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생산자동화산업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밀링가공에서 일반적인 절삭속도 선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빠르게 한다.
  2. 다듬질 절삭에서는 이송속도를 느리게 한다.
  3. 커터의 날이 빠르게 마모되면, 절삭 속도를 낮춘다.
  4. 적정 절삭속도보다 약간 낮게 설정하는 것이 커터의 수명연장에 좋다.
(정답률: 64%)
  •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빠르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거친 절삭에서는 절삭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절삭속도가 빠를수록 커터의 마모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절삭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커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 Cr, V, Co 들의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강으로 600℃까지 고온경도를 유지하는 공구재료는?

  1. 고속도강
  2. 초경합금
  3. 탄소공구강
  4. 합금공구강
(정답률: 59%)
  • W, Cr, V, Co는 모두 고온에 강한 성질을 가진 원소들이며, 이들을 함유하는 합금강은 고온에서도 강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이 합금강은 고속으로 가공할 수 있는 고속도강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속도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밀링머신에서 사용하는 바이스 중 회전과 상하로 경사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은?

  1. 만능 바이스
  2. 수평 바이스
  3. 유압 바이스
  4. 회전 바이스
(정답률: 68%)
  • 만능 바이스는 회전과 상하로 경사시킬 수 있는 기능이 모두 가능한 바이스이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와 위치에서 작업물을 고정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가공이 가능하다. 반면, 수평 바이스는 수평으로만 고정이 가능하고, 유압 바이스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고정하는 바이스이며, 회전 바이스는 회전만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탭으로 암나사 가공작업 시 탬의 파손원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탭이 경사지게 들어간 경우
  2.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
  3. 탭의 가공 속도가 빠른 경우
  4. 탭이 구멍바닥에 부딪쳤을 경우
(정답률: 77%)
  •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에는 탭이 부딪혀도 파손되지 않고 구멍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원인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탭 재질의 경도가 높은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어절삭가공 방법에서 창성법에 해당하는 것은?

  1. 호브에 의한 기어가공
  2. 형판에 의한 기어가공
  3. 브로칭의 의한 기어가공
  4. 총형 바이트에 의한 기어가공
(정답률: 57%)
  • 기어절삭가공 방법 중 창성법은 기어의 치형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호브에 의한 기어가공이 해당한다. 호브는 회전하는 기어와 함께 회전하면서 기어 치형을 형성하는 치형공구이다. 따라서 호브에 의한 기어가공이 창성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삭기의 이송방법이 아닌 것은?

  1. 테이블 왕복식
  2. 플랜지 컷 방식
  3. 연삭 숫돌대 방식
  4. 마그네틱 척 이동 방식
(정답률: 61%)
  • 마그네틱 척 이동 방식은 연삭기의 이송방법이 아니라, 작업물을 고정하는 척의 이동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송방법으로는 "테이블 왕복식", "플랜지 컷 방식", "연삭 숫돌대 방식"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는?

  1. 사인 바
  2. 마이크로미터
  3. 하이트 게이지
  4. 버니어캘리퍼스
(정답률: 85%)
  • 사인 바는 각도를 측정하는 도구 중 하나로,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측정기들은 길이나 두께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사인 바는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머시닝센터에서 드릴링 사이클에 사용되는 G-코트로만 짝지어진 것은?

  1. G24, G43
  2. G44, G65
  3. G54, G92
  4. G73, G83
(정답률: 63%)
  • G73과 G83은 둘 다 드릴링 사이클에 사용되는 G-코드입니다. G73은 피드레이트를 빠르게 하여 깊이를 빠르게 드릴링하는 사이클이고, G83은 피드레이트를 느리게 하여 깊이를 천천히 드릴링하는 사이클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개의 G-코드는 드릴링 작업에서 매우 중요하며, 머시닝센터에서 드릴링 사이클에 사용되는 G-코트로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선반에서 긴 가공물을 절삭할 경우 사용하는 방진구 중 이동식 방진구는 어느 부분에 설치하는가?

  1. 베드
  2. 새들
  3. 심압대
  4. 주측대
(정답률: 63%)
  • 이동식 방진구는 절삭 작업 중 발생하는 먼지와 칩 등의 작은 입자물질로부터 작업자와 기계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동식 방진구는 작업물을 고정하는 주측대나 심압대에 설치되며, 작업물이 길고 가느다란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터릿선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수의 공구를 조합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선반이다.
  2. 지름이 큰 공작물을 정면가공하기 위하여 스윙을 크게 만든 선반이다.
  3. 작업대 위에 설치하고 시계부속 등 작고 정밀한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선반이다.
  4.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과 같은 실물이나 모형을 따라 공구대가 자동으로 모형과 같은 윤곽을 깍아내는 선반이다.
(정답률: 62%)
  • 다수의 공구를 조합하여 동시에 순차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선반이다. 이는 여러 개의 작업공구를 한 번에 사용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선반을 의미한다. 이러한 선반은 대량생산이나 대형가공에 적합하며,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절삭공구 수명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공구 인선의 마모가 일정량에 달했을 경우
  2. 완성가공된 치수의 변화가 일정량에 달했을 경우
  3. 절삭저항의 주 분력이 절삭을 시작했을때와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4. 완성 기공면 또는 절삭가공 한 직후에 가공표면에 광탱이 있는 색조 또는 방점이 생길 경우
(정답률: 77%)
  • "절삭저항의 주 분력이 절삭을 시작했을때와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가 틀린 것입니다. 절삭공구의 수명은 절삭저항, 공구 인선의 마모, 완성가공된 치수의 변화, 가공표면의 광탱이나 방점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절삭저항만으로 수명을 판정하는 것은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태일러의 원리에 맞게 제작되지 않아도 되는 게이지는?

