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다음 중 산업위생통계에 있어 대푯값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2. 미국 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에서는 작업대사량에 따라 작업강도를 3가지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중등도 작업(moderate work)일 경우 작업대사량으로 옳은 것은?
3. 다음 중“노출기준 사용상의 유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전신피로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할 때 작업을 마친 직후 회복기에 측정하는 항목은?
5. 상시근로자가 300명인 신발 제조업에서 산업안전 보건법에 따라 선임하여야 하는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 인간공학에서 적용하는 정적치수(static dimension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 근로자 건강보호의 목적으로 수행되는 산업보건 분야의 업무에 대한 내용이다. 전문분야별 주요 업무가 가장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8. 다음 중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9. 운반 작업을 하는 젊은 근로자의 약한 손(오른손 잡이의 경우 왼손)의 힘은 40kp 이다. 이 근로자가 무게 10kg인 상자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릴 경우 적정 작업시간은 약 몇 분인가? (단, 공식은“671120×작업강도-2.222 ”를 적용한다.)
10. 다음 중 산업피로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1. 적성검사 중 생리적 기능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2. 다음 중 바람직한 VDT(Video Display Terminal) 작업자세로 잘못된 것은?
13. 다음 중 직업성 질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4. 상시근로자가 100명인 A 사업장의 지난 1년간 재해 통계를 조사한 결과 도수율이 4 이고, 강도율이 1 이었다. 이 사업장의 지난 해 재해 발생건수는 총 몇 건이었는가? (단, 근로자는 1일 10시간씩 연간 250일을 근무 하였다.)
15. 산업안전보건법상“강렬한 소음작업”이라 함은 몇 dB(A)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을 말하는가?
16. 개정된 NIOSH의 들기 작업 권고기준에 따라 권장 무게한계가 8.5kg이고, 실제작업무게가 10kg일 때 들기 지수(LI)는 약 얼마인가?
17. 다음 중 외부환경의 변화에 신체반응의 항상성이 작용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8. 다음 중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전문가가 지켜야 할 윤리강령의 구성이 아닌 것은?
19. 다음 중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직업병은?
20.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 환기의 지표물질로서 주로 이용되는 것은?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흡광광도법으로 시료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흡광도가 검량선의 영역 밖이었다. 시료용액을 2배로 희석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흡광도가 0.4 였다. 이 시료용액의 농도는?
22.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23. 회수율 실험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채취한 금속을 분석하는데 보정하는 실험이다. 다음 중 회수율을 구하는 식은?
24. 흡광광도 측정에서 투과 퍼센트가 50%일 때 흡광도는?
25. 입자상 물질의 채취를 위한 MCE막 여과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6. 가스상 물질의 시료 포집시 실라카겔을 흡착제로 사용하도록 제시되는 화학물질로 가장 적절한것은?
27. 고 유량 펌프를 이용하여 0.489m3의 공기를 채취하고, 실험실에서 여과지를 10% 질산 11mL로 용해 하였다. 원자 흡광광도계로 농도를 분석하고 검량선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농도는 65ugPb/mL 였다. 채취기간 중 납 먼지의 농도(mg/m3)는?
28. 다음 중 일차 유량보정장치(1차 표준)에 해당되는 것은?
29. 검지관을 이용한 작업환경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0. 공기 중 납을 막여과지로 시료포집한 후 분석한 결과 시료여과지에서는 4㎍, 공시료 여과지에서는 0.005㎍이 검출되었다. 회수율은 95% 이고 공기 시료 채취량은 100ℓ이었다면 공기 중 납의 농도(mg/m3)는? (단, 표준상태 기준)
31. 입자의 비중이 2.0 이고 직경이 10㎛인 분진의 침강속도(cm/sec)는?
32. 석면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 고온작업장의 고온허용 기준인 습구흑구 온도지수(WBGT)의 옥내 허용기준 산출식은?
34. 가스교환지역인 폐포나 폐기도에 침착되었을 때 독성을 나타내는 흉곽성 입자상 물질(TPM)이 50% 침착되는 평균 입자의 크기는? (단, 미국 ACGIH 정의 기준)
35. 어떤 분석방법의 검출한계가 0.1mg 일 때 정량한계로 가장 적절한 값은?
36. 유도결합 플라즈마-원자발광분석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분석할 때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일정한 압력조건에서 부피와 온도는 비례함] 위의 내용은 무슨 법칙에 해당되는가?
