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재료 및 배합
1. 굵은 골재의 체가름을 하여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골재의 조립률은 얼마인가?
2. 포졸란 반응의 특징이 아닌 것은?
3. 플라이 애시의 품질 시험에 사용하는 시험 모르타르의 배합 비율로서 옳은 것은? (단,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 플라이 애시의 질량 비율)
4. 콘크리트용 강섬유의 인장강도 시험방법(KS F 2565)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 시방배합으로 산출된 단위수량이 165kg/m3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의 표면 수량 4%, 굵은 골재의 표면수량 2%인 현장 골재를 사용하기 위해 현장배합으로 수정하였다. 현장배합으로 단위 골재량이 650kg/m3, 단위 굵은 골재량 1326kg/m3을 얻었다면 현장배합의 단위 수량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 방청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 아래 표는 상수돗물 이외의 물을 혼합수로 사용할 경우에 대한 물의 품질을 나타낸 것이다. 틀린 항목을 모두 나열한 것은?
8.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의 절대용적이 360L, 굵은 골재의 절대용적이 540L인 경우 잔골재율은?
9.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중 공기연행감수제의 품질규정 항목과 관련이 없는 것은?
10. 콘크리트용 플라이 애시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1.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율을 작게 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알지 못할 때, 또는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14회 이하인 경우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구한 것으로 틀린 것은?
13. 시멘트의 응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시험횟수가 22회일 경우 배합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적용하는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로 옳은 것은?
15.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시험용 시험체의 성형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6. 잔골재의 유기 불순물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7. KS 규격에 따른 각종 시멘트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 일반 콘크리트용으로 사용이 부적합한 잔골재는?
19.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0.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에서 20개의 공시체를 측정하여 평균값이 25.0MPa, 표준편차가 2.5MPa일 때의 변동계수는?
2과목: 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콘크리트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배합 검사항목 중 시기 및 횟수가 옳은 것은?
2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불편분산에 의한 표준편차는?
23.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KS F 2402)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5.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방법(KS F 2414)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일반콘크리트에서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8. 거푸집에 작용하는 콘크리트 측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9. 블리딩이 일어나는데 가장 영향이 큰 조건은?
30. 급속 동결 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시험(KS F 2456)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험 방법의 종류로 옳은 것은?
31. 지름 150mm, 길이 300mm인 콘크리트 공시체의 인장강도 시험 결과 최대 파괴 하중이 1920N일 때, 인장강도는?
32. 경화된 콘크리트의 염화물 함유량 측정방법(KS F 2717)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33. 콘크리트의 전단탕성계수(G)를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E는 탄성계수, m은 프와송수 이다.)
34. 현장에 납품된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를 하려고 할 때, 받아들이기 품질 검사의 항목이 아닌 것은?
35. AE콘크리트 중에 포함된 유효공기량의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36.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 방법(KS F 2421)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7. 다음 보기를 보고 품질관리의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3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른 굵은 골재 최대 치수를 나열한 것으로 틀린 것은?
39.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을 측정할 때, 초결시간(㉠) 및 종결시간(㉡)으로 결정하는 관입저항값으로 옳은 것은?
40. 콘크리트 재료의 1회 계량분에 대한 계량의 허용오차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일반 큰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2.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3.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종류 중 재료를 계량만 한 후 트럭 애지테이터로 혼합하면서 운반하는 방식으로 먼 거리 이동에 적합한 것은?
44. 균열제어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균열유발 이음의 간격으로 옳은 것은?
45. 팽창 콘크리트의 품질 중 팽창률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매스 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 부재치수의 일반적인 표준값으로 옳은 것은?
