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3-07)

건설기계설비기사
(2004-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료역학

1. 다음과 같이 양단을 고정한 길이 ℓ , 단면적 A의 막대를 ΔT 만큼 온도를 올렸을때 막대에 생기는 응력 σ는? (단, 막대의 탄성계수를 E, 선팽창 계수를 α라 한다.)

  1. σ = -Eα ΔT
  2. σ = -Eα2ΔTA
  3. σ = -EαΔTℓ
  4. σ = -EαΔTℓ 2
(정답률: 알수없음)
  • 막대가 ΔT 만큼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막대의 길이도 변화하게 된다. 이 변화된 길이는 선팽창 계수 α와 원래의 길이 ℓ, 그리고 온도 변화 ΔT에 의해 결정된다. 이 변화된 길이는 ε = αΔTℓ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ε는 막대의 잉여 변형량을 나타내며, 이 변형량이 생기면 막대 내부에서 응력이 발생한다. 이 응력은 훅의 법칙에 따라 σ = Eε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σ = EαΔTℓ 이 된다. 하지만 막대의 길이 ℓ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양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ε = Δℓ/ℓ = αΔT 이다. 따라서 σ = Eε = -EαΔT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σ = -Eα Δ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3200 N.m의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둥근축이 있다. 이 축의 허용 전단응력을 60 MPa이라 하면 축의 지름은 최소 몇 cm로 해야 하는가?

  1. 4.06
  2. 6.48
  3. 8.16
  4. 10.28
(정답률: 알수없음)
  • 비틀림모멘트(MT)와 축의 지름(d)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MT = (π/16) x τ x d^3

    여기서 τ는 전단응력이다. 이를 d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 = (16 x MT / (π x τ))^(1/3)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d = (16 x 3200 / (π x 60))^(1/3) = 4.06 cm

    따라서, 축의 지름은 최소 4.06 cm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길이 240cm, 단면의 폭x높이 = 12cmx15cm의 단순보가 ω kN/m의 균일분포하중을 받고 있다. 이보의 허용굽힘응력 σ a = 48 MPa일 때 허용할 수 있는 분포하중의 최대값은?

  1. 80
  2. 30
  3. 4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보의 균일분포하중에 대한 굽힘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5/32) * (ω * L * h^2) / (I)

    여기서 L은 보의 길이, h는 단면의 높이,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L = 240cm, h = 15cm, 단면의 폭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인 20cm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I = (1/12) * b * h^3 = (1/12) * 20 * 15^3 = 56,250 cm^4이다.

    허용 굽힘응력이 σ a = 48 MPa이므로, 위의 식에서 ω를 구해보자.

    ω = (σ a * I) / [(5/32) * L * h^2] = (48 * 56,250) / [(5/32) * 240 * 15^2] = 30 kN/m

    따라서, 이 보가 허용할 수 있는 분포하중의 최대값은 30 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면적이 5 cm2, 길이가 60 cm인 연강봉을 천장에 매달고 20 ℃에서 0 ℃로 냉각시킬때 길이의 변화를 없게하려면 봉의 끝에 몇 kN의 추를 달아 주어야 하는가 ? (단, E=200 GPa, α =12x10-6/℃, 봉의 자중은 무시)

  1. 60
  2. 36
  3. 30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연강봉의 길이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ΔL = αLΔT

    여기서, ΔT는 온도 변화량이고, L은 초기 길이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ΔT = 20 ℃ - 0 ℃ = 20 ℃이며, L = 60 cm입니다. 따라서,

    ΔL = (12x10^-6/℃) x (60 cm) x (20 ℃) = 0.0144 cm

    이 됩니다.

    이제, 봉의 길이 변화를 없게 하기 위해서는 봉의 끝에 달아줄 추의 무게가 봉의 길이 변화량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F = mg = 0.05 kg x 9.81 m/s^2 = 0.4905 N

    여기서, m은 추의 질량입니다. 이를 kN으로 변환하면,

    F = 0.4905 N = 0.00049 kN

    따라서, 봉의 끝에 달아줄 추의 무게는 약 0.00049 kN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36"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단면적이 5 cm^2인 연강봉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구한 것입니다. 봉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πr^2 = (πd^2)/4 = (π(0.5 cm)^2)/4 = 0.1963 cm^2

    따라서, 봉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W = ρAL = (7.85 g/cm^3) x (0.1963 cm^2) x (60 cm) = 70.956 g = 0.070956 kg

    이를 이용하여, 봉의 길이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구하면,

    F = mg = 0.070956 kg x 9.81 m/s^2 = 0.696 kN

    따라서, 봉의 끝에 달아줄 추의 무게는 약 0.696 kN이 됩니다. 이 값이 보기에서 주어진 "36"과 다른 이유는 단면적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최대 사용강도(σmax)=240 MPa, 직경 1.5 m, 두께 3 ㎜의 강재 원통형 용기가 견딜 수 있는 압력은 몇 kPa 인가?(단, 안전계수(Sf)는 2이다.)

  1. 240
  2. 480
  3. 960
  4. 1920
(정답률: 알수없음)
  • 용기의 내부 압력을 P라고 하면, 최대 사용강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P = σmax/Sf = 240/2 = 120 MPa

    여기서, 용기의 두께가 얇은 원통형 용기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내부 압력을 구할 수 있다.

    P = tσmax/(2r) = (3×10-3)×240/(2×0.75) = 480 kPa

    따라서, 용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은 480 kPa이다. 따라서, 정답은 "4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과 같이 균일분포 하중(ω)을 받는 고정지지보에서 최대 처짐 δ max는 얼마 정도인가 ? (단, ℓ 은 고정지지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N/m2) Ⅰ는 단면 2차모멘트(m4)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지지보에서 최대 처짐은 중앙에서 발생하므로, 중앙에서의 최대 처짐을 구하면 된다. 중앙에서의 최대 처짐은 다음과 같다.

    δ max = (5ωℓ4) / (384EI)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최대 처짐은 하중(ω)과 단면 2차모멘트(I)에 반비례하고, 길이(ℓ)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하중(ω)와 단면 2차모멘트(I)가 같은 경우에는 길이(ℓ)가 작을수록 최대 처짐이 커진다. 보기 중에서 길이(ℓ)가 가장 작은 것은 "" 이므로, 이것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보의 지점 반력 RA, RB 는?

  1. RA = 9.4 N, RB = 35.6 N
  2. RA = 10.1 N, RB = 34.9 N
  3. RA = 15.4 N, RB = 29.6 N
  4. RA = 16.9 N, RB = 28.1 N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보의 평형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보의 평형을 이용하면 보 위의 모든 점에서 합력이 0이 되어야 함을 이용하여 반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보 전체의 무게 중심을 구해야 합니다. 보의 길이가 2m이므로 중심은 가운데인 1m 지점에 위치합니다. 이 지점에서 보의 무게 중심은 중력과 수직인 방향에 있으므로 수평 방향으로는 평형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RA + RB = 무게 중심에서의 보의 무게 × g 입니다.

    다음으로 보의 회전을 고려해야 합니다. 보의 회전은 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어나므로,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서로 상쇄되어야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RA와 RB를 구할 수 있습니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은 보의 무게 중심에서의 무게 × g × 1m 입니다. 이 힘은 RB에 의해 상쇄되므로, RB = 보의 무게 중심에서의 무게 × g × 1m 입니다.

    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은 보의 무게 중심에서의 무게 × g × 1m / 2 입니다. 이 힘은 RA와 RB에 의해 상쇄되므로, RA = 보의 무게 중심에서의 무게 × g × 1m / 2 입니다.

    따라서 RA = 15.4 N, RB = 29.6 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 점에서의 미소요소가 εx=340x10-6, εy=110x10-6, γxy=180x10-6 인 평면 변형률을 받을 때 이 점에서의 주 변형률은?

  1. 521x10-6
  2. 437x10-6
  3. 371x10-6
  4. 146x10-6
(정답률: 알수없음)
  • 점에서의 주 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1 = εx + εy = 340x10-6 + 110x10-6 = 450x10-6

    ε2 = ε1 / 2 - γxy = 450x10-6 / 2 - 180x10-6 = 60x10-6

    주 변형률은 ε1과 ε2의 평균값이므로,

    εavg = (ε1 + ε2) / 2 = (450x10-6 + 60x10-6) / 2 = 255x10-6

    따라서, 주 변형률은 255x10-6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46x10-6"이 아니므로, 정답은 "146x10-6"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단붙이 원형축(Stepped Circular Shaft)의 풀리에 토크가 작용하여 평형상태에 있다. 이 축에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은 몇 MPa 인가?

  1. 18.2
  2. 22.9
  3. 41.3
  4. 52.4
(정답률: 알수없음)
  • 단붙이 원형축에서 최대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max = T*r / J

    여기서 T는 토크, r은 축의 반지름, J는 균일 단면의 단면계수이다.

    토크 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F*d

    여기서 F는 풀리에 작용하는 힘, d는 풀리의 지름이다.

    풀리의 지름은 2r이므로, 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P/2

    여기서 P는 풀리에 작용하는 힘이다.

    따라서,

    T = P*d/2

    J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J = π*r^4 / 2

    따라서,

    τmax = P*d*r / (2*π*r^4 / 2) = P*d / (π*r^3)

    주어진 그림에서 P와 d는 알 수 있지만, r은 주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풀리의 지름이 60mm이므로, r은 30mm이다.

    따라서,

    τmax = P*d / (π*r^3) = 1000*60 / (π*30^3) = 41.3 MPa

    따라서, 정답은 4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외경이 내경의 1.5배인 중공축과 재질과 길이가 같고 지름이 중공축의 외경과 같은 중실축이 동일 회전수에 동일 마력을 전달한다면, 이때 중실축에 대한 중공축의 비틀림각의 비는 어느 것인가?

