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토양환경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양학개론

1. 주유소에 대한 사전오염예방대책과 정화대책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방조벽 시설-고형화 안정화기술
  2. 이중벽시설-중화제를 이용한 화학적 처리기술
  3. 추출시설-저온 열탈착
  4. 부식산화 방지지설-토양증기추출법
(정답률: 46%)
  • 주유소에서는 연료 등의 유출로 인한 지하수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오염예방대책과 정화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먼저 부식산화 방지지설을 설치하여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고, 이후에 토양증기추출법을 이용하여 이미 발생한 지하수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유는 부식산화 방지지설은 지하수와 연결된 연료 저장 탱크 등의 부식과 산화를 방지하여 지하수 오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토양증기추출법은 이미 발생한 지하수 오염물질을 지하수와 함께 추출하여 정화하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기오염물질의 특성을 좌우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압
  2. 착염물질 형성도
  3. 헨리상수(공기/물 분배계수)
  4. 옥탄올/물 분배계수
(정답률: 71%)
  • 착염물질 형성도는 유기오염물질이 물과 결합하여 용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유기오염물질의 수용성과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며, 높은 착염물질 형성도를 가진 유기오염물질은 물과 쉽게 결합하여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착염물질 형성도는 유기오염물질의 분포와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토양에서 염기포화도(%)의 식으로 옳은 것은?

  1. (포화성염기총량/교환성염기용량)×100
  2. (교환성염기총량/포화성염기용량)×100
  3. (교환성염기총량/음이온교환용량)×100
  4. (교환성염기총량/양이온교환용량)×100
(정답률: 79%)
  • 정답은 "(교환성염기총량/양이온교환용량)×100" 입니다.

    이유는 토양에서 염기포화도는 양이온교환용량 대비 교환성염기총량의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즉, 토양 입자 표면에 존재하는 교환성 염기의 양이온교환용량 대비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교환성염기총량/양이온교환용량)×100"이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토양 컬럼실험결과 물의 수리전도도가 7m/day이었다. 동일한 조건의 컬럼에서 기름이 통과될 경우의 수리전도도(m/day)는? (단, 물의 동점도 : 1.8×10-3kg/mㆍs, 물의 밀도 : 1000kg/m3, 기름의 동점도 : 0.05kg/mㆍs, 기름의 밀도 : 625kg/m3)

  1. 약 0.08
  2. 약 0.16
  3. 약 0.32
  4. 약 0.64
(정답률: 35%)
  • 수리전도도는 토양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물성치이다. 따라서 물과 기름의 수리전도도는 각각의 유체가 토양 내부를 통과하는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물의 경우, 수리전도도가 7m/day이므로 1일에 7m를 토양 내부를 통과한다는 의미이다.

    기름의 경우, 물과는 다르게 동점도와 밀도가 더 낮기 때문에 더 빠르게 토양 내부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수리전도도는 7m/day보다 높아질 것이다.

    수리전도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K = qL / (AΔh)

    여기서,

    K : 수리전도도 (m/day)
    q : 유체의 유량 (m3/day)
    L : 토양의 길이 (m)
    A : 토양의 단면적 (m2)
    Δh : 유체의 수직 하강거리 (m)

    물과 기름의 경우, 토양의 길이와 단면적은 동일하므로 이 부분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물의 경우,

    K = q / (AΔh)

    기름의 경우,

    K기름 = q기름 / (AΔh기름)

    물과 기름의 유량은 동일하므로 q = q기름이다.

    물의 경우, Δh = L이다.

    기름의 경우, Δh기름는 물과는 다르게 토양 내부를 더 빠르게 통과하므로 L보다는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K기름 > K이므로 약 0.16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동대사작용(cometabolism)으로 호기성환경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시킬 때 이용되는 화합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염소
  2. 톨루엔
  3. 할로겐 화합물
  4. 과산화수소
(정답률: 52%)
  • 트리클로로에틸렌은 염소나 할로겐 화합물과 같은 강력한 산화제에 의해 분해될 수 있지만, 이는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에 톨루엔은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공동대사작용(cometabolism)을 통해 트리클로로에틸렌을 분해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톨루엔은 효과적이고 환경친화적인 트리클로로에틸렌 분해 화합물로 선택됩니다. 과산화수소는 트리클로로에틸렌 분해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리나라 토양의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질(모래)토양
  2. 낮은 유기물함량
  3. 중성토양
  4. 낮은 염기치환용량
(정답률: 79%)
  • "낮은 유기물함량", "낮은 염기치환용량", "사질(모래)토양"은 우리나라 토양의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로서 매우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하지만 "중성토양"은 우리나라 토양의 일반적인 특징 중에서는 거리가 먼 특징입니다. 중성토양은 pH가 중성인 토양으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토양은 산성토양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물에 포화된 토양컬럼(water saturated soil column) 입구에 4가지 물질을 동시에 주입하고 출구에서 4가지 물질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출구에서 가장 먼저 검출되는 물질은?

