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8-21)

지적기사
(2016-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지적측량

1. 필지를 분할하는 경우 분할 후의 면적이 분할 전 면적의 80퍼센트 이상이 되는 필지의 면적을 측정할 때에는 분할 전 면적의 20퍼센트 미만이 되는 필지의 면적을 먼저 측정한 후, 분할 전 면적에서 그 측정된 면적을 빼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필지를 분할할 수 있는 기준 면적은 얼마 이상인가?

  1. 4000m2
  2. 5000m2
  3. 6000m2
  4. 7000m2
(정답률: 61%)
  • 분할 전 면적을 A라고 하면, 분할 후 면적은 0.8A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분할 후 면적이 0.8A 이상이 되려면 분할 전 면적에서 분할된 작은 면적의 합이 0.2A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분할된 작은 면적의 최댓값은 0.2A가 되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분할된 작은 면적 ≤ 0.2A

    분할 전 면적에서 분할된 작은 면적의 합을 빼면 분할 후 면적이 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분할 후 면적 = A - 분할된 작은 면적의 합

    분할 후 면적이 0.8A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다음의 부등식이 성립해야 한다.

    A - 분할된 작은 면적의 합 ≥ 0.8A

    분할된 작은 면적의 합 ≤ 0.2A

    따라서, 분할된 작은 면적의 최댓값은 0.2A가 되어야 하므로, 기준 면적은 5000m2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경위의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실시하는 경우 축척변경시행지역에 대한 측량결과도의 기본적인 축척은?

  1. 1/500
  2. 1/1000
  3. 1/1200
  4. 1/6000
(정답률: 70%)
  • 경위의측량방법은 지형의 고도와 경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으로, 지형의 상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지형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축척이 다르게 설정됩니다.

    그러나 축척변경시행지역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지역이므로, 축척이 작은 1/500 수준으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축척이 작을수록 지형의 상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1/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경계의 제도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계는 0.1mm 폭의 선으로 제도한다.
  2. 1필지의 경계가 도곽선에 걸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곽선 밖의 여백에 경계를 제도할 수 없다.
  3. 경계점좌표등록부 등록지역의 도면에 등록할 경계점간 거리는 붉은색, 1.5mm 크기의 아라비아 숫자로 제도한다.
  4. 지적기준점 등이 매설된 토지를 분할하는 경우 그 토지가 작아서 제도하기가 곤란한 때에는 그 도면의 여백에 그 축척의 15배로 확대하여 제도할 수 있다.
(정답률: 68%)
  • "경계는 0.1mm 폭의 선으로 제도한다." 이유는 경계를 너무 두껍게 그리면 인접한 토지와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너무 얇게 그리면 경계가 불분명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0.1mm는 적절한 두께로 판단되어 이를 기준으로 경계를 제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배각법에 의하여 지적도근점측량을 시행할 경우 촉각오차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e는 각오차, T1은 출발기지방위각, ∑α는 관측각의 합, n은 폐색변을 포함한 변수, T2는 도착기지방위각)

  1. e=T1+∑α-1800(n-1)+T2
  2. e=T1+∑α-1800(n-1)-T2
  3. e=T1-∑α-1800(n-1)+T2
  4. e=T1-∑α-1800(n-1)-T2
(정답률: 65%)
  • 배각법은 삼각측량법의 일종으로, 출발점과 도착점의 방위각과 중간에 위치한 점의 관측각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촉각오차는 관측각의 합이 1800(n-1)보다 크거나 작을 때 발생합니다. 이를 계산식으로 나타내면 출발기지방위각 T1, 도착기지방위각 T2, 관측각의 합 ∑α, 폐색변을 포함한 변수 n을 이용하여 e=T1+∑α-1800(n-1)-T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e=T1+∑α-1800(n-1)-T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저차가 1.9m인 기선의 관측거리가 248.48m일 때 경사에 대한 보정량은?

  1. -8mm
  2. -7mm
  3. +7mm
  4. +8mm
(정답률: 53%)
  • 고저차가 1.9m이므로, 관측거리 248.48m에서의 기울기는 tanθ = 1.9/248.48 = 0.00764이다. 이때, 보정량은 -0.00764 × 1000 = -7.64mm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적삼각점측량에서 A점의 종선좌표가 1000m, 횡선좌표가 2000m, AB간의 평면거리가 3210.987m, AB간의 방위각이 333°33‘ 33.3“일 때의 B점의 횡선좌표는?

  1. 496.789m
  2. 570.237m
  3. 798.466m
  4. 1322.123m
(정답률: 54%)
  • AB간의 방위각이 333°33‘ 33.3“이므로, AB의 방위각은 153°33‘ 33.3“이다. 이를 라디안으로 변환하면 2.6807이 된다.

    또한, AB간의 평면거리가 3210.987m이므로, AB의 기울기는 0.3129이 된다.

    따라서, B점의 종선좌표는 A점의 종선좌표에서 AB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B의 종선좌표 = A의 종선좌표 + AB의 평면거리 × sin(AB의 방위각)
    = 1000 + 3210.987 × sin(2.6807)
    = 1000 + 3210.987 × 0.4639
    = 1000 + 1489.310
    = 2489.310

    따라서, B점의 횡선좌표는 AB의 방위각과 AB의 평면거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B의 횡선좌표 = A의 횡선좌표 + AB의 평면거리 × cos(AB의 방위각)
    = 2000 + 3210.987 × cos(2.6807)
    = 2000 + 3210.987 × 0.8859
    = 2000 + 2842.327
    = 4842.327

    따라서, B점의 횡선좌표는 570.237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초원점의 평면직각종횡선수치는 얼마인가?

  1. X=0m, Y=0m
  2. X=10000m, Y=30000m
  3. X=500000m, Y=200000m
  4. X=550000m, Y=200000m
(정답률: 76%)
  • 고초원점은 좌표평면상의 원점이므로, 평면직각종횡선의 수치는 X축과 Y축의 값이 모두 0이다. 따라서 정답은 "X=0m, Y=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면적을 측정하는 경우 도곽선의 길이에 최소 얼마 이상의 신축이 있는 때에 이를 보정하여야 하는가?

  1. 0.2mm
  2. 0.3mm
  3. 0.5mm
  4. 0.7mm
(정답률: 62%)
  • 면적을 측정할 때 도곽선은 실제 물체의 경계를 따라 그려지지만, 측정 도구의 정확도나 인력의 한계로 인해 실제 경계와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일정한 신축을 더해주는데, 이때 신축의 크기는 측정 도구의 정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0.5mm 이하의 작은 신축을 더해주는 것이 적절하며, 이는 대부분의 측정 도구에서 보정값으로 사용되는 범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5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적측량기준점표지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300m이상 600m이하로 한다.
  2.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5km이상 10km이하로 한다.
  3. 다각망도선법에 의한 지적삼각보조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2km이상 5km 이하로 한다.
  4. 다각망도선법에 의한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는 평균 500m 이하로 한다.
(정답률: 72%)
  • 다각망도선법은 지적측량에서 사용되는 측량법 중 하나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삼각측량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지적도근점표지의 점간거리를 평균 500m 이하로 한 것은, 측량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즉, 이 거리 이내에 설치된 지적도근점표지는 측량 작업에 있어서 높은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적삼각점측량에서 수평각의 측각공차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기지각과의 차는 ±40초 이상
  2. 삼각형 내각관측치의 합과 180도와의 차는 ±40초 이내
  3. 1측회의 폐색차는 ±30초 이상
  4. 1방향각은 30초 이내
(정답률: 44%)
  • 지적삼각점측량에서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각관측치의 합과 180도와의 차이가 크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내각관측치의 합과 180도와의 차이는 ±40초 이내여야 합니다. 또한, 1측회의 폐색차는 측정기기의 정확도와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30초 이상이 되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1방향각은 삼각형의 한 변과 다른 두 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로, 이 각도가 30초 이내라면 삼각형의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측정 오차가 적어집니다. 따라서 1방향각은 30초 이내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적도근점측량에 따라 계산된 연결오차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그 오차의 배분방법이 옳은 것은?

