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6)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16-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절삭공구 재료 중 소결 초경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동과 충격에 강하며 내마모성이 크다.
  2. Co, W, Cr 등을 주조하여 만든 합금이다.
  3. 충분한 경도를 얻기 위해 질화법을 사용한다.
  4. W, Ti, Ta 등의 탄화물 분말을 Co를 결합제로 소결한 것이다.
(정답률: 70%)
  • W, Ti, Ta 등의 탄화물 분말을 Co를 결합제로 소결한 것은 절삭공구 재료 중 소결 초경합금의 대표적인 제조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합금은 진동과 충격에 강하며 내마모성이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편심량이 2.2mm로 가공된 선반 가공물을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할 대, 다이얼 게이지 눈금의 변위량은 몇 mm인가?

  1. 1.1
  2. 2.2
  3. 4.4
  4. 6.6
(정답률: 72%)
  • 편심량이 2.2mm이므로,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할 때 선반 가공물의 지름은 4.4mm가 됩니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 눈금의 변위량은 4.4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직접 측정용 길이 측정기가 아닌 것은?

  1. 강철자
  2. 사인 바
  3. 마이크로미터
  4. 버니어캘리퍼스
(정답률: 81%)
  • 사인 바는 각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며, 나머지 보기는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사인 바가 직접 측정용 길이 측정기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밀링 작업 시의 안전 수칙으로 틀린 것은?

  1. 칩을 제거할 때 기계를 정지시킨 후 브러시로 털어낸다.
  2. 주축 회전 속도를 변환할 때에는 회전을 정지시키고 변환한다.
  3. 칩가루가 날리기 쉬운 가공물의 공작 시에는 방진 안경을 착용한다.
  4. 절삭유를 공급할 때 커터에 감겨들지 않도록 주의하고, 공작 중 다듬질 면은 손을 대어 거칠기를 점검한다.
(정답률: 90%)
  • 정답은 "공작 중 다듬질 면은 손을 대어 거칠기를 점검한다."입니다.

    다듬질 면을 손으로 점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손이 커터에 갇히거나 다른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다듬질 면의 거칠기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거나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열경화성 합성수지인 베이크라이트(bakelite)를 주성분으로 하며 각종 용제, 기름 등에 안정된 숫돌로서 절단용 숫돌 및 정밀 연삭용으로 적합한 결합제는?

  1. 고무 결합제
  2. 비닐 결합제
  3. 셀락 결합제
  4. 레지노이드 결합제
(정답률: 75%)
  • 베이크라이트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로서, 고온에서도 안정성이 높은 재질입니다. 따라서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숫돌은 절단용 숫돌이나 정밀 연삭용으로 적합합니다. 이러한 숫돌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베이크라이트와 결합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베이크라이트와 잘 결합하면서도 안정성이 높은 결합제가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보기 중에서는 "레지노이드 결합제"가 해당됩니다. 레지노이드는 수지의 일종으로, 베이크라이트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와 잘 결합하면서도 안정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베이크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숫돌 제조에는 레지노이드 결합제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삭숫돌 입자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에머리
  2. 코런덤
  3. 산화규소
  4. 탄화규소
(정답률: 65%)
  • 산화규소는 연삭숫돌 입자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산화규소는 연마재료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에머리, 코런덤, 탄화규소는 모두 연마재료로 사용되는 입자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듬질 면 상태의 평면 검사에 사용되는 수공구는?

  1. 트러멜
  2. 나이프 에지
  3. 실린더 게이지
  4. 앵글 플레이트
(정답률: 70%)
  • 다듬질 면 상태의 평면 검사에 사용되는 수공구는 나이프 에지입니다. 이는 날카로운 칼날 모양으로, 검사 대상의 표면을 가볍게 스쳐서 불규칙한 부분이나 돌출 부분을 찾아내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수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CNC 선반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보조기능 코드와 기능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M01 : 주축 역회전
  2. M02 : 프로그램 종료
  3. M03 : 프로그램 정지
  4. M04 : 절삭유 모터 가동
(정답률: 64%)
  • M02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끝나면 M02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M01은 주축을 역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M03은 프로그램을 일시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M04는 절삭유 모터를 가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먼의 모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정 리머 : 절삭 날을 조정할 수 있는 것
  2. 솔리드 리머 : 자루와 절삭 날이 다른 소재로 된 것
  3. 셸 리머 : 자루와 절삭 날 부위가 별개로 되어 있는 것
  4. 팽창 리머 : 가공물의 치수에 따라 조금 팽창할 수 있는 것
(정답률: 71%)
  • "솔리드 리머 : 자루와 절삭 날이 다른 소재로 된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솔리드 리머는 자루와 절삭 날이 같은 소재로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밀링머신에서 원주를 단식 분할법으로 13등분하는 경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3구멍 열에서 1 회전에 3 구멍씩 이동한다.
  2. 39구멍 열에서 3 회전에 3 구멍씩 이동한다.
  3. 40구멍 열에서 1 회전에 13 구멍씩 이동한다.
  4. 40구멍 열에서 3 회전에 13 구멍씩 이동한다.
(정답률: 66%)
  • 밀링머신에서 원주를 단식 분할법으로 13등분하는 경우, 39구멍 열에서 3 회전에 3 구멍씩 이동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옳습니다.

