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다음 중 유해물질과 생물학적 노출지표로 이용되는 대사 산물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벤젠 - 소변 중의 총페놀
  2. 크실렌 - 소변 중의 에틸마뇨산
  3. 트리클로로에틸렌 - 소변 중의 트리클로로초산
  4. 톨루엔 - 소변 중의 만델린산
(정답률: 49%)
  • 톨루엔은 대사되어 만들어진 대사 산물 중에서 만델린산이 생물학적 노출지표로 이용된다. 따라서 "톨루엔 - 소변 중의 만델린산"이 올바른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서 정하는 오염물질과 관리기준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이산화탄소(CO2) : 5000ppm 이하
  2. 일산화탄소 (CO) : 100ppm 이하
  3. 포름알데히드 : 0.1ppm 이하
  4. 오존 (O3) : 0.1ppm 이하
(정답률: 42%)
  • 포름알데히드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로, 눈, 코, 목 등의 점막을 자극하고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서는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0.1pp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초대사량이 60kcal/h인 근로자가 시간당 300kcal가 소비되는 작업을 실시할 경우 작업대사율은 약 얼마인가? (단, 안정시 소비되는 에너지는 기초대사량의 1.5배이다.)

  1. 1.4
  2. 3.5
  3. 3.8
  4. 5.2
(정답률: 66%)
  • 안정시 소비되는 에너지는 기초대사량의 1.5배이므로, 이 근로자의 안정시 소비되는 에너지는 60kcal/h x 1.5 = 90kcal/h 입니다. 작업시 소비되는 에너지는 300kcal/h 이므로, 작업대사율은 (300kcal/h - 90kcal/h) / 60kcal/h = 210kcal/h / 60kcal/h = 3.5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세계 최초로 보고된 “직업성 암”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18세기 영국에서 보고되었다.
  2. 보고된 병명은 진폐증이다.
  3. Percival Pott에 의하여 규명되었다.
  4. 발병자는 어린이 굴뚝청소부로 원인물질은 '검댕(soot)'이었다.
(정답률: 82%)
  • 보고된 병명은 진폐증이 아니라 직업성 유발 폐암이다. 진폐증은 폐 기능의 감소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직업성 유발 폐암과는 다른 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보기에서 직업성 질환이라고 할 수 잇는 경우로만 나열한 것은?

  1. ①, ③
  2. ③, ④
  3. ②, ③, ④
  4. ①, ④, ⑤
(정답률: 84%)
  • 직업성 질환은 일반적으로 특정 직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보기에서 "③, ④"는 모두 특정 직업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분류됩니다.

    ③은 석면 노출로 인한 폐질환으로, 석면은 건축, 조선,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재료로 인해 해당 직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④는 소음으로 인한 청각 손상으로, 공장, 건설현장, 음악가 등 소음이 큰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③, ④"가 직업성 질환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근육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혐기성 대사와 호기성 대사가 있다. 다음 중 현기성 대사의 에너지원이 아닌 것은?

  1. 아데노신삼인산
  2. 크레아틴인산
  3. 글리코겐
  4. 지방
(정답률: 73%)
  • 지방은 호기성 대사의 에너지원이며, 혐기성 대사에서는 아데노신삼인산과 글리코겐이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근로자의 약한 손의 힘이 평균 40kp라 할 때 이 근로자가 무게 16kg인 물체를 두 손으로 들어올릴 경우 작업강도(%MS)는 얼마인가?

  1. 5
  2. 16
  3. 20
  4. 40
(정답률: 50%)
  • 작업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작업강도(%MS) = (들어올리는 물체의 무게 × 작업거리) ÷ (근로자의 손의 힘 × 작업시간) × 100

    여기서 들어올리는 물체의 무게는 16kg, 작업거리는 0.5m(양 손으로 들어올릴 경우), 근로자의 손의 힘은 40kp이다. 작업시간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생략한다.

    작업강도(%MS) = (16kg × 0.5m) ÷ (40kp) × 100 ≈ 20

    따라서 이 근로자가 무게 16kg인 물체를 두 손으로 들어올릴 경우 작업강도는 약 20%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총분진의 노출기준에 있어 제2종분진의 노출기준(mg/m3)으로 옳은 것은?

  1. 1
  2. 2
  3. 5
  4. 10
(정답률: 60%)
  • 제2종분진의 노출기준은 5mg/m3이다. 이는 국내외에서 수집된 연구결과와 직접적인 인체독성 연구를 토대로 산출된 값으로, 이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총분진 관리에 있어서는 이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50명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사업장에서 1년 동안 3건의 재해로 인하여 15일의 근로손실일수가 발생하였다면 이 사업장의 도수율은 얼마인가? (단, 근로자는 1일 8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하였다.)

  1. 25
  2. 50
  3. 125
  4. 300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직업성 질환과 주된 물리적 원인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열사병 - 고열
  2. 잠함병 - 부적절한 조명
  3. 관절염 - 한랭환경
  4. CTDs- 소음
(정답률: 79%)
  • 열사병은 고열로 인해 발생하는 직업성 질환입니다. 고열은 체온이 너무 높아지면서 발생하는 증상으로, 일반적으로 열에 노출된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열사병은 고열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산업재해의 기본원인인 4M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Material
  2. Man
  3. Media
  4. Management
(정답률: 68%)
  • "Material"은 산업재해의 기본원인 중 하나가 아닙니다. 4M은 "Man" (인적 요인), "Media" (환경 요인), "Management" (관리 요인) 및 "Material" (물질 요인)을 나타냅니다. 산업재해는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미국 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에서 제시한 허용농도 적용상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독성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이다.
  2.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없다.
  3. 반드시 산업위생전문가에 의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4. 기존의 질병이나 육체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0%)
  •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ACGIH에서 제시한 허용농도는 화학물질의 독성을 평가하고 산업위생 관리에 적용되는 지표이며,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독성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이다."는 ACGIH에서 제시한 허용농도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직업성 질활을 유발하는 물리적 원인이 아닌 것은?

