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다음 중 직업성 경견완 증후군 발생과 연관되는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화교환작업
  2. 전기톱에 의한 벌목작업
  3. 키펀치작업
  4. 금전등록기의 계산작업
(정답률: 82%)
  • 전기톱에 의한 벌목작업은 진동과 소음이 크기 때문에 직업성 경견완 증후군 발생과 연관이 높습니다. 반면에 전화교환작업, 키펀치작업, 금전등록기의 계산작업은 진동과 소음이 적어서 직업성 경견완 증후군 발생과 연관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근무 교대제를 운영함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야간근무의 연속은 4~5일로 한다.
  2. 일반적으로 오전 근무의 개시시간은 오전 11시로 한다.
  3. 야간근무 종료 후 다음 야간근무 시작할 때까지의 간격은 8시간으로 한다.
  4. 3교대제일 경우 최저 4개조로 편성한다.
(정답률: 94%)
  • 3교대제는 하루 24시간을 3개의 교대로 나누어 근무하는 방식이다. 이때 최소한 4개의 교대조가 필요한 이유는 근무자들이 적절한 휴식을 취하고 근무 시간을 분산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약 교대조가 3개 이하로 구성된다면 근무자들은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근무해야 하므로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 4개의 교대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외부환경의 변화에 신체반응의 항상성이 작용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신체의 변성현상
  2. 신체의 순응현상
  3. 신체의 회복현상
  4. 신체의 이상현상
(정답률: 75%)
  •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해 신체는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합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신체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순응하게 되는데, 이를 "신체의 순응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현상으로, 예를 들어 더운 날씨에서는 땀을 내어 체온을 조절하고, 추운 날씨에서는 혈관을 수축시켜 체온을 유지하는 등의 작용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평균 근로자가 850명인 사업장에서 연간 100건의 업무재해가 발생하였다. 1일 9시간 연 300일을 작업하고 연간 작업손실기간이 40000시간이었다면 이 사업장의 도수율은 약 얼마인가?

  1. 35.46
  2. 37.25
  3. 43.57
  4. 44.35
(정답률: 2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산업피로의 증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일반적으로 체온이 높아지나 피로정도가 심해지면 도리어 낮아진다.
  2. 호흡이 빨라지고 혈액중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한다.
  3. 혈당치가 높아지고 젖산, 탄산이 증가한다.
  4. 혈압은 초기에는 높아지나 피로가 진행되면 도리어 낮아진다.
(정답률: 65%)
  • "혈당치가 높아지고 젖산, 탄산이 증가한다."는 산업피로의 증상 중 하나이다. 이는 근육이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혈당이 소모되고, 이에 따라 젖산과 탄산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산업피로의 증상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산업위생분야에 관련된 단체와 그 약자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 NIOSH
  2. 미국 산업위생학회 - ACGIH
  3. 미국 직업안전위생관리국 - OSHA
  4. 영국 산업위생학회 - BOHS
(정답률: 44%)
  • 정답은 "미국 산업위생학회 - ACGIH"이다. ACGIH는 미국 산업위생학회의 약자가 아니라, 미국 산업위생학회에서 발행하는 화학물질 노출 한계치를 제공하는 "ACGIH 한계치"를 의미한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은 미국 직업안전위생관리국(OSHA)과 함께 미국의 산업안전보건 분야를 주도하는 기관이며, 영국 산업위생학회(BOHS)는 영국의 산업위생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775년 영국의 외과의사인 Percivall Pott에 의해 최초로 보고된 “음낭암”의 원인물질은?

  1. 벤젠
  2. 검댕
(정답률: 90%)
  • 검댕은 당시 영국에서 많이 사용되던 화장품 중 하나였는데, 이것이 포함된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음낭암에 걸리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 검댕이 음낭암의 원인물질이라는 것을 Percivall Pott이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노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은 근육에 저장된 화학적에너지와 대사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에너지로 구분된다. 근육운동의 에너지원이 대사에 주로 동원되는 순서(시간대별)를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혐기성 대사이다.)

  1. Glycogen → CP → ATP
  2. CP → Glycogen → ATP
  3. ATP → CP → Glycogen
  4. CP → ATP → Glycogen
(정답률: 55%)
  • 정답은 "ATP → CP → Glycogen"이다. 이는 근육운동 시간대별 에너지원의 사용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처음에는 근육 내에 저장된 ATP가 사용되고, 이후에는 근육 내에 저장된 크레아틴 인산(CP)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는 근육 내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대사과정을 거쳐 ATP를 생성하여 사용된다. 이 순서는 근육 내 에너지원의 사용 가능성과 소모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노출기준의 종류 중 근로자가 1회에 15분간 유해요인에 노출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 농도 이하에서는 1회 노출간격이 1시간 이상인 경우 작업시간 동안 4회까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는 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TLV-C
  2. TLV-STEL
  3. TLV-TWA
  4. Excursion Limits
(정답률: 50%)
  • 정답: TLV-STEL

    TLV-STEL은 Short-Term Exposure Limit의 약자로, 근로자가 1회에 15분간 유해요인에 노출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노출기준이다. 이 농도 이하에서는 1회 노출간격이 1시간 이상인 경우 작업시간 동안 4회까지 노출이 허용될 수 있다. TLV-STEL은 일시적인 농도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 근로자의 건강에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TLV-STEL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노출기준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구리(Cu) 독성에 관한 인체 실험 결과 안전흡수량이 체중 kg당 0.1mg 이었다. 1일 8시간 작업시 구리의 체내흡수를 안전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공기 중 구리농도는 약 얼마이하여야 하는가? (단, 성인근로자 평균체중은 75kg, 작업시 폐환기율은 1.2m3/h, 체내 잔류율은 1.0 이다.)

