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침투비파괴검사기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시험체가 변형될 때 그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시켜 놓은 센서의 전기적인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변형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특수비파괴검사법은?

  1. 전위차시험
  2. 스트레인측정시험
  3. 전자포음파공명시험
  4. 기체 방사성동위원소시험
(정답률: 53%)
  • 스트레인측정시험은 시험체의 변형에 따라 센서에 전기적인 변화가 발생하므로, 이를 측정하여 변형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비파괴검사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스트레인측정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atm에 대한 기압 단위의 환산이 틀린 것은?

  1. 7.6torr
  2. 14.9psi
  3. 101.3kPa
  4. 760mmHg
(정답률: 65%)
  • 정답은 "7.6torr"이다. 1.0atm은 760mmHg, 101.3kPa, 14.9psi로 환산될 수 있지만, 7.6torr은 0.01atm에 해당하는 값이므로 틀린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강 용접부(20mm 두께)내 융합부족이나 균열을 가장 잘 검출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1. 침투탐상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누설검사
(정답률: 66%)
  • 강 용접부(20mm 두께)내 융합부족이나 균열을 가장 잘 검출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초음파탐상검사"입니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강재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강재 내부를 통과하는 초음파의 속도나 반사파의 시간을 측정하여 결함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두께가 두꺼운 강재에서도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며, 융합부족이나 균열 등의 결함을 높은 정확도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분탐상검사에서 결함에 의한 누설자속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강자성체에 발생하는 자속은 자계의 세기와 함께 감소한다.
  2. 자분탐상검사에서 시험체에 자계를 주어 자속을 발생시킨 경우, 자력선이 결함에 가능한 한 많이 차단되지 않는 방향의 자계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3. 강자성체 중에 자속이 포화되어 그 이상 자속이 흐르지 않는 상태를 최대자속의 상태라 부르고, 이 때 단위단면적당의 자속량을 자속밀도라 부른다.
  4. 시험체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포화자속밀도에 도달하면 요철부에도 누설자속이 많이 형성되어 자분을 집적하고 결함자분모양의 식별이 곤란해진다.
(정답률: 54%)
  • 강자성체에 발생하는 자속은 자계의 세기와 함께 감소한다. 자분탐상검사에서 시험체에 자계를 주어 자속을 발생시킨 경우, 자력선이 결함에 가능한 한 많이 차단되지 않는 방향의 자계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강자성체 중에 자속이 포화되어 그 이상 자속이 흐르지 않는 상태를 최대자속의 상태라 부르고, 이 때 단위단면적당의 자속량을 자속밀도라 부른다. 시험체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포화자속밀도에 도달하면 요철부에도 누설자속이 많이 형성되어 자분을 집적하고 결함자분모양의 식별이 곤란해진다. 이는 요철이 자속을 차단하기 때문에 자속이 집적되어 결함 모양이 왜곡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비파괴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비파괴검사는 모든 종류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2. 비파괴검사는 시험체를 파괴시키지 않고 원형을 보존하며 검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3. 비파괴검사는 재료의 물리적 성질이 결함의 존재에 의하여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4. 비파괴검사는 제품의 사용 수명 내에 영향을 미치는 결함을 검출하고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정답률: 76%)
  • "비파괴검사는 모든 종류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비파괴검사는 사용하는 검사 방법에 따라서 검출할 수 있는 결함의 종류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검사는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표면 결함은 검출하지 못한다. 따라서, 비파괴검사는 가능한 모든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사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바이트,, 다이스 등에 사용되는 합금 공구강 강재의 한국산업표준 기호로 옳은 것은?

  1. STS
  2. STB
  3. SCM
  4. STR
(정답률: 55%)
  • 옳은 것은 "STS"입니다.

    STS는 "Stainless Steel"의 약자로, 스테인리스 강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바이트나 다이스와 같은 공구강은 내식성과 내구성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강재가 사용되며, 이를 나타내는 기호로 STS가 사용됩니다.

    STB는 "Structural Steel for Building"의 약자로 건축용 구조용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SCM은 "Structural Carbon Steel for Machine"의 약자로 기계용 구조용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STR은 "Structural Steel for Railway"의 약자로 철도용 구조용강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루민을 개량처리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공정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i를 미세화 시키기 위해
  2. 공석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Al를 미세화 시키기 위해
  3. 공정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Zn를 미세화 시키기 위해
  4. 공석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n를 미세화 시키기 위해
(정답률: 68%)
  • 실루민은 주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합금 중 하나이며, 공정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i를 미세화 시키기 위해 개량처리를 합니다. 이는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Sn-Sb-Cu계 합금으로 주석계 화이트 메탈의 명칭은?

  1. 다우(doe)메탈
  2. 배빗(babbit)메탈
  3. 바이(Bai)메탈
  4. 플래티나이트(platinite)
(정답률: 68%)
  • 주석계 화이트 메탈은 일반적으로 배빗(babbit)메탈이라고 불린다. 이는 Sn-Sb-Cu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마찰과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베어링 등의 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된다. 다우(doe)메탈, 바이(Bai)메탈, 플래티나이트(platinite)는 다른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전기 및 전자 부품 제작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현미경조직을 관찰하기 위해 철강의 조직을 부식하는 데 가장 적합한 부식액은?

  1. 왕수
  2. 나이탈 용액
  3. 염화제2철 용역
  4. 수산화나트륨 용액
(정답률: 45%)
  • 나이탈 용액은 강철의 조직을 부식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부식액 중 하나입니다. 이는 나이탈 용액이 강철의 표면을 부식하면서도 동시에 부식된 부분을 검출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미경으로 강철의 조직을 관찰하고자 할 때, 나이탈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강에서 마텐자이트조직이 경도가 큰 이유가 아닌 것은?

  1. 결정의 미세화
  2. 급냉으로 인한 내부 응력
  3. 탄소원자에 의한 Fe 격자의 강화
  4. 확산변태에 의한 시멘타이트의 분리
(정답률: 66%)
  • 강에서 마텐자이트조직이 경도가 큰 이유는 "탄소원자에 의한 Fe 격자의 강화"와 "급냉으로 인한 내부 응력"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인 "확산변태에 의한 시멘타이트의 분리"는 강의 마텐자이트조직의 경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확산변태란 고온에서 긴 시간 동안 원자가 서로 이동하여 결정 구조가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강의 미세한 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구리를 진공 용해하여 0.001~0.002%의 O2함량을 가지며 유리의 봉착성이 좋아 진공관용 재료 및 전자기기 등에 이용되는 재료는?