  1. 링 게이지
  2. 스냅 게이지
  3. 테이퍼 게이지
  4. 플러그 게이지
(정답률: 52%)
  • 태일러의 원리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원리인데, 이 중에서 테이퍼 게이지는 측정 대상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작되지 않아도 된다. 즉, 테이퍼 게이지는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측정 대상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연삭 작업에 관련된 안전사항 중 틀린 것은?

  1. 연삭숫돌을 정확하게 고정한다.
  2. 연삭숫돌 측면에 연삭을 하지 않는다.
  3. 연삭가공 시 원주 정면에 서 있지 않는다.
  4. 연삭숫돌 덮개 설치보다는 작업자의 보안경 착용을 권장한다.
(정답률: 82%)
  • 연삭숫돌 덮개 설치보다는 작업자의 보안경 착용을 권장한다는 것은 올바른 안전사항이 아니다. 연삭 작업 시에는 반드시 연삭숫돌 덮개를 설치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보안경 착용은 보조적인 안전조치일 뿐이다. 연삭숫돌 덮개를 설치하지 않으면 연삭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파편이나 먼지 등이 작업자에게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밀링 절삭 방법 중 상향절삭과 하향절삭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하향절삭은 상향절삭에 비하여 공구수명이 길다.
  2. 상향절삭은 가공면은 표면거칠기가 하향절삭보다 나쁘다.
  3. 상향절삭은 절삭력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의 고정이 유리하다.
  4. 커터의 회전방향과 가공물의 이송이 같은 방향의 가공방법을 하향절삭이라 한다.
(정답률: 72%)
  • "상향절삭은 절삭력이 상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의 고정이 유리하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상향절삭은 절삭력이 하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장치가 필요합니다.

    상향절삭은 커터의 회전방향과 가공물의 이송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가공방법을 말하며, 하향절삭은 커터의 회전방향과 가공물의 이송이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가공방법입니다. 하향절삭은 상향절삭에 비해 공구수명이 길고, 가공면의 표면거칠기가 더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연삭숫돌 기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WA : 연삭숫돌입자의 종류
  2. 60 : 입도
  3. m : 결합도
  4. V : 결합제
(정답률: 75%)
  • "WA : 연삭숫돌입자의 종류"가 틀린 설명입니다. WA는 연삭숫돌 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WA : 연삭숫돌입자의 크기"가 되어야 합니다.

    m은 결합도를 나타내는데, 결합도란 연삭숫돌 입자와 결합제 간의 결합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m이 결합도를 나타내는 것은 맞습니다.

    60은 입도를 나타내는데, 입도란 연삭숫돌 입자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V는 결합제를 나타내는데, 결합제란 연삭숫돌 입자와 결합하여 연마 작업을 수행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측정자의 직선 또는 원호운동을 기계적으로 확대하여 그 움직임을 지치의 회전변위로 변환시켜 눈금으로 읽을 수 있는 측정기는?

  1. 수준기
  2. 스냅 게이지
  3. 게이지 블록
  4. 다이얼 게이지
(정답률: 72%)
  • 다이얼 게이지는 측정자의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확대하여 회전변위로 변환시켜 눈금으로 읽을 수 있는 측정기입니다. 다이얼 게이지는 직선 또는 원호운동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값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어 측정의 정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는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측정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래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식래핑은 주로 거친 래핑에 사용한다.
  2. 습식래핑은 연마입자를 혼합한 랩액을 공작물에 주입하면서 가공한다.
  3. 건식래핑의 사용 용도는 초경질 합금, 보석 및 유리 등 특수재료에 널리 쓰인다.
  4. 건식래핑은 랩제를 고르게 누른 다음 이를 충분히 닦아내고 주로 건조상태에서 래핑을 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건식래핑의 사용 용도는 초경질 합금, 보석 및 유리 등 특수재료에 널리 쓰인다."이다. 건식래핑은 랩제를 고르게 누른 다음 이를 충분히 닦아내고 주로 건조상태에서 래핑을 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금속의 구멍작업 시 배출이 용이하고 가공 정밀도가 가장 높은 드릴날은?

  1. 평 드릴
  2. 센터 드릴
  3. 직선홈 드릴
  4. 트위스트 드릴
(정답률: 73%)
  • 트위스트 드릴은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끝 부분이 나선형으로 되어 있어, 금속을 빠르고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출이 용이하고 가공 정밀도가 높아서 금속 가공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드릴의 속도가 V(m/min), 지름이 d(mm)일 때, 드릴의 회전수 n(rpm)을 구하는 식은?

