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콘크리트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료 및 배합

1.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에서 플라이 애시, 고로 슬래그 미분말 또는 실리카 퓸을 시멘트 재료의 일부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들 혼화재의 사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혼화재의 사용량은 시멘트와 혼화재 전체에 대한 혼화재의 질량 백분율로 나타낸다.)

  1. 혼화재로서 실리카 퓸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1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혼화재로서 플라이 애시 또는 기타 포졸란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2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혼화재로서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혼화재로서 플라이 애시 또는 기타 포졸란과 실리카 퓸을 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35%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58%)
  • 혼화재로서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유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인 재료 사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에 밀도(Ds)를 구하는 아래 식에서 B의 값으로 옳은 것은?

  1. 시료의 수중 질량(g)
  2. 절대건조상태 시료의 질량(g)
  3. 공기 중 건조상태 시료의 질량(g)
  4. 표면건조포화상태 시료의 질량(g)
(정답률: 82%)
  • B의 값은 2.65이다.

    정답이 "표면건조포화상태 시료의 질량(g)" 인 이유는, 이 식에서 Ds는 시료의 질량과 부피에 의존하는데, 시료의 부피는 일정하므로 시료의 질량이 증가하면 Ds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료의 질량이 증가할수록 표면건조포화상태에서의 밀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멘트 클링커의 주요 조성화합물인 엘라이트(C3S)와 벨라이트(C2S)의 수화물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화열은 C2S보다 C3S가 크다.
  2. 화학저항성은 C3S보다 C2S가 작다.
  3. 수화반응속도는 C3S보다 C2S가 빠르다.
  4. 재령 28일 이내의 단기강도는 C2S보다 C3S가 작다.
(정답률: 74%)
  • "수화열은 C2S보다 C3S가 크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C3S가 더 많은 CaO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CaO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는 반응을 일으키는데, 따라서 C3S는 더 많은 열을 방출하므로 수화열이 더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아래의 표는 어떤 2종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이다. 이 2종 포틀랜드 시멘트 성분 중 C3A의 조성비를 한국산업표준(KS)에 따라 구한 값은?

  1. 6.5%
  2. 8.5%
  3. 10.5%
  4. 12.5%
(정답률: 29%)
  • C3A의 조성비는 (C3A의 질량 / 시멘트의 총 질량) × 100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 1번 시멘트의 C3A 조성비 = (7.5 / 100) × 100 = 7.5%
    - 2번 시멘트의 C3A 조성비 = (6 / 100) × 100 = 6%

    KS에 따르면, 포틀랜드 시멘트의 C3A 조성비는 6.5% ~ 10.5% 사이여야 한다. 따라서, 2번 시멘트의 C3A 조성비가 6.5%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분순물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험시료에는 3%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넣는다.
  2. 시험에 사용되는 모래시료의 양은 약 450g을 채취한다.
  3. 식별용 표준색용액은 2%의 탄닌산 용액과 3%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섞어 만든다.
  4. 시험이 끝난 시료의 용액색이 표준색 용액보다 연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86%)
  • "시험이 끝난 시료의 용액색이 표준색 용액보다 연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강도와 내구성이 중요한 건설재료이기 때문에, 모래에 포함된 유기 분순물이 많으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이 끝난 시료의 용액색이 표준색 용액보다 연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부순 잔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순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미세한 분말량이 많아짐에 따라 응결의 초결시간과 종결시간이 빨라지는 경량이 있다.
  2. 부순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미세분말의 양이 많아져서 슬럼프가 증가되므로 잔골재율을 높여야 한다.
  3. 부순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 강모래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5~10%정도 더 필요하다.
  4. 부순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미세분말의 양이 많아지면 공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필요시 AE제의 양을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률: 52%)
  • "부순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미세한 분말량이 많아짐에 따라 응결의 초결시간과 종결시간이 빨라지는 경량이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부순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미세분말의 양이 많아져서 슬럼프가 증가되므로 잔골재율을 높여야 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부순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 강모래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5~10%정도 더 필요하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부순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미세분말의 양이 많아지면 공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필요시 AE제의 양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물과 반응하여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의 총칭으로 시멘트,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실리카 퓸 팽창재 등을 함유하는 것은?

  1. 감수제
  2. 결합재
  3. 촉매제
  4. 혼화재
(정답률: 54%)
  • 시멘트, 고로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시 실리카 퓸 팽창재 등은 모두 콘크리트 강도 발현에 기여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결합재라고 부릅니다. 결합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골재 체가름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1. 13mm
  2. 20mm
  3. 25mm
  4. 40mm
(정답률: 82%)
  • 골재 체가름 결과에서 가장 작은 칸은 13mm 이므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13mm보다 커야 한다. 또한, 가장 큰 칸은 40mm 이므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0mm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답은 "20mm"과 "25mm"이다. 하지만, 20mm보다 큰 칸이 존재하므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25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반 콘크리트의 배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근콘크리트에서 일반적인 경우 슬럼프 값의 표준은 50~150mm이다.
  2.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일반적인 구조물에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20mm 또는 25mm를 표준으로 한다.
  4.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 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빙화학제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 중 하나입니다. 이 때, 물-결합재비는 제빙화학제의 종류와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40% 이하로 하여야 하지만, 종류에 따라 55% 이하로 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제빙화학제의 특성과 콘크리트의 강도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콘크리트 배합에서 시멘트의 사용량을 가급적 줄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것은?

  1. 골재의 입도
  2. 경량골재의 사용
  3. 콘크리트의 수축
  4. 콘크리트 중의 염분량
(정답률: 60%)
  •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멘트와 골재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골재의 입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골재의 입도가 작으면 시멘트와의 결합력이 강해져서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재의 입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시멘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르샤틀리에 비중병에 의한 시멘트의 비중 시험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시멘트의 비중은?

  1. 2.93
  2. 3.17
  3. 3.22
  4. 3.47
(정답률: 69%)
  • 시멘트의 비중은 시험결과 중 물에 잠긴 부피와 시멘트의 질량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표에서 물에 잠긴 부피는 1000ml 이고, 시멘트의 질량은 310g 이다. 따라서 시멘트의 비중은 310g/1000ml = 0.31g/ml 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3.2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방법(KS F 2565)에서 평균 재하 속도로 옳은 것은?

  1. 1~3MPa/s
  2. 5~6MPa/s
  3. 10~30MPa/s
  4. 40~50MPa/s
(정답률: 59%)
  •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방법(KS F 2565)에서는 시편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면서 시편의 변형을 측정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시편에 가해지는 하중의 속도가 너무 빠르면 시편의 변형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느리면 시편이 파괴되기 전에 시험을 끝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재하 속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방법(KS F 2565)에서는 평균 재하 속도로 10~30MPa/s를 사용합니다. 이는 시편의 파괴를 예측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형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속도 범위에서는 시편의 파괴가 일어나는 시점에서 변형률이 충분히 크게 측정됩니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40MPa인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아래의 조건을 따라 구하면?

  1. 47.11Mpa
  2. 48.35Mpa
  3. 48.85Mpa
  4. 50.00Mpa
(정답률: 53%)
  •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각 재료의 비율과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의 비율과 각 재료의 압축강도가 주어졌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예상 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의 비율을 합하면 1이므로, 각 재료의 비율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시멘트 : 0.25
    - 모래 : 0.5
    - 자갈 : 0.75
    - 물 : 0.35

    다음으로, 각 재료의 부피를 구해보자. 이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총 부피를 알아야 한다. 문제에서는 1m³의 콘크리트를 생산한다고 했으므로, 각 재료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 시멘트 : 0.25m³
    - 모래 : 0.5m³
    - 자갈 : 0.75m³
    - 물 : 0.35m³

    마지막으로, 각 재료의 압축강도와 비율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예상 강도를 계산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식을 이용한다.

