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환경생태학개론
1. 군집 수준의 생물종 다양성을 결정짓는 두 가지 요소는?
2. 물이 깨끗하고 적은 개체수의 수서 생물이 살고 있는 호수에 인근지역의 가축분뇨와 생활하수 등이 유입되면서 호수 생태계가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 때 호수 영양상태의 경과된 변화는?
3. 연안대에 서식하는 식물의 종류를 잘못 설명한 것은?
4. 환경변화에 대한 생물체의 반응(response)이 아닌 것은?
5. 생물군집의 특성이 아닌 것은?
6. 부분순환호(meromictic lak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 두 가지 다른 생물의 관계에서 편리공생의 예로 가장 적합한 것은?
8. 다음이 설명하는 법칙은?
9. 다음 그림에서 편리공생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은?
10. 수질의 부영양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1. 산림쇠퇴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2. 밀도가 높은 수림대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3. 물질의 순환 중 질소순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4. 생태계의 포식상호작용에서 피식자가 포식자로부터 피식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 볼 수 없는 것은?
15. 질소고정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6. 시간에 따른 군집의 변화를 무엇이라 하는가?
17. 생태계 내의 질소순환(Nitrogen Cycle)에서 생산자들이 질소를 이용할 때의 형태는?
18. 생물의 사체나 배설물로부터 에너지 흐름이 시작되는 먹이사슬은?
19. 생태계의 생물적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생산자(producer)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0. 생태계에서 순환하는 물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과목: 환경계획학
21. 환경계획 및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2. 경관을 이루는 기본단위인 경관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3. 일정한 지역에서 환경의 질을 유지하고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에 대하여 환경이 스스로 수용ㆍ정화 및 복원 할 수 있는 한계를 말하는 것은?
24.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백두대간보호 지역 중 핵심구역에서 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닌 것은?
25. 녹지자연도의 등급별 토지이용 현황에 대한 연결로 틀린 것은?
26. 환경계획의 주요 개념과 이론이 아닌 것은?
27. 토지이용계획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28. SCOPE의 환경 지표세트 체계를 순자원역경지표, 종합오염지표, 생태계위험지표, 인간생활에의 영향지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생태계위험지표에 해당되는 것은? (단, SCOPE는 환경문제과학위원회(Scientific Committee on Problem of the Environment)이다.)
29. 성공적인 자연환경복원이 이루어지기 위한 생태계복원 원칙이 아닌 것은?
30. 1971년 유네스코가 설립한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에서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을 구분하는 세 가지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31. 생태도시 계획에 있어서 생태적 원칙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32.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기본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3. 지역 환경 생태계획의 생태적 단위를 큰 것부터 작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34. 생태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계획요소로서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35. 자연환경조사에 관한 설명의 A, B에 적합한 조사주기를 순서대로 작성한 것은?
36. 다음은 토양 분류에 따른 토지능력에 대한 특징이다. 몇 급지에 해당하는 토지인가?
37. 녹지네트워크의 구성요소를 점요소, 선요소, 면적요소로 구분할 때 면적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38. 환경친화적인 토지이용계획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특별시ㆍ광역시의 도시ㆍ군기본계획의 확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역에서 건폐율의 최대한도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생태복원공학
41. 어떤 하천의 수로(유심선)거리가 3km이며, 계곡거리가 1.3km일 경우 만곡도 지수(sinuosity index)와 하천의 종류가 맞게 짝지어진 것은?
42. 수질정화를 위한 습지의 조성은 3단계 시스템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물질의 유입 이후 3단게 시스템을 잘 나타낸 것은?
43. 생태복원을 위해 다져진 토량 18000m3를 성토할 때 운반토량(m3)은 얼마인가? (단, 토량변화율은 L은 1.25, C는 0.9이다.)
44. 녹화공사용 시공자재로서의 목재의 성질을 잘못 설명한 것은?
45. 비탈(면)식생재녹화공법 중 식물의 자연침입을 촉진하는 식생공법을 총칭하는 것은?
46. 매립지 복원공법 중 산흙 식재지반 조성 시 하부층이 사질토인 경우에 적용하는 기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7. 양단면적이 각각 60m2, 50m2이고, 두 단면간의 길이가 20m일 때의 평균단면적법에 의한 토사량(m3)은 얼마인가?
