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작업대사율은 작업에 소요된 열량과 안정시 열량의 차이를 기초 대사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얼마나 많은 열량이 소비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변을 이용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비파괴적 시료채취가 가능하다.
  2. 많은 양의 시료확보가 가능하다.
  3. 비교적 일정한 소변배설량으로 농도보정이 필요 없다.
  4. 시료채취과정에서 시료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71%)
  • "비교적 일정한 소변배설량으로 농도보정이 필요 없다."가 틀린 것이다. 소변의 농도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정한 배설량으로 농도보정을 하지 않으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농도보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허용농도에 피부(Skin) 표시가 첨부되는 물질이 있다. 다음 피부표시를 첨부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옥탄올-물-분배계수가 낮은 물질인 경우
  2. 반복하여 피부에 도포했을 때 전신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인 경우
  3. 손이나 팔에 의한 흡수가 몸전체 흡수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물질인 경우
  4. 급성 동물중독 실험결과 피부흡수에 의한 치사량(LD50)이 비교적 낮은 물질인 경우
(정답률: 59%)
  • 옥탄올-물-분배계수가 낮은 물질인 경우가 아닌 것은 허용농도에 따라 피부표시가 첨부되는 물질이므로, 옥탄올-물-분배계수가 낮은 물질은 피부흡수가 적은 물질이기 때문에 허용농도에 따라 피부표시가 첨부될 수 있다. 따라서 옥탄올-물-분배계수가 낮은 물질인 경우도 피부표시가 첨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작업자의 체격과 숙련도, 작업환경에 따라 피로를 가장 적게 하고 생산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경제적인 작업속도는?

  1. 단위속도
  2. 지적속도
  3. 생산속도
  4. 균형속도
(정답률: 60%)
  • 작업자의 체격과 숙련도, 작업환경에 따라 피로를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적속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지적속도는 작업자가 최적의 속도로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속도로, 작업자의 능력과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작업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지적속도는 경제적이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작업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내용은 미국산업위행학회(AIHA)의 산업 위생에 대한 정의이다. 빈칸의 내용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예측, 측정, 평가, 관리
  2. 측정, 평가, 관리, 보상
  3. 예방, 치료, 재활, 보상
  4. 치료, 재활, 관리, 보상
(정답률: 85%)
  • AIHA는 산업 위생을 "예측, 측정, 평가, 관리"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위험을 예측하고 측정하여 평가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예측, 측정, 평가, 관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근로자가 물체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1일 8시간작업을 위한 작업대사량이 5.3㎉/분, 해당 작업의 작업대사량은 6㎉/분, 휴식시의 대사량은 1.3㎉/분이라면 Hertig의 식을 이용한 적절한 휴식시간 비율(%)은?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0%
(정답률: 39%)
  • Hertig의 식은 다음과 같다.

    작업시간 = 작업시간 + 휴식시간 × (작업대사량 ÷ (작업대사량 - 휴식시 대사량))

    여기서 작업시간은 8시간이고, 작업대사량은 6㎉/분, 휴식시 대사량은 1.3㎉/분이다. 따라서 휴식시간 비율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8시간 = 8시간 + 휴식시간 × (5.3 ÷ (6 - 1.3))

    7.3 = 휴식시간 × 3.53

    휴식시간 = 2.06시간 = 123.6분

    따라서 휴식시간 비율은 다음과 같다.

    휴식시간 비율 = (휴식시간 ÷ 총 작업시간) × 100

    = (123.6 ÷ 491.4) × 100

    ≈ 25.1%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적절한" 휴식시간 비율을 구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휴식시간 비율인 25%보다는 조금 더 적은 비율이 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약 15%"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00명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공장에서 1년 동안 3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도수율은?(단, 1일 8시간 근무, 연간 평균 300일 근로기준)

  1. 12.5
  2. 15.5
  3. 20.5
  4. 25.5
(정답률: 74%)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 건수를 근로자 수와 근로일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일년 동안 근로자들이 근무한 시간: 100명 x 1일 x 8시간 x 300일 = 240,000 시간
    - 발생한 재해 건수: 3건
    - 도수율: (3건 ÷ 240,000시간) x 100 = 0.00125 x 100 = 0.125 x 10 = 12.5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피로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고단하다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느낌이다.
  2. 작업강도에 반응하는 육체적, 정신적 생체현상이다.
  3. 피로 자체는 질병이 아니라 가역적인 생체변화이다.
  4. 피로가 오래되면 얼굴 부종, 허탈감의 증세가 온다.
(정답률: 73%)
  • 고단하다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느낌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이다. 다른 사람들은 같은 작업을 하더라도 고단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근육노동에 있어서 특히 보급해야할 비타민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B1
  3. 비타민 B6
  4. 비타민 C
(정답률: 79%)
  • 근육노동에 있어서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 B1은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효소인 타이아민 효소의 구성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을 할 때에는 충분한 비타민 B1 섭취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금속이 용해되어 액상물질로 되고 이것이 가스상 물질로 기화된 후 다시 응축되어 고체입자로 된 것은?

  1. 흄(fume)
  2. 안개(fog)
  3. 스모그(smog)
  4. 에어러졸(aerosol)
(정답률: 84%)
  • 금속이 용해되어 액상물질로 되면 이것은 "안개(fog)"가 됩니다. 그러나 이것이 가스상 물질로 기화된 후 다시 응축되면 고체입자로 된 "흄(fume)"가 됩니다. 따라서 "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독일의 의사이자광물학자인 그는 저서 『광물에 대하여』에서 광업에 관련된 유해성을 언급하였으며, 이 저서는 1912년 hoover (후에 미국 대통령이 됨)부부에 의해 번역되기도 한 사람은?

  1. Georgius Agricola
  2. Philippus Paracelsus
  3. Pliny the Elder
  4. Bernardino Ramazzini
(정답률: 23%)
  • Georgius Agricola는 광물학자이자 의사로, 광업에 관련된 유해성을 언급한 책 『광물에 대하여』를 썼다. 이 책은 1912년 hoover 부부에 의해 번역되기도 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동율이 76~67%이며 총작업시간 중 대사율이 1.5~2.7 범위인 작업강도는?

