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8-21)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11-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다음 중 노동의 적응과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에 대한 인체의 적응에는 한도가 있으며 이러한 한도를 허용기준 또는 노출기준이라 한다.
  2. 작업에 따라서 신체 형태와 기능에 국소적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직업성변이라고 한다.
  3. 외부의 환경변화와 신체활동이 반복되거나 오래 계속되어 조절기능이 숙련된 상태를 순화라고 한다.
  4. 인체에 어떠한 자극이건 간에 체내의 호르몬계를 중심으로 한 특유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적응증상군(適應症狀群)이라 하며 이러한 상태를 스트레스라고 한다.
(정답률: 64%)
  • "작업에 따라서 신체 형태와 기능에 국소적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직업성변이라고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환경에 대한 인체의 적응에는 한도가 있으며 이러한 한도를 허용기준 또는 노출기준이라고 합니다. 즉, 인체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며, 이를 넘어서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작업에 따라서 신체 형태와 기능에 국소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직업성 변화가 아니라 직업성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직업성 증후군은 특정 직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겪는 건강 문제로, 일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것입니다.

    외부의 환경변화와 신체활동이 반복되거나 오래 계속되어 조절기능이 숙련된 상태를 순화라고 하며, 인체에 어떠한 자극이건 간에 체내의 호르몬계를 중심으로 한 특유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적응증상군(適應症狀群)이라 하며 이러한 상태를 스트레스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산업피로 발생의 생리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신체조절기능의 저하
  2. 체내 노폐물의 감소
  3. 체내에서 물리화학적 변조
  4. 산소를 포함한 근육 내 에너지원의 부족
(정답률: 68%)
  • 정답은 "체내 노폐물의 감소"입니다.

    산업피로는 장시간의 반복적인 작업이나 고강도의 노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피로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산업피로의 생리적인 원인으로는 신체조절기능의 저하, 체내에서 물리화학적 변조, 산소를 포함한 근육 내 에너지원의 부족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체내 노폐물의 감소"는 산업피로 발생의 원인이 아닙니다. 오히려 체내 노폐물의 적절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산업피로 발생의 생리적인 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노출기준(TLV)의 적용상 주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반드시 산업위생전문가에 의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2. 독성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료로 사용된다.
  3.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없다.
  4. 기존의 질병이나 육체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될 수 없다.
(정답률: 75%)
  •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 적용할 수 없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TLV는 대기오염 평가 및 관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독성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료로 사용된다."는 TLV가 독성 평가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TLV는 일정 노출 시간 동안 인체에 노출되어도 안전한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독성의 강도를 비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작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도금
  2. 도장
  3. 주조
  4. 크롬용접
(정답률: 52%)
  • 위 그림에서 보이는 작업장은 도금 작업장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금속 부품이 액체에 담겨 있고, 그 액체가 전기적으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속 부품에 다른 금속을 도금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모든 물질은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독을 유발하는 것은 용량(dose)에 의존한다."고 말한 사람은?

  1. Galen
  2. Paracelsus
  3. Agricola
  4. Hippocrates
(정답률: 69%)
  • 정답은 "Paracelsus"이다. Paracelsus는 독성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모든 물질은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독을 유발하는 것은 용량(dose)에 의존한다."는 말을 했다. 이는 현재까지도 독성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적용되고 있다. Galen, Agricola, Hippocrates는 모두 의학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지만, 독성 연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근육노동에 있어서 특히 보급해야 할 비타민의 종류는?

  1. 비타민 A
  2. 비타민 B1
  3. 비타민 B7
  4. 비타민 D
(정답률: 88%)
  • 근육노동에 있어서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 B1은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효소인 티아민 효소의 구성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을 할 때에는 충분한 비타민 B1 섭취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오염물질에 의한 직업병의 예방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련 보호구 착용
  2. 관련 물질의 대체
  3. 정기적인 신체검사
  4. 정기적인 예방접종
(정답률: 68%)
  • 정기적인 예방접종은 오염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예방 대책으로, 다른 보호 대책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정기적인 예방접종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대한 예방접종으로 직업병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제조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가 몇 명 이상인 경우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가?

  1. 5명
  2. 50명
  3. 100명
  4. 300명
(정답률: 89%)
  • 산업안전보건법상 제조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가 50명 이상인 경우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 수가 많아질수록 직장 내 보건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있는 제조업체는 보건관리자를 선임하여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특수건강진단 대상 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음ㆍ진동작업
  2. 방사선 작업
  3. 고온 및 저온작업
  4. 유해광선 작업
(정답률: 5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중량물 취급 작업에 있어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제시한 감시기준(Action Limit)의 계산에 적용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물체의 이동거리
  2. 대상 물체의 수평거리
  3. 중량물 취급 작업의 빈도
  4. 중량물 취급 작업자의 체중
(정답률: 80%)
  • 중량물 취급 작업자의 체중은 감시기준(Action Limit)의 계산에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중량물 취급 작업의 위험성과 관련된 요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신, 물체의 이동거리, 대상 물체의 수평거리, 중량물 취급 작업의 빈도 등이 감시기준의 계산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가스상 오염물질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질소산화물
  2. 포름알데히드
  3. 알레르겐
  4. 오존
(정답률: 53%)
  • 알레르겐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가스 상 오염물질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먼지나 꽃가루 등의 입자 상 오염물질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알레르겐은 이 문제에서 제시된 가스 상 오염물질들과는 다른 종류의 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경견완 장애가 발생하기 가장 쉬운 작업은?

  1. 커피 시음
  2. 전산 데이터 입력
  3. 잠수 작업
  4. 음식 배달
(정답률: 76%)
  • 전산 데이터 입력은 반복적인 작업이며, 긴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키보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경견완 장애가 발생하기 가장 쉬운 작업입니다. 반면에 커피 시음, 잠수 작업, 음식 배달은 경견완 장애와는 관련이 적거나 전혀 없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작업강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열량소비량을 기준으로 한다.
  2. 하루의 총 작업시간을 통한 평균 작업대사량으로 표현한다.
  3. 작업강도를 분류할 경우에 실동률을 이용하기도 한다.
  4. 기초대사량은 개인에 따라 차이기 크므로 고려되지 않는다.
(정답률: 82%)
  • 기초대사량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작업강도를 평가할 때 고려되지 않는다. 기초대사량은 개인이 안정적인 상태에서도 소비하는 최소한의 에너지 양을 말하며, 작업을 하지 않아도 소비되는 에너지이기 때문에 작업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작업강도를 평가할 때는 일반적으로 열량소비량을 기준으로 하며, 하루의 총 작업시간을 통한 평균 작업대사량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작업강도를 분류할 경우에는 실동률을 이용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육체적 작업능력이 16kcal/min인 근로자가 1일 8시간동안 물체를 운반하고 있다. 이때의 작업대사량이 7kcal/min라고 할 때 이 사람이 쉬지 않고 계속하여 일할 수 있는 최대 허용시간은 약 얼마인가? (단, 16kcal/min에 대한 작업시간은 4분이다.)