(정답률: 77%)
  • 드릴의 회전수 n은 V와 d에 의해 결정되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n = (1000V) / (πd)

    여기서 1000은 분(min)을 초(sec)로 변환하기 위한 상수이고,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이 식에서 V는 m/min 단위이므로, mm/min으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1000을 곱해준다.

    위 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드릴의 회전수는 드릴의 속도와 지름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즉, 속도가 높을수록 회전수는 낮아지고, 지름이 크면 회전수도 낮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이다. 이유는 속도와 지름에 반비례하는 식에서, 분자에 속도를 곱하고 분모에 지름을 나누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절삭제의 사용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공구수명 연장
  2. 절삭 저항의 증가
  3. 공구의 온도상승 방지
  4. 가공물의 정밀도 저하방지
(정답률: 79%)
  • 절삭 저항의 증가는 공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공물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공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구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 및 기초공학

21. 구멍과 축의 억지 끼워 맞춤에서 최대 죔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멍의 최대허용치수-축의 최대최대허용치수
  2. 구멍의 최소허용치수-축의 최소허용치수
  3. 축의 최소허용치수-구멍의 최대허용치수
  4. 축의 최대허용치수-구멍의 최소허용치수
(정답률: 69%)
  • 구멍과 축의 억지 끼워 맞춤에서 최대 죔새는 구멍과 축의 최대한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대 죔새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축의 최대허용치수에서 구멍의 최소허용치수를 빼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축의 최대허용치수-구멍의 최소허용치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V-벨트 풀리의 도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벨트 풀리 홈 부분의 치수는 형별과 호침 지름에 따라 결정된다.
  2. V-벨트 풀리는 축 직각 방향의 투상을 정면도(주투상도)로 할 수 있다.
  3. 암(Arm)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다.
  4. V-벨트 풀리에 적용하는 일반용 V고무벨트는 단면치수에 따라 6가지 종류가 있다.
(정답률: 64%)
  • 암(Arm)은 길이 방향이 아닌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다. V-벨트 풀리의 암은 벨트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벨트가 움직이는 방향과 수평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암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강재의 종류와 그 기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SCr420 : 크로뮴 강
  2. SCM420 : 니켈 크로뮴 강
  3. SMn420 : 망가니즈 강
  4. SMnC420 : 망가니즈 크로뮴 강
(정답률: 78%)
  • SCr420은 크로뮴 강이 아닌, 크롬과 탄소로 이루어진 강입니다. 반면에 SCM420은 니켈과 크롬, 모리브덴 등의 합금 원소를 함유한 강으로, 고강도 및 내식성이 뛰어난 강재입니다. 따라서, SCM420은 니켈 크로뮴 강으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계제도에서 사용하는 선의 종류에 대한 용도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굵은 실선 :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 표시
  2. 가는 1점 쇄선 : 도형의 중심 표시
  3. 가는 2점 쇄선 : 대상물의 일부는 파단한 경계 표시
  4. 가는 파선 : 대상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모양 표시
(정답률: 64%)
  • 가는 2점 쇄선은 대상물의 일부가 파단한 경계를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물의 일부가 제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는 2점 쇄선 : 대상물의 일부는 파단한 경계 표시"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등각 투상도에서 화살표 방향에서 본 면을 정면이라 할 때 제 3각법으로 3면도가 올바르게 그려진 것은?

(정답률: 66%)
  • 제 3각법은 두 직선의 교차점에서 각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면을 정면으로 두고, 면과 수직인 직선과 수평인 직선을 그려서 각도를 구해야 합니다.

    보기 1과 2는 면과 수직인 직선을 그리지 않았습니다. 보기 4는 면과 수평인 직선을 그리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보기 3이 올바른 3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투상도를 그릴 때 선이 서로 겹칠 경우 나타내야 할 우선 순위로 옳은 것은?

  1. 중심선>숨은선>외형선
  2. 숨은선>절단선>중심선
  3. 외형선>중심선>절단선
  4. 외형선>중심선>숨은선
(정답률: 76%)
  • 정답은 "숨은선>절단선>중심선"입니다.

    우선 순위는 그림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숨은선은 그림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는 선으로, 부품의 내부 구조나 조립 방법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그림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절단선은 부품을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는 선으로, 부품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심선은 부품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선으로, 부품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숨은선이 가장 우선적으로 나타내야 할 정보이고, 그 다음으로 절단선, 마지막으로 중심선이 나타내야 할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원뿔을 전개하였을 때 전개도의 중심각이 120°가 되려면 L의 치수는 얼마인가? (단, 원뿔 밑면의 지름은 100mm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50mm
  2. 200mm
  3. 120mm
  4. 180mm
(정답률: 52%)
  • 전개도의 중심각이 120°가 되려면 전체 각도는 360°이므로, 전체 각도 중 120°를 차지하는 부분의 길이는 전체 길이의 1/3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L의 길이는 원뿔 밑면의 지름인 100mm의 1/3인 33.33...mm보다 커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L의 길이가 150mm인 것만이 이 조건을 만족하므로 정답은 "15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공 모양의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 방향이 기호를 기입한 그림의 투영한 면에 평행
  2. X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 방향이 기호를 기입한 그림의 투영면에 비스듬하게 2방향으로 교차
  3. M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여러 방향
  4. R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동심원 모양
(정답률: 72%)
  • 정답은 "R :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동심원 모양"이 아닌 것입니다.

