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해양에서 총 일차 생산량은 표층에서는 호흡량보다 크지만, 수심이 깊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여 어느 깊이에서는 호흡량과 같아져 순일차생산량이 생기지 않는다. 이 깊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광도 깊이(intensity depth)
  2. 보상 깊이(compensation depth)
  3. 임계 깊이(critical depth)
  4. 광저해 깊이(Photoinhibition depth)
(정답률: 57%)
  • 보상 깊이는 광량이 충분히 감소하여 광합성과 호흡이 균형을 이루는 깊이를 말한다. 즉, 이 깊이 이하에서는 광합성과 호흡이 균형을 이루어 순일차 생산량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보상 깊이는 일차 생산량이 최대가 되는 깊이보다 더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연안(coast)에 대해서 틀리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육지와 해양 사이의 생태적 전이대이다.
  2. 해양기후 변화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3. 연안 생태계는 육상식생을 포함한다.
  4. 연안은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 무관하다.
(정답률: 77%)
  • "연안은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 무관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연안은 육지와 해양 사이의 생태적 전이대로,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해양기후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연안 생태계는 육상식생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개체의 부족이 과밀과 같이 제한 요인이 된다는 현상은?

  1. Shelford의 법칙
  2. Bancroft의 법칙
  3. Allee원리
  4. Polyclimax theory(다극상설)
(정답률: 73%)
  • Allee 원리는 개체의 부족이 생존과 번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개체들이 모여서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고, 적절한 파트너를 찾지 못하거나 먹이를 찾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체의 수가 일정 이상 이하로 떨어지면 생존과 번식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과밀과 같이 제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극상에 가까울수록 나타나는 현상은?

  1. K-선택
  2. r-선택
  3. 정보량 적다.
  4. 엔트로피 높다.
(정답률: 75%)
  • 정답은 "엔트로피 높다." 이다.

    K-선택과 r-선택은 정보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이 아니며, 정보량이 적다는 것은 해당 정보가 예측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엔트로피가 낮다는 것은 정보의 불확실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엔트로피가 높을수록 정보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극상에 가까울수록 나타나는 현상은 엔트로피가 높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후가 온난한 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고, 무덥고 건조한 기후가 길기 때문에 화재가 중요한 환경의 일부가 되고 있다. 특히, 인도, 아프리카, 남미지역 등에서 우세하게 형성되는 식물군락은 무엇인가?

  1. 침엽수림
  2. 낙엽수림
  3. 열대 Savana
  4. 활엽수림
(정답률: 71%)
  • 열대 Savana는 무더운 기후와 건조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식물군락으로, 인도, 아프리카, 남미지역 등에서 주로 형성된다. 이 지역에서는 화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Savana 지역에서는 화재 예방과 대처가 중요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하구습지, 만, 갯벌 등과 같은 습지보호와 관련된 국제협약은?

  1. 바젤협약
  2. 람사협약
  3. 런던협약
  4. 파리협약
(정답률: 94%)
  • 정답: 람사협약

    하구습지, 만, 갯벌 등은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협약이 체결되고 있다. 이 중 람사협약은 1971년 유네스코(UNESCO)에서 체결된 국제협약으로, 습지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 협약은 습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습지의 보전과 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을 촉진하며, 습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따라서, 람사협약은 습지보호와 관련된 국제협약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에서 한 영양단계에서 다음 영양단계로 전달될 때에 전화 효율은 어느 정도인가?

  1. 10% 정도
  2. 20% 정도
  3. 30% 정도
  4. 40% 정도
(정답률: 55%)
  • 한 영양단계에서 다음 영양단계로 전달될 때, 대부분의 에너지는 소비자들이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음 영양단계로 전달되는 에너지는 원래 에너지의 일부분만 전달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달 효율은 대략 10% 정도로 추정됩니다. 즉, 이전 단계에서 100단위의 에너지가 전달되면, 다음 단계에서는 대략 10단위의 에너지만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천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단, 환경정책기본법 상의 기준을 적용한다.)

  1. 매우 좋은(Ia)의 BOD 기준은 1mg/L 이하
  2. 좋음(Ib)의 BOD 기준은 2 mg/L 이하
  3. 약간 좋음(Ⅱ)의 BOD 기준은 3 mg/L 이하
  4. 약간 나쁨(Ⅳ)의 BOD 기준은 5 mg/L 이하
(정답률: 50%)
  • 약간 나쁨(Ⅳ)의 BOD 기준은 5 mg/L 이하인 이유는, BOD가 5 mg/L 이상이면 하천의 수질이 약간 나쁨 수준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BOD는 유기물이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은 BOD는 수생생물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며, 물의 취사선택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BOD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제주도의 목장을 수십 년간 방치한 후 관목림과 활엽수림으로 바뀌었다. 이곳에서 진행된 천이는?

  1. 1차천이
  2. 2차천이
  3. 타생천이
  4. 종속영양적천이
(정답률: 82%)
  • 이곳에서 진행된 천이는 1차천이이다. 이는 목장을 방치하여 자연적으로 관목림과 활엽수림으로 변화된 것을 의미한다. 2차천이는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자연환경이 변화된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차천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육상생태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호수
  2. 사막
  3. 초원
  4. 열대우림
(정답률: 82%)
  • 호수는 수생생태계에 해당하며, 물 속에서 생명체들이 서식하고 생태계를 이루기 때문에 육상생태계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에서 ( )안에 적합한 용어는?

  1. ㉠ : 수생부착생물 ㉡ : 부유생물
  2. ㉠ : 저서생물 ㉡ : 부유생물
  3. ㉠ : 수생부착생물 ㉡ : 저서생물
  4. ㉠ : 부유생물 ㉡ : 수생부착생물
(정답률: 50%)
  • 해당 그림에서 ㉠은 바닷속 바닥에 부착하여 생활하는 생물들을 나타내는 수생부착생물이고, ㉡은 바닷속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며 생활하는 생물들을 나타내는 부유생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있는 미생물이 아닌 것은?

  1. Azotobacter
  2. Rhizobium
  3. Nostoc
  4. Chlorobium
(정답률: 56%)
  • Chlorobium은 광합성 미생물로서,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없습니다. 따라서 Chlorobium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질소를 고정하는 능력이 없는 미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살충제 사용이 생태계에 미치는 유해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유해 생물 개체군 크기 제어
  2. 살충제 내성증가
  3. 천적의 제거 및 새로운 해충의 출현 야기
  4. 잔류성 살충제의 생물간 이동 및 생물증폭
(정답률: 알수없음)
  • "유해 생물 개체군 크기 제어"는 생태계에서 특정 생물이 지나치게 번식하여 개체군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다른 생물들의 서식지를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살충제 사용은 이러한 개체군 크기 제어를 방해하고, 유해 생물들이 지나치게 번식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살충제 사용은 생태계에 매우 큰 유해성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된장국의 BOD가 52500ppm이다. 10℃의 물 1L의 포화용존 산소량이 11.33mg이고, 물고기가 필요로 하는 최소용존 산소량이 5ppm이다. 물고기가 생존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된장국을 정화하고자 하는데, 어느 정도의 물이 필요한가?