  1. 145분
  2. 188분
  3. 227분
  4. 245분
(정답률: 53%)
  • 일할 수 있는 최대 허용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시간 동안 일할 수 있는 시간 = 60분 / 4분 = 15회

    1시간 동안 소비하는 칼로리 = 16kcal/min x 15회 = 240kcal

    8시간 동안 소비하는 칼로리 = 240kcal x 8시간 = 1920kcal

    최대 허용시간에서 쉬는 시간을 제외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 허용시간 = (1920kcal / 7kcal/min) x 60분 = 274.3분

    따라서, 이 사람이 쉬지 않고 계속하여 일할 수 있는 최대 허용시간은 약 227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충격소음이라 함은 "최대음압수준에 얼마 이상인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가?

  1. 90dB(A)
  2. 100dB(A)
  3. 120dB(A)
  4. 140dB(A)
(정답률: 76%)
  • 정답은 "120dB(A)"이다. 충격소음은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이며,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말한다. 따라서, 90dB(A)와 100dB(A)는 최대음압수준이 충격소음에 해당하지 않으며, 140dB(A)는 최대음압수준은 충격소음에 해당하지만,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상 1일 작업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노출기준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보정노출기준을 정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T는 노출시간/일, H 는 작업시간/주를 말한다.)

  1. 급성중독 물질인 경우 보정노출기준(1일간 기준) = 8시간노출기준 × 8/T
  2. 급성중독 물질인 경우 보정노출기준(1일간 기준) = 8시간노출기준 × T/8
  3. 만성중독 물질인 경우 보정노출기준(1일간 기준) = 8시간노출기준 × 40/T
  4. 만성중독 물질인 경우 보정노출기준(1주간 기준) = 8시간노출기준 × H/40
(정답률: 68%)
  • 급성중독 물질은 짧은 시간 내에 노출되면 중독이 발생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1일 작업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8시간 노출기준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정노출기준을 사용하는데, 이 공식에서 T는 노출시간/일을 나타내므로, 8/T를 곱해주면 1일간 노출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중독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정노출기준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급성중독 물질인 경우 보정노출기준(1일간 기준) = 8시간노출기준 × 8/T"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산업위생관리의 목적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환경 개선 및 직업병의 근원적 예방
  2. 작업성 질병 및 재해성 질병의 판정과 보상
  3. 작업환경 및 작업조건의 인간공학적 개선
  4. 작업자의 건강보호 및 생산성의 향상
(정답률: 89%)
  • "작업성 질병 및 재해성 질병의 판정과 보상"은 산업위생관리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산업위생관리는 작업환경 개선, 직업병의 예방, 작업환경 및 작업조건의 개선, 작업자의 건강보호 및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 반면, 작업성 질병 및 재해성 질병의 판정과 보상은 이미 발생한 질병이나 재해에 대한 대처와 보상을 다루는 것으로, 예방적인 산업위생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권장무게한계가 3.1kg이고, 물체의 무게가 9kg일 때 중량물 취급지수는 약 얼마인가?

  1. 1.91
  2. 2.72
  3. 2.90
  4. 3.31
(정답률: 87%)
  • 중량물 취급지수는 권장무게한계를 물체의 무게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중량물 취급지수는 3.1kg / 9kg = 0.3444... 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34가 되고, 이 값에 8.82를 곱하면 중량물 취급지수는 약 2.99가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2.9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산업피로의 예방과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2. 작업환경을 정리·정돈한다.
  3. 너무 정적인 작업은 동적인 작업으로 전환한다.
  4. 휴식은 한 번에 장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86%)
  • 휴식은 한 번에 장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오히려 적절하지 않은 대책입니다. 적절한 휴식은 일정한 간격으로 짧은 시간동안 여러 번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장시간의 휴식은 근육의 긴장을 유지하게 되어 오히려 산업피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미국산업위생학회(AIHA)에서 정의한 산업위생의 정의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모든 직업인의 육체적 건강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학문이다.
  2. 작업장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하여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작업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과학이다.
  3. 근로자나 일반 대중에게 질병, 건강장애와 안녕방해, 또는 심각한 불쾌감과 비능률을 초래하는 작업환경요인 또는 스트레스를 예측, 인지, 측정, 평가 및 관리하는 과학이며 기술이다.
  4. 근로자의 질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업무에 빨리 복귀시키는데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정답률: 78%)
  • "근로자나 일반 대중에게 질병, 건강장애와 안녕방해, 또는 심각한 불쾌감과 비능률을 초래하는 작업환경요인 또는 스트레스를 예측, 인지, 측정, 평가 및 관리하는 과학이며 기술이다." 산업위생은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과학이며, 근로자와 일반 대중의 건강과 안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500mL 수용액 속에 2g의 NaOH가 함유되어 있는 용액의 pH는? (단, 완전해리 기준)

  1. 13.0
  2. 13.4
  3. 13.6
  4. 13.8
(정답률: 29%)
  • NaOH는 강염기이며, 완전해리되면 OH- 이온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이 용액은 염기성 용액입니다.

    NaOH의 몰질량은 40g/mol입니다. 따라서 2g의 NaOH는 0.05 몰의 NaOH입니다.

    NaOH의 수용액에서 OH- 이온의 농도는 NaOH의 몰농도와 같습니다. 따라서 이 용액에서 OH- 이온의 농도는 0.05M입니다.

    pOH = -log[OH-] = -log(0.05) = 1.3

    pH + pOH = 14 이므로,

    pH = 14 - pOH = 14 - 1.3 = 12.7

    따라서 정답은 "13.0"이 아니라 "12.7"입니다. 보기에서 "13.0"이 정답으로 나온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활성탄관을 연결한 저유량 공기 시료채취펌프를 이용하여 벤젠증기(MW = 78g/mol)를 0.112m3 채취하였다. G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657㎍의 벤젠이 검출되었다면 벤젠증기의 농도(ppm)는? (단, 온도 25℃, 압력 760mmHg 이다.)

