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지적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오차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오차는 측정횟수를 거듭할수록 누적된다.
  2. 우연오차에게 같은 크기의 정(+)ㆍ부(-)오차가 발생할 확률은 거의 같다고 가정한다.
  3. 정오차는 발생 원인과 특성을 파악하면 제거할 수 있다.
  4. 부정오차는 착오라고도 하며, 관측자의 부주의 또는 관측 잘못으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의 방법 기준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지거법, 도선법
  2. 도선법, 방사법
  3. 방사법, 교회법
  4. 교회법, 지거법
(정답률: 64%)
  • 보기에서 나열된 측량방법 중 "도선법"과 "방사법"은 세부측량의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거법"과 "교회법"은 세부측량 방법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측량방법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도선법, 방사법"이다.

    도선법은 측량 대상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량 기기를 사용하여 거리, 각도, 높이 등을 측정한다. 방사법은 측량 대상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기준점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측량 대상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측량 대상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경위의측량방법과 다각망도선법에 의한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시 도선별 평균방위각과 관측방위각의 폐색오차는 얼마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단, 폐색변을 포함한 변의 수는 4이다.)

  1. ±10초 이내
  2. ±20초 이내
  3. ±30초 이내
  4. ±40초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경위의측량방법과 다각망도선법은 모두 삼각측량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와 각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지적삼각보조점의 관측시 도선별 평균방위각과 관측방위각의 폐색오차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도에 대한 오차에 영향을 받게 된다.

    폐색변을 포함한 변의 수가 4이므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360도이다. 따라서 각 변의 평균방위각과 관측방위각의 오차는 최대 90도 이내로 제한되며, 이를 초로 환산하면 324,000초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초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h의 거리는? (단, 이다.)

  1. 3.960m
  2. 3.628m
  3. 2.649m
  4. 2.176m
(정답률: 46%)
  • 이 문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삼각형 ABC에서 AB와 AC의 길이가 각각 4m, 3m이므로 BC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BC^2 = AB^2 + AC^2
    BC^2 = 4^2 + 3^2
    BC^2 = 16 + 9
    BC^2 = 25
    BC = 5m

    다음으로, 삼각형 ADE에서 AD와 AE의 길이가 각각 4m, 2m이므로 DE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DE^2 = AD^2 - AE^2
    DE^2 = 4^2 - 2^2
    DE^2 = 16 - 4
    DE^2 = 12
    DE = √12m

    마지막으로, 삼각형 BDE에서 BD와 BE의 길이가 각각 5m, √12m이므로 DE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h^2 = BD^2 - DE^2
    h^2 = 5^2 - 12
    h^2 = 13
    h = √13m

    따라서, h의 길이는 약 3.628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적삼각점의 제도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직경 1mm, 2mm, 3mm의 3중원으로 제도한다.
  2. 직경 1mm, 2mm의 2중원으로 제도한다.
  3. 직경 2mm, 3mm의 2중원으로 제도한다.
  4. 직경 3mm의 원안에 십자선 표시를 제도한다.
(정답률: 70%)
  • 지적삼각점은 세 개의 삼각점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이 지점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삼각점에서 측량한 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정확한 방법은 세 개의 삼각점에서 측정한 거리를 모두 이용하여 직경 3mm의 원안에 십자선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보다 정확도가 높으며, 측량 결과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경 3mm의 원안에 십자선 표시를 제도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평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의 기준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도를 갖춰 주는 지역에서의 거리측정단위는 5cm로 한다.
  2. 임야도를 갖춰 주는 지역에서의 거리측정단위는 50cm로 한다.
  3. 측량결과도는 축척 500분의 1로 작성한다.
  4. 기지점이 부족한 경우에는 측량상 필요한 위치에 보조점을 설치하여 활용한다.
(정답률: 64%)
  • "측량결과도는 축척 500분의 1로 작성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평판측량에서는 측량결과를 축척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크기로 표현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오류가 있다.

    측량결과도는 축척 500분의 1로 작성하지 않는 이유는, 평판측량에서는 측량결과를 실제 크기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축척은 지도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평판측량에서는 지적도나 임야도 등과 같은 지도가 아닌, 실제 크기의 도면을 작성하기 때문에 축척을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장 100m에 대하여 테이프(Tape)의 길이가 100m인 강제권척을 검사한 바 +0.052m이었을 때, 이 테이프(Tape)의 보정계수는 얼마인가?

  1. 0.00052
  2. 0.99948
  3. 1.00052
  4. 1.99948
(정답률: 77%)
  • 보정계수는 실제 길이와 측정된 길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계수 = (실제 길이) / (측정된 길이)
    실제 길이 = 100m
    측정된 길이 = 100m + 0.052m = 100.052m

    따라서 보정계수는 100 / 100.052 = 1.0005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05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적삼각점측량에서 수평각의 측각공차 기준이 옳은 것은?

  1. 1측회의 폐색 : ±30초 이내
  2. 1방향각 : 40초 이내
  3. 삼각형 내각관측의 합과 180° 와의 차 : ±40초 이내
  4. 기지각과의 차 : ±30초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삼각점측량에서 수평각의 측각공차 기준이 "1측회의 폐색 : ±30초 이내"인 이유는, 수평각은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측정 오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그 평균값에서 ±30초 이내의 오차를 허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의 측량방법 및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1. 각 필지의 경계점을 측정할 때에는 도선법ㆍ방사법 또는 교회법에 따라 좌표를 산출하여야 한다.
  2. 필지의 경계점이 지형ㆍ지물에 가로막혀 경위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경계점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3. 기존의 경계점좌표등록부를 갖춰 두는 지역의 경계점에 접속하여 경위의측량방법 등으로 지적확정측량을 하는 경우 동일한 경계점의 측량성과가 서로 다를 때에는 경계점 좌표등록부에 등록된 좌표를 그 경계점의 좌표로 본다.
  4. 각 필지의 경계점 측점번호는 오른쪽 위에서부터 왼쪽으로 경계를 따라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정답률: 91%)
  • 정답은 "각 필지의 경계점 측점번호는 오른쪽 위에서부터 왼쪽으로 경계를 따라 일련번호를 부여한다."이다. 이유는 경계점 측점번호는 일반적으로 왼쪽 위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왜냐하면 지도상에서 좌측 상단부터 시작하여 우측 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적삼각점측량에서 방향관측법의 시행에 따른 윤곽도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 (단, n은 대회수이다.)

  1. 90°/n
  2. 180°/n
  3. 270°/n
  4. 360°/n
(정답률: 70%)
  • 정답은 "180°/n"이다.

    방향관측법은 삼각측량에서 방향을 측정하여 삼각형의 내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삼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다른 두 꼭짓점을 바라보면서 방향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삼각형의 내각을 계산한다.

    이때, 한 대회에서 측정하는 내각의 수는 n-2개이다. 왜냐하면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이기 때문에, n개의 꼭짓점이 있는 삼각형에서 2개의 내각을 뺀 것이 n-2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대회에서 측정하는 내각의 크기는 180°/(n-2)이다. 하지만, 이것은 삼각형의 내각이 아니라 방향을 측정한 것이므로, 실제 산출식에서는 이 값을 n으로 나누어서 사용한다. 따라서, 윤곽도 산출식에서는 180°/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기준점측량의 절차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준비 및 현지답사→선점 및 조표→계획의 수립→관측 및 계산과 성과표의 작성
  2. 계획의 수립→준비 및 현지답사→선점 및 조표→관측 및 계산과 성과표의 작성
  3. 준비 및 현지답사→계획의 수립→선점 및 조표→관측 및 계산과 성과표의 작설
  4. 계획의 수립→선점 및 조표→준비 및 현지답사→관측 및 계산과 성과표의 작성
(정답률: 89%)
  • 지적기준점측량은 계획의 수립, 준비 및 현지답사, 선점 및 조표, 관측 및 계산과 성과표의 작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계획의 수립→준비 및 현지답사→선점 및 조표→관측 및 계산과 성과표의 작성"이 올바른 절차이다. 먼저 계획을 수립하고, 현지답사를 위한 준비를 한 후에 선점 및 조표를 진행하고, 관측과 계산을 통해 성과표를 작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적도근점측량에 따라 계산된 연결오차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그 오차의 배분방법이 옳은 것은?

