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2-03)

건설재료시험기능사
(2008-02-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설재료

1. 다음 중 다이너마이트의 주성분은?

  1. 질산암모니아
  2. 니트로글리세린
  3. AN-FO
  4. 초산
(정답률: 92%)
  • 다이너마이트의 주성분은 니트로글리세린입니다. 이는 다이너마이트의 폭발력을 결정하는 화학물질로, 질산암모니아, AN-FO, 초산과는 구성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는?

  1. 페놀수지
  2. 요소수지
  3. 염화비닐수지
  4. 멜라민수지
(정답률: 65%)
  • 열가소성 수지는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수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염화비닐수지는 열에 강하고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염화비닐수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알루미나 시멘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크사이트와 석회석을 혼합하여 분말로 만든 시멘트이다.
  2. 재령 7일에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의 재령 28일에 해당하는 강도를 나타낸다.
  3. 화학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4. 내화용 콘크리트에 적합하다.
(정답률: 54%)
  • 알루미나 시멘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재령 7일에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의 재령 28일에 해당하는 강도를 나타낸다." 입니다. 이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골재의 함수 상태에 있어서 공기 중 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되는 물의 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함수량
  2. 흡수량
  3. 표면수량
  4. 유효 흡수량
(정답률: 60%)
  • 골재의 함수 상태에서 공기 중 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흡수되는 물의 양을 유효 흡수량이라고 합니다. 이는 골재가 흡수할 수 있는 최대한의 물의 양을 의미하며, 이후에는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유효 흡수량은 골재의 흡수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풍화된 시멘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작아진다.
  2. 응결이 늦어진다.
  3. 조기강도가 커진다.
  4. 강열감량이 커진다.
(정답률: 59%)
  • 조기강도가 커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풍화된 시멘트는 물에 노출되어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응결이 늦어지고 비중이 작아집니다. 또한 강열감량이 커지는데, 이는 시멘트 내의 화학물질이 분해되어 열이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조기강도가 커지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조기강도란 시멘트가 경화되어 처음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하는데, 풍화된 시멘트는 경화되지 않았으므로 조기강도가 커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화작용을 할 때 발열량이 적다.
  2. 한중 콘크리트 시공에 알맞다.
  3. 건조수축이 적다.
  4. 댐 콘크리트 등에 쓰인다.
(정답률: 53%)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는 한중 콘크리트 시공에 알맞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중국과 한국의 기후와 토질 조건에 맞게 개발된 시멘트로, 건조수축이 적고 수화작용 발열량이 적어서 한중 지역에서 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합니다. 또한 댐 콘크리트 등에도 쓰이는 고강도 시멘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목재의 기건비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킨 상태에서의 비중
  2. 생목 또는 벌목 직후의 비중
  3. 공기 중의 습도와 평형이 될 때까지 건조한 상태에서의 비중
  4. 수중에서 포화된 상태에서의 비중
(정답률: 68%)
  • 목재는 수분 함량에 따라 무게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건비중이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기건비중은 공기 중의 습도와 평형이 될 때까지 건조한 상태에서의 비중을 의미합니다. 이는 목재의 수분 함량이 완전히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의 무게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목재의 수분 함량에 따라 무게가 달라지는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단위시멘트량이 300kg/m3, 단위수량이 150kg/m3일 때 물-시멘트비는 얼마인가?

  1. 45%
  2. 50%
  3. 52%
  4. 55%
(정답률: 86%)
  • 물-시멘트비(W/C ratio)는 단위시멘트량에 대한 단위물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물-시멘트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시멘트비 = 단위수량 ÷ 단위시멘트량 = 150kg/m3 ÷ 300kg/m3 = 0.5

    즉, 물-시멘트비는 0.5 또는 5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천연 아스팔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레이크 아스팔트(lake asphalt)
  2. 록 아스팔트(rock asphalt)
  3. 샌드 아스팔트(sand asphalt)
  4. 블론 아스팔트(blow asphalt)
(정답률: 76%)
  • 블론 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가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아스팔트로, 석유 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가열하여 생산됩니다. 따라서 천연 아스팔트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강도가 가장 큰 석재는?