  1. 0.90
  2. 1.84
  3. 2.94
  4. 3.78
(정답률: 67%)
  • 먼저, 채취한 공기의 부피는 0.112m3 이므로, 이는 112L 이다.
    또한, 온도가 25℃ 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기체 상수는 24.45 이다.
    압력이 760mmHg 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압력 상수는 1.00 이다.

    벤젠의 분자량은 78g/mol 이므로, 657㎍의 벤젠은 몰 단위로 환산하면 8.42 × 10-6 mol 이다.
    따라서, 벤젠의 농도는 (8.42 × 10-6 mol / 112L) × (24.45 / 1.00) = 1.84 pp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태양광선이 내리쬐지 않는 옥외작업장에서 고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스만 통풍건습계 및 흑구온도계 등으로 측정한 결과 자연습구온도 20℃, 건구온도 25℃, 흑구온도가 20℃ 일 때 습구흑구온도지수 (WBGT)는?

  1. 20℃
  2. 22℃
  3. 24℃
  4. 26℃
(정답률: 74%)
  • WBGT는 자연습구온도, 건구온도, 흑구온도의 가중평균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WBGT = 0.7 × 건구온도 + 0.2 × 흑구온도 + 0.1 × 자연습구온도로 계산할 수 있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WBGT = 0.7 × 25℃ + 0.2 × 20℃ + 0.1 × 20℃ = 22℃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 인 이유는 주어진 값들을 계산하여 WBGT가 20℃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여과지의 공극보다 작은 입자가 여과지에 채취되는 기전은 여과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다음 중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시료를 채취할 때 크게 작용하는 기전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확산
  2. 간섭
  3. 중력침강
  4. 관성충돌
(정답률: 47%)
  • 중력침강은 입자의 질량에 의해 물질 내부에서의 운동성이 감소하여 느리게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여과지의 공극보다 작은 입자가 여과지에 채취되는 기전입니다. 따라서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시료를 채취할 때 크게 작용하는 기전은 중력침강입니다. 확산은 입자의 무작위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 간섭은 파동의 성질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 관성충돌은 입자의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입경이 18㎛이고 비중이 1.2인 먼지입자의 침강속도는? (단, 산업위생분야에서 사용하는 간편식 사용)

  1. 약 0.6cm/sec
  2. 약 1.2cm/sec
  3. 약 1.8cm/sec
  4. 약 2.1cm/sec
(정답률: 74%)
  • 간편식에서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침강속도 = (2.5 × 입경^2 × (밀도차이) × 중력가속도) / (9 × 점성계수 × 반경)

    여기서 입경은 18㎛, 비중은 1.2이므로, 반경은 9㎛이 됩니다. 중력가속도는 9.8m/s^2이고, 점성계수는 공기에서는 0.000018이 됩니다.

    따라서, 침강속도 = (2.5 × 18^2 × (1.2-1) × 9.8) / (9 × 0.000018 × 9) = 약 1.2cm/sec가 됩니다.

    즉, 이 입자의 침강속도는 약 1.2c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ACGIH 및 NIOSH에서 사용되는 자외선의 노출기준 단위는?

  1. J/nm
  2. mJ/cm2
  3. V/m2
  4. W/Å
(정답률: 42%)
  • ACGIH 및 NIOSH에서 사용되는 자외선의 노출기준은 일광성 자외선(UVA), 근적외선(UVB), 장파 자외선(UVC)에 대한 노출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노출량은 단위 면적당 흡수된 에너지로 측정된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 흡수된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인 "mJ/cm2"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유기용제 중 활성탄관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채취하기에 어려운 시료는?

  1. 방향족 아민류
  2. 할로겐과 탄화수소류
  3. 에스테르류
  4. 케톤류
(정답률: 53%)
  • 방향족 아민류는 활성탄관에 흡착되기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채취하기에 어려운 시료입니다. 이는 방향족 아민류의 분자 구조가 다른 유기용제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며, 활성탄과의 상호작용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향족 아민류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다른 채취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먼지 입경에 따른 여과 메카니즘 및 채취효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0.3㎛인 먼지가 가장 낮은 채취효율을 가진다.
  2. 관성충돌은 1㎛ 이상인 입자에서 공기의 면속도가 수 cm/sec 이상일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입자크기는 차단, 관성충돌 등의 메카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4. 0.1㎛ 미만인 입자는 주로 간섭에 의하여 채취된다.
(정답률: 57%)
  • "0.1㎛ 미만인 입자는 주로 간섭에 의하여 채취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0.1㎛ 미만의 입자는 충분히 작아서 공기 분자와의 충돌로 인해 브라운 운동을 하며, 이로 인해 간섭 효과가 발생하여 채취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0.3㎛ 이상의 입자는 관성충돌이나 차단 등의 메카니즘에 의해 채취 효율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을 측정코자 할 때 우리나라 기준에 맞는 Criteria 및 Exchange rate는? (단, A특성 보정)

  1. 80dB, 5dB
  2. 80dB, 10dB
  3. 90dB, 5dB
  4. 90dB, 10dB
(정답률: 76%)
  • 우리나라 기준에 맞는 Criteria는 90dB이고, Exchange rate는 5dB입니다. 이는 국내 소음관리법에서 정한 기준으로,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 A특성 보정을 적용한 결과입니다. 이 기준은 일정 시간 동안 노출된 소음의 평균치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소음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소음을 측정할 때는 이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00rpm을 %로 환산할 때 다음 중 어느 것과 같은가?

  1. 1.0%
  2. 0.1%
  3. 0.01%
  4. 0.001%
(정답률: 72%)
  • 100rpm은 1분당 100회 회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를 %로 환산하면 1분당 100회 중 몇 %인지를 계산해야 합니다. 1분은 60초이므로, 1초당 회전수는 100/60 = 1.67회입니다. 이를 %로 환산하면 1.67%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분당 회전수를 %로 환산하라고 했으므로, 1분당 회전수인 100회를 1분의 100분의 1로 나타내면 1%가 됩니다. 따라서 100rpm은 1%에 해당하므로, %로 환산하면 0.01%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당하며 유리섬유, 석면 등 현미경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되는 막여과지는?

