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10-06)

건설재료시험기능사
(2002-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재료

1. 어떤 목재 시험편이 기건 상태에서 무게가 100gf 이고 시험편의 체적이 200cm3 이었다면 비중은?

  1. 5.0
  2. 2.0
  3. 1.5
  4. 0.5
(정답률: 44%)
  • 비중은 물에 대한 밀도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시험편의 밀도를 계산해야 합니다. 밀도는 무게를 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0gf을 200cm3으로 나눈 값은 0.5gf/cm3이 됩니다. 이것은 물의 밀도인 1g/cm3의 반으로, 따라서 비중은 0.5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석유 아스팔트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연화점이 비교적 낮고 감온성이 크다.
  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점착성, 연성, 방수성이 크다
  3. 블로운 아스팔트는 감온성이 적고 탄력성이 풍부하다
  4. 블로운 아스팔트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며 충격저항도 작다.
(정답률: 59%)
  • 블로운 아스팔트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며 충격저항도 작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블로운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 더 많은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서 더욱 안정적이며, 충격저항도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약취급상 주의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1. 다이너마이트는 햇볕의 직사를 피하고 화기가 있는 곳에 두지 않는다.
  2. 뇌관과 폭약은 사용에 편리하도록 한곳에 보관한다.
  3. 화기와 충격에 대하여 각별히 주의한다.
  4. 장기간 보존으로 인한 흡습, 동결에 주의하고 온도와 습도에 의한 품질의 변화가 없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98%)
  • "뇌관과 폭약은 사용에 편리하도록 한곳에 보관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뇌관과 폭약은 각각 다른 보관 방법이 필요하며, 서로 섞이면 안 됩니다. 따라서 따로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멘트 저장에 관한 사항을 열거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입하순으로 저장
  2. 방습적인 창고여야 한다.
  3. 포대 시멘트는 되도록 많이 쌓는다.
  4. 검사에 편리하게 배치한다.
(정답률: 93%)
  • "포대 시멘트는 되도록 많이 쌓는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포대 시멘트는 적게 쌓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포대 시멘트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압축력이 커지기 때문에 하부의 시멘트가 압축되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대 시멘트는 적당한 높이로 쌓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포졸란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영향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가 절약된다.
  2.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커진다.
  3. 작업이 용이하고 발열량이 증대한다.
  4.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커진다.
(정답률: 51%)
  • 포졸란은 콘크리트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화학물질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고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작업이 용이하고 발열량이 증대한다."는 옳은 내용이다. 하지만 "시멘트가 절약된다."는 잘못된 내용이다. 포졸란은 시멘트와 함께 사용되며, 시멘트의 양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시멘트의 양을 줄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특징을 설명한 것중 옳은 것은?

  1. 내화성이 보통 콘크리트보다 작다.
  2. 강도가 보통 콘크리트보다 크다.
  3. 건조 수축에 의한 변형이 생기기 쉽다.
  4. 탄성계수는 보통 콘크리트 보다 크다.
(정답률: 47%)
  • 경량 골재 콘크리트는 내화성이 보통 콘크리트보다 작지만, 강도가 보통 콘크리트보다 크며 탄성계수는 보통 콘크리트보다 큽니다. 그러나 경량 골재 콘크리트는 건조 수축에 의한 변형이 생기기 쉽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구성 요소인 경량 골재가 물을 흡수하면서 부피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량 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할 때는 건조 수축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대부분 도로포장에 쓰이는 아스팔트는?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2. 블론 아스팔트
  3. 로크아스팔트
  4. 레이크아스팔트
(정답률: 79%)
  • 대부분 도로포장에 쓰이는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입니다. 이는 아스팔트의 종류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석유에서 추출한 비소결정성 물질인 아스팔트와 미네랄 계면활성제, 콘크리트, 모래 등을 혼합하여 만든 도로 포장재입니다. 이러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물에 강하며, 경제적인 장점이 있어 도로포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교적 연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적당한 휘발성 용제를 가하여 일시적으로 점도를 저하시켜 유동성을 좋게 한것은?

  1. 고무 아스팔트
  2. 컷백 아스팔트
  3. 역청 줄눈재
  4. 에멀션화 아스팔트
(정답률: 68%)
  • 컷백 아스팔트는 비교적 연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적당한 휘발성 용제를 가하여 일시적으로 점도를 저하시켜 유동성을 좋게 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처리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토목공사용 석재중 압축강도가 가장 큰 것은?