  1. 0.61mg/m3
  2. 0.73mg/m3
  3. 0.78mg/m3
  4. 0.85mg/m3
(정답률: 46%)
  • 안전흡수량은 체중 kg당 0.1mg 이므로, 성인근로자의 경우 안전흡수량은 0.1mg/kg x 75kg = 7.5mg 이다. 작업시 폐환기율이 1.2m3/h 이므로, 8시간 작업시 폐출량은 1.2m3/h x 8h = 9.6m3 이다. 따라서, 안전흡수량을 초과하지 않으려면 9.6m3의 공기 중에 최대 7.5mg의 구리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구하여 공기 중 구리농도를 계산하면 7.5mg/9.6m3 = 0.78mg/m3 이므로, 정답은 "0.78m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산업피로의 발생기전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중간 대사물질의 축적
  2. 신체조절기능의 저하
  3. 신체내 포도당의 증가
  4. 산소, 영양소 등 에너지원의 소모
(정답률: 86%)
  • 정답은 "신체내 포도당의 증가"입니다.

    산업피로는 일정한 작업을 반복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을 하면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피로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산업피로의 발생기전으로는 중간 대사물질의 축적, 신체조절기능의 저하, 산소, 영양소 등 에너지원의 소모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신체내 포도당의 증가는 산업피로의 발생기전이 아닙니다. 포도당은 우리 몸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데, 일정량 이상 쌓이면 과다한 포도당은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피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적으로 심박수(heart rate, beate/min)가 어떠한 상태일 때 심한 전신피로의 상태로 평가하는가?

  1. HR30-60 이 90을 초과하고, HR150-180 과 HR60-90 의 차이가 20 미만
  2. HR30-60 이 90을 초과하고, HR150-180 과 HR60-90 의 차이가 10 미만
  3. HR30-60 이 110을 초과하고, HR150-180 과 HR60-90 의 차이가 20 미만
  4. HR30-60 이 110을 초과하고, HR150-180 과 HR60-90 의 차이가 10 미만
(정답률: 54%)
  • 심박수가 낮은 상태에서도 110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은 심장이 과도하게 일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전신피로의 증상 중 하나인 심한 피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심박수가 높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심박수와의 차이가 10 미만이면 심장의 조절 기능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 역시 전신피로의 증상 중 하나인 심한 피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HR30-60 이 110을 초과하고, HR150-180 과 HR60-90 의 차이가 10 미만일 때 심한 전신피로의 상태로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허용농도(TLV) 적용상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독성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이다.
  2.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없다.
  3. 기존의 질병이나 육체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될 수 없다.
  4. 안전농도와 위험농도를 구분하는 경계기준이 아니다.
(정답률: 67%)
  •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TLV는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도 적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작업장 내에서 노출되는 화학물질의 농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독성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이다."는 TLV가 화학물질의 독성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임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국소피로를 평가하는 데는 근전도(EMG)를 많이 이용한다. 피로한 근육에서 측정된 EMG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저주파수(0 ~ 40Hz) 힘의 증가
  2. 고주파수(40 ~ 200Hz) 힘의 감소
  3. 평균주파수의 감소
  4. 총전압의 감소
(정답률: 94%)
  • 총전압의 감소는 근육의 활성화 수준과 관계없이 근육의 크기나 위치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근육의 피로도를 평가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근육의 피로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저주파수(0 ~ 40Hz) 힘의 증가, 고주파수(40 ~ 200Hz) 힘의 감소, 평균주파수의 감소 등을 측정하여 분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업자가 유해물질에 어느 정도 노출되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로서 작업자의 생체시료에서 대사산물 등을 측정하여 유해물질의 노출량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BEI
  2. TLV-TWA
  3. TLV-S
  4. Excursion limit
(정답률: 73%)
  • BEI는 Biological Exposure Indices의 약자로, 작업자의 생체시료에서 대사산물 등을 측정하여 유해물질의 노출량을 추정하는 지표입니다. 다른 보기인 TLV-TWA는 시간 가중 평균 노출 한계치, TLV-S는 즉시 노출 한계치, Excursion limit는 일시적 노출 한계치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유해물질 노출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입니다. 따라서 BEI는 작업자의 노출량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생체학적 지표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근로자로부터 60cm 떨어진 10kg 의 물체를 바닥으로부터 80cm 들어올리는 작업을 1분에 4씩 1일 8시간 동안하고 있다. AL과 MPL은 약 얼마인가? (단, 다음의 식을 참고하며, Fmax 는 12 이다.)

  1. AL = 1.9kg, MPL = 5.7kg
  2. AL = 2.9kg, MPL = 8.7kg
  3. AL = 3.7kg, MPL = 11.1kg
  4. AL = 4.7kg, MPL = 14.1kg
(정답률: 58%)
  • 주어진 식에서 AL은 무게를 높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 MPL은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AL은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필요한 일을 1분에 얼마나 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MPL은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1분에 얼마나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주어진 문제에서 Fmax는 12이므로, 식에 대입하면 AL = (60 x 10 x 9.8 x 4) / (12 x 80) = 3.7kg 이다. MPL은 AL 식에 대입하여 MPL = (60 x 10 x 9.8) / (12 x 80 x 4) = 11.1kg 이다.

    즉, 근로자가 1분에 4번씩 10kg의 물체를 60cm 높이는 작업을 1일 8시간 동안 한다면,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1분에 3.7kg이고,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1분에 11.1kg이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작업대사량이 4000kcal 이고, 기초대사량이 1500kcal인 작업자가 계속하여 작업할 수 있는 계속작업 한계시간(CWT)은 약 얼마인가? (단, log(CWT) = 3.724-3.25log(RMR)를 적용한다.)