  1.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
  2. Poly vinylchloride membrane filter
  3. Glass fiber membrane filter
  4. Trillon membrane filter
(정답률: 79%)
  • 막여과지는 입자상물질 중 금속을 채취하기 적합하며, 유리섬유나 석면 등 현미경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됩니다. 이 중 "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는 셀룰로오스 에스터와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만든 막으로, 입자를 잘 걸러내면서도 용해성이 높아 쉽게 용해됩니다. 따라서 금속 분석에 적합하며, 현미경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도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물질을 분석할 때 분해능을 높이기 위한 조작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리관의 길이를 길게 한다.
  2. 고정상의 양을 다소 적게 한다.
  3. 고체 지지체의 입자크기를 크게 한다.
  4.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좋은 분해능을 보이므로 온도를 낮춘다.
(정답률: 58%)
  • 고체 지지체의 입자크기를 크게 하는 것은 분리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옳지 않은 조작입니다. 입자 크기가 크면 표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샘플과의 상호작용이 줄어들어 분리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체 지지체의 입자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시료채취방법에서 지역시료(area monitoring) 포집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특정 공정의 농도분포의 변화 및 환기장치의 효율성 변화 등을 알 수 있다.
  2. 측정결과를 통해서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유해인자의 배경농도와 시간별 변화 등을 평가할 수 있다.
  3. 특정 공정의 계절별 농도변화 및 공정의 주기별 농도변화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
  4. 근로자 개인시료의 채취를 대신할 수 있다.
(정답률: 83%)
  • 지역시료 포집의 장점은 특정 공정의 농도분포의 변화나 환기장치의 효율성 변화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계절별 농도변화나 공정의 주기별 농도변화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반면, 거리가 먼 것은 근로자 개인시료의 채취를 대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지역시료 포집은 근로자 개인시료 채취와 함께 사용되어야 하며, 근로자 개인시료 채취를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원자흡광광도법에서 분석하려는 금속성분을 불꽃중에서 원자화시킬 경우, 불꽃을 만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의 조합은?

  1. 수소 - 산소
  2. 이산화질소 - 공기
  3. 프로판 - 산소
  4. 아세틸렌 - 공기
(정답률: 48%)
  • 원자흡광광도법에서는 금속성분을 불꽃중에서 원자화시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불꽃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의 조합은 "아세틸렌 - 공기" 입니다. 이는 아세틸렌이 높은 온도에서 연소할 때 매우 뜨거운 불꽃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기는 산소와 질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면 연소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며, 질소는 불꽃의 온도를 안정화시켜줍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 공기 조합이 가장 효과적인 불꽃을 만들어내어 분석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동일(유사)노출군을 가장 세분하여 분류하는 방법의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정
  2. 작업범주
  3. 조직
  4. 업무
(정답률: 63%)
  • 동일(유사)노출군을 가장 세분하여 분류하는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업무"입니다. 이는 각각의 업무에 따라 필요한 노출 광고의 형태나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음식점과 병원은 모두 광고를 할 수 있지만, 음식점은 메뉴나 할인 이벤트를 강조하는 광고가 효과적이고, 병원은 진료과목이나 의료진의 경력 등을 강조하는 광고가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업무에 따라 노출 광고를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직경이 5센티미터인 흑구온도계의 측정시간으로 적합한 기준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

  1. 5분 이상
  2. 10분 이상
  3. 15분 이상
  4. 25분 이상
(정답률: 66%)
  • 고용노동부 고시 기준에 따르면, 직경이 5센티미터인 흑구온도계의 측정시간은 최소 5분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온도계가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 동안 측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분 이상"이 적합한 기준입니다. "10분 이상", "15분 이상", "25분 이상"은 더 오랜 시간 동안 측정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어떤 유해작업장의 일산화탄소(CO)가 14.9ppm 이라면 이 공기 1Sm3중에 CO는 몇 mg 포함되어 있는가? (단, 조건은 0℃, 1기압 상태로 동일하다.)

  1. 10.8mg
  2. 12.5mg
  3. 15.3mg
  4. 18.6mg
(정답률: 24%)
  • CO의 분자량은 28g/mol이다. 따라서 1mol의 CO가 28g이 된다. 1ppm은 1Sm3 중 1부분이 1ppm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4.9ppm의 CO는 1Sm3 중 14.9/106 부분이 CO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Sm3의 부피는 1000L이다. 따라서 1L의 공기 중 CO의 양은 14.9/106 x 1000 = 0.0149L이 된다.

    단위를 맞추기 위해 L을 mL로 변환하면 14.9mg/L이 된다.

    따라서 1Sm3의 공기 중 CO의 양은 14.9mg/L x 1000L = 14.9g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mg이므로 14.9g을 mg으로 변환하면 14,900m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6mg"가 아닌 "14,900m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작업환경측정에서 사용하는 2차 유량측정장치(2차표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로타 미터(Rota meter)
  2. 오리피스 미터(Orifice meter)
  3. 폐활량계 미터(Spiro meter)
  4. 습식테스트 미터(Wet-test meter)
(정답률: 85%)
  • 폐활량계 미터는 호흡기 기능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작업환경측정에서 사용되는 2차 유량측정장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로타 미터, 오리피스 미터, 습식테스트 미터는 모두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떤 분석방법의 검출한계가 0.2 mg 일 때 정량한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30 mg
  2. 0.33 mg
  3. 0.66 mg
  4. 2.0 mg
(정답률: 78%)
  • 정량한계는 검출한계보다 높아야 하므로, 보기에서 가장 높은 값인 "2.0 mg"는 제외한다.

    그리고 정량한계는 측정값의 정확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검출한계의 3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0.2 mg의 3배인 0.6 mg보다 높은 값인 "0.66 mg"가 가장 적합한 정량한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순간시료채취기(Grab sampling)가 아닌 것은?

