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다음 중 람사(ramsar)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대한 협약이다.
  2. 우리나라는 아직 람사협약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
  3. 습지의 정의와 유형, 보전을 위한 국가의 책임 등을 설명하고 있다.
  4. 각 나라마다 대표적인 습지는 람사습지로 등록하여 국가차원에서 보전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나라마다 대표적인 습지는 람사습지로 등록하여 국가차원에서 보전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는 람사협약의 핵심 내용 중 하나이지만, 우리나라가 아직 람사협약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국내에서 람사협약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부족하거나, 협약에 가입하는 것이 국내 정치적 이슈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열대우림 생태계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영양성분은 나무에 비해 토양에 많이 쌓여 있다.
  2.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3. 강우량이 적은 지역이다.
  4. 한번 벌채가 되어도 쉽게 산림이 회복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대우림 생태계는 영양성분이 토양에 많이 쌓여 있기 때문에 식물이 잘 자라며, 이로 인해 다양한 동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토양에서 생존하는 생물로 배설물에 질소 및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생물은?

  1. 흰개미
  2. 지렁이
  3. 뿌리혹박테리아
(정답률: 알수없음)
  • 지렁이는 토양 속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배설물에 질소 및 영양염류를 풍부하게 함으로써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렁이가 토양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식생의 발달과정에서 처음에는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새로운 식물이 침입한 후 환경이 변화되어 새로운 식생으로 변하는 천이는?

  1. 자발적 천이
  2. 타발적 천이
  3. 천이 계열
  4. 종속영양 천이
(정답률: 알수없음)
  • 자발적 천이는 환경이 변화하여 새로운 식물이 자연스럽게 발생하고 번식하여 식생이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적인 유전자 변이나 진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발적 천이는 환경 변화에 대한 식물의 적응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환경정책기본법령에 따른 환경기준 중 해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 따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Ⅰ등급의 용존산소량(DO)은 7.5(mg/L) 이상
  2. Ⅱ등급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4(mg/L) 이하
  3. Ⅱ등급의 총대장균군은 1000(총대장균군수/100mL) 이하
  4. Ⅰ등급의 총질소는 0.3(mg/L)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Ⅱ등급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4(mg/L) 이하"는 틀린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유에 대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에 적합한 해양 생물대는?

  1. 연안대
  2. 천해대
  3. 대양대
  4. 심해대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저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생물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천해대는 해저의 얕은 지역에 분포하는 생물들을 대표하는 용어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그림에서 보이는 해저 지형이 얕은 지역이므로 천해대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 기]가 설명하고 있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

  1. 갈대
  2. 어리연꽃
  3. 개구리밥
  4. 검정말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나타난 식물들은 모두 습지식물이지만, "어리연꽃"은 다른 식물들과 달리 꽃이 있는 식물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온 분포에 따른 대기권(Atmosphere) 구분이 아닌 것은?

  1. 대류권(troposphere)
  2. 성운권(crowdonosphere)
  3. 중간권(mesosphere)
  4. 외기권(exosphere)
(정답률: 알수없음)
  • 성운권은 기온 분포에 따른 대기권 구분이 아니라, 우주 공간에 위치한 성운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기온 분포에 따른 대기권 구분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군집의 우점도 - 다양성 (Dominance-diversity)곡선이다. A, B, C곡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A곡선은 생태학적 niche의 선점을 수반하는 분포형으로 가장 개체수가 많은 종은 다음 개체수가 많은 종의 2배이다.
  2. B곡선은 대부분의 자연적인 군집내에서 나타나는 우점도와 종다양성의 특성을 보여준다.
  3. C곡선은 생태학적 niche가 불규칙하게 분포하면서 서로 인접하지만 중복되지 않는 경우가 우점도와 종다양성간의 극단적인 형태이다.
  4. 거친 환경 속에서 끊임없이 niche의 선점을 위해 경쟁할 경우에는 C곡선의 형태로, 중복되지 않은 영토확보를 위한 경쟁이 발생한 경우에는 점차 A곡선의 형태를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A곡선은 생태학적 niche의 선점을 수반하는 분포형으로 가장 개체수가 많은 종은 다음 개체수가 많은 종의 2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A곡선은 생태학적 niche의 선점을 수반하는 분포형으로 가장 개체수가 많은 종은 다음 개체수가 많은 종의 1.5배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CAM 식물(crassulacean acid metabolism plant)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광합성의 명반응과 암반응과 시간이 다르다.
  2. 서늘한 반에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인다.
  3.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50ppm 이하라도 남아있기만 하면 유기물 생산이 가능하다.
  4. 선인장 같은 다육식물에서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50ppm 이하라도 남아있기만 하면 유기물 생산이 가능하다."에 대한 설명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CAM 식물은 광합성의 명반응과 암반응이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일어나는 식물로, 밤에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이고 주간에 이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건조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CAM 식물은 선인장 같은 다육식물에서 나타나며, 서늘한 환경에서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E.P. Odum의 결합법칙이란 무엇인가?

  1. 열역학 제 1법칙 + 열역학 제 2법칙
  2. 독립의 법칙 + 분배의 법칙
  3. 최소량의 법칙 + 내성의 법칙
  4. 우열의 법칙 + 일정성분비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E.P. Odum의 결합법칙은 생태계에서 다양한 종이 상호작용하면서 생태계 전체가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최소량의 법칙과 내성의 법칙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최소량의 법칙은 생태계에서 에너지와 물질이 최소한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원칙이고, 내성의 법칙은 생태계가 외부의 변화에 대해 내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E.P. Odum의 결합법칙은 생태계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에너지와 물질을 사용하면서도 외부의 변화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각기 다른 두 개의 개체군은 자원이 제한된 조건 하에서 같은 장소에서 같은 생태적 지위를 동시에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다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쟁배타의 법칙(principle of competitive exclusion)
  2. 천이(succession)
  3. 경쟁(competition)
  4. 텃세(territory)
(정답률: 알수없음)
  • 경쟁배타의 법칙은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서로 다른 두 개체군이 같은 생태적 지위를 동시에 유지할 수 없다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경쟁이 발생하면 더 강력한 개체군이 자원을 차지하고, 그에 따라 약한 개체군은 생존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경쟁배타의 법칙은 생태계에서 생존과 번영을 위해 경쟁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2002년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지구정상회의(WSSD)에서 대두된 WEHAB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건강 혹은 보건
  2. 산업
  3. 생물다양성
(정답률: 알수없음)
  • WEHAB는 물, 건강 혹은 보건, 에너지, 생물다양성, 그리고 환경적인 지속가능성을 나타내는 단어들의 약어입니다. 이 중에서 산업은 환경적인 지속가능성과 연관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WEHAB에 해당하지는 않습니다. 산업은 에너지와 자원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으로, 환경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WEHAB 중에서 산업은 간접적으로나마 환경적인 지속가능성과 연관이 있지만, 직접적으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연 생태계에서 녹색 식물의 일차 생산력의 측정 방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방형 구획법
  2. 수확법
  3. 이산화탄소 측정법
  4. 엽록체 측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방형 구획법은 일차 생산력 측정 방법이 아니라, 생태계 내에서 물질의 이동과 생산력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수확법, 이산화탄소 측정법, 엽록체 측정법은 모두 일차 생산력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생물체가 차지하고 있는 기능적 측면과 공간적 분포까지도 포함한 서식지 개념인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와 관련이 없는 내용은?