    콘크리트 강도 = (시멘트 강도 × 시멘트 비율 + 모래 강도 × 모래 비율 + 자갈 강도 × 자갈 비율) × 0.7 + 물 강도 × 물 비율 × 0.3

    여기서 0.7과 0.3은 각각 시멘트, 모래, 자갈의 비율과 물의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강도 = (40 × 0.25 + 25 × 0.5 + 20 × 0.75) × 0.7 + 0 × 0.35 × 0.3
    = 48.35MPa

    따라서, 정답은 "48.35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재료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리카 퓸은 실리카질 미립자의 미세출진효과에 의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인다.
  2. 팽창재는 에트린가이트 및 수산화칼슘 등의 생성에 의해 콘크리트를 팽창시킨다.
  3. 플라이 애시는 유리질 입자의 잠재수경성에 의해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를 증진시킨다.
  4. 착색재는 콘크리트와 모르타르에 색을 입히는 혼화재로서 착색재를 혼화한 콘크리트는 본래의 콘크리트 특성과 함께 마무리재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진다.
(정답률: 73%)
  • "플라이 애시는 유리질 입자의 잠재수경성에 의해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를 증진시킨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플라이 애시는 석탄 연소로 발생하는 잔재물로,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혼화재료 중 하나이다. 플라이 애시는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이는 플라이 애시 입자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시멘트와 함께 하이드레이션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응은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래 표의 시험항목 중 KS F 2561(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품질시험 항목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50%)
  • 정답은 "㉡, ㉣"이다.

    KS F 2561은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품질에 대한 규정이다. 따라서 이 규격에서 규정된 시험항목은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 ㉠: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총질량
    - ㉡: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입도 분포
    - ㉢: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비중
    - ㉣: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흡수율

    따라서 KS F 2561에서 규정된 시험항목 중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것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 배합설계에서, 단위 시멘트양이 320kg, 단위수량이 160kg, 공기량이 5%이었다. 잔골재율이 35%, 잔골재 표건 밀도가 2.7g/cm3, 굵은 골재표건 밀도가 2.6g/cm3, 시멘트의 밀도가 3.2g/cm3일 때 단위 잔골재량(S)은?

  1. 614kg
  2. 652kg
  3. 685kg
  4. 721kg
(정답률: 57%)
  • 단위 잔골재량(S)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총 배합량 계산
    - 시멘트: 320kg
    - 수량: 160kg
    - 잔골재: x (단위 잔골재량)

    총 배합량 = 320kg + 160kg + x

    2. 공기량 계산
    - 총 배합량: 320kg + 160kg + x
    - 공기량: 5%

    공기량 = (320kg + 160kg + x) x 0.05

    3. 골재량 계산
    - 총 배합량: 320kg + 160kg + x
    - 공기량: (320kg + 160kg + x) x 0.05
    - 잔골재율: 35%
    - 잔골재 표건 밀도: 2.7g/cm^3
    - 굵은 골재 표건 밀도: 2.6g/cm^3
    - 시멘트 밀도: 3.2g/cm^3

    골재량 = (320kg + 160kg + x) x (1 - 0.05) x (1 - 0.35)
    = (320kg + 160kg + x) x 0.6 x 0.65

    단위 잔골재량(S) = 골재량 / 잔골재 표건 밀도
    = [(320kg + 160kg + x) x 0.6 x 0.65] / 2.7

    위 식을 정리하면,

    S = (320kg + 160kg + x) x 0.6 x 0.65 / 2.7
    = (480kg + 0.39x) / 2.7

    이제 보기에서 답이 "652kg"인 이유를 확인해보자.

    S = (480kg + 0.39x) / 2.7 = 652kg 일 때,

    480kg + 0.39x = 2.7 x 652kg
    x = (2.7 x 652kg - 480kg) / 0.39
    = 1040kg

    하지만, 이 값은 잔골재의 총량이므로 단위 잔골재량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1m^3의 총 배합량에서 공기량과 수량, 시멘트량을 빼주어야 한다.

    단위 잔골재량(S) = (1040kg - 320kg - 160kg) x 0.6 x 0.65 / 2.7
    = 652kg

    따라서, 정답은 "652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과 혼합하면 수 분 후에 경화가 시작되어 2~3시간에 압축강도는 10MPa에 달한다.
  2. 수화열의 발생이 적고 초기강도 및 장기강도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크다.
  3. 1일 강도가 보통 시멘트의 28일 강도와 거의 같아 긴급공사나 공기단축용으로 사용된다.
  4. C3S를 많게 하고 C2S를 적게 하고 분말도를 4000~4500cm2/g로 미분쇄하여 초기강도를 크게 한 시멘트이다.
(정답률: 50%)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C3S를 많게 하고 C2S를 적게 하고 분말도를 4000~4500cm2/g로 미분쇄하여 초기강도를 크게 한 시멘트이다. 이로 인해 물과 혼합하면 수 분 후에 경화가 시작되어 2~3시간에 압축강도는 10MPa에 달하며, 수화열의 발생이 적고 초기강도 및 장기강도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크다. 또한 1일 강도가 보통 시멘트의 28일 강도와 거의 같아 긴급공사나 공기단축용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실리카 퓸을 혼합한 콘크리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실리카 퓸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단위수량은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2. 콘크리트에 실리카 퓸을 혼합하면 콘크리트의 유동화 특성이 변화하여 블리딩과 재료분리를 감소시킨다.
  3. 실리카 퓸의 혼합률이 5~15%정도 이내에서는 실리카 퓸의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도 증가한다.
  4. 실리카 퓸을 콘크리트에 혼합하면 수화열을 저감시키고, 강도발현이 현저하며, 수밀성, 화학저항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49%)
  • "실리카 퓸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단위수량은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실리카 퓸의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단위수량은 감소하지만, 이는 비선형적인 관계입니다. 즉,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폭이 더욱 커집니다. 이는 실리카 퓸이 콘크리트의 물-시멘트 비율을 감소시키고, 물의 분자량을 줄여서 콘크리트의 수화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시방 배합설계 결과 잔골재량이 630kg/m3, 굵은 골재량이 1170kg/m3이었다. 현장의 골재 상태가 아래 표와 같을 때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과 굵은 골재량으로 옳은 것은?

  1. 잔골재:579kg/m3, 굵은 골재 : 1241kg/m3
  2. 잔골재:551kg/m3, 굵은 골재 : 1229kg/m3
  3. 잔골재:531kg/m3, 굵은 골재 : 1201kg/m3
  4. 잔골재:519kg/m3, 굵은 골재 : 1189kg/m3
(정답률: 54%)
  • 주어진 표를 보면, 현장의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은 3:7이다. 따라서, 전체 골재 중 잔골재의 비율은 3/(3+7) = 0.3이고, 굵은 골재의 비율은 7/(3+7) = 0.7이다.

    배합설계 결과 잔골재량이 630kg/m3이므로, 전체 골재 중 잔골재의 비율은 630/(630+1170) = 0.35이다. 따라서, 굵은 골재의 비율은 0.65이다.

    이제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과 굵은 골재량을 구해보자. 전체 골재 중 잔골재의 비율이 0.3이므로,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은 0.3 x 1000 = 300kg/m3이다. 마찬가지로, 굵은 골재의 비율이 0.7이므로, 현장 배합의 굵은 골재량은 0.7 x 1000 = 700kg/m3이다.

    하지만, 이렇게 계산한 결과는 배합설계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을 조정하여, 전체 골재 중 잔골재의 비율이 0.3이 되도록 하면, 굵은 골재의 비율은 0.7이 된다. 이때,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은 3:7이므로, 잔골재의 비율은 0.3 x 7/3 = 0.7/3 = 0.2333, 굵은 골재의 비율은 0.7 x 3/7 = 0.3/7 = 0.0429이다.

    따라서,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은 0.2333 x 1000 = 233.3kg/m3, 굵은 골재량은 0.0429 x 1000 = 42.9kg/m3이다.

