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1-24)

양장기능사
(2016-01-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반신체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등길이가 짧고 앞길이가 길다.
  2. 등길이가 길고 앞길이가 짧다.
  3. 앞품이 등품에 비해 2cm 차이가 있다.
  4. 등품이 앞품보다 상대적으로 넓다.
(정답률: 67%)
  • 반신체형은 상체와 하체의 길이 비율이 다른 체형으로, 등길이가 짧고 앞길이가 길다는 것은 상체가 상대적으로 짧고 하체가 상대적으로 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리가 길어 보이고 상체가 작아 보이는 체형으로 특징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스커트 원형제도에 필요한 치수 항목이 아닌 것은?

  1. 허리둘레
  2. 밑위길이
  3. 스커트길이
  4. 엉덩이길이
(정답률: 97%)
  • 밑위길이는 스커트 원형제도에서 필요한 치수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바지나 바지류의 패턴 제작에서 사용되는 치수이며, 스커트 원형제도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스커트 원형제도에서 필요한 치수 항목은 허리둘레, 스커트길이, 엉덩이길이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매길이의 계측 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팔을 똑바로 펴서 어깨 끝쪽점부터 손목점까지의 길이를 잰다.
  2. 팔을 똑바로 펴서 어깨 끝쪽점부터 팔꿈치를 지나 손목점까지의 길이를 잰다.
  3. 팔을 자연스럽게 내린 후 어깨 끝쪽점부터 팔꿈치를 지나 손목점까지의 길이를 잰다.
  4. 팔을 자연스럽게 내린 후 어깨 끝쪽점부터 손목점까지의 길이를 잰다.
(정답률: 87%)
  • 팔을 자연스럽게 내린 후 어깨 끝쪽점부터 팔꿈치를 지나 손목점까지의 길이를 재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이다. 이는 팔이 자연스럽게 내려와 있을 때의 길이를 측정하기 때문에 더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팔을 똑바로 펴서 측정하면 팔이 뻣어나와 있을 때의 길이를 측정하게 되어 부정확할 수 있고, 팔꿈치를 지나치지 않고 손목까지만 측정하면 소매길이가 부족하게 측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마른 체형의 등, 가슴 부위에 여유가 있어 주름이 생길 때 보정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소매산의 중심점을 앞소매쪽으로 옮기고, 소매산 둘레의 곡선을 수정한다.
  2. 소매산의 중심점을 뒷소매쪽으로 옮기고, 소매산 둘레의 곡선을 수정한다.
  3. 소매산을 높여 준다.
  4. 원형의 모든 치수를 줄인다.
(정답률: 75%)
  • 원형의 모든 치수를 줄이는 것은 등과 가슴 부위에 여유가 있어 주름이 생길 때 보정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해당 부위의 너비와 둘레를 줄여서 곡선을 수정하는 다른 방법들과 달리, 전체적인 비율을 유지하면서 보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과 가슴 부위의 여유를 줄이고, 전체적인 실루엣을 슬림하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셔츠 슬리브(shirts sleeve)는 소매산을 낮추어 활동성을 주는데 소매 원형과 제도 비교 시 소매산 높이를 얼마나 낮추어야 가장 적합한가?

  1. 0.5~1cm
  2. 1.5~2cm
  3. 4~5cm
  4. 6~7cm
(정답률: 79%)
  • 셔츠 슬리브의 소매산을 낮추면 소매 원형이 더 크게 되어 활동성이 높아지지만, 너무 낮추면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 옷이 올라가는 등 불편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1.5~2cm 정도를 낮추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길 원형 제도의 기초선 중 세로선에 해당하는 것은?

  1. 앞길이
  2. 뒤길이
  3. 등길이
  4. 앞중심길이
(정답률: 68%)
  • 길 원형 제도에서 세로선은 차량의 등길이를 나타냅니다. 등길이는 차량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차량 바퀴 중심선 사이의 수직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세로선은 차량의 길이를 측정하는 등길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매 앞, 뒤에 주름이 생길 때의 보정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소매산을 높여 준다.
  2. 소매산을 내려 준다.
  3. 소매산 중심을 뒷소매 쪽으로 옮긴다.
  4. 소매산 중심을 앞소매 쪽으로 옮긴다.
(정답률: 62%)
  • 소매산이란 소매 부분의 중심을 말합니다. 소매 앞, 뒤에 주름이 생기는 경우에는 소매산을 높여 주는 것이 가장 적절한 보정 방법입니다. 이는 소매 부분의 길이를 늘려서 주름을 해소하고, 소매 부분이 더욱 자연스러워지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소매산을 내려 주는 경우에는 오히려 소매 부분이 더욱 짧아져서 주름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소매산 중심을 뒷소매 쪽으로 옮기거나 앞소매 쪽으로 옮기는 것은 주름 해소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스커트 원형 중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스커트는?