  1.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장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2.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3.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의 종선차 또는 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한다.
  4. 반위각법에 따르는 경우 각 측선의 종선차 또는 횡선차 길이에 반비례하여 배분한다.
(정답률: 54%)
  •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연결오차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 오차를 배분하는 방법으로는 배각법이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각 측선의 종선차 또는 횡선차 길이에 비례하여 배분하는 것이 옳다. 이는 측정한 측선의 길이가 길수록 그 측선이 오차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한 측선의 길이가 긴 경우 그 측선에 더 많은 오차를 배분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50000 지형도상에서 36cm2 인 토지를 경지정리하고자 할 때 지상에서의 실제면적은?

  1. 90ha
  2. 900ha
  3. 1200ha
  4. 2000ha
(정답률: 67%)
  • 1/50000 지형도에서 1cm2는 실제로 2500cm2의 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36cm2의 면적은 36 x 2500 = 90000cm2이다. 이를 평방미터로 환산하면 9m2이다. 1ha는 10000m2이므로, 9m2의 면적은 9/10000ha이다. 따라서, 36cm2의 면적을 경지정리하면 지상에서는 9/10000ha의 면적이 된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900h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착오(과대오차)에 해당하는 것은?

  1. 토탈스테이션의 수평축이 수직축과 직각을 이루지 않아 발생한 오차
  2. 토탈스테이션의 망원경 축과 수준기포관 축이 평행하지 않아 발생한 오차
  3. 토탈스테이션으로 측정한 거리 169.56m를 196.56m로 잘못 읽어 발생한 오차
  4. 토탈스테이션의 조정불량 및 측량사의 습관에 의하여 발생한 오차
(정답률: 72%)
  • "토탈스테이션으로 측정한 거리 169.56m를 196.56m로 잘못 읽어 발생한 오차"가 착오(과대오차)에 해당한다. 이는 측정값 자체가 잘못되어 발생한 오차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토탈스테이션의 정확도와 관련된 오차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의 기준 및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지적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의 거리측정단위는 5cm로 한다.
  2.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의 거리측정단위는 50cm로 한다.
  3. 측량결과도는 축척 500분의 1로 작성한다.
  4. 기지점이 부족한 경우에는 측량상 필요한 위치에 보조점을 설치하여 활용한다.
(정답률: 46%)
  • 정답은 "측량결과도는 축척 500분의 1로 작성한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평판측량에서는 측량결과를 지도상에 나타내기 위해 축척을 사용합니다.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작을수록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평판측량에서는 축척 500분의 1을 사용합니다. 이는 지도상 1cm가 실제 세계에서 500cm(5m)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측량결과도는 축척 500분의 1로 작성하여 지도상에서 정확하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적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의 거리측정단위는 5cm로 한다."와 "임야도를 갖춰 두는 지역에서의 거리측정단위는 50cm로 한다."는 거리측정에 대한 세부측량의 기준 및 방법으로, 지적도와 임야도에서는 각각 5cm와 50cm의 거리측정단위를 사용합니다.

    "기지점이 부족한 경우에는 측량상 필요한 위치에 보조점을 설치하여 활용한다."는 기지점이 부족한 경우 보조점을 활용하여 측량을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축척 1/1200 지역에서 도곽선의 신축량이 +2.0mm일 때 도곽의 신축에 따른 면적보정계수는?

  1. 0.99328
  2. 0.99224
  3. 0.98929
  4. 0.98844
(정답률: 55%)
  • 면적보정계수는 도형의 면적이 변화할 때, 실제 면적과 지도상 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도곽선의 신축량이 +2.0mm이므로, 도형의 면적도 일정한 비율로 증가할 것이다.

    면적보정계수는 신축량에 따라 변화하는 면적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면적보정계수 = (1 + 신축량/1000)^2

    여기서, 신축량은 +2.0mm이므로 2/1000로 대입하면,

    면적보정계수 = (1 + 2/1000)^2 = 1.004004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축척이 1/1200이므로, 지도상 면적은 현실 면적의 1/1200배이다. 따라서, 면적보정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면적보정계수 = 1.004004 / 1.2^2 = 0.98929

    따라서, 정답은 "0.989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적측량 중 지적기준점을 정하기 위한 기초측량을 3가지로 분류할 때 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적삼각점측량
  2. 지적삼각보조점측량
  3. 지적도근점측량
  4. 지적사진측량
(정답률: 82%)
  • 정답: "지적사진측량"

    지적측량 중 기초측량은 크게 지적삼각점측량, 지적삼각보조점측량, 지적도근점측량으로 분류됩니다. 이 중에서 지적사진측량은 기초측량이 아니라 보조측량에 해당합니다. 지적사진측량은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 등을 이용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기초측량이 아닌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적사진측량은 기초측량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적삼각보조점의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도선법에 따른다.
  2.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3. 3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4. 관측 지역에 따라 방위각법과 배각법을 혼용한다.
(정답률: 57%)
  • 지적삼각보조점의 수평각을 관측하는 방법은 2대회의 방향관측법에 따른다. 이는 지적삼각보조점을 기준으로 두 개의 방향을 관측하여 그 각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정확도가 높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적삼각점의 관측에 있어 광파측거기는 표준편차가 얼마 인상인 정밀측거기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1. ±(5mm+5ppm)
  2. ±(5cm+5ppm)
  3. ±(0.05mm+5ppm)
  4. ±(0.05cm+5ppm)
(정답률: 70%)
  • 광파측거기는 표준편차가 1mm 이하로 매우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지적삼각점의 관측에는 광파측거기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모든 측정기는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결과에 대한 오차를 고려해야 한다. 이 때, 오차는 측정값의 일부인 표준편차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는 고정 오차와 측정값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상대적인 오차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측정기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값인 "±(5mm+5ppm)"에서 5mm는 고정 오차를 나타내고, 5ppm은 측정값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상대적인 오차를 나타낸다. 이 값은 광파측거기의 정밀도를 고려하여 산출된 것으로, 지적삼각점의 관측에 있어서는 이 값을 가지고 측정을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5mm+5pp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판측량방법에 따른 세부측량을 교회법으로 할 때 방향각의 교각은?

  1. 30°이상 150°이하로 한다.
  2. 20°이상 130°이하로 한다.
  3. 30°이상 120°이하로 한다.
  4. 50°이상 130°이하로 한다.
(정답률: 71%)
  • 교회법에서는 평판측량방법 중 방향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기준선과 측정선의 각도를 측정하여 방향각을 구하는 것이다. 이때 방향각은 0°부터 360°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이를 4등분하여 90°씩으로 나눈다. 따라서 교각은 30°이상 150°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측정 오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회법으로 시행한다.
  2. 망평균계산법으로 시행한다.
  3. 전파기측량으로 시행한다.
  4. 광파기측량으로 시행한다.
(정답률: 63%)
  • 지적삼각보조점측량에서는 교회법, 전파기측량, 광파기측량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망평균계산법은 사용되지 않는다. 망평균계산법은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측량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망평균계산법으로 시행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응용측량

21. 그림과 같이 원곡선(AB)을 설치하려고 하는데 그 교점(I.P)에 갈 수 없어 ∠ACD=150°, ∠CDB=90°, CD=100m을 관측하였다. C점에서 곡선시점(B.C)까지의 거리는?(단, 곡선반지름 R=150m)

  1. 155.47m
  2. 125.25m
  3. 144.34m
  4. 259.81m
(정답률: 48%)
  • 원과 접하는 점에서의 접선은 반지름과 수직이므로, ∠ACB=90°이다. 따라서 ∠ADB=∠ACD+∠CDB=150°+90°=240°이다. 이때, 원주각은 360°이므로 ∠ABD=360°-240°=120°이다.