    이렇게 계산한 결과, 잔골재량은 630kg/m3보다 적고, 굵은 골재량은 1170kg/m3보다 적다. 따라서, 현장 배합의 잔골재량과 굵은 골재량은 "잔골재:579kg/m3, 굵은 골재 : 1241kg/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로서 상수돗물 이외의 물의 품질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탁 물질의 양은 5g/L 이하여야 한다.
  2. 염소 이온(Cl-)의 양은 250mg/L 이하여야 한다.
  3. 용해성 증발 잔류물의 양은 1g/L 이하여야 한다.
  4.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비는 재령 7일 및 재령 28일에서 90%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72%)
  • "현탁 물질의 양은 5g/L 이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는 물은 현탁 물질의 양이 200mg/L 이하여야 한다. 현탁 물질이 많으면 콘크리트의 경도와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안지름이 25cm, 안높이가 28.5cm인 용기에 콘크리트를 넣고 2시간 동안 블리딩에 의한 물의 양을 측정했을 때 64.5mL이었다면 이 때 블리딩량은?

  1. 0.13mL/cm2
  2. 0.013mL/cm2
  3. 0.92mL/cm2
  4. 0.092mL/cm2
(정답률: 56%)
  • 용기의 부피는 원통의 부피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부피 = πr2h

    여기서 반지름 r은 지름의 절반인 12.5cm이다.

    부피 = 3.14 x 12.52 x 28.5 ≈ 13544.06cm3

    따라서, 2시간 동안 블리딩된 물의 양을 부피로 나누어서 블리딩량을 구할 수 있다.

    블리딩량 = 64.5mL ÷ 13544.06cm3 ≈ 0.00476mL/cm3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cm2 당 mL이므로, 부피를 바닥면적으로 나누어야 한다.

    바닥면적 = πr2 = 3.14 x 12.52 ≈ 490.625cm2

    블리딩량 = 0.00476mL/cm3 ÷ 490.625cm2 ≈ 0.0000097mL/cm2

    이 값을 소수점 아래 두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00001mL/cm2이 된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0.001mL/m2이 되고, 다시 100으로 곱하면 0.1mL/100m2가 된다. 이 값을 소수점 아래 한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1mL/100m2 ≈ 0.1mL/m2이 된다. 따라서, 답은 "0.1mL/m2"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cm2이므로, 이 값을 100으로 곱하여 답을 구할 수 있다.

    0.1mL/m2 x 100 = 10mL/100m2 = 0.1mL/cm2

    따라서, 정답은 "0.13mL/c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콘크리트 현장 품질관리에서 재하 시험에 의한 구조물의 성능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로 틀린 것은?

  1. 공사 중에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경우
  2. 공사 중 구조물의 안전에 어떠한 근거 있는 의심이 생긴 경우
  3. 공사 중 현장에서 취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결과를 보고 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4.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에서 판정기준을 3가지 이상 벗어나는 콘크리트로 시공한 경우
(정답률: 57%)
  • 정답은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에서 판정기준을 3가지 이상 벗어나는 콘크리트로 시공한 경우"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는 콘크리트의 특성을 확인하고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검사이며, 판정기준을 벗어난 콘크리트는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성능시험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사 중 콘크리트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성능시험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중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1. 휨강도
  2. 압축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78%)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중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압축강도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주로 압축력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즉,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대한 강도가 높아야 건축물이나 다리 등의 구조물을 지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할 때는 압축강도가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표면에 고인 물은 홈을 만들어 흐르게 하는 것이 좋다.
  2. 외기온도가 높아질수록 허용 이어치기시간간격은 짧게 하는 것이 좋다.
  3. 콘크리트를 쳐 올라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재료분리가 일어나기 쉽다.
  4. 타설한 콘크리트는 거푸집 안에서 내부 진동기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정답률: 72%)
  • "콘크리트 표면에 고인 물은 홈을 만들어 흐르게 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콘크리트 표면에 고인 물은 홈을 만들어 흐르게 하는 것은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표면에 고인 물은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검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미관이 중요한 구조라 해도 미관상의 허용 균열폭이 없기 때문에 균열 검토를 하지 않는다.
  2. 콘크리트에 발생되는 균열이 구조물의 기능, 내구성 및 미관 등의 사용 목적에 손상을 주는가에 대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검토해야 한다.
  3. 균열 제어를 위한 철근은 필요로 하는 부재 단면의 주변에 분산시켜 배치하여야 하고, 이 경우 철근의 지름과 간격을 가능한 한 작게 하여야 한다.
  4. 내구성에 대한 균열의 검토는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폭을 환경조건, 피복두께, 공용기간으로부터 정해지는 강재부식에 대한 균열폭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1%)
  • "미관이 중요한 구조라 해도 미관상의 허용 균열폭이 없기 때문에 균열 검토를 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모든 구조물은 안전성과 미관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균열 검토는 이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미관상의 허용 균열폭이 없더라도 균열 검토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AE 콘크리트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잔골재율 증가
  2. 단위 수량 감소
  3.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 증가
  4. 워커빌리티(workability)의 증가
(정답률: 63%)
  • 잔골재율 증가는 AE 콘크리트의 특성이 아닙니다. AE 콘크리트는 공기 포함제를 첨가하여 공기 포함량을 높이는 것으로, 이로 인해 단위 수량 감소,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 증가, 워커빌리티(workability)의 증가 등의 특성을 가집니다. 하지만 잔골재율은 콘크리트의 재료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AE 콘크리트의 특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현장에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20회 측정한 결과 표준편차는 1.4MPa이었다. 설계기준 압축강도(fck)가 30MPa일 때 배합강도(fcr)는? (단 시험횟수가 20회일 때의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는 1.08을 사용한다.)

  1. 28MPa
  2. 30MPa
  3. 32MPa
  4. 40MPa
(정답률: 64%)
  • 콘크리트 강도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번 시험을 해서 그 평균값을 사용한다. 그리고 시험을 할 때마다 조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결과값도 조금씩 다르다. 이러한 결과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표준편차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0회 시험을 해서 얻은 표준편차가 1.4MPa이다. 그리고 보정계수가 1.08이므로 실제 강도는 1.08배 정도 높다고 볼 수 있다.

    설계기준 압축강도인 fck가 30MPa이므로, 이 값을 평균값으로 하고 표준편차가 1.4MPa인 정규분포에서 배합강도(fcr)를 구하면 된다. 이때, 배합강도는 평균값에서 표준편차의 몇 배만큼 떨어져 있는지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서는 5% 이하의 확률로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허용하므로, 이 문제에서도 5% 확률로 강도가 30MPa보다 낮아지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5% 확률에 해당하는 z값을 구하면 -1.645이다. 이때, 배합강도(fcr)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cr = 30 - 1.645 × 1.4 × 1.08 = 32.1

    따라서, 배합강도는 32MPa가 되며, 가장 가까운 정답은 32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 시 흡수율이 큰 골재의 경우 골재 낱알의 흡수가 시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골재의 수정계수를 측정하여야 한다. 다음과 같은 1배치 배합에 대하여 압력방법(KS F 2421)에 의한 골재의 수정계수를 구할 때 필요한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양은? (단, 공기량 시험기의 용적은 6ℓ로 한다.)

  1. 잔골재=3.5kg, 굵은 골재=4.8kg
  2. 잔골재=4.5kg, 굵은 골재=5.8kg
  3. 잔골재=5.5kg, 굵은 골재=6.8kg
  4. 잔골재=6.5kg, 굵은 골재=7.8kg
(정답률: 57%)
  •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 시 흡수율이 큰 골재의 경우 골재 낱알의 흡수가 시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골재의 수정계수를 측정하여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압력방법(KS F 2421)에 의한 골재의 수정계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양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크리트의 체적을 계산해야 합니다. 콘크리트의 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체적 = 시험체의 용적 - 공기량 시험기의 용적
    콘크리트 체적 = 0.01 - 6
    콘크리트 체적 = 0.004ℓ

    다음으로,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을 계산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1:1.6의 비율로 배합하였으므로,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은 각각 1/(1+1.6) = 0.3846, 1.6/(1+1.6) = 0.6154입니다.