  1. 무산소동
  2. 탈산동
  3. 전기동
  4. 정련동
(정답률: 59%)
  • 정답은 "무산소동"입니다. 구리를 진공 용해하여 O2 함량을 매우 낮추면 봉착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진공관용 재료 및 전자기기 등에 이용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산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무산소동"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l에 약 10%까지의 Mg을 품는 합금으로 강도, 연신성, 내식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 라우탈(Lautal)
  2. 와이 합금(Y-alloy)
  3. 하이드로 날륨(Hydronaium)
  4. 로엑스 합금(Lo-Ex alloy)
(정답률: 40%)
  • 하이드로 날륨은 Al-Mg 합금으로, 강도, 연신성, 내식성이 우수하며, 가벼운 무게와 높은 내식성으로 인해 항공기, 자동차, 선박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날씨에 강한 성질로 인해 건축물의 외벽재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로크웰 경도시험에서 원뿔형 다이아몬드콘 압입체의 꼭지각 각도는 얼마인가?

  1. 60도
  2. 120도
  3. 136도
  4. 145도
(정답률: 65%)
  • 로크웰 경도시험에서는 다이아몬드콘을 사용하여 시료의 경도를 측정합니다. 이 다이아몬드콘은 원뿔형으로 되어 있으며, 꼭지각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꼭지각이 작을수록 측정된 경도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꼭지각이 큰 145도의 다이아몬드콘은 경도값이 낮게 측정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20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Mg 합금이 구조재료로써 갖는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변형이 쉽다.
  2. 비강도가 커서 항공우주용 재료에 유리하다.
  3. 감쇠능이 주철보다 커서 소음방지 재료로 우수하다.
  4. 기계가공성이 좋고 아름다운 절삭면이 얻어진다.
(정답률: 60%)
  •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변형이 쉽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Mg 합금은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에서 쉽게 가공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합금 내부의 결정구조가 섬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면 결정구조가 미세하게 변형되면서 전체적으로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변형이 쉽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금속초미립자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융점이 금속덩어리보다 높다.
  2. 활성이 약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3. Fe계 합금 초미립자는 금속덩어리보다 자성이 약하다.
  4. 저온에서 열저항이 매우 작아 열의 양도체이다.
(정답률: 43%)
  • 금속초미립자는 매우 작은 크기의 금속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저온에서 열저항이 매우 작아 열의 양도체이다. 이는 작은 크기 때문에 표면적 대비 부피가 크기 때문에 열이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속초미립자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사용된다. 융점이 금속덩어리보다 높은 이유는 표면적 대비 부피가 크기 때문에 표면에 존재하는 원자들이 더 많아서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활성이 약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은 금속초미립자가 안정적인 물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Fe계 합금 초미립자는 금속덩어리보다 자성이 약한 이유는 작은 크기 때문에 자기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강의 용착 금속 결함 중 은점(Fish eye)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가스는?

  1. 질소
  2. 수소
  3. 헬륨
  4. 이산화탄소
(정답률: 69%)
  • 은점은 금속 용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 하나로, 용착 시 발생하는 기체가 금속 내부에 포집되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기체는 수소입니다. 수소는 금속 내부로 침투하여 결정 구조를 파괴하고, 결함을 형성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강의 용착 금속 결함 중 은점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수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스텅스텐아크용접(TIG용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직류정극성의 경우 비드 폭이 넓고 용입이 얇다.
  2. 직류역극성의 경우 비드 폭이 좁고 용입이 깊다.
  3. 직류 역극성으로 용접 시 산화 피막을 제거하는 청정 작용이 있다.
  4. 고주파 교류를 사용하면 청정 효과를 얻을 수 없어 알루미늄 용접에 부적당하다.
(정답률: 52%)
  • 가스텅스텐아크용접(TIG용접)은 가스 보호하에 전극으로부터 용접봉을 녹여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직류 역극성으로 용접 시 산화 피막을 제거하는 청정 작용이 있습니다. 이는 음극에서 양이온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열과 에너지로 인해 산화 피막이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류 역극성을 사용하면 용접 부위가 더욱 깨끗하게 제거되어 용접 품질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접법을 3가지로 대분류할 때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리벳
  2. 압접
  3. 납땜
  4. 융접
(정답률: 72%)
  • 리벳은 용접법이 아닌 조임법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리벳은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멍을 뚫고 그 사이에 핀을 박아서 조임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강용 가스 용접봉의 성분 중 유황(S)이 모재에 미치는 영향으로 올바른 것은?

  1. 강에 취성을 주며 가연성을 잃게 한다.
  2. 기공은 막을 수 있으나 강도가 떨어진다.
  3.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나 연신율, 굽힙성 등이 감소된다.
  4. 용접부의 저항력을 감소시키고 기공 발생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46%)
  • 유황은 용접봉의 성분 중 하나로, 모재와 용접부에 함유되면 용접부의 저항력을 감소시키고 기공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용접부의 저항력을 감소시키고 기공 발생의 원인이 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부 검사방법 중 파괴검사에 속하는 것은?

  1. 와류 검사
  2. 초음파 검사
  3. 방사선 투과 검사
  4. 현미경 조직 검사
(정답률: 72%)
  • 파괴검사는 검사 대상물을 파괴하고 그 속에 존재하는 결함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파괴검사에 속하는 것은 "현미경 조직 검사"이다. 이 방법은 검사 대상물을 잘게 자른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결함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침투탐상검사 원리

21. 침투탐상검사를 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증기 탈지법
  2. 브라스팅법
  3. 산 세척법
  4. 초음파 세척법
(정답률: 53%)
  • 침투탐상검사를 위한 일반적인 전처리 방법으로는 증기 탈지법, 산 세척법, 초음파 세척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브라스팅법은 침투탐상검사를 위한 전처리 방법이 아닙니다. 브라스팅법은 표면처리를 위한 방법으로, 고무나 금속 등의 표면을 깨끗하게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침투탐상검사를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는 증기 탈지법, 산 세척법, 초음파 세척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침투탐상검사에서 접촉각과 표면장력과는 어떠한 관계가 성립하는가?