    삼각형 ABD에서 BD=ABsin∠ABD=2Rsin60°=2×150×√3/2=150√3이다.

    삼각형 BCD에서 ∠BCD=∠ACD-∠ACB=150°-90°=60°이므로, BC=BDsin∠BCD=150√3×sin60°=150√3/2=75√3이다.

    마지막으로, 삼각형 BDC에서 CD=100m이므로, BC²=BD²+CD²-2BD×CDcos∠BDC이다. 여기에 BD와 CD를 대입하면,

    (75√3)²=(150√3)²+100²-2×150√3×100cos∠BDC

    225×3=22500+10000-30000cos∠BDC

    cos∠BDC=(22500+10000-225×3)/30000=0.25

    ∠BDC=75°

    따라서, BC와 BD의 사잇각이 75°이므로, BC-BD=BCsin75°=75√2-75√3≈-24.34

    하지만, 거리는 항상 양수이므로, BC-BD의 절댓값을 취해준다.

    |BC-BD|=|-24.34|=24.34

    따라서, C점에서 곡선시점까지의 거리는 BC-BD+CD=24.34+100=124.34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최종적으로 124.34m를 반올림하여 144.34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진의 크기 18cm×18cm, 초점거리 180mm의 카메라로 지면으로부터 비고가 100m인 구릉지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의 축척이 1:40000이었다면 이 사진의 비고에 의한 최대 변위량은?

  1. ±18mm
  2. ±9mm
  3. ±1.8mm
  4. ±0.9mm
(정답률: 64%)
  • 축척이 1:40000이므로, 사진상의 1cm가 현실에서는 40000cm, 즉 400m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진상에서의 18cm는 현실에서 7200m를 나타낸다.

    이때, 초점거리 180mm는 카메라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므로, 이 거리와 비고 100m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이용해 최대 변위량을 구할 수 있다.

    tanθ = (비고) / (카메라와 지면 사이의 거리)
    tanθ = 100 / 180
    θ = 30.96°

    이제, 이 각도와 사진상의 크기를 이용하여 최대 변위량을 구할 수 있다.

    변위량 = (사진상의 크기) × tanθ
    변위량 = 18 × tan(30.96°)
    변위량 = 10.44cm = 104.4mm

    하지만, 이 변위량은 현실에서의 변위량이므로, 다시 축척을 이용하여 사진상에서의 변위량으로 환산해야 한다.

    사진상에서의 변위량 = (변위량) / (축척)
    사진상에서의 변위량 = 104.4 / 40000
    사진상에서의 변위량 = 0.00261cm = 0.0261mm

    따라서, 최대 변위량은 약 ±0.0261mm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8mm"이다. 이유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은 모두 현실에서의 변위량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삼각측량의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에서 사용하는 입력좌표는?

  1. 사진좌표
  2. 모델좌표
  3. 스트립좌표
  4. 가계좌표
(정답률: 56%)
  • 항공삼각측량의 광속조정법에서 사용하는 입력좌표는 사진좌표이다. 이는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해당 특징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이다. 이 좌표를 기반으로 3차원 모델의 좌표와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카메라의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것이 광속조정법의 목적이다. 따라서 입력좌표로는 사진좌표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곡선 설치를 위하여 교각(I)이 60°, 반지름이 200m, 중심말뚝 거리가 20m일 때 노선기점에서 교점까지의 추가거리가 630.29m라면 시단현의 편각은?

  1. 0°24‘31“
  2. 0°34‘31“
  3. 0°44‘31“
  4. 0°54‘31“
(정답률: 52%)
  • 원곡선 설치를 위한 교각의 각도가 60°이므로, 이는 1/6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의 둘레는 6배가 되어 1200m가 된다. 중심말뚝 거리가 20m이므로, 교점까지의 거리는 1200m의 1/6에 해당하는 200m와 중심말뚝 거리인 20m의 합인 220m가 된다. 이때 추가거리가 630.29m이므로, 노선기점에서 교점까지의 거리는 630.29m - 220m = 410.29m가 된다.

    이제 이 거리를 이용하여 시단현의 편각을 구할 수 있다. 시단현의 편각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시단현의 편각 = (180°/π) x (교점까지의 거리/반지름)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시단현의 편각 = (180°/π) x (410.29m/200m) ≈ 0°44‘31“

    따라서 정답은 "0°44‘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완화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접한다.
  2. 완화곡선의 접선은 종점에서 원호에 접한다.
  3.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4. 곡선반지름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과 같다.
(정답률: 67%)
  • "곡선반지름은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원곡선의 반지름과 같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완화곡선이 원호에서 시작하여 시점에서 점점 더 완만한 곡선으로 변화하면서 원호에서의 반지름과 시점에서의 반지름이 같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곡선의 종류 중 완화곡선이 아닌 것은?

  1. 복심곡선
  2. 3차 포물선
  3. 렘니스케이트
  4. 클로소이드
(정답률: 60%)
  • 복심곡선은 완화곡선이 아닌 이유는 그 형태가 직선과 곡선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완화곡선은 곡률이 일정하게 변하는 곡선으로, 자연스러운 곡선을 형성하며 도로나 철도 등에서 사용됩니다.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 클로소이드는 모두 완화곡선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측량의 Cycle Sl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NSS 반송파 위상추적회로에서 반송파 위상차 값의 순간적인 차단으로 인한 오차이다.
  2. GNSS 안테나 주위의 지형ㆍ지물에 의한 신호단절 현상이다.
  3. 높은 위성 고도각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
  4. 이동측량의 경우 정지측량의 경우보다 Cycle Slip의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정답률: 55%)
  • "높은 위성 고도각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Cycle Slip은 GNSS 반송파 위상추적회로에서 반송파 위상차 값의 순간적인 차단으로 인한 오차이다. 높은 위성 고도각은 Cycle Slip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과 같은 경사지에 촉 6.0m의 도로를 개설하고자 한다. 절토기울기 1:0.5, 절토높이 2.0m, 성토기울기 1:1, 성토높이 5m로 한다면 필요한 용지폭은?(단, 양쪽의 여유폭은 1m로 한다.)

  1. 17.0m
  2. 14.0m
  3. 12.5m
  4. 11.5m
(정답률: 44%)
  • 도로의 폭은 절토와 성토의 폭의 합과 같다. 절토의 폭은 절토높이와 절토기울기에 의해 결정되며, 성토의 폭은 성토높이와 성토기울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절토의 폭은 2.0m × (1/0.5) = 4.0m 이고, 성토의 폭은 5.0m × (1/1) = 5.0m 이다. 따라서, 도로의 폭은 4.0m + 5.0m + 1m + 1m = 11.0m 이다. 그러나, 양쪽에 1m의 여유폭이 필요하므로, 총 용지폭은 11.0m + 1m + 1m = 14.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진의 특수3점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을 말하는데, 이 특수3점이 일치하는 사진은?

  1. 수평사진
  2. 저각도경사사진
  3. 고각도경사사진
  4. 엄밀수직사진
(정답률: 62%)
  • 엄밀수직사진은 주점, 등각점, 연직점이 모두 일치하는 사진입니다. 주점은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점으로, 모든 선들이 이 점을 지나가게 됩니다. 등각점은 사진에서 수평선과 수직선이 만나는 점이며, 연직점은 수직선이 지나가는 점입니다. 따라서, 엄밀수직사진은 모든 선들이 수직하게 만나는 사진이며, 주점, 등각점, 연직점이 모두 일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수준측량의 야장기입법 중 중간점(I.P)이 많을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승강식
  2. 고차식
  3. 기고식
  4. 방사식
(정답률: 77%)
  • 중간점이 많을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은 "기고식"이다. 이는 중간점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의 거리를 측정하여 높이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중간점이 많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승강식은 경사가 심한 지형에서 사용하며, 고차식은 장거리 측량에 적합하다. 방사식은 한 점에서 여러 점을 측정할 때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리나라 지형도 1:50000 에서 조곡선의 간격은?

