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다음 중 산업위생통계에 있어 대푯값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표준편차
  2. 산술평균
  3. 가중평균
  4. 중앙값
(정답률: 65%)
  • 표준편차는 분포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대푯값이 아닌 산포도를 나타내는 통계량이기 때문에 대푯값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산술평균, 가중평균, 중앙값은 모두 데이터의 대푯값을 나타내는 통계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미국 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에서는 작업대사량에 따라 작업강도를 3가지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중등도 작업(moderate work)일 경우 작업대사량으로 옳은 것은?

  1. 100kcal/h 이하
  2. 100~200kcal/h
  3. 200~350kcal/h
  4. 350~500kcal/h
(정답률: 79%)
  • 중등도 작업은 100~200파운드(45~91kg)의 무게를 1시간 동안 옮기는 작업이나, 2~3마일(3.2~4.8km)의 거리를 걸어가는 작업 등으로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은 200~350kcal/h의 작업대사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범위가 중등도 작업에 해당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노출기준 사용상의 유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은 당해 유해인자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의 노출기준을 말하며, 2종 또는 그 이상의 유해인자가 혼재하는 경우에는 길항작용으로 유해성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혼합물의 노출 기준을 사용하여야 한다.
  2. 노출기준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제정된 것이므로 이를 이용할 때에는 근로시간, 작업의 강도, 온열조건, 이상기압 등의 노출기준 적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제반요인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3. 노출기준은 대기오염의 평가 또는 관리상의 지표로 사용할 수 없다.
  4. 유해인자에 대한 감수성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노출기준 이하의 작업환경에서도 직업성 질병에 이환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61%)
  • "노출기준은 대기오염의 평가 또는 관리상의 지표로 사용할 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노출기준은 대기오염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오염 평가 및 관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신피로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할 때 작업을 마친 직후 회복기에 측정하는 항목은?

  1. 심박수
  2. 에너지소비량
  3. 이산화탄소(CO2) 배출량
  4. 산소부채(oxygen debt)량
(정답률: 81%)
  • 작업을 마친 직후 회복기에 측정하는 항목은 신체의 회복 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심박수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으로 인해 맥박이 일어나는 횟수를 의미하며, 전신피로와 관련하여 심장의 부담 정도와 회복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박수가 전신피로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가장 적합한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상시근로자가 300명인 신발 제조업에서 산업안전 보건법에 따라 선임하여야 하는 보건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임하여야 하는 보건관리자의 수는 1명이다.
  2. 보건관련 전공자 2명을 보건관리자로 선임하여야 한다.
  3. 보건관리자의 자격을 가진 2명의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며, 그 중 1명은 의사나 간호사이어야 한다.
  4. 보건관리자의 자격을 가진 3명의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며, 그 중 1명은 의사나 간호사이어야 한다.
(정답률: 79%)
  • 선임하여야 하는 보건관리자의 수는 1명이다. 산업안전 보건법 제17조에 따르면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 또는 위험성이 높은 업종에서는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며, 이 보건관리자는 보건관련 전공자 중 1명으로 선임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간공학에서 적용하는 정적치수(static dimension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적 치수로 정적자세에서 움직이지 않는 피측 정자를 인체 계측지로 측정한 것이다.
  2. 골격치수(팔꿈치와 손목 사이와 같은 관절 중심거리)와 외곽치수(머리둘레 등)로 구성된다.
  3. 일반적으로 표(table)의 형태로 제시된다.
  4. 동적인 치수에 비하여 데이터가 적다.
(정답률: 79%)
  • 정답은 "동적인 치수에 비하여 데이터가 적다."이다. 이유는 정적치수는 인체의 고정된 자세에서 측정되는 치수이기 때문에, 인체의 움직임과 관련된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적인 치수에 비해 데이터가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근로자 건강보호의 목적으로 수행되는 산업보건 분야의 업무에 대한 내용이다. 전문분야별 주요 업무가 가장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1. 산업위생학 - 쾌적한 작업환경조성을 공학적으로 연구
  2. 산업의학 -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연구
  3. 인간공학 - 인간과 직업, 기계, 환경, 근로의 관계를 인문 사회학적으로 연구
  4. 산업간호학 - 근로자의 건강증진,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연구
(정답률: 55%)
  • 정답은 "산업위생학 - 쾌적한 작업환경조성을 공학적으로 연구"이다. 산업위생학은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근로자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공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근로자 건강보호의 목적에 부합하며, 다른 분야들과는 목적과 업무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로자로부터 시료를 직접 채취하기 때문에 시료의 채취 및 분석이 용이하다.
  2. 기준값은 주 5일, 1일 8시간 노출을 기준으로 한다.
  3. 공기 중의 농도보다도 근로자의 건강위험을 보다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4. 결정인자는 공기 중에서 흡수된 화학물질에 의하여 생긴 가역적인 생화학적 변화이다.
(정답률: 53%)
  • "결정인자는 공기 중에서 흡수된 화학물질에 의하여 생긴 가역적인 생화학적 변화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근로자로부터 시료를 직접 채취하기 때문에 시료의 채취 및 분석이 용이하다."라는 설명은 근로자의 노출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대응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근로자의 실제 노출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평가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운반 작업을 하는 젊은 근로자의 약한 손(오른손 잡이의 경우 왼손)의 힘은 40kp 이다. 이 근로자가 무게 10kg인 상자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릴 경우 적정 작업시간은 약 몇 분인가? (단, 공식은“671120×작업강도-2.222 ”를 적용한다.)

  1. 25분
  2. 41분
  3. 55분
  4. 122분
(정답률: 60%)
  • 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671120 × (40/10)-2.222 ≈ 41분이 된다. 여기서 40은 근로자의 힘, 10은 상자의 무게를 나타내며, 작업강도는 힘/무게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근로자가 10kg인 상자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리는 적정 작업시간은 약 41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산업피로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과로란 피로가 계속 축적된 상태로 4일 이내 회복되는 피로를 말한다.
  2. 정신피로란 중추신경계의 피로를 말한다.
  3. 곤비란 과로 상태가 축적되어 병적인 상태를 말한다.
  4. 보통피로란 하루 잠을 자고 나면 완전히 회복되는 피로를 말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과로란 피로가 계속 축적된 상태로 4일 이내 회복되는 피로를 말한다." 이다.