  1. 영양적 지위(trophic niche)
  2. 시간적 지위(temporal niche)
  3. 공간적 지위(spatial niche)
  4. 다차원적 지위(multidimensional niche)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간적 지위는 생물체가 활동하는 시간대와 관련된 개념이며, 생태적 지위와 관련이 없다. 생태적 지위는 생물체가 차지하고 있는 기능적 측면과 공간적 분포까지도 포함한 서식지 개념이다. 따라서 정답은 "시간적 지위(temporal nich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산호초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호초란 산호충의 유해나 분비물 등으로 구성된 석회질의 초(reef)를 뜻한다.
  2. 환초(Atoll)는 얕은 석호를 막고 있는 원형의 산호초를 말하며, 거초로 둘러싸여 있는 열대의 화산섬이 천천히 침강하면서 형성된다.
  3. 수심 50m 이내의 햇볕이 잘 쬐고 깨끗한 호수, 수온이 20℃ 이상인 수역에서 생성되고 염분 변화가 큰 곳에는 적응할 수 없다.
  4. 산호 개체의 내부에 공생하는 조류들이 광합성을 하여 바닷물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지구온난화를 촉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호 개체의 내부에 공생하는 조류들이 광합성을 하여 바닷물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지구온난화를 촉진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산호 개체 내부의 조류들이 광합성을 하여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생산자의 광합성 및 화학합성에 의해 방사에너지가 먹이로 이용될 수 있는 유기물의 형태로 고정되는 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현존생체량(standing biomass)
  2. 일차생산력(primary productivity)
  3. 이차생산력(secondary productivity)
  4. 생물생산고(standing yield)
(정답률: 알수없음)
  • 일차생산력은 생산자가 광합성 및 화학합성에 의해 방사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로 고정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일차생산력은 생태계에서 새롭게 생산되는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며, 이는 다른 생물들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일차생산력은 생태계의 기초적인 생산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생물군집 내의 여러 종의 개체군들 사이에는 식물을 근원으로 하는 일련의 수직적인 관계-포식과 피식 등의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를 먹이사슬 또는 먹이연쇄라 한다. 1927년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1. Forbes
  2. Lindemann
  3. Tansley
  4. Elton
(정답률: 알수없음)
  • 먹이사슬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Charles Elton이다. 그는 생태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인물 중 한 명으로, 생물군집 내에서의 종 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면서 먹이사슬 개념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Elton이 먹이사슬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빈영양 호수에 비해 부영양 호수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조류(Algae)가 고밀도로 성장한다.
  2. 동물의 생산량이 높다.
  3. 심수층의 산소는 풍부하다.
  4. 수심이 얕고 투명도 깊이 또한 얕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수층의 산소는 풍부하다는 이유는 부영양 호수에서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산소가 소모되어 산소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지만, 빈영양 호수에서는 유기물이 적어 산소가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수층의 산소는 풍부하다."는 부영양 호수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특정 시간에 특정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같은 종의 생물군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생태군
  2. 개체군
  3. 우점군
  4. 분류군
(정답률: 알수없음)
  • 개체군은 특정 시간에 특정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같은 종의 생물군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생태학적인 용어이거나 분류학적인 용어이지만, 개체군은 생물학적인 용어로서 생물군을 구성하는 개체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개체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계획관리지역 또는 개발 진흥지구를 체계적 ㆍ계획적으로 개발 또는 관리하기 위하여 용도지역의 건축물 그 밖의 시설의 용도ㆍ종류 및 규모 등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거나 건폐율 또는 용적률을 완화하여 수립하는 계획은?

  1. 1종지구단위계획
  2. 2종지구단위계획
  3. 도시기본계획
  4. 수도권정비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2종지구단위계획은 계획관리지역 또는 개발 진흥지구를 체계적으로 개발 또는 관리하기 위해 건축물의 용도, 종류, 규모 등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거나 건폐율 또는 용적률을 완화하여 수립하는 계획이기 때문입니다. 1종지구단위계획은 도시의 중심지나 중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세부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며, 도시기본계획은 도시 전체의 발전 방향과 원칙을 수립하는 것이고, 수도권정비계획은 수도권 전체의 발전 방향과 원칙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연환경보전법상 생물다양성관리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그 계약내용을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대방에게 언제까지 이를 통보하여야 하는가?

  1. 1월 이전
  2. 3월 이전
  3. 6월 이전
  4. 12월 이전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다양성관리계약은 보전대상 지역에서의 생태계서비스 제공 등을 목적으로 체결되는 계약으로, 이행이 중요하다. 따라서 계약내용을 이행하지 않거나 해지하고자 할 경우 상대방에게 최소한 3월 이전까지 통보하여야 한다. 이는 보전대상 지역에서의 생태계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준비와 대응을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도시공원의 최소면적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대상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12m2
  2. 대상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6m2
  3. 대상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5m2
  4. 대상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3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대상 도시지역 안에 거주하는 주민 1인당 6m2의 최소면적 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민들이 적절한 휴식과 레크레이션을 취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도시공원은 도시환경의 개선과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최소면적 기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환경계획ㆍ설계에서 바탕이 되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이 아닌 것은?

  1. 해당지역에 국한된 현황조사를 기초로 한 인간중심의 자원 지향 계획
  2. 생태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접근
  3. 토지의 수용력 특성과 지속 가능성
  4. 계획ㆍ설계의 주제 및 공간의 주체는 생물종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지역에 국한된 현황조사를 기초로 한 인간중심의 자원 지향 계획은 환경계획ㆍ설계에서 바탕이 되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실제 상황을 파악하고,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자원을 보호하고 지향하는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생태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 토지의 수용력 특성과 지속 가능성, 계획ㆍ설계의 주제 및 공간의 주체는 모두 환경계획ㆍ설계에서 바탕이 되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연환경보전법상 환경부장관이 자연생태ㆍ자연경관을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할 수 없는 곳은?

  1.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연구를 위해 보전이 요한 지역
  2.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
  3.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4. 자연훼손 우려가 큰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훼손 우려가 큰 지역"은 보전이 필요한 지역이지만, 이미 자연환경이 파괴되거나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훼손 우려가 큰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전을 통해 자연환경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환경계획의 시민참여유형 중 공동생산형에 해당되는 것은?

  1. 시민 스스로 지역사회나 계획과정에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2. 환경계획의 결과 생태계나 수질, 대기 등의 환경이 오염 되거나 파괴되는 등의 개발정책에 대한 저항이 발생
  3. 정부 등과 시민이 협조하여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시민들이 자발적 감시활동을 포함
  4. 시민들이 요구나 의견을 정부 등 정책수립과정에 편입시킴으로써 계획의 기본방향을 시민들이 뜻에 가깝도록 하는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공동생산형 시민참여유형은 "정부 등과 시민이 협조하여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시민들이 자발적 감시활동을 포함"에 해당됩니다. 이는 시민들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자발적으로 감시활동을 수행하며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하고 있는 이론적 개념은?

  1. 보전생태학
  2. 경관생태학
  3. 복원생태학
  4. 도시생태학
(정답률: 알수없음)
  • 이론적 개념은 "경관생태학"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생태계의 구성요소인 생물과 비생물적 환경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 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경관생태학은 이러한 생태계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경관의 변화와 그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이 그림은 경관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생태계의 구성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우리나라의 토지적성 구분 중 관역토지이용계획에서의 개발 불가능자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건은? (단, 2차 보전용지로 자연환경을 고려한다.)

