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료 및 배합
1.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에서 플라이 애시, 고로 슬래그 미분말 또는 실리카 퓸을 시멘트 재료의 일부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 혼화재의 사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혼화재의 사용량은 시멘트와 혼화재 전체에 대한 혼화재의 질량 백분율로 나타낸다.)
2.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에 밀도(Ds)를 구하는 아래 식에서 B의 값으로 옳은 것은?
3. 시멘트 클링커의 주요 조성화합물인 엘라이트(C3S)와 벨라이트(C2S)의 수화물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아래의 표는 어떤 2종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이다. 이 2종 포틀랜드 시멘트 성분 중 C3A의 조성비를 한국산업표준(KS)에 따라 구한 값은?
5.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분순물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부순 잔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의 총칭으로 시멘트,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실리카 퓸 팽창재 등을 함유하는 것은?
8. 골재 체가름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9. 일반 콘크리트의 배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0. 다음 중 콘크리트 배합에서 시멘트의 사용량을 가급적 줄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것은?
11. 르샤틀리에 비중병에 의한 시멘트의 비중 시험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시멘트의 비중은?
12.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방법(KS F 2565)에서 평균 재하 속도로 옳은 것은?
13.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40MPa인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아래의 조건을 따라 구하면?
14.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재료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아래 표의 시험항목 중 KS F 2561(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품질시험 항목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6.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 배합설계에서, 단위 시멘트양이 320kg, 단위수량이 160kg, 공기량이 5%이었다. 잔골재율이 35%, 잔골재 표건 밀도가 2.7g/cm3, 굵은 골재표건 밀도가 2.6g/cm3, 시멘트의 밀도가 3.2g/cm3일 때 단위 잔골재량(S)은?
17.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실리카 퓸을 혼합한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9. 시방 배합설계 결과 잔골재량이 630kg/m3, 굵은 골재량이 1170kg/m3이었다. 현장의 골재 상태가 아래 표와 같을 때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과 굵은 골재량으로 옳은 것은?
20.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로서 상수돗물 이외의 물의 품질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과목: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안지름이 25cm, 안높이가 28.5cm인 용기에 콘크리트를 넣고 2시간 동안 블리딩에 의한 물의 양을 측정했을 때 64.5mL이었다면 이 때 블리딩량은?
22. 콘크리트 현장 품질관리에서 재하 시험에 의한 구조물의 성능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2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중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24.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5.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검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26.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AE 콘크리트의 특성이 아닌 것은?
27. 현장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20회 측정한 결과 표준편차는 1.4MPa이었다. 설계기준 압축강도(fck)가 30MPa일 때 배합강도(fcr)는? (단 시험횟수가 20회일 때의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는 1.08을 사용한다.)
28.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 시 흡수율이 큰 골재의 경우 골재 낱알의 흡수가 시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골재의 수정계수를 측정하여야 한다. 다음과 같은 1배치 배합에 대하여 압력방법(KS F 2421)에 의한 골재의 수정계수를 구할 때 필요한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양은? (단, 공기량 시험기의 용적은 6ℓ로 한다.)
29.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0. 현장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검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하루 360m3의 콘크리트가 제조 및 타설된다면 실시해야 할 검사횟수는? (단, 1회의 시험값은 공시체 3개의 압축강도 시험값의 평균 값이다.)
31. 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32. 콘크리트의 품질변동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데 있어서, 10개 공시체의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의 평균강도가 25MPa이고, 표준편차가 2.5Mpa인 경우의 변동계수는?
33. 댐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음날 타설된 콘크리트를 확인하였더니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에 폭 2mm이하의 균열이 여러 군데에서 발견되었다. 다음 중 가장 적정하게 처리한 것은?
3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KS F 4009)에서 규정하고 있는 콘크리트 회수수의 품질기준으로 틀린 것은?
35. 비파괴검사에 의하여 검사할 수 없는 것은?
36. 공기량이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37. 잔골재의 품질관리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38. 아래 그림 초음파 속도법의 측정법 중 한 종류를 나타낸다. 이 측정법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3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운반차와 운반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0. 공사현장에서 양생한 공시체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에 완전히 일체화가 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이음은?