  1. 염소이온(Chloride)
  2. 사염화탄소(Carnbon tetrachloride)
  3.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4. 테트라클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
(정답률: 75%)
  • 물에 포화된 토양컬럼에서는 물질들이 물과 상호작용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물질들의 이동속도는 그 물질의 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염소이온은 물과 상호작용이 크기 때문에 다른 물질들보다 더 빠르게 이동하여 출구에서 가장 먼저 검출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염소이온(Chlorid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표적인 점토광물인 kaolinit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규소사면체층과 알루미늄팔면체층이 1:1로 결합된 광물이다.
  2. 우리나라 토양의 대표적 점토광물이다.
  3. kaolinite함량이 높은 토양은 통수 및 통기성이 좋다.
  4. kaolinite 광물에서 동형치환이 주로 일어난다.
(정답률: 65%)
  • "kaolinite 광물에서 동형치환이 주로 일어난다."는 옳은 설명이다. 동형치환은 같은 크기와 전하를 가진 이온이 서로 교체되는 화학 반응으로, kaolinite 광물에서는 알루미늄 이온과 교환 가능한 다른 이온들이 침전되어 동형치환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토양수의 이동에 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력에 의한 이동
  2. 표면장력에 의한 이동
  3. 수증기에 의한 이동 및 증발
  4. 토양입자의 인력에 의한 이동
(정답률: 59%)
  • 토양수의 이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력에 의한 이동은 경사면이 있을 때 발생하며, 표면장력에 의한 이동은 물 분자들이 토양 입자와 상호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수증기에 의한 이동 및 증발은 토양 내부의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어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토양입자의 인력에 의한 이동은 토양 입자들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양입자의 인력에 의한 이동"입니다. 이유는 토양입자의 인력에 의한 이동은 매우 작은 스케일에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토양수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유기물 60mmol이 미생물 활성에 의하여 12시간 후 40mmol이 되었다면 반응속도상수(hr-1)는? (단, 1차 반응 기준)

  1. 0.013
  2. 0.033
  3. 0.053
  4. 0.073
(정답률: 73%)
  • 1차 반응에서의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k[A]

    여기서 r은 반응속도, k는 반응속도상수, A는 반응물의 농도입니다.

    문제에서는 유기물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고 있으므로, A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 = A0 - rt

    여기서 A0은 초기 농도, t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반응속도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r = k(A0 - rt)

    문제에서는 12시간 후 유기물의 농도가 40mmol이 되었으므로,

    40 = 60 - 12k

    k = 0.0167 hr-1

    따라서, 반응속도상수는 k = 0.0167 hr-1 이며, 이를 시간당 분자량으로 환산하면 0.033 hr-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축분뇨나 두엄 등이 유입된 지하수를 음용할 경우 주로 어린아이들에게 청색증을 일으키는 물질은?

  1. 인산염
  2. 황산염
  3. 질산염
  4. 염화염
(정답률: 75%)
  • 가축분뇨나 두엄 등에서는 질산염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이 지하수에 유입되면, 질산염은 미생물에 의해 질소로 분해되어 질소산화물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물질은 물에 존재할 때 산화되어 아질산을 생성하며, 이 아질산은 청색증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가축분뇨나 두엄 등이 유입된 지하수를 음용할 경우 주로 어린아이들에게 청색증을 일으키는 물질은 질산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토양 중 유기물의 부식화과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지형경사도
  2. 유기물에 함유된 탄소와 질소함량
  3. 토양의 수소이온농도
  4. 토양광물의 모재
(정답률: 67%)
  • 유기물에 함유된 탄소와 질소함량은 토양 중 미생물의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기 위해 탄소와 질소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유기물에 함유된 탄소와 질소함량이 많을수록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져 토양 중 유기물의 부식화 과정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토양 교질에 가장 강하게 결합될 수 있는 양이온은?

