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다음 중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휴식 중일 때의 산소소비량(oxygen uptake)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 우리나라 노출기준에서 충격소음의 1일 노출 횟수가 1,000회에 해당하는 충격소음의 강도는 얼마인가?
3. 400명의 근로자가 1일 8시간, 연간 300일을 근무하는 사업장이 있다. 1년 동안 3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면 도수율은 얼마인가?
4. 유기용제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에서 유기용제와 소변 중 대사산물의 짝이 잘못 이루어진 것은?
5. 다음 중 산업위생의 활동에서 처음으로 요구되는 활동은?
6. 다음 중 주관적 피로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 다음 중 ACGIH TLV의 적용상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의 직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 다음 중 작업의 종류에 따른 영양관리방안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0. 다음 중 작업에 소모된 열량이 4,500kcal, 안정 시 열량이 1,000kcal, 기초대사량이 1,500kcal일 때 실동률은 약 얼마인가? (단, 사이또와 오시마의 경험식을 적용한다.)
11. 다음 중 자동차 배터리 공장에서 공기 중 납과 황산이 동시에 발생하여 근로자 제내로 유입될 경우 어떠한 상호작용이 발생하는가?
12. 젊은 근로자의 약한 손 힘의 평균은 45kp이고, 작업강도(%MS)가 11.1%일 때 적정작업 시간은? (단, 적정작업시간(초)=671,120×%MS-2.2222식을 적용한다.)
13. 다음 중 개인차원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4. 다음 중 “작업환경측정 및 지정측정기관 평가등에 관한 고시”에서 농도를 mg/m3으로 표시 할 수 없는 것은?
15. 다음 중 어깨, 팔목, 손목, 목 등 상자(upper limb)의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하체보다는 상체의 작업부하가 많이 부과되는 작업의 작업자세에 대한 근육부하를 평가하는 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6. 다음 중 중량물 들기 작업의 구분동작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7. 다음 중 산업피로의 증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8. 다음 중 건강진단 결과 건강관리구분 “D1"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9. 현재 우리나라에서 산업위생과 관련 있는 정부부처 및 단체, 연구소 등 관련기관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20. 다음 중 직업성 지환의 발생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아세톤 2,000ppb는 몇 mg/m3인가? (단, 아세톤 분자량 : 58, 작업장 : 25℃, 1기압)
22. 작업환경 공기 중의 헴타논(TLV=50ppm)이 30ppm이고, 트리클로로엔틸렌 (TLV=50ppm)이 10ppm이며, 테트라클로로엔틸렌(TLV=50ppm)이 25ppm이다. 이러한 공기의 복합 노출지수는? (단, 각물질은 상기작용을 일으킨다.)
23. 0.01%(v/v)은 몇 ppb인가?
24. 다음 중 1차 표준으로 사용되는 기구는?
25. 흡착제인 활성탄의 제한점으로 틀린 것은?
26. 검지관 사용 시 단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27. 석면의 측정방법 중 X선 회절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8. 소음의 음압수준(SPL)의 산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P:대상음의 음압, P0:기준음압)
29. 변이계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0℃, 1atm에서 H21.0m3는 273℃, 700mmHg상태에서 몇 m3인가?
31. 개인시료포집기를 사용하여 분당 1L로 6시간 측정한 후 여지를 산 처리하여 시험용액 100mL로 만든 후 시료액 5mL를 취해 정량분석하니 Pb이 2.5μ/5mL이었다면 작업환경 중 Pb의 농도(mg/m3)는?
32. 산과 염기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33. 가스상 물질의 시료포집에 사용된 활성탄관의 탈착에 주로 사용하는 탈착용맥는? (단, 비극성 물질 기준)
34. 입자의 비중이 1.5이고, 직경이 10㎛인 분진의 침강속도(cm/sec)는?
35. 중심주파수가 500Hz일 때 1/1 옥타브밴드의 주파수범위로 옳은 것은? (단, 하한주파수~상한주파수)
36. 어떤 작업장에서 톨루엔을 활성탄관을 이용하여 0.2L/min으로 30분 동안 시료를 포집하여 분석한 결과 활성탄관의 앞 층에서 1.2mg, 뒤 층에서 0.1mg씩 검출되었다. 탈착효율이 100%라고 할 때 공기 중 농도는? (단, 파과, 공시료는 고려하지 않음)
37. 유량, 측정시간, 회수율 및 분석 등에 의한 오차가 각각 15, 3, 9 및 5%일 때 누적오차(%)는?