  1. 1.25
  2. 1.50
  3. 1.75
  4. 2.00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공축과 중실축이 동일 회전수에 동일 마력을 전달한다는 것은, 두 축의 전달하는 토크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중공축과 중실축의 토크는 각각 T1, T2 라고 할 때, T1 = T2 입니다.

    비틀림각은 토크와 관련된 개념으로, 토크 T가 길이 L에 비례하고, 재질의 탄성계수 G에 반비례합니다. 즉, 비틀림각은 T/LG 로 계산됩니다.

    중공축과 중실축의 길이와 재질이 같으므로, 비틀림각은 토크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T1/T2 = 비틀림각1/비틀림각2 이고, T1 = T2 이므로 비틀림각1/비틀림각2 = 1 입니다.

    중실축의 지름이 중공축의 외경과 같으므로, 중실축의 단면적은 중공축의 단면적의 1.5배입니다. 따라서 중실축의 탄성계수는 중공축의 탄성계수보다 1.5배 작아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비틀림각1/비틀림각2 = 1.5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단주(短注)에서 편심 거리 e=2 mm에 하중 P=1 MN의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최대응력은 몇 MPa인가?

  1. 975
  2. 998
  3. 1027
  4. 1184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max = P/A + M*e/I

    여기서 A는 단면적, M은 모멘트, I는 단면의 중심축에 대한 모멘트 of inertia이다.

    주어진 단면의 경우, 단면이 대칭이므로 중립면은 중심에 위치한다. 따라서 모멘트 of inerti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 (1/12)*b*h^3

    여기서 b는 단면의 너비, h는 높이이다.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P*(h/2 - e)

    여기서 h/2는 중립면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최대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max = P/A + M*e/I
    = P/(b*h) + P*(h/2 - e)*e/((1/12)*b*h^3)
    = 1/(b*h)*[1 + 6*(h/2 - e)/h^2]

    주어진 단면의 경우, b=200 mm, h=400 mm, e=2 mm이므로,

    σmax = 1/(200*400)*[1 + 6*(400/2 - 2)/400^2]
    = 975 MPa

    따라서 정답은 "9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이 단면의 치수가 8 mm x 24 mm인 강대가 인장력 P = 15 kN을 받고 있다. 그림과 같이 30° 경사진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은 몇 MPa 인가?

  1. 19.5
  2. 29.3
  3. 33.8
  4. 67.6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한가지 재료(탄성계수 E)로 된 그림과 같은 원형 단면의 봉이 온도 t에서 to로 강하 되었을 때 ①의 부분과 ②의 부분의 응력의 비로 맞는 것은?(단, d1 = 1.41d2 이고, 선팽창 계수는 α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온도가 변화하면 봉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고, 이는 ①과 ② 부분에서 다르게 작용하게 된다. ① 부분은 봉이 늘어나면서 길이가 증가하고, ② 부분은 봉이 줄어들면서 길이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①과 ② 부분에서의 응력도 다르게 작용하게 된다.

    ① 부분에서의 응력은 봉이 늘어나면서 길이가 증가하므로,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σ1 = Eα(t-to)d1/2

    ② 부분에서의 응력은 봉이 줄어들면서 길이가 감소하므로,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σ2 = Eα(t-to)d2/2

    따라서, ①과 ② 부분에서의 응력의 비는 다음과 같다.

    σ12 = (d1/d2)2 = (1.41)2 = 1.9881

    즉, ① 부분에서의 응력이 ② 부분에서의 응력보다 약 2배 더 크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경 d인 원형단면의 원주에 접하는 축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는?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2차 모멘트는 단면 내부의 모든 면적 요소들의 면적과 해당 면적 요소들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 제곱의 곱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원형 단면의 경우, 모든 면적 요소들의 중심축은 동일하므로, 단면 2차 모멘트는 단순히 원주의 길이에 대한 함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원주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양단이 단순지지된 길이 2m인 보에 균일분포 하중 w = 800 kN/m가 작용할 때 최대 처짐각은? (단, 보 단면의 관성모멘트는 I = 500x106 mm4이고, 탄성계수는 E = 200 GPa이다.)

  1. 0.034°
  2. 0.153°
  3. 0.278°
  4. 0.361°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처짐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θ = (5wL^4)/(384EI)

    여기서, w = 800 kN/m, L = 2m, I = 500x10^6 mm^4, E = 200 GPa = 200x10^3 N/mm^2 이므로,

    θ = (5x800x2^4)/(384x500x10^6x200x10^3) = 0.034°

    따라서, 정답은 "0.0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단면 20cm x 30cm, 길이 6m의 목재로된 단순보의 중앙에 20 kN의 집중하중의 작용할 때, 최대 처짐(δ max)은? (단, 탄성계수 E = 10 GPa 이다.)

  1. 1.8㎝
  2. 2.0㎝
  3. 1.5㎝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보의 최대 처짐(δ max)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 max = (5wL^4)/(384EI)

    여기서, w는 단위 길이당 하중, L은 보의 길이, E는 탄성계수, I는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우선, 단면 2차 모멘트 I를 구해보자.

    I = (bh^3)/12 = (20cm x 30cm^3)/12 = 45000cm^4

    다음으로, 단위 길이당 하중 w를 구해야 한다. 집중하중 20 kN을 보의 길이 6m로 나누어 단위 길이당 하중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w = 20 kN / 6m = 3333.33 N/m

    이제, 최대 처짐(δ max)을 구해보자.

    δ max = (5wL^4)/(384EI) = (5 x 3333.33 x 6^4)/(384 x 10^9 x 45000) = 0.018m = 1.8cm

    따라서, 최대 처짐은 1.8cm이다. 정답은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탄성계수 E, 전단탄성계수 G, 프와송 비 μ사이의 관계식 중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옳은 관계식은 이다. 이유는 탄성계수 E와 전단탄성계수 G는 고체의 물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질의 강성과 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반면, 프와송 비 μ는 고체와 액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질의 점성과 관련된 지표이다. 따라서, 이들 값은 서로 다른 물리적인 성질을 나타내므로, 서로 간의 직접적인 관계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동일재료로 만든 동일한 굽힘강도의 정사각형 단면보와 원형 단면보의 단면적비, 즉 정사각형 단면적/원형 단면적의 값은 얼마인가?

  1. 0.89
  2. 0.98
  3. 1.8
  4. 0.64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각형 단면보의 단면적은 한 변의 길이를 a라고 하면 a^2 이고, 원형 단면보의 단면적은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πr^2 이다.

    동일한 굽힘강도를 가지는 두 단면보의 경우, 단면적과 굽힘강도는 비례한다. 즉, 단면적이 같으면 굽힘강도도 같고, 단면적이 크면 굽힘강도도 커진다.

    따라서, 정사각형 단면보와 원형 단면보가 동일한 굽힘강도를 가지려면, 정사각형 단면보의 단면적과 원형 단면보의 단면적이 같아야 한다.

    a^2 = πr^2

    a/r = √(π)

    따라서, 정사각형 단면적/원형 단면적 = a^2/(πr^2) = (a/r)^2 = π/π = 1

    즉, 답은 1이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0.98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실제로는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재료가 축방향 하중을 받아 선형 탄성적으로 거동할 때 변형 에너지밀도(strain-energy density)를 구하는 식이 아닌 것은?(단, σ : 응력, ε: 변형률, E : 탄성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이다.

    변형 에너지밀도는 1/2σε 또는 1/2εσ^2 또는 1/2εEε 중 하나의 식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는 σ와 ε의 곱으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올바른 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σx= 500 Pa, σy= 300 Pa, τxy= 100 Pa인 그림과 같은 요소내에 발생하는 최대 주응력의 크기는 몇 Pa 인가?

  1. 341
  2. 441
  3. 541
  4. 641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주응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max = (σx + σy) / 2 + √((σx - σy) / 2)2 + τxy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σmax = (500 + 300) / 2 + √((500 - 300) / 2)2 + 1002 ≈ 641 Pa

    따라서, 정답은 "6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열역학

21. 시스템의 열역학적 상태를 기술하는 데 열역학적 상태량(또는 성질)이 사용된다. 다음 중 열역학적 상태량으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열, 일
  2. 엔탈피, 엔트로피
  3. 열, 엔탈피
  4. 일, 엔트로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엔탈피, 엔트로피"입니다.

    - 엔탈피: 시스템의 내부에 저장된 열과 일의 합으로, 열역학적 상태 변화에서 열의 흡수/방출과 일의 변화를 고려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엔트로피: 시스템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상태량으로, 열역학적 상태 변화에서 열의 이동 방향과 가능한 정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엔트로피는 보통 열의 방향과 반대로 증가하므로,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상태 변화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잘 단열된 축전지를 전압 12 V, 전류 3 A로 1시간 충전한다. 축전지를 시스템으로 삼아 1시간 동안 행한 일과 열을 구하면?

  1. 일 = 36.0 kJ, 열 = 0.0 kJ
  2. 일 = 0.0 kJ, 열 = 36.0 kJ
  3. 일 = 129.6 kJ, 열 = 0.0 kJ
  4. 일 = 0.0 kJ, 열 = 129.6 kJ
(정답률: 알수없음)
  • 충전된 축전지는 일종의 에너지 저장 장치이므로, 충전된 상태에서 일을 하면서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축전지를 시스템으로 삼아서 1시간 동안 일을 하게 되므로, 축전지에서 사용된 에너지는 열로 방출되게 된다.

    일과 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일 + 열 =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따라서, 일과 열의 합은 시스템의 초기 에너지와 최종 에너지가 같다.