  1. 10500L
  2. 4800L
  3. 8300L
  4. 52500L
(정답률: 36%)
  • 물고기가 생존하는데 필요한 최소용존 산소량은 5ppm이다. 따라서 된장국의 BOD를 52500ppm에서 5ppm로 감소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산소량은 52500-5=52495ppm이다. 1L의 물에 포화용존 산소량이 11.33mg이므로, 1L의 물에 최대로 용존시킬 수 있는 산소량은 11.33*1000=11330ppm이다. 따라서 1L의 물로 52495/11330=4.63L의 된장국을 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물의 양은 4.63L의 된장국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인 8300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질소고정의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Neurospora에 의한 질소고정
  2. 광화학적 질소고정
  3. 산업적 질소고정
  4. Nitrogenase 효소를 가진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고정
(정답률: 39%)
  • Neurospora는 질소고정 능력이 없는 균류로, "Neurospora에 의한 질소고정"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질소고정을 하는 방법들입니다. 광화학적 질소고정은 빛을 이용하여 질소를 고정하는 방법이고, 산업적 질소고정은 고압과 고열을 이용하여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Nitrogenase 효소를 가진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고정은 대표적인 질소고정 방법 중 하나로, 질소를 고정하여 암모니아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물이 한 곳에 체류하는 시간이 매우 길어 상대적으로 자정작용이나 회복에 대한 자기 기능이 약한 육수생태계의 종류는?

  1. 유수생태계
  2. 정수생태계
  3. 습지생태계
  4. 하구생태계
(정답률: 67%)
  • 정수생태계는 물이 한 곳에 체류하는 시간이 매우 길어서 산소 공급이 부족하고 노폐물이 쌓이기 때문에 자정작용이나 회복에 대한 자기 기능이 약한 생태계입니다. 따라서 생물 다양성이 낮고 생태계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수의 종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포착하고 시스템 행동의 결과를 관찰한다'는 표현과 어울리는 분야는?

  1. 개체군생태학
  2. 군집생태학
  3. 행동생태학
  4. 생태계생태학
(정답률: 73%)
  • 군집생태학은 다수의 종이 서로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군집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 때, 군집 내부의 종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시스템 전체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을 관찰하고 분석한다. 따라서 "다수의 종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포착하고 시스템 행동의 결과를 관찰한다"는 표현과 군집생태학이 어울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천이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 개체군이 변하는 과정이다.
  2. 최후의 안정된 시기를 극상이라 한다.
  3. 식물에서 천이가 일어나면 동물종 구성의 변화가 일어난다.
  4. 인위적으로 특정동물을 제거하여도 식물천이에는 영향이 없다.
(정답률: 80%)
  • 인위적으로 특정동물을 제거하여도 식물천이에는 영향이 없다. - 이유: 식물천이는 동물과 식물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동물을 제거하더라도 식물간의 상호작용은 계속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흰개미 내장의 미생물(Trychonympha 속)과 흰개미와의 관계는?

  1. 경쟁
  2. 상리공생
  3. 기생
  4. 포식
(정답률: 79%)
  • 흰개미 내장에 살고 있는 미생물인 Trychonympha는 섬유소를 분해하여 흰개미가 섭취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줍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흰개미는 섬유소를 섭취할 수 있게 되고, Trychonympha는 생존에 필요한 영양소를 얻을 수 있으므로 둘 사이에는 서로 유익한 상리공생 관계가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 금속류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경금속(light metals) -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양이온으로 수중에 분포
  2. 전이금속(transitional metals) -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양이온으로 수중에 분포
  3. 전이금속(transitional metals) - 철, 구리, 코발트, 망간 등 미량 원소이나 고농도에서는 유독함
  4. 중금속(heavy metals or metalloids) - 수은, 납, 주석, 셀레늄, 비소 등 저농도에서도 유해함
(정답률: 71%)
  • "전이금속(transitional metals) -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양이온으로 수중에 분포"는 맞는 설명입니다. 전이금속은 주로 미량 원소이지만,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양이온으로도 수중에 분포합니다. 이는 이러한 금속들이 물 속에서 이온화되어 양이온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정부가 설정하도록 의무화 한다.
  2. 국민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준을 설정한다.
  3. 환경 여건의 변화에 따른 적정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4.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개략적인 기준을 설정한다.
(정답률: 58%)
  •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개략적인 기준을 설정한다."는 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입니다. 이유는 환경기준은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정부가 설정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으며, 국민의 건강보호와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정됩니다. 또한, 환경 여건의 변화에 따라 적정성이 유지되도록 설정됩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환경기준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ㆍ자연도의 등급을 평가하는데 고려하는 4가지 기준이 아닌 것은?

  1.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2. 습지
  3. 자연경관
  4. 산림유형
(정답률: 50%)
  • 산림유형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생태ㆍ자연도의 등급을 평가하는데 고려하는 기준이 아닙니다. 자연환경보전법에서는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습지, 자연경관, 그리고 생태계의 안정성 등을 평가 기준으로 삼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림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환경부장관이 생물다양성 증진이 필요한 지역 등을 보전하기 위하여 토지 또는 공유수면의 소유자ㆍ점유자 등과 경작 방식의 변경, 화학물질의 사용감소, 습지의 조성 등을 내용으로 체결하는 계약의 명칭은?

  1. 생물다양성관리계약
  2. 생물다양성보전주민협정
  3. 자연환경보전관리계약
  4. 생태계보전주민협정
(정답률: 25%)
  • 생물다양성관리계약은 환경부장관이 생물다양성 증진이 필요한 지역 등을 보전하기 위해 토지 또는 공유수면의 소유자ㆍ점유자 등과 체결하는 계약으로, 경작 방식의 변경, 화학물질의 사용감소, 습지의 조성 등을 내용으로 합니다. 따라서 "생물다양성관리계약"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생태공원을 계획ㆍ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목표종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서식공간의 최소면적에 대한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얻는다.
  2. 생물종의 생활사 및 생육ㆍ서식공간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다.
  3. 인간과 생물간의 거리는 가능한 가깝게 하는 것이 좋다.
  4. 생물종이 사람의 관찰대상인가 아닌가에 따라 접촉 공간 설치 유무를 결정한다.
(정답률: 75%)
  • 인간과 생물간의 거리는 가능한 가깝게 하는 것이 좋다는 조건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생물의 행동 및 생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인간과 생물간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태공원을 계획ㆍ설계할 때는 인간과 생물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생물종의 생활사 및 생육ㆍ서식공간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목표종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서식공간의 최소면적에 대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생물종이 사람의 관찰대상인가 아닌가에 따라 접촉 공간 설치 유무를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환경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환경용량은 지역의 크기와 그 지역에 생존하고 있는 유기체간의 특성 함수관계로 표시된다.
  2. 같은 규모의 지역이라도 그 지역에 생존하는 종이 많은 에너지로 생존 가능하다면 더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종이 생존하고 있는 경우보다 더 큰 환경용량을 가지게 된다.
  3. 생물의 입장에서 보면 어떤 개체수의 생물을 부양하는 데는 오염되지 않은 환경과 적당량의 먹이생산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4. 지구시스템의 성장 한계를 극복, 균형,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공업화에 의한 경제성장 속도와 인구증가 속도를 환경용량 범위내로 제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정답률: 71%)
  • 잘못된 설명은 "같은 규모의 지역이라도 그 지역에 생존하는 종이 많은 에너지로 생존 가능하다면 더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종이 생존하고 있는 경우보다 더 큰 환경용량을 가지게 된다." 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로, 더 많은 종이 적은 에너지로 생존 가능한 경우, 그 지역의 환경용량은 더 작아지게 된다. 이는 생물의 입장에서 보면, 더 많은 종이 적은 에너지로 생존 가능하다는 것은 그만큼 더 많은 경쟁이 일어나고, 더 많은 자원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용량은 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자원과 그 지역에 존재하는 생물의 수와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같은 규모의 지역이라도 다양한 환경용량을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설명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지구단위계획 중 몇 종을 설명한 것인가?