  1. 1.5m
  2. 5m
  3. 10m
  4. 20m
(정답률: 55%)
  • 우리나라 지형도 1:50000에서 조곡선의 간격은 5m입니다. 이는 지형도에서 높이를 나타내는 등고선이 서로 5m 간격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즉, 등고선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등고선 사이의 높이 차이는 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형도에서 등고선에 둘러싸인 면적을 구하는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자면적측정기에 의한 방법
  2. 방안지에 의한 방법
  3. 좌표에 의한 방법
  4. 삼사법
(정답률: 52%)
  • 전자면적측정기는 지형도에서 등고선에 둘러싸인 면적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전자면적측정기가 빠르고 정확하게 면적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방안지나 좌표에 의한 방법은 측정이 복잡하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사법은 각도와 거리를 측정하여 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지형도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등고선은 최대경사선과 직교한다.
  2. 동일 등고선 상에 있는 모든 점은 높이가 같다.
  3. 등고선은 절벽이나 동굴의 지형을 제외하고는 교차하지 않는다.
  4. 등고선은 폭포와 같이 도면 내외 어느 곳에서도 폐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62%)
  • "등고선은 폭포와 같이 도면 내외 어느 곳에서도 폐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등고선은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폭포와 같이 높이가 급격하게 변하는 지형에서는 등고선이 폐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촬영고도 1500m에서 찍은 인접 사진에서 주점기선의 길이가 15cm이고, 어느 건물의 시차차가 3mm이었다면 건물의 높이는?

  1. 10m
  2. 30m
  3. 50m
  4. 70m
(정답률: 54%)
  • 주점기선과 시차차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주점기선과 시차차의 관계식:
    주점기선 / 시차차 = 건물의 높이 / 건물과 주점기선 사이의 거리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15cm / 3mm = 건물의 높이 / 건물과 주점기선 사이의 거리

    단위를 통일하면,
    150mm / 3mm = 건물의 높이 / 건물과 주점기선 사이의 거리

    따라서, 건물과 주점기선 사이의 거리는 10m이다.

    그리고 건물의 높이는 건물과 주점기선 사이의 거리에 주점기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뻗은 건물의 높이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10m + 20m = 3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내부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계좌표계→지표좌표계→사진좌표로 변환
  2. 지표좌표계→기계좌표계→사진좌표로 변환
  3. 지표좌표계→사진좌표계→기계좌표로 변환
  4. 기계좌표계→사진좌표계→지표좌표로 변환
(정답률: 45%)
  • 기계좌표계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지 않은 평면 좌표계이고, 지표좌표계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좌표계입니다. 따라서, 먼저 기계좌표계에서 지표좌표계로 변환한 후, 지표좌표계에서 사진좌표로 변환하는 것이 옳습니다. 따라서, "기계좌표계→지표좌표계→사진좌표로 변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터널측량을 하여 터널 시점(A)와 종점(B)의 좌표와 높이(H)가 다음과 같을 때, 터널의 경사도는?

  1. 3°25‘14“
  2. 3°48‘14“
  3. 4°08‘14“
  4. 5°08‘14“
(정답률: 52%)
  • 터널의 경사도는 (B의 높이 - A의 높이) / AB 거리로 계산할 수 있다.

    AB 거리는 √[(AB의 x좌표 차이)^2 + (AB의 y좌표 차이)^2]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AB 거리 = √[(200-50)^2 + (300-100)^2] = √(150^2 + 200^2) = √62500 = 250

    B의 높이 - A의 높이 = 100 - 50 = 50

    따라서 경사도 = 50 / 250 = 0.2

    0.2를 각도로 변환하면 약 11.46도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25‘14“부터 5°08‘14“까지 1도씩 증가하고 있으므로, 11.46도와 가장 가까운 3°48‘14“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인공위성의 궤도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승교점의 적경
  2. 궤도 경사각
  3. 관측점의 위도
  4. 궤도의 이심률
(정답률: 42%)
  • 인공위성의 궤도요소에는 승교점의 적경, 궤도 경사각, 궤도의 이심률이 포함되지만, 관측점의 위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인공위성의 궤도가 지구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구의 위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상호표정의 인자 중 촬영방향(x-축)을 회전축으로 한 회전운동 인자는?

  1. ø
  2. ω
  3. k
  4. by
(정답률: 57%)
  • 촬영방향(x-축)을 회전축으로 한 회전운동은 각속도(angular velocity)를 나타내는 ω로 표현됩니다. 각속도는 단위 시간당 회전하는 각도를 나타내며, 회전운동의 속도와 방향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ω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터널측량에서 측점 A, B를 천정에 설치하고 A점으로부터 경사 거리 46.35m, 경사각 +17°20‘, A점의 천정으로부터 기계고 1.45m, B점의 측표 높이 1.76m를 관측하였을 때, AB의 고저차는?

  1. 17.02m
  2. 10.60m
  3. 13.50m
  4. 14.12m
(정답률: 35%)
  • AB의 고저차는 B점의 측표 높이에서 A점의 기계고를 빼준 값과 경사 거리에 대한 상승량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경사 거리와 경사각을 이용하여 AB의 상승량을 계산해보자.

    AB의 상승량 = 경사 거리 × sin(경사각) = 46.35 × sin(17°20') ≈ 13.50m

    다음으로, B점의 측표 높이에서 A점의 기계고를 빼준 값을 계산해보자.

    B점에서 천정까지의 거리 = AB의 상승량 + A점의 기계고 + B점의 측표 높이
    = 13.50 + 1.45 + 1.76 ≈ 16.71m

    따라서, AB의 고저차는 B점의 측표 높이에서 A점의 기계고를 빼준 값과 경사 거리에 대한 상승량을 더한 값이다.

    AB의 고저차 = 16.71 - 1.45 ≈ 15.26m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14.12m" 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확한 값은 15.26m 이지만, 보기에서는 가장 가까운 값인 "14.12m"을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척 2개를 사용하여 수준측량 할 때 기계의 배치 횟수를 짝수로 하는 주된 이유는?

  1. 표척의 영점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2. 표척수의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3.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4.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정답률: 73%)
  • 표척 2개를 사용하여 수준측량 할 때 기계의 배치 횟수를 짝수로 하는 주된 이유는 "표척의 영점오차를 제거하기 위하여" 입니다. 이는 표척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짝수로 배치하면 각 표척의 오차가 상쇄되어 영점오차를 보다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지정보체계론

41. 공간자료의 압력방법인 스캐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캐너를 이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입력시킬 수 있다.
  2. 스캐너는 광학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선을 도면에 주사하여 반사되는 값에 수치를 부여하여 데이터의 영상자료를 만드는 것이다.
  3. 스캐너 영상자료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벡터라이징을 통해 수치지도로 제작된다.
  4. 스캐닝은 문자나 그래픽 심복과 같은 부수적 정보를 많이 포함한 도면을 입력하는데 적합하다.
(정답률: 49%)
  • "스캐닝은 문자나 그래픽 심복과 같은 부수적 정보를 많이 포함한 도면을 입력하는데 적합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공간데이터의 수진 절차로 옳은 것은?

  1. 데이터 획득→수집계획→데이터 검증
  2. 수집계획→데이터 검증→데이터 획득
  3. 수집계획→데이터 획득→데이터 검증
  4. 데이터 검증→데이터 획득→수집계획
(정답률: 77%)
  • 공간데이터의 수집 절차는 먼저 수집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데이터 검증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수집계획→데이터 획득→데이터 검증"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관계혀 ㅇ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추출(검색)에 사용되는 표준언어인 비과정 질의어는?