  1. 경작업
  2. 중등(中等)작업
  3. 강작업
  4. 중(重)작업
(정답률: 18%)
  • 실동율이 76~67%이며 대사율이 1.5~2.7 범위인 작업은 중(重)작업입니다. 이는 실동율과 대사율 모두 중간 정도의 수치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重)작업은 경작업보다는 더 많은 체력과 능력이 필요하지만, 강작업보다는 적은 체력과 능력이 필요한 작업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작업은 중(重)작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산업위행의 역사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1953년 - 근로기준법 제정
  2. 1990년 - 한국산업위생학회 창립
  3. 1963년 - 대한산업보건협회 창립
  4. 1977년 - 산업안전보건법 공포
(정답률: 53%)
  • 1977년에 산업안전보건법이 공포된 것은 틀린 내용이 아니다. 이 법은 산업 안전과 보건을 위한 법률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산업사고 예방, 안전교육, 위험물질 관리 등을 규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재해율의 종류 중 '천인률'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일정기간 동안에 근로자 1000명에 대하여 발생한 재해자 수로 정의한다.
  2. 근무시간이 다른 타 업종간의 비교가 용이하다.
  3. 각 사업장 간의 재해 상황을 비교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4. 천인율=(재해자수/평균근로자수)×1000
(정답률: 65%)
  • "근무시간이 다른 타 업종간의 비교가 용이하다."는 천인률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근무시간이 다른 업종 간에는 천인률을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oluene의 경우 1일 8시간 작업기준 허용농도가 100ppm이다. 1일 10시간 작업을 할 때 Brief 와 Scala의 보정방법으로 허용농도를 보정하면 얼마가 되는가?

  1. 60ppm
  2. 70ppm
  3. 80ppm
  4. 90ppm
(정답률: 50%)
  • 보정방법에 따라 허용농도를 계산하는데, Brief 방법은 작업시간을 8시간으로 가정하여 계산하고, Scala 방법은 작업시간을 실제 작업시간으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1일 10시간 작업을 할 경우, Brief 방법으로 계산하면 100ppm을 그대로 사용하고, Scala 방법으로 계산하면 100ppm을 8시간에 해당하는 농도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이에 따라, Scala 방법으로 계산한 허용농도는 100ppm x (8시간/10시간) = 80ppm 이므로, 이를 1일 10시간 작업 기준으로 보정하면 70p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업위생통계에서 적용되는 '우발오차' 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보정할 수 있다.
  2. 계통오차와 달리 제거할 수 없다.
  3. 한 가지 실험측정을 반복할 때 측정값들의 변동으로 발생되는 오차를 말한다.
  4. 우발오차가 작을 때는 정밀하다고 말한다.
(정답률: 39%)
  • "보정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우발오차는 한 가지 실험측정을 반복할 때 측정값들의 변동으로 발생되는 오차를 말하며, 계통오차와 달리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보정할 수 없다. 우발오차가 작을 때는 정밀하다고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바람직한 교대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각 반의 근무시간은 8시간씩으로 한다.
  2. 야간 후 다음 반으로 가는 간격은 최저 48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3. 야근근무의 연속은 일주일(5-7일)정도가 좋다.
  4. 2교대면 최저 3조의 정원을 그리고 3교대면 4조 편성으로 한다.
(정답률: 87%)
  • "야근근무의 연속은 일주일(5-7일)정도가 좋다." 인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근로자가 약한 손의 힘의 평균이 45kg라고 한다. 이 근로자가 무게 20kg인 물체를 두손으로 들어 올릴 경우 작업강도(%MS)는?

  1. 11.1
  2. 22.2
  3. 33.3
  4. 44.4
(정답률: 67%)
  • 작업강도(%M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작업강도(%MS) = (물체의 무게 / 평균 손의 힘) × 100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작업강도(%MS) = (20 / 45) × 100 = 44.4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4.4"가 되어야 한다. 이유는 계산식에 따라서 계산하면 되기 때문이다. "22.2"는 계산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톨루엔(분자량: 92) 100ppm은 몇 mg/m3인가? (단, 25℃, 1기압일 경우)

  1. 336
  2. 376
  3. 392
  4. 410
(정답률: 74%)
  • 먼저, ppm은 백만분율을 의미하므로 100ppm은 100/1,000,000 = 0.0001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mg/m3은 공기 중에 있는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톨루엔의 분자량을 이용하여 부피당 물질의 양을 계산해야 합니다.

    톨루엔의 분자량이 92이므로, 1 mol의 톨루엔은 92g입니다.

    또한, 1 mol의 기체는 22.4L의 부피를 차지하므로, 1L의 공기 중에 있는 톨루엔의 양은 92g/22.4L = 4.107g/L입니다.

    따라서, 100ppm의 톨루엔 농도는 0.0001 x 4.107g/L = 0.0004107g/L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mg/m3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1L의 공기 중에 있는 물질의 양을 mg로 변환해야 합니다.

    1L의 공기 중에 있는 물질의 양은 밀도 x 부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톨루엔의 밀도는 0.866g/mL이므로, 1L의 공기 중에 있는 톨루엔의 양은 0.866g x 1L = 866mg입니다.

    따라서, 0.0004107g/L을 mg/m3으로 변환하면 0.0004107g/L x 1000L/m3 = 0.4107mg/m3입니다.

    정답은 보기 중에서 "376"입니다. 이는 계산 결과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정확한 값은 0.4107mg/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족신경마비, 시신경장해, 정신이상, 보행장해 등을 가져오는 '미나마타병'이란 어떤 금속에 중독되었을 때 나타나는 질병인가?

  1. Hg
  2. Pb
  3. Cr
  4. Cd
(정답률: 61%)
  • 미나마타병은 수은(Hg)에 중독되었을 때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수은은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수족신경마비, 시신경장해, 정신이상, 보행장해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Hg가 정답입니다. Pb, Cr, Cd도 중금속 중독으로 인해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미나마타병과 관련된 질병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주물사업장의 음압수준이 95dB이고 작업자는 귀마개(NRR=20)를 착용하고 있다. 차음효과는?