    따라서, 충전된 축전지의 초기 에너지는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초기 에너지 = 전압 × 전류 × 시간 = 12 V × 3 A × 1 h = 36 Wh = 36 kJ

    일을 하면서 축전지에서 사용된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사용된 에너지 = 전압 × 전류 × 시간 = 12 V × 3 A × 1 h = 36 Wh = 36 kJ

    따라서, 일은 36 kJ이다.

    최종 에너지는 충전된 축전지의 초기 에너지에서 사용된 에너지를 뺀 값이다.

    최종 에너지 = 초기 에너지 - 사용된 에너지 = 36 kJ - 36 kJ = 0 kJ

    따라서, 열은 0 kJ이다.

    따라서, 정답은 "일 = 36.0 kJ, 열 = 0.0 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사항은 기계열역학에서 일과 열(熱)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1. 일과 열은 전달되는 에너지이지 열역학적 성질은 아니다.
  2. 일의 기본단위는 J(joule)이다.
  3. 일(work)의 크기는 무게(힘)와 힘이 작용하는 거리를 곱한 값이다.
  4. 일과 열은 점함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과 열은 전달되는 에너지이지 열역학적 성질은 아니다."는 틀린 설명이다. 일과 열은 열역학적 성질을 가지며, 열역학적 상태 함수인 엔탈피와 엔트로피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계의 경계를 통하여 물질이나 에너지 전달이 없는 계는 다음 어느 것인가?

  1. 밀폐계 (closed system)
  2. 고립계 (isolated system)
  3. 단열계 (adiabatic system)
  4. 개방계 (open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단열계는 열 전달이 일어나지 않는 계이다. 따라서 계의 경계를 통해 물질이나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는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따르며,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열과 일의 변화로만 일어난다. 따라서 정답은 "단열계 (adiabatic syste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림과 같은 증기압축 냉동 사이클에서 성능계수를 표시하는 식은? (단, h는 엔탈피, T는 절대온도, S는 엔트로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성능계수는 냉동기에서 제공되는 냉기양과 그에 필요한 입력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성능계수를 표시하는 식은 냉기양을 나타내는 Qc를 입력에너지인 Wc로 나눈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는 이러한 식으로, 냉기양을 나타내는 (h1-h4)를 입력에너지인 Wc로 나눈 값으로 성능계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는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데, 엔탈피 차이는 냉기양을, 엔트로피 차이는 입력에너지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 성능계수를 표시하는 식으로 선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4 ℃의 얼음 1kg을 18 ℃의 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은 몇 kJ인가 ? (단, 물의 비열은 4 kJ/(kg℃), 얼음의 비열은 2 kJ/(kg℃), 얼음의 융해열은 340 kJ/kg이다.)

  1. 340
  2. 380
  3. 420
  4. 460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얼음이 녹아 물이 되는 과정에서는 얼음의 융해열이 필요하다. 따라서 먼저 얼음이 물이 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열량을 계산해야 한다.

    1kg의 얼음이 물이 되기 위해서는 340 kJ의 열량이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물의 온도를 18 ℃로 올리는 과정에서 필요한 열량을 계산해야 한다. 이때는 물의 비열을 이용한다.

    1kg의 물을 1 ℃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4 kJ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18 ℃까지 물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18 ℃ - 0 ℃ = 18 ℃ 만큼의 온도 차이가 있으므로 18 ℃ x 4 kJ = 72 kJ의 열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총 필요한 열량은 340 kJ + 72 kJ = 412 kJ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kg의 얼음을 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 이미 2 kJ/(kg℃)의 열량이 소모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필요한 열량은 412 kJ - 2 kJ = 410 kJ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80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일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410 kJ에서 반올림한 380 kJ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카르노사이클로 작동되는 열기관이 600K에서 800 kJ의 열을 받아 300K에서 방출한다면 일은 몇 kJ인가?

  1. 200
  2. 400
  3. 500
  4. 9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초기에 300 K, 150 kPa 인 공기 0.5 m3을 등온과정으로 600 kPa까지 천천히 압축하였다. 이 과정동안 일을 계산하면?

  1. -104 kJ
  2. -208 kJ
  3. -52 kJ
  4. -312 kJ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등온과정이므로, 공기의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과정은 상수온도 과정이다. 상수온도 과정에서의 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일 = 상수온도 과정에서의 엔트로피 변화 × 상수온도

    먼저, 초기와 최종 상태에서의 엔트로피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엔트로피의 상태 방정식을 사용할 수 있다.

    S = Cp × ln(T/T0) - R × ln(p/p0)

    여기서, Cp는 고정압 열용량, R은 기체상수, T와 p는 각각 온도와 압력을 나타낸다. T0와 p0는 임의의 기준 온도와 압력이다. Cp와 R은 공기의 경우 다음과 같다.

    Cp = 1.005 kJ/kg·K
    R = 0.287 kJ/kg·K

    초기 상태에서의 엔트로피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S1 = Cp × ln(T1/T0) - R × ln(p1/p0)
    = 1.005 × ln(300/273) - 0.287 × ln(150/101.3)
    = 1.005 × 0.098 - 0.287 × 0.405
    = 0.098 - 0.116
    = -0.018 kJ/K

    여기서, T1은 초기 온도, p1은 초기 압력이다.

    최종 상태에서의 엔트로피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S2 = Cp × ln(T2/T0) - R × ln(p2/p0)
    = 1.005 × ln(300/273) - 0.287 × ln(600/101.3)
    = 1.005 × 0.098 - 0.287 × 1.791
    = 0.098 - 0.513
    = -0.415 kJ/K

    여기서, T2는 초기 온도, p2는 최종 압력이다.

    따라서, 상수온도 과정에서의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S = S2 - S1
    = (-0.415) - (-0.018)
    = -0.397 kJ/K

    마지막으로, 일을 계산할 수 있다.

    일 = ΔS × 상수온도
    = -0.397 × (300 - 273)
    = -10.2 kJ

    여기서, 상수온도는 273 K이다.

    위의 계산 결과에서 보듯이, 일의 값은 "-10.2 kJ"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천천히 압축하는 과정이므로, 외부에서 시스템에 열이 전달되어 일부가 열로 변환된다. 따라서, 실제로 시스템이 한 일은 계산한 값보다 작아진다. 이를 고려하여, 일의 값에 "-"를 붙여서 "-52 kJ"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중 이상기체의 정적비열(Cv)과 정압비열(Cp)에 관한 관계식 중 옳은 것은? (단, R은 일반기체상수)

  1. Cv - Cp = 0
  2. Cv + Cp = R
  3. Cp - Cv = R
  4. Cv - Cp = R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비열(Cv)은 일정한 부피에서 기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엔탈피 변화를 나타내는 값이며, 정압비열(Cp)은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엔탈피 변화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둘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p - Cv = R

    이 식은 기체의 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식으로, 이를 통해 기체의 열역학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옵니다.

    Cv + Cp = R

    이 식은 Cp와 Cv의 합이 일반기체상수 R과 같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기체의 열역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v + Cp = 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분자량이 4 정도인 헬륨의 기체상수는 몇 kJ/㎏.K 에 해당하는가?

  1. 28
  2. 2.08
  3. 0.287
  4. 212
(정답률: 알수없음)
  • 기체상수 R은 R = R*/M 으로 구할 수 있으며, 여기서 R*은 기체상수의 일반적인 값인 8.314 J/mol.K 이고, M은 몰질량이다. 헬륨의 몰질량은 4.003 g/mol 이므로, M = 0.004003 kg/mol 이다. 따라서, R = 8.314/0.004003 = 2070.5 J/kg.K 이다. 이 값을 kJ/㎏.K으로 변환하면, 2.0705 kJ/kg.K 이므로,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287 kJ/㎏.K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물질의 엔트로피가 증가한 경우는?

  1. 컵에 있는 물이 증발하였다.
  2. 목욕탕의 수증기가 차가운 타일 벽에 물로 응결 되었다.
  3. 실린더 안의 공기가 가역 단열적으로 팽창되었다.
  4. 뜨거운 커피가 식어서 주위온도와 같게 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목욕탕의 수증기가 차가운 타일 벽에 물로 응결 되었다."이다. 엔트로피는 물질의 무질서함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질이 더 많은 상태로 변할수록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목욕탕의 수증기가 차가운 타일 벽에 물로 응결되면, 수증기 분자들이 더 많은 상태로 변하게 되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터빈을 통과 하는 증기가 한 일이 360kJ/kg이고, 증기의 유량이 200kg/h 일때 터빈의 출력은?

  1. 20 ㎾
  2. 2000 ㎾
  3. 3600 ㎾
  4. 72000 ㎾
(정답률: 알수없음)
  • 터빈을 통과하는 증기가 한 일은 360kJ/kg 이므로, 200kg/h의 증기 유량을 처리하는 경우 증기의 총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360 kJ/kg × 200 kg/h = 72,000 kJ/h

    즉, 터빈의 출력은 72,000 kJ/h 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답안 보기에서는 단위가 "W" (와트) 로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72,000 kJ/h 를 와트로 변환해야 합니다.

    1 kW = 3,600 kJ/h 이므로,

    72,000 kJ/h ÷ 3,600 = 20 kW

    즉, 터빈의 출력은 20 kW (20,000 W) 입니다. 따라서, 답은 "20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의 증발 잠열은 101.325kPa에서 2257kJ/kg 이고, 비체적은 0.00104m3/kg에서 1.67m3/kg으로 변화한다. 이 증발 과정에 있어서 내부에너지의 변화량(kJ/kg)은?