  1. 118분
  2. 168분
  3. 218분
  4. 268분
(정답률: 57%)
  • 작업대사량이 4000kcal 이므로, 작업자의 총 에너지 필요량은 4000kcal + 1500kcal = 5500kcal 이다. 이를 기초대사량으로 나누어 상수를 구하면, log(CWT) = 3.724-3.25log(5500/1500) = 3.724-3.25log(3.67) 이다. 이를 계산하면, log(CWT) = 1.869 이므로, CWT = 10^1.869 = 68.8분 이다. 하지만, 이는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까지의 시간이므로, 작업을 시작한 시점부터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계산된 CWT는 68.8분 + 150분(기초대사량) = 218분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8분"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이용되는 호기에 대한 시료채취·보관, 분석시 고려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노출 전과 노출 후에 시료채취
  2. 수증기에 의한 수분 응축의 양향
  3. 실측 산소 농도로 보정
  4. 반감기가 짧으므로 노출 직후 채취
(정답률: 46%)
  • "실측 산소 농도로 보정"은 호기 내의 물질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호기 내의 산소 농도를 고려하여 보정하는 것입니다. 호기 내의 산소 농도가 다르면 물질 농도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피로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과중한 육체적 노동은 기계화하여 육체적 부담을 줄이고, 너무 정적인 작업은 적정한 동적인 작업으로 전환한다.
  2. 작업속도를 빨리하여 되도록 작업시간을 단축시킨다.
  3. 적절한 작업시간과 적절한 간격으로 휴식시간을 두어야 한다.
  4. 충분한 수면은 피로예방과 회복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81%)
  • 작업속도를 빨리하여 되도록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오히려 더 많은 작업량을 처리해야 하므로 산업피로를 더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적당하지 않은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직업성 질환의 발생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격렬한 근육운동
  2. 화학물질의 사용
  3. 국소적 난방
  4. 단순 반복작업
(정답률: 78%)
  • 국소적 난방은 직업성 질환의 발생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유는 국소적 난방은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근육 부상, 화학 노출, 반복적인 스트레인으로 인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공기 중의 석면 시료분석 방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석면의 감별분석이 가능하며 위상차 현미경으로 볼 수 없는 매우 가는 섬유도 관찰이 가능하나 값이 비싸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석명측정방법은?

  1. 편광현미경법
  2. X선 회절법
  3. 직독식법
  4. 전자현미경법
(정답률: 77%)
  • 전자현미경법은 고에너지 전자를 이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고해상도로 관찰하는 방법으로, 석면의 감별분석이 가능하며 매우 가느다란 섬유도 관찰이 가능합니다. 이는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분석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전자현미경법은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비용과 시간적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000ppm을 %로 환산할 때 다음 어느 것과 같은가?

  1. 1.0%
  2. 0.1%
  3. 0.01%
  4. 0.001%
(정답률: 77%)
  • 1000ppm은 100만 분의 1이므로, 0.1%와 같습니다. 즉, 1000ppm은 전체 중 0.1%를 차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흡광광도법에서 사용되는 흡수셀의 재질중 근적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되는 흡수셀의 재질로 알맞은 것은?

  1. 석영제
  2. 플라스틱제
  3. 펄프제
  4. 도자기제
(정답률: 34%)
  • 흡광광도법에서는 샘플이 흡수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흡수셀이 사용됩니다. 이때 근적외부 파장범위에서는 플라스틱제가 사용됩니다. 이는 근적외부 파장에서 플라스틱이 빛을 잘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석영제나 도자기제는 근적외부 파장에서 빛을 잘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펄프제는 흡수셀의 재질로는 너무 불투명하고 불균일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음력이 1.0W 인 작은 점음원으로부터 50m 떨어진 곳의 음압 레벨(SPL : dB)은? (단, SPL = PWL-20logr - 11)

  1. 약 60
  2. 약 65
  3. 약 70
  4. 약 75
(정답률: 48%)
  • 음압 레벨(SPL)은 PWL(압력 레벨)과 거리(r)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거리가 50m이므로, SPL = PWL-20log50 - 11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로그함수의 값은 거리가 10배가 되면 20dB씩 감소하므로, 50m는 10^1.7 정도이므로 약 34dB 감소합니다. 따라서 SPL = 1 - 34 - 11 = -44dB가 됩니다. 이를 소리의 청각 범위인 0~120dB로 변환하면, 약 75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투과 퍼센트가 50%인 경우 흡광도는?

  1. 0.65
  2. 0.52
  3. 0.43
  4. 0.30
(정답률: 82%)
  • 투과 퍼센트와 흡광도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투과 퍼센트가 50%인 경우, 흡광도는 0.5의 역수인 2배가 됩니다. 즉, 100%에서 50%를 흡수했으므로, 흡광도는 1-0.5=0.5가 됩니다. 이를 100%로 환산하면 0.5*100=50%가 되고, 이를 1000으로 나누어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표현하면 0.500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30이 아니라 0.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유해작업장에 일산화탄소(CO)가 0℃, 1기압 상태에서 10ppm 이라면 이 공기 1Sm3 중에 CO는 몇mg 포함되어 있는가?

  1. 10.8mg
  2. 12.5mg
  3. 15.3mg
  4. 18.6mg
(정답률: 48%)
  • CO의 분자량은 28g/mol이다. 따라서 1mol의 CO가 28g이며, 10ppm의 CO가 포함된 1Sm3의 부피는 10-6 × 1 × 28g = 0.000028g이다. 이를 mg으로 환산하면 0.028mg이다. 따라서 정답은 "12.5mg"가 아니라 "0.028mg"여야 한다.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이 "12.5mg"인 이유는 오류가 있거나, 다른 문제의 답안이 함께 포함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검지관 방식으로 가스상 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예비조사 목적인 경우
  2. 검지관방식 외에 다른 측정방법이 없는 경우
  3. 발생하는 가스상 물질이 복합물질인 경우 (다만, 보건관리자가 측정하는 사업장에 한한다.)
  4. 발생하는 가스상 물질이 단일물질인 경우 (다만, 작업환경측정의 자격을 가진자가 측정하는 사업장에 한다.)
(정답률: 53%)
  • 검지관 방식은 가스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발생하는 가스상 물질이 복합물질인 경우에는 검지관 방식으로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보건관리자가 측정하는 사업장에서만 해당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유는 복합물질은 여러 가지 물질이 섞여 있기 때문에, 검지관 방식으로 측정하면 각각의 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른 측정 방법을 사용하거나, 보건관리자가 측정을 직접 수행하여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작업장 소음 측정시간 및 횟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단, 단서조항 제외)

  1.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동안 2시간이상 연속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2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2.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동안 4시간이상 연속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4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3.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동안 6시간이상 연속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6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4.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동안 8시간이상 연속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8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48%)
  • 작업장 소음 측정시간 및 횟수기준은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을 측정할 때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동안 6시간 이상 연속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6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이는 소음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과 횟수로 측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2차 표준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리피스 미터
  2. 유리 피스톤 미터
  3. 습식테스트 미터
  4. 열선기류계
(정답률: 60%)
  • 2차 표준기구는 측정값을 정확하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유리 피스톤 미터는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입니다. 그러나 유리 피스톤 미터는 최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대신에 디지털 압력계 등의 새로운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리 피스톤 미터는 2차 표준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실리카겔에 대한 친화력이 가장 큰 물질은?

