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해양의 수온분포에 있어 수온이 비교적 균일한 수층 아래에서 수온의 변화가 심한 경계층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밀도약층(Pycnocline)
  2. 염분약층(halocline)
  3. 수온약층(thermocline)
  4. 표층혼합층(mixed layer)
(정답률: 알수없음)
  • 수온약층(thermocline)은 해양의 수온분포에서 수온이 비교적 균일한 수층 아래에서 수온의 변화가 심한 경계층을 말합니다. 이는 해수의 밀도가 수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밀도약층(Pycnocline)은 염분에 따라 발생하는 경계층이고, 염분약층(halocline)은 염분의 변화가 심한 경계층입니다. 표층혼합층(mixed layer)은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해 표층의 열과 염분이 혼합되어 균일한 층이 형성되는 경계층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온약층(thermocl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래 설명과 그림이 나타내는 A지역의 군집 유형은?

  1. 온대낙엽수림(Temperate Deciduous Forest)
  2. 대초원(Prarie)
  3. 사바나(Savana)
  4. 타이가(Taiga)
(정답률: 알수없음)
  • A지역의 군집 유형은 "온대낙엽수림(Temperate Deciduous Forest)"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나무들이 잎을 떨어뜨리는 낙엽수이며, 온대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초원은 건조한 지역에 있는 초원이고, 사바나는 대부분의 식물이 건조한 기후에 적응한 풀이 자라는 지역이며, 타이가는 극지방이나 산악 지대에 위치한 대형 침엽수 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표층(indicator sprcies)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내성 범위가 넓은 종은 좁은 종에 비하여 확실한 지표가 된다.
  2. 다수종에 비하여 희소종일수록 지표종이 되는 수가 많다.
  3. 극히 악화된 환경에서 생존한 종은 그 환경조건의 좋은 지표종이 된다.
  4. 환경정책기본법상 실지렁이는 생물등급 중 약간 나쁨~매우 나쁨의 등급수에 주로 서식하므로 오수의 지표종으로 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성 범위가 넓은 종은 좁은 종에 비하여 확실한 지표가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내성 범위가 넓은 종이라고 해도 그 종이 특정 환경 조건에서만 살아남을 수 있다면 그 종은 그 환경에서의 지표종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성 범위가 넓은 종이 항상 지표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연계에서 개체군이 집단으로 분포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지리적 생활장소의 차이
  2. 계절적 변화
  3. 종간경쟁
  4. 생식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종간경쟁은 개체군이 집단으로 분포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종간경쟁은 서로 다른 종 간에 경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개체군이 집단으로 분포하는 원인은 지리적 생활장소의 차이, 계절적 변화, 생식방식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나사말처럼 뿌리를 물 밑 바닥에 고착시키고 잎과 줄기 물속에 잠기도록 하여 생활하는 식물은?

  1. 정수식물
  2. 부생식물
  3. 부엽식물
  4. 침수식물
(정답률: 알수없음)
  • 침수식물은 뿌리를 물 밑 바닥에 고착시키고 잎과 줄기가 물속에 잠기도록 하여 생활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구 생물다양선 전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사항 중 틀린 것은?

  1. 생물다양성협약을 이행한다.
  2. 국제적 실행기구를 만든다.
  3. 지구자원에 대한 전략적이고 활발한 개발을 보장한다.
  4.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국가계획 수립시 고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구자원에 대한 전략적이고 활발한 개발을 보장한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생물다양성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1980년대 들어서 일반의 관심을 끌게 된 것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벤젠 등의 매립에 의해 발생한 오염은?

  1. 호수오염
  2. 해저오염
  3. 지하수오염
  4. 대기오염
(정답률: 알수없음)
  • 트리클로로에틸렌, 사염화탄소, 벤젠 등의 화학물질은 지하에 매립되면서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됩니다. 이 오염된 지하수는 지하수층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더 큰 규모의 지하수 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을 지하수오염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영양단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식물은 1차 영양단계이다.
  2. 초식동물은 2차 영양단계이다.
  3. 고사된 식물에서 자라는 버섯은 3차 영양단계이다.
  4. 3차 소비자는 4차 영양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고사된 식물에서 자라는 버섯은 2차 영양단계이다. 왜냐하면 고사된 식물은 이미 죽어있는 것이므로 생산자가 아니며, 이를 먹고 자라는 버섯은 소비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사된 식물에서 자라는 버섯은 3차 영양단계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측정할만한 생태학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또는 생태학적 발달을 제한하는 환경의 영향’을 의미하는 용어는?

  1. 환경 탄성(resilience)
  2. 환경 압박(stress)
  3. 환경 저항정(resistance)
  4. 환경 제한요인(limiting factor)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 압박은 생태학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발달을 제한하는 환경적인 영향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협하며, 생물들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환경 압박은 생태계의 건강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독특한 식물들의 군집인 채퍼랠(Chaparral)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아열대지반에서 성장 할 수 있는 활엽상록수로 구성되어 있다.
  2. 해안에만 분포되어 있다.
  3. 계절에 의한 변화가 특징이다.
  4. 생태학자들은 “불에 의해 형성된 아극방 군집”이라고 표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아열대지반에서 성장 할 수 있는 활엽상록수로 구성되어 있다."

    채퍼랠은 주로 지중해 지역과 캘리포니아 지역에 분포하며, 해안이나 내륙 지역 모두에서 발견됩니다. 또한 채퍼랠은 일반적으로 계절에 따라 큰 변화가 없으며, 거의 일년 내내 건조하고 더운 기후에서 살아남습니다. 따라서 "계절에 의한 변화가 특징이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생태계손상, 경관저해, 관광수입 감소 등 막대한 피해를 일으킨 유류사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엔손ㆍ발데즈호 사고
  2. 엑시카노스ㆍ익수톡 폭발사고
  3. 쓰리 마일 아일랜드 사고
  4. 씨프린스호 사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쓰리 마일 아일랜드 사고

    해설: 쓰리 마일 아일랜드 사고는 유류가 아닌 폭발사고로 인해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생태계손상, 경관저해, 관광수입 감소 등의 피해를 일으키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작물의 수확은 환경 속에 풍부한 이산화탄소나 물과 같은 양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토양 중에는 극소량인 붕소와 같은 어떤 원소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말하는 법칙은?

  1. Shelford의 내성법칙
  2. Liebig의 최소량의 법칙
  3. Shannon의 다양성 법칙
  4. Hardin의 경쟁적 배제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Liebig의 최소량의 법칙은 작물이 성장하고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양분 중에서 가장 적은 양분이 부족한 경우 작물의 성장과 생존이 제한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작물의 수확은 환경 속에 풍부한 이산화탄소나 물과 같은 양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작물이 필요로 하는 모든 양분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법칙은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영양소를 적절하게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보기]가 설명으로 있는 원리는?

  1. Allee의 원리
  2. Gause의 원리
  3. 적자생존의 원리
  4. 경쟁배타의 원리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Allee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Allee의 원리는 개체 수가 적을 때는 생존과 번식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말한다. 즉, 개체 수가 적을수록 생존과 번식에 불리하며, 일정 수 이상이 되면 번식과 생존에 유리해진다는 원리이다. 이 그림에서도 개체 수가 적을 때는 번식률이 낮아지고, 일정 수 이상이 되면 번식률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리적 고립에 의하여 새로운 종으로 진화되는 가설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공진화설
  2. 종분화설
  3. 적자생존설
  4. 중간교란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리적 고립에 의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진화한 개체들이 서로 교배할 수 없게 되어 새로운 종으로 분화된다는 가설을 종분화설이라고 한다. 이는 지리적인 장벽이나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개체들이 분리되어 진화하게 되는 것을 설명하며, 이로 인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새로운 종이 생겨나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가장 적절한 답은 "종분화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DDT농약에 있어서 사용제한 이유가 아닌 것은?

