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토양환경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양학개론

1. 토양에 존재하는 리그닌의 분해에 주로 참여하는 미생물 종류의 조합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사상균, 조류
  2. 조류, 효모
  3. 효모, 방선균
  4. 방선균, 사상균
(정답률: 알수없음)
  • 리그닌은 대부분의 미생물이 분해하지 못하는 화합물이지만, 방선균과 사상균은 이를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선균과 사상균의 조합이 리그닌 분해에 가장 적합한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하수오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흐름의 완만성
  2. 흐름방향의 모호성
  3. 원상복귀의 어려움
  4. 오염원의 확인용이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오염의 특징은 "흐름의 완만성", "흐름방향의 모호성", "원상복귀의 어려움"이다. 따라서, 오염원의 확인용이는 지하수오염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이는 지하수가 지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오염원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지하수의 흐름이 느리기 때문에 오염이 확산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토양 또는 암석(대수층)에서 중력에 의해 배출되는 수량과 암석의 부피의 비율로 정의되는 것은?

  1. 비양수율(specific capacity)
  2. 간극률(porosity)
  3. 비유출율(specific yield)
  4. 동수경사율(hydraulic gradient)
(정답률: 알수없음)
  • 비유출율은 토양 또는 암석 내부에 저장된 물 중에서 중력에 의해 배출되는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비유출율은 토양 또는 암석이 얼마나 빠르게 물을 배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비유출율은 지하수 자원 관리나 지하수 이용 계획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오염물질 중 LNAPL이 아닌 것은?

  1. 휘발유
  2. 이소프로필알코올
  3. 트리클로로에틸렌
  4. 톨루엔
(정답률: 알수없음)
  • LNAPL은 지하수와 같은 포집된 지하 환경에서 유출되는 경량 유류 오염물질을 말한다. 휘발유, 이소프로필알코올, 톨루엔은 모두 LNAPL에 해당하는 오염물질이지만, 트리클로로에틸렌은 DNAPL (Dense Non-Aqueous Phase Liquid)에 해당하는 오염물질이다. DNAPL은 LNAPL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 지하수 중 하부에 침전하여 더 큰 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 )안에 들어갈 중금속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카드뮴
  2. 비소
  3. 수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전지의 구성 요소인 카드뮴(Cd)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카드뮴은 중금속 중에서도 전기전도성이 높고, 부식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전지 등의 제조에 적합합니다. 비소(As), 납(Pb), 수은(Hg)도 중금속이지만, 전기전도성이나 부식에 대한 특성이 카드뮴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카드뮴이 가장 적당한 중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토양에서 질소의 순환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질산화작용에 의해 생성된 질산이온 또는 토양에 첨가된 질산이온은 토양에 흡착되어 이동성이 작은 양이온이 된다.
  2. 토양 유기물의 탈질반응은 PH 7.5 ~ 8.3범위의 약알칼리 조건을 필요로 한다.
  3. 유기물의 NO2-, NO3-로의 변환을 질소의 유기화 과정이라 한다.
  4. 표토부근의 토양내 존재하는 총질소의 90%이상이 유기질소 형태로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토부근의 토양내 존재하는 총질소의 90%이상이 유기질소 형태로 존재하는 이유는, 표토부근은 식물의 뿌리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식물의 뿌리가 떨어지거나 죽은 후 분해되는 유기물이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기물은 미생물의 분해작용을 통해 질소를 포함한 다양한 영양소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된 질소는 대부분 유기질소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표토부근의 토양내 존재하는 총질소의 90%이상이 유기질소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유소등 지하저장시설에 의한 토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주요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장탱크 및 배관 부식산화방지 기술
  2. 모니터링 기술
  3. 고형화/안정화 처리기술
  4. 생물활성대에 의한 처리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고형화/안정화 처리기술은 지하저장시설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고형화시켜 안정화시키는 기술로, 오염물질의 이동을 막아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기술들은 오염물질의 발생을 감시하거나 처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고형화/안정화 처리기술은 오염물질을 미리 예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토양오염은 오염물질의 특이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유기오염물질의 특성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압
  2. 용해도적
  3. 헨리상수
  4. 분해상수
(정답률: 알수없음)
  • 용해도적은 유기오염물질이 물에 용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인자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기오염물질의 증발성, 분해성, 용해도 등을 나타내는 특성인자이지만, 용해도적은 유기오염물질이 토양과 같은 물질에 용해되어 이동하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토양오염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해도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부식질(humic substances)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 중 중간 내지 고분자의 산성물질로서 무정형이며 색깔이 황갈색-흑갈색으로 부식질의 주요부분을 구성하는 것은?

  1. 부식탄(humin)
  2. 풀브산(fulvic acid)
  3. 히마토멜란산(hymatomelanic acid)
  4. 부식산(hum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부식질은 크게 부식산, 풀브산, 부식탄, 히마토멜란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부식산은 중간 내지 고분자의 산성물질로서 부식질의 주요부분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식산(humic aci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세계 토양목의 구분중 '히스토졸(Histosol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미발달 토양
  2. 유기질 늪지 토양
  3. 건조지역의 토양
  4. 화산재 토양
(정답률: 알수없음)
  • 히스토졸(Histosols)은 유기질 늪지 토양으로, 높은 수분과 적은 산소로 인해 유기물이 부패하지 않고 쌓이면서 형성된다. 이러한 토양은 대개 농업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토양의 수분 보존과 탄소 저장에는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떤 유기용제 50리터가 토양으로 유출되었다. 이로 인해 발생된 오염 지하수의 부피는 100m3이었고 지하수내 유기용제의 농도는 90mg/L이었다. 유기용제의 밀도가 0.9g/mL일 때 토양내 잔존하는 유기용제의 부피(리터)는? (단, 유기용제의 분해는 고려하지 않음)

  1. 25
  2. 30
  3. 35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유출된 유기용제의 양은 50리터이고 밀도가 0.9g/mL이므로 질량은 50리터 x 0.9g/mL = 45g이다. 이것이 지하수에 섞여 농도가 90mg/L이 되었으므로, 지하수의 부피는 45g / 90mg/L = 500L이다. 따라서 지하수와 토양에 있는 유기용제의 총 부피는 550L이고, 토양에 잔존하는 유기용제의 부피는 550L - 100L(지하수 부피) = 450L이다. 이것을 10으로 나누면 45가 되므로, 정답은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토양생성작용을 거의 받지 않은 모재층으로서 칼슘, 마그네슘 등의 탄산염이 교착상태로 쌓여 있거나 위에서 녹아 내려온 물질이 엉키어 쌓인 토양층위의 구성은?

