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8-22)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2020-08-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 개론

1. 산업위생활동 범위인 예측, 인식, 평가, 관리 중 인식(recogni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황이 존재(설치)하는 상태에서 유해인자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2. 현장조사로 정량적인 유해인자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료의 채취와 분석이다.
  3. 인식단계에서의 이러한 활동들은 사업장의 특성, 근로자의 작업특성, 유해인자의 특성에 근거한다.
  4. 건강에 장해를 줄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간공학적 유해인자 목록을 작성하고, 작업내용을 검토하고, 설치된 각종 대책과 관련된 조치들을 조사하는 활동이다.
(정답률: 55%)
  • "현장조사로 정량적인 유해인자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료의 채취와 분석이다."는 인식(recognition)이 아닌 평가(evaluation)에 해당한다. 인식은 상황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해인자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NIOSH의 중량물 취급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작업상황이 아닌 것은?

  1. 작업장 내의 온도가 적절해야 한다.
  2. 물체를 잡을 때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3. 빠른 속도로 두 손으로 들어 올리는 작업이라야 한다.
  4. 물체의 폭이 75cm이하로서 두 손을 적당히 벌리고 작업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5%)
  • 빠른 속도로 두 손으로 들어 올리는 작업은 중량물 취급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작업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이유는 빠른 속도로 작업을 하면 중량물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중량물 취급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작업상황은 무거운 물체를 느리게, 안정적으로,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들어올리는 작업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작업환경개선의 방법으로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작업환경의 설계가 이루어질 때, 다음 중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1. 조절가능 여부
  2. 최대치의 적용 여부
  3. 최소치의 적용 여부
  4. 평균치의 적용 여부
(정답률: 71%)
  •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작업환경의 설계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조절가능 여부입니다. 이는 작업자들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작업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의미합니다. 작업환경이 조절 가능하다면 작업자들의 신체적 특성에 맞게 최적화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인체측정치를 이용한 작업환경의 설계에서는 작업환경의 조절 가능 여부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작업대사율(RMR)이 10인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계속작업 한계시간은 약 몇 분인가?

  1. 0.5분
  2. 1.5분
  3. 3.0분
  4. 4.5분
(정답률: 39%)
  • 작업대사율(RMR)이 10이라는 것은 근로자가 1분 동안 10칼로리를 소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작업을 계속하면서 근로자의 체내 에너지가 고갈되어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계속작업 한계시간이라고 합니다. 계속작업 한계시간은 근로자의 체질, 작업환경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작업대사율(RMR)이 10인 경우 계속작업 한계시간은 약 3.0분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피로의 종류 중 다음날까지 피로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것은?

  1. 과로
  2. 전신피로
  3. 피로
  4. 국소피로
(정답률: 74%)
  • 정답: "과로"

    과로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지나치게 일하거나 활동한 결과로 발생하는 피로로, 휴식을 취해도 다음날까지 피로상태가 계속 유지됩니다. 이는 심각한 경우에는 만성피로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접착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피부나 호흡기에 자극을 주어 새집증후군의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은?

  1. 라돈
  2. 이산화질소
  3. 오존
  4. 포름알데히드
(정답률: 72%)
  • 실내공기 중 오염물질로 포름알데히드가 지목되는 이유는 접착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피부나 호흡기에 자극을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새집증후군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근로자가 휴식 중일 때의 산소소비량(oxygenuptake)이 약0.25L/min일 경우 운동 중일 때의 산소소비량은 약 얼마까지 증가하는가? (단, 일반적인 성인 남성의 경우이며, 산소 공급이 충분하다고 가정한다.)

  1. 2.0L/min
  2. 5.0L/min
  3. 9.5L/min
  4. 15.0L/min
(정답률: 70%)
  • 운동 중에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산소가 더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산소소비량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중간강도의 유산소 운동 시 성인 남성의 산소소비량은 3.5~5.0L/min 정도이다. 따라서 근로자의 휴식 중 산소소비량이 0.25L/min이라면, 운동 중에는 약 5.0L/min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진단기관이 건강진단을 실시하였을 때에는 그 결과를 고용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건강진단개인표에 기록하고, 건강진단을 실시한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근로자에게 송부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45일
  4. 60일
(정답률: 74%)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진단기관이 건강진단을 실시하면 그 결과를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건강진단개인표에 기록하고, 근로자에게는 건강진단을 실시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송부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 중 오염물질 관리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것은?

  1. 이산화황
  2. 총부유세균
  3. 일산화탄소
  4. 이산화탄소
(정답률: 61%)
  • 이산화황은 사무실 내부의 공기 중 오염물질로서 설정된 관리기준이 없습니다. 이유는 이산화황이 사무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입니다.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는 모두 사무실 내부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오염물질로서, 이에 대한 관리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하는 데 가장 적합한 환경을 지적환경(optimum working environment)이라고 한다. 이러한 지적환경을 평가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신체적(physical) 방법
  2. 생산적(productive) 방법
  3. 생리적(physiological) 방법
  4. 정신적(psychological) 방법
(정답률: 38%)
  • 신체적 방법은 주로 환경의 물리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온도, 습도, 조명 등과 같은 요소를 측정하여 일하는 데 적합한 환경인지를 판단한다. 반면에 생산적 방법은 일의 생산성과 관련된 요소를 평가하며, 생리적 방법은 일하는 사람의 생리적인 상태를 고려하여 평가하고, 정신적 방법은 일하는 사람의 정신적인 상태를 고려하여 평가한다. 따라서, 신체적 방법은 환경의 물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다른 방법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은 산업위생 전문가들이 지켜야 할 윤리 강령을 채택하고 있다. 윤리강령의 4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문가로서의 책임
  2. 근로자에 대한 책임
  3. 기업주와 고객에 대한 책임
  4. 정부와 공직사회에 대한 책임
(정답률: 78%)
  • 정부와 공직사회에 대한 책임은 산업위생 전문가들이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분야이기 때문에 윤리강령의 4개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즉, 산업위생 전문가들은 정부와 공직사회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영양소와 그 영양소의 결핍으로 인한 주된 증상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타민 A - 야맹증
  2. 비타민 B1 - 구루병
  3. 비타민 B2 – 구강염, 구순염
  4. 비타민 K – 혈액 응고작용 지연
(정답률: 67%)
  • 비타민 B1 결핍은 베리베리라는 신경계 질환을 유발하며, 구루병은 비타민 C 결핍으로 인한 질환입니다. 따라서 "비타민 B1 - 구루병"은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석면해체작업장의 석면농도측정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작업장은 실내이며, 석면해제·제거 작업이 모두 완료되어 작업장의 밀폐시설 등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상태이다.)