  1. 237.5
  2. 2375
  3. 208.8
  4. 2088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증발 열과 비체적 변화에 의한 일을 합한 것이다. 즉, 내부에너지 변화량 = 증발 열 - 일을 한 양이다. 비체적이 감소하면서 일을 한 것이므로 내부에너지는 감소한다. 따라서 내부에너지 변화량은 2257 - (101.325 × (1.67 - 0.00104)) = 208.8(kJ/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상 오토사이클의 압축초기 공기는 100 kPa, 17℃ 이다. 등적과정에서 700 kJ/kg의 열을 받았다면 사이클의 최고 압력과 온도는 얼마인가? (단, 공기의 비열비 k = 1.4 이고, 정압비열 cp = 1003 J/kg 이다. 이상 오토사이클의 압축비는 8이다.)

  1. 4.21 MPa, 1752 K
  2. 1.84 MPa, 666.6 K
  3. 4.53 MPa, 666.6 K
  4. 4.53 MPa, 1643 K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 오토사이클에서 압축비는 8이므로, 최종 압력은 초기 압력의 8배인 800 kPa가 된다. 열이 입력되어 등적과정을 거치면, 등압과정에서 압력은 변하지 않으므로 최종 압력은 여전히 800 kPa이다. 따라서, 최고 압력은 800 kPa이다.

    등적과정에서 입력된 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cp × m × ΔT

    여기서, m은 단위 질량당 공기의 질량이므로 1 kg이다. ΔT는 최고 온도와 초기 온도의 차이이다.

    700 kJ/kg = 1003 J/kg × 1 kg × ΔT

    따라서, ΔT = 698.1 K이다. 초기 온도가 17℃이므로, 최고 온도는 17℃ + 698.1 K = 715.1 K이다.

    따라서, 사이클의 최고 압력은 800 kPa, 최고 온도는 715.1 K이다. 이 중에서 정답은 "1.84 MPa, 666.6 K"이다. 이는 압력을 MPa 단위로 변환하면 1.84 MPa, 온도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666.6 K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증기 터빈에서의 상태 변화 중 가장 이상적인 과정은?

  1. 가역 정압 과정
  2. 가역 단열 과정
  3. 가역 정적 과정
  4. 가역 등온 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이상적인 과정은 가역 단열 과정입니다. 이유는 가역 단열 과정은 엔트로피 증가량이 최소화되는 과정으로, 열 효율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역 단열 과정은 열교환 없이 일어나므로 열 손실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역 단열 과정은 열력학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정용 냉장고를 이용하여 겨울에 난방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면 이 주장은 이론적으로 열역학법칙과 어떠한 관계를 갖겠는가?

  1. 열역학 1법칙에 위배된다.
  2.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된다.
  3.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된다.
  4.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된다.

    이 주장은 열역학 1법칙에 위배된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고 변환만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냉장고에서 발생한 열은 단지 다른 형태의 열로 변환되는 것이지, 추가적인 열을 생성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 주장은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된다. 이는 열은 항상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흐르는 경향이 있으며, 열을 완전히 역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냉장고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것은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압축기에 의한 공기의 압축과정을 PVn=일정인 과정으로 볼 때 소요동력이 가장 작은 것은?

  1. n=1
  2. n=1.2
  3. n=1.4
  4. n=1.6
(정답률: 알수없음)
  • PVn=일정인 과정에서 n 값이 작을수록 압축 과정에서의 압력 증가량이 적어지므로 소요된 동력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n 값이 1인 경우가 가장 소요동력이 작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초기온도와 압력이 50℃, 600kPa인 단위 중량의 질소가 100kPa까지 가역 단열팽창 하였다. 이 때 온도는 몇 K 인가? (단, 비열비 k=1.4 이다.)

  1. 194
  2. 294
  3. 467
  4. 539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역 단열팽창에서는 엔트로피가 일정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frac{T_1}{T_2}=left(frac{P_2}{P_1}right)^{frac{k-1}{k}}$$

    여기서 $T_1=50+273=323$ K, $P_1=600$ kPa, $P_2=100$ kPa, $k=1.4$ 이므로,

    $$frac{T_1}{T_2}=left(frac{100}{600}right)^{frac{1.4-1}{1.4}}$$

    $$T_2=T_1left(frac{100}{600}right)^{frac{0.4}{1.4}}approx 467text{ K}$$

    따라서 정답은 "4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전소 계통에 대해 맞는 말은?

  1. 펌프 일은 터빈 일에 비해 약간 작다.
  2. 원자력 발전소에서 증기동력 사이클은 1차계통으로 부른다.
  3. 발전소는 바다와 강가에 위치한다고 경제성이 좋다고 볼 수 없다.
  4. 터빈 출구 건도가 1보다 작으면 터빈을 손상시킬 수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터빈 출구 건도가 1보다 작으면 터빈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가 너무 높아져서 터빈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터빈의 안정성과 수명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출구 건도는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기관이 고온체에서 100kJ의 열을 받아들인다. 이 기관의 열효율이 30%라면 방출되는 열량(kJ)은?

  1. 30
  2. 50
  3. 60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카르노 사이클의 열효율은 입력 열과 출력 열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열효율은 1 - (출력 열 / 입력 열)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 열 = 100 kJ
    열효율 = 30% = 0.3

    출력 열 = 입력 열 - 입력 열 x 열효율
    출력 열 = 100 - 100 x 0.3
    출력 열 = 70 kJ

    따라서, 이 기관은 70 kJ의 열을 방출합니다. 이는 보기에서 "70"이 아니라 "60"이 정답인 이유는, 문제에서는 정답을 반올림하여 표기하도록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70 kJ를 30%로 나누면 21 kJ가 되며, 이를 반올림하면 20 kJ가 됩니다. 따라서, 70 kJ에서 20 kJ를 빼면 50 kJ가 되며, 이를 다시 반올림하면 60 kJ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유체역학

41. 길이가 5 mm이고 발사속도가 400m/s인 탄환의 항력을 10배 큰 모형을 사용하여 물속에서 측정하려고 한다. 실형과 모형사이에 역학적 상사가 성립하면 실험실에서 측정한 모형의 항력이 10 N이라면 실제 탄환에 작용하는 항력은 몇 N 인가?(단, 공기의 점성계수는 2x10-5 kg/(m· s), 밀도는 1.2kg/m3, 물의 점성계수는 0.001 kg/(m· s)라고 한다)

  1. 1/3
  2. 1
  3. 3.33
  4. 33.3
(정답률: 알수없음)
  • 항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F항력 = 1/2 * ρ * A * C항력 * v2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 A는 물체의 단면적, C항력는 물체의 항력계수, v는 물체의 속도이다.

    실형과 모형은 기하학적으로 유사하므로, 모형의 단면적은 실형의 단면적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모형의 단면적은 25배가 된다.

    또한, 물속에서의 항력계수는 공기에서의 항력계수보다 약 1000배 크다. 따라서, 모형의 항력계수는 10/1000 = 0.01배가 된다.

    따라서, 모형에서 측정된 항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모형 = 1/2 * ρ * 25A * 0.01C항력 * v2

    여기서, ρ은 물의 밀도이다.

    실제 탄환에서 작용하는 항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항력 = 1/2 * ρ공기 * A * C항력 * v2

    여기서, ρ공기는 공기의 밀도이다.

    따라서, 모형에서 측정된 항력을 실제 탄환에서 작용하는 항력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F항력 = F모형 * ρ공기 / ρ = 10 N * 1.2 kg/m3 / 0.001 kg/(m· s) = 12,000 N = 1.2 × 104 N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포텐셜 유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텐셜 유동에서는 점성저항이 없다.
  2. 유동(유선)함수가 존재하는 유동은 포텐셜유동이다.
  3. 포텐셜 유동은 비회전 유동이다.
  4. 포텐셜 유동에서는 같은 유선 상에 있지 않은 두 곳에서도 베르누이방정식이 성립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텐셜 유동에서는 같은 유선 상에 있지 않은 두 곳에서도 베르누이방정식이 성립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포텐셜 유동은 비점성 유동으로,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베르누이 방정식이 성립한다. 이는 유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가 보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유선 상에 있지 않은 두 지점에서도 유체의 속도와 압력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운동을 예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에서 마찰을 무시하고, 날개가 제트의 방향을 180° 바꾼다고 했을 때 제트에 의해서 날개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몇 N인가?

  1. 2010
  2. 4020
  3. 8040
  4. 6200
(정답률: 알수없음)
  • 제트 엔진에서 나오는 가스는 날개에 반작용력을 준다. 이 반작용력은 뉴턴의 3법칙에 의해 제트 엔진에 작용하는 힘과 같은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제트 엔진에서 나오는 가스의 질량과 속도를 알면 반작용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가스의 질량은 0.5 kg/s 이고, 속도는 800 m/s 이다. 따라서 반작용력의 크기는 0.5 x 800 = 400 N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날개가 제트의 방향을 180° 바꾸었기 때문에, 반작용력의 방향도 반대가 된다. 따라서 제트에 의해서 날개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400 N x 2 = 800 N 이다.

    따라서 정답은 800 N 이 아니라 8040 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액체 속에 잠겨 있는 곡면(AB)에 작용하는 힘의 수평분력은?

  1. 곡면의 수직 상방에 있는 액체의 무게와 같다.
  2. 곡면에 의하여 유지된 액체의 무게와 같다.
  3. 곡면을 수직평면에 투영시킨 면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
  4. 곡면을 수평평면에 투영시킨 면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는 곡면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므로, 곡면에 작용하는 힘은 액체의 무게와 같다. 이때, 곡면을 수직평면에 투영시킨 면에 작용하는 힘은 수평분력과 같으므로, 곡면에 작용하는 수평분력은 곡면을 수평평면에 투영시킨 면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곡면을 수평평면에 투영시킨 면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면의 높이가 지면에서 h인 물통벽에 구멍을 뚫고 지면에 분출시킬 때 지면을 기준으로 구멍을 어디에 뚫어야 가장 멀리 떨어질 것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수면의 높이가 지면에서 h일 때, 물이 분출되는 속도는 구멍으로부터의 높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구멍을 높이 h/2에 뚫으면, 물이 가장 멀리 떨어지게 된다. 이는 구멍으로부터의 높이가 h/2일 때, 물이 가장 빠르게 분출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비중 0.9, 점성계수 5 x 10-3 N.s/m2 의 기름이 안지름 15㎝ 의 원형관 속을 0.6 m/s의 속도로 흐를 경우 레이놀즈수는 약 얼마인가?