  1. 금속증기
  2. 이상기압
  3. 저온환경
  4. 전리방사선
(정답률: 31%)
  • 금속증기는 화학적 원인으로 인해 직업성 질환을 유발하는 것이며, 이상기압, 저온환경, 전리방사선은 모두 물리적 원인으로 인해 직업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금속증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총부유세균은 연 1회 이상 측정한다.
  2. 시료채취는 사무실 면적이 1000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500m2 당 1곳씩 추가하여 채취한다.
  3. 측정은 사무실 바다면으로부터 0.9 ~ 1.5m 높이에서 한다.
  4. 공기의 측정시료는 사무실 내에서 공기질이 가장 나쁠 것으로 예상되는 2곳 이상에서 채취한다.
(정답률: 33%)
  • "시료채취는 사무실 면적이 1000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500m2 당 1곳씩 추가하여 채취한다."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 사무실 면적이 클수록 공기질 측정을 위해 시료를 더 많이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면적이 1000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료채취가 필요하다. 따라서 500m2 당 1곳씩 추가하여 채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의 보건관리자의 자격에 해당 되지 않는 사람은?

  1. 산업위생지도사
  2.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자격취득자
  3. 전문대학에서 산업위생 관련학과를 졸업한 자
  4. 전문대학에서 보건위생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산업보건위생에 관한 학과목을 9학점 이상 수료한 자
(정답률: 67%)
  • 전문대학에서 산업위생 관련학과를 졸업한 자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의 보건관리자의 자격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보건관리자의 자격 요건으로 "보건위생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산업보건위생에 관한 학과목을 9학점 이상 수료한 자"가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대학에서 산업위생 관련학과를 졸업한 자는 보건관리자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산업보건위생에 관한 학과목을 추가로 수강하여 9학점 이상 이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강렬한 소음작업”에 해당하는 것은?

  1. 85dB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2. 90dB 이상의 소음이 1일 6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3. 95dB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4. 100dB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정답률: 42%)
  • 정답은 "95dB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입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강렬한 소음작업으로 분류되며, 소음 노출 시간이 짧아도 높은 노출량으로 인해 청각 손상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에서는 적절한 보호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육제적 작업능력(PWC)이 15kcal/min 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 운반작업을 하고 있다. 휴식시 대사량은 1.5kcal/min 이고, 작업대사량은 9kcal/min 일 때 시간당 휴식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Hertig 식을 적용한다.)

  1. 15분
  2. 18분
  3. 29분
  4. 32분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노출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LV-TWA)은 거의 모든 근로자가 나쁜 영향을 받지 않고 노출될 수 있는 농도이다.
  2. 단시간노출기준(TLV-STEL)은 저농도에서 급성중독을 초래하는 유해물질에 적용된다.
  3. 최고노출기준(TLV-C)은 자극성 가스나 독작용이 빠른 물질에 적용된다.
  4. 단시간상한값(Excursion Limits)은 TLV-TWA가 설정되어 있는 유해물질 중에 독성 자료가 부족하여 TLV-STEL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정답률: 49%)
  • "최고노출기준(TLV-C)은 자극성 가스나 독작용이 빠른 물질에 적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시간노출기준(TLV-STEL)은 저농도에서 급성중독을 초래하는 유해물질에 적용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높은 농도에 노출될 경우에도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최고노출기준(TLV-C)은 일시적으로 높은 농도에 노출될 경우에도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이는 자극성 가스나 독작용이 빠른 물질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최고노출기준(TLV-C)은 자극성 가스나 독작용이 빠른 물질에 적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는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몇 년마다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60%)
  • 근골격계 부담작업은 근로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작업으로, 이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이 유해요인조사는 근로환경의 변화나 새로운 위험요소가 발견될 때마다 실시해야 하며,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3년마다 실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근무 교대제를 운영함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사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야간근무의 연속은 최소 4~5일로 한다.
  2. 일반적으로 오전 근무의 개시시간은 오전 11시에 한다.
  3. 야간근무 종료 후 다음 야간근무 시작할 때까지의 간격은 8시간으로 한다.
  4. 3교대제일 경우 최소 4개조로 편성한다.
(정답률: 74%)
  • 3교대제는 하루 24시간을 3개의 교대로 나누어 근무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최소 4개조로 편성하는 이유는 각 교대가 근무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 교대는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까지 근무하고, 두 번째 교대는 오후 2시부터 10시까지 근무하고, 세 번째 교대는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근무한다. 이렇게 근무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면 근로자들의 체력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소 4개조로 편성하여 근무 시간을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다음은 노출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한 것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업장 역학조사 등으로 얻은 자료를 근거로 설정한다.
  2. 동물 실험을 한 결과를 근거로 설정한다.
  3. 화학 구조상의 유사성과 연계하여 설정한다.
  4. 물리적 안정성을 평가하여 설정한다.
(정답률: 42%)
  • 물리적 안정성은 노출기준을 설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평가하여 설정한다. 다른 보기들은 노출기준을 설정하는 다른 방법들을 제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작업환경측정에서 사용하는 2차 유량측정장치(2차 표준)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로타 미터(Rota meter)
  2. 오리피스 미터(Orifice meter)
  3. 폐활량계 미터(Spiro meter)
  4. 습식테스트 미터(Wet-test meter)
(정답률: 79%)
  • 폐활량계 미터는 호흡기 기능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작업환경측정에서 사용하는 2차 유량측정장치가 아니다. 로타 미터, 오리피스 미터, 습식테스트 미터는 모두 작업환경측정에서 사용하는 2차 유량측정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옥외(태양관선이 내리쬐지 않는 장소)에서 습구흑구온도지수(WBGT)의 산출방법은? (단, NWB : 자연습구온도, DT : 건구온도, GT : 흑구온도)(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WBGT = 0.7NWB +0.3GT
  2. WBGT = 0.7NWB +0.3DT
  3. WBGT = 0.7NWB +0.2DT +0.1GT
  4. WBGT = 0.7NWB +0.2GT +0.1DT
(정답률: 74%)
  • 정답은 "WBGT = 0.7NWB +0.3GT" 입니다.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온도, 습도, 일사량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온도 지수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옥외에서는 일사량이 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건구온도(DT)보다는 흑구온도(GT)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WBGT는 자연습구온도(NWB)와 흑구온도(GT)를 0.7:0.3의 비율로 합산하여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 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 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당하며 유리섬유, 석면 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되는 막여과지는?