  1.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장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방위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3.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의 종선차 또는 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방위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의 종선차 또는 횡선차 길이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는 측량선들의 연결점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합니다. 이 연결오차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오차를 각 측량선에 어떻게 배분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배각법은 측량선들의 연결점에서 발생한 오차를 해당 측선의 각도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각 측선의 종선차 또는 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이는 각 측선의 길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해당 측선이 전체 측량선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오차를 배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의 종선차 또는 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컴파스(compass)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촉각 및 측정거리의 정도가 같다고 인정되는 때의 오차조정법
  2. 촉각정조가 측정거리의 정도 보다 높다고 인정되는 때의 오차조정법
  3. 측정거리의 정도가 측각정도 보다 높다고 인정되는 때의 오차조정법
  4. 측정거리의 정도와 촉각정도가 비교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때의 오차 조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컴파스(compass) 법칙은 촉각과 측정거리의 정도가 같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오차조정법입니다. 이는 측정할 대상의 거리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측정거리와 촉각정도가 서로 비슷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이 방법은 측정거리의 정도와 촉각정도가 비교할 수 없는 경우나 촉각정조가 측정거리의 정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삼각(본점)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국에 13개소의 기선을 설치하였다.
  2. 대삼각점을 평균 점간 거리 20km의 20개 삼각망으로 구성하였다.
  3. 르장드르(Legendre)정리에 의하여 구과량을 계산하였다.
  4. 기선망의 수평각은 12대회 각관측법으로 실시하였다.
(정답률: 60%)
  • "르장드르(Legendre)정리에 의하여 구과량을 계산하였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삼각측량에서는 삼각측량법을 사용하여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측정합니다. 이 때, 삼각측량법에서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대삼각점을 평균 점간 거리 20km의 20개 삼각망으로 구성하였다."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른 지적삼각점의 관측과 계산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

  1. 표준편차가 ±(5mm+5ppm) 이상인 정밀측거기를 사용한다.
  2. 점간거리는 3회 측정하고, 원점에 투영된 수평거리롤 계산하여야 한다.
  3. 측정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교차가 평균치의 10만분의 1 이하일 때는 그 평균치를 측정거리로 한다.
  4. 삼각형의 내각계산은 기지각과의 차가 ±40초 이내 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간거리는 3회 측정하고, 원점에 투영된 수평거리롤 계산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기준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지적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는 삼각측량법이 사용됩니다. 이때, 삼각측량법에서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내각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각 꼭지점의 위치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지적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점간거리는 3회 측정하고, 원점에 투영된 수평거리롤 계산하여야 한다."라는 기준은 삼각측량법에서 사용되는 기준이 아닙니다. 이 기준은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법에서 사용되는 기준으로, 이 방법은 삼각측량법과는 다른 측량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지적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점간거리는 3회 측정하고, 원점에 투영된 수평거리롤 계산하여야 한다."는 지적삼각점의 관측과 계산 기준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라 다각망선도법으로 지적도근점측량을 할 때에 최소 몇 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의하여야 하는가?

  1. 2점 이상
  2. 3점 이상
  3. 5점 이상
  4. 7점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다각망선도법은 삼각측량법과 같이 삼각형을 이용하여 측량하는 방법이다. 이 때, 삼각형을 이루는 세 변 중에서 두 변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각도를 알면 나머지 한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측량을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기지점이 필요하다.

    그러나, 삼각형을 이루는 세 변의 길이와 각도를 모두 알아야 하므로, 더 많은 기지점을 사용할수록 측량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결합다각방식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삼각형을 이용하여 측량을 하는 방법이다. 이 때, 적어도 세 개의 기지점이 필요하며,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을 만들어 측량을 진행한다.

    따라서, 최소한 세 개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의하여야 측량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3점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적측량에 사용되는 구소삼각지역의 직각좌표계 원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계양원점
  2. 칠곡원점
  3. 현창원점
  4. 소라원점
(정답률: 알수없음)
  • 칠곡원점은 구소삼각지역의 직각좌표계 원점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역의 좌표계 원점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구소삼각지역의 직각좌표계 원점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적삼각보조점의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 기준이 옳은 것은?

  1. 도선법에 따른다.
  2.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3.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4. 관측 지역에 따라 방위각법과 배각법을 혼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삼각보조점의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이는 지적삼각보조점을 중심으로 두 개의 관측대를 설치하고, 각 관측대에서 지점을 관측하여 방향을 측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수평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높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에서 E=32.7156m이고 R=200.00m이면 ø는 얼마인가?

  1. 9° 24‘ 53“
  2. 9° 45‘ 51“
  3. 8° 53‘ 48“
  4. 8° 35‘ 4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E는 중심각의 절반인 16.3578m를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사인함수를 이용해 ø를 구할 수 있다.

    sin(ø/2) = E/R
    sin(ø/2) = 32.7156/200.00
    sin(ø/2) = 0.163578
    ø/2 = sin^-1(0.163578)
    ø = 2(sin^-1(0.163578))
    ø = 18.8496°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9° 24‘ 53“"로 요구하고 있다. 이는 각도를 도, 분, 초로 변환한 것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ø = 18.8496°
    도 = 18
    분 = (0.8496 * 60) = 50.976
    초 = (0.976 * 60) = 58.56

    따라서, 답은 "9° 24‘ 53“"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ø/2를 구할 때 실수를 잘못 계산하거나, sin^-1 함수를 잘못 사용하여 잘못된 값을 계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삼각망의 구성을 위한 수평각의 관측에서 정ㆍ반으로 관측하는 이유는?

  1. 구심오차를 소거하기 위하여
  2. 연직축오차를 소거하기 위하여
  3. 기계오차를 소거하기 위하여
  4. 기상 영향력을 소거하기 위하여
(정답률: 80%)
  • 수평각의 관측에서 정ㆍ반으로 관측하는 이유는 기계오차를 소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정반 방식으로 관측하면 기계의 오차가 양쪽으로 분산되어 오차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GPS 위성의 궤도 주기로 옳은 것은?

  1. 약 6시간
  2. 약 10시간
  3. 약 12시간
  4. 약 18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GPS 위성은 지구 주위를 도는 중 궤도 주기가 약 12시간인 원형 궤도를 따릅니다. 이는 GPS 위성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12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이 궤도 주기는 GPS 시스템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대공표지는 일반적으로 사진 상에서 어느 정도 크기로 표시되어야 하는가?

  1. 10μm
  2. 30μm
  3. 10mm
  4. 30mm
(정답률: 알수없음)
  • 대공표지는 전자현미경에서 사용되는 작은 물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0μm ~ 30μm 크기로 표시됩니다. 이는 전자현미경의 해상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크기로 표시되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μ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날로그 사진측량에서 표정의 일반적인 순서로 옳은 것은?

  1. 내부표정-절대표정-상호표정
  2. 내부표정-상호표정-절대표정
  3. 절대표정-상호표정-내부표정
  4. 절대표정-내부표정-상호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내부표정-상호표정-절대표정"입니다.