  1. 밀폐막이 손상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작업장이 차폐되어 있음을 확인해야 한다.
  2.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장 바닥이 젖어 있거나 물이 고여 있지 않음을 확인해야 한다.
  3. 작업장 내 침전된 분진이 비산(非散)될 경우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비산이 되기 전 즉시 시료를 채취한다.
  4. 시료채취 펌프를 이용하여 멤브레인 여과지(Mixed Cellulose Ester membrane filter)로 공기 중 입자상 물질을 여과 채취한다.
(정답률: 63%)
  • 작업장 내 침전된 분진이 비산(非散)될 경우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비산이 되기 전 즉시 시료를 채취한다. 이유는 작업장 내 침전된 분진이 비산되면 공기 중에 석면 노출 농도가 높아져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산되기 전에 시료를 채취하여 노출 농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재해율 통계방법 중 강도율을 나타낸 것은?

(정답률: 63%)
  • 강도율은 1년간 발생한 강도 사건의 수를 1만 명당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업강도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동률은 95~5 × RMR로 구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열량 소비량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3. 작업대사율(RMR)은 작업대사량을 기초대사량으로 나눈 값이다.
  4. 작업대사율(RMR)은 작업강도를 에너지소비량으로 나타낸 하나의 지표이지 작업강도를 정확하게 나타냈다고는 할 수 없다.
(정답률: 58%)
  • "작업강도를 에너지소비량으로 나타낸 하나의 지표이지 작업강도를 정확하게 나타냈다고는 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실동률은 작업강도와 관련된 지표로, 작업 중에 소비하는 실제 에너지량을 기초대사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작업강도와 실동률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작업대사율(RMR)은 작업대사량을 기초대사량으로 나눈 값으로, 작업 중에 소비하는 에너지량을 기초대사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작업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실동률은 95~5 × RMR로 구할 수 있다."는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한국의 산업위생역사 중 연도와 활동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1958년 – 석탄공사 장성병원 중앙실험실 설치
  2. 1962년 – 가톨릭 산업의학 연구소 설립
  3. 1989년 –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제도 도입
  4. 1990년 – 한국산업위생학회 창립
(정답률: 48%)
  • 1989년에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제도가 도입된 것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실제로는 1990년에 작업환경측정 정도관리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규폐증은 공기 중 분진에 어느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때 주로 발생하는가?

  1. 석면
  2. 목재
  3. 크롬
  4. 유리규산
(정답률: 57%)
  • 규폐증은 공기 중 분진에 유리규산이 함유되어 있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이는 유리나 석영 등의 광물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먼지가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인체에 침입하여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근로자에 있어서 약한 손(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손)의 힘은 평균 40kp(kilopond)라고 한다. 이러한 근로자가 무게 10kg인 상자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릴 경우의 작업강도(%MS)는?

  1. 12.5
  2. 25
  3. 40
  4. 80
(정답률: 52%)
  • 작업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작업강도(%MS) = (작업중량 ÷ 최대근력) × 100

    여기서 작업중량은 10kg이고, 최대근력은 약한 손의 힘인 40kp이다. 따라서,

    작업강도(%MS) = (10kg ÷ 40kp) × 100 = 25%

    하지만 이 근로자는 두 손으로 작업을 하므로, 작업강도를 2로 나눠줘야 한다.

    작업강도(%MS) = 25% ÷ 2 = 12.5%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 시 측정의 기본 시료채취방법은?

  1. 개인 시료채취
  2. 지역 시료채취
  3. 직독식 시료채취
  4. 고체 흡착 시료채취
(정답률: 70%)
  • 개인 시료채취는 작업자가 직접 착용한 작업복, 안전모, 마스크 등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등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작업자가 직접 노출되는 위험성을 파악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지역 시료채취는 작업장 내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등을 채취하는 방법이며, 직독식 시료채취는 작업자의 호흡기로 직접 들어가는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등을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고체 흡착 시료채취는 공기 중 미세먼지나 유해물질 등을 고체 흡착체에 흡착시켜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methyl chloroform(TLV=350ppm)을 1일 12시간 작업할 때 노출기준을 Brief & Scala 방법으로 보정하면 몇 ppm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50
  2. 175
  3. 200
  4. 250
(정답률: 5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21. 소음계의 성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31.5Hz~8kHz이상이어야 한다.
  2. 지시계기의 눈금오차는 0.5dB이내이어야 한다.
  3.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10~150dB이상이어야 한다.
  4. 자동차 소음측정에 사용되는 것의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45~130dB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42%)
  • "측정가능 소음도 범위는 10~150dB이상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소음계의 측정 가능한 범위는 모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0~140dB 정도이다. 따라서 "10~150dB 이상"이라는 범위는 너무 넓은 범위이며, 실제로는 측정 가능한 범위가 더 좁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접포집방법에 사용되는 시료채취백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가볍고 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깨질 염려가 없다.
  2. 개인시료 포집도 가능하다.
  3. 연속시료채취가 가능하다.
  4. 시료채취 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정답률: 62%)
  • 시료채취백은 시료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 시료를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료채취 후 장시간 보관이 가능한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다른 보기들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깨질 염려가 없고, 개인시료 포집도 가능하며 연속시료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근로자가 노출되는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파악하여 공학적인 소음관리대책을 세우고자 할 때 적용하는 소음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보통소음계
  2. 적분형 소음계
  3. 누적소음폭로량 측정계
  4. 옥타브밴드분석 소음계
(정답률: 54%)
  • 근로자가 노출되는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별로 측정할 수 있는 소음계가 필요합니다. 이때, 옥타브밴드분석 소음계는 주파수 대역을 1/1 옥타브 단위로 분석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노출되는 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파악하고 공학적인 소음관리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옥타브밴드분석 소음계가 가장 적당한 소음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내용은 고용노동부 작업환경 측정 고시의 일부분이다. ㉠에 들어갈 내용은?

