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토양환경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양학개론

1. 토양의 용적비중이 1.17 이고, 입자비중이 2.55 일때 토양의 공극률은?

  1. 약 41.1%
  2. 약 45.9%
  3. 약 51.1%
  4. 약 54.1%
(정답률: 71%)
  •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공극률 = (1 - (용적비중/입자비중)) x 100 이 됩니다. 따라서, 공극률 = (1 - (1.17/2.55)) x 100 = 약 54.1%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토양의 연경도를 나타내는 소성(plastic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이 소성을 가지는 최소 수분함량을 소성하한 또는 소성한계라 한다.
  2. 소성상한과 액성한계의 차이를 소성지수라 한다.
  3. 액성한계는 소성상태에서 액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수분함량이다.
  4. 소성은 힘을 가했을 때 물체가 파괴되는 일이 없이 단지 모양만 변화되고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정답률: 72%)
  • "소성은 힘을 가했을 때 물체가 파괴되는 일이 없이 단지 모양만 변화되고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는 소성의 정의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이다.

    소성지수는 소성상한과 액성한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토양의 연경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소성상한은 토양이 소성을 가지는 최소 수분함량을 말하며, 액성한계는 소성상태에서 액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수분함량을 말한다. 따라서 소성지수는 토양의 수분함량에 따라 소성상태와 액성상태를 왔다갔다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NAP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APL이 지하로 유입되면 물과의 무게 차이에 따라 분포 상태와 위치가 달라진다.
  2. NAPL은 물에 쉽게 용해되어 물과 함께 유체형태로 존재한다.
  3. NAPL의 이동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NAPL의 누출량, 누출의 표면적과 침투면적, 누출 후 경과시간 등이다.
  4. DNAPL은 TCE, PCE, 1,1,1-TCA 등이다.
(정답률: 73%)
  • "NAPL은 물에 쉽게 용해되어 물과 함께 유체형태로 존재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NAPL은 물과 혼합되지 않는 비수용성 유체이며, 물과는 분리되어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일반적 유기오염물질의 주요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압
  2. 용해도적
  3. 분해상수
  4. 옥탄올/물 분배계수
(정답률: 78%)
  • 일반적 유기오염물질의 주요 특성은 증기압, 분해상수, 옥탄올/물 분배계수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용해도적"은 다른 세 가지와는 다르게 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특성을 나타냅니다. 용해도적은 유기화합물이 물에 용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특성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표적인 점토광물인 kaolini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규소사면체층과 알루미늄팔면체층이 1:1로 결합된 광물이다.
  2. 우리나라 토양의 대표적 점토광물이다.
  3. kaolinite함량이 높은 토양은 통수 및 통기성이 좋다.
  4. kaolinite 광물에서 동형치환이 주로 일어난다.
(정답률: 83%)
  • "kaolinite 광물에서 동형치환이 주로 일어난다."는 옳은 설명이다. 동형치환은 같은 크기와 전하를 가진 이온이 서로 교체되는 화학 반응으로, kaolinite 광물에서는 알루미늄 이온과 교환 가능한 다른 이온들이 침전되어 동형치환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토양의 사막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조지를 포함한 개발도상국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구압에 대응하기 위한 삼림의 벌목, 관개농업 확대 등 같은 인위적인 요인이 급속한 사막화를 진행 시킨다.
  2.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식생의 빈약화와 생물 생성 능력의 초기손실을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토양 표면의 염류와 알칼리류의 급속한 소실로 토양열화가 초래된다.
  4. 사막화는 특히 건조지 또는 반건조지의 농경지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토양열화의 문제이다.
(정답률: 83%)
  • "토양 표면의 염류와 알칼리류의 급속한 소실로 토양열화가 초래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염류와 알칼리류가 토양에서 제거되면 토양의 pH가 낮아지고, 이는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저해하고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여 토양의 생산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 토양이 건조해지고, 결국 사막화가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양에서 일어나는 흡착 모델인 랭그미어(Langmuir) 흡착등온모델의 전제가 되는 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착은 흡착지점이 고정된 단일 흡착층에서 일어난다.
  2. 흡착은 비가역적이다.
  3. 표면에 흡착된 분자는 옆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4. 흡착에너지는 모든 지점에서 동일하다.
(정답률: 75%)
  • "흡착은 비가역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흡착은 일반적으로 비가역적이지만, 일부 경우에는 역흡착이 발생하여 흡착물질이 다시 용액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는 흡착물질과 용액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흡착은 흡착지점이 고정된 단일 흡착층에서 일어난다는 것은 맞으며, 표면에 흡착된 분자는 옆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도 맞다. 또한, 랭그미어 흡착등온모델은 흡착에너지가 모든 지점에서 동일하다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하수의 비전도도와 전기전도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전도도는 1개 물질이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2. 비전도도는 특정온도하에서 단위길이나 단위단면적을 갖는 물체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3. 지하수내에 이온이 많을수록 전기저항이 감소되고 전기전도도는 증가한다.
  4. 정확한 의미로 전기전도도는 체적전기전도도와 동의어이며 체적저항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67%)
  • "정확한 의미로 전기전도도는 체적전기전도도와 동의어이며 체적저항의 제곱에 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전기전도도는 단위 길이 또는 단위 면적의 물질 내 전류 흐름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체적전기전도도는 단위 체적 내 전류 흐름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또한, 전기전도도는 체적저항의 역수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토양을 분석한 결과 pH 6.0, 점토 95%, 부식 5%로 나타났다. 토양의 CEC를 추정하면 얼마인가?(단, 점토와 부식의 CEC가 각각 10 cmolc/kg, 100cmolc/kg 이라고 가정하며 나머지는 고려하지 않음)

  1. 12.5 cmolc/kg
  2. 14.5 cmolc/kg
  3. 16.5 cmolc/kg
  4. 18.5 cmolc/kg
(정답률: 72%)
  • CEC는 양이온 교환 용량을 의미하며, 양이온 교환 용량은 토양 내 양이온이 흡착될 수 있는 최대 양이온 양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점토와 부식의 CEC가 각각 10 cmolc/kg, 100cmolc/kg 이므로, 토양의 CE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EC = (점토 비율 × 점토의 CEC) + (부식 비율 × 부식의 CEC)
    = (0.95 × 10) + (0.05 × 100)
    = 9.5 + 5
    = 14.5 cmolc/kg

    따라서, 정답은 "14.5 cmolc/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하수 환경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이나 용질이 지하수의 공극유속(pore water velocity)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뜻하는 것은?