  1. 5.5dB
  2. 6.5dB
  3. 7.5dB
  4. 8.5dB
(정답률: 62%)
  • 귀마개의 NRR은 20dB이므로 작업자의 귀에 들어가는 소음은 95dB - 20dB = 75dB가 됩니다. 따라서 차음효과는 95dB - 75dB = 20dB가 됩니다. 그러나 차음효과는 dB 단위로 표현되므로, 이 값을 2로 나누어야 합니다. 따라서 차음효과는 20dB / 2 = 10dB가 됩니다. 그러나 이 값은 귀마개를 착용한 경우의 차음효과이므로, 작업자의 귀에 들어가는 소음은 75dB가 됩니다. 따라서 작업자가 듣는 소음은 75dB이고, 이 값에서 주물사업장의 음압수준인 95dB를 빼면 차음효과는 95dB - 75dB = 20dB가 됩니다. 이 값을 2로 나누면 차음효과는 20dB / 2 = 10dB가 되고, 이 값에서 귀마개의 NRR인 20dB를 빼면 차음효과는 10dB - 20dB = -10dB가 됩니다. 이 값은 음압수준이 작업자의 귀에 들어가는 소음보다 높아서 차음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5dB가 아니라 "5.5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여과포집에 적합한 여과재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포집대상 입자의 입도분포에 대하여 포집효율이 높을 것
  2. 포집시의 흡입저항은 될 수 있는 대로 낮을 것
  3. 접거나 구부리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찢어지지 않을 것
  4. 될 수 있는 대로 흡습률이 높을 것
(정답률: 62%)
  • "될 수 있는 대로 흡습률이 높을 것"은 여과포집에 적합한 여과재의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여과포집은 입자를 포집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여과재가 입자를 흡수하거나 흡습하는 것은 오히려 포집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과재는 입자의 입도분포에 대하여 포집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흡입저항이 낮고 파손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L의 비누기품미터(soap bubble meter)를 사용하여 공기 시료채취펌프의 유량을 5L/분으로 보정하려고 한다. 비누거품이 1L를 통과하는 시간을 몇 초로 맞추어야 하는가?

  1. 35초
  2. 24초
  3. 12초
  4. 6초
(정답률: 62%)
  • 비누거품미터는 1L의 공기를 채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5L/분의 유량을 보정하려면 1분에 5L의 공기가 채취되어야 한다. 이를 1L씩 나누면 1L의 공기가 채취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2초가 된다. 따라서, 비누거품이 1L를 통과하는 시간을 12초로 맞추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실리카겔이 활성탄에 비해 갖는 장ㆍ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수분을 잘 흡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2. 활성탄으로 채취가 어려운 아닐린, 오르쏘-툴루이딘 등의 아민류나 몇몇 무기물질의 채 취가 가능하다.
  3. 추출액이 화학분석이나 기기분석에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4. 이황화탄소를 주탈착용매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39%)
  • 정답은 "이황화탄소를 주탈착용매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다.

    실리카겔은 활성탄에 비해 높은 표면적과 미세한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어 흡착능력이 뛰어나지만, 수분을 잘 흡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활성탄으로 채취가 어려운 아닐린, 오르쏘-툴루이딘 등의 아민류나 몇몇 무기물질의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추출액이 화학분석이나 기기분석에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실리카겔이 표면에 물 분자를 흡착시켜 추출액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되어 있는 작업환경 측정과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측정은 원칙적으로 1일 작업시간 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등간격 으로 나누어 6시간 이상 연속분리 측정하여야 한다.
  2. 호흡성분진은 분립장치 또는 호흡성분진을 채취할 수 있는 기기를 이용한 여과 채취방 법으로 측정한다.
  3. 용접흄은 여과채취방법으로 측정하되 용접보안면을 착용한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채취 하고 중량분석방법과 원자흡광분광기 또는 유도결합플라스마를 이용한 분석방법으로 측 정한다.
  4. 석면분진의 농도는 여과포집법에 의한 중량분석방법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39%)
  • 석면분진의 농도는 여과포집법에 의한 중량분석방법으로 측정한다는 것이 틀린 내용이다. 석면분진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직접관찰법으로 측정한다. 이유는 석면분진은 미세한 섬유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여과포집법으로 채취하면 일부 섬유가 누락되거나 분리되어 측정값이 과소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직접 석면분진의 섬유 개수를 세어서 농도를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을 측정코자 할 때 우리나라 기준에 맞는 Threshold Level 및 Exchange rate는? (단, A특성 보정, 초과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경우)

  1. 80dB, 3dB
  2. 90dB, 3dB
  3. 80dB, 5dB
  4. 90dB, 5dB
(정답률: 36%)
  • 우리나라에서는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을 측정할 때 Threshold Level은 90dB, Exchange rate는 5dB를 사용합니다. 이는 국제적으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준이며, 소음이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레벨 이상으로 지속될 경우 청각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을 사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여러 가지 금속을 동시에 분석할 때 사용하는 분석기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ICP
  2. AAS
  3. GC
  4. HPLC
(정답률: 35%)
  • ICP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의 약자로, 여러 가지 금속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분석기기입니다. 이는 샘플을 가열하여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고, 이 플라즈마에서 원자가 방출하는 특정 파장의 빛을 측정하여 금속의 양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ICP는 여러 가지 금속을 동시에 분석할 때 가장 적절한 분석기기입니다. AAS는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의 약자로, 하나의 금속만 분석할 때 사용되며, GC와 HPLC는 유기화학적 물질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분석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검지관 사용서 단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밀폐공간에서 산소부족 또는 폭발성 가스 측정에는 측정자 안전이 문제된다.
  2. 민감도 및 특이도가 낮다.
  3. 각 오염물질에 맞는 검지관을 선정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4. 색변화가 선명하지 않아 주관적으로 읽을 수 있어 판독자에 따라 변이가 심하다.
(정답률: 70%)
  • "밀폐공간에서 산소부족 또는 폭발성 가스 측정에는 측정자 안전이 문제된다."는 검지관 사용서의 단점이 아니라 검지관 사용서의 한계이다. 검지관은 오염물질의 존재를 간단하게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 측정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밀폐공간에서 산소부족 또는 폭발성 가스 측정을 위해서는 검지관 외에 다른 안전장비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작업환경 측정기구의 보정을 위한 2차표준에 해당되는 것은?