  1. B층
  2. C층
  3. O층
  4. R층
(정답률: 알수없음)
  • 칼슘, 마그네슘 등의 탄산염이 교착상태로 쌓여 있거나 위에서 녹아 내려온 물질이 엉키어 쌓인 토양층위의 구성은 토양생성작용을 거의 받지 않은 모재층이다. 이러한 특징은 토양층의 상당 부분이 미분화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도 가장 미분화된 층이 C층이다. 따라서 정답은 "C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토양내 비소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내 성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칼슘
  2. 망간
  3. 알루미늄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은 토양내에서 비소와 경쟁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멀리 위치해 있기 때문에 비소의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망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1:1형 광물로서 카올리나이트(kaolinite)와 같은 Si층 사이에 물 분자층 하나가 끼어 있어 기저면 간격이 넓어져 있으며 이를 가열하면 물이 비가역적으로 빠져 나가는 것은?

  1.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2. 카올린(kaolin)
  3. 일라이트(illite)
  4. 사문석
(정답률: 알수없음)
  • 할로이사이트는 Si층 사이에 물 분자층이 끼어 있어 기저면 간격이 넓어져 있으며, 이를 가열하면 물이 비가역적으로 빠져나가는 1:1형 광물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할로이사이트"입니다. 카올린은 1:1형 광물이지만, Si층 사이에 물 분자층이 끼어 있지 않아 기저면 간격이 넓어지지 않습니다. 일라이트와 사문석은 2:1형 광물이므로 이 문제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토양의 형태론적 분류 체계(단위)중 가장 큰 것은?

  1. series
  2. family
  3. great group
  4. suborder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큰 것은 "suborder"이다. 이는 토양 분류 체계에서 가장 상위 단계 중 하나이며, 다른 단위들을 포함하는 큰 범주를 나타낸다. "Series"는 suborder보다 작은 단위이며, "family"와 "great group"은 suborder보다 큰 단위는 아니지만, suborder 내에서 더 작은 범주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흡습수 외부에 표면장력과 중력이 평형을 유지하여 존재하는 물로 pF 2.54‾4.5 사이의 수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단, 토양수분의 물리적인 분류 기준)

  1. 중력수
  2. 결합수
  3. 흡착결합수
  4. 모세관수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수분의 물리적인 분류 기준에서 pF 2.54‾4.5 사이의 수분은 모세관수에 해당합니다. 이는 흡습수가 외부에 표면장력과 중력이 평형을 유지하여 존재하는 물로, 모세관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양의 수분을 의미합니다. 모세관은 토양 내부의 작은 구멍으로, 이를 통해 물이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모세관수는 토양 내부의 물의 이동과 관련된 중요한 수분 상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수층의 특성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추적자 물질(tracer)의 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것
  2. 검출이 쉬운 것
  3. 지하수에 침전, 흡착, 분해가 되지 않을 것
  4. 독성이 없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것"은 대수층의 특성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추적자 물질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대수층이 대부분 지하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에 용해되지 않으면 대수층 내부로 흡수되지 못하고 추적자 물질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수층의 특성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추적자 물질은 물에 용해되어 쉽게 검출될 수 있어야 하며, 지하수에 침전, 흡착, 분해되지 않고 독성이 없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양생성작용중 laterite화 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주로 한냉 건조한 기후 조건 하에서 일어난다.
  2. 염기류나 규산이 용탈되고 철 및 알루미늄의 산화물이 잔류해서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과정을 말한다.
  3. SiO2/Al2O3 또는 SiO2/Fe2O3 의 비가 낮은 토양이 생성된다.
  4. 철과 알루미늄의 집적물이 표층에 누출되어 햇빛에 의해 경화된 것을 laterite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로 한냉 건조한 기후 조건 하에서 일어난다."가 틀린 이유는, laterite화 작용은 온대 및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건조한 기후 조건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주로"라는 단어가 문제가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축분뇨나 두엄 등이 지하수에 유입되어 이들 지하수를 음용할 경우 주로 어린아이들에게 청색증을 일으키는 물질은?

  1. 인산염
  2. 황산염
  3. 질산성질소
  4. 염화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성질소는 가축분뇨나 두엄 등에서 유입되는 물질 중 하나로, 지하수에 유입되어 이를 음용할 경우 청색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는 질산성질소가 미생물에 의해 질산염으로 분해되어 생성되는 질소산화물이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메톤헤모글로빈을 생성하고, 이로 인해 혈액이 청색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대수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피압대수층의 지하수를 자유면 지하수 또는 천층수라고 한다.
  2. 비피압대수층의 채수방법은 굴착정으로 한다.
  3. 피압대수층의 지하수는 수온과 수질의 계절적 변화가 작다.
  4. 피압대수층은 제1불투수층과 제2불투수층 사이의 대수층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피압대수층의 채수방법은 굴착정으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피압대수층은 지하수 압력이 없는 층으로, 굴착정으로 채수하기 어렵습니다. 대신에 보통 관정을 이용하여 채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흡광광도법에서 사용하는 흡수셀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유리제는 주로 근적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2. 유리제는 주로 가시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3. 석영제는 자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4. 플라스틱제는 근자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플라스틱제는 근자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이다. 이유는 플라스틱제는 근적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되며, 이는 유리제와 반대이다. 유리제는 주로 가시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되며, 석영제는 자외부 파장범위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토양의 pH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15분
  2. 30분
  3. 1시간
  4. 2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 pH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토양과 물을 섞어서 pH를 측정하는 용액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토양 입자와 물이 충분히 혼합되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며, 1시간이 적당한 시간입니다. 15분이나 30분은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2시간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비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양시료는 시료채취봉이 들어있는 타격식이나 나선형식의 토양시추 장비를 이용하여 채취한다. 이때 시료채취봉의 직경기준은? (단, 토양오염유발시설 지역 기준)

