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지적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다음 중 시ㆍ도지사가 지적삼각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준 원점명
  2. 좌표 및 표고
  3. 등급 및 측량자
  4. 지오선수차
(정답률: 알수없음)
  • 시ㆍ도지사가 지적삼각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하는 사항 중 "등급 및 측량자"는 해당 삼각점의 등급과 해당 지점을 측량한 측량자의 정보를 기록해야 하는 사항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등급 및 측량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방법에 의한 지적삼각점의 관측에서 점간거리를 5회 측정한 그 측정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교차가 평균치의 얼마 이하일 때에 그 평균치를 측정거리로 하는가?

  1. 1/100000 이하
  2. 1/10000 이하
  3. 1/2000 이하
  4. 1/100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방법은 매우 정밀한 측정 방법이기 때문에 측정치의 차이가 작을수록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작을수록 측정 결과의 신뢰도가 높아지며, 이는 측정거리의 정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최대치와 최소치의 교차가 작을수록 측정거리의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평균치의 값이 작을수록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0000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에서 점 B에서 점 P에 대한 방위각 는 얼마인가? (단, =115° 25' 20", α=66° 17' 12", γ=56° 18' 16")

  1. 238° 00‘ 48“
  2. 58° 00‘ 48“
  3. 149° 08‘ 08“
  4. 49° 08‘ 08“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점 B에서 점 P까지의 방위각을 구하기 위해서는 점 B에서 점 P까지의 각도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삼각형 BOP의 각도를 구해야 한다.

    우선, 삼각형 BOP에서 각 BOP의 크기는 180°이므로, 각 BOP의 크기는 180° - 115° 25' 20" = 64° 34' 40"이다.

    또한, 삼각형 BOP에서 각 BPO의 크기는 180° - α = 180° - 66° 17' 12" = 113° 42' 48"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BOP에서 각 OPB의 크기는 180° - γ = 180° - 56° 18' 16" = 123° 41' 44"이다.

    따라서, 점 B에서 점 P까지의 각도는 각 BOP + 각 BPO + 각 OPB = 64° 34' 40" + 113° 42' 48" + 123° 41' 44" = 301° 59' 12"이다.

    하지만,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이 값을 360°에서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방위각은 360° - 301° 59' 12" = 58° 00' 48"이다.

    따라서, 정답은 "58° 00'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을 할 때 측정결과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의 오차 배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측선장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2.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변의 수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방위각에 배분한다.
  3.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변의 수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4. 방위각법에 따르는 경우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방위각에 배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변의 수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방위각에 배분한다."이다.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에서 오차는 측정기기의 정확도, 측정자의 기술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결과를 여러 개의 측정값으로 나누어 각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분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지적도근점의 각도관측에서는 배각법이 사용된다. 배각법은 변의 수에 비례하여 각 측선의 방위각에 오차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변의 수가 많을수록 각 측선의 방위각에 분산되는 오차가 작아지게 된다. 이는 측정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도선법으로 하는 경우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N은 변의 수를 말한다.)

  1. 위성기준점, 통합기준점, 삼각점, 지적삼각점, 지적삼각보조점 및 지적도근점, 그 밖에 명확한 기지점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2. 광파조준의 또는 광파측거기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선의 측선장은 도상길이 8cm 이하로 한다.
  3. 도선의 변은 20개 이하로 한다.
  4. 도선의 폐색오차는 √N mm 이하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선의 폐색오차는 √N mm 이하로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도선의 폐색오차는 도선의 길이와 관련이 있으며, 변의 수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기준은 잘못된 것이다.

    예를 들어, 3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에서 각 변의 길이가 1cm, 2cm, 3cm이라면, 도선의 폐색오차는 √6 mm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는 변의 수와는 관련이 없는 값이다.

    따라서, "도선의 폐색오차는 √N mm 이하로 한다."라는 기준은 도선법으로 측량할 때 도선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도선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 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이 기준을 설정하여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래 그림에서 ℓ의 길이는 얼마인가? (단, L=10m, θ=75° 45' 26.7")

  1. 4.35m
  2. 6.29m
  3. 8.14m
  4. 9.42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축척 1/1200 인 지역에서 평판측량방법에 있어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60m
  2. 100m
  3. 120m
  4. 150m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1200 인 지역에서 1mm의 지형고도 차이는 현실 세계에서 1.2m에 해당한다. 따라서, 평판측량방법에서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 1.2m 이하이어야 한다. 이를 10으로 나누면 12cm가 되고, 이는 120m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1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평판측량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에 지적도, 임야도에 따라 측량준비 파일에 포함하여 작성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측량방법 및 측량기하적
  2. 지적기준점 및 그 번호
  3. 인근 토지의 지번, 지목 및 경계선
  4. 측량대상 토지의 지번, 지목 및 경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방법 및 측량기하적"은 평판측량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에 지적도, 임야도에 따라 측량준비 파일에 포함하여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측량 방법과 측량 기하학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적도나 임야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평판측량으로 세부측량을 할 때에 필요한 정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지적도근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적도근점측량의 도선은 A도선과 B도선으로 구분한다.
  2.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 지역에 대한 지적도근점의 수평각 관측은 배각법에 따른다.
  3.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할 때에 1도선의 점의 수는 40개 이하로 한다.
  4. 배각법에 의한 지적도근점의 수평각 관측에서 1회 측정각과 3회 측정각의 평균치에 대한 교차는 30초 이내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 지역에 대한 지적도근점의 수평각 관측은 배각법에 따른다." 이 설명이 옳은 이유는,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 지역에서는 지적도근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수평각을 측정하는데, 이때 배각법을 사용한다. 배각법은 삼각측량법 중 하나로, 기준점에서 측정하는 각도를 이용하여 거리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지적도근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배각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세부측량을 하는 때에 필지마다 면적을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신규등록
  2. 등록전환
  3. 토지합병
  4. 축척변경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합병은 이미 여러 개의 토지가 합쳐져서 하나의 대지로 인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면적을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세부측량을 할 때 필지마다 면적을 측정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에서 연직각의 관측은 정반으로 1회 관측하여 그 교차가 얼마 이내일 때에 그 평균치를 연직각으로 하는가?

  1. 2분 이내
  2. 3분 이내
  3. 4분 이내
  4. 5분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연직각의 관측은 정확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여러 번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연직각의 측정은 수평선과 수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교차점을 여러 번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합니다. 이때, 연직각의 관측에서는 교차가 5분 이내일 때 그 평균값을 연직각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측정값의 오차를 최소화하면서도 측정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지적삼각점의 관측 및 계산 기준에서 수평각 촉각공차는 기지각과의 차가 얼마 이내이어야 하는가?