    과로란 피로는 지속적인 신체적 노동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피로로, 일반적으로 4일 이내에 회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의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정신피로는 중추신경계의 피로를 말하며, 곤비란 과로 상태가 축적되어 병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은 과로증이다. 보통피로는 하루 잠을 자고 나면 완전히 회복되는 피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적성검사 중 생리적 기능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감각기능검사
  2. 심폐기능검사
  3. 체력검사
  4. 지각동작검사
(정답률: 86%)
  • 생리적 기능검사는 주로 신체적인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를 말합니다. 감각기능검사, 심폐기능검사, 체력검사는 모두 생리적 기능검사에 속합니다. 그러나 지각동작검사는 인지적인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로 생리적 기능검사에 속하지 않습니다. 지각동작검사는 인지적인 능력을 평가하여 직무 적합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바람직한 VDT(Video Display Terminal) 작업자세로 잘못된 것은?

  1. 무릎의 내각(KNEE ANGLE)은 120° 전후가 되도록 한다.
  2. 아래팔은 손등과 일직선을 유지하여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한다.
  3. 눈으로부터 화면까지의 시거리는 40cm 이상을 유지 한다.
  4. 작업자의 시선은 수평선상으로부터 아래로 10~15° 이내로 한다.
(정답률: 80%)
  • "작업자의 시선은 수평선상으로부터 아래로 10~15° 이내로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는 눈의 근육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바른 작업자세는 눈으로부터 화면까지의 시거리는 40cm 이상을 유지하고, 작업자의 시선은 수평선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릎의 내각은 120° 전후가 되도록 하는 이유는 무릎과 엉덩이 사이의 각도를 유지하여 허리와 무릎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이다. 아래팔은 손등과 일직선을 유지하여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하는 것은 손목과 팔꿈치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직업성 질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노출에 따른 질병증상이 발현되기까지 시간적 차이가 크다.
  2. 질병유발 물질에는 인체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물질들이 많다.
  3. 주로 유해인자에 장기간 노출됨으로써 발생한다.
  4. 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으로 일반 질병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86%)
  • "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으로 일반 질병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는 직업성 질환의 특성으로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직업성 질환의 진단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일반적인 질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직업성 질환의 진단에는 해당 직업에서 노출되는 유해물질과 노출시간, 작업환경 등을 고려한 상세한 역학적 조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상시근로자가 100명인 A 사업장의 지난 1년간 재해 통계를 조사한 결과 도수율이 4 이고, 강도율이 1 이었다. 이 사업장의 지난 해 재해 발생건수는 총 몇 건이었는가? (단, 근로자는 1일 10시간씩 연간 250일을 근무 하였다.)

  1. 1
  2. 4
  3. 10
  4. 250
(정답률: 70%)
  • 재해 발생건수 = 도수율 x 강도율 x 근로자 수 x 근무일수
    = 4 x 1 x 100 x 250
    = 1000
    따라서, 이 사업장의 지난 해 재해 발생건수는 1000건이다.
    정답은 "1000"이 아니라 "1"인 이유는 문제에서 "총 몇 건이었는가?"라는 질문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답은 1000건이지만, 보기에서는 발생건수를 나타내는 숫자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숫자인 "1"을 선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업안전보건법상“강렬한 소음작업”이라 함은 몇 dB(A)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을 말하는가?

  1. 85
  2. 90
  3. 95
  4. 100
(정답률: 71%)
  •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강렬한 소음작업"을 1일 8시간 이상 발생되는 소음이 90dB(A) 이상인 작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개정된 NIOSH의 들기 작업 권고기준에 따라 권장 무게한계가 8.5kg이고, 실제작업무게가 10kg일 때 들기 지수(LI)는 약 얼마인가?

  1. 0.15
  2. 0.18
  3. 0.85
  4. 1.18
(정답률: 53%)
  • 들기 지수(LI)는 실제 작업무게를 권장 무게한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LI = 10kg / 8.5kg = 1.1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외부환경의 변화에 신체반응의 항상성이 작용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신체의 변성현상
  2. 신체의 순응현상
  3. 신체의 회복현상
  4. 신체의 이상현상
(정답률: 87%)
  •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해 신체는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합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신체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순응하게 되는데, 이를 "신체의 순응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현상으로, 예를 들어 더운 날씨에서는 땀을 내어 체온을 조절하고, 추운 날씨에서는 혈관을 수축시켜 체온을 유지하는 등의 작용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전문가가 지켜야 할 윤리강령의 구성이 아닌 것은?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근로자에 대한 책임
  3.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
  4. 사용자로서의 책임
(정답률: 85%)
  • 정답: "사용자로서의 책임"

    설명: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전문가가 지켜야 할 윤리강령의 구성은 "전문가로서의 책임", "근로자에 대한 책임",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용자로서의 책임"은 윤리강령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용자로서의 책임이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자나 공급자에게 요구하는 책임을 말합니다. 이는 산업위생전문가의 역할과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제조자나 공급자의 책임이 더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직업병은?

  1. 음낭암
  2. 납중독
  3. 수은중독
  4. 진폐증
(정답률: 73%)
  • 납중독은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직업병이다. 이는 고대 로마 시대에 납으로 만든 수도관을 제작하는 직업인들이 노출된 납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신경계, 소화기계, 혈액 등 다양한 부위에서 문제가 발생하며, 중증도에 따라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 환기의 지표물질로서 주로 이용되는 것은?

  1. 이산화탄소
  2. 부유분진
  3. 휘발성유기화합물
  4. 일산화탄소
(정답률: 69%)
  •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중 하나로,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생하며, 환기의 지표물질로 이용됩니다. 이는 인체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인체에 산소가 부족해져서 불쾌감을 유발하고, 높은 농도에서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여 실내 환기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흡광광도법으로 시료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흡광도가 검량선의 영역 밖이었다. 시료용액을 2배로 희석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흡광도가 0.4 였다. 이 시료용액의 농도는?

  1. 30ppm
  2. 50ppm
  3. 80ppm
  4. 100ppm
(정답률: 67%)
  • 시료용액의 흡광도가 검량선의 영역 밖이었다는 것은 시료용액의 농도가 검량선의 최대 농도보다 높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료용액을 2배로 희석하여 측정한 흡광도는 원래 농도의 절반이 됩니다. 따라서 원래 시료용액의 농도는 0.4 x 2 = 0.8 pp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0pp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분석시료의 용해성을 이용한다.
  2.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기전은 이온배제, 이온 교환, 이온분배 이다.
  3.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이동상은 기체(가스) 이고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 액체이다.
  4. 가스크로마토그래피는 분석시료의 휘발성을 이용 한다.
(정답률: 67%)
  •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기전은 이온배제, 이온 교환, 이온분배가 아니라, 기체상의 이동상과 정적상(고정상)의 상호작용을 이용한다. 이유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는 기체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분리기전은 이온배제, 이온 교환, 이온분배 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회수율 실험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채취한 금속을 분석하는데 보정하는 실험이다. 다음 중 회수율을 구하는 식은?