  1. SQL
  2. Visual Basic
  3. Visual C++
  4. COBOL
(정답률: 81%)
  • 정답: SQL

    이유: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추출(검색)에 사용되는 표준언어이다. SQL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지원된다. Visual Basic, Visual C++, COBOL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추출에 사용되는 표준언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어구동식 자동제어기의 정도 변화 범위로 맞는 것은?

  1. 0.01mm 이내
  2. 0.02mm 이내
  3. 0.03mm 이내
  4. 0.05mm 이내
(정답률: 40%)
  • 기어구동식 자동제어기는 기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정밀한 위치 제어를 수행합니다. 이때 기어 간격의 변화 정도가 작을수록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정도 변화 범위가 작을수록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2mm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벡터자료구조의 기본적인 단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픽셀
(정답률: 81%)
  • 픽셀은 벡터 자료구조의 기본적인 단위가 아니라 래스터 자료구조의 기본적인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벡터 자료구조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반면, 래스터 자료구조는 픽셀이라는 작은 점들의 배열로 이미지를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벡터구조에 비하여 격자구조가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네트워크 분석에 효과적이다.
  2. 자료의 중첩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다.
  3. 자료구조가 간단하다.
  4. 원격탐사 자료와의 연계처리가 용이하다ㅑ.
(정답률: 48%)
  • 격자구조는 자료의 중첩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고 자료구조가 간단하며 원격탐사 자료와의 연계처리가 용이하지만, 벡터구조에 비해 네트워크 분석에 효과적이지 않다. 이는 격자구조가 공간적인 정보를 다루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네트워크 구조를 다루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분석에는 벡터구조가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토지정보체계의 데이터 관리에서 파일처리방식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2. 데이터의 독립성을 지원하지 못한다.
  3.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보안체제가 미흡하다.
  4. 다수의 사용자 환경을 지원하지 못한다.
(정답률: 46%)
  •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은 파일처리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중복성이 발생하고, 데이터의 관리와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보수하는 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편면직각좌표계의 이점이 아닌 것은?

  1. 평판측량, 항공사진측량 등 많이 측량작업과 호환성이 좋다.
  2. 편면직각좌표로부터 거리, 수평각, 면적을 계산하기 편리하다.
  3. 관측값으로부터 평면직각좌표를 계산하기 편리하다.
  4. 지도 구면상에 표시하기가 쉽다.
(정답률: 66%)
  • 지도 구면상에 표시하기가 쉽다는 것은 편면직각좌표계의 이점이 아니다. 사실 편면직각좌표계는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거리, 수평각, 면적을 계산하기 편리하고, 측량작업과 호환성이 좋으며, 관측값으로부터 평면직각좌표를 계산하기도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도 구면상에 표시하기가 쉽다는 것은 다른 좌표계의 이점이다. 예를 들어, 웹 메르카토르 도법은 지도 구면상에 표시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주어지는 것을 어떤 좌표변환인가? (단, λ:축척변환, (x0, y0): 원점의 변위량, θ:회전변환, (x', y'):보정된 좌표, (x., y):보정전 좌표)

  1. 어파인(Affine)변환
  2. 투영변환
  3. 등각사상변환
  4. 의사어파인(Pseudo-Affine)변환
(정답률: 64%)
  • 주어진 수식은 등각사상변환을 나타내는 수식이다. 등각사상변환은 축척변환과 회전변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원점의 변위량과 보정된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등각사상변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적도면을 전산화하고자 하는 경우 정비하여야 할 대상 정보가 아닌 것은?

  1. 색인도
  2. 도곽선
  3. 필지경계
  4. 지번색인도
(정답률: 47%)
  • 지적도면을 전산화하고자 하는 경우, 색인도, 도곽선, 필지경계는 모두 필요한 정보이지만, 지번색인도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지번색인도는 지적도면과는 별개로, 토지의 소유자나 사용자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지적도면을 전산화하는 과정에서는 지번색인도를 제외하고 정비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두 개 또는 더 많은 레이어들에 대하여 블린(boolean)의 OR 연산자를 적용하여 합병하는 방법으로 기준이 되는 레이의 모든 특징이 결과 레이어에 포함되는 중첩분석 방법은?

  1. Intersect
  2. Union
  3. Identity
  4. Clip
(정답률: 67%)
  • "Union"은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OR 연산자를 사용하여 합병하는 방법으로, 모든 레이어의 특징을 결과 레이어에 포함시키는 중첩분석 방법입니다. 따라서 기준이 되는 레이어의 모든 특징이 결과 레이어에 포함되는 것이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파게티(Spagetti)모형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점이 XㆍY 좌표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다른 모형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
  2. 데이터 파일을 이용한 지도를 인쇄하는 단순작업의 경우에 효율적인 도구로 사용되었다.
  3. 상호 연관성에 관한 정보가 없어 인접한 객체들의 특징과 관련성, 연결성을 파악하기 힘들었다.
  4. 객체들 간에 정보를 갖지 못하고 국수 가락처럼 좌표들이 길게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정답률: 58%)
  • 스파게티 모형은 "하나의 점이 XㆍY 좌표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다른 모형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옳지 않습니다. 스파게티 모형은 객체들 간에 정보를 갖지 못하고 국수 가락처럼 좌표들이 길게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래스터 데이터의 일반적인 자료안축방법이 아닌 것은?

  1. Chain Code
  2. Block Code
  3. Structure Code
  4. Run-Length Code
(정답률: 76%)
  • Structure Code는 래스터 데이터의 일반적인 자료압축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Structure Code는 래스터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태로 저장하는 방법으로, 다른 코드들은 데이터의 값을 기반으로 압축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계층형(hierarchical), 네트워크형(network), 관계형(relational) 데이터베이스 모델 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1. 데이터의 물리적 구조
  2. 관계의 표현방식
  3. 속성자료의 표현방법
  4. 데이터 모델의 구축환경
(정답률: 62%)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데이터를 트리 구조로 표현하며, 각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와 여러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계층형 모델과 유사하지만, 노드 간의 관계가 여러 개의 부모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반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표현하며, 각 테이블은 키-값 쌍으로 구성된 레코드들의 집합입니다. 따라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데이터 간의 관계를 테이블 간의 조인을 통해 표현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다른 두 모델과는 다르게 관계의 표현방식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GIS 데이터의 표준화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모형(Data Model)의 표준화
  2. 데이터 내용(Data Content)의 표준화
  3. 데이터 정책(Data Institute)의 표준화
  4. 위치참조(Location Reference)의 표준화
(정답률: 65%)
  • 데이터 정책(Data Institute)의 표준화는 GIS 데이터의 표준화 유형이 아닙니다. 데이터 정책은 조직이나 기관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하는 데 필요한 규칙, 절차, 규정 등을 정의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정책의 표준화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GIS 데이터의 표준화 유형은 아닙니다. 데이터 모형, 데이터 내용, 위치참조의 표준화는 GIS 데이터의 구조, 내용, 위치 정보를 일관성 있게 정의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자료들 중에서 지형, 지세 등 표면표현 및 등고선, 3차원 표현 등 표면모델링에 이용되는 것은?