  1. 알코올류
  2. 에스테르류
  3. 파라핀류
  4. 올레핀류
(정답률: 53%)
  • 실리카겔은 극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극성이 높은 알코올류와 가장 큰 친화력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알코올류가 실리카겔과 가장 잘 상호작용하며, 다른 물질들보다 더 높은 흡착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작업장에 98 dB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기계 한 대가 있다. 여기에 98 dB의 소음을 발생한 다른 기계 한 대를 더할 경우 소음 수준은? (단, 기타 조건은 같다고 가정함)

  1. 99 dB
  2. 101 dB
  3. 103 dB
  4. 105 dB
(정답률: 76%)
  • 소음의 레벨은 데시벨(dB)로 측정되며, 두 개의 동일한 소리원이 함께 작용할 때는 3dB씩 증가한다. 따라서 98dB와 98dB의 소리원이 함께 작용하면 98dB + 3dB = 101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1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내용은 흡착제로 공기중 증기를 채취할 때 파과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채취유량이 높으면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2. 고온일수록 흡착성질이 증가하여 파과가 일어나기 어렵다.
  3. 극성흡착제를 사용할 경우 습도가 높을수록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4. 공기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파과공기량은 감소한다.
(정답률: 24%)
  • "고온일수록 흡착성질이 증가하여 파과가 일어나기 어렵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고온일수록 흡착제의 흡착능력은 감소하며, 이는 파과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일수록 파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실리카겔관을 흡착튜브로 시료를 채취하는데 가장 알맞은 유기용제는?

  1. 니트로벤젠류
  2.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3. 방향족 탄화수소류
  4. 파라핀류
(정답률: 64%)
  • 실리카겔은 극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비극성인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니트로벤젠류"가 가장 적합한 유기용제입니다. 이는 비극성이며, 실리카겔과 상호작용하여 시료를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할로겐화 탄화수소류"와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극성이 강하거나 상호작용이 적어 적합하지 않습니다. "파라핀류"는 유기용제로서는 너무 비극성하여 흡착능력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스상 물질을 검지관방식으로 측정하는 경우, 측정횟수 기준으로 맞는 것은? (단, 가스상 물질 발생시간은 6시간 이상임)

  1.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되 매 측정시간마다 2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2. 1일 작업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3회 이상 측정하되 매 측정시간마다 2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3.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되 매 측정시간마다 2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최고값을 산출한다.
  4. 1일 작업시간 동안 2시간 간격으로 3회 이상 측정하되 매 측정시간마다 2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최고값을 산출한다.
(정답률: 64%)
  • 가스상 물질은 발생 시간이 6시간 이상이므로, 측정 시간 간격이 너무 멀면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매 측정시간마다 2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이유는, 가스 농도가 변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복 측정을 통해 농도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평균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되 매 측정시간마다 2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역시료채취'의 용어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 기준)

  1.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로 이동하며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위치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40%)
  •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가스, 증기, 분진, 흄, 미스트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정의가 가장 옳은 것이다. 이는 근로자가 작업을 할 때 호흡기로 들어갈 수 있는 유해물질을 채취하기 위해 시료채취기를 사용하며, 이때 시료채취기를 근로자의 작업행동 범위에서 호흡기 높이에 고정하여 채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중금속의 작업환경 중 농도를 측정하고자 공기를 분당 2ℓ씩 5시간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중금속 질량이 12mg 이었다. 이때 공기 중 농도는 몇 mg/m3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5%)
  • 공기를 분당 2ℓ씩 5시간 채취했으므로, 총 채취한 공기의 양은 2ℓ/min x 60min/hour x 5 hours = 600ℓ 이다. 따라서, 공기 중 중금속의 농도는 12mg / 600ℓ = 0.02mg/ℓ 이다. 이 값을 mg/m3 로 변환하면, 0.02mg/ℓ x 1000ℓ/m3 = 20mg/m3 이므로, 정답은 "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호흡성 입자채취를 위한 사이클론과 충돌기를 비교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충돌기에 비하여 사이클론은 시료의 되튐으로 인한 손실 염려가 없다.
  2. 사이클론의 경우 채취효율을 높이기 위한 매체의 코팅이 필요하다.
  3. 충돌기에 비하여 사이클론이 호흡성 먼지에 대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다.
  4. 사이클론이 충돌기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다.
(정답률: 47%)
  • 정답은 "사이클론의 경우 채취효율을 높이기 위한 매체의 코팅이 필요하다."이다. 이유는 사이클론은 입자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하는데, 입자가 회전 중에 벽면과 부딪히면서 입자가 되튐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체를 코팅하여 입자가 벽면과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채취효율을 높이기 위해 매체의 코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톨루엔(Toluene, MW=92.14) 농도가 50ppm인 사업장에서 채취유량은 0.2ℓ/min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프의 정량 한계가 0.2mg이다. 채취할 최소시간은? (단, 1기압 25℃ 기준)

  1. 4.2분
  2. 5.3분
  3. 6.1분
  4. 7.5분
(정답률: 56%)
  • 먼저, 농도와 채취율을 이용하여 채취되는 톨루엔의 양을 계산해보자.

    50ppm = 50mg/L 이므로, 0.2 L/min의 채취율로 1분 동안 채취되는 양은 50mg/L x 0.2 L/min = 10mg 이다.

    따라서, 정량 한계가 0.2mg 이므로, 최소 채취 시간은 0.2mg / 10mg/min = 0.02분 = 1.2초 이다.

    하지만, 이는 너무 짧은 시간이므로, 적어도 5배 이상의 시간을 채취해야 한다. 따라서, 최소 채취 시간은 1.2초 x 5 = 6초 이다.