  1. Wet-test meter
  2. 폐활량계
  3. Pitot 튜브
  4. '무마찰'피스톤 미터
(정답률: 71%)
  • 작업환경 측정기구의 보정을 위한 2차표준은 대개 정확한 측정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기구에서 제공되는 표준기기를 말합니다. "Wet-test meter"는 대기 중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 보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기기는 작업환경 측정기구의 보정을 위한 2차표준에 해당됩니다. 폐활량계, Pitot 튜브, '무마찰'피스톤 미터는 각각 다른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기구이며, 작업환경 측정기구의 보정을 위한 2차표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분광 광도계(흡광광도 분석기기)를 사용할 때 가시광선 영역에 사용되는 광원은?

  1. 텅스텐램프
  2. 중수소방전램프
  3. 중공음극램프
  4. 광전증배관
(정답률: 18%)
  • 분광 광도계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샘플의 흡광스펙트럼을 측정하기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 사용되는 광원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원은 텅스텐램프입니다. 이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원의 스펙트럼이 넓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수소방전램프나 중공음극램프는 특정 파장에서 강한 스펙트럼을 가지기 때문에 특정 파장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며, 광전증배관은 UV 영역에서 사용되는 광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입자상 물질중의 금속을 채취하는데 사용되는 MCE막 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에 쉽게 용해된다.
  2. 석면, 유리섬유 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된다.
  3. 시료가 여과지의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데 침착된다.
  4. 흡습성이 낮아 중량 분석에 적합하다.
(정답률: 66%)
  • MCE막 여과지는 시료가 여과지의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데 침착되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입자상 물질중의 금속을 채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흡습성이 낮아 중량 분석에 적합하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옥내 작업환경의 자연습구온도를 측정하여 보니 20℃이었고, 흑구온도를 측정하여 보니 10℃이었으며 건구온도를 측정하여 보니 15℃이었다면 습구흑구 온도지수는?

  1. 15℃
  2. 17℃
  3. 19℃
  4. 30℃
(정답률: 60%)
  • 습구흑구 온도지수는 옥내 작업환경의 자연습구온도와 흑구온도의 차이에 건구온도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20℃ - 10℃ + 15℃ = 25℃이다. 그러나, 습구흑구 온도지수는 항상 5℃ 낮게 계산되므로, 25℃ - 5℃ = 20℃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7℃"이 아니라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빛의 세기 Io의 단색광이 어떤 시료용액을 통과하여 그 공의 20%가 흡수되었을 때 흡광도는?

  1. 0.1
  2. 0.3
  3. 0.5
  4. 0.7
(정답률: 39%)
  • 흡수율과 흡광도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흡수율이 높을수록 흡광도는 낮아집니다. 문제에서는 시료용액이 20%만큼 흡수되었으므로, 흡수율은 0.2가 됩니다. 따라서, 흡광도는 1 - 0.2 = 0.8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Io의 단색광이 사용되었으므로, 흡광도는 0.8의 제곱근인 0.1이 됩니다. 이는 램버트-베어의 법칙에 따라 계산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정한 물질에 대해 분석치가 참값에 얼마나 접근하였는가 하는 수치상의 표현은?

  1. 정확도
  2. 분석도
  3. 정밀도
  4. 대표도
(정답률: 50%)
  • 정확도는 분석치가 참값에 얼마나 가까이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정답이다. 분석도는 분석 방법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정밀도는 측정값들이 서로 얼마나 가까이 분포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대표도는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유기용제물질 중 활성탄관으로 채취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에스테르류
  2.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3. 알코올류
  4. 방향족 아민류
(정답률: 56%)
  • 방향족 아민류는 활성탄관으로 채취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유기용제물질입니다. 이는 방향족 아민류가 분자 구조상 폴라리티가 낮아 활성탄 표면과 상호작용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유기용제물질에 비해 흡착능력이 낮아 활성탄관으로 채취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순간시료채취(Grab sampling)기가 아닌 것은?

  1. 시료채취 백
  2. 진공 플라스크
  3. 버블러
  4. 스테인레스 스틸 캐니스터
(정답률: 47%)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순간시료채취기는 "시료채취 백", "진공 플라스크", "스테인레스 스틸 캐니스터"이다. 이들은 시료를 직접 채취하거나 직접적으로 시료를 저장할 수 있는 기기이다. 반면에 "버블러"는 시료 내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기기로, 일반적인 순간시료채취기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습구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연습구온도계의 측정시간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25분 이상
  2. 15분 이상
  3. 10분 이상
  4. 5분 이상
(정답률: 55%)
  • 습구온도는 자연적으로 변화하는 온도이기 때문에 측정 시간이 짧으면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5분 이상의 측정 시간이 필요합니다. 25분 이상의 측정 시간은 너무 오래되어 실용적이지 않으며, 15분 이상, 10분 이상의 측정 시간도 충분하지만, 5분 이상의 측정 시간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먼지 입경에 따른 여과 메카니즘 및 채취효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0.1㎛ 미만인 입자는 주로 간섭에 의하여 채취된다.
  2. 관성출동은 1㎛이상인 입자에서 공기의 면속도가수 cm/sec 이상일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입자크기는 차단, 관성충돌 등의 메카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4. 0.3㎛인 먼지가 가장 낮은 채취효율을 가진다.
(정답률: 17%)
  • "0.1㎛ 미만인 입자는 주로 간섭에 의하여 채취된다."가 틀린 것이다. 0.1㎛ 미만인 입자는 주로 확산에 의해 채취된다. 간섭은 0.1㎛ 이상의 입자에서 주로 일어나는 메카니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미국 ACGIH에서 정의한 흉곽성 입자상 물질의 평균입경은?

  1. 3㎛
  2. 4㎛
  3. 5㎛
  4. 10㎛
(정답률: 56%)
  • ACGIH에서 정의한 흉곽성 입자상 물질의 평균입경은 10㎛이다. 이는 인체의 호흡기로 침투하여 폐에 침착되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입경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입경의 입자는 대기 중에서 오랫동안 머무르기 때문에 인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500㎖ 수용액속에 8g의 NaOH가 함유되어 있는 용액의 pH는? (단, Na 원자량 23, 완전해리 기준)

  1. 13.2
  2. 13.4
  3. 13.6
  4. 13.8
(정답률: 41%)
  • NaOH의 몰질량은 40g/mol입니다. 따라서 8g의 NaOH는 0.2 몰에 해당합니다. 이 용액은 완전해리 용액이므로 NaOH의 몰과 OH-의 몰이 같습니다. 따라서 OH-의 몰도 0.2 몰입니다.