  1. 임상 3영급 이상 지역
  2. 표고 100 ~ 200m 지역
  3. 경사도 15% 이상 지역
  4. 녹지자연과 8등급 이상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도 15% 이상 지역은 개발이 어렵거나 위험할 수 있는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발 불가능자 조건에 해당됩니다. 이 지역에서는 지형 안정성 문제나 토양 유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차 보전용지로서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국토환경성평가도'를 활용한 도시계획 수립 시, 3등급 완충지역으로 구분되는 지역은?

  1. 도시지역 내 녹지지역(자연녹지)
  2. 도시지역 내 생태계보존지구
  3. 도시지역 바깥 문화재보존지구
  4. 도시지역 바깥 자연환경보전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3등급 완충지역은 도시지역 내 녹지지역(자연녹지)입니다. 이 지역은 도시 내에서도 자연적인 환경을 보존하고 있는 지역으로, 생태계를 유지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입니다. 따라서 도시계획 수립 시에는 이 지역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개발을 제한하고, 보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자연휴식지 및 자연공원법에 의한 자연공원 등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자연환경보전의 인식증진 등을 위하여 자연환경해설ㆍ홍보가ㆍ교육ㆍ생태탐방안내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의 공식명칭은?

  1. 자연환경안내원
  2. 자연해설가
  3. 자연환경학습원
  4. 자연해설 활동가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환경안내원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자연휴식지 및 자연공원법에 의한 자연공원 등을 이용하는 사람에게 자연환경보전의 인식증진 등을 위하여 자연환경해설ㆍ홍보가ㆍ교육ㆍ생태탐방안내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의 공식명칭이다. 다른 보기들은 자연환경안내원과 유사하지만, 공식적인 명칭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Forman & Godron 등이 정한 경관생태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patch
  2. edge
  3. matrix
  4. view point
(정답률: 알수없음)
  • "View point"는 경관생태의 구성요소가 아니며, 경관을 관찰하는 위치나 시각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patch", "edge", "matrix"는 경관생태의 구성요소로서 각각 특정 지역의 작은 생태계, 서로 다른 생태계가 만나는 경계, 여러 생태계가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구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방의제 21'의 성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방의제 21'의 실천주체는 주민 개개인이다.
  2. '지방의제 21'은 사회운동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3. 지역환경관리계획으로 '지방의제 21'을 대체할 수 있다.
  4. '지방의제 21'은 시민환경개선행동계획이다.
(정답률: 70%)
  • "'지방의제 21'은 시민환경개선행동계획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역환경관리계획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기 위해 수립하는 계획으로, 지방의제 21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지방의제 21은 주민 개개인이 참여하여 지역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운동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Edward & Hubert(1994)와 Graham Bennett(1998)가 제안한 분류법으로서 가장 공감을 얻고 있으며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활용하고 있는 생태 네트워크의 공간구성원리 분류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핵심지역(Core), 완충지역(Buffer), 코리더(Corridor)
  2. 핵심지역(Core), 완충지역(Buffer), 전이지역(Transition)
  3. 핵심지역(Core), 전이지역(Transition), 코리더(Corridor)
  4. 완충지역(Buffer), 전이지역(Transition), 코리더(Corrido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핵심지역(Core), 완충지역(Buffer), 코리더(Corridor)"

    이유: Edward & Hubert(1994)와 Graham Bennett(1998)가 제안한 분류법에서 생태 네트워크는 핵심지역(Core), 완충지역(Buffer), 코리더(Corridor)로 구성된다. 핵심지역은 생태계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생물종의 다양성과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지역은 핵심지역과 인접하며, 인간의 개입으로부터 핵심지역을 보호하고 생물종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코리더는 핵심지역과 완충지역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생물종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생태계의 연결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원리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보호하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법에 근거한 '자연환경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10년마다 전국의 자연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2.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생태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과 2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과 자연 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5년마다 자연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3.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의하여 관할 구역의 자연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4. 지방자차단체의 장이 자연환경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조사 계획 및 조사결과를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조하여 생태자연도에서 1등급 권역과 2등급 권역으로 분류된 지역과 자연 상태의 변화를 특별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 5년마다 자연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GIS를 활용 가능한 자연환경정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대상지 규모
  2. 토지 피복/이용
  3. 산림 및 산지
  4. 오염물질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GIS는 지리적 정보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도구이므로, "오염물질 종류"는 자연환경정보가 아닌 인위적인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상지 규모, 토지 피복/이용, 산림 및 산지는 모두 자연환경정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 시에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1. 야생동물 이동능력
  2. 조성 비용의 타당성
  3. 인간에 의한 간섭 여부
  4. 연결되어야 할 보호지역 사이의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 시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항목은 야생동물 이동능력, 인간에 의한 간섭 여부, 연결되어야 할 보호지역 사이의 거리입니다. 그러나 조성 비용의 타당성은 설계 시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입니다. 이는 야생동물 이동통로가 보호지역 간의 연결성을 높이고 생태계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성 비용이 높더라도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계는 필요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옴부즈만(Ombudsman) 제도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국민의 권리구제기능
  2. 국가재정확보 기능
  3. 갈등해결기능
  4. 사회적 이슈의 제기 및 행정정보 공개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옴부즈만 제도는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갈등을 조정하며, 사회적 이슈를 제기하고 행정정보를 공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재정확보 기능은 옴부즈만 제도와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국가재정확보 기능은 국가의 재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투명하게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으로, 옴부즈만 제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속 가능한 발전” 이라는 기본원칙 하에서 자연입지적 토지이용의 기본 관리방향들 만으로 적합하게 짝지워진 것은?

  1.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국가경제와 부합하는 개발 유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2.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부동산 투기의 억제
  3.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경관자원과 조화된 개발 유도
  4.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생태계보전 협력금 제도의 활성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 경관자원과 조화된 개발 유도"입니다. 이유는 이 세 가지 방향이 모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자연입지적 토지이용의 기본 관리방향들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생태ㆍ자원관리형 보전은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고, 무분별한 난개발 방지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자연환경의 보전과 균형잡힌 개발을 위한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경관자원과 조화된 개발 유도는 지역의 특성과 자연환경을 고려한 개발을 유도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어메니티 플랜의 기본방침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시민의 의향을 충분히 반영한 개성적인 계획이어야 한다.
  2. 계획의 내용은 실현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3. 민ㆍ관의 구분없이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우선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4. 종래 행해져 왔던 개별 시책, 신규 시책과 유기적인 연계 관계를 가져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메니티 플랜의 기본방침은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는 민간과 공공의 구분 없이 모든 주체가 함께 참여하여 지역의 경제적 발전을 이루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민ㆍ관의 구분없이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우선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가 어메니티 플랜의 기본방침과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이나 규제에 대한 유형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국제기구 - 환경협약의 실천을 위한 일정한 권한을 지니는 기구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당 수준의 구속력을 지니거나 국제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2. 선언, 지침, 선고 등 - 구속력은 없지만 실천과제나 향후의 발전방향을 제시해준다.
  3. 국제사법기관의 판결 - 국제사법재판소와 같은 국제사법 기구의 중재와 판결은 강한 구속력을 가지며, 국제적인 환경 규제나 정책수립에 매우 중요하다.
  4. 양자간 혹은 다자간 조약 - 조약은 협약(convention), 의정서(protocol), 협정서(agreement) 등으로도 부르는 국제적인 합의지만, 구속력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양자간 혹은 다자간 조약 - 조약은 협약(convention), 의정서(protocol), 협정서(agreement) 등으로도 부르는 국제적인 합의지만, 구속력은 없다." 이다.

