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8-21)

자연생태복원기사(구)
(2016-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녹색식물 광합성 작용의 생화학적 공식은?

  1. H2O + CO2 + 일광에너지 → (CH3O)ₙ + O2
  2. H2O + CO2 + 일광에너지 → (CH3O)ₙ + O3
  3. H2O + CO2 + 일광에너지 → (CH2O)ₙ + O2
  4. H2O + CO2 + 일광에너지 → (CH2O)ₙ + O3
(정답률: 72%)
  • 녹색식물 광합성 작용에서, 물과 이산화탄소가 일광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합성 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산소와 당이 생성됩니다. 이 반응식은 "H2O + CO2 + 일광에너지 → (CH2O)ₙ + O2"입니다. 이 반응식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는 광에너지를 이용하여 당으로 합성되고, 산소는 방출됩니다. 이 반응은 광합성이라고 불리며, 이는 녹색식물이 에너지원으로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조류조사 방법은?

  1. 직접확인방법
  2. 선조사법
  3. 정점기록법
  4. 라이브트랩
(정답률: 56%)
  • 위 그림은 선조사법을 사용한 조류조사 방법을 보여줍니다. 선조사법은 조류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조류가 자주 이용하는 위치에 먹이나 물을 놓아두고, 그곳에 조류가 올 때마다 관찰하여 조류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먹이를 놓은 곳에 조류가 올 때마다 관찰하여 조류의 존재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조사대상지역 토양의 용적밀도는 1.2g/cm3이고, 입자밀도는 2.65g/cm3일 때 공극률은?

  1. 40%
  2. 45%
  3. 50%
  4. 55%
(정답률: 37%)
  • 공극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극률 = (1 - (용적밀도 / 입자밀도)) x 100

    따라서, 공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극률 = (1 - (1.2 / 2.65)) x 100
    = 0.547 x 100
    = 54.7 (약 55%)

    따라서, 정답은 "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보기] 설명의 ( )에 적당한 용어들은?

  1. ㉠ 추이대, ㉡ 종다양성 효과
  2. ㉠ 추이대, ㉡ 가장자리 효과
  3. ㉠ 모서리, ㉡ 가장자리 효과
  4. ㉠ 모서리, ㉡ 주연효과
(정답률: 71%)
  • 이미지에서 보이는 선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을 추이대라고 하며, 이것이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되는 것이 가장자리 효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 추이대, ㉡ 가장자리 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기 중에서 1차 오염물질이 광화학 반응에 의해서 생성시키는 2차 오염물질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케톤(ketone)
  2. 알데히드(aldehyde)
  3. 아세트산(acetic acid)
  4. 질산과산화아세틸(PAN)
(정답률: 67%)
  • 아세트산은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1차 오염물질이 아니라, 이미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인 질산과산화아세틸(PAN)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성분입니다. 따라서 아세트산은 2차 오염물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느 호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총 생산량은 1.7gc/m3/일이다. 오차 생산자에서 1차 소비자로 전달되는 에너지 효율이 10% 라면 I차 소비자로 전달된 생물량 (gc/m3/일)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7
  2. 0.75
  3. 0.17
  4. 0.075
(정답률: 25%)
  • 식물플랑크톤의 총 생산량은 1.7gc/m3/일이다. 이 중에서 10%만이 1차 소비자로 전달된다고 했으므로, 1.7 x 0.1 = 0.17gc/m3/일이 1차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이어서 1차 소비자 중에서도 10%만이 2차 소비자로 전달되므로, 0.17 x 0.1 = 0.017gc/m3/일이 2차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2차 소비자 중에서도 10%만이 3차 소비자로 전달되므로, 0.017 x 0.1 = 0.0017gc/m3/일이 3차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I차 소비자로 전달된 생물량은 0.17 x 0.1 x 0.1 = 0.0017gc/m3/일이다. 이 값을 소수점 아래 두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00이므로, 정답은 0.075이 아니라 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질소고정 박테리아는 질소의 순환과정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다음 중 질소고정 박테리아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1. Rhizobium
  2. Nitrobacter
  3. Nitrosomonas
  4. Micrococcus
(정답률: 67%)
  • Rhizobium은 뿌리균주라고도 불리며, 주로 녹맥과 같은 콩과 식물과 공생하여 질소고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질소고정 박테리아로 널리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서식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식처의 중요 구성요소는 먹이, 은신처, 물, 공간 등이다.
  2. James H. Shaw는 은신처가 서식처의 가장 분명한 구성요소로 보았다.
  3. 서식처 조사의 일반적인 과정은 대상지역 선정, 서식처 유형 분류, 서식처 유형별 조사, 서식처 유형의 도면화 등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4. 서식처 예비판정이라 함은 현지에 나가기 전에 실내에서 지형도 등을 이용하여 서식처의 유형을 판정 하는 것이다.
(정답률: 54%)
  • "James H. Shaw는 은신처가 서식처의 가장 분명한 구성요소로 보았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James H. Shaw는 동물들이 생존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위험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은신처는 서식처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DDT의 환경생태학적 영향이 아닌 것은?

  1. 생물학적 농축 능력을 가진다.
  2. 지방이나 지질에 높은 용해도룔 가진다.
  3.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은 사용하지 않는다.
  4. 먹이사슬의 하위단계 생물에서 고농축 된다.
(정답률: 71%)
  • DDT는 지방이나 지질에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어서, 먹이사슬을 통해 상위 생물로 올라갈수록 농축되기 때문에 먹이사슬의 하위단계 생물에서 고농축 됩니다. 이는 DDT가 생물학적 농축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선진국은 DDT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도 이러한 환경생태학적 영향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화분 매개충이 아닌 것은?

  1. 나비
  2. 매미
  3. 꿀벌
  4. 꽃등에
(정답률: 78%)
  • 매미는 화분에서 생활하지 않고 대부분 땅속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화분 매개충이 아닙니다. 나비, 꿀벌, 꽃등에는 화분에서 꽃가루 수집이나 꽃의 꿀을 먹기 위해 화분을 방문하는 매개충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개체군(population)의 출생률과 사망률 모두에 특히 영향을 주는 중요한 개체군의 특징은?

  1. 연령 분포(age distribution)
  2. 수용 능력(carrying capacity)
  3. 생식 잠재력(reproductive potential)
  4. 환경 저항(environmental resistance)
(정답률: 53%)
  • 출생률과 사망률은 개체군 내에서 어떤 연령층에서 일어나는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연령 분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출생률이 높은 연령층이 많으면 전반적인 출생률이 높아지고, 사망률이 높은 연령층이 많으면 전반적인 사망률이 높아진다. 또한, 생식 잠재력이 높은 연령층이 많으면 출생률이 높아지고, 환경 저항이 높은 연령층이 많으면 사망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연령 분포는 출생률과 사망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물정화법(phytoremediation)의 처리원리 중 '식들에 의한 추출'에 의하여 중금속류를 처리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식물 종은?

  1. 해바라기
  2. 버드나무
  3. 포플러나무
  4. 수생 서양 가새풀
(정답률: 59%)
  • 해바라기는 중금속류를 흡수하여 뿌리와 줄기, 잎 등에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식물정화법에서 가장 대표적인 식물 종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능력은 해바라기의 뿌리 내부에 있는 휴먼산(humic acid)과 같은 유기산물이 중금속 이온을 흡착하여 이온의 이동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바라기는 뿌리 내부의 효소를 이용하여 중금속 이온을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무해화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서로 떨어져 있을 때에는 생장이 일어나지 못하나 특정한 두 종이 반드시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는?

  1. 상리공생
  2. 상조공생
  3. 편리공생
  4. 내부공생
(정답률: 79%)
  • "상리공생"은 서로 다른 두 종이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이 관계에서는 한 종이 다른 종의 생장을 돕거나 서로의 생존에 필요한 자원을 공유하는 등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생존과 번식에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관계는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환경호르몬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쉽게 분해된다.
  2. 잔류기간이 길다.
  3. 안정된 물질이다.
  4. 농축되는 특성을 갖는다.
(정답률: 77%)
  • 정답: "쉽게 분해된다."