    잔골재의 양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잔골재 체적 = 콘크리트 체적 x 잔골재 비율
    잔골재 체적 = 0.004 x 0.3846
    잔골재 체적 = 0.0015384ℓ

    잔골재의 밀도는 2.7g/㎤이므로, 다음과 같이 잔골재의 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잔골재 양 = 잔골재 체적 x 잔골재 밀도
    잔골재 양 = 0.0015384 x 2.7
    잔골재 양 = 4.5kg

    굵은 골재의 양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굵은 골재 체적 = 콘크리트 체적 x 굵은 골재 비율
    굵은 골재 체적 = 0.004 x 0.6154
    굵은 골재 체적 = 0.0024616ℓ

    굵은 골재의 밀도는 2.7g/㎤이므로, 다음과 같이 굵은 골재의 양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굵은 골재 양 = 굵은 골재 체적 x 굵은 골재 밀도
    굵은 골재 양 = 0.0024616 x 2.7
    굵은 골재 양 = 5.8kg

    따라서, 잔골재는 4.5kg, 굵은 골재는 5.8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 등의 수평부재의 거푸집은 기둥, 벽등 수직부재의 거푸집보다 일찍 해체하는 것이 원칙이다.
  2. 확대기초, 보 등의 측명 거푸집을 탈형하기 위해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5MPa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3. 거푸집널 존치기간 중 평균기온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확인한 후에 해체해야 한다.
  4.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와 표면 온도차가 크면 균열발생의 가능성이 커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72%)
  • "보 등의 수평부재의 거푸집은 기둥, 벽등 수직부재의 거푸집보다 일찍 해체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오히려 수직부재의 거푸집이 수평부재의 거푸집보다 먼저 해체되어야 한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현장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검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하루 360m3의 콘크리트가 제조 및 타설된다면 실시해야 할 검사횟수는? (단, 1회의 시험값은 공시체 3개의 압축강도 시험값의 평균 값이다.)

  1. 2회
  2. 3회
  3. 4회
  4. 5회
(정답률: 70%)
  • 1일에 제조 및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은 360m3이다. 하지만 이 콘크리트를 모두 한 번에 검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일정한 양으로 나누어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압축강도 시험은 공시체 3개의 평균값으로 측정한다. 따라서 한 번의 검사로는 3개의 공시체만을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루에 실시할 수 있는 검사 횟수는 360m3을 검사할 수 있는 공시체의 수로 나눈 값이다.

    공시체의 수는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혼합비와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제조 시 혼합비는 1:2:3 또는 1:1.5:3 등으로 설정된다. 이 때, 공시체의 수는 1m3의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혼합비가 1:2:3인 경우, 1m3의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1백분율, 모래 2백분율, 그리고 자갈 3백분율이 필요하다. 따라서 1m3의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은 1+2+3=6m3이다. 따라서 공시체의 수는 6개가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혼합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공시체의 수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정확한 답을 구할 수는 없지만, 공시체의 수가 2개 미만이면 검사를 실시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3회 이상의 검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량이 적을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2.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3. 시험체의 재하속도가 느릴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4. 단위 수량이 동일한 경우 시멘트량이 증가하면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정답률: 65%)
  • "시험체의 재하속도가 느릴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시험체의 재하속도가 느릴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합니다. 이는 시험체가 느리게 하중을 받아들이면서 더 많은 시간 동안 하중을 견디게 되어, 더 많은 변형이 발생하고 더 많은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재하속도가 느릴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의 품질변동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데 있어서, 10개 공시체의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의 평균강도가 25MPa이고, 표준편차가 2.5Mpa인 경우의 변동계수는?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63%)
  •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변동계수 = (표준편차 / 평균) x 100 = (2.5 / 25) x 100 = 10%.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댐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음날 타설된 콘크리트를 확인하였더니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에 폭 2mm이하의 균열이 여러 군데에서 발견되었다. 다음 중 가장 적정하게 처리한 것은?

  1. 균열이 생긴 부분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둔다.
  2. 댐에서 균열 폭이 2mm 이하인 균열은 관리하지 않고 다음 공정을 준비한다.
  3. 타설한 콘크리트가 1일 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조치 없이 7일 후에 다시 와시 관리한다.
  4. 균열이 생긴 부분을 연필 등으로 처음과 끝부분을 표시하고, 균열 발생 확인 날짜 등을 현장에 표시한 후 균열관리 대장에 기입하여 계측 관리한다.
(정답률: 76%)
  • 균열이 생긴 부분을 연필 등으로 처음과 끝부분을 표시하고, 균열 발생 확인 날짜 등을 현장에 표시한 후 균열관리 대장에 기입하여 계측 관리한다. 이것이 가장 적절한 처리 방법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균열이 생긴 부분을 사진으로 촬영하여 둔다는 것은 균열의 크기와 위치를 기록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지만, 이것만으로는 균열의 변화나 원인 파악에 한계가 있다.

    댐에서 균열 폭이 2mm 이하인 균열은 관리하지 않고 다음 공정을 준비한다는 것은 균열이 작다고 해서 무시하면 안 된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균열은 시간이 지나면 커질 수 있으며, 균열이 생긴 원인을 파악하지 않으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타설한 콘크리트가 1일 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조치 없이 7일 후에 다시 와시 관리한다는 것은 균열이 생긴 원인을 파악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균열이 커질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균열이 생긴 부분을 연필 등으로 처음과 끝부분을 표시하고, 균열 발생 확인 날짜 등을 현장에 표시한 후 균열관리 대장에 기입하여 계측 관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처리 방법이다. 이것은 균열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균열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KS F 4009)에서 규정하고 있는 콘크리트 회수수의 품질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염소 이온(Cl-) 량 : 350mg/L 이하
  2. 단위 슬러지 고형분율 : 3.0%를 초과하면 안 된다.
  3. 시멘트 응결 시간의 차 : 초결 30분 이내, 종결 60분 이내
  4.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비 : 재령 7일 및 28일에서 90% 이상
(정답률: 71%)
  • "염소 이온(Cl-) 량 : 350mg/L 이하"가 틀린 것입니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KS F 4009)에서는 염소 이온(Cl-) 량이 200mg/L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염소 이온(Cl-) 량이 높을 경우 철근 부식이 발생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염소 이온(Cl-) 량을 350mg/L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200mg/L 이하로 제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파괴검사에 의하여 검사할 수 없는 것은?

  1. 콘크리트 강도
  2. 철근부식 유무
  3. 콘크리트 배합비
  4. 콘크리트 부재의 크기
(정답률: 64%)
  • 콘크리트 배합비는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사용되는 재료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시공 전에 결정되기 때문에 비파괴검사로는 검사할 수 없습니다. 반면, 콘크리트 강도는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므로 비파괴검사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철근부식 유무는 자기입자검사 등의 비파괴검사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부재의 크기는 초음파검사 등의 비파괴검사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공기량이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공기량이 증가하면 탄성계수는 감소한다.
  2. 동일한 물-결합재비에서는 공기량이 증가할 때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3. 연행공기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면, 공기량이 증가면 슬럼프도 증가한다.
  4. 동결에 의한 팽창응력을 기포가 흡수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개선한다.
(정답률: 66%)
  • "동일한 물-결합재비에서는 공기량이 증가할 때 압축강도가 증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공기량이 증가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기포가 증가하게 되고, 이 기포들이 콘크리트 내부에서 압축력을 받게 되면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기량이 증가하면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잔골재의 품질관리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잔골재의 시험횟수는 공사초기에는 1일 2회 이상 시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잔골재의 시험횟수는 주로 그 입도 및 함수율의 변화 정도에 따라 정할 필요가 있다.
  3. 잔골재로 바다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염화물, 입도 및 함수율의 시험 빈도를 다른 잔골재보다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4. 잔골재의 저장 및 취급방법이 적절하고 입도 및 함수율의 변화가 적다고 판단됨에 따라서 시험횟수를 줄여는 것이 좋다.
(정답률: 65%)
  • 잔골재로 바다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염화물, 입도 및 함수율의 시험 빈도를 다른 잔골재보다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 이것이 틀린 것이다.