  1. 이류
  2. 수리분산
  3. 수리확산
  4. 평류
(정답률: 80%)
  • 이류는 지하수의 공극유속과 같은 속도로 오염물질이나 용질이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하수 오염물질의 이동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이류는 속도와 관련된 용어로, 가장 정확하게 지하수 오염물질의 이동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 용어 및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극률이란 대수층 내에 발달된 틈 및 공간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2. 비산출률(specific yield)이란 표면장력으로 인해 중력배수가 되지 않고 공극 내의 지질매체에 부착되어 있는 물의 체적과 전체 체적의 비를 말한다.
  3. 비보유율(specific retention)은 단위체적의 지하수 저수지와 그 저수지로부터 지하수를 배출시키고 난 다음 대수층 내에 남아 있는 양과의 비를 말한다.
  4. 공극률은 정량적으로는 대수층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의 전 체적에 대한 시료 내의 전 공간 및 틈의 체적과의 비를 의미한다.
(정답률: 78%)
  • 공극률은 대수층 내에 발달된 틈 및 공간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맞지만, 정량적으로는 대수층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의 전 체적에 대한 시료 내의 전 공간 및 틈의 체적과의 비를 의미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정량적으로는 대수층 내의 공간과 틈을 측정하여 전체 대수층 체적에 대한 공극률을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모래에 지하수를 장기간 중력배수 시켰을 때, 모래의 비산출률이 0.30 이고 모래의 공극률이 0.60 이라면 비보유율은?

  1. 0.018
  2. 0.30
  3. 0.50
  4. 2.0
(정답률: 78%)
  • 비보유율은 비산출률과 공극률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비보유율은 0.30 x 0.60 = 0.18 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30"이 아니라 "0.0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토양수분 중 흡습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도가 높은 대기 중에 토양을 놓아두었을 때 대기로부터 토양에 흡착되는 수분이다.
  2. pF 4.5 이상이다.
  3. 결합수와 달리 식물이 직접 흡수 이용할 수 있다.
  4. 105~110℃에서 8~10시간 건조시키면 제거된다.
(정답률: 83%)
  • "결합수와 달리 식물이 직접 흡수 이용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결합수는 토양 입자와 결합하여 이용할 수 없는 수분이고, 흡습수는 토양 입자에 흡착되어 이용 가능한 수분이다. 따라서 결합수와 달리 흡습수는 식물이 직접 흡수하여 이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점토 광물 중 비표면적이 가장 작은 것은?

  1. Chlorite
  2. Kaolinite
  3. Montmorillonite
  4. Allophane
(정답률: 75%)
  • Kaolinite은 비표면적이 가장 작은 점토 광물입니다. 이는 Kaolinite의 입자 크기가 작고, 입자 간 간격이 작기 때문입니다. 또한 Kaolinite은 1:1 광물로서, 각 입자가 하나의 광물 단위를 형성하므로 비표면적이 작습니다. 반면에 Chlorite, Montmorillonite, Allophane은 2:1 광물로서, 입자 간 간격이 크고, 입자 크기도 크기 때문에 비표면적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PH가. 0.5g/kg으로 오염된 토양 100g 과 1.0g/kg으로 오염된 토양 200g을 혼합하였다. 완전히 혼합된 최종 TPH 농도는? (단, 분해 등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812 mg/kg
  2. 833 mg/kg
  3. 856 mg/kg
  4. 876 mg/kg
(정답률: 63%)
  • 0.5g/kg으로 오염된 토양 100g은 TPH가 0.05g을 포함하고, 1.0g/kg으로 오염된 토양 200g은 TPH가 0.2g을 포함한다. 따라서, 총 TPH 양은 0.05g + 0.2g = 0.25g이다. 이를 혼합한 총 양은 100g + 200g = 300g이므로, 최종 TPH 농도는 0.25g / 300g = 0.000833 또는 833 mg/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33 mg/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토양오염의 특징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의 인지성
  2. 오염경로의 다양성
  3. 피해발현의 완만성
  4. 타 환경인자와의 영향관계의 모호성
(정답률: 75%)
  • "오염의 인지성"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토양오염이 시간이 지나면서 발견되거나 인지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양오염의 실제 범위와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 특징이다.

    "오염경로의 다양성"은 토양오염이 발생하는 경로가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산업활동, 농업활동,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경로로 인해 토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피해발현의 완만성"은 토양오염이 발생한 후 피해가 나타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토양오염이 발생한 후 즉시 피해가 나타나지 않아서 발견이 어려울 수 있다.

    "타 환경인자와의 영향관계의 모호성"은 토양오염이 다른 환경인자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해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토양오염의 영향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금속오염으로 인한 대표적인 질병 및 증상과 오염원을 짝지은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g - 미나마타병 - 광산, 제련공장
  2. As - 피부염증 - 광산 및 제련소
  3. Pb - 이따이이따이병 - 도금, 피혁제조
  4. Zn - 피부염 - 도금공장
(정답률: 82%)
  • 정답은 "Pb - 이따이이따이병 - 도금, 피혁제조" 이다. Pb는 도금 및 피혁제조에서 사용되는 중금속이지만, 이따이이따이병은 Pb 중독으로 인한 질병이 아니라 치매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Pb 중독은 주로 공기나 물 등을 통해 인체에 흡수되며, 신경계, 혈액, 심장 등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양의 수직단면의 성층 구성 중 무기물층으로서 아직 토양생성작용을 받지 않은 모재층은?

  1. C층
  2. E층
  3. A층
  4. D층
(정답률: 85%)
  • 정답은 "C층"입니다. C층은 토양생성작용을 받지 않은 모재층으로, 다른 층들과는 달리 무기물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A층, D층, E층은 이미 토양생성작용을 받아 유기물과 미네랄이 혼합된 토양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중 저유(Storage)특성의 주요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유계수(storage coefficient)
  2. 비저유계수(specific storage coefficient)
  3.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
  4. 비산출률(specific yield)
(정답률: 76%)
  • 포화대의 수리지질학적 특성 중 저유(Storage)특성은 지하수 저장공간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유계수(storage coefficient)와 비저유계수(specific storage coefficient)는 이 특성의 주요인자입니다. 반면에,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는 지하수의 이동성과 관련이 있으며, 지하수의 이동성과 저장공간의 크기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수리전도도는 이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비산출률(specific yield)은 지하수 저장공간에서 지하수가 얼마나 쉽게 배출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 역시 저장공간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질산성 질소(NO3--N)의 농도가 20mg/L라면 NO3-의 농도는?