  1. 사암
  2. 대리석
  3. 안산암
  4. 화강암
(정답률: 79%)
  • 화강암은 다른 석재에 비해 결정성이 높고, 결정간의 결합력이 강하므로 강도가 가장 큽니다. 또한, 화강암은 고온 고압에서 형성되어 내부 구조가 밀도가 높고 균일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서중콘크리트 시공이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거리가 멀 경우 혼화제를 사용하고자 한다. 다음 중 어느 혼화제가 적당한가?

  1. 지연제
  2. 촉진제
  3. 급결제
  4. 방수제
(정답률: 84%)
  • 지연제는 콘크리트 혼합물의 초기 경화를 지연시켜서 운반거리가 멀거나 시공 시간이 길어질 때 콘크리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서중콘크리트 시공이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운반거리가 멀 경우에 적합한 혼화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경화 촉진제는?

  1. 염화칼슘
  2. AE제
  3. 알루미늄
  4. 플라이 애시
(정답률: 51%)
  • 염화칼슘은 콘크리트나 시멘트 등의 건축자재에서 경화 촉진제로 사용되며,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켜 건축물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강을 용도에 알맞은 성질로 개선시키기 위해 가열하여 냉각시키는 조작을 강의 열처리라 한다. 다음 중 이 조작과 관계없는 것은?

  1. 성형
  2. 담금질
  3. 뜨임
  4. 불림
(정답률: 62%)
  • 강의 열처리는 강의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강의 경도, 인성, 내식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반면에 성형은 강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강의 물성 개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성형은 이 조작과 관계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계산상 그 양을 고려하여야 하는 혼화재료는 어느 것인가?

  1. 플라이 애시
  2. 고성능 감수제
  3. 기포제
  4. AE제
(정답률: 64%)
  •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혼화재료의 사용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플라이 애시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플라이 애시는 콘크리트의 수분 흡수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계산상 플라이 애시의 양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무화 아스팔트(Rubberized Asphalt)는 어떤 물질에 천연고무, 합성고무를 혼합한 것인가?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2. 블론 아스파트
  3. 시멘트
  4. 합성수지
(정답률: 65%)
  • 고무화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천연고무, 합성고무를 혼합한 것입니다. 따라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고무화 아스팔트를 만들기 위한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에 관한 다음 표의 설명에서 ()안에 들어갈 적당한 수치는?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67%)
  •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달라집니다. 표에서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10cm일 때,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90mm 이어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국수모양의 흙이 지름 몇 mm에서 부서질 때를 소성한계라 하는가?

  1. 1mm
  2. 3mm
  3. 5mm
  4. 7mm
(정답률: 80%)
  • 국수모양의 흙은 인장력에 의해 부서지게 됩니다. 지름이 작을수록 인장력이 커지므로, 지름이 작을수록 흙이 부서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지름이 3mm일 때 흙이 부서지는 것이 가장 쉽기 때문에 이를 소성한계로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시멘트의 비중을 시험할 때 사용되는 기구는?

  1. 르샤틀리에병
  2. 블레인투과장치
  3. 비이카침
  4. 길모어침
(정답률: 80%)
  • 시멘트의 비중을 시험할 때 사용되는 기구는 "르샤틀리에병"입니다. 이는 시멘트와 물의 혼합물을 담아 놓고 그 중량을 측정하여 비중을 계산하는 기구로, 시멘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멘트 시험에 사용되는 기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KS F 2414)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얼마 이하인 경우 적용하는가?