    OH-의 농도는 0.2 몰 / 0.5 L = 0.4 mol/L입니다.

    pOH = -log[OH-] = -log(0.4) = 0.4

    pH + pOH = 14이므로,

    pH = 14 - pOH = 14 - 0.4 = 13.6

    따라서, 이 용액의 pH는 13.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적용화학물질은 정제 벤드나이드겔, 염화비닐수지이며 분진, 전해약품제조, 원료취급작업에 주용도로 사용하는 보호크림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친수성크림
  2. 소수성크림
  3. 차광크림
  4. 피막형크림
(정답률: 71%)
  • 적용화학물질인 정제 벤드나이드겔과 염화비닐수지는 유해물질로 분진, 전해약품제조, 원료취급작업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러한 작업에서 피부에 직접 접촉하면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호크림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피막형크림은 피부에 밀착하여 보호막을 형성해주어 유해물질의 침투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적용화학물질을 다루는 작업에서는 피막형크림이 가장 적합한 보호크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소음성난청에서의 영구성 청력손실은 초기에 몇 Hz에서 가장 현저한가?

  1. 2000Hz
  2. 3000Hz
  3. 4000Hz
  4. 5000Hz
(정답률: 62%)
  • 소음성난청은 고주파 영역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는 4000Hz 주파수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영구성 청력손실은 초기에 4000Hz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소음성 지향성 그림에서 '지향계수'는? (문제오류로 문제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1. 2
  2. 4
  3. 6
  4. 8
(정답률: 72%)
  • 죄송합니다. 문제 내용이 부족하여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추가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열중증 질환 중 혈중 C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고 혈액농축이 현저하여 수분 및 소금을 보충하여야 하는 것은?

  1. 열경련
  2. 열피로
  3. 열사병
  4. 열쇠약
(정답률: 39%)
  • 열경련은 열 중증 질환 중에서 혈액농축이 현저하고 혈중 C 농도가 감소하여 수분 및 소금을 보충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이 질환에서는 수분과 전해질 보충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열복이나 방열장갑에서 복사열을 반사하도록 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물질로 안전한 것은?

  1. 석면
  2. 플라스틱
  3. 고무
  4. 알루미늄
(정답률: 54%)
  • 알루미늄은 전기 및 열 전도성이 높아서 복사열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열복이나 방열장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안전성이 높아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입니다. 반면 석면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플라스틱과 고무는 열 전도성이 낮아서 효과적인 방열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한랭환경에서 나타나는 증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신체온강하 : 장시간의 한랭포로와 체열상실에 따라 발생되는 만성질환성장해의 일종이다.
  2. 참호족 : 지속적인 국소의 산소결핍으로 발생한다.
  3. 동상 : 강렬한 한냉으로 조직장해가 오거나 심부혈관의 변화를 초래하는 장해이다.
  4. 알러지반응 : 사람에 따라 두드러기, 부종 등의 국소반응을 일으킨다.
(정답률: 32%)
  • 전신체온강하는 만성질환성장해의 일종이 아니라 급성질환성장해의 일종입니다. 한랭환경에서 발생하는 증상 중에서는 전신체온강하, 참호족, 동상이 있습니다. 알러지반응은 한랭환경과는 무관한 증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기장(electric field)와 자기장(magnetic field)에 관한 설명이다. 바르지 않은 것은?

  1. 전기장은 전기기구에 전압만 걸려 있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발생하지 않는다.
  2. 전기장은 나무, 건물,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쉽게 약화 또는 차폐된다.
  3. 자기장은 전류가 흐를 때 흐르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또 다른 힘의 장이 형성되는 것 을 말한다.
  4. 자기장은 대부분의 물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차폐하기 어렵다.
(정답률: 7%)
  • 정답: "전기장은 전기기구에 전압만 걸려 있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발생하지 않는다." - 전기장은 전압이 존재하는 어떤 공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전기장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장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인 전하의 존재는 전류와 무관하다.

    전기장은 전하가 존재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며, 전하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와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전압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서도 전하가 존재한다면 전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피조사체 1g에 대하여 100erg의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위는?

  1. rad
  2. Ci
  3. rem
  4. sv
(정답률: 53%)
  • "rad"는 방사선 흡수량의 단위로, 피조사체가 1그램일 때 100에르그의 에너지가 흡수되는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ad"가 정답입니다. "Ci"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활동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rem"과 "sv"는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공학적인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기
  2. 평가
  3. 격리
  4. 대치
(정답률: 56%)
  •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공학적인 대책 중에서 "평가"는 다른 대책들과는 달리 작업환경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개선된 작업환경이나 대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학적 작업환경관리 대책 중 대치가 적절치 못한 것은?

  1. 성냥을 만들 때 적린을 백린으로 대치
  2. 세척작업에서 사염화탄소 대신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전환
  3. 주물공정에서 실리카 모래 대신 그린 모래로 주형을 채우도록 대치
  4. 금속표면을 블라스팅할 때 사용재료로서 모래대신 철구슬을 사용
(정답률: 64%)
  • "성냥을 만들 때 적린을 백린으로 대치"가 적절치 못한 대책인 이유는 적린과 백린은 화학적으로 다른 물질이기 때문에 대치하면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적린은 화재와 폭발 위험이 있으며, 백린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에 대치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따라서 적린과 백린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이 안전하고 적절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방진마스트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여과재 포집효율이 높을 것
  2. 흡기저항이 높을 것
  3. 배기저항이 낮을 것
  4. 착용시 시야확보가 용이할 것
(정답률: 67%)
  • "흡기저항이 높을 것"이 틀린 것입니다. 방진마스크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순수한 공기를 마시는 것이 목적이므로 흡기저항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흡기저항이 높으면 호흡이 어려워지고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중 물체가 정상정지위치에서 일정 시간내에 도달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로 표현되는 것은?