    양자간 혹은 다자간 조약은 국제적인 합의로서, 국가들 간의 협력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이러한 조약은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국가들이 이를 준수하지 않아도 법적인 제재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조약은 국가들 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등의 역할을 하지만, 구체적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보다 강력한 규제나 제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임해매립지 생태복구 시 객토 방법 중 틀린 설명은?

  1. 식재구덩이 바닥에는 Ca 화합물을 사용하여 Na 이온의 해를 완화시킨다.
  2. 식재구덩이 바닥에는 자갈층을 10~15cm 정도 포설하여 체수 피해와 하층의 염분상승을 제어한다.
  3. 자갈층 위에는 자갈층을 깐다.
  4. 객토두께는 최소한 0.3m로 확보하여 수목의 생육최소 토심을 조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갈층 위에는 자갈층을 깐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자갈층 위에는 흙층을 깁니다. 이유는 자갈층 위에 다시 자갈층을 깔면 물이 흐르지 않고 물이 쌓여 뿌리가 썩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콘크리트관을 이용하여 측구를 설치하려 할 때 다음 조건에서 우수가 충만하여 흐를 경우의 유량(m3/s)은?

  1. 2.16m3/s
  2. 1.24m3/s
  3. 0.96m3/s
  4. 0.48m3/s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관의 내경이 1.2m이고, 경사각이 0.001이므로, 맨단의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1.49/n) * R^(2/3) * S^(1/2)

    여기서, n은 마니잘리스 계수로 0.013으로 가정하고, R은 수면면적/절연면적으로 구할 수 있다.

    R = A/P

    여기서, A는 수면면적, P는 절연면적으로 각각 다음과 같다.

    A = π/4 * D^2 = π/4 * 1.2^2 = 1.13m^2
    P = π * D = π * 1.2 = 3.77m

    따라서,

    R = A/P = 1.13/3.77 = 0.3

    이므로,

    v = (1.49/0.013) * 0.3^(2/3) * 0.001^(1/2) = 0.48m/s

    따라서, 측구를 통과하는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 * v = 1.13 * 0.48 = 0.54m^3/s

    하지만, 측구의 윗부분이 물에 잠기면서 유량이 충만하게 되므로, 실제 유량은 측구의 윗부분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의 유량인 0.48m^3/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비탈(면)식생재녹화공법 중 식물의 자연침입을 촉진하는 식생공법을 총칭하는 것은?

  1. 식생대녹화공법
  2. 식생반녹화공법
  3. 식생유도공법
  4. 지오웨브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식생유도공법은 식물이 자연적으로 자라는 것을 촉진시켜서 비탈면에 식물이 자연침입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다른 세 가지 공법과 구분되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폐광에서 생겨나는 훼손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노출된 지형
  2. 광미(tailing, 鑛尾)
  3. 지반침하
  4. 여울(riffle)
(정답률: 알수없음)
  • 여울(riffle)은 강이나 하천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폐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폐광에서 생겨나는 훼손의 유형이 아닌 것은 여울(riff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녹화용 식물의 종자 파종시 종자파종량을 구하는 공식이다. 파종량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단, W=파종량, A:발생기대본수, B:사용종자의 발아율, C:발아종자의 순도, D:사용종자의 1g 당 단위립수, E: 식생기반재 두께에 따른 공법별 보정계수, F: 시공시기의 보정률)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의 종자 파종시 종자파종량을 구하는 공식은 W = (A × B × C × D × E × F) / 100 이다. 이 중에서 파종량을 구하는 부분은 (A × B × C × D × E × F) / 100 이므로, 이 부분이 "" 이다. 100으로 나누는 이유는 결과값을 백분율로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설치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는 무엇인가?

  1. 위치의 선정
  2. 유형의 결정
  3. 식생의 복원
  4. 제원의 확정
(정답률: 알수없음)
  • 야생동물 이동통로의 설치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는 "위치의 선정"이다. 이는 이동통로가 어떤 지역에서 어떤 동물들의 이동을 지원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동통로가 동물들의 이동 패턴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인간의 개입이 적은 자연환경이어야 한다. 따라서 위치의 선정이 잘못되면 동물들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개체나 개체군이 모여서 패치를 형성하는 형태를 에코톱(ecotop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도에 표시될 수 있는 균질한 성질을 가진 최대단위이다.
  2. 일반적인 입지조건, 잠재적인 자연식생이나 잠재적 생태계 기능이 균질하다.
  3. 다른 천이단계나 토지이용의 패치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4. 인간에 대한 토지이용은 에코톱(ecotope)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에 표시될 수 있는 균질한 성질을 가진 최대단위이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에코톱의 정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생적 독립영양 천이 유형에서 종 다양성을 천이과정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2. 처음에는 감소하나 개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성숙된 단계에서는 증가한다.
  3. 처음에는 감소하나 개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성숙된 단계에서는 안정된다.
  4. 처음에는 증가하나 개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성숙된 단계에서는 안정되거나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생적 독립영양 천이 유형에서 종 다양성은 처음에는 증가하나 개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성숙된 단계에서는 안정되거나 감소한다. 이는 개체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자원의 한계에 다다르면 생존 가능한 종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숙된 단계에서는 안정되거나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빗물을 활용한 생태연못을 조성하고자 한다. 다음 [보 기]의 ( )안에 적합한 과정은?

  1. 빗물의 전처리 시설
  2. 빗물의 침투 관거
  3. 빗물의 침투 측구
  4. 유공관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연못에 사용되는 빗물은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빗물의 전처리 시설을 거쳐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통해 생태연못의 물이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의 전처리 시설"이 적합한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습지의 복원 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구성(composition)
  2. 기능(function)
  3. 균질성(homogeneity)
  4. 역동성과 회복력(dynamics and resilience)
(정답률: 알수없음)
  • 습지의 복원 시 가장 거리가 먼 요소는 "균질성(homogeneity)"입니다. 이는 습지 내부의 생태계가 서로 다른 생물종들로 이루어져 있어야 한다는 생태학적인 원칙에 따라, 습지 내부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습지 복원 작업에서는 습지 내부의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생물종들을 고려하여 균형있는 구성을 유지하고, 이를 통해 습지의 균질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서식지의 분절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면적효과란 서식지의 면적이 클수록 종수나 개체수가 적어지는 것을 말한다.
  2. 거리효과란 서식지 상호 간의 거리가 작을수록 생물의 왕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3. 장벽효과의 정도는 동물의 이동공간과 이동능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4. 가장자리효과란 안정된 내부환경을 좋아하는 종이 서식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면적효과란 서식지의 면적이 클수록 종수나 개체수가 적어지는 것을 말한다."가 아닌 "면적효과란 서식지의 면적이 작을수록 종수나 개체수가 적어지는 것을 말한다."입니다.