  1. 고어 스커트
  2. 개더 스커트
  3. 요크를 댄 플리츠 스커트
  4. 요크를 댄 플레어 스커트
(정답률: 71%)
  • 다음 그림의 스커트는 허리 부분에 요크가 있고, 아래로 갈수록 플레어 형태로 넓어지는 형태이므로 "요크를 댄 플레어 스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제도에 필요한 부호 중 외주름 표시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94%)
  • 외주름 표시에 해당하는 부호는 "" 입니다. 이 부호는 외주름이 있는 지점을 나타내며, 외주름은 도로나 다리 등에서 발생하는 구조물의 변형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부호는 운전자들이 주의해야 할 지점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팔 둘에의 위치가 아래쪽에 있고, 어깨 경사 각도가 큰 체형은?

  1. 처진 어깨
  2. 솟은 어깨
  3. 반신 어깨
  4. 굴신 어깨
(정답률: 84%)
  • 처진 어깨는 팔 둘레의 위치가 아래쪽에 있고, 어깨 경사 각도가 큰 체형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체형은 어깨가 앞으로 쏠리고, 등이 둥글게 구부러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자세가 나쁘고,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패턴 제도 시 스커트 원형을 그대로 이용하며, 기능성을 주기 위해 스커트 뒷중심에 킥 플리츠(kick pleats)를 넣는 스커트는?

  1. 서큘러 스커트
  2. 타이트 스커트
  3. 큐롯 스커트
  4. 트럼펫 스커트
(정답률: 69%)
  • 스커트 뒷중심에 킥 플리츠를 넣는 것은 움직임을 더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타이트 스커트는 몸에 딱 맞게 끼는 디자인으로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킥 플리츠를 넣는 것은 타이트 스커트와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타이트 스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제조원가 계산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재료비 + 인건비
  2. 재료비 + 인건비 + 제조경비
  3. 재료비 + 인건비 + 제조경비 + 판매간접비 + 일반관리비
  4. 재료비 + 인건비 + 제조경비 + 판매간접비 + 일반관리비 + 이익
(정답률: 95%)
  • 제조원가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조원가 계산 방법은 생산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합산하는 것입니다. 재료비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 비용, 인건비는 생산에 참여하는 인력의 비용, 제조경비는 생산 시설과 장비 등의 유지보수 및 관리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재료비 + 인건비 + 제조경비"가 제조원가 계산 방법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바느질에 따른 시접 분량 중 가름솔의 시접 분량에 해당하는 것은?

  1. 0.5cm
  2. 1.5cm
  3. 3cm
  4. 5cm
(정답률: 87%)
  • 가름솔은 바느질할 때 재봉선을 잘라내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 때 잘라낸 부분을 봉제선에서 떼어내야 합니다. 이때 가름솔의 시접 분량은 떼어낸 부분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름솔의 시접 분량은 떼어낸 부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가름솔의 시접 분량이 1.5cm인 것으로 주어졌으므로, 가름솔로 잘라낸 부분의 길이가 1.5cm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면섬유의 안전 다림질 온도는?

  1. 120℃
  2. 150℃
  3. 180℃
  4. 220℃
(정답률: 54%)
  • 면섬유는 열에 민감한 섬유로, 고온에서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 다림질 온도는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면섬유의 안전 다림질 온도는 220℃인 이유는, 이 온도에서 면섬유가 가장 안전하게 다림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면섬유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220℃ 이하에서 다림질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겉감에 대한 각 부위의 기본 시접으로 옳은 것은?