    내부표정은 모델의 내면에서 느끼는 감정을 의미하며, 상호표정은 모델과 사진작가 간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감정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절대표정은 모델이 의도적으로 표현하는 감정으로,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표정입니다. 따라서 이 순서로 표정을 측정하면 가장 자연스러운 표정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계산과정에서 완전한 검산을 할 수 있어 정밀한 측량에 이용되나 중간점이 많을 때는 계산이 복잡한 야장기입법은?

  1. 고차식
  2. 기고식
  3. 횡단식
  4. 승강식
(정답률: 70%)
  • 야장기입법에서 중간점이 많을 때는 계산이 복잡해지므로, 승강식을 사용한다. 승강식은 중간점을 최소화하면서도 정밀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야장기입법으로, 계산이 간단하고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터널공사에서 터널내의 기준점설치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연결된 것은?

  1. 삼각측량-평판측량
  2. 평판측량-트래버스측량
  3. 트래버스측량-수준측량
  4. 수준측량-삼각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공사에서는 터널 내부의 기준점을 정확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터널 내부에서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트래버스측량과 수준측량입니다. 트래버스측량은 터널 내부에서 수평선을 그어 기준점을 설정하는 방법이며, 수준측량은 터널 내부에서 수직선을 그어 기준점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보다 정확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래버스측량-수준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곡선반지름 R=80m, 클로소이드 곡선길이 L=20m일 때 클로소이드의 파라미터 A의 값은?

  1. 1600m
  2. 120m
  3. 80m
  4. 40m
(정답률: 60%)
  • 클로소이드 곡선의 파라미터 A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A = (L^2)/(6R)

    여기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A = (20^2)/(6*80) = 40

    따라서 정답은 "40m"입니다. 이는 곡선의 반지름과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지 않고,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등고선 간격을 20m로 할 때 도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최소 간격을 0.45mm로 할 경우 등고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경사각은?

  1. 40.1°
  2. 41.6°
  3. 44.6°
  4. 46.1°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간격이 20m이므로, 1mm에 표시될 수 있는 거리는 20m/50000 = 0.4m이다. 따라서 0.45mm에 표시될 수 있는 거리는 0.45mm × 0.4m/mm = 0.18m이다.

    최대 경사각은 등고선 간격과 수직인 경우이므로, tanθ = 등고선 간격/수평거리 = 20m/0.18m = 111.11이다. 이를 역함수인 arctan으로 계산하면, 최대 경사각은 약 41.6°이다. 따라서 정답은 "4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촬영고도 3000m에서 촬영된 항공사진에 나타난 굴뚝 정상의 시차를 측정하였더니 17.32mm이고, 밑 부분의 시차를 측정하였더니 15.85mm이었다면 이 굴뚝의 높이는?

  1. 224.6m
  2. 232.8m
  3. 248.8m
  4. 254.6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시차를 이용하여 굴뚝의 기울기를 구해야 한다. 시차는 굴뚝의 높이와 기울기에 영향을 받는데, 시차가 크면 기울기가 작아지고, 시차가 작으면 기울기가 커진다. 따라서 시차가 큰 밑 부분의 시차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구한다.

    시차 = (높이) / (기울기)

    15.85mm = h / x

    x = h / 15.85

    이제 기울기를 이용하여 높이를 구한다. 기울기는 삼각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tanθ = (높이) / (거리)

    θ = arctan(x / 3000)

    θ = arctan(h / (15.85 * 3000))

    θ = arctan(h / 47550)

    tanθ = h / 47550

    h = 47550 * tanθ

    h = 47550 * tan(arctan(h / 47550))

    h = 47550 * (h / 47550)

    h = h

    따라서 굴뚝의 높이는 254.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중앙종거법에 의해 곡선을 설치 하고자 한다. 장현(L)에 대한 중앙종거를 M1이라 할 때 M4의 값은? (단, 교각은 56° 20‘이고, 곡선반지름은 500m이다.)

  1. 0.794m
  2. 0.845m
  3. 0.897m
  4. 0.944m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종거법에서 M1과 M4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 = R × sin(ΔL/2)

    여기서 R은 곡선반지름, ΔL은 M1과 M4 사이의 장현 차이이다.

    장현(L)에 대한 중앙종거 M1은 곡선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M1과 M4 사이의 장현 차이는 L4 - L1이다. 이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4 - L1 = 2 × R × sin(Δ/2)

    여기서 Δ는 M1과 M4 사이의 교각 각도이다.

    따라서, M1과 M4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 = R × sin((L4 - L1)/2) = 500 × sin((2 × 56° 20‘)/2) ≈ 0.944m

    따라서, 정답은 "0.94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진의 크기가 23cm×23cm이고 두 사진의 주점기선의 길이가 10cm 이었다면 이 때의 종중복도는?

  1. 약 43%
  2. 약 57%
  3. 약 64%
  4. 약 78%
(정답률: 알수없음)
  • 종중복도는 주점기선의 길이와 사진 크기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종중복도를 계산해보면:

    주점기선의 길이 = 10cm
    사진의 크기 = 23cm × 23cm

    주점기선의 길이와 사진의 크기의 비율 = 10cm ÷ 23cm ≈ 0.435

    따라서 종중복도는 약 43%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약 57%"가 정답으로 주어져 있습니다. 이는 오차 범위 내에서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 결과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원곡선에서 교각 I=60°, 곡선반지름 R=200m, 곡선시점 B.C=No.8+15m일 때 노선기점에서부터 곡선종점 E.C까지의 거리는? (단, 중심말뚝 간격은 20m이다.)

  1. 209.4m
  2. 275.4m
  3. 309.4m
  4. 384.4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터널을 만들기 위하여 A, B 두점의 좌표를 측정한 결과 A점은 XA=1000.00m, YA=250.00m, B점은 XB=1500.00m, YB=1000.00m이면 AB의 방위각은?

  1. 56° 18‘ 36“
  2. 33° 41‘ 24“
  3. 232° 25‘ 53“
  4. 322° 25‘ 53“
(정답률: 알수없음)
  • AB의 방위각은 A에서 B로 가는 방향의 각도이므로, tanθ=(YB-YA)/(XB-XA)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θ는 각도를 라디안으로 나타낸 값이다.

    따라서, tanθ=(1000.00-250.00)/(1500.00-1000.00)=1.5 이므로, θ=tan-1(1.5)=56.31°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각도를 도, 분, 초로 나타내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θ를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 있다.

    θ=56.31°=56°+(0.31×60)′=56°18′

    따라서, AB의 방위각은 "56° 18‘ 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로에 사용되는 곡선 중 수평곡선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단곡선
  2. 복심곡선
  3. 방향곡선
  4. 2차 포물선
(정답률: 80%)
  • 수평곡선은 도로의 평면적인 곡률을 나타내는 곡선으로, 차량의 안정성과 운전자의 시야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에 2차 포물선은 수직 방향으로 곡률이 변하는 곡선으로, 도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로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차 포물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 B 두 지점간 지반고 지반고의 차를 구하기 위하여 왕복 측정한 결과 그림과 같은 측정값을 얻었을 때 최확값은?

  1. 62.324m
  2. 32.330m
  3. 32.333m
  4. 62.341m
(정답률: 알수없음)
  •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거리는 왕복 거리의 절반인 500m이다. 따라서 A 지점과 B 지점의 고도 차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왕복 측정값인 4개의 숫자를 모두 더한 후 4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해야 한다.