  1. 제1종 지구단위계획
  2. 제2종 지구단위계획
  3. 제3종 지구단위계획
  4. 제4종 지구단위계획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제2종 지구단위계획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제2종 지구단위계획은 도시나 지방 중심도시의 교통, 주거, 상업, 산업 등의 기능을 조정하고,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도시의 개발, 보전, 개선 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도시의 발전을 위한 기반시설 등을 계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생태주거단지의 단지배치를 위한 계획요소와 그 세부계획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주동배치 : 수동적 에너지 활용/일조, 통풍, 조망 고려/내부공간과의 연계
  2. 적정밀도 : 생태적 수용능력 배제
  3. 주차장 : 단지 내 진입 배제/주차장 집중설치
  4. 자연지형 활용 : 지형변화/미기후 활용
(정답률: 82%)
  • 적정밀도는 생태적 수용능력을 배제하는 계획요소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건축물을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태주거단지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며, 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시계획시설결정이 고시된 도시계획시설에 대하여 그 고시일부터 몇 년이 지날 때까지 당해 그 시설의 설치에 관한 도시계획시설 사업이 시행되지 아니하면 그 효력은 상실되는가?

  1. 2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고시된 후 해당 시설의 설치에 관한 사업이 시행되지 않으면, 그 결정은 20년 후에 효력을 상실합니다. 이는 국토의 계획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결정된 시설이 적기에 설치되지 않으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0년이 지나도 해당 시설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결정된 시설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환경가치추정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계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좋은 곳의 부동산 값이 공기가 나쁜 곳의 부동산 값에 비해서 비싸다면 그에 대한 환경가치를 추정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경제시스템에 의한 추정
  2. 여행비용에 의한 추정
  3. 속성가격에 의한 추정
  4. 부동산 공시지가에 의한 추정
(정답률: 67%)
  • 속성가격에 의한 추정은 공기 좋은 곳과 나쁜 곳의 부동산 가격 차이를 분석하여 환경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속성가격이 환경의 품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적절하다. 경제시스템에 의한 추정은 환경의 가치를 시장에서의 거래량과 가격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이고, 여행비용에 의한 추정은 환경을 즐기기 위해 여행하는 비용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이다. 부동산 공시지가에 의한 추정은 부동산 가격을 기준으로 환경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우리나라 국토공간계획 위계 중 도시계획의 최하위에 속하는 계획은?

  1. 도시기본계획
  2. 지구단위계획
  3. 도시관리계획
  4. 지역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단위계획은 국토의 전반적인 계획으로, 도시나 지역의 세부적인 계획보다는 더 큰 규모에서 국토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는 계획입니다. 따라서 도시계획의 최하위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자체의 장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아닌 다른 법률에 따라 지정되는 구역들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면적 이상의 구역 등을 지정하거나 변경하려면 국토해양부장관의 협의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다음 중 국토해양부장관의 협의나 승인을 득하여야 하는 것은?

  1. 보전관리지역ㆍ생산관리지역ㆍ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 농지법 제 28조의 규정에 의한 농업진흥지역
  2. 보전관리지역ㆍ생산관리지역ㆍ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 자연환경보전법 제12조의 규정에 의한 생태ㆍ경관보전지역
  3. 보전관리지역ㆍ생산관리지역ㆍ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 산지관리법 제4조 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한 보전산지
  4. 보전관리지역ㆍ생산관리지역ㆍ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른 수변구역
(정답률: 34%)
  • 국토해양부장관의 협의나 승인을 득하여야 하는 것은 "보전관리지역ㆍ생산관리지역ㆍ농림지역 또는 자연환경보전지역에서 산지관리법 제4조 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한 보전산지"이다. 이는 산지관리법에 따라 보전산지로 지정된 구역이므로 국토해양부장관의 협의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농지법, 자연환경보전법,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지정된 구역이지만, 국토해양부장관의 협의나 승인을 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환경용량개념에 대한 생태학적 측면과 관계없는 것은?

  1. 자원의 지속가능한 생산
  2. 지역의 수용용량
  3. 지역의 경제적 개발수용력
  4. 생태계 자정능력
(정답률: 60%)
  • 환경용량 개념은 생태학적 측면에서 지속 가능한 자원 생산, 지역의 수용용량, 생태계 자정 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의 경제적 개발수용력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역의 발전 가능성과 관련이 있으며, 생태학적 측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역의 경제적 개발수용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용도지역 안에서의 용적률의 최대한도는 관할구역의 면적 및 인구규모, 용도지역의 특성 등을 감안하여 규정되나, 지방 자치단체의 조례가 아닌 법령상 용적률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제1종전용주거지역 : 50% 이상 100% 이하
  2. 제2종전용주거지역 : 100% 이상 150% 이하
  3. 제3종일반주거지역 : 200% 이상 300% 이하
  4. 준주거지역 : 200% 이상 300% 이하
(정답률: 50%)
  • 준주거지역은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중간 지역으로, 주거와 상업이 혼재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용적률이 높아도 주거지역보다는 낮고, 상업지역보다는 높은 범위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주거와 상업의 적절한 혼합을 유지하면서도 지역의 개발 가능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관점에서 기술중시주의(technocentrism) 환경관 중 조화론자(accommodator)의 이념이 아닌 것은?

  1.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의 조화 추구
  2. 과학기술과 시장경제 원리에 대한 맹목적 의존에 비판 시각
  3. 환경보호를 위한 경제적 수단 도입 옹호
  4.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중 참여지지
(정답률: 22%)
  • 환경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중 참여지지는 기술중시주의의 관점에서는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기술적인 발전과 경제성장을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대중의 참여보다는 기술적인 해결책과 경제적인 이익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화론자의 이념과는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환경의 특성 중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항목으로 맞는 것은?

  1. 광역성
  2. 시차성
  3. 상호관련성
  4. 탄력성과 비가역성
(정답률: 73%)
  • 탄력성과 비가역성은 환경의 특성 중에서 에너지의 흐름과 관련된 것입니다. 탄력성은 환경에서 에너지가 저장되어 있을 때 그것이 변화에 따라 얼마나 빠르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비가역성은 에너지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특성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며, 환경에서 에너지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하천 및 호수환경의 친환경적인 관리지침에 대한 제안으로 부적합한 것은?