  1. 200mm
  2. 150mm
  3. 100mm
  4. 50mm
(정답률: 61%)
  • 콘크리트 블리딩 시험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50mm 이하인 경우에 적용합니다. 이유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50mm 이하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골재가 더 잘 분산되어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시험은 굵은 골재의 분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50mm 이하의 최대치수를 가진 굵은 골재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멘트 분말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말도라 한다.
  2. 시멘트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낮다.
  3. 분말도가 높으면 시멘트의 표면적이 커서 수화작용이 늦다.
  4. 분말도가 높으면 시멘트의 표면적이 커서 조기강도가 작아진다.
(정답률: 67%)
  •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말도라 하는 이유는 시멘트 분말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분말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분말도는 시멘트 입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며,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시멘트 분말의 입자 크기 분포를 파악하여 분말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시험

21. 슬럼프 시험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스럼프콘에 시료를 채우고 벗길 때까지의 시간은 5분이다.
  2. 슬럼프콘만을 벗기는 시간은 10초이다.
  3. 슬럼프콘의 높이는 30cm이다.
  4. 물를 많이 넣을수록 슬럼프값은 작아진다.
(정답률: 79%)
  • 슬럼프콘은 ASTM C143에 따라 제작되며, 그 기준에 따라 높이가 30cm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인 흙의 밀도시험에서 증류수와 시료를 채운 피크노미터를 전열기로 얼마 이상 끓이는가?

  1. 1분
  2. 3분
  3. 5분
  4. 10분
(정답률: 78%)
  • 흙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채운 피크노미터 안에 증류수를 넣고, 전열기로 끓여서 공기 중의 기포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적절한 시간동안 끓여야만 모든 기포가 제거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10분 이상 끓이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시험에서 시멘트를 510g 사용했을 때 표준모래의 양은 얼마나 되는가?

  1. 약 510g
  2. 약 638g
  3. 약 1020g
  4. 약 1250g
(정답률: 51%)
  • 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시험에서는 시멘트와 표준모래를 정해진 비율로 섞어 사용합니다. 이 비율은 보통 1:3 또는 1:2.75 정도입니다. 따라서 시멘트 510g을 사용한다면, 표준모래는 3배 또는 2.75배의 양이 필요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약 1250g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현장에서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단위무게 시험을 할 때의 유의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병의 부피를 구하기 위하여 측정병에 물을 채울 때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한다.
  2. 측정병에 눈금을 표시하여 병과 연결부와의 접촉위치를 검정할 때와 같게 한다.
  3. 측정병에 모래를 부어 넣는 동안 깔대기 속의 모래가 항상 반 이상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켜 준다.
  4. 측정병에 모래를 넣을 때에 병을 흔들어서 가득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69%)
  • "측정병을 흔들어서 가득 담을 수 있도록 한다."는 옳은 유의사항입니다. 이는 모래를 측정병에 넣을 때 공기 포함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공기 포함이 있으면 모래의 밀도가 변하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병을 흔들어서 공기 포함을 최소화하고 모래를 가득 담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 강도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할 경우 공시체의 양생중의 온도는 어느 정도로 유지해야 하는가?

  1. 5±2℃
  2. 10±2℃
  3. 20±2℃
  4. 27±2℃
(정답률: 74%)
  • 콘크리트 강도는 시간과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강도시험을 할 때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때, 20±2℃의 온도를 유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규격에 따른 기준 온도
    국제규격에서는 콘크리트 강도시험용 공시체의 온도를 20℃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 이상 또는 이하의 온도에서 시험을 진행하면 국제규격을 위반하게 됩니다.

    2. 콘크리트의 수화반응
    콘크리트는 수화반응을 통해 경화되는데, 이 반응은 일정한 온도에서 일어납니다. 20℃ 이하에서는 수화반응이 느리게 일어나고, 20℃ 이상에서는 수화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20±2℃의 온도를 유지하면 적절한 수화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3. 온도의 일정성 유지
    강도시험을 할 때는 온도의 일정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20±2℃의 범위 내에서 온도를 유지하면, 시험 중에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않아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 필요한 시험기구로서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표준체
  2. 철망태
  3. 시료분취기
  4. 체진동기
(정답률: 42%)
  • 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골재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시료를 압축하여 밀도와 체적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시료를 분취하는 시료분취기, 시료를 압축하는 체진동기,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준체는 모두 골재의 체가름 시험에 필요한 기구입니다. 하지만 철망태는 골재의 체가름 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망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시험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슬럼프 시험
  2. 리몰딩 시험
  3. 길모아침 시험
  4. 켈리볼 관입시험
(정답률: 52%)
  • 길모아침 시험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시험하는 방법이 아니라,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길모아침 시험"입니다.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리몰딩 시험은 콘크리트의 가공성을, 켈리볼 관입시험은 콘크리트의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느 흙을 수축한계 시험하여 수축비가 1.6이고 수축한계가 25.0%일 때 이 흙의 비중은?