    (10.5 + 10.5 + 11.5 + 11.5) / 4 = 11

    따라서 A 지점과 B 지점의 고도 차이는 11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지반고의 차이이므로, 이 값을 지면고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A 지점과 B 지점의 지반고를 알아야 하는데, 이 값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지반고를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A 지점과 B 지점의 지반고가 같다고 가정하면, A 지점과 B 지점의 고도 차이가 곧 지반고의 차이가 된다. 따라서 최확값은 11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개의 값 중에서 32.333m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가정한 지반고가 모두 같다는 가정이 틀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GPS에서 위도, 경도, 고도, 시간에 대한 차분해(differential solution)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 몇 개의 위성이 필요한가?

  1. 1
  2. 2
  3. 4
  4. 8
(정답률: 75%)
  • GPS에서는 최소 4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도, 경도, 고도, 시간에 대한 차분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3차원 공간에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3개의 위성만 수신하면 위치는 2차원 상에서만 파악할 수 있으며, 2차원 상에서는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4개의 위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지하시설물 측량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작업계획-자료수집-지하시설물 탐사-지하시설물 윈도 작성-작업조서 작성
  2. 자료수집-작업계획-지하시설물 탐사-작업조서 작성-지하시설물 윈도 작성
  3. 작업계획-지하시설물 탐사-자료수집-지하시설물 윈도 작성-작업조서 작성
  4. 자료수집-지하시설물 탐사-작업계획-작업조서 작성-지하시설물 윈도 작성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은 작업계획을 먼저 수립하고,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 후에 지하시설물을 탐사하며,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시설물 윈도를 작성하고, 마지막으로 작업조서를 작성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작업계획-자료수집-지하시설물 탐사-지하시설물 윈도 작성-작업조서 작성"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삼각점 사이의 고저차를 측정할 때 생기는 구차(球差)가 가장 큰 것은?

  1. 삼각점간 거리가 1km 미만으로 가까울 때
  2. 삼각점간 거리가 약 4km 정도 일 때
  3. 삼각점간 거리가 11km가 넘을 때
  4. 삼각점간 거리가 무관하게 오전에 관측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점간 거리가 11km가 넘을 때 구차(球差)가 가장 크다. 이는 삼각점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평선의 곡률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각점간 거리가 멀어질수록 고저차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차 보정이 더욱 중요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등고선 측량방법 중 표고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서 중요한 지성선을 따라 측선을 설치하고, 측선을 따라 여러 점의 표고와 거리를 측량하여 등고선을 측량하는 방법은?

  1. 방안법
  2. 횡단점법
  3. 영선법
  4. 종단점법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점법은 표고를 알고 있는 기지점에서 중요한 지성선을 따라 측선을 설치하고, 측선을 따라 여러 점의 표고와 거리를 측량하여 등고선을 측량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등고선을 측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형도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는 자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종ㆍ횡단면도 작성
  2. 표고에 의한 평균유속 측정
  3. 절토 및 성토범위의 결정
  4. 등고선에 의한 체적 계산
(정답률: 70%)
  • 지형도는 지형의 형태와 특징을 나타내는 자료이며, 종ㆍ횡단면도 작성, 절토 및 성토범위의 결정, 등고선에 의한 체적 계산 등 지형 분석에 활용됩니다. 하지만 표고에 의한 평균유속 측정은 지형도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없는 자료입니다. 이는 유체 역학적인 실험을 통해 측정되는 값으로, 지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진측량에서 사진의 특수 3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직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변위가 발생하는 현상을 기복변위라 한다.
  2. 등각점은 사진면에 직교되는 광선과 연직선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점이다.
  3. 연직점은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에 내린 수직선이 만나는 점이다.
  4. 등가검에서는 경사각에 관계없이 수직사진의 축척과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등가검에서는 경사각에 관계없이 수직사진의 축척과 같다."이다.

    연직점은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사진에 내린 수직선이 만나는 점이 맞다.

    기복변위는 연직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변위가 발생하는 현상이 맞다.

    등각점은 사진면에 직교되는 광선과 연직선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점이 맞다.

    하지만 등가검에서는 경사각에 따라 축척이 달라지기 때문에, "등가검에서는 경사각에 관계없이 수직사진의 축척과 같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벡터자료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복잡한 현실세계의 묘사가 가능하다.
  2. 래스터자료보다 자료구조가 단순하여 중첩분석이 쉽다.
  3. 좌표계를 이용하여 공간정보를 기록한다.
  4. 위상 관련 정보가 제공되어 네트워크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률: 79%)
  • "래스터자료보다 자료구조가 단순하여 중첩분석이 쉽다."는 벡터자료의 구조에 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벡터자료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와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더 복잡한 현실세계의 묘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벡터자료는 좌표계를 이용하여 공간정보를 기록하므로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벡터자료는 위상 관련 정보가 제공되어 네트워크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토지의 고유번호에서 행정구역 코드의 자리 구성이 옳지 않은 것은?

  1. 시ㆍ도-2자리
  2. 리-2자리
  3. 읍ㆍ면ㆍ동-2자리
  4. 시ㆍ군ㆍ구-3자리
(정답률: 82%)
  • 토지의 고유번호에서 행정구역 코드는 "시ㆍ군ㆍ구-3자리"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시ㆍ도와 읍ㆍ면ㆍ동은 각각 2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두 자리를 합쳐도 4자리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ㆍ군ㆍ구-3자리로 구성되어야 행정구역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두 주제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지도학적으로 통합 하여 표현하는 공간 정보 분석 기능은?

  1. 중첩(overlay)
  2. 레이어(layer)
  3. 위상(topology)
  4. 커버리지(coverage)
(정답률: 알수없음)
  • 중첩(overlay)은 두 개 이상의 레이어(layer)를 겹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위상(topology)과 커버리지(coverage)를 파악하는 공간 정보 분석 기능입니다. 이는 각 레이어의 공간 정보를 겹쳐서 분석하므로 중첩이라는 용어가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도로 레이어와 인구 분포 레이어를 중첩하여 분석하면, 어떤 지역에 인구가 밀집하고 도로가 혼잡한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적소관청은 지적전산자료가 멸실ㆍ훼손된 때에는 누구에게 이를 보고하고 전산자료를 복구하여야 하는가?

  1. 국토해양부장관
  2. 행정안전부장관
  3. 국가정보원장
  4. 시ㆍ도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소관청은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지적전산자료의 멸실ㆍ훼손 사실을 보고하고 전산자료를 복구해야 한다. 이는 국토해양부장관이 지적정보를 관리하는 주체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적전산자료를 이용ㆍ활용하는데 따른 승인권자에 해당하는 자는?

  1. 국토지리정보원장
  2. 국토해양부장관
  3. 대한지적공사장
  4.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전산자료는 국토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국토해양부장관이 승인권자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목적지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일필지의 정보를 기록ㆍ유지ㆍ관리하고 제공하기 위산 시스템이다.
  2. 물리적 형상의 위치를 보여주는 모형정보와 토지표시사항을 알 수 있는 속성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3. 다목적지적의 구성은 토지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필지별로 지속적으로 지원하게 되는 토지정보체계로 각 나라의 사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4. 종래의 제한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토지의 위치정보를 단순하게 정리한 토지정보체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목적지적의 구성은 토지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필지별로 지속적으로 지원하게 되는 토지정보체계로 각 나라의 사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종래의 제한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토지의 위치정보를 단순하게 정리한 토지정보체계이다. (이 설명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다목적지적은 종래의 제한적인 방식이 아닌,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적정보 전담 관리기구로서 국가공간정보센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은?