  1. 하안선, 호안선 관련 개발금지구역의 설정 및 관리
  2. 주요조망점으로부터 시각회랑 확보
  3. 건축물 허가 기준의 완화
  4. 환경오염 규제 기준의 강화
(정답률: 84%)
  • "건축물 허가 기준의 완화"는 친환경적인 관리지침과는 맞지 않습니다. 완화된 기준으로 건축물을 건설하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제안은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생태ㆍ경관보전지역에서의 행위제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핵심구역안에서 야생동식물을 포획하는 경우
  2. 건축물의 신축
  3. 토석의 채취
  4. 기존에 실시하던 영농행위를 지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위
(정답률: 58%)
  • 기존에 실시하던 영농행위를 지속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위는 생태ㆍ경관보전지역에서의 행위제한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생태ㆍ경관보전지역에서도 농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예외적으로 허용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최근까지의 하천정비사업의 문제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사시 토사유출로 인해 육수생태계에 영향
  2. 하도정비, 골재채취, 고수부지 조성 등으로 인한 자연 환경 훼손
  3. 하천의 직선화, 하상의 평면화 등으로 인한 수서생물 서식처의 다양화
  4. 제방 축조용 토량 부족시 토취장 개발로 인한 영향
(정답률: 70%)
  • "하천의 직선화, 하상의 평면화 등으로 인한 수서생물 서식처의 다양화"는 오히려 문제점이 아니라, 하천정비사업의 목적 중 하나인 수서생물 서식처의 다양화를 위한 대책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이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생태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계획요소로서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관광 분야
  2. 생태 및 녹지 분야
  3. 물ㆍ바람 분야
  4. 에너지 분야
(정답률: 67%)
  • 생태도시는 주로 자연환경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이기 때문에, 관광 분야는 생태도시에 적용하기 어려운 계획요소 중 하나입니다. 관광은 대개 인프라 구축과 인구 유입 등으로 인해 자연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태도시에서는 관광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것보다는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생태도시건설을 위한 계획요소가 아닌 것은?

  1. 오픈스페이스 확보를 위한 건물배치
  2. 보행자 공간 네트워크화
  3.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사회 활동 및 도시관리 유지방안
  4. LPG, LNG 사용의 최소화 방안
(정답률: 80%)
  • 정답은 "LPG, LNG 사용의 최소화 방안"이다. 이는 생태도시건설을 위한 계획요소가 아니라 환경보호를 위한 에너지 정책에 해당한다. 생태도시건설을 위한 계획요소는 주거환경, 교통환경, 생태환경 등을 고려한 건축물 및 도시계획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수관저류는 수관표면이 포화되는데 필요한 최소의 강우량이다. 다음 중 수관저류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엽면적지수, 강우강도, 수종
  2. 엽면적지수, 강우량, 수종
  3. 낙엽지량, 엽면적지수, 강우강도
  4. 낙엽지량, 강우량, 수종
(정답률: 59%)
  • 엽면적지수, 강우강도, 수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짝지어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엽면적지수: 엽면적지수는 식물의 잎의 면적을 나타내는 지수로, 수분흡수와 증발에 영향을 미친다. 잎의 면적이 크면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고 증발할 수 있기 때문에 엽면적지수가 높을수록 수관저류 능력이 높아진다.

    - 강우강도: 강우강도는 강우가 내리는 속도와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강한 강우일수록 더 많은 물이 지면에 흡수되지 못하고 표면유출되어 수관저류 능력이 감소한다.

    - 수종: 수종은 나무의 종류에 따라 뿌리의 깊이와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분흡수와 저장 능력이 다르다. 따라서 수종에 따라 수관저류 능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인이 수관저류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짝지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위를 고려할 경우 곤충의 유충이 생활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위는?

  1. 10cm 이상
  2. 20cm 이상
  3. 35cm 이상
  4. 50cm 이상
(정답률: 50%)
  • 곤충의 유충은 물 속에서 생활하며, 일정한 수위를 유지해야 적절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너무 낮은 수위는 유충의 생존에 어려움을 줄 수 있고, 너무 높은 수위는 유충이 떠다니며 생활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곤충의 유충이 생활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위는 50cm 이상입니다. 이는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유충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적절한 깊이를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산림식물군집 구조 중 환경림의 조성관리에 있어서 옳지 않은 것은?

  1. 수종조성(樹種組成)의 다양화
  2. 개체구조(個體構造)의 다양화
  3. 평면구조(平面構造)의 변화
  4. 수직구조(垂直構造)의 계층화
(정답률: 39%)
  • 개체구조의 다양화는 환경림 조성관리에서 옳은 것이다. 이는 산림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고 생태계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체구조의 다양화는 나무의 크기, 형태, 나이 등의 다양성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생태계 내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경림 조성관리에서는 개체구조의 다양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종을 선택하고, 적절한 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으로 투수계수가 어느 정도 이상에서 식물의 근계 발달이 불량해지는가?

  1. 10-1 cm/s 이상
  2. 10-2 cm/s 이상
  3. 10-3 cm/s 이상
  4. 10-4cm/s 이상
(정답률: 54%)
  • 투수계수가 10-4cm/s 이상이 되면 물이 뿌리에서 빠르게 흐르기 시작하여 뿌리가 물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지나치게 되어 식물의 근계 발달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보다 높은 투수계수는 식물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탈면 상하방향의 물길, 또는 자연적인 비탈면 요부에 표면 유리수가 집수되어 유하세력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하나는 분명한 작은 물길을 형성하면서 진행되는 침식형태는?

  1. 면상침식
  2. 누구침식
  3. 구곡침식
  4. 야계침식
(정답률: 46%)
  • 정답은 "누구침식"입니다. 비탈면 상하방향의 물길이나 자연적인 비탈면 요부에 표면 유리수가 집수되어 유하세력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하나는 분명한 작은 물길을 형성하면서 진행되는 침식형태를 누구침식이라고 합니다. 이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침식이 발생하는 형태로,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지형이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훼손지 비탈면에 사용되는 식물 중 형태적으로 근계(根系) 신장이 좋은 식물이 아닌 것은?

  1. 톨훼스큐
  2. 비수리
  3. 까치수영
  4. 억새
(정답률: 47%)
  • 정답은 "까치수영"입니다. 까치수영은 근계가 얕고 넓은 편이며, 비탈면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톨훼스큐, 비수리, 억새는 근계가 깊고 강하며, 비탈면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조류의 서식처를 위해 조성하는 중도(中島)의 올바른 조성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도는 길이와 폭의 비율이 2 : 1~5 : 1이 적절하며, 생태연못과 종방향으로 위치시킨다.
  2. 전체 생태연못 면적의 1~5%의 면적 구성비가 좋다.
  3. 중도의 윤곽도 불규칙한 곡선을 이용한다.
  4. 중도내의 경사는 10% 내외로 조성한다.
(정답률: 64%)
  • 중도는 생태연못과 종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아닌, 횡방향으로 위치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중도는 길이와 폭의 비율이 2 : 1~5 : 1이 적절하며, 생태연못과 종방향으로 위치시킨다."가 올바르지 않은 조성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분쇄화한 식물발생재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재지에 균일하게 펴서 건조방지, 답압완화, 잡초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 3~5년이 경과되면 토양에 환원된다.
  2. 분괘목 자체에 쿠션성이 있기 때문에 놀이기구 주변에 깔아준다. 이 경우 분괘목은 입경이 100mm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3. 공원의 산책로 등의 포장재로 사용하면 경관향상과 보행자의 쾌적성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괘목은 30mm 이하가 적합하다.
  4. 분쇄화하여 식재기반의 토양 개량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양질의 토양개량재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부식화된 것이 사용되어야 한다.
(정답률: 62%)
  • 분괘목 자체에 쿠션성이 있기 때문에 놀이기구 주변에 깔아준다. 이 경우 분괘목은 입경이 100mm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 분괘목은 입경이 작을수록 쿠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놀이기구 주변에 깔아줄 때는 입경이 작은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변 완충녹지대 중 Buffer strioops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Riparian buffer strips
  2. Riparian zone
  3. Field margin
  4. Riverine wetlands
(정답률: 42%)
  • "Riverine wetlands"은 수변 지역에 위치하지만, Buffer strips의 일부가 아니며, 보호 및 관리 목적이 다릅니다. Buffer strips는 주로 농업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수질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식물로 된 지대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Riparian buffer strips는 강이나 호수 주변에 위치하며, Riparian zone은 강이나 호수 주변의 생태계를 의미합니다. Field margin은 농경지의 경계선에 위치한 지대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생태복원에 관한 용어의 설명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원래의 상태나 훼손되지 않은 완전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복원(restoration)이라 한다.
  2. 훼손여부와는 상관없이 생태계를 새롭게 창출하는 것을 창출(creation)이라고 한다.
  3. 생태복원에서 어떤 행위의 부작용을 줄이는 것을 향상(enhancement)이라 한다.
  4. 원래의 훼손되기 전의 유사한 상태로 안정되고 건강한 생태계로 되돌리는 것을 복구(rehabilitation)라고 한다.
(정답률: 62%)
  • "훼손여부와는 상관없이 생태계를 새롭게 창출하는 것을 창출(creation)이라고 한다."가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생태복원은 훼손된 생태계를 원래의 상태나 유사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새롭게 창출하는 것은 생태복원의 목적과는 맞지 않는다.