  1. 대리석
  2. 응회암
  3. 사암
  4. 화강암
(정답률: 84%)
  • 화강암은 다른 석재에 비해 결정성이 높고, 입자간 결합력이 강하여 압축강도가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토목공사에서는 화강암을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재료의 역학적 성질중 재료를 두들길때 얇게 펴지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강성
  2. 전성
  3. 인성
  4. 연성
(정답률: 86%)
  • 재료를 두들기면 얇게 펴지는 성질을 "전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의 분자나 결정 구조가 미세하게 이동하거나 변형하여, 재료가 두들겨져도 끊어지지 않고 얇게 늘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전성 성질은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에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AE 콘크리트의 알맞은 공기량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따라 정해지는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부피의 얼마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1. 1∼2%
  2. 2∼3%
  3. 8∼10%
  4. 4∼7%
(정답률: 76%)
  • AE 콘크리트는 공기가 포함된 경량 콘크리트로, 공기의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경량성이 떨어지거나 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공기량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클수록 공기량이 많아져야 하므로, 콘크리트 부피의 4∼7%가 가장 적당한 공기량입니다. 이 범위는 대부분의 굵은 골재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혼합 시멘트가 아닌 것은?

  1. 고로 슬래그 시멘트
  2. 알루미나 시멘트
  3. 플라이 애시 시멘트
  4. 포틀랜드 포촐라나 시멘트
(정답률: 71%)
  • 알루미나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와는 달리 석회암이나 국소석회를 사용하지 않고, 고순도의 알루미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시멘트입니다. 따라서 혼합 시멘트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단하고 내구적일 것
  2. 깨끗하고 먼지, 흙 등이 섞이지 않을 것
  3. 가늘고 긴 조각 등이 있을 것
  4. 필요한 무게를 가질 것
(정답률: 89%)
  • 가늘고 긴 조각은 골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닙니다. 이러한 조각이 있으면 골재의 구조가 불안정해지고, 건축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재는 가능한 균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조각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체가름 시험 결과치를 보고 잔골재의 조립률을 구하면?

  1. 3.96
  2. 3.69
  3. 2.96
  4. 2.69
(정답률: 42%)
  • 잔골재의 조립률은 체가름 시험에서 측정된 체지방률과 체중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체지방률 = (1.2 × 체질량 ÷ 키²) - (10.8 × 성별) + 0.23

    여기서 체질량은 체중을 의미합니다. 성별은 남성이면 1, 여성이면 0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체지방률 = (1.2 × 68.2 ÷ 1.72²) - (10.8 × 1) + 0.23 = 16.5

    잔골재의 조립률은 100%에서 체지방률을 뺀 값입니다.

    잔골재의 조립률 = 100% - 16.5% = 83.5%

    따라서, 정답은 2.9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감수제를 사용 했을 때 콘크리트의 성질로 잘못된 것은?

  1.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내구성이 증대된다.
  3. 수밀성 및 강도가 커진다.
  4. 단위 시멘트의 양이 많아진다.
(정답률: 64%)
  • 감수제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수밀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워커빌리티가 좋아지며 강도와 내구성도 향상됩니다. 하지만 단위 시멘트의 양이 많아지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감수제는 시멘트의 수요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단위 시멘트의 양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단면적이 80mm2인 강봉을 인장시험하여 항복점하중 2560kgf, 최대하중 3680kgf을 얻었을 때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1. 70 kgf/mm2
  2. 46 kgf/mm2
  3. 32 kgf/mm2
  4. 18 kgf/mm2
(정답률: 57%)
  • 인장강도는 최대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인장강도 = 최대하중 / 단면적

    = 3680 kgf / 80 mm2

    = 46 kgf/mm2

    따라서 정답은 "46 kgf/m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흙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시험용 기구가 아닌 것은?

  1. 항온건조기
  2. 데시케이터
  3. 증발접시
  4. 홈파기날
(정답률: 64%)
  • 홈파기날은 흙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시험용 기구가 아니라, 토양 샘플링을 위해 토양을 파는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항온건조기, 데시케이터, 증발접시는 모두 흙의 함수비를 측정하는 시험용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시멘트 분말도 시험에서 비표면적(比表面積)은 몇 g의 시멘트가 가지고 있는 총표면적인가?

  1. 1g
  2. 1.5g
  3. 3g
  4. 4.5g
(정답률: 65%)
  • 비표면적은 단위면적당 입자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시멘트 분말 1g이 가지고 있는 입자의 수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시멘트 분말 1g이 가지고 있는 총표면적이 비표면적 값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 시험 중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강도시험은?