    하지만, 이는 기압과 온도가 1기압 25℃일 때의 값이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더 긴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5.3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먼지 시료채취에 사용되는 여과지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PTFE막 여과지는 농약이나 알칼리성 먼지 채취에 적합하다.
  2. MCE막 여과지는 산에 쉽게 용해된다.
  3. 은막 여과지는 코크스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배출물질 채취에 사용한다.
  4. PVC막 여과지는 수분에 대한 영향이 크므로 용해성 시료 채취에 사용한다.
(정답률: 59%)
  • "MCE막 여과지는 산에 쉽게 용해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PVC막 여과지는 수분에 대한 영향이 크므로 용해성 시료 채취에 사용됩니다. 이는 PVC막 여과지가 수분에 노출되면 녹아서 시료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TFE막 여과지는 농약이나 알칼리성 먼지 채취에 적합하며, MCE막 여과지는 일반적인 먼지 채취에 적합합니다. 은막 여과지는 코크스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배출물질 채취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스상 물질의 시료포집시 사용된 활성탄관의 탈착에 주로 사용하는 탈착용매는? (단, 비극성물질 기준)

  1. 초산
  2. 헥산
  3. 메탄올
  4. 이황화탄소
(정답률: 72%)
  • 이황화탄소는 비극성 용매로서, 가스상 물질과 상호작용하지 않으므로 가스상 물질의 시료포집시 사용된 활성탄관의 탈착에 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초산, 헥산, 메탄올은 극성 용매이므로 가스상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시료의 정확한 분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고압환경에서의 인체작용인 2차적인 가압현상(화학적장해)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이산화탄소는 산소의 독성과 질소의 마취작용을 증가시킨다.
  2. 4기압 이상에서 공기 중의 질소가스는 마취작용을 나타내 작업력의 저하, 기분의 변환, 여러 정도의 다행증(euphoria)이 일어난다.
  3. 산소의 분압이 2기압이 넘으면 산소중독증세가 나타난다.
  4. 고압환경의 이산화탄소농도는 대기압으로 환산하여 0.02%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56%)
  • "4기압 이상에서 공기 중의 질소가스는 마취작용을 나타내 작업력의 저하, 기분의 변환, 여러 정도의 다행증(euphoria)이 일어난다."는 인체작용인 2차적인 가압현상(화학적장해)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고압환경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이산화탄소는 산소의 독성과 질소의 마취작용을 증가시키며, 산소의 분압이 2기압을 넘으면 산소중독증세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고압환경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대기압으로 환산하여 0.02%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업에 기인하여 전신진동을 받을 수 있는 작업자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병타 작업자
  2. 착암 작업자
  3. 함머 작업자
  4. 교통기관 승무원
(정답률: 75%)
  • 교통기관 승무원은 대중교통 운행 중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신진동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장 올바른 선택이다. 반면에 병타 작업자, 착암 작업자, 함머 작업자는 직접적으로 진동 발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 전신진동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한 단위입체각으로 가는 광속의 단위는?

  1. Lumen
  2. Lux
  3. Footcandle
  4. Lambert
(정답률: 64%)
  • 정답은 "Lumen"입니다. Lumen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총 광량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한 단위입체각으로 가는 광속의 양을 측정합니다. Lux는 Lumen이 발산되는 면적에 대한 단위이며, Footcandle은 미국에서 사용되는 Lux의 단위이고, Lambert는 단위면적당 발산되는 광량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외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외선의 살균작용은 254nm 파장 정도에서 가장 강하다.
  2. 일명 화학선이라고 하며 주로 눈과 피부에 피해를 준다.
  3. 눈에는 390nm 파장 정도에서 가장 영향이 크다.
  4. Dorno ray 는 290~315nm 정도의 범위이다.
(정답률: 27%)
  • "눈에는 390nm 파장 정도에서 가장 영향이 크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눈의 망막에 있는 로드핑이라는 물질이 390nm 파장의 자외선을 가장 잘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눈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되지 않으면 로드핑이 손상되어 시력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리방사선의 단위로서 피조사체 1g 에 대하여 100erg의 에너지가 인체조직에 흡수되는 양을 나타내는 것은?

  1. R
  2. Ci
  3. rad
  4. IR
(정답률: 64%)
  • 전리방사선의 에너지 흡수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라디에이션(dose)이다. 이 때, 피조사체 1g 에 대하여 100erg의 에너지가 인체조직에 흡수되는 양을 나타내므로, 이는 1라디에이션이다. 따라서 정답은 "ra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귀덮개와 비교하여 귀마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2. 좁은 장소에서 머리를 많이 움직이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3. 제대로 착용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요령을 습득하여야 한다.
  4. 일반적으로 차음효과가 우수하다.
(정답률: 57%)
  • "일반적으로 차음효과가 우수하다."가 틀린 것이다. 귀마개는 귀를 완전히 막아주지 않기 때문에 차음효과가 귀덮개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소음 차단이나 방음에는 귀덮개가 더 효과적이다.

    귀마개는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좁은 장소에서 머리를 많이 움직이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제대로 착용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요령을 습득하여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분진이나 유리섬유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피부 보호제는?

  1. 수용성 피부 보호제
  2. 지용성 피부 보호제
  3. 피막형성형 피부 보호제
  4. 광과민성 물질에 대한 피부 보호제
(정답률: 76%)
  • 피막형성형 피부 보호제는 피부에 밀착하여 피막을 형성하여 분진이나 유리섬유 등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해성이 적은 재료의 대치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유기합성용매로 벤젠을 사용하던 것을 지방족 화합물의 휘발유계 용매로 전환한다.
  2. 분체의 원료는 입자가 작은 것으로 전환한다.
  3. 금속제품 도장용으로 유기용제를 사용하던 것을 수용성도료로 전환한다.
  4. 금속제품의 탈지(脫脂)에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던 것을 계면활성제로 전환한다.
(정답률: 85%)
  • "분체의 원료는 입자가 작은 것으로 전환한다."는 유해성이 적은 재료의 대치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분쇄 공정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알맞지 않다.

    분체의 원료는 입자가 작은 것으로 전환하는 이유는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반응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입자가 작을수록 광학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개선되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분쇄 공정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인체조직 중 전리방사선에 대하여 감수성이 가장 적은 것은?

  1. 눈의 수정체
  2. 혈관
  3. 골수
  4. 임파선
(정답률: 45%)
  • 전리방사선은 세포나 조직의 DNA를 손상시키는 방사선으로, 감수성이 높은 조직은 세포분열이 많은 조직이나 민감한 조직이다. 혈관은 세포분열이 거의 없고, DNA 손상에 대한 자가수리 능력이 높아 감수성이 적다. 따라서 혈관은 전리방사선에 대해 감수성이 가장 적은 인체조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깊은 물에서 올라오거나 감압실내에서 감압을 하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형성에 따라 건강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가스의 종류는?