  1. Glass fiber membrane filter
  2. Poly vinylchloride membrane filter
  3.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4. Trillon membrane filter
(정답률: 70%)
  • 막여과지는 입자상 물질 중 금속을 채취하기 적합하며, 현미경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된다. 이 중에서도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가 선택되는 이유는, 이 필터가 다른 필터에 비해 높은 표면적과 높은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샘플의 흐름이 빠르고, 샘플이 잘 흡착되며, 필터가 깨지지 않고 쉽게 다룰 수 있다. 또한, 이 필터는 다양한 용매에 대해 안정적이며, 높은 효율로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가 적합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떤 물질에 대한 분석방법의 정량한계는 10㎍ 이다. 0.1 ㎎/m3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공기량을 최소 얼마나 채취하여야 할까?

  1. 1L
  2. 10L
  3. 100L
  4. 1000L
(정답률: 52%)
  • 정량한계는 10㎍이므로, 0.1㎎/m3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1m3의 공기 중에서 최소 10분의 1인 0.1m3의 샘플을 채취해야 한다. 이를 리터로 환산하면 100L이 된다. 따라서, 100L의 공기를 채취해야 0.1㎎/m3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목재가공공정에서 분진을 측정하였다. 총 시료채취유량이 120L 일 때 분진의 농도(㎎/m3)는? (단, 여과지의 무게 : 측정전 – 0.01167g, 측정후 – 0.01217g, 공시료의 무게 : 측정전 – 0.01202g, 측정후 - 0.01208g)

  1. 2.54
  2. 3.67
  3. 4.17
  4. 5.34
(정답률: 38%)
  • 분진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과지의 총 무게 변화량 = 측정 후 여과지의 무게 - 측정 전 여과지의 무게
    = 0.01217g - 0.01167g
    = 0.0005g

    공기 중 분진의 총 무게 = 여과지의 총 무게 변화량 × 시료채취율
    = 0.0005g × (120L / 1,000L)
    = 0.00006g

    분진의 농도 = 공기 중 분진의 총 무게 / 시료채취량
    = 0.00006g / 0.12m³
    = 0.0005g/m³

    하지만, 문제에서 분진의 농도를 mg/m³ 단위가 아닌 mg/m³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0.0005g/m³을 0.5mg/m³으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분진의 농도는 0.5mg/m³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67mg/m³이 되고, 이를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7mg/m³이 된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은 3.67이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일정한 물질에 대해 분석치가 참값에 얼마나 접근하였는가 하는 수치상의 표현은?

  1. 정확도
  2. 분석도
  3. 정밀도
  4. 대표도
(정답률: 68%)
  • 정확도는 분석치가 참값에 얼마나 가깝게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기 때문에, 이 문제에 가장 적합한 답이다. 분석도는 분석 방법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정밀도는 측정값들이 서로 얼마나 가까이 분포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대표도는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싸이클론 분립장치가 관성충돌형 분립장치보다 유리한 장점이 아닌 것은?

  1. 매체의 코팅과 같은 별도의 특별한 처리가 필요없다.
  2. 호흡성 먼지에 대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다.
  3. 시료의 되튐 현상으로 인한 손실염려가 없다.
  4. 입자의 질량크기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4%)
  • 싸이클론 분립장치는 입자의 질량크기별 분포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없다. 이는 관성충돌형 분립장치와는 달리 입자의 크기별 분포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싸이클론 분립장치의 장점으로 꼽히는 것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0℃ 1atm에서 H2 10L 는 273℃, 380mmHg상태에서 몇 L 인가?

  1. 40L
  2. 50L
  3. 60L
  4. 70L
(정답률: 39%)
  • 이 문제는 가스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가스 상태 방정식: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냅니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가스 양을 구해야 합니다.

    P1 = 1 atm
    V1 = 10 L
    T1 = 273 K

    R은 일반 기체 상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R = 0.0821 L·atm/K·mol)

    n1 = (P1 V1) / (R T1) = (1 atm × 10 L) / (0.0821 L·atm/K·mol × 273 K) = 0.416 mol

    다음으로 최종 상태에서의 부피를 구해야 합니다.

    P2 = 380 mmHg = 0.5 atm (1 atm = 760 mmHg)
    T2 = 273 + 380/760 × (100 - 273) = 303 K (온도는 섭씨와 절대온도 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
    n2 = n1 (P2 / P1) (T1 / T2) = 0.416 mol × (0.5 atm / 1 atm) × (273 K / 303 K) = 0.191 mol

    마지막으로 최종 상태에서의 부피를 구합니다.

    V2 = n2 R T2 / P2 = (0.191 mol × 0.0821 L·atm/K·mol × 303 K) / 0.5 atm = 9.38 L

    따라서, H2의 부피는 9.38 L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주어진 "40L"와 다릅니다. 따라서, "40L"이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0.01%(v/v)은 몇 ppm인가?

  1. 1
  2. 10
  3. 100
  4. 1000
(정답률: 77%)
  • 0.01%(v/v)은 100 ppm과 같습니다. 이는 1,000,000 부피 중 0.01 부피가 해당 물질인 경우를 나타내며, ppm은 백만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0.01 x 1,000,000 = 100,000이 됩니다. 따라서 0.01%(v/v)은 100 ppm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불꽃방식의 원자습광광도계의 일반적인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가격이 흑연로장치에 비하여 저렴하다.
  2. 분석시간이 흑연로장치에 비하여 적게 소요된다.
  3. 시료랑이 적게 소요되며 강도가 높다.
  4. 고체시료의 경우 전처리에 의하여 매트릭스를 제거하여야 한다.
(정답률: 42%)
  • 답: "고체시료의 경우 전처리에 의하여 매트릭스를 제거하여야 한다."이다.

