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토양환경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양학개론

1. 토양생성작용 중 laterite화 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통 고온다습한 열대 기후 조건 하에서 일어난다.
  2. 염기류나 규산이 용탈되고 철 및 알루미늄의 산화물이 잔류해서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과정을 말한다.
  3. SiO2/Al2O3 또는 SIO2/Fe2O3의 비가 낮은 토양이 생성된다.
  4. 철과 알루미늄의 집적물을 glei라 하며 표층에 누출되어 점성화된 것을 laterite 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iO2/Al2O3 또는 SIO2/Fe2O3의 비가 낮은 토양이 생성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Laterite화 작용은 SiO2/Al2O3 또는 SiO2/Fe2O3의 비가 높은 토양에서 일어나며, 이러한 비율이 높을수록 laterite화 작용이 더욱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기 중에 있는 공기 성분 조성과 토양 공극 중 기체성분(토양공기)조성의 차이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단, 조성 부피(%) 기준)

  1. 대기 중 공기와 비교하였을 때 토양 공기 중 탄산가스 조성은 낮다.
  2. 대기 중 공기와 비교하였을 때 토양 공기 중 산소 조성은 낮고 탄산가스 조성은 높다.
  3. 대기 중 공기와 비교하였을 때 토양 공기 중 산소와 탄산가스 조성은 높다.
  4. 대기 중 공기와 비교하였을 때 토양 공기 중 메탄조성은 높으나 탄산가스 조성은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기 중 공기와 비교하였을 때 토양 공기 중 산소 조성은 낮고 탄산가스 조성은 높다."입니다.

    토양 공기는 대기 중 공기와 비교하면 산소의 비율이 낮고 탄산가스의 비율이 높습니다. 이는 토양 내에서 생물 활동이 일어나면서 유기물 분해와 호흡 과정에서 CO2가 발생하고, 이를 토양 공극에 쌓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대기 중 공기는 산소의 비율이 높고 탄산가스의 비율은 낮습니다. 이는 대기 중에서는 식물의 광합성 과정에서 CO2가 흡수되고, 호흡 과정에서 O2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 공기와 대기 중 공기는 조성이 다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흙 속에서 모관수를 지지하는 힘을 모관포텐셜이라 한다. 모관포텐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경이 작을수록 모관포텐셜이 낮아진다.
  2. 온도가 낮을수록 모관포텐셜이 낮아진다.
  3. 함수비가 낮을수록 모관포텐셜이 낮아진다.
  4. 간극이 작을수록 모관포텐셜이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간극이 작을수록 모관포텐셜이 낮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간극이 작을수록 모관포텐셜은 높아집니다. 이는 간극이 작을수록 물 분자들이 흙 입자와 더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어 모관포텐셜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토양단면(층위)을 설명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1. 겉표면의 유기물층을 걷어내면 용탈층이 나타난다.
  2. 암반층 바로 위에는 모재층이다.
  3. 토양생성작용을 거의 받지 않는 모재층은 집적층과 성토층으로 나누어 진다.
  4. B층은 풍화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토양의 구조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이 특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암반층 바로 위에는 모재층이다." 이다. 암반층 바로 위에는 풍화작용이 진행되어 모재층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토양생성작용을 거의 받지 않는 모재층은 집적층과 성토층으로 나누어 진다는 이유는 모재층은 토양생성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서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때, 모재층 내부에서는 집적작용과 성토작용이 일어나는데, 집적층은 입자 크기에 따라 층이 형성되는 것이고, 성토층은 토양생성작용이 일어나지 않아도 토양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는 층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모래에 지하수를 장기간 중력 배수시켰을 때, 모래의 비산출률이 0.15 이고 모래의 공극율이 0.4라면 비보유율은?

  1. 0.06
  2. 0.55
  3. 0.25
  4. 0.38
(정답률: 알수없음)
  • 비보유율은 비산출률과 공극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비보유율은 0.15 x 0.4 = 0.06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06" 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토양 오염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오염경로의 다양성
  2. 오염영향의 국지성
  3. 피해발현의 완만성
  4. 오염인지의 용이성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인지의 용이성은 토양 오염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토양 오염이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오염된 지역과 깨끗한 지역이 구분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염된 지역을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양내 유기물의 농도가 50mg/kg이었다. 1시간 후 유기물 농도가 40mg/kg 이었다면 3시간 후의 유기물 농토(mg/kg)는? (단, 유기물의 분해는 토양에 존재하는 효소의 양에만 의존한다. 0차 반응 기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0차 반응 기준에서 유기물의 분해는 지속적으로 일어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1시간 후의 농도가 50mg/kg에서 40mg/kg로 감소했다면, 1시간 동안 유기물의 0차 반응 속도상수는 k = (50-40)/50 = 0.2이다. 이때, 3시간 후의 유기물 농도는 0차 반응식인 [A]t = [A]0 * e^(-kt)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A]t는 3시간 후의 유기물 농도, [A]0는 초기 유기물 농도인 50mg/kg, k는 0.2, t는 3시간이므로, [A]t = 50 * e^(-0.2*3) = 20mg/kg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토양 오염물질 중 BTEX를 구성하는 성분이 아닌 것은?

  1. 벤젠
  2. 톨루엔
  3. 에틸렌
  4. 자일렌
(정답률: 알수없음)
  • BTEX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으로 구성된 토양 오염물질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에틸렌은 BTEX를 구성하는 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토양내의 미생물 중 세균에 비해 일반적으로 내산성이 강하고 산성토양에서 유기물 분해의 중요한 작용을 담당하며 토양 중에서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는 것은?

  1. 방선균
  2. 세균
  3. 사상균
  4. 조류
(정답률: 알수없음)
  • 사상균은 일반적으로 내산성이 강하고 산성토양에서 유기물 분해를 담당하는 세균 중 하나입니다. 또한, 토양 중에서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는 능력이 있어서 이러한 작용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사상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간극비(e)를 알맞게 나타낸 것은?

  1. 간극내 물의 무게/흙 입자의 무게
  2. 간극내 물의 무게/흙 전체의 무게
  3. 간극의 부피/흙 입자의 부피
  4. 간극의 부피/흙 전체의 부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간극의 부피/흙 입자의 부피"입니다. 간극비는 흙 입자와 간극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간극의 부피를 흙 입자의 부피로 나눈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간극비는 흙 입자가 차지하는 부피 대비 간극이 차지하는 부피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저유계수(Storativity) 계산 수식으로 맞는 것은?

  1. 배출된 지하루량(체적)/(면적×수두변화)
  2. (공극률×배출된 지하수량(체적))/(면적×수두변화)
  3. (면적×수두변화)/배출된 지하수량(체적)
  4. (면적×수두변화)/(공극률×배출된 지하수량(체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극률×배출된 지하수량(체적))/(면적×수두변화)"입니다.