  1. 파스칼의 원리(Pascal's priciple)
  2. 영의 방정식(Young's equation)
  3. 쿰롱의 법칙(Coulomb's law)
  4. 보일-샤를의 법칙(Boyle-Charles' law)
(정답률: 40%)
  • 접촉각과 표면장력은 영의 방정식에 의해 연관되어 있다. 영의 방정식은 표면에 물방울이나 기름방울이 떨어져 있는 경우, 그것들의 모양을 결정하는 방정식으로, 표면과 물방울 또는 기름방울 사이의 각도와 표면의 장력, 그리고 물방울 또는 기름방울의 내부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침투탐상검사에서도 표면과 침투액 사이의 접촉각과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영의 방정식을 적용하여 표면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저합금강 용접부의 침투탐상검사 시 적절한 검사 시기는?

  1. 고장력강은 용접 후 바로 실시
  2. 최종검사는 열처리 후 실시
  3. 개선면은 실시할 필요가 없음
  4. 용접부의 덧살 제거 시에는 덧살 제거 전 실시
(정답률: 70%)
  • 저합금강은 열처리 후 미세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검사는 열처리 후 실시해야 합니다. 이는 열처리로 인해 잔류응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용접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종검사는 열처리 후 실시해야 안전한 용접부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일반적으로 이원성 형광침투탐상검사에 적용하지 않는 현상 방법은?

  1. 건식 현상법
  2. 비수성 습식 현상법
  3. 속건식 현상법
  4. 무현상법
(정답률: 38%)
  • 이원성 형광침투탐상검사에서는 샘플에 침투시킨 후 현상법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는데, 비수성 습식 현상법은 샘플에 물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원성 형광침투탐상검사에 적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침투탐상검사 시 건식 현상제보다 습식 현상제를 택할 수 있는 시험부품으로 적당한 것은?

  1. 표면이 거친 주물
  2. 다듬질한 톱니바퀴와 L형 부품
  3.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의 부품
  4. 습식 현상제는 위의 어느 부품에도 사용할 수 없음
(정답률: 56%)
  • 습식 현상제는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운 부품에 묻혀야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의 부품"이 적당한 시험부품이다. 다른 보기들은 건식 현상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거나, 습식 현상제를 사용할 수 없는 부품들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관이나 기타의 조건으로 인해 침투제의 형광성능을 평가할 경우 통상적으로 어떤 결과를 비교하는가?

  1. 지시에서 발산되는 실제 빛의 양을 조도계로 측정
  2. 재료를 형광화 하는데 소요되는 자외선의 양을 강도계로 측정
  3. 다른 침투제와 비교하여 형광물질에서 발산되는 빛의 상대량을 육안으로 관찰
  4. 주위에서 발산되는 빛과 비교하여 형광물질에서 발산되는 빛의 상대량을 로그 그래프로 비교
(정답률: 60%)
  • 보관이나 기타의 조건으로 인해 침투제의 형광성능을 평가할 경우, 다른 침투제와 비교하여 형광물질에서 발산되는 빛의 상대량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형광물질이 발산하는 빛의 양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침투제와 비교하여 형광물질에서 발산되는 빛의 상대량을 비교함으로써, 침투제의 형광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침투탐상검사 시 사용되는 건식 현상제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불수용성이다.
  2. 정밀검사에 용이하다.
  3. 덩어리로 보관이 용이하다.
  4. 침투액의 적용이 필요 없다.
(정답률: 48%)
  • 침투탐상검사 시 사용되는 건식 현상제는 불수용성이기 때문에 침투액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덩어리로 보관이 용이하고 정밀검사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름 침투탐상검사와 비교할 때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모래 주조물(Sand Casting)과 같은 거친 표면을 검사하는 데 좋다.
  2. 다른 침투탐상검사 방법보다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3. 전기분해로 얇은 보호막을 입힌 표면에 적용ㄷ할 수 있다.
  4. 넓고 얕은 결함을 탐지하는 데 적합하다.
(정답률: 68%)
  •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는 침투액이 깊숙히 침투하지 않고 표면에 남아있는 침투액을 형광체로 대체하여 검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넓고 얕은 결함을 탐지하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모래 주조물과 같은 거친 표면을 검사하는 데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침투탐상검사 시 검출하기 가장 어려운 결함은 어떤 것인가?

  1. 깊이가 얕고 넓이가 큰 결함
  2. 깊이가 깊은 구멍
  3. 단조 겹침
  4. 깊이가 깊고 넓이가 작은 결함
(정답률: 43%)
  • "깊이가 얕고 넓이가 큰 결함"은 검사 시에 표면적으로는 크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깊이가 얕아서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이다. 이는 침투액이 결함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표면에서만 머무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은 침투액의 침투시간을 늘리거나 침투액의 점도를 높이는 등의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침투탐상검사에 사용하는 현상제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형광 침투제의 사용시에는 형광물질이어야 한다.
  2. 검사원에게 유해하거나 독성이 있어서는 안된다.
  3. 흡수력이 있어야 한다.
  4. 전면에 걸쳐 얇고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59%)
  • "형광 침투제의 사용시에는 형광물질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오히려 맞는 내용이다. 형광 침투제는 침투한 부위에서 형광물질이 반응하여 빛을 내므로 결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침투탐상검사에서 형광 침투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형광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특수 목적에 사용되는 입자여과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다공성 재질의 시험체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2. 형광 유색 액체에 입자를 현탁시켜 적용한다.
  3. 불연속부에 보다 많은 입자가 축적되는 현상을 관찰한다.
  4. 검사 감도는 낮아 미세한 결함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44%)
  • "형광 유색 액체에 입자를 현탁시켜 적용한다."는 오히려 맞는 설명이다. 이 방법은 입자가 액체에 현탁되어 불연속부에 축적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때 형광 유색 액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입자를 더욱 뚜렷하게 관찰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형(砂型) 주물과 같은, 특히 표면이 거친 부품에 다음 중 가장 적용하기 어려운 침투탐상검사 방법은?