  1. 압축강도
  2. 인장강도
  3. 휨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84%)
  • 콘크리트는 주로 압축력에 강한 재료이기 때문에, 압축강도가 가장 중요한 시험입니다. 즉, 콘크리트가 얼마나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인장강도, 휨강도,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이지만, 압축강도만큼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원주형 공시체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의 슈미트 해머에 의한 비파괴 시험에서 수정된 반발경도(Ro)는 32.0이다. 압축 강도는?

  1. 232 kg/cm2
  2. 236 kg/cm2
  3. 243 kg/cm2
  4. 223 kg/cm2
(정답률: 40%)
  • 슈미트 해머에 의한 비파괴 시험에서 수정된 반발경도(Ro)와 압축강도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Ro = 8.06 × √f'c

    여기서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Ro 값에 대해 위 식을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f'c = (Ro/8.06)^2 = (32.0/8.06)^2 = 123.6 kg/cm^2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32 kg/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시험

21.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할때 콘크리트를 처음 넣는 양은 슬럼프 시험용 모울드 용적의 얼마까지 넣는가?

  1. 3/4
  2. 1/2
  3. 1/3
  4. 1/5
(정답률: 86%)
  •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처음 넣는 양은 모울드 용적의 일정 비율만큼 넣어야 합니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양의 콘크리트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도 보통은 1/3 비율로 넣습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모울드 용적의 1/3 정도 차면 적절한 양이라는 경험적인 규칙에 따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시험 중 시험과정에서 수은이 사용되는 경우는 어느 시험인가?

  1. 흙의 비중시험
  2. 흙의 소성한계시험
  3. 흙의 수축한계시험
  4. 흙의 입도시험
(정답률: 79%)
  • 정답은 "흙의 수축한계시험" 입니다. 이 시험에서는 수은이 사용되어 흙의 수축률을 측정합니다. 수축한계시험은 흙의 건축물 건설 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골재의 체가름 시험 결과를 계산하는 과정으로 잘못 된것은?

  1. 유동곡선을 그린다.
  2. 골재의 최대치수와 조립률을 구한다.
  3. 무게비의 표시는 이것에 가장 가까운 정수로 한다.
  4. 각체에 남는 시료의 무게를 전체 무게에 대한 무게비(%)로 나타낸다.
(정답률: 43%)
  • "유동곡선을 그린다."는 잘못된 과정입니다. 이유는 골재의 체가름 시험 결과를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골재의 최대치수와 조립률을 구하고, 무게비의 표시는 이것에 가장 가까운 정수로 하며, 각체에 남는 시료의 무게를 전체 무게에 대한 무게비(%)로 나타내는 것이 올바른 과정이지만, 유동곡선을 그리는 것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중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시 필요하지 않은 사항은?

  1. 흐름 값 측정
  2. 골재의 체가름 시험
  3. 응결시간 측정
  4. 마샬 안정도 시험
(정답률: 34%)
  •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시에는 응결시간 측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응결시간은 혼합물이 고체로 변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혼합물의 경도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시에는 경도성보다는 흐름성이 중요하므로, 응결시간 측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흐름 값 측정, 골재의 체가름 시험, 마샬 안정도 시험은 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시 필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간접시험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시험은?

  1. 탄성종파시험
  2. 직접전단시험
  3. 비파괴시험
  4. 할렬시험
(정답률: 66%)
  • 할렬시험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 시멘트와 물의 반응으로 생성된 염기성 환경에서 철근을 회전시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측정합니다. 이 방법은 비파괴 시험으로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파괴하지 않고도 인장강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당한 시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카사그랜드(casagrande)가 고안한 흙의 통일 분류법에서 사용되는 제1문자로 옳지 않은 것은?

  1. C
  2. M
  3. W
  4. O
(정답률: 60%)
  • 정답은 "W"입니다. 카사그랜드가 고안한 흙의 통일 분류법에서 사용되는 제1문자는 "C", "M", "O"입니다. "W"는 해당 분류법에서 사용되지 않는 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흙의 비중 시험에서 비중병에 시료와 증류수를 넣고 끓이는데 점토질 흙은 최소 얼마 이상 끓여야 이상적인가?

  1. 5분
  2. 10분
  3. 20분
  4. 30분
(정답률: 76%)
  • 점토질 흙은 다른 흙에 비해 입자 크기가 작고 입자 간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물에 잘 분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료와 증류수를 끓이는 시간이 길어야 점토질 흙 입자가 물에 잘 분산되어 비중 시험 결과가 정확해집니다. 이에 따라, 이상적인 끓이는 시간은 1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시멘트 모르타르 인장강도 시험에서 다음 내용중 틀린 것은?