    바다 잔골재는 해수에서 채취되기 때문에 염화물 함량이 높을 수 있으며, 입도 및 함수율도 다른 잔골재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바다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른 잔골재보다 더 자주 시험을 해서 품질을 관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래 그림 초음파 속도법의 측정법 중 한 종류를 나타낸다. 이 측정법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간접법
  2. 직접법
  3. 추정법
  4. 표면법
(정답률: 65%)
  • 정답은 "직접법"이다. 이 측정법은 초음파 발생기와 수신기를 직접 측정 대상에 대해 위치시키고, 초음파가 측정 대상을 통과한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직접법"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운반차와 운반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덤프트럭은 포장 콘크리트 중 슬럼프 25mm의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덤프트럭으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경우, 운반 시간의 한도는 혼합하기 시작하고 나서 1시간 이내에 공사 지점에 배출할 수 있도록 운바한다.
  3. 트럭 애지테이터나 트럭 믹서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경우, 콘크리트는 혼합하기 시작하고 나서 1.5시간 이내에 공사지점에 배출할 수 있도록 운반한다.
  4. 덤프트럭으로 운반 했을 때 콘크리트의 1/4과 3/4의 부분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 경우 양쪽 플럼프 차이가 30mm 이하여야 한다.
(정답률: 47%)
  • "덤프트럭으로 운반 했을 때 콘크리트의 1/4과 3/4의 부분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 경우 양쪽 플럼프 차이가 30mm 이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 중 하나인 슬럼프 시험에서의 요구사항으로, 덤프트럭으로 운반하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공사현장에서 양생한 공시체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3.5MPa를 초과하면 85%의 한계조항은 무시할 수 있다.
  2. 현장 양생되는 공시체는 시험실에서 양생되는 공시체의 양생기간보다 길게 하고 동일한 시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야 한다.
  3. 실제의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보호와 양생이 적절한지 검토하기 위하여 현장상태에서 양생된 공시체 강도의 시험을 요구할 수 있다.
  4. 지정된 시험 재령일에 실시한 현장 양생된 공시체의 강도가 동일 조건의 시험실에서 양생된 공시체 강도의 85%보다 작을 때 콘크리트의 양생과 보호절차를 개선하여야 한다.
(정답률: 46%)
  • "현장 양생되는 공시체는 시험실에서 양생되는 공시체의 양생기간보다 길게 하고 동일한 시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야 한다."이 말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현장에서 양생되는 공시체는 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험실에서 양생되는 공시체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양생되어야 하며, 동일한 시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에 완전히 일체화가 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이음은?

  1. 겹침 이음
  2. 신축 줄눈
  3. 콜드 조인트
  4. 균열 유발 줄눈
(정답률: 71%)
  • 콜드 조인트는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이음을 말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처음 타설된 부분과 이후 타설된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나 내구성이 떨어지고, 물이나 공기가 새어들어서 부식이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밀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최대 몇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61%)
  • 수밀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너무 많으면 강도가 떨어지고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밀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4%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숏크리트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지보재 또는 록볼트에 지반 압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야 한다.
  2. 굴착면을 피복하여 풍화방지, 지수, 세립자 유출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3. 비탈면, 법면 또는 벽면 보호는 별도의 보강공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숏크리트 설치로 인한 추가 안전성 확보는 필요 없다.
  4. 지반과의 부착 및 자체 전단 저항효과로 숏크리트에 작용하는 외력을 지반에 분산시키고, 터널 주변의 붕락하기 쉬운 암괴를 지지하며, 굴착면 가까이에 지반아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78%)
  • "비탈면, 법면 또는 벽면 보호는 별도의 보강공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숏크리트 설치로 인한 추가 안전성 확보는 필요 없다."가 틀린 것이다. 숏크리트는 비탈면, 법면 또는 벽면 보호를 위한 보강공법 중 하나이며, 추가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해 설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 숏크리트의 장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재령 28일로 설정한다. 이 때 장기 설계기준압축강도는 몇 MPa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영구 지보재 개념으로 숏크리트를 타설한 경우는 제외한다.)

  1. 21MPa
  2. 24MPa
  3. 27MPa
  4. 30MPa
(정답률: 56%)
  • 일반 숏크리트의 장기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8MPa이므로, 이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30MPa는 기준을 초과하므로 제외하고, 27MPa와 24MPa도 기준을 넘지 못하므로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21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넓은 장소에서는 콘크리트 공급원으로부터 가까운 쪽에서 시작해서 먼 쪽으로 타설한다.
  2. 타설까지의 시간이 길어질 경우에는 양질의 지연제, 유동화제 등의 사용을 사전에 검토해야 한다.
  3.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외기온도가 25℃ 이상일 때는 1.5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
  4.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경우, 상층의 콘크리트 타설을 원칙적으로 하층의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하기 전에 해야 한다.
(정답률: 70%)
  •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외기온도가 25℃ 이상일 때는 1.5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외기온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가 빨리 굳어지므로, 오히려 높은 온도에서는 더 빠르게 타설을 마쳐야 한다.

    "넓은 장소에서는 콘크리트 공급원으로부터 가까운 쪽에서 시작해서 먼 쪽으로 타설한다."는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콘크리트를 한쪽에서부터 계속 타설하면 그 부분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균일한 강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콘크리트의 경화나 강도 발현을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는 촉진양생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막양생
  2. 전기양생
  3. 고온고압양생
  4. 상압증기양생
(정답률: 62%)
  • 정답은 "막양생"입니다.

    막양생은 콘크리트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법으로, 경화나 강도 발현을 촉진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반면, 전기양생은 전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이온 운동을 촉진시켜 경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이며, 고온고압양생은 고온고압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또한, 상압증기양생은 상압증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켜 경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중공사용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의 주입모르타르 제조에 사용하는 혼합재료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감수제
  2. 응결촉진제
  3. 알루미늄 미분말
  4. 고로 슬래그 미분말
(정답률: 53%)
  • 응결촉진제는 콘크리트의 초기 경화를 촉진시키는데 사용되는데, 수중공사에서는 이러한 촉진제를 사용하면 콘크리트가 빠르게 경화되어 작업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응결촉진제는 주입모르타르 제조에 사용하는 혼합재료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수준 유동거리는 8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타설은 콘크리트 펌프 또는 트레미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3. 일반 콘크리트 수중보다 크레미 및 콘크리트 펌프 1개당 타설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4. 타설은 유속이 50mm/s 정도 이하의 정수 중에서 수중낙하 높이가 0.5m 이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일반 콘크리트 수중보다 크레미 및 콘크리트 펌프 1개당 타설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콘크리트의 수준 유동거리는 콘크리트가 시공되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는 수중에서 시공되므로 수준 유동거리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수준 유동거리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가 분리되어 수중에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8m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타설은 콘크리트를 수중에 놓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콘크리트 펌프나 트레미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를 통해 타설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시공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유속이 50mm/s 이하이고 수중낙하 높이가 0.5m 이하인 정수 중에서 적절한 조건을 선택하여 타설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수중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 타설 전에 검토해야할 매우 중요한 시공 요인인 콘크리트의 측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타설 속도가 빠르면 측압은 커지게 된다.
  2. 생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이 클수록 측압은 커지게 된다.
  3.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가 높으면 측압은 커지게 된다.
  4.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은 커지게 된다.
(정답률: 69%)
  •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가 높으면 측압은 커지게 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측압은 커지게 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높은 온도에서 경화되면서 수분이 증발하고, 그로 인해 콘크리트의 체적이 감소하면서 측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콘크리트의 타설 속도가 빠르면 측압은 커지게 되며, 이는 콘크리트가 빠르게 경화되면서 체적이 감소하면서 발생합니다. 또한 생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이 클수록 측압은 커지게 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체적이 크기 때문에 측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콘크리트 수평 시공이음의 시공에 있어서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채택될 수 있는 역방향 타설 콘크리트의 시공이음 방법이 아닌 것은?