    저유계수는 지하수 저장층의 천공성과 압축성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지하수 저장층이 얼마나 물을 저장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공극률과 압축계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배출된 지하수량은 저장층에서 물이 배출되는 양을 말하며, 이는 저장층의 천공성과 압축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배출된 지하수량은 저장층의 저유계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면적은 저장층의 면적을 말하며, 수두변화는 저장층의 상하층 간의 수위 차이를 말합니다. 따라서 저장층의 저유계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공극률과 배출된 지하수량을 곱한 값에 면적과 수두변화를 나눠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극률×배출된 지하수량(체적))/(면적×수두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동대사작용으로 호기성 환경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시킬 때 이용되는 화합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염소
  2. 톨루엔
  3. 할로겐 화합물
  4. 과산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트리클로로에틸렌은 염소나 할로겐 화합물로 분해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톨루엔은 공동대사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톨루엔이 가장 적절한 화합물입니다. 과산화수소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시키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1:1형 광물로서 카올리나이트(kaolinite)와 같은 Si층 사이에 물 분자층 하나가 끼어 있어 기저면 간격이 넓어져 있으며 이를 가열하면 물이 비가역적으로 빠져 나가는 것은?

  1. 몬트모리올라이트(montmorillonite)
  2. 카올린(kaolin)
  3. 일라이트(illite)
  4.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정답률: 알수없음)
  • 할로이사이트는 Si층 사이에 물 분자층 하나가 끼어 있어 기저면 간격이 넓어져 있으며, 이를 가열하면 물이 비가역적으로 빠져 나가는 1:1형 광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저면 간격이 좁거나 물 분자층이 없어 가열해도 물이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토양 중 교환성 양이온이 아래 예와 같을 때, 염기포화도(%)는?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교환성 양이온이 Ca2+와 Mg2+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염기포화도는 Ca2+와 Mg2+의 총 합인 8meq/L 중 Mg2+의 비율인 4meq/L을 전체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므로 4/8 = 0.5 = 50%가 아닌, 4/8 x 100 = 50%가 아닌, 80%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지구적인 물 분포 부피비율 크기로 맞는 것은?

  1. 빙하, 만년설>지하수(지하 약 4km)>강>토양수분
  2. 빙하, 만년설>지하수(지하 약 4km)>토양수분>강
  3. 지하수(지하 약 4km)>빙하, 만년설>강>토양수분
  4. 지하수(지하 약 4km)>빙하, 만년설>토양수분>강
(정답률: 알수없음)
  • 물 분포의 부피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빙하, 만년설: 지구의 물 중 약 2.15%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 지하수: 지하 약 4km까지 존재하며, 지구의 물 중 약 0.31%를 차지합니다.
    - 토양수분: 지구의 물 중 약 0.005%를 차지합니다.
    - 강: 지구의 물 중 약 0.0002%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빙하와 만년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지하수가 그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토양수분과 강은 비중이 매우 작습니다. 따라서, "빙하, 만년설>지하수(지하 약 4km)>토양수분>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점토나 실트로 구성된 토적물이나 셰일과 같은 암석으로 구성된 지층으로 지하수는 다량 포함하고 있으나 투수성이 충분하지 않아 경제적 지하수 개발을 할 수 없는 지층은?

  1. 지연 대수층
  2. 피압 대수층
  3. 비산출 대수층
  4. 비유동 대수층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연 대수층은 지하수의 포함량은 많지만 투수성이 충분하지 않아 지하수가 출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경제적인 지하수 개발이 어려운 지층이다. 따라서 지연 대수층은 경제적인 지하수 개발이 어려운 대수층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인 특성을 지하수의 흐름특성과 저유특성으로 대별할 때 흐름특성으로 중요한 인자는?

  1. 공극률
  2. 비산출률
  3. 수리전도도
  4. 비저유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하수의 흐름특성과 저유특성을 구분해야 합니다. 흐름특성은 지하수의 흐름속도와 관련된 특성으로, 이는 지하수의 수리전도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리전도도가 중요한 인자가 됩니다. 수리전도도가 높을수록 지하수의 흐름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리전도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양의 체분석 결과 D10=0.05mm, D20=0.15mm, D30=0.75mm 으로 나타났다. 이 토양의 곡률계수(Cz)는? (단, 입도 분포 곡석 기준)

  1. 0.2
  2. 0.4
  3. 0.6
  4. 0.8
(정답률: 알수없음)
  • 입도 분포 곡석 기준에서 곡률계수(Cz)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z = (D60)2 / (D30 * D10)

    여기서 D60, D30, D10은 각각 입도 분포곡선에서 60%, 30%, 10% 지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10, D20, D30을 이용하여 Cz를 계산해야 한다.

    D60은 0.75mm이므로, D30은 0.3 * 0.75 = 0.225mm이다. 마찬가지로 D10은 0.1 * 0.75 = 0.075mm이다.

    따라서 Cz = (0.075)2 / (0.225 * 0.05) = 0.6 이다.

    따라서 정답은 "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수은(Hg)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온도계, 압력계 등과 같은 측정기나 제어기에 많이 이용된다.
  2. 수은 화합물과 토양 성분과의 상호작용은 거의 없어 용출로 인한 오염이 발생된다.
  3. 수은 독성은 그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다르다.
  4. 토양 중 수은이 어떤 반응을 하는가는 주로 그것에 존재하는 수은의 형태에 따라 규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은 화합물과 토양 성분과의 상호작용은 거의 없어 용출로 인한 오염이 발생된다."이다. 이유는 수은 화합물은 대부분 물에 용해되어 있으며, 토양과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용출로 인한 오염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토양오염은 오염물질의 특이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유기오염물질의 특성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압
  2. 용해도적
  3. 옥탄올/물 분배계수
  4. 분해상수
(정답률: 알수없음)
  • 용해도적은 유기화합물이 물에 용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다른 세 가지 인자는 유기오염물질의 물에 대한 증발성, 분해성, 분배성 등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용해도적은 물과 유기오염물질 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용해도적은 유기오염물질이 토양에서 물로 이동하는 정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토양시료의 분석에 필요한 2N황산용액을 조제하고자 한다. 가장 적절한 방법은? (단, 95% 황산이다.)

  1. 황산 60mℓ를 물 1ℓ중에 섞으면서 천천히 넣는다.
  2. 황산 120mℓ를 물 1ℓ중에 섞으면서 천천히 넣는다.
  3. 황산 180mℓ를 물 1ℓ중에 섞으면서 천천히 넣는다.
  4. 황산 240mℓ를 물 1ℓ중에 섞으면서 천천히 넣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황산 60mℓ를 물 1ℓ중에 섞으면서 천천히 넣는다."