  1. ±30초 이내
  2. ±40초 이내
  3. ±50초 이내
  4. ±60초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각 촉각공차는 지적삼각점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수평각 촉각공차는 가능한 작아야 합니다.

    경위의측량방법에서는 수평각을 측정하기 위해 기지각을 사용합니다. 기지각은 미리 정확하게 측정된 각도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측정한 수평각의 촉각공차는 기지각과의 차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지적삼각점의 수평각 촉각공차는 ±40초 이내로 설정됩니다. 이는 기지각과의 차이가 40초 이내라면 지적삼각점의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수평각 촉각공차가 ±30초 이내라면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이는 측정기기의 정확도나 측정자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은 ±40초 이내로 설정하여 안정적인 측정을 보장합니다.

    반면에 수평각 촉각공차가 ±50초 이내나 ±60초 이내라면 지적삼각점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가능한 작은 촉각공차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세부측량을 하여 측량대상 토지의 경계점 간 실측거리가 50m이었을 때 경계점의 좌표에 따라 계산한 거리와의 교차는 얼마 이내이어야 하는가?

  1. 5cm 이내
  2. 8cm 이내
  3. 10cm 이내
  4. 12cm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경위의측량방법은 삼각측량법과 달리 삼각비를 이용하지 않고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오차가 누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실측거리가 50m일 때 좌표에 따라 계산한 거리와의 교차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8cm 이내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경위의측량방법에서 허용되는 오차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방사법으로 하는 경우에 1방향선의 도상길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광파조준의 또는 광파측거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5cm
  2. 10cm
  3. 20cm
  4. 30cm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법으로 평판측량을 할 때, 1방향선의 도상길이는 최소한 측정하고자 하는 오차의 1/10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최대 10cm 이하로 도상길이를 설정해야 한다. 이는 측정하고자 하는 오차를 1mm 이하로 설정하는 경우, 10cm 이하의 도상길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기존의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의 경계점에 접속하여 경위의측량방법으로 지적확정측량을 하는 경우 동일한 경계점의 측량성과의 차이가 최대 얼마 이내이어야 경계점좌표등록부에 등록된 좌표를 그 경계점의 좌표로 보는가?

  1. 0.10m 이내
  2. 0.15m 이내
  3. 0.20m 이내
  4. 0.25m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경위의 측량방법은 측량기기의 오차와 측량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일정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한 경계점의 측량성과의 차이가 최대 0.10m 이내이어야 경계점좌표등록부에 등록된 좌표를 그 경계점의 좌표로 보는 것입니다. 이는 지적정보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으로, 0.10m 이내의 오차는 대부분의 지적정보 활용에는 문제가 없을 정도로 작은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지적삼각보조점의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도선법에 따른다.
  2.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3.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4. 관측 지역에 따라 방위각법과 배각법을 혼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삼각보조점의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이는 지적삼각보조점을 기준으로 두 개의 관측대를 설치하여, 각 관측대에서 지점을 관측하여 방향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평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높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좌표면적계산법에 따른 면적측정을 하는 경우 면적을 정하는 단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2. 10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3. 100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4. 1000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한다."

    좌표면적계산법은 평면상의 도형을 일정한 단위로 나누어 면적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면적을 정하는 단위 기준은 일반적으로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합니다. 그러나 1제곱미터 단위로 면적을 구하면 작은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10분의 1제곱미터 단위로 정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작은 면적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지적기준점측량의 실시 순서로 옳은 것은?

  1. 관측-선점-조표-계산
  2. 선점-조표-관측-계산
  3. 관측-조표-선점-계산
  4. 선점-관측-계산-조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선점-조표-관측-계산"이다.

    지적기준점측량은 먼저 지적기준점을 선점하고, 이를 기준으로 조표를 작성한다. 그 후에 실제 현장에서 관측을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계산을 통해 지적정보를 도출한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선점-조표-관측-계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지적삼각점의 관측은 몇 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1. 10초독 이상
  2. 20초독 이상
  3. 30초독 이상
  4. 40초독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경위의측량방법은 지구의 자전을 이용하여 측량하는 방법으로, 경위의 변화를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경위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 동안 경위를 관측한다. 이 때, 관측 시간이 짧으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보통 10초독 이상의 경위의를 사용하여 관측한다. 따라서 정답은 "10초독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좌표면적계산법으로 면적측정을 하는 경우 산축면적의 계산단위 기준은?

  1. 1/1000m2까지
  2. 1/100m2까지
  3. 1/10m2까지
  4. 1m2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1000m2까지"

    좌표면적계산법은 지도상의 도형을 좌표로 나타내어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때 산축면적은 지도상에서 실제 면적과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지도의 투영방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축면적의 계산단위 기준은 지도의 투영방법에 따라 다르다.

    보통 한국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지도 투영방법인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에서는 산축면적의 계산단위로 "1/1000m2"를 사용한다. 이는 지도상에서 1cm2의 면적이 1/1000m2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좌표면적계산법으로 면적측정을 할 때는 산축면적의 계산단위로 "1/1000m2"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사진측정결과 종모델수가 10모델, 횡방향의 코스는 8코스라면 필요한 수평위치 기준점(삼각점)의 수는?

  1. 160개
  2. 168개
  3. 320개
  4. 336개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측량에서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수평위치 기준점(삼각점)을 설정한다. 이때, 한 삼각형을 구성하는 삼각점의 수는 3개이므로, 총 삼각점의 수는 종모델수와 코스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종모델수 × (코스수 - 1) × 3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10 × (8 - 1) × 3 = 160

    따라서, 필요한 수평위치 기준점(삼각점)의 수는 16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GPS 위성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1 반송파에 C/A코드와 P코드가 실려 전달된다.
  2. L2 반송파에 P코드가 실려 전달된다.
  3. P코드는 10.23MHz의 주파수를 가진다.
  4. C/A코드는 P코드의 1/100dml 주파수를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C/A코드는 P코드의 1/100dml 주파수를 가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GPS 위성에서 전송되는 두 가지 코드 중 하나인 C/A코드가 1.023M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다른 하나인 P코드는 10.23MHz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A코드는 P코드의 1/100dml 주파수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촬영고도 5000m인 항공사진상에 나타난 건물정상의 시차를 측정하니 19.32mm이고, 건물 밑부분의 시차를 측정하니 18.88m였다. 한 층의 건물 높이가 3mm라 할 때 이 건물의 층수는?