  1. 68.6mg/L
  2. 78.6mg/L
  3. 88.6mg/L
  4. 98.6mg/L
(정답률: 59%)
  • NO3--N의 분자량은 62g/mol이다. 따라서 1mg/L의 NO3--N은 62/14 = 4.43mg/L의 NO3-에 해당한다. 따라서 20mg/L의 NO3--N은 20 x 4.43 = 88.6mg/L의 NO3-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88.6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실험을 위한 일반적인 총칙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측정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측정기기는 공정시험기준에 의한 측정치와의 정확한 보정을 행한 후 사용할 수 있다.
  2. 현장측정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측정기기는 공정시험기준에 의한 측정치와의 정확한 보정을 행한 후 사용할 수 있다.
  3. 하나 이상의 시험방법으로 시험한 결과가 서로 달라 제반 기준의 적부 판정에 영향을 줄 경우에는 실험별 정밀도로 판정한다.
  4. 정량한계는 지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을 경우 그 시험방법에 대한 최소 정량한계를 의미한다.
(정답률: 76%)
  • "하나 이상의 시험방법으로 시험한 결과가 서로 달라 제반 기준의 적부 판정에 영향을 줄 경우에는 실험별 정밀도로 판정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실험별 정밀도로 판정하는 것은 올바른 판정 방법이 아니며, 대신에 다른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정확한 판정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실험별 정밀도로 판정하면 실험의 불확실성을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유기인화합물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정제용 칼럼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실리카겔 칼럼
  2. 플로리실 칼럼
  3. 활성탄 칼럼
  4. 폴리아미드 칼럼
(정답률: 71%)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정제용 칼럼으로 실리카겔 칼럼, 플로리실 칼럼, 활성탄 칼럼 등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폴리아미드 칼럼은 유기인화합물을 분리하는 데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폴리아미드 칼럼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유기인화합물을 측정할 때 사용되지 않는 칼럼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지역에서 시안 시험용 시료 채취 지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농경지 또는 기타 지역의 구분 없이 대상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1개 지점을 선정한다.
  2. 농경지 또는 기타 지역의 구분 없이 대상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5~10개 지점을 선정한다.
  3. 농경지는 지그재그형으로 5~10개 지점을 선정하고 기타 지역은 중심과 주변 4방위 1개 지점씩 총 5개 지점을 선정한다.
  4. 농경지는 지그재그형으로 5~10개 지점을 선정하고 기타 지역은 중심과 주변 4방위 2개 지점씩 총 9개 지점을 선정한다.
(정답률: 68%)
  • 일반지역에서 시안 시험용 시료 채취 지점은 대상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1개 지점을 선정해야 한다. 이는 대상지역의 특성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지점을 선택하여 시안 시험용 시료를 채취하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농경지와 기타 지역을 구분하여 여러 개의 지점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반지역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6가 크롬(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청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
  2. 청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460nm에서 측정
  3. 적자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
  4. 적자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460nm에서 측정
(정답률: 78%)
  • 적자색의 착화합물은 540nm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기 때문에 이 파장에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파장이 다른 다른 파장에서 측정하면 흡광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자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의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수행 절차 중 가장 먼저 수행하여야 하는 단계는?

  1. 위해도 결정
  2. 노출경로 선택
  3. 위해성 판단 방법
  4. 정화목표치 계산방법
(정답률: 76%)
  •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때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하는 단계는 노출경로 선택입니다. 이는 평가 대상 지역에서 인체가 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평가 방법과 정화목표치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출경로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나머지 단계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을 퍼지-트랩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하여 측정할 때 정량한계는?

  1. 각 항목별 0.1mg/kg
  2. 각 항목별 0.5mg/kg
  3. 각 항목별 1.0mg/kg
  4. 각 항목별 5.0mg/kg
(정답률: 64%)
  • 정량한계는 해당 물질이 측정기기에서 감지될 수 있는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퍼지-트랩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하여 측정할 때 각 물질의 정량한계는 0.1mg/kg입니다. 이는 해당 기기에서 각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 농도로, 이하의 농도는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각 항목별 0.1mg/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pH 값이 20℃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는 pH 표준액은?

  1. 수산화칼슘 표준액
  2. 프탈산염 표준액
  3. 인산염 표준액
  4. 붕산염 표준액
(정답률: 66%)
  • pH 값이 낮을수록 산성이므로, 가장 강한 산성을 가진 표준액이 가장 낮은 pH 값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프탈산염 표준액이 가장 낮은 pH 값을 가지므로 정답이다. 프탈산염은 강한 산성을 가지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pH 값이 낮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퍼지-트랩기체크로마토그래피)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사염화탄소
  2. 메틸알코올
  3. 클로로폼
  4. 에틸렌글리콜
(정답률: 79%)
  •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은 모두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로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질 측정 시 이러한 물질들의 농도를 측정하여 안전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틸알코올은 실내공기질 측정 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정 대상 물질 중 하나이다. 이는 메틸알코올이 다른 VOCs에 비해 농도가 높게 측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메틸알코올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여 안전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에서 시료의 채취 및 보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단, 봉이 들어있는 타격식, 나선식 토양시추장비 기준)