  1. 1.89
  2. 2.47
  3. 2.67
  4. 2.79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흙의 함수비 시험에 사용되지 않는 기계 및 기구는?

  1. 저울
  2. 항온건조기
  3. 데시케이터
  4. 피크노미터
(정답률: 48%)
  • 흙의 함수비 시험은 흙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이며, 이를 위해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고, 항온건조기로 건조시키고, 데시케이터로 건조한 후 질량을 측정합니다. 하지만 피크노미터는 액체나 고체의 부피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기기로, 흙의 함수비 시험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크노미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에서 입도범위(조립률:FM)가 어느 범위 안에 들어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알맞은가?

  1. 1.3~2.3
  2. 2.3~3.1
  3. 5~6
  4. 6~8
(정답률: 78%)
  • 체가름 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중 하나입니다. 잔골재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 중 하나이므로,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잔골재의 입도범위가 적절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입도범위가 너무 작으면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이 서로 밀착되지 않아 강도가 낮아집니다. 반면, 입도범위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이 서로 분리되어 강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입도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에서 입도범위는 2.3~3.1 사이여야 합니다. 이 범위 안에서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이 서로 밀착되어 강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스팔트의 늘어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은?

  1. 아스팔트 비중시험
  2. 아스팔트 침입도시험
  3. 아스팔트 인화점시험
  4. 아스팔트 신도시험
(정답률: 82%)
  • 아스팔트 신도시험은 아스팔트의 늘어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아스팔트의 열변형 특성을 파악하여 도로 건설 시 충분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다른 시험들은 아스팔트의 다른 특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가압면에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홈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몰딩
  2. 캐핑
  3. 리몰딩
  4. 코팅
(정답률: 77%)
  • 캐핑은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에서 시험체의 가압면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험체 상단에 캡을 덮어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캐핑은 시험체를 보호하고 정확한 압축 강도 측정을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흙의 액성한계 시험결과를 반대수용지에 작성하는 곡선은?

  1. 다짐곡선
  2. 입도곡선
  3. 유동곡선
  4. 압밀곡선
(정답률: 64%)
  • 흙의 액성한계 시험결과는 흙의 특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 시험결과를 반대수용지에 작성하는 곡선은 유동곡선입니다. 이는 흙의 액성한계를 측정하는 시험에서 압력을 조금씩 증가시키면서 흙의 변형을 관찰하고, 변형이 일어나는 압력과 변형률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곡선은 흙의 액성한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토질공학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폭 15cm, 두께 15cm, 지간길이 50cm의 콘크리트 공시체를 표준조건에서 제작 양생한 다음 휨 강도시험을 실시한 결과 공시체의 중앙부가 파괴되었을 때 시험기의 최대 하중은 4050kg 이었다. 이 공시체의 휨 강도는?

  1. 60kg/cm2
  2. 55g/cm2
  3. 50g/cm2
  4. 45g/cm2
(정답률: 40%)
  • 공시체의 단면적은 폭과 두께를 곱한 값인 15cm x 15cm = 225cm2 이다. 최대 하중은 4050kg 이므로, 공시체의 최대 힘은 4050kg x 9.8m/s2 = 39780N 이다. 이 때, 공시체의 지간길이는 50cm 이므로, 최대 모멘트는 39780N x 0.5m = 19890Nm 이다.

    휨 강도는 공시체가 얼마나 큰 모멘트를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면적과 휨 강도를 곱한 값이 최대 모멘트와 같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휨 강도는 최대 모멘트를 단면적으로 나눈 값인 19890Nm / 225cm2 = 88N/cm2 이다. 이 값을 kg/cm2 으로 변환하면 88N/cm2 / 9.8m/s2 = 8.98kg/cm2 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60kg/cm2"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시험(KS F 2511)은 골재를 물로 씻어서 몇 mm체를 통과하는 것을 잔입자로 하는가?