    환경호르몬은 일반적으로 잔류기간이 길고 농축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환경호르몬이 쉽게 분해되지 않으며, 오랜 기간 동안 환경에 노출될 경우 인체나 동물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해양경관을 이루고 있는 대부분의 지역이 해안인데, 다음 설명에서 해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안은 육지, 대기, 바다가 만나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는 연안에 이루어진 좁고 긴 지대를 말한다.
  2. 해안은 육지와 해양환경의 전이대(transitional zone)로 습지, 갯벌, 사구 등 다양한 환경들이 있으 며, 이들은 서로 평형을 유지하며 완충지 역할을 한다.
  3. 해안지역은 지구에서 가장 평평한 부분 중 하나로 대륙사면이 끝나는 바깥쪽에 발달하며, 수온, 염분, 흐름의 변화가 적은 지역이다.
  4. 해안지역은 간척사업을 통하여 농업, 공업, 신도시, 위락시설 등의 건설로 급속히 변화되어, 생물 서식지 파괴가 일어나기도 하는 지역이다.
(정답률: 72%)
  • "해안지역은 수온, 염분, 흐름의 변화가 적은 지역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해안에서는 조류, 파도, 강류 등에 의해 수온, 염분, 흐름 등이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해안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연안(coas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안생태계는 육상식생을 포함한다.
  2. 육지와 해양 사이의 생태적 전이대이다.
  3. 연안은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 무관하다.
  4. 해양기후 변화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83%)
  • "연안은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 무관하다."가 틀린 것이다. 연안은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육지와 해양 사이의 생태적 전이대이다. 따라서 해안의 농경지 생태계와 연안 생태계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군집을 어떤 일정한 방향으로 영구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하는 비방향성 변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변동
  2. 진화
  3. 계절변화
  4. 교체변화
(정답률: 59%)
  • 진화는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하며, 이는 환경의 변화나 유전자의 변이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군집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비방향성 변화와는 구분됩니다. 반면, 변동, 계절변화, 교체변화는 모두 일시적이거나 불규칙한 변화를 의미하며, 군집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하는 비방향성 변화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삼림의 제거로 인하여 나타나는 환경 변화가 아닌 것은?

  1. 토양침식의 중가
  2. 서식지의 전환에 따른 종 다양성의 감소
  3. 탄소동화작용의 감소로 인한 지구온난화
  4. 영양염류 축적으로 인한 토양의 비옥도 중가
(정답률: 83%)
  • 영양염류는 농업에서 사용되는 비료나 축산물의 배설물 등에서 나오는 질소와 인이 토양에 과다하게 축적되면서, 이를 이용하는 식물들이 과도한 성장을 하게 되어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토양의 비옥도를 중가시키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삼림의 제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환경 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해안 염습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생식물이 살고 있다.
  2. 망그로브(mangrove)같은 염생식물은 비염분 토양에서 더 잘 자란다.
  3. 퉁퉁마디 같은 일부 염생식물은 사막식물과 같이 다육질이다.
  4. 토양의 염분농도가 높으면 식물은 충분한 물을 얻기가 어려워진다.
(정답률: 75%)
  • "망그로브(mangrove)같은 염생식물은 비염분 토양에서 더 잘 자란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망그로브와 같은 염생식물은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자란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염분 토양보다는 염분이 많은 토양에서 더 잘 자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서상 생물자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생태계의 구성요소이다.
  2.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포함한다.
  3. 코끼리떼, 옥수수밭, 물고기떼, 종자, 유전자는 생물자원에 포함된다.
  4. 실질적 혹은 잠재적으로 사용되거나 가치가 있는 유전자원 및 생물체이다.
(정답률: 64%)
  •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포함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협약서에서 정의한 바이며, 생태계의 구성요소이며, 코끼리떼, 옥수수밭, 물고기떼, 종자, 유전자 등이 생물자원에 포함된다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포함한다는 것은 사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지구상에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수많은 생물종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계획학

21. S.R. Arnstein(1969)은 시민의 영향력을 기준으로 참여수준을 3분류 8단계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가장 효율적인 단계의 시민참여는?

  1. 치료
  2. 회유, 상담
  3. 시민통제/자치
  4. 정보제공, 교육
(정답률: 69%)
  • 가장 효율적인 단계의 시민참여는 "시민통제/자치"이다. 이는 시민들이 직접적으로 의사결정과 실행에 참여하며, 자신들의 이익과 가치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참여 수준에 비해 더욱 높은 수준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요구하지만, 이를 통해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변화와 발전을 이룰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환경영향평가 등의 기본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획 또는 사업이 특정지역에 편중되는 누적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2. 보전과 개발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결과는 지역주민 및 의사결정권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평이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4. 대상이 되는 계획 또는 사업에 대하여 충분한 정보 제공 등을 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 등의 과정에 주민 등이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계획 또는 사업이 특정지역에 편중되는 누적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환경영향평가에서는 대상이 되는 계획 또는 사업이 특정지역에 편중되는 누적영향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이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보전과 개발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원칙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 상한액은? (단, 대통령령이 정하는 국방목적의 사업은 제외한다.)

  1. 50억
  2. 70억
  3. 100억
  4. 150억
(정답률: 54%)
  •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 상한액은 대통령령으로 정해지며, 2021년 7월 기준으로 50억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생태계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업 등이 부과금을 지불할 때 최대한 부담이 적도록 설정된 것입니다. 국방목적의 사업은 제외되므로, 이를 제외한 다른 사업에 대해서는 최대 50억원까지만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지피복지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제도의 일종으로 지구표면 지형지물의 형태를 일정한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동질의 특성을 지닌 구역을 color indexing한 후 지도의 형태로 표현한 공간정보 DB를 말함
  2. 해상도에 따라 대분류(해상도 100m급), 중분류(해상도 50m급), 세분류(해상도 20m급), 세세분류(해상도 5m급)의 4가지 위계를 가짐
  3. 지표면의 투수율(透水率)에 의한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비오톱 지도 작성에 의한 도시계획 등에 폭 넓게 활용
  4.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분류기준을 확정하여 1998년 환경부에서 최초로 남한지역에 대한 대분류 토지 피복도 구축
(정답률: 46%)
  • "해상도에 따라 대분류(해상도 100m급), 중분류(해상도 50m급), 세분류(해상도 20m급), 세세분류(해상도 5m급)의 4가지 위계를 가짐"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 설명은 올바르며, 토지피복지도는 지구표면의 지형지물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지도 형태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해상도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세세분류의 4가지 위계를 가지며, 지표면의 투수율에 따른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등에 활용됩니다. 1998년 환경부에서 최초로 남한지역에 대한 대분류 토지 피복도를 구축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환경부장관이 습지보호지역 중 습지의 훼손이 심화되었거나 심화될 우려가 있는 지역 또는 습지생태계의 보전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곳에 지정할 수 있는 지역은?

  1. 습지개선지역
  2. 습지복원지역
  3. 습지관리지역
  4. 습지복구지역
(정답률: 44%)
  • 환경부장관이 습지보호지역 중 습지의 훼손이 심화되었거나 심화될 우려가 있는 지역 또는 습지생태계의 보전상태가 불량한 지역 중 인위적인 관리 등을 통하여 개선할 가치가 있는 곳에 지정할 수 있는 지역은 "습지개선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습지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인위적인 관리와 개선을 통해 습지생태계를 회복시키는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1. 환경레짐
  2. 환경 가버넌스
  3. 억제모델
  4. 몬트리올 의정서
(정답률: 76%)
  • 위 그림은 환경 가버넌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환경 가버넌스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시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하여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 가버넌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국토환경보전계획의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환경 친화적 개발 유도ㆍ지원
  2.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
  3. 국토환경보전정책의 추진기반 강화
  4. 개발과 조화된 국토환경보전체계를 구축
(정답률: 44%)
  •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은 국토환경보전계획의 목표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이 환경 친화적 개발 유도ㆍ지원, 국토환경보전정책의 추진기반 강화, 개발과 조화된 국토환경보전체계를 구축하는 목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의 지정은 주로 자연환경의 보전을 위한 것으로, 개발과는 거리가 먼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생태도시건설을 위한 계획요소가 아닌 것은?