    불꽃방식의 원자습광광도계는 가격이 저렴하고 분석시간이 적게 소요되며 시료랑이 적게 소요되며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는 불꽃방식의 원자습광광도계가 빠르고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체시료의 경우 전처리에 의하여 매트릭스를 제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고체시료의 경우 불꽃방식의 원자습광광도계에서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리의 음압수준이 87dB인 기계 5 대가 동시에 가동하면 전체 음압수존은?

  1. 약 94dB
  2. 약 96dB
  3. 약 98dB
  4. 약 99dB
(정답률: 40%)
  • 음압수준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5대의 기계가 동시에 가동될 때는 음압수준이 3dB 증가합니다. 따라서, 87dB에서 3dB를 더한 값인 약 90dB가 5대의 기계가 가동될 때의 음압수준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청각은 로그 스케일이 아니기 때문에, 90dB의 음압수준은 인간에게는 약 94dB로 들립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94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직독식기구인 검지관의 사용 시 장점이다. 틀린 것은?

  1. 복잡한 본석이 필요 없고 사용이 간편하다.
  2. 빠른 시간에 측정결과를 알 수 있다.
  3. 물질의 특이도(Specificity)가 높다.
  4. 맨홀, 밀폐공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74%)
  • 정답은 "물질의 특이도(Specificity)가 높다."가 아니다. 검지관은 물질의 특이도가 낮아서 다양한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관의 장점은 "복잡한 본석이 필요 없고 사용이 간편하다.", "빠른 시간에 측정결과를 알 수 있다.", "맨홀, 밀폐공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작업장 공기 중 사염화탄소 (TLV=10ppm)가 7ppm, 1,2-디클로로에탄(TLV = 50ppm)이 5ppm, 1,2- 디브로메탄(TLV=20ppm)이 9ppm일 때 노출지수는? (단, 상가작용 기준)

  1. 1.05
  2. 1.15
  3. 1.25
  4. 1.35
(정답률: 64%)
  • 노출지수는 (노출농도/TLV)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사염화탄소의 노출지수는 0.7, 1,2-디클로로에탄의 노출지수는 0.1, 1,2-디브로메탄의 노출지수는 0.45입니다. 이들을 합산하면 1.2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활성탄관에 흡착된 비극성물질의 탈착용매로 쓰이는 화학물질은?

  1. 에탄올
  2. 이황화탄소
  3. 헥산
  4. 클로로포름
(정답률: 67%)
  • 활성탄은 흡착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비극성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이때, 이황화탄소는 비극성물질을 효과적으로 탈착시키는 용매로 사용됩니다. 이황화탄소는 높은 극성을 가지고 있어, 활성탄에 흡착된 비극성물질과 상호작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황화탄소는 활성탄관에서 비극성물질을 탈착하는 데에 적합한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개인시료채취라 함은 근로자의 호흡기 위치에서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근로자 호흡기 위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노동부 고시 기준)

  1. 근로자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인 반구
  2. 근로자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50㎝인 반구
  3. 근로자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60㎝인 반구
  4. 근로자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90㎝인 반구
(정답률: 68%)
  • 정답은 "근로자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인 반구"이다. 이는 근로자가 일하는 동안 입, 코, 목 등 호흡기에 노출되는 유해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반경이 30㎝인 반구는 근로자의 호흡기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다. 또한, 이 반경은 노동부 고시 기준으로 정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컬럼(Column)의 역할은?

  1. 전개가스의 예열
  2. 가스전개와 시료의 혼합
  3. 용매탈착과 시료의 혼합
  4. 시료성분의 분배와 분리
(정답률: 46%)
  • 컬럼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시료를 분석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컬럼 내부에는 특정한 물질로 채워져 있으며, 이 물질은 시료성분을 분배하고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컬럼은 시료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순수한 물 1.0L의 mole 수는?

  1. 35.6 moles
  2. 45.6 moles
  3. 55.6 moles
  4. 65.6 moles
(정답률: 60%)
  • 순수한 물의 분자량은 18 g/mol입니다. 따라서 1.0 L의 물은 1000 g이며, 이를 분자량으로 나누면 55.6 mole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5.6 mole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실리카겔에 대한 친화력이 가장 큰 물질은?

  1. 방향족 탄화수소류
  2. 알데하이드류
  3. 올레필류
  4. 에스테르류
(정답률: 70%)
  • 실리카겔은 극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극성이 높은 알데하이드류와 가장 큰 친화력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0.2N - K2Cr2O7 ( 분자량 294.18 ) 500ml을 만들 때 K2Cr2O7 의 필요량은?

  1. 2.1g
  2. 4.9g
  3. 6.3g
  4. 8.2g
(정답률: 32%)
  • 0.2N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1L(1000ml)의 용액에 분자량을 그람으로 나눈 값을 몰농도로 가지는 물질의 그람 수를 녹여야 한다. 따라서 500ml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0.2N = 0.2 mol/L
    500ml = 0.5 L

    따라서 필요한 몰 수는 다음과 같다.

    0.2 mol/L x 0.5 L = 0.1 mol

    K2Cr2O7의 분자량은 294.18 g/mol 이므로, 필요한 그람 수는 다음과 같다.

    0.1 mol x 294.18 g/mol = 29.418 g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K2Cr2O7을 500ml 용액에 녹여야 하므로, 필요한 그람 수를 500ml 용액에 대한 그람 수로 변환해야 한다.

    29.418 g / 1 L x 0.5 L = 14.709 g

    따라서 K2Cr2O7의 필요량은 약 14.709 g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4.9g이 정답이다. 이는 K2Cr2O7의 분자량이 294.18 g/mol 이므로, 14.709 g을 분자량으로 나눈 후 3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 4.9 g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방진 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진마스크의 종류에는 격리식과 직결식, 면체여과식이 있으며 형태별로는 전면, 반면 마스크가 있다.
  2. 대상입자에 맞는 필터 재질(비휘발성용, 휘발성용)을 사용한다.
  3. 흡기, 배기 저항은 낮은 것이 좋으며 흡기저항 상승률도 낮은 것이 좋다.
  4. 여과제의 탈착이 가능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대상입자에 맞는 필터 재질(비휘발성용, 휘발성용)을 사용한다."에 대한 설명이 없다.