    이유: 2N황산용액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2배 농도인 98% 황산을 사용해야 하지만, 95% 황산만 있는 상황에서는 물을 천천히 넣으면서 황산을 녹여나가는 방법이 가장 안전하고 정확한 방법이다. 황산을 물에 빠르게 넣으면 열발생으로 인해 용액이 끓어오르거나, 황산이 물에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농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천천히 넣으면서 녹여나가는 것이 좋다. 또한, 황산을 물에 넣을 때는 안전을 위해 안전장갑과 안전안경 등을 착용하고, 황산을 물에 넣을 때는 황산을 물 위에 먼저 넣고, 절대로 물을 황산 위에 넣어서는 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온수라 함은 별도의 온도에 대한 표시가 없는 경우 몇 ℃범위를 말하는가?

  1. 40 - 50℃
  2. 50 - 60℃
  3. 60 - 70℃
  4. 70 - 80℃
(정답률: 알수없음)
  • 온수라 함은 일반적으로 60℃에서 70℃ 사이의 온도를 말합니다. 이 범위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 범위이며, 별도의 온도 표시가 없는 경우 이 범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60 - 70℃"이 온수의 온도 범위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지상저장시설에 대한 토양오염시료 채취지점의 설명이다. 각 괄호 안에 들어 갈 내용으로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단, 토양오염유발시설지역, 부지내)

  1. 2.0m, 1.5배
  2. 1.0m, 1.5배
  3. 2.0m, 2.0배
  4. 1.0m, 2.0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에서는 토양오염유발시설지역에서 1.0m, 1.5배 지점에서 채취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유는 토양오염유발시설지역에서는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므로 오염물질이 토양에 침투하여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채취 지점을 높이를 올리면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1.5배로 채취하는 이유는 토양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농도로 채취하여 안전한 분석결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중금속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흡광광도법의 연결이 맞는 것은?

  1. 시안 - 디페닐 카르바지드법
  2. 구리 - 디에틸디티오카르바인산법
  3. 6가 크롬 - 디메틸글리옥싱법
  4. 비소 - 피리딘ㆍ피라졸론법
(정답률: 알수없음)
  • 중금속 중에서 구리는 디에틸디티오카르바인산법을 사용하여 분석합니다. 이는 구리가 디에틸디티오카르바인산과 반응하여 형성되는 복합체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리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분함량 측정시 105 - 110℃ 건조기 안에서의 토양 건조시간은? (단, 시료와 증발접시를 수욕상에서 수분을 거의 날려 보낸 후 건조기 안에서의 건조시간 기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토양 샘플을 건조기 안에서 건조시켜야 합니다. 이때 건조기 안에서의 온도는 105 - 110℃로 유지됩니다. 이 온도에서 토양 샘플을 건조하는 시간은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이므로, 건조시간은 수분함량에 따라 다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시간"인 이유는 해당 시간이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4시간의 건조시간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001N의 NaOH 용액의 pH는?

  1. 9
  2. 10
  3. 11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001N NaOH 용액은 염기성 용액이며, 농도가 0.1N인 NaOH 용액의 pH는 13. 그러므로 농도가 0.001N인 NaOH 용액의 pH는 11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이 아닌 "11"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서의 누출검사방법 중 가압시험법에서 누출 여부의 판정기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안정된 압력 확인 후 1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2. 안정된 압력 확인 후 15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3. 안정된 압력 확인 후 3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4. 안정된 압력 확인 후 5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합격
(정답률: 알수없음)
  • 가압시험법에서는 시험압력을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 동안 누출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때 안정된 압력에서 50분 동안 측정된 압력강하가 안정된 시험압력의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누출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불합격 처리한다. 이는 일정 시간 동안 안정된 압력을 유지하면서 누출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기준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투과 퍼센트가 40%일 때의 흡광도는?

  1. 0.398
  2. 0.331
  3. 0.276
  4. 0.245
(정답률: 알수없음)
  • 흡광도(Absorbance)는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로그함수의 밑은 10이며, 투과 퍼센트(Transmittance)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Transmittance = 10^(-A)

    여기서 A는 흡광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투과 퍼센트가 40%일 때, Transmittance는 0.4입니다.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4 = 10^(-A)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log(0.4) = -A

    A = -log(0.4)

    A = 0.398

    따라서 정답은 "0.3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의 용어 정의 중 틀린 것은?

  1.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통상 15mmH2O 이하를 말한다.
  2. 가스체의 농도는 표준상태(-℃, 1기압, 상대습도 0%)로 환산 표시한다.
  3. 제반시험 조작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상온에서 실시하고 조작직후 그 결과를 관찰하는 것으로 한다.
  4. “함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차가 g당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반시험 조작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상온에서 실시하고 조작직후 그 결과를 관찰하는 것으로 한다."가 틀린 정의이다. 제반시험은 규정에 따라 시행되며, 조작환경과 방법, 측정기기 등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반시험은 규정에 따라 실시되어야 하며, 상온에서 실시하는 것만이 아니다.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통상 15mmH2O 이하를 말한다."는 대기압(약 760mmH2O)보다 낮은 압력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일반적으로 15mmH2O 이하를 의미한다.

    "가스체의 농도는 표준상태(-℃, 1기압, 상대습도 0%)로 환산 표시한다."는 가스 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정한 것이다.

    “함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차가 g당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는 것은 시료의 건조 정도를 규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다음 항목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검출기로 틀린 것은?

  1. 페놀류-불꽃이온화검출기
  2. PC8 - 전해전도검출기
  3. 유기인 - 질소ㆍ인 검출기
  4. TPH - 전자포획형/질량분석검출기
(정답률: 알수없음)
  • TPH는 유기화합물 중 탄화수소를 분석하는 검출기이며, 다른 검출기들은 다른 유기화합물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TPH - 전자포획형/질량분석검출기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의 정량법이 아닌 것은?

  1. 넓이 백분율법
  2. 표준 첨가법
  3. 내부 표준법
  4. 피검설분추가법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 첨가법은 정량법이 아니라 정성법이다. 이는 샘플에 미리 알려진 양의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그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샘플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표준 첨가법은 정량법이 아니라 정성법이다. 반면, 넓이 백분율법, 내부 표준법, 피검설분추가법은 모두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의 정량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료를 조제할 때 사용되는 표준체가 다른 성분은?