  1. 생태계, 생물들의 조직에 오랜기간 머문다.
  2. 세계 일부 제한 지역 사람들의 지방조직에서 고농도로 발견된다.
  3. 먹이사슬에 의해 피식자보다는 포식자조직에 고농도로 발견된다.
  4. 조류의 알껍질이 얇게 형성되므로 조류의 생존을 위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DDT는 생태계와 생물들의 조직에 오랜 기간 머무르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이는 DDT가 생물체 내부에서 분해되지 않고 쌓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DDT는 먹이사슬을 통해 포식자 조직에 농축되기 때문에 조류의 생존을 위협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고농도로 발견되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계 일부 제한 지역 사람들의 지방조직에서 고농도로 발견된다."는 DDT 사용제한 이유가 아니라 오히려 DDT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습지의 간이기능평가(Rapid Assessment of wetlands) 중 식생 다양성 및 야생동물 서식처의 평가를 위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유입 및 유출 형태
  2. 식물 군집의 수
  3. 주변 토지 이용
  4. 야생동물의 이동 통로
(정답률: 알수없음)
  • "유입 및 유출 형태"는 습지의 기능평가와는 관련이 없는 항목으로, 습지의 생태계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습지의 간이기능평가에서 평가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2개의 개체군 사이에 성장과 생존에 서로 이익을 주고 있으나 절대적인 의무관계가 아닌 것은?

  1. 원시협동(protocooperation)
  2. 상리공생(mutualism)
  3. 편리공생(commensalim)
  4. 편해공생(amensalism)
(정답률: 알수없음)
  • 원시협동(protocooperation)은 두 개체군이 서로 협력하여 이익을 얻지만, 이익을 얻지 않더라도 서로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관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절대적인 의무관계가 아닙니다. 상리공생(mutualism)은 두 개체군이 서로 협력하여 상호 이익을 얻는 관계이며, 편리공생(commensalism)은 한 개체군이 이익을 얻고 다른 개체군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계입니다. 반면, 편해공생(amensalism)은 한 개체군이 해를 끼치고 다른 개체군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농업에 필요한 재료로 이용되어온 퇴비는 유기물이 분해되는 퇴비화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데 어떠한 생물체가 이러한 분해과정에 주로 관여하는가?

  1. 호기성미생물
  2. 혐기성미생물
  3. 정수성식물
  4. 원생조류
(정답률: 알수없음)
  • 퇴비화 과정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으로서, 이 과정에서 호기성미생물이 주로 관여합니다. 호기성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유기성물질을 미네랄로 변환시키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혐기성미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활동하는 미생물로서, 퇴비화 과정에서는 주로 호기성미생물이 활동합니다. 정수성식물과 원생조류는 퇴비화 과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생물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군집의 분류에 있어 군집이 분리되는 중요한 과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경쟁적 배제
  2. 상호의존적 종개체군간의 공색
  3. 종개체군의 상호진화
  4. 층위구조의 변화
(정답률: 60%)
  • 군집의 분류는 종개체군간의 관계와 층위구조의 변화를 고려하여 이루어지는데, 층위구조의 변화는 군집의 분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층위구조의 변화는 종의 진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군집의 분류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층위구조의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물이 생존 가능한 생태학적 범위를 내성(tolerance)의 범위하고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든 요인에 대하여 넓은 내성범위를 갖는 생물은 분포구역이 좁다.
  2. 어떤 환경요인이 최적 범위에 있지 않을 때에는 다른 요인에 대해서도 내성이 약화된다.
  3. 일반적으로 각 생물의 발생 초기에는 각 요인에 대한 내성범위가 좁다.
  4. 대부분의 생물이 자연계에서 최적 범위내의 생태적 요인하에서 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든 요인에 대하여 넓은 내성범위를 갖는 생물은 분포구역이 좁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내성이 넓다는 것은 다양한 환경요인에 대해 적응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분포구역이 넓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오히려 반대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합성 작용을 하는 식물은 빛, 온도, 수분 등 다양한 환경요인에 대한 내성이 높아야 합니다. 이러한 내성이 높은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할 수 있는 지역이 넓어지므로 분포구역이 넓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요인에 대하여 넓은 내성범위를 갖는 생물은 분포구역이 좁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은 환경부장관이 수립하는 계획이다. 2000년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면, 이 계획이 그 다음 다시 수립되는 시기는 언제인가? (단,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정한 수립주기를 기준으로 한다.)

  1. 2005년
  2. 2010년
  3. 2015년
  4. 203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환경보전법에서는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수립주기를 5년으로 정하고 있다. 따라서 2000년에 수립된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의 다음 수립 시기는 2005년이 되며, 이후 5년마다 수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10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림청장과 지반자치단체의 장은 보호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또는 보호지역 안에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자에 대한 지원사업에 관한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주민자원 및 지원사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도시설의 설치지원 등 복지증진사업
  2. 생활편익, 복지증진을 위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원 사업
  3. 백두대간 산림의 벌채로 생계를 영위하는 자의 소득감소분의 지원
  4. 자연환경보전 이용시설의 설치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백두대간 산림의 벌채로 생계를 영위하는 자의 소득감소분의 지원은 주민자원 및 지원사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보호지역 내에서 벌채 등의 산림자원 이용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주민들의 소득이 감소할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지원사업으로서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시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호지역 내 주민들의 생활안정과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이용이 보장되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생태ㆍ자연도 등급 변경을 신청할 때 구비해야 하는 첨부서류의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개요
  2. 생태ㆍ자연도 등급 변경목적 및 사유
  3. 당해 및 주변지역(반경 5km 이내)의 도시환경 현황 및 토지활용 상황
  4. 식생도(관계 전문가 2인 이상이 2계정 이상 조사한 조사결과서와 소견서)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ㆍ자연도 등급 변경을 신청할 때 구비해야 하는 첨부서류 중에서 "당해 및 주변지역(반경 5km 이내)의 도시환경 현황 및 토지활용 상황"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해당 내용은 생태ㆍ자연도 등급 변경을 신청할 때 구비해야 하는 첨부서류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생태ㆍ자연도 1등급 권역에 포함되는 지역은?

  1. 자연상태 또는 이에 가까운 하천ㆍ호소ㆍ강하구
  2. 문호재보호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
  3. 자연환경보전법 이외에 법률에 의하여 보전되는 역사적, 문화적, 경관적으로 가치있는 지역
  4.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산림유전자원 보호림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상태 또는 이에 가까운 하천ㆍ호소ㆍ강하구"가 생태ㆍ자연도 1등급 권역에 포함되는 이유는 이 지역들이 인간의 개입이 적어서 자연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인간의 개입이 있더라도 그 영향이 적어서 자연환경이 보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역들은 생태계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며,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러한 지역들은 수질 보전과 수생생물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정한 지역 안에서 환경의 질을 유지하고,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환경이 스스로 수용ㆍ정화 및 복원할 수 있는 한계를 가리키는 용어는?