    면적효과는 서식지의 면적이 작을수록 서식 가능한 공간이 제한되어 종 또는 개체 수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서식 가능한 자원의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쟁이 심해지고, 개체들이 서로 격렬하게 경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복원을 위한 절ㆍ성토를 행하였다. 절ㆍ성토 경계부의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절ㆍ성토 경계부에 맹암거 설치
  2. 절토시 B두초 Cut(층따기) 설치
  3. 다짐 철저
  4. 절ㆍ성토 경계부에 구배 1:2 정도의 구간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절ㆍ성토 경계부에 구배 1:2 정도의 구간 설치"는 틀린 것이다. 이는 올바른 대책이 아니며, 절ㆍ성토 경계부에는 구배가 아닌 경사면을 설치해야 한다. 구배는 경사면이 아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지형의 특성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절ㆍ성토 경계부에는 경사면을 설치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올바른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식물 발생재를 분쇄하여 식재지에 활용했을 때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표층의 생물의 다양화를 촉진할 수 있다.
  2. 표층의 미관을 향상할 수 있다.
  3. 표층의 부식화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4. 표층의 건조방지와 보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 발생재를 분쇄하여 식재지에 활용하면 표층의 부식화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발생재가 토양의 구조를 유지하고, 토양 표면을 보호하여 토양의 건조와 침식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양의 보수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안 생태복원에 있어서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할 사항은?

  1. 지표안정을 위한 바람막이 설치
  2. 그물망 설치
  3. 거적덮기
  4. 넝쿨식물 식재
(정답률: 알수없음)
  • 해안 생태복원에서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할 사항은 지표안정을 위한 바람막이 설치입니다. 이는 해안에서 바람이 일어나면 지표가 흔들리고 침식되는 것을 막아주어 해안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물망 설치나 거적덮기, 넝쿨식물 식재는 모두 중요한 조치이지만, 이들은 바람막이 설치와 함께 종합적으로 시행되어야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양단면적이 각각 40m2, 50m2이고, 두 단면간의 높이가 20m일 때의 토사량은 얼마인가?

  1. 450m2
  2. 600m2
  3. 750m2
  4. 900m2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면적의 합은 40m2 + 50m2 = 90m2이다. 이를 두 단면간의 평균 높이인 20m으로 나누면 토사량이 나온다.

    90m2 ÷ 20m = 4.5m

    따라서, 토사량은 4.5m × 200m = 900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간과 생물종간의 거리 관계에서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1. 비간섭 거리
  2. 경계거리
  3. 회피거리
  4. 도피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인간과 생물종 간의 거리 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비간섭 거리는 인간과 생물종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최소한의 거리를 말합니다. 즉, 인간과 생물종이 서로 교류하지 않고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거리입니다. 이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생물종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인간과 생물종 간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연형 하천복구를 위한 꺾꽂이용 버드나무류의 재질 요건으로서 틀린 것은?

  1. 갯버들은 8mm 이상의 원줄기에 의한 재료를 활용한다.
  2. 꺾꽂이용 가지는 견실하되 잎을 가지당 2~3개 유지하도록 채취한다.
  3. 꺾꽂이용 나무의 길이는 공법유형에 따라 다르나 30cm이하로 채취한다.
  4. 꺾꽂이용 주가지는 직경 1~2cm이고 약 25% 이상의 맹아력이 있는 가지를 혼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갯버들은 8mm 이상의 원줄기에 의한 재료를 활용한다."

    꺾꽂이용 버드나무류는 하천복구를 위해 사용되는 나무로, 갯버들은 그 중 하나이다. 갯버들은 원줄기가 아닌 가지를 사용하여 꺾꽂이를 만들기 때문에, "갯버들은 8mm 이상의 원줄기에 의한 재료를 활용한다."는 내용은 틀린 것이다.

    꺾꽂이용 나무의 길이는 공법유형에 따라 다르나 30cm이하로 채취하는 이유는, 길이가 길어지면 꺾꽂이를 만들기 어렵고, 무게가 무거워져 운반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길이로 채취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토양의 복토하여 훼손지를 복구하는 공사에서 초화류의 식재를 위해 확보해야 할 생존 최소토심은?

  1. 5cm
  2. 15cm
  3. 25cm
  4. 30cm
(정답률: 알수없음)
  • 초화류는 일반적으로 토양의 상층부에 서식하는데, 이는 뿌리가 얕고 물과 영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토하여 훼손지를 복구하는 공사에서는 초화류의 생존을 위해 최소한 15cm 이상의 토심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는 초화류의 뿌리가 충분한 공간과 영양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야생동물 이동통로는 생태적 네트워크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지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요 서식처 유형의 보전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지역(core area)
  2. 개별적 종의 핵심지역간 확산(disperse) 및 이주(migrate)를 위한 회랑(corridor) 또는 디딤돌(stepping stone)
  3. 서식처의 다양성을 제한하고 최대크기로의 네트워크의 확산 을 위한 자연지역
  4. 오염 또는 배수 등의 외부로부터의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서식처의 다양성을 제한하고 최대크기로의 네트워크의 확산을 위한 자연지역"은 야생동물 이동통로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이동통로는 서로 다른 지역을 연결하여 야생동물들이 이동하고 서식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서식처의 다양성을 제한하지 않고 자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서식처의 다양성을 제한하고 최대크기로의 네트워크의 확산을 위한 자연지역"은 야생동물 이동통로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목의 근계(뿌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목의 근계는 지상부를 지지하고 토양으로부터 수분과 영양염류를 식물체 내로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2. 근계는 암반의 균열을 크게 하는 물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3. 근계는 토양을 산화시키는 등 화학적 작용과는 관계가 없다.
  4. 수목을 지지하고 있는 뿌리는 유관속에 형성층이 있어서 분열 비대하여 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근계는 토양을 산화시키는 등 화학적 작용과는 관계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근계는 토양과 상호작용하여 수분과 영양염류를 흡수하는데, 이 과정에서 화학적 작용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자연의 복원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복원: 훼손된 자연의 기능만 새롭게 조성하는 것
  2. 복구: 훼손된 자연을 자연 상태와 유사한 상태에 도달하도록 회복시키는 것
  3. 재배치: 훼손되기 이전의 자연구조를 원래 있는 상태로 완전히 회복시키는 것
  4. 대체: 훼손된 지역을 자연의 회복력에 의하여 완전히 재생되도록 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복구: 훼손된 자연을 자연 상태와 유사한 상태에 도달하도록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훼손된 자연을 가능한 한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용어들은 기능만 조성하거나 완전히 회복시키거나 대체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복구와는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생태적 천이과정 유형 중 인위적이거나 자연적 교란에 의해서 기존의 식물군집이 손상되면서부터 진행되는 천이의 유형은?

  1. 2차천이
  2. 중성천이
  3. 순환천이
  4. 3차천이
(정답률: 알수없음)
  • 2차천이는 기존의 식물군집이 인위적이거나 자연적 교란에 의해 손상되면서 새로운 식물군집이 형성되는 생태적 천이과정의 유형입니다. 이는 일종의 복원과정으로, 기존의 식물군집이 손상되면서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기 때문에 새로운 식물군집이 자리 잡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새로운 종이 등장하거나 기존의 종들이 적응력을 강화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남한의 생태지역의 구분에서 여름에 가장 서늘하고 겨울에도 춥지 않고 해안을 따라 산지경사가 급하고 연어의 회귀로 유명한 남대천과 금강송이 있는 지역은?