  1. calcium
  2. aluminum
  3. sodium
  4. magnesium
(정답률: 49%)
  • 알루미늄은 3+ 양전하를 가지고 있어서 토양 교질의 음이온과 강하게 결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루미늄은 자연 환경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되기 때문에 토양 교질에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토양 교질에 가장 강하게 결합될 수 있는 양이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류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환경에서 자연저감이 일어나고 있다. 오염운 중심에서 질산염의 농도와 배경수질 농도가 각각 35mg/L와 5mg/L일 때 질산염에 의한 생분해능(EAC, mg/L)은?

  1. 6.3
  2. 10
  3. 16.5
  4. 31
(정답률: 29%)
  • 질산염의 생분해능은 질산염 농도와 배경수질 농도, 그리고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는 EAC = (C0 - C)/kT로 계산한다. 여기서 C0는 초기 농도, C는 시간 t에 대한 농도, k는 생분해 상수, T는 시간이다.

    이 문제에서는 C0 = 35mg/L, C = 5mg/L이므로 (C0 - C) = 30mg/L이다. 생분해 상수 k는 일반적으로 0.1 ~ 1.0/day 범위 내에 있다. 이 문제에서는 k = 0.2/day로 가정하자. 시간 T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30일 정도로 가정한다.

    따라서, EAC = (30mg/L) / (0.2/day x 30 days) = 6.3mg/L 이다. 따라서 정답은 "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모암의 풍화에 의해 생성된 토양은 물리화학 생물학적 변화를 거쳐 성숙되면서 지표면에 평형층을 형성한다. 토양단면의 형성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변형작용 : 풍화, 유기물 분해와 같이 토양성분의 분해와 결합과정
  2. 이동작용 : 유기 및 무기물질이 물과 유기물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
  3. 첨가작용 : 토양에 새로운 식생이 발현하는 작용이다.
  4. 제거작용 : 지하수에 의해 토양성분이 용출되는 작용
(정답률: 69%)
  • 첨가작용은 이미 존재하는 토양에 새로운 식물이나 동물이 발생하여 추가되는 작용을 말한다. 따라서 토양단면의 형성과정에 대한 설명으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첨가작용은 토양에 새로운 생물이나 유기물이 추가되어 토양의 생태계가 다양해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작용이다. 이는 토양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매립지 저면은 두께가 1m인 점토차수층(Ilner) 으로 되어 있다. 침출수의 평균수두가 해발표고 11m이고, 점토차수층 하부에 분포된 대수층의 평균수두가 해발 1m이며 점토층의 유효 공극률은 0.2, 수직투수계수는 10-7cm/sec일 때 침출수가 점토차수층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day)은? (단, 침출수는 점토 차수층과 반응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

  1. 약 132
  2. 약 231
  3. 약 552
  4. 약 1034
(정답률: 52%)
  • 침출수가 점토차수층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간 = (두께)² / (2 × 수직투수계수 × 유효 공극률 × 평균수두 차이)

    여기서 두께는 1m, 수직투수계수는 10-7cm/sec, 유효 공극률은 0.2, 평균수두 차이는 11m - 1m = 10m 이므로,

    시간 = (1)² / (2 × 10-7 × 0.2 × 10) = 250 일

    따라서, 정답은 "약 231" 이다. (단위는 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DNAPL(Dense Non Aqueous Phase Liquids)인 것은?

  1. 가솔린
  2. 식용유
  3. 벤젠
  4. 클로로벤젠
(정답률: 63%)
  • DNAPL은 지하수나 지하층에 침투하여 물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는 유체로, 지하수 오염물질 중 하나입니다. 클로로벤젠은 DNAPL 중 하나로, 지하수 오염물질로서 매우 위험한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양의 pH가 증가할 때 음이온치환용량의 변화는?

  1. 증가
  2. 감소
  3. 증가후 감소
  4. 감소후 증가
(정답률: 70%)
  • 토양의 pH가 증가하면, 양이온들이 더 많이 결합하여 토양 입자 표면에 더 많은 양이온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음이온치환용량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토양을 구성하는 모암 중 퇴적암에 속하지 않는 암석은?