  1. 약 24층
  2. 약 30층
  3. 약 35층
  4. 약 38층
(정답률: 알수없음)
  • 건물 밑부분과 정상의 시차는 19.32mm - 18.88mm = 0.44mm이다. 이 거리는 실제 건물의 높이로 환산하면 5000m / 0.44mm x 3mm = 약 34,090층이 된다. 하지만 이 건물이 실제로는 38층이라고 하였으므로, 이는 항공사진상에서 보이는 건물의 크기가 실제 크기보다 작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38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격탐사에 의한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체의 반사 또는 방사
  2. 광원의 입사각과 물체 및 센서 위치관계
  3. C-계수
  4. 대기의 반사, 투과, 흡수, 산란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탐사에 의한 측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C-계수"입니다. C-계수는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물체가 빛을 많이 반사하므로 원격탐사에서 측정되는 값이 더 높아집니다. 따라서 C-계수는 원격탐사에서 측정되는 값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진의 표정 중 절대표정에 의하여 결정(조정)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축척
  2. 위치
  3. 수준면
  4. 초점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점거리는 절대표정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초점거리는 카메라 또는 촬영기기가 초점을 맞춘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진의 표정 중 절대표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중앙종거법으로 곡선설치를 하려고 한다. 현의 길이 40.00m, 중앙종거 1.0m일 때 원곡선의 반지름은?

  1. 40.10m
  2. 80.50m
  3. 160.10m
  4. 200.50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접수준측량에 따른 오차 중 시준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는 성질을 갖는 것은?

  1. 기포관축과 시준선이 평행하지 않음에 인한 오차
  2. 표척의 길이가 표준길이와 다름에 인한 오차
  3. 지구의 곡률 및 대기 중 광선의 굴절로 인한 오차
  4. 망원경의 시도 불명으로 인한 표척의 독취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수준측량에서는 시준선과 기포관축이 평행하지 않아서 오차가 발생하고, 또한 표척의 길이가 표준길이와 다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시준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는 성질을 갖는 것은 "지구의 곡률 및 대기 중 광선의 굴절로 인한 오차"입니다. 이는 지구의 곡률로 인해 광선이 굴절되어 시준선과의 거리가 실제 거리보다 더 멀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오차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커지며, 시준거리의 제곱에 비례하는 성질을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터널 양쪽 입구의 A점(568.25, 867.27)과 B점(432.72, 621.43)의 계획고가 각각 HA=262.562, HB=274.634m일 때 이 터널의 기울기는? (단, 좌표단위는 m)

  1. 3.4%
  2. 4.3%
  3. 5.6%
  4. 6.5%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보자.

    √[(432.72-568.25)^2 + (621.43-867.27)^2] ≈ 291.87m

    그리고 A점과 B점의 고도차를 구해보자.

    HB - HA ≈ 12.072m

    이제 이 두 값을 이용하여 기울기를 구할 수 있다.

    기울기 = (고도차 / 거리) × 100

    ≈ (12.072 / 291.87) × 100

    ≈ 4.13%

    따라서 정답은 "4.3%"이다. "4.13%"와 가장 가까운 보기이기 때문에 반올림하여 "4.3%"로 표기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교호 수준 측량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작업속도가 더 빠르다.
  2. 전시, 후시의 거리차가 일정하다.
  3. 소규모 측량의 경우엔 경제적이다.
  4. 구차 및 기차의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호 수준 측량은 두 개 이상의 측량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구차나 기차의 오차를 제거할 수 있어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구차나 기차는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 교호 수준 측량은 이러한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거리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치사진측량의 영상정합에서 두 영상의 특징(일반적 경계정보를 의미)을 기본 자료로 이용하며 두 영상에서 대응하는 특징을 발견함으로써 대응점을 찾아내는 정합은?

  1. 영역기준정합
  2. 단순정합
  3. 형상기준정합
  4. 관계형정압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영상의 특징(일반적 경계정보)을 기반으로 대응점을 찾아내는 정합 방법은 형상기준정합입니다. 이는 두 영상의 형상이 유사한 경우에 적용되며, 대응하는 특징점들의 거리와 방향을 이용하여 정합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형상기준정합은 영상의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합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준측량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I.P(중간점) : 어떤 지점의 표고를 알기 위해 표척을 세워 전시를 취한 점
  2. B.S(후시) : 측량해 나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후방을 시준한 값
  3. T.P(이기점) : 기계를 옮기기 위해 어떤 점에서 전시와 후시를 취한 점
  4. F.S(전시) : 표고를 알고자 하는 곳에 세운 표척의 시준값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B.S(후시) : 측량해 나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후방을 시준한 값"

    설명: B.S(후시)는 측량해 나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뒷쪽을 시준한 값이 아니라, 기계의 앞쪽을 시준한 값입니다. 따라서, "측량해 나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기계의 앞쪽을 시준한 값"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표고가 동일하고 지상에서 50m 떨어진 2개의 수직 터널에서 연직으로 200m인 지점의 두 수직 터널간의 거리는 지상에서와 얼마나 차이가 발생하는가? (단, 지구 반지름은 6370km이다.)

  1. 16cm
  2. 1.6cm
  3. 0.16cm
  4. 0.016cm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 반지름은 6370km이므로, 지상에서 50m 떨어진 지점의 지름은 6370.05km이 된다. 이 지름을 이용하여 두 수직 터널간의 거리를 구하면,

    두 터널과 지름이 이루는 삼각형의 밑변 = 6370.05m, 높이 = 200m 이므로,

    두 터널간의 거리 = 2 x √(6370.05^2 - 200^2) ≈ 12739.8m

    이다.

    반면, 지면에서 두 터널간의 거리는 지름과 수직인 직선과 두 터널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지름과 수직인 직선과 두 터널과의 거리 = √(6370.05^2 - 50^2) ≈ 6369.99km

    두 터널과 지면 사이의 거리 = 200m

    따라서, 두 터널간의 거리와 지면에서의 거리의 차이는

    12739.8m - 6369.99km ≈ 0.16cm

    이므로, 정답은 "0.16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GPS에서 위도, 경도, 고도, 시간에 대한 차분해(differential solution)를 얻기 위한 위성의 최소 개수는?

  1. 1
  2. 2
  3. 4
  4. 8
(정답률: 알수없음)
  • GPS에서 차분해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4개의 위성 신호가 필요합니다. 이는 네 개의 위성이 각각의 수신기 위치에서의 시간과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등고선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은 최대경사선과 직교한다.
  2. 등고선은 폭포와 같이 도면 내외 어느 곳에서도 폐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3. 동일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높이다.
  4.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을 제외하고는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은 폭포와 같이 도면 내외 어느 곳에서도 폐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등고선이 폐합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등고선은 항상 폐합되거나 무한히 이어져야 한다.