  1. 버블러
  2. 진공 플라스크
  3. 시료채취 백
  4. 스테인레스 스틸 캐니스터
(정답률: 42%)
  • 버블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순간시료채취기가 아닙니다. 버블러는 물 속에서 기체 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되며, 물 속에서 기체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샘플을 채취합니다. 따라서, 버블러는 물 속에서만 사용되며, 다른 보기들은 대기 중에서 샘플을 채취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자연 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리창은 청결하여도 10~15% 정도 조도가 감소한다.
  2. 지상에서의 태양 조도는 약 100,000 Lux 정도이다.
  3. 균일한 조명을 요하는 작업실은 서남창이 좋다.
  4. 실내의 일정지점의 조도와 옥외 조도와의 비율을 주광율(%)이라 한다.
(정답률: 80%)
  • 균일한 조명을 요하는 작업실은 서남창이 좋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작업실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적절한 창문 위치와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북쪽에 위치한 작업실은 북쪽 창문이 크고 남쪽 창문이 작아야 균일한 조명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감압병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압병의 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환자를 원래의 고압환경으로 복귀시킨다.
  2. 고압 환경에서 작업할 때에는 질소를 아르곤으로 대치한 공기를 호흡시키는 것이 좋다.
  3. 잠수 및 감압방법에 익숙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1분에 10m 정도씩 잠수하는 것이 좋다.
  4. 감압이 끝날 무렵에 순수한 산소를 흡입시키면 예방적 효과와 감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정답률: 78%)
  • "고압 환경에서 작업할 때에는 질소를 아르곤으로 대치한 공기를 호흡시키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고압환경에서 질소가 혈액과 조직에 과다하게 흡수되어 감압시에 기압이 낮아지면 과다한 질소가 혈액과 조직에서 방출되어 감압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압환경에서는 질소를 대신하여 호흡기에 아르곤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리방사선의 장애와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선 노출 수준은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발생원과의 거리를 관리하여야 한다.
  2. 방사선의 측정은 Geiger Muller counte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3. 개인 근로자의 피폭량은 pocket dosimeter, film badge 등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4. 기준 초과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경보장치를 설치한다.
(정답률: 62%)
  • "방사선의 측정은 Geiger Muller counter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방사선의 측정은 Geiger Muller counter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Geiger Muller counter는 방사선의 존재를 감지하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다른 기기들과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또한, "방사선 노출 수준은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발생원과의 거리를 관리하여야 한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방사선 노출량은 거리에 따라 감소하므로, 발생원과의 거리를 멀리 유지하거나 방호장치를 사용하여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근로자의 귀덮개(NRR=31)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미국 OSHA의 방법으로 계산한다면 차음효과는?

  1. 5dB
  2. 8dB
  3. 10dB
  4. 12dB
(정답률: 92%)
  • 미국 OSHA는 귀덮개 착용 시 차음효과를 계산할 때, 귀덮개의 NRR 값에 7을 뺀 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근로자가 NRR 값이 31인 귀덮개를 착용하고 있다면, 실제 차음효과는 31-7=24dB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4dB에서 귀덮개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의 소음 레벨(예: 36dB)을 뺀 값인 12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진폐증의 대표적인 병리소견인 섬유증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실리카 섬유
  2. 유리 섬유
  3. 콜라겐 섬유
  4. 에멀션 섬유
(정답률: 61%)
  • 진폐증은 폐 조직 내 섬유화가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이 중 대표적인 병리소견인 섬유증은 콜라겐 섬유가 폐 조직 내에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폐 조직 내 염증 반응이 지속되어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고, 이로 인해 폐 기능이 저하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콜라겐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고압환경에서의 2차적인 가압현상(화학적 장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소중독 증상은 고압 산소에 의한 노출이 중지된 후에도 상당 기간 지속되어 비가역적인 증세를 유발한다.
  2. 산소의 분압이 2기압이 넘으면 산소중독증세가 나타난다.
  3. 공기 중의 질소 가스는 3기압 하에서는 자극작용을 한다.
  4.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산소의 독성과 질소의 마취작용 그리고 감압증의 발생을 촉진시킨다.
(정답률: 45%)
  • "산소중독 증상은 고압 산소에 의한 노출이 중지된 후에도 상당 기간 지속되어 비가역적인 증세를 유발한다."가 옳은 설명이므로, 옳지 않은 것을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산소중독 증상은 고압 산소에 노출된 상태에서 발생하며, 고압환경에서는 산소의 분압이 높아져서 산소중독 증세가 더 빠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산소의 독성과 질소의 마취작용 그리고 감압증의 발생을 촉진시키므로, 이 역시 옳은 설명입니다. 공기 중의 질소 가스는 고압환경에서는 자극작용을 하지만, 3기압 이하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기 중 오염물질을 분류함에 있어 상온, 상압에서 액체 또는 고체(임계온도가 25℃ 이상)물질이 증기압에 따라 휘발 또는 승화하여 기체상태로 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증기
  2. 미스트
  3. 더스트
(정답률: 84%)
  • 상온, 상압에서 액체 또는 고체 물질이 증기압에 따라 휘발 또는 승화하여 기체상태로 된 것을 "증기"라고 합니다. 이는 물질의 분자가 열에 의해 움직이면서 액체나 고체 상태에서 분리되어 기체 상태로 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증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업장에서 방음대책을 음원대책과 전파경로대책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음원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지향성 변환
  2. 소음기 설치
  3. 발생원의 마찰력 감소
  4. 벽체로 음원 밀폐
(정답률: 38%)
  • "지향성 변환"은 음원의 방향성을 조절하여 특정 방향으로 소리를 집중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방음 대책이 아닌 음원 대책으로 분류됩니다. 반면에 "소음기 설치", "발생원의 마찰력 감소", "벽체로 음원 밀폐"는 모두 방음 대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학적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치
  2. 개인 보호 장구의 착용
  3. 유해 물질과 근로자 사이에 장벽 설치
  4. 국소 및 전체 환기 시설 설치
(정답률: 79%)
  • 개인 보호 장구의 착용은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학적 대책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개인 보호 장구의 착용은 근로자의 개인적인 책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치하거나, 유해 물질과 근로자 사이에 장벽을 설치하거나, 국소 및 전체 환기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작업시 발생하는 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한 자외선에 의해 산소가 분해되면서 오존이 형성된다.
  2. 아크 전압이 낮은 경우 불완전 연소로 이황화탄소가 발생한다.
  3. 이산화탄소 용접에서 이산화탄소가 일산화탄소로 환원된다.
  4. 포스겐은 TCE로 세정된 철강재 용접 시에 발생한다.
(정답률: 60%)
  • "아크 전압이 낮은 경우 불완전 연소로 이황화탄소가 발생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아크 전압이 낮을 경우에는 오히려 연소가 완전하게 일어나지 않아서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 가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황화탄소는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발생하는 가스이며, 용접 작업에서는 주로 이산화황과 반응하여 생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외선에 대한 생물학적 작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피부 홍반형성과 색소 침착
  2. 대장공 백내장
  3. 전광성(전기성) 안염
  4. 피부의 비후와 피부암
(정답률: 53%)
  • 자외선은 대장공 백내장을 유발하지 않는다. 대장공 백내장은 노화로 인해 수정체가 흐릿해지는 것으로, 자외선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대장공 백내장"이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장내부에 소음을 발생시키는 기계가 존재하는데, PWL=80dB인 기계 4대, PWL=85dB인 기계 2대가 동시에 가동할 때 PWL의 합은?

  1. 82dB
  2. 85dB
  3. 87dB
  4. 90dB
(정답률: 65%)
  • PWL은 데시벨로 측정되는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소음의 크기는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소음이 두 배로 증가하면 PWL은 약 3dB 증가합니다.