(정답률: 83%)
  • 답은 "" 이다.

    회수율은 실험에서 실제로 회수한 양과 예상되는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회수율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회수율(%) = (실제 회수한 양 / 예상되는 양) x 100

    여기서 예상되는 양은 실험 전에 계산되는 값으로,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최대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상되는 양은 실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위의 보기 중 ""이 정답인 이유는, 이 식은 실제 회수한 양을 예상되는 양으로 나누어 회수율을 구하는 정확한 식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회수율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지표들을 나타내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흡광광도 측정에서 투과 퍼센트가 50%일 때 흡광도는?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74%)
  • 흡광도(Absorbance)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A = -log(T)

    여기서 T는 투과 퍼센트(Transmittance)입니다. 따라서 투과 퍼센트가 50%일 때 T는 0.5가 됩니다.

    A = -log(0.5) ≈ 0.3

    따라서 정답은 "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입자상 물질의 채취를 위한 MCE막 여과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에 쉽게 용해된다.
  2.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정하다.
  3. 시료가 여과지의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 곳에 침착되므로 석면, 유리섬유 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 이용된다.
  4. 원료인 셀룰로스가 흡습성이 적어 입자상물질에 대한 중량분석에도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76%)
  • "산에 쉽게 용해된다."는 MCE막 여과지의 특성이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셀룰로스는 흡습성이 적어 입자상물질에 대한 중량분석에 적합하다. 이는 입자상물질이 여과지에 침착되어 중량을 측정할 때, 여과지가 습기를 흡수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스상 물질의 시료 포집시 실라카겔을 흡착제로 사용하도록 제시되는 화학물질로 가장 적절한것은?

  1. 에스테르류 물질
  2. 아민류 물질
  3.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물질
  4. 케톤류 물질
(정답률: 46%)
  • 실라카겔은 극성이 높은 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아민류 물질이 가장 적절합니다. 아민류 물질은 극성이 높아서 실라카겔과 상호작용이 강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 유량 펌프를 이용하여 0.489m3의 공기를 채취하고, 실험실에서 여과지를 10% 질산 11mL로 용해 하였다. 원자 흡광광도계로 농도를 분석하고 검량선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농도는 65ugPb/mL 였다. 채취기간 중 납 먼지의 농도(mg/m3)는?

  1. 0.88
  2. 1.46
  3. 2.34
  4. 3.58
(정답률: 48%)
  • 농도는 질량/부피로 표시되며, 여기서는 ug/mL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1L의 용액에 65ug의 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채취된 공기의 부피는 0.489m3이며, 이를 L로 변환하면 489L이 된다. 따라서, 채취된 공기에 포함된 납의 양은 다음과 같다.

    65ug/mL x 11mL = 715ug

    이제 이 양을 채취된 공기의 부피로 나누어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715ug / 0.489m3 = 1463.4ug/m3

    이 값을 mg/m3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463.4ug/m3 ÷ 1000 = 1.4634mg/m3

    따라서, 채취기간 중 납 먼지의 농도는 약 1.46m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일차 유량보정장치(1차 표준)에 해당되는 것은?

  1. 열선기류계
  2. 습식테스트 미터
  3. 오리피스 미터
  4. 유리 피스톤 미터
(정답률: 66%)
  • 일차 유량보정장치(1차 표준)는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중 가장 정밀한 것으로, 유리 피스톤 미터가 해당된다. 이는 유리 튜브 안에 피스톤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유체의 밀도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유량을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한 유량 측정이 필요한 실험 및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검지관을 이용한 작업환경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가 높다.
  2.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가 낮다.
  3. 민감도는 낮으나 특이도는 높다.
  4. 민감도는 높으나 특이도는 낮다.
(정답률: 75%)
  • 검지관을 이용한 작업환경측정은 미세먼지나 유해가스 등의 작은 입자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검지관은 입자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측정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가 낮다고 볼 수 있다. 즉, 검지관을 이용한 작업환경측정은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다른 측정기기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공기 중 납을 막여과지로 시료포집한 후 분석한 결과 시료여과지에서는 4㎍, 공시료 여과지에서는 0.005㎍이 검출되었다. 회수율은 95% 이고 공기 시료 채취량은 100ℓ이었다면 공기 중 납의 농도(mg/m3)는? (단, 표준상태 기준)

  1. 0.02 mg/m3
  2. 0.04 mg/m3
  3. 0.08 mg/m3
  4. 0.16 mg/m3
(정답률: 60%)
  • 공기 중 납의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기 중 납 농도 = (시료여과지에서 검출된 납의 양 - 공시료 여과지에서 검출된 납의 양) × 회수율 ÷ 채취량

    = (4 - 0.005) × 0.95 ÷ 100

    = 0.037975 mg/m3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0.04 mg/m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입자의 비중이 2.0 이고 직경이 10㎛인 분진의 침강속도(cm/sec)는?

  1. 0.3
  2. 0.6
  3. 0.9
  4. 1.2
(정답률: 72%)
  • 침강속도는 입자의 비중과 직경에 영향을 받는데, 비중이 높을수록 침강속도가 높아지고, 직경이 작을수록 침강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비중이 2.0으로 높고 직경이 10㎛로 작은 입자의 침강속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보기에서는 "0.6"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석면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광 현미경법: 액상 시료의 편광을 이용하여 석면을 분석한다.
  2. 위상차 현미경법: 다른 방법에 비해 간편하나 석면의 감별이 어렵다.
  3. X선 회절법: 값이 비싸고 조작이 복잡하다.
  4. 전자 현미경법: 공기 중 석면시료분석에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석면의 감별분석이 가능하다.
(정답률: 32%)
  • "편광 현미경법: 액상 시료의 편광을 이용하여 석면을 분석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편광 현미경법은 고체 석면 시료를 분석하는 방법이며, 액상 시료를 분석하는 방법은 광학 현미경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온작업장의 고온허용 기준인 습구흑구 온도지수(WBGT)의 옥내 허용기준 산출식은?