  1. 보행자 공간 네트워크화
  2. LPG, LNG 사용의 최소화 방안
  3. 오픈스페이스 확보를 위한 건물배치
  4.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사회 활동 및 도시관리 유지방안
(정답률: 69%)
  • LPG, LNG 사용의 최소화 방안은 생태도시건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에너지 사용 문제이기 때문에 생태도시건설을 위한 계획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도지역은?

  1. 산림지역
  2. 농림지역
  3. 녹지지역
  4. 자연환경보전지역
(정답률: 61%)
  • 이 지역은 주로 농업과 임업에 이용되는 지역으로, 농작물과 숲을 재배하고 관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농림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 또는 군의 관할 구역에 대하여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그 내용이 사회 경제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장기종합계획이며, 5년마다 관할 구역의 타당성 여부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이를 정비하는 계획은?

  1. 도시ㆍ군 기본계획
  2. 광역도시계획
  3. 도시ㆍ군 관리계획
  4. 지구단위 계획
(정답률: 58%)
  • 문제에서 설명하는 계획은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시 또는 군의 관할 구역에 대한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사회 경제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장기종합계획이며, 5년마다 관할 구역의 타당성 여부를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여 이를 정비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계획은 "도시ㆍ군 기본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야생동물의 이동 중 공간규모에 따른 이동통로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가장자리 규모
  2. 울타리 규모
  3. 경관모자이크 규모
  4. 광역적 규모
(정답률: 29%)
  • 가장자리 규모는 이동통로가 아니라 생태계의 경계선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동통로의 유형이 아니다. 가장자리 규모는 생태계 경계선에서 서식하는 동물들이 이동할 때 경계선을 따라 이동하거나, 경계선을 넘어 이동하는 등의 행동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야생동물이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서식지의 파괴
  2. 향토수종 확대
  3. 환경오염
  4. 과도한 이용
(정답률: 76%)
  • 향토수종 확대는 야생동물 멸종위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오히려 향토수종 확대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들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향토수종 확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 제도는 1971년 공해방지법의 공해사전대책 조항으로 시작하여, 1981년 환경보전법의 개정과 '환경영향평가서 작성등에 관한 규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1986년 환경보전법의 개정으로 이루어진 환경영향평가 제도상의 가장 큰 변화는?

  1. 정부사업뿐 아니라 공공단체, 정부 투자기관의 사업을 추가로 포함시켰다.
  2. 주민참여 제도가 도입되어 초안평가서와 최종평가서가 분리되었다.
  3. '관광단지'개발과 같은 민간부분의 개발사업이 추가되었다.
  4. 지역단위 개발사업에 대한 평가협의 업무를 지방환경청으로 위임하였다.
(정답률: 39%)
  • 1986년 환경보전법의 개정으로 이루어진 환경영향평가 제도상의 가장 큰 변화는 '관광단지'개발과 같은 민간부분의 개발사업이 추가되었다. 이는 이전에는 정부사업뿐 아니라 공공단체, 정부 투자기관의 사업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민간의 개발사업도 대상으로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원도시(Garden city)'의 개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공공급시설은 그 도시에서 자체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2. 도시 내의 토지를 도시개발에 이용하기 위하여 영구히 공유로 하였다.
  3. 공업시설은 배제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사전 차단하고, 전원의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4. 1902년 에베니저 하워드(Ebenezer Howard)가 도시와 전원의 공간적 기능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이상도시로 제시한 것이다.
(정답률: 38%)
  • "공업시설은 배제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사전 차단하고, 전원의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가 가장 거리가 먼 개념이다. 이유는 전원도시(Garden city)의 개념은 도시와 전원의 공간적 기능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이상도시로 제시된 것이며, 공공공급시설은 그 도시에서 자체로 해결하도록 하였고, 도시 내의 토지를 도시개발에 이용하기 위하여 영구히 공유로 하였다. 따라서, 전원도시(Garden city)의 개념에서는 환경오염을 사전 차단하고, 전원의 느낌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환경계획의 영역적 분류 중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과 가장 깊은 관련을 가진 분야는?

  1. 오염관리계획
  2. 환경자원관리계획
  3. 환경시설계획
  4. 생태건축계획
(정답률: 58%)
  •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은 자연 보호와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로, 환경자원관리계획은 자연 환경과 자원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한 계획이기 때문에 가장 깊은 관련을 가진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엔환경계획의 환경범주 중에서 인간환경 범주에 포함하지 않는 것은?

  1. 생물생산체계
  2. 평화안전 및 환경
  3. 환경교육과 공공인식
  4. 생물적 환경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정답률: 65%)
  • 인간환경 범주는 인간과 인간의 활동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생물적 환경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는 인간과 인간의 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생물학적인 환경을 나타내는 범주이므로 인간환경 범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생물지리지역의 구분 방법 및 특징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생물지역(bioregion) - 생물지리학적 접근단위의 최대단위
  2. 하부생물지역(subregion) - 생물지역의 바로 아래 단계이며, 경관지구의 상위 단계
  3. 경관지구(landscape district) - 유역과 산맥에 의해 구분되며 관찰자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4. 장소단위(place unit) - 지형, 동•식물 서식현황, 유역, 토지이용패턴을 중심으로 일차적으로 구분하며, 현지답사를 통하여 문화 및 생활양식을 추가로 고려하여 구분
(정답률: 45%)
  • 생물지역은 생물지리학적 접근단위의 최대단위이며, 하부생물지역은 생물지역의 바로 아래 단계입니다. 경관지구는 유역과 산맥에 의해 구분되며 관찰자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입니다. 따라서, 장소단위는 지형, 동•식물 서식현황, 유역, 토지이용패턴을 중심으로 일차적으로 구분하며, 현지답사를 통하여 문화 및 생활양식을 추가로 고려하여 구분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심의 광장녹지로부터 농촌, 자연지역에 이르는 생태네트워크의 시행방안에 있어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존 자생수목을 최대한 보전 활용
  2. 기존 녹지를 적극적으로 보전하고 최대한 계획에 활용
  3. 단지 중심부에 핵 소생물권 역할을 하는 중앙 녹지대를 조성
  4. 단지 내 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거점녹지와 점녹지를 분산 조성
(정답률: 59%)
  • 단지 내 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거점녹지와 점녹지를 분산 조성은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생태네트워크의 시행방안 중 하나로, 도심의 광장녹지와 농촌, 자연지역을 연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생물들이 이동하며 서식지를 확장하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연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한 '생태축'의 설명으로 ( )에 들어갈 단어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생태연결성, 다양성
  2. 생태연결성, 자립성
  3. 생물다양성, 안정성
  4. 생물다양성, 연속성
(정답률: 48%)
  • 생태축은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지정한 생태계의 보전 대상 지역을 말합니다. 이 때, 생태축은 생태연결성과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지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물다양성, 연속성"입니다. 생물다양성은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다양성을 의미하며, 연속성은 서로 다른 생태계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생태연결성과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생태축이 지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네스코(UNESCO)는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생물권 보전지역을 지정하고 있다.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곳은?

  1. 설악산
  2. 광릉숲
  3. 신안 다도해
  4. 지리산
(정답률: 44%)
  • 지리산은 UNESCO의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복원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원은 부정적인 힘의 영향을 역전시켜야 한다.
  2. 노천광산지역은 오염원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하고, 식생피복을 회복시킨다.
  3. 보호받는 지역을 중대시킬 필요가 있으며 보호받는 지역만으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
  4. 서식처의 상실과 분절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지역에 자연 또는 반지연 지역을 증대시킬 필요성이 있다.
(정답률: 55%)
  • "보호받는 지역을 중대시킬 필요가 있으며 보호받는 지역만으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보호받는 지역이 많을수록 생물의 서식지가 보존되고, 서식지가 보존될수록 생물의 다양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호받는 지역을 중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만으로도 장기적인 생물 다양성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입종이 자생 생태계 내에 침입•정착하는 생물학적 침입에 대한 저감 대책이 아닌 것은?