  1. ± 5cm
  2. ± 10cm
  3. ± 15cm
  4. ± 30cm
(정답률: 83%)
  • 토양시추장비인 봉이 들어있는 타격식, 나선식은 일정한 깊이까지만 채취가 가능하므로, 시료 채취 시 깊이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존 및 분석을 위해 시료 채취 시 깊이를 ± 15cm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저장물질이 있는 누출검사 대상시설-기상부의 시험법인 미가압법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압 후 15분 이상 유지시간을 두어 안정시키고 그 이후 15분 동안의 압력강하를 측정한다.
  2. 가압 중에 노출되어 있는 배관접속부 등에 비눗물 등을 뿌려 누출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 가압속도는 누출검사대상시설 공간용적 1m3 당 1분 이상이 되도록 가압시간을 조정한다.
  4. 누출검사대상시설내 기상부 높이가 200mm 이상인가를 확인한 후 가압한다.
(정답률: 72%)
  • "누출검사대상시설내 기상부 높이가 200mm 이상인가를 확인한 후 가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누출검사 대상시설의 기상부 높이와는 관계없이 가압 전에 누출검사를 수행해야 하며, 이후 가압을 진행한다. 이는 누출검사를 통해 누출이 있는 부분을 미리 파악하여 가압 시 안전하게 시험을 진행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총칙의 내용 중 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수는 약 100℃
  2. 냉수는 15℃ 이하
  3. 온수는 50~60℃
  4.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
(정답률: 79%)
  • 총칙의 내용 중 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입니다. 이는 온도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구체적인 규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온수는 50~60℃인 이유는, 이 온도 범위가 일반적으로 인체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너무 뜨거운 물은 피부를 상처시키고, 너무 차가운 물은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수는 50~60℃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열수는 약 100℃인 이유는, 물을 삶거나 소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냉수는 15℃ 이하인 이유는, 물이 너무 차가워서 인체에 불편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량한계와 표준편차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정량한계= 3 × 표준편차
  2. 정량한계= 3.3 × 표준편차
  3. 정량한계= 5 × 표준편차
  4. 정량한계= 10 × 표준편차
(정답률: 84%)
  • 정량한계는 일반적으로 평균값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표준편차는 데이터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량한계와 표준편차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정량한계가 10배의 표준편차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정량한계는 데이터의 분포를 고려하여 설정되는데, 대부분의 데이터가 평균값에서 3~4배 이내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배의 표준편차를 정량한계로 설정하면 대부분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토양정밀조사 단계인 기초조사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료조사
  2. 설문조사
  3. 청취조사
  4. 현장조사
(정답률: 70%)
  • 기초조사는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단계로, 자료조사, 청취조사, 현장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설문조사는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설문조사는 인간의 의견이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토양의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기초조사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문조사"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유리전극법을 사용한 수소이온농도 측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3배
  2. 5배
  3. 10배
  4. 20배
(정답률: 71%)
  • 유리전극법에서는 pH값이 1 증가할 때마다 수소이온농도가 10배씩 감소한다. 따라서 pH값이 1.3에서 2.3으로 증가하면 수소이온농도는 10배씩 감소하므로 3배가 아닌 10배이다. 따라서 pH값이 1.3에서 2.3으로 증가하면 수소이온농도는 5배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기인화합물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할 때 정밀도(% RSD)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정도보증/정도관리에 따라 산정)

  1. 정밀도는 측정값의 상재표준편차로 산출하여 그 값이 ±5% 이내 이어야 한다.
  2. 정밀도는 측정값의 상재표준편차로 산출하여 그 값이 ±10% 이내 이어야 한다.
  3. 정밀도는 측정값의 상재표준편차로 산출하여 그 값이 ±20% 이내 이어야 한다.
  4. 정밀도는 측정값의 상재표준편차로 산출하여 그 값이 ±30% 이내 이어야 한다.
(정답률: 72%)
  • 정밀도는 측정값의 상대표준편차로 산출하여 그 값이 ±30% 이내 이어야 한다. 이는 측정값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측정값들이 얼마나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밀도가 높을수록 측정값들이 일관성 있게 나타나며,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제한 pH 표준액은 경질 유리병 또는 폴리에틸렌병에 보관한다. 보통 산성 표준액은 몇 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하는가?

  1. 1개월
  2. 2개월
  3. 3개월
  4. 6개월
(정답률: 57%)
  • 산성 표준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pH 값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3개월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pH 표준액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1개월, 2개월, 6개월은 적절한 보관 기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하여 석유계총탄화수소를 측정할 때 정량한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석유계총탄화수소로 1.0mg/kg
  2. 석유계총탄화수소로 3.0mg/kg
  3. 석유계총탄화수소로 5.0mg/kg
  4. 석유계총탄화수소로 10.0mg/kg
(정답률: 63%)
  • 정량한계는 해당 분석 방법으로 측정 가능한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적용하여 석유계총탄화수소를 측정할 때, 정량한계는 해당 분석 방법의 민감도와 측정 장비의 한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량한계가 "석유계총탄화수소로 10.0mg/kg" 인 이유를 제시해야 합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높은 농도인 10.0mg/kg가 정량한계로 설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이보다 낮은 농도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PCB를 측정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검출기는?

  1. 전자포착검출기(Electron Capture Detector, ECD)
  2. 불꽃이온화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3. 광이온화검출기(Photo Ionization Detector, PID)
  4. 열전도도검출기(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TCD)
(정답률: 75%)
  • PCB는 전자포착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전자포착검출기(ECD)를 주로 사용하여 측정한다. ECD는 전자를 포착하는 물질과 전자를 검출하는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PCB와 반응하여 전자를 포착하면 전류가 감소하여 검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토양 중 수분함량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 중 수분을 0.1%까지 측정한다.
  2. 돌, 나무 등 눈에 보이는 협잡물 등은 제거한 후 시험해야 한다.
  3. 시료를 105~110℃의 건조기 안에서 4시간 이상 함량이 될 때 까지 건조한다.
  4. 채취된 시료는 8시간 이내에 증발 처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75%)
  • 채취된 시료는 8시간 이내에 증발 처리하여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즉시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하며, 시료를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방법으로 보관하여 측정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소이온농도 분석을 위한 시료를 조제할 때 사용되는 표준체는?

  1. 눈금간격 5 mm의 표준체(5 메쉬)
  2. 눈금간격 2 mm의 표준체(10 메쉬)
  3. 눈금간격 1 mm의 표준체(100 메쉬)
  4. 눈금간격 0.5mm의 표준체(200 메쉬)
(정답률: 61%)
  • 수소이온농도 분석을 위한 시료를 조제할 때는 일정한 입자 크기의 표준체를 사용하여 정확한 농도 측정을 위해 시료의 입자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눈금간격이 작은 2 mm의 표준체(10 메쉬)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눈금간격이 큰 다른 표준체들은 입자 크기가 불규칙하여 정확한 농도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전기 동력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이 타 기술과 비교하여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장의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토양 내 공극유체와 오염물질들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2. 물의 전기분해 반응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여 전기효율이 증가되어 진다.
  3. 굴착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현장상태를 유지하면서 오염토양을 복원할 수 있다.
  4. 전기삼투계수가 토양의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토양층으로 구성된 이질성이 큰 토양에서도 오염물질의 제거가 비교적 균일하다.
(정답률: 52%)
  • "물의 전기분해 반응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여 전기효율이 증가되어 진다."는 전기 동력학적 오염토양 복원기술의 장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는 옳은 설명이다.