    원주를 13등분하려면 360도를 13등분한 각도인 27.69도씩 이동해야 합니다. 이때, 39구멍 열에서 1 회전에 이동하는 각도는 360/39 = 9.23도입니다. 따라서 27.69도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3회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3회전 동안 39구멍 열에서 3 구멍씩 이동하는 이유는, 9.23도씩 이동하면 3회전 동안 총 27.69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때, 39구멍 열에서 3 구멍씩 이동하면 3회전 동안 총 9구멍을 이동할 수 있으므로, 27.69도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13구멍을 3회전 동안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9구멍 열에서 3 회전에 3 구멍씩 이동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름 10mm, 원추 높이 3mm인 고속도강 드릴로 두께가 30mm인 연강판을 가공할 때 소요시간은 약 몇 분인가? (단, 이송은 0.3mm/rev, 드릴의 회전수는 667rpm이다.)

  1. 6
  2. 2
  3. 1.2
  4. 0.16
(정답률: 46%)
  • 가공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드릴이 한 번 회전할 때 이동 거리: 원주 = π × 지름 = 31.4mm
    2. 드릴이 1mm 이동할 때 회전 수: 1 ÷ 이송 = 3.33회
    3. 드릴이 1회전할 때 이동 거리: 원주 = 31.4mm
    4. 드릴이 1회전할 때 가공되는 두께: 원추 높이 = 3mm
    5. 따라서, 1회전으로 가공되는 부피: 31.4mm × 3mm = 94.2mm³
    6. 가공해야 할 부피: 30mm × 10mm × 30mm = 9000mm³
    7. 따라서, 필요한 회전 수: 9000mm³ ÷ 94.2mm³/회전 ≈ 95.6회전
    8. 소요시간: (95.6회전 ÷ 667rpm) × 60초/분 ≈ 0.16분

    따라서, 정답은 "0.1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밀링머신에서 기어의 치형에 맞춘 기어 커터를 사용하여, 기어소재 원판을 같은 간격으로 분할 가공하는 방법은?

  1. 래크법
  2. 창성법
  3. 총형법
  4. 형판법
(정답률: 47%)
  • 총형법은 기어소재 원판을 회전시키면서 기어 커터를 일정 깊이로 접촉시켜 가공하는 방법으로, 기어의 치형에 맞춰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사용된다. 래크법은 기어의 치형에 맞춰 가공할 수 없으며, 창성법과 형판법은 다른 가공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밀링작업에서 판캠을 질삭하기에 가장 적합한 밀링커터는?

  1. 엔드밀
  2. 더브테일 커터
  3. 메탈 슬리팅 소
  4. 사이드 밀링 커터
(정답률: 65%)
  • 엔드밀은 판캠의 끝부분을 가공하는 데 가장 적합한 커터입니다. 이는 엔드밀이 회전하는 축과 수평으로 가공 대상의 표면에 접하는 칼날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엔드밀은 판캠의 끝부분을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높은 정밀도와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계게이지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봉 게이지
  2. 스냅 게이지
  3. 다이얼 게이지
  4. 플러그 게이지
(정답률: 61%)
  • 다이얼 게이지는 한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한계게이지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이얼 게이지는 일반적으로 시계나 온도계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크레이터 마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동형 칩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2. 절삭공구의 상명 경사각이 오목하게 파여지는 현상이다.
  3. 크레이터 마모를 줄이려면 경사면 위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킨다.
  4. 처음에 빠른 속도로 성장하다가 어느 정도 크기에 도달하면 느려진다.
(정답률: 58%)
  • "처음에 빠른 속도로 성장하다가 어느 정도 크기에 도달하면 느려진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크레이터 마모는 처음에는 느리게 성장하다가 어느 정도 크기에 도달하면 빠르게 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마찰력이 증가하면서 경사면이 더욱 뚜렷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총형커터에 의한 방법으로 치형을 절삭할 때 사용하는 밀링커터는?

  1. 베벨 밀링커터
  2. 헬리컬 밀링커터
  3. 인벌류트 밀링커터
  4. 하이포이드 밀링커터
(정답률: 69%)
  • 총형커터는 원통형으로 회전하는 치형을 절삭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밀링커터는 원통형 치형의 표면을 절삭하기 위해 회전하면서 절삭하는데, 인벌류트 밀링커터는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치형의 표면을 절삭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인벌류트 밀링커터가 총형커터에 의한 방법으로 치형을 절삭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작물의 표면 거칠기와 치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절삭유
  2. 절삭 깊이
  3. 절삭 속도
  4. 칩 브레이커
(정답률: 74%)
  • 칩 브레이커는 절삭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을 제어하여 공작물의 표면 거칠기와 치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칩 브레이커가 없으면 칩이 길어져 공작물 표면에 끼어들어 거칠게 만들어지고, 치수 정밀도도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칩 브레이커는 거리가 먼 것 중에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차로 가공된 가공물의 안지름보다 다소 큰 강구(steel ball)를 압입 통과시켜서 가공물의 표면을 소성변형으로 가공하는 방법은?

  1. 래핑(lapping)
  2. 호닝(honing)
  3. 버니싱(burnishing)
  4. 그라인딩(grinding)
(정답률: 70%)
  • 버니싱은 가공물의 표면을 강구를 이용하여 압입하면서 소성변형으로 가공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가공물의 안지름보다 다소 큰 강구를 사용하며, 가공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래핑, 호닝, 그라인딩은 각각 다른 방법으로 가공물의 표면을 가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반작업시 공구에 발생하는 절삭저항 중 가장 큰 것은?