    등고선은 최대경사선과 직교하며, 동일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또한,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을 제외하고는 등고선은 교차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진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연직선이 사진면 및 지면과 교차하는 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진의 경사각에 관계없이 이 점에서는 수직 사진의 축척과 같은 축척이 된다.
  2. 사진상의 각 비고점은 이 점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상에 있게 된다.
  3. 사진상에 나타난 점과 그의 대응되는 실제 점과의 상관성을 해석하기 위한 점이다.
  4. 항공사진에서는 마주 보는 지표의 대각선이 서로 만나는 교점이 이 점의 위치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사진상의 각 비고점은 이 점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상에 있게 된다."입니다.

    이유는 사진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연직선은 사진면과 수직이며, 이 연직선이 지면과 교차하는 점은 사진상의 중심점입니다. 따라서 이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상에 있는 모든 점들은 실제 지면에서의 대응점이 됩니다. 이러한 점들을 비고점이라고 하며, 이 점들을 이용하여 사진상에 나타난 점과 그의 대응되는 실제 점과의 상관성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중심점에서는 사진의 경사각에 관계없이 수직 사진의 축척과 같은 축척이 적용되므로, 이 점을 기준으로 사진상의 크기와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노선측량에서 철도를 개설하기 위한 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노선선정-실측-예측-세부측량-공사측량
  2. 노선선정-예측-실측-세부측량-공사측량
  3. 노선선정-실측-세부측량-예측-공사측량
  4. 노선선정-예측-공사측량-예측-세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를 개설하기 위한 측량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노선선정: 철도를 개설할 구간을 선정합니다.
    2. 예측: 개설할 철도의 경로와 거리, 높이 등을 예측합니다.
    3. 실측: 예측한 내용을 실제로 측정합니다.
    4. 세부측량: 실측한 내용을 바탕으로 더욱 상세한 측량을 진행합니다.
    5. 공사측량: 실제 공사를 진행할 때 필요한 측량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노선선정-예측-실측-세부측량-공사측량"입니다. 노선선정 후 예측을 진행하고, 예측한 내용을 실측하여 정확도를 높이며, 이후에는 더욱 상세한 세부측량을 진행하고 공사를 위한 측량을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완화곡선에 해당하는 것은?

  1. 반향곡선
  2. 머리핀곡선
  3. 단곡선
  4. 렘니스케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급격한 변화를 완화시키는 곡선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렘니스케이트는 S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곡선으로, 자연스러운 완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렘니스케이트가 완화곡선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미소지역의 관측용으로 측량좌표계, 해도, 항공도 등에 주로 이용되는 투영법은?

  1. 심사도법
  2. 등적도법
  3. 등각도법
  4. 등거리도법
(정답률: 알수없음)
  • 미소지역의 관측용으로는 지형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거리와 방향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등각도법이 주로 이용됩니다. 이는 작은 지역에서는 지형의 곡률이 미미하기 때문에 적합하며, 거리와 방향을 정확하게 나타내므로 측량 작업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곡선반경 300m의 단곡선을 시속 80km/h로 주행할 때, 캔트는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궤도간격=1067mm, g=9.8m/sec2)

  1. 12cm
  2. 15cm
  3. 18cm
  4. 21cm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는 기차가 곡선을 돌 때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차가 곡선을 돌 때 발생하는 반력을 상쇄하기 위한 것이다. 캔트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캔트 = (시속2 × 곡선반경) ÷ (127 × g)

    여기서 시속은 m/s 단위로 변환해야 하므로 80km/h를 22.22m/s로 변환한다.

    캔트 = (22.222 × 300) ÷ (127 × 9.8) ≈ 0.18m = 18cm

    따라서 정답은 "18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천, 호수, 항만 등의 수심을 나타내기에 가장 적합한 지형표시방법은?

  1. 단채법
  2. 점고법
  3. 영선법
  4. 등고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점고법은 수심을 나타내는 지형표시방법 중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점으로 표시하여 수심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하천, 호수, 항만 등의 수심은 지형의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등고선법보다는 점고법이 더욱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심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점고법은 수심을 나타내는 지점을 직접 표시하기 때문에 해상 안전에도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다음 중 다목적 지적제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지적중첩도
  2. 토지대장
  3. 필지식별자
  4. 측지기준망
(정답률: 알수없음)
  • 다목적 지적제도의 구성요소는 "지적중첩도", "필지식별자", "측지기준망"이다. "토지대장"은 지적제도와는 관련이 있지만, 다목적 지적제도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토지대장은 토지의 소유자, 면적, 지목 등의 정보를 기록한 공공부동산관리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기존 공간 사상의 위치, 모양, 방향 등에 기초하여 공간 형상의 둘레에 특정한 폭을 가진 구역을 구축하는 공간분석 기법은?

  1. Buffer
  2. Classification
  3. Dissolve
  4. Interpo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Buffer는 기존 공간 사상에서 특정한 폭을 가진 구역을 구축하는 공간분석 기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Buffer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래스터데이터의 압축방법으로 각 행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면서 처음 시작하는 셀과 끝나는 셀까지 동일한 수치값을 갖는 셀들을 묶어 압축하는 것은?