  1. 수소
  2. 산소
  3. 질소
  4. 이산화탄소
(정답률: 73%)
  • 질소는 고압환경에서 기포형성이 일어날 때 가장 많이 생성되는 가스이며, 인체 내에서 용해도가 낮아 혈액 내에서 기포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아 건강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수소와 산소는 용해도가 높아 혈액 내에서 기포를 형성하는 가능성이 적고, 이산화탄소는 기포형성이 적은 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비교원성진폐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페조직이 정상임
  2. 규폐증, 석면폐증이 대표적임
  3. 간질반응이 경미함
  4. 분진에 대한 조직반응은 가역성인 경우가 많음
(정답률: 43%)
  • 비교원성진폐증에 대한 설명 중 "페조직이 정상임"이 틀린 것이다. 비교원성진폐증은 호흡기에 노출된 화학물질이나 먼지에 의해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페조직이 손상되어 호흡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비교원성진폐증에서는 페조직이 손상되어 비정상적인 조직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규폐증, 석면폐증이 대표적임"은 맞는 설명이다. 규폐증과 석면폐증은 비교원성진폐증의 대표적인 예시로, 각각 규소와 석면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페조직의 손상과 간질반응이 나타난다. "간질반응이 경미함"은 틀린 설명이다. 비교원성진폐증에서는 간질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간질반응의 정도는 노출된 화학물질이나 먼지의 종류와 노출량에 따라 다르다. "분진에 대한 조직반응은 가역성인 경우가 많음"은 맞는 설명이다. 비교원성진폐증에서는 노출된 화학물질이나 먼지에 대한 조직반응이 가역적인 경우가 많다. 즉, 노출이 중단되면 조직반응이 회복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람이 느끼는 최소 진동역치는?

  1. 55±5 dB
  2. 65±5 dB
  3. 75±5 dB
  4. 85±5 dB
(정답률: 60%)
  • 사람이 느끼는 최소 진동역치는 0 dB가 아니라 55±5 dB이다. 이는 인간의 청각감도가 20 Hz에서 20 kHz까지의 주파수 범위에서 가장 민감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55±5 dB는 일반적인 대화 소리나 조용한 도시 거리 소음과 비슷한 크기의 소리이기 때문에 인간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소리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고온환경에서 육체노동에 종사할 때 일어나기 쉬우며 말초 혈관 확장에 따른 요구 증대만큼의 혈관운동 조절이나 심박 출력의 증대가 없을 때 또는 탈수로 말미암아 혈장량이 감소할 때 발생하는 고열장해는?

  1. 열경련
  2. 열피로
  3. 열사병
  4. 열성발진
(정답률: 62%)
  • 고온환경에서 육체노동을 하면 체온 조절을 위해 땀을 흘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체내 수분과 염분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혈장량이 감소하고 혈압이 낮아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혈관운동 조절이나 심박 출력의 증대가 없으면 열피로가 발생합니다. 열피로는 체내 열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는 증상으로, 피로감, 두통, 어지러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피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의 진폐증의 대표적인 병리소견인 섬유증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실리카 섬유
  2. 유리 섬유
  3. 콜라겐 섬유
  4. 에멀션 섬유
(정답률: 50%)
  • 콜라겐 섬유는 인체 내부의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중 하나로, 섬유증에서는 이 콜라겐 섬유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조직의 구조를 파괴하고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전리방사선 중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가 가장 큰 것은?

  1. X-선
  2. 베타선
  3. 감마선
  4. 중성자
(정답률: 39%)
  • 중성자는 전리방사선 중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 내부에 침투하여 D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가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음의 특성을 평가하는데 주파수분석이 이용된다. 1/1 옥타브 밴드의 중심주파수가 500Hz일 때 하한과 상한 주파수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정비형 필터 기준)

  1. 355Hz, 710Hz
  2. 365Hz, 730Hz
  3. 375Hz, 750Hz
  4. 385Hz, 770Hz
(정답률: 46%)
  • 1/1 옥타브 밴드는 주파수 대역을 2배씩 나눈 것으로, 중심주파수에서 상하한 주파수는 각각 중심주파수를 2^(1/2)로 나눈 값과 곱한 값이다. 따라서 500Hz에서의 상하한 주파수는 500/2^(1/2) ≈ 354.8Hz와 500 x 2^(1/2) ≈ 707.1Hz이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55Hz, 710Hz"이므로 정답은 "355Hz, 71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미세한 먼지(0.5㎛ 이하)가 폐포에 침착될 때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기전은?

  1. 충돌
  2. 정전기 침강
  3. 확산
  4. 간섭
(정답률: 36%)
  • 미세한 먼지는 폐포의 작은 구멍을 통해 침투하여 폐포 내부로 들어갑니다. 이때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기전은 확산입니다. 확산은 농도 차이에 의해 입자가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현상으로, 농도 차이가 크면 입자가 더욱 빠르게 이동합니다. 따라서 미세한 먼지가 폐포 내부로 침투할 때도 농도 차이에 의해 확산이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신진동의 영향이나 장해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산소소비량 증가
  2. 폐환기 촉진
  3. 피부 전기저항 저하
  4. 말초혈관 확대
(정답률: 22%)
  • 전신진동은 주로 근육을 자극하여 근육 수축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근육 강화나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말초혈관 확대"는 혈액순환 촉진과 관련된 효과 중 하나입니다. 전신진동은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말초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액의 유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말초혈관 확대는 전신진동의 주요 효과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파장으로서 방사선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빛의 속도로 이동한다.
  2. 직진한다.
  3.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4. 자장이나 전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44%)
  • 파장으로서 방사선은 간섭을 일으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파동의 성질로서 파동이 만나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아서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저온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신체온강하는 단시간내 급냉에 따라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가영적 급성경증장해이다.
  2. 제2도 동상은 수포와 함께 광범위한 삼출성염증이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3. 피로가 극에 달하면 체열의 손실이 급속히 이루어져 전신의 냉각상태가 수반되게 된다.
  4. 참호족은 지속적인 국소의 산소결핍 때문이며 저온으로 모세혈관 벽이 손상되는 것이다.
(정답률: 43%)
  • "참호족은 지속적인 국소의 산소결핍 때문이며 저온으로 모세혈관 벽이 손상되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참호족은 저온환경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고산지대에서 고도가 높아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도가 높아서 산소가 부족해지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그림과 같은 레시버식 캐노피형(천개형)에서 후드의 직경(F3)으로 가장 알맞은 식은?