  1. 배분력
  2. 주분력
  3. 마찰분력
  4. 이송분력
(정답률: 79%)
  • 선반작업시 공구에 발생하는 절삭저항 중 가장 큰 것은 "주분력"이다. 이는 공구가 재료를 자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기 때문이다. 다른 분력들은 공구와 재료 사이의 마찰이나 이송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주분력보다 작은 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선반의 부속품 중에서 돌리개(dog)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곧은 돌리개
  2. 브로치 돌리개
  3. 굽은(곡형) 돌리개
  4. 평행(클램프) 돌리개
(정답률: 74%)
  • 브로치 돌리개는 선반 부속품 중에 없습니다. 따라서 브로치 돌리개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표면의 결 도시기호가 그림과 같이 나타났을 때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니켈-크롬 코팅이 적용되어있다.
  2. 가공 여유는 0.8mm를 준다.
  3. 샘플링 길이 2.5mm 에서는 Rz 6.3 ~ 16㎛를 만족해야 한다.
  4. 투상면에 대해 대략 수직인 줄무늬 방향이다.
(정답률: 56%)
  • 틀린 설명은 없습니다.

    가공 여유는 0.8mm를 준 이유는 표면의 결 도시기호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Rz 6.3 ~ 16㎛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깊이의 가공이 필요합니다. 이때 가공 여유를 충분히 주지 않으면 원하는 깊이까지 가공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0.8mm의 가공 여유를 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 1 각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면도 우측에 좌측면도가 배치된다.
  2. 정면도 아래에 저면도가 배치된다.
  3. 평면도 아래에 저면도가 배치된다.
  4. 정면도 위에 평면도가 배치된다.
(정답률: 67%)
  • 정면도는 건물의 정면을 보는 시각에서 그려진 도면이며, 좌측면도는 건물의 좌측면을 보는 시각에서 그려진 도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정면도와 좌측면도는 서로 수직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정면도 우측에 좌측면도가 배치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축의 치수 중 최대 허용치수가 가장 큰 것은?

  1. ø45n7
  2. ø45g7
  3. ø45h7
  4. ø45m7
(정답률: 59%)
  • "ø45n7"이 가장 큰 허용치수를 가지는 축이다. 이는 "n"이 "g", "h", "m"보다 큰 알파벳이기 때문이다. 알파벳이 같을 경우에는 숫자가 클수록 더 큰 허용치수를 가진다. 따라서 "ø45n7"이 가장 큰 허용치수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하공차 중 단독 형체에 관한 것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진직도, 평면도, 경사도
  2. 평면도, 진원도, 원통도
  3. 진직도, 동축도, 대칭도
  4. 진직도, 동축도, 경사도
(정답률: 72%)
  • 기하공차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을 작성할 때 사용되는 도구들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평면도, 진원도, 원통도"는 모두 단독 형체에 관한 것들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 평면도: 3차원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한 도면으로, 물체의 모양과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진원도: 원형 또는 구형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한 도면으로, 물체의 중심과 반지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원통도: 원통형 물체를 2차원으로 펼친 도면으로, 물체의 모양과 크기, 그리고 원통의 축과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도구는 모두 단독 형체에 관한 것들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실물에서 한 변의 길이가 25mm일 때, 척도 1:5인 도면에서 그 변이 그려진 길이와 그 변에 기입해야 할 치수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길이 : 5mm, 치수 : 5
  2. 길이 : 5mm, 치수 : 25
  3. 길이 : 25mm, 치수 : 5
  4. 길이 : 25mm, 치수 : 25
(정답률: 75%)
  • 도면의 척도 1:5는 실물의 크기를 5분의 1로 축소하여 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물의 한 변의 길이가 25mm일 때, 도면에서는 5mm로 그려집니다. 그리고 도면에는 실물의 크기를 나타내는 치수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이 치수는 도면에서 그려진 크기가 아니라 실물의 크기를 나타내야 하므로, 해당 변의 길이인 25mm를 표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길이 : 5mm, 치수 : 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3각법으로 투상한 그림과 같은 정면도와 우측면도에 가장 적합한 평면도는?

(정답률: 62%)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물체는 y축과 z축에 대해 대칭이며, x축 방향으로는 대칭이 아닙니다. 따라서 yz평면에 대해 대칭인 "" 가 가장 적합한 평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도면에서 ℓ 로 표시된 부분의 길이(mm)는?

  1. 52.5
  2. 85
  3. 140
  4. 152.5
(정답률: 42%)
  • ℓ 부분은 직각삼각형의 빗변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85² + 140²) ≈ 152.5

    따라서 정답은 "15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공방법의 기호 중 주조의 기호는?

  1. D
  2. B
  3. GB
  4. C
(정답률: 70%)
  • 주조는 금속을 녹여서 주형에 부어 만드는 가공방법이다. 따라서 주조의 기호는 "C"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가공방법을 나타내는데, "D"는 드릴링, "B"는 밀링, "GB"는 그라인딩과 밀링의 조합인 그라인딩밀링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나사의 종률를 표시하는 다음 기호 중에서 미터 사다리꼴나사를 표시하는 것은?

  1. R
  2. M
  3. Tr
  4. UNC
(정답률: 78%)
  • "Tr"은 미터 사다리꼴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R"은 반원나사, "M"은 미터나사, "UNC"는 미국표준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최대 죔새를 나타낸 것은? (단, 조립 전 치수를 기준으로 한다.)