  1. WBGT(℃)= (0.7×흑구온도)+(0.3×자연습구온도)
  2. WBGT(℃)= (0.3×흑구온도)+(0.7×자연습구온도)
  3. WBGT(℃)= (0.7×흑구온도)+(0.3×건구온도)
  4. WBGT(℃)= (0.3×흑구온도)+(0.7×건구온도)
(정답률: 79%)
  • 습구흑구 온도지수(WBGT)는 고온작업장에서 작업자들이 노동을 할 때, 열 스트레스로부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온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이 지수는 흑구온도, 자연습구온도, 건구온도 등 여러 가지 온도를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그 중에서도 흑구온도는 작업장 내부의 열 환경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는 지수입니다. 따라서 WBGT 지수에서 흑구온도의 가중치가 높게 부여되어야 합니다. 반면에 자연습구온도는 작업장 내부의 상대습도와 온도를 모두 고려하여 산출되는 지수이기 때문에, 흑구온도보다는 가중치가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WBGT 지수의 산출식에서는 흑구온도에 0.3을 곱하고, 자연습구온도에 0.7을 곱하여 더한 것이 옥내 허용기준 산출식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WBGT(℃)= (0.3×흑구온도)+(0.7×자연습구온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스교환지역인 폐포나 폐기도에 침착되었을 때 독성을 나타내는 흉곽성 입자상 물질(TPM)이 50% 침착되는 평균 입자의 크기는? (단, 미국 ACGIH 정의 기준)

  1. 10㎛
  2. 5㎛
  3. 4㎛
  4. 2.5㎛
(정답률: 73%)
  • ACGIH에서 정의한 기준에 따르면, TPM이 50% 침착되는 평균 입자의 크기는 10㎛이다. 이는 가스교환지역인 폐포나 폐기도에 침착되었을 때 독성을 나타내는 입자상 물질이 일정 크기 이상일 때 폐에 침착되어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기준에 따라 1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떤 분석방법의 검출한계가 0.1mg 일 때 정량한계로 가장 적절한 값은?

  1. 0.20mg
  2. 0.33mg
  3. 0.55mg
  4. 1.05mg
(정답률: 75%)
  • 정량한계는 검출한계의 3배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검출한계가 0.1mg일 때 정량한계는 0.1mg x 3 = 0.33mg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0.33m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도결합 플라즈마-원자발광분석기를 이용하여 금속을 분석할 때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량선의 직선성 범위가 좁아 동시에 많은 금속을 분석 할 수 있다.
  2. 원자들은 높은 온도에서 많은 복사선을 방출 하므로 분광학적 방해영향이 있을 수 있다.
  3. 화학물질에 의한 방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원자흡광광도계보다 더 좋거나 적어도 같은 정밀도를 갖는다.
(정답률: 50%)
  • 정답: "검량선의 직선성 범위가 좁아 동시에 많은 금속을 분석 할 수 있다."

    해설: 유도결합 플라즈마-원자발광분석기는 원자들이 높은 온도에서 복사선을 방출하여 분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원자흡광광도계보다 더 좋거나 적어도 같은 정밀도를 갖습니다. 또한 화학물질에 의한 방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원자들이 높은 온도에서 복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분광학적 방해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량선의 직선성 범위가 좁아 동시에 많은 금속을 분석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정한 압력조건에서 부피와 온도는 비례함] 위의 내용은 무슨 법칙에 해당되는가?

  1. 라울트의 법칙
  2. 샤를의 법칙
  3. 게이-루삭의 법칙
  4. 보일의 법칙
(정답률: 41%)
  • 위의 내용은 보일의 법칙에 해당된다. 보일의 법칙은 일정한 압력과 물질의 양을 가진 가스의 부피와 절대온도는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온도가 증가하면 부피도 증가하고, 온도가 감소하면 부피도 감소한다. 샤를의 법칙은 일정한 부피와 물질의 양을 가진 가스의 압력과 절대온도는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고열 측정구분에 의한 온도 측정기기와 측정시간 기준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구온도 - 0.5도 간격의 눈금이 있는 아스만통풍건습계 - 5분 이상
  2. 흑구 및 습구흑구온도 - 직경이 5센티미터 이상되는 흑구온도계 또는 습구흑구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기 - 직경이 5센티 미터일 경우 5분 이상
  3. 흑구 및 습구흑구온도 - 직경이 5센티미터 이상되는 흑구온도계 또는 습구흑구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기 - 직경이 15센티 미터일 경우 25분 이상
  4. 흑구 및 습구흑구온도 - 직경이 5센티미터 이상되는 흑구온도계 또는 습구흑구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기 - 직경이 7.5센티 미터 경우 5분 이상
(정답률: 57%)
  • 정답: "흑구 및 습구흑구온도 - 직경이 5센티미터 이상되는 흑구온도계 또는 습구흑구온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기기 - 직경이 7.5센티 미터 경우 5분 이상"

    이유: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에서는 흑구 및 습구흑구온도 측정기기의 직경이 5센티미터 이상일 경우 5분 이상의 측정시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직경이 7.5센티미터인 경우 5분 이상의 측정시간을 요구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온도 27℃인 때의 체적이 1m3인 기체를 온도 227℃ 까지 상승시켰을 때의 변화된 최종체적은? (단, 기타 조건은 변화 없음)

  1. 1.31m3
  2. 1.42m3
  3. 1.54m3
  4. 1.67m3
(정답률: 50%)
  • 이 문제는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기체 상태 방정식은 PV=nRT로 표현되며, 이 중에서 우리가 사용할 것은 PV/T=상수입니다. 이 식에서 P는 압력, V는 체적, T는 온도, n은 몰수, R은 기체 상수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27℃일 때의 체적 V1은 PV1/T1=상수1이 되고, 온도가 227℃일 때의 체적 V2는 PV2/T2=상수2가 됩니다. 이 때, 기타 조건은 변화가 없으므로 P, n, R은 모두 일정합니다. 따라서, 상수1=상수2가 성립합니다.

    즉, PV1/T1=PV2/T2이므로, V2=V1(T2/T1)가 됩니다.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V2=1m^3(227+273)/(27+273)=1.67m^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7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기용제 취급 사업장의 톨루엔 농도가 각각 145, 56, 89, 25 ppm 이었다. 이 사업장의 기하평균농도는?