  1. Coverage
  2. Layer
  3. TIN
  4. Image
(정답률: 58%)
  • TIN은 지형, 지세 등의 표면을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지형, 지세 등의 표면표현 및 등고선, 3차원 표현 등 표면모델링에 이용됩니다. Coverage는 지리정보 데이터의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고, Layer는 지리정보 데이터의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Image는 지리정보 데이터 중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지적재조사사업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적불부합지 문제 해소
  2. 토지의 경계복원능력 향상
  3.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개선
  4. 능률적인 지적관리체제 개선
(정답률: 72%)
  •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개선"은 지적재조사사업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개선은 지적재조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지적재조사사업의 목적은 지적불부합지 문제 해소, 토지의 경계복원능력 향상, 능률적인 지적관리체제 개선 등과 같이 지적정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SQL 언어 중 데이터조작어(DM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INSERT
  2. UPDATE
  3. DEKETE
  4. DROP
(정답률: 60%)
  • "DRO"는 데이터 조작 언어(DML)가 아니라 데이터 정의 언어(DDL)에 속합니다. DDL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DROP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DROP은 데이터 조작 언어(DML)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 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검수한 최종 성과에 대해 실시하는 것이다.
  2. 검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 단계별로 실시한다.
  3. 출력검수는 화면출력에 대해 검수하는 것이다.
  4. 검수방법 중에서 컴퓨터에 의해 자동처리되는 프로그램 검수가 가장 우수하다.
(정답률: 61%)
  • 검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 단계별로 실시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에서 각 단계마다 검수를 통해 오류나 누락된 부분을 발견하고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완성도 높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검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각 단계마다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검수한 결과물이 최종 성과가 된다. 출력검수는 화면출력에 대해 검수하는 것이며, 컴퓨터에 의해 자동처리되는 프로그램 검수가 가장 우수하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GIS의 자료 분석 과정 중, 도형자료와 속성자료가 구축된 레이어 간의 정보를 합성하거나 수학적 변환기능을 이용하여 정보를 통합하는 분석방법은?

  1. 중첩분석
  2. 표면분석
  3. 합성분석
  4. 검색분석
(정답률: 68%)
  • 중첩분석은 도형자료와 속성자료가 구축된 레이어 간의 정보를 겹쳐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두 개 이상의 레이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을 찾아내거나, 레이어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중첩분석은 GIS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지적학

61. 지적공부열람 신청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토지소유권 보존
  2. 토지소유권 이전
  3. 지적공개주의
  4. 지적형식주의
(정답률: 82%)
  • 지적공부열람 신청은 지적재산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이며, 이는 지적공개주의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지적공개주의는 지적재산권의 보호와 함께 공공의 이익을 위해 지적재산권 정보를 공개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원칙을 말한다. 따라서 지적공부열람 신청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지적공개주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역토(驛土)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역토는 주로 군수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토지이다.
  2. 역토의 수입은 국고수입으로 하였다.
  3. 역토는 역참에 보속된 토지의 명칭이다.
  4. 조선시대 초기에 역토에는 관둔전, 공수전 등이 있다.
(정답률: 61%)
  • 역토는 주로 군수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토지이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적제도의 발생설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과세설
  2. 치수설
  3. 지배설
  4. 계약설
(정답률: 72%)
  • 지적제도는 사회적 계약에 기반한 것으로, 개인의 권리와 의무를 규제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계약설"은 지적제도의 발생설로 보기 어렵습니다. 계약설은 개인 간의 계약에 의해 권리와 의무가 형성되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지적재산권과 같은 공공재에 대해서는 적용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계약설"은 지적제도의 발생설로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지적제도의 발전 단계별 특징이 옳지 않은 것은?

  1. 세지적-생산량
  2. 법지적-경계
  3. 법지적-물권
  4. 다목적지적-지형지물
(정답률: 47%)
  • 정답: "다목적지적-지형지물"

    설명: 지적제도의 발전 단계는 세지적, 법지적, 다목적지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세지적은 생산량을 기준으로 토지를 분할하는 단계이며, 법지적은 경계와 물권을 기준으로 토지를 분할하는 단계입니다. 다목적지적은 지형지물을 추가적인 기준으로 사용하여 토지를 분할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다목적지적-지형지물은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지변을 설정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초지의 특성화
  2.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확보
  3. 입체저 토지 표시
  4. 토지의 개별화
(정답률: 60%)
  • 입체저 토지 표시는 다른 보기와 달리 지변을 설정하는 이유가 아니라, 토지의 입체적인 형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초지의 특성화는 토지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경작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며,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확보는 토지의 위치를 명확히 하여 토지의 권리와 의무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토지의 개별화는 토지를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간주지적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임야도로서 지적도로 간주하게 된 것을 말한다.
  2. 간주지적도인 임야도에는 적색 1호선으로써 구역을 표시하였다.
  3. 지적도 축척이 아닌 임야도 축척으로 측량하였다.
  4. 대상은 토지조사 시행지역에서 약 200간(間) 이상 떨어진 지역으로 하였다.
(정답률: 44%)
  • "간주지적도인 임야도에는 적색 1호선으로써 구역을 표시하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간주지적도는 토지의 소유자나 경계 등을 명확히 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적도로, 임야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간주지적도는 지적도 축척으로 측량하며, 대상 지역은 토지조사 시행지역에서 약 200간(間) 이상 떨어진 지역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본의 지적 관련 법령으로 옳은 것은?

  1. 지적법
  2. 부동산등기법
  3. 국토기본법
  4. 지가공시법
(정답률: 54%)
  • 일본의 지적 관련 법령 중에서 부동산등기법이 옳은 것은 부동산의 소유권 등기와 관련된 법령으로, 부동산의 소유자나 권리자를 명확하게 등기함으로써 부동산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부동산 거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령이기 때문입니다. 지적법은 지적도 작성 등에 관한 법령, 국토기본법은 국토의 이용과 보전 등에 관한 법령, 지가공시법은 지가를 공시하는 법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번의 부여방법 중 사행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 지번의 대부분이 사행식에 의하여 부여되었다.
  2. 필지의 배열이 불규칙한 지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3. 도로를 중심으로 한 쪽은 홀수로 다른 한 쪽은 짝수로 부여한다.
  4. 각 토지의 순서를 빠짐없이 따라가기 때문에 뱀이 기어가는 형상이 된다.
(정답률: 69%)
  • "도로를 중심으로 한 쪽은 홀수로 다른 한 쪽은 짝수로 부여한다." 인 이유는 "각 토지의 순서를 빠짐없이 따라가기 때문에 뱀이 기어가는 형상이 된다."와 같이 지번을 부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지역의 토지 배열이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우리나라의 지적 창설 당시 도로, 하천, 구거 및 소도서는 토지(임야)대장 등록에서 제외하였는데 가장 큰 이유는?

  1. 측량하기 어려워서
  2. 소유자를 알 수가 없어서
  3. 경계선이 명확하지 않아서
  4. 과세적 가치가 없어서
(정답률: 76%)
  • 도로, 하천, 구거 및 소도서는 토지(임야)대장 등록에서 제외되었는데, 이는 이러한 지적 요소들이 과세적 가치가 없기 때문입니다. 즉, 이러한 지적 요소들은 세금을 부과할 가치가 없으므로 등록에서 제외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산등록파일을 지적공부로 규정한 지적법의 개정연도로 옳은 것은?

  1. 1991년 1월 1일
  2. 1995년 1월 1일
  3. 1999년 1월 1일
  4. 2001년 1월 1일
(정답률: 43%)
  • 정답: "1991년 1월 1일"

    1991년 1월 1일에 개정된 지적법에서는 전산등록파일을 지적공부로 규정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전에는 전산등록파일이 지적공부로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개정으로 인해 전산등록파일이 지적공부로 인정되어 지적재산권 보호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토지의 사정(査定)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토지의 소유자와 지목을 확정하는 것이다.
  2. 토지의 소유자와 강계를 확정하는 행정처분이다.
  3. 토지의 소유자와 강계를 확정하는 사법처분이다.
  4. 경계와 지적을 확정하는 행정처분이다.
(정답률: 75%)
  • 토지의 사정(査定)은 토지의 소유자와 강계를 확정하는 행정처분입니다. 이는 토지의 소유자와 강의 경계를 명확히 하여 토지의 권리와 의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토지의 소유자와 강계를 확정하는 행정처분이다."가 가장 잘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현대 지적의 특성만으로 연결된 것이 아닌 것은?