  1. 재생용량
  2. 환경용량
  3. 평형용량
  4. 유기체용량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용량은 일정한 지역에서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인구나 자원 사용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이 스스로 수용, 정화 및 복원할 수 있는 한계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환경오염이나 훼손이 발생하면 이 한계를 초과하게 되어 환경의 질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높이 10m 이상 되는 벽면의 녹화에서 식물의 신장량을 고려할 때 적용하기 가장 적합한 것은?

  1. 개다래
  2. 등수국
  3. 으아리
  4. 으름덩굴
(정답률: 알수없음)
  • 등수국은 높이 10m 이상 되는 벽면에서도 자라는 식물로, 신장량을 고려할 때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높이에 제한이 있거나 벽면에 부착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광역지자체 중 국토기본법상의 ‘도종합계획’을 수립하지 않아도 되는 곳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제주특별자치도, 경상남도
  2. 경상남도, 전라남고
  3.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4. 경기도, 충정남고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기본법상의 ‘도종합계획’은 지역의 국토 이용과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미 국토 이용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 지역은 ‘도종합계획’을 수립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경기도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이미 국토 이용 계획이 수립되어 있기 때문에 ‘도종합계획’을 수립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의 구분이 아닌 것은?

  1. 도시지역
  2. 농촌지역
  3. 관리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정답률: 46%)
  • 농촌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인 도시지역, 관리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과 함께 용도지역의 구분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농촌지역"이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연환경보전법상의 자연환경보전 기본 원칙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자연은 모든 국민의 자산으로서 공익에 적합하게 보전되고 현재와 장래의 세대를 위하여 지속가능하게 이용되어야 한다.
  2. 자연환경보전은 국토의 이용과 조화ㆍ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3. 자연환경보전과 자연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은 증진되어야 한다.
  4. 자연환경보전에 따르는 부담은 공평하게 분담되어야 하며,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혜택도 전 국민에게 공평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연환경보전에 따르는 부담은 공평하게 분담되어야 하며,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혜택도 전 국민에게 공평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다. 이는 자연환경보전의 기본 원칙 중 하나로, 자연환경보전에 따르는 비용과 부담은 모든 국민이 공평하게 분담해야 하며,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혜택도 모든 국민이 공평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자연환경보전의 기본 원칙으로서, 자연환경을 공익에 적합하게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며, 국제협력을 통해 보전을 증진하고 국토의 이용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토지이용을 합리화ㆍ구체화하고, 도시 또는 농ㆍ산ㆍ어촌의 기능 증진, 미관 개선 및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지구단위계획은?

  1. 제1종지구단위계획
  2. 제2종지구단위계획
  3. 제3종지구단위계획
  4. 제4종지구단위계획
(정답률: 60%)
  • 제1종지구단위계획은 도시 또는 농ㆍ산ㆍ어촌의 기능 증진, 미관 개선 및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으로,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 등의 구역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토지이용을 합리화ㆍ구체화합니다. 또한, 도시 계획에 중점을 두어 도시의 발전과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제1종지구단위계획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생물지리지역 접근에서 생물지리지역의 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생물지역은 생물지리학적 접근단위의 최대단위이다.
  2. 하부생물지역은 지역에서의 독특한 기후, 지형, 식생, 유역, 토지이용유형에 의해 구분된다.
  3. 경관지역은 유역과 산맥에 의해 구분되며 관찰자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이다.
  4. 장소단위는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지닌 지역으로 위요된 공간(enclosed space)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하부생물지역은 지역에서의 독특한 기후, 지형, 식생, 유역, 토지이용유형에 의해 구분된다."입니다. 하부생물지역은 생물지역의 하위 단위로, 지리적, 지형적, 기후적, 생물학적 특성 등에 따라 구분됩니다. 따라서, "하부생물지역은 지역에서의 독특한 기후, 지형, 식생, 유역, 토지이용유형에 의해 구분된다."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국토해양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이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용도지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도지구
  2. 특정용도제한지구
  3. 시설보호지구
  4. 보전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보전지구는 도시의 자연환경, 생태계, 문화유산 등을 보전하기 위해 설정되는 지구로, 국토해양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대도시 시장이 결정하는 용도지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보전지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국토공간계획 가운데 「국토기본법」에 의한 지역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도권발전계획
  2. 광역권개발계획
  3. 도시기본계획
  4. 개발촉진지구개발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국토기본법에 따라 지역계획은 국토의 이용과 보전에 관한 기본방침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으로, 수도권발전계획, 광역권개발계획, 개발촉진지구개발계획 등이 해당된다. 하지만 도시기본계획은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도시계획으로, 국토기본법에 따른 지역계획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도시기본계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연환경보전법상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야생동ㆍ식물의 서식지간의 이동 가능성 등 생태계의 연속성을 높이거나 특정한 생물종의 서식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생물서식공간을 의미하는 용어는?

  1. 소생태계
  2. 소생물권
  3. 생태연결통로
  4. 생태축
(정답률: 알수없음)
  • "소생태계"는 작은 규모에서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조성하는 생물서식공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대규모 생태계인 "생태축"과는 달리 작은 지역에서 특정 생물종의 서식조건을 개선하거나 서로 다른 생물군간의 이동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소생물권"은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작은 지역에서 특정 생물종이 서식하는데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태연결통로"는 서로 다른 생태계를 연결하여 생물군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경관 보전지역의 지정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상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
  2.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
  3.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생태계의 표본지역
  4. 자연훼손이 심각하여 생태계 복원이 시급한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훼손이 심각하여 생태계 복원이 시급한 지역"은 생태계가 이미 파괴되어 있거나 훼손되어 있는 지역으로, 보전 대상이 아닌 것입니다. 이 지역은 보전 대상이 아니라 복원 대상이며, 생태계를 복원하여 보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기본계획의 목적과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1. 광역계획권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공간구조와 경제사회적 측면을 포함
  2. 용도지역ㆍ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과 지구단위계획을 포함하는 관리적인 계획
  3. 도시개발정비 및 보전절차와 규제지침을 제시하고 공간구조 분야를 포함
  4.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도시관리계획 수립의 지침이 되는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기본계획은 도시의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서 도시관리계획 수립의 지침이 되는 계획입니다. 이 계획은 광역계획권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공간구조와 경제사회적 측면을 포함합니다. 또한, 용도지역ㆍ지구의 지정 또는 변경과 지구단위계획을 포함하는 관리적인 계획이며, 도시개발정비 및 보전절차와 규제지침을 제시하고 공간구조 분야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엔환경계획의 환경범주는 대범주로서 자연환경과 인간환경으로 나누고 있다. 다음 중 자연환경의 하위범주에 속하는 것은?

  1. 인구
  2. 주거
  3. 수권
  4. 에너지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환경의 하위범주에는 대기, 수권, 생물다양성, 토양 등이 있다. 따라서 "수권"이 자연환경의 하위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수권은 물로 덮인 지역을 의미하며, 강, 호수, 해양 등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생태관광의 기본원칙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편익의 보장 및 증대
  2. 관광객 편의성의 증진
  3. 자연환경의 보전
  4. 관광객의 환경인식 제고
(정답률: 알수없음)
  • "관광객 편의성의 증진"은 생태관광의 기본원칙과는 거리가 먼 원칙입니다. 생태관광은 자연환경의 보전과 지역주민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편익의 보장을 중요시하며, 관광객의 편의성은 그 이후에 고려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생태관광에서는 관광객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보다는 지역주민과 자연환경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생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권역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은?