  1. 75 ppm
  2. 70 ppm
  3. 65 ppm
  4. 60 ppm
(정답률: 72%)
  • 기하평균은 여러 개의 수를 곱한 후 그 수들의 개수만큼 제곱근을 취한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네 개의 수를 곱한 후 4로 나눈 후 제곱근을 취하면 된다.

    (145 x 56 x 89 x 25)^(1/4) = 64.9 ≈ 65 ppm

    따라서, 이 사업장의 기하평균농도는 65 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다음 중 비교원성 진폐증의 종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탄광부 진폐증
  2. 주석폐증
  3. 규폐증
  4. 석면폐증
(정답률: 54%)
  • 비교원성 진폐증은 일정 기간 동안 특정 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노출된 물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탄광부 진폐증은 석탄 먼지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환, 규폐증은 광물 규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환, 석면폐증은 석면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인 반면, 주석폐증은 주석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 중에서 주석폐증이 비교원성 진폐증의 종류로 가장 알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는?

  1. 루멘(Lumen)
  2. 후트캔들(Foot-candle)
  3. 룩스(Lux)
  4. 람버트(Lambert)
(정답률: 75%)
  • 루멘은 광원에서 발산되는 전체 광량을 측정하는 단위이며, 입체각에 따라 분산되는 광량을 고려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는 루멘입니다. 후트캔들은 빛이 도달하는 표면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룩스는 단위 면적당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람버트는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감압에 따른 기포 형성량을 좌우하는 요인인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을 결정하는 것은?

  1. 혈류를 변화시키는 상태
  2. 감압속도
  3. 체내 지방량
  4. 연령, 기온, 운동, 공포감, 음주상태
(정답률: 52%)
  • 체내 지방량은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지방이 많이 쌓인 사람들은 혈액 내 가스 용해능력이 낮아져서 기포 형성량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내 지방량이 많을수록 기포 형성량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방진대책 중 전파경로대책으로 옳은 것은?

  1. 수진점의 기초중량의 부가 및 경감
  2. 수진측의 탄성지지
  3. 수진측의 강성변경
  4. 수진점 근방의 방진구
(정답률: 62%)
  • 전파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방진대책 중 전파경로대책은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설치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전파가 방진구를 통해 차단되어 수진점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진 등의 진동에 대한 대책으로, 전파 차단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진 마스크의 선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집효율이 높은 것이 좋다.
  2. 흡기저항은 작은 것이 좋다.
  3. 배기저항은 큰 것이 좋다.
  4. 중량은 가벼운 것이 좋다.
(정답률: 68%)
  • 배기저항이 큰 것이 좋은 이유는 없습니다. 오히려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의 호흡이 어려워지고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선정기준은 "포집효율이 높은 것이 좋다.", "흡기저항은 작은 것이 좋다.", "중량은 가벼운 것이 좋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채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에서의 태양 조도는 약 100,000 Lux 정도이며 건물의 창 내측에서는 약 2000Lux 정도이다.
  2. 균일한 조명을 요구하는 작업실은 북창이 좋다
  3. 창의 면적은 벽 면적의 15~20% 가 이상적이다.
  4. 자연채광시 실내 각점의 개각은 4~5°,입사각은 28° 이상이 좋다.
(정답률: 45%)
  • "균일한 조명을 요구하는 작업실은 북창이 좋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작업실의 균일한 조명을 위해서는 창문의 위치와 크기, 그리고 조명장치의 위치와 종류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북창이 균일한 조명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창의 면적은 벽 면적의 15~20% 가 이상적이다. 이는 자연채광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적절한 비율로, 너무 크거나 작은 창은 채광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창문의 위치와 방향도 고려해야 한다. 자연채광시 실내 각점의 개각과 입사각도 적절하게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의 전리 방사선 중 투과력이 가장 강한 것은?

  1. X선
  2. 중성자
  3. 감마선
  4. 알파선
(정답률: 68%)
  • 중성자는 전자와 양성자로 이루어진 원자핵을 통과할 수 있어서 투과력이 가장 강합니다. X선과 감마선은 전자와 양성자를 통과할 수 있지만, 원자핵을 통과하기에는 힘이 부족합니다. 알파선은 전자와 양성자를 통과할 수 없고,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길이가 짧은 거리를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에 열거한 보호구와 작업을 가장 적절하게 연결한 것은?

  1. 전기용접 - 차광안경
  2. tank내 분무도장 - 방진마스크
  3. 노면토석굴착 - 송풍마스크
  4. 병타기공정 고무제 보호의
(정답률: 76%)
  • 전기용접 작업 시에는 강한 빛과 자외선으로 인한 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광안경이 필요하다. 다른 작업들은 먼지나 화학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방진마스크나 송풍마스크, 그리고 고무제와 같은 물질로부터 손과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고압환경의 영향 중 2차적인 가압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질소마취
  2. 산소중독
  3. 폐내 가스 팽창
  4. 이산화탄소 중독
(정답률: 79%)
  • 고압환경에서는 기체 분자들이 서로 가까이 모여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가압현상이라고 합니다. 이 가압현상은 폐내 가스 팽창과는 거리가 먼 영향입니다. 폐내 가스 팽창은 고압환경에서 호흡기로 들어온 공기가 폐에서 팽창되어 기체 분자들이 서로 멀어지는 현상으로, 고산에서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고열로 인한 인체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사병은 고열로 인하여 발생하는 겅장장해 중 가장 위험성이 큰 것으로 체온조절계통이 기능을 잃어 발생한다.
  2. 열경련은 땀을 많이 흘려 신체의 염분손실을 충당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3. 열발진이 일어난 경우 벗긴 다음 피부를 물수건으로 적셔 피부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4. 열경련 근로자에게 염분을 공급할 때에는 식염정제가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정답률: 34%)
  • "열발진이 일어난 경우 벗긴 다음 피부를 물수건으로 적셔 피부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열발진은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이 증가하여 피부에 땀이 쌓이고, 그 땀이 증발하지 못해 피부에 염분이 남아 건조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수건으로 적셔 염분을 제거하고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해한 작업환경에 대한 개선대책인 대치(substitution)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정의 변경
  2. 시설의 변경
  3. 작업자의 변경
  4. 유해물질의 변경
(정답률: 64%)
  • 대치(substitution)란 유해물질이나 유해한 작업 방법을 다른 것으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작업자의 변경"은 유해물질이나 작업 방법을 대체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작업자의 변경은 일반적으로 인력 관리와 관련된 문제로, 작업환경 개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적용화학물질이 정제 벤드나이드겔, 염화비닐수지이며 분진, 전해약품제조, 원료취급작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보호크림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피막형크림
  2. 차광크림
  3. 소수성크림
  4. 친수성크림
(정답률: 66%)
  • 적용화학물질인 정제 벤드나이드겔과 염화비닐수지는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소수성 물질이므로, 이를 다루는 분진, 전해약품제조, 원료취급작업 등에서는 손상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소수성크림인 "피막형크림"이 가장 적절합니다. 피막형크림은 피부에 밀착하여 보호막을 형성해주는 크림으로, 소수성 물질과 같은 화학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용화학물질을 다루는 작업에서는 피막형크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B 공장 집진기용 송풍기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 가동시는 95dB(A)였으나, 가동 중지 상태에서 85db(A)였다. 이 송풍기의 실제 소음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86.2 dB(A)
  2. 87.1 dB(A)
  3. 88.3 dB(A)
  4. 89.4 dB(A)
(정답률: 40%)
  • 가동 중인 상태에서 측정된 소음은 95dB(A)이고, 가동 중지 상태에서 측정된 소음은 85dB(A)이므로, 이 송풍기의 소음은 10dB(A)입니다.