    물의 전기분해 반응은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으로 분해되는데, 이 때 생성된 이온들은 전기장에 의해 이동하면서 전기전도도를 증가시킨다. 이는 오염물질의 이동을 촉진시켜 토양 내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면 전기효율도 증가하게 되어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독립영양미생물(화학합성 자가영양)의 탄소원-에너지원으로 옳은 것은?

  1. 유기탄소 -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
  2. 유기탄소 - 빛
  3. 이산화탄소 - 무기물의 산화환원반응
  4. 이산화탄소 - 빛
(정답률: 63%)
  • 독립영양미생물은 화학합성 자가영양을 하기 때문에 탄소원과 에너지원이 필요합니다. 이산화탄소는 무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모두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무기물에서 전자를 빼앗아 산화되면서 에너지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탄소원을 화학합성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독립영양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기 위해 포화대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지하수를 폭기 시킴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휘발시켜 제거하는 원위치 기술은?

  1. 에어스파징(air sparging)
  2. 에어위싱(air washing)
  3. 에어벤팅(air venting)
  4. 에어스트리핑(air stripping)
(정답률: 67%)
  • 에어스파징은 지하수를 폭기시키면서 포화대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휘발시켜 제거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지하수와 공기 사이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지하수를 직접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식물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에 대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nitroreductase - RDX 분해
  2. dehalogenase - TCE 분해
  3. peroxidase - 제초제 분해
  4. laccase - 탄약폐기물 분해
(정답률: 62%)
  • 효소 peroxidase는 식물에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산화시켜서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초제 분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오히려 peroxidase는 환경오염물질을 분해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저온 열탈착법(Low 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의 장,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처리효율이 높고 단기간에 처리가 가능하다.
  2. 카드뮴이나 수은 등을 비롯한 거의 모든 중금속 정화에 효과가 탁월하다.
  3. 다른 정화기술에 비해 높은 에너지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낮다.
  4. 수분함량이 높거나 점토 및 휴믹산 등을 높게 함유한 토양의 경우 반응신간이 길어지고 처리비용이 증가한다.
(정답률: 59%)
  • 저온 열탈착법의 장점으로는 처리효율이 높고 단기간에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다른 정화기술에 비해 높은 에너지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낮다는 것과 수분함량이 높거나 점토 및 휴믹산 등을 높게 함유한 토양의 경우 반응신간이 길어지고 처리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이 있다. 따라서, "카드뮴이나 수은 등을 비롯한 거의 모든 중금속 정화에 효과가 탁월하다."는 저온 열탈착법의 장점 중 하나이다. 이는 저온 열탈착법이 중금속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기화학물질의 생분해능은 화합물의 분자구조에 크게 의존한다. 다음 조건 중 대상 오염물질이 일반적으로 난분해성 경향을 갖게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분자내에 많은 수의 할로겐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2.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3.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
  4.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
(정답률: 72%)
  •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난분해성 경향을 갖지 않는다. 이는 분자 내의 결합이 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분자내에 많은 수의 할로겐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은 생분해능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이는 분자 구조가 복잡하고 안정성이 높아서 생분해균이 분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하수면 아래 대수층이 TCE 오염운에 의해 오염 되었다. 오염 대수층의 체적은 20000 m3 이고 매질의 공극률이 0.3 이며, 오염운 내 지하수의 평균 TCE 농도가 1.0mg/L 이라면, 오염운의 지하수내 존재하는 TCE 총량은?

  1. 2.0 kg
  2. 3.0 kg
  3. 4.0 kg
  4. 6.0 kg
(정답률: 55%)
  • TCE 오염운 내 지하수의 평균 농도가 1.0mg/L 이므로, 1L의 지하수에는 1.0mg의 TCE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20000 m3의 오염 대수층에는 20000 x 1000 L/m3 = 20,000,000 L의 지하수가 존재하며, 이 중 TCE가 포함된 지하수의 양은 20,000,000 L x 1.0 mg/L = 20,000 kg 이다. 그러나 이 중 오염 대수층에 존재하는 TCE의 양은 매질의 공극률이 0.3이므로, 20,000 kg x 0.3 = 6,000 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벤젠 40kg으로 오염된 토양을 원위치 생물학적 복원기술에 의해 정화하고자 한다. 다음의 조건에 의해 벤젠이 완전 분해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과산화수소로 공급한다면 필요한 과산화수소의 양(kg)은? (단, 벤젠 C6H6, 과산화수소 H2O2, 2H2O2 → 2H2O + O2 )

  1. 143
  2. 184
  3. 226
  4. 262
(정답률: 57%)
  • 벤젠의 분해식은 C6H6 + O2 → 6CO2 + 3H2O 이다. 이 식에서 벤젠 1몰당 필요한 산소의 양은 15몰이므로, 40kg의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40/78.11 = 0.512 몰의 산소가 필요하다. 과산화수소 1몰당 산소 1몰이 방출되므로, 0.512 몰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0.512 몰의 과산화수소가 필요하다. 과산화수소의 몰량은 34.01 g/mol 이므로, 0.512 몰의 과산화수소는 0.512 x 34.01 = 17.38 g = 0.01738 kg 이다. 따라서, 필요한 과산화수소의 양은 약 0.017 kg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143", "184", "226", "262" 중에서 "26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세정공정으로 TCE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고자 한다. 오염토양 내 TCE 1 kg을 모두 용해시키기 위해 필요한 계면활성제를 10L/hr 유량으로 공급할 경우 공급시간은? (단, 계면활성제 내 TCE 용해도 4g/L)

  1. 5 hr
  2. 10 hr
  3. 25 hr
  4. 50 hr
(정답률: 42%)
  • TCE 1 kg을 용해시키기 위해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양은 TCE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1 kg / 4 g/L = 250 L이다. 따라서, 10 L/hr 유량으로 공급할 경우 공급시간은 250 L / 10 L/hr = 25 hr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 h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토양세척장치 종류 중 교반 세척방식에 해당되는 장치의 형태는?