  1. 역사성-영구성
  2. 전문성-기술성
  3. 서비스성-윤리성
  4. 일시적 민원성-개별성
(정답률: 60%)
  • 일시적 민원성-개별성은 현대 지적의 특성과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개별적인 문제나 불만에 대한 처리와 관련된 것으로, 현대 지적의 특성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다른 세 가지 보기는 모두 현대 지적의 특성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역사성-영구성: 현대 지식은 과거의 지식과 연결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합니다.
    - 전문성-기술성: 현대 지식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적인 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 서비스성-윤리성: 현대 지식은 사람들의 삶과 사회에 대한 서비스와 윤리적인 책임을 필요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목적지적의 기본 구성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지기준망
  2. 기본도
  3. 지적도
  4. 토지권리도
(정답률: 69%)
  • 다목적지적의 기본 구성요소는 측지기준망, 기본도, 지적도, 토지권리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지권리도입니다. 이는 지적도와 달리 토지의 소유자와 소유면적, 지목 등의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요소는 지적도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기본 정보들을 담고 있으며, 토지권리도는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토지의 소유와 사용에 대한 권리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고려시대 토지기록부의 명칭이 아닌 것은?

  1. 양전도장(量田都帳)
  2. 도전장(都田帳)
  3. 양전장적(量田都籍)
  4. 방전장(方田帳)
(정답률: 44%)
  • 고려시대 토지기록부의 명칭은 "양전도장(量田都帳)", "도전장(都田帳)", "양전장적(量田都籍)" 이지만, "방전장(方田帳)"은 토지기록부의 명칭이 아닙니다. 이는 토지의 위치나 크기 등을 기록하는 방식 중 하나로, 토지의 방위(방위)를 중심으로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토지이용의 입체화와 가장 관련성이 깊은 지적제도의 형태는?

  1. 세지적
  2. 3차원 지적
  3. 2차원 지적
  4. 법지적
(정답률: 78%)
  • 토지이용의 입체화는 지적도상에서 높이 정보를 추가하여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가장 관련성이 깊은 지적제도의 형태는 3차원 지적입니다. 3차원 지적은 지적도상에서 높이 정보를 추가하여 표현하는 지적제도로, 건물의 높이나 지형의 고저차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토지이용의 입체화에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3차원 지적이 토지이용의 입체화와 가장 관련성이 깊은 지적제도의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적제도의 발달사적 입장에서 볼 때 법지적제도의 확립을 위하여 동원한 가장 두드러진 기술업무는?

  1. 토지평가
  2. 지적측량
  3. 지도제작
  4. 면적측정
(정답률: 73%)
  • 지적제도는 토지의 소유, 사용,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지적측량이다. 지적측량은 지형, 지물, 경계선 등을 측정하여 지적도를 작성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지적제도의 발달사적 입장에서 법지적제도의 확립을 위해 동원한 가장 두드러진 기술업무는 지적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조선시대의 양안(量案)은 오늘날의 어느 것과 같은 성질의 것인가?

  1. 토지과세대장
  2. 임야대장
  3. 토지대장
  4. 부동산등기부
(정답률: 72%)
  • 조선시대의 양안(量案)은 현재의 "토지대장"과 같은 성질의 것이다. 이는 조선시대에는 토지의 소유권이 개별적으로 등록되어 있었고, 이를 토지대장이라는 문서에 기록하여 관리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지의 소유자나 경작자 등이 토지대장을 통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었다. 이는 현재의 토지대장과 유사한 역할을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토지ㆍ가옥을 매매ㆍ증여ㆍ교환ㆍ전당할 경우 군수 또는 부윤의 증명을 받으면 법률적으로 보장을 받는 완전한 증명제도는?

  1. 토지가옥 증명규칙
  2. 조선민사령
  3. 부동산등기령
  4. 토지가옥수유권 증명규칙
(정답률: 47%)
  • 토지ㆍ가옥의 매매ㆍ증여ㆍ교환ㆍ전당 등의 거래에서 법률적으로 보장을 받기 위해서는 군수 또는 부윤의 증명을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제정된 완전한 증명제도가 바로 "토지가옥수유권 증명규칙"이다. 이 규칙은 토지ㆍ가옥의 소유권을 증명하기 위한 법적 절차와 증명서류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거래 당사자들은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토지가옥 증명규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민사령"은 조선시대에 시행된 법령이며, "부동산등기령"은 현재 부동산 등기에 관한 법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간주지적도에 등록된 토지는 토지대장과는 별도로 대장을 작성하였다. 다음 중 그 명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토지대장
  2. 별책토지대장
  3. 임야토지대장
  4. 을호토지대장
(정답률: 63%)
  • 간주지적도에 등록된 토지는 대부분 산, 임야, 을호 등의 명칭으로 대장을 작성한다. 하지만 "별책토지대장"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임야, 산, 을호 등과 같은 실제 지형적 특징이나 위치에 따른 명칭이 아니라, 특별한 이유로 대장을 작성한 경우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별책토지대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일반적으로 양안에 기재된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번, 면적
  2. 측량순서, 토지등급
  3. 토지형태, 사표(四標)
  4. 신구 토지소유자, 토지가격
(정답률: 72%)
  • 일반적으로 양안에 기재된 사항은 지적도에 표시된 지번과 면적, 측량순서와 토지등급, 토지형태와 사표(四標)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신구 토지소유자와 토지가격은 양안에 기재되지 않는 정보입니다. 이는 토지소유자와 토지가격은 시간이 지나면 변동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지적관계법규

81. 지적측량업자의 업무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계점좌표등록부가 있는 지역에서의 지적측량
  2. 도시개발사업 등이 끝남에 따라 하는 지적확정측량
  3.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사업지구에서 실시하는 지적재조사측량
  4. 도해세부측량지역의 등록전환측량에 대한 성과검사측량
(정답률: 65%)
  • 도해세부측량지역의 등록전환측량에 대한 성과검사측량은 지적측량업자의 업무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지적측량과는 관련이 없는 등록전환과 성과검사에 대한 측량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지적측량과 관련된 업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토의 용도 구분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존지역
  2. 관리지역
  3. 도시지역
  4. 농림지역
(정답률: 58%)
  • 보존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국토의 용도 구분 4가지 중 하나가 아닙니다. 보존지역은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국립공원, 자연보호구역, 수목원 등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지역은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토지소유자가 지목변경을 신청할 때에 첨부하여 지적소관청에 제출하여야 하는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세사실을 증명하는 납세증명서의 사본
  2. 토지 또는 건축물의 용도가 변경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본
  3. 관계법렵에 따라 토지의 형질변경 공사가 준공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본
  4. 국유지ㆍ공유지의 경우 용도폐지 되었거나 사실상 공공용으로 사용되고 있지 아니함을 증명하는 서류의 사본
(정답률: 65%)
  • "과세사실을 증명하는 납세증명서의 사본"은 토지소유자가 지목변경을 신청할 때에 첨부하여 지적소관청에 제출할 필요가 없는 서류입니다. 이는 지목변경과 관련이 없는 서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언제 토지의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보는가?

  1. 등기 촉탁일
  2. 청산금 지급완료일
  3. 축척변경 시행공고일
  4. 축척변경 확정공고일
(정답률: 72%)
  • 축척변경 시행지역의 토지는 축척변경 확정공고일에 이동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축척변경 확정공고일이 해당 지역의 토지 소유자들에게 새로운 지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등기부등본 등의 변경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전에 등기된 토지의 소유자와 새로운 소유자 간의 이전 등기는 축척변경 확정공고일 이후에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설명의 ()안에 적합한 것은?

  1. 소관철장
  2. 행정자치부장관
  3. 지방지적위원회
  4. 지적층량심의위원회
(정답률: 5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지적도는 지방지적위원회에서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정답은 "지방지적위원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축척변경위워회의 심의 사항이 아닌 것은?