  1. F3 = E × 1.6H
  2. F3 = E + 0.8H
  3. F3 = E × 0.8H
  4. F3 = E + 1.6H
(정답률: 53%)
  • 레시버식 캐노피형(천개형)에서 후드의 직경(F3)은 E와 H의 합으로 결정됩니다. 이는 후드가 레시버에서 발생하는 열과 습기를 흡수하고 배출하기 때문에, 레시버의 직경(E)와 높이(H)에 따라 후드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F3 = E + 0.8H"가 가장 알맞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송풍기에 관한 비례관계로 옳은 것은? (단, Q는 풍량, N는 회전속도, P는 풍압, W는 동력이다)

  1. Q ∝ N3
  2. W ∝ N
  3. P ∝ N2
  4. Q ∝ N2
(정답률: 71%)
  • 송풍기의 풍압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는 송풍기의 회전속도가 높아질수록 풍압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 ∝ N2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기정화 장치의 전 ㆍ 후에서 정압감소가 발생하였다면 그 발생 원인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공기 정화장치의 입구주관내에 분진 퇴적
  2. 송풍기의 능력 저하
  3. 송풍기 점검 뚜껑의 열림
  4. 송풍기와 송풍관의 연결부위가 풀림
(정답률: 41%)
  • 공기 정화장치의 입구주관내에 분진 퇴적이 발생하면 공기가 흐르는 길이 막혀서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어 정압감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송풍기의 능력 저하와는 관계가 먼 원인입니다. 송풍기의 능력 저하는 송풍기 자체의 문제이지만, 입구주관내에 분진 퇴적은 외부 요인에 의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청소와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덕트의 I 과 II 단면에서 압력을 측정한 결과 I 단면의 정압(PS1)은 -10mmH2O 였고, I 과 II 단면의 동압은 각각 20mmH2O 와 15mmH2O 였다. II 단면의 정압(PS2)이 -20mmH2O 이었다면 단면 확대부에서의 압력 손실(mmH2O)은 얼마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47%)
  • 덕트의 I 단면과 II 단면의 동압 차이는 5mmH2O 이다. II 단면의 정압이 -20mmH2O 이므로, II 단면과 단면 확대부 사이의 압력 차이는 20 - (-10) = 30mmH2O 이다. 따라서, 단면 확대부에서의 압력 손실은 30 - 5 = 25mmH2O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손실을 mmH2O 단위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정답은 25mmH2O를 mmH2O 단위로 표기한 "25"가 아니라 "15"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국소배기 장치의 이송덕트 설계에 있어서 분지관이 연결되는 주관 확대각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5˚ 이내
  2. 30˚ 이내
  3. 45˚ 이내
  4. 60˚ 이내
(정답률: 45%)
  • 분지관이 연결되는 주관 확대각이 너무 크면, 공기의 유속이 느려져서 배기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송덕트 설계에서는 주관 확대각이 최대한 작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범위는 15˚ 이내입니다. 이유는 15˚ 이내의 주관 확대각은 공기의 유속을 유지하면서도 분지관을 연결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15˚ 이내의 주관 확대각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비용도 상대적으로 적게 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탱크에서 증발, 탈지와 같이 기류의 이동이 없는 공기 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에서 제어속도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의 권고기준이다.)

  1. 0.1 ~ 0.15m/s
  2. 0.15 ~ 0.25m/s
  3. 0.25 ~ 0.5m/s
  4. 0.5 ~ 1.0m/s
(정답률: 28%)
  • 공기 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에서는 제어속도가 너무 높으면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이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확산되지 않고 바로 떨어져서 배출구 주변에 머무르게 되므로 오염물질의 배출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반면 제어속도가 너무 낮으면 오염물질이 배출구 주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서 오염물질이 다시 작업장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는 공기 중에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에서 제어속도의 적정 범위를 "0.25 ~ 0.5m/s"로 권고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송풍관 내에 20℃의 공기가 22m/s 의 속도로 흐를 때 속도압은 약 얼마인가? (단, 0℃ 공기의 밀도는 1.293kg/m3, 기압은 1atm이다.)

  1. 19.6mmH2O
  2. 22.4mmH2O
  3. 24.6mmH2O
  4. 29.8mmH2O
(정답률: 3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온도 50℃ 관내부를 15m3/min 의 기체가 흐르고 있을 때 0℃에서의 유량은 얼마인가? (단, 기압은 760mmHg 로 일정하다.)

  1. 12.68m3/min
  2. 14.74m3/min
  3. 15.05m3/min
  4. 17.29m3/min
(정답률: 31%)
  • 이 문제는 보일의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보일의 법칙은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 기체의 부피와 몰수는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즉, V₁/T₁ = V₂/T₂ 이다.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변하고 있으므로, 보일의 법칙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절대온도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50℃를 절대온도로 변환하면 50 + 273.15 = 323.15K 이다.

    이제 보일의 법칙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자. 기체의 부피와 몰수는 압력이 일정할 때 온도에 비례하므로, V₁/T₁ = V₂/T₂ 이다. 따라서, 15m³/min / 323.15K = V₂ / 273.15K 이다.

    이를 계산하면 V₂ = 12.68m³/min 이므로, 정답은 "12.68m³/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희석환기를 사용해서는 안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1. 오염물질의 양이 비교적 적고, 희석공기량이 많지 않아도 될 경우
  2. 오염물질의 허용기준치가 매우 낮은 경우
  3. 오염물질의 발산이 비교적 균일한 경우
  4. 가연성가스의 농축으로 폭발의 위험이 있는 경우
(정답률: 35%)
  • 오염물질의 허용기준치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희석환기를 사용해도 오염물질의 농도를 허용치 이하로 낮출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즉, 오염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희석환기를 사용해도 효과가 없으므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덕트내에서 압력손실이 발생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낮은 정압
  2. 덕트 내부면과의 마찰
  3. 가지 덕트 단면적의 변화
  4. 곡관이나 관의 확대에 의한 공기의 속도 변화
(정답률: 58%)
  • "낮은 정압"은 압력이 낮아서 압력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덕트 내부면과의 마찰, 가지 덕트 단면적의 변화, 곡관이나 관의 확대에 의한 공기의 속도 변화는 모두 덕트내에서 압력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국소배기장치에 대한 압력측정장비가 아닌 것은?