  1. 시멘트와 표준모래를 1:2.7의 무게비로 배합한다.
  2. 모르타르를 두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8-10kgf의 힘을 주어 12번씩 다진다.
  3. 시험체를 클립에 고정후 270± 10kgf/min의 속도로 하중을 계속 부하한다.
  4. 공시체 양생은 26± 4℃의 수조에서 양생한다.
(정답률: 53%)
  • 공시체 양생은 26± 4℃의 수조에서 양생한다는 것은 시험 조건 중 하나로, 시멘트 모르타르 인장강도 시험에서는 시멘트와 표준모래를 1:2.7의 무게비로 배합하고, 모르타르를 두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8-10kgf의 힘을 주어 12번씩 다지며, 시험체를 클립에 고정 후 270± 10kgf/min의 속도로 하중을 계속 부하하는 것이 올바른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공시체 양생은 26± 4℃의 수조에서 양생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올바른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골재의 단위용적 중량시험 방법이 아닌 것은?

  1. 충격을 이용한 시험
  2. 표준체에 의한 방법
  3. 삽을 사용하는 시험
  4. 봉다짐시험
(정답률: 40%)
  • 표준체에 의한 방법은 골재의 단위용적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골재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특정한 크기와 형태의 표준체를 만들어 이를 이용하여 골재의 품질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골재의 단위용적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에서 공칭 최대치수가 50mm일 때 시료의 최소 무게는?

  1. 2kgf
  2. 3kgf
  3. 8kgf
  4. 18kgf
(정답률: 41%)
  •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에서 공칭 최대치수가 50mm이므로, 시료의 최소 무게는 8kgf이어야 합니다. 이는 ASTM C127-15a 표준에서 규정된 최소 시료 무게이며,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시험 결과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kg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흐름 시험하여 콘크리트의 퍼진 지름을 각각 55.2cm, 54.0cm, 54.6cm 로 정하였다. 이 때 콘크리트의 흐름 값은 약 얼마인가?

  1. 113%
  2. 115%
  3. 118%
  4. 123%
(정답률: 39%)
  • 콘크리트의 흐름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F = frac{1000V}{t(d/2)^2pi}
    $$

    여기서 $V$는 시료의 부피, $t$는 시간, $d$는 콘크리트의 퍼진 지름이다.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F_1 = frac{1000V}{t(d/2)^2pi} = frac{1000}{30(27.6/2)^2pi} approx 0.139 \
    F_2 = frac{1000V}{t(d/2)^2pi} = frac{1000}{30(27.0/2)^2pi} approx 0.144 \
    F_3 = frac{1000V}{t(d/2)^2pi} = frac{1000}{30(27.3/2)^2pi} approx 0.142
    $$

    따라서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
    bar{F} = frac{F_1 + F_2 + F_3}{3} approx 0.142
    $$

    이 값은 정답인 115%에 가깝다. 이유는 정답인 115%가 평균값을 100%로 보았을 때의 상대적인 비율이기 때문이다. 즉,

    $$
    frac{bar{F}}{1} times 100% approx 115%
    $$

    따라서 정답은 "1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서 침입도의 단위는?

  1. 0.1mm
  2. 1mm
  3. 10mm
  4. 100mm
(정답률: 71%)
  •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에서 침입도는 0.1mm 단위로 측정됩니다. 이는 시험 시 사용되는 침입도 시험기의 측정 기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침입도 시험기는 아스팔트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을 유지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입하는 깊이를 측정합니다. 이때, 침입 깊이가 0.1mm 단위로 측정되므로, 침입도 또한 0.1mm 단위로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현장에서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무게 시험을 할때의 유의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병의 부피를 구하기 위하여 측정병에 물을 채울 때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한다.
  2. 측정병에 눈금을 표시하여 병과 연결부와의 접속위치를 검정할 때와 같게한다.
  3. 모래를 부어 넣는 동안 깔대기 속의 모래가 항상 반이상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켜 준다.
  4. 병에 모래를 넣을 때에 병을 흔들어서 가득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70%)
  • "측정병의 부피를 구하기 위하여 측정병에 물을 채울 때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모래 치환법 시험에서는 측정병에 물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모래를 부어 넣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병에 물을 채울 때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다른 시험에서 적용되는 유의사항입니다.