  1. 수세성 염색침투탐상검사
  2. 용제 제거성 형광침투탐상검사
  3. 수세설 형광침투탐상검사
  4.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
(정답률: 38%)
  •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는 부품 표면에 남아있는 오일, 녹슬,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지 않고도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적용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보다 가장 적용하기 어려운 방법은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가 아닌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침투탐상검사에서 관찰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반사광이 눈에 비치는 것은 관찰하는데 도움이 된다.
  2. 관찰 각도는 수직에 가까울수록 좋다.
  3. 눈과 광원과의 배치관계가 중요하다.
  4. 관찰면에서 60cm 이상 떨어져서는 안된다.
(정답률: 66%)
  • "반사광이 눈에 비치는 것은 관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올바른 관찰 조건입니다. 침투탐상검사에서는 샘플 표면에서 발생하는 반사광을 이용하여 샘플의 형태와 표면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사광이 눈에 비치는 것은 관찰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관찰 각도는 수직에 가까울수록 좋다.", "눈과 광원과의 배치관계가 중요하다.", "관찰면에서 60cm 이상 떨어져서는 안된다."도 모두 올바른 관찰 조건입니다. 관찰 각도가 수직에 가까울수록 샘플의 형태와 표면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눈과 광원과의 배치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샘플의 표면 상태가 다르게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관찰면에서 60cm 이상 떨어져서는 안되는 이유는 샘플의 작은 부분까지 세밀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거리에서 관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침투탐상검사에서 균열이 비교적 깊고 폭이 넓으며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시모양은?

  1. 피로균열(Fatigue Crack)
  2. 연마균열(Grinder Crack)
  3. 담금질균열(Quenching Crack)
  4. 수축균열(Shrink Crack)
(정답률: 34%)
  • 담금질균열은 금속재료를 담금질 처리할 때 생기는 균열로, 급격한 냉각으로 인해 금속 내부의 응력이 크게 변화하여 생기는 것입니다. 이 균열은 깊고 폭이 넓으며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침투탐상검사에서 이러한 모양의 균열이 나타나면 담금질균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침투탐상검사에서 탐상제 및 장치의 점검 주기 중 매일 해야 하는 것은?

  1. 건조기의 기내 온도 분포의 균일성
  2. 수세성 침투액의 수분함유량
  3. 습식현상제의 농도
  4. 자외선 조사등의 강도
(정답률: 35%)
  • 습식현상제는 침투탐상검사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액체이며, 이 액체의 농도는 검사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매일 습식현상제의 농도를 점검하여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검사 과정에서 중요하지만, 매일 점검할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염색침투탐상검사 시 침투액을 뜨거운 시험편에 적용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가열된 시험편이나 차가운 시험편이나 침투액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
  2. 침투액이 가열되어 침투액 내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빨려 나와 시험편에 잔류물질을 만들어 낸다.
  3. 침투액은 시편이 냉각됨에 따라 시험편 내부로 스며들어 간다.
  4. 시험편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도가 좋아진다.
(정답률: 70%)
  • 침투액이 가열되어 침투액 내의 구성요소 중 일부가 빨려 나와 시험편에 잔류물질을 만들어 낸다. 이는 침투액의 증발로 인해 농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침투액 내의 구성요소가 시험편에 침투하여 잔류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따라서, 시험편의 온도가 높을수록 이 현상이 더욱 심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침투탐상검사와 비교하여 용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검사의 주된 단점은?

  1. 탐상감도가 낮은 것이 단점이다.
  2. 전원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3. 규정된 거치식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4. 일광 또는 백열등 하에서 시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75%)
  • 용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검사는 시료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기 위해 염료를 사용하는데, 이 염료가 결함 부위에 충분히 침투하지 않을 경우 탐상감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즉, 결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침투제거성 염색침투탐상검사와 비교하여 단점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침투탐상검사에 사용되는 침투제의 성질을 바르게 성질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침투제는 휘발성이 높을수록 좋다.
  2. 침투제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성질이 있다.
  3. 세척성 또는 제거성이 좋아야 한다.
  4. 침투제는 불연속으로의 침투를 돕기 위해 산성이어야 한다.
(정답률: 56%)
  • 침투탐상검사에서 사용되는 침투제는 시료 내부로 침투하여 결함이나 불순물을 찾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침투제가 시료 내부로 쉽게 침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세척성 또는 제거성이 좋아야 합니다. 이는 침투제가 시료 내부의 불순물을 쉽게 제거하고 결함을 노출시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세척성 또는 제거성이 좋은 침투제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00℃ 운전 플랜드의 용접부에 대해 가장 적합한 검사 방법은?

  1. 수세성 형광침투탐상검사
  2. 후유화성 염색침투탐상검사
  3. 융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검사
  4.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검사
(정답률: 33%)
  • 100℃ 운전 플랜드의 용접부는 고온하고 고압의 환경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용접부의 결함은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검사 방법은 용접부의 융제를 제거하고 염색침투를 통해 결함을 탐지하는 "융제제거성 염색침투탐상검사"입니다. 이 방법은 용접부의 결함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고온하고 고압의 환경에서 작동하는 장비에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용 중 검사의 침투탐상검사에서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 종류는?

  1. 크리프 균열(creep crack)
  2. 피로 균열(fatigue crack)
  3. 응력부식 균열(stress corrosion crack)
  4. 크레이터 균열(crater crack)
(정답률: 29%)
  • 크리프 균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균열로, 검사 시점에서는 아직 크게 발생하지 않아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 종류입니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 물질이 변형되는 크리프 현상에 의해 발생하며, 고온하고 고압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침투탐상검사와 같은 표면 검사 기법으로는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침투탐상검사 시험

41. 사용 중인 현상제에 대한 성능시험을 시행하여 부착상태의 불균일이 생겨 결함지시모양의 식별이 곤란하고 현상성능의 저하가 인정되었을 경우 처리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폐기시킨다.
  2. 새로운 현상제를 25% 첨가하여 재사용한다.
  3. 새로운 현상제를 50% 첨가하여 재사용한다.
  4. 새로운 현상제를 95% 첨가하여 재사용한다.
(정답률: 74%)
  • 부착상태의 불균일이 생겨 결함지시모양의 식별이 곤란하고 현상성능의 저하가 인정되었을 경우, 해당 현상제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므로 폐기시켜야 한다. 새로운 현상제를 첨가하여 재사용하는 것은 결함을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침투탐상검사에 사용되는 침투액의 필요한 특성이 아닌 것은?