  1. 0.03mm
  2. 0.04mm
  3. 0.06mm
  4. 0.08mm
(정답률: 57%)
  •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 시험은 KS F 2511에 따라서 수행되며, 이 시험에서는 골재를 물로 씻어서 0.08mm 이하의 크기를 가진 잔입자가 몇 개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8mm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0.08mm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잔입자를 측정하는 다른 시험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스팔트 침입도는 표준침의 관입 저항으로 측정하는 것인데, 시료 중에 관입하는 깊이를 얼마 단위로 나타낸 것을 침입도 1로 하는가?

  1. 1/10mm
  2. 3/10 mm
  3. 1/100mm
  4. 1mm
(정답률: 79%)
  • 아스팔트 침입도는 시료 중에 관입하는 깊이를 나타내는데, 이를 표준침의 관입 저항으로 측정합니다. 이때, 표준침의 지름은 2.5mm이며, 시료 중에 관입하는 깊이가 1/10mm일 경우, 침입도는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블리딩 시험을 한 결과 마지막까지 누계한 블리딩에 따른 물의 부피 V=76cm3, 콘크리트 윗면의 면적 A=490cm2일 때 블리딩량은?

  1. 1.13cm3/cm2
  2. 0.12cm3/cm2
  3. 0.16cm3/cm2
  4. 0.19cm3/cm2
(정답률: 66%)
  • 블리딩 시험에서 누적된 블리딩의 부피는 V=76cm3이고, 콘크리트 윗면의 면적은 A=490cm2이다. 따라서 블리딩의 농도는 다음과 같다.

    C = V/A = 76/490 = 0.1551 ≈ 0.16 cm3/cm2

    따라서 정답은 "0.16cm3/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동곡선에서 타격회수 몇 회에 해당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로 하는가?

  1. 10회
  2. 15회
  3. 20회
  4. 25회
(정답률: 82%)
  • 유동곡선에서 타격회수가 증가할수록 함수비는 감소합니다. 따라서 함수비가 액성한계인 1보다 작아지는 지점이 타격회수가 증가할수록 점점 더 빨리 다가옵니다. 이 지점이 바로 함수비가 25회에서 액성한계인 지점입니다. 즉, 타격회수가 25회일 때 함수비가 1보다 작아지므로 액성한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 시험시 지름이 10cm, 길이가 20cm인 공시체에 하중을 가하여 공시체가 15ton에서 파괴되었다면 이 때의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1. 47.75kg/cm2
  2. 61.42kg/cm2
  3. 75.00kg/cm2
  4. 150.0kg/cm2
(정답률: 41%)
  • 인장강도 = 파괴하중 / 단면적

    공시체의 지름이 10cm 이므로 반지름은 5cm이다.
    단면적 = π x 반지름 x 반지름 = 3.14 x 5 x 5 = 78.5cm²

    파괴하중은 15ton = 15,000kg 이다.

    인장강도 = 15,000kg / 78.5cm² = 191.08kg/cm²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7.75kg/cm²" 인 이유는 계산 실수로 인해 단면적을 4배로 잘못 계산하여 나온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골재의 절대부피가 0.674m3이고 잔골재율이 41%이고 잔골재의 비중이 2.60일 때 잔골재량(kg/m3)은 약 얼마인가?

  1. 528
  2. 562
  3. 624
  4. 718
(정답률: 41%)
  • 잔골재율은 잔골재의 부피가 골재의 부피에 대한 비율이므로, 잔골재의 부피는 0.674m3 x 0.41 = 0.27634m3 이다.

    잔골재의 비중이 2.60이므로, 1m3의 잔골재의 질량은 2.60 x 1000kg = 2600kg 이다.

    따라서, 잔골재량(kg/m3)은 2600kg / 1m3 = 2600kg/m3 이다.

    하지만, 우리가 구해야 하는 것은 0.27634m3의 잔골재량이므로, 2600kg/m3 x 0.27634m3 = 718.084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7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질

41. 아스팔트(Asphalt)침입도 시험을 시행하는 목적은?