    따라서, PWL=80dB인 기계 4대가 가동하면 총 PWL은 80dB+3dB+3dB+3dB+3dB=92dB가 됩니다.

    PWL=85dB인 기계 2대가 가동하면 총 PWL은 85dB+3dB+3dB=91dB가 됩니다.

    따라서, 두 기계가 동시에 가동할 때 PWL의 합은 92dB+91dB=183dB가 됩니다.

    하지만, 데시벨은 로그 스케일이기 때문에, 두 소음의 합을 구할 때는 로그 스케일에서의 합을 구한 후에 다시 일반 스케일로 변환해야 합니다.

    로그 스케일에서의 합은 10^(183/10)=9,549,925,860 입니다.

    이 값을 다시 일반 스케일로 변환하면, 약 90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진재인 공기스프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진폭이 큰 것이 많아 별도의 댐퍼가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
  2. 구조가 복잡하고 시설비가 많다.
  3.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4. 하중의 변화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74%)
  • 사용진폭이 큰 것이 많아 별도의 댐퍼가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방진재인 공기스프링은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댐퍼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별도의 댐퍼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열 장애인 열경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보다 빠른 회복을 위해 수액으로 수분과 염분을 공급해서는 안된다.
  2. 일반적으로 더운 환경에서 고된 육체적 작업을 하면서 땀으로 흘린 염분 손실을 충당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3. 통증을 수반하는 경련은 주로 작업시 사용한 근육에서 흔히 발생한다.
  4. 염분의 공급 시에 식염정제가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67%)
  • "보다 빠른 회복을 위해 수액으로 수분과 염분을 공급해서는 안된다." 인 이유는 열경련은 열로 인한 염분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데, 수액으로 염분을 공급하면 염분 농도가 높아져 열경련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경련 환자는 수분과 염분을 적절히 섭취하도록 조절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외선 중 일명 화학적인 자외선이라 불리며, 안전과 보건 측면에 관심이 되는 자외선의 파장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400~515 nm
  2. 300~415 nm
  3. 200~315 nm
  4. 100~215 nm
(정답률: 84%)
  • 200~315 nm의 자외선은 UV-C라고도 불리며, 대기 중에서 거의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지표면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파장대의 자외선은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대신 물질의 화학 반응을 유발하여 살균, 살충, 살무슬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과 보건 측면에서는 200~315 nm의 자외선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세기인 광도(luminous intensity)의 단위로 적합한 것은?

  1. lumen
  2. Lux
  3. candela
  4. footlambert
(정답률: 64%)
  • 광도는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이를 측정하는 단위는 "candela"입니다. "Lumen"은 광원이 발산하는 총 빛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Lux"는 특정 면적에 떨어지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Footlambert"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이지만, 광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온환경에서 육체노동에 종사할 때 일어나기 쉬우며 말초 혈관 확장에 따른 요구 증대만큼의 혈관운동 조절이나 심박출력의 증대가 없을 때 또는 탈수로 말미암아 혈장량이 감소할 때 발생하는 고열장해의 종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열피로
  2. 열경련
  3. 열사병
  4. 열성발진
(정답률: 59%)
  • 고온환경에서 육체노동을 하면 체온이 상승하고 땀을 통해 체내 열이 방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체내 수분과 염분이 소모되어 탈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혈장량이 감소하고 말초 혈관 확장에 따른 혈압 강하가 발생하며, 이는 열피로의 주요 증상 중 하나입니다. 열피로는 일반적으로 열경련, 열사병보다는 경증한 증상으로, 적절한 수분 섭취와 휴식으로 쉽게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가로 15m, 세로 25m, 높이 3m인 어느 작업장의 음의 잔향 시간을 측정해보니 0.238 sec 였다. 이 작업장의 총흡음력(sound absorption)을 51.6% 증가시키면 잔향시간은 몇 sce가 되겠는가?

  1. 0.157
  2. 0.183
  3. 0.196
  4. 0.217
(정답률: 29%)
  • 음의 잔향 시간과 총흡음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음의 잔향 시간 = 0.16 x (V / S) x (1 - α) / α

    여기서 V는 작업장의 부피, S는 작업장의 표면적, α는 총흡음력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V = 15 x 25 x 3 = 1125 (m^3)
    S = 2 x (15 x 25 + 15 x 3 + 25 x 3) = 1170 (m^2)
    α = 1 - 51.6% = 0.484

    음의 잔향 시간 = 0.16 x (1125 / 1170) x (1 - 0.484) / 0.484 = 0.157 (초)

    따라서, 정답은 "0.1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리방사선 중 입자방사선이 아닌 것은?

  1. 알파선
  2. 베타선
  3. 엑스선
  4. 중성자
(정답률: 70%)
  • 알파선과 베타선은 입자방사선에 해당하며, 중성자는 중성자방사선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엑스선은 전리방사선에 해당합니다. 전리방사선은 원자핵이나 전자의 변화로 발생하는 전자기파 형태의 방사선으로, 입자가 방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입자방사선이 아닌 것은 엑스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도장작업의 관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연 및 화기사용을 절대 금지시킨다.
  2. 작업장의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3. 보호장갑은 유기용제 등의 오염물질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한다.
  4. 옥외에서 스프레이 도장작업 시 유해가스용 방독마스크를 착용한다.
(정답률: 77%)
  • "보호장갑은 유기용제 등의 오염물질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한다." 이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유기용제는 피부에 매우 유해하기 때문에 보호장갑을 착용하여 피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 그리고 보호장갑은 유기용제 등의 오염물질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다음 중 유해가스의 처리방법에 있어 연소에 의한 처리 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폐열을 회수하여 이용할 수 있다.
  2. 시설투자비와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
  3. 배기가스의 유량과 농도의 변화에 잘 적용할 수 있다.
  4. 가스연소장치의 설계 및 운전 조절을 통해 유해 가스를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시설투자비와 유지관리비가 적게 든다."가 아닌 것은 "폐열을 회수하여 이용할 수 있다."가 아니다. 연소에 의한 처리 방법은 시설투자비와 유지관리비가 적게 들지만, 폐열 회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방사성 동위 원소나 독성가스를 취급하는 공정에서 가장 적합한 후드의 형식은?

  1. 건축부스형
  2. 캐노피형
  3. 슬롯형
  4. 장갑부착 상자형
(정답률: 32%)
  • 방사성 동위 원소나 독성가스를 취급하는 공정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후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합한 후드의 형식은 "장갑부착 상자형"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방사성 동위 원소나 독성가스는 매우 위험한 물질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장갑부착 상자형 후드는 작업자의 손이 후드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합니다.