    가공 모양 기호 중 R은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동심원 모양이 아니라, 가공에 의한 컷의 줄무늬가 기호를 기입한 면의 중심에 대하여 거의 직각이 되도록 표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입체도를 제3각법으로 올바르게 나타낸 투상도는?

(정답률: 73%)
  • 입체도에서는 뒤쪽에 있는 물체일수록 작게 그려지고, 앞쪽에 있는 물체일수록 크게 그려집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큰 정육면체가 작은 정육면체 뒤에 있으므로, 투상도에서는 작게 그려져야 합니다. ""가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나사 표기가 “G 1/2”이라 되어 있을 때, 이는 무슨 나사인가?

  1. 관용 평행나사
  2. 29° 사다리꼴나사
  3. 관용 테이퍼나사
  4. 30° 사다리꼴나사
(정답률: 55%)
  • “G 1/2”는 관용 평행나사를 나타냅니다. 이는 나사의 직경이 1/2인치이며, 나사 간격이 평행한 나사입니다. 이러한 나사는 일반적으로 유압 및 공압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그림에서 F1, F2의 합성(F)의 크기에 대한 표현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3%)
  • F1과 F2가 이루는 각을 θ라고 하면, F1의 x축 성분은 F1cosθ, y축 성분은 F1sinθ이고, F2의 x축 성분은 F2cosθ, y축 성분은 F2sinθ이다. 따라서 F의 x축 성분은 F1cosθ + F2cosθ = (F1 + F2)cosθ이고, y축 성분은 F1sinθ + F2sinθ = (F1 + F2)sinθ이다. 따라서 F의 크기는 √[(F1 + F2)cosθ]2 + [(F1 + F2)sinθ]2 = √(F12 + F22 + 2F1F2cos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응력과 압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위는 N/m2이다.
  2. 1kgf/cm2=9.8×104N/m2로 나타낸다.
  3. 응력과 압력은 물리력으로 뉴턴의 제3법칙에 근거한다.
  4. 내부 힘에 대한 외부 저항력을 단위 면적당 크기로 표시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응력과 압력은 물리력으로 뉴턴의 제3법칙에 근거한다."이다.

    내부 힘에 대한 외부 저항력을 단위 면적당 크기로 표시하는 것은 압력이다. 압력의 단위는 N/m2이며, 1kgf/cm2=9.8×104N/m2로 나타낸다. 응력과 압력은 모두 내부 힘과 외부 저항력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개념이지만, 응력은 고체의 변형에 대한 개념이고 압력은 유체의 특성에 대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에서 A점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 대수합은 얼마인가? (단, 시계방향 회전은 +부호, 반시계방향 회전은 -부호를 사용한다.)

  1. 10kgfㆍmm
  2. -10kgfㆍmm
  3. 100kgfㆍmm
  4. -100kgfㆍmm
(정답률: 60%)
  • A점을 중심으로 한 모멘트 대수합은 시계방향으로 50kgfㆍmm의 모멘트와 반시계방향으로 150kgfㆍmm의 모멘트가 작용하므로, 모멘트 대수합은 150kgfㆍmm - 50kgfㆍmm = 100kgfㆍ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kgfㆍ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저항의 직ㆍ병렬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항 직렬회로에서 전류는 어느 지점에서나 항상 일정하다.
  2. 저항 직렬회로에서 저항 단자전압의 크기는 저항의 크기에 비례한다.
  3. 저항 병렬회로에서 저항 단자전압의 크기는 저항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4. 저항 병렬회로에서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저항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0%)
  • "저항 병렬회로에서 저항 단자전압의 크기는 저항의 크기에 반비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저항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이 각각의 저항에 분할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전체 전압보다 작은 전압이 각각의 저항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저항이 클수록 해당 저항에 적용되는 전압이 작아지게 되므로, 저항의 크기와 저항 단자전압의 크기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법칙은?

  1. 플레밍의 왼손 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3.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
  4. 키르히호프의 전압법칙
(정답률: 83%)
  • 전류가 회로를 따라 순환할 때, 모든 점에서 전류의 합은 0이 되어야 한다는 법칙이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이다. 이 법칙은 전기회로의 기본 법칙 중 하나로, 전류의 분기점에서의 합과 회로의 루프에서의 합이 일치해야 한다는 원리를 강조한다. 위의 그림에서도 전류의 합이 0이 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속력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속력=시간÷이동거리
  2. 속력=이동거리×시간
  3. 속력=이동거리÷시간
  4. 속력=이동거리+(시간)2
(정답률: 68%)
  • 속력은 단위 시간당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따라서 이동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값이 속력이 됩니다. 따라서 "속력=이동거리÷시간"이 옳은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면적이 2.5m2인 가공물이 작업대 위에 놓여 있을 때, 이 가공물의 무게가 50kgf라면 작업대가 받는 압력[kgf/m2]은 얼마인가?