    대상입자에 맞는 필터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해당 입자를 효과적으로 걸러내기 위해서이다. 비휘발성용 필터는 고체 입자를 걸러내는데 효과적이며, 휘발성용 필터는 기체 입자를 걸러내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대상입자에 따라 필터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산소농도가 6~10%인 산소결핍 작업장에서의 증상 기준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계산착오, 두통, 매스꺼움
  2. 의식 상실, 안면 창백, 전신 근육경련
  3. 귀울림, 맥박수 증가, 호흡수 증가
  4. 정신집중력 저하. 체온상승, 판단력 저하
(정답률: 50%)
  • 산소농도가 6~10%인 산소결핍 작업장에서는 산소가 부족하여 뇌와 근육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산소결핍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도 산소결핍이 심해지면서 뇌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의식 상실이 일어나고, 안면이 창백해지며 전신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의식 상실, 안면 창백, 전신 근육경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진동방지 대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완충물의 사용
  2. 공진점 진동수의 일치
  3. 진동원의 제거
  4. 진동의 전파경로 차단
(정답률: 68%)
  • 진동방지 대책 중에서 "진동원의 제거"가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공진점 진동수의 일치는 진동이 발생하는 물체의 공진점과 진동수를 파악하여 그에 맞는 대책을 취함으로써 진동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반면에 완충물의 사용, 진동의 전파경로 차단 등은 진동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진동원의 제거는 진동의 원인을 없애는 방법이다. 이와 달리 공진점 진동수의 일치는 진동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로, 진동원의 제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압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람에게 마취 작용(다행증)을 일으키는 가스는?

  1. 이산화탄소
  2. 수소
  3. 질소
  4. 헬륨
(정답률: 77%)
  • 고압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람은 질소를 마시면 혈액 내의 질소가 고압으로 인해 용액 상태로 변하고, 이 용액이 혈액 속에서 기포를 형성하여 혈액순환이 방해되어 다행증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산화탄소, 수소, 헬륨은 고압 환경에서 마취 작용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고압환경에서의 질소마취는 몇 기압 이상의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가?

  1. 1기압
  2. 2기압
  3. 3기압
  4. 4기압
(정답률: 63%)
  • 고압환경에서의 질소마취는 주로 4기압 이상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고압환경에서 기체 분자들이 더욱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질소 분자들이 뇌에 더욱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기압 이상의 작업환경에서는 안전을 위해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VDT 작업자의 스트레스성 요인에 의한 자각증상으로 틀린 것은?

  1. 심박수 증가
  2. 혈압상승
  3. 소화불량
  4. 아드레날린 분비 감소
(정답률: 52%)
  • 아드레날린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심박수 증가와 혈압 상승 등 생체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VDT 작업자의 스트레스성 요인에 의한 자각증상으로는 "아드레날린 분비 감소"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자기 방사선(Electromagnetic Radiation)에 속하는 것은?

  1. 중성자
  2. UV선
  3. X선
  4. IR 선
(정답률: 74%)
  • 전자기 방사선은 전자기장을 통해 전파되는 에너지이며, X선은 전자기 방사선의 일종입니다. X선은 고에너지 전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방출되는 전자기파로, UV선과 IR 선보다 더 높은 주파수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X선은 전자기 방사선에 속하며,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방사선량 중 흡수선량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가 방사선에 의해 이온화되는 것에 기초를 둠
  2. 모든 종류의 이온화 방사선에 의한 외부노출, 내부노출 등 모든 경우에 적용 함
  3. 관용단위는 rad(피조사체 1g에 대하여 100erg의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임
  4. 조직(또는 물질)의 단위 질량 당 흡수된 에너지 임
(정답률: 25%)
  • 방사선량은 방사선이 발생한 양을 나타내는 것이고, 흡수선량은 조직(또는 물질)이 흡수한 방사선의 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방사선량은 일반적으로 외부노출에 대한 지표로 사용되고, 흡수선량은 내부노출에 대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공기가 방사선에 의해 이온화되는 것에 기초를 둔 것은 방사선량입니다. 이는 방사선이 공기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제거하고 이온화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사선량은 공기를 포함한 모든 물질에 대해 적용됩니다.

    방사선량의 관용단위는 rad(피조사체 1g에 대하여 100erg의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이며, 조직(또는 물질)의 단위 질량 당 흡수된 에너지를 나타내는 것이 흡수선량입니다. 따라서 흡수선량은 조직 또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공기가 방사선에 의해 이온화되는 것에 기초를 둠"은 방사선량의 정의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작업에 기인하여 전신진동을 받을 수 있는 작업자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병타 작업자
  2. 착압 작업자
  3. 함머 작업자
  4. 교통기관 승무원
(정답률: 56%)
  • 교통기관 승무원은 대중교통 운행 중에 전신진동을 받을 수 있는 작업자이다. 버스나 지하철 등 운행 중인 교통수단에서는 진동이 발생하므로 승무원들은 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교통기관 승무원이 가장 올바른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음의 방향성은 소음원과 작업장 공간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 중 소음의 방향(Q) 4를 설명한 것은? (단, Q : 지향계수)

  1. 소음원이 큰 작업장 한가운데 바닥에 놓여 있을 때
  2. 소음원이 작업장 벽 근처의 바닥에 있을 때
  3. 소음원이 작업장의 모퉁이에 놓여 있을 때
  4. 소음원이 자유공간의 중심에 놓여 있을 때
(정답률: 47%)
  • - 소음원이 작업장 벽 근처의 바닥에 있을 때
    이유: 소음은 벽과 바닥 등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소음원이 벽 근처의 바닥에 위치하면, 소음은 벽과 바닥에서 반사되어 작업장 내부에서 여러 방향으로 퍼지게 되며, 이로 인해 방향성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소음의 방향성 지향계수(Q)는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00톤의 프레스 공정에서 측정한 8시간 음압수준이 93dB이었다. 근로자가 귀마개 (NRR=10)를 착용하고 있을 때 근로자가 노출되는 음압 수준은 얼마이며, 소음 노출기준 초과 여부 판정은? (단, 소음 노출 기준은 90dB로 가정)

  1. 91.5dB, 노출기준 초과
  2. 90.5dB, 노출기준 초과
  3. 83.0dB, 노출기준 미만
  4. 88.0dB, 노출기준 미만
(정답률: 47%)
  • 근로자가 착용한 귀마개의 NRR은 10이므로, 근로자가 노출되는 음압수준은 93dB - 10dB = 83dB가 된다. 이 값은 소음 노출 기준인 90dB보다 낮으므로 "83.0dB, 노출기준 미만"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몇 %가 이상적인가?