  1.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 축의 최대 허용치수
  2. 축의 최소 허용치수 -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3. 축의 최대 허용치수 -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
  4.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 - 축의 최소 허용치수
(정답률: 78%)
  • "축의 최대 허용치수 -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가 최대 죔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조립 시 축이 가장 크고 구멍이 가장 작을 때, 죔새가 가장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의 최대 허용치수에서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를 뺀 값이 최대 죔새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토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토크는 굽힘 모멘트라고도 한다.
  2. 한 쪽이 고정된 원형축에 토크가 작용되면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3. 한 쪽이 고정된 원형축에 토크가 작용되면 인장응력이 발생한다.
  4. 한 쪽이 고정된 원형축에 토크가 작용되면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정답률: 48%)
  • 한 쪽이 고정된 원형축에 토크가 작용되면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이는 토크가 회전하는 물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힘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물체의 구조가 변형되어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것은?

  1. 저항
  2. 전류
  3. 전압
  4. 전기장
(정답률: 88%)
  • 저항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자들이 충돌하거나 마찰을 일으키는 등의 저항으로 인해 전류의 흐름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항이 클수록 전류의 흐름이 작아지게 되고, 전압과 전기장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이 안지름이 d1인 원통관 속을 v1의 속도로 흐르는 어떤 유체가 원통관의 안지름이 d2로 줄어 v2의 속도로 흐를 때 이들의 관계식으로 맞는 것은?

  1. d1×v1=d2×v2
  2. d1×v2=d2×v1
(정답률: 57%)
  • 유체의 유속과 관계된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면 된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가 보존되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1 + 1/2ρv12 + ρgh1 = P2 + 1/2ρv22 + ρgh2

    여기서 P는 압력, ρ는 밀도, v는 속도, h는 높이를 나타낸다. 이 식에서 유체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항이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원통관 안에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이 일정하므로 높이 항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문제에서는 원통관의 지름이 변하는 경우를 다루고 있으므로, 압력 항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1/2ρv12 = 1/2ρv22

    이를 정리하면,

    v12 = v22

    따라서,

    v1 = v2

    또한, 유체의 유속과 지름은 역비례 관계이므로,

    d1v1 = d2v2

    이 성립한다. 따라서 정답은 "d1×v1=d2×v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뉴턴의 운동법칙 중 가속도 발생의 법칙에 해당하는 것은?

  1. 사람이 걷는 행위
  2. 비행기 및 로케트의 추진
  3. 달리기 할 때 팔다리의 빠른 움직임
  4. 버스가 급정거 할 때 몸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
(정답률: 66%)
  • 달리기 할 때 팔다리의 빠른 움직임은 가속도 발생의 법칙에 해당한다. 이는 뉴턴의 제2법칙으로,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그 물체의 질량과 가속도의 곱과 같다는 법칙이다. 즉, 팔다리의 빠른 움직임은 몸에 가해지는 힘이 크게 되어 가속도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0Ω의 저항 3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저항(Ω)의 값은?

  1. 9
  2. 10
  3. 30
  4. 90
(정답률: 84%)
  •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면 합성저항은 각 저항의 값들을 더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30Ω의 저항 3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30+30+30=90Ω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0.25rev/sec는 몇 도/초(°/sec)인가?

  1. 30°/sec
  2. 45°/sec
  3. 60°/sec
  4. 90°/sec
(정답률: 62%)
  • 0.25rev/sec는 1초에 0.25회전을 의미하므로, 1회전은 4초가 걸립니다. 1회전은 360도이므로, 4초에 360도를 나누면 90°/se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래 그림과 같이 받침점으로부터 420mm 떨어진 곳에 80kgf 인 물체 W1을 놓으면 받침점에서 840mm 떨어진 곳에 중량이 얼마인 물체 W2를 놓아야 평형이 유지되는가?

  1. 420 kgf
  2. 160 kgf
  3. 80 kgf
  4. 40 kgf
(정답률: 74%)
  • 이 문제는 평형 상태에서 물체들의 토크(회전력)가 서로 상쇄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먼저, W1의 토크는 420mm x 80kgf = 33,600 kgf·mm입니다. 이 토크를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W2의 토크가 이와 같아야 합니다.

    W2의 위치는 받침점에서 840mm 떨어져 있으므로, W2의 토크는 840mm x W2의 중량입니다. 따라서, W2의 중량은 33,600 kgf·mm / 840mm = 40 kgf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 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도 전류의 세기는 코일의 단면을 통과하는 자속의 시간적 변화율에 비례하고, 코일의 감은 횟수에 비례한다.“는 법칙은?

  1. 패러데이의 법칙
  2. 플레밍의 왼손 법칙
  3. 앙페르의 오른손 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정답률: 72%)
  • 이 법칙은 유도 전류의 세기와 코일의 자속 변화율, 감수와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마이클 패러데이가 발견하였기 때문에 "패러데이의 법칙"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래 그림과 같이 1000 kgf의 전단력이 직경 20mm의 볼트에 작용하고 있을 때, 볼트에 생기는 전단응력은 약 얼마인가?

  1. 3.18 kgf/mm2
  2. 6.37kgf/mm2
  3. 31.8 kgf/mm2
  4. 63.7 kgf/mm2
(정답률: 57%)
  • 전단응력은 전단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볼트의 단면적은 πr^2 이므로, 볼트의 반지름은 10mm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1000 kgf / (π x 10^2 mm^2) = 3.18 kgf/m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기에서 사용되는 단위 중 [J/C]와 같은 단위는?