  1. 어깨와 옆선 : 2cm
  2. 진동 둘레 : 3cm
  3. 목둘레와 칼라 : 2cm
  4. 스커트단 : 3cm
(정답률: 82%)
  • 겉감의 어깨와 옆선은 2cm로 시접을 한 이유는, 이 부위가 사람의 몸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부위의 시접이 너무 많거나 적으면 옷이 불편하거나 모양이 이상해질 수 있습니다. 2cm는 적당한 시접으로, 옷의 착용감과 모양을 유지하는 데에 적합한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스커트 안감을 재단할 때 스커트 길이 부분은 겉감보다 얼마나 짧은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1cm
  2. 3cm
  3. 5cm
  4. 7cm
(정답률: 82%)
  • 스커트 안감은 겉감보다 짧게 재단해야 합니다. 이는 스커트 안감이 겉감보다 길면 움직일 때마다 안감이 밖으로 비치게 되어 불편하고 예쁘지 않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3cm 정도 짧게 재단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제도에 필요한 부호 중 완성선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93%)
  • 완성선은 제도에 필요한 부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호로, 금융 거래에서 사용되는 서명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호 중에서도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부호들이지만, 완성선은 모든 부호들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부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보기>와 같은 180° 플레어 스커트의 옷감의 필요량 계산법에 해당하는 옷감의 너비는?

  1. 90cm
  2. 110cm
  3. 130cm
  4. 150cm
(정답률: 65%)
  • 180° 플레어 스커트는 반원 모양의 옷감을 두 겹으로 겹쳐서 만들어지므로, 한 겹의 반원 모양 옷감의 너비는 반원의 지름과 같습니다. 따라서, 원의 지름이 100cm일 때, 반원의 지름은 50cm가 되며, 이것이 한 겹의 옷감의 너비가 됩니다. 그러므로, 두 겹의 옷감을 사용하므로 50cm x 2 = 100cm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옷을 만들 때는 솔기와 밑단 등을 고려하여 여유분을 더해야 하므로, 보통 1.5배 정도의 여유분을 더해 계산합니다. 따라서, 100cm x 1.5 = 150cm가 필요한 옷감의 너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길원형 제도 시 가장 중요한 항목은?

  1. 등길이
  2. 어깨너비
  3. 유두간격
  4. 가슴둘레
(정답률: 87%)
  • 길원형 제도는 인체 비율을 고려하여 옷을 제작하는 제도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가슴둘레입니다. 이는 옷의 핏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옷이 가슴에 딱 맞게 맞아야 옷이 예쁘게 보이고 편안하게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길원형 제도에서는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옷을 제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의복 제작 시 사용하는 심지의 역할로 옳은 것은?

  1. 세탁이 용이하다.
  2. 입체감을 살린다.
  3. 봉제하는데 편리하다.
  4. 위생가공 효과를 부여한다.
(정답률: 79%)
  • 심지는 옷감의 견고함과 모양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입체감을 살리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심지를 사용하면 옷감이 더욱 풍성하고 입체적인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옷의 디자인과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150cm 너비의 옷감으로 팬츠를 만들 때 가장 적합한 옷감의 필요량 계산법은?

  1. 팬츠 길이 + 시접
  2. (팬츠 길이 + 시접) × 2
  3. (팬츠 길이 + 시접) × 3
  4. (팬츠 길이 + 시접) × 4
(정답률: 69%)
  • 팬츠를 만들 때는 두 개의 다리를 만들어야 하므로, 옷감의 길이는 팬츠 한 벌의 길이와 시접(옷을 만들 때 봉제할 여유분)을 더한 값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옷감의 길이는 "팬츠 길이 + 시접"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팬츠의 구성 방법과 같은 원리로 제도하는 스커트는?

  1. 티어 스커트(tiered skirt)
  2. 고젯 스커트(gusset skit)
  3. 디바이디드 스커트(divided skirt)
  4. 페그 스커트(peg skirt)
(정답률: 76%)
  • 디바이디드 스커트는 팬츠처럼 두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중간에 슬릿이 있는 스커트입니다. 이러한 구성 방법으로 인해 움직임이 자유롭고 활동성이 뛰어나며, 보편적으로 스포츠나 야외활동에 적합한 스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제도 시 여유분량이 필요 없는 것은?

  1. 소매산 높이
  2. 등길이
  3. 가슴둘레
  4. 허리둘레
(정답률: 67%)
  • 등길이는 척추 끝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말하며, 이는 제도 시 여유분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옷의 사이즈를 정할 때 필요한 측정 항목이지만, 등길이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제도 시 여유분량이 필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의복 제작 시 동작이 심한 부분에 옷감을 늘여 정리하여 바느질하는 부분은?