  1. 가속도(acceleration)
  2. 속도(velocity)
  3. 변위(displacement)
  4. 공명(resonance)
(정답률: 43%)
  • 변위는 물체가 정상정지위치에서 일정 시간내에 도달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변위(displacement)이다. 가속도는 물체의 속도 변화율을 나타내는 용어이고, 속도는 단위 시간당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공명은 물체가 주어진 주파수에서 진동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염료, 작물, 제지, 화학공업 등에서 주로 노출되며 방광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카드뮴
  2. 아크릴로 니트릴
  3. 벤젠
  4. 벤지딘
(정답률: 19%)
  • 벤지딘은 염료, 작물, 제지, 화학공업 등에서 노출되며, 방광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도 유해물질이지만, 방광암을 유발하는 것으로는 벤지딘이 가장 알맞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압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람에게 마취작용(다행증)을 일으키는 가스는?

  1. 이산화탄소
  2. 수소
  3. 질소
  4. 헬륨
(정답률: 73%)
  • 고압 환경에서 질소는 혈액과 조직으로 빠르게 침투하여 혈액의 산소 공급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다행증을 일으키는 가스입니다. 이산화탄소와 수소는 고압 환경에서도 혈액과 조직으로 침투하는 속도가 느리고, 헬륨은 다른 가스들과는 반대로 혈액과 조직으로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마취작용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리방사선에 감수성이 가장 큰 신체조직은?

  1. 근육조직
  2. 뇌조직
  3. 위장기관
  4. 조혈기관
(정답률: 36%)
  • 전리방사선은 D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세포 분열 속도가 빠른 조직일수록 감수성이 높아집니다. 조혈기관은 혈액을 생성하는 곳으로, 세포 분열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전리방사선에 가장 민감한 조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조혈기관은 방사선 치료나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매우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진폐증의 병리적 변화에 따라 구분된 교원성진폐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망상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2. 폐포조직의 비가역성변화가 있다.
  3. 교원성간질반응이 명백하다.
  4. 규폐증, 석면폐증이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률: 18%)
  • "망상섬유로 구성되어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교원성진폐증은 폐조직 내에서 광범위한 섬유화와 염증 반응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폐포조직의 비가역성 변화가 생기고 교원성간질반응이 명백해집니다. 규폐증, 석면폐증은 대표적인 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진재 중 금속스프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진시에 전달률이 적다.
  2. 저주파 차진에 좋다.
  3. 최대변위가 허용된다.
  4. 환경요소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정답률: 54%)
  • "공진시에 전달률이 적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공진시에는 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일치하여 진동이 증폭되는데, 이 때 금속스프링은 진동을 흡수하여 전달률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촉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는 룩스(Lux)를 사용한다.
  2. 지름이 1인치되는 촛불이 수평 방향으로 비칠 때 대략 1촉광의 빛을 낸다.
  3. 빛의 광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국제촉광을 사용한다.
  4. '1촉광 = 4π루멘'의 관계가 성립한다.
(정답률: 55%)
  • "'1촉광 = 4π루멘'의 관계가 성립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1루멘 = 1룩스 x 1제곱미터'의 관계가 성립하며, 이를 이용하여 '1촉광 = 4π루멘/제곱미터'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촉광은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단위는 룩스(Lux)를 사용합니다. 지름이 1인치되는 촛불이 수평 방향으로 비칠 때 대략 1촉광의 빛을 낸다는 것은 촉광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근골격계질환을 줄이기 위한 작업관리방법이다. 바르지 못한 것은?

  1. 수공구의 무게는 가능한 한 줄인다.
  2. 손목, 팔꿈치, 허리가 뒤틀리지 않도록 한다.
  3.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여 작업대사량을 줄인다.
  4. 작업자가 일에 쫓기지 않도록 작업시간을 조절한다
(정답률: 50%)
  •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여 작업대사량을 줄인다는 것은 반복적인 작업을 할 때 자세를 바꾸거나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 같은 자세로 작업을 하면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업 중에 자세를 바꾸거나 휴식을 취하면서 작업대사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자연채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창의 방향은 많은 채광을 요구하는 경우는 남향이 좋다.
  2. 균일한 조명을 요하는 작업실은 북창이 좋다.
  3. 창의 면적은 벽면적의 15-20%가 이상적이다.
  4. 실내각점의 개각은 4-5°, 입사각은 28° 이상이 좋다.
(정답률: 44%)
  • "균일한 조명을 요하는 작업실은 북창이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작업실에서는 자연채광보다는 인공조명이 더 중요하므로, 작업실의 창문은 작업환경에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작업실의 창문 위치는 작업환경과 인공조명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창의 면적은 벽면적의 15-20%가 이상적인 이유는, 너무 많은 창문이 있으면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기 어렵고, 너무 적은 창문이 있으면 자연채광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물의 크기와 용도에 맞게 적절한 창문 면적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축류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덕트에 바로 삽입할 수 없어 현장통용성이 떨어진다.
  2. 최대 송풍량의 70%이하가 되도록 압력손실이 걸릴 경우 서어징 현상을 피할 수 없다.
  3. 압력손실이 비교적 많이 걸리는 시스템에 사용했을 때 서어징 현상으로 진동과 소음이 심한 경우가 많다.
  4. 전향 날개형 송풍기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25%)
  • "덕트에 바로 삽입할 수 없어 현장통용성이 떨어진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도금조처럼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개방면적이 넓은 경우 어떠한 후드가 적합한가?

  1. 저유량-고유속 후드
  2. 슬롯후드
  3. 캐노피 후드
  4. push-pull후드
(정답률: 43%)
  • 도금조처럼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개방면적이 넓은 경우, push-pull 후드가 적합합니다. 이는 push-pull 후드가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입 및 배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push-pull 후드는 슬롯후드나 캐노피 후드보다 더 넓은 개방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더 많은 공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무실 직원이 모두 퇴근한 직후인 오후 6시에 측정한 공기중 CO2농도는 1200ppm, 사무실이 빈 상채로 3시간이 경과한 오후 9시에 측정한 CO2농도는 400ppm이었다면 이 사무실의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단, 외부공기 중 CO2농도는 330ppm이라고 가정함)

  1. 0.68
  2. 0.84
  3. 0.93
  4. 1.26
(정답률: 57%)
  • 공기교환 횟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 = (CO2농도 차이) / (실내 CO2농도 × 외부공기 CO2농도 × 60분)

    여기서 CO2농도 차이는 1200ppm - 400ppm = 800ppm 이다.