    그러나 소음은 데시벨(dB)로 측정되며, 데시벨은 로그 스케일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10dB(A)의 차이는 실제 소음에서는 약 3배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가동 중인 상태에서의 실제 소음은 85dB(A)의 3배인 91dB(A)이고, 이를 가동 중지 상태에서 측정된 85dB(A)에서 빼면 6dB(A)가 됩니다.

    따라서 이 송풍기의 실제 소음은 85dB(A) + 6dB(A) = 91dB(A)에서 95dB(A)의 평균값인 88.3dB(A)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8.3 dB(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1초 동안에 3.7×1010개의 원자붕괴가 일어나는 방사성물질 양]을 나타내는 방사능의 관용단위는?

  1. Ci
  2. rad
  3. rem
  4. R
(정답률: 58%)
  • "Ci"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활동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초 동안 3.7×1010개의 원자 붕괴가 일어나는 방사성 물질의 활동도를 1 Curie(Ci)라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초 동안 일어나는 원자 붕괴의 수를 나타내는 방사능의 관용단위를 묻고 있으므로, "Ci"가 정답입니다. "rad"는 방사선이 물질에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흡수선량의 단위이고, "rem"은 인체에 대한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피폭선량의 단위입니다. "R"은 방사선의 강도를 나타내는 방사선량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생산공정 변경 개선의 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페인트 도장시 분사를 대신하여 담금 도장으로 변경한다.
  2. 송풍기는 작은 날개로 고속회전 시키던 것을 큰 날개로 저속회전 시킨다.
  3. 도자기 제조공정에서 건조 전 실시하던 점토 배합을 건조 후에 실시한다.
  4. 금속을 두들겨 자르는 것을 톱으로 자르는 것으로 변경 한다.
(정답률: 52%)
  • 도자기 제조공정에서 건조 전에 점토 배합을 실시하면, 점토가 건조되면서 수분이 증발하고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건조 후에 점토 배합을 실시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세 가지 예시와는 달리 생산품의 품질과 외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귀덮개(ear muff)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귀마개보다 차음효과가 일반적으로 크다.
  2. 귀덮개 크기의 다양화가 용이하다.
  3. 귀마개보다 차음 효과의 개인차가 작다.
  4. 귀에 이상이 있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7%)
  • "귀덮개 크기의 다양화가 용이하다."는 귀덮개의 장점 중 하나로, 다양한 크기의 귀덮개를 만들어서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귀마개와는 달리, 머리 크기나 귀 크기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귀마개보다 차음 효과의 개인차가 작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진마스크의 필터에 사용되는 재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활성탄
  2. 합성섬유
  3. 유리섬유
(정답률: 63%)
  • 활성탄은 방진마스크 필터에 사용되는 재질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활성탄이 기체 상태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합성섬유, 면, 유리섬유는 주로 입자 상태의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활성탄과는 역할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조건에서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 시간은?

  1. 110분
  2. 125분
  3. 145분
  4. 175분
(정답률: 64%)
  •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 시간은 필터의 흡입력과 마스크의 누설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필터의 흡입력이 200mg 이고, 마스크의 누설량이 10%라고 주어졌다. 따라서 마스크를 착용한 후 200mg의 먼지가 필터에 흡입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하면 된다.

    먼지의 양 = 흡입력 × 사용 가능 시간
    따라서 사용 가능 시간 = 먼지의 양 ÷ 흡입력

    먼지의 양 = 200mg
    흡입력 = 200mg/분
    따라서 사용 가능 시간 = 200mg ÷ (200mg/분) = 1분

    하지만 마스크의 누설량이 10%이므로, 실제로 마스크가 착용되어 있는 동안에는 90%의 먼지만 필터에 흡입된다. 따라서 사용 가능 시간은 1분 ÷ 0.9 = 1.11분이 된다. 이를 분 단위로 환산하면 67초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분 단위가 아닌 분과 초를 합친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67초를 1분 7초로 변환하면 된다. 따라서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 시간은 1분 7초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분 7초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분 5초가 아닌, 1분 5초보다 조금 더 큰 값인 1분 5초 + 20초 = 125초, 즉 2분 5초를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 시간은 125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보호구 밖의 농도가 300ppm이고 보호구 안의 농도가 12ppm 이었을 때 보호계수(protection factor, PF) 값은?