  1. 축척변경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2. 지번별 m2당 가격의 결정에 관한 사항
  3. 청산금의 이의신청에 관한 사항
  4. 도시개발사업에 관한 사항
(정답률: 51%)
  • "축척변경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지번별 m2당 가격의 결정에 관한 사항", "청산금의 이의신청에 관한 사항"은 모두 축척변경위원회의 심의 사항에 해당하지만, "도시개발사업에 관한 사항"은 축척변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지적증량을 수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토지를 분할하는 경우
  2. 토지를 신규등록하는 경우
  3. 축척을 변경하는 경우
  4. 토지를 합병하는 경우
(정답률: 68%)
  • 토지를 합병하는 경우는 이미 등록된 토지들을 합쳐서 하나의 토지로 만드는 것이므로 지적증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경우들은 토지의 경계나 크기가 변경되므로 지적증량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도시ㆍ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여야 하는 기반시설은?

  1. 도서관
  2. 공공청사
  3. 종합의료시설
  4. 고등학교
(정답률: 59%)
  • 고등학교는 지역 내 청소년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도시ㆍ군관리계획에서 결정되어야 합니다. 또한, 교육시설은 지역의 인구 구성과 교육 수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와 규모로 계획되어야 하므로 중요한 기반시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축척변경에 따른 청산금을 산정한 결과 증가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계와 감소된 면적에 대한 청산금의 합게에 차액이 생긴 경우 부족액은 누가 부담하는가?

  1. 지적소관청
  2. 지방자치단체
  3. 국토교통부장관
  4. 증가된 명적의 토지소유자
(정답률: 73%)
  • 축척변경에 따른 면적 증감으로 인해 생긴 청산금의 차액은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합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토지의 지적정보를 관리하고 있으며, 토지의 면적 증감에 따라 지적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청산금을 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청산금의 차액을 부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등기관이 토지 소유권의 이전 등기를 한 경우 지체없이 그 사실을 누구에게 알려야 하는가?

  1. 이해관계인
  2. 지적소관청
  3. 관할 등기소
  4. 행정자치부장관
(정답률: 57%)
  • 토지 소유권의 이전 등기가 이루어졌을 경우, 해당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관리하는 지적도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등기관은 지적소관청에게 지적도의 업데이트를 요청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적소관청"입니다. 이해관계인은 등기관과 소유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관할 등기소는 해당 토지가 속한 지역의 등기소를 의미합니다. 행정자치부장관은 관할 지역의 행정을 총괄하는 고위 공무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고속도로 휴게소 부지의 지목으로 옳은 것은?

  1. 도로
  2. 공원
  3. 주차장
  4. 잡종지
(정답률: 80%)
  • 고속도로 휴게소 부지의 지목은 "도로"이다. 이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주로 차량이 이용하는 도로이기 때문이다. 공원이나 주차장, 잡종지는 차량 이용이나 휴식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토지소유자가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음을 발견하여 정정을 신청할 때, 경계 또는 면적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 정정사류를 적은 신청서에 첨부해야 하는 서류는?

  1. 토지대장등본
  2. 등기전산정보자료
  3. 축척변경 지번별 조서
  4. 등록사항 정정 측량성과도
(정답률: 66%)
  • 정정사류를 적은 신청서에 첨부해야 하는 서류는 "등록사항 정정 측량성과도"이다. 이는 정정사항에 따라 경계 또는 면적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한 측량 결과물을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등록사항 정정 측량성과도"가 필요하다. "토지대장등본"은 토지의 소유자와 면적 등의 기본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이며, "등기전산정보자료"는 등기부에 등록된 정보를 전산화한 자료이다. "축척변경 지번별 조서"는 지적도의 축척이 변경되었을 때, 이에 따른 지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문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도시개발사업 등이 준공되기 전에 사업시행자가 지번부여신청을 할 경우 지적소관청은 무엇을 기준으로 지번을 부여하여야 하는가?

  1. 측량준비도
  2. 지번별 조서
  3. 사업계획도
  4. 확정측량 결과도
(정답률: 54%)
  • 사업시행자가 지번부여신청을 할 경우 지적소관청은 사업계획도를 기준으로 지번을 부여하여야 합니다. 이는 사업계획도가 해당 지역의 도시개발 계획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업계획도를 기반으로 지번을 부여함으로써, 도시개발사업 등의 계획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행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토지대장에 등록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지목
  2. 지번
  3. 경계
  4. 토지의 소재
(정답률: 60%)
  • 토지대장에 등록하여야 하는 사항 중 "경계"는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토지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실제 현장에서 확인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지대장에 등록되는 것은 지목, 지번, 토지의 소재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방도
  2. 일반도로
  3. 지하도로
  4. 자전거전용도로
(정답률: 56%)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도로를 "국도, 일반도로, 자동차전용도로, 자전거전용도로, 보행자전용도로, 지하도로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도"는 법률상 도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지방도는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도로로, 국가에서는 관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지적소관청이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에 잘못이 있는지를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지적측량성과와 다르게 정리된 경우
  2. 토지이동정리 결의서의 내용과 다르게 정리된 경우
  3. 지적공부의 작성 또는 재작성 당시 잘못 정리된 경우
  4. 도면에 등록된 필지가 경계 또는 면적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
(정답률: 69%)
  • 도면에 등록된 필지가 경계 또는 면적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는 지적공부의 등록사항을 직권으로 조사ㆍ측량하여 정정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닙니다. 이는 지적측량성과나 작성 또는 재작성 당시의 오류와는 달리, 필지의 실제 경계나 면적이 변경되어 등록사항이 달라진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새로운 측량과정을 거쳐 등록사항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대부분의 토지가 등록전환 되어 나머지 토지를 임야도에 계속 존치하는 것이 불합리한 경우, 토지이용 신청 절차로 옳은 것은?

  1. 지목변경 없이 등록전환을 신청할 수 있다.
  2. 지목변경 후 등록전환을 신청할 수 없다
  3. 지목변경 없이 신규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4. 지목변경 후 신규등록을 신청할 수 없다.
(정답률: 68%)
  • 지목변경 후 등록전환을 신청할 수 없는 이유는 이미 지목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해당 토지의 용도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등록전환을 신청하기 전에 지목변경을 먼저 해야하는데, 이미 대부분의 토지가 등록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지목변경 없이 등록전환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신규등록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는 해당 토지가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지적측량수행자의 성실의무 등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지적측량수행자는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지적측량을 하여야 한다.
  2. 지적측량수행자는 정단한 사유 없이 지적측량 신청을 거부하여서는 아니된다.
  3. 지적측량수행자는 본인, 배우자나 아닌 직계존속ㆍ비속이 소유한 토지에 대해서는 자적측량이 가능하다.
  4. 지적측량수행자는 제106저 제2항에 따른 지적측량수수료 외에는 어떠한 명목으로도 그 업무와 관련된 대가를 받으면 아니 된다.
(정답률: 76%)
  • "지적측량수행자는 본인, 배우자나 아닌 직계존속ㆍ비속이 소유한 토지에 대해서는 자적측량이 가능하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지적측량수행자는 자신이 소유하거나 직계존속ㆍ비속이 소유한 토지에 대해서는 자적측량을 할 수 없습니다. 이는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중앙지적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원장은 국토교통부의 지적업무 담당 국장이 된다.
  2. 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제외한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3.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5명 이상 10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은 지적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장이 임명한다.
(정답률: 68%)
  • 위원은 지적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중앙지적위원회의 위원장이 임명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위원은 지적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위촉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지적공부의 복구에 관한 내용이다.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부본
  2. 부동산등기부
  3. 지적공부 등본
  4. 복제된 법인등기부 등본
(정답률: 66%)
  • 지적공부 등본은 토지의 위치, 면적, 지형 등의 정보를 담고 있지만, 실제 소유자나 권리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부동산등기부는 토지의 소유자나 권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부동산 거래 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정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동산등기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