  1.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10cm인 반구
  2.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
  3.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50cm인 반구
  4.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100cm인 반구
(정답률: 73%)
  • 고용노동부 작업환경 측정 고시에서는 호흡기를 중심으로 반경 30cm인 반구를 측정하는 이유는, 인체의 호흡기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해당 범위 내에서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의 측정이 작업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시료 전처리인 회화(ashin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화용액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염산과 질산이다.
  2. 회화 시 실험용기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으므로 일반 유리제품을 사용한다.
  3. 분석하고자 하는 금속을 제외한 나머지의 기질과 산을 제거하는 과정을 회화라 한다.
  4. 시료가 다상의 성분일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산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57%)
  • "회화 시 실험용기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으므로 일반 유리제품을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오히려 회화 시 실험용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회화용기로는 플라틴, 티타늄, 쿼츠 등의 고급 소재가 사용된다. 이유는 회화 시에 사용되는 염산과 질산이 일반 유리를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하루 중 80dB(A)의 소음이 발생되는 장소에서 1/3근무하고 70dB(A)의 소음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2/3 근무한다고 할 때, 이 근로자의 평균소음 피폭량dB(A)은?

  1. 80
  2. 78
  3. 76
  4. 74
(정답률: 36%)
  • 1/3의 시간 동안 80dB(A)의 소음이 발생하므로, 평균 소음 피폭량은 80dB(A) * 1/3 = 26.67dB(A)이다.

    2/3의 시간 동안 70dB(A)의 소음이 발생하므로, 평균 소음 피폭량은 70dB(A) * 2/3 = 46.67dB(A)이다.

    따라서, 전체 근무 시간 동안의 평균 소음 피폭량은 (26.67dB(A) + 46.67dB(A)) / 2 = 36.67dB(A)이다.

    하지만, 이 값은 1/3과 2/3의 비율에 따라 가중 평균을 적용해야 한다.

    가중 평균을 적용하면, (80dB(A) * 1/3 + 70dB(A) * 2/3) = 73.33dB(A)이다.

    따라서, 이 근로자의 평균 소음 피폭량은 "7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1:2:1 혼합물의 허용농도(ppm)는? (단,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의 TLV값은 750, 200, 200ppm이다.)

  1. 약 225
  2. 약 235
  3. 약 245
  4. 약 255
(정답률: 44%)
  • TLV는 각각의 화학물질이 인체에 노출될 때 안전한 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각 화학물질의 TLV값을 이용하여 혼합물의 허용농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세톤의 TLV값은 750ppm이므로, 혼합물에서 아세톤의 농도는 750ppm 이하여야 합니다. 부틸아세테이트와 메틸에틸케톤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TLV값인 200ppm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세 화학물질의 TLV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200ppm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1:2:1으로 혼합한 경우, 부틸아세테이트와 메틸에틸케톤의 농도는 각각 400ppm이 되어야 아세톤의 농도가 200ppm 이하가 됩니다.

    따라서, 혼합물의 허용농도는 400ppm + 400ppm + 200ppm = 1000ppm이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은 각 화학물질의 TLV값을 초과하므로, 혼합물의 허용농도는 200pp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24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임핀저(impinger)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각종 금속류의 먼지
  2.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s)류
  3. 톨루엔 디아민(toluene diamine)
  4. 활성탄관이나 실리카겔로 흡착이 되지 않는 증기, 가스와 산
(정답률: 46%)
  • 임핀저는 액체나 가스 상태의 물질을 채취할 때 사용되는데, 각종 금속류의 먼지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임핀저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스상 유해물질을 검지관 방식으로 측정하는 경우 측정 시간 간격과 측정 횟수로 옳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3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2.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4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3.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4.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8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가스상 유해물질의 농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높은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용노동부 고시에서는 측정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6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측정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높은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측정 횟수가 많을수록 측정 결과의 신뢰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6회 이상 측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0mL의 1% sodium bisulfite를 담은 임핀저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가 함유된 공기 0.4m3을 채취하여 비색법으로 분석하였다. 검량선과 비교한 결과 시료용액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40μg/mL이었다.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ppm)는? (단, 25℃, 1기압기준이며, 포름알데히드의 분자량은 30g/mol이다.)

  1. 0.8
  2. 1.6
  3. 3.2
  4. 6.4
(정답률: 35%)
  • 먼저 시료용액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40μg/mL이므로, 20mL의 시료용액에는 40μg/mL x 20mL = 800μg의 포름알데히드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시료용액을 사용하여 공기 0.4m3을 채취하였으므로,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800μg ÷ 0.4m3 = 2000μg/m3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ppm(ppm은 백만분율)이므로, 먼저 2000μg/m3을 mg/m3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1mg = 1000μg 이므로, 2000μg/m3 ÷ 1000 = 2mg/m3 입니다.

    마지막으로,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ppm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ppm = (물질의 분자량 × 농도(mg/m3)) ÷ (기체상수 × 온도(℃) + 273.15)

    여기서 물질의 분자량은 30g/mol, 기체상수는 0.0821 L·atm/mol·K 입니다. 또한, 25℃를 켈빈 온도로 변환하면 25℃ + 273.15 = 298.15K 입니다.