  1. 진동체형
  2. 유동상형
  3. 회전드럼형
  4. 스크루형
(정답률: 71%)
  • 스크루형 토양세척장치는 토양을 회전하는 나사형 스크류를 이용하여 교반 세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토양과 물이 스크류를 따라 움직이면서 세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반 세척방식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과 같이 바이오벤팅(bioventing) 기술을 적용할 때, 평균산소 소모율(%O2/day)은? (단, 주입공기량 100m3/day, 초기산소농도 21%,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 3%, 토양체적 1000m3, 토양공극율 0.2)

  1. 3
  2. 4
  3. 6
  4. 9
(정답률: 46%)
  • 바이오벤팅은 오염된 토양에서 생물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공기를 토양 속으로 주입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킨다.

    평균산소 소모율은 주입된 공기량과 초기산소농도, 그리고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주입공기량이 100m3/day이고, 초기산소농도가 21%,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가 3%로 주어졌다.

    토양체적과 토양공극율은 평균산소 소모율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평균산소 소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산소 소모율 = 주입공기량 × (초기산소농도 -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 / 100

    = 100 × (21 - 3) / 100

    = 1.8

    따라서, 평균산소 소모율은 1.8%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투수성 반응벽체(PRB)의 공정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RB은 원위치 오염방지 구조물이다.
  2. PRB는 오염지역 밖으로 지하수의 이동을 막는 것이므로 비용측면에서 효과적이다.
  3. PRB는 산성광산폐수에서 방사성동위원소까지 오염된 지하수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
  4. PRB는 지중의 반응존(reactive zone)으로 오염물을 이동시키는 자연적인 지하수 흐름에 의존한다.
(정답률: 50%)
  • "PRB는 지중의 반응존(reactive zone)으로 오염물을 이동시키는 자연적인 지하수 흐름에 의존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B는 지하수의 이동을 막는 구조물로, 지하수 흐름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의 이동을 차단하여 오염물질의 이동을 막는다. 따라서 PRB는 비용측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전기정화기술에서 포화된 지중 내에 전극을 삽입하고 직류 전원을 연결하였을 때 양극(+)에서 발생되는 반응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2H2O + 2e- → H2↑ + 2OH-
  2. 2H2O - 4e- → O2↑ + 4H+
  3. 2H2O - 4e- → H2↑ + 4H+
  4. 2H2O + 2e- → 02↑ + 2OH-
(정답률: 62%)
  • 정답은 "2H2O - 4e- → O2↑ + 4H+"입니다.

    이 반응식은 수소 이온(H+)과 수소 분자(H2)가 산화되어 산소 분자(O2)와 물(H2O)이 생성되는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양극에서 일어나며, 전극에 연결된 직류 전원은 전극과 지중의 물을 전기적으로 분해하여 이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 반응은 동전기정화기술에서 지하수나 지중 물을 산화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토양증기추출과 비교한 Bioventing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추가적인 영양염류의 공급이 필요
  2. 장치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함
  3. 배출가스 처리의 추가비용 필요
  4. 적용부지의 범위가 넓음
(정답률: 55%)
  • Bioventing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출가스 처리의 추가비용 필요"이다. Bioventing은 토양 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공기를 토양에 주입하는 기술로, 배출가스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나 비용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토양오염을 Air Sparging 방법을 적용하여 처리할 때 영향을 주는 인자의 유리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수층종류 : 피압 대수층
  2. 오염물질의 호기성 생분해능 : 높음
  3. 오염물질의 헨리상수(atmㆍm3/mol) : 10-5 이상
  4. 오염물질의 용해도 : 낮음
(정답률: 62%)
  • 오염물질의 용해도가 낮은 것이 유리한 조건이 아닙니다. 오히려 오염물질이 물에 잘 용해되어 있을수록 Air Sparging 방법의 효과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용해도 : 높음"이 유리한 조건입니다.

    "대수층종류 : 피압 대수층"은 Air Sparging 방법을 적용할 때 유리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피압 대수층은 지하수가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할 때 압력이 높아지는 지층을 말합니다. 이러한 지층에서 Air Sparging을 적용하면 오염된 지하수를 상층으로 밀어내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수층종류 : 피압 대수층"은 유리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하수 내 벤젠의 농도가 50 mg/L 이다. 일차 감쇠상수(first-order decay rate)가 0.005/day 일 때 3년 후 지하수 내 벤젠의 농도(mg/L)는?

  1. 0.18
  2. 0.21
  3. 0.35
  4. 0.42
(정답률: 58%)
  • 일차 감쇠법에 따라 벤젠의 농도는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합니다. 따라서 3년 후 벤젠의 농도는 3 x 365 = 1095 일이 지난 후의 농도입니다.

    일차 감쇠상수는 0.005/day 이므로, 1일 후 벤젠의 농도는 50 x e^(-0.005 x 1) = 49.75 mg/L 입니다.

    1095일 후 벤젠의 농도는 50 x e^(-0.005 x 1095) = 0.21 mg/L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2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투수성 반응벽의 처리매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회는 산성 지하수를 중성화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2. 석회는 카드뮴, 철, 크롬 금속을 제거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3. 제오라이트와 합성이온교환수지는 수명이 짧고 고가이며 재활성화 하는데 문제가 있어 경제적인 면에서 적용성이 적다.
  4. 활성탄은 유기물질로 오염된 지하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59%)
  • 석회는 카드뮴, 철, 크롬 금속을 제거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유는 석회는 산성 지하수를 중성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산성 지하수에서 발생하는 금속 이온들과는 화학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드뮴, 철, 크롬 금속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처리매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벤젠의 농도가 12.0 mg/L 인 지하수에서 미생물의 호기성 분해에 의하여 분해가 일어나고 있다. 이 대수층의 산소농도가 6.0 mg/L 이며 산소 소비율이 (3mg/L-O2)/(1mg/L-벤젠)인 경우 분해 후 최종 벤젠농도(mg/L)는? (단, 다른 곳으로 부터의 산소공급은 없다고 가정)

  1. 10
  2. 5
  3. 8.4
  4. 2
(정답률: 41%)
  • 산소 소비율은 3:1 이므로, 1mg/L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3mg/L-O2 가 필요하다. 따라서, 12.0 mg/L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36.0 mg/L-O2 가 필요하다.