38.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고열 측정구분에 의한 온도 측정기기와 측정시간 기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39. 온도 27℃인 때의 체적이 1m3인 기체를 온도 227℃ 까지 상승시켰을 때의 변화된 최종체적은? (단, 기타 조건은 변화 없음)
40. 유기용제 취급 사업장의 톨루엔 농도가 각각 145, 56, 89, 25 ppm 이었다. 이 사업장의 기하평균농도는?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다음 중 비교원성 진폐증의 종류로 가장 알맞은 것은?
42.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는?
43. 감압에 따른 기포 형성량을 좌우하는 요인인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을 결정하는 것은?
44. 다음의 방진대책 중 전파경로대책으로 옳은 것은?
45. 방진 마스크의 선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채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다음의 전리 방사선 중 투과력이 가장 강한 것은?
48. 다음에 열거한 보호구와 작업을 가장 적절하게 연결한 것은?
49. 고압환경의 영향 중 2차적인 가압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0. 고열로 인한 인체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1. 유해한 작업환경에 대한 개선대책인 대치(substitution)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2. 적용화학물질이 정제 벤드나이드겔, 염화비닐수지이며 분진, 전해약품제조, 원료취급작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보호크림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53. B 공장 집진기용 송풍기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 가동시는 95dB(A)였으나, 가동 중지 상태에서 85db(A)였다. 이 송풍기의 실제 소음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4. [1초 동안에 3.7×1010개의 원자붕괴가 일어나는 방사성물질 양]을 나타내는 방사능의 관용단위는?
55. 생산공정 변경 개선의 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6. 다음 중 귀덮개(ear muff)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57. 방진마스크의 필터에 사용되는 재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8. 다음 조건에서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 시간은?
59. 보호구 밖의 농도가 300ppm이고 보호구 안의 농도가 12ppm 이었을 때 보호계수(protection factor, PF) 값은?
60. 다음 중 조명부족(조도부족)이 원인이 되는 질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과목: 산업환기
61. 다음 중 송풍관 설계에 있어 압력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62. 후드 개구면 속도를 균일 하게 분포시키는 방법으로 도금조와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탱크에서 가장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63. 다음 중 산업환기에 관한 읿나적인 설명으로 틀린것은?
64. 다음 중 희석환기를 적용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는?
65. 다음 [그림]과 같은 송풍기 성능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6. 후드의 유입계수가 0.7, 유입손실이 1.6mmH2O 일때 후드의 속도압은 약 몇 mmH2O 인가?
67. 불필요한 고열로 인한 작업장을 환기시키려고 할 때 필요 환기량(m3/h)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급배기 또는 실내·외의 온도차를 △t (℃), 작업장내 열부하를 Hs(kcal/h)라 한다.)
68. 다음 중 세정식 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69. 자연환기방식에 의한 전체 환기의 효율은 주로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70. 다음 중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1.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흄을 배기시키기 위해 외부식 측방 원형후드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제어 속도를 1m/s로 했을 때 플랜지 없는 원형 후드의 필요송풍량이 20m3/min으로 계산되었다면, 플랜지 있는 측방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필요송풍량은 몇 m3/min 정도가 되겠는가?(단, 제시된 조건 이외에는 모두 동일하다.)
72. 주형을 부수고 모래를 터는 장소에서 포위식 후드를 설치하는 경우의 최소 제어풍속(m/s) 으로 옳은 것은?
73. 일반적으로 후드에서 정압과 속도압을 동시에 측정하고자 할 때 측정공의 위치는 후드 또는 덕트의 연결부로부터 얼마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74. 가스(Gas)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충진탑(Packed tower)은 주로 어떤 원리를 이용하여 가스를 제거 하는가?
75. 주고나에 25°로 분지관이 연결되어 있고 주관과 분지관의 속도압이 모두 25mmH2O 일 때 주관과 분지관의 합류에 의한 압력손실은 약 몇 mmH2O 인가?(단, 원형 합류관의 압력손실계수는 다음[표]를 참고 한다.)
76. 다음 중 작업장 내의 실내 환기량을 평가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77. 국소배기장치 설치에는 오염물질의 제어효율 뿐만 아니라 비용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다음 중 국소 배기장치의 설치 및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은?
78. 다음 중 정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9. 관 내경이 150mm 인 직관을 통하여 50m3/min 의 공기를 송풍할 때 관 내의 풍속은 약 몇m/s 인가?
80. 온도 5℃, 압력 700mmHg인 공기의 밀도보정계수는 약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