    따라서, ppm = (30g/mol × 2mg/m3) ÷ (0.0821 L·atm/mol·K × 298.15K) = 1.6 pp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공기 중 입자상 물질의 여과에 의한 채취원리가 아닌 것은?

  1. 직접차단(Direct interception)
  2. 관성충돌(Inertial impaction)
  3. 확산(Diffusion)
  4. 흡착(Adsorption)
(정답률: 44%)
  • 흡착은 입자가 고체 표면에 붙어서 채취되는 원리이기 때문에 공기 중 입자상 물질의 여과에 의한 채취원리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입자가 공기 중에서 걸러져서 채취되는 여과 원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량, 측정시간, 회수율 및 분석 등에 의한 오차가 각각 15, 3, 9, 5%일 때, 누적오차(%)는?

  1. 18.4
  2. 20.3
  3. 21.5
  4. 23.5
(정답률: 56%)
  • 누적오차는 각각의 오차를 더한 값이므로, 15+3+9+5=32%가 됩니다. 그러나 이 값은 각각의 값들이 서로 독립적이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오차를 고려하여 보정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오차를 백분율에서 소수점으로 변환하여 곱해준 후, 다시 백분율로 변환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1+0.15) x (1+0.03) x (1+0.09) x (1+0.05) - 1 = 0.184 를 백분율로 변환하면 18.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여과지의 종류 중 MCE membrane Filter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셀룰로오스부터 PVC, PTFE까지 다양한 원료로 제조된다.
  2. 시료가 여과지의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 데에 침착되므로 석면, 유리섬유 등 현미경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 이용된다.
  3. 입자상 물질에 대한 중량분석에 많이 사용된다.
  4. 입자상 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정하다.
(정답률: 42%)
  • MCE membrane Filter는 입자상 물질에 대한 중량분석에 많이 사용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MCE membrane Filter는 시료가 여과지의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 데에 침착되므로 석면, 유리섬유 등 현미경 분석을 위한 시료채취에 이용되며, 입자상 물질 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활성탄에 흡착된 증기(유기용제-방향족탄화수소)를 탈착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1. chloroform
  2. methyl chloroform
  3. H2O
  4. CS2
(정답률: 61%)
  • 활성탄은 유기화합물을 흡착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때, 흡착된 유기용제를 탈착시키기 위해서는 용매가 필요합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유기용제와 상호작용이 적은 CS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S2"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기용제와 상호작용이 크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검지관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이 간편하다.
  2. 특이도가 높다.
  3. 반응시간이 빠르다.
  4. 산업보건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숙지하면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6%)
  • 검지관의 장점 중 특이도가 높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검지관은 민감도가 높아서 질병이 있는 사람을 잘 찾아내지만, 특이도는 낮아서 질병이 없는 사람을 잘못해서 질병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개인용 방사선 측정기로 의료용 진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측정기는?

  1. X-선 필름
  2. Lux meter
  3. 개인시료 포집장치
  4. 상대농도 측정계
(정답률: 64%)
  • X-선 필름은 의료용 진단에서 널리 사용되는 개인용 방사선 측정기 중 하나입니다. 이는 X-선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만들 때 사용되는 필름으로, 방사선의 양과 강도를 측정하여 환자의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의료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분리관의 성능은 분해능과 효율로 표시할 수 있다. 분해능을 높이려는 조작으로 틀린 것은?

  1. 분리관의 길이를 길게 한다.
  2. 이론층 해당높이를 최대로 하는 속도로 운반가스의 유속을 결정한다.
  3. 고체지지체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한다.
  4.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좋은 분해능을 보이므로 온도를 낮춘다.
(정답률: 30%)
  • "분리관의 길이를 길게 한다."는 분해능을 높이는 조작으로 옳은 것이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다.

    이론층 해당높이를 최대로 하는 속도로 운반가스의 유속을 결정하는 이유는, 이론층이란 샘플과 상호작용하는 시간이 가장 긴 층으로, 이 층에서 분리가 가장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론층 해당높이에서 샘플과 운반가스가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최대한 늘리기 위해, 운반가스의 유속을 이론층 해당높이에서 최대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검출한계(LOD)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표준편차의 3배에 해당
  2. 표준편차의 5배에 해당
  3. 표준편차의 10배에 해당
  4. 표준편차의 20배에 해당
(정답률: 47%)
  • 검출한계(LOD)는 분석 방법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당 물질이 존재하는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표준편차는 데이터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대부분이 평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 범위 내에 분포한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검출한계를 정하기 위해서는 분석 방법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데이터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표준편차의 몇 배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LOD는 표준편차의 3배에 해당하는 값을 사용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데이터가 표준편차 범위 내에 분포하고, 그 범위를 벗어나는 값은 이상치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OD를 표준편차의 3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하면, 해당 물질이 존재하는 최소 농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석기기마다 바탕선량(background)과 구별하여 분석될 수 있는 가장 적은 분석물질의 양을 무엇이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
  2. 정량한계(Limit of quantization: LOQ)
  3. 특이성(Specificity)
  4. 검량선(Calibration graph)
(정답률: 45%)
  • 분석기기에서 측정되는 신호는 바탕선량(background)과 분석물질의 신호가 합쳐진 것이므로, 분석물질의 양이 매우 적을 경우에는 바탕선량과의 구별이 어려워져 정확한 분석이 어렵습니다. 이 때, 분석기기마다 정해진 기준에 따라 바탕선량과의 구별이 가능한 최소한의 분석물질 양을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라고 합니다. 따라서 검출한계는 분석기기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정량한계(Limit of quantization: LOQ)는 분석기기에서 정확한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분석물질 양을 의미하며, 검출한계보다 높은 값입니다. 특이성(Specificity)은 분석기기가 특정한 분석물질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검량선(Calibration graph)은 분석기기에서 분석물질의 양과 측정된 신호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미국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에서 정의한 흉곽성 입자상 물질의 평균 입경(㎛)은?