47. 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8. 댐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9. 거푸집 및 동바리 구조계산에 관한 아래 내용 중 ㉠, ㉡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50. 책임기술자가 설계도면과 시방서에 따라 콘크리트의 품질 확보를 위하여 기록 및 보관하여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51. 경량골재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2.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의 압송 및 주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3. 고강도 콘크리트의 타설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54. 유동화 콘크리트 제조 시 유동화 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55. 숏크리트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6.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KS F 2503)에서 대기 중 시료의 절대 건조 상태의 시료 질량이 A, 대기 중 시료의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밀도가 B, 침지된 시료의 수중 질량이 C일 때, 다음 계산과정 중 틀린 것은?
57. 시공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8.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이음 및 이어치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9. 다음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환산하면 잔골재량은?
60. 숏크리트 코어 공시체(ø100×100mm)로 부터 채취한 강섬유의 질량이 61.2g이었다. 강섬유 혼입률을 구하면? (단, 강섬유의 단위질량은 7.85g/cm3)
4과목: 구조 및 유지관리
61.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하시험은 하중을 받는 구조부분의 재령이 최소한 며칠이 지난 다음에 재하시험을 시행하여야 하는가?
62. 경험과 기술을 갖춘 사람에 의한 세심한 외관조사 수준의 점검으로서 시설물의 기능적 상태를 판단하고 시설물이 현재의 사용요건을 계속 만족시키고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점검은?
63. 초음파속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4. 피복두께가 100mm이하이고, 건조 환경에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허용균열폭은 최대 얼마인가?
65.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진 PSC보가 L=15m, 자중을 포함한 계수하중 32.5kN/m가 작용할 때 경간 중앙단면의 상연응력은 약 얼마인가? (단, 프리스트레스 힘 P=3200kN, 편심량 ep=0.2m이다.)
66. 직사각형 단철근 보에 배근된 주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가 450MPa이고 이 철근에 0.0075의 변형률이 발생했을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철근의 탄성 계수는 200000MPa이다.)
67. 기둥에서 축방향 철근량의 최소한계를 두는 이유로 틀린 것은?
68. 콘크리트의 알칼리콜재반응에 의한 열화가 발생되는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69. 그림과 같은 정사각형 독립확대기초 주변에 작용하는 지압력이 q=160kN/m2일 때 휨에 대한 위험단면의 모멘트는?
70.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5MPa이고 단위질량이 2100kg/m3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계수(Ec)는?
71. 옹벽의 안정 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
72. 저압·저속식 주입공법에서 이용되지 않는 재료는?
73. 복철근 콘크리트 단면에 압축철근비 ρ‘=0.015가 배근된 경우 순간처짐이 30mm일 때, 1년이 지난 후의 전체 처짐량은? (단, 작용하중은 지속하중이며 시간 경과계수 ζ=1.4이다.)
74. 토목 구조물의 상태평가는 손상의 범위 및 정도에 따라 A, B, C, D, E의 5가지 등급을 산정한다. 이때 상태평가 등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5. 인장철근 D25(공칭지름 25.4mm)를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정착길이(lab)는? (단, λ=1, fck=26MPa, fy=400MPa이다.)
76. 단면이 600mm×600mm인 사각형이고, 종방향철근의 전체단면적(Ast)이 4500mm2인 중심축하중을 받는 띠철근 단주의 설계축하중강도(øPn)는? (단, fck=24MPa, fy=400MPa이고, 압축 지배단면이다.)
77. 철근의 부식상태 조사방법 중 자연전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8. 화재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9. 처짐과 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첫 번째 골재의 부피: 10 x 10 x 10 = 1000
2. 두 번째 골재의 부피: 20 x 20 x 20 = 8000
3. 세 번째 골재의 부피: 30 x 30 x 30 = 27000
4. 네 번째 골재의 부피: 40 x 40 x 40 = 64000
전체 부피 = 1000 + 8000 + 27000 + 64000 = 99800
따라서, 조립률은 (전체 부피 / 실제 부피)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 부피는 100 x 100 x 100 = 100000 이다.
조립률 = (99800 / 100000) x 100 = 99.8%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7.34 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