  1. 이입의 기회를 줄인다.
  2. 이입종이 정착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지 않도록 한다.
  3. 이미 생물학적 침입이 일어난 곳은 이입종을 물리적으로 제거한다.
  4. 생태적 지위에서 빈틈을 많이 만들어 준다.
(정답률: 72%)
  • 생태적 지위에서 빈틈을 많이 만들어 주는 것은 생물들이 서로 경쟁하고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입종이 이러한 균형을 깨뜨리고 생태계의 다른 생물들에게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입종이 생태적 지위에서 빈틈을 많이 만들어 주면 이입종의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입종의 기회를 줄이는 것과 이입종이 정착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생물학적 침입이 일어난 곳에서는 이입종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생태복원 식물의 식재설계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식재기능 충족성 → 식재기법 개념도 → 식물종 선정 → 식재설계
  2. 식재기능 충족성 → 식물종 선정 → 식재기법 개념도 → 식재설계
  3. 식물종 선정 → 식재기능 충족성 → 식재기법 개념도 → 식재설계
  4. 식물종 선정 → 식재기법 개념도 → 식재기능 충족성 → 식재설계
(정답률: 44%)
  • 생태복원 식물의 식재설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식재할 지역의 생태계 특성과 목적에 맞게 식재기능을 충족시키는 식물종을 선정합니다. 그 다음으로, 선택된 식물종에 적합한 식재기법 개념도를 작성합니다. 마지막으로, 작성된 식재기법 개념도를 기반으로 실제 식재설계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식재기능 충족성 → 식재기법 개념도 → 식물종 선정 → 식재설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발아력이 뛰어나고 초기성장이 왕성하며 균질한 종자를 대량 입수할 수 있어 절개사면의 녹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만으로 구성된 것은?

  1. 톨훼스큐, 위핑러브그래스, 원추리
  2. 쑥, 억새, 비수리
  3. 호장근, 사초과 식물, 갈대
  4. 억새, 곰취, 쇠별꽃
(정답률: 51%)
  • 쑥, 억새, 비수리는 발아력이 뛰어나고 초기성장이 왕성하며 균질한 종자를 대량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절개사면의 녹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징이 부족하거나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연형 하천복원 시 적용할 수 있는 다음의 저수로 호안공법 중 수층부에 적합한 것은?

  1. 돌심기 공법
  2. 녹색마대. 공법
  3. 욋가지덮기 공법
  4. 사석버드나무설단 공법
(정답률: 50%)
  • 사석버드나무설단 공법은 수층부에 적합한 저수로 호안공법입니다. 이는 하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수층부의 생태계를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석과 버드나무를 이용하여 수층부를 구성하고, 이를 설단으로 고정시켜 유입되는 토사와 광물질을 잡아냅니다. 이를 통해 하천의 수질 개선과 생태계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생태계 복원을 위한 재료선정 기준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자생수목 및 자생초화류의 사용
  2. 피복효과가 낮은 식물 위주로 사용
  3. 번식이 용이하고, 교육적 가치가 높은 식물 사용
  4. 식생이외의 재료는 가급적 자연재료를 사용
(정답률: 70%)
  • 피복효과가 낮은 식물은 생태계 복원에 있어서 유용하지 않습니다. 생태계 복원을 위해서는 식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생태계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복효과가 낮은 식물은 생태계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재료선정 기준에서는 피복효과가 높은 식물을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파종에 의해 훼손지에 식생을 도입할 때의 관련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재래종은 발아와 초기생장이 매우 빠르다.
  2. 황폐지나 패손지에 식생을 도입할 때에는 반드시 국내 재래종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검토한다.
  3. 부득이하게 외래초종을 사용할 때에는 재래초종에 비해 발아가 빠르고 우점하므로 포함 비율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4. 재래초종은 초기 발아가 다소 늦은 경우가 많지만 일단 성립되면 장기간의 생육이 가능하고 안정적 식생군락이 조성될 수 있다.
(정답률: 59%)
  • "재래종은 발아와 초기생장이 매우 빠르다." 인 이유는 지역적인 기후와 토양 조건에 적응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재래종은 해당 지역의 환경에 더욱 적합하게 발아와 성장할 수 있으며, 이는 식생을 도입할 때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추이대(ecotone)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종 다양성이 높다.
  2. 생태적으로 중요하다.
  3. 여러 개의 유사한 군집들로 이루어져 있다.
  4. 고지대 산림이 가장 대표적인 추이대 이다.
(정답률: 68%)
  • 고지대 산림이 가장 대표적인 추이대 이다. - 이 설명이 잘못되었다. 추이대는 서로 다른 두 생태계가 만나는 지점으로, 여러 개의 유사한 군집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 다양성이 높고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고지대 산림이 추이대 중 하나일 뿐이며, 다른 생태계와 만나는 지점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대표적인 추이대라고 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육성토양층의 기능 및 시공 시 주의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물의 지속적 생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하부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2. 토양의 종류와 토심은 식재플랜 및 건물 허용 적재하중과의 함수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3. 옥상녹화시스템의 최상부로 녹화시스템을 피복하는 기능을 한다.
  4. 옥상녹화시스템의 총중량을 좌우하는 부분으로 경량화가 요구되는 경우 일정한 토심의 확보를 위해 경량토양의 사용을 고려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식물의 지속적 생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하부시스템 중의 하나이다."입니다.

    육성토양층은 옥상녹화시스템에서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과 물을 공급하며, 뿌리가 자라는데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는 등 식물의 생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옥상녹화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하부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시공 시 주의사항으로는 토양의 종류와 토심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경량화가 요구되는 경우 경량토양의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옥상녹화시스템의 최상부로 녹화시스템을 피복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옥상녹화시스템의 외관을 꾸미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생태환경복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훼손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2. 조기녹화용 도입종자 위주로 시 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 절토비탈면에는 메마른 심토가 노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 산림표토를 별도로 채취하여 모아 두었다가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4. 훼손된 식물군락의 복원은 자연 스스로의 회복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연의 힘을 도와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60%)
  • "조기녹화용 도입종자 위주로 시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생태환경복원에서 적절한 종자의 선택과 식재 방법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조기녹화용 도입종자는 지역 특성에 적합한 종자로서 생태계의 회복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은?

  1. 배수층
  2. 토양여과층
  3. 육성토양층
  4. 식생층
(정답률: 71%)
  • 옥상녹화시스템은 비가 내리면 지붕 위의 토양층을 통해 물이 스며들어 가는데, 이때 육성토양층은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식물의 성장을 도와준다. 따라서 육성토양층은 옥상녹화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녹화식물 재료로서 덩굴식물이 압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녹화의 효과도 뛰어난 공간은?

  1. 옥상녹화
  2. 벽면녹화
  3. 사면녹화
  4. 생울타리
(정답률: 73%)
  • 벽면녹화는 덩굴식물이 벽면을 덮어서 녹화의 효과를 높여주는 공간입니다. 벽면녹화는 덩굴식물이 벽면을 덮어서 자연스러운 녹화 효과를 만들어주며, 벽면을 덮어서 열선을 차단해주어 건물 내부 온도를 낮춰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또한, 벽면녹화는 벽면을 보호해주는 역할도 하며, 도시 생태계를 유지하는데도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벽면녹화는 녹화식물 재료로서 매우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생물다양성의 종류로 분류되기 어려운 것은?

  1. 천이의 다양성
  2. 서식처의 다양성
  3. 유전자의 다양성
  4. 생몰종의 다양성
(정답률: 61%)
  • 천이의 다양성은 생물의 유전자가 변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다양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생물다양성과 달리 분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종 내에서도 천이의 다양성으로 인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 개체들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이의 다양성은 다른 생물다양성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토양수분의 유형 중 식물이 이용 가능한 유효수분은?