48. 곤충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49. 생태기반을 위한 경사면 식재충 조성을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0. 훼손지 비탈면에 사용되는 식물 줄 형태적으로 근계(根系) 신장이 좋은 식물이 아닌 것은?
51. 다음의 특성을 가진 잔디는?
52. 토양수분의 유형 중 식물이 주로 사용하는 수분은?
53. 야생동물의 이동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4. 도로 아래에 이미 설치된 수로박스와 수로관등의 암거수로를 이용하여 생태통로를 만들 때 어떤 보완시설의 설치가 필요한가?
55. 조류와 인간의 거리 중에서 사람이 접근하면 수십 cm에서 수m를 걸어 다니면서 사람과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고 하는 거리는?
56. 생태통로 조성 시 야생동물의 유인 및 이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57. 생태공원의 계획 과정과 그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58. 생태통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59. 토양의 불량요인에 따른 보완대책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0. 영양단위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대형포유류나 맹금류 등 서식에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고, 이 종을 지키면 많은 종의 생존이 확보된다고 생각되며 생태계 보전 및 복원의 목표가 되는 종군을 무엇이라 하는가?
4과목: 경관생태학
61. 토지(경관) 모자이크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2. 지역환경시스템의 경관계획에 있어서 그림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가장 우선되는 생태학적 필수 요소들이 4가지 있다. 이들 필수 요소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63. 가장자리 효과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64. 경관생태학에서 자연환경요소가 유기적인 수직관계를 가진 독특한 경관단위를 구성하고 자연 및 인공조건의 상호작용을 통해 경계를 형성하는 지역으로 정의하는 용어는?
65. 다음 습지생태계의 평가를 위한 모델 중 설명이 틀린 것은?
66. 원격탐사(Remote Sensing)를 환경문제에 응용할 때의 유리한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67. 인공경관 생태의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68. 트롤(Troll, C.)에 의한 최소의 경관개체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69. 토지 변형에 따른 경관 특성 변화와 관계가 먼 것은?
70. 등질지역과 결절지역을 개념적으로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은 등질지역이라 봐야하는지 결정지역이라 봐야하는지에 관해서는 종종 혼란이 있다. 이러한 혼란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구분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은?
71. 높은 하천차수를 갖는 하천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72. 산림녹지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73. 경관의 안정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4. 생태적 도시림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5. 인공갯벌의 조성목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76. 숲에 임도와 등산로가 많아지면 생태계의 종 다양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77. 식생에 의한 비탈면 보호공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8. 야생조류를 보호하기 위한 자연보호지구(National Nature Reserves)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9. 댐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80. 생태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적지 선정에 활용하는 GIS나 RS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용어에 대한 정의이다. ()안에 들어갈 세분한 용도지구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82.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을 포획ㆍ채취ㆍ훼손하거나 고사시킨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8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8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이산화질소의 대기환경기준(ppm)은? (단, 24시간 평균치)
85.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환경부장관은 국내에 서식하는 모든 생물종에 대하여 국가 생물종 목록을 구축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국가 생물종 목록 구축에 필요한 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6. 환경정책기본법령에 따른 환경기준에서 일반지역에 위치한 녹지지역 및 보전관리지역의 소음기준으로 적당한 것은?
87.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상 수렵면허시험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88.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를 작성하기 이한 지역 구분에서 1등급 권역에 해당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89. 다음은 자연공원법상 용어의 뜻이다. ()안에 적합한 것은?
9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각 용도지역별 용적률의 최대한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91. 습지보전법령상 명예습지생태안내인의 위촉기간은?
92.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수질 및 수생태계 기준 중 하천에서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단위는 mg/L이다.)
93.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특정도서 안에서 천재지변으로 인한 재해방재를 위해 건축물 증축 등 필요한 행위를 한 자는 행위종류 후 며칠 이내에 행위의 목적 또는 사유 등을 기재한 제한행위를 환경부장관에게 신고 또는 통보하여야 하는가?
94.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정의 중 틀린 것은?
95. 자연공원법상 공원자연보존지구 지정에 해당하는 곳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용도지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모두 열거한 것은?
97.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국가생물다양성 센터의 운영업무로 옳지 않은 것은?
98.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상 수렵장에서도 수렵이 제한되는 시간 및 장소로 옳지 않은 것은?
99. 자연환경보전법 시행령상 자연경관영향의 협의 대상이 되는 경계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일반기준임)
100. 습지보전법 제정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