  1. 아스팔트 비중측정
  2. 아스팔트 신도측정
  3. 아스팔트 굳기 정도측정
  4. 아스팔트 입도측정
(정답률: 67%)
  • 아스팔트 침입도 시험은 아스팔트의 굳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아스팔트의 경도와 내구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아스팔트 도로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이 시험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골재에 포함된 잔입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골재에 들어 있는 잔입자는 점토, 실트, 운모질 등이다.
  2. 골재에 잔입자가 많이 들어 있으면 콘크리트의 혼합수량이 많아지고 건조수축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
  3. 골재에 잔입자가 들어 있으면 블리딩 현상으로 인하여 레이턴스가 많이 생기게 된다.
  4. 골재 안의 표면에 점토, 실트 등이 붙어 있으면 시멘트풀과 골재와의 부착력이 커서 강도와 내구성이 커진다.
(정답률: 55%)
  • 정답은 "골재에 잔입자가 많이 들어 있으면 콘크리트의 혼합수량이 많아지고 건조수축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입니다.

    골재 안의 표면에 점토, 실트 등이 붙어 있으면 시멘트풀과 골재와의 부착력이 커져 강도와 내구성이 증가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흙의 함수비 시험에서 시료를 몇 ℃에서 일정무게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가?

  1. 20±3℃
  2. 270±10℃
  3. 23±2℃
  4. 110±5℃
(정답률: 73%)
  • 흙의 함수비 시험에서는 시료를 일정한 무게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시료에 포함된 물의 양을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료를 일정한 온도에서 건조시켜 물을 제거합니다. 이때, 110±5℃로 건조시키는 이유는 이 온도에서 시료를 건조시키면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110℃에서 건조시키면 시료가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건조됩니다. 따라서, 110±5℃가 흙의 함수비 시험에서 시료를 건조시키는 올바른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시험을 할 때 시료준비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0.425mm체에 잔류한 흙을 사용한다.
  2. 0.425mm체에 통과한 흙을 사용한다.
  3. 4mm체에 잔류한 흙을 사용한다.
  4. 4mm체에 통과한 흙을 사용한다.
(정답률: 74%)
  •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시험은 시료의 입자 크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정한 입자 크기를 가진 시료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0.425mm체에 통과한 흙을 사용하는 것이 옳다. 이는 입자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시험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4mm체에 잔류한 흙을 사용하면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시험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흙의 다짐 시험에서 A 다짐의 허용 최대 입경은?

  1. 37.5mm
  2. 25.5mm
  3. 22mm
  4. 19mm
(정답률: 35%)
  • A 다짐의 허용 최대 입경은 19mm인 이유는, 흙의 다짐 시험에서 입경이 작을수록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 다짐의 허용 최대 입경은 19mm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어떤 점성토에 있어서 액성한계 60%, 소성한계 40%, 수축한계 20%일 때 소성지수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5%)
  • 소성한계는 액성한계보다 낮은 값이므로, 액성한계가 100%일 때 소성한계는 40%가 된다. 따라서 소성지수는 소성한계를 수축한계로 나눈 값인 40% ÷ 20% = 2가 된다. 이는 보기에서 "20%"에 해당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사면 파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흙의 수축과 팽창에 의한 균열
  2. 흙이 가지는 전단 저항력의 증가
  3. 함수량의 증가에 따른 점토의 연약화, 간극 수압의 증가
  4. 공사시 흙의 굴착, 이동, 지진 및 수압의 작용
(정답률: 57%)
  • 흙이 가지는 전단 저항력의 증가는 사면 파괴의 원인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흙의 강도를 높여서 사면 파괴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동상(凍上)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상을 가장 받기 쉬운 흙은 실트이다.
  2. 아이스렌스를 형성할 수 있도록 물의 공급이 충분할 때 동상이 일어난다.
  3. 지하수위가 지표면 가까이 있을 때 동해(凍害)가 심하다.
  4. 모관수의 상승 방지를 위해 지하수위 아래에 차단층을 설치하면 동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41%)
  • "동상을 가장 받기 쉬운 흙은 실트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동상은 물이 얼어서 지하수나 토양이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흙의 종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모관수의 상승 방지를 위해 지하수위 아래에 차단층을 설치하면 동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유는, 차단층이 지하수의 상승을 막아 물이 과도하게 흡수되어 토양이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포화된 토양은 물이 얼어서 팽창하면서 동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차단층을 설치하여 지하수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써 동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모래치환법에 의한 현장 흙의 단위무게시험에 있어서 모래는 어느 것을 구하기 위하여 쓰이는가?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부피
  3.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함수상태
  4. 시험구멍 밑면부의 지지력
(정답률: 61%)
  • 모래치환법은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부피를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과 모래의 부피를 비교하여 흙의 밀도를 계산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모래는 시험구멍의 부피를 구하기 위하여 쓰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흙의 예민비를 구할 수 있는 시험은?