  1. 국토해양부
  2. 지역전산본부
  3. 행정안전부
  4. 대한지적공사
(정답률: 64%)
  • 국가공간정보센터는 국토해양부 소속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필지식별번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필지의 등록사항의 저장과 수정 등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고유번호를 말한다.
  2. 필지에 관련된 모든 자료의 공통적 색인번호의 역할을 한다.
  3. 토지관련정보를 등록하고 있는 각종 대장과 파일 간의 정보를 연결하거나 검색하는 기능을 향상시킨다.
  4. 필지의 등록사항 변경 및 수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가변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필지의 등록사항 변경 및 수정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가변성이 있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필지식별번호는 고유번호로서 변경되면 안 되며, 필지의 등록사항 변경 및 수정에 따라 변화하지 않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메타데이터(Metadata)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메타데이터는 정보의 공유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목록화한다.
  2. 메타데이터는 캐드자료를 다른 그래픽 체계로 변환하기 위한 자료파일이다.
  3. 메타데이터는 공간참조정보 등 자료에 대한 소개가 포함된다.
  4. 메타데이터는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데이터체계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80%)
  • "메타데이터는 캐드자료를 다른 그래픽 체계로 변환하기 위한 자료파일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이며, 캐드자료를 변환하기 위한 자료파일은 다른 형태의 데이터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토지정보의 기초가 되었던 지적전산화가 처음 계획된 시기는?

  1. 1960년대
  2. 1970년대
  3. 1980년대
  4. 1990년대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적전산화는 지적도 작성 및 관리를 전산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처음으로 1970년대에 계획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수작업으로 지적도를 작성하고 관리하였으나, 전산화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빠른 작업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토지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관계형 DBMS의 질의어는?

  1. SQL
  2. DLL
  3. DLG
  4. COGO
(정답률: 60%)
  • 정답은 "SQL"입니다.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조작하기 위한 표준 질의어입니다.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삽입, 삭제, 수정, 검색할 수 있습니다. DLL은 데이터 정의 언어, DLG는 데이터 조작 언어, COGO는 측량 및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적도면을 수치파일로 작성하는 경우 레이어로 지정할 수 없는 데이터는?

  1. 필지경계
  2. 지번
  3. 도곽선
  4. 소유자
(정답률: 90%)
  • 지적도면을 수치파일로 작성할 때, 필지경계, 지번, 도곽선은 모두 레이어로 지정할 수 있지만, 소유자는 레이어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소유자 정보가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공개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유자 정보는 지적도면 수치파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간자료 교환포맷인 SDTS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공간자료 간의 자료 독립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2. 다양한 공간데이터의 교환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3. 다양한 공간 현상들을 효과적이고 수치화된 지도의 형태로 표현 가능하게 한다.
  4. 공간자료의 가치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자료 간의 자료 독립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는 SDTS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이다. SDTS는 다양한 공간데이터의 교환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공간 현상들을 효과적이고 수치화된 지도의 형태로 표현 가능하게 하며, 공간자료의 가치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SDTS는 공간자료 간의 자료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자료의 표준화와 교환을 위한 포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필수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정의
  2. 설계
  3. 조작
  4.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필수 기능에는 데이터를 정의하고 저장하는 "정의", 데이터를 조작하고 검색하는 "조작",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제어"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설계"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필수 기능은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기 전에 수행되는 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설계"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필수 기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디지타이징 방식과 스캐닝 방식을 이용하여 도형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타이저와 스캐너 장비는 기계적인 오차가 존재한다.
  2. 자동으로 래스터자료를 벡터자료로 변환할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3.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도면을 독취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가 오차에 영향을 준다.
  4.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도면을 입력할 때 기준점이나 지적도의 좌표를 잘못 지정하더라도 독취자료의 일부분에만 오차가 발생한다.
(정답률: 80%)
  •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도면을 입력할 때 기준점이나 지적도의 좌표를 잘못 지정하더라도 독취자료의 일부분에만 오차가 발생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도면을 입력할 때 기준점이나 지적도의 좌표를 잘못 지정하면 전체 도면에 대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래스터데이터를 각 행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해 가면서 처음 시작하는 셀과 끝나는 셀까지 동일한 수치값을 가지는 셀들을 묶어 표현하는 압축 방법은?

  1. 블록코드(Block code) 방법
  2. 런랭스(Run-length code) 방법
  3. 사지수형(Quad-tree code) 방법
  4. 체인코드(Chain code)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런랭스(Run-length code) 방법은 같은 값을 가지는 셀들을 묶어서 표현하는 압축 방법으로, 데이터의 중복성이 높을 때 효과적이다. 이 방법은 각 행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해 가면서 처음 시작하는 셀과 끝나는 셀까지 동일한 수치값을 가지는 셀들을 묶어서 표현한다. 이렇게 묶인 셀들은 시작 셀의 위치와 묶인 셀의 개수로 표현되어 데이터를 압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존의 파일시스템에 비하여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이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데이터의 종복성
  2. 중앙제어 기능
  3. 직접적인 사용자 연계
  4. 효율적인 자료호환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은 데이터의 종복성을 갖는다. 이는 데이터가 여러 개의 테이블에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지만, 파일시스템과 비교하여 단점으로 꼽힐 수 있다. 파일시스템은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지만,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데이터의 종복성"은 DBMS의 장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스파게티(Spaghetti)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 선, 다각형 등의 객체들이 구조화되지 않은 그래픽 모형이다
  2. 인접하고 있는 다각형을 나타내기 위하여 경계하는 선은 두 번씩 저장된다.
  3. 객체들 간의 공간 관계가 설정되지 않아 공간분석에 비효율적이다.
  4. 자료구조가 복잡하지만 선형 분석, 면형 분석을 하기에 용이하다.
(정답률: 54%)
  • 스파게티 모형은 자료구조가 복잡하지만 선형 분석, 면형 분석을 하기에 용이하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스파게티 모형이 객체들을 구조화하지 않고 선으로만 연결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선형 분석이 용이하며, 인접한 다각형을 나타내기 위해 경계하는 선이 두 번씩 저장되기 때문에 면형 분석도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료구조가 복잡하지만 선형 분석, 면형 분석을 하기에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임야도를 스캐닝하여 구축한 도형자료는 벡터라이징 과정에 의해 필요한 수보다 많은 좌표의 값이 저장된다. 이 때 임야도의 필지(폴리곤) 형태를 유지하면서 좌표의 수를 줄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좌표 삭감(Line Coordinate Thinning)
  2. 경계의 부합(Edge Matching)
  3. 지도의 결합(Map Join)
  4. 면적의 분할(Tiling)
(정답률: 알수없음)
  • 임야도의 필지 형태를 유지하면서 좌표의 수를 줄이는 것을 좌표 삭감(Line Coordinate Thinning)이라고 한다. 이는 벡터라이징 과정에서 필요한 수보다 많은 좌표의 값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좌표 삭감은 경계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좌표를 제거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좌표만을 유지하면서도 원래의 도형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적전산정보시스템에서 사용자권한 등록파일에 등록하는 사용자의 권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법이 아닌 사단ㆍ재단 등록번호의 직권수정
  2. 지적전산코드의 입력ㆍ수정 및 삭제
  3. 지적공부의열람 및 등본발급의 관리
  4.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의 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지 공시지가 변동의 관리"는 사용자의 권한과는 관련이 없는 작업이기 때문에 등록되지 않는다. 이 작업은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법적인 문제가 아니라 지적재산권과는 관련이 없는 부동산 가격 변동과 관련된 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다음 중 적극적 등록제도와 거리가 먼 것은?