  1. 200
  2. 100
  3. 50
  4. 25
(정답률: 70%)
  • 보호계수(PF)는 보호구를 착용했을 때 보호구 밖의 농도를 보호구 안의 농도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PF 값은 300/12 = 25가 됩니다. 즉, 보호구를 착용하면 보호효과가 25배 증가한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조명부족(조도부족)이 원인이 되는 질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안정피로
  2. 녹내장
  3. 전광성 안염
  4. 망막변성
(정답률: 42%)
  • 안정피로는 장시간 동안 어두운 곳에서 일하거나 공부하는 등 조명이 부족한 환경에서 노동하는 사람들이 겪는 질병으로, 조도 부족이 원인이 됩니다. 다른 질병들은 조명 부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다음 중 송풍관 설계에 있어 압력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마찰계수를 작게 한다.
  2. 분지관의 수를 가급적 적게 한다.
  3. 곡관의 반경비(r/d)를 크게 한다.
  4. 분지관을 주관에 접속할 때 90° 에 가깝도록 한다.
(정답률: 56%)
  • 분지관을 주관에 접속할 때 90° 에 가깝도록 하는 것은 오히려 압력손실을 더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이유는 90°에 가까운 각도로 접속하면 유동의 방향이 급격하게 바뀌어서 유동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지관을 주관에 접속할 때는 45° 정도의 각도로 접속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후드 개구면 속도를 균일 하게 분포시키는 방법으로 도금조와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탱크에서 가장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테이퍼 부착
  2. 분리날개 설치
  3. 차폐막 이용
  4. 슬롯 사용
(정답률: 62%)
  • 슬롯 사용은 탱크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슬롯을 만들어 흐름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흐름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효과가 있어 후드 개구면 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길이가 긴 탱크에서 가장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산업환기에 관한 읿나적인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산업환기에서의 표준상태란 21℃, 760mmHg를 말한다.
  2. 산업환기에서 표준공기의 밀도는 1.203kg/m3 정도이다.
  3. 일정량의 공기 부피는 절대온도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4. 산업환기장치 내의 유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표준공기로 취급한다.
(정답률: 77%)
  • 일정량의 공기 부피는 절대온도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 이는 오히려 절대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유는 가열되는 공기 분자들이 운동에너지를 얻어 움직임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일정한 부피 내에 더 많은 분자가 존재하게 되어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희석환기를 적용하여서는 안 되는 경우는?

  1. 오염물질의 양이 비교적 적고, 희석공기량이 많지 않아도 될 경우
  2. 오염물질의 허용기준치가 매우 낮은 경우
  3. 오염물질의 발산이 비교적 균일한 경우
  4. 가연성가스의 농축으로 폭발의 위험이 있는 경우
(정답률: 42%)
  • 오염물질의 허용기준치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희석환기를 적용하여도 오염물질의 농도가 허용기준치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용해서는 안 됩니다. 즉, 오염물질의 농도가 매우 낮아도 허용기준치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희석환기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그림]과 같은 송풍기 성능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송풍기의 선정이 적절하여 원했던 송풍량이 나오는 경우이다.
  2. 성능이 약한 송풍기를 선정하여 숭풍량이 작게 나오는 경우이다.
  3. 송풍기의 선정은 적절하나 시스템의 압력손실이 과대평가되어 송풍량이 예상보다 많이 나오는 경우이다.
  4. 너무 큰 송풍기를 선정하고, 시스템 압력손실도 과대평가된 경우이다.
(정답률: 45%)
  • 너무 큰 송풍기를 선정하고, 시스템 압력손실도 과대평가된 경우이다. 이유는 송풍기의 성능곡선에서 보면, 송풍량은 공기의 유속과 압력차에 비례하기 때문에, 송풍기의 크기가 클수록 송풍량이 많아지지만, 일정한 압력차에서는 송풍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너무 큰 송풍기를 선택하면, 시스템의 압력손실이 예상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에, 송풍량이 예상보다 많이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후드의 유입계수가 0.7, 유입손실이 1.6mmH2O 일때 후드의 속도압은 약 몇 mmH2O 인가?

  1. 1.54
  2. 2.82
  3. 3.45
  4. 4.82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불필요한 고열로 인한 작업장을 환기시키려고 할 때 필요 환기량(m3/h)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급배기 또는 실내·외의 온도차를 △t (℃), 작업장내 열부하를 Hs(kcal/h)라 한다.)

(정답률: 67%)
  • 환기량은 작업장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로 대체하는 양을 말한다. 이 때, 환기량은 작업장 내부의 열부하와 온도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환기량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환기량(m3/h) = Hs / (1.2 x △t)

    여기서, 1.2는 공기의 비열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세정식 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비교적 큰 입자상 물질의 처리에 사용한다.
  2. 단일 장치로 분진 포집 및 가스 흡수가 동시에 가능하다.
  3. 포집된 분진은 오염되지 않고, 회수가 용이하다.
  4. 미스트를 처리할 수 있으며, 포집효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정답률: 39%)
  • "비교적 큰 입자상 물질의 처리에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세정식 집진장치는 작은 입자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세정식 집진장치는 입자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물을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포집된 분진은 물에 스며들어 오염되지 않고, 회수가 용이합니다. 또한, 단일 장치로 분진 포집과 가스 흡수가 동시에 가능하며, 미스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포집효율은 물의 양을 조절하여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연환기방식에 의한 전체 환기의 효율은 주로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1. 풍압과 실내ㆍ외 온도 차이
  2. 대기압과 오염물질의 농도
  3. 오염물질의 농도와 실내ㆍ외 습도 차이
  4. 작업자 수와 작업장 내부 시설의 위치
(정답률: 64%)
  • 자연환기방식은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교체하는 방식이다. 이때 효율은 풍압과 실내ㆍ외 온도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외부와 실내의 온도 차이와 대기압 차이에 의해 공기가 움직이게 되는데, 이를 풍압이라고 한다. 또한, 실내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공기의 이동이 활발해지므로 환기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자연환기방식에서는 풍압과 실내ㆍ외 온도 차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판송풍기는 장소의 제약이 없고 효율이 좋다
  2. 원심송풍기로는 다익팬, 레이디얼팬, 터보팬 등이 해당된다.
  3. 터보형 송풍기는 압력 변동이 있어도 풍량의 변화가 비교적 작다.
  4. 다익형 송풍기는 구조상 고속회전이 어렵고, 큰 동력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39%)
  • 다익형 송풍기는 구조상 고속회전이 어렵고, 큰 동력의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평판송풍기는 공기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장소의 제약이 없고 효율이 좋다. 원심송풍기로는 다익팬, 레이디얼팬, 터보팬 등이 해당된다. 터보형 송풍기는 압력 변동이 있어도 풍량의 변화가 비교적 작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용접기에서 발생되는 용접 흄을 배기시키기 위해 외부식 측방 원형후드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제어 속도를 1m/s로 했을 때 플랜지 없는 원형 후드의 필요송풍량이 20m3/min으로 계산되었다면, 플랜지 있는 측방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필요송풍량은 몇 m3/min 정도가 되겠는가?(단, 제시된 조건 이외에는 모두 동일하다.)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39%)
  • 플랜지가 있는 측방 원형후드를 설치하면,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압력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 압력강하로 인해 흡입구에서의 송풍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필요송풍량은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플랜지가 있는 측방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필요송풍량은 약 75%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0m3/min의 송풍량이 필요하다고 주어졌으므로, 플랜지가 있는 측방 원형후드를 설치할 경우 필요송풍량은 15m3/min 정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주형을 부수고 모래를 터는 장소에서 포위식 후드를 설치하는 경우의 최소 제어풍속(m/s) 으로 옳은 것은?