  1. 바지의 밑위부분
  2. 소매 앞부분
  3. 허리의 곡선 부분
  4. 스커트 앞부분
(정답률: 79%)
  • 바지의 밑위부분은 다리 사이에 위치하여 움직임이 많은 부분입니다. 따라서 옷감을 늘여 정리하여 바느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소매 앞부분, 허리의 곡선 부분, 스커트 앞부분도 움직임이 있지만, 바지의 밑위부분만큼 심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패턴 배치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패턴은 큰 것부터 배치한다.
  2. 옷감의 겉쪽에 패턴을 배치한다.
  3. 짧은 털이 있는 옷감은 털의 결방향을 밑으로 배치한다.
  4. 무늬가 있는 옷감은 편한대로 배치한다.
(정답률: 89%)
  • 패턴은 큰 것부터 배치한다는 이유는 작은 패턴을 먼저 배치하면 큰 패턴이 들어갈 공간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큰 패턴을 먼저 배치하여 작은 패턴을 적절히 배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슴둘레의 계측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오른쪽 목옆점에서 유두를 지나 허리선까지 잰다.
  2. 유두 아랫부분을 수평으로 잰다.
  3. 목옆점을 지나 유두까지를 잰다.
  4. 가슴의 유두점을 지나는 수평 부위를 돌려서 잰다.
(정답률: 95%)
  • 가슴의 유두점은 가슴의 중심축이 되는 중요한 지점이며, 가슴둘레를 측정할 때 가장 높은 지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가슴둘레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두점을 기준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이때 유두점을 지나는 수평 부위를 돌려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서큘러 플레어 스커트(circular flare skirt) 원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허리둘레는 W/4가 되도록 정리한다.
  2. 스커트 원형을 5등분한다.
  3. 각도를 90°로 만든 다음 맞추어 배치한다.
  4. 허리둘레와 단둘레를 직선으로 정리한다.
(정답률: 61%)
  • "허리둘레와 단둘레를 직선으로 정리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서큘러 플레어 스커트를 만들 때는 원형을 5등분하고 각도를 72도로 만들어 배치합니다. 이렇게 하면 허리둘레와 단둘레가 고르게 분포되어 자연스러운 플레어 라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제도에 사용되는 약자와 명칭이 틀린 것은?

  1. B.L - 가슴둘레선
  2. N.P – 목점
  3. A.H – 소매둘레
  4. S.P – 어깨끝점
(정답률: 70%)
  • 정답은 A.H – 소매둘레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매둘레는 S.C (Sleeve Circumference)로 표기됩니다. A.H는 Armhole의 약자로, 옷의 팔구멍 부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H – 소매둘레는 옷의 팔구멍 부분에서 소매끝까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옷의 소매길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가름솔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휘갑치기 가름솔
  2. 눌러박기 가름솔
  3. 지그재그 가름솔
  4. 오버룩 가름솔
(정답률: 62%)
  • 눌러박기 가름솔은 실을 눌러 밀어 넣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을 눌러서 밀어 넣는 것이 아니라 실을 끌어 당기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가름솔입니다. 따라서 다른 가름솔과는 사용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가름솔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어깨의 숄더 다트와 웨이스트 다트를 연결하는 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1. 네크 라인(neckline)
  2. 샤넬 라인(chanel line)
  3. 프린세스 라인(princess line)
  4. 웨이스트 라인(waist line)
(정답률: 85%)
  • 프린세스 라인은 어깨의 숄더 다트와 웨이스트 다트를 연결하는 선으로 이루어진 패턴입니다. 이는 몸의 곡선을 따라 부드럽게 떨어지는 실루엣을 만들어주며, 여성스러운 느낌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린세스 라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면방적 공정 중 조방에서 얻어진 실을 적당한 가늘기로 늘여 주고 꼬임을 주는 공정은?

  1. 개면
  2. 정방
  3. 연조
  4. 타면
(정답률: 70%)
  • 면방적 공정 중 꼬임을 주는 공정은 "정방"입니다. 이는 조방에서 얻어진 실을 일정한 간격으로 늘여주고 꼬임을 주는 과정으로, 면사의 굵기와 꼬임의 정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종류의 면직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실의 굵기와 꼬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실의 굵기는 방적성, 실의 균제도, 직물의 태에 영향을 미친다.
  2. 실의 방향 표시방법으로 우연을 S꼬임, 좌연을 Z꼬임으로 표현한다.
  3. 일반적으로 위사보다 경사에 꼬임이 적은 실이 많이 사용된다.
  4. 방적사는 일정한 정도까지 꼬임이 많아지면 섬유간의 마찰이 커져 실의 강도가 향상된다.
(정답률: 60%)
  • "일반적으로 위사보다 경사에 꼬임이 적은 실이 많이 사용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의 굵기는 방적성, 실의 균제도, 직물의 태에 영향을 미치며, 방적사는 일정한 정도까지 꼬임이 많아지면 섬유간의 마찰이 커져 실의 강도가 향상됩니다. 또한, 실의 방향 표시방법으로 우연을 S꼬임, 좌연을 Z꼬임으로 표현합니다.