  1. 토렌스시스템
  2.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3. 토지등록의 효력은 정부에 의해 보장된다.
  4.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만이 권리가 인정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입니다. 이유는 이들 국가는 이미 토지등록제도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적극적 등록제도와 거리가 멀다는 것입니다. 토렌스시스템은 영국에서 발전한 토지등록제도로, 이미 영국에서는 토지등록이 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 등록제도와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프랑스와 네덜란드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토지등록의 효력은 정부에 의해 보장된다."와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만이 권리가 인정된다."는 모두 적극적 등록제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 당시 비과세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로
  2. 구거
  3. 성첩
  4. 분묘지
(정답률: 67%)
  • 토지조사사업 당시 비과세지에 해당하는 것은 도로, 구거, 성첩이지만, 분묘지는 비과세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분묘지가 개인 소유의 묘지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 당시의 재결기관은?

  1. 고등토지조사위원회
  2. 도지사
  3. 임야심사위원회
  4. 임시토지조사국장
(정답률: 84%)
  • 토지조사사업 당시에는 고등토지조사위원회가 재결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토지조사의 결과를 검토하고 승인하는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다른 보기인 도지사, 임야심사위원회, 임시토지조사국장은 모두 토지조사와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지만, 재결기관으로 지정된 것은 고등토지조사위원회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지적관련법령의 변천 순서로 옳은 것은?

  1. 토지조사령-조선임야조사령-지세령-조선지세령-지적법
  2. 토지조사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세령-지적법
  3. 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
  4. 토지조사령-조선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지세령-지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토지조사령-지세령-조선임야조사령-조선지세령-지적법"입니다.

    토지조사령은 1910년 일제강점기에 제정된 법령으로, 토지의 소유자와 면적 등을 조사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기초가 되는 법령입니다.

    지세령은 1914년에 제정된 법령으로, 토지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인 지세를 규정하는 법령입니다.

    조선임야조사령은 1916년에 제정된 법령으로, 조선의 농지를 조사하여 임야(임차지)와 논밭(논)을 구분하고, 임야의 면적과 소유자를 확인하는 법령입니다.

    조선지세령은 1917년에 제정된 법령으로, 지세령과 함께 토지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인 지세를 규정하는 법령입니다.

    지적법은 1961년에 제정된 법령으로, 토지의 소유자와 면적 등을 조사하여 지적도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법령입니다. 이전의 법령들이 지적도 작성의 기초를 제공하는 역할을 했으며, 지적법은 이러한 기초 위에 지적도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법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권원등록제도(registration of tit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지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문서의 공적 등기를 보전하는 제도이다.
  2. 보험회사의 토지중개 거래제도다.
  3. 소유권 등록 이후에 이루어지는 거래의 유효성에 대하여 정부가 책임을 진다.
  4. 토지소유권의 공시보호제도다.
(정답률: 54%)
  • 권원등록제도는 토지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문서의 공적 등기를 보전하는 제도이며, 소유권 등록 이후에 이루어지는 거래의 유효성에 대하여 정부가 책임을 진다. 이는 등기부 등록에 따라 토지의 소유자가 명확히 확인되기 때문에 거래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지번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특성정
  2. 종속성
  3. 연속성
  4. 형평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형평성"입니다.

    지번은 토지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번호 체계로, 특성정(고유성), 종속성, 연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같은 지번은 유일하며, 다른 지번과 구분되어야 하며, 연속적으로 번호가 부여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형평성은 지번의 특성이 아닙니다. 형평성은 법률이나 제도 등에서 규정된 규칙이나 원칙을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지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동일한 경계가 축척이 다른 도면에 각각 등록된 경우 축척이 큰 것에 따라 경계를 결정하는 원칙은?

  1. 축척종대의 원칙
  2. 경계불가분의 원칙
  3. 양입지의 원칙
  4. 지적복구의 원칙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종대의 원칙은 동일한 경계가 축척이 다른 도면에 각각 등록된 경우, 축척이 큰 도면의 경계를 따르는 원칙입니다. 이는 축척이 큰 도면이 더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더 우선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도로를 중심으로 한 쪽은 홀수, 한 쪽은 짝수로 지번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교우식이라고도 하며, 시가지 지역의 지번 설정에 적합한 방법은?

  1. 단지식
  2. 사행식
  3. 기우식
  4. 블록식
(정답률: 75%)
  • 기우식은 도로를 중심으로 한 쪽은 홀수, 한 쪽은 짝수로 지번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시가지 지역의 지번 설정에 적합합니다. 이는 도로를 중심으로 구역을 나누어 번호를 부여하므로, 주소를 찾기 쉽고 구역을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따라서 기우식이 시가지 지역의 지번 설정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의 지적제도 중 토지소유권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은?

  1. 세지적
  2. 법지적
  3. 다목적지적
  4. 종합지적
(정답률: 85%)
  • 정답은 "법지적"이다. 법지적 지적제도는 법적 규제를 통해 토지의 소유자를 보호하고, 토지의 이용과 관리를 규제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토지소유권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는 지적제도는 법지적 지적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적의 발생설을 토지측량과 밀접하게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는 이론은?

  1. 과세설
  2. 치수설
  3. 지배설
  4. 역사설
(정답률: 47%)
  • 치수설은 지적의 발생과 토지측량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지적은 토지의 크기와 형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토지측량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적도 발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과세설은 세금 부과를 위해 토지를 분류하는 이론, 지배설은 지적의 발생을 국가의 통제와 권력의 표현으로 이해하는 이론, 역사설은 지적의 발생과 역사적인 변천사를 연구하는 이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지적도 및 임야도에 등록된 경계선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토지 소유권의 범위
  2. 지적 통계
  3. 토지의 이용
  4. 토지의 지목
(정답률: 82%)
  • 지적도 및 임야도는 토지의 경계선을 나타내는데, 이 경계선은 토지 소유권의 범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토지 소유권의 범위"가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지적도 및 임야도는 토지의 지목과 이용, 지적 통계 등과도 관련이 있지만, 이들은 경계선을 나타내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광무양전(光武量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급별 결부산출(結負産出) 등의 개선은 있었으나 면적을 척수(尺數)로 표준화하지 않았다.
  2. 양무위원을 두는 외에 조사위원을 두었다.
  3. 정확한 측량을 위하여 외국인 기사를 고용하였다.
  4. 양안의 기재는 전답(田畓)의 도형(圖形)을 기입하게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급별 결부산출(結負産出) 등의 개선은 있었으나 면적을 척수(尺數)로 표준화하지 않았다."가 옳지 않은 것은 면적을 척수로 표준화했다는 내용이 아니라 표준화하지 않았다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고조선시대의 토지제도로 옳은 것은?

  1. 두락제
  2. 수등이척제
  3. 과전법
  4. 정전제
(정답률: 55%)
  • 고조선시대의 토지제도는 정전제였습니다. 이는 토지를 일정 기간마다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상속이나 매매 등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토지의 안정성과 소유자의 권리를 보장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토지의 등록에 있어서 개개의 토지를 중심으로 등록부를 편성하는 방법은?

  1. 객체편성주의
  2. 물적편성주의
  3. 레코딩시스템
  4. 인적편성주의
(정답률: 알수없음)
  • 개개의 토지를 중심으로 등록부를 편성하는 방법은 "물적편성주의"이다. 이는 토지의 위치, 크기, 지형 등 물리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등록부를 편성하는 방법으로, 각 토지의 고유한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한다. 이 방법은 토지의 실제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어 토지의 소유자나 이용자들이 토지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토지등록의 원칙은?