  1. Run-length code 기법
  2. Quadtree 기법
  3. Chain code 기법
  4. Block code 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Run-length code 기법"은 래스터데이터의 압축방법 중 하나로, 각 행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면서 처음 시작하는 셀과 끝나는 셀까지 동일한 수치값을 갖는 셀들을 묶어 압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가 반복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며, 압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000000111111111100000"과 같은 데이터는 "06 1 09 0"과 같이 압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디지타이징에 의한 도면의 독취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오버슈트(Over shoot)
  2. 아웃슈트(Outshoot)
  3. 스파이크(Spike)
  4. 슬리버(Sliver)
(정답률: 알수없음)
  • 아웃슈트(Outshoot)는 디지타이징에 의한 도면의 독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오버슈트(Over shoot)는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신호가 목표값을 초과하여 진폭이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스파이크(Spike)는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신호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슬리버(Sliver)는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신호가 끊어져서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아웃슈트(Outshoot)는 디지타이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가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우리나라 국가 GIS 추진위원회의 실무위원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술개발분과위원횐
  2. 표준화분과위원회
  3. 지적정보분과위원회
  4. 정책제도분과위원회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국가 GIS 추진위원회의 실무위원회는 기술개발, 표준화, 정책제도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지적정보분과위원회"는 우리나라 국가 GIS 추진위원회의 실무위원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수치지도를 생성하고자 할 때 기존에 존재하는 도면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측량
  2. 항공사진측량
  3. 인공위성영상의 활용
  4. 디지타이징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타이징은 이미 존재하는 도면을 스캔하여 디지털화하고, 이를 토대로 수치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존에 존재하는 도면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생성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측량, 항공사진측량, 인공위성영상의 활용은 모두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치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이므로, 기존에 존재하는 도면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비용과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종 지적행정업무의 수행과 정책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2. 현대는 LMIS와 통합되어 KLIS로 운영되고 있다.
  3. 도형데이터로 지적도, 임야도, 경계점좌표등록부를 사용하였다.
  4. 개발 초기에 토지관리업무시스템, 공간자료관리시스템, 토지행정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 초기에 토지관리업무시스템, 공간자료관리시스템, 토지행정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는 옳은 설명이다.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은 각종 지적행정업무의 수행과 정책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도형데이터로 지적도, 임야도, 경계점좌표등록부를 사용하였다. 현재는 LMIS와 통합되어 KLIS로 운영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벡터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래스터데이터에 비하여 자료 구조가 복잡하다.
  2. 래스터데이터에 비하여 중첩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3. 다양한 실세계의 공간 사상을 격자형태로 표현한다.
  4. 위상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므로 관망분석과 같은 공간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양한 실세계의 공간 사상을 격자형태로 표현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벡터데이터는 점, 선, 면 등의 공간적인 개체를 좌표와 속성값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형식이며, 격자 형태로 표현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자료에 대한 내용, 품질, 사용조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이력서라고도 하는 것은?

  1. 레이어
  2. SDTS
  3. 메타데이터
  4. 인덱스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로, 데이터의 이력서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내용, 품질, 사용조건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레이어", "SDTS", "인덱스"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이지만,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로서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현지측량 등으로 얻어진 대상물의 좌표를 직접 입력하여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방식은?

  1. 디지타이징
  2. 스캐닝
  3. COGO
  4. DIGEST
(정답률: 알수없음)
  • COGO는 Coordinate Geometry(좌표 기하학)의 약자로, 현지측량 등으로 얻어진 대상물의 좌표를 직접 입력하여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COGO는 좌표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정보 구축 방식이며, 디지타이징과 스캐닝은 이미지나 지도를 스캔하여 공간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고, DIGEST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지적전산화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적민원처리의 신속성
  2. 전산화를 통한 중앙통제
  3. 관련업무의 능률과 정확도 향상
  4. 토지관련 정책자료의 다목적 활용
(정답률: 알수없음)
  • 전산화를 통한 중앙통제는 지적전산화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지적전산화가 지적민원처리의 신속성, 관련업무의 능률과 정확도 향상, 토지관련 정책자료의 다목적 활용 등을 목적으로 하지만, 중앙통제는 지적정보를 중앙에서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지적전산화의 목적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기존의 자료 저장 방식에 비하여 데이터베이스 방식이 가지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의 구축 비용이 적게 든다.
  2. 저장된 자료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데이터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기의 구축 비용이 적게 든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방식은 초기 구축 비용이 많이 들며, 데이터의 구조와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중복을 피할 수 있으며, 저장된 자료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지도의 형성과 주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형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문자
  2. 격자셀
  3. 영상소
  4. 기호
(정답률: 알수없음)
  • 문자는 지도상에서 위치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주석으로 사용되며, 다른 도형요소들과는 달리 위치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격자셀은 지도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도형요소이고, 영상소는 지도상의 지형이나 건물 등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도형요소이며, 기호는 지도상의 특정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도형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래스터데이터의 저장형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BMP
  2. JPEG
  3. TIFF
  4. DXF
(정답률: 알수없음)
  • DXF는 벡터 데이터의 저장 형식이며, 나머지는 래스터 데이터의 저장 형식이기 때문에 DXF는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지적전산자료의 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ㆍ군ㆍ구 단위의 지적전산자료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지적소관청 또는 도지사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시ㆍ도 단위의 지적전산자료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시ㆍ도지사 또는 행정안전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3. 전국 단위의 지적전산자료를 이용하고 자는 국토해양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지적소관청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4. 심사 및 승인을 거쳐 지적전산자료를 이용하는 자는 사용료를 면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국 단위의 지적전산자료는 국토해양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지적소관청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는 전국 단위의 자료이기 때문에 보다 높은 수준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토지정보체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시 발생하는 오차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데이터의 좌표변환 시 사용하는 투영법에 따른 오차
  2. 원존자료의 부정확성에 따른 오차
  3. 자료의 논리적 일관성에 따른 오차
  4. 데이터의 입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의 논리적 일관성에 따른 오차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발생하는 오차 중 가장 보기 어려운 것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내부적인 일관성이나 논리적인 관계가 부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오차로, 보통은 인적인 요인이나 시스템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저해시키므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에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철저한 검토와 검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스파게티(Spaghetti)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 선, 다각형 등의 객체들이 구조화되지 않은 그래픽모형이다.
  2. 인접하고 있는 다각형을 나타내기 위하여 경계하는 선은 두 번씩 저장된다.
  3. 객체들 간의 공간 관계가 설정되지 않아 공간분석에 비효율적이다.
  4. 자료구조가 복잡하지만 선형 분석, 면형 분석 등을 하기에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료구조가 복잡하지만 선형 분석, 면형 분석 등을 하기에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스파게티 모형은 자료구조가 복잡하고 공간분석에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분석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표준 데이터베이스 질의언어인 SQL의 데이터 정의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ROP
  2. ALTER
  3. CREATE
  4. INSERT
(정답률: 알수없음)
  • "INSERT"는 데이터 조작어에 해당하며, 새로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데이터 정의어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두 개 또는 더 많은 레이어들에 대하여 불린(boolean)의 OR 연산자를 적용하여 합병하는 방법으로 기준이 되는 레이어의 모든 특징이 결과 레이어에 포함되는 중첩분석방법은?

  1. Intersect
  2. Union
  3. Identity
  4. Clip
(정답률: 알수없음)
  • "Union"은 불린 OR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합병하는 방법으로, 모든 레이어의 특징을 결과 레이어에 포함시키는 중첩분석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준이 되는 레이어의 모든 특징이 결과 레이어에 포함되는 것이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토지정보시스템에서 출력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마이크
  2. 외장하드
  3. 모니터
  4. 키보드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정보시스템에서 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합니다. 따라서 모니터가 출력장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다음 지적불부합지의 유형 중 대단위 지역의 이동측량시 발생한 측판점 위치결정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것은?