  1. 울영해안지역
  2. 강원해안지역
  3. 남해동부지역
  4. 남해서부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강원해안지역은 해안을 따라 산지 경사가 급하고, 여름에 가장 서늘하며 겨울에도 춥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연어의 회귀로 유명한 남대천과 금강송이도 이 지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지역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해안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인공적인 요인으로는 항만건설, 간척이나 매립, 준설 등을 들 수 있다. 다음 중 준설로 인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류나 연안류의 흐름에 영향을 초래하여 해안선의 퇴적과 침식에 변화를 가져온다.
  2. 연안생태계의 서식기반인 해저면의 교란을 야기한다.
  3. 부유토사 발생으로 인한 1차 생산력을 저하시킨다.
  4. 연안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킬 서식지가 조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준설은 해안선의 모양을 바꾸어 조류나 연안류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해안선의 퇴적과 침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동시에 연안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킬 서식지를 조성할 수 있다. 준설 작업을 통해 해저면의 모양이 바뀌어 새로운 서식지가 생기고, 이를 이용하는 해양생물들이 증가함으로써 생물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GIS를 활용하여 여러 자연조건을 기준으로 캐나다에서 사용하는 자연환경정보의 수집단위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야생동물의 서식지 단위를 기초로한 약 100ha 크기의 다각형
  2. 1km x 1km의 격자구조
  3. 생태계 단위, 생물기후학적 단위, 생태지구단위
  4. 생태적으로 동질성을 갖는 단위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계 단위, 생물기후학적 단위, 생태지구단위가 가장 적절한 이유는 이들은 자연환경정보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야생동물의 서식지나 격자구조보다는 더 큰 생태적인 단위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위들은 생태적으로 동질성을 갖는 단위로서, 자연환경의 다양한 조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어서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자연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위성 원격탐사(remote sensing)를 환경 문제에 응용할 경우 유리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확성
  2. 광역성
  3. 동시성
  4. 주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 원격탐사는 광역성, 동시성, 주기성 등의 특징으로 인해 환경 문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성은 위성 원격탐사의 한계 중 하나입니다. 위성은 대부분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반사와 방출을 측정하기 때문에 대기나 수중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위성 원격탐사는 다른 환경 모니터링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경관생태 네트워크에서 핵심지역의 생물들이 먹이 자원을 확보 하거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지역이며,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으로서 보존녹지와 소류지를 포함하는 지역은?

  1. 핵심생태지역
  2. 거점생태지역
  3. 연결생태지역
  4. 완충생태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거점생태지역은 핵심지역과 연결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생물들이 먹이 자원을 확보하거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지역이며,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으로서 보존녹지와 소류지를 포함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이 지역은 경관생태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핵심적인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직접 미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자리 조절인자로 부적합한 것은?

  1. 토양
  2. 군집
  3. 태양광
  4. 바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군집

    설명: 토양, 태양광, 바람은 모두 기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인자이지만, 군집은 기후와는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군집은 생물군집으로, 기후 변화가 생물군집의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지만, 직접적으로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군집은 직접 미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자리 조절인자로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보기 중 도로가 건설됨으로 나타나는 경관생태적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접근성 증대
  2. 서식처 단절
  3. 패치의 파편화
  4. 비탈면 대형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접근성 증대

    설명: 도로 건설로 인해 서식처 단절, 패치의 파편화, 비탈면 대형화 등의 경관생태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접근성 증대는 경관생태적 문제점이 아닙니다. 도로 건설로 인해 교통이 원활해지고, 교통이 용이한 지역으로 인프라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환경영향평가시 영향예측이나 저감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1. 주민과의 타협
  2. 문헌자료의 리뷰
  3. 일반적인 환경사항 리뷰
  4. 사업지구의 현황조사를 통한 저감 방안 모색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기 전에 사업지구의 현황을 조사하여 저감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는 환경영향평가에서 파악된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사업지구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오톱이 갖는 보전과 조성의 의의가 아닌 것은?

  1. 생활환경의 개선
  2. 사람이 들어가면 안 되는 핵심지역
  3. 생태계의 보전 및 복원
  4. 어린이에 대한 자연환경 교육
(정답률: 알수없음)
  • 비오톱은 생태계의 보전 및 복원, 생활환경의 개선, 어린이에 대한 자연환경 교육 등 다양한 의의를 갖지만, "사람이 들어가면 안 되는 핵심지역"은 보전과 조성의 의의가 아니다. 이는 비오톱 내부에서 특정한 생물종이 서식하거나, 특정한 생태계가 유지되는 중요한 지역으로, 인간의 개입이 없어야만 보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토지의 자연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이며, 육지역(陸地域)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위적인 영향 정도와 잔존 자연의 질을 식물군락의 자연성을 기준으로 그 변화와 정도를 등급으로 나누어서 표시한 판정법은 무엇인가?

  1. 현존식생도
  2. 녹지자연도
  3. 생태자연도
  4. 생태민감도
(정답률: 알수없음)
  • 녹지자연도는 육지역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위적인 영향 정도와 잔존 자연의 질을 식물군락의 자연성을 기준으로 그 변화와 정도를 등급으로 나누어서 표시하는 판정법이다. 따라서 토지의 자연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현존하는 식물군락의 종류와 수, 생태계의 건강도, 환경오염에 대한 민감도 등을 나타내는 지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경관생태학의 개념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경관생태학이란 인접한 생태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2. 지역을 다루는 생태학을 지역생태학이라 한다.
  3. 지역 내 공간 요소들이 경관이다.
  4. 생태학은 경관과 지역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학은 경관과 지역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 아니라,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생태학은 경관과 지역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서식지 파편화에 의한 멸종가능성이 높은 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몸체가 작은 종
  2. 종의 확산이 쉬운 종
  3.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
  4. 좁은 행동권을 요구하는 종
(정답률: 알수없음)
  • 서식지 파편화는 생물들이 서식하는 환경이 작고 분산되어 있어 생물들이 이동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이 적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멸종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입니다. 몸체가 작은 종이나 종의 확산이 쉬운 종, 좁은 행동권을 요구하는 종도 서식지 파편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유전적 변이가 낮은 종일수록 적응력이 떨어져 멸종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도시농업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화석연료는 농업의 효율성과 경장규모를 증대시켰다.
  2. 전통적 농업체계의 에너지 투입은 사람과 가축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3.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 생성이 가능하다.
  4. 한 생태계의 유지를 위하여 다른 생태계로부터 에너지가 투입되는 것이 에너지 보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 생성이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재활용은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자원의 소모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며, 새로운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 재활용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일부 재활용 과정에서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은 종 공급지역 (Source area), 패치(Patch), 코리더(Corridor) 모형이다. 다음 중 종의 공급지역(Source Area)에 대한 서술로 틀린 것은?