  1. 핵심생태지역
  2. 생태복원지역
  3. 생태통로지역
  4. 생태축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축지역은 생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권역 구분 중에 포함되지 않는 지역입니다. 이는 주로 인간의 개입이 크거나 자연환경이 파괴되어 생태적 가치가 떨어지는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생태축지역은 생태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자연자산을 관리ㆍ활용하기 위하여 자연환경 또는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하거나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초래하는 사업을 하는 사업자에 대하여 징수할 수 있는 비용의 명칭은?

  1. 생태계보전협력금
  2. 자연환경보전기금
  3. 환경보전협력금
  4. 생물다양성보전기금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계보전협력금"은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업을 하는 사업자들에게 징수하는 비용의 명칭이다. 이 비용은 생태계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자금으로 사용되며, 생태계를 보전하는데 기여하는 사업자들과 함께 협력하여 자연환경을 보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생태계보전협력금"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침식방지용 자재 중 황마를 주재료로 만든 것은?

  1. 코이어네트(coir net)
  2. 쥬트네트(jute net)
  3. 수지네트
  4. 수지시트
(정답률: 알수없음)
  • 황마는 코코넛 껍질과 함께 침식방지용 자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코코넛 껍질로 만든 침식방지용 자재는 코이어네트(coir net)이고, 황마로 만든 침식방지용 자재는 쥬트네트(jute net)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쥬트네트(jute net)"입니다. 수지네트와 수지시트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침식방지용 자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야생조류 서식처 복원에 있어서 인간과의 거리관계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비간섭거리 : 이제까지 계속하고 있던 행동을 중지하고 인간 쪽을 바라보거나 경계음을 내거나 또는 새의 꽁지와 깃을 흔드는 등의 행동을 취하는 거리
  2. 경계거리 : 인간이 접근하면 수십 cm에서 수 cm를 걸어다니거나 또는 가볍게 뛰기도 하면서 물러서서 인간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
  3. 회피거리 : 조류가 인간의 모습을 알아차리면서도 달아나거나 경계의 자세를 취하는 일없이 모이를 계속 먹거나 휴식을 계속할 수 있는 거리
  4. 도피거리 : 인간이 접근함에 따라 단숨에 장거리를 날아가면서 도피를 시작하는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야생조류 서식처 복원에 있어서 인간과의 거리관계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도피거리 : 인간이 접근함에 따라 단숨에 장거리를 날아가면서 도피를 시작하는 거리"이다. 이는 인간이 조류의 서식처에 접근하면 조류가 바로 도망치는 거리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생태통로 조성시 야생동물 종별 이동촉진을 고려하기 위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곤충 : 먹이식물, 밀원식물 등의 도입을 통한 서식 유도
  2. 소형포유류 : 이동을 위한 폭 1m 이내의 통로확보, 돌담 및 통나무, 바위 등의 배치
  3. 양서ㆍ파충류 : 서식 및 이동을 위한 수변 환경 조성, 이동용 보조통로 설치
  4. 조류 : 보통 서식처로부터의 1~2km의 영역확보, 다층구조의 임분 형성
(정답률: 알수없음)
  • 소형포유류에 대한 내용이 틀렸습니다. 소형포유류는 이동을 위한 폭 1m 이상의 통로확보, 돌담 및 통나무, 바위 등의 배치가 필요합니다. 이는 소형포유류가 작은 크기와 짧은 다리로 인해 이동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이동을 촉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곤충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잠자리유충의 생육을 위해서는 BOD(생물학적 산소 요구량)가 10ppm 이하의 수질이 유지 되어야 한다.
  2. 수환경의 조성 시 연못의 형태는 원형을 이루어야 생태적으로 안정되고 생물의 다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3. 연못의 수심은 30cm 이상이면 가능하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이 수생물의 생육에 도움이 되어 곤충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다.
  4. 모래나 자갈로 구성된 장소를 일부분에 마련하면 그곳에 적합한 곤충들의 생육에 도움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환경의 조성 시 연못의 형태는 원형을 이루어야 생태적으로 안정되고 생물의 다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부분이 부적합하다. 이유는 연못의 형태가 원형이어야만 생태적으로 안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연못이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생태통로의 기능과 조성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생태통로는 단편화된 생태계의 연결로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에 도움을 준다.
  2. 생태통로는 대형 교란으로부터 피난처 역할도 한다.
  3. 인공적으로 조성된 구조물은 생태통로하고 볼 수 없다.
  4. 하천, 댐, 도로 등에 의해 생태계가 단절되는 경우 생태통로를 조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적으로 조성된 구조물은 생태통로하고 볼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인공적으로 조성된 구조물도 생태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와 대형 교란으로부터의 피난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구조물의 설계와 조성 방법에 따라서 생태계의 연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방수층의 기능 및 시공시 주의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 건물옥상의 수분이 건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2. 옥상녹화시스템의 내구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3. 식물의 지속적 생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하부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4. 미생물이나 화학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한 소재 및 공법이 요구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수층의 기능은 건물옥상의 수분이 건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시공시 주의사항은 미생물이나 화학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한 소재 및 공법이 요구된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옥상녹화시스템의 내구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지형잔디 중 엽폭이 2~4mm로 잎의 질감은 중간 정도이고, 진한 녹색을 띠며 지하경(rhizome)이 있어 옆으로 잘 퍼진다. 잎끝은 보트 모양이며 주엽맥의 양쪽에 연한선이 있어 쉽게 식별되는 잔디는?

  1. 톨 훼스큐
  2. 켄터키 블루그래스
  3. 퍼레니얼 라이스래스
  4. 크리핑 벤트그래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켄터키 블루그래스"입니다. 이 잔디는 엽폭이 2~4mm로 중간 정도의 질감을 가지며, 진한 녹색을 띠고 지하경이 있어 옆으로 잘 퍼집니다. 또한 잎끝은 보트 모양이며 주엽맥의 양쪽에 연한선이 있어 쉽게 식별됩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켄터키 블루그래스"를 다른 보기인 "톨 훼스큐", "퍼레니얼 라이스래스", "크리핑 벤트그래스"와 구별할 수 있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각의 고정을 위해 돌을 축설하는 공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땅속흙막이
  2. 누구막이
  3. 돌쌓기
  4. 산비탈돌쌓기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보이는 공법은 돌을 쌓아서 산각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를 땅속흙막이라고 부른다. 이는 산각을 지탱하는 돌 위에 흙을 쌓아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복원(ㅏRestor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훼손되기 이전의 원래 상태나 위치로 되돌리는 것
  2. 서식처로서의 일부 기능을 증진 혹은 개선시키는 것
  3. 생태게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곳에 지속성이 높은 생태계를 새롭게 만들어 내는 것
  4. 토양침식을 감소시키고, 식물을 이용하여 푸르게 만드는 것
(정답률: 80%)
  • 복원은 훼손되기 이전의 원래 상태나 위치로 되돌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식물의 존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로 짝지어진 것은?

  1. 고도와 방위
  2. 경사와 적설량
  3. 일사와 바람
  4. 기온과 강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은 기온과 강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기온이 적절하고 강수량이 적절하면 식물은 생장하고 번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온이 너무 높거나 낮거나, 강수량이 너무 많거나 적으면 식물은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온과 강수량은 식물의 생존과 번식에 가장 중요한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염생식물로 탈염효과가 가장 큰 식물은?