  1. 중복형
  2. 편위형
  3. 공백형
  4. 불규칙형
(정답률: 알수없음)
  • 편위형 지적불부합지는 대단위 지역의 이동측량시 발생한 측판점 위치결정의 오류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는 측량 시 측정된 지점이 실제 지점과 일정 거리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로, 이러한 오차가 발생하면 지적도상의 경계선이 실제 경계와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우리나라에서 ‘지적’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1. 내부관제(1895.3.26)
  2. 탁지부관제(1897.5.19)
  3. 양지아문직원급처무규정(1898.7.6)
  4. 지계아문직원급처무규정(1901.10.20)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1895년 3월 26일에 제정된 ‘내부관제’에서이다. 이는 조선시대의 관리체계에서 새로운 개념으로 도입되었으며, 지금의 ‘지방자치’와 유사한 개념이다. 이 때문에 ‘지적’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부여의 행정구역제도로서 국도를 중심으로 영토를 사방으로 구획하는 토지구획방법은 무엇인가?

  1. 사출도
  2. 사표도
  3. 계면도
  4. 휴도
(정답률: 알수없음)
  • 사출도는 국도를 중심으로 영토를 사방으로 구획하는 토지구획방법으로, 국도를 중심으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도로망을 형성하여 토지를 구획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사출도가 정답이다. 사표도는 강이나 해안선을 중심으로 토지를 구획하는 방법이고, 계면도는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토지를 구획하는 방법이며, 휴도는 일정한 간격으로 도로를 설치하여 토지를 구획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 당시 사정을 하기에 앞선 절차는 무엇이었는가?

  1. 조선총독부의 심의
  2. 지방토지위원회의 자문
  3. 토지조사부의 심의
  4. 중앙토지위원회의 자문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조사사업 당시에는 지방토지위원회의 자문이 선행되었습니다. 이는 지방토지위원회가 해당 지역의 토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토지조사사업의 실시 가능성과 방향성 등을 논의하고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였습니다. 따라서,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기에 앞서 지방토지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야 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토지조사사업 당시 토지대장은 1동ㆍ리마다 조제하되 약 몇 매를 1책으로 하였는가?

  1. 약 200매
  2. 약 300매
  3. 약 400매
  4. 약 500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조사사업 당시에는 토지대장을 작성할 때, 토지의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1동ㆍ리마다 약 200매를 1책으로 하였습니다. 이는 토지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적인 면적을 파악하기 위한 근사치로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에서 사정을 통하여 법정으로 확정하였던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소유자와 경계
  2. 토지소재와 지번
  3. 지번과 지목
  4. 경계와 면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소유자와 경계"입니다.

    토지조사사업에서는 토지의 소유자와 경계를 확인하여 법정으로 확정합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권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소유자와 경계가 확정되면 해당 토지의 소유자는 그에 따른 권리와 책임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소유자와 경계는 토지조사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신라시대에 시행한 토지측량 방식으로서 토지를 여러 형태로 구분하여 측량하였던 것은?

  1. 경무법
  2. 산학박사
  3. 결부제
  4. 구장산술
(정답률: 알수없음)
  • 신라시대에 시행한 토지측량 방식으로는 구장산술이 있습니다. 이 방식은 토지를 여러 형태로 구분하여 측량하는 방식으로, 구장(구획)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측정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토지의 소유나 사용에 대한 분쟁을 예방하고, 정확한 세금 징수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적불부합지가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ㆍ행정적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사회적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거래질서의 문랑
  2. 주민의 권리행사 지장
  3. 권리실체인정의 부실
  4. 토지이동정리의 정지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이동정리의 정지는 행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토지거래질서의 문랑은 사회적, 주민의 권리행사 지장은 사회적 및 행정적, 권리실체인정의 부실은 행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분됩니다. 토지이동정리의 정지는 토지의 소유권이나 사용권 등을 명확히 하기 위한 절차인데, 이 절차가 정지되면 토지의 소유나 사용에 대한 불확실성이 생기므로 토지거래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지역사회의 발전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지이동정리의 정지는 행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의 표시사항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제도의 일반원칙은?

  1. 증명의 원칙
  2. 공신의 원칙
  3. 공시의 원칙
  4. 신청의 원칙
(정답률: 알수없음)
  •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의 표시사항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제도의 일반원칙은 공시의 원칙입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나 이용자가 토지의 표시사항을 공시에 신청하면, 해당 정보가 공개되어 누구나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칙입니다. 이를 통해 토지에 대한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고, 토지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적극적 등록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의의 제3자를 토지등록상의 문제로 인한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도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2. 지적공부에 등록되지 아니한 토지는 어떠한 권리도 인정받지 못한다.
  3. 적극적 등록제도의 발달된 형태로 토렌스시스템(Torrens system)이 유명하다.
  4. 등록은 일필지의 개념으로 법적인 권리보장이 인증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의의 제3자를 토지등록상의 문제로 인한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도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적극적 등록제도는 제3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 등기부 등록을 통해 토지의 소유자나 권리자를 명확히 하여 제3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등기부에 등록되지 않은 토지도 일정한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구한국 정부에서 문란한 토지제도를 바로잡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근대적 공시제도의 과도기적 제도는?

  1. 입안제도
  2. 양안제도
  3. 지권제도
  4. 등기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지권제도는 토지의 소유자와 사용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토지의 소유권을 공시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토지의 소유권이 명확해지고, 토지의 거래가 원활해지며, 토지의 부당한 사용이나 점유가 억제됩니다. 따라서 구한국 정부에서 문란한 토지제도를 바로잡기 위해 시행한 근대적 공시제도의 과도기적 제도는 지권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간주지적도에 등록하는 토지대장의 명칭이 아닌 것은?

  1. 산 토지대장
  2. 을호 토지대장
  3. 민유 토지대장
  4. 별책 토지대장
(정답률: 80%)
  • 간주지적도는 공공기관에서 관리하는 토지의 소유자, 면적, 지목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지적도이다. 따라서 "민유 토지대장"은 개인이 소유하는 토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므로, 간주지적도에 등록되지 않는다. "산 토지대장", "을호 토지대장", "별책 토지대장"은 모두 간주지적도에 등록될 수 있는 토지대장의 명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물권객체로서 다른 토지와의 구분을 표상하는 토지 표시 사항은?