  1. 화합수
  2. 흡습수
  3. 모관수
  4. 중력수
(정답률: 69%)
  • 모관수는 식물이 뿌리를 통해 흡수할 수 있는 유효수분의 유형입니다. 모관은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식물은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관수는 식물이 성장하고 생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토양 내 수분포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분포텐셜은 물이 가지는 단위용적당 에너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단위는 J/m3로 나타낸다.
  2. 토양수분의 수분포텐셜보다 식물체 내(뿌리부분)의 수분포텐셜이 낮으면 토양수분이 식물뿌리에 흡수 되기 어렵다.
  3. 식물의 뿌리부분보다 잎의 수분포텐셜이 낮으면 수분은 뿌리부위에서 잎으로 이동하게 된다.
  4. 대기의 수분포텐셜이 잎의 수분포텐셜보다 낮으면 잎에서 대기중으로 수분이 이동하게 된다.
(정답률: 61%)
  • 정답은 "대기의 수분포텐셜이 잎의 수분포텐셜보다 낮으면 잎에서 대기중으로 수분이 이동하게 된다."이다.

    식물체 내(뿌리부분)의 수분포텐셜이 낮으면 토양수분이 식물뿌리에 흡수되기 어렵다는 것은 맞다. 이는 수분이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이동하려는 경향 때문이다. 따라서, 뿌리부분의 수분포텐셜이 높을수록 토양수분이 뿌리로 이동하게 된다.

    식물의 뿌리부분보다 잎의 수분포텐셜이 낮으면 수분은 뿌리부위에서 잎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것도 맞다. 이는 수분이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이동하려는 경향 때문이다. 따라서, 뿌리에서 흡수한 수분은 잎으로 이동하여 광합성에 이용된다.

    대기의 수분포텐셜이 잎의 수분포텐셜보다 낮으면 잎에서 대기중으로 수분이 이동하게 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이는 반대로, 대기의 수분포텐셜이 잎의 수분포텐셜보다 높을 때 잎에서 대기중으로 수분이 이동하게 된다. 이는 수분이 높은 에너지 상태에서 낮은 에너지 상태로 이동하려는 경향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가 건조할수록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고, 잎에서 대기중으로 이동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식물과 침식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본류의 뿌리는 토양표층에 고밀도로 분포하여 지표면에서의 빗물의 흐름에 의한 토양입자의 이탈이나 유실을 방지한다.
  2. 목본유의 뿌리는 대손지에 깊게 침투하고, 근계를 형성하여 비탈면의 안정에 효과적이다.
  3. 비탈면에서 초본류의 피복률과 침식량은 정비례한다.
  4. 초본류의 잎이나 줄기는 빗물의 충격력을 감소시켜 빗물에 의한 침식작용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66%)
  • "비탈면에서 초본류의 피복률과 침식량은 정비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식물의 피복률이 높을수록 침식량이 감소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식물이 지표면을 보호하고 토양 입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식생기반재(토양) 분석의 기초이론 중 물리성을 평가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염기치환용량
  2. 토성
  3. 토양의 밀도
  4. 토양온도
(정답률: 57%)
  • "염기치환용량"은 토양의 화학성분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물리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닙니다. 염기치환용량은 토양 내에 얼마나 많은 양의 양이온이 흡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염기치환용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생태적인 도시계획을 위하여 취하는 조치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토지이용에 대한 밀도를 단순화하여 많은 생물들이 공업화된 속에서 살아 갈 수 있도록 한다.
  2. 오픈스페이스를 연결하여 생물개체군의 고립화를 최소화 한다.
  3. 건축물들을 기능적으로 연결하여 건축물들이 생태계의 교란요소가 되지 않게 한다.
  4. 동일한 토지 이용이 지속적으로 되어온 공간은 우선적으로 보호하여 성숙된 생태계의 유지에 힘쓴다.
(정답률: 69%)
  • "토지이용에 대한 밀도를 단순화하여 많은 생물들이 공업화된 속에서 살아 갈 수 있도록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생태적인 도시계획에서는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토지이용에 대한 밀도를 단순화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적인 공간을 보존하고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하부연안대에서 육지에서 호수쪽을 향하여 분포하고 있는 수생식물의 순서로 적합한 것은?

  1. 부엽식물 침수식물 → 부수식물 → 추수(정수) 식물
  2. 부엽식물 → 침수식물 → 추수(정수)식물 → 부수식물
  3. 추수(정수)식물 → 침수식물 → 부엽식물ᅳ → 부수식물
  4. 추수(정수)식물 → 부엽식물 → 침수식물 → 부수식물
(정답률: 58%)
  • 하부연안대에서 호수쪽으로 갈수록 물의 깊이가 깊어지고, 빛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물속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빛에 따라서 구분됩니다. 빛이 많이 드는 얕은 곳에서는 추수(정수)식물이 자라고, 그 다음으로는 부엽식물, 침수식물, 부수식물 순으로 자라게 됩니다. 따라서, "추수(정수)식물 → 부엽식물 → 침수식물 → 부수식물"이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하천생태계의 복원에 있어서 다음이 설명하는 지역은?

  1. 여울
  2. 하상
  3. 배후습지
(정답률: 54%)
  • 배후습지는 하천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천생태계의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지역은 하천생태계의 복원에 적합한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경관생태학

61. 자연지역 구분에서 고려되어야 할 주요인자가 아닌 것은?

  1. 토양
  2. 지형
  3. 식생
  4. 물질순환
(정답률: 66%)
  • 자연지역 구분에서 고려되어야 할 주요인자는 토양, 지형, 식생이며, 물질순환은 이들 인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이므로 독립적인 인자로 고려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물질순환은 주요인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생태적 역동성 측면에서 자연보전지구 설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동질의 경관
  2. 멸종위기의 개체군
  3.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패치
  4. 개체군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패치 크기
(정답률: 40%)
  • 생태적 역동성은 생물군집이 유지되는데 필요한 생태학적인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유지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생태적 역동성을 고려하여 자연보전지구를 설정할 때는 개체군의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패치 크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개체군이 서로 교환할 수 있는 유전자의 양과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적당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경관조각의 형태적 특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굴곡
  2. 내부
  3. 둘레/면적의 비
  4. 야생동물의 종수
(정답률: 71%)
  • 경관조각의 형태적 특성과는 관계가 없는 것은 "야생동물의 종수"입니다. 경관조각의 형태적 특성은 굴곡, 내부, 둘레/면적의 비 등과 같은 조각의 형태와 구조적 특징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야생동물의 종수는 경관조각의 형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도시생태계를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녹지를 보전하고 인공화 된 녹지에 자연을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음 중 생태적인 도시계획 및 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자연보호구역의 설정
  2. 서식지의 다양성 유지
  3. 절대적 가치의 보전종 도입
  4. 자연과 경관에 대한 최소한의 침해
(정답률: 67%)
  • 정답: "자연과 경관에 대한 최소한의 침해"

    설명: 생태적인 도시계획 및 개발을 위한 지침은 도시생태계를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도 절대적 가치의 보전종 도입은 생태계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보기만이 생태적인 도시계획 및 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보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종 또는 개체군의 복원에 대한 [보기]의 설명에서 각각의 ( )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 SLOSS, ㉡ 방사(Reintroduction)
  2. ㉠ 비오톱(Biotope), ㉡ 포획번식(Captive Breeding)
  3. ㉠ 포획번식(Captive Breeding), ㉡ 방사(Reintroduction)
  4. ㉠ 메타개체군, ㉡ 이주(Translocation)
(정답률: 59%)
  • ㉠ 메타개체군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개체군을 말하며, 이주(Translocation)는 개체군을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 메타개체군, ㉡ 이주(Transloc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설명의 ( )에 해당하는 생태학적 용어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생태변이, 경쟁단계, 환경천이, 생태안정화
  2. 생태천이, 무식생상태, 경쟁단계, 극상상태
  3. 생태변이, 1차 천이, 경쟁단계, 2차 천이
  4. 생태천이, 경쟁단계, 극상상태, 생태안정화
(정답률: 73%)
  • 생태천이는 새로운 종이나 개체가 생태계에 도입되는 것을 말하며, 이로 인해 무식생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식생상태는 새로운 종이나 개체가 생태계에 도입되면서 기존의 종이나 개체들이 그것과 경쟁하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경쟁단계는 이러한 경쟁이 일어나는 단계를 말하며, 이후 극상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극상상태는 경쟁이 치열해져서 한 종이나 개체가 다른 종이나 개체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또는 둘 다 적어도 한 종이나 개체가 생태계에서 사라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경관생태학의 주요한 3대 연구 주제가 아닌 것은?