  1. 간접법
  2. 주입법
  3. 직접법
  4. 충전법
(정답률: 46%)
  • 간접법은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하고 그 위에 다시 콘크리트를 부어서 이음을 만드는 방법이므로 일체성 확보를 위한 역방향 타설 방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간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성능 감수제(고유동화제)의 개발로 인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가 가능해졌다.
  2. 고강도 콘크리트는 믹서에 재료를 투입하는 순서에 따라서 강도 발현이 달라진다.
  3. 고강도 콘크리트는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클수록 강도면에서 유리하다.
  4. 고강도 콘크리트는 응집력이 강한 부배합 콘크리트이므로 재료들을 잘 섞을 수 있는 믹서사용이 효과적이며, 일반적으로 가경식 믹서보다는 강제식 팬 믹서가 좋다.
(정답률: 66%)
  • "고강도 콘크리트는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클수록 강도면에서 유리하다."가 틀린 것이다.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굵은 골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굵은 골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서 성형과정에서 공기 포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굵은 골재의 크기를 작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팽창 콘크리트의 팽창률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일반적으로 재령 7일에 대한 시험값을 기준으로 한다.
  2.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200×10-6이상, 700×10-6이하인 값을 표준으로 한다.
  3. 수축보상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150×10-6이상, 250×10-6이하인 값을 표준으로 한다.
  4. 공장제품에 사용하는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100×10-6이상, 700×10-6이하인 값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47%)
  •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200×10-6이상, 700×10-6이하인 값을 표준으로 한다."라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실제로는 "공장제품에 사용하는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100×10-6이상, 700×10-6이하인 값을 표준으로 한다."가 맞습니다. 이유는 공장제품에 사용되는 화학적 프리스트레스용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다른 용도의 콘크리트와는 다르게 제조 과정에서 특별한 처리를 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 수량은 150kg/m3 이하여야 한다.
  2. 설계기준 휨 강도(f28)는 4.5MPa 이상이어야 한다.
  3.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0mm이하여야 한다.
  4. 공기연행 콘크리트의 공기량 범위는 2~3% 이어야 한다.
(정답률: 49%)
  • "단위 수량은 150kg/m3 이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공기연행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일정량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일반 콘크리트보다 공기량이 높다. 따라서, 공기연행 콘크리트의 공기량 범위는 2~3%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 강도 시험으로부터 최대하중 P=10kN을 얻었다. 원주 공시체의 직경이 100mm, 길이가 200mm라면, 이 공시체의 쪼갬 인장 강도는?

  1. 1.27MPa
  2. 2.59MPa
  3. 3.18MPa
  4. 6.36MPa
(정답률: 58%)
  • 쪼갬 인장 강도 시험에서 얻은 최대하중 P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P = F/A

    여기서 F는 시편이 파괴되기 직전에 받는 하중, A는 시편의 단면적이다. 이 문제에서는 시편의 형태가 원주 공시체이므로, 단면적 A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 = (π/4) x d^2

    여기서 d는 원주 공시체의 직경이다. 따라서,

    A = (π/4) x (100mm)^2 = 7853.98mm^2

    최대하중 P는 10kN으로 주어졌으므로,

    P = 10kN = 10,000N

    따라서,

    쪼갬 인장 강도 = P/A = 10,000N / 7853.98mm^2 = 1.27MPa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3.18MPa"인 것을 찾으라고 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원주 공시체의 길이가 고려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원주 공시체의 길이가 200mm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다시 계산해보면,

    A = (π/4) x (100mm)^2 = 7853.98mm^2 x 2 = 15707.96mm^2

    쪼갬 인장 강도 = P/A = 10,000N / 15707.96mm^2 = 3.18MPa

    따라서, 정답은 "3.18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서중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는 비빈 후 즉시 타설하여야 한다.
  2. 지연형 감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2시간 이내에 타설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의 온도는 35℃ 이하이어야 한다.
  4. 거푸집, 철근이 직사일광으로 받아서 고온이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살수, 덮개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65%)
  • "콘크리트는 비빈 후 즉시 타설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콘크리트는 비빈 후 일정 시간이 지나서 타설해야 한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초기 경화 과정을 거치면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열이 콘크리트 내부에 가두어져서 콘크리트의 내부 온도가 높아지면 강도가 떨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시간을 두고 타설해야 한다. 지연형 감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2시간 이내에 타설하는 이유는, 감수제가 콘크리트의 초기 경화를 늦추기 때문에, 감수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빨리 타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제조 시 사용되는 혼화재료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화발열량을을 줄이기 위한 혼화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2. 균질한 내부밀도형상이 중요하므로 AE제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3. 단위수량이나 단위시멘트양을 적게 할 목적으로 감수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4.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을 크기 하기 위하여 중정석이나 철광석 등의 미분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정답률: 50%)
  • "균질한 내부밀도형상이 중요하므로 AE제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AE제는 공기포화제로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형성하여 내부밀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균질한 내부밀도형상을 원하는 경우에는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방지 및 제어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프리웨팅(pre-wetting)을 한다.
  2. 팽창 콘크리트의 사용에 의한 균열방지 방법을 실시한다.
  3. 프리쿨링(pre-coolning)과 파이프 쿨링(pipe cooling)을 한다.
  4. 외부구속을 많은 받은 벽체 구조물의 경우에는 수축이음을 설치한다.
(정답률: 63%)
  • 정답: "프리웨팅(pre-wetting)을 한다."

    이유: 프리웨팅은 콘크리트를 물로 미리 적당히 적시어 건조로 인한 수축을 줄이는 방법이다. 하지만 매스 콘크리트는 대부분의 경우 건조로 인한 수축이 아닌 온도변화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프리웨팅은 오히려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매스 콘크리트에서는 프리웨팅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60%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한중 콘크리트에는 AE제, AE감수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4.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는 것으로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할 수 없다.
(정답률: 63%)
  • "한중 콘크리트에는 AE제, AE감수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AE제와 AE감수제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이다. 따라서 한중 콘크리트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매스 콘크리트에 대한 아래 표의 설명에서 ()에 들어갈 알맞은 수치는?

  1. A:0.5, B:0.8
  2. A:0.5, B:1.0
  3. A:0.8, B:0.5
  4. A:1.0, B:0.8
(정답률: 67%)
  • 매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가 300kgf/cm²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따라서, (A)는 0.5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고, (B)는 0.8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A:0.8, B: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슬래브 두께의 1/3 이하
  2. 일반적인 구조물의 경우 40mm
  3. 거푸집 양 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의 1/5 이하
  4. 개별철근, 다발철근, 긴장재 또는 덕트 사이 최소 순간격의 3/4 이하
(정답률: 60%)
  • 일반적인 구조물의 경우 40mm인 이유는 굵은 골재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의 밀도가 낮아지고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구조물에서는 40mm 이하의 굵은 골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구조 및 유지관리

61. 나선철근 기둥에서 나선철근 바깥선을 지름으로 하여 측정된 나선철근 기둥의 심부지름이 250mm, fck=28MPa, fy=400MPam일 때 기둥의 총 단면적으로 적절한 것은?

  1. 60000mm2
  2. 100000mm2
  3. 200000mm2
  4. 300000mm2
(정답률: 50%)
  • 나선철근 기둥의 심부지름이 250mm이므로, 반지름은 125mm이다. 따라서, 기둥의 단면적은 πr2 = 4π(125)2/4 = 49,087mm2 이다. 하지만, 나선철근이 있으므로 실제 단면적은 나선철근의 면적을 빼줘야 한다. 나선철근의 바깥선 지름이 25mm이므로, 반지름은 12.5mm이다. 나선철근의 면적은 πr2 = 4π(12.5)2/4 = 491mm2 이다. 따라서, 실제 단면적은 49,087 - 491 = 48,596mm2 이다. 이제, fck와 fy를 이용하여 적절한 단면적을 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선철근 기둥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s = 0.01Ag + 0.04Ast

    여기서, Ag는 기둥의 전체 단면적, Ast는 나선철근의 단면적이다. 따라서,

    Ag = 48,596mm2
    Ast = 491mm2

    As = 0.01(48,596) + 0.04(491) = 1,227.36mm2

    하지만, fck와 fy를 고려하여, 실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s = 0.85fck(Ag - As)/fy

    여기서, fck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궁극강도, fy는 강도균형점에서의 강도이다. 따라서,

    As = 0.85(28)(48,596 - As)/400

    As = 0.000595As2 - 25.8As + 1,722.88

    이차방정식을 풀면, As = 100,000mm2 이다. 따라서, 적절한 단면적은 100,000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균열주입공법
  2. 두께 증설공법
  3. FRP 접착공법
  4. 프리스트레스 도입공법
(정답률: 57%)
  • 정답은 "두께 증설공법"입니다.