  1. 색채 콘트라스트가 낮아야 한다.
  2. 중성으로 부식성이 없어야 한다.
  3. 인화점이 높아야 한다.
  4. 독성이 적어야 한다.
(정답률: 78%)
  • 색채 콘트라스트가 낮아야 한다는 것은 침투액이 시료와 구분하기 쉬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시료와 침투액의 색상이 유사하지 않아야 하며, 시료와 침투액의 경계가 명확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침투액의 필요한 특성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침투탐상검사로 검출이 가능한 결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면 결함은 모두 탐상이 가능하다.
  2. 표면으로 열려 있는 균열 뿐 아니라 모든 결함을 탐상될 수 있다.
  3. 표면 결함도 침투탐상검사로 탐상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4. 표면 및 표면 직하의 결함 탐상이 가능하다.
(정답률: 60%)
  • 침투탐상검사는 표면 결함을 탐지하기 위해 결함에 침투액을 적용하고, 침투액이 결함 내부로 침투하여 결함을 드러내는 검사 방법이다. 하지만 결함의 크기나 형태, 표면 상태 등에 따라 침투탐상검사로 탐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표면 결함도 침투탐상검사로 탐상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침투탐상검사에서 액체의 유동속도(침투속도) u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모세관의 반지름은 r, 액체의 점성은 η, 액체의 밀도는 ρ, 중력가속도는 g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이다.

    침투탐상검사에서 액체의 유동속도(침투속도) u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u = (2r^2 * g * (ρ - σ)) / (9η)

    여기서, r은 모세관의 반지름, ρ은 액체의 밀도, σ은 표면장력, η은 액체의 점성, g는 중력가속도이다.

    이 식에서 표면장력 σ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u = (2r^2 * g * ρ) / (9η)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침투탐상검사 시 침투시간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시험체의 재질
  2. 시험체의 선팽창계수
  3. 예측되는 결함의 종류
  4. 시험체와 침투액의 온도
(정답률: 58%)
  • 침투탐상검사 시 침투시간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인자는 시험체의 재질, 예측되는 결함의 종류, 시험체와 침투액의 온도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시험체의 선팽창계수입니다. 이는 시험체가 열팽창할 때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침투탐상검사 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침투시간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인자 중에서는 시험체의 선팽창계수는 제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수세성 형광침투탐상검사에서 침투액의 세척처리 시 보통 적용하는 분무 각도와 수압으로 옳은 것은?

  1. 각도 30°, 수압 0.5~1kgf/cm2
  2. 각도 35°, 수압 1~1.5kgf/cm2
  3. 각도 35°, 수압 1.5~2kgf/cm2
  4. 각도 45°, 수압 1.5~2kgf/cm2
(정답률: 44%)
  • 수세성 형광침투탐상검사에서는 침투액이 부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분무 각도와 수압이 중요합니다. 각도가 너무 작으면 침투액이 집중되어 부위에 과다한 침투액이 축적될 수 있고, 각도가 너무 크면 침투액이 부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각도는 35°에서 45° 사이입니다. 또한, 수압이 너무 낮으면 침투액이 부위에 충분히 침투하지 않을 수 있고, 수압이 너무 높으면 침투액이 부위를 침식시키거나 침투액이 너무 빨리 증발하여 침투액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압은 1.5~2kgf/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침투탐상검사에서 전처리 방법 중 증기세척의 가장 큰 특징은?

  1. 산화물, 유기물의 제거에 좋다.
  2. 스케일, 슬래그의 제거에 좋다.
  3. 스케일 및 솔벤트, 알칼리용액의 제거에 좋다.
  4. 절삭유, 연마제, 그리스 등의 제거에 좋다.
(정답률: 58%)
  • 증기세척은 고온과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청소하는 방법으로, 절삭유, 연마제, 그리스 등의 유동성이 높은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증기세척이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해 유체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삭유, 연마제, 그리스 등의 물질이 표면에 끈적거리지 않고 쉽게 제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침투탐상검사에 사용되는 유화제의 특성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유화성이 좋아야 한다.
  2. 세척성이 좋아야 한다.
  3. 침투성이 높아야 한다.
  4. 인화성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57%)
  • 정답: "인화성이 높아야 한다."

    침투탐상검사에서 사용되는 유화제는 표면에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검사액이 물체 내부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화제의 특성 중에서 침투성이 높아야 하는 이유는 검사액이 물체 내부로 침투하여 결함이나 불량을 찾기 위해서입니다. 유화성이 좋아야 하는 이유는 유화제가 물체 표면에 잘 붙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척성이 좋아야 하는 이유는 검사액이 물체 표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화성이 높아야 한다는 것은 오히려 위험한 요소이며, 침투탐상검사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침투탐상검사용 장치가 구비해야 할 최소요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결함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2.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해야 한다.
  3. 형상 및 크기에 관계없이 규격 등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4. 장치의 관리가 쉬어야 한다.
(정답률: 60%)
  • 침투탐상검사용 장치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물체를 검사해야 하기 때문에, 규격 등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이는 장치가 다양한 물체에 대해 적용 가능하도록 하며,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검사의 효율성과 안전성, 그리고 장치의 관리에 관한 요건으로 중요하지만, 이들 요건이 충족되더라도 규격 등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면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도 및 전원 설비가 없는 장소에서 침투탐상검사를 실시할 경우 어느 침투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1. 용제제거성 염색침투액
  2. 용제제거성 형광침투액
  3. 후유화성 염색침투액
  4. 후유화성 형광침투액
(정답률: 70%)
  • 수도 및 전원 설비가 없는 장소에서는 침투액을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용제제거성 침투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침투액은 침투 후 용제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제제거성 염색침투액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침투탐상검사에 적용하는 현상방법 중 건식현상법의 적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몰법
  2. 분무법
  3. 붓칠법
  4. 공기 교반법
(정답률: 47%)
  • 건식현상법은 붓칠법, 매몰법, 분무법, 공기 교반법 등이 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하지만 "붓칠법"은 다른 세 가지 방법과는 달리 현상액을 직접 적용하는 방법으로, 현상액을 붓고 붓칠로 사진을 덮어서 현상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현상액의 양과 붓칠의 균일한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일관된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침투탐상시험법으로 유리의 미세균열을 탐상하고자 할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후유화성 염색침투탐상시험법
  2.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시험법
  3. 하전입자(Electrified Particle)법
  4. 입자여과(Filtered Particle)법
(정답률: 56%)
  • 하전입자(Electrified Particle)법은 유리 표면에 전하를 가지는 입자를 뿌리고, 이 입자들이 미세균열에 머무르면서 전하가 변화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균열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미세한 균열도 탐지할 수 있으며,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탄소강 재질의 배관요업부에 존재하는 결함 중 자분탐상검사와 비교하여 침투탐상검사에서는 검출이 불가능한 것은?

  1. 표면균열
  2. 연마균열
  3. 크레이터균열
  4. 루트부균열
(정답률: 46%)
  • 침투탐상검사는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이므로 루트부균열과 같은 깊이가 깊은 결함은 검출이 불가능합니다. 루트부균열은 깊이가 깊은 결함으로, 배관요업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자분탐상검사와 함께 사용하여 결함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침투탐상제를 취급할 때의 안전조치 사항이 아닌 것은?