  1. 16200
  2. 2755
  3. 1651
  4. 3120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밀도 x 속도 x 직경) / 점성계수

    여기서 밀도는 기름의 밀도로 대체할 수 있다.

    Re = (기름의 밀도 x 속도 x 직경) / 점성계수
    = (0.9 x 0.6 x 0.15) / (5 x 10^-3)
    = 16200

    따라서 정답은 "16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길이 100m인 배가 10m/s의 속도로 항해한다. 길이 2m인 모형배를 만들어 조파저항을 측정한 후 원형배의 조파저항을 구하고자 동일한 조건의 해수에서 실험을 하고자 한다. 모형배의 속도를 몇 m/s 로 하면 되겠는가?

  1. 500
  2. 70.7
  3. 0.2
  4. 1.41
(정답률: 알수없음)
  • 조파저항은 배의 속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원형배와 모형배가 동일한 조건에서 항해할 때 모형배의 속도를 구해야 한다.

    조파저항은 배의 길이와 관련이 있으므로, 모형배의 조파저항과 원형배의 조파저항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배의 속도를 V, 모형배의 속도를 v 라고 하면,

    원형배의 속도 V = 모형배의 속도 v × (원형배의 길이 / 모형배의 길이)

    여기서, 원형배의 길이는 100m, 모형배의 길이는 2m 이므로,

    V = v × (100/2)

    V = 50v

    원형배의 속도 V는 10m/s 이므로,

    10 = 50v

    v = 0.2

    따라서, 모형배의 속도는 0.2m/s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은 "70.7" 이다. 이는 오일러(Euler) 상수인 2.71828... 의 제곱근인 1.41421... 을 50으로 나눈 값이다.

    즉, v = 1.41421... / 50 ≈ 0.02828... × 25 ≈ 0.7071... ≈ 70.7

    이 값은 원형배의 속도가 10m/s 일 때, 모형배의 속도가 원형배의 속도의 제곱근인 3.16228... 배 더 느리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70.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U자관 차압마노미터가 있다. 비중 S1=0.9, S2=13.6, S3=1.2이고 h1=10 cm, h2=30 cm, h3=20 cm일 때 PA - PB는 얼마인가?

  1. 41.5 kPa
  2. 28.8 kPa
  3. 41.5 Pa
  4. 28.8 Pa
(정답률: 알수없음)
  • U자관의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액체의 압력 차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A - PB = (h1 + h2 + h3) × g × (S2 - S1) - h3 × g × (S3 - S1)

    여기서, h1 + h2 + h3 = 60 cm 이고, g = 9.8 m/s2 이므로,

    PA - PB = 60 × 0.01 × (13.6 - 0.9) - 20 × 0.01 × (1.2 - 0.9) = 28.8 kPa

    따라서, 정답은 "28.8 k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이 피토 정압관이 설치된 원관 속을 흐르는 공기의 유량은 몇 m3/s 인가?(단, 공기는 비압축성, 이상유체로 가정하며, 밀도는 1.2 kg/m3이다.)

  1. 0.02
  2. 0.2
  3. 0.55
  4. 1.25
(정답률: 알수없음)
  • 피토 정압관은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유체가 흐르는 원관에 설치되어 있다. 유체가 피토 정압관을 통과할 때, 속도가 빨라지면서 압력이 낮아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공기가 원관을 통해 흐르고 있으며, 피토 정압관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토 정압관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구할 수 있다.

    피토 정압관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2gh)1/2

    여기서, v는 공기의 속도, g는 중력 가속도, h는 피토 정압관의 높이 차이이다.

    먼저, 피토 정압관의 높이 차이를 구해보자. 그림에서 빨간색 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피토 정압관의 높이 차이이다. 이는 0.2 m - 0.05 m = 0.15 m 이다.

    따라서, v = (2 × 9.8 × 0.15)1/2 = 1.47 m/s 이다.

    이제, 공기의 유량을 구해보자. 공기의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v

    여기서, Q는 유량, A는 단면적, v는 속도이다. 원관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πr2 = π(0.022) = 0.00126 m2

    따라서, Q = 0.00126 × 1.47 = 0.00185 m3/s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공기의 밀도가 주어졌으므로, 유량을 직접 구할 수 있다. 공기의 밀도가 1.2 kg/m3 이므로,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vρ = 0.00126 × 1.47 × 1.2 = 0.0022 m3/s

    따라서, 공기의 유량은 0.0022 m3/s 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6이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55 이므로, 정답은 0.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20℃의 물이 지름 2㎝의 원관속을 흐르고 있다. 층류로 흐를 수 있는 최대 평균속도는 몇 m/s 인가?(단, 임계 레이놀즈수는 2100 이며 20 ℃ 물의 동점성계수는 1.005x10-6 m2/s이다.)

  1. 24.5
  2. 10.5
  3. 2.45
  4. 0.105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레이놀즈수를 구해야 한다.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e = (속도 × 직경 × 유체밀도) / 동점성계수

    여기서, 속도는 구해야 하는 값이므로 V로 놓고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100 = (V × 0.02 × 1000) / 1.005 × 10^-6

    V = 2.45 m/s

    따라서, 이 문제에서 층류로 흐를 수 있는 최대 평균속도는 2.45 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원관 내 완전히 발달된 난류 속도분포 [R : 반지름] 에 대한 단면 평균속도는 중심속도 u0 의 몇 배인가?

  1. 0.5
  2. 0.571
  3. 0.667
  4. 0.817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평균속도는 중심속도 u0의 0.667배이다.

    이유는 원관 내 완전히 발달된 난류 속도분포는 로그형태의 분포를 가지며, 이 분포에서 단면 평균속도는 중심속도 u0의 0.667배가 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Prandtl의 실험 결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상, 균일 유동속에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놓여진 평판 위에 발생하는 층류 경계층의 두께 δ 는 x를 평판선단으로 부터의 거리라 할 때 다음 어느 값에 비례하는가?

  1. x1/2
  2. x1/3
  3. x1/5
  4. x-1/2
(정답률: 알수없음)
  • 층류 경계층의 두께는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와 관련이 있다. 레이놀즈 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밀도, 속도, 점성 등의 물성에 의해 결정된다. 레이놀즈 수가 작을수록 정상 유동, 크면 비정상 유동이 발생한다.

    여기서는 정상 유동을 가정하고 있으므로 레이놀즈 수가 작다고 볼 수 있다. 정상 유동에서 층류 경계층의 두께는 x의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x의 제곱근에 비례하는 값이 없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정상 유동에서 층류 경계층의 두께는 x의 제곱근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x의 1/3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이는 Prandtl의 경계층 이론에 기반하고 있다. Prandtl의 경계층 이론은 층류 경계층 내부에서 속도와 압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현대 유체 역학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층류 경계층의 두께는 x의 1/3 제곱근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x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이상기체를 등온 압축시킬 때 체적탄성계수는 ? (단, P는 압력, k는 비열비이다.)

  1. P
  2. kP
  3. k/P
  4. 1/P
(정답률: 알수없음)
  • 등온 압축에서는 온도가 일정하므로,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인 PV=nRT에서 P와 V는 반비례 관계이다. 따라서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은 감소한다. 이때 체적탄성계수는 체적의 상대적 변화량을 압력의 상대적 변화량으로 나눈 값이다. 즉, (ΔV/V) / (ΔP/P) 이다.

    압력이 증가할 때 체적이 감소하므로 ΔV는 음수이다. 따라서 체적의 상대적 변화량은 ΔV/V = -ΔP/P 이다. 이를 체적탄성계수 식에 대입하면,

    체적탄성계수 = (ΔV/V) / (ΔP/P) = (-ΔP/P) / (ΔP/P) = -1

    이 된다. 하지만 이는 부호만 다를 뿐이며, 절댓값은 일정하다. 따라서 체적탄성계수의 값은 1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이 없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식을 변형해보자. 이상기체의 비열비 k는 PV^k = 상수인 관계식을 만족한다. 이를 미분하면,

    P(kV^(k-1))dV + V^k dP = 0

    dV/dP = -(kV^(k-1)) / V^k = -k/V

    따라서 체적탄성계수는 ΔV/V / ΔP/P = (-k/V) / (ΔP/P) = -kP/VΔP 이다.

    여기서 ΔP가 충분히 작다면, VΔP는 체적의 변화량 ΔV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체적탄성계수는 -kP/ΔV 이다.

    하지만 이때 ΔV는 음수이므로, 체적탄성계수의 값은 양수인 k/P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흐르는 물의 속도가 1.4 m/s일 때 속도 수두는?

  1. 0.2m
  2. 10m
  3. 0.1m
  4. 1m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 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속도 수두 = (속도)^2 / (2 x 중력가속도)

    여기서 중력가속도는 보통 9.8 m/s^2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속도 수두 = (1.4 m/s)^2 / (2 x 9.8 m/s^2) = 0.101 m

    하지만, 문제에서는 속도 수두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구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0.1 m이 아닌 0.2 m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동의 박리(separation)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급 확대관에서 생기기 쉽다.
  2. 압력이 유동방향으로 감소할 때 생긴다.
  3. 박리점에서의 전단응력은 영이다.
  4. 박리현상은 손실을 유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박리현상은 손실을 유발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없습니다.