    "병에 모래를 넣을 때에 병을 흔들어서 가득 담을 수 있도록 한다."는 옳은 유의사항입니다. 이는 모래가 병 안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모래를 부어 넣는 동안 깔대기 속의 모래가 항상 반이상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켜 주는 것도 모래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측정병에 눈금을 표시하여 병과 연결부와의 접속위치를 검정할 때와 같게 하는 것도 모래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가압면에는 0.05㎜ 이상의 홈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몰딩
  2. 캐핑
  3. 리몰딩
  4. 코팅
(정답률: 80%)
  • 캐핑은 콘크리트 시험체의 가압면에 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험체 상단에 특수한 캡을 덮어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험체의 가압면에 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으로 캐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체 눈에 끼인 골재는 어떻게 처리하는가?

  1. 공기로 불어낸다.
  2. 손으로 밀어서 빼낸다.
  3. 부서져도 상관 없으므로 힘껏 빼낸다.
  4. 끼인 골재는 체에 남는 골제에서 제외 시킨다.
(정답률: 48%)
  • 체 눈에 끼인 골재는 손으로 밀어서 빼내거나 힘껏 빼내면 체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공기로 불어낸다. 이는 공기가 부드러우면서도 강력한 압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재를 눌러서 끼인 곳에서 살짝 불어내면 골재가 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 방법은 체에 손상을 줄 위험이 없으며, 빠르고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굵은 골재의 비중시험에서 정밀도는 시험을 두 번하여 그 값의 차가 얼마이하 이어야 하는가?

  1. 0.02
  2. 0.03
  3. 0.04
  4. 0.05
(정답률: 50%)
  • 굵은 골재의 비중은 일정한 값이어야 하므로, 시험을 두 번하여 그 값의 차가 가능한 작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밀도는 시험을 두 번하여 그 값의 차가 0.02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값의 차가 0.03, 0.04, 0.05 이상이라면 시험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반죽된 흙의 함수비를 달리하여 각 함수비에 대한 놋쇠접시의 낙하 횟수와의 관계를 반대수 모눈종이(semilogarithmic paper)에 직선으로 나타낸 그래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유동 곡선
  2. 단위무게 곡선
  3. 소성도 곡선
  4. 액성한계 곡선
(정답률: 72%)
  • 정답은 "유동 곡선"입니다.

    유동 곡선은 반죽된 흙의 함수비와 놋쇠접시의 낙하 횟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는 반대수 모눈종이에 직선으로 나타내어지며, 이는 함수비와 낙하 횟수 간의 로그 선형 관계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유동 곡선은 로그 선형 그래프로 표현되며, 이를 통해 흙의 유동성과 토양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흙의 액성한계 시험시 시료를 넣은 접시를 1cm의 높이에 서 1초에 2회 비율로 몇회 떨어뜨리는가?

  1. 15회
  2. 20회
  3. 25회
  4. 30회
(정답률: 68%)
  • 흙의 액성한계 시험은 시료를 떨어뜨려서 그 시료가 파괴되는 높이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때 시료를 떨어뜨리는 속도는 1초에 2회 비율로 떨어뜨립니다. 따라서 1초에 2회씩 떨어뜨리면서 시료가 파괴되는 높이가 1cm인 경우, 시료는 25회 떨어뜨려서 파괴됩니다. 이는 1회 떨어뜨릴 때마다 시료가 0.04cm씩 떨어지기 때문에, 25회 떨어뜨리면 시료는 1cm까지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표면에 떠올라서 가라앉은 미세한 물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블리딩
  2. 반죽질기
  3. 워커빌리티
  4. 레이턴스
(정답률: 76%)
  • 정답인 "레이턴스"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 표면에 떠올라서 가라앉은 미세한 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콘크리트 반죽의 물과 시멘트 입자가 분리되어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으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추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시공 시 레이턴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워커빌리티와 반죽질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단위수량이 170kgf이고, 단위시멘트량이 340kgf이면 물-시멘트비는 얼마인가?

  1. 100%
  2. 50%
  3. 200%
  4. 0%
(정답률: 81%)
  • 물-시멘트비는 단위시멘트량에 대한 단위물량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시멘트비는 170kgf/340kgf = 0.5, 즉 5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질

41. 시멘트 몰탈 압축강도 시험을 하였다. 시험체의 단면적이 16cm2이고 파괴될 때 최대하중이 1500kgf이었다. 이때 시멘트 몰탈 압축강도는?