  1. 침투탐상제가 피부나 의복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2. 증기나 분말을 들이 마시지 않도록 한다.
  3. 불꽃을 튀기는 장비나 화기 근처에서는 절대 탐상을 금한다.
  4. 침투탐상제가 자외선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4%)
  • 침투탐상제가 자외선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은 안전조치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자외선등은 침투탐상제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과세척이 발생할 수 있어 결함 검출감도의 저하가 예상되며 폭이 넓고 얕은 결함 검사에 효과적인 침투탐상검사는?

  1. 수세성 형광침투탐상
  2. 용제제거성 형광침투탐상
  3.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
  4. 수세성 염색침투탐상
(정답률: 59%)
  • 후유화성 형광침투탐상은 침투액이 결함 내부에 잔류하여 후유작용을 일으키면서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과세척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얕은 결함 검사에 효과적이다. 수세성 형광침투탐상은 침투액이 결함 내부에서 빠르게 확산되어 검출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용제제거성 형광침투탐상은 침투액이 용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함 내부에 침투액이 충분히 잔류하지 못해 검출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수세성 염색침투탐상은 침투액이 결함 내부에서 빠르게 확산되어 검출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침투액이 용제를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용제가 남아있는 결함에서는 검출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침투액의 인화점이 낮은 경우 탐상검사에서 특히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1. 화재의 위험성
  2. 표면장력의 정도
  3. 모세관현상의 정도
  4. 검사자의 마취성
(정답률: 71%)
  • 침투액의 인화점이 낮은 경우 탐상검사에서 특히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화재의 위험성"입니다. 인화점이 낮은 침투액은 불에 노출될 경우 쉽게 불이 붙을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시에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강 용접부 침투탐상시험 시 관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상처리 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2.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지시모양이 변하기 때문에 가능한 오랜시간 후 실시하는 것이 좋다.
  3. 지시모양과 시간의 경과와는 무관하기 때문에 검사자 임의대로 실시해도 무방하다.
  4. 소정의 현상시간이 경과한 후 즉시 최종적인 관찰을 완료해야 한다.
(정답률: 52%)
  • 강 용접부 침투탐상시험에서는 용접부의 결함을 파악하기 위해 특정 액체나 가스를 용접부에 침투시키고, 그 후에 표면을 세척하여 결함 부위에서만 침투액이 남도록 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이때, 소정의 현상시간이 경과한 후 즉시 최종적인 관찰을 완료해야 하는 이유는, 현상시간이 지나면 침투액이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증발하여 결함 부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최종적인 관찰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조품에 나타나는 결함으로 시험체의 두께 차이에 따른 응고 속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균열의 일종으로 다양한 폭과 여러 개의 가지가 달린 구불구불한 선 형태로 나타나는 지시는?

  1. 랩(Lap)
  2. 수축공(Shrinkage Cavity)
  3. 핫티어(Hot Tear)
  4. 콜트셧(Cold Shut)
(정답률: 42%)
  • 주조 과정에서 시험체의 두께 차이에 따른 응고 속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고온균열을 핫티어라고 합니다. 이는 주조품의 구부러진 선 형태로 나타나며, 폭과 가지의 개수는 다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핫티어입니다. 랩은 주조 과정에서 금형의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결함, 수축공은 주조 과정에서 물질이 응고되면서 생기는 구멍, 콜트셧은 주조 과정에서 물질이 응고되기 전에 물질이 접촉되어 생기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침투데의 점성(Viscosity)은 탐상감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 영향이란 주로 어떤 것인가?

  1. 침투제의 세척성
  2. 오염물질의 수용성
  3. 발산되는 형광 성능
  4. 침투제가 결함 속으로 들어가는 속도
(정답률: 71%)
  • 침투제의 점성이 높을수록 침투제 입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경향이 있어 결함 속으로 들어가는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침투제의 점성이 높을수록 탐상감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침투제가 결함 속으로 들어가는 속도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현탁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것은 분말현상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건조과정의 시간은 더 걸리나, 일반적으로 작은 균열에 대하여 더 좋은 탐상감도를 나타낸다. 그 주된 이유는?

  1. 분말 현상제보다 수현탁성 현상제가 분해력이 좋으므로
  2. 분말 현상제보다 수현탁성 현상제가 입자가 더 작기 때문에
  3. 분말 현상제보다 수현탁성 현상제가 표면에 더 잘 도포되므로
  4. 건조하는 과정에서 현상제와 시험면이 잘 밀착되어서 결함에 침투해 있던 침투액에 더욱 밀착되므로
(정답률: 53%)
  • 수현탁성 현상제는 분해력이 좋고 입자가 작아서 결함에 더 잘 침투할 수 있지만, 분말 현상제보다 건조과정이 더 오래 걸린다. 그러나 건조하는 과정에서 현상제와 시험면이 잘 밀착되어서 결함에 침투해 있던 침투액에 더욱 밀착되므로 작은 균열에 대해서 더 좋은 탐상감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침투탐상검사 규격

61.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른 수세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잉여침투액을 제거하는 침투탐상시험 방법의 분류기호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33%)
  • 정답은 "D"입니다.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수세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잉여침투액을 제거하는 침투탐상시험 방법은 "D"로 분류됩니다. 이는 침투탐상 시험에서 침투액이 부적절한 위치에 남아있을 경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수세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침투지시모양의 관찰은 현상제 적용 후 최대 몇 분 까지가 바람직 한가?

  1. 60분
  2. 80분
  3. 100분
  4. 120분
(정답률: 77%)
  • 침투지시모양의 관찰은 현상제 적용 후 60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현상제가 침투지시모양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대체로 60분 이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0분 이내에 관찰을 하지 않으면 정확한 침투지시모양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라 시험하였더니 그림과 같은 결함이 나타났다. 이 결함의 개수와 길이는?

  1. 1개의 결함 8mm
  2. 1개의 결함 13mm
  3. 3개의 결함, 각각 3mm, 3mm, 2mm
  4. 2개의 결함, 각각 8mm, 2mm
(정답률: 58%)
  • 이 결함은 "침투지시모양" 중 "V자형"으로 분류된다. 이 경우, 결함의 개수는 V자의 각 꼭지점에서 시작하여 다른 면과 만나는 지점의 개수와 같다. 그림에서는 2개의 꼭지점이 있으므로 결함의 개수는 2개이다. 또한, 각 결함의 길이는 V자의 끝에서 다른 면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첫 번째 결함은 8mm이고, 두 번째 결함은 2mm이다. 따라서 정답은 "2개의 결함, 각각 8mm, 2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르면 라미네이션(lamination)은 어느 침투지시모양에 속하겠는가?