  1. 구조
  2. 속성
  3. 기능
  4. 변화
(정답률: 50%)
  • "속성"은 경관생태학에서 주요한 연구 주제가 아닙니다. 경관생태학은 지리학적 구조, 생물학적 기능, 그리고 환경 변화와 같은 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는 구조, 기능,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속성"은 이러한 요소들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개념이기 때문에 주요한 연구 주제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해안사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안사구는 신두리 사구로서 해안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2. 해안 사구는 사빈의 모래가 파랑과 바람의 작용에 의해 낮은 구름 모양으로 쌓여서 형성된 지형이다.
  3. 해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식생이나 동물상은 특별히 중요하지 않고 경관요소나 해수욕장 등으로의 가치가 뛰어나다.
  4. 해안사구는 대부분 경관이 양호한 구간에 많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개발하여 관광 및 위락시설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61%)
  • 해안사구는 파랑과 바람의 작용에 의해 사빈의 모래가 쌓여서 형성된 지형이다. 이 지형은 해안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도 하며, 경관요소나 해수욕장 등으로의 가치가 뛰어나다. 하지만 식생이나 동물상은 특별히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해안사구는 충분히 개발하여 관광 및 위락시설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훼손된 자연의 복원단계 중 복구(rehabili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연의 회복 능력에 전적으로 맡기는 것
  2. 훼손된 자연을 회복의 중간단계까지만 회복시키는 것
  3. 훼손된 자연의 구조와 기능을 교란되기 전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
  4. 훼손된 자연에 인위적으로 선발된 생물종이나 에너지, 물, 비료 등을 보충하는 것
(정답률: 46%)
  • 복구(rehabilitation)는 훼손된 자연을 회복의 중간단계까지만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훼손된 자연의 구조와 기능을 교란되기 전의 상태로 완전히 회복시키는 복원(restoration)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복구는 자연의 회복 능력에도 의존하지만, 인간의 개입과 보조를 받아 훼손된 자연을 최대한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도시경관생태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생태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적절한 지침이 아닌 것은?

  1. 도심에 적응하는 생물상율 고려한다.
  2. 토지 이용에 대한 밀도를 다양하게 한다.
  3. 생물다양성율 높이기 위해 특정 외래수종을 도입한다.
  4. 도시 내의 큰 숲은 가능하면 보전하여 보호구역을 만든다.
(정답률: 78%)
  • 정답: "생물다양성율 높이기 위해 특정 외래수종을 도입한다."

    설명: 외래종은 자연 생태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른 생물종들과 경쟁하며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적응한 원래의 생물종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우리나라 산촌의 경관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질ㆍ지형적 특성과 파랑에 의해 형성된 기암괴석의 절경과 자연암반에 발달한 기묘한 식생과 함께 독특한 지형이 창출한 경관이다.
  2. 최근 많은 지역의 산촌은 골프장, 도로 및 석산개발, 스키장 건설, 송전탑 둥 인간의 다양한 경제적 욕구에 따른 광범위한 개발행위로 그 경관구조가 변하고 있다.
  3. 화전경작은 전통적인 산지이용의 방법으로써 독특한인문ㆍ사회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산촌경관구조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4. 인간과 자연이 연결된 생태계로서 그 존재 양식은 지형, 기후, 수문, 토양 등 물리적 환경요인 뿐만 아니라 인문ㆍ사회적 환경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아왔다.
(정답률: 46%)
  • "지질ㆍ지형적 특성과 파랑에 의해 형성된 기암괴석의 절경과 자연암반에 발달한 기묘한 식생과 함께 독특한 지형이 창출한 경관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지형적인 특성과 자연적인 요소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독특한 경관을 설명한 것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산촌의 경관구조 변화와 인간의 영향, 전통적인 산지이용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역이 산림 인접지역으로 결정되었다. 환경영향평가 조사결과 산림 가장자리에 다양한 야생동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친화적인 계획수립을 위해 ,가장 적합한 저감 방안은?

  1. 주변의 다른 산림으로 야생동식물을 이전시켜 종의 감소를 줄이도록 한다.
  2. 택지개발지역과 신림지역에 장벽을 설치하여 야생동물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한다.
  3. 택지조성 시 택지개발지역 중심부에 인공습지를 조성 하여 사람과 야생동물의 만족도를 모두 높이도록 한다.
  4. 산림경계와 택지조성지역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어 계곡부에 연못을 설치하는 등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도록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산림경계와 택지조성지역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어 계곡부에 연못을 설치하는 등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도록 한다."입니다. 이유는 산림 가장자리에 서식하는 야생동식물들은 주변의 다른 산림으로 이전시키는 것이 어렵고, 택지개발지역과 신림지역에 장벽을 설치하여 야생동물의 이동을 차단하면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제한하게 됩니다. 또한, 인공습지를 조성하는 것은 사람과 야생동물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지만,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산림경계와 택지조성지역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어 계곡부에 연못을 설치하는 등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저감 방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경관생태(Landscape Ecology)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1. R.T.T Forman
  2. W. Haber
  3. Z. Naveh
  4. C. Troll
(정답률: 70%)
  • 경관생태학(Landscape Ecology)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Carl Troll입니다. Troll은 1939년에 "Landschaftsokologie"라는 책에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이 용어는 독일어로 "Landschaft"와 "Ökologie"의 합성어로, 지리학적 영역과 생태학적 영역을 결합한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 용어는 이후에 영어권에서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10m 이상의 선상에서 노루풀의 빈도를 조사한 결과 10cm 지점, 50cm 지점, 115cm 지점에서 출현하였다. 식물상 평가 중 접선법에 의하면 노루풀의 피도율은?

  1. 3%
  2. 10.5%
  3. 11.5%
  4. 17.5%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도시 비오톱 지도화의 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선택적 지도화 방법
  2. 포괄적 지도화 방법
  3. 객관적 지도화 방법
  4. 대표적 지도화 방법
(정답률: 59%)
  • 객관적 지도화 방법은 도시의 특정한 측면을 강조하거나 제외하지 않고, 가능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도시 비오톱 지도화의 방법으로 볼 수 없습니다. 대신, 선택적 지도화 방법, 포괄적 지도화 방법, 대표적 지도화 방법은 도시의 특정한 측면을 강조하거나 제외하여 지도를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경관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관을 이루는 기본단위인 경관요소는 패치, 매트릭스,코리더로 이루어져 있다.
  2. 보전의 중요성이 높은 종을 위해서 원형보다 굴곡이 많은 패치가 좋다.
  3. 매트릭스는 경관구조에서 패치와 코리더를 둘러싸고 있는 배경이 되는 경관요소를 말한다.
  4. 코리더는 서식처 기능, 이동통로 기능, 여과 기능, 종의 공급 및 수요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58%)
  • 보전의 중요성이 높은 종을 위해서 원형보다 굴곡이 많은 패치가 좋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패치의 구조가 보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맞지만, 굴곡이 많은 패치가 항상 보전에 유리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패치의 구조는 지형, 토양, 수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보전에 유리한 패치 구조는 그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보전의 중요성이 높은 종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환경과 생태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패치 구조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높은 경관다양성 (Landscape diversity)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은 요인은?