  1. 3
  2. 4
  3. 5
  4. 10
(정답률: 52%)
  • ACGIH에서는 흉곽성 입자상 물질의 평균 입경을 10㎛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10"입니다. 이는 이러한 입자가 호흡기로 침투하여 폐에 침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

41. 음압레벨이 80dB인 소음과 40dB인 소음과의 음압 차이는?

  1. 2배
  2. 20배
  3. 40배
  4. 100배
(정답률: 36%)
  • 음압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80dB와 40dB의 음압 차이는 40dB가 됩니다. 그러나 음압의 배율은 10의 지수로 계산되기 때문에 80dB의 음압은 10의 8승, 40dB의 음압은 10의 4승입니다. 이를 나누면 10의 4승이 되므로, 80dB와 40dB의 음압 차이는 100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외선이 피부에 작용하는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000~2800Å의 자외선에 노출 시 홍반현상 및 즉시 색소침착 발생
  2. 2800~3200Å의 자외선에 노출 시 피부암 발생 가능
  3. 자외선 조사량이 너무 많을 시 모세혈관 벽의 투과성 증가
  4. 자외선에 노출 시 표피의 두께 증가
(정답률: 30%)
  • "자외선에 노출 시 표피의 두께 증가"는 틀린 설명입니다.

    1000~2800Å의 자외선은 UVB라고도 불리며, 피부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홍반현상과 색소침착을 일으킵니다. 2800~3200Å의 자외선은 UVA라고도 불리며, 피부암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외선 조사량이 많을 경우 모세혈관 벽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피부가 붉어지고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음방지 대책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소음원의 제거 및 억제
  2. 음향재료에 의한 흡음
  3. 장해물에 의한 차음
  4. 소음기 이용
(정답률: 66%)
  • 소음원의 제거 및 억제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는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을 제거하거나 줄이는 것으로, 다른 방법들은 소음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지만 소음원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한 소음방지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음원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작업 중 잠시라도 초과되어서는 안 되는 농도를 나타낸 단위는?

  1. TLV
  2. TLV-TWA
  3. TLV-C
  4. TLV-STEL
(정답률: 67%)
  • 정답은 "TLV-C"입니다. TLV-C는 "Threshold Limit Value - Ceiling"의 약자로, 작업 중 잠시라도 초과되어서는 안 되는 최대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TLV-TWA는 "Threshold Limit Value - Time Weighted Average"로 일정 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때 평균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TLV-STEL은 "Threshold Limit Value - Short Term Exposure Limit"로 짧은 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때 최대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호구 밖의 농도가 300ppm이고 보호구 안의 농도가 12ppm이었을 때 보호계수(Protection factor, PF)는?

  1. 200
  2. 100
  3. 50
  4. 25
(정답률: 53%)
  • 보호계수(PF)는 보호구 안의 농도를 보호구 밖의 농도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PF = 보호구 안의 농도 / 보호구 밖의 농도 = 12ppm / 300ppm = 0.04입니다. 이 값을 역수로 취하면 보호계수는 25가 됩니다. 즉, 보호구를 착용하면 보호구 밖에서 노출된 농도의 25분의 1만큼만 노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작업장의 조명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접조명은 음영과 현휘로 인한 입체감과 조명효율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2. 반간접조명은 간접과 직접조명을 절충한 방법이다.
  3. 직접조명은 작업면의 빛의 대부분이 광원 및 반사용 삿갓에서 직접 온다.
  4. 직접조명은 기구의 구조에 따라 눈을 부시게 하거나 균일한 조도를 얻기 힘들다.
(정답률: 45%)
  • "간접조명은 음영과 현휘로 인한 입체감과 조명효율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간접조명은 조명기구에서 직접 빛이 나오지 않고 벽이나 천장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하는 방식으로, 음영과 현휘로 인해 입체감이 높아지고 조명효율도 높아진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정화능력이 사염화탄소의 농도 0.7%에서 50분인 방독마스크를 사염화탄소의 농도가 0.2%인 작업장에서 사용할 때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한 시간(분)은?

  1. 110
  2. 125
  3. 145
  4. 175
(정답률: 45%)
  • 정화능력이 0.7%에서 50분이므로, 0.2%에서의 사용 가능한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7%에서 50분 = 0.2%에서 x분

    x = (0.2/0.7) x 50

    x = 14.29 x 50

    x = 714.5 (분)

    따라서, 방독마스크의 사용 가능한 시간은 714.5분에서 반올림하여 175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음원에서 10m 떨어진 곳에서 음압수준이 89dB(A)일 때, 음원에서 2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수준(dB(A))은? (단, 점음원이고 장해물이 없는 자유공간에서 구면상으로 전파한다고 가정한다.)

  1. 77
  2. 80
  3. 83
  4. 86
(정답률: 41%)
  • 음원에서 2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수준은 89dB(A)에서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 6dB(A)의 감쇠가 일어나므로 6dB(A)씩 감소하여 계산할 수 있다.

    10m에서 89dB(A)이면, 20m에서는 83dB(A)가 된다.

    즉, 정답은 "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은 작업장의 작업환경관리대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은 주입과정을 자동화시킨다.
  2. 수거한 수은은 물과 함께 통에 보관한다.
  3. 수은은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작업장의 온도를 80℃로 유지한다.
  4. 독성이 적은 대체품을 연구한다.
(정답률: 60%)
  • "수은은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작업장의 온도를 80℃로 유지한다."는 오히려 적절하지 않은 대책입니다. 수은은 증발하면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되어 인체에 유해한 먼지나 가스 형태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환경관리대책으로는 수은이 증발하지 않도록 밀폐된 작업장을 유지하거나, 흡입기를 설치하여 수은이 공기 중에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금속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애가 틀린게 연결된 것은?