  1. 칠면초
  2. 벌노랑이
  3. 자귀풀
  4. 토끼풀
(정답률: 알수없음)
  • 칠면초는 염생식물 중에서 가장 탈염효과가 뛰어나다. 이는 칠면초가 뿌리를 통해 염분을 흡수하고, 잎사귀를 통해 염분을 배출하기 때문이다. 또한 칠면초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염해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토양수분의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양 수분은 모세관력과 중력에 의해 토양에서 이동한다.
  2. 토양수분의 이동은 중력에 의한 이동으로 이는 하강방향으로서 중력수의 이동이다.
  3. 모세관력에 의한 이동으로 밭 토양에 있어서 지표면에 가해진 물의 침투가 끝난 후부터는 주로 모세관력에 의하여 오직 상ㆍ하 수직방향으로만 이동한다.
  4. 수증기에 의한 이동으로 증발이 심한 건조지에서는 모세관력과 중력에 의한 물의 이동이 중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수분의 이동은 중력에 의한 이동으로 이는 하강방향으로서 중력수의 이동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토양수분의 이동은 중력뿐만 아니라 모세관력에 의한 이동도 있으며, 지표면에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중력의 영향력은 약해지고 모세관력의 영향력이 커집니다. 따라서, 지표면에서는 중력에 의한 이동이 크지만 깊이가 깊어질수록 모세관력에 의한 이동이 주를 이룹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생태적 발자국(ecological footprint)의 분석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토지분류의 카테고리가 아닌 것은?

  1. 경작지(arable land)
  2. 산림(forestd land)
  3. 바다(sea)
  4. 공원(park)
(정답률: 64%)
  • 공원은 토지의 생산성과 자원 이용에 대한 측정에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공원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레크레이션과 휴식을 위해 사용되는 지역으로, 생태적 발자국 분석에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공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생태계는 항상 변화를 계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동적인 성질에 입각하여 유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순응적 관리
  2. 피드백
  3. 토지적 환경관리
  4. 모니터링
(정답률: 알수없음)
  • 순응적 관리는 생태계의 동적인 성질에 대응하여 유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는 생태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받아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순응적 관리는 토지적 환경관리와 모니터링과 같은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되어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보기] 의 설명 중 ( )에 알맞은 것은?

  1. 물넘이
  2. 침투연못
  3. 저류조
  4. 잔디형 수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지하수가 지표면으로 침투하여 연못을 만들어내는 "침투연못"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건조지대의 산비탈 등지에 토양수자원을 확보할 목적으로 빗물 등을 땅 속으로 침투시키기 위하여 수평으로 구덩이를 파놓은 수토보전공법은?

  1. 확수구법
  2. 식생반조공
  3. 계단식 집수공법
  4. 식생대조공
(정답률: 알수없음)
  • 수토보전공법은 빗물을 구덩이에 모아서 지하수를 충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구덩이를 수평으로 파놓아서 빗물이 자연스럽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지하수를 충전합니다. 이 방법은 확수구법이 아니라 수토보전공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확수구법"이 아닌 다른 보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하천변 생태계의 복원을 위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하천곡선 내축, 즉 퇴적이 생기는 부분에는 자연식생으로 처리한다.
  2. 하도곡선 외측, 즉 수충부(水衝部)는 침식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콘크리트블럭 호안을 조성해 준다.
  3. 도입식물들은 뿌리가 침수에 강한 수종이나 토양층을 깊게 지지하는 수종을 도입한다.
  4. 자연형 호안의 경우 인공을 가미하더라도 자연적인 느낌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도곡선 외측, 즉 수충부(水衝部)는 침식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콘크리트블럭 호안을 조성해 준다."는 부적합한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하천변의 수충부는 물의 흐름이 빠르고 강하므로 콘크리트블럭 호안을 조성해주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침식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부식(腐植 : humus)의 기능과 식생과의 관계를 잘못 설명한 것은?

  1. 부식은 토양 중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2. 부식은 Ca, Mg, K, NH4 등의 염기를 흡착하는 염기치환용량이 크다.
  3. 부식은 호르몬과 비타민을 함유하여 고등생물과 토양미생물의 생육을 자극한다.
  4. 부식은 토립을 연결시켜 안정한 입단구조를 형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식은 토양 중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닌 것입니다.

    부식은 유기물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토양의 유익한 물질로,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영양분을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또한, 부식은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여 토양의 생물학적 활동을 활발하게 합니다. 이러한 미생물의 활동은 유효인산을 고정시켜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부식은 토양 중 유효인산의 고정을 증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는 설명이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2. 워커빌리티(workability)
  3. 반죽질기(consistency)
  4. 성형성(plasticit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피니셔빌리티는 콘크리트가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이다. 이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라 결정된다. 즉, 콘크리트가 마무리하기 쉬운지 여부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반죽질기, 성형성 등과 관련이 있지만, 이러한 성질들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것이 피니셔빌리티이다. 따라서, 피니셔빌리티는 콘크리트의 마무리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사관리의 3대 관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품질관리
  2. 공정관리
  3. 원가관리
  4. 안전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관리는 공사관리의 3대 관리 중 하나가 아니라 별도의 관리 분야로 분류됩니다. 공사관리의 3대 관리는 품질관리, 공정관리, 원가관리로 구성되며, 이들은 공사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필수적인 관리 분야입니다. 반면 안전관리는 공사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관리 분야로, 공사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경관생태적 관점에서 사전환경성검토의 영향예측 단계의 주요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1. 구체적인 저감 대책 수립
  2. 생태축 단절 여부
  3. 생물서식공간의 훼손 정도
  4. 종 다양성의 변화 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생태적 관점에서 사전환경성검토의 영향예측 단계에서는 주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저감 대책 수립"은 이러한 대책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것으로, 다른 항목들은 예측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둔 항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도시개발에서 자연보호와 종 보호를 위한 지침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오랫동안 동일한 환경 속에서 유지되었던 생태계는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2. 도시개발에서 기존의 오픈페이스와 생태계는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3. 도시개발에서 기존의 비오톱을 보호하는 것 보다는 새로운 비오톱의 조성이 더욱 중요하다.
  4. 도시 전체에서 비오톱 연결망을 구축하여 그 안에서 기존의 오픈페이스가 연결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도시개발에서 기존의 비오톱을 보호하는 것 보다는 새로운 비오톱의 조성이 더욱 중요하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자연보호와 종 보호를 위한 지침으로는 적절하지 않은 내용입니다. 기존의 비오톱을 보호하는 것은 이미 존재하는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보호와 종 보호를 위한 지침으로 적절합니다. 새로운 비오톱의 조성은 도시개발과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지침은 도시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주어진 데이터 세트 내의 가장 미세한 공간 해상도, 즉 격자형 지도의 최소 단위인 셀(cell)의 크기 또는 다각형으로 된 도면의 최소 도면 단위를 의미하는 용어는?