  1. 내부 종
  2. 전문먹이 종
  3. 가장자리 종
  4. 높은 종 풍부도
(정답률: 27%)
  • 가장자리 종은 경관다양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인입니다. 가장자리 종은 주로 경계 부근에서 서식하는 종으로, 경관다양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높은 경관다양성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요인은 가장자리 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메타개체군 이론에는 결여 되어 있으나 경관생태학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생물의 이동
  2. 가장자리 효과
  3. 패치의 질적인 변이
  4. 주변 환경의 질적인 변이
(정답률: 55%)
  • 메타개체군 이론은 생물군집의 크기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생물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서는 가장자리 효과, 패치의 질적인 변이, 주변 환경의 질적인 변이와 같은 경관생태학에서 발견되는 특징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생물의 이동"은 이론에서 결여되어 있습니다. 이는 생물의 이동이 생물군집의 크기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생물의 이동은 생물군집의 경계를 넘나드는 형태로 일어나기 때문에 메타개체군 이론에서는 고려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현대 사회에서 인간위주의 개발행위는 야생 동ㆍ식물의 서식처를 파괴하였다. 다음 중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큰 폭으로 감소한 야생 동ㆍ식물 서식처가 아닌 것은?

  1. 산림
  2. 나지
  3. 갯벌
  4. 농경지
(정답률: 50%)
  • 정답은 "나지"이다.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큰 폭으로 감소한 야생 동ㆍ식물 서식처는 산림, 갯벌, 농경지이다. 하지만 나지는 인간이 개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기 때문에 서식처가 감소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도시생태계의 생물은 자연생태계에서의 그것과 큰 차이를 나타낸다. 이는 도시 환경이 자연 환경과 큰 차이를 갖기 때문인데, 이러한 도시에서 생활하는 생물 군집으로 보기 힘든 것은?

  1. 공원과 정원의 조림 식생
  2. 도시화 이전에 존재했던 생물 군집의 일부
  3. 자연형 하천 주위에 형성된 저습지에 서식하는 보호종 군집
  4. 환경인자의 조합과 톡별한 도시유입의 결과로서 도시에만 나타나는 생물군집
(정답률: 53%)
  • 도시 환경은 인간의 거주와 생활을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된 환경이기 때문에, 자연 환경과는 매우 다릅니다. 따라서 도시 환경에서 생활하는 생물 군집은 자연 환경에서의 생물 군집과 큰 차이를 보입니다. 그러나 자연형 하천 주위에 형성된 저습지는 도시 환경에서도 자연적인 환경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종 군집이 서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형 하천 주위에 형성된 저습지에 서식하는 보호종 군집"이 도시에서 생활하는 생물 군집으로 보기 힘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습지보전법상 "연안습지"의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습지수면으로부터 수심 10m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2. 광합성이 가능한 수심(조류의 번식에 한한다.)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3. 만조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재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4. 지하수위가 높고 다습한 곳으로서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면 내에서 광합성이 가능한 수심 지역까지를 말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만조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재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입니다. 이유는 연안습지는 해안과 바다 사이에 위치하며, 조수, 갯벌, 해안습지 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그 중 연안습지는 만조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재선까지의 지역을 말합니다. 이는 연안습지의 수위와 지면의 경계를 기준으로 정의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자연공원법규상 공원관리청이 규정에 의해 징수하는 점용료 또는 사용료 요율기준 중 “토지의 개간”의 기준요율은?

  1.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5 이상
  2.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15 이상
  3.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 이상
  4.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50 이상
(정답률: 59%)
  • 공원관리청이 토지의 개간에 대해 징수하는 요율은 해당 토지에서 예상되는 수확예상액의 일정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개간된 토지는 농작물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토지로서 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확예상액의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토지의 가치가 높아지므로, 공원관리청이 징수하는 요율도 높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확예상액의 100분의 25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집 및 수생태계 기준 중 하천의 사람의 건강보호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단위는 mg/L 이다.)

  1. 납(Pb) : 0.02 이하
  2. 사염화탄소 : 0.004 이하
  3. 음이온계면활성제(ABS) : 0.5 이하
  4.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 : 0.04 이하
(정답률: 49%)
  • 답: "납(Pb) : 0.02 이하"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하천은 수생태계의 중요한 자원이며, 사람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하천의 수질은 사람의 건강보호를 위해 규제되고 있다. 하지만 납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서, 일정 농도 이상으로 노출되면 신경계, 혈액, 심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납의 농도는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집 및 수생태계 기준"에서는 납의 농도가 0.02mg/L 이하이면 허용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는 인체에 유해한 농도보다 높은 수치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상 환경부장관이 특정도서를 지정하거나 해제ㆍ변경한 경우에 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하는 기간(기준)은?

  1.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 부터 15일 이내
  2.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 부터 30일 이내
  3.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 부터 60일 이내
  4.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 부터 90일 이내
(정답률: 63%)
  • 환경부장관이 특정도서를 지정하거나 해제ㆍ변경한 경우에는 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합니다. 이때, 고시해야 하는 기간(기준)은 "지정일 또는 해제ㆍ변경일 부터 30일 이내"입니다. 이는 지정 또는 해제ㆍ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15일 이내로는 충분한 시간이 아니며, 60일 이내나 90일 이내로는 고시가 늦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30일 이내로 고시하는 것이 적절한 기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습지보전기초계획 및 기본계획의 수립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해양수산부장관은 연안습지와 관련된 습지보호지역 등의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을 수립ㆍ시행한다.
  3. 환경부장관ㆍ해양수산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5년마다 습지의 생태계현황 및 오염현황과 습지주변 영향지역의 토지이용실태 등 습지의 사회ㆍ경제적 현황에 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습지보전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 소속하에 국가습지심의 위원회를 두며, 위원장은 환경부장관이 되고, 위원회는 위원장 1인과 부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62%)
  • "습지보전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 소속하에 국가습지심의 위원회를 두며, 위원장은 환경부장관이 되고, 위원회는 위원장 1인과 부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습지보전법 제9조에 따르면 국가습지심의위원회의 위원장은 환경부장관이 아니라 국가습지심의위원회에서 위원 중에서 선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생물자원 보전시설을 등록한 자가 시설 및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등록이 취소된 경우, 취소된 날부터 며칠 이내에 그 등록증을 환경부장관 둥에게 반납 하여야 하는가?

  1. 3일 이내에
  2. 5일 이내에
  3. 7일 이내에
  4. 15일 이내에
(정답률: 64%)
  • 7일 이내에 등록증을 반납해야 하는 이유는 해당 시설이 생물자원 보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등록이 취소된 경우, 보호 및 관리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 등이 부족하여 생물자원에 대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취소된 날로부터 빠른 시일 내에 등록증을 반납하여 보호 및 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이산화질소(NO2)의 1시간 평균치 대기환경기준은?

  1. 0.05ppm 이하
  2. 0.06ppm 이하
  3. 0.10ppm 이하
  4. 0.15ppm 이하
(정답률: 44%)
  • 이산화질소(NO2)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제한하기 위해 대기환경기준이 설정되었습니다. 이산화질소(NO2)의 1시간 평균치 대기환경기준은 0.10ppm 이하입니다. 이는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는 경우 인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자연환경 보전법규상 생태통로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태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폭을 좁게 설치하여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동물들이 순식간에 빠른 속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2.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동물들이 통로에 접근할 때 불안감을 느끼지 아니하도록 생태통로 입구와 출구에는 원칙적으로 현지에 자생하는 종을 식수하며, 토양 역시 가능한 한 공사 중 발생한 절토를 사용한다.
  3. 동물이 많이 횡단하는 지점에 동물들이 많이 출현 하는 곳임을 알려 속도를 줄이거나 주의하도록 그 지역의 대표적인 동물 모습이 담겨 있는 동물출현표 지판을 설치한다.
  4. 생태통로 중 수계에 설치된 박스형 암거는 물을 싫어하는 동물도 이동할 수 있도록 양쪽에 선반형 또는 계단형의 구조물을 설치하며, 작은 배수로나 도랑을 설치한다.
(정답률: 75%)
  • 생태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폭을 좁게 설치하여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동물들이 순식간에 빠른 속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생태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폭을 넓게 설치하여 동물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유는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동물들이 서로를 만나거나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자연환경보전법상 이 법에서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연생태"라 함은 자연환경적 측면에서 시각적ㆍ심미적인 가치를 가지는 지역ㆍ지형 및 이에 부속된 자연요소 또는 사물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자연의 경치를 말한다.
  2. "생물다양성"이라 함은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해양생태계를 제외한다)와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 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ㆍ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3. "생태축"이라 함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 서식공간을 말한다.
  4. "대체자연"이라 함은 기존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대체자연"이라 함은 기존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보완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이는 자연환경보전법에서 정의하는 용어 중에서는 아니기 때문이다.