  1. 5
  2. 10
  3. 20
  4. 25
(정답률: 71%)
  • 압력은 단위 면적당 힘이 가해지는 값이므로, 작업대가 받는 압력은 50kgf를 2.5m2로 나눈 값과 같다.

    50kgf ÷ 2.5m2 = 20kgf/m2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압 실린더가 기반으로 하고 있는 원리 또는 법칙은?

  1. 뉴턴의 법칙
  2. 아베의 원리
  3. 파스칼의 원리
  4. 베르누이의 법칙
(정답률: 84%)
  • 유압 실린더는 파스칼의 원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파스칼의 원리는 압력이 일정한 유체에 가해지면 그 압력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에서는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작은 압력으로 유체를 이동시켜 큰 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바하(Bach)의 축 공식에서 연강축의 길이 1m당 비틀림 각은 몇 도(°) 이내로 제한 하는가?

  1. 1/4
  2. 1/6
  3. 1/8
  4. 1/10
(정답률: 59%)
  • 바하의 축 공식에서 연강축의 길이 1m당 비틀림 각은 1/10도 이내로 제한됩니다. 이는 연강축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비틀림 각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길이 1m당 비틀림 각도를 제한하여 정확한 회전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4"인 이유는 바하의 축 공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1/4"는 잘못된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선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1초간에 통과하는 전하량은?

  1. 1C
  2. 1V
  3. 1W
(정답률: 81%)
  • 전류의 단위인 1A는 1초 동안 1쿨롱(Coulomb)의 전하량이 흐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A의 전류가 1초간 흐를 때 통과하는 전하량은 1쿨롱(Coulomb)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C"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학에서 사용되는 단위 중 다른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제어

41. 릴리프밸브의 크랭킹 압력이 60kgf/cm2이고, 전량 압력이 100kgf/cm2이면, 이 밸브의 압력 오버라이드는 몇 kgf/cm2인가?

  1. 40
  2. 60
  3. 100
  4. 160
(정답률: 64%)
  • 압력 오버라이드는 전량 압력에서 크랭킹 압력을 뺀 값이므로, 100kgf/cm2 - 60kgf/cm2 = 40kgf/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PLC 제어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신뢰성 및 보수성 향상
  2. 프로그램 호환성이 높음
  3. 긴 수명 및 고속제거 가능
  4. 설계 및 테스트 변경 등이 용이
(정답률: 64%)
  • PLC 제어의 장점 중 "프로그램 호환성이 높음"은 틀린 것이다. PLC 제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제조사의 PLC나 다른 모델의 PLC를 사용할 경우 프로그램 호환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같은 모델의 PLC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응답이 최초로 희망 값의 5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상승시간
  2. 응답시간
  3. 지연시간
  4. 정정시간
(정답률: 64%)
  • 응답이 최초로 희망 값의 5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지연시간이라고 한다. 이는 시스템이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을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희망 값의 50%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반응 속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차 시스템의 시정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시정수가 클수록 오버슈트가 크다.
  2. 시정수가 클수록 정상상태오차가 작다.
  3. 시정수가 작을수록 응답속도가 빠르다.
  4. 시정수는 지연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66%)
  • 정답: 시정수가 작을수록 응답속도가 빠르다.

    이유: 시정수는 제어시스템에서 제어대상의 응답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시정수가 작을수록 제어대상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여 응답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정수를 작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DC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TM
  2. PAM
  3. PWM
  4. SSP
(정답률: 67%)
  • PWM(Pulse Width Modulation)은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모터의 평균 전압을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모터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전력 손실이 적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DC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은 PW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개루프 전달함수에 대한 제어시스템의 근궤적인 개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0%)
  • 주어진 개루프 전달함수를 보면 제어시스템의 근궤적인 개수는 개루프의 개수와 같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개루프 전달함수에서는 개루프가 3개이므로 제어시스템의 근궤적인 개수는 3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4의 라플라스 변환식은?

  1. 4
  2. 4S
  3. S/4
  4. 4/S
(정답률: 74%)
  • 4의 라플라스 변환식은 "4"이다. 이는 시간 영역에서 상수 함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라플라스 변환에서는 시간 영역의 함수를 s 영역의 함수로 변환하는 것이므로, 4의 라플라스 변환식은 "4/S"가 아니라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신호 흐름 선도의 요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경로는 동일한 진행방향을 갖는 연결가지의 집합이다.
  2. 경로 이득은 경로를 형성하는 가지들의 이득의 합이다.
  3. 출력 마디는 들어오는 가지만 있고 밖으로 나가는 가지는 없다.
  4. 입력 마디는 밖으로 나가는 가지만 있고 돌아오는 가지는 없다.
(정답률: 50%)
  • "경로 이득은 경로를 형성하는 가지들의 이득의 합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경로 이득은 경로를 형성하는 가지들의 이득의 곱의 합이다. 이유는 신호 흐름 선도에서 가지를 따라 신호가 전달될 때, 각 가지에서의 이득은 서로 곱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래더 다이어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릴레이 제어회로의 표현에 사용된다.
  2. 위치제어 문제의 정확한 해결에 사용된다.
  3.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다.
  4. 제어 시스템에서 부품의 연결을 나타내는 계획도이다.
(정답률: 56%)
  • 래더 다이어그램은 제어 시스템에서 부품의 연결을 나타내는 계획도이며, 릴레이 제어회로의 표현에 사용됩니다. 릴레이 제어회로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제어하는 회로로, 래더 다이어그램은 이러한 릴레이 제어회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릴레이 제어회로의 표현에 사용된다는 것은 래더 다이어그램이 릴레이 제어회로를 표현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제어용 각종 기기 중 주 회로의 단락사고 등에 의한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것은?