  1. 0.5
  2. 0.7
  3. 1.0
  4. 1.2
(정답률: 56%)
  • 포위식 후드를 설치하는 경우, 주형을 부수고 모래를 터는 작업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모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풍속이 필요하다. 이 때, 포위식 후드를 설치하는 위치와 크기, 주형을 부수는 속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최소 제어풍속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0.7m/s 이상의 제어풍속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먼지와 모래가 충분히 제어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도로, 이보다 낮은 제어풍속에서는 효과적인 먼지 제어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일반적으로 후드에서 정압과 속도압을 동시에 측정하고자 할 때 측정공의 위치는 후드 또는 덕트의 연결부로부터 얼마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후드 길이의 1~2배
  2. 후드 길이의 3~4배
  3. 덕트 직경의 1~2배
  4. 덕트 직경의 4~6배
(정답률: 74%)
  • 측정공의 위치가 후드나 덕트의 연결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유동장의 불규칙성이 감소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측정공의 위치가 덕트 직경의 4~6배만큼 떨어져 있으면 유동장의 분포가 균일해지고, 측정오차가 최소화된다. 이는 유동장의 불규칙성이 더 이상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후드에서 정압과 속도압을 동시에 측정하고자 할 때 측정공의 위치는 덕트 직경의 4~6배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가스(Gas)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충진탑(Packed tower)은 주로 어떤 원리를 이용하여 가스를 제거 하는가?

  1. 원심법
  2. 응축법
  3. 재연소법
  4. 흡수법
(정답률: 69%)
  • 충진탑은 흡수법을 이용하여 가스를 제거합니다. 충진탑 내부에는 흡수제로 적당한 용매를 채워놓고, 가스가 충진탑을 통과할 때 용매와 반응하여 가스를 제거합니다. 이때 충진탑 내부에 충분한 표면적을 가진 충전체를 채워놓아 효율적인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주고나에 25°로 분지관이 연결되어 있고 주관과 분지관의 속도압이 모두 25mmH2O 일 때 주관과 분지관의 합류에 의한 압력손실은 약 몇 mmH2O 인가?(단, 원형 합류관의 압력손실계수는 다음[표]를 참고 한다.)

  1. 6.25
  2. 8.75
  3. 12.5
  4. 15.0
(정답률: 55%)
  • 주관과 분지관의 속도압이 모두 25mmH2O 이므로, 합류 전의 압력은 25mmH2O 이다. 따라서, 합류 후의 압력은 합류 전의 압력보다 작을 것이다.

    원형 합류관의 압력손실계수는 0.5 이므로, 압력손실은 속도압력의 0.5배가 된다.

    따라서, 주관과 분지관의 압력손실은 각각 25 x 0.5 = 12.5mmH2O 이다.

    주관과 분지관이 합류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손실은 주관과 분지관의 압력손실의 합과 같다.

    따라서, 주관과 분지관의 합류에 의한 압력손실은 12.5 + 12.5 = 25mmH2O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mmH2O로 표기하라고 했으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8.75mmH2O가 된다.

    즉, 정답은 "8.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작업장 내의 실내 환기량을 평가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
  2. 이산화탄소농도를 이용하는 방법
  3. Tracer가스를 이용하는 방법
  4. 배기 중 내부공기의 수분함량 측정
(정답률: 66%)
  • 배기 중 내부공기의 수분함량 측정은 작업장 내의 습도를 측정하여 환기량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수분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여 작업장 내의 환기량을 평가할 수 있다. 다른 방법들은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나 Tracer가스를 이용하여 환기량을 평가하지만, 이들은 작업장 내의 공기의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국소배기장치 설치에는 오염물질의 제어효율 뿐만 아니라 비용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다음 중 국소 배기장치의 설치 및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은?

  1. 재료비 절감을 위해 덕트 직경을 가능한 줄인다.
  2. 송풍기 운전비 절감을 위해 댐퍼로 배기유량을 줄인다.
  3. 후드 개구면적을 가능한 넓혀서 개방형으로 설치한다.
  4. 후드를 오염물질 발생원에 최대한 근접시켜 필요 송풍량을 줄인다.
(정답률: 71%)
  • 후드를 오염물질 발생원에 최대한 근접시키면, 오염물질이 후드로 집중되어 배출되므로 필요한 송풍량을 줄일 수 있어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정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압은 속도압에서 전압을 뺀 값이다.
  2. 정압은 위치에너지에 속한다.
  3. 밀폐공간에서 전압이 50mmHg 이면 정압은 50mmHg 이다.
  4. 송풍기가 덕트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경우 정압은 음압이다.
(정답률: 60%)
  • "정압은 위치에너지에 속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압은 속도압에서 전압을 뺀 값으로, 기체나 액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치에너지는 물체가 위치한 곳에서 가지는 에너지를 말하며, 정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관 내경이 150mm 인 직관을 통하여 50m3/min 의 공기를 송풍할 때 관 내의 풍속은 약 몇m/s 인가?

  1. 47
  2. 53
  3. 68
  4. 83
(정답률: 36%)
  • 공기의 유속은 송풍량과 관의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속 = 송풍량 ÷ 단면적

    단면적은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인 πr2 (r: 반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지름이 75mm 인 원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π × 752 = 17,671.46 mm2

    이를 m2 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7,671.46 mm2 ÷ 1,0002 = 0.01767146 m2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다.

    유속 = 50 ÷ 0.01767146 ≈ 2826.24 m/min

    이를 m/s 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2826.24 ÷ 60 ≈ 47 m/s

    따라서, 정답은 "4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온도 5℃, 압력 700mmHg인 공기의 밀도보정계수는 약 얼마인가?

  1. 0.988
  2. 0.974
  3. 0.961
  4. 0.954
(정답률: 57%)
  • 공기의 밀도보정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ρ = (P/760) * (273.15/(273.15+T)) * k

    여기서, ρ는 보정된 공기의 밀도, P는 현재 공기의 압력, T는 현재 공기의 온도, k는 밀도보정계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ρ = (700/760) * (273.15/(273.15+5)) * k

    ρ = 0.974k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974"인 이유는 공기의 밀도보정계수 k가 1일 때, 보정된 공기의 밀도가 0.974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