  1. 일축압축시험
  2. 직접전단시험
  3. 삼축압축시험
  4. 베인전단시험
(정답률: 56%)
  • 흙의 예민비란 흙이 얼마나 압축에 민감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일축압축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흙 샘플을 원통형으로 압축하여 그에 따른 응력-변형 곡선을 그려내어 예민비를 측정합니다. 다른 시험들은 흙의 다른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민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선망도에서 상하류면의 수두차가 4m, 등수두면의 수가 12개, 유로의 수가 6개일 때 단위 길이당 침투 수량은 얼마인가? (단, 투수층의 투수계수는 2.0×10-4m/sec 이다.)

  1. 8.0×10-4m3/sec
  2. 5.0×10-4m3/sec
  3. 4.0×10-4m3/sec
  4. 7.0×10-6m3/sec
(정답률: 53%)
  • 침투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투수량 = 투수계수 × 상하류면의 수두차 × 등수두면의 수 × 유로의 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침투수량 = 2.0×10-4 × 4 × 12 × 6 = 5.76×10-3m3/sec

    단위 길이당 침투 수량은 유로의 길이로 나누면 된다. 유로의 길이는 상하류면의 수두차와 같으므로,

    단위 길이당 침투 수량 = 침투수량 ÷ 상하류면의 수두차 = 5.76×10-3 ÷ 4 = 1.44×10-3m3/m/sec

    이를 소수점 아래 한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1.4×10-3m3/m/sec 이다. 이 값을 소수점 아래 한 자리까지 반올림한 4.0×10-4m3/sec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떤 지반내의 한점에서 연직응력이 8.0t/m2이고, 토압계수가 0.4일 때 수평응력(σh)은?

  1. 2.2t/m2
  2. 1.6t/m2
  3. 3.2t/m2
  4. 4.0t/m2
(정답률: 53%)
  • 토압계수는 수평응력과 연직응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수평응력(σh)은 연직응력의 값에 토압계수를 곱한 값이 됩니다.

    σh = 연직응력 × 토압계수
    σh = 8.0t/m2 × 0.4
    σh = 3.2t/m2

    따라서 정답은 "3.2t/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유효응력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토립자(土粒子)간에 작용하는 압력과 간극수압을 합한 압력
  2. 간극수(間隙水)가 받는 압력
  3. 전체 응력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
  4. 하중을 받고 있는 흙의 압력
(정답률: 49%)
  • 유효응력은 토양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체 응력 중에서 간극수압을 뺀 값입니다. 간극수압은 토양 입체 내부의 물이나 공기 등의 액체나 기체가 받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이를 뺀 유효응력은 토양 입체 내부의 토립자간에 작용하는 압력을 나타내며, 실제로 토양이 변형되는 데 기여하는 압력입니다. 따라서 유효응력은 토양의 변형 특성을 분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최적함수비(OMC)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최대 건조 단위무게가 얻어지는 함수비
  2. 흙속의 공기 무게에 대한 흙 전체 무게의 비
  3. 공기 함유율이 0인 상태
  4. 흙임자의 부피에 대한 간극의 부피 비
(정답률: 60%)
  • 최적함수비(OMC)는 흙속의 공기 무게에 대한 흙 전체 무게의 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이 최대가 되는 경우, 즉 최대 건조 단위무게가 얻어지는 것입니다. 이는 공기 함유율이 0인 상태에서 흙임자의 부피에 대한 간극의 부피 비를 최대화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최대 건조 단위무게가 얻어지는 함수비"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토질시험에 의해서 액성한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액성한계시험 기구의 접시를 몇 cm높이에서 낙하시키는가?