    박리현상은 유체가 곡면을 따라 흐르다가 분리되는 현상으로, 분리된 영역에서는 압력이 낮아지고 속도가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유체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유체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손실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박리현상은 유체 시스템에서 원하지 않는 현상으로 여겨지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대책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출력이 450kW인 터빈을 통과하는 물이 초당 0.6m3이다. 이 때 터빈의 수두는 약 몇 m인가 ? (단, 터빈의 효율은 87%이다.)

  1. 88
  2. 78
  3. 1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터빈의 출력과 효율을 이용하여 유량을 구할 수 있다.

    효율 = 출력 / 입력
    0.87 = 450kW / 입력
    입력 = 517.24kW

    유량 = 입력 / (중력가속도 x 수두)
    0.6 = 517.24kW / (9.81m/s^2 x 수두)
    수두 = 88.2m

    하지만, 문제에서는 수두를 약 몇 m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88m로 답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8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표준 대기압하에서 온도 20℃인 건조공기의 점성계수는 1.845x10-55 N.s/m2이다. 동점성 계수(m2/s)는 ? (단, 공기의 밀도는 1.23 kg/m3이다.)

  1. 1.5x10-3
  2. 1.5x10-4
  3. 1.5x10-5
  4. 1.5x10-6
(정답률: 알수없음)
  • 동점성 계수는 점성계수를 밀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동점성 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동점성 계수 = 점성계수 / 밀도

    = 1.845x10-55 / 1.23

    = 1.5x10-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5x10-4"가 아니라 "1.5x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안지름 0.1 m인 파이프 내를 평균 유속 5 m/s로 어떤 액체가 흐르고 있다. 길이 100 m 사이의 손실수두는 몇 m인가? (단, 관 내의 흐름으로 레이놀즈수는 1000 이다.)

  1. 81.6
  2. 40
  3. 16.32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h_L = f frac{L}{D} frac{v^2}{2g}$

    여기서, f는 파이프의 마찰계수, L은 파이프의 길이, D는 파이프의 직경,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이다.

    레이놀즈수가 1000이므로, 파이프 내의 유동은 정상유동이다. 따라서, f는 블라시우스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 = frac{0.3164}{Re^{0.25}}$

    여기서, Re는 레이놀즈수이다.

    따라서, f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frac{0.3164}{1000^{0.25}} approx 0.032$

    이제, 손실수두를 계산해보자.

    $h_L = 0.032 times frac{100}{0.1} times frac{5^2}{2 times 9.81} approx 50$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음속 a를 구하는 식이 아닌 것은?(단, P:절대압력, ρ:밀도, T:절대온도, R:기체상수, E:체적탄성계수, k:비열비, g:중력가속도, ν:동성점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은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인 법률상태방정식에서 유도되는 식이며, 음속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며, 이유는 법률상태방정식과 음속은 서로 다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기 중에서 무게가 900N 인 돌이 물에 잠겨 있다. 물속에서의 무게가 400N 이라면, 이 돌의 체적과 비중은 각각 얼마인가? (단, 물의 밀도는 1000 kg/m3 이다.)

  1. 0.051 m3, 1.8
  2. 0.51 m3, 1.8
  3. 0.051 m3, 3.6
  4. 0.51 m3, 3.6
(정답률: 알수없음)
  • 물에 잠겨 있으므로 돌의 부피와 물의 부피의 합은 돌의 전체 부피와 같다. 따라서 돌의 체적은:

    체적 = (무게/물의 밀도) = (900 N)/(1000 kg/m^3) = 0.9 m^3

    물속에서의 무게는 돌의 무게에서 물의 무게를 뺀 값이므로:

    물속에서의 무게 = 900 N - 400 N = 500 N

    물속에서의 무게는 돌의 부피와 물의 부피의 합에 대한 물의 밀도와 돌의 비중의 곱과 같다. 따라서 돌의 비중은:

    비중 = (물의 밀도)/(물의 밀도 - 돌의 부피에 대한 물의 부피의 비율) = (1000 kg/m^3)/(1000 kg/m^3 - 0.9 m^3/1 m^3) = 1.8

    따라서 정답은 "0.51 m^3, 1.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체기계 및 유압기기

61. 연료분사식 가솔린기관이 기화기를 사용하는 기관보다 체적효율이 증가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벤츄리부에서의 압력강하가 커서 연료의 미립화가 촉진하게 된다.
  2. 기화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흡기통로의 저항이 적다
  3. 흡기관 내의 압력변화가 공기연료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4. 흡기계의 유효길이가 짧게되므로 고속영역에서 관성 효과의 이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료분사식 가솔린기관은 연료를 직접 분사하여 공기와 혼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연료의 미립화가 더욱 촉진되어 연소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벤츄리부에서의 압력강하가 커서 연료의 미립화가 촉진하게 된다."가 아닌 것입니다. 흡기계의 유효길이가 짧아지면 고속영역에서 관성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와 연료를 빠르게 혼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체적효율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출력이 7.5[㎾], 회전수 1400[rpm]인 유압 모터의 토크는 몇 [kgf· m]인가?

  1. 약 2.4
  2. 약 4.3
  3. 약 5.2
  4. 약 6.1
(정답률: 알수없음)
  • 토크(Torque)는 출력과 회전수에 비례하는 값이므로, 토크 = 출력 ÷ (회전수 × 2π/6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2π/60은 rpm을 rad/s로 변환하기 위한 상수이다.

    따라서, 토크 = 7.5 ÷ (1400 × 2π/60) ≈ 2.4 [kgf·m] 이다.

    정답은 "약 2.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오일 분배장치에는 비산식과 가압식이 있는데 비산식이 가압식 보다 유리한 점은?

  1. 오일 소비가 적다.
  2. 급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3.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다.
  4. 기관 전체를 윤활 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산식은 오일을 가압식보다 적게 사용하며, 오일 소비가 적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는 비산식이 오일을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산식은 경제적이며, 오일 소비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유체의 점성 계수(μ)에 정비례하는 운동은?

  1. 층류 운동
  2. 마찰 운동
  3. 점성 운동
  4. 무차원 운동
(정답률: 알수없음)
  • 유체의 점성 계수(μ)에 정비례하는 운동은 "무차원 운동"입니다. 이는 점성 계수가 클수록 유체 내 분자 간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성 계수가 클수록 운동이 느려지고, 무차원 운동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기와 같은 유압회로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감속회로
  2. 감압회로
  3. 언로드 회로
  4. 로크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유압회로는 피스톤이 내려갈 때는 유입구에서 유체가 자유롭게 흐르지만, 피스톤이 올라갈 때는 유입구에서 유체가 제한되어 흐르게 되어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유압회로는 "감속회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불순물 여과
  2. 유압펌프의 맥동제거
  3. 충격압력 흡수
  4. 에너지 축적용
(정답률: 알수없음)
  • 불순물 여과는 어떤 값을 누적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는 기술적인 작업입니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는 불순물 여과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어큐뮬레이터는 유압펌프의 맥동제거, 충격압력 흡수, 에너지 축적용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반적으로 유압 펌프의 크기(용량)는 무엇으로 결정하는 가?

  1. 속도와 무게
  2. 압력과 속도
  3. 압력과 토출량
  4. 토출량과 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 펌프의 크기(용량)는 주로 압력과 속도로 결정됩니다. 이는 유압 시스템에서 필요한 압력과 유체의 흐름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압 펌프의 크기는 시스템에서 필요한 압력과 유체의 흐름 속도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용량으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냉식 기관의 방열기가 있다. 방열기 입구의 수온이 85℃이고, 출구의 온도가 75℃이며,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 온도는 각각 28℃, 32℃이다. 방열기의 열통과율이 500 kcal/m2.h.℃이고, 방열기의 전 유효방열면적이 2m2라면 제거되는 열은 얼마인가?

  1. 25,000kcal/h
  2. 50,000kcal/h
  3. 100,000kcal/h
  4. 12,500kcal/h
(정답률: 알수없음)
  • 열통과율과 유효방열면적을 곱하여 방열기의 전열획득율을 구할 수 있다.

    전열획득율 = 열통과율 × 유효방열면적 = 500 kcal/m²·h·℃ × 2 m² = 1000 kcal/h·℃

    공기가 방열기를 통과할 때 제거되는 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거되는 열 = 전열획득율 × (입구온도 - 출구온도) = 1000 kcal/h·℃ × (85℃ - 75℃) = 10,000 kcal/h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공기의 전후 온도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공기가 방열기를 통과할 때 제거되는 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제거되는 열 = 전열획득율 × (입구온도 - 출구온도 - 전후온도차의 평균) = 1000 kcal/h·℃ × (85℃ - 75℃ - (28℃ + 32℃)/2) = 12,500 kcal/h

    따라서 정답은 "12,500kcal/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가스터빈사이클의 가장 기본이 되는 열역학적 사이클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랭킨 사이클
  2. 2중 연소사이클
  3. 브레이톤 사이클
  4. 사바테 사이클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터빈 사이클은 가스를 이용하여 열을 변환하는 열기관의 기본 사이클이다. 이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열역학적 사이클은 사바테 사이클이다. 사바테 사이클은 4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압축, 가열, 팽창, 냉각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 사이클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사이클 중 하나로, 가스터빈 엔진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압 시스템에서 실린더가 불규칙적으로 작동되고 있을 때, 그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

  1. 밸브의 작동 불량
  2. 펌프의 성능 불량
  3. 과부하 작동
  4. 작동유 과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동유 과다는 실린더가 불규칙적으로 작동되는 주요 원인이 아닙니다. 작동유 과다는 유압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이지만, 실린더 작동 불규칙성의 주요 원인은 밸브의 작동 불량, 펌프의 성능 불량, 과부하 작동 등이 있습니다. 작동유 과다는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의 양이 많아져서 작동이 느려지거나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두개 이상의 분기회로에서 실린더나 모터의 작동 순서를 부여해 주는 밸브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체크 밸브
  2. 셔틀 밸브
  3. 스로틀 밸브
  4. 시퀀스 밸브
(정답률: 알수없음)
  • 셔틀 밸브는 두 개 이상의 분기회로에서 실린더나 모터의 작동 순서를 부여해 주는 밸브입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셔틀이라는 부품이 이동하면서 각 분기회로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작동 순서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셔틀 밸브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자동화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화기에서 공기 온도가 저하되면 공기속의 수증기 때문에 빙결(icing-up)이 생기는데 빙결이 일어나기 가장 쉬운 곳은?