  1. 범위(extent)
  2. 위계(hierarchy)
  3. 홀론(holon)
  4. 입도(grain)
(정답률: 알수없음)
  • 입도(grain)는 데이터 세트 내에서 가장 작은 공간 단위를 의미합니다. 즉, 격자형 지도의 최소 단위인 셀의 크기나 다각형으로 된 도면의 최소 도면 단위를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의 다른 측면을 나타내는 용어들이므로, 입도(grain)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지리정보체계(GI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도자료, 속성데이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사람의 5대 요소를 가지고 자료를 입력, 설계, 저장, 분석, 출력하는 일련의 작업을 총괄하는 개념이다.
  2. 1966년 미국의 North Carolina 주립대학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통계적인 분석과 자료관리, 그래프 작성,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종합정보 관리시스템이다.
  3. 지표면과 지하 및 지상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각종 자연물(산, 강, 토지 등)과 인공구조물(건물, 철도, 도로 등)에 대한 위치정보와 또는 해석ㆍ처리하는 시스템이다.
  4. 지리정보체계가 포함해야만 하는 기능적 요소들을 자료획득, 자료의 전처리, 자료관리, 조정과 분석, 결과출력이 해당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966년 미국의 North Carolina 주립대학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통계적인 분석과 자료관리, 그래프 작성,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종합정보 관리시스템이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해설: 지리정보체계(GIS)는 지도자료, 속성데이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사람의 5대 요소를 가지고 자료를 입력, 설계, 저장, 분석, 출력하는 일련의 작업을 총괄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지표면과 지하 및 지상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각종 자연물(산, 강, 토지 등)과 인공구조물(건물, 철도, 도로 등)에 대한 위치정보와 또는 해석ㆍ처리하는 시스템이다."라는 설명과도 일치합니다. 또한, "자료획득, 자료의 전처리, 자료관리, 조정과 분석, 결과출력"이 지리정보체계가 포함해야만 하는 기능적 요소들이라는 설명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도시경관생태를 보전하기 위한 친환경적 계획기법이 아닌 것은?

  1. 비오톱 지도화
  2. 경관생태계획
  3. 인공지반 녹화
  4. 하천정비와 복개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정비와 복개는 도시경관생태를 보전하기 위한 친환경적 계획기법이 아닙니다. 이는 도시의 수질 개선과 홍수 피해 예방을 위한 기술적인 방법으로, 생태계 보전보다는 인프라 개발에 더 중점을 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보기에서 경관생태학적인 측면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 절차의 순서로 가장 적합하게 나열한 것은?

  1. ① → ② → ③ → ④
  2. ① → ② → ④ → ③
  3. ② → ④ → ① → ③
  4. ② → ① → ③ → ④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가장 적합한 순서는 "② → ④ → ① → ③"입니다.

    ② 단계에서는 대상지의 환경적 특성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대상군을 파악하고, ④ 단계에서는 대상지와 대상군에 대한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합니다. 이후 ① 단계에서는 대상지와 대상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 ③ 단계에서는 대안의 환경적 효과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대상지와 대상군에 대한 영향을 먼저 파악하고 예측한 후, 이를 최소화할 대안을 모색하고 대안의 환경적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경관생태학적인 측면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 절차의 순서에 가장 부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생태통로(ecological corridor)의 설치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서식지 면적의 확대가 가능한 곳에 설치
  2.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
  3.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번식률을 낮추기 위해 설치
  4. 해안 구조물에서 빈번하게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통로는 서식지 사이의 연결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패치의 생성원인에 따른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잔여패치
  2. 시설패치
  3. 간섭패치
  4. 환경자원패치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패치는 시설물의 설치나 보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패치의 생성원인에 따른 구분 중에서는 시설패치가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습지의 정의는 국가, 학자와 정책 결정자, 관리자가 서로 다른 정의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 중 국내 습지보전법에 명시된 연안습지의 개념 정의로 옳은 것은?

  1. 물이 퇴적물을 덮고 있거나 퇴적물이 식물의 뿌리가 있는 곳에 침투되어 있어 침수에 견디는 식물들이 존재하는 지역을 말한다.
  2.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3. 조수간만의 차이에 의해 주기적으로 드러나는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 이후의 습한 지역을 말한다.
  4. 바닷가와 만조 수위선으로부터 영해의 외측 한계까지의 습한 지역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이다.

    이유는 이 정의가 습지보전법에서 사용되는 연안습지의 개념 정의이기 때문이다. 이 정의는 만조와 간조 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습지를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연안습지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만조와 간조 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 사이에는 물이 차고 빠지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은 물과 육지의 교차 지점으로서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을 보전하고 관리하는 것이 연안습지 보전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우리나라의 난대림 수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신갈나무
  2. 녹나무
  3. 돈나무
  4. 감탕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원래 수종이 아니며, 외래 식물로 북미에서 유래한 나무입니다. 따라서 난대림 수종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면, 녹나무, 돈나무, 감탕나무는 우리나라의 원래 수종으로 난대림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하천 코리더(corridor)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하천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의 수문을 고려해야 한다.
  2. 습하고 비옥한 토양으로 인해 독특한 선형의 식생대가 발달한다.
  3. 오염물질을 정화한다.
  4. 하천변 식생은 수온을 낮게 하여 어류의 서식을 방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변 식생이 수온을 낮게 하여 어류의 서식을 방해하는 것은 하천 코리더의 특징이 아니라 오히려 문제점이다. 이는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식생의 생태학적 관리방식은 목표로 하는 자연과 그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준다. 천이의 순응을 이용한 관리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의 변화를 자연 천이와 재생에 맡기고 그 이상의 특별한 간섭은 행하지 않는다.
  2. 천이의 따라 발생하는 생물군집과 생태계 스스로 변화를 존중한다.
  3. 가벼운 교란이 발생한 지역에 적합한 방식이다.
  4. 목표로 하는 생물군집의 생식, 생육을 위한 조건을 인위적으로 지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목표로 하는 생물군집의 생식, 생육을 위한 조건을 인위적으로 지원한다." 이다. 이 방식은 자연 천이와는 다르게 인위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따라서 천연적인 생태계의 변화를 존중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비오톱 유형 분류에서 직접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식생형태, 토지이용형태, 지형
  2. 종다양도, 토지이용형태, 건물층수
  3. 포장률, 지하수위, 토지이용형태
  4. 수질오염도, 지형, 포장률
(정답률: 알수없음)
  • 비오톱 유형 분류는 생물군집이 서식하는 지형, 토지이용형태, 식생형태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분류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생형태, 토지이용형태, 지형"이 직접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종다양도, 건물층수, 포장률, 지하수위, 수질오염도 등은 비오톱 유형 분류에서 간접적으로 고려되거나 보조적인 요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분류 기준이 되는 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비오톱 조성계획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오톱의 최소면적을 결정하기 위해 면적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종 개체군의 유지에 필요한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지표성의 원칙이라 한다.
  2. 비오톱 조성시 발생하는 문제는 서식을 위한 최소공간단위인 비오톱 내에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비오톱 내 전형적인 종의 유전자 흐름을 고려하여 비오톱 수가 충분히 존재하고 공간적으로 밀집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한다.
  4. 비오톱에 대한 주위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촉의 에코톤(ecotone)을 확보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오톱의 최소면적을 결정하기 위해 면적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종 개체군의 유지에 필요한 면적을 구하는 방법을 지표성의 원칙이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비오톱 조성시 발생하는 문제는 서식을 위한 최소공간단위인 비오톱 내에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비오톱 내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의 생태학적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조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오톱의 최소면적을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는 비오톱 조성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GIS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Data는 GIS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이다.
  2. 공간 Data는 래스터 데이터와 벡터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3. 벡터 데이터는 다양한 공간 형상들간의 공간 관계 정보를 인접성, 연속성, 영역성 등으로 제공한다.
  4. 벡터 데이터는 실세계 공간현상을 일련의 셀들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이미지 데이터로 기하학적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며, 원격 탐사분야에 주로 이용된다.
(정답률: 64%)
  • "Data는 GIS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이다.", "공간 Data는 래스터 데이터와 벡터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벡터 데이터는 다양한 공간 형상들간의 공간 관계 정보를 인접성, 연속성, 영역성 등으로 제공한다."까지는 모두 거리가 가깝습니다. 하지만 "벡터 데이터는 실세계 공간현상을 일련의 셀들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이미지 데이터로 기하학적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며, 원격 탐사분야에 주로 이용된다."는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벡터 데이터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요소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리적 경관이라는 용어를 “그 외관과 그것의 여러 현상간의 상호연관에 의해서, 또한 내부적 외부적인 위치관계에 의해서 일정한 특징을 갖는 공간단위를 형성하며, 그 위에 또한 지리적 자연적 경계로 다른 특징을 갖는 경관으로 이행하는 지표의 하나의 구획을 의미한다”고 말한 현대 경관생태학의 원리와 개념을 최초로 제공한 독일의 지리 생태학자는?