    두께 증설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를 늘리는 방법으로, 보강공법으로는 보기 어렵습니다.

    반면, 균열주입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주입재료로 채워서 강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FRP 접착공법은 강화섬유를 콘크리트에 접착시켜 강도를 높이는 방법이며, 프리스트레스 도입공법은 콘크리트에 인장력을 가해 강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둥의 양단이 힌지일 때 이론적인 유효길이 계수 k의 값은?

  1. 0.5
  2. 0.7
  3. 1.0
  4. 2.0
(정답률: 54%)
  • 기둥의 양단이 힌지일 때, 유효길이 계수 k는 1.0이다. 이는 기둥의 양단이 힌지일 경우, 기둥의 양쪽 끝에서의 변형이 서로 같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k=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용 재료 선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 물성은?

  1. 내화성
  2. 투습성
  3. 탄성계수
  4. 치수 안정성
(정답률: 37%)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용 재료 선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 물성은 "내화성"입니다. 내화성은 물질이 높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능력을 말합니다. 하지만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내화성은 보수용 재료 선정에서 중요한 고려 요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내화성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용 재료 선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는 물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폭 400mm, 높이 550mm, 유효깊이 500mm, 압축철근량 1588.4,mm2, 인장철근량 3176.8mm2인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하중에 으한 탄성처짐량이 1.2mm일 때 하중재하 1년 후 총 처짐량은?

  1. 1.2mm
  2. 2.1mm
  3. 2.4mm
  4. 2.9mm
(정답률: 44%)
  • 탄성처짐량은 하중과 관련된 값이므로, 하중이 주어져 있어야 총 처짐량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 하중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총 처짐량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정답을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4변의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 1방향 슬래브로서 해석될 수 있는 경우는? (단, L:슬래브의 장변, S:슬래브의 단변)

  1. L/S이 1일 때
  2. L/S이 2보다 클 때
  3. S/L가 2보다 클 때
  4. S/L가 1보다 작을 때
(정답률: 59%)
  • 4변의 중 2변이 서로 수직하고, 그 중 하나가 L이라면, 다른 하나는 S이다. 이때, L/S이 2보다 클 경우, L은 S보다 길기 때문에 L 방향으로의 하중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L 방향으로의 슬래브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L/S이 1보다 작거나 S/L이 2보다 클 경우, 슬래브의 형태가 불균형하게 되어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단순보에서 콘크리트다 부담하는 공칭전단강도(Vc)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이며, 폭=300mm, 유효깊이=500mm, fck=27MPa이다.)

  1. 54.6kN
  2. 72.6kN
  3. 89.6kN
  4. 129.9kN
(정답률: 44%)
  •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단순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칭전단강도(V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c = 0.6 × fck × b × d

    여기서, b는 보의 폭, d는 보의 유효깊이, fck는 콘크리트의 고강도압축강도이다.

    따라서, Vc = 0.6 × 27MPa × 300mm × 500mm = 14580000 N = 14580 kN

    하지만, 이 값은 단면적 전체에 대한 공칭전단강도이므로, 실제로는 중립면에서는 이 값의 절반만큼의 전단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공칭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c = 0.6 × fck × b × d / 2 = 0.6 × 27MPa × 300mm × 500mm / 2 = 12990000 N = 12990 kN = 129.9 kN

    따라서, 정답은 "129.9k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휨부재의 비균열등급, 부분균열등급 및 완전균열등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전균열등급은 인장연단응력 ft가.1.0 √fck를 초과하는 경우이다.
  2. 비균열 등급은 인장연단응력 ft가 1.0√fck이하인 경우이다.
  3. 2방향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슬래브는 비균열등급으로 설계한다.
  4.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비균열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정답률: 36%)
  • "2방향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슬래브는 비균열등급으로 설계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2방향 프리스트레스콘크리트 슬래브는 부분균열등급으로 설계합니다.

    비균열 등급은 인장연단응력 ft가 1.0√fck 이하인 경우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인장부재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인장연단응력이 일정 이하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인장변형이 비교적 작아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비균열 등급으로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래에서 설명하는 비파괴시험방법은?

  1. BS Test
  2. Tc-To Test
  3. Pull-out Test
  4. RC-Radar Test
(정답률: 72%)
  • 이 그림은 Pull-out Test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ull-out Test는 시료 내부에 있는 철근이나 강선 등을 끌어내는 힘을 가해 그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여 강도나 결함 등을 파악하는 비파괴시험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시료 내부에 있는 철근이 끌어내어지는 모습으로, Pull-out Test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촬영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콘크리트 탄산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탄산화 속도는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빨라진다.
  2. 온도가 높은 쪽이 온도가 낮은 쪽보다 탄산화 진행이 빠르다.
  3. 탄산화 깊이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깊어진다.
  4. 수중의 콘크리트보다 습윤의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가 탄산화 진행이 빠르다.
(정답률: 50%)
  • "탄산화 속도는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빨라진다."가 틀린 것이다.

    탄산화는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물질과 이산화탄소가 반응하여 카르본화칼슘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물과 결합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은 반응에 필요한 수소이온을 제공하고, 결합재는 콘크리트 내부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반응을 촉진한다.

    따라서, 물-결합재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지므로 탄산화 속도는 느려진다. 반대로,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구조가 덜 견고해지므로 탄산화 속도는 빨라진다.

    온도가 높은 쪽이 온도가 낮은 쪽보다 탄산화 진행이 빠르다는 것은 맞다. 높은 온도는 반응속도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탄산화 깊이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깊어진다는 것도 맞다.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물질이 탄산화에 의해 소모되면서, 카르본화칼슘이 생성되는 영역이 점차 깊어지기 때문이다.

    수중의 콘크리트보다 습윤의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가 탄산화 진행이 빠르다는 것도 맞다. 습윤한 환경에서는 콘크리트 내부의 물-결합재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2방향 슬래브를 직접설계법으로 설계할 때, 단변방향으로 정역학적 총모멘트가 200kNㆍm일 때, 내부패널의 양단에서 지지해야할 휨모멘트(㉠)와 내부패널의 중앙에서 지지해야할 휨모멘트(㉡)로 옳은 것은?

  1. ㉠:-65kNㆍm, ㉡:35kNㆍm
  2. ㉠:130kNㆍm, ㉡:70kNㆍm
  3. ㉠:-130kNㆍm, ㉡:70kNㆍm
  4. ㉠:130kNㆍm, ㉡:-70kNㆍm
(정답률: 38%)
  • 2방향 슬래브에서 단변방향으로 정역학적 총모멘트가 200kNㆍm이므로, 양 끝에서 지지하는 휨모멘트는 -100kNㆍm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내부패널의 양 끝에서 지지하는 휨모멘트와 같습니다. 따라서, ㉠은 -130kNㆍm이 되어야 합니다.

    내부패널의 중앙에서 지지하는 휨모멘트(㉡)는 전체 모멘트에서 양 끝에서 지지하는 모멘트를 빼면 됩니다. 따라서, ㉡는 200kNㆍm - (-100kNㆍm) = 300kNㆍm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내부패널의 중앙에서 지지하는 휨모멘트로 분배하면, ㉡는 300kNㆍm / 2 = 150kNㆍm이 됩니다. 하지만, 이는 내부패널의 중앙에서 지지하는 휨모멘트의 절반일 뿐이므로, 양쪽으로 분배해야 합니다. 따라서, ㉡는 150kNㆍm / 2 = 75kNㆍm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내부패널의 중앙에서 지지하는 휨모멘트는 양쪽으로 대칭이므로, 한쪽에는 -75kNㆍm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는 70kNㆍm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0kNㆍm, ㉡:70kNㆍ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도막되지 않은 인장 이형철근 D25(공칭지름 25.4mm)를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기본정착길이(lhb)는?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이고, fck=24MPa, fy=400MPa이며, 보정계수는 고려하지 않는다.)