  1. 납 - 빈혈
  2. 크롬 - 운동장애
  3. 망간 - 보행장애
  4. 수은 – 뇌신경세포 손상
(정답률: 55%)
  • 크롬은 장기간 노출되면 운동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크롬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며, 중추신경계와 주변신경계에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근육 조절이 어려워지고, 운동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태양복사광선의 파장범위에 따른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300nm - 적외선
  2. 600nm - 자외선
  3. 700nm - 가시광선
  4. 900nm – Dorno선
(정답률: 48%)
  • 태양복사광선은 다양한 파장을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인간이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400nm에서 700nm까지의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700nm은 가시광선의 최대 파장이며, 이전에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으로 구분되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오래된 우물에 들어가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가 반드시 착용해야 할 개인보호구는?

  1. 입자용 방진마스크
  2.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3. 일산화탄소용 방독마스크
  4. 송기형 호스마스크
(정답률: 67%)
  •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오래된 우물에 들어가서 작업하는 경우 먼지나 곰팡이 등의 입자물질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입자용 방진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유기가스나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 가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나 일산화탄소용 방독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해당 마스크를 착용하면 호흡이 어려워 작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송기형 호스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송기형 호스마스크는 호흡이 어려워지지 않으면서도 입자물질과 유해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개인보호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연채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창의 방향은 많은 채광을 요구하는 경우는 남향이 좋다.
  2. 균일한 조명을 요하는 작업실은 북창이 좋다.
  3. 창의 면적은 벽면적의 15~20%가 이상적이다.
  4. 실내각점의 개각은 4~5°, 입사각은 28°이상이 좋다.
(정답률: 51%)
  • "균일한 조명을 요하는 작업실은 북창이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작업실에서는 남쪽이나 동쪽으로 창을 두어서 자연채광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창의 면적이 벽면적의 15~20%가 이상적인 이유는 너무 많은 자연채광이 들어오면 눈이 부셔지고, 너무 적으면 어두워서 불편하고 눈이 피로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면적의 창을 두어서 적정량의 자연채광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내각점의 개각은 4~5°, 입사각은 28°이상이 좋은 이유는 각도가 적절하면 자연채광이 골고루 분포되어서 눈이 피로하지 않고, 밝기 변화가 적어서 안정적인 조명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채광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남쪽이 좋은 이유는 남쪽으로 창을 두면 일조량이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남쪽으로 창을 두어서 최대한 많은 자연채광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기역학적 직경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먼지의 면적을 2등분하는 선의 길이
  2. 먼지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이며, 구형인 먼지의 직경
  3. 먼지의 한쪽 끝 가장자리에서 다른 쪽 끝 가장자리까지의 거리
  4. 먼지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구형의 직경
(정답률: 54%)
  • 공기역학적 직경은 입자의 침강속도와 공기의 밀도가 같은 구형 입자의 직경을 의미합니다. 즉, 먼지와 같은 입자가 공기 중에서 침강하는 속도와 공기의 밀도가 같은 구형 입자의 직경을 공기역학적 직경이라고 합니다. 이는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안전보건규칙상 적정공기의 물질별 농도범위로 틀린 것은?

  1. 산소 – 18%이상, 23.5% 미만
  2. 탄산가스 – 2.0% 미만
  3. 일산화탄소 – 30ppm 미만
  4. 황화수소 – 10ppm 미만
(정답률: 51%)
  • 탄산가스는 농도가 높아지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2.0% 미만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다른 물질들은 적정 농도 범위 내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작업에 기인하여 전신진동을 받을 수 있는 작업자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병타 작업자
  2. 착암 작업자
  3. 해머 작업자
  4. 교통기관 승무원
(정답률: 56%)
  • 교통기관 승무원은 자동차나 기차 등 운송수단의 운전 중에 진동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신진동을 받을 수 있는 작업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해화학물질이 체내로 침투되어 해독되는 경우 해독반응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은?

  1. 적혈구
  2. 효소
  3. 림프
  4. 백혈구
(정답률: 56%)
  • 유해화학물질이 체내로 침투되면, 그것을 해독하기 위해 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효소는 화학반응을 촉진하거나 억제하여 유해물질을 해체하거나 변형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효소의 작용은 해독반응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유해물질이 체내에서 제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감압병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압병의 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환자를 원래의 고압환경으로 복귀시킨다.
  2. 고압 환경에서 작업할 때에는 질소를 아르곤으로 대치한 공기를 호흡시키는 것이 좋다.
  3. 잠수 및 감압방법에 익숙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1분에 10m 정도씩 잠수하는 것이 좋다.
  4. 감압이 끝날 무렵에 순수한 산소를 흡입시키면 예방적 효과와 감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정답률: 52%)
  • "고압 환경에서 작업할 때에는 질소를 아르곤으로 대치한 공기를 호흡시키는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고압환경에서 호흡기로 들어온 공기가 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체내의 기체도 압축되어 감압병을 일으키기 때문에, 질소 대신 아르곤을 호흡하면 감압병 발생 위험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고압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해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소
  2. 질소
  3. 아르곤
  4. 이산화탄소
(정답률: 58%)
  • 고압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해 중 대표적인 것은 산소중독과 질소중독이다. 이러한 중독은 고압환경에서 더욱 심화될 수 있다. 하지만 아르곤은 대기 중에서 가장 희귀한 기체 중 하나로,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고압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해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 중에서 아르곤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방진 마스크의 필터에 사용되는 재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활성탄
  2. 합성섬유
  3. 유리섬유
(정답률: 45%)
  • 활성탄은 방진 마스크 필터에 사용되는 재료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활성탄이 다른 재료들과는 달리 미세한 입자들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활성탄은 방진 마스크 필터의 성능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산업환기

61. 일반적으로 외부식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하면 약 어느 정도 효율이 증가될 수 있는가? (단, 플랜지의 크기는 개구면적의 제곱근 이상으로 한다.)