  1. 80.6kgf/cm2
  2. 90.6kgf/cm2
  3. 93.8kgf/cm2
  4. 100.6kgf/cm2
(정답률: 63%)
  • 압축강도는 최대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강도 = 최대하중 / 단면적

    = 1500kgf / 16cm2

    = 93.8kgf/cm2

    따라서, 정답은 "93.8kgf/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내부마찰각이 0° 인 연약점토를 일축압축시험하여 일축압축강도가 2.45 kgf/cm2을 얻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

  1. 0.849 kgf/cm2
  2. 0.955 kgf/cm2
  3. 1.225 kgf/cm2
  4. 1.649 kgf/cm2
(정답률: 58%)
  • 일축압축시험에서 내부마찰각이 0° 이므로, 코하에시온의 공식을 이용하여 흙의 점착력을 구할 수 있다.

    코하에시온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σ = c + σ' tan φ

    여기서,
    σ : 일축압축강도
    c : 일반응력
    σ' : 전단응력
    φ : 내부마찰각

    일축압축강도인 σ는 2.45 kgf/cm^2 이고, 내부마찰각인 φ는 0° 이므로, 위의 공식에서 φ의 값은 0이 된다. 따라서,

    σ = c

    이 된다.

    따라서, 흙의 점착력은 일반응력인 c와 같다. 일반응력 c는 2.45 kgf/cm^2 이므로, 흙의 점착력은 2.45 kgf/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25 kgf/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에서 슬럼프콘은 몇초이내에 벗기며 전 작업 시간은 어느정도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초 이내, 1분30초 이내
  2. 3초 이내, 1분50초 이내
  3. 4초 이내, 2분10초 이내
  4. 5초 이내, 2분30초 이내
(정답률: 49%)
  • 콘크리트 슬럼프 시험에서 슬럼프콘은 시험 후 5초 이내에 벗겨져야 합니다. 이는 슬럼프콘의 물성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어야 함을 나타냅니다. 전 작업 시간은 슬럼프콘을 제조하고 시험하기까지의 총 시간으로, 이는 2분30초 이내여야 합니다. 이는 슬럼프콘의 물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이 지나도 변화가 없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스팔트 신도 시험에서 시험기의 물의 온도와 시험속도로 맞는 것은?

  1. 물의 온도 20± 0.5℃, 시험기 속도 매분 2± 0.25㎝
  2. 물의 온도 22± 0.5℃, 시험기 속도 매분 3± 0.25㎝
  3. 물의 온도 25± 0.5℃, 시험기 속도 매분 5± 0.25㎝
  4. 물의 온도 28± 0.5℃, 시험기 속도 매분 7± 0.25㎝
(정답률: 62%)
  • 아스팔트 신도 시험에서는 물의 온도와 시험기 속도가 정확하게 유지되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의 온도는 25± 0.5℃로 유지되어야 하며, 시험기 속도는 매분 5± 0.25㎝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시험 기준에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기준을 벗어나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흙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몇℃의 물에 대한 값을 구하는 것인가?

  1. 5℃
  2. 15℃
  3. 25℃
  4. 28℃
(정답률: 32%)
  • 흙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15℃의 물에 대한 값을 구합니다. 이는 15℃가 물의 밀도가 가장 높은 온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흙의 비중을 측정할 때는 이 온도에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다른 온도에서 측정하면 물의 밀도가 변화하여 측정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자연상태의 함수비가 98.0%, 소성한계가 70.0%, 액성지수가 1.17인 흙 시료의 소성 지수의 값은?

  1. 23.9 %
  2. 28.0 %
  3. 59.8 %
  4. 83.8 %
(정답률: 21%)
  • 소성한계가 70.0%이므로, 이 시료는 70.0% 이상의 수분 함유율에서는 소성이 일어나지 않고, 70.0% 미만의 수분 함유율에서는 소성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액성지수가 1.17이므로, 수분 함유율이 1% 증가할 때마다 소성 지수는 1.17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이 시료의 소성 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수분 함유율이 70.0% 미만인 경우:
    - 소성 지수 = (수분 함유율 / 자연상태의 함수비) x 액성지수 = (70.0 / 98.0) x 1.17 = 0.8378
    - 수분 함유율이 70.0% 이상인 경우:
    - 소성 지수 = 0.8378 (70.0% 이상에서는 소성이 일어나지 않음)

    따라서, 이 시료의 소성 지수는 0.8378이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83.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모세관의 안지름 0.10mm인 유리관속을 증류수가 상승하는 높이는? (단, 표면장력 T=0.075gf/cm, 접촉각을 0으로 한다.)