    그러나 실의 꼬임은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선택됩니다. 예를 들어, 자수 실은 꼬임이 많은 실이 사용되며, 봉제 실은 꼬임이 적은 실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위사보다 경사에 꼬임이 적은 실이 많이 사용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실의 꼬임은 사용하는 용도와 직물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규칙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일반 산류와 달리 면섬유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으며, 오히려 섬유에 7~10% 흡수되고, 60~70℃에서 가장 많이 흡수되므로 염색할 때 매염제로 사용하는 유기산은?

  1. 옥살산
  2. 타닌산
  3. 황산
  4. 아세트산
(정답률: 46%)
  • 타닌산은 면섬유를 손상시키지 않고 흡수되며, 염색할 때 매염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산입니다. 특히 60~70℃에서 가장 많이 흡수되기 때문에 염색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면섬유가 탄화되어 갈색으로 변화하는 온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20℃
  2. 150℃
  3. 200℃
  4. 300℃
(정답률: 52%)
  • 면섬유는 200℃ 이상의 고온에서 탄화되어 갈색으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볍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워시 앤드 웨어(wash and wear)성이 좋고 따뜻하며 양모대용으로 스웨터, 겨울 내의 등의 편성물, 모포에 많이 사용하는 섬유는?

  1. 나일론
  2. 아크릴
  3. 비스코스 레이온
  4. 아세테이트
(정답률: 71%)
  • 아크릴은 가볍고 부드러우며 워시 앤드 웨어성이 좋고 따뜻하며 양모 대용으로 사용되는 섬유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비중이 가장 큰 섬유는?

  1. 나일론
  2. 폴리에스터
(정답률: 68%)
  • 면은 자연섬유 중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섬유로, 인체에 친화적이며 흡수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다. 또한 내구성이 높고 가볍고 부드러워 피부에 자극이 적어 인기가 많다. 따라서 비중이 가장 큰 섬유는 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신축성이 크고 마찰강도, 굴곡강도 등 내구성이 고무보다 우수한 섬유는?

  1. 폴리아미드 섬유
  2. 폴리에스터 섬유
  3. 폴리우레탄 섬유
  4.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정답률: 81%)
  • 폴리우레탄 섬유는 고무와 비슷한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마찰강도나 굴곡강도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따라서 고무보다 더 많은 용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천연섬유 중 유일한 필라멘트 섬유에 해당하는 것은?

  1. 양모
(정답률: 74%)
  • 견은 식물인 삼의 줄기에서 추출한 섬유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동물성 섬유이기 때문에 천연섬유 중 유일한 필라멘트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스테이플 파이버(staple fiber)와 비교하여 필라멘트 파이버(filament fiber)로 만든 옷감이 우수한 것은?

  1. 통기성
  2. 보온성
  3. 투습성
  4. 광택
(정답률: 58%)
  • 필라멘트 파이버는 스테이플 파이버보다 보다 매끄럽고 광택이 있어서 더욱 빛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광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연소될 때 머리카락 타는 냄새가 나는 섬유로만 나열한 것은?

  1. 양모, 견
  2. 양모, 아세테이트
  3. 견, 폴리에스터
  4. 견, 비스코스 레이온
(정답률: 73%)
  • 양모와 견은 자연 섬유로, 연소될 때 머리카락 타는 냄새가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 비스코스 레이온은 인공 섬유로, 연소될 때 다른 냄새가 나거나 냄새가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모, 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색상환의 두 색상끼리의 각도 중 색상차가 가장 큰 것은?

  1. 120° 이상
  2. 60~90°
  3. 45° 이내
  4. 0~30°
(정답률: 66%)
  • 색상환에서 색상차가 가장 큰 것은 반대편에 위치한 색상끼리의 각도 차이입니다. 즉, 180° 차이가 가장 크지만 보기에서는 120° 이상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 중에서 가장 큰 것은 120°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톤(tone)을 중심으로 한 배색의 효과 중 토널(tonal) 배색에 해당하는 것은?