42. 수밀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최대 몇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43. 숏크리트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4. 일반 숏크리트의 장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재령 28일로 설정한다. 이 때 장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몇 MPa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영구 지보재 개념으로 숏크리트를 타설한 경우는 제외한다.)
45.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콘크리트의 경화나 강도 발현을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촉진양생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47. 수중공사용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의 주입모르타르 제조에 사용하는 혼합재료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48.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9. 콘크리트 타설 전에 검토해야할 매우 중요한 시공 요인인 콘크리트의 측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 콘크리트 수평 시공이음의 시공에 있어서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채택될 수 있는 역방향 타설 콘크리트의 시공이음 방법이 아닌 것은?
51.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52. 팽창 콘크리트의 팽창률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3.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4.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 강도 시험으로부터 최대하중 P=10kN을 얻었다. 원주 공시체의 직경이 100mm, 길이가 200mm라면, 이 공시체의 쪼갬 인장 강도는?
55. 서중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56.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제조 시 사용되는 혼화재료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7.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 및 제어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58. 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9. 매스 콘크리트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에 들어갈 알맞은 수치는?
60.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과목: 구조 및 유지관리
61. 나선철근 기둥에서 나선철근 바깥선을 지름으로 하여 측정된 나선철근 기둥의 심부지름이 250mm, fck=28MPa, fy=400MPam일 때 기둥의 총 단면적으로 적절한 것은?
62. 다음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63. 기둥의 양단이 힌지일 때 이론적인 유효길이 계수 k의 값은?
64.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용 재료 선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 물성은?
65. 폭 400mm, 높이 550mm, 유효깊이 500mm, 압축철근량 1588.4,mm2, 인장철근량 3176.8mm2인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하중에 으한 탄성처짐량이 1.2mm일 때 하중재하 1년 후 총 처짐량은?
66. 4변의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 1방향 슬래브로서 해석될 수 있는 경우는? (단, L:슬래브의 장변, S:슬래브의 단변)
67.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단순보에서 콘크리트다 부담하는 공칭전단강도(Vc)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이며, 폭=300mm, 유효깊이=500mm, fck=27MPa이다.)
68.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휨부재의 비균열등급, 부분균열등급 및 완전균열등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9. 아래에서 설명하는 비파괴시험방법은?
70. 콘크리트 탄산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1. 2방향 슬래브를 직접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단변방향으로 정역학적 총모멘트가 200kNㆍm일 때, 내부패널의 양단에서 지지해야할 휨모멘트(㉠)와 내부패널의 중앙에서 지지해야할 휨모멘트(㉡)로 옳은 것은?
72.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도막되지 않은 인장 이형철근 D25(공칭지름 25.4mm)를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기본정착길이(lhb)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이고, fck=24MPa, fy=400MPa이며, 보정계수는 고려하지 않는다.)
73.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가 및 판정을 할 경우 종합적인 평가 기초 대상이 아닌 것은?
74. 피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5. 아래의 휨 부재에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인장철근의 간격 제한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6. 간혹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는 노출등급 F1에 해당된다. 이 경우, 굵은 골재 최대치수(mm)에 따른 확보해야 할 공기량(%)의 관계가 틀린 것은?
77. 상세조사는 표준조사의 자료로부터 원인추정, 보수보강 여부의 판정과 보수보강공법 선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실시한다. 상세조사의 시험항목이 아닌 것은?
78. 준공 후 20년 경과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가 15mm이었다. 준공 후 100년 경과된 시점에서 탄산화 깊이의 예측값으로 적정한 것은? (단, 탄산화 깊이 C=A√t이고, 여기서 A의 비례상수, t는 시간이다.)
79. 다음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에서 인장철근은 D22 철근 2개가 윗부분에, D29철근 2개가 아랫부분에 두 줄로 배치되었다. 이 때 보의 공칭휨강도(Mn)은? (단, fck=28MPa, fy=400MPa이며 철근 D22 2본의 단면적은 774mm2, 철근 D29 2본의 단면적은 1285mm이다.)
80.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철근 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