  1. 30cm
  2. 3.0cm
  3. 1.5cm
  4. 15cm
(정답률: 18%)
  • 이 문제는 모세관 현상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모세관은 표면장력과 접촉각에 의해 증류수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여기서 주어진 모세관의 안지름은 0.10mm이며, 표면장력은 0.075gf/cm입니다. 접촉각은 0으로 가정합니다.

    모세관의 공식에 따르면, 증류수가 상승하는 높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h = (2Tcosθ)/ρgr

    여기서 T는 표면장력, θ는 접촉각, ρ는 증류수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r은 모세관의 반지름입니다.

    접촉각이 0이므로 cosθ는 1이 됩니다. 또한, 증류수의 밀도와 중력가속도는 모두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생략합니다.

    따라서, h = (2T/r)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T는 0.075gf/cm, r은 0.10mm/2 = 0.005cm입니다.

    h = (2 × 0.075gf/cm / 0.005cm) = 30cm

    따라서, 증류수가 상승하는 높이는 30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테르자기의 압밀이론에 관한 가정중 틀린 것은?

  1. 흙은 균질하고 흙속의 간극은 완전히 포화되어 있다.
  2. 흙층의 압축도 일축적으로 일어난다.
  3. 간극비와 압력과의 관계는 곡선이다.
  4. 흙의 성질은 압력의 크기에 관계 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32%)
  • "간극비와 압력과의 관계는 곡선이다." 가정이 틀린 이유는 간극비와 압력은 비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압력이 증가하면 간극비가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흙의 성질과 구조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극비와 압력은 곡선이 아닌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흙의 다짐시험에 필요한 기구가 아닌 것은?

  1. 프럭터(proctor)
  2. 원통형 금속제 모울드(mold)
  3. 래머(rammar)
  4. 시료추출기(sample extruder)
(정답률: 48%)
  • 프럭터(proctor)는 흙의 밀도와 수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로, 다짐시험에 필요한 기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럭터(proctor)"가 아닌 나머지 보기들이 흙의 다짐시험에 필요한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상부구조물에서 오는 하중을 연약한 지반을 통해 견고한 지층으로 전달시키는 기능을 가진 말뚝을 무슨 말뚝이라 하는가?

  1. 마찰말뚝
  2. 인장말뚝
  3. 선단지지말뚝
  4. 경사말뚝
(정답률: 73%)
  • 선단지지말뚝은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의 선단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다른 말뚝들은 각각 마찰력, 인장강도, 경사각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선단지지말뚝은 지반의 선단에 고정되어 하중을 전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그림과 같이 지하수 밑의 A점에 전단강도를 추정한 값은? (단, 점착력(C)은 0.8t/m2, 전단저항각(φ)는 45° 임)

  1. 4.62 t/m2
  2. 5.42 t/m2
  3. 6.85 t/m2
  4. 7.62 t/m2
(정답률: 34%)
  • 전단강도는 τ = C * tan(φ) 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τ = 0.8 * tan(45°) = 0.8 * 1 = 0.8 t/m^2 입니다. 그러나 이 값은 지하수가 없는 경우의 값이므로, 지하수 압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지하수 압력은 수위차(h) * 단위무게(gamma)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수위차가 없으므로, 지하수 압력은 0입니다. 따라서, 전단강도는 0.8 t/m^2 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6.85 t/m^2"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6.85 t/m^2"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로 포장 두께나 표층, 기층, 노반의 두께 및 재료의 설계에 이용되는 시험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평판재하시험
  2. 삼축압축시험
  3. C.B.R 시험
  4. 현장 흙의 단위무게시험
(정답률: 84%)
  • C.B.R 시험은 도로 포장 재료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도로 포장 두께나 표층, 기층, 노반의 두께 및 재료의 설계에 이용됩니다. 이 시험은 포장재의 내구성과 변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포장재를 특정한 압력과 변형률로 압축하면서 그에 대한 저항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로 포장재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평가하는 데에 이용되는 C.B.R 시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사질지반에 있어서 강성기초의 접지압 분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기초 밑면에서의 응력은 토질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2. 기초의 밑면에서는 어느 부분이나 동일하다.
  3. 기초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4. 기초의 중앙부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한다.
(정답률: 49%)
  • 기초의 중앙부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하는 이유는, 기초의 중앙부분이 지지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반의 강성이 낮아도 중앙부분에서는 높은 접지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에 기초의 모서리 부분은 지지력이 적기 때문에 최대응력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두꺼운 유리판 위에 시료를 손바닥으로 굴리면서 늘렸을때, 지름 약 몇mm에서 부서질 때의 함수비를 소성 한계라 하는가?