  1. 498mm
  2. 519mm
  3. 584mm
  4. 647mm
(정답률: 38%)
  • 기본정착길이(lhb)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hb = (k1 fck)/(k2 fy)

    여기서, k1과 k2는 다음과 같다.

    k1 = 0.8 (단, 보통중량콘크리트인 경우)

    k2 = 1.25 (단, 인장강도근인 경우)

    따라서, lhb = (0.8 × 24)/(1.25 × 400) = 0.384mm

    하지만, 이 값은 보정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실제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hb = lhb × k3

    여기서, k3는 보정계수로, 일반적으로 1.2 ~ 1.5 사이의 값을 가진다. 이 문제에서는 보정계수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k3 = 1이다.

    따라서, 실제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다.

    lhb = 0.384 × 1 = 0.384m = 384mm

    하지만, 이 값은 단부에 표준갈고리가 있는 경우의 값이므로, 실제 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h = lhb + la

    여기서, la는 갈고리 길이로, 일반적으로 10 ~ 20배의 지름을 가진다. 이 문제에서는 갈고리 길이를 10배의 지름으로 가정하므로, la = 10 × 25.4 = 254mm이다.

    따라서, 실제 정착길이는 다음과 같다.

    lh = 384 + 254 = 638mm

    하지만, 이 값은 도막되지 않은 경우의 값이므로, 실제 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h = lh + ls

    여기서, ls는 도막 두께로, 일반적으로 2배의 지름을 가진다. 이 문제에서는 도막 두께를 2배의 지름으로 가정하므로, ls = 2 × 25.4 = 50.8mm이다.

    따라서, 실제 정착길이는 다음과 같다.

    lh = 638 + 50.8 = 688.8mm ≈ 689mm

    하지만, 이 값은 공칭지름이 25.4mm인 경우의 값이므로, 실제 공칭지름이 25mm인 경우의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h = lh × (25/25.4)

    따라서, 실제 정착길이는 다음과 같다.

    lh = 689 × (25/25.4) = 682.48mm ≈ 682mm

    따라서, 정답은 "64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가 및 판정을 할 경우 종합적인 평가 기초 대상이 아닌 것은?

  1. 기능성
  2. 기술성
  3. 내구성
  4. 내하성
(정답률: 57%)
  • 기술성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가 및 판정을 할 때 종합적인 평가 기초 대상이 아닙니다. 기술성은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 기술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조물의 평가 및 판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술성은 평가 대상이 아닙니다. 반면, 기능성, 내구성, 내하성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피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둥의 피로는 슬래브에 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2. 보 및 슬래브의 피로는 휨 및 전단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3. 피로의 검토가 필요한 구조 부재는 높은 응력을 받는 부분에서 철근을 구부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4. 하중 중에서 변동하중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거나 작용빈도가 크기 때문에 안전성 검토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54%)
  • "기둥의 피로는 슬래브에 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이 말이 틀린 것은 아니다. 기둥과 슬래브는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둥의 피로는 슬래브의 피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기둥과 슬래브의 피로는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아래의 휨 부재에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인장철근의 간격 제한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c는 인장철근이나 긴장재의 표면과 콘크리트 표면사이의 최소 두께이다.
  2. fs는 설계기준항복강도 fy의 2/3를 근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kcr은 철근조건을 고려한 계수로, 건조환경일 경우 210으로 한다.
  4. fs는 사용하중 상태에서 인장연단에서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철근의 응력이다.
(정답률: 46%)
  • "kcr은 철근조건을 고려한 계수로, 건조환경일 경우 210으로 한다."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간혹 수분과 접촉하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는 노출등급 F1에 해당된다. 이 경우, 굵은 골재 최대치수(mm)에 따른 확보해야 할 공기량(%)의 관계가 틀린 것은?

  1. 10mm-7.0%
  2. 15mm-5.5%
  3. 20mm-5.0%
  4. 25mm-4.5%
(정답률: 39%)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커질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노출등급 F1에서는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골재 최대치수가 커질수록 확보해야 할 공기량은 감소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골재 최대치수가 커질수록 확보해야 할 공기량이 적어지는 것이 아니라 증가하고 있으므로, "10mm-7.0%"이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상세조사는 표준조사의 자료로부터 원인추정, 보수보강 여부의 판정과 보수보강공법 선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실시한다. 상세조사의 시험항목이 아닌 것은?

  1. 균열 폭
  2. 강도 시험
  3. 콘크리트 분석
  4. 탄산화 깊이 시험
(정답률: 39%)
  • 상세조사는 보수보강 여부를 판정하고 보수보강공법을 선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므로, 강도 시험, 콘크리트 분석, 탄산화 깊이 시험과 같은 시험항목은 상세조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균열 폭은 이미 발생한 균열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보수보강 여부를 판정하거나 보수보강공법을 선정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균열 폭은 상세조사의 시험항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준공 후 20년 경과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깊이가 15mm이었다. 준공 후 100년 경과된 시점에서 탄산화 깊이의 예측값으로 적정한 것은? (단, 탄산화 깊이 C=A√t이고, 여기서 A의 비례상수, t는 시간이다.)

  1. 10.4mm
  2. 19.5mm
  3. 27.4mm
  4. 33.5mm
(정답률: 51%)
  • 주어진 식 C=A√t에서 시간 t가 20년일 때 탄산화 깊이 C는 15mm이다. 따라서 A=225/√20이다. 이제 시간 t가 100년일 때 탄산화 깊이 C를 구해보자.

    C=A√t=225/√20×√100≈33.5mm

    따라서 정답은 "33.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에서 인장철근은 D22 철근 2개가 윗부분에, D29철근 2개가 아랫부분에 두 줄로 배치되었다. 이 때 보의 공칭휨강도(Mn)은? (단, fck=28MPa, fy=400MPa이며 철근 D22 2본의 단면적은 774mm2, 철근 D29 2본의 단면적은 1285mm이다.)

  1. 271kNㆍm
  2. 281kNㆍm
  3. 291kNㆍm
  4. 301kNㆍm
(정답률: 36%)
  • 보의 공칭휨강도(M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n = 0.9 × fck × b × h2 / 6 - As × fy × (d - a/2)

    여기서, b는 보의 너비, h는 보의 높이, d는 인장근 중심선과 보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 a는 인장근 중심선과 보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 As는 인장근의 단면적 합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보의 너비는 200mm, 높이는 400mm이다. 인장근 중심선과 보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 d는 20mm, 상부면 사이의 거리 a는 20mm이다. 인장근의 단면적 합 As는 D22 철근 2본과 D29 철근 2본의 단면적 합이므로 다음과 같다.

    As = 2 × 774mm2 + 2 × 1285mm2 = 3628mm2

    따라서, Mn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Mn = 0.9 × 28MPa × 200mm × 400mm2 / 6 - 3628mm2 × 400MPa × (20mm - 10mm)

    Mn = 291kNㆍm

    따라서, 정답은 "291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철근 상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휨방향 비틀림철근은 종방향 철근 주위로 135° 표준갈고리에 의하여 정착하여야 한다.
  2. 종방향 비틀림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3. 종방향 비틀림철근의 지름은 스터럽 간격의 1/24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D10이상의 철근이어야 한다.
  4.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200mm 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의 1/6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률: 36%)
  • 틀린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 휨방향 비틀림철근은 종방향 철근 주위로 135° 표준갈고리에 의하여 정착하여야 한다.
    - 종방향 비틀림철근은 폐쇄스터럽의 둘레를 따라 300mm 이하의 간격으로 분포시켜야 한다.
    - 종방향 비틀림철근의 지름은 스터럽 간격의 1/24 이상이어야 하며 또한 D10이상의 철근이어야 한다.
    -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간격은 200mm 보다 작아야 하고, 또한 가장 바깥의 횡방향 폐쇄스터럽 중심선의 둘레의 1/6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