  1. 2.5 ㎝ 이상
  2. 2.0 ㎝ 이상
  3. 1.5 ㎝ 이상
  4. 1.0 ㎝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시료를 채취할 때는 시료채취봉을 사용하는데, 이때 시료채취봉의 직경이 작으면 토양층 내부의 미세한 입자들이 시료채취봉에 끼어서 정확한 시료채취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토양오염유발시설 지역에서는 미세입자의 존재 가능성이 높으므로 시료채취봉의 직경을 2.5㎝ 이상으로 설정하여 정확한 시료채취를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료의 채취 및 보관에 대한 설명이 부적합한 내용은? (단, 일반지역 )

  1. 표토층이라함은 0 ∼15 cm의 깊이를 말한다.
  2. 시료는 토양시료 채취기로 약 0.5 kg 채취한다.
  3. 수은과 같은 중금속 시험용 시료는 폴리에틸렌 봉지에 넣어 보관한다.
  4. 토양시료 채취기가 없을 때는 모종삽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토층이라함은 0 ∼15 cm의 깊이를 말한다."는 부적합한 내용이다. 일반적으로 표토층은 0 ~ 20cm의 깊이를 말한다.

    수은과 같은 중금속 시험용 시료는 폴리에틸렌 봉지에 넣어 보관하는 이유는 폴리에틸렌이 중금속의 흡착력이 낮아서 시료의 원래 농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에서 저장물질이 없는 지하매설저장 시설의 누출검사방법 중 가압시험법에서 누출여부의 판정기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안정된 압력 확인 후 3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2. 안정된 압력 확인 후 3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3. 안정된 압력 확인 후 5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4. 안정된 압력 확인 후 5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정답률: 알수없음)
  • 가압시험법에서는 저장시설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누출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안정된 압력을 확인하고,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어느 정도를 초과하면 누출로 판정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기준은 "안정된 압력 확인 후 5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이다. 이유는 50분이라는 더 긴 시간 동안 측정을 하기 때문에 누출 여부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10%라는 적절한 기준을 사용하여 누출 여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 )의 내용이 바르게 짝지어 진 것은?(단, 토양오염유발시설지역)

  1. ① : 30 - ② : 메틸알코올 - ③ : 10
  2. ① : 50 - ② : 메틸알코올 - ③ : 20
  3. ① : 50 - ② : 사염화탄소 - ③ : 10
  4. ① : 30 - ② : 사염화탄소 - ③ : 20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① : 30 - ② : 메틸알코올 - ③ : 10" 입니다.

    토양오염유발시설지역은 지하수 오염 우려가 있는 시설이 위치한 지역으로, 이 지역에서는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지하수 오염물질 배출량 제한이나 감시 등의 규제가 이루어집니다.

    이 중에서도 토양오염물질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은 유기용제로, 이 중에서도 메틸알코올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유기용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① : 30 - ② : 메틸알코올 - ③ : 10"이 가장 적절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에서 상온이라 함은 별도의 온도에 대한 표시가 없는 경우 몇 ℃ 범위를 말하는가?

  1. 1 ~ 35℃
  2. 15 ~ 25℃
  3. 4 ~ 15℃
  4. 20 ~ 30℃
(정답률: 알수없음)
  • 상온은 일반적으로 15 ~ 25℃ 범위를 말한다. 이는 대부분의 실험실이나 작업실 내부의 온도 범위이며, 이 범위에서 실험을 수행하면 일반적인 환경 조건에서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에서도 상온이라는 용어는 15 ~ 25℃ 범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분석에 사용되는 검출기중 인과 유황화합물을 선택적으로 분석하기에 적절한 검출기는?

  1. 열전도도 검출기(TCD)
  2. 불꽃이온화 검출기(FID)
  3. 전자포획형 검출기(ECD)
  4. 불꽃광도형 검출기(FPD)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과 유황화합물은 불꽃광도형 검출기(FPD)에서 선택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FPD가 유황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화합물을 형성하고, 이 화합물이 불꽃을 방출하면서 검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PD는 인과 유황화합물의 분석에 적합한 검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양오염공정시험법 중 비소시험법에서 시료에 염화제일주석을 넣는 이유는? (단, 원자흡광광도법 기준)

  1. 시료중의 비소를 3가비소로 환원
  2. 시료중의 비소를 6가비소로 산화
  3. 시료중의 비소를 비화수소로 환원
  4. 시료중의 비소를 비화수소로 산화
(정답률: 알수없음)
  • 비소는 원자흡광광도법에서 3가비소와 5가비소, 6가비소로 존재하며, 이 중 3가비소만 측정 가능합니다. 따라서 시료에 염화제일주석을 넣어 비소를 3가비소로 환원시켜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조제한 pH 표준액은 경질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병에 보관한다. 보통 산성 표준액은 몇 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하는가?

  1. 1개월
  2. 2개월
  3. 3개월
  4. 6개월
(정답률: 알수없음)
  • 산성 표준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pH 값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3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pH 표준액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1개월, 2개월, 6개월은 적절한 보관 기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저장물질이 있는 지하매설저장시설의 누출검사와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상부의 누출검사는 20℃에서 점도가 100cSt 미만, 내용적이 10,000L 미만의 액체를 저장하는 지하매설 저장시설에 적용한다.
  2. 기상부의 누출검사시 지하매설저장시설내의 기상부 높이는 400mm 이상이어야 한다.
  3. 기상부의 누출검사시 가솔린을 저장하는 시설에 있어서 기상부의 공간면적은 3,000L 이상이어야 한다.
  4. 액상부의 누출검사는 시설의 액량이 저장시설 높이의 60-90% 범위인 경우에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상부의 누출검사는 시설의 액량이 저장시설 높이의 60-90% 범위인 경우에 적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상부의 누출검사는 저장물질의 특성에 따라 적용 범위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20℃에서 점도가 100cSt 미만, 내용적이 10,000L 미만의 액체를 저장하는 지하매설 저장시설에 적용됩니다. 또한, 기상부의 높이는 400mm 이상이어야 하며, 가솔린을 저장하는 시설에 있어서는 기상부의 공간면적이 3,000L 이상이어야 합니다.