  1. 15%
  2. 25%
  3. 35%
  4. 45%
(정답률: 59%)
  • 외부식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하면 개구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후드 내부의 공기가 더욱 움직이게 되어 효율이 증가한다. 이 때, 플랜지의 크기가 개구면적의 제곱근 이상이어야 하므로, 플랜지의 크기가 일정 이상 커지면 추가적인 효율 향상은 미미해진다. 따라서, 플랜지의 크기가 적당하게 설계되어 있을 때, 플랜지를 부착하여 효율이 약 25% 정도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후드의 형식 분류 중 포위식 후드에 해당하는 것은?

  1. 슬롯형
  2. 캐노피형
  3. 건축부스형
  4. 그리드형
(정답률: 38%)
  • 포위식 후드는 주방 전체를 덮는 형태로, 건축부스형은 주방 내부에 부스 형태로 설치되는 형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덕트 제작 및 설치에 대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원형 덕트를 설치한다.
  2. 덕트 연결부위는 가급적 용접하는 것을 피한다.
  3. 직경이 다른 덕트를 연결할 때에는 경사 30° 이내의 테이퍼를 부착한다.
  4. 수분이 응축될 경우 덕트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경사나 배수구를 마련한다.
(정답률: 60%)
  • "덕트 연결부위는 가급적 용접하는 것을 피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덕트 연결부위는 용접이 가장 견고하고 누출이 없는 방법이지만, 적절한 용접 기술과 재료를 사용하면 안전하게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 제작 및 설치에 대한 고려사항으로 "덕트 연결부위는 가급적 용접하는 것을 피한다."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환기 시스템 자체 검사 시에 필요한 측정기로서 공기의 유속 측정과 관련이 없는 장비는?

  1. 피토관
  2. 열선풍속계
  3. 스모크 테스터
  4. 흑구건구온도계
(정답률: 58%)
  • 환기 시스템 자체 검사 시에는 공기의 유속 측정이 중요한데, "흑구건구온도계"는 공기의 유속 측정과는 관련이 없는 온도 측정기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이 작업대 위의 용접 흄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면 위에 플랜지가 붙은 외부식 후드를 설치했다. 개구면에서 포착점까지의 거리는 0.3m, 제어속도는 0.5m/s, 후드개구의 면적이 0.6m2일 때 Della Valle식을 이용한 필요 송풍량(m3/min)은 약 얼마인가? (단, 후드개구의 폭/높이는 0.2보다 크다.)

  1. 18
  2. 23
  3. 32
  4. 45
(정답률: 33%)
  • Della Valle식은 다음과 같다.

    Q = K × A × V

    여기서 Q는 필요 송풍량, K는 상수(일반적으로 1.5 ~ 2.0), A는 개구면적, V는 제어속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Q = 1.5 × 0.6 × 0.3 × 0.5 = 0.135

    단위를 m3/min으로 변환하면 8.1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0℃, 1기압에서 공기의 비중량은 1.293kgf/m3이다. 65℃의 공기가 송풍관 내를 15m/s의 유속으로 흐를 때, 속도압은 약 몇 mmH2O인가?

  1. 20
  2. 16
  3. 12
  4. 18
(정답률: 22%)
  • 속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속도압 = 1/2 x 공기밀도 x 유속의 제곱

    먼저, 65℃에서의 공기밀도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ρ2 = ρ1 x (T2/T1) x (P1/P2)

    여기서, ρ1은 0℃에서의 공기밀도인 1.293kgf/m3이고, T1은 273K, P1은 1기압이다. T2는 65℃에 해당하는 온도인 338K이고, P2는 여전히 1기압이다.

    따라서,

    ρ2 = 1.293 x (338/273) x (1/1) = 1.634kgf/m3

    이제 속도압을 계산해보자.

    속도압 = 1/2 x 1.634 x 152 = 183.9mmH2O

    따라서, 정답은 "18"이 아니라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메탈에틸케톤이 5L/h로 발산되는 작업장에 대해 전체환기를 시키고자 할 경우 필요 환기량(m3/min)은? (단, 메틸에틸케톤 분자량은 72.06, 비중은 0.805, 21℃, 1기압 기준, 안전계수는 2, TLV는 200ppm이다.)

  1. 224
  2. 244
  3. 264
  4. 284
(정답률: 22%)
  • 먼저 메탈에틸케톤의 총 발생량을 구해야 한다.

    5L/h × 1kg/805L × 1000g/1kg × 1/72.06g × 1/3600s = 0.000194 g/s

    다음으로 TLV와 안전계수를 고려하여 최대 농도를 구한다.

    TLV = 200 ppm = 200 mg/m3
    안전계수 = 2

    최대 농도 = 200 mg/m3 × 2 = 400 mg/m3

    마지막으로 필요한 환기량을 구한다.

    환기량 = 총 발생량 ÷ 최대 농도 = 0.000194 g/s ÷ (400 mg/m3 × 1 g/1000 mg) = 4.85 × 10^-7 m3/s

    따라서, m3/min으로 변환하면 4.85 × 10^-7 m3/s × 60s/1min = 2.91 × 10^-5 m3/min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224"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20℃, 1기압에서의 유체의 점성계수는 1.8×10-5kg/sec·m이고, 공기밀도는 1.2kg/m3, 유속은 1.0m/sec이며, 덕트 직경이 0.5m일 경우의 레이놀즈 수는?