  1. A
  2. F
  3. H
  4. V
(정답률: 56%)
  • [J/C]는 전기장의 단위인 볼트(Volt)를 나타낸다. 전기장은 전하에 대한 일종의 힘이며, 전하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때 일하는 일과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기장의 단위는 일과 전하, 거리의 단위를 모두 포함하는 복합 단위인 볼트(Volt)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서보모터의 속도나 위치 검출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로드셀
  2. 리졸버
  3. 엔코더
  4. 타코미터
(정답률: 55%)
  • 로드셀은 힘을 검출하는 센서로, 서보모터의 속도나 위치 검출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서보모터의 속도나 위치 검출에는 리졸버, 엔코더, 타코미터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4/3-way 밸브의 중립위치 형식 중에서 A 포트가 막히고 다른 포트들은 서로 통하게 되어있는 형식은?

  1. 클로즈드 센터형
  2. 탱크 클로즈드 센터형
  3. 펌프 클로즈드 센터형
  4. 실린더 클로즈드 센터형
(정답률: 65%)
  • 실린더 클로즈드 센터형은 밸브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A 포트가 막히고, B와 T 포트가 서로 연결되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되어있는 형식이다. 이는 유체가 실린더에 들어가거나 나오는 경우에 사용되며, 실린더가 정지 상태일 때 유체가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A 포트가 막혀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로터리 엔코더가 부착된 DC 서보모터에서 로터리 엔코더가 1회전 할 때마다 360개의 펄스신호가 출력 된다고 한다. 이 모터가 회전할 때 로터리 엔코더에서 나오는 펄스 수를 카운터로 계수하였더니 720개의 펄스 수가 계수되었다고 하면 모터의 회전수는?

  1. 0.5회전
  2. 1회전
  3. 2회전
  4. 4회전
(정답률: 81%)
  • 로터리 엔코더가 1회전 할 때마다 360개의 펄스신호가 출력되므로, 720개의 펄스신호가 나오면 2회전을 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2회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어떤 NC(Numerical control) 기계의 제어장치는 스테핑 모터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12초 동안 20000 pulse를 발생한다. 만약 이 기계의 pulse당 이송거리가 0.01mm/pulse 라면 이 때의 분당 이동 속도는 몇 m/min 인가?

  1. 0.2
  2. 1
  3. 2
  4. 10
(정답률: 51%)
  • 분당 이동 거리는 pulse당 이송거리에 pulse 수와 60초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분당 이동 속도는 다음과 같다.

    0.01mm/pulse x 20000 pulse/12초 x 60초/1분 = 100m/min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전달함수 를 갖는 회로가 지상보상회로의 특성을 갖기 위한 조건은? (단, a와 b의 값은 절대값이다.)

  1. a > b
  2. b > a
  3. s = b
  4. s = a
(정답률: 62%)
  • 지상보상회로의 특성을 갖기 위해서는 전달함수의 분모에 (s+a)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전달함수를 보면 분모에 (s+a)가 있으므로 이 조건을 만족한다. 하지만, 분자에는 b가 있으므로 b 값이 a 값보다 커야만 전달함수가 0이 되지 않고, 즉 회로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b >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제어대상의 현재출력값과 미래출력의 예상값을 이요하여 제어하며, 응답속응성의 개성에 쓰이는 동작은?

  1. 비례동작
  2. 적분 동작
  3. 비례 미분 동작
  4. 비례 적분 동작
(정답률: 65%)
  • 제어대상의 현재출력값과 미래출력의 예상값을 이용하여 제어하며, 응답속도와 안정성의 개선에 쓰이는 동작은 비례 미분 동작입니다. 이는 현재 오차와 오차의 변화율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빠른 응답속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PLC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입력부
  2. 조작부
  3. 출력부
  4. 중앙처리장치
(정답률: 70%)
  • PLC의 주요 구성요소는 입력부, 출력부, 중앙처리장치이다. 조작부는 PLC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PLC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작부는 PLC의 주요 구성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 그림의 CNC 공작기계의 서보 제어방식으로 옳은 것은?

  1. 개방회로 방식
  2. 복합회로 방식
  3. 폐쇄회로 방식
  4. 반폐쇄회로 방식
(정답률: 60%)
  • 정답은 "폐쇄회로 방식"입니다.

    서보 제어방식은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CNC 공작기계에서는 위치 제어에 사용됩니다. 이때 서보 모터는 위치 센서와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움직입니다.

    폐쇄회로 방식은 제어기에서 명령한 위치와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 오차를 서보 모터에 피드백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합니다.

    반면 개방회로 방식은 서보 모터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명령한 위치와 실제 위치를 비교하지 않고, 일정한 주기로 신호를 보내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오차가 누적되어 정밀한 위치 제어가 어렵습니다.

    복합회로 방식은 폐쇄회로 방식과 개방회로 방식을 혼합한 방식으로, 오차가 발생하면 폐쇄회로 방식으로 보정하고, 일정 범위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개방회로 방식으로 보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CNC 공작기계의 서보 제어방식으로는 폐쇄회로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PLC 제어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거나 연산과정을 추적하는 것은?