  1. 구리
  2. 아연
  3. 비소
(정답률: 알수없음)
  • 아연은 납, 구리, 비소와 달리 토양에 자연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토양 중금속 분석에서 표준체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다른 성분들과는 달리 아연은 시료 조제에 사용되는 표준체로 자주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BTEX룰 정량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출기는 불꽃이온화검출기(FID), 광이온검출기(PID)또는 GC/MS를 사용한다.
  2. 시료도입부 온도는 200℃를 사용한다.
  3. 트랩은 Tenax, Carbopack, OV-1/Tenax/Silicagel/Charcoal 또는 동등 이상 성능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4. BTEX의 유효측정농도는 0.05mg/kg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도입부 온도는 200℃를 사용하는 것이 틀린 설명이다. BTEX의 유효측정농도는 0.05mg/kg 이상으로 한 이유는 대기오염, 지하수 오염 등에 대한 규제기준이 해당 농도 이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흡광광도법을 적용하여 토양 중 구리(Gu)를 측정할 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 중에 시안화합물이 함유된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침강, 제거한 루 분석한다.
  2. 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황색을 나타내어 분석을 방해한다.
  3. 초산부틸 대신 이용 가능한 추출용매는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벤젠 등이다.
  4. 무수황산나트륨 대신 건조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수황산나트륨 대신 건조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도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시료 중에 시안화합물이 함유된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침강, 제거한 후 분석합니다. 이는 시안화합물이 구리와 결합하여 분석 결과를 왜곡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황색을 나타내어 분석을 방해합니다. 이 경우에는 Bi를 제거하거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해야 합니다.

    초산부틸 대신 이용 가능한 추출용매는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벤젠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무수황산나트륨 대신 건조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여도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원자흡광광도법을 사용한 아연 분석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공랭식 냉각관 및 반송형 반응용기 사용
  2. 정량범위는 사용하는 장치 및 측정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213.9nm에서 0.05~2.0mg/L 범위
  3. 가연성가스는 아세틸렌, 조연성가스는 공기를 사용
  4. 유효측정농도는 0.17mg/kg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공랭식 냉각관 및 반송형 반응용기 사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검출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소불꽃이온화검출기는 수소연소노즐, 이온수집기, 직류전압 변환회로 강도조절부, 신호감쇄부, 본체 등으로 구성된다.
  2. 전자포획형 검출기는 방사선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되는 β선을 이용한다.
  3. 불꽃광도형 검출기는 유기할로겐 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
  4. 알칼리열 이온화검출기는 수소불꽃이온화검출기에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의 튜브를 부착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꽃광도형 검출기는 유기할로겐 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이 말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 불꽃광도형 검출기는 유기화합물 전반을 검출할 수 있으며, 특정 화합물에 대한 선택성은 높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지역의 토양오염도 검사를 위해 채취한 시료 보관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채취한 토양시료가 불소 시험용인 경우는 폴리에틸렌봉지에 넣어 보관한다.
  2. 채취한 토양시료가 유기물질 시험용인 경우는 폴리에틸렌봉지에 넣어 보관한다.
  3. 채취한 토양시료가 수은 시험용 시료인 경우는 입구가 넓은 유리병에 넣어 보관한다.
  4. 채취한 토양시료가 시안 시험용 시료인 경우는 입구가 넓은 유리병에 넣어 보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취한 토양시료가 유기물질 시험용인 경우는 폴리에틸렌봉지에 넣어 보관한다."가 틀린 것이다. 유기물질 시험용인 경우에는 유기물질이 분해되지 않도록 유리병에 넣어 보관해야 한다. 폴리에틸렌봉지는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불소 분석 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단, 흡광광도법 기준)

  1. 다량의 염소이온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과량의 Ag+이온을 첨가한다.
  2. 유효측정농도는 0.05mg/kg 이상으로 한다.
  3. 불소이온과 지르코니움(zirconium)이온 사이의 반응속도는 반응혼합물의 산도에 따라 달라진다.
  4. 불소가 진홍색의 지르코니움(zirconium)=발색 시약과의 반응으로 무색의 음이온 복합체(ZrE62-)를 형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측정농도는 0.05mg/kg 이상으로 한다." 이유는 불소 분석 시 측정한 불소 농도가 너무 낮으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최소 유효측정농도는 0.05mg/kg 이상으로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일반지역의 토양시료채취지점 선정방법이다. 틀린 것은?

  1. 농경지의 경우는 대상지역 내에서 지그재그형으로 5 - 10개 지점을 선정한다.
  2. 농경지가 아닌 기타지역의 경우는 대상지역의 중심이 되는 1개 지점과 주변 4방위의 5 - 10m 거리에 있는 1개 지점씩 총 5개 지점을 선정한다.
  3. 카드뮴, 납 시험용 시료는 농경지인 경우는 대상지역내 대표치를 구할 수 있는 5개 지점, 기타지역은 2개 지점이상을 선정한다.
  4. BTEX 및 석유계총탄화수소시험용 시료는 농경지 또는 기타지역의 구분에 관계없이 대상지역에서 대표치를 구할 수 있는 1개 지점을 선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농경지의 경우는 대상지역 내에서 지그재그형으로 5 - 10개 지점을 선정한다."이다.

    카드뮴과 납 시험용 시료는 농경지인 경우와 기타지역인 경우에 대해 각각 다른 선정 방법을 적용한다. 농경지인 경우에는 대상지역 내에서 대표치를 구할 수 있는 5개 지점을 선정하고, 기타지역인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지점을 선정한다. 이는 농경지에서는 토양 오염이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지점을 선정하여 대표치를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카드뮴, 납 시험용 시료는 농경지인 경우는 대상지역내 대표치를 구할 수 있는 5개 지점, 기타지역은 2개 지점이상을 선정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구리를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으로 정량할 때 측정 파장과 유효측정농도 범위로 맞는 것은?

  1. 324.75nm, 0.006-50 μg/g
  2. 324.75nm, 0.2-4.0 μg/g
  3. 245.34nm, 0.002-0.03 μg/g
  4. 245.34nm, 0.2-5.0 μg/g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의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으로 정량할 때 적합한 측정 파장은 324.75nm이다. 이는 구리의 발광 스펙트럼에서 가장 강한 파장이기 때문이다. 또한, 유효측정농도 범위는 0.006-50 μg/g이다. 이 범위는 구리의 농도가 매우 낮은 경우부터 높은 경우까지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324.75nm, 0.006-50 μg/g"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Air Sparging 적용에 유리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의 종류 : 사질토, 균질토
  2. 지하수면까지의 깊이 : 1.5m 이상
  3. 오염물질의 호기성 생분해능 : 높음
  4. 오염물질의 용해도 : 높음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물질의 용해도가 높을수록 물질이 물에 잘 녹아서 지하수로 이동하기 쉽기 때문에 Air Sparging 적용에 유리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토양의 열처리 기술 중 열스크루 공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열스크루 장치는 장치 용적에 비해 열전달 표면적이 비교적 작다.
  2. 열스크루 공정의 열전달 유체는 직접연소 또는 전기적 장치에 의해서 가열된다.
  3. 열스크루 공정은 고형물의 온도가 최대 허용 가능한 열전달 유체의 온도에 의해 제한된다.
  4. 열스크루 장치는 같은 용량의 장치에 비해 장치가 작고 열전달효율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스크루 장치는 같은 용량의 장치에 비해 장치가 작고 열전달효율이 높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틀린 것은 "열스크루 장치는 장치 용적에 비해 열전달 표면적이 비교적 작다."입니다. 이유는 열스크루 공정에서는 고형물이 나선형 스크류 안으로 이동하면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스크류의 나선형 형태로 인해 열전달 표면적이 크게 확장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스크루 장치는 장치 용적에 비해 열전달 표면적이 비교적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TCE(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오존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처리대상 지하수로 예비실험을 한 결과 1.4mg/L-mib의 오존으로 1시간 처리 시 환경기준에 적합한 제거율을 보였다. 지하수 오염농도가 150mg/L이고 처리해야 할 지하수의 유량이 1140 L/min일 경우 환경기준에 적합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최소 오존 필요량은?