    액상부의 누출검사는 저장시설 높이의 60-90% 범위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저장물질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하매설저장시설의 누출시험에서 주의할 사항 중 옳지 않는 것은?(단, 저장물질이 없는 지하매설저장시설, 가압시험법)

  1. 시험기간 동안 화기의 사용을 금한다.
  2. 기상변화가 심할 때는 정도에 따라 보정하여 시험을 하여야 한다.
  3. 시험기간 동안 진동 등 압력변화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없도록 한다.
  4. 누출여부 판단을 위한 지하매설저장시설의 가압을 위해서 과도한 속도로 압력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상변화가 심할 때는 정도에 따라 보정하여 시험을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상변화가 심할 때는 시험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기상변화로 인해 시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시험을 하지 않거나, 압력 보정을 신중하게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원자흡광광도법 적용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명선(Responance line): 원자가 외부로부터 빛을 흡수했다가 다시 먼저 상태로 돌아갈 때 방사하는 스펙트럼선
  2. 다원료 불꽃(Fuel-rich Flame): 조연성 가스/가연성 가스의 비를 크게 한 불꽃
  3. 중공음극 램프(Hollow Cathode Lamp): 원자흡광분석의 광원이 되는 것으로 목적원소를 함유하는 중공 음극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저압의 네온과 함께 채운 방전관
  4. 분무기(Nebulizer or Atomizer): 시료를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주기 위하여 분무하는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다원료 불꽃(Fuel-rich Flame)은 조연성 가스/가연성 가스의 비를 크게 한 불꽃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미가압 시험법에 사용하는 압력계의 정밀도는? (단, 저장물질이 있는 지하매설저장시설, 기상부 시험법)

  1. 최소눈금이 1㎜H2O를 읽을 수 있는 압력계
  2. 최소눈금이 5㎜H2O를 읽을 수 있는 압력계
  3. 최소눈금이 10㎜H2O를 읽을 수 있는 압력계
  4. 최소눈금이 50㎜H2O를 읽을 수 있는 압력계
(정답률: 알수없음)
  • 미가압 시험법에서는 저장물질이 있는 지하매설저장시설이나 기상부 시험법에서 사용되는데, 이러한 시설에서는 압력의 변화가 매우 작기 때문에 정밀한 측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최소눈금이 작은 압력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최소눈금이 1㎜H2O를 읽을 수 있는 압력계는 다른 보기들보다 더 작은 압력 변화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소눈금이 1㎜H2O를 읽을 수 있는 압력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6가 크롬의 분석방법으로 적합치 않은 것은?

  1. 원자흡광광도법
  2. 흡광광도법
  3.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
  4. 이온전극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전극법은 크롬 분석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온전극법은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서,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크롬은 이온으로 존재하지 않고, 대부분의 경우 산화물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온전극법으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크롬 분석에는 원자흡광광도법, 흡광광도법,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 등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흡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카드뮴을 정량하려 한다. 정량과정에서 생성된 적색의 카드뮴 착염을 사염화탄소로 추출하여 적용하는 흡광도 측정파장은?

  1. 360nm
  2. 440nm
  3. 520nm
  4. 610nm
(정답률: 알수없음)
  • 카드뮴 착염은 적색을 띄므로, 적색을 흡수하는 파장을 사용해야 한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색에 가까운 파장인 520nm를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원자흡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카드뮴을 분석할 때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 파장은 228.8 nm 이다.
  2. 시안화칼륨이 존재하는 알칼리에서 디티죤과 반응 시킨다.
  3. 유효측정농도는 0.002㎍/g 이상으로 한다.
  4. 시료중에 알칼리금속의 할로겐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는 경우에는 분자흡수나 광산란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시료중에 알칼리금속의 할로겐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는 경우에는 분자흡수나 광산란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한다."이다.

    시안화칼륨은 카드뮴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카드뮴 시안화물을 형성하며, 이것이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측정되는 신호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디티죤과 시안화칼륨이 반응하여 카드뮴 시안화물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반응은 카드뮴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정시험방법에 제시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체의 농도는 표준상태( 0oC, 760mmH2O, 상대습도 0 % )로 환산 표시한다.
  2. 방울수라 함은 20 oC 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 ㎖가 되는 것을 뜻한다.
  3. 진공(감압)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한다.
  4.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이 틀린 것이다. 정확한 기준은 각각의 공정시험 방법마다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5%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진공(감압)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대기압에서의 압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대기압은 약 760mmH2O이므로, 15mmH2O는 대기압보다 매우 낮은 압력이며, 일반적인 실험실 환경에서 사용되는 범위 내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기준이 제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분함량 측정시 105∼110℃ 건조기 안에서의 토양 건조시간은? (단, 시료와 증발접시를 수용상에서 수분을 거의 날려보낸후 건조기 안에서의 건조시간 기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물이 완전히 증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시료와 증발접시를 수용상에서 수분을 거의 날려보낸 후 건조기 안에서의 건조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때, 건조기 안에서의 온도는 105∼110℃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조건에서 토양의 수분이 완전히 증발되기 위해서는 약 4시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기인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량화할 때 헥산으로 추출할 경우 메틸디메톤의 추출율이 낮아질 수 있는데 이때는 어떤 추출액을 사용해야 하는가?