  1. debug
  2. restart
  3. scan time
  4. parameter
(정답률: 81%)
  • PLC 제어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거나 연산과정을 추적하는 것은 "debug"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버그나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디버깅은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과정이며, PLC 제어 시스템에서도 필수적인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스테핑 모터의 구동 신호 패턴 중 가장 고분해능을 낼 수 있는 구동방식은?

  1. 1상 여자 방식
  2. 2상 여자 방식
  3. 1-2상 여자 방식
  4. 3상 여자 방식
(정답률: 62%)
  • 가장 고분해능을 낼 수 있는 구동방식은 "1-2상 여자 방식"입니다. 이는 2상 구동 방식 중에서도 1상과 2상의 신호를 90도 차이로 구동하여, 한 바퀴를 4등분하여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1상 구동 방식이나 3상 구동 방식으로, 1상 구동 방식은 회전 방향만 제어 가능하고, 3상 구동 방식은 회전 속도만 제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PD제어기는 제어계의 과도특성 개선을 위해 쓰인다. 이것에 대응하는 보상기는?

  1. 과도보상기
  2. 동상보상기
  3. 지상보상기
  4. 진상보상기
(정답률: 54%)
  • PD제어기는 과도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제어 대상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응하는 보상기는 진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진상보상기이다. 진상보상기는 제어 대상의 상태를 측정하여 제어기의 출력을 보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PLC 출력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전자 밸브
  2. 리밋 스위치
  3. 전자 클러치
  4. 파일럿 램프
(정답률: 78%)
  • 리밋 스위치는 PLC의 입력 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LC 출력 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출력 부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전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부와는 달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출력 부에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인 전자 밸브, 전자 클러치, 파일럿 램프 등이 부착될 수 있지만, 입력 신호를 받는 리밋 스위치는 부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생산설비에 자동제어 기법을 적용한 경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원자재비 증가
  2. 연속작업이 가능
  3. 제품 품질의 균일화
  4. 정밀한 작업이 가능
(정답률: 88%)
  • 원자재비 증가는 생산설비에 자동제어 기법을 적용한 경우의 특징이 아닙니다. 자동제어 기법을 적용하면 연속작업이 가능해지고, 제품 품질의 균일화가 이루어지며, 정밀한 작업이 가능해집니다. 그러나 원자재비 증가는 생산설비의 성능 개선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언어의 반복제어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for 문
  2. while 문
  3. do-while 문
  4. switch-case 문
(정답률: 74%)
  • switch-case 문은 조건에 따라 분기하는 선택 제어문이며, 반복을 위한 제어문이 아니기 때문에 반복제어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의 보드(Bode) 선도를 가지는 전달함수는?

(정답률: 65%)
  • 이 보드 선도는 고주파에서는 20dB/10dec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으며, 저주파에서는 0dB에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보드 선도를 가지는 전달함수는 저주파에서는 모든 주파수를 통과시키고, 고주파에서는 저주파에 비해 신호를 약화시키는 저역통과 필터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전달함수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달함수를 정의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가장 적합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1. 입력만을 고려한다.
  2. 주파수를 고려한다.
  3. 시간영역특성만을 고려한다.
  4. 모든 초기값을 0으로 고려한다.
(정답률: 73%)
  • 전달함수는 초기값에 따라 출력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초기값을 0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초기값에 민감하지 않은 안정적인 전달함수를 설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압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유량제어밸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감압 밸브
  2. 교축 밸브
  3. 압력 보상형 유량조절 밸브
  4. 압력온도 보상형 유량조절 밸브
(정답률: 50%)
  • 유량제어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감압 밸브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감압 밸브는 유량을 제어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유량제어밸브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SI(International System of Unit) 단위계에서 압력의 기본 단위는?

  1. Pa
  2. bar
  3. psi
  4. kgf/cm2
(정답률: 70%)
  • SI 단위계에서 압력의 기본 단위는 파스칼(Pa)입니다. 이는 뉴턴(N)당 제곱미터(m2)으로 정의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파스칼을 기반으로 한 유도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의 전달함수의 값으로 옳은 것은?

  1. 0.6
  2. 0.7
  3. 0.8
  4. 0.9
(정답률: 50%)
  • 전달함수는 입력값이 주어졌을 때 출력값이 나오는 함수를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입력값이 "A"일 때 출력값이 "B"가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달함수의 값은 "A에서 B로 가는 확률"이 됩니다.

    그림을 보면 "A"에서 "B"로 가는 경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A"에서 "C"로 가고, 다시 "C"에서 "B"로 가는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A"에서 바로 "B"로 가는 경로입니다.

    각 경로의 확률을 계산해보면, 첫 번째 경로는 "A에서 C로 가는 확률"과 "C에서 B로 가는 확률"을 곱한 값인 0.5 x 0.8 = 0.4이고, 두 번째 경로는 "A에서 바로 B로 가는 확률"인 0.7입니다.