  1. 10 ~ 15%
  2. 15 ~ 20%
  3. 20 ~ 25%
  4. 25 ~ 30%
(정답률: 63%)
  •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은 너무 적으면 충분한 자연광을 받지 못하고, 너무 많으면 열 손실이 커져 에너지 낭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닥면적의 15 ~ 20% 정도가 이상적인 면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창의 크기와 위치를 선택하여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조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 평면적에서 발산 또는 반사되는 광량 즉 눈으로 느끼는 광원 또는 반사체의 밝기를 말한다.
  2. 단위로는 룩스(Lux)를 사용한다.
  3. 1 Foot candle = 10.8 Lux 이다.
  4. 조도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31%)
  • 조도는 광원 또는 반사체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단위 평면적에서 발산 또는 반사되는 광량을 측정한다. 이를 측정하는 단위는 룩스(Lux)이며, 1 Foot candle은 10.8 Lux와 같다. 조도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단위 평면적에서 발산 또는 반사되는 광량 즉 눈으로 느끼는 광원 또는 반사체의 밝기를 말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로 15m, 세로 25m, 높이 3m인 어느 작업장에 음의 잔향시간을 측정해보니 0.238sec였다. 이 작업장의 총흡음력(sound absorption)을 30% 증가시키면 잔향시간은 몇 sec가 되겠는가?

  1. 0.217
  2. 0.196
  3. 0.183
  4. 0.157
(정답률: 39%)
  • 음의 잔향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음의 잔향시간 = 0.161 x V / S

    여기서 V는 작업장의 부피이고, S는 작업장의 총흡음력이다. 따라서, 잔향시간을 30% 증가시키려면 S를 1.3배로 증가시켜야 한다.

    작업장의 부피는 15 x 25 x 3 = 1125 m³이다. 따라서, 현재 작업장의 총흡음력은 다음과 같다.

    S = 0.161 x V / 잔향시간 = 0.161 x 1125 / 0.238 = 764.79

    30% 증가시키면 다음과 같다.

    S' = 764.79 x 1.3 = 993.23

    따라서, 새로운 잔향시간은 다음과 같다.

    음의 잔향시간 = 0.161 x V / S' = 0.161 x 1125 / 993.23 = 0.183

    따라서, 정답은 "0.1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외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피부암(280~320nm)을 유발한다.
  2. 구름이나 눈에 반사되며 대기오염의 지표이다.
  3. 일명 화학선이라 하며 광화학반응의 인자로 작용한다.
  4. 눈에 대한 영향은 320nm에서 가장 크다.
(정답률: 42%)
  • "눈에 대한 영향은 320nm에서 가장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눈에 대한 영향은 280nm 이하의 자외선에서 가장 크며, 이는 눈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단 안경이나 모자 등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적용화학물질은 밀랍, 탈수라노린, 파라핀, 유동파라핀, 탄산 마그네슘이며 광산류, 유기산, 염류 및 무기염류 취급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보호크림은?

  1. 친수성 크림
  2. 소수성 크림
  3. 차광 크림
  4. 피막형 크림
(정답률: 44%)
  • 적용화학물질인 밀랍, 탈수라노린, 파라핀, 유동파라핀, 탄산 마그네슘이 모두 소수성 물질이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들과 접촉할 때는 소수성 크림이 보호 효과가 더 좋습니다. 소수성 크림은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피부 표면에 더 오래 머무르며 보호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산류, 유기산, 염류 및 무기염류 취급작업에 주로 사용하는 보호크림은 소수성 크림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귀덥개와 비교하여 귀마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2. 좁은 장소에서 머리를 많이 움직이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기 편리하다.
  3. 제대로 착용하는데 시간이 적게 소요되며 용이하다.
  4. 일반적으로 차음효과는 떨어진다.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차음효과는 떨어진다."가 틀린 것이다. 귀마개는 부피가 작아서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좁은 장소에서 머리를 많이 움직이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기 편리하며, 제대로 착용하는데 시간이 적게 소요되며 용이하다. 또한, 차음효과는 귀덥개보다는 떨어지지만, 일반적으로는 충분한 차음효과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각각 87dB(A)의 음압수준을 발생하는 소음원이 2개 있다. 2개의 소음원이 동시에 가동될 때 발생하는 음압수준은?

  1. 89dB(A)
  2. 90dB(A)
  3. 91dB(A)
  4. 92dB(A)
(정답률: 50%)
  • 2개의 소음원이 동시에 가동될 때 발생하는 음압수준은 개별 소음원의 음압수준이 같을 경우에는 3dB(A) 증가한다. 따라서 87dB(A) + 87dB(A) = 90dB(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고열 장해인 열경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더운 환경에서 고된 육체적 작업을 하면서 땀으로 흘린 염분 손실을 충당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2. 염분을 공급할 때는 식염정제를 사용하여 빠른 공급이 될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열경련 환자는 혈중 염분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염분관리가 중요하다.
  4. 통증을 수반하는 경련은 주로 작업시 사용한 근육에서 흔히 발생한다.
(정답률: 64%)
  • "염분을 공급할 때는 식염정제를 사용하여 빠른 공급이 될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염분을 공급할 때는 식염정제보다는 천연 소금이나 전해질 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이유는 식염정제는 과도한 염분 섭취로 인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진동으로 손가락의 말초혈관운동 장해 때문에 손가락이 창백하여지고 동통을 느끼는 현상은?