  1. U자 마노미터
  2. 타코미터
  3. 피토관
  4. 경사 마노미터
(정답률: 43%)
  • 타코미터는 회전수를 측정하는 장비로, 국소배기장치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타코미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필요환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후드선택 지침이 아닌 것은?

  1. 가급적이면 공정을 많이 포위한다.
  2. 포집형 후드는 가급적 배출 오염원 가까이에 설치한다.
  3. 후드 개구면의 속도는 빠를수록 효율적이다.
  4. 후드 개구면에서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한다.
(정답률: 55%)
  • 정답: "후드 개구면의 속도는 빠를수록 효율적이다."

    이유: 후드 개구면의 속도가 빠를수록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포집되어 배출되기 때문이다. 높은 속도로 유입되는 공기는 후드 내부의 기류를 형성하고, 이 기류는 오염물질을 후드 내부로 유입시켜 포집 효율을 높인다. 따라서 후드 개구면의 속도가 빠를수록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원심력 집진장치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배출가스로부터 분진 회수 및 분리가 적은 비용으로 가능하다.
  2. 고온에서 운전이 가능하다.
  3. 가스상 오염물질 처리가 가능하다.
  4.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36%)
  • 원심력 집진장치는 가스상 오염물질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회수하므로, 고체 뿐만 아니라 가스상 오염물질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상 오염물질 처리가 가능하다."가 아닌 것은 다른 장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시설의 배열순서로 옳은 것은?

  1. 후드 → 덕트 → 공기청정기 → 송풍기 → 배기구
  2. 후드 → 덕트 → 송풍기 → 공기청정기 → 배기구
  3. 후드 → 공기청정기 → 덕트 → 배기구 → 송풍기
  4. 후드 → 송풍기 → 배기구 → 공기청정기 → 덕트
(정답률: 69%)
  •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시설의 배열순서는 후드 → 덕트 → 공기청정기 → 송풍기 → 배기구 순서로 배치됩니다. 이는 먼저 후드로 부터 발생한 유해가스나 먼지 등을 덕트를 통해 공기청정기로 이동시키고,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송풍기를 통해 배기구로 배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후드 → 덕트 → 공기청정기 → 송풍기 → 배기구"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환기시스템에서 덕트의 마찰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Darcy-Weisbach 방정식 기준이다.)

  1. 마찰손실은 덕트 직경에 반비례한다.
  2. 마찰손실은 속도 제곱에 반비례한다.
  3. 마찰손실은 Moody chart에서 구한 마찰계수를 적용하여 구한다.
  4. 마찰손실은 덕트의 길이에 비례한다.
(정답률: 35%)
  • "마찰손실은 속도 제곱에 반비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Darcy-Weisbach 방정식에서 마찰손실은 덕트 내부의 유체 속도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체 속도가 높을수록 마찰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일반적으로 국소배기장치의 기본 설계를 위한 다음 과정 중 가장 먼저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

  1. 제어속도 결정
  2. 반송속도 결정
  3. 후드의 크기 결정
  4. 배관의 배치와 설치장소 결정
(정답률: 50%)
  • 국소배기장치의 기본 설계를 위해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하는 것은 제어속도 결정입니다. 이는 배기량, 배기가스의 성질, 배기구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제어속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제어속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배기효율이 떨어지거나 배기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어속도 결정은 국소배기장치의 기본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국소배기장치가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것과 같은 양의 공기가 외부로부터 보충되어야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메이크럽 에어(make up air)
  2. 충만실(plenum chamber)
  3. 테이크 오프(take off)
  4. 번 아웃(burn out)
(정답률: 50%)
  •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실내 공기를 대체하게 되는데, 이 때 외부로부터 보충되는 공기를 메이크럽 에어라고 한다. 메이크럽 에어는 충만실(plenum chamber)을 통해 테이크 오프(take off)를 통해 국소배기장치로 공급되어야 한다. 번 아웃(burn out)은 전기적인 고장을 의미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싸이클론의 집진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분진박스나 호퍼부에서 처리가스의 일부를 흡인하여 싸이클론내의 난류 현상을 억제시킴으로써 집진된 먼지의 비산을 방지시키는 방법은 어떤 효과를 이용하는 것인가?

  1. 블로우다운 효과
  2. 멀티 싸이클론 효과
  3. 원심력 효과
  4. 중력침강 효과
(정답률: 75%)
  • 블로우다운 효과는 싸이클론 내부에서 처리가스의 일부를 흡인하여 싸이클론 내부의 난류 현상을 억제시키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집진된 먼지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처리가스의 유속을 높여 싸이클론 내부의 난류를 억제하는 효과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그림과 같이 단면적이 작은 쪽이 ①, 큰 쪽이 ②인 사각형 덕트의 확대관에 대한 압력손실을 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경사각은 θ1> θ2이다.)

  1. θ1의 각도를 경사각으로 한 단면적을 이용한다.
  2. θ2의 각도를 경사각으로 한 단면적을 이용한다.
  3. 두 각도의 평균값을 이용한 단면적을 이용한다.
  4. 작은 쪽(①)과 큰 쪽(②)의 등가(상당)직경을 이용한다.
(정답률: 59%)
  • 작은 쪽(①)과 큰 쪽(②)의 등가(상당)직경을 이용하는 것은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압력손실 계산 시, 유체의 속도와 단면적이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쪽과 큰 쪽의 등가직경을 이용하여 속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력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경사각과 단면적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후드의 유입계수가 0.72 라면 유입손실계수는 약 얼마인가?

  1. 0.63
  2. 0.73
  3. 0.83
  4. 0.93
(정답률: 53%)
  • 유입손실계수는 1 - 유입계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유입손실계수는 1 - 0.72 = 0.28 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93"이 아니므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잘못 기재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