    따라서 전달함수의 값은 두 경로의 확률을 더한 값인 0.4 + 0.7 = 1.1이 됩니다. 하지만 확률은 항상 0과 1 사이의 값이어야 하므로, 이 중에서 가능한 값은 0과 1을 제외한 0.4과 0.7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작물 수치제어 좌표계에서 절대위치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구의 위치를 항상 원점(영점)을 기준으로 표시
  2. 공구의 위치를 항상 앞의 공구위치를 기준으로 표시
  3. 공구의 위치를 원점(영점)과 앞의 공구위치를 기준으로 표시
  4. 공구의 위치를 X, Y축선 상에서 어느 한 점을 기준으로 표시
(정답률: 73%)
  • 공작물 수치제어 좌표계에서는 공구의 위치를 항상 원점(영점)을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원점을 기준으로 공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표시하면 공구의 위치가 계속 변동되어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상 원점을 기준으로 표시하여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중앙처리장치(CPU)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2. 외부 인터럽트에 응답하여 처리한다.
  3. 프로그램 명령을 인출, 해독, 실행한다.
  4. DMA(Direct Memory Access)를 처리한다.
(정답률: 64%)
  • DMA(Direct Memory Access)는 CPU의 주요 기능이 아니라는 것은 DMA가 CPU와는 별도로 메모리와 주변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CPU는 DMA에게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명령을 내리고, DMA는 이를 처리하여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DMA는 CPU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8비트 데이터에서 2의 보수 방법으로 -5를 표기한 것은?

  1. 85H
  2. 8BH
  3. FBH
  4. FAH
(정답률: 57%)
  • 8비트 데이터에서 -5를 2의 보수 방법으로 표기하면, 먼저 5를 2진수로 변환하여 00000101이 된다. 이를 1의 보수로 변환하면 11111010가 되고, 여기에 1을 더한 11111011이 -5의 2의 보수 표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FB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논리식을 간소화 한 값으로 옳은 것은?

  1. AC+AB
(정답률: 52%)
  • 논리식을 간소화하면, AB+AC+BC가 된다. 이를 더 간소화하면, AB+(A+C)B가 된다. 이를 다시 전개하면 AB+AB+CB이므로, AB+C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간단한 설명: 논리식을 간소화하는 과정에서, A와 B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항을 묶어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AB+AC+BC를 AB+(A+C)B로 변환한 후, 다시 전개하여 AB+AB+CB로 간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서보모토의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센서가 아닌 것은?

  1. 타코미터
  2. 포텐쇼미터
  3. 자기 엔코더
  4. 광학식 엔코더
(정답률: 50%)
  • 타코미터는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지만, 회전각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반면에 포텐쇼미터, 자기 엔코더, 광학식 엔코더는 모두 회전각을 측정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기계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수치제어 공작기계나 로봇에 많이 응용되는 제어는?

  1. 서보(servo) 제어
  2. 시퀀스(sequence) 제어
  3. 개루프(open-loop) 제어
  4. 프로세스(process) 제어
(정답률: 85%)
  • 서보 제어는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기계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방식으로, 피드백 시스템을 이용하여 목표값과 현재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한 제어를 수행합니다. 이에 반해 시퀀스 제어는 단순한 순차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이며, 개루프 제어는 피드백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명령에 따라 일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스 제어는 공정이나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정확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서보 제어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계자코일을 갖는 직류모터 중 분권형모터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동토크가 높다.
  2. 좋은 속도조정 성능을 갖는다.
  3. 무부하 동작에서 속도가 낮다.
  4. 전기자코일과 계자코일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정답률: 40%)
  • 전기자코일과 계자코일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분권형모터는 스텝모터와 같은 특성을 갖기 때문에 무부하 동작에서 속도가 낮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계자코일의 자기장이 전기자코일의 자기장을 상쇄시켜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기동토크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RLC 공진 회로에 대한 설명 중 툴린 것은?

  1. 병렬공진 시 임피던스는 최대가 된다.
  2. 직렬공진 시 전류의 크기는 최대가 된다.
  3. 공진 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이상(異相)이 된다.
  4. 병렬공진 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동상(同相)이 된다.
(정답률: 62%)
  • 공진은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에 일어나며, 이 때 회로의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어 전류가 최대가 되고 전압은 최소가 된다. 이 때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이상(異相)이 된다. 이는 즉, 전압과 전류가 함께 진폭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전압이 최소일 때 전류가 최대가 되고, 전압이 최대일 때 전류가 최소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정밀도보다는 표면거칠기가 중요한 부품가공에 가장 적합한 가공방법은?

  1. 호닝
  2. 숏 피닝
  3. 레이저 가공
  4. 슈퍼 피니싱
(정답률: 65%)
  • 정밀도보다는 표면거칠기가 중요한 부품가공에는 슈퍼 피니싱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슈퍼 피니싱이 고속회전하는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마무리 표면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지만,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어내는 데 탁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서브루틴에 뛰어들 때에, 서브루틴 프로그램이 끝난 다음 주프로그램으로 되돌아올 주프로그램의 어드레스가 저장되는 장소는?

  1. 스택
  2. 데이터 레지스터
  3. 프로그램 카운터
  4. HEAP(힙) 메모리
(정답률: 58%)
  • 서브루틴에 뛰어들 때에는 현재 주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고,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새로운 상태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때, 현재 주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스택이 사용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지게 됩니다. 따라서 서브루틴 프로그램이 끝난 다음 주프로그램으로 되돌아올 주프로그램의 어드레스도 스택에 저장되어, 가장 최근에 저장된 어드레스가 가장 먼저 꺼내져서 주프로그램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변화하는 자계 내에 놓인 코일의 권선수를 늘리면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함없다.
  4. 전압이 유도되지 않는다.
(정답률: 73%)
  • 자계 내에 놓인 코일의 권선수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변화율이 커지게 되어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파라메터 중 하나인 N(권선수)가 증가하면 유도전압 E도 N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떤 126개의 데이터 각각에게 2진수로 번호를 붙이려고 할 때 필요한 비트수는?