    따라서,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 = 800 / (1200 × 330 × 60) = 0.84

    따라서, 정답은 "0.8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방형직관에서 단면길이 a가 0.3m, b가 0.3m일 때 상당직경(equivalent diameter) de는?

  1. 약 0.3m
  2. 약 0.4m
  3. 약 0.5m
  4. 약 0.6m
(정답률: 54%)
  • 상당직경은 방형단면의 넓이와 둘레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방형직관의 넓이는 a*b이고, 둘레는 2a+2b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상당직경을 구하면,

    de = 4*a*b / (2a+2b)

    = 2ab / (a+b)

    = 2*0.3*0.3 / (0.3+0.3)

    = 0.18 / 0.6

    = 0.3

    따라서, 상당직경은 약 0.3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유량이 300m3/min이고 rpm이고 rpm이 500인 송풍기에 필요한 동력이 6HP이다. 이 송풍기의 rpm을 700으로 증가시켰을 때의 동력은?

  1. 10.4 HP
  2. 11.8HP
  3. 14.4 HP
  4. 16.5HP
(정답률: 42%)
  • 유량과 rpm은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rpm이 500에서 700으로 증가하면 유량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유량은 300 x (700/500) = 420m3/min이 된다.

    동력과 rpm은 제곱 관계에 있으므로 rpm이 500에서 700으로 증가하면 동력은 (700/500)3 = 1.96배 증가한다. 따라서 동력은 6 x 1.96 = 11.76 ≈ 11.8HP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6.5HP"가 있으므로 계산 실수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유량과 rpm은 비례 관계이므로 유량이 420m3/min일 때 rpm이 500일 때의 유량인 300m3/min일 때의 동력과 비례하여 증가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은 6 x (420/300)3 = 16.5H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5 ~ 10
  2. 10 ~ 15
  3. 15 ~ 20
  4. 20 ~ 25
(정답률: 46%)
  • 이 보기는 주어진 데이터를 5개의 구간으로 나눈 히스토그램이다. 각 구간은 5의 배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의 최솟값은 5, 최댓값은 25이다. 따라서 5 ~ 10은 첫 번째 구간에 해당하며, 데이터의 분포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가장 작은 구간이기 때문에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반공업분진(털, 나무부스러기, 대패부스러기, 샌드블라스트, 글라인더분진, 내화벽돌분진)의 일반적인 반송속도(m/sec)로 적절한 것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22%)
  • 일반공업분진의 반송속도는 그 크기와 밀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25m/sec 사이의 범위를 가진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20m/sec이다. 이유는 10m/sec는 너무 느리고, 15m/sec는 조금 느리기 때문에 분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고, 25m/sec는 너무 빠르기 때문에 분진이 제거되는 동안 기계나 장비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20m/sec가 적절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덕트에서 공기흐름의 평균 속도압은 25mmH2O였다. 덕트에서의 반송속도(m/sec)는? (단, 공기밀도는 1.21kg/m3)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0
(정답률: 45%)
  • 공기흐름의 평균 속도압은 25mmH2O이므로, 이를 속도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Bernoulli의 방정식을 사용할 수 있다.

    P1 + 1/2ρv12 + ρgh1 = P2 + 1/2ρv22 + ρgh2

    여기서, P1과 P2는 압력, ρ는 공기밀도, v1은 덕트에서의 속도, v2는 반송속도, h1과 h2는 각각 덕트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높이이다. 여기서 h1 = h2이므로, 이항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P1 + 1/2ρv12 = P2 + 1/2ρv22

    여기서, P1과 P2는 대기압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1/2ρv12 = 1/2ρv22

    v2 = v1√(ρ12)

    여기서, ρ1은 대기압에서의 공기밀도인 1.21kg/m3이고, ρ2는 덕트 내부의 공기밀도이다. 공기흐름의 평균 속도압은 25mmH2O이므로, 이를 Pa로 변환하면 245.2Pa이다. 이를 다시 속도로 변환하면,

    v1 = √(2(245.2)/1.21) ≈ 20.0m/s

    따라서, 덕트에서의 반송속도는 약 20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오염이 높은 작업장의 실내압으로 알맞은 것은?

  1. 양압(+)유지
  2. 음압(-)유지
  3. 정압유지
  4. 동압유지
(정답률: 58%)
  • 오염이 높은 작업장에서는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작업장 내부의 압력을 외부보다 낮게 유지하는 음압(-)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오염물질이 작업장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외부 공기가 작업장 내부로 유입되어 오염물질의 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염이 높은 작업장에서는 음압(-)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작업장의 용적이 세로10m, 가로 30m, 높이 6m이고 필요환기량(Q)이 90m3/min이다. 1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1. 2회
  2. 3회
  3. 4회
  4. 6회
(정답률: 54%)
  • 용적은 세로10m x 가로30m x 높이6m = 1800m3 이다.
    1시간당 필요한 환기량은 90m3/min x 60min = 5400m3/h 이다.
    따라서 1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1800m3 / 5400m3/h = 1/3시간당 1회이다.
    즉, 1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3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원형이나 정사각형의 후드인 경우 필요 환기량은 Dalla Valle공식(Q=V(10x2+A))을 활용한다. 이 공식은 오염원에서 후드까지의 거리가 닥트직경의 몇 배 이내일 때만 유효한가?

  1. 0.5배
  2. 1.5배
  3. 2.5배
  4. 5.0배
(정답률: 32%)
  • Dalla Valle 공식에서 V는 오염원의 배기량, A는 후드의 단면적, x는 오염원에서 후드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 때, x가 닥트직경의 몇 배 이내일 때만 유효하다는 것은 후드 주변의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어 환기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적용된다는 것이다. 만약 후드 주변의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Dalla Valle 공식을 적용하면 실제 환기량보다 적게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후드 주변의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거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거리는 닥트직경의 1.5배 정도로 추정되며, 따라서 답은 "1.5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송풍기 설계시 주의사항으로 적합지 아니한 것은?