  1. 1
  2. 3
  3. 5
  4. 7
(정답률: 78%)
  • 유리는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는 약하기 때문에, 시료를 늘리는 동안에는 유리판이 시료를 지지해주지만, 시료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늘어나면 유리판이 시료를 지지해주지 못하고 부서지게 됩니다. 이때 부서지는 크기가 작을수록 소성 한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름이 작을수록 소성 한계가 높아지므로, 지름이 3mm일 때 부서지는 것이 가장 적절한 소성 한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흙의 삼상(三相)관계중 세가지 성분이 아닌 것은?

  1. 공기
  2. 간극
  3. 흙입자
(정답률: 67%)
  • 간극은 흙의 삼상관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흙의 삼상관계는 고체 상태인 흙입자, 액체 상태인 물, 그리고 기체 상태인 공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극은 이들 성분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을 의미하며, 성분 자체는 아니기 때문에 흙의 삼상관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짐곡선에서 최대 건조 단위 무게에 대응하는 함수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적정 함수비
  2. 최대 함수비
  3. 최소 함수비
  4. 최적 함수비
(정답률: 75%)
  • 다짐곡선에서 최대 건조 단위 무게에 대응하는 함수비를 "최적 함수비"라고 합니다. 이는 다짐곡선에서 최대한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함수비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최대나 최소를 강조하고 있지만, 최적은 최대나 최소를 모두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값을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짐곡선에서 최대 건조 단위 무게에 대응하는 함수비를 찾을 때는 최적 함수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어느 기초의 종류를 나타낸 것인가?

  1. 전면기초
  2. 복합기초
  3. 케이슨기초
  4. 독립후팅기초
(정답률: 54%)
  • 이 기초는 각각의 기둥이 독립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기둥 하나당 하나의 기초를 갖는 독립후팅기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단 강도를 구하기 위한 시험에는 실내시험과 현장시험이 있는데 이 중 현장 시험은 어느 것인가?

  1. 삼축 압축 시험
  2. 표준 관입 시험
  3. 직접 전단 시험
  4. 일축 압축 시험
(정답률: 32%)
  • 현장에서 사용되는 시험 방법은 표준 관입 시험입니다. 이는 실제 건축물의 벽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 전단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시험 방법들은 보다 실험실적인 측면이 강하며, 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흙에 있어서 토립자 부분의 무게가 65gf이다. 토립층 부분의 부피가 40cm3일 때, 이 흙의 비중은 얼마인가?

  1. 1
  2. 1.63
  3. 2
  4. 2.45
(정답률: 64%)
  • 비중은 물의 밀도에 대한 해당 물질의 밀도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먼저, 토립층 부분의 부피가 40cm3이므로, 이 부분의 질량은 65gf입니다.

    다음으로, 흙의 비중을 구하기 위해서는 흙의 밀도를 알아야 합니다. 흙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1.5g/cm3 정도입니다.

    따라서, 흙의 질량은 부피와 밀도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흙의 질량 = 40cm3 x 1.5g/cm3 = 60gf

    이제 비중을 구할 수 있습니다.

    비중 = 토립층 부분의 질량 / 흙의 질량 = 65gf / 60gf = 1.08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의 값이 요구되므로, 반올림하여 1.6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입경 가적곡선에서 D10=0.05mm, D30=0.09mm, D60=0.15mm임을 알았다. 균등계수(Cu)와 곡률계수(Cg)는?

  1. Cu=1.08 , Cg=3.0
  2. Cu=1.08 , Cg=5.0
  3. Cu=3.0 , Cg=1.08
  4. Cu=5.0 , Cg=3.0
(정답률: 60%)
  • 입경 가적곡선에서 D10=0.05mm, D30=0.09mm, D60=0.15mm이므로, 중간 입경(Dm)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m = (D10 × D60)1/2 = (0.05 × 0.15)1/2 = 0.09mm

    따라서, 균등계수(Cu)와 곡률계수(Cg)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u = D60 / D10 = 0.15 / 0.05 = 3.0

    Cg = (D30 / D10) × (D60 / D30)1/2 = (0.09 / 0.05) × (0.15 / 0.09)1/2 = 1.08

    따라서, 정답은 "Cu=3.0 , Cg=1.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