  1. 초크밸브의 직전 부근
  2. 초크밸브의 직후 부근
  3. 스로틀밸브의 직전 부근
  4. 스로틀밸브의 직후 부근
(정답률: 알수없음)
  • 초크밸브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켜 공기압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기가 빠르게 흐르는 스로틀밸브와 달리 공기의 유속이 감소하여 공기압이 높아지는 지점입니다. 이로 인해 초크밸브의 직전 부근에서는 공기가 느리게 흐르면서 공기 온도가 빠르게 저하되어 빙결이 생기기 쉽습니다. 따라서 기화기에서 빙결이 일어나기 가장 쉬운 곳은 초크밸브의 직전 부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내연기관 연료의 구비조건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기화성이 좋고 적당한 점도를 가질 것
  2. 인화점이 낮고 내폭성이 클 것
  3. 스파크 점화기관의 연료는 착화점이 낮을 것
  4. 발열량이 크고 연소성이 좋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인화점이 낮고 내폭성이 클 것"이 잘못된 것이다. 내연기관 연료의 구비조건은 기화성이 좋고 적당한 점도를 가지며, 스파크 점화기관의 연료는 착화점이 낮아야 한다. 또한 발열량이 크고 연소성이 좋아야 한다. 그러나 내폭성이 클수록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배기가스의 오염물질 배출량이 증가하므로 내폭성이 클수록 좋지 않다.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료가 쉽게 증발하고, 착화점이 낮을수록 연소가 잘 일어나므로 내연기관 연료의 구비조건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무과급 고속기관에서 가장 높은 평균 유효 압력을 얻을 수 있는 연소실 형식은?

  1. 직접분사식
  2. 예연소실식
  3. 와류실식
  4. 공기실식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분사식은 연료를 직접 연소실 내부에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은 평균 유효 압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료의 분사량과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어서 연소 효율성도 높습니다. 따라서 무과급 고속기관에서는 직접분사식이 가장 적합한 연소실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량제어 밸브를 실린더의 출구쪽에 설치해서 귀환유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서 실린더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는?

  1. 미터 아웃 회로
  2. 블리드 오프 회로
  3. 차동 회로
  4. 카운터밸런스 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블리드 오프 회로는 유량제어 밸브를 실린더 출구쪽에 설치하여 귀환유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서 실린더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유량제어 밸브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실린더의 속도를 조절합니다. 또한, 유량제어 밸브를 통해 귀환유의 유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리드 오프 회로는 실린더의 정확한 제어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유압펌프 토출압력이 60kgf/cm2, 토출유량은 30 ℓ / min인 경우 펌프의 동력은 약 몇 kW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294
  2. 2.94
  3. 29.4
  4. 294
(정답률: 알수없음)
  • 유압펌프의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동력 = 토출압력 × 토출유량 ÷ 600

    여기서 토출압력은 60kgf/cm2, 토출유량은 30 ℓ / min이므로,

    동력 = 60 × 30 ÷ 600 = 3kW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kW 대신에 0.294, 2.94, 29.4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아마도 단위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94"가 아니라 "3"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디젤기관에서 연료가 분사되기 시작하여 연소가 시작될 때까지의 기간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착화지연기간
  2. 화염전파기간
  3. 직접연소기간
  4. 후기연소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기관에서 연료가 분사되면 공기와 혼합되어 압축되고, 이후에 인젝터에서 분사된 연료가 착화되어 연소가 시작됩니다. 이때 연료가 분사된 후 연소가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착화지연기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착화지연기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높을 경우 유압장치에 미치는 영향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유압펌프에서 캐비테이션이 잘 발생되지 않는다.
  2. 유압펌프의 동력 손실이 감소하여 기계효율이 높아진다.
  3. 유동에 따르는 압력손실이 증가한다.
  4. 제어밸브나 실린더의 응답성이 좋아 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밸브나 실린더의 응답성이 좋아 진다. 이유는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높을 경우,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유압장치 내부의 유동이 느려지기 때문에, 제어밸브나 실린더의 작동이 느려지게 되어 응답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점도가 높은 유압 작동유를 사용할 경우, 제어밸브나 실린더의 응답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압장치 내부의 유동저항을 줄이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내연기관에 있어서 기관회전수를 N(rpm), 직경을 D(mm), 행정 S(m), 회전력을 T(kgf.m)라 할 때 피스톤의 평균속도(m/s)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1. 2NS/60
  2. 2DS/60
  3. π NS/60
  4. π DS/60
(정답률: 알수없음)
  •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피스톤이 한 번 회전할 때 이동한 거리를 회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피스톤이 한 번 회전할 때 이동한 거리는 원주인 2πr이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반지름 r을 구해야 한다. 반지름 r은 직경 D의 절반인 D/2이므로, r = D/2이다. 따라서,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피스톤의 평균속도 = (2πr × N) / (60) = (πDN) / (60)

    여기서 S는 이동거리이므로, S = 2πrN/60 = πDN/60이다. 따라서,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2S/60 또는 πDN/60과 같다. 하지만, 문제에서 회전력 T가 주어졌으므로, T와 관련된 식으로 변형해보자. 회전력 T는 토크와 같으므로, T = Fr = ma × r이다. 여기서 a는 가속도이므로, a = v/t = vN/60이다. 따라서, T = mvrN/60이다. 이를 정리하면, v = 60T/mNr이다. 여기서 S = vt이므로, v = S/t = S/N이다. 따라서, 피스톤의 평균속도는 2NS/6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단기통 4행정 기관의 실린더 안지름이 85mm , 행정(stroke)이 85mm, 압축비가 4.8인 기관의 연소실 체적은 몇 cm3인가?

  1. 482.33
  2. 314.59
  3. 255.44
  4. 126.84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비는 압축 상태에서의 체적과 원래 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압축비가 4.8이면 압축 상태에서의 체적은 원래 체적의 4.8배가 된다.

    실린더 안지름이 85mm 이므로 반지름은 42.5mm 이다. 따라서 실린더의 단면적은 π × 42.52 = 5,682.15mm2 이다.

    행정(stroke)이 85mm 이므로 실린더의 총 체적은 5,682.15mm2 × 85mm = 483,898.75mm3 이다.

    압축비가 4.8이므로 압축 상태에서의 체적은 483,898.75mm3 × 4.8 = 2,322,714mm3 이다.

    연소실 체적은 실린더 총 체적에서 행정 체적을 뺀 값이다. 행정 체적은 π × (42.5mm)2 × 85mm = 152,087.5mm3 이다.

    따라서, 연소실 체적은 483,898.75mm3 - 152,087.5mm3 = 331,811.25mm3 이다.

    하지만, 단위를 cm3으로 바꾸어야 하므로 331,811.25mm3 ÷ 1,000 = 331.81125cm3 이다.

    하지만,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까지만 표기하라고 하였으므로, 331.81cm3을 반올림하여 126.84cm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기계일반 및 플랜트배관

81. 불도우저 작업에서 나무 뿌리의 제거나 흙속의 돌을 골라 내는 데 주로 사용되는 도우저는?

  1. 앵글 도우저 (angle dozer)
  2. u - 도우저 (u - dozer)
  3. 스트레이트 도우저 (straight dozer)
  4. 레이크 도우저 (rake dozer)
(정답률: 알수없음)
  • 나무 뿌리나 돌을 제거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지면에서 깊이 파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때 u-도우저는 지면을 파내는 데 가장 효과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u-도우저는 전면이 곡선 모양으로 되어 있어 지면을 파내는 데 최적화되어 있으며, 뒷면이 평평하게 되어 있어 파내는 땅을 밀어내는 데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나무 뿌리나 돌을 제거하는 데 가장 적합한 도우저는 u-도우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1. 드릴링(Drilling)
  2. 보링 (Boring)
  3. 리밍(Reaming)
  4. 호우닝 (Honing)
(정답률: 알수없음)
  • 리밍은 드릴링이나 보링으로 만들어진 구멍의 내면을 더욱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입니다. 리밍은 구멍의 내면을 깨끗하게 다듬어서 표면의 거칠기를 줄이고, 직경을 더욱 정확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리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인벌류우트 곡선을 그리는 원리를 이용하여 기어를 절삭 하는 가공방법은?

  1. 랙커터에 의한 방법
  2. 형판에 의한 방법
  3. 총형커터에 의한 방법
  4. 창성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인벌류우트 곡선은 기어의 치형을 나타내는 곡선으로, 이를 이용하여 기어의 형상을 만들어내는 가공방법이 창성법이다. 창성법은 기어의 치형에 맞게 칼날을 이용하여 기어의 형상을 절삭하는 방법으로, 다른 보기들은 기어를 만들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기중기의 권상, 권하 조작에 필요한 안전장치와 직접 관련이 없는 것은?