  1. 토지소재
  2. 지번
  3. 지목
  4. 경계 또는 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지번은 각각의 토지에 고유하게 부여된 번호로, 다른 토지와의 구분을 명확하게 표시하는 토지 표시 사항입니다. 따라서 물권객체로서 다른 토지와의 구분을 표상하는 토지 표시 사항은 지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지조사사업에서 지목은 모두 몇 종류로 구분하였는가?

  1. 15종
  2. 18종
  3. 21종
  4. 2종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조사사업에서는 지목을 18종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이는 토지의 용도와 특성에 따라 구분되며, 예를 들어 농지, 임야, 주거지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18종"이 정답입니다. "15종"과 "21종"은 틀린 답변이며, "2종"은 지목의 종류를 너무 적게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입안을 받지 않은 매매계약서를 무엇이라 하였는가?

  1. 결연매매
  2. 지세명기
  3. 휴도
  4. 백문매매
(정답률: 알수없음)
  • 백문매매는 입안을 받지 않은 매매계약서를 뜻합니다. "백문"은 입안이 없다는 뜻의 표현으로, 입안을 받지 않은 매매계약서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입안을 받은 매매계약서나 다른 상황을 나타내는 용어들이므로 정답은 "백문매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임야조사사업 당시 도지사가 사정한 임야경계의 구획선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1. 지세선
  2. 경계선
  3. 지역선
  4. 묘유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경계선

    도지사가 사정한 임야경계의 구획선을 경계선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임야조사사업에서 각 지역의 임야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그 경계를 나타내는 선을 말합니다. 경계선은 지세선, 지역선, 묘유선 등 다른 선들과 구분되며, 임야의 소유권과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토렌스 시스템의 기본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거울이론
  2. 거래이론
  3. 커튼이론
  4. 보험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거래이론"

    토렌스 시스템의 기본원리는 "거울이론", "커튼이론", "보험이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거래이론"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거래이론"은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에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하지만 토렌스 시스템은 정보의 흐름과 관련된 이론으로, 거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경국대전에 근거하여 토지를 매매할 때 소유권 이전에 관하여 관에서 증명한 소유권증서와 같은 문서는?

  1. 양안(量案)
  2. 입안(立案)
  3. 명문(明文)
  4. 문기(文記)
(정답률: 알수없음)
  • 입안(立案)은 법원이나 관청에서 작성한 문서로, 토지 매매와 같은 거래에서 소유권 이전에 대한 증명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문서는 법적으로 인정되는 공식적인 증거로서, 소유권을 증명하는 데 필요합니다. 양안(量案)은 양도나 매매 등 거래 내용을 기록한 문서, 명문(明文)은 명확하게 기록된 문서, 문기(文記)는 기록된 문서나 기록 자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지적법이 제정되기까지의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토지조사법→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지적법
  2. 토지조사법→지세령→토지조사령→조선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지적법
  3. 토지조사법→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
  4. 토지조사법→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토지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토지조사법→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입니다.

    먼저, 토지조사법이 제정되어 토지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그 후에는 토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토지조사령이 제정되었습니다. 이후 지세를 부과하기 위해 지세령이 제정되었고, 조선임야조사령이 제정되어 농지의 소유자와 사용자를 파악하였습니다. 그리고 조선지세령이 제정되어 지세의 세부적인 내용이 규정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과정을 바탕으로 지적법이 제정되어 지적을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의 교육에 주력하였다.
  2. 사업의 조사, 준비, 홍보에 철저히 기하였다.
  3. 역둔토 등을 사유화하여 토지소유권을 인정하였다.
  4. 도로, 하천, 구거 등을 토지조사사업에서 제외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역둔토 등을 사유화하여 토지소유권을 인정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은, 토지조사사업에서는 역둔토 등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경작 가능한 토지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둔토 등은 토지소유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목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공공복리의 증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
  2. 환경보전 및 중앙집권체제의 강화
  3. 국토 및 해양의 이용 질서 확립
  4. 고도의 경제 성장 유지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목적은 공공복리의 증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입니다. 이 법률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보전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공공복리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국토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국민의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것이 이 법률의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토지소유자는 주택법에 따른 공동주택의 부지, 도로, 제방, 하천 구거, 유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로서 합병하여야 할 토지가 있으면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최대 얼마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합병을 신청하여야 하는가?

  1. 30일 이내
  2. 50일 이내
  3. 60일 이내
  4. 90일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소유자는 합병해야 할 토지가 발생한 날부터 주택법에 따라 최대 60일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합병을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합병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토지의 관리와 관련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60일 이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을 적용하여야 하는 경우는?

  1. 국토해양부장관이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토지를 사용함에 따른 손실보상에 관한 경우
  2. 지적소관청이 측량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경우
  3. 축척변경위원회가 축척변경을 할 때 청산금을 산정하는 경우
  4. 지적측량수행자가 측량성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타인의 토지에 출입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은 공익사업을 위해 필요한 토지 등을 취득하고 보상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공익사업을 위해 국토해양부장관이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토지를 사용함에 따른 손실보상에 관한 경우에는 이 법률이 적용된다. 이 경우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이 필요성을 인정하고, 손실보상을 하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법률과는 관련이 없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지적소관청이 지적삼각보조점성과표 및 지적도근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직각좌표계 원점명
  2. 지적위성기준점의 명칭
  3. 표지의 재질
  4. 소재지와 측량연월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지의 재질"이다. 지적소관청이 지적삼각보조점성과표 및 지적도근점성과표에 기록ㆍ관리하여야 하는 사항은 "직각좌표계 원점명", "지적위성기준점의 명칭", "소재지와 측량연월일"이다. 지적위성기준점은 지구의 자전축을 기준으로 한 위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으로, 지적도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지적위성기준점의 명칭은 중요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경게복원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상의 경계를 지적도면상에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2. 임의의 경계를 지적도면상에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3. 지적도면상의 경계를 지상에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4. 소유자가 주장하는 경계를 지상에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도면상의 경계를 지상에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는 것은, 지적도상에서 표시된 경계를 실제 지상에 그려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적도상과 실제 지상의 경계가 일치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지적도면상의 경계를 지상에 복원하는 것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부동산등기법에 따라 미등기토지의 소유권 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없는 자는?

  1. 토지대장에 소유자로 등록되어 있는 것을 증명하는 자
  2. 판결에 의하여 자기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자
  3. 수용으로 인하여 소유권을 취득하였음을 증명하는 자
  4. 소관청의 직원이 현지를 확인하여 확인증명을 받은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소관청의 직원이 현지를 확인하여 확인증명을 받은 자는 미등기토지의 소유권 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없습니다. 이는 부동산등기법 제32조에 따라 등기원이 직접 확인한 사실만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관청의 직원이 직접 확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총 4인일 경우 축척변경위원회에 위촉하여야 할 토지소유자로서의 위원은 몇 명인가?