  1. 톤 온 톤(tone on tone)
  2. 톤 인 톤(tone in tone)
  3. 포 카마이유
  4. 콘트라스트
(정답률: 56%)
  • 톤 인 톤(tone in tone)은 한 가지 색조에서 밝기와 채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조화롭게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같은 색조의 다른 음영을 사용하여 조화로운 톤(tone)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이는 단조로움을 방지하면서도 일관성 있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인기 있는 배색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색과 촉감과의 관계가 틀린 것은?

  1. 고명도, 고채도의 색 – 평활 광택감
  2. 한색 계열 회색 기미의 색 - 경질감
  3. 광택이 있는 색 - 거친감
  4. 따뜻하고 가벼운(light) 톤의 색 – 유연감
(정답률: 81%)
  • 광택이 있는 색은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고 있지만, 거친 감촉과는 맞지 않습니다. 광택이 있는 색은 윤기와 광택이 있어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반면, 거친 감촉은 표면이 거칠어져서 부드럽지 않은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광택이 있는 색과 거친 감촉은 서로 맞지 않는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의상의 기본 요소 중 의상 본래의 목적인 보온과 외부로부터의 보호, 공기의 유통 등에 맞추어 이루어진 아름다움으로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은?

  1. 색채미
  2. 형태미
  3. 기능미
  4. 재료미
(정답률: 77%)
  • 기능미는 의상의 기본적인 기능인 보온과 보호, 공기 유통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된 아름다움을 말합니다.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의상에서는 기능미가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를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능미는 의상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복식의 조화에서 항상 쓰임의 조건을 전제로 한 것이어야 목적에 적합한 기능성을 만족시키게 되는 조화는?

  1. 선의 조화
  2. 대비의 조화
  3. 재질의 조화
  4. 색채의 조화
(정답률: 77%)
  • 복식의 기능성은 주로 재질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재질의 조화가 목적에 적합한 기능성을 만족시키는 조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는 보온성이 높은 울이나 모직 등의 재질을 사용하고, 여름철에는 통기성이 좋은 면이나 린넨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재질의 조화는 복식의 기능성을 만족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색을 느끼는 색의 강약에 해당하는 것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색입체
(정답률: 74%)
  • 정답은 "채도"입니다. 채도는 색의 강약을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로, 색의 순수성 정도를 나타냅니다. 높은 채도는 순수한 색에 가깝고, 낮은 채도는 회색빛이 섞인 색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색을 느끼는 색의 강약에 해당하는 것은 채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색채의 공감각 중 미각에 해당하는 색상의 연결이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달콤한 맛 – 분홍색
  2. 짠맛 – 연한 초록색과 회색의 배색
  3. 신맛 – 회색
  4. 쓴맛 – 진한 파랑
(정답률: 72%)
  • 미각은 맛과 관련된 감각이므로, 신맛은 색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신맛과 회색은 연결이 가장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떤 자극의 색각이 생긴 뒤에 그 자극을 제거 해도 흥분이 남아 원자극과 같거나 또는 반대 성질의 상이 보이는 현상은?

  1. 색음
  2. 잔상
  3. 동화
  4. 대비
(정답률: 88%)
  • 잔상은 어떤 자극이 사라진 뒤에도 그 자극이 머무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색각 자극이 사라진 뒤에도 그 색각이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것으로, 잔상은 색각 자극이 사라진 뒤에도 일정 시간 동안 머무르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잔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난색과 가장 거리가 먼 색상은?

  1. 빨강
  2. 주황
  3. 연두
  4. 노랑
(정답률: 87%)
  • 난색은 모든 색상을 혼합한 색상이므로, 다른 모든 색상과 조합되어 만들어진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색상은 난색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색상인 연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유채색이 아닌 것은?

  1. 주황
  2. 녹색
  3. 흰색
  4. 남색
(정답률: 90%)
  • 유채색은 색상의 진한 정도와는 관계없이 색상이 섞여서 만들어진 색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흰색"은 색상이 섞여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순수한 색상이기 때문에 유채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물에 잘 녹으며 중성 또는 약산성에서 단백질 섬유에 잘 염착되고 아크릴 섬유에도 염착되는 염료는?