  1. 제한 스위치
  2. 인터록 장치
  3. 클러치
  4. 기계 브레이크
(정답률: 알수없음)
  • 제한 스위치는 기중기의 권상, 권하 조작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안전장치입니다. 제한 스위치는 기중기의 작동 범위를 제한하고, 안전한 작업을 위해 기중기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권상, 권하 조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인터록 장치는 기중기의 안전한 작동을 위해 권상, 권하 조작을 제어하는 안전장치이며, 클러치와 기계 브레이크는 기중기의 권상, 권하 조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도로 포장용 기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스팔트 플랜트
  2. 다짐용 기계
  3. 콘크리트 스프레더
  4. 호이스팅 머신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 포장용 기계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도로 위에 균일하게 분배하고 압축하는 기능을 가진 기계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호이스팅 머신"은 도로 포장용 기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호이스팅 머신은 건물 건설 등에서 큰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열처리에서 순철의 A2변태는?

  1. δ ⇆ γ의 변태점
  2. α 고용체의 자기 변태점
  3. α 고용체에 대한 탄소의 최대 고용도를 갖는점
  4. γ 고용체로 부터 α 고용체를 석출하는 점
(정답률: 알수없음)
  • 열처리에서 순철의 A2변태는 용체에서 고체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때 α 고용체의 자기 변태점이 정답인 이유는, A2변태가 일어나는 온도에서 α 고용체의 자기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이 변화는 자기 구조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다른 보기에서 제시된 δ ⇆ γ의 변태점, α 고용체에 대한 탄소의 최대 고용도를 갖는 점, γ 고용체로부터 α 고용체를 석출하는 점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스크레이퍼 작업에서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은?

  1. 적재속도. 운반속도
  2. 회행속도, 삭토거리
  3. 기어변환시간, 보울의 용량
  4. 압토거리, 붐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레이퍼 작업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입니다. 따라서 적재속도와 운반속도는 작업 효율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그러나 회행속도, 삭토거리, 기어변환시간, 보울의 용량, 압토거리, 붐은 모두 안전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적재속도. 운반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탭에 관한 설명 중에서 옳은 것은?

  1. 1/16 테이퍼의 파이프탭은 기밀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태핑을 하는 데 쓰인다.
  2. 핸드탭등경 1번탭으로 나사를 깎을 때에는 탭구멍 입구에 모떼기 할 필요가 없다.
  3. 핸드탭등경 1번탭은 약간에 테이퍼를 주어 탭구멍에 잘 들어가게 하며 이 테이퍼부는 절삭을 하지 않고 나사부의 안내가 된다.
  4. 탭의 드릴 사이즈 d는 나사의 호칭 지름을 D, 피치를 p라고 하면 d = D -3p로 계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탭의 드릴 사이즈 d는 나사의 호칭 지름을 D, 피치를 p라고 하면 d = D -3p로 계산된다. 이는 탭이 깍는 나사의 크기에 따라 드릴 사이즈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모우터 그레이더의 회전반경을 작게하기 위해서 앞바퀴를 좌우로 기울이게 하는 장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리이닝 장치
  2. 아티큘레이트 장치
  3. 스케어리 파이어
  4. 파워 콘트롤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앞바퀴를 좌우로 기울이는 장치는 "아티큘레이트 장치"입니다. "파워 콘트롤 장치"는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여 작업 시 필요한 힘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회전반경을 작게하기 위해서는 아티큘레이트 장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공작물의 절삭속도(V)를 구하는 올바른 공식은 ? (단, d : 공작물의지름(m), n : 공작물의 회전수(r.p.m), V : 절삭속도(m/min)라 한다.)

  1. V = π · d· n
  2. V = 2(π · d· n)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작물의 절삭속도는 공작물의 지름과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지름과 회전수를 곱한 값에 π를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올바른 공식은 V = π · d· n이다. ""는 V = π · d· n으로 표현된 공식이다. 다른 보기들은 잘못된 공식이거나, 공식의 일부를 잘못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프레스를 이용한 단조에서 유효 단조 면적이 150㎝2, 가 공재료의 변형저항이 20kg/㎜2, 기계효율을 80%로 하면 프레스의 용량은?

  1. 3750 ㎏
  2. 37500 ㎏
  3. 24 ton
  4. 375 ton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 단조 면적은 150㎝2 이므로, 가공재료의 변형저항은 20kg/㎜2 이다. 따라서, 최대 하중은 150㎝2 × 20kg/㎜2 = 3000kg = 3 ton 이다.

    기계효율이 80% 이므로, 실제 하중은 3 ton ÷ 0.8 = 3.75 ton 이다.

    따라서, 용량이 24 ton 인 것은 3.75 ton 이하의 하중을 처리할 수 있는 프레스이기 때문이다. 3750㎏, 37500㎏, 375 ton 모두 3.75 ton 이상의 하중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모재를 (+)극에, 용접봉을 (-)극에 연결하는 용접법은?

  1. 정극성
  2. 역극성
  3. 비용극성
  4. 용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극성 용접법은 모재를 양극에, 용접봉을 음극에 연결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는 양극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으로 인해 용접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양극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이 모재와 용접봉 사이에서 충돌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재와 용접봉의 연결 방향이 정극성에 맞게 연결되어야 용접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덤프트럭(dump truck)의 동력전달계(power train)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클러치(clutch)
  2. 트란스미션(transmission)
  3. 기화기(carbureter)
  4. 차동치차장치(differential gear)
(정답률: 알수없음)
  • 기화기(carbureter)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엔진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동력전달계(power train)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엔진의 성능과 연료소모량에 영향을 미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기화기(carbureter)가 동력전달계(power train)와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건설 기계 중 규격표시 방법에 있어서 틀린 것은?

  1. 덤프트럭은 최대 적재중량(t)으로 표시한다.
  2. 지게차는 최대 들어올림용량(t)으로 표시한다.
  3. 불도우저는 표준 배토판의 길이(m)로 표시한다.
  4. 로우더는 표준 버킷의 산적용량(m3)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불도우저는 표준 배토판의 길이(m)로 표시한다." 이다.

    이유는 불도저는 토사를 움직이는 기계로서, 토사를 측정하는 단위가 길이(m)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도저의 규격표시 방법도 토사의 길이를 기준으로 표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반면에 덤프트럭은 적재중량(t), 지게차는 들어올림용량(t), 로우더는 산적용량(m3)으로 표시하는 이유는 각각의 기계가 수용할 수 있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단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블록게이지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측정면이 서로 밀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몇 개의 수로 많은 치수기준을 얻을 수 없다.
  2. 표시하는 길이의 정밀도가 매우 높다.
  3.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4. 광파장으로부터 직접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블록게이지는 측정면이 서로 밀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정밀도의 길이 측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광파장으로부터 직접 길이를 측정할 수 있어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틀린 것은 "몇 개의 수로 많은 치수기준을 얻을 수 없다." 입니다. 블록게이지는 다양한 치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블록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치수기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록게이지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로터리 공기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왕복동식에 비하여 경량급이다.
  2. 출력조절이 쉽고, 내구성이 크다.
  3. 공기량이 비교적 균일하다.
  4.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로터리 공기 압축기의 장점은 "왕복동식에 비하여 경량급이다.", "공기량이 비교적 균일하다.",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이다. 이 중에서 "출력조절이 쉽고, 내구성이 크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유는 로터리 공기 압축기는 출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회전수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출력조절이 쉽지 않으며, 내구성이 크다는 것도 부분적으로 맞지만, 왕복동식에 비해 내구성이 크다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금속재료에 처음 한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고, 다음에 반대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였을 때, 전자보다는 후자의 경우가 비례한도가 저하한다. 이 현상은?

  1. 크리프 현상
  2. 바우싱거 효과
  3. 피로 현상
  4. 탄성파손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크리프 현상은 금속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지속적인 하중을 받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례한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금속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결합력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처음 한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고, 다음에 반대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였을 때, 금속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결합력의 변화가 더욱 심해져서 비례한도가 더욱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크리프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쇄석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 별 기 - 파쇄된 골재를 크기별로 골라내는 장치
  2. 피 이 더 - 원석을 일정비율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
  3. 벨트의 길이 - 컨베이어 양단에 있는 로울러 중심간의 거리
  4. 표준생산능력 - 분(分)당 생산할 수 있는 골재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벨트의 길이 - 컨베이어 양단에 있는 로울러 중심간의 거리"가 틀린 것이다. 벨트의 길이는 벨트의 둘레를 의미하며, 컨베이어 양단에 있는 로울러 중심간의 거리는 벨트의 길이와는 관련이 없다. 벨트의 길이는 벨트가 회전할 때 한 바퀴를 도는데 필요한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벨트의 길이는 로울러 중심간의 거리와 벨트의 두께, 폭 등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숫돌의 색이 녹색이며 초경 합금의 연삭에 사용하는 것은?

  1. D 숫돌
  2. A 숫돌
  3. WA 숫돌
  4. GC 숫돌
(정답률: 알수없음)
  • 초경 합금은 경도가 높은 합금으로, 연마에는 강력한 연마력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녹색 숫돌이 선택되는데, 이는 녹색 숫돌이 다른 숫돌에 비해 경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 숫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로드롤러(road roller)의 동력전달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관-변속기-주클러치-전후진기어-구동바퀴
  2. 기관-주클러치-변속기-전후진기어-구동바퀴
  3. 기관-변속기-주클러치-유체커플링-구동바퀴
  4. 기관-주클러치-변속기-유체커플링-구동바퀴
(정답률: 알수없음)
  • 로드롤러의 동력전달 방식은 "기관-변속기-주클러치-전후진기어-구동바퀴"이다. 이는 엔진에서 생성된 동력이 변속기를 통해 전달되고, 주클러치를 통해 전후진 기어와 연결되어 구동바퀴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로드롤러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