  1. 릴레이
  2. 차단기
  3. 카운터
  4. 타이머
(정답률: 81%)
  • 차단기는 주 회로의 단락사고 등에 의한 과전류를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하여 보호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제어용 각종 기기 중 주 회로의 단락사고 등에 의한 과전류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1 atm과 같은 압력은?

  1. 100mAq
  2. 1.013bar
  3. 1000mmHg
  4. 10.336kgf/m2
(정답률: 76%)
  • 1 atm은 대기압을 의미하며, 이는 지표면에서 바다수면까지의 대기의 무게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입니다. 이 압력은 근사적으로 1.013바(bar)이며, 이는 대기압을 표준기압으로 정의한 것입니다. 따라서 1 atm은 1.013바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트리거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Q의 출력이 반전을 하는 플립플롭은?

  1. D
  2. T
  3. JK
  4. RS
(정답률: 56%)
  • 정답은 "T"입니다.

    T 플립플롭은 트리거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Q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플립플롭입니다. 이는 T 플립플롭의 특징으로, 입력값이 1일 때 이전 출력값과 반대의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따라서 트리거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Q의 출력이 반전되는 T 플립플롭을 사용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되먹임 제어계의 안정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역률
  2. 효율
  3. 시정수
  4. 이득여유
(정답률: 57%)
  • 이득여유는 되먹임 제어계의 안정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이다. 이는 제어계에서 출력과 입력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이 차이가 클수록 제어계는 안정적이다. 따라서 이득여유가 크면 제어계는 안정적이고, 작으면 불안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LC의 입ㆍ출력장치의 요구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외부 기기와 전기적 규격이 일치해야 한다.
  2. 디지털 방식의 외부기기만 사용할 수 있다.
  3. 입ㆍ출력의 각 접점 상태를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4. 외부 기기로 부터의 노이즈가 CPU쪽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73%)
  • PLC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 기반의 제어장치이기 때문에, 디지털 방식의 외부기기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요구사항 중 하나이다.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외부기기는 PLC의 입ㆍ출력장치 요구사항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하나의 전송 매체에 여러 채널의 데이터를 실어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의 통신 방식은?

  1. 토큰 링(token ring)
  2. 베이스 밴드(base band)
  3. 브로드 밴드(broad band)
  4. 캐리어 밴드(carrier band)
(정답률: 66%)
  • 브로드 밴드는 하나의 전송 매체에 여러 채널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대역폭을 확보하고 빠른 속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TV, 전화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되며, 대역폭이 넓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NC 기계의 동력전달 방법으로 서보모터와 볼스크루 축을 직접 연결하여 연결부위의 백래시 발생을 방지하는 기계요소로 적합한 것은?

  1. 기어
  2. 체인
  3. 커플링
  4. 타이밍벨트
(정답률: 75%)
  • 커플링은 서보모터와 볼스크루 축을 직접 연결하여 백래시 발생을 방지하는 기계요소입니다. 기어나 체인은 백래시 발생 가능성이 있고, 타이밍벨트는 연결부위의 정확한 위치 조정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C언어로 스위치와 DC모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efine ON 0x01 : ON을 0x01로 정의한다.
  2. outportb(CW, 0x89); : 0x01번지에 0x89값을 출력한다.
  3. outportb(PPIA, ON); : 0x310번지를 통해서 1을 출력한다.
  4. #define PPIA 0x310 : PPI 8255의 A포트를 0x310번지로 지정한다.
(정답률: 55%)
  • 프로그램에서 CW는 0x01번지를 가리키는 포인터 변수이다. 따라서 outportb(CW, 0x89);는 CW가 가리키는 0x01번지에 0x89값을 출력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달함수 G(s)=1+sT인 제어계에서 wT=1000일 때, 이득은 약 몇 [dB]인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55%)
  • 전달함수 G(s)의 모듈러스는 |G(jw)|=sqrt(1+(wT)^2)이다. 따라서 wT=1000일 때, |G(jw)|=sqrt(1+(1000T)^2)=sqrt(1+10^6)=1000. 이 때, 이득은 20log|G(jw)|=20log1000=60[dB]이다.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으로서 제어계에 입력되는 신호는?