  1. Silicosis 현상
  2. Crowd poison 현상
  3. Caison disease 현상
  4. Raynaud's 현상
(정답률: 81%)
  • Raynaud's 현상은 손가락의 말초혈관운동 장애로 인해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손가락이 창백하여지고 동통을 느끼는 현상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증상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다음 중 사이클론에서 절단입경(cut-size,Dpc)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95% 이상의 처리효율로 제거되는 입자의 입경
  2. 75% 의 처리효율로 제거되는 입자의 입경
  3. 50% 의 처리효율로 제거되는 입자의 입경
  4. 25% 의 처리효율로 제거되는 입자의 입경
(정답률: 46%)
  • 정답은 "50% 의 처리효율로 제거되는 입자의 입경"이다. 이는 사이클론에서 입자가 회전하는 동안 중력과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는데, 이 때 입경이 일정 크기 이상인 입자는 중력에 의해 분리되어 바닥으로 떨어지고, 일정 크기 이하인 입자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어 상단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 때, 절단입경은 상단으로 올라가는 입자 중 50%가 분리되는 입경을 의미한다. 즉, 처리효율이 50%가 되는 입경을 말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보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국소배기장치의 설계 순서를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1. ⑥→②→③→④→⑤→①
  2. ②→③→①→④→⑤→⑥
  3. ③→②→④→①→⑥→⑤
  4. ⑥→③→②→①→④→⑤
(정답률: 54%)
  • 일반적인 국소배기장치의 설계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배기가스의 특성 파악
    ② 배기가스의 양과 질 측정
    ③ 배기가스 처리 방법 결정
    ④ 처리 시스템 설계
    ⑤ 시스템 구축 및 설치
    ⑥ 운영 및 유지보수

    따라서, "⑥→②→③→④→⑤→①"이 정답이다. 먼저 운영 및 유지보수를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배기가스의 양과 질을 측정하여 처리 방법을 결정한다. 그 후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 및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배기가스의 특성을 파악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레이놀즈수(Re. Reynold's number)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V는 평균 유속, D 는 관의 직경, ρ 는 공기의 밀도, μ 는 유체의 점성계수, 는 유체의 동점성계수)

(정답률: 57%)
  • 이 옳은 식이다. 레이놀즈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관통성과 점성성을 나타내는 수치인데, 이를 나타내는 식이 바로 위의 식이다. 이 식에서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결정하는 V, D, ρ, μ가 모두 고려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놀즈수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근로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발산원 가까운 곳에 적합한 형태와 적정한 크기의 후드를 설치한다.
  2. 후드는 작업자가 흡인되는 오염기류 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3. 후드, 덕트는 최대한 공기저항이 적게 설계되고, 자연적으로 분진이 퇴적되지 않도록 한다.
  4. 발산원의 오염물질을 흡인하기 위해 제어풍속을 최대한으로 높인다.
(정답률: 72%)
  • 발산원의 오염물질을 흡인하기 위해 제어풍속을 최대한으로 높인다는 것은 후드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움직여 오염물질이 흡입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후드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가 오염기류 내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유공간에 떠 있는 직경 20cm 인 원형개구 후드의 개구면으로부터 20cm떨어진 곳의 입자를 흡인하려고 한다. 제어풍속을 0.8m/s로 할 때 덕트에서의 속도는 약 얼마인가?

  1. 7m/s
  2. 11m/s
  3. 15m/s
  4. 18m/s
(정답률: 46%)
  • 흡입구에서 입자가 떨어진 거리가 20cm이므로, 덕트에서의 속도는 0.8m/s로 흡입구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 0.2m / 0.8m/s = 0.25초 동안 이동한 거리를 계산하면 된다. 이동한 거리는 속도 x 시간 = 0.8m/s x 0.25초 = 0.2m 이므로, 흡입구에서 0.2m 떨어진 곳에서의 속도는 11m/s이다. 따라서 정답은 "11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송풍기의 상사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풍량은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정비례한다.
  2. 송풍기 풍압은 송풍기 회전날개의 직경에 정비례한다.
  3. 송풍기 동력은 송풍기 회전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4. 송풍기 풍압은 송풍기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64%)
  • "송풍기 풍압은 송풍기 회전날개의 직경에 정비례한다."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송풍기 풍압은 회전날개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회전날개의 직경이 크면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으므로 풍압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송풍기 풍압은 송풍기 회전날개의 직경에 정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정압이 대기압보다 크면 (+)압력이다.
  2. 정압이 대기압보다 작은 경우도 있다.
  3. 정압은 속도압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4. 속도압은 공기흐름으로 인하여 (-)압력이 발생한다.
(정답률: 62%)
  • "정압은 속도압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발생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정압은 유체의 운동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속도압은 공기나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압력으로,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낮아지는 (-)압력입니다. 이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설명됩니다. 속도압은 비행기 날개나 자동차의 디자인 등에서 고려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총압력손실 계산방법 중 정압조절평형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향후 변경이나 확장에 대해 유연성이 크다.
  2. 설계가 확실할 때는 가장 효율적인 시설이 된다.
  3. 설계시 잘못 설계된 분지관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4. 예기치 않는 침식 및 부식이나 퇴적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39%)
  • 정압조절평형법의 장점 중 "향후 변경이나 확장에 대해 유연성이 크다."는 장점이 아니다. 이유는 정압조절평형법은 설계시에 이미 모든 분기관의 유량과 압력을 고려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설계 이후에는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확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변경이나 확장에 대해 유연성이 크다."는 오히려 단점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덕트의 설치를 결정할 때 유의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원형 덕트를 사용한다.
  2. 곡관의 수를 적게 한다.
  3. 청소구를 설피한다.
  4. 곡관의 곡률반경을 작게 한다.
(정답률: 77%)
  • "청소구를 설피한다."는 덕트 설치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곡관의 곡률반경을 작게 하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압력 손실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덕트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전체환기의 적용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물질의 독성이 비교적 낮은 경우
  2. 오염물질의 발생량이 적은 경우
  3. 오염물질이 시간에 따라 균일하게 발생하는 경우
  4. 동일작업장소에 배출원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정답률: 75%)
  • "동일작업장소에 배출원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가장 거리가 먼 조건이다. 이유는 전체환기는 공기를 완전히 교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오염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출원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역적으로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체환기보다는 지역환기 등 다른 방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후드의 개방면에서 측정한 속도로서 면속도가 제어속도가 되는 형태의 후드는?