  1.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의 15:85 혼합액을 사용한다.
  2.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의 85:15 혼합액을 사용한다.
  3. 클로로포름과 헥산의 15:85 혼합액을 사용한다.
  4. 클로로포름과 헥산의 85:15 혼합액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메틸디메톤은 극성이 높은 화합물이기 때문에, 극성이 낮은 헥산으로만 추출하면 추출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극성이 높은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면, 디클로로메탄의 극성이 메틸디메톤과 유사하기 때문에 추출율이 높아집니다. 이 중에서도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의 비율이 15:85인 혼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디클로로메탄이 독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토양증기추출기법(soil vapor extraction)의 효과,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헨리상수가 0.01 이상인 휘발성 오염물질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미세토양이나 수분함량이 높은 토양은 공기의 통과성을 저해하므로 증기압을 높여야 한다.
  3. 유기물함량이 높거나 매우 건조한 토양은 VOCs의 흡착능력이 낮아 제거효율이 높다.
  4. 중금속, PCBs의 정화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물함량이 높거나 매우 건조한 토양은 VOCs의 흡착능력이 낮아 제거효율이 높다."가 틀린 것이다. 유기물함량이 높거나 매우 건조한 토양은 VOCs의 흡착능력이 높아 제거효율이 낮아진다. 이는 토양 내 유기물이 VOCs를 흡착하여 제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물함량이 높거나 매우 건조한 토양에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타 토양복원기술과 비교하여 토양세척(soil washing) 공정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부지내에서 유해오염물의 이송 없이 바로 처리할 수 있다.
  2. 적용 가능한 오염물 종류의 범위가 넓다.
  3. 오염토양 부피의 단시간내의 효율적인 급감으로 2차 처리비용이 절감된다.
  4. 외부환경의 조건변화에 대한 영향이 적은 개방형 공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환경의 조건변화에 대한 영향이 적은 개방형 공정이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토양세척 공정은 외부환경의 조건변화에 민감하며, 비온 후에는 처리 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하저장창고로부터 디젤이 유출되어 토양이 오염되었다. 오염부지평가결과 오염누출지역의 토양밀도가 1.8 g/cm3, 오염농도가 4000 mg/kg, 오염범위가 10 m × 25 m × 3 m이라면 오염된 토양내 디젤의 양은?

  1. 1350 kg
  2. 5400 kg
  3. 6500 kg
  4. 8600 kg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된 토양의 부피는 10 m × 25 m × 3 m = 750 m3 이다. 이 부피의 토양 중 디젤이 차지하는 비율은 오염농도 4000 mg/kg 이므로 1 kg의 토양 중 4 g이 디젤이다. 따라서 750 m3의 토양 중 디젤의 양은 다음과 같다.

    750 m3 × 1.8 g/cm3 × 1000 kg/m3 × 0.004 = 5400 kg

    따라서 정답은 "5400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체봉합형태인 키드인슬러리월(keyed-in slurry wall)의 수평적 도식에 따른 장, 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오염물로부터 지하수흐름의 완전한 우회 가능
  2. 오염물질 누출의 최소화
  3. 비용이 많이 소요될 가능성이 있음
  4. 적용 가능한 폐기물의 범위가 한정됨
(정답률: 알수없음)
  • "적용 가능한 폐기물의 범위가 한정됨"은 장단점 중에서 키드인슬러리월의 단점이다. 이는 키드인슬러리월이 특정한 지반 조건에서만 적용 가능하며, 일부 폐기물에 대해서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토양 중에 있는 미량의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키드인슬러리월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황화나트륨(Na2S)을 활용한 오염토양의 불용화 처리 기술(화학적처리)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수용성 납화합물이 존재하는 오염토양에 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황화납을 생성시켰다.
  2. pH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조치한 후 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카드뮴화합물을 황화카드뮴으로 변환하였다.
  3. 황화나트륨이 강한 환원제 역할을 하므로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처리 하였다.
  4. 오염토양에 존재하는 수용성 수은화합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황화나트륨이 강한 환원제 역할을 하므로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처리 하였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황화나트륨은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키는 것이 아니라, 6가 크롬을 0가 크롬(크롬이온)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크롬(VI)를 크롬(III)로 환원시키는 것으로, 오염토양에서 크롬의 독성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양오염확산방지기술인 고형화와 안정화의 장점이라 볼 수 없는 내용은?

  1. 폐기물 표면적을 증가시켜 안정화속도를 빠르게 한다.
  2. 폐기물내 오염물질이 독성형태에서 비독성형태로 변형 된다.
  3. 폐기물의 용해성이 감소한다.
  4. 폐기물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 표면적을 증가시켜 안정화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고형화와 안정화의 장점이다. 이는 폐기물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산화나 생물학적 분해 등 안정화 과정을 더욱 빠르게 진행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고형화와 안정화의 중요한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1,1-trichloroethane (1,1,1-TCE)은 지중에서 분해되며, 반감기가 180일이다. 이 오염물질의 분해 반응속도가 1차 반응이라고 가정할 때, 초기 오염농도의 30%가 제거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1. 약 73 day
  2. 약 83 day
  3. 약 93 day
  4. 약 103 day
(정답률: 알수없음)
  • 1차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rate = k[C]

    여기서, k는 반응속도상수이고, [C]는 농도이다. 이 식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ln([C]t/[C]0) = -kt

    여기서, [C]t는 시간 t에서의 농도이고, [C]0는 초기 농도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C]t/[C]0 = e^(-kt)

    여기서, [C]t/[C]0는 초기 농도의 몇 %인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30%를 제거하려면 다음과 같은 식을 풀어야 한다.

    0.3 = e^(-kt)

    이를 풀면 다음과 같다.

    t = ln(1/0.3)/k

    반감기가 180일이므로, k는 다음과 같다.

    k = ln2/180

    따라서, t는 다음과 같다.

    t = ln(1/0.3)/(ln2/180) ≈ 93 day

    따라서, 정답은 "약 93 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토양증기추출법(SVE)과 bioventing(BV)을 상호 비교한 것이다.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SVE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2. 현장부지의 공기투과 계수는 두 기술 모두 1 x 10-4 cm/s 이상이면 적절한 수준이다.
  3. BV기술의 최적운전을 위해서는 포장용수량의 75% 정도의 토양수분이 함유되는 것이 좋다.
  4.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SVE는 주로 오염지역 외곽에 BV는 오염지역내에 추출정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SVE는 주로 오염지역 외곽에 BV는 오염지역내에 추출정을 설치한다." 설명이 잘못되었다. 오히려 SVE은 오염지역 내에 추출정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BV는 오염지역 내에 있는 공기를 통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SVE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독립영양미생물(화학합성 자가영양)의 탄소원-에너지원으로 알맞는 것은?