  1. 4
  2. 5
  3. 6
  4. 7
(정답률: 76%)
  • 126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11110이 된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7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명령 중 산술 논리 연산 명령은?

  1. INR
  2. JMP
  3. MOV
  4. PUSH
(정답률: 63%)
  • 산술 논리 연산 명령은 주어진 데이터를 가지고 산술 연산이나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이다. "INR"은 증가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으로, 산술 연산 중 하나이다. 따라서 "INR"은 산술 논리 연산 명령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인덕턴스(L) 만의 교류회로에서 L=30mH의 코일에 50Hz인 교류전압을 인가할 때, 이 코일의 리액턴스는?

  1. 3.4 Ω
  2. 9.4 Ω
  3. 30 Ω
  4. 100 Ω
(정답률: 54%)
  • 인덕턴스(L)에 대한 리액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XL = 2πfL

    여기서, XL은 리액턴스, f는 주파수, L은 인덕턴스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X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XL = 2π × 50 × 0.03 = 9.42 Ω

    따라서, 코일의 리액턴스는 9.4 Ω입니다.

    정답은 "9.4 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거리 계측이나 두께를 측정할 때 초음파의 강한 반사성과 전파성의 지연을 효과적으로 응용한 센서는?

  1. 광 센서
  2. 자기 센서
  3. 적외선 센서
  4. 초음파 센서
(정답률: 84%)
  •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나 두께를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이는 초음파의 강한 반사성과 전파성의 지연을 이용하여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가 거리나 두께를 측정할 때 효과적으로 응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 배치되어 있어 그 사이에 물체가 들어가면 빛이 차단되어 수광부의 광전류가 차단되어 수광부의 광전류가 차단되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은?

  1. 태양 전지
  2. 컬러 센서
  3. 포토 인터럽터
  4. 포토 아이솔레이터
(정답률: 77%)
  •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향 배치되어 있어 물체가 들어가면 빛이 차단되어 수광부의 광전류가 차단되는 구조는 포토 인터럽터의 구조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토 인터럽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변환기 중 특성이 다른 하나는?

  1. 사다리형 변환기
  2. 병렬 비교형 변환기
  3. 축차 근사형 변환기
  4. 2중 경사 적분법 변환기
(정답률: 47%)
  • 사다리형 변환기는 입력값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처리하며, 각 단계에서는 입력값의 일부분만을 사용하여 출력값을 계산합니다. 이에 반해, 나머지 변환기들은 입력값을 한 번에 전체적으로 처리하며, 출력값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사다리형 변환기는 다른 변환기들과는 달리 입력값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처리하므로, 처리 과정에서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지만, 입력값의 일부분만을 사용하여 출력값을 계산하므로, 계산량이 적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도체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컨덕턴스의 단위로 맞는 것은?

  1. Ohms
  2. Volts
  3. Current
  4. Siemens
(정답률: 55%)
  • 정답은 "Siemens"입니다. 컨덕턴스는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도체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컨덕턴스가 높을수록 전류가 더 잘 흐르게 됩니다. "Siemens"는 컨덕턴스의 단위로, 1 시멘스는 1 아모페어의 전류가 1 볼트의 전압에 의해 흐를 때의 전도도를 나타냅니다. 즉, 전류와 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과 같은 OP 앰프 회로에서 R1=R2=R3=Rf=2kΩ 이고 입력전압 V1=V2=V3=0.2V 이면 출력전압Vo[V]는?

  1. -0.6
  2. -1.2
  3. -6
  4. -12
(정답률: 49%)
  • OP 앰프의 입력단은 고입력 임피던스를 가지므로 입력전압 V1, V2, V3는 모두 Rf으로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V1, V2, V3는 모두 0.2V의 크기를 가지며, Rf에 의해 0.6V의 전압이 V-에 인가됩니다. 이때, V-와 V+는 같은 전압이므로 V+도 0.6V의 전압을 가지게 됩니다.

    V+에 인가된 0.6V의 전압은 R1과 R2를 통해 Vo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때, R1과 R2는 병렬연결이므로 등가저항 R12는 1kΩ이 됩니다. 따라서, Vo는 0.6V의 전압이 R12를 통해 흐르면서 0.6mA의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때, R3와 Rf는 직렬연결이므로 등가저항 R3f는 4kΩ이 됩니다. 따라서, Vo는 0.6mA의 전류가 R3f를 통해 흐르면서 -2.4V의 전압이 Vo쪽으로 인가되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전압 Vo는 -2.4V이므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작물을 양극으로 하고, 전기저항이 적은 Cu, Zn을 음극으로 하여 전해액 속에 넣어 매끈한 공작물 표면을 얻을 수 있는 가공 방법은?

  1. 숏 피닝
  2. 보링작업
  3. 연삭작업
  4. 전해연마
(정답률: 86%)
  • 전해연마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공작물 표면을 연마하는 방법이다. 양극으로 공작물을, 음극으로는 전기저항이 적은 Cu, Zn 등의 금속을 사용하여 전해액 속에서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공작물 표면을 연마한다. 이 방법은 매우 정밀하고 균일한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매끈하고 정밀한 표면을 필요로 하는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온도센서 중 서미스터의 원리로 옳은 것은?

  1. 온도→압력
  2. 온도→저항
  3. 온도→자속
  4. 온도→빛의 양
(정답률: 73%)
  •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한 온도센서이다. 따라서 온도가 측정되면 이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고, 이를 측정하여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저항"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