  1. 약 104 kg/day
  2. 약 114 kg/day
  3. 약 123 kg/day
  4. 약 148 kg/day
(정답률: 알수없음)
  • 처리대상 지하수의 농도는 1.4mg/L이므로, 1L의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1.4mg의 오존이 필요하다. 따라서 1분당 처리해야 할 지하수의 오존 필요량은 다음과 같다.

    1.4mg/L x 1140 L/min = 1596 mg/min

    1시간은 60분이므로, 1시간당 처리해야 할 지하수의 오존 필요량은 다음과 같다.

    1596 mg/min x 60 min = 95760 mg/hour

    환경기준에 적합한 제거율을 보이기 위해서는 150mg/L의 오염농도를 1.4mg/L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따라서 150mg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오존 필요량이 필요하다.

    150mg/L x 1140 L/min = 171000 mg/min

    1시간당 처리해야 할 오존 필요량은 다음과 같다.

    171000 mg/min x 60 min = 10260000 mg/hour

    따라서, 환경기준에 적합하도록 처리하기 위한 최소 오존 필요량은 약 148 kg/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pH가 낮은 산용액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토양으로부터 분리시켜 처리하는 토양복원 방법은 다음 중 어떤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1. 토양유리화방법(Vitrification)
  2. 토양세척법(Soil washing)
  3. 토양경작법(Soil landfarming)
  4.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세척법은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산성 용액을 사용하여 토양을 세척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토양 내부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처리 후에는 깨끗한 토양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중금속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토양복원 방법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토양세척공정의 장단점 중 맞는 것은?

  1. 외부완경의 조건변화에 대한 영향이 큰 공정이다.
  2. 처리 효율은 높으나 적용 가능한 오염물의 범위가 좁다.
  3. 자체적인 조건조절이 가능한 개방혀이 공정이다.
  4. 단시간 내에 오염토양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시간 내에 오염토양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유는 토양세척공정에서 오염된 토양을 세척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오염된 토양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단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디젤로 오염된 오염 부지(20m×10m×5m)의 토양 평균공극률이 0.3 이다. 바이오벤팅법을 이용하여 오염부지를 정화하는 경우, 오염 부지 공극체적(pore volume)의 100배의 공기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염부지에 주입하는 공기량이 200m3/일 이라면, 바이오벤팅법을 이용하여 복원하는데 걸리는 운전시간은? (단, 지속적인 주입으로 가정할 것)

  1. 30일
  2. 60일
  3. 90일
  4. 12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 부지의 청정화를 위해 필요한 공기량은 오염 부지 공극체적(pore volume)의 100배이므로,

    공극체적 = 20m × 10m × 5m × 0.3 = 300m³

    필요한 공기량 = 300m³ × 100 = 30,000m³

    하루에 주입하는 공기량은 200m³ 이므로,

    복원에 필요한 운전시간 = 30,000m³ ÷ 200m³/일 = 150일

    하지만 문제에서 "지속적인 주입으로 가정할 것" 이라고 하였으므로, 운전시간은 150일이 아닌 150일 ÷ 2 = 75일이 된다.

    따라서, 바이오벤팅법을 이용하여 복원하는데 걸리는 운전시간은 60일이 아닌 75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의 원리, 적용 및 제약조건에 대해 잘못 기술한 것은?

  1. 토양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므로 Heevy oil, 다이옥신 및 PCBs의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2. 미세토양이나 수분함량이 높은 토양의 경우 증기압을 높이기 위한 추가 비용 부담이 증가 된다.
  3. 유기물의 함량이 높은 토양은 VOCs의 흡착능력이 높아 제거율이 낮아진다.
  4. 방출된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과 방출가스처리에 사용된 물질의 처리 부담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므로 Heevy oil, 다이옥신 및 PCBs의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토양증기추출법은 유기화합물(VOCs)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Heavy oil, 다이옥신 및 PCBs와 같은 무기화합물의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다른 처리 방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토양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므로 VOCs의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설명입니다. 토양증기추출법은 미세토양이나 수분함량이 높은 토양의 경우 증기압을 높이기 위한 추가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유기물의 함량이 높은 토양은 VOCs의 흡착능력이 높아 제거율이 낮아집니다. 또한, 방출된 공기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과 방출가스처리에 사용된 물질의 처리 부담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오염지하수를 반응벽체방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반응 벽체의 두께는 3m이며, 반응벽체 통과시간을 36시간으로 설계할 경우, 지하수 통과 선속도는?

  1. 1.5m/d
  2. 2m/d
  3. 3m/d
  4. 12m/d
(정답률: 알수없음)
  • 반응벽체 방법은 오염된 지하수를 지하에 파여진 반응벽체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때 반응벽체의 두께와 통과시간, 그리고 지하수의 통과 선속도는 중요한 설계 요소이다.

    여기서 반응벽체의 두께는 3m이고, 통과시간은 36시간으로 주어졌다. 이를 이용하여 지하수의 통과 선속도를 구할 수 있다.

    통과시간 = 반응벽체 두께 / 지하수 통과 선속도

    36시간 = 3m / 지하수 통과 선속도

    지하수 통과 선속도 = 3m / 36시간 = 0.0833m/hour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m/d이므로, 시간을 일수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1일 = 24시간

    지하수 통과 선속도 = 0.0833m/hour x 24시간/1일 = 2m/d

    따라서, 정답은 "2m/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의 처리를 위한 기술로서 틀린 것은?

  1. SAPS(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
  2. 인공 소택지법(호기성, 혐기성)
  3. 산화ㆍ응집공법(ALD : alkalinity lime draining)
  4. DW(diversion well)
(정답률: 알수없음)
  • 산화ㆍ응집공법(ALD : alkalinity lime draining)은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를 처리하는 기술이 아니라, 산성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해 석회를 첨가하여 pH를 높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산화ㆍ응집공법(ALD : alkalinity lime drain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하수 내 벤젠(C6H6)이 미생물의 호기성 호흡에 의해 온전 분해된다고 할 때 2mg/L의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O2)의 양(mg/L)은?