  1. 공신(公信)의 원칙
  2. 공증(公證)의 원칙
  3. 공시(公示)의 원칙
  4. 공고(公告)의 원칙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등록은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 때, 토지등록의 원칙 중 하나는 공시의 원칙입니다. 이는 토지등록부에 등록된 정보를 공개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시의 원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양안을 기본대장으로 하여 소유권자를 확인하는 사정 과정을 거쳐 관계를 발급하였던 기관은?

  1. 양지아문
  2. 지계아문
  3. 양전국
  4. 탁지부
(정답률: 알수없음)
  • 지계아문은 조선시대에 양안을 기본대장으로 하여 소유권자를 확인하는 사정 과정을 거쳐 관계를 발급하였던 기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계아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학자는?

  1. 정약용
  2. 유진억
  3. 이기
  4. 서유구
(정답률: 91%)
  • 위 그림은 이기의 "동의보감"에서 인용된 것이다. 이기는 조선시대의 역사학자이며, "동의보감"은 조선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책이다. 이 책에서 이기는 조선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록하였다. 따라서, 이기는 조선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조선시대의 속대전(續大典)에 따르면 양안(量案)에서 토지의 위치로서 동, 서, 남, 북의 경계를 표시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1. 자번호
  2. 사주(四柱)
  3. 사표(四標)
  4. 주명(主名)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시대의 속대전에서 양안(量案)은 토지의 경계를 정확히 표시하기 위한 문서였습니다. 이 양안에서 동, 서, 남, 북의 경계를 표시한 것을 사표(四標)라고 하였습니다. 사표는 "네 개의 기둥"이라는 뜻으로, 토지의 경계를 정확히 표시하기 위해 동, 서, 남, 북의 방향에 기둥을 세워 경계를 표시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표(四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토지등록업무가 공정성과 신빙성에 관여할 필요도 없고 관여해서도 안 되는 구매자를 위한 유일한 정보의 기초라고 하는 토렌스시스템의 기본 이론은?

  1. 거울이론
  2. 커튼이론
  3. 보험이론
  4. 공신이론
(정답률: 80%)
  • 커튼이론은 토지등록업무에서 구매자를 위한 유일한 정보의 기초는 판매자의 신뢰성이 아니라 토지의 위치와 경계 등의 물리적인 정보에 있다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공정성과 신빙성에 관여할 필요도 없고 관여해서도 안 되는 구매자를 위한 유일한 정보의 기초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토지조사사업의 조사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가의 조사
  2. 토지소유권의 조사
  3. 지압의 조사
  4. 지형ㆍ지모의 조사
(정답률: 60%)
  • 지압의 조사는 토지의 지반 상태를 조사하는 것으로,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토지조사사업의 조사내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지가의 조사는 토지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 토지소유권의 조사는 토지의 소유자를 파악하는 것, 지형ㆍ지모의 조사는 토지의 지형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다음 중 대한지적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한지적공사는 지적측량과 지적제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한다.
  2. 대한지적공사가 정관을 변경하려면 행정안전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3. 대한지적공사의 사업에는 지적측량에 관한 외국기술의 도입과 국외진출사업 및 국제교류협력 업무도 포함된다.
  4. 대한지적공사는 법인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한지적공사는 법인으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대한지적공사가 정관을 변경하려면 행정안전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이유는, 대한지적공사가 국가기관으로서 행정안전부에 소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한지적공사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행정안전부의 규정에 따라 결정되며, 정관 변경도 행정안전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토지소유자는 등록전환할 토지가 있는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최대 몇 일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등록전환을 신청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60일
  4. 90일
(정답률: 80%)
  • 토지소유자가 등록전환할 토지가 있는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최대 60일 이내에 지적소관청에 등록전환을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등록전환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제한 기간으로, 60일 이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축척변경에 관한 측량에 따른 청산금의 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소관청은 축척변경에 관한 측량을 한 결과 측량 전에 비하여 면적의 증감이 있는 경우 그 증감면적에 대하여 청산을 하여야 한다.
  2. 청산을 할 때에는 축척변경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지번별 제곱미터당 금액을 정하여야 한다.
  3. 청산금의 결정을 공고한 날부터 20일 이내에 토지소유자에게 청산금의 납부고지 또는 수령통지를 하여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을 지급받을 자가 청산금을 받기를 거부한 때에는 그 청산금을 공탁할 수 없다.
(정답률: 60%)
  •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을 지급받을 자가 청산금을 받기를 거부한 때에는 그 청산금을 공탁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지적소관청은 청산금을 지급받을 자가 청산금을 받기를 거부한 경우에도 그 청산금을 공탁할 수 있다. 이는 지적법 제45조에 근거하여 지적소관청이 청산금을 공탁할 수 있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손해배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대한지적공사가 가입하여야 하는 보증보험 금액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억원 이상
  2. 5억원 이상
  3. 10억원 이상
  4. 20억원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손해배상책임 보증보험은 대한지적공사가 발생시킬 수 있는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보장하는 보험입니다. 대한지적공사는 부동산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 정보의 오류나 부정확성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해배상책임이 크기 때문에 보증보험 가입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대한지적공사가 가입해야 하는 보증보험 금액 기준은 최소 20억원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미등기 토지에 대하여 토지소유자의 성명, 주민 등록번호, 주소 등에 관한 사항의 정적을 신청한 경우로서 그 등록사항이 명백히 잘못된 경우 지적소관청이 참고하여야 하는 서류에 해당하는 것은?

  1. 등기필증
  2. 등기부등본
  3. 등기전산정보
  4. 가족관계 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
(정답률: 알수없음)
  • 미등기 토지에 대한 등록사항의 정정을 신청한 경우, 토지소유자의 인적 사항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이때 필요한 서류는 해당 토지소유자의 가족관계 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이다. 이 증명서는 해당 인물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미등기 토지에 대한 등록사항의 정정을 위해 필수적으로 제출되어야 하는 서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토지소유자가 하여야 하는 신청을 대신할 수 없는 자는?

  1. 민법 제404조에 따른 채권자
  2. 주택법에 따른 공동주택의 부지인 경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관리인(관리인이 없는 경우에는 공유자가 선임한 대표자) 또는 해당 사업의 시행자
  3.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취득하는 토지인 경우 해당 사업의 시행자
  4. 공공사업 등에 따라 학교용지ㆍ도로ㆍ철도용지ㆍ제방ㆍ하천ㆍ구거ㆍ유지ㆍ수도용지 등의 지목으로 되는 토지의 경우 해당 사업의 시행자
(정답률: 34%)
  • 정답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취득하는 토지인 경우 해당 사업의 시행자"입니다. 이유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토지를 취득하는 경우 해당 사업의 시행자가 되기 때문에, 그들은 자신들이 취득한 토지에 대한 신청을 직접 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채권자, 공동주택의 관리인 또는 대표자, 그리고 공공사업 등의 시행자가 대신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허가구역에 있는 토지에 관한 토지거래계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다.)