  1. 1.27×105
  2. 1.79×105
  3. 2.78×104
  4. 3.33×104
(정답률: 28%)
  • 레이놀즈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유속 × 덕트 직경 × 공기밀도) / 점성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Re = (1.0m/sec × 0.5m × 1.2kg/m³) / (1.8×10⁻⁵kg/sec·m) ≈ 3.33×10⁴

    따라서 정답은 "3.33×10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전체환기방식을 적용 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목재분진
  2. 톨루엔 증기
  3. 이산화탄소
  4. 아세톤 증기
(정답률: 51%)
  • 목재분진은 고체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환기방식을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전체환기방식은 공기를 통째로 교체하여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체 입자가 포함된 물질은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고체 입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부분환기방식 등 다른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규정한 관리대상 유해물질 관련 물질의 상태 및 국소배기장치 후드의 형식에 따른 제어풍속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외부식 상방흡인형(가스상) : 1.0m/s
  2. 외부식 측방흡인형(가스상) : 0.5m/s
  3. 외부식 상방흡인형(입자상) : 1.0m/s
  4. 외부식 측방흡인형(임자상) : 1.0m/s
(정답률: 42%)
  • "외부식 상방흡인형(입자상) : 1.0m/s"이 옳지 않은 것은, 입자상 유해물질은 흡입 후 호흡기에 침착되어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제어풍속이 높아야 하지만, 1.0m/s는 제어풍속이 적절하지 않은 수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부식 상방흡인형(입자상) : 1.0m/s"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송풍기 설계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풍관의 중량을 송풍기에 가중시키지 않는다.
  2. 송풍기의 덕트 연결부위는 송풍기와 덕트가 같이 진동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한다.
  3. 배기가스의 입자의 종류와 농도 등을 고려하여 송풍기의 형식과 내마모 구조를 고려한다.
  4. 송풍량과 송풍압력을 만족시켜 예상되는 풍량의 변동 범위 내에서 과부하하지 않고 운전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55%)
  • 송풍기의 덕트 연결부위는 송풍기와 덕트가 같이 진동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송풍기와 덕트가 직접 연결되면 진동이 전달되어 송풍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진동을 완화시키는 진동저감기를 사용하여 연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흡인유량을 320m3/min에서 200m3/min으로 감소시킬 경우 소요 동력은 몇 %감소하는가?

  1. 14.4
  2. 18.4
  3. 20.4
  4. 24.4
(정답률: 16%)
  • 흡입유량이 감소하면 동력 소요량도 감소한다. 이 때, 동력 소요량은 흡입유량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흡입유량이 320m3/min에서 200m3/min으로 감소하면 동력 소요량은 (200/320)3 = 0.390625배로 감소한다. 이는 100% - 39.0625% = 60.9375% 감소한 것이므로, 약 61% 감소한다. 이를 반올림하면 24.4% 감소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2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압이 대기압보다 작은 경우도 있다.
  2. 정압과 속도압의 합은 전압이라고 한다.
  3. 속도압은 공기흐름으로 인하여 (-)압력이 발생한다.
  4. 정압은 속도압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정답률: 48%)
  • "정압과 속도압의 합은 전압이라고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속도압은 공기가 흐르는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베르누이의 원리로 설명됩니다. 따라서 "속도압은 공기흐름으로 인하여 (-)압력이 발생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정압은 공기의 양이 일정할 때 압력이 일정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속도압과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습한 날 분진, 철 분진, 주물사, 요업재료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무겁고 습한 분진의 반응속도(m/s)로 옳은 것은?

  1. 5~10
  2. 15
  3. 20
  4. 25이상
(정답률: 42%)
  • 습한 분진은 입자간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빠르며, 무게가 무거워서 공기 중에서 떨어지는 속도가 느립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 때문에 습한 분진의 반응속도는 25m/s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기압이 760mmHg이고, 기온이 25℃에서 톨루엔의 증기압은 약 30mmHg이다. 이때 포화증기 농도는 약 몇 ppm인가?

  1. 10000
  2. 20000
  3. 30000
  4. 40000
(정답률: 36%)
  • 먼저, 포화증기 농도는 단위 부피당 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ppm (parts per million)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우리는 톨루엔의 증기압과 대기압을 사용하여 포화증기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포화증기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포화증기 농도 = (톨루엔의 증기압 / 대기압) x 10^6 ppm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포화증기 농도 = (30mmHg / 760mmHg) x 10^6 ppm
    포화증기 농도 = 39,473 pp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우리가 정확한 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가까운 답을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가장 가까운 답인 "40000"을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흡착법에서 사용하는 흡착제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비극성의 유기용제를 제거하는데 유용한 것은?

  1. 활성탄
  2. 실리카겔
  3. 활성알루미나
  4. 합성제올라이트
(정답률: 56%)
  • 활성탄은 높은 표면적과 다양한 미세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비극성 유기용제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경제적이고 쉽게 구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국소배기장치의 배기덕트 내 공기에 의한 마찰손실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공기조성
  2. 공기속도
  3. 덕트직경
  4. 덕트길이
(정답률: 57%)
  • 국소배기장치의 배기덕트 내 공기에 의한 마찰손실과 관련이 없는 것은 "공기조성"이다. 이는 공기의 조성은 덕트 내부의 마찰손실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마찰손실은 주로 공기속도, 덕트직경, 덕트길이 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 요소가 증가할수록 마찰손실이 증가한다. 하지만 공기의 조성은 이와는 무관하며, 따라서 국소배기장치의 배기덕트 내 공기에 의한 마찰손실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국소배기 장치의 설계 시 후드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제어속도를 유지한다.
  2. 주위의 방해기류를 제어한다.
  3. 후드의 개구면적을 최소화한다.
  4. 가급적 배출오염원과 멀리 설치한다.
(정답률: 57%)
  • 가급적 배출오염원과 멀리 설치하는 것은 후드가 오염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후드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후드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어속도를 유지하고, 주위의 방해기류를 제어하며, 후드의 개구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스크러버(scrubber)라고도 불리며 분진 및 가스함유 공기를 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의 공기정화장치는?

  1. 세정 집진장치
  2. 전기 집진장치
  3. 여포 집진장치
  4. 원심력 집진장치
(정답률: 51%)
  • 스크러버는 분진 및 가스를 물과 접촉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므로, "세정 집진장치"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집진장치이지만, 스크러버와는 작동 원리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환기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공기공급 시스템이 필요한데 그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서
  2. 작업장의 교차기류를 활용하기 위해서
  3.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냉각기류를 제거하기 위해서
  4. 실외공기가 정화되지 않은 채 건물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정답률: 38%)
  • 작업장의 교차기류는 이미 존재하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시설이므로, 환기를 위한 공기공급 시스템으로 활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