  1. 유기탄소-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
  2. 유기탄소-빛
  3. 이산화탄소-무기물의 산화환원반응
  4. 이산화탄소-빛
(정답률: 알수없음)
  • 독립영양미생물은 화학합성 자가영양을 하기 위해 탄소원과 에너지원이 필요합니다. 이산화탄소는 미생물이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무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산화탄소-무기물의 산화환원반응"입니다. 유기탄소는 미생물이 이용할 수 없는 탄소원이며, 빛은 에너지원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토양증기추출법의 적용시 배출가스 제어시스템(배출가스 정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활성탄 흡착법이다.
  2. 활성탄 흡착법은 보통 오염농도가 1,000 ppm 이상일 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배출되는 배가스의 습도가 상대습도로 50% 이상일 때는 사전에 습도를 낮추어준다.
  4. 유입가스의 온도가 130oF 이상일 때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냉각시켜줄 필요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탄 흡착법은 보통 오염농도가 1,000 ppm 이상일 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활성탄 흡착법은 오염농도가 낮을수록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오히려 반대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양세척기법(soil washing)이 가장 효과적인 토양종류는 어느 것인가?

  1. 점토가 주를 이루는 토양
  2. 모래와 자갈이 고루 섞인 토양
  3. 실트와 모래가 고루 섞인 토양
  4. 점토와 실트가 고루 섞인 토양
(정답률: 알수없음)
  • 모래와 자갈이 고루 섞인 토양은 입자 크기가 크고 다공성이 높아서 토양 내 오염물질이 흐르는 물과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토양세척기법에 가장 적합한 토양이다. 점토가 주를 이루는 토양이나 실트와 모래가 고루 섞인 토양은 입자 크기가 작고 다공성이 낮아서 오염물질 분리가 어렵고, 점토와 실트가 고루 섞인 토양은 입자 크기가 작고 다공성이 낮아서 물이 토양 내부로 스며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TCE (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오존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처리대상 지하수로 예비실험을 한 결과 1.4 mg/L-min의 오존으로 1시간 처리시 환경기준에 적합한 제거율을 보였다. 지하수 오염농도가 150 kg/L 이고 처리 해야할 지하수의 유량이 760 L/min일 경우 필요한 오존의 총 양은?

  1. 약 51 kg /day
  2. 약 92 kg/day
  3. 약 123 kg/day
  4. 약 136 kg/day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대상 지하수의 유량이 760 L/min 이므로, 1시간(60분)에 처리되는 지하수의 양은 760 x 60 = 45,600 L 이다.

    따라서, 1시간에 처리되는 TCE의 양은 45,600 L x 1.4 mg/L-min = 63,840 mg = 63.84 g 이다.

    150 kg/L의 TCE 농도에서 1 L의 지하수에 포함된 TCE의 양은 150 g 이므로, 1시간에 처리되는 지하수의 TCE 양은 45,600 L x 150 g/L = 6,840,000 g = 6,840 kg 이다.

    환경기준에 적합한 제거율을 보이기 위해서는 1시간에 처리되는 TCE 양과 같은 양의 오존이 필요하다. 따라서, 1시간에 필요한 오존의 양은 63.84 g 이다.

    하루(24시간)에 필요한 오존의 양은 63.84 g x 24 = 1,532.16 g = 1.53216 kg 이다.

    따라서, 약 92 kg/day의 답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오염토양 내에 인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토양 내에 존재하는 토착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시켜 생분해도를 극대화하여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기법은?

  1. 공기분사기법 (air sparging)
  2. 토양증기추출기법 (soil vapor extraction)
  3. 토양세척(Soil washing)
  4. 바이오벤팅기법 (bioventing)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오벤팅기법은 오염된 토양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토착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시켜 생분해도를 극대화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인위적인 화학처리나 물리적 처리 없이 자연적인 생물학적 작용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므로 환경친화적인 기술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식물정화법의 장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비용이 적게 든다.
  2. 다양한 오염물질에 적용 가능하다.
  3. 다른 방법에 비해 효과가 빠르다.
  4. 넓은 부지의 오염지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방법에 비해 효과가 빠르다는 것은 식물정화법이 다른 오염처리 방법에 비해 더 빠르게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식물정화능력이 높은 대표식물종을 가장 알맞게 묶은 것은?

  1. 소나무, 호두나무, 측백나무
  2. 소나무, 분비나무, 구상나무
  3. 포플러나무, 해바라기, 벼과 식물
  4. 쇄기풀, 떡갈나무, 굴피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포플러나무는 대기 중의 유해물질을 흡수하여 정화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해바라기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는 광합성 작용을 수행하며, 벼과 식물은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들을 함께 묶어 식물정화능력이 높은 대표식물종으로 선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오염토양의 열처리 기술중 열탈착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열탈착 기술로 처리하는 동안 생성되는 다이옥신류 및 푸란은 응축 회수가 가능하다.
  2. 열탈착 기술은 토양으로부터 검출한계 이하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가 가능하다.
  3. 열탈착 기술은 소각공정에 비하여 가스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된다.
  4. 열탈착 기술은 다양한 수분함량과 오염농도를 가진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탈착 기술로 처리하는 동안 생성되는 다이옥신류 및 푸란은 응축 회수가 가능하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열탈착 기술은 유기오염물질을 열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시키는 기술이기 때문에 다이옥신류 및 푸란과 같은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응축 회수가 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열탈착 기술은 토양으로부터 검출한계 이하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가 가능하며, 소각공정에 비하여 가스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며, 다양한 수분함량과 오염농도를 가진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형화/안정화된 폐기물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용출능 평가 시험법 중 주기적으로 용출액의 pH를 특정 최대산첨가량까지 맞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TCLP법과 유사한 것은?