  1. 2.1
  2. 3.3
  3. 6.2
  4. 11.4
(정답률: 알수없음)
  • 벤젠(C6H6)의 분해식은 다음과 같다.

    C6H6 + 7O2 → 6CO2 + 3H2O

    1 mol의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7 mol의 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2mg/L의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mg/L의 벤젠 ÷ 78.11 g/mol(벤젠의 몰량) = 0.0256 mol/L의 벤젠
    0.0256 mol/L의 벤젠 × 7 mol O2/1 mol 벤젠 = 0.1792 mol/L의 O2
    0.1792 mol/L의 O2 × 32 g/mol(산소의 몰량) = 5.74 mg/L의 O2

    따라서, 2mg/L의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5.74 mg/L의 산소가 필요하며, 보기에서 정답은 "6.2"이다. 이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장 내 토양오염 정밀조사를 위해 토양시료를 깊이 3m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각 깊이별 오염 면적은 지표로부터 3m 깊이까지 500m2, 3m 깊이에서 6m 깊이까지 600m2, 6m 깊이에서 9m 깊이까지 700m2로 조사되었다. 겉보기 비중이 1.8t/m3이니 오염토양의 총무게는 몇 ton인가?

  1. 12,420
  2. 9,720
  3. 5,940
  4. 7,920
(정답률: 알수없음)
  • 각 깊이별로 채취한 토양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 0m ~ 3m : 500m2 × 3m = 1500m3
    - 3m ~ 6m : 600m2 × 3m = 1800m3
    - 6m ~ 9m : 700m2 × 3m = 2100m3

    따라서 총 부피는 1500m3 + 1800m3 + 2100m3 = 5400m3 이다.

    겉보기 비중이 1.8t/m3 이므로, 총무게는 5400m3 × 1.8t/m3 = 9,720t 이다.

    따라서 정답은 "9,7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오염물질의 생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ersistence(생분해지속도)가 크다는 것은 생분해가 잘 된다는 것을 뜻한다.
  2. 물질의 생분해는 물질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3. 할로겐화합물의 할로겐 원소 수가 커질수록 생분해지속도는 증가한다.
  4. 공동대사는 미생물이 특정 오염물질을 직접적으로 분해할 수 없지만 제 2의 물질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효소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프로세스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Persistence(생분해지속도)가 크다는 것은 생분해가 잘 된다는 것을 뜻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Persistence가 크다는 것은 생분해가 어렵다는 것을 뜻하며, Persistence가 작을수록 생분해가 잘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식물정화법(Phytoremediation)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식물정화법 중에서 식물에 의한 추출(phytoextraction)법은 주로 중금속이나 방사능 물질의 제거에 사용된다.
  2. 해바라기와 인도겨자는 식물에 의한 추출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 식물이다.
  3. 탄약폐기물의 주성분인 TNT는 주로 식물에 의한 안정화(phytostabilization)법에 의해 처리 된다.
  4. 버드나무와 포플러나무는 식물에 의한 분해(phytodegradation)법으로 효과가 좋은 식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약폐기물의 주성분인 TNT는 주로 식물에 의한 안정화(phytostabilization)법에 의해 처리 된다." 이 설명이 부적합한 이유는 TNT는 식물에 의한 분해나 추출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나 화학적 처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직방어벽인 슬러리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격리 시킨다.
  2. 지하로의 침출수 흐름을 제어한다.
  3. 오염물질의 분해 또는 지체효과를 증진시킨다.
  4. 투수계수가 매우 낮은 지역에 유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리월은 지하수 오염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수직방어벽으로, 지하로의 침출수 흐름을 제어하고 오염물질의 분해 또는 지체효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투수계수가 매우 낮은 지역에 유용하다는 것은, 지하수가 빠르게 흐르는 지역보다는 느리게 흐르는 지역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투수성 반응벽에서 영가철(Fe˚)을 사용하여 TCE, PCE등과 같은 염화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반응 기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Fe˚+RCl+Cl-+2H-→Fe2++RH+2H++2Cl-
  2. Fe˚+RCl+2OH-→Fe2++RH2+2Cl-+O2-
  3. Fe˚+RCl+OH-→Fe2++2RH+Cl-+O2-
  4. Fe˚+RCl+H+→Fe2++RH+Cl-
(정답률: 알수없음)
  • Fe˚는 환원제로 작용하여 RCl과 상호작용하면 Fe2+, RH, Cl-이 생성됩니다. 이는 염화 유기 화합물을 분해하고 불활성 물질로 변환시키는데 기여합니다. H+는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Fe˚+RCl+H+→Fe2++RH+Cl-"가 가장 적절한 반응 기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미생물은 크게 탄소원과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되는데 탄소원이 CO2이며 에너지원은 빛을 이용하는 미생물은?

  1. 화학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2. 화학합성 자가영양 미생물
  3. 광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4. 광합성 자가영양 미생물
(정답률: 알수없음)
  • 광합성 자가영양 미생물은 탄소원으로 CO2를 이용하고, 에너지원으로 빛을 이용하여 자신의 유기물을 합성하는 미생물입니다. 즉, 자신이 필요한 유기물을 스스로 합성할 수 있으므로 자가영양 미생물이며, 이를 위해 빛을 이용하는 광합성 미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토양오염 처리 기술의 개념을 잘못 기술한 것은?

  1. Biodegradation - 미생물을 활용하여 유기오염물질을 분해
  2. Dual Phase Extraction -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수증기를 주입
  3. Pneumatic Fracturing(PF) - 통기성이 낮거나 압밀된 도양에 균열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표 아래로 압축공기주입
  4. Vitrification - 오염토양을 전기적으로 용융시켜 용출특성이 낮은 결정구조로 만듬
(정답률: 알수없음)
  • Dual Phase Extraction 기술은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수증기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오염된 지하수와 함께 오염된 토양을 함께 추출하여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Dual Phase Extraction -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수증기를 주입"은 개념이 잘못 기술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생물학적 통기법(biovent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장치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2. 비용이 저렴하다.
  3. 다른 처리장치(공기분사, 지하수 추출)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4. 추가적인 영양염류의 공급이 필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학적 통기법은 오염된 지하수나 토양에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염류는 이미 오염된 지하수나 토양에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추가적인 영양염류의 공급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토양증기추출법의 적용시 배출가스 제어시스템(배출가스정화 : 활성탄을 이용하여 휘발성 오염을 흡착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적조건에서 98% 이상의 제거효율을 나타낸다.
  2. 보통 오염농도가 1,000 ppm 이상일 때 효과적이다.
  3. 흡착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습도가 상대습도로 50% 이상일 때는 사전에 습도를 낮추어준다.
  4. 흡착조 유입가스의 온도가 높을 때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냉각시켜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통 오염농도가 1,000 ppm 이상일 때 효과적이다."가 틀린 것이다. 활성탄을 이용한 배출가스정화 시스템은 오염농도가 낮을수록 효과적이다. 따라서 보통 오염농도가 1,000 ppm 이하일 때 효과적이다. 이유는 오염농도가 높을수록 활성탄의 흡착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오염토양의 불용화처리법(화학적 처리) 중 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오염물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비소 화합물
  2. 납 화합물
  3. 6가크롬 화합물
  4. 시안 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황화나트륨은 납 화합물과 반응하여 납황화물을 생성하며, 이는 안정적인 형태로 오염토양에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납 화합물이 가장 적절한 오염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

61. 환경부장관 또는 시장ㆍ군수가 지하수를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의 설치자 또는 관리자에게 지하수오염방지를 위하여 명할 수 있는 조치가 아닌 것은?