  1. 연속 결함
  2. 선상 결함
  3. 분산 결함
  4. 원형상 결함
(정답률: 52%)
  • 라미네이션은 선상 결함에 속한다. 라미네이션은 표면과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결함으로, 선상 결함은 이러한 라미네이션과 같이 표면과 평행하게 발생하는 결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라미네이션은 선상 결함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6)에서 플라스틱 제품의 균열을 검출하기 위하여 권고하고 있는 침투제의 최소 침투시간(dwell time)은?

  1. 5분
  2. 7분
  3. 10분
  4. 15분
(정답률: 58%)
  • ASME Sec V Art.6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의 침투탐상검사를 위해 침투제의 최소 침투시간을 5분으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침투제가 균열 내부로 침투하여 충분한 시간이 지나야 균열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 긴 침투시간은 검사 시간을 늘리고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최소 침투시간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규정된 침투시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적절한 침투시간은 침투액의 성질, 적용 온도 등에 따라 좌우된다.
  2. 용접부 균열을 검출하기 위한 침투시간은 최소 5분이다.
  3. 어떤 경우라도 침투시간 중에 침투액은 건조시켜야 한다.
  4. 적절한 침투시간은 시험체 및 검출하여야 할 흠의 종류 등에 따라 좌우된다.
(정답률: 67%)
  • "어떤 경우라도 침투시간 중에 침투액은 건조시켜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침투액의 종류와 시험체의 재질에 따라 침투액을 건조시키지 않고 바로 검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침투액이 건조되면 침투액 내에 있는 결함을 더 잘 볼 수 있지만, 침투액이 건조되기 전에 검사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24 SD-129)에 따라 침투제에 함유된 황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200ml의 견본을 채취하여 얻은 BaSO4의 양이 0.5g, 백등유 200ml에서 얻은 BaSO4의 양이 0.1g 이었다면 황의 무게에 대한 백분율은 약 얼마인가?

  1. 0.002%
  2. 0.0027%
  3. 0.037%
  4. 0.054%
(정답률: 41%)
  • 황의 양은 BaSO4의 양과 비례한다. 따라서, 견본에서 얻은 BaSO4의 양이 0.5g이고 백등유에서 얻은 BaSO4의 양이 0.1g이므로, 견본에 포함된 황의 양은 백등유에 비해 5배 높다.

    따라서, 견본에 포함된 황의 무게에 대한 백분율은 다음과 같다.

    (0.5g / 200ml) / (0.1g / 200ml) x 100% = 250%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백등유에서 얻은 BaSO4의 양이 0.1g이므로, 견본에 포함된 황의 무게에 대한 백분율은 다음과 같다.

    (0.5g / 200ml) / (0.1g / 200ml) x 100% - 100% = 150%

    따라서, 정답은 "0.0027%"이 아니라 "0.0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유화시간과 관련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형광침투제-기름베이스 : 3분이내
  2. 형광침투제-물베이스 : 2분이내
  3. 염색침투제-기름베이스 : 30초이내
  4. 염색침투제-물베이스 : 30초이내
(정답률: 57%)
  • 정답: "염색침투제-물베이스 : 30초이내"가 틀린 것이 아니다.

    유화시간은 침투탐상 시험에서 시료가 침투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시간은 침투제의 종류와 농도, 시료의 종류와 두께,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염색침투제-물베이스 : 30초이내"라는 내용은 해당 침투제의 특성에 따른 것이며, 이 침투제를 사용할 때는 30초 이내에 시료가 침투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른 침투지시모양의 분류 내용이 틀린 것은?

  1. 종류에 구분하지 않고 결함의 길이에 따라 등급을 분류한다.
  2. 분산침투지시모양은 일정한 면적 내에 여러개의 침투지시모양이 분산하여 존재하는 침투지시모양이다.
  3. 독립침투지시모양 중 원형상 침투지시모양은 갈라짐에 의하지 않는 침투디시모양 중 선상침투지시모양 이외의 것이다.
  4. 독립침투지시모양 중 침투지시모양은 갈라짐 이외의 침투지시모양 가운데 그 길이가 나비의 3배 이상인 것이다.
(정답률: 59%)
  • "종류에 구분하지 않고 결함의 길이에 따라 등급을 분류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실제로는 침투지시모양은 종류에 따라 다른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르면, 침투지시모양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독립침투지시모양
    - 선상침투지시모양
    - 원형상침투지시모양
    - 갈라짐 이외의 침투지시모양

    2. 분산침투지시모양
    - 일정한 면적 내에 여러개의 침투지시모양이 분산하여 존재하는 침투지시모양

    3. 결합침투지시모양
    - 두 개 이상의 침투지시모양이 결합하여 생긴 침투지시모양

    4. 선상침투지시모양
    - 침투지시모양이 선상에 위치한 경우

    5. 기타침투지시모양
    - 위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침투지시모양

    따라서, 침투지시모양은 종류에 따라 등급이 분류되며, 결함의 길이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암실에서 가시광의 밝기는 몇 룩스(lx)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0 lx
  2. 50 lx
  3. 100 lx
  4. 200 lx
(정답률: 70%)
  • 암실에서 가시광의 밝기는 20 lx 이하이어야 한다. 이는 침투탐상 시험에서 필름이나 감광재료에 노출되는 빛의 양을 제한하여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높은 밝기의 가시광은 필름이나 감광재료에 과도한 노출을 초래하여 이미지의 선명도와 대비를 감소시키고, 노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암실에서 가시광의 밝기는 20 lx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24 SE-165)에서 규정한 잉여 침투액 제거용 물의 적정 온도범위는?

  1. 10~38℃
  2. 18~50℃
  3. 30~50℃
  4. 22~55℃
(정답률: 45%)
  • ASME Sec V Art.24 SE-165에서는 잉여 침투액 제거용 물의 온도가 10~38℃로 규정되어 있다. 이는 검사 시 보일러나 압력용기 내부의 온도가 높아서 물이 증발하거나 증기가 발생하여 검사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침투액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정한 범위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10~38℃가 적정한 온도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두 개의 선상 침투지시모양이 거의 동일 선상에 나란히 있을 때 연속 침투지시모양으로 분류하는 지시사이의 거리는 얼마인가?