  1. CLT 시험법
  2. MEP 시험법
  3. MWEP 시험법
  4. EP TOX 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EP TOX 시험법은 TCLP법과 유사하게 용출액의 독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이지만, TCLP법에서는 최대산첨가량까지 pH를 맞추는 반면 EP TOX 시험법에서는 pH를 조절하지 않고 용출액을 직접 생물학적인 독성 실험에 노출시켜 독성을 평가한다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EP TOX 시험법은 TCLP법과 비교하여 더 생물학적인 독성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실제 환경에서의 독성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동전기정화기법에서는 토양내에 전기를 가하게 되면 동전 기의 작용에 의하여 토양내의 오염수, 오염물질, 오염입자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적용되는 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전기삼투이론
  2. 전기이동이론
  3. 전기절연이론
  4. 전기영동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동전기정화기법에서는 전기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이동시키는데, 이때 전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전기절연이론이 적용된다. 전기절연이론은 전기가 특정한 물질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이론으로, 동전기정화기법에서는 전기가 오염물질을 제외한 다른 물질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전기절연체를 사용하여 적용된다. 따라서, "전기절연이론"이 가장 거리가 먼 이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바이오필터(biofilter)를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운전조건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충전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퇴비의 경우 30-55% 의 수분함량이 되도록 조절한다.
  2. 압력손실은 충전재의 생분해정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3. 미생물의 성장에 적합하도록 pH를 6-8정도의 범위로 유지시킨다.
  4. 바이오필터내에 배가스가 체류하는 시간은 퇴비의 경우 30초 이상 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손실은 충전재의 생분해정도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 이유: 충전재의 생분해 과정에서 미생물이 생산하는 생물학적 슬러지가 충전재 내부에 쌓이면서 충전재의 구멍 크기가 줄어들어 압력손실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의 토양복원기술 중 원위치(in-situ) 정화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2. 생분해법(Biodegradation)
  3. 유리화(Vitrification)
  4. 토지경작법(Landfarming)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경작법은 원위치(in-situ) 정화기술 중에서도 오염된 토양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지 않고 그 자리에서 처리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기술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토지경작법은 오염된 토양을 일정한 깊이로 파내어 토양 표면에 퍼놓은 후,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추가하여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처리가 가능하며, 자연적인 분해과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

61. 토양환경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 토양오염 유발시설의 주변지역까지 포함하여 평가할 수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주변지역의 범위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토양오염유발시설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100미터 안의 지역
  2. 토양오염유발시설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200미터 안의 지역
  3. 토양오염유발시설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250미터 안의 지역
  4. 토양오염유발시설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300미터 안의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오염유발시설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100미터 안의 지역이 적절한 범위 기준이다. 이는 토양오염유발시설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지하수나 지표면을 통해 확산되어 인접지역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는 토양환경평가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수집과 분석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는?

  1. 대통령
  2. 총리
  3. 환경부
  4. 건설교통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이 환경부에 대책 마련을 지시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석유류 저장시설
  2. 송유관 시설
  3. 유독물 저장시설
  4. 방사성물질 저장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성물질 저장시설은 다른 세 가지 시설과는 달리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른 시설들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방사성물질 저장시설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의 설치자는 토양오염방지를 위한 시설을 설치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반하여 토양 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한 경우, 벌칙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3년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6월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설치자는 토양오염방지를 위한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위반하여 설치하지 않았으므로, 행정처분 등으로 이를 시정하도록 명령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시장, 군수, 구청장은 특정 토양오염유발시설의 설치자가 토양오염방지설치를 하지 아니하거나 그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경우 또는 토양오염검사결과가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행기간을 정하여 그 시정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데, 최초(연장하기 전)로 정하여지는 이행 기간은 얼마인가?

  1. 1년 이내
  2. 2년 이내
  3. 3년 이내
  4. 5년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 군수, 구청장이 토양오염유발시설의 설치자에게 이행기간을 정하여 조치를 명할 수 있는 근거는 「토양환경보전법」 제26조이다. 이에 따르면, 최초로 이행기간을 정하여 명하는 경우에는 1년 이내로 정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1년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토양보전대책지역에서 실시하는 일반적인 오염토양개선 사업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단, 기타 시,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은 고려하지 않음)

  1. 오염물질의 흡수력이 강한 식물식재사업
  2. 오염된 수로의 준설사업
  3. 오염토양의 위생적 매립사업
  4. 오염토양의 열분해 등 정화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보전대책지역에서 실시하는 일반적인 오염토양개선 사업의 종류는 "오염물질의 흡수력이 강한 식물식재사업", "오염된 수로의 준설사업", "오염토양의 위생적 매립사업", "오염토양의 열분해 등 정화사업"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오염물질의 흡수력이 강한 식물식재사업"이다. 이유는 오염된 토양에서 식물을 심어 오염물질을 흡수하도록 하는 방법은 효과가 미미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반면에 "오염토양의 열분해 등 정화사업"은 오염된 토양을 열분해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효과가 높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지하수 개발桀이용준공신고서에 첨부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준공시설도
  2. 수질검사서
  3. 현장사진
  4. 시추주상도
(정답률: 알수없음)
  • 시추주상도는 지하수 개발 과정에서 시추한 위치와 깊이를 나타내는 도면이지만, 준공시설도, 수질검사서, 현장사진은 지하수 개발 후 시설물의 상태와 수질 등을 확인하기 위한 중요한 서류들이다. 따라서 시추주상도는 지하수 개발 준공신고서에 첨부할 서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의 토양오염도 검사주기로 알맞는 것은?(단, 토양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이며 저장시설 설치후 5년에서 15년까지의 기간중 )

  1. 매 1년에 1회
  2. 매 2년에 1회
  3. 매 3년에 1회
  4. 매 5년에 1회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토양오염유발시설에서 토양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 저장시설 설치 후 5년에서 15년까지의 기간 동안 토양오염도 검사를 매 2년에 1회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토양오염도가 빠르게 변화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검사 주기가 너무 길어지면 오염도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검사 주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수질검사 대상기준으로 알맞지 않는 지하수는?

  1. 청소용, 조경용, 공사용, 소방용 등 보건위생상 지장이 없는 용도로 이용하는 생활용수의 경우를 제외한 생활용수로서 1일 양수능력이 30톤 이상인 경우
  2. 공업용수로서 1일 양수능력이 30톤 이상인 경우
  3. 농업용수로서 1일 양수능력이 50톤 이상인 경우
  4. 어업용수로서 1일 양수능력이 100톤 이상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농업용수로서 1일 양수능력이 50톤 이상인 경우"는 수질검사 대상기준으로 알맞은 지하수입니다. 이유는 농업용수는 식물의 생장과 생산에 직접 사용되는 물이기 때문에 수질이 깨끗하고 안전해야 합니다. 따라서 농업용수의 수질검사 대상기준이 다른 용도의 수질검사 대상기준보다 더 엄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나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은? (단위: mg/kg) (단, 나지역은 지적법에 의한 지목이 공장용지, 도로 철도용지 및 잡종지 )