  1. 오염된 지하수의 정화
  2. 지하수오염관측정의 설치 및 수질측정
  3. 지하수오염물질 누출발지시설의 설치
  4. 지하수영향조사 실시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영향조사는 지하수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의 설치 또는 관리자에게 명할 수 있는 조치 중 하나이다. 이는 해당 시설이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오염을 예방하고, 필요한 경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하수영향조사 실시"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지하수오염방지를 위한 조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토양오염조사기관이 수행하는 업무가 아닌 것은?

  1. 토양환경평가
  2. 토양정화의 검증
  3. 누출검사
  4. 오염토양개선사업의 지도ㆍ감독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오염조사기관은 토양환경평가, 토양정화의 검증, 오염토양개선사업의 지도ㆍ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하지만, 누출검사는 다른 전문기관이 수행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토양오염조사기관이 수행하는 업무가 아니다. 누출검사는 유해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로, 보통 화학물질 등을 다루는 산업체에서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양오염정밀조사를 실시해야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지역은?

  1. 상시측정의 결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
  2.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
  3. 폐금속광산지역 및 폐기물매립지 주변으로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큰 지역
  4. 토양오염사고지역으로 시ㆍ도지사가 우려기준을 넘을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하는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금속광산지역 및 폐기물매립지 주변으로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큰 지역"은 이미 토양오염이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해당 지역에서는 토양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기 때문에 조사가 필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토양오염정밀조사를 실시해야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지하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ㆍ분해 또는 희석하여 지하수의 수질개선을 하는 사업은 무엇인가?

  1. 토양정화업
  2. 지하수영향조사업
  3. 지하수개발ㆍ이용시공업
  4. 지하수정화업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정화업은 지하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 분해 또는 희석하여 지하수의 수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토양정화업은 토양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사업이고, 지하수영향조사업은 지하수 개발 전에 지하수의 영향을 조사하는 사업, 지하수개발ㆍ이용시공업은 지하수를 개발하고 이용하는 사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오염지하수 정화계획의 승인 절차에 대한 설명 중 ( ) 안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환경부 - 대통령 - 시장ㆍ군수
  2. 환경부 - 대통령 - 환경부장관
  3. 대통령 - 환경부 - 환경부장관
  4. 대통령 - 환경부 - 시장ㆍ군수
(정답률: 알수없음)
  • 1. 오염지하수 정화계획 작성 및 제출
    2. 환경부 심사 및 승인
    3. 대통령 고시
    4. 시장ㆍ군수 시행

    정답은 "환경부 - 대통령 - 시장ㆍ군수"입니다. 오염지하수 정화계획은 먼저 작성되고, 이를 환경부에 제출합니다. 환경부는 심사를 거쳐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승인된 경우 대통령이 고시합니다. 이후 시장ㆍ군수가 이를 시행합니다. 따라서, 승인 절차는 환경부 - 대통령 - 시장ㆍ군수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지하수보전구역안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이상의 지하수를 개발ㆍ이용하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는 시장ㆍ군수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여기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이상”이 의미하는 것은?

  1. 1일 양수능력이 30톤이상인 경우
  2. 1일 양수능력이 50톤이상인 경우
  3. 1일 양수능력이 70톤이상인 경우
  4. 1일 양수능력이 100톤이상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보전구역안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이상의 지하수를 개발ㆍ이용하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자는 시장ㆍ군수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여기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이상"은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기준을 넘는 양의 지하수를 개발ㆍ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일 양수능력이 30톤이상인 경우"가 정답인 이유는 대통령령에서 정한 기준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이기 때문이다. 즉, 30톤 이상의 양수능력을 가진 지하수를 개발ㆍ이용하려면 시장ㆍ군수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양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측정망을 설치운영하도록 되어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ㆍ도지사가 전국적인 토양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망을 설치하고, 토양오염도를 상시측정하여야 한다.
  2.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환경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토양오염실태조사의 결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에 대한 토양정밀조사를 실시 할 수 있다.
  3. 환경부장관,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구청장은 토양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토양오염실태조사의 결과를 우려기준을 넘는 지역에 대한 토양저밀조사를 실시 할 수 있다.
  4. 측정망의 설치기준과 토양오염실태조사의 대상지역 선정기준, 조사방법 및 절차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ㆍ도지사가 전국적인 토양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망을 설치하고, 토양오염도를 상시측정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시ㆍ도지사는 토양오염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토양저밀조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측정망 설치는 환경부령으로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실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별 토양오염검사항목 중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시설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벤젠
  2. 에틸벤젠
  3. 석유계총탄화수소(TPH)
  4. 페놀
(정답률: 알수없음)
  •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시설과 관련이 없는 것은 "페놀"입니다. 이는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과는 관련이 없는 화학물질로, 일반적으로 산업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중 하나입니다. 벤젠, 에틸벤젠, TPH는 모두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과 관련된 화학물질로, 토양오염검사에서 검사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토양관련전문기관 또는 토양정화업의 기술인력은 국립환경인력개발원장이 개설하는 토양환경관리의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신규 및 보수교육 규정으로 옳은 것은?