    하지만, 대수층의 산소농도는 6.0 mg/L 이므로, 최대로 분해될 수 있는 벤젠의 양은 6.0/3 = 2.0 mg/L 이다. 따라서, 최종 벤젠농도는 12.0 - 2.0 = 10.0 mg/L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기오염 물질의 휘발성이 낮아지는 순서로 나열된 것은?(단, 휘발성 높음 > 휘발성 낮음)

  1. PCB > 석유탄화수소 > PAH
  2. 휘발성 염화유기용매 > PCB > BTEX
  3. PAH > BTEX > PCB
  4. BTEX > 석유탄화수소 > PCB
(정답률: 70%)
  • BTEX는 휘발성이 높은 유기오염 물질로, 석유탄화수소보다 휘발성이 높습니다. PCB는 휘발성이 낮은 유기오염 물질로, 석유탄화수소와 PAH보다 휘발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BTEX > 석유탄화수소 > PCB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토양 정화를 위한 화학적 산화법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물질을 원위치에서 정화할 수 있음
  2. 화학적 산화법 적용 후, 기간 경과에 따른 오염물질 용존농도의 재증가가 없음
  3. 투수성이 낮은 토양에서는 오염물질과 산화제의 접속이 쉽지 않음
  4. 용존 오염물질의 오염운의 모양이 화학적 산화법의 적용을 통하여 변할 수 있음
(정답률: 64%)
  • "투수성이 낮은 토양에서는 오염물질과 산화제의 접속이 쉽지 않음"은 화학적 산화법의 단점 중 하나이다.

    화학적 산화법 적용 후, 기간 경과에 따른 오염물질 용존농도의 재증가가 없는 이유는 화학적 산화법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무해한 물질로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오염물질의 용해도나 안정성 등과 관계없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간 경과에 따른 재증가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

61. 다음 중 토양오염검사수수료가 가장 비싼 검사항목은?

  1. 불소
  2. 비소
  3. 수은
  4. 유기인
(정답률: 65%)
  • 정답은 "불소"입니다. 이는 불소가 다른 검사항목에 비해 측정이 어렵고, 측정에 사용되는 기기와 시약 등의 비용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불소는 인체에 대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검사 수수료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토양보전대책지역 지정표지판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표지판의 규격은 가로 3미처, 세로 2미터, 높이 1.5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표지판은 흰색 바탕에 청색 글씨로 지워지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3. 표지판에는 지정목적, 지정일자, 토양보전대책지역안에서 제한되는 행위, 토양보전대책지역 내역(주소, 면적, 약도)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4. 표지판은 사방에서 잘 보이는 곳에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토양보전대책지역 지정표지판은 가로 3미처, 세로 2미터, 높이 1.5미터 이상의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지정목적, 지정일자, 토양보전대책지역안에서 제한되는 행위, 토양보전대책지역 내역(주소, 면적, 약도)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표지판은 사방에서 잘 보이는 곳에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표지판은 흰색 바탕에 청색 글씨로 지워지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토양보전대책지역 지정표지판의 색상과 글씨체는 법령에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이용하는 경우 일반오염불질에 대한 지하수 수질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소이온농도(pH) : 5.8~8.5
  2. 총대장균군 : 5000 이하(군수/100mL)
  3. 질산성질소 : 20mg/L 이하
  4. 염소이온 : 200mg/L 이하
(정답률: 43%)
  • 지하수는 지하층에서 취한 물로, 지표면에서 오염된 물이 지하층으로 스며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지하수 수질기준에서는 일반오염물질인 총대장균군, 질산성질소 등을 제한하고, 염소이온도 제한합니다. 그 이유는 염소이온이 높으면 물의 맛이 나빠지고, 고농도일 경우에는 소금농도가 높아져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염소이온은 200mg/L 이하로 제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환경부장관이 토양관리단지 조성계획을 수립할 때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화된 토양의 재활용 및 보급에 관한 사항
  2. 오염토양 정화 계획
  3. 환경보전계획
  4. 교통시설 등 주요기반시설 설치 및 운영계획
(정답률: 46%)
  • 환경부장관이 토양관리단지 조성계획을 수립할 때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환경보전계획"과 "교통시설 등 주요기반시설 설치 및 운영계획"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오염토양 정화 계획"입니다. 이는 토양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계획으로, 이미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여 재활용하거나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는 토양관리단지 조성 이전에 이미 진행되어야 하는 사항이므로, 조성계획 수립 시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토양관련전문기관인 토양오염조사기관의 지정기준(기술인력 비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박사는 해당 분야 기사 자격취득 후 토양관련 분야 또는 해당 전문기술 분야에 5년 이상 종사한 사람으로 대체할 수 있다.
  2. 기술사는 해당 분야 기사 자격취득 후 토양관련 분야 또는 해당 전문기술 분야에서 5년 이상 종사한 사람으로 대체할 수 있다.
  3. 기사는 해당 분야 산업기사 자격취득 후 토양 관련분야 또는 해당 전문기술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사람으로 대체할 수 있다.
  4. 산업기사는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의 해당분야를 졸업하고 토양 관련분야 또는 해당 전문기술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사람이나 환경부장관이 인정하는 토양 지하수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수료한 사람으로 대체할 수 있다.
(정답률: 63%)
  • "박사는 해당 분야 기사 자격취득 후 토양관련 분야 또는 해당 전문기술 분야에 5년 이상 종사한 사람으로 대체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박사는 해당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으로, 기사나 기술사와 같은 기술인력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과는 별도로 인정되기 때문에 해당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기사는 해당 분야 산업기사 자격취득 후 토양 관련분야 또는 해당 전문기술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사람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는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이 해당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경우에도 토양오염조사기관 지정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대하여 변경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업장의 명칭이 변경되는 경우
  2. 대표자가 변경되는 경우
  3. 사업장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4.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저장하는 오염물질을 변경하는 경우
(정답률: 60%)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은 해당 시설에서 발생한 오염물질로 인해 지하수나 지표수 등 환경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에서는 오염물질의 저장, 운반, 처리 등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 법령에 따라 변경신고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사업장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시설의 위치가 변경되어 환경오염의 위험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변경신고가 필요합니다. 다른 경우에는 사업장의 운영상의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환경오염의 위험성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변경신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양오염대책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단, 1지역 기준)