    "자연생태"는 자연환경적 측면에서 시각적ㆍ심미적인 가치를 가지는 지역ㆍ지형 및 이에 부속된 자연요소 또는 사물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자연의 경치를 말한다.

    "생물다양성"이라 함은 육상생태계 및 수생생태계(해양생태계를 제외한다)와 이들의 복합 생태계를 포함하는 모든 원천에서 발생한 생 물체의 다양성을 말하며, 종내ㆍ종간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

    "생태축"이라 함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생태계 기능의 연속성을 위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 또는 생태적 기능의 유지가 필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적 서식공간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몇 년을 단위로 하여 수립하는가?

  1. 1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률: 72%)
  • 국토기본법상 국토종합계획은 20년을 단위로 하여 수립한다. 이는 국가의 장기적인 국토계획을 수립하고, 국토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간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1년, 5년, 10년 단위로는 국토의 장기적인 발전과 안정적인 관리를 위한 계획 수립이 어렵기 때문에 20년 단위로 수립하게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범
  2. 따오기
  3. 흰꼬리수리
  4. 죽백란
(정답률: 63%)
  • 따오기는 이미 멸종위기에 처한 종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는 따오기를 제외한 나머지 세 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생물자원의 분류ㆍ보전 등에 관한 관련 전문가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생물분류기사
  2. 「국가기술자격법」 에 의한 자연환경기사
  3.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해당 분야에서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4. 생물자원 관련 분야의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서 해당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정답률: 80%)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자연환경기사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야생생물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생물자원의 분류ㆍ보전 등에 관한 전문가로서 요구되는 자격 중 하나로 자연환경기사 자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생물자원 관련 분야에서 경력이나 학위를 취득한 사람들이지만, 자연환경기사 자격은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인정되는 기술자격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환경정책기본법상 규정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경오염"이 란 사업 활동 및 그 밖의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해양오염, 방사능오염, 소음ㆍ진동, 악취, 일조방해,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 등으로써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2. "환경훼손''이란 야생 동ㆍ식물의 남획 및 그 서식지의 파괴, 생태계질서의 교란, 자연경관의 훼손, 표토의 유실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의 본래적 기능에 중대한 손상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3. "환경용량"이란 일정한 지역 안에서 환경의 질을 유지하고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인간이 수용ㆍ정화 및 복원할 수 있는 한계를 말한다.
  4. "환경보전"이란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고 오염되거나 훼손된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쾌적한 환경의 상태를 유지ㆍ조성하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
(정답률: 71%)
  • 정답: 없음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제시하는 용어의 정의는 모두 옳은 것이다.

    "환경용량"이란 일정한 지역 안에서 인간이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의 한계를 말하는 것으로, 이를 넘어서면 환경오염이나 환경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환경정책을 수립하고 환경보전을 실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벌칙기준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년 이하의 징역, ②. 3배 이하
  2. ①. 1년 이하의 징역, ②. 10배 이하
  3. ①. 3년 이하의 징역, ②. 3배 이하
  4. ①. 3년 이하의 징역, ②. 10배 이하
(정답률: 60%)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국토의 이용에 관한 제한을 위반하거나 국토의 계획에 위배되는 행위를 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반복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배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3년 이하의 징역, ②. 3배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산지관리법상 산지전용ㆍ일시사용제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산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요 산줄기의 능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산지
  2. 송이버섯과 같은 중요한 임산물 생산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로서 산림청장이 정하는 산지
  3.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4. 명승지, 유적지, 그 밖에 역사적ㆍ문화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정답률: 60%)
  • 정답은 "명승지, 유적지, 그 밖에 역사적ㆍ문화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산지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아서 보존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산지는 대개 인간의 활동이 적은 자연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보존함으로써 자연경관과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산지는 관광지로서도 매우 중요하며, 지역 경제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산지는 산림청장이나 대통령령으로 지정하여 보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 법규상 개발제한구역의 경계선을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석의 규격 및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표석재료는 강화플라스틱(FRP), 표석의 색은 녹색으로 한다.
  2. 개발제한구역 글씨는 음각 후 압출마감(흑색) 하고, 번호(백색)는 도색마감으로 부착한다.
  3. 강화플라스틱과 콘크리트로 된 기초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4. 글자체 : 고딕체, 글자색 : 녹색(Pantone 370C), 흰색(White 100%), 검은색(Black 100%)으로 한다.
(정답률: 56%)
  • "표석재료는 강화플라스틱(FRP), 표석의 색은 녹색으로 한다."에서 틀린 것이다. 개발제한구역 표시에 사용되는 경계표석의 색은 녹색이 아니라, 흰색(White 100%)으로 한다. 이유는 경계표석이 주로 도로나 보도에 설치되는데, 녹색은 도로 표시에 사용되는 색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발제한구역 글씨는 음각 후 압출마감(흑색) 하고, 번호(백색)는 도색마감으로 부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농지법령상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의 농업경영기간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에 해당하는 기준은?

  1. 2년
  2. 3년
  3. 5년
  4. 8년
(정답률: 46%)
  • 농지법 제9조에 따르면,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할 수 있는 자는 농업경영기간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가능합니다. 이때, 대통령령 제정 시 고려되는 기준은 농지의 특성, 지역별 특성 등이 있습니다. 현재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기간은 8년입니다. 따라서, 이농당시의 소유농지를 계속하여 소유하려면 8년 이내에 농업경영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산지관리법상 공익용산지가 아닌 것은?

  1.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2.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른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산지
  3.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따른 법률에 따른 시험림의 산지
  4. 습지보전법에 따른 습지보호지역의 산지
(정답률: 65%)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따른 법률에 따른 시험림의 산지가 공익용산지가 아닌 이유는, 시험림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를 위해 일정 기간 동안 관리 및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지정된 산림지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림은 일반인이 쉽게 출입하여 즐길 수 있는 산지가 아니며, 공익용산지로 지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습지보전법령상 습지주변관리지역에서 규정에 의한 습지보호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가 환경부장관 둥에게 승인 또는 협의를 얻어야 하는 대상 행위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규정에 의한 매립
  2.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규정에 의한 점용ㆍ사용허가 대상 행위
  3. 농지법 규정에 의한 농지의 전용 허가 대상 행위
  4. 해양수산자원관리법에 의한 시설설치 허가 대상 행위
(정답률: 43%)
  • 습지보전법령상 습지주변관리지역에서 규정에 의한 습지보호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가 환경부장관에게 승인 또는 협의를 얻어야 하는 대상 행위는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규정에 의한 매립"과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규정에 의한 점용ㆍ사용허가 대상 행위", "농지법 규정에 의한 농지의 전용 허가 대상 행위"입니다. 이에 비해 "해양수산자원관리법에 의한 시설설치 허가 대상 행위"는 해양과 관련된 법령에 따른 것으로, 습지보전법령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습지보전법령상 습지주변관리지역에서 규정에 의한 습지보호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가 환경부장관에게 승인 또는 협의를 얻어야 하는 대상 행위에서는 "해양수산자원관리법에 의한 시설설치 허가 대상 행위"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지정과 관련한 지역에 관한 설명에 서 ( )에 알맞은 것은?

  1. 특별구역
  2. 완충구역
  3. 핵심구역
  4. 생태구역
(정답률: 76%)
  • 백두대간 보호지역은 특별구역, 완충구역, 핵심구역, 생태구역으로 구분되며, 핵심구역은 가장 중요한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입니다. 따라서, 백두대간 보호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이 핵심구역이며, 이 지역은 다른 구역보다 더욱 엄격한 보호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