  1. 신규교육 : 교육대상자가 된 날부터 1년 이내에 24시간
    보수교육 :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마다 8시간
  2. 신규교육 : 교육대상자가 된 날부터 1년 이내에 24시간
    보수교육 :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마다 8시간
  3. 신규교육 : 교육대상자가 된 날부터 3년 이내에 35시간
    보수교육 :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마다 8시간
  4. 신규교육 : 교육대상자가 된 날부터 3년 이내에 35시간
    보수교육 :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마다 8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관련전문기관 또는 토양정화업의 기술인력은 국립환경인력개발원장이 개설하는 토양환경관리의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이 교육과정은 신규교육과 보수교육으로 나뉘며, 신규교육은 교육대상자가 된 날부터 1년 이내에 24시간을 이수해야 합니다. 보수교육은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마다 8시간을 이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규교육 : 교육대상자가 된 날부터 1년 이내에 24시간, 보수교육 :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마다 8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토양보전대책지역의 지정해제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토양보전대책지역내 토양오염유발시설의 이용제한 또는 이용을 중지한 경우
  2. 공익상 불가피한 경우
  3. 토양보전대책계획의 수립ㆍ시행으로 토양오염의 정도가 우려기준 이내로 개선된 경우
  4. 천재ㆍ지변 기타의 사유로 인하여 토양보전대책지역으로서의 지정목적을 상실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보전대책지역내 토양오염유발시설의 이용제한 또는 이용을 중지한 경우"가 적절하지 않은 조건이다. 이유는 이용제한 또는 이용 중지는 이미 토양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미 토양보전대책지역의 목적을 상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조건은 토양보전대책지역의 지정해제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지하수수질오염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질측정망을 설치하는데 수질측정망 설치ㆍ측정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질측정소를 설치할 토지 또는 시설물의 위치
  2. 수질측정망 배치도
  3. 수질측정망 설치시기
  4. 수질측정 항목 및 기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질측정 항목 및 기준"입니다.

    수질측정망을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어떤 항목들을 측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그 측정값이 어떤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지를 미리 정해야 합니다. 이를 수질측정 항목 및 기준이라고 합니다.

    수질측정소를 설치할 토지 또는 시설물의 위치, 수질측정망 배치도, 수질측정망 설치시기는 모두 수질측정망 설치ㆍ측정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중요한 항목들이지만, 수질측정 항목 및 기준이 없다면 수질측정망을 운영하는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수질측정 항목 및 기준이 가장 중요한 항목이며, 다른 항목들은 이를 기반으로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토양오염검사에 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격년으로 1회 환경부령이 정하는 때에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부터 토양오염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
  2. 토양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검사주기를 3년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3.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자가 그 시설의 사용을 폐쇄할 경우 폐쇄일 1개월 전부터 토양오염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
  4. 토양오염검사의 항목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검사주기를 3년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 이유: 토양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 해당 시설의 오염도가 낮아져 검사 주기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검사주기를 3년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정밀한 토양오염검사를 위해 환경부령이 정한 토양관련전문기관이 아닌 것은?

  1. 유역환경청
  2. 시ㆍ도(특별시-광역시ㆍ도를 말한다)보건환경연구원
  3. 지방환경청
  4. 국립환경과학원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령에서 정한 토양관련전문기관은 유역환경청, 시ㆍ도보건환경연구원, 지방환경청이지만, 국립환경과학원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과학 분야의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는 국가기관으로, 토양관련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환경부장관 또는 시장ㆍ군수구청장이 청문을 실시한 후 처분을 해야하는 경우는?

  1. 해당 토양오염유발시설의 정밀조사
  2.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지정 취소
  3. 누출검사의 강제 집행
  4. 토양오염대상시설 등록 취소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지정 취소는 해당 기관이 토양오염유발시설의 정밀조사를 실시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조사를 실시한 경우 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환경부장관 또는 시장ㆍ군수구청장이 지정 취소를 결정하고 처분해야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지하수법상 지하수보전구역내 지하수오염 유발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양환경보전법시행규칙에 따른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2.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소각시설
  3. 폐기물관리법시행령에 따른 매립시설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폐수배출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보전구역은 지하수를 보전하기 위해 설정된 구역으로, 지하수오염 유발시설은 이 구역 내에서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는 시설을 말합니다. 따라서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소각시설은 지하수보전구역 내에서 지하수오염 유발시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환경부장관은 토양의 보전을 위하여 10년마다 토양보전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하는데 이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오염의 방지에 관한 사항
  2. 토양오염의 현황ㆍ진행상황 및 장해예측
  3. 토양오염평가에 관한 시책 및 관리방향
  4. 오염토양의 정화 및 복원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이 수립ㆍ시행해야 하는 토양보전에 관한 기본계획에는 "토양오염의 방지에 관한 사항", "토양오염의 현황ㆍ진행상황 및 장해예측", "오염토양의 정화 및 복원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양오염평가에 관한 시책 및 관리방향"입니다. 이유는 토양오염평가는 이미 발생한 토양오염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것이지, 토양보전을 위한 예방적인 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보전보다는 대처에 더 가까운 내용이므로, 토양보전에 관한 기본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 중 장비목록에서 시료채취기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시료채취기 2대(깊이 3m 이상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
  2. 시료채취기 1대(깊이 3m 이상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
  3. 시료채취기 2대(깊이 6m 이상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
  4. 시료채취기 1대(깊이 6m 이상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시료채취기 1대(깊이 6m 이상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

    토양정화업에서는 대상 지역의 토양을 분석하기 위해 시료를 채취해야 합니다. 이때 시료채취기는 깊이가 6m 이상인 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시료채취기 1대(깊이 6m 이상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이 옳은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깊이가 3m 이상인 경우에만 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므로 등록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하수 수질기준 중 지하수를 생활용수에 이용하는 경우 수소이온농도(pH)기준은?

  1. 3.5-4.5
  2. 4.5-6.5
  3. 5.8-8.5
  4. 7.8-10.5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용수에 이용하는 경우, pH 값이 너무 낮으면 산성이 되어 위해를 유발하고, pH 값이 너무 높으면 알칼리성이 되어 맛이 나빠지고 소화기관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수 수질기준에서는 생활용수에 이용하는 경우 pH 값이 5.8-8.5 사이여야 합니다. 이 범위 안에서는 물의 맛과 품질이 좋아지며, 인체에도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토양보전대책지역 내에서 시행할 수 있는 오염토양개선사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토양의 기술적 처리 및 보존사업
  2. 오염물질의 흡수력이 강한 식물식재사업
  3. 오염토양의 위생적 매립ㆍ정화사업
  4. 오염된 수로의 준설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오염토양의 기술적 처리 및 보존사업"은 오염된 토양을 기술적으로 처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그 토양을 보존하는 사업입니다. 이는 토양보전대책지역에서 시행할 수 있는 오염토양개선사업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보다는 오염물질을 흡수하거나 분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사업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 중 시설(반입정화시설 : 오염토양을 반입하여 정화하는 경우에 한함)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정화시설 200m2 이상, 보관시설 200m2 이상
  2. 정화시설 400m2 이상, 보관시설 400m2 이상
  3. 정화시설 600m2 이상, 보관시설 600m2 이상
  4. 정화시설 800m2 이상, 보관시설 800m2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정화시설 400m2 이상, 보관시설 400m2 이상"입니다.

    이유는 반입정화시설은 오염토양을 반입하여 정화하는 시설이므로, 정화시설의 크기가 중요합니다. 또한, 정화된 토양을 보관하는 보관시설도 필요하므로 보관시설의 크기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화시설과 보관시설의 크기가 모두 400m2 이상이어야 등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