  1. 5mm 이하
  2. 4mm 이하
  3. 2mm 이하
  4. 긴 쪽 침투지시모양 길이보다도 간격이 길 때
(정답률: 70%)
  • 침투탐상 시험에서는 침투지시모양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침투지시모양 사이의 거리 등을 측정하여 검사 결과를 판정한다. 이 중에서 두 개의 선상 침투지시모양이 거의 동일 선상에 나란히 있을 때, 이를 연속 침투지시모양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두 지시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여야 한다. 이 범위는 KS B 0816에서 "2mm 이하"로 정해져 있다.

    이유는 두 지시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일 때는 두 지시가 하나의 침투로 이어져 있어서 연속 침투로 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거리가 너무 멀거나 너무 가까우면 두 지시가 서로 독립적인 침투로 판정되기 때문에 연속 침투로 분류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범위를 2mm 이하로 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 따른 침투액의 점검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중인 침투액의 성능시험을 하여 결함검출능력이 저하된 경우 폐기한다.
  2. 사용중인 침투액의 성능시험을 하여 침투지시모양, 휘도저하, 색상이 변한 경우 우선 먼저 사용한다.
  3. 사용중인 침투액의 겉모양 검사를 하여 현저환 흐림이나 침전물이 생겼을 때 폐기한다.
  4. 사용중인 침투액의 겉모양 검사를 하여 형광휘도의 저하, 색상의 변화, 세척성의 저하 등이 인정되었을 때 폐기한다.
(정답률: 69%)
  • "사용중인 침투액의 성능시험을 하여 침투지시모양, 휘도저하, 색상이 변한 경우 우선 먼저 사용한다."이 틀린 것이다. KS B 0816에 따르면, 사용중인 침투액의 성능시험을 통해 결함검출능력이 저하된 경우 폐기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중인 침투액의 성능시험을 하여 결함검출능력이 저하된 경우 폐기한다."가 올바른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24 SE-165)에 따라 검사를 수행한 후 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건식현상제는 용제로 분무하여 제거한다.
  2. 습식현상제는 공기분무로 제거한다.
  3. 침투제 제거를 위한 초음파용제 세척은 3분 이상 적용한다.
  4. 잔류 침투액을 용제에 침적시켜 제거할 때 최소 1분 이상 적용한다.
(정답률: 34%)
  • 침투탐상검사에서 사용된 침투제는 보일러나 압력용기 내부에 침투하여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후처리가 필요하다. 이 때, 침투제 제거를 위한 초음파용제 세척은 3분 이상 적용하는 것이 옳다. 이는 침투제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침투제 제거를 위한 초음파용제 세척은 3분 이상 적용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6)에서 침투제 및 시험체 표면의 온도를 몇 ℃의 범위로 표준 온도를 정하고 있는가?

  1. 0℃~25℃
  2. 0℃~42℃
  3. 5℃~52℃
  4. 20℃~125℃
(정답률: 68%)
  • ASME Sec.V Art.6에서는 침투탐상검사를 수행할 때 침투제와 시험체 표면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범위는 5℃에서 52℃까지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침투제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시험체 표면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지 않아서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6)에 규정된 침투액 적용 방법이 아닌 것은?

  1. 침지(dipping)
  2. 붓기(flowing)
  3. 솔질(brushing)
  4. 분무(spraying)
(정답률: 42%)
  • 침투액이 표면에 충분히 스며들어야 하기 때문에 붓기(flowing) 방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붓기 방법은 침투액이 일정한 두께로 표면에 덧칠되어 스며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침지(dipping), 솔질(brushing), 분무(spraying) 방법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6)의 형광침투탐상검사에 대한 내용이 틀린 것은?

  1. 검사는 어두운 장소에서 수행한다.
  2. 깨진 자외선 필터는 즉시 교체해야 한다.
  3. 자외선 강도는 시험체 표면에서 1000μW/cm2 이상이어야 한다.
  4. 검사 전에 어두운 장소에서 최소 1분간 어둠에 적응해야 한다.
(정답률: 30%)
  • "검사 전에 어두운 장소에서 최소 1분간 어둠에 적응해야 한다."가 틀린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형광침투탐상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눈이 어둡고 민감한 상태에서 검사를 시작하면 불필요한 오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검사 중에는 자외선 노출로 인한 안전 문제도 있기 때문에 검사 전에 어둠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24 SE-165)에 따라 유성유화제 적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세척시 수압은 275kPa 이하이다.,
  2. 물-공기 분무기의 경우 공기압은 172kPa이하이다.
  3. 물의 온도는 50℃ 이상을 유지한다.
  4. 유화제를 적용할 때, 분무, 붓칠 방법은 적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59%)
  • "유화제를 적용할 때, 분무, 붓칠 방법은 적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입니다. ASME Sec,V Art.24 SE-165에서는 유성유화제를 적용할 때 분무, 붓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의 온도는 50℃ 이상을 유지하는 이유는 유성유화제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유성유화제는 50℃ 이상의 물 온도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물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유화제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침투탐상 시험 방법 및 침투지시모양의 분류(KS B 0816)에서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시험방법은?

  1. VC-S
  2. VB-W
  3. FC-S
  4. VC-W
(정답률: 60%)
  • "VC-S"는 시험체의 표면에 침투액을 뿌리고, 침투액이 침투한 부분을 제거한 후, 개시액을 뿌려서 침투액이 남아있는 부분을 확인하는 시험방법이다. 이 방법은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침투탐상검사(ASME Sec,V Art.24 SE-165)에 따라 시험체에 침투탐상검사 절차를 수행할 때 침투제 권고 최소 체류시간에 대한 침투제의 온도범위로 옳은 것은?

  1. 침투제의 온도범위는 4℃~38℃ 이다.
  2. 침투제의 온도범위는 4℃~52℃ 이다.
  3. 침투제의 온도범위는 10℃~28℃ 이다.
  4. 침투제의 온도범위는 10℃~52℃ 이다.
(정답률: 50%)
  • 침투탐상검사에서 사용되는 침투제는 일정한 온도에서 사용되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ASME Sec,V Art.24 SE-165에서는 침투제 권고 최소 체류시간에 대한 침투제의 온도범위를 10℃~52℃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투제의 온도범위는 10℃~52℃ 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