    "생태복원에서 어떤 행위의 부작용을 줄이는 것을 향상(enhancement)이라 한다."는 생태복원에서 이미 진행 중인 행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생태계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향상의 예시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종공급 포텐셜의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종공급 포텐셜은 공급원과 공급처간의 관계와 종의 이동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2. 공급원과 공급처가 가까이 있을수록 공급포텐셜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다.
  3. 공중이동 동물의 종 공급은 일반적으로 이동속도가 빠르고 범위가 넓다.
  4. 식물의 종공급 포텐셜은 자체적으로 해결되므로 외부인자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
(정답률: 84%)
  • "식물의 종공급 포텐셜은 자체적으로 해결되므로 외부인자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는 설명이 적당하지 않다. 이유는 식물의 종공급 포텐셜도 외부인자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나 생태계 파괴 등의 외부적인 요인들이 식물의 분포와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면 종공급 포텐셜도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종공급 포텐셜은 자체적으로 해결되므로 외부인자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다."라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훼손된 해안 사구의 복원을 위해서 설치하는 시설은?

  1. 모래집적울타리
  2. 인공섬
  3. 방파제
  4. 제방
(정답률: 62%)
  • 해안 사구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파도에 의한 모래 이동을 막아주는 시설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모래집적울타리는 모래를 쌓아서 파도에 의한 모래 이동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훼손된 해안 사구의 복원을 위해서는 모래집적울타리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인공섬은 해안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며, 방파제와 제방은 파도를 막아주는 시설로서 해안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앞으로 일어날 개발 행위로 인해서 불가피한 훼손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해 보상하는 것으로 개발지역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 혹은 습지를 조성하거나 복원, 향상시키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Prototype
  2. Naturalization
  3. Mitigation Banking
  4. Conservation
(정답률: 50%)
  • Mitigation Banking은 개발로 인한 훼손을 보상하기 위해 유역이나 습지를 조성하거나 복원,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개발로 인한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고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Mitigation Bank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생태기반을 위한 경사면 식재층 조성을 위한 방법 중 설명이 틀린것은?

  1. 0~3%의 경사지는 표면배수에 문제가 있으나 큰 규모의 식재군을 형서하거나 마운딩을 처리
  2. 3~8%의 경사지는 완만한 구릉지로 정지 작업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식재지로는 부적당
  3. 8~15%의 경사지는 구릉지이거나 암반노출지로 토양층이 발달하지 않아서 집중 식재가 불가능
  4. 15~25%의 경사지는 일반적인 식재기술로는 식재가 거의 불가능
(정답률: 64%)
  • 3~8%의 경사지는 완만한 구릉지로 정지 작업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식재지로는 부적당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오히려 3~8%의 경사지는 식재가 가능한 경사로로, 적절한 식재층을 조성하여 경사면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토양개량재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유기질 계통의 토양개량재로는 피트모스, 버미큘라이트가 사용된다.
  2. 무기질 계통의 토양개량재로는 진주암 펄라이트, 흑요석 펄라이트가 사용된다.
  3. 고분자 계열의 토양개량재로는 폴리비닐알콜과 아크릴산계 공중합물(共重合物)이 사용된다.
  4. 유기ㆍ무기복합 토양개량재로는 유기질과 무기질 계통이 혼합된 자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정답률: 46%)
  • "고분자 계열의 토양개량재로는 폴리비닐알콜과 아크릴산계 공중합물(共重合物)이 사용된다."는 부적합한 설명입니다.

    유기질 계통의 토양개량재로는 피트모스와 버미큘라이트가 사용됩니다. 이는 식물성 원료로 만들어진 것으로, 토양의 건조도를 유지하고 영양분을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을 돕습니다.

    무기질 계통의 토양개량재로는 진주암 펄라이트와 흑요석 펄라이트가 사용됩니다. 이는 암석을 가공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토양의 통풍성과 배수성을 개선하여 식물의 뿌리가 잘 자라도록 돕습니다.

    고분자 계열의 토양개량재로는 폴리비닐알콜과 아크릴산계 공중합물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유기질이 아닌 고분자 물질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은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수분 보존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유기ㆍ무기복합 토양개량재로는 유기질과 무기질 계통이 혼합된 자재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각각의 장점을 결합하여 토양의 건조도, 통풍성, 배수성, 영양분 공급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관목을 식재하여 완경사 훼손지를 복원 녹화하는 경우 확보할 일반 토양의 생존최소심도는?

  1. 15cm
  2. 30cm
  3. 45cm
  4. 60cm
(정답률: 64%)
  • 완경사 훼손지를 복원하려면 식재할 소관목의 뿌리가 토양에 깊게 박히고 생존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과 영양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생존최소심도는 30cm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뿌리가 충분한 공간과 영양분을 확보할 수 있는 깊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30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야생동물의 이동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부적합한 환경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2. 종족의 번식을 위해
  3. 부모의 궤적을 따르기 위해
  4. 개체군의 분산을 위해
(정답률: 70%)
  • 야생동물은 부모의 궤적을 따라 다니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야생동물은 부적합한 환경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종족의 번식을 위해, 개체군의 분산을 위해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암석의 특징을 설명 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것은?

  1. 안산암
  2. 섬록암
  3. 현무암
  4. 화강암
(정답률: 37%)
  • 이 암석은 화강암과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화강암보다 조각하기 쉽고 부드러우며, 색상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건축물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인 예로는 경복궁의 석조물들이 있습니다. 이 암석은 안산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녹화공사용 시공자재로서의 목재의 성질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통나무는 거칠은 질감을 갖고 있지만, 원목이라는 점에서 친자연적이다.
  2. 가공의 횟수가 적어 부패의 위험성이 적다.
  3. 리기다소나무, 밤나무, 참나무류 등은 기초말뚝으로도 사용된다.
  4. 침엽수의 간벌재는 임도 절ㆍ성토비탈면의 비탈 침식 방지 공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84%)
  • "통나무는 거칠은 질감을 갖고 있지만, 원목이라는 점에서 친자연적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통나무는 원목이지만,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패와 변형의 위험이 높습니다.