  1. 분산염료
  2. 직접염료
  3. 산성염료
  4. 염기성염료
(정답률: 54%)
  • 염기성염료는 물에 잘 녹으며 중성 또는 약산성에서 단백질 섬유에 잘 염착되고 아크릴 섬유에도 염착되는 염료입니다. 이는 염기성염료가 양이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이온을 가진 섬유에 잘 염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염기성염료는 단백질 섬유와 아크릴 섬유에 잘 염착되는 염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능직물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1. 3원 조직 중 조직점이 가장 많다.
  2.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가장 좋다.
  3. 구김이 잘 생긴다.
  4. 밀도를 크게 할 수 있어 두꺼우면서 부드러운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0%)
  • 밀도가 높을수록 직물의 실질적 두께가 증가하므로, 두꺼운 직물을 만들 수 있고, 동시에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완염제가 아닌 것은?

  1. 탄산나트륨
  2. 수산화나트륨
  3. 황산나트륨
  4. 아세트산암모늄
(정답률: 45%)
  • 수산화나트륨은 알칼리성 화합물로서 완염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에, 수산화나트륨은 화학 실험에서 pH 조절제로 사용되거나, 비료 제조, 유리 제조, 석유화학 산업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수산화나트륨은 완염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편성물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신축성이 적어 잘 구겨진다.
  2. 직물과 비교하여 통기성이 적다.
  3. 컬업(curl up)성이 있어 재단과 봉제가 어렵다.
  4. 편물은 실용성이 적고 사치성이 있어 경제성이 적다.
(정답률: 68%)
  • 컬업(curl up)성이란, 편물이 자연스럽게 말려서 고정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재단과 봉제가 어렵고, 디자인에 따라서는 원하는 모양을 만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열전도성이 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계절은?

  1. 여름
  2. 가을
  3. 겨울
(정답률: 70%)
  • 열전도성이 큰 섬유는 열을 잘 전달하기 때문에 더운 여름철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여름에는 더위로 인해 땀이 많이 나기 때문에 빠른 건조와 통기성이 필요하며, 열전도성이 큰 섬유는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열전도성이 큰 섬유는 열을 잘 전달하기 때문에 더위를 빠르게 흡수하고 체온을 낮춰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에는 열전도성이 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내의(內衣)의 재료로 요구되는 성질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구성
  2. 보온성
  3. 흡수성
  4. 흡습성
(정답률: 55%)
  • 내구성은 내의의 재료가 오래 사용되어도 변형이나 파손이 없도록 강하고 견고한 성질을 의미합니다. 다른 성질들은 내의의 착용감이나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내구성은 내의의 수명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장 중요한 성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내구성이 가장 거리가 먼 성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세탁용수인 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지용성 오염에 대한 용해력이 우수하다.
  2. 인화성이 없고 불연성이다.
  3. 풍부하고 값이 싸다.
  4. 적당한 어느점, 끓는점, 증기압을 가졌다.
(정답률: 64%)
  • 세탁용수는 지용성 오염물질인 기름, 지방 등을 용해시키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지용성 오염에 대한 용해력이 우수하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이는 세탁 시 옷에 묻은 기름 또는 지방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인화성이 없고 불연성이며, 적당한 끓는점과 증기압을 가지는 것도 세탁용수의 장점이지만, 이들은 지용성 오염물질을 용해시키는 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물을 이루고 있는 각 섬유의 표면을 소수성 수지로 피복하는 가공은?

  1. 방충가공
  2. 방염가공
  3. 발수가공
  4. 방수가공
(정답률: 49%)
  • 직물을 이루고 있는 섬유는 대부분 수분을 흡수하므로 물에 젖으면 무거워지고 불쾌감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직물의 섬유 표면을 소수성 수지로 피복하는 가공을 발수가공이라고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직물은 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피복류의 성능요구도 중 관리적 성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마모성
  2. 내오염성
  3. 방추성
  4. 방충성
(정답률: 35%)
  • "내마모성"은 피복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성능 요구사항이며, 관리적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관리적 성능은 피복의 유지보수 및 관리에 대한 성능 요구사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내마모성"은 관리적 성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피륙의 역학적 특성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피륙을 구성하는 실의 특성, 피륙의 조직, 가공방법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1. 인장강도
  2. 인열강도
  3. 파열강도
  4. 마모강도
(정답률: 62%)
  • 피륙은 주로 인장력에 의해 파손되기 때문에, 피륙의 역학적 특성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장강도입니다. 피륙을 구성하는 실의 특성, 조직, 가공방법 등이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피륙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륙의 인장강도는 피륙의 사용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