  1. 0명
  2. 1명
  3. 2명
  4. 4명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가 총 4인이므로, 축척변경위원회에 위촉하여야 할 토지소유자로서의 위원은 모든 소유자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4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지적전산자료의 이용 및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전산자료를 이용 또는 활용하려는 자는 관계 중앙 행정기관에게 신청서를 제출하여 심사를 신청하여야 한다.
  2.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지적전삱료의 이용 또는 활용에 관한 승인을 신청하는 경우 심사 결과를 제출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지적전산자료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경우 1필지당 20원을 납부한다.
  4.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적전산자룔를 이용 또는 활용하는 경우 사용료를 면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전산자료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경우 1필지당 20원을 납부한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지적전산자료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쇄비용으로 1필지당 20원을 납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승마장의 지목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체육용지
  2. 잡종지
  3. 유원지
  4. 학교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승마는 체육 운동 중 하나이기 때문에 승마장은 체육용지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지적측량수행자인 대한지적공사가 손해배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증보험에 가입하여야 하는 금액은 최소 얼마 이상인가?

  1. 1억원 이상
  2. 5억원 이상
  3. 10억원 이상
  4. 20억원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측량수행자는 실수로 잘못된 측량을 하거나 오류가 발생하여 손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대한지적공사는 국가기관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지적측량을 위해 보증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지적공사가 가입해야 하는 보증보험 금액은 최소 20억원 이상입니다. 이는 대한지적공사가 발생시킬 수 있는 손해액을 고려하여 산정된 금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지적소관청이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는 자를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지이동정리 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
  2.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된 필지가 면적의 증가 없이 경계의 위치만 잘못된 경우
  3.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이 잘못된 경우
  4. 미등기 토지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미등기 토지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경우는 지적소관청이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과는 관련이 없으며, 소유자 변경은 등기부등본에 반영되는 사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등기부등본을 통해 소유자 변경을 확인하고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지적도의 축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00분의 1
  2. 2500분의 1
  3. 3000분의 1
  4. 6000분의 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6000분의 1"입니다.

    지적도의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0분의 1 축척은 지도상의 1cm가 실제 세계에서 1000cm(10m)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500분의 1" 축척은 "1000분의 1" 축척보다 더 상세하게 지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3000분의 1" 축척은 "2500분의 1" 축척보다 더 상세하게 지도를 표현할 수 있고, "6000분의 1" 축척은 가장 상세한 축척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2500분의 1"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상의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2500분의 1" 축척은 "1000분의 1" 축척보다 더 상세한 지도를 나타내지만, "3000분의 1" 축척보다는 덜 상세한 지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가화를 유보할 수 있는 기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상 5년 이내
  2. 3년 이상 10년 이내
  3. 5년 이상 10년 이내
  4. 5년 이상 20년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시가화를 유보할 수 있는 기간을 5년 이상 20년 이내로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가화를 유보하는 기간이 너무 짧으면 계획적인 국토 이용이 어렵고, 너무 길면 국민의 권익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년 이상 20년 이내로 적절한 기간을 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토지소유자가 지목변경을 신청할 때에 첨부하여 지적소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관계법령에 따라 토지의 형질변경 공사가 준공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본
  2. 국유지ㆍ공유지의 경우 용도폐지 되었거나 사실상 공공용으로 사용되고 있지 아니함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본
  3. 토지 또는 건축물의 용도가 변경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본
  4. 과세사실을 증명하는 납세성명서의 사본
(정답률: 알수없음)
  • 지목변경을 신청할 때에 첨부하여 지적소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 중 과세사실을 증명하는 납세성명서의 사본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목변경과 관련이 없는 서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부동산등기법에 따라 토지의 분합, 멸실, 면적의 증감 또는 지목의 변경이 있을 때에 그 토지 소유권의 등기 명의인은 최대 얼마 이내에 그 등기를 신청하여야 하는가?

  1. 14일 이내
  2. 15일 이내
  3. 1개월 이내
  4. 3개월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산등기법 제32조에 따르면, 토지의 분합, 멸실, 면적의 증감 또는 지목의 변경이 있을 때에는 그 등기 명의인은 최대 1개월 이내에 그 등기를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는 등기부 등재의 효력을 보장하고, 부동산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등기 명의인은 이 기간 내에 등기를 신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토지대장에 등록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토지의 소재
  2. 지목
  3. 지번
  4. 경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대장에 등록하여야 하는 사항 중 "경계"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토지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토지의 소재, 지목, 지번과는 별개의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도시관리계획으로 건축물 높이의 최저한도 또는 최고한도를 규제하기 위해 설정하는 용도지구는?

  1. 미관지구
  2. 방화지구
  3. 취락지구
  4. 고도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고도지구

    설명: 고도지구는 건축물 높이의 최저한도 또는 최고한도를 규제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설정하는 용도지구입니다. 다른 보기인 미관지구는 건축물의 외관, 색상, 재료 등을 규제하는 용도지구이며, 방화지구는 화재 발생 시 대처를 위한 용도지구, 취락지구는 지형이나 지반의 경사를 고려하여 건축물을 설계하는 용도지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설명에서 ()의 내용에 들어갈 수 있는 지목에 해당하는 것은?

  1. 도로
  2. 철도용지
  3. 수도용지
  4. 종교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물은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종교용지는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땅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종교용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 하는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도시계획사업에 의한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1. 토석의 채취
  2. 공작물의 설치
  3. 토지의 형질 변경(경작을 위한 경우는 제외)
  4. 재해복구나 재난수습을 위한 응급조치
(정답률: 알수없음)
  • 재해복구나 재난수습을 위한 응급조치는 긴급하게 필요한 상황에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개발행위허가를 받지 않고도 즉시 실행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이는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긴급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한 조치로서 필요한 경우에는 법적 제약 없이 즉시 실행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부동산등기법에 따라 등기할 수 있는 권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소유권
  2. 저당권
  3. 지상권
  4. 점유권
(정답률: 알수없음)
  • 점유권은 부동산등기법에 따라 등기할 수 있는 권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점유권이 소유권과 달리 법적인 권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점유권은 단지 물건을 점유하고 있는 사실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유자의 동의 없이는 등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점유권은 부동산등기법에 따라 등기할 수 있는 권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