    가공의 횟수가 적어 부패의 위험성이 적다는 것은, 목재가 가공되면서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물과 공기가 쉽게 스며들지 않도록 처리되기 때문에 부패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가공된 목재는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훼손지 비탈면 녹화용 식물선택의 기본요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년생으로 동계의 보전효과가 높은 식물이어야 한다.
  2. 번식력과 생장력이 왕성해야 한다.
  3. 근계의 발달이 좋고 지하경의 번식이 잘 되는 것이 좋다.
  4. 척박지에서 생육하는 힘이 커야 한다.
(정답률: 73%)
  • "일년생으로 동계의 보전효과가 높은 식물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올해 생긴 식물은 내년에는 새로운 식물이 자라기 때문에 일년생 식물은 보전효과가 높지 않다. 따라서 이 요소는 오히려 틀린 정보이다.

    일년생으로 동계의 보전효과가 높은 식물이어야 하는 이유는, 훼손지에서는 생태계가 파괴되어 식물이 쉽게 자라지 않기 때문에, 일년생 식물은 짧은 기간 내에 번식하고 씨앗을 뿌리기 때문에 생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동계에도 씨앗이 보존되어 봄에 자라기 때문에 보전효과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토착 식생으로 이루어진 큰 조각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종과 행동권이 작은 생물종에만 서식처를 제공한다.
  2. 많은 생물의 번식처가 되어 주변 서식처에 생물종을 공급한다.
  3. 낮은 차수의 하천들의 연결성을 확보한다.
  4. 대수층과 호수의 수량과 수질조절에 유익한 기능을 갖는다.
(정답률: 84%)
  • "내부종과 행동권이 작은 생물종에만 서식처를 제공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토착 식생은 다양한 생물종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며, 큰 조각일수록 더 많은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연적인 상태에서 1차나 2차 천이의 경우는 식물이 이주ㆍ정착하는 종이 다양해지고 수직적 층화가 생기며, 현존하는 생태량이 증가하면서 산림생태계가 안정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진행적 천이
  2. 퇴행적 천이
  3. 천이계열
  4. 생태적 수렴
(정답률: 알수없음)
  • 진행적 천이는 자연적인 상태에서 생태계가 안정화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식물이 다양해지고 수직적 층화가 생기며, 현존하는 생태량이 증가합니다. 이는 생태계가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며, 안정적인 상태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진행적 천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동물의 행동권 이동(home range movement)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먹이를 얻기 위해 하루 정도의 기간 내에 상당히 안정된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
  2. 일방적으로 움직이는 것
  3. 계절적이고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것
  4.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불규칙한 이동
(정답률: 58%)
  • 동물의 행동권 이동은 먹이를 얻기 위해 하루 정도의 기간 내에 상당히 안정된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일방적이거나 불규칙한 이동이 아니라, 일정한 패턴과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환경영향조사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동ㆍ식물상
  2. 기상
  3. 토지이용
  4. 소울
(정답률: 75%)
  • "소울"은 환경영향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동ㆍ식물상", "기상", "토지이용"은 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일부이며, 각각 동물과 식물의 생태계, 기후 및 기상 조건, 토지 이용 상황 등을 평가합니다. 하지만 "소울"은 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영역인 인간의 정신적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환경영향평가 항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복원생태학과 관련이 깊은 4가지 분야이다. 각 분야가 중요시하는 대상으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보전생물학 - 경관의 보전
  2. 습지관리 - 생태계의 기능
  3. 경관생태학 - 생태계의 관리
  4. 훼손지녹화 - 식생군집의 복원
(정답률: 62%)
  • 정답은 "보전생물학 - 경관의 보전"이다. 보전생물학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학문으로, 생물종의 보전을 중요시한다. 경관의 보전은 경관의 생태적 가치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것을 의미하며, 보전생물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비오톱을 보전하고 조성하는 경우 비오톱을 크게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 설명 중 면적인 형태의 비오톱에 해당하는 것은?

  1. 산림과 같이 균질성이 높은 대면적의 생태계
  2. 수공간 가까이 위치한 갈대군락 등과 같이 특정한 종류의 대면적 생태계와 매우 근접해 있는 생태계 내부에 섬상으로 분포할 수 있는 것
  3. 산울타리 등과 같이 가늘고 긴 윤곽을 가진 서식지
  4. 가장자리 등과 같이 종 다양성이 매우 풍부한 생태계 지역
(정답률: 62%)
  • 면적인 형태의 비오톱에 해당하는 것은 "산림과 같이 균질성이 높은 대면적의 생태계"이다. 이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종 다양성이 비교적 낮고 일정한 균형을 유지하는 생태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산림은 대표적인 면적형 비오톱으로, 나무와 식물들이 일정한 패턴으로 분포하며, 동물들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서식한다. 이러한 특징은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위성 리모트 센싱(Remote Sensing)을 환경문제에 응용할 때의 유리한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일시성
  2. 주기성
  3. 광역성
  4. 동시성
(정답률: 86%)
  • 일시적인 데이터만을 수집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환경 변화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시성은 환경문제에 대한 유리한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경관을 구성하는 지형ㆍ토질 등의 요소가 수직적으로 경관 단위를 구성하고, 또한 다른 경관단위는 자연적 조건과 인위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경관모자이크
  2. 자연지역
  3. 이질적인 공간
  4. 결절지역
(정답률: 58%)
  • 정답: 경관모자이크

    설명: 경관모자이크는 지형, 토질 등의 요소가 수직적으로 경관 단위를 구성하고, 다른 경관단위는 자연적 조건과 인위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자연지역과 이질적인 공간, 결절지역 등의 다양한 경관단위가 서로 얽혀서 하나의 큰 모자이크처럼 보이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이를 경관모자이크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경관요소인 패치(patch)를 분석하여 구분할 수 있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크기측정
  2. 형태측정
  3. 색조측정
  4. 배열측정
(정답률: 78%)
  • 색조측정은 경관요소인 패치의 색상을 분석하여 구분하는 것이며, 다른 요소들은 패치의 크기, 형태, 배열 등과 관련된 측정 방법이므로 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자연환경보전법상에서 생태자연도는 1, 2, 3등급과 별도관리지역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별도관리지역에 해당하는 것은?

  1. 야생동ㆍ식물보호법의 규정에 의한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주요 서식지
  2. 문화재보호법의 규정에 따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
  3. 생태계가 특히 우수하거나 경관이 특히 수려한 지역
  4. 생물의 지리적 분포한계에 위치하는 생태계 지역
(정답률: 24%)
  • 정답은 "문화재보호법의 규정에 따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입니다. 이유는 자연환경보전법에서 별도관리지역으로 지정되는 기준 중 하나가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역은 문화재와 자연환경을 모두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지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설명의 이것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연적 교란 양상
  2. 비생물적 환경의 변화 양상
  3. 우점식생의 공간적 분포
  4. 생물의 상호작용의 결과
(정답률: 65%)
  • 위 그림은 우점식생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한 생물종이 특정한 지역에서 다른 생물종보다 더 많이 분포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비오톱 조성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경관 생태학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서식지의 면적과 수
  2. 코리도(Corridor)와 완충대
  3. 주변경관의 특성
  4. 교통에 의한 접근성
(정답률: 87%)
  • 비오톱 조성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경관 생태학적 요소는 서식지의 면적과 수, 코리도와 완충대, 주변경관의 특성이다. 이들은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에 교통에 의한 접근성은 경관 생태학적 요소가 아니다. 이는 인간의 편의성을 위한 요소로서, 생물 다양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우리나라 농촌경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묘지관리와 농업 등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또한 반복적으로 교란을 받고 있다.
  2. 대체적으로 도로→논→밭→주거지→과수원→묘지→관리림→조림지→자연식생의 순을 보인다.
  3. 기후적인 요인에 의하여 농촌경관을 구성하는 공간요소나 그들의 배열양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농촌에서는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4. 농촌의 숲은 인간이 조성하였기 때문에 패치형태지수(Patch shape index)값이 비교적 높다.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역범위 측면에서 야생동물 보존을 위한 원칙으로 밎지 않는 것은?