  1. 종다양도가 높은 지역으로 다른 지역으로 생물자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2. 종다양도가 높은 지역으로 코리더를 통하여 다른 지역으로 종을 공급해준다.
  3. 종다양도가 높은 지역으로 다른 패치와의 거리가 멀수록 종공급에 유리하다.
  4. 종다양도가 높은 지역으로 코리더가 없는 분리된 패치는 종공급을 받기 불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다양도가 높은 지역으로 다른 패치와의 거리가 멀수록 종공급에 유리하다."는 틀린 서술입니다. 종다양도가 높은 지역은 다른 지역으로 생물자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패치와의 거리가 멀수록 종공급에 불리해집니다. 이는 코리더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그림의 경관(서식처) 요소와 실제 도시지역에서 볼 수 있는 사례로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Matrix Corridor(매트릭스 코리더) - 옥상습지생태공원
  2. Restored Corridor(복원된 코리더) - 복원된 하천
  3. Linear Corridor(선형 코리더) - 가로수
  4. Stepping Stone Corridor(디딤돌 코리더) - 생태연못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Matrix Corridor(매트릭스 코리더) - 옥상습지생태공원"입니다. 매트릭스 코리더는 도시 생태계에서 서식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옥상습지생태공원은 옥상에 위치한 생태공원으로, 지상 생태계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둘은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경관생태학에서 많이 이용하는 R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접촉 센서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 측정, 화상해석, 에너지 패턴의 디지털표시 등을 함으로써 관심의 대상이 되는 물체와 환경의 물리적 특징에 관한 신뢰성 높은 정보를 얻는 과학 및 기술이라고 정의된다.
  2. 전자파정보는 물체에 반사되어 Sensor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수중, 대기 및 이온층의 영향을 받아 Noise가 첨가되기 때문에 고려할 사항이 많다.
  3. Lansat TM 같은 경우 50m의 해상도 영상을 획득하여 우리나라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4. IKONOS 영상의 경우 첩보급 상용위성으로서 1m, 4m의 해상도를 획득하여 그 수요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파정보는 물체에 반사되어 Sensor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수중, 대기 및 이온층의 영향을 받아 Noise가 첨가되기 때문에 고려할 사항이 많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RS에서 노이즈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RS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이기 때문에 경관생태학에서도 많이 이용하는 RS에 관한 설명으로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의 그래프는 생태복원의 단계와 유형에 관한 것이다. 그래프안의 A, B, C, D에 알맞은 것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원래의 생태계, B:복구, C: 복원, D: 대체
  2. A:원래의 생태계, B:복원, C: 복구, D: 대체
  3. A:원래의 생태계, B:안정, C: 복원, D: 복구
  4. A:원래의 생태계, B:대체, C: 복원, D: 안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원래의 생태계, B:복원, C: 복구, D: 대체"이다.

    원래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기 때문에 A는 원래의 생태계로 시작한다. 그리고 B는 복원을 의미하며, 이는 원래의 생태계를 되찾는 것을 의미한다. C는 복구를 의미하며, 이는 생태계의 일부분을 복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D는 대체를 의미하며, 이는 원래의 생태계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생태학적 원리를 자연관리에 응용하는 생태기술의 기반으로 틀린 것은?

  1. 자연 자원의 흐름 경로
  2. 물질의 이동 형태
  3. 유전 구조
  4. 물질의 이동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 구조는 생물의 유전적 다양성과 관련된 개념으로, 생태학적 원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생태기술의 기반으로 유전 구조를 선택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계획은?

  1. 국토종합계획
  2. 도서종합계획
  3. 부문별계획
  4. 시군종합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기본법에서 규정하는 국토계획은 국토의 이용과 보전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으로, 국토의 개발, 보전, 이용 등에 대한 방향과 원칙을 수립하는 계획을 말합니다. 따라서 "국토종합계획", "부문별계획", "시군종합계획"은 모두 국토계획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서종합계획"은 국토의 이용과 보전에 관한 종합적인 계획이 아니므로 국토기본법상 국토계획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산지관리법령상 산지전용 등 산지개발시 미리 재해방지 또는 복구에 필요한 비용을 산림청장에게 예치하는 경우는?

  1. 산지전용을 하고자 하는 면적이 700제곱미터인 경우
  2. 정부투자기관이 시행하는 공용ㆍ공공용시설의 설치사업으로서 산지전용 등을 완료한 후 복구를 위한 예산집행이 가능한 예산내역서(복구비 별도계상)를 제출한 경우
  3. 임도, 방화선 또는 산림보호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 산지 전용신고를 하는 경우
  4. 산책로, 탐방로, 등산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산지전용허가를 받은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정부투자기관이 시행하는 공용ㆍ공공용시설의 설치사업으로서 산지전용 등을 완료한 후 복구를 위한 예산집행이 가능한 예산내역서(복구비 별도계상)를 제출한 경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지전용에 대한 허가나 신고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미리 재해방지 또는 복구에 필요한 비용을 산림청장에게 예치하는 경우"를 묻고 있습니다. 이는 산지개발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나 피해를 미리 예방하거나 복구하기 위한 예방조치나 복구작업에 필요한 비용을 미리 예치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정부투자기관이 시행하는 공용ㆍ공공용시설의 설치사업으로서 산지전용 등을 완료한 후 복구를 위한 예산내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따라서 "산지전용을 하고자 하는 면적이 700제곱미터인 경우", "임도, 방화선 또는 산림보호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 산지 전용신고를 하는 경우", "산책로, 탐방로, 등산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산지전용허가를 받은 경우"는 모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역 안에서 건폐율의 최대한도로 틀린 것은?

  1. 농림지역 : 20퍼센트 이하
  2. 자연환경보전지역 : 20퍼센트 이하
  3.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 : 30퍼센트 이하
  4. 관리지역 중 계획관리지역 : 40퍼센트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의 건폐율 최대한도가 30퍼센트 이하인 것은, 도시지역 내에서도 녹지를 보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정된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물 등의 인프라를 설치하는 비중을 줄이기 위해 건폐율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곤충류 중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Ⅰ급이 아닌 것은?

  1. 수염풍뎅이
  2. 소똥구리
  3. 두점박이사슴벌레
  4. 산굴뚝나비
(정답률: 알수없음)
  • 소똥구리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소똥구리가 이미 보호받고 있는 종으로, 야생동물보호법에서도 보호 대상 종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멸종위기에 직면한 종으로는 분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자연환경보전법령상 자연환경조사의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의 특성
  2. 농작물ㆍ가축 등과 유전적으로 가까운 야생종의 서식현황
  3. 경제적 또는 의학적으로 유용한 생물종의 서식 현황
  4. 주변 농가의 사육현황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환경보전법령에서는 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토양의 특성, 농작물ㆍ가축 등과 유전적으로 가까운 야생종의 서식현황, 경제적 또는 의학적으로 유용한 생물종의 서식 현황 등을 파악하고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주변 농가의 사육현황은 자연환경보전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거리가 먼 내용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자연공원법상 공원관리청이 공원계획으로 결정하는 용도지구가 아닌 것은?

  1. 공원자연보존지구
  2. 공원자연경관지구
  3. 공원자연환경지구
  4. 공원집단시설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공원자연경관지구는 공원의 자연경관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용도지구로, 주로 산림, 수목, 자연경관 등을 보존하고 관리합니다. 반면, 공원자연보존지구는 생태계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용도지구이며, 공원자연환경지구는 환경보호를 위한 용도지구입니다. 공원집단시설지구는 공원 내 시설물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용도지구입니다. 따라서, 공원관리청이 공원계획으로 결정하는 용도지구 중 공원자연경관지구가 아닌 것은 공원집단시설지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야생동ㆍ식물보호법령상 생물자원의 분류ㆍ보전 등에 관한 관련 전문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2.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생물분류기사
  3.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동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자
  4.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학사학위 소지자로서 동 분야에서 3년이상 종사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이 기술자격은 생물자원의 분류나 보전보다는 생태계의 복원과 관련된 기술을 보유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다른 석사학위나 학사학위 소지자나 생물분류기사와는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물자원의 분류나 보전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 지정대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 또는 지질이 특이하여 학술적 보전이 필요한 도서
  2. 야생동물의 도래지로서 보전가치가 있다고 인정된 도서
  3. 「문화재보호법」규정에 의거 무형 문화재적 보전가치가 높은 도서
  4. 계곡ㆍ폭포ㆍ해안 등 자연경관이 뛰어난 도서
(정답률: 알수없음)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 지정대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문화재보호법」규정에 의거 무형 문화재적 보전가치가 높은 도서이다. 이는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이며, 그 지역에서는 고유한 문화와 전통이 유지되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 도서 안에서 제한되는 행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로의 신설
  2. 택지의 조성
  3. 가축의 방목
  4. 농경지 경작
(정답률: 알수없음)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특정 도서 안에서 농경지 경작이 제한되지 않습니다. 이는 농경지 경작이 생태계를 파괴하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농경지 경작 시에는 생태계를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생태계교란 야생동ㆍ식물로만 나열된 것은?