38. ACGIH에서는 입자상 물질을 흡입성, 흉곽성, 호흡성으로 제시하고 있다. 호흡성 입자상 물질의 평균입경(폐포침착률 50%)은?
39. 직접포집방법에 사용되는 시료채취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0. 고유량 공기채취펌프를 수동 무마찰 거품관으로 보정하였다. 비눈방울이 300cm3의 부피까지 통과하는 데 12.5초가 걸렸다면 유량(L/min)은?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저온에 의해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2. 작업환경관리대책 중 대치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43. 전신진동에서 공명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고유진동수(Hz)가 가장 낮은 인체부위는?
44. 작업환경 중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대한 방진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다음 중 분진발생방지대책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45. 고압환경의 영향은 1차 가압현상과 2차 가압현상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2차 가압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6. 방진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7. 주물사업장 내 용해공정에서 습구흑구온도를 측정한 결과 자연습구온도 40℃, 흑구온도 42℃, 건구온도 41℃로 확인되었다면 습구온도지수(WBGT)는?
48. 빛의 양의 단위인 루멘(lume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정확한 것은?
49. 피조사체 1g에 대하여 100erg의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을 나타내는 흡수선량 단위는?
50. 방진재인 공기 스프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1. 한랭에 의한 건강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2. 음압도(SPL : Suond Pressure Level)가 80dB인 소음과 음압도가 40dB인 소음과의 음압(sound pressure)차이는 몇 배인가?
53. 작업장의 근로자가 NRR이 15인 귀마개를 착용하고 있다면 차음효과(dB)는?
54. 레이저광선에 의해 주로 장애를 받는 신체분위는?
55. 전리작용의 유무에 따라 전리방사선과 비전리방사선으로 분류가 된다. 다음 중 전리방사선에 해당하는 것은?
56. 적외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7. 음압이 2N/m2일 때 음압수준(dB)은?
58. 소음관리대책 중 소음발생원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9. 판단력 저하, 두통, 귀울림, 매스꺼움, 기억상실, 전신탈진, 체온상승, 안면 창백등의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산소결핍 작업장 산소농도로 적절한 것은?
60. 자외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과목: 산업환기
61. 다음 중 중력집진장치에서 집진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62. 다음 중 덕트 내의 공기흐름 및 속도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63. 1,830m 고도에서의 압력이 608mmHg일 때 공기밀도는 약 몇 kg/m3인가? (단, 1기압, 21℃일 때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64. 환기시스템에서 공기유량이 0.2m3/s, 덕트직경이 9.0cm, 후드 유입손실계수가 0.40일 떄 후드정압(mmH2O)은 약 얼마인가?
65. 덕트의 장변이 40cm, 단변이 25cm인 장방형 덕트의 상당직경(cm)은 약 얼마인가?
66. 다음 중 송풍기로 공기를 불어줄 때 공기속도가 덕트 직경의 몇 배 정도 거리에서 1/10로 감소하는가?
67. 다음 중 국소배기장치를 유지ㆍ관리하기 위한 피루 측정기와 관련이 없는 것은?
68. 다음 중 송풍기의 회전수를 2배 증가시키면 동력은 몇 배로 증가하는가?
69. 다음 중 환기장치에서의 압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0. A강의실에 학생들이 모두 퇴실한 직후인 오후 5시에 측정한 공기 중 CO2 농도는 1,200ppm이었고, 강의실 빈 상태로 2시간이 경과한 오후 7시에 측정한 CO2농도는 400ppm이었다면 강의실의 시간당 공기교환 횟수는 얼마인가? (단, 이때 외부공기 중의 CO2농도는 330ppm이었다.)
71. 다음 중 후드에서 포위식이 외부식에 비하여 효과적인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72. 다음 중 전체환기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곳은?
73. 관의 내경이 200mm인 직관에50m3/min의 공기를 송풍할 때 관내 기류의 평균유속(m/s)은 약 얼마인가?
74. 21℃, 1기압에서 어떤 유기용제가 시간당 1L씩 증발하고 있다. 이 물질의 분자량이 78이고, 비중이 0.881이며, 허용기준이 100pp일 떄 전체환기 시 필요한 환기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안전계수는 4로 한다.)
75. 1기압에서 직경 20cm인 덕트에 동점성계수 2×10-4m2/s인 기체가 10m/s로 흐를 때 레이놀즈수는 약 얼마인가?
76. 다음 그림과 같이 국소배기장치에서 공기정화기가 막혔을 경우 정압의 절대값은 이전에 측정했을 때에 비해 어떻게 변하는가?
77. 다음 중 오염공기를 후드로 흡인하는 데 필요한 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78. 다음 중 후드의 성능불량 원인이 아닌 경우는?
79. 공중에 매달린 직사각형 외부식 후드의 개구면적이 4m2이고, 발생원의 포착속도가 0.3m/s이다. 발생원은 후드 개구면으로부터 2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이때 필요환기량(m2/min)은 약 얼마인가?
80. 다음 중 송풍기의 정압효율이 좋은 것부터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