  1. 인간의 활동에 의해 개발된 지역들에는 야생동물 이동로를 설치한다.
  2. 대규모 야생포식자와 인간의 접촉을 최소화한다.
  3. 개발된 지역 내에 자연적 경관의 특징들을 최소화한다.
  4. 인간이 생활하는 지역과 서식지 사이에 완충지대를 최대로 유지한다.
(정답률: 72%)
  • "개발된 지역 내에 자연적 경관의 특징들을 최소화한다."가 밎지 않는 것이다. 이는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발된 지역 내에는 자연적 경관의 특징들을 최대한 보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0dum에 의해 시도된 육상생물군계와 생태계의 분류에서 우리나라가 속하는 것은?

  1. 툰드라
  2. 온대초원
  3. 한 대침엽수림
  4. 온대활엽수림
(정답률: 73%)
  • 0dum에 의한 분류에서 우리나라는 "온대활엽수림"에 속합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식물상이 온대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온대활엽수림은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자라는 넓은 잎을 가진 나무들이 주로 서식하는 생태계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숲 유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GIS의 구축에 있어서 벡터나 격자구조의 서택은 대단히 중요하다. 격자구조와 비교한 벡터구조의 특징 설명이 틀린 것은?

  1. 자료의 구조가 단순하다.
  2. 복잡한 현실세계의 묘사가 가능하다.
  3.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다.
  4. 여러 레이어의 중첩이나 분석에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수반된다.
(정답률: 43%)
  • 답: "여러 레이어의 중첩이나 분석에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수반된다."

    벡터구조는 점, 선, 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이용하여 지리적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격자구조는 일정한 크기의 격자 셀(cell)로 구성된 그리드 형태로 지리적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벡터구조는 복잡한 현실세계의 묘사가 가능하며,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여러 레이어의 중첩이나 분석에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수반된다는 단점이 있다. 격자구조는 자료의 구조가 단순하고, 여러 레이어의 중첩이나 분석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현실세계의 묘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일정 토지의 자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식생과 토지 이용 현황에 따라 녹지공간의 상태를 등급화 한 국내의 산림녹지관련 도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임상도
  2. 현존식생도
  3. 생태자연도
  4. 녹지자연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녹지자연도

    설명: 녹지자연도는 식생과 토지 이용 현황을 기반으로 녹지공간의 상태를 등급화한 국내의 산림녹지관련 도면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임상, 현존식생, 생태 자연을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간에서 경관단위의 분포(공간적 관계)를 위해 Zonneveld는 “지권의 토지속성 중 최소한 하나(대기, 식생, 토양, 암석, 수문 등)에서 동질성을 갖는 가장 작은 총체적인 토지의 단위”를 무엇이라 하였는가?

  1. 에코톱(Ecotope)
  2. 모자이크(Mosaics)
  3. 매트릭스(Matrix)
  4. 패치(patch)
(정답률: 36%)
  • Zonneveld는 경관단위의 분포를 위해 "에코톱(Ecotope)"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지권의 토지속성 중 최소한 하나에서 동질성을 갖는 가장 작은 총체적인 토지의 단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에코톱은 특정 지역에서 서로 다른 토지속성을 가진 작은 지역들의 집합체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에코톱들이 모여서 "모자이크(Mosaics)"를 형성하고, 이 모자이크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매트릭스(Matrix)"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매트릭스 내에서도 특정한 토지속성을 가진 작은 지역들이 "패치(patch)"를 형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특정 목적을 가지곳 lftprP로부터 공간자료를 저장하고 추출하며 이를 변환하여 보여주거나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는?

  1. 원격탐사
  2. 범지구측위시스템(GPS)
  3. 항공사진판독
  4. 지리정보시스템
(정답률: 50%)
  •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공간정보를 저장, 관리, 분석, 시각화하는 도구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공간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여 보여주거나 분석할 수 있어서, 다양한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목적을 가진 곳에서 공간자료를 저장하고 추출하며 이를 변환하여 보여주거나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로서 지리정보시스템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나라의 수평적 산림대 중 온대림을 구분하는 연평균 온도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5℃ 이상
  2. 10~20℃
  3. 5~14℃
  4. 5℃ 미만
(정답률: 43%)
  • 온대림은 연평균 온도가 5~14℃인 지역에서 자라는 산림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답은 "5~14℃"이다. "15℃ 이상"은 열대림, "10~20℃"은 중립림, "5℃ 미만"은 대륙림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상 수도권 및 부산권의 개발제한구역에 설치할 수 있는 축사의 규모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가구당 기존면적을 포함하여 500제곱미터 이하
  2. 1가구당 기존면적을 포함하여 1000제곱미터 이하
  3. 1가구당 기존면적을 포함하여 2500제곱미터 이하
  4. 1가구당 기존면적을 포함하여 5000제곱미터 이하
(정답률: 31%)
  • 정답은 "1가구당 기존면적을 포함하여 500제곱미터 이하"입니다. 이는 개발제한구역 내에서 축사를 설치할 때, 주택과의 거리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1가구당 최대 500제곱미터 이하의 면적으로 축사를 설치할 수 있다는 규정입니다. 이는 개발제한구역 내에서의 환경보호와 주민의 안전을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준 및 방법 등에 따른 인공증식을 위한 포획허가대상 야생동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물닭
  2. 세뿔투구
  3. 능구렁이
  4. 다람쥐
(정답률: 17%)
  • 세뿔투구는 이미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공증식을 위한 포획허가대상 야생동물로 지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습지보전법령상 습지보전기본계획의 시행에 필요한 조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월 이내
  2. 3월 이내
  3. 6월 이내
  4. 12월 이내
(정답률: 24%)
  • 습지보전기본계획은 습지보전법령상 시행에 필요한 조치이다. 따라서, 이 기본계획은 법령상 시행일인 1월 이내에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습지보전사업이 추진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본계획의 작성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실제로는 6월 이내에 작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야생 동ㆍ식물보호법령상 생물자원의 분류ㆍ보전 등에 관한 관련 전문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생물분류기사
  2.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동 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자
  3.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자연환경기사
  4.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동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자
(정답률: 50%)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자연환경기사는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들은 환경보전, 자원관리, 생태복원 등의 분야에서 일하는 기술자로서, 생물분류나 생물자원 보전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반면, 생물분류기사와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는 생물자원 관련 분야에서 직접적으로 종사하거나 연구하는 전문가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환경오염
  2. 환경훼손
  3. 환경용량
  4. 환경파괴
(정답률: 58%)
  • "환경오염"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자연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대기, 수질, 토양 등의 자원이 인간의 산업활동, 교통, 폐기물 등으로 오염되어 건강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특정도서 안에서 인화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짓거나 야영을 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4.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이다.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인화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짓거나 야영을 한 자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이 때, 과태료 부과 기준은 인화물질의 양과 사용 용도, 그리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인화물질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짓거나 야영을 한 경우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야생동ㆍ식물보호법규상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큰바다사자
  2. 표범
  3. 대륙사슴
  4. 산양
(정답률: 36%)
  • 큰바다사자는 해양생물이므로 야생동물보호법규상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보기는 육지생물이므로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자연공원법규상 토지 개간의 경우 공원관리청이 징수하는 점용(또는 사용) 기준요율로 옳은 것은?(단, 기타 다른 법령에서 별도로 정한 기준 등은 고려하지 않음)