  1. C. Troll
  2. Z. Naveh
  3. A.S. Lieberman
  4. H. Ellenberg
(정답률: 알수없음)
  • C. Troll은 지리적 경관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제시하고, 이를 현대 경관생태학의 원리와 개념으로 발전시켰기 때문에 정답이다. Z. Naveh는 경관생태학의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이론가이며, A.S. Lieberman은 생태학과 경관생태학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H. Ellenberg는 식물지리학과 생태학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조간대 지역은 조석의 주기에 따라 대기에 노출되고, 이 곳에 서식하는 생물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출현하는 생물의 종류가 다르게 나타난다. 암반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해수면에 수평으로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조간대 생물의 분포를 나타내는 것은?

  1. 대상분포
  2. 임계분포
  3. 평형분포
  4. 규칙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조간대 생물의 분포는 조석의 주기에 따라 대기에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분포를 나타내는 용어로는 "대상분포"가 사용된다. 대상분포는 특정한 환경 조건에 적응한 생물군이 출현하는 분포를 의미한다. 따라서 조간대 생물의 분포를 나타내는 용어로는 대상분포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댐건설에 의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식생 파괴, 동물 서식지역 감소 및 분리현상이 나타난다.
  2. 호수 안에 식생 유입이 원활하다.
  3. 유입하천의 하상이 증가한다.
  4. 미기상의 변화 및 수면을 이용하는 생물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호수 안에 식생 유입이 원활하다는 것은 댐건설로 인해 호수 주변 지역의 수원이 보호되어 호수에 물이 계속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댐건설로 인한 식생 파괴, 동물 서식지역 감소 및 분리현상, 유입하천의 하상 증가, 미기상의 변화 및 수면을 이용하는 생물 증가 등의 영향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비오톱 지도화의 전단계인 기초조사에서 파악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토지이용유형도
  2. 불투수토양포장도
  3. 현존식생유형도
  4. 도시생태현황도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생태현황도는 비오톱 지도화의 전단계인 기초조사에서 파악되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비오톱 지도화의 후속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입니다. 기초조사에서는 토지이용유형도, 불투수토양포장도, 현존식생유형도 등의 정보를 파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전환경성 검토서의 작성시 구비 내용이 아닌 것은?

  1. 개발사업의 목적 및 추진절차 등 사업계획 관련 사항
  2. 대상지역의 토지이용현황
  3. 대상지역 내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분포현황
  4. 개발업자와의 합의서
(정답률: 알수없음)
  • 사전환경성 검토서는 개발사업의 환경적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한 문서이다. 따라서 사업계획, 대상지역의 토지이용 및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분포 등과 같은 내용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하지만 개발업자와의 합의서는 사전환경성 검토서의 작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개발업자와의 합의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야생동ㆍ식물특별보호구역 대상지역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자연상태가 원시설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
  2.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의 집단서식지ㆍ번식지로서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지역
  3. 멸종위기야생동물의 집단도래지로서 학술적 연구 및 보전가치가 커서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지역
  4.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이 서식ㆍ분포하고 있는 곳으로서 서식지ㆍ번식지의 훼손 또는 당해 종의 멸종우려로 인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연상태가 원시설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보전 및 학술적 연구가치가 큰 지역"입니다. 이유는 이 지역은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야생동ㆍ식물특별보호구역 대상지역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멸종위기 종이나 서식지가 아니더라도 보전과 학술적 연구가 필요한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자연환경보전법령상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ㆍ징수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00원, ② 1
  2. ① 100원, ② 2
  3. ① 250원, ② 1
  4. ① 250원, ② 2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계보전협력금은 1톤당 250원으로 부과되며, 이 지역은 1등급으로 분류되어 있어 2배의 금액인 500원이 부과된다. 따라서 정답은 "① 250원, ②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농지법령상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의 농업경영기간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에 해당하는 기준은?

  1. 3년
  2. 5년
  3. 8년
  4.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농지법 제9조에 따르면,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는 농업경영기간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가능합니다. 이때 대통령령으로 정한 기간은 8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농지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농업인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1. 농업경영을 통한 농산물의 연간 판매액이 100만원 이상인자
  2. 대가축 1두, 중가축 5두, 소가축 50두, 가금 500수 또는 꿀벌 5군 이상을 사육하거나 1년 중 100일 이상 축산업에 종사하는 자
  3. 1천제곱미터 이상의 농지에서 농작물 또는 다년생식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거나 1년 중 9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자
  4. 농지에 330제곱미터 이상의 고정식온실ㆍ버섯재배사ㆍ비닐하우스, 그 밖의 농림수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농업생산에 필요한 시설을 설치하여 농작물 또는 다년생 식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자
(정답률: 알수없음)
  • 대가축 1두, 중가축 5두, 소가축 50두, 가금 500수 또는 꿀벌 5군 이상을 사육하거나 1년 중 100일 이상 축산업에 종사하는 자는 농지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농업인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축산업을 주 업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농업인으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 축산업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농업인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환경”이라 함은 지하ㆍ지표(해양을 제외한다.) 및 지상의 모든 생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 것을 포함한 자연의 상태(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2. “자연환경관리”라 함은 자연환경을 체계적으로 보존ㆍ보호 또는 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연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3. “자연생태”라 함은 자연의 상태에서 이루어진 지리적 또는 지질적 환경과 그 조건 아래에서 생물이 생활하고 있는 일체의 현상을 말한다.
  4. “생물다양성”이라 함은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해양 생태계를 제외한다)와 이들의 복합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ㆍ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 중에서 "거리"와 관련된 내용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국토기본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국토에 관한 계획 수립 등을 위해 행하는 국토조사 사항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에 국토해양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은 제외)

  1. 농림ㆍ해양ㆍ수산에 관한 사항
  2. 자연생태에 관한 사항
  3. 지형ㆍ지물 등 지리정보에 관한 사항
  4. 방재 및 안전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생태에 관한 사항은 국토해양부장관이 국토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연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국토계획 수립 및 관리에 반영하는 사항으로, 대통령령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습지보전법령상 습지주변관리지역에서 규정에 의한 습지보호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가 환경부장관 등에게 승인 또는 협의를 얻어야 하는 대상 행위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유수면매립법 규정에 의한 매립
  2. 공유수면매립법 규정에 의한 점용허가 대상 행위
  3. 농지법 규정에 의한 농지의 전용 허가 대상 행위
  4. 해양수산자원관리법에 의한 시설설치 허가 대상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습지보전법령상 습지주변관리지역에서 규정에 의한 습지보호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가 환경부장관 등에게 승인 또는 협의를 얻어야 하는 대상 행위 중 해양수산자원관리법에 의한 시설설치 허가 대상 행위는 습지와는 관련이 없는 해양 자원에 대한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습지와 관련된 행위들이기 때문에 습지보전법령상 승인 또는 협의를 받아야 하는 대상 행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자연공원법령상 공원위원회의 심의를 생략할 수 있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공원계획의 경미한 사항의 변경과 거리가 먼 것은?