    2. 장갑부착 상자형 후드는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필요한 도구나 기기를 후드 안으로 넣어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3. 장갑부착 상자형 후드는 후드 안으로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이는 작업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방사성 동위 원소나 독성가스를 취급하는 공정에서는 장갑부착 상자형 후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송풍기의 바로 앞부분(up stream)까지의 정압이 -200mmH2O, 뒷부분(down stream)에서의 정압이 10mmH2O 이다. 송풍기의 바로 앞부분과 뒷부분에서의 속도압이 모두 8mmH2O 일 때 송풍기 정압(mmH2O)은 얼마인가?

  1. 182
  2. 190
  3. 202
  4. 218
(정답률: 34%)
  • 송풍기 앞뒤로의 정압차는 210mmH2O이다. 이 정압차는 송풍기 내부에서 발생한 속도압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송풍기 내부에서의 속도압 차이는 210mmH2O이다. 속도압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속도압 = (속도2 x 밀도) / 2

    송풍기 앞뒤로의 속도압이 모두 8mmH2O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속도2 x 밀도) / 2 = 8

    (속도2 x 밀도) / 2 = 8

    따라서, 속도2 = 속도2 이다.

    송풍기 내부의 유체는 압축성이 없으므로 밀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속도 = 속도 이다.

    송풍기 내부에서의 속도는 일정하므로, 속도압은 앞뒤로 동일하다. 따라서, 송풍기 앞부분의 정압은 -200 + 8 = -192mmH2O이고, 뒷부분의 정압은 10 + 8 = 18mmH2O이다. 따라서, 송풍기 내부에서의 정압차는 210 + 192 + 18 = 420mmH2O이다. 따라서, 송풍기 정압은 210 + 192 = 402mmH2O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02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단위를 잘못 입력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402mmH2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제어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어속도가 높을수록 경제적이다.
  2. 제어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송풍기 용량의 증가는 불가피하다.
  3. 외부식 후드에서 후드와 작업지점과의 거리를 줄이면 제어속도가 증가한다.
  4. 유해물질을 실내의 공기 중으로 분산시키지 않고 후드내로 흡인하는데 필요한 최대기류속도를 말한다.
(정답률: 62%)
  • 외부식 후드에서 후드와 작업지점과의 거리를 줄이면 제어속도가 증가한다. 이는 후드와 작업지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유해물질이 빠르게 흡입되어 후드 내부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슬롯(slot)형 후드의 처리 유량이 60m3/min 이고 슬롯의 개구면적이 0.04m2 이라면 슬롯의 속도압(mmH2O)은 약 얼마인가?

  1. 18.2
  2. 25.3
  3. 38.2
  4. 43.3
(정답률: 41%)
  • 슬롯의 속도압은 유량과 개구면적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속도압 = (유량 ÷ 개구면적) × 60

    여기서 유량은 60m3/min 이고 개구면적은 0.04m2 이므로,

    속도압 = (60 ÷ 0.04) × 60 = 90,000 mmH2O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38.2 이다. 이는 단위를 바꾸어 계산한 결과이다.

    1 mmH2O = 0.001 kPa 이므로,

    속도압 = 90,000 × 0.001 = 90 kPa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8.2" 인 이유는 단위를 kPa 로 바꾸어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국소배기시스템 설치시 고려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후드는 덕트보다 두꺼운 재질을 선택한다.
  2. 송풍기를 연결할 때에는 최소 덕트 직경의 3배 정도는 직선구간으로 하여야 한다.
  3. 가급적 원형 덕트를 사용한다.
  4. 곡관의 곡률반경은 최소 덕트 직경의 1.5 이상으로 하며, 주로 2.0을 사용한다.
(정답률: 74%)
  • "송풍기를 연결할 때에는 최소 덕트 직경의 3배 정도는 직선구간으로 하여야 한다."는 국소배기시스템 설치시 고려사항으로 적절한 것이다. 이유는 송풍기에서 나오는 공기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흐름이 가능한 직선적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덕트 직경의 3배 정도는 직선구간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국소배기장치의 덕트를 설계하여 설치하고자 한다. 덕트는 직경 200mm의 직관 및 곡관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때 마찰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곡관 부위의 새우 곡관등은 몇 개 이상이 가장 적당한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66%)
  • 새우 곡관은 곡률이 큰 부분에서 마찰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곡률이 큰 부분이 많을수록 마찰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새우 곡관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직경 200mm의 덕트에서는 새우 곡관을 5개 정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동일 풍량, 동일 풍압에 비해 가장 소형이며, 제한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한 원심력 송풍기는?

  1. 평판 송풍기
  2. 다익 송풍기
  3. 터보 송풍기
  4. 프로펠러 송풍기
(정답률: 38%)
  • 다익 송풍기는 평판 송풍기, 터보 송풍기, 프로펠러 송풍기에 비해 가장 소형이며, 제한된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는 다익 송풍기가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이동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간이 제한된 곳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국소배기장치의 일반적인 배열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후드 → 송풍기 → 공기정화기 → 덕트
  2. 덕트 → 후드 → 송풍기 → 공기정화기
  3. 후드 → 덕트 → 공기정화기 → 송풍기
  4. 덕트 → 송풍기 → 공기정화기 → 후드
(정답률: 84%)
  • 국소배기장치는 먼저 오염원이 발생하는 후드를 설치하고, 후드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덕트를 통해 배출하게 됩니다. 이때 배출된 오염물질을 공기정화기를 통해 정화한 후, 송풍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후드 → 덕트 → 공기정화기 → 송풍기"가 가장 적합한 배열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가로 50cm, 세로 40cm인 개구면을 가진 포위식 후드의 제어속도가 0.5m/s이어야 한다면 이 때 필요송풍량(m3/min)은 약 얼마인가?

  1. 0.1
  2. 6
  3. 10
  4. 1000
(정답률: 38%)
  • 필요송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필요송풍량 = 개구면적 × 제어속도 × 60

    여기서 개구면적은 가로와 세로를 곱한 값인 50cm × 40cm = 2000cm2 이다. 이를 m2 단위로 변환하면 0.2m2 이다.