  1.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5 이상
  2.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10 이상
  3.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 이상
  4.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50 이상
(정답률: 50%)
  • 자연공원법 제23조에 따르면, 토지 개간의 경우 공원관리청이 징수하는 점용(또는 사용) 기준요율은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 이상"이다. 이는 개간한 토지에서 예상되는 수확물의 가치가 일정 이상이어야만 공원관리청이 그 토지의 사용에 대한 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간한 토지에서 예상되는 수확물의 가치가 일정 이상이 되지 않으면, 그 토지의 사용에 대한 요금을 징수할 수 없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의 작성ㆍ활용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2만5천분의 1, ② 실선
  2. ① 2만5천분의 1, ② 점선
  3. ① 5만분의 1, ② 실선
  4. ① 5만분의 1, ② 점선
(정답률: 74%)
  • 이미지는 생태ㆍ자연도로서 보전 대상이 되는 지역의 지도이다. 생태ㆍ자연도는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 지도는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자연환경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지도는 가능한 정확하고 상세하게 작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성ㆍ활용기준이 정해져 있다.

    ① 2만5천분의 1은 작성된 지도의 축척(scale)을 나타내는 것이다.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축척이 작을수록 지도는 상세하게 작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생태ㆍ자연도는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자연환경을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축척이 작은 2만5천분의 1로 작성되었다.

    ② 실선은 지도상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생태ㆍ자연도는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정확하게 나타내어야 한다. 따라서, 생태ㆍ자연도에서는 실선을 사용하여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산지관리법상 산림청장이 지정ㆍ육성할 수 있는 산지복구전문기관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
  2.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조사연구
  3.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설계ㆍ감리
  4. 형질변경된 산지의 자연친화적인 복구방법의 조사ㆍ연구 및 개발
(정답률: 37%)
  • 산림청장이 지정ㆍ육성할 수 있는 산지복구전문기관은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 형질변경된 산지의 복구설계ㆍ감리, 형질변경된 산지의 자연친화적인 복구방법의 조사ㆍ연구 및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는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산지복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자연환경보전볍규상 시ㆍ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마을 지정실적”의 보고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률: 50%)
  • 생태마을 지정은 일회성 업무이므로 연 1회로 보고하면 된다. 매년 지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국토해양부장관은 사회적ㆍ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매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정비하여야 한다.
  2. 시ㆍ도지사는 국토종합계획의 내용을 소광업무와 관련된 정책 및 계획에 반영하여야 하며, 국토종합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소관별 실천계획을 수립하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 국토해양부장관으로부터 국토종합계획을 조정할 것을 요청받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특별한 사유없이 이를 반영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은 국토개발촉진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이를 조정해야한다.
  4. 국토해양부장관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행하는 국토계획 시행사업이 서로 상충되어 국토계획의 원활한 실시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어도 그 사업을 조정할 권한은 없다.
(정답률: 10%)
  • 국토종합계획은 국토의 종합적인 계획으로, 시ㆍ도지사는 국토종합계획의 내용을 소광업무와 관련된 정책 및 계획에 반영하고,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토해양부장관이 매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정비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ㆍ도지사는 국토종합계획의 내용을 소광업무와 관련된 정책 및 계획에 반영하여야 하며, 국토종합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소관별 실천계획을 수립하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환경정책기본법상 도로변지역의 낮(06:00~22:00)시간의 소음환경 기준으로 옳은 것은?(단, 적용대상지역은 공업지역 중 준공업지역, 단위는 Leq dB(A))

  1. 60
  2. 65
  3. 70
  4. 75
(정답률: 55%)
  • 환경정책기본법상 도로변지역의 낮시간(06:00~22:00)의 소음환경 기준은 Leq 70 dB(A)이다. 이는 도로변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설정된 기준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류 시행령상 기반시설 중 광장 구분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교통광장
  2. 일반광장
  3. 특수광장
  4. 건축물부설광장
(정답률: 37%)
  • 기반시설 중 광장 구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특수광장"입니다. 이는 다른 광장들과는 구분되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거나 특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광장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공연이나 전시를 위한 광장, 수영장이나 스케이트장 등 특수한 용도를 가진 광장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기반시설의 분류 중 “방재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저수지
  2. 방송ㆍ통신시설
  3. 하수도
  4. 공동구ㆍ시장
(정답률: 50%)
  • 저수지는 비가 많이 내리거나 홍수 등 재해 상황에서 수문을 조절하여 수위를 조절하고 홍수를 막는 등 방재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재시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농지법상 농지에 해당하는 것은?

  1. 초지법에 의하여 조성된 토지
  2. 실제 토지현상이 일년성 식물재배지
  3. 배수장 수로 등 농지 개량시설 부지
  4. 농산물유통에 직접 사용되는 부지
(정답률: 42%)
  • 농지법에서는 농지를 "일년성 식물재배지"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토지현상이 일년성 식물재배지"는 농지에 해당합니다. 또한, 농지 개량시설인 "배수장 수로 등"도 농지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배수장 수로 등 농지 개량시설 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보호지역 중 완충구역안에서 허용되지 않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40%)
  •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는 보호지역 중 완충구역안에서 허용되지 않는 행위를 한 자에 대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백두대간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완충구역을 통해 인간의 활동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완충구역에서 허용되지 않는 행위를 한 자는 엄격한 처벌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산지관리법규상 복구설계서 승인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센티미터 이상
  2. 30센티미터 이상
  3. 60센티미터 이상
  4. 100센티미터 이상
(정답률: 24%)
  • 산지관리법규에서는 복구설계서 승인기준으로 토양복원층의 두께를 규정하고 있다. 이는 산림토양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복원층이 충분히 두껍지 않으면 식생이 제대로 자라지 않아 생태계 복원에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산지관리법규에서는 토양복원층의 두께를 60센티미터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공단체 등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의료기관(의료법인에 한정)
  2.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에 관한 국민신탁법」에 따른 국민신탁법인(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
  3. 「폐수배출시설설치관리법」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 (폐수의 영향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
  4. 「축산법」에 따른 가축 등록기관 및 가축 검정기관
(정답률: 64%)
  •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의료기관,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에 관한 국민신탁법인, 축산법에 따른 가축 등록기관 및 가축 검정기관은 각각 해당 법령에 따라 소유할 수 있는 농지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폐수배출시설설치관리법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은 폐수의 영향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되므로,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공단체 등의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국토기본법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수립할 수 있는 지역계획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단, 기타계획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1. 수도권발전계획
  2. 광역권개발계획
  3. 개발촉진지구개발계획
  4. 공유수면매립계획
(정답률: 72%)
  • 정답은 "공유수면매립계획"입니다. 이는 해양환경보전법에 따라 수립되는 계획으로, 해양환경을 보전하고 해양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역개발, 국토계획 등과 관련된 계획이지만, 공유수면매립계획은 해양환경보전과 관련된 계획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