  1. 포위형 후드
  2. 포집형 후드
  3. 푸쉬-풀형 후드
  4. 캐노피형 후드
(정답률: 53%)
  • 포위형 후드는 입구와 출구가 모두 열려 있어서 공기가 자유롭게 흐를 수 있으며, 입구와 출구 사이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면속도가 제어속도가 되는 형태의 후드입니다. 따라서 후드 내부의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 작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덕트의 곡관은 압력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새우등 곡관을 사용한다. 덕트의 직경이 20cm일 경우 새우등(이음매)은 몇 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한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47%)
  • 새우등은 곡관 내부의 압력손실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음매의 개수가 많을수록 압력손실이 적어진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20cm인 덕트에서는 새우등을 5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슬롯후드란 개구변의 폭(W)이 좁고, 길이(L)가 긴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W/L 비가 몇 이하인 것을 말하는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47%)
  • 슬롯후드의 W/L 비가 작을수록 개구변이 좁고 길어지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더 효율적인 성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W/L 비가 0.2 이하인 슬롯후드를 사용하면, 더 효율적인 전기적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은 송풍기 성능곡선과 시스켐곡선이 만나는 송풍기 동작점을 나태낸 것이다. ①과 ②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① 송풍기 동압, ② 덕트유속
  2. ① 덕트 유속, ② 송풍기 동압
  3. ① 송풍기 정압, ② 송풍량
  4. ① 송풍기 정압, ② 송풍기 동압
(정답률: 66%)
  • 송풍기의 성능은 송풍기의 정압과 송풍량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①은 송풍기 정압이 맞고, ②는 송풍량이 맞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산업환기에서 의미하는 '표준공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준공기는 0℃, 1기압(760mmHg)인 상태이다.
  2. 표준공기는 21℃, 1기압(760mmHg)인 상태이다.
  3. 표준공기는 25℃, 1기압(760mmHg)인 상태이다.
  4. 표준공기는 32℃, 1기압(760mmHg)인 상태이다.
(정답률: 69%)
  • 표준공기는 산업환기에서 사용하는 기준 공기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 상태에서의 온도는 21℃이며, 기압은 1기압(760mmHg)인 상태이다. 이는 대기압과 비슷한 상태로, 산업환기 시스템에서 공기의 흐름과 압력 등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표준공기는 21℃, 1기압(760mmHg)인 상태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내부에서 회전시키고 그 원심력에 의하여 유해물질을 제거시키는 방식의 제진장치는?

  1. 관성력집진장치
  2. 사이클론집진장치
  3. 여과집진장치
  4. 벤츄리스크러버
(정답률: 52%)
  • 사이클론집진장치는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기가스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분리하여 제거하는 방식의 제진장치입니다. 이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과집진장치와는 달리 더욱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작업장 내의 열부하량이 10000kcal/h 이고, 온도가 35℃였다. 외기의 온도가 20℃ 라면 필요환기량(m3/h)은 약 얼마인가?

  1. 925
  2. 1667
  3. 2222
  4. 6500
(정답률: 27%)
  • 열부하량은 작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환기로 인해 배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요환기량은 열부하량을 배출할 수 있는 환기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환기량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환기량 = 열부하량 / (1.2 x (실내온도 - 외기온도))

    여기서 1.2는 공기의 비열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환기량 = 10000 / (1.2 x (35 - 20)) = 2222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222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드의 유입계수는 0.7, 후드의 압력 손실은 8.0mmH2O일 때 후드의 속도압(mmH2O)은 약 얼마인가?

  1. 6.7
  2. 7.7
  3. 8.7
  4. 9.7
(정답률: 43%)
  • 후드의 속도압은 유입계수와 압력 손실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속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속도압 = 유입계수 × 압력 손실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속도압 = 0.7 × 8.0 = 5.6 (mmH2O)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6"이 아니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7.7"이 정답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사염화에틸렌 5000ppm 이 공기중에 존재한다면 공기와 사염화에틸렌 혼합물의 유효비중(effect specific gravity)은 얼마인가? (단, 사염화에틸렌의 증기비중은 5.7이다.)

  1. 1.0235
  2. 1.0470
  3. 1.1740
  4. 1.4075
(정답률: 50%)
  • 유효비중은 혼합물의 밀도를 공기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공기와 사염화에틸렌 혼합물의 유효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효비중 = (공기의 질량 + 사염화에틸렌의 질량) / 공기의 질량

    사염화에틸렌의 증기비중은 5.7이므로, 1m³의 사염화에틸렌 가스는 5.7kg이다. 따라서 5000ppm의 사염화에틸렌이 포함된 1m³의 혼합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m³의 혼합물 = 1m³의 공기 + (5000/1,000,000) × 1m³의 사염화에틸렌
    = 1m³의 공기 + 0.005m³의 사염화에틸렌
    = 1.005m³의 혼합물

    따라서, 혼합물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혼합물의 질량 = 공기의 질량 + 사염화에틸렌의 질량
    = 1m³의 공기 × 공기의 밀도 + 0.005m³의 사염화에틸렌 × 사염화에틸렌의 밀도
    = 1.225kg + 0.0285kg
    = 1.2535kg

    따라서, 유효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효비중 = (공기의 질량 + 사염화에틸렌의 질량) / 공기의 질량
    = 1.2535kg / 1.225kg
    = 1.0235

    따라서, 정답은 "1.02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중력집진장치의 입자분리속도(침강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등속침강상태이며, 스토크스의 법칙이 적용된다.)

  1. 중력가속도에 비례한다.
  2. 입자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3. 입자와 가스의 밀도차에 반비례한다.
  4. 가스의 점성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19%)
  • "입자와 가스의 밀도차에 반비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중력집진장치에서 입자분리속도는 입자와 가스의 밀도차에 비례합니다. 이는 스토크스의 법칙에 따라 입자의 직경이 클수록 입자분리속도가 증가하므로 입자직경의 제곱에 비례하며, 중력가속도와 가스의 점성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