  1. 조작량
  2. 궤환 신호
  3. 동작 신호
  4. 기준입력 신호
(정답률: 46%)
  •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으로서 제어계에 입력되는 신호는 기준입력 신호입니다. 이는 제어계가 원하는 목표값과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조작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신호들은 제어계의 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지만, 기준입력 신호는 제어계의 핵심적인 입력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DC 서보모터의 설계 시 응답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코트의 맥동을 작게 한다.
  2. 기계적 시정수를 작게 한다.
  3. 순시 최대 토크까지의 선형성을 높인다.
  4. 전기적 시정수(인덕턴스/저항)를 크게 한다.
(정답률: 73%)
  • 전기적 시정수(인덕턴스/저항)를 크게 한다는 것은 모터의 회전자와 스테이터 간의 전기적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응답 속도를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모터의 회전 속도와 위치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메카트로닉스

61. 다음 진리표의 논리 심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진리표에서 A와 B가 모두 참일 때 결과값이 참이기 때문이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A ∧ B"이다. ∧는 논리곱(AND)을 나타내는 논리 심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프로그램 카운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ㆍ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2. 프로그램에서 타이머, 카운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3. CPU 안에 정보가 저장되고, 처리될 장소를 제공한다.
  4. 프로그램에서 다음에 수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한다.
(정답률: 56%)
  • 프로그램 카운터는 CPU 안에 정보가 저장되고, 처리될 장소를 제공하며, 프로그램에서 다음에 수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합니다. 이는 CPU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에서 다음에 수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부품 가공 시 중심을 잡거나 정반 위에서 공작물을 이동시켜 평행선을 그을 때 사용되는 공구는?

  1. 펀치
  2. 컴퍼스
  3. 서피스 게이지
  4. 버니어 캘리퍼스
(정답률: 72%)
  • 서피스 게이지는 부품 가공 시에 공작물의 표면을 측정하여 중심을 잡거나 정반 위에서 공작물을 이동시켜 평행선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른 보기인 "펀치", "컴퍼스", "버니어 캘리퍼스"와는 달리, 부품 가공 시에 표면을 측정하고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특화된 공구인 서피스 게이지가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광선 센서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검출거리가 길다.
  2. 응답속도가 느리다.
  3. 검출물체의 대상이 넓다.
  4. 비접촉식으로 물체를 검출한다.
(정답률: 81%)
  • "응답속도가 느리다."가 틀린 것이다. 광선 센서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하기 때문에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선 센서는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도 검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쾌속조형기술이라고도 하며 컴퓨터에서 생성된 3차원 형상을 조형하여 모델을 만드는 것은?

  1. boring
  2. honing
  3. burnishing
  4. rapid prototyping
(정답률: 80%)
  • 쾌속조형기술은 컴퓨터에서 디자인된 3차원 모델을 빠르게 제작하기 위한 기술로, 디자인된 모델을 쉽고 빠르게 실제 모델로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rapid prototypin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스택(sta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먼저 입력된 자료가 먼저 출력된다.
  2. 자료의 입출력 포인터가 두 곳에 있다.
  3. 마지막에 입력된 자료가 먼저 출력된다.
  4. 자료가 입력될 때의 포인터와 출력될 때의 포인터가 다르다.
(정답률: 63%)
  •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지막에 입력된 자료가 먼저 출력된다. 이는 스택의 입구와 출구가 하나씩만 있기 때문에 가장 최근에 입력된 자료가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다음 자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지막에 입력된 자료가 먼저 출력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ALU(Arithmetic Losic Unit)에 기본 연산방법은?

  1. 가산
  2. 감산
  3. 곱셈
  4. 나눗셈
(정답률: 80%)
  • ALU는 두 개의 이진수를 더하거나 빼는 기본적인 연산을 수행합니다. 이때 더하기 연산은 가산이라고 하며, 빼기 연산은 감산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ALU의 기본 연산 방법은 가산입니다. 곱셈과 나눗셈은 여러 개의 가산과 감산을 조합하여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윤활작용이 주목적인 절삭제는?

  1. 극압유
  2. 수용성 절삭유
  3. 지방유
  4. 혼합유
(정답률: 51%)
  • 극압유는 윤활작용이 주목적인 절삭제 중 하나로, 고속 및 고압하에서 작동하는 기계에서 사용됩니다. 이유는 극압유는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윤활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극압유는 금속 표면과의 마찰을 줄여 기계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밀링머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상향절삭은 마찰저항은 작으나 백래시가 크다.
  2. 슬로팅 장치는 커터를 상하로 움직여 키홈을 절삭한다.
  3. 분할대는 공작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하는데 사용된다.
  4. 하향절삭은 절삭력이 하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의 고정이 유리하다.
(정답률: 69%)
  • "하향절삭은 절삭력이 하향으로 작용하여 가공물의 고정이 유리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상향절삭은 커터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가공물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마찰저항은 작지만 백래시(절삭 후 커터가 되돌아오는 현상)가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슬로팅 장치는 커터를 회전시키면서 키홈을 절삭하는데 사용되며, 분할대는 가공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스테핑모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브러시형 스테핑모터
  2. 영구자석형 스테핑모터
  3. 하이브리드형 스테핑모터
  4. 가변 릴렉턴스형 스테핑모터
(정답률: 59%)
  • 브러시형 스테핑모터는 스테핑모터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니라, 일반적인 DC 모터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스테핑모터는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설계된 모터이며, 브러시형 DC 모터와는 구조와 원리가 다릅니다. 따라서 "브러시형 스테핑모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서미스터(Thermistor)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서미스터는 전압이 발생되는 소자이다.
  2. 서미스터는 온도변화에 반응하는 소자이다.
  3. 정의 온도계수를 갖는 서미스터는 PTC이다.
  4.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 서미스터는 NTC이다.
(정답률: 69%)
  • "서미스터는 전압이 발생되는 소자이다."가 틀린 것이다. 서미스터는 온도변화에 반응하는 소자로, 전기저항의 크기가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서미스터는 온도계수를 갖는데, 정의 온도계수를 갖는 서미스터는 PTC이고,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 서미스터는 NT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스테핑 모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정지 시 홀딩 토크가 없다.
  2. 정ㆍ역 전환 및 변속이 용이하다.
  3. 저속 시 진동 및 공진의 문제가 있다.
  4. 개루프(open loop)에서 제어성능이 좋다.
(정답률: 45%)
  • 정지 시 홀딩 토크가 없다는 것은 스테핑 모터가 정지 상태에서도 일정한 토크를 유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스테핑 모터가 개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개루프 제어 방식은 모터의 위치를 추적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된 펄스 수에 따라 회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정지 상태에서는 펄스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토크를 유지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데이터처리(연산)명령이 아닌 것은?