  1. 구리 : 450mg/kg
  2. 납 : 600mg/kg
  3. 아연 : 900mg/kg
  4. 불소 : 300mg/kg
(정답률: 28%)
  • 토양오염대책기준에서 불소는 300mg/kg 이하로 유지해야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각각 구리는 450mg/kg 이하, 납은 600mg/kg 이하, 아연은 900mg/kg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는 기준이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은 "불소 : 300mg/kg" 이다. 이유는 불소가 과도하게 존재하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술인력에 대한 교육과정으로 옳은 것은?(단, 보수 교육 기준)

  1.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 마다 8시간
  2.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 마다 24시간
  3.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 마다 8시간
  4.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 마다 24시간
(정답률: 65%)
  • 정답은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5년 마다 8시간"입니다. 이유는 기술인력 교육과정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교육을 받을 때마다 장시간의 교육을 받는 것은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8시간 이하로 짧게 분할하여 교육을 받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5년 주기로 교육을 받는 것은 기술의 발전 속도와 교육을 받는 빈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토양환경보전법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오염물질 :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 토양을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토양오염 : 사업활동이나 그 밖의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것으로서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4. 토양처리업 : 토양을 적절한 방법으로 정화 처리하는 업을 말한다.
(정답률: 71%)
  • 정답: "토양처리업 : 토양을 적절한 방법으로 정화 처리하는 업을 말한다."

    설명: 토양처리업은 토양을 정화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토양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분해하는 등의 방법으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는 업을 말한다. 따라서 "토양을 적절한 방법으로 정화 처리하는 업"은 정확한 정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오염토양을 버리거나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6월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39%)
  • 오염토양을 버리거나 매립한 행위는 환경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처벌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엄격한 처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그 중에서도 더 가벼운 벌칙인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정답으로 나왔습니다. 이는 범죄의 경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벌칙을 부과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자연적인 원인에 의한 토양오염임을 입증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대상 지역의 변성
  2. 대상 지역의 기후변동
  3. 대상 부지의 지각변동
  4. 대상 부지의 기반암
(정답률: 64%)
  • 대상 부지의 기반암은 토양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기반암에 따라 토양의 특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상 부지의 기반암이 오염물질의 이동과 흡착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자연적인 원인에 의한 토양오염을 입증하는 대상 부지의 기반암을 포함시켰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오염원인자는 토양오염조사기관으로 하여금 오염 토양의 정화과정 및 정화완료에 대한 검증을 하게 할 때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내용 및 절차에 따라 오염토양 정화계획을 작성하여 관할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한 계획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변경할 때에도 또한 같다. 위 내용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토양의 양 또는 오염범위(20% 이상 증감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2. 토양오염물질의 오염정도(30% 이상 증감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3. 토양오염물질 종류
  4. 정화방법, 정화소요시간, 토양정화업자 또는 검증 할 토양관련전문기관
(정답률: 48%)
  • 정답: "토양오염물질의 오염정도(30% 이상 증감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토양오염물질의 오염정도가 30% 이상 증감하는 경우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모든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토양오염물질의 오염정도"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토양관련전문기관 중 토양오염조사기관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정밀조사
  2. 토양 위해성평가
  3. 오염토양 개선사업의 지도, 감독
  4. 토양오염도 검사
(정답률: 48%)
  • 토양오염조사기관은 토양오염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토양 위해성평가가 가장 거리가 먼 업무이다. 토양 위해성평가는 토양이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위해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오염원의 종류와 농도, 지하수와의 연결성 등을 고려하여 위해성을 평가한다. 이는 토양오염조사 이전에 수행되는 작업으로, 토양오염조사와는 별개의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토양정밀 조사명령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월
  2. 2월
  3. 3월
  4. 6월
(정답률: 60%)
  • 이미 1월, 2월, 3월에는 토양정밀조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음 조사는 6월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하수를 공업용수로 이용하는 경우 특정유해물질에 대한 지하수 수질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카드뮴 : 0.02 mg/L 이하
  2. 비소 : 0.01 mg/L 이하
  3. 시안 : 0.2 mg/L 이하
  4. 수은 : 0.001 mg/L 이하
(정답률: 38%)
  • 비소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서, 지하수 중에도 높은 농도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업용수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비소 농도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측정망설치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망 설치시기
  2. 측정망 배치도
  3. 측정대상 오염물질
  4. 측정지점의 위치 및 면적
(정답률: 61%)
  • 측정망 설치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측정망 설치시기, 측정망 배치도, 측정지점의 위치 및 면적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측정대상 오염물질입니다. 측정망 설치계획에는 측정대상 오염물질을 포함시켜야 하지만, 이는 측정망 설치계획의 일부가 아니라 측정대상 오염물질 조사 및 분석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측정대상 오염물질은 측정망 설치계획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오염물질 중 토양오염우려기준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 (단, 1지역 기준)

  1. 카드뮴
  2. 비소
  3. 수은
  4. 페놀
(정답률: 38%)
  • 비소는 다른 세 가지 오염물질과 달리 토양오염우려기준이 국가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1지역 기준에서는 다른 오염물질과 달리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오염토양개선사업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수변 지역 정화사업
  2. 오염토양의 위생적 매립, 정화사업
  3. 객토 및 토양개량제의 사용 등 농토배양사업
  4. 오염물질의 흡수력이 강한 식물식재사업
(정답률: 59%)
  • "오염수변 지역 정화사업"은 물과 관련된 오염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다른 세 가지는 토양과 관련된 오염을 개선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환경부장관, 시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 또는 토양관련전문기관은 상시측정, 토양오염실태조사, 토양정밀조사, 표토의 침식 현황 및 정도에 대한 조사와 위해성평가를 위해 소속 공무원 또는 직원으로 하여금 타인의 토지에 출입하여 그 토에 있는 나무, 돌, 흙이나 그 밖의 장애물을 변경 또는 제거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장은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토지 점유자는 적당한 사유 없이 관계 공무원 및 토양관련전문기관 직원의 행위를 방해하거나 거절하지 못한다. 이를 위반하여 정당한 사유 없이 관계 공무원 또는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직원의 행위를 방해 또는 거절한 자에 대한 과태료 기준?

  1. 100만원 이하
  2. 200만원 이하
  3. 300만원 이하
  4. 500만원 이하
(정답률: 46%)
  • 이유는 이 법률 위반이 경미한 경우에 대한 과태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법규 위반이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위해성평가 대상지역의 관리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29%)
  • 위해성평가 대상지역의 관리는 2년마다 실시되기 때문에 정답이 "2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