  1. 1cm
  2. 2cm
  3. 3cm
  4. 4cm
(정답률: 37%)
  • 액성한계시험은 토양의 액상화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이다. 이 시험에서는 액성한계시험 기구의 접시를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려서 토양의 압축성과 액성을 측정한다. 이때, 접시를 높이 1cm에서 떨어뜨리는 이유는 이 높이에서 토양의 압축성과 액성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높이가 너무 높으면 토양이 과도하게 압축되어 액성한계를 과소평가할 수 있고, 높이가 너무 낮으면 토양이 충분히 압축되지 않아 액성한계를 과대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시를 높이 1cm에서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적절한 높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입도분포를 통해 흙의 공학적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 입도시험을 한 결과 가적통과율 10%인 D10이 0.095mm이고 가적통과율 60%인 D60이 0.16mm이며 통과율 30%인 D30이 0.13mm이면 이 시료의 균등계수는 얼마인가?

  1. 1.62
  2. 1.68
  3. 1.72
  4. 1.75
(정답률: 63%)
  • 균등계수는 D60/D10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균등계수는 0.16/0.095 = 1.68입니다.

    가적통과율이란 입자의 크기가 해당 값보다 작은 입자가 통과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10은 10%의 입자가 0.095mm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고, D60은 60%의 입자가 0.16mm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D30은 30%의 입자가 0.13mm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입도분포를 그려보면,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통과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D10, D30, D60을 이용하여 균등계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60/D10을 계산하여 균등계수를 구하면 됩니다. 계산 결과, 균등계수는 1.68이므로 정답은 "1.6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깊은 기초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말뚝기초
  2. 피어기초
  3. 전면기초
  4. 우물통기초
(정답률: 67%)
  • 전면기초는 건축물의 전면에 위치하여 전체 구조물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기초들과는 달리 건축물의 안정성과 견고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테르쟈기에 의해 제안된 아래 표와 같은 극한지지력공식에서 각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B : 기초 폭
  2. c : 내부 마찰각
  3. Df : 기초의 근입깊이
  4. α, β : 기초의 형상계수
(정답률: 37%)
  • c : 내부 마찰각이 잘못된 것이다. 테르쟈기의 극한지지력공식에서 c는 콘크리트와 토양의 마찰각을 의미한다. 내부 마찰각은 토양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각을 의미하며, 이는 테르쟈기의 공식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c는 "콘크리트와 토양의 마찰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로나 활주로 등의 포장 두께를 결정하기 위하여 주로 실시하는 토질 시험은?

  1. CBR시험
  2. 일축압축시험
  3. 표준관입시험
  4. 현장 단위무게시험
(정답률: 77%)
  • 도로나 활주로 등의 포장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지지력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은 CBR시험입니다. CBR시험은 지반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지반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가며 지반의 내구성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지반의 지지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장두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BR시험이 도로나 활주로 등의 포장두께 결정에 주로 사용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젖은 흙의 중량이 70g이고 흙은 노건조 후 칭량하니 60g이었다. 흙의 함수비는?

  1. 14.4%
  2. 16.7%
  3. 18.2%
  4. 19.4%
(정답률: 51%)
  • 젖은 흙의 중량은 70g이고, 노건조 후 칭량한 흙의 중량은 60g이므로, 물의 중량은 70g - 60g = 10g입니다.

    함수비는 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물의 중량이 전체 중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면 됩니다.

    물의 중량이 전체 중량에서 차지하는 비율 = (물의 중량 ÷ 전체 중량) × 100%

    = (10g ÷ 70g) × 100%

    = 14.3...%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6.7%"입니다. 이유는 보기에서 제시된 모든 값 중에서 14.3%와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