  1. 산술명령
  2. 저장명령
  3. 시프트명령
  4. 논리연산명령
(정답률: 59%)
  • 저장명령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명령으로, 연산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처리(연산)명령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120V의 전압을 가할 때 500mA의 전류가 흐르는 백열전등의 저항(R)과 전력(P)은 각각 얼마인가?

  1. R=0.24Ω, P=1.2W
  2. R=0.24Ω, P=6W
  3. R=240Ω, P=60W
  4. R=240Ω, P=120W
(정답률: 65%)
  • 저항(R)은 전압(V)에 대한 전류(I)의 비례식인 오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R = V/I = 120V/0.5A = 240Ω

    전력(P)은 전압(V)에 대한 전류(I)와 저항(R)의 곱인 와트의 법칙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P = V*I = 120V*0.5A = 60W

    따라서, 정답은 "R=240Ω, P=60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금속에서만 동작하는 센서는?

  1. 광 센서
  2. 유도형 센서
  3. 온도형 센서
  4. 용량형 센서
(정답률: 76%)
  • 유도형 센서는 금속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센서이기 때문에, 금속에서만 동작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금속 외의 다른 물질에서도 동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십진법의 57을 BCD(Binary Coded Decimal)진법으로 변환한 값은?

  1. 01010111BCD
  2. 01110101BCD
  3. 01110111BCD
  4. 11010111BCD
(정답률: 73%)
  • BCD(Binary Coded Decimal)란 10진법의 각 자리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따라서 57을 BCD로 변환하면 5와 7을 각각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면 된다. 5는 0101, 7은 0111이므로 정답은 "01010111BC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Ω)의 값으로 옳은 것은?

  1. 0
  2. 10
  3. 100
(정답률: 76%)
  •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여야 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연산증폭기에 들어오면, 신호의 전압이 변하지 않고 입력 임피던스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의해 전류가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전압이 변하지 않으므로,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일 때 가장 이상적인 상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입력장치로만 짝지어진 것은?

  1.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2. 타이머, 카운터, 엔코더
  3. 습소센서, 토글스위치, 릴레이
  4. 푸시버튼, 캠스위치, 토글스위치
(정답률: 84%)
  • "푸시버튼, 캠스위치, 토글스위치"는 모두 입력장치에 해당하는데, 각각 버튼을 누르는 것, 스위치를 켜고 끄는 것 등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는 출력장치나 제어장치에 해당하는데, 신호를 받아 처리하거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타이머, 카운터, 엔코더"도 마찬가지로 출력장치나 제어장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입력장치로만 짝지어진 것은 "푸시버튼, 캠스위치, 토글스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저항값이 5Ω과 10Ω인 저항이 직렬로 접속되었을 때 100V의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전체 회로에 흐르는 전류[A]는?

  1. 6.7
  2. 10
  3. 20
  4. 30
(정답률: 77%)
  • 저항이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류는 각 저항에서 동일하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을 저항의 합으로 나눈 값이 전류가 됩니다.

    전압 = 전류 x 저항

    전압 = 100V
    저항 = 5Ω + 10Ω = 15Ω

    전류 = 전압 ÷ 저항 = 100V ÷ 15Ω = 6.7A

    따라서 정답은 "6.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페러데이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자유도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자속 쇄교수에 시간을 더한 값이다.
  2. 전자유도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 방향으로 유도된다.
  3. 전자유도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단위 시간당 자속 쇄교수에 반비례한다.
  4. 전자유도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단위 시간당의 자속 쇄교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48%)
  • 전자유도에 의해 회로에 발생하는 기전력은 단위 시간당의 자속 쇄교수에 비례한다. 이는 페러데이 법칙에서 설명되는데,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회로 내에 전기적인 기전력이 유도되는데, 이 기전력은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속 쇄교수가 높을수록 기전력도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