  1.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물참새피
  2. 돼지풀, 히어리, 홍월귤
  3. 털물참새피, 도깨비가지, 황근
  4. 단풍잎돼지풀, 붉은귀거북, 자주땅귀개
(정답률: 알수없음)
  • 야생동물과 식물 보호법규에서는 외래종으로 분류되는 황소개구리와 큰입배스, 그리고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는 물참새피를 보호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만 나열된 것입니다. 다른 보기에 있는 돼지풀, 히어리, 홍월귤, 털물참새피, 도깨비가지, 황근, 단풍잎돼지풀, 붉은귀거북, 자주땅귀개는 보호 대상이 아니거나 다른 법규에서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산지관리법규상 산사태위험판정기준표 중 조사자의 점수보정 인자로 틀린 것은?

  1. 조사자 또는 마을 사람들이 산사태발생 위험지역이라고 생각함 : +10
  2. 조사자 또는 마을사람들이 산사태발생 위험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함 : 0
  3. 인위적 산림훼손지로 방치하거나 불완전한 방제시설지 : +20
  4. 과수원 및 초지단지, 유실수조림지 등 지피식생이 불완전한 산지 : +20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자 또는 마을사람들이 산사태발생 위험성이 전혀 없다고 생각함 : 0은 보정 인자가 아니라 산사태위험판정기준표에서 조사 대상이 되는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산사태위험판정기준표의 항목이 아님"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정답률: 알수없음)
  • ③은 "하천의 수온은 25℃ 이하로 유지한다."인데, 이는 옳지 않은 환경기준이다. 실제로 하천의 수온은 계절, 기후,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여름철에 25℃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기준을 강제하면 하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인간의 건강보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지정현황으로 옳은 것은?

  1. 포유류의 경우 Ⅰ급이 10종, Ⅱ급이 10종 지정되어 있다.
  2. 육상식물의 경우 Ⅰ급이 8종, Ⅱ급이 56종 지정되어 있다.
  3. 곤충류의 경우 Ⅰ급이 5종, Ⅱ급이 17종 지정되어 있다.
  4. 어류의 경우 Ⅰ급이 6종, Ⅱ급이 11종 지정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야생동물과 식물의 멸종위기 등급은 Ⅰ급과 Ⅱ급으로 나뉘며, Ⅰ급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 대상이며, Ⅱ급은 보호 대상 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육상식물의 경우 Ⅰ급이 8종, Ⅱ급이 56종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 종들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 대상이며, 보호 대상 종으로 지정된 56종은 보호 대상 종으로 지정되어 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백두대간 중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을 백두대간보호지역으로 지정ㆍ고시하는 기관장은 누구인가?

  1. 환경부장관
  2. 국립환경과학원장
  3. 유역(지방)환경청장
  4. 산림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백두대간은 산림청의 관할 범위에 속하므로, 백두대간보호지역을 지정ㆍ고시하는 기관장은 산림청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구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개발제한구역
  2. 시가화조정지역
  3. 수도계획구역
  4. 수산자원보호구역
(정답률: 알수없음)
  • 수도계획구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구역이 아니라, 수도권 지역에서 수자원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지정된 행정구역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산지관리법상 정한 보전산지 중 공익용 산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방사업법」에 의한 사방지의 산지
  2.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임업진흥권역의 산지
  3. 「자연공원법」에 의한 공원의 산지
  4.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문화재보호구역의 산지
(정답률: 알수없음)
  • 산지관리법에서 정한 보전산지 중 공익용 산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임업진흥권역의 산지입니다. 이는 산림자원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보전산지와는 목적과 범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계획수립에 관한 규정 중 ( )안에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

  1. 5년 - 습지보전기본계획 - 습지보전실시계획
  2. 5년 - 습지보전기초계획 - 습지보전기본계획
  3. 2년 - 습지보전기본계획 - 습지보전사업계획
  4. 2년 - 습지보전기초계획 - 습지보전실시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5년 - 습지보전기초계획 - 습지보전기본계획"은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계획수립에 관한 규정 중, 습지보전계획의 기간과 순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습지보전계획은 5년 단위로 수립하며, 기초계획과 기본계획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5년마다 습지보전기초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습지보전기본계획을 수립합니다. 이후에는 습지보전실시계획을 수립하여 실제로 습지보전사업을 추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농지법상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농업진흥지역은 농업기반정비사업이 시행계획 예정인 지역에 한해서 농업용으로 이용할 토지가 있거나 이용할 토지가 분산화되어 있는 지역에 지정한다.
  2. 농업진흥지역의 지정대상은 도시지역 안에서의 녹지지역과 관리지역, 농림지역은 포함되나, 광역시와 특별시의 녹지 지역은 제외된다.
  3. 농림부장관은 주거지역 또는 생산관리지역이 농업진흥지역에 포함될 경우에는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을 승인하기 전에 건설교통부장관과 협의 하여아 한다.
  4. 시ㆍ도지사가 농림부장관에게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승인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ㆍ도농정심의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농지법상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시ㆍ도지사가 농림부장관에게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승인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ㆍ도농정심의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이다. 이유는 농업진흥지역의 지정승인은 농림부장관이 결정하지만, 시ㆍ도지사가 요청할 경우에는 시ㆍ도농정심의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완충구역내에서 허용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닌 것은?(단, 생태ㆍ경관보전지역안에 자연공원법에 의하여 지정된 공원구역 또는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문화재(보호구역 포함)가 포함되는 경우 제외)

  1. 생태ㆍ경관보전지역관리기본계획에 반영된 시설 중 자연 학습장, 수목원, 생태숲등 자연환경의 교육ㆍ홍보 또는 연구를 위한 시설의 설치
  2. 생태ㆍ경관보전지역관리기본계획에 반영된 시설 중「청소년활동진흥법」규정에 따른 청소년수련원의 설치
  3. 지목이 대지인 토지에서 지상층의 건축연면적이 130제곱미터 이하이고 높이가 2층 이하이며, 지하층의 건축연면적이 130제곱미터 이하인 단독주택ㆍ슈퍼마켓의 신축
  4.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방문하는 사람을 위한 음식ㆍ숙박ㆍ판매시설로서 건축연면적이 33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4층 이하인 건축물의 신축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방문하는 사람을 위한 음식ㆍ숙박ㆍ판매시설로서 건축연면적이 33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4층 이하인 건축물의 신축은 허용할 수 있는 행위이다. 이는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제공하면서도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조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내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행위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설교통부장관이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정할 수 있는 지역/구역의 명칭은?

  1. 도시보호지역
  2. 자연환경보전지역
  3. 도시공원지역
  4. 개발제한구역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발제한구역은 건설교통부장관이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정할 수 있는 지역/구역의 명칭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연환경을 보호하거나 도시공원을 지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지정되는 지역/구역이지만, 개발제한구역은 개발을 제한하여 도시의 확장을 제한하고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지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