  1. 8
  2. 40
  3. 2000
  4. 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석유계총탄화수소(TPH)는 주로 석유 제품의 누출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토양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에 따라 TPH의 나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은 TPH 농도가 2000mg/kg 이하인 것으로 정해졌습니다. 이 기준은 공장용지, 도로 철도용지 및 잡종지 등 나지역에서 발생하는 TPH 오염물질의 농도를 제한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지하수 개발ㆍ이용자의 수질검사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질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시장ㆍ군수에게 수질검사를 신청하여야 한다.
  2. 수질검사 신청을 접수한 때에는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채취기간을 정하여 시료채취 실시 3일전까지 검사를 받을 자에게 이를 통보하여야 한다.
  3. 시료채취를 한 후 시료를 봉인하여 수질검사 신청인에게 인계하여야 한다.
  4. 시료를 인계받은 후 24시간 이내에 수질검사전문기관에 검사를 의뢰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질검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시장ㆍ군수에게 수질검사를 신청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지하수 개발ㆍ이용자는 수질검사를 받고자 할 경우, 해당 지역의 수질검사전문기관에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시료를 인계받은 후 24시간 이내에 수질검사전문기관에 검사를 의뢰하는 이유는 시료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변질되거나 오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료를 빠르게 검사전문기관에 전달하여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오염토양개선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실시의 명을 받은 오염원인자가 실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의 법적 처벌기준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함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함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함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함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토양개선사업은 환경보전법에 근거하여 시행되는데, 이 법은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따라서 오염토양개선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실시의 명을 받은 오염원인자가 이행하지 않으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적 처벌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오염원인자가 실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적법에 의한 지목이 과수원용지로 분류되는 토양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항목은?

  1. TCE
  2. BTEX
  3. TPH
  4. PC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CE"입니다. TCE는 산업용 솔벤트로 많이 사용되며, 지하수나 토양에 유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토양오염우려기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BTEX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TPH는 석유 유래 유기화합물, PCB는 폴리클로리네이티드 비페닐로 이들은 모두 토양오염우려기준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TCE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토양오염조사기관의 지정을 받을 수 없는 것은?

  1. 국ㆍ공립 연구기관
  2.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
  3.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특수법인
  4. 환경부장관의 설립허가를 받은 영리법인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의 설립허가를 받은 영리법인은 토양오염조사기관의 지정을 받을 수 없는 것이다. 이는 토양오염조사기관은 비영리법인으로서, 환경보전법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지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리법인은 토양오염조사기관으로 지정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토양관련전문기관(토양오염조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장비가 아닌 것은?

  1. 전기비저항탐사기
  2. 초음파추출장치
  3. 원자흡광광도계
  4. 자가동력시추기(타격식이나 나선형식으로 시추깊이가 최소 6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비저항탐사기는 지하수나 지하층의 두께, 저수지의 깊이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지만, 토양오염조사에는 직접적으로 필요한 장비는 아닙니다. 따라서 토양관련전문기관(토양오염조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장비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중 TPH 항목만으로 토양오염검사를 할 수 있는 석유류 제조 및 저장시설은?

  1. 경유 저장시설
  2. 납사 저장시설
  3. 휘발유 저장시설
  4. 에틸벤젠 저장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TPH는 Total Petroleum Hydrocarbons의 약자로, 석유류 전체를 대표하는 항목이다. 따라서, 경유 저장시설은 경유를 저장하는 시설이므로 TPH 항목만으로 토양오염검사를 할 수 있다. 납사 저장시설, 휘발유 저장시설, 에틸벤젠 저장시설은 TPH 이외에도 다른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TPH 항목만으로는 충분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환경부장관 또는 시장ㆍ군수는 지하수수질검사결과 수질 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수질개선 등 조치를 명할 수 있는데 다음 중 조치명령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하수의 정수처리
  2. 지하수 개발ㆍ이용시설의 보완
  3. 지하수의 운송ㆍ저장ㆍ처리방식의 변경
  4. 지하수오염관측정의 설치 및 정기적인 수질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의 운송ㆍ저장ㆍ처리방식의 변경"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조치명령 사항들은 이미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거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들이지만, "지하수의 운송ㆍ저장ㆍ처리방식의 변경"은 지하수가 오염되기 전에 예방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조치이기 때문입니다. 이 조치는 지하수의 이용과 관리 방식을 개선하여 오염의 위험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지하수를 저장하는 탱크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지하수를 처리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오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토양오염물질 항목이 아닌 것은?

  1. 니켈 및 그 화합물
  2. 유류(동, 식물성 제외)
  3. 망간 및 그 화합물
  4. 시안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은 토양오염물질로 분류되지만, 그 화합물은 토양오염물질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망간 및 그 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특정토양오염시설의 설치자는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토양오염검사의 결과를 얼마 동안 보존하여야 하는가?

  1. 2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토양오염시설의 설치자는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토양오염검사의 결과를 5년 동안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는 환경부의 '토양환경보전법 시행령' 제18조에 따라 정해진 기간으로, 토양오염시설의 설치자는 이 기간 동안 검사 결과를 보관하여야 하며, 이 기간이 지나면 폐기하여야 합니다. 이는 토양오염시설의 관리와 모니터링, 그리고 향후 대처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토양보전대책지역의 지정기준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농경지의 경우 지표면으로부터 1미터까지의 토양 오염도가 대책기준을 초과한 지역
  2. 시ㆍ도지사가 재배작물 중 오염물질함량이 관련허용 기준을 초과하여 대책지역지정을 요청한 지역
  3. 농경지외의 지역의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지하수(대수층)면상부 토양사이의 토양오염도가 대책기준을 초과한 지역
  4. 시ㆍ도지사가 대책지역지정을 요청한 지역으로서 인체에 대한 피해가 우려되고 그 면적이 1만 제곱미터 이상인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농경지의 경우 지표면으로부터 1미터까지의 토양 오염도가 대책기준을 초과한 지역"

    설명: 일반적으로 토양보전대책지역은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지하수와 연결된 토양층의 오염을 기준으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농경지의 경우에도 지하수와 연결된 1미터 깊이의 토양층의 오염을 기준으로 지정됩니다. 그러나 위의 기준은 지표면으로부터 1미터까지의 오염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알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