  1. 송풍량과 송풍압력을 완전히 만족시켜 예상되는 풍량의 변동범위 내에서 과부하하지 않 고 완전한 운전이 되도록 한다.
  2. 송풍관의 중량을 송풍기에 가중시키지 않는다.
  3. 송풍배기의 입자농도와 그 마모성을 참작하여 송풍기의 형식과 내마모구조를 고려한다.
  4. 송풍기와 배관간에 Flexible bypass를 설치하여 송풍압력의 변동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32%)
  • 송풍기와 배관간에 Flexible bypass를 설치하여 송풍압력의 변동을 감소시키는 것은 올바른 설계 방법입니다. 이는 송풍압력의 변동으로 인한 송풍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송풍관의 중량을 가중시키지 않으며, 입자농도와 내마모성을 고려한 송풍기의 형식과 내마모구조를 고려하는 것과 함께 송풍기 설계시 주의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온도 150°C, 압력 720mmHg 상태에서 배기가스 체적이 120m3이라면 0°C, 1atm에서 배기가스의 체적은?

  1. 61.1Sm3
  2. 73.4Sm3
  3. 89.2Sm3
  4. 93.4Sm3
(정답률: 53%)
  • 이 문제는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먼저, 기체 상태 방정식은 PV = nRT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냅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온도는 150°C이므로 절대온도로 변환하면 423K입니다. 압력은 720mmHg이므로 1atm은 760mmHg이므로 0.947atm입니다.

    따라서, 기체 상태 방정식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947atm)(V) = (n)(0.0821 L·atm/mol·K)(423K)

    여기서, n은 몰수이므로 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체적이 주어졌으므로 V를 구할 수 있습니다.

    V = (n)(0.0821 L·atm/mol·K)(423K) / (0.947atm)

    따라서, V를 계산하면 73.4Sm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화씨온도(°F) 단위에서의 절대온도인 랭킨온도(°R)의 상호 호환식으로 적절한 것은?

  1. °R = °F+430
  2. °R = °F+460
  3. °R = °F+480
  4. °R = °F+490
(정답률: 17%)
  • 정답은 "°R = °F+460" 입니다.

    화씨온도와 랭킨온도는 모두 절대온도 체계에서 사용되는 온도 단위입니다. 랭킨온도는 절대온도 체계에서의 온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0K와 같이 절대적인 온도를 가집니다. 화씨온도는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을 32°F와 212°F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랭킨온도와 화씨온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R = (°F + 459.67) × 5/9

    따라서, °R = °F + 459.67 - 459.67 × 5/9

    간단하게 정리하면, °R = °F + 46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닥트직경이 40cm, 공기유속이 30m/sec인 경우 Reynolds수(Re)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점성계수는 1.85×10-5kg/secㆍm이고 공기밀도는 1.2kg/m3으로 가정)

  1. 약 780000
  2. 약 480000
  3. 약 390000
  4. 약 270000
(정답률: 53%)
  • Re = (밀도 × 속도 × 직경) / 점성계수
    Re = (1.2kg/m³ × 30m/s × 0.4m) / 1.85×10⁻⁵kg/secㆍm
    Re = 780648.6
    따라서, Re는 약 780000이다. 이는 유동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기준값인 2300을 크게 초과하므로 유동은 터빈류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외부식 포집형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하면 부착하지 않는 것 보다 약 몇 %의 소요 송풍량(환가량:Q)을 줄일 수 있는가?

  1. 10%
  2. 25%
  3. 50%
  4. 75%
(정답률: 53%)
  • 외부식 포집형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하면 후드와 연결된 파이프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파이프 내부의 송풍량(환가량:Q)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를 부착하지 않는 것 보다는 송풍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입계수 Ce가 0.82일 때 후드의 압력손실(mmH2O)은? (단, Pv는 30mmH2O이다.)

  1. 12.2
  2. 13.1
  3. 13.3
  4. 14.6
(정답률: 58%)
  • 유입계수 Ce가 0.82이므로, 후드의 압력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력손실 = Ce * Pv
    압력손실 = 0.82 * 30
    압력손실 = 24.6

    따라서, 후드의 압력손실은 24.6mmH2O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14.6mmH2O이므로, 이는 계산 실수로 인한 오답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느 국소배기장치의 총압력손실(풍전압)이 100mmH2O, 처리공기량의 7.200m3/hr, 송풍기 효율은 80%이다. 이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1. 1.85kw
  2. 2.15kw
  3. 2.45kw
  4. 2.90kw
(정답률: 62%)
  • 처리공기량과 풍전압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처리공기량과 풍전압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공기운동량을 구한다.

    공기운동량 = 처리공기량 x 풍전압 = 7.200m3/hr x 100mmH2O = 720 Nm/s

    다음으로, 송풍기의 효율을 이용하여 유량과 압력을 변환한다.

    유량 = 처리공기량 / 효율 = 7.200m3/hr / 0.8 = 9.000m3/hr

    압력 = 풍전압 / 효율 = 100mmH2O / 0.8 = 125mmH2O

    마지막으로, 유량과 압력을 이용하여 소요동력을 구한다.

    소요동력 = 유량 x 압력 / 3.6 / 1.000 = 9.000m3/hr x 125mmH2O / 3.6 / 1.000 = 2.45kW

    따라서, 정답은 "2.45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덕트의 단면적이 0.5m2이고 덕트에서의 반송속도는 30m/sec 였을 때 유량(Q, m3/min)는?

  1. 600
  2. 700
  3. 800
  4. 900
(정답률: 3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덕트 설치시의 주요원칙으로 틀린 것은?

  1. 가능한 한 후드의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2. 밴드의 수는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한다.
  3. 공기는 항상 위로 향하도록 상향구배로 한다.
  4. 덕트는 가능한 한 짧게 배치하도록 한다.
(정답률: 36%)
  • "공기는 항상 위로 향하도록 상향구배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덕트의 구배를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공기가 상승하는 경우 상향구배를, 하강하는 경우 하향구배를 적용한다. 이는 공기의 움직임을 최적화하여 효율적인 환기 및 배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