  1. 토지거래계약은 토지에 관한 소유권 뿐 아니라 대가를 받고 지상권을 이전하거나 설정하는 계약을 포함한다.
  2. 토지거래계약은 토지에 관한 소유권의 상속의 경우도 포함한다.
  3. 토지거래계약은 토지를 단순히 증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4. 토지거래계약을 체결하려는 당사자 중 일방의 허가만 받으면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거래계약은 토지에 관한 소유권 뿐 아니라 대가를 받고 지상권을 이전하거나 설정하는 계약을 포함한다.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다. 따라서, 토지거래계약은 단순히 소유권의 이전 뿐 아니라 지상권의 이전이나 설정, 대가를 받고 토지를 임대하는 경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지거래계약은 토지에 관한 소유권의 상속의 경우도 포함하지만, 단순히 증여하는 경우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토지거래계약을 체결하려는 당사자 중 일방의 허가만 받으면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바다로 된 토지의 등록말소 및 회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소유자는 지적공부의 등록말소 신청을 하도록 통지를 받은 날부터 90일 이내에 등록말소신청을 하여야 한다.
  2. 토지소유자가 기간 내에 등록말소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공유수면 관리청이 신청을 대신할 수 있다.
  3. 지적소관청은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을 말소하거나 회복등록하였을 때에는 그 정리 결과를 토지소유자 및 해당 공유수면의 관리청에 통지하여야 한다.
  4. 지적소관청이 회복등록을 하려면 그 지적측량성과 및 등록말소 당시의 지적공부 등 관계 자료에 따라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소유자가 기간 내에 등록말소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공유수면 관리청이 신청을 대신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토지소유자가 등록말소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유수면 관리청이 대신하여 등록말소신청을 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등기관이 토지에 관한 등기를 하였을 때 지적공부소관청에 지체없이 그 사실을 알려야 하는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유권의 보존
  2. 소유권의 등록
  3. 소유권의 경정
  4. 소유권의 말소
(정답률: 34%)
  • 정답은 "소유권의 등록"입니다. 소유권의 등록은 등기관에서 소유권을 등기하는 것을 말하며, 등기된 소유권은 보존되고 경정되며 말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기관이 토지에 관한 등기를 하였을 때 지적공부소관청에 지체없이 알려야 하는 대상은 "소유권의 보존", "소유권의 경정", "소유권의 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대지권등록부의 등록사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지의 소재
  2. 대지권 비율
  3. 소유자의 성명
  4. 개별공시지가
(정답률: 64%)
  • 개별공시지가는 대지권등록부에 등록되지 않는다. 대지권등록부는 토지의 소재, 대지권 비율, 소유자의 성명 등을 등록하는데, 개별공시지가는 부동산 거래 시 참고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되지만 대지권 등록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중앙지적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원장 부위원장을 포함하여 5명 이상 1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위원장은 국토해양부의 지적업무 담당 국장이 된다.
  3. 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포함한 임원의 임기는 2년이다.
  4. 지적측량에 대한 적부심사 청구사항을 심의ㆍ의결하기 위해 국토해양부에 마련된 기구다.
(정답률: 70%)
  • "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포함한 임원의 임기는 2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장 및 부위원장의 임기는 3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축척변경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원장은 위원 중 3분의 2 이상을 지지를 받은 자를 지적소관청이 임명한다.
  2. 위원은 해당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로서 지역사정에 정통한 사람, 지적에 관하여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 중에서 위촉한다.
  3. 5명 이상 1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의 2분의 1 이상을 토지소유자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위원의 2분의 1 이상을 토지소유자로 하여야 한다. - 축척변경위원회의 위원은 해당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소유자로서 지역사정에 정통한 사람, 지적에 관하여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 중에서 위촉되므로, 모든 위원이 토지소유자일 필요는 없다.

    위원장은 위원 중 3분의 2 이상을 지지를 받은 자를 지적소관청이 임명한다. - 위원장은 위원 중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받아야 하므로, 위원들 간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재가 선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국가가 국가를 위하여 하는 등기로 보는 등기촉탁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번변경에 따른 토지의 표시 변경
  2. 신규에 따른 토지의 표시 변경
  3. 축척변경에 따른 토지의 표시 변경
  4. 지적공부 등록사항의 정정에 따른 토지의 표시 변경
(정답률: 90%)
  • 정답: "축척변경에 따른 토지의 표시 변경"

    신규에 따른 토지의 표시 변경은 새로운 토지가 생성되거나 기존 토지가 분할, 합병 등으로 변경될 때 발생하는 등기촉탁 사유이다. 이에 따라 지적도 등에 해당 토지의 변경된 경계와 면적 등이 반영되어 등기가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합병하고자 하는 4필지의 지번이 99-1, 100-10, 222, 325인 경우 지번의 결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토지소유자가 별도의 신청을 하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

  1. 99-1로 한다.
  2. 100-1로 한다.
  3. 222로 한다.
  4. 325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번의 결정 방법은 대지위치, 대지면적, 대지형상, 대지이용상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4필지의 지번 중에서 대지위치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222번지는 다른 지번과 달리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합병 후 대지의 위치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22로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고속도로 휴게소 부지의 지목으로 옳은 것은?

  1. 도로
  2. 공원
  3. 주차장
  4. 잡종지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도로 휴게소 부지의 지목은 "도로"이다. 이는 고속도로 휴게소가 고속도로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들의 휴식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지역은 도로의 일부분으로 분류되며, 공원이나 주차장, 잡종지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지적측량 적부심사 의결서 통지받은 자가 지방지적위원회의 의결에 불복하는 경우에는 그 의결서를 받은 날부터 몇 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는가?

  1. 7일 이내
  2. 30일 이내
  3. 60일 이내
  4. 90일 이내
(정답률: 60%)
  • 지적측량 적부심사 의결서는 지적도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중요한 문서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재심사 청구 기간은 충분히 주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지적측량 적부심사 의결서 통지받은 자가 지방지적위원회의 의결에 불복하는 경우에는 90일 이내에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원칙적으로 등기관을 지정하는 자는?

  1. 대법원장
  2. 고등법원장
  3. 지적소관청
  4. 지방법원장
(정답률: 50%)
  • 원칙적으로 등기관을 지정하는 자는 지방법원장입니다. 이는 지방법원이 지역 내 모든 부동산 등기를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장과 고등법원장은 상급법원에 해당하며, 지적소관청은 지적재산권 등기를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등기원인의 무효나 취소로 인한 등기의 말소 또는 회복의 소가 제기된 경우에 한하여 실시하는 등기는?

  1. 가등기
  2. 예고등기
  3. 부기등기
  4. 회복등기
(정답률: 34%)
  • 등기원인의 무효나 취소로 인한 등기의 말소 또는 회복의 소가 제기된 경우에는 해당 등기의 상태가 불확실하므로, 이후 등기가 발생할 때까지 예고 등기를 실시하여 등기의 효력을 보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예고등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지역은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해 체계적인 개발ㆍ정비ㆍ관리ㆍ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2. 도시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3. 농림지역은 도시지역에 속하지 아니하는 농지법에 따른 농업진흥지역 또는 산지관리법에 따른 보전산지 등으로 농림업을 진흥시키고 산림을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4. 자연녹지보전지역은 자연환경ㆍ수자원ㆍ해안ㆍ생태계ㆍ상수원 및 문화재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ㆍ육성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정답률: 55%)
  • "도시지역은 도시지역의 인구와 산업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업의 진흥, 자연환경 또는 산림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도시지역은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 있거나 밀집이 예상되어 그 지역에 대해 체계적인 개발ㆍ정비ㆍ관리ㆍ보전 등이 필요한 지역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합병 신청이 제한되는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병하려는 각 필지의 지목은 같으나 일부 토지의 용도가 다르게 되어 분할대상 토지인 경우
  2. 합병하려는 토지의 지적도 및 임야도의 축척이 서로 다른 경우
  3. 합병하려는 토지 전부에 접수번호는 다르나 등기원인이 동일한 저당권의 등기가 있는 경우
  4. 합병하려는 토지의 소유자별 공유지분이 다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합병하려는 토지 전부에 접수번호는 다르나 등기원인이 동일한 저당권의 등기가 있는 경우가 제한되는 경우가 아닙니다. 이 경우에도 합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