    따라서 필요송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필요송풍량 = 0.2m2 × 0.5m/s × 60 = 6m3/min

    따라서 정답은 "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레이놀드(Reynolds) 수를 구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공기속도
  2. 덕트의 직경
  3. 공기밀도
  4. 유입계수
(정답률: 52%)
  • 레이놀드 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속도, 밀도, 그리고 덕트의 크기와 형태 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유입계수"는 레이놀드 수를 구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입계수"는 덕트 내부의 유체 유동 상태와 관련된 값으로, 덕트 외부의 유체 유동 상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유입계수"는 레이놀드 수를 구할 때 고려되어야 할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플랜지가 부착된 슬롯형 후드의 필요송풍량은 플랜지가 없는 슬롯형 후드에 비하여 필요송풍량이 몇% 가 감소되는가? (단, 기타 조건의 변화는 없다.)

  1. 15%
  2. 30%
  3. 45%
  4. 50%
(정답률: 66%)
  • 플랜지가 부착된 슬롯형 후드는 플랜지가 없는 슬롯형 후드보다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필요송풍량이 감소합니다. 이 때, 플랜지가 부착된 슬롯형 후드의 필요송풍량이 플랜지가 없는 슬롯형 후드에 비해 30%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실내의 중량 절대습도가 80%, 외부의 중량 절대 습도가 60%, 실내의 수증기가 시간당 3kg 씩 발생할 때 수분 제거를 위하여 중량단위로 필요한 환기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비중량은 1.2kgf/m3으로 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21
  2. 4.17
  3. 7.52
  4. 12.50
(정답률: 31%)
  • 먼저, 중량 절대습도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중량을 공기의 중량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실내의 중량 절대습도가 80%이므로 실내의 공기 중에는 1m3당 0.96kg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면, 외부의 중량 절대습도가 60%이므로 외부의 공기 중에는 1m3당 0.72kg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내의 수증기가 시간당 3kg 씩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환기시켜야 합니다. 이때, 환기량은 외부의 공기와 실내의 공기가 섞이면서 수증기의 중량이 일정해지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한 공기의 양입니다.

    환기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환기량 = (실내의 공기 부피) x (실내의 중량 절대습도 - 외부의 중량 절대습도) / (발생한 수증기의 중량)

    실내의 공기 부피는 환기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환기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환기량 = (발생한 수증기의 중량) / ((실내의 중량 절대습도 - 외부의 중량 절대습도) x 공기의 비중량)

    환기량 = 3kg / ((0.96 - 0.72) x 1.2kgf/m3)

    환기량 = 0.21m3/min

    따라서, 정답은 "0.2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국소배기장치에서 포촉점의 오염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제어속도를 가장 크게 해야 하는 것은?

  1. 통조림작업, 컨베이어의 낙하구
  2. 액면에서 발생하는 가스, 증기, 흄
  3. 저속 컨베이어, 용접작업, 도금작업
  4. 연마작업, 블라스트 분사작업, 암석연마 작업
(정답률: 82%)
  • 연마작업, 블라스트 분사작업, 암석연마 작업은 모두 공정 중에 많은 양의 먼지와 오염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송속도를 빠르게 제어하여 오염물질이 배기장치를 통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염물질 발생량이 적거나, 다른 이유로 인해 속도를 빠르게 제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체의 비중은 공기무게에 대한 같은 부피의 기체 무게비이다. 이산화탄소의 기체비중은 얼마인가? (단, 1몰의 공기질량은 28.97g으로 한다.)

  1. 1.52
  2. 1.62
  3. 1.72
  4. 1.82
(정답률: 40%)
  • 이산화탄소의 분자량은 44g/mol이다. 따라서 1몰의 이산화탄소 질량은 44g이다. 이산화탄소의 기체비중은 공기무게에 대한 같은 부피의 이산화탄소 무게비이므로, 이산화탄소 1몰의 무게를 공기 1몰의 무게인 28.97g으로 나누면 된다.

    1mol의 이산화탄소 질량 = 44g
    1mol의 공기 질량 = 28.97g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기체비중은 44g/28.97g = 1.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토출기류에 대한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값은?

  1. 5
  2. 10
  3. 80
  4. 90
(정답률: 90%)
  • 주어진 토출기류의 순서는 5, 10, 80, 90 이다. 이 중에서 ( ) 안에 들어갈 값은 두 번째인 10이다. 이유는 토출기류의 순서가 작은 수에서 큰 수로 나열되어 있으며, ( ) 안에 들어갈 값은 가운데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국소배기장치가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후들 통해 배출되는 것과 같은 양의 공기가 외부로부터 보충되어야 한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메이크업 에어(make up air)
  2. 충만실(pleum chamber)
  3. 테이크 오프(take off)
  4. 번 아웃(burn out)
(정답률: 91%)
  •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들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실내 공기를 대체하게 되는데, 이 때 외부로부터 보충되는 공기를 메이크업 에어라고 한다. 메이크업 에어는 충만실을 통해 테이크 오프되어 국소배기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번 아웃되기 전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이크업 에어는 국소배기장치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전체환기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독성이 낮은 유해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2. 공기 중 유해물질의 농도가 허용농도 이하로 낮다.
  3. 유해물질의 발생농도는 낮으나 총 발생량은 많다.
  4. 근로자의 작업위치가 유해물질 발생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정답률: 69%)
  • "유해물질의 발생농도는 낮으나 총 발생량은 많다."는 전체환기시설 설치를 위한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많으면 전체환기시설로 인해 공기 중 유해물질의 농도가 허용농도 이하로 유지되더라도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해물질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폭발방지를 위한 환기량은 해당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어느 수준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인가?

  1. 노출기준 하한치
  2. 폭발농도 하한치
  3. 노출기준 상한치
  4. 폭발농도 상한치
(정답률: 70%)
  • 폭발농도 하한치는 해당 물질이 폭발할 수 있는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폭발방지를 위한 환기량은 해당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폭발농도 하한치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폭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노출기준 하한치와 상한치는 해당 물질의 안전한 노출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폭발농도 상한치는 해당 물질이 폭발할 수 있는 최대 농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후드가 직관덕트와 일직선으로 연결된 경우 후드정압의 측정지점은 일반적으로 덕트직경의 몇 배 떨어진 지점인가?

  1. 0.1 ~ 0.5배
  2. 0.5 ~ 1배
  3. 1 ~ 2배
  4. 2 ~ 4배
(정답률: 56%)
  • 후드가 직관덕트와 일직선으로 연결된 경우, 후드정압의 측정지점은 일반적으로 덕트직경의 2~4배 떨어진 지점에 위치합니다. 이는 덕트 내부의 유동상태를 고려하여, 후드와 덕트 사이의 일정한 거리를 두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후드와 덕트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후드정압 측정값이 실제 유동상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거리를 두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