  1. 공원집단시설지구를 공원자연마을지구로 변경하는 경우
  2. 공원자연마을지구를 공원자연환경지구로 변경하는 경우
  3. 공원자연환경지구를 공원밀집마을지구로 변경하는 경우
  4. 공원집단시설지구 외의 지구에 계획된 공원시설을 공원집단시설지구 안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공원자연환경지구를 공원밀집마을지구로 변경하는 경우는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인공적인 도시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공원위원회의 심의를 생략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에서 “하천”의 항목별 환경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1. 6가크롬(Cr6+) : 0.05mg/L 이하
  2. 1.2-디클로로에탄 : 0.05mg/L 이하
  3. 유기인 : 검출되어서는 안 됨(검출한계 0.0005mg/L)
  4. 음이온계면활성제(ABS) : 0.5mg/L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2-디클로로에탄 : 0.05mg/L 이하" 이다. 이유는 1.2-디클로로에탄은 수질 및 수생태계에서 "하천"의 항목별 환경기준이 아니라, "지하수"의 항목별 환경기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항목은 수질 및 수생태계에서는 환경기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자연공원법령상 국립공원위원회의 위원장은 누구인가?

  1. 환경부장관
  2. 환경부차관
  3. 환경부 자연보전국장
  4.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공원법 제7조에 따르면 국립공원위원회의 위원장은 환경부장관이지만, 환경부장관이 부재 또는 사퇴한 경우에는 환경부차관이 대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부차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환경부장관이 특정도서를 지정하거나 해제ㆍ변경한 경우에 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하는 기간(기준)은?

  1.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부터 15일이내
  2.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부터 30일이내
  3.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부터 60일이내
  4.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부터 90일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이 특정도서를 지정하거나 해제ㆍ변경한 경우에는 이를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공지하여야 하므로, 기간이 너무 길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을 두어서 이를 공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5일이내보다는 30일이내로 정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부터 30일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용도지구를 규정에 의하여 도시관리계획결정으로 세분하여 지정할 수 있는 지구와 거리가 먼 것은?

  1. 주거개발진흥지구
  2. 생태계보존지구
  3. 자연환경지구
  4. 집단취락지구
(정답률: 30%)
  • 자연환경지구는 주로 산림, 수목, 수원 등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정되는 지구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이나 인프라 등 인간의 개입이 적은 지역이며,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정됩니다. 이에 반해, 주거개발진흥지구나 집단취락지구는 인간의 생활을 위해 건축물이나 인프라 등이 개발되는 지역이며, 생태계보존지구는 자연환경을 보존하면서도 인간의 생활을 고려한 지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환경정책기본법령상 NO2의 대기환경기준치 ( ① ) 및 측정방법( ② )으로 옳은 것은? (단. 기준치는 1시간 평균치 기준)

  1. ① 0.03ppm 이하
    ② 자외선형광법(Pulse U.V. Fluorescence Method)
  2. ① 0.10ppm 이하
    ②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t Method)
  3. ① 0.03ppm 이하
    ②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t Method)
  4. ① 0.10ppm 이하
    ② 자외선형광법(Pulse U.V. Fluorescence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① 0.10ppm 이하, ②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t Method)"입니다.

    ① NO2의 대기환경기준치는 1시간 평균치 기준으로 0.10ppm 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

    ② NO2의 측정방법으로는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t Method)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NO2와 오존(O3)이 반응하여 빛을 방출하는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NO2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높고 민감도가 좋아 대기 중 NO2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중점검토항목ㆍ의견수렴방법ㆍ환경성 검토협의회구성 등에 관하여 별도로 고시할 수 있는 행정 계획의 범위(종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중점검토항목, 의견수렴방법, 환경성 검토협의회 구성 등은 모두 행정 계획의 범위(종류)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성 검토 대상 사업의 추진계획 수립"은 행정 계획의 범위(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환경부령이 정하는 먹는 것이 금지되는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에 해당하는 것은?

  1. 산양
  2. 사향노루
  3. 흑기러기
  4. 쇠오리
(정답률: 50%)
  • 환경부령에 따르면,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에 해당하는 것은 먹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흑기러기"는 멸종위기에 처한 새로, 따라서 먹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시ㆍ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등의 토지매수 실적의 보고횟수 ( ① ) 및 보고기일( ② )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① 수시, ② 사유발생시
  2. ① 연1회, ② 매년 종료 후 15일 이내
  3. ① 연2회, ② 매반기 종료 후 15일 이내
  4. ① 분기1회, ② 매분기 종료 후 15일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생태ㆍ경관보전지역 등의 토지매수 실적은 매년 종료 후에 산정되므로, 보고횟수는 연1회이며 보고기일은 매년 종료 후 15일 이내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연1회, ② 매년 종료 후 15일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산지관리법령산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석채취허가기준 중 산지의 경사도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45도, ② 1: 0.5 이하
  2. ① 45도, ② 1: 0.4 이하
  3. ① 35도, ② 1: 0.5 이하
  4. ① 35도, ② 1: 0.4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산지관리법령에서는 토석채취를 위해 산지의 경사도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은 산지의 안정성과 생태계 보전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산지의 경사도가 너무 가파르면 토석채취로 인해 산사태 등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경사도가 낮으면 생태계가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산지의 경사도는 35도 이하로 제한하고, 토석채취를 할 때는 1:0.4 이하의 경사면에서만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개발제한구역 지정 및 해제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도시주변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여 도시민의 건정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을 때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를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다.
  2. 도시의 정체성 확보 및 적정한 성장관리를 위하여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역이 지정대상에 해당한다.
  3.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의 기준은 대상 도시의 인구ㆍ산업ㆍ교통 및 토지이용 등 경제적ㆍ사회적 여건과 도시 확산 추세, 그 밖의 지형 등 자연환경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에 한해 국가기본관리게획에 의해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보안상 도시의 개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에 한해 국가기본관리게획에 의해 결정한다."이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해제 기준은 대상 도시의 인구, 산업, 교통, 토지 이용 등 경제적, 사회적 여건과 도시 확산 추세, 그 밖의 지형 등 자연환경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해진다.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개발제한구역을 지정하는 것은 해당 법률에서 규정된 기준과는 별도로 보안상의 이유로 특별히 지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범
  2. 까막딱다구리
  3. 흰꼬리수리
  4. 한란
(정답률: 알수없음)
  • 까막딱다구리는 이미 멸종위기에 처해있지만, 현재 유전자 보존을 위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어서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에 해당하는 종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다음 용도지역 안에서 건폐율의 최대한도 기준과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녹지지역 : 70퍼센트 이하
  2. 보전관리지역 : 40퍼센트 이하
  3. 농림지역 : 20퍼센트 이하
  4. 자연환경보전지역 : 40퍼센트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농림지역은 농업 및 임업 등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농업 및 임업 등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건축물 등의 인프라 구축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건폐율의 최대한도가 20퍼센트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