  1. 사암
  2. 혈암
  3. 반려암
  4. 석회암
(정답률: 58%)
  • 토양을 구성하는 모암 중 퇴적암은 강, 바다, 호수 등에서 퇴적물이 쌓여서 생긴 암석을 말합니다. 따라서 사암, 혈암, 석회암은 모두 퇴적암에 속합니다. 하지만 반려암은 화산활동으로 인해 용암이 표면 위에 흘러나와서 식어서 생긴 암석으로, 퇴적암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려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에 대해서 틀린 것은?

  1. 확산이중층 내부의 양이온과 유리양이온이 서로 위치를 바꾸는 현상을 양이온치환이라하며 이의 크기를 양이온치환용이라 한다.
  2. 일정량의 토양 또는 교질물이 가지고 있는 치환성야잉온의 총량을 당량으로 표시한 것이며, 보통 토양이나 교질물 100g이 보유하는 치환성양이온의 총량을 mg당량으로 나타낸다.
  3. 토양이나 교질물 100g이 보유하고 있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수의 합과 같다.
  4. 일반적으로 pH가 증가할수록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은 증가하게 된다.
(정답률: 52%)
  • 정답은 "토양이나 교질물 100g이 보유하고 있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수의 합과 같다."가 맞다. 이유는 양이온치환용량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합으로 표시되며, 이는 토양이나 교질물 100g이 보유하고 있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수의 합과 같다. 따라서 이 문장은 틀린 내용을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다음 표준액 중 pH가 가장 높은 것은? (단, 0℃ 기준)

  1. 붕산염 표준액
  2. 프탈산염 표준액
  3. 인산염 표준액
  4. 수산염 표준액
(정답률: 55%)
  • "붕산염 표준액"이 pH가 가장 높은 이유는 붕산염이 강한 염기성을 띄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붕산염 표준액은 pH가 높아서 산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기에 관한 설명으로 ()에 알맞은 것은?

  1. 밀폐용기
  2. 기밀용기
  3. 밀봉용기
  4. 차단용기
(정답률: 50%)
  • 이 그림에서 보이는 용기는 밀봉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밀봉용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정량법 중에서 시료전처리, 시약 취급, 시료 주입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1. 외부표준법
  2. 표준물질첨가법
  3. 외삽법
  4. 내부표준법
(정답률: 63%)
  • 내부표준법은 시료와 내부표준물질을 함께 처리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시료전처리, 시약 취급, 시료 주입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내부표준물질은 시료와 유사한 물질로, 시료와 함께 처리되어 같은 조건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분석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표준법은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양시료 채취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안, 석유계 총탄화수소 등 시험용 시료는 농경지의 경우에는 중심이 되는 1개 지점과 주변 4 방위의 1~3m 거리에 있는 1개지점씩 총 5개 지점을 선정한다.
  2. 토양시료채취기가 없을 경우에 유기물질을 조사할 때에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고, 중금속의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의 모종삽 또는 삽 등과 같은 기구가 적합하다.
  3. 공장지역ㆍ매립지역 등 농경지가 아닌 기타지역의 경우는 대상지역의 중심이 되는 1개 지점과 주변 4 방위의 5~10m 거리에 있는 1개 지점과 주변 4 방위의 5~10m거리에 있는 1개 지점씩 총 5개 지점을 선정한다.
  4. 채취한 토양시료 중 나머지는 입구가 넓은 500mL이상 용량의 플라스틱병에 가득 담고 마개로 막아 밀봉한 후 냉동상태로 실험실로 운반하여 수분보정용 시료로 사용한다.
(정답률: 66%)
  • 공장지역ㆍ매립지역 등 농경지가 아닌 기타지역에서는 대상지역의 중심과 주변 4 방위의 5~10m 거리에 있는 총 5개 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PCBs를 분석할 때 간섭물질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고순도의 시약이나 용매를 사용하여 방해물질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2. 초자류는 사용 전에 아세톤, 분석 용매 순으로 각각 3회 세정한 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여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3. 전자포착검출기를 사용하여 PCB를 측정할 때 프탈레이트가 방해할 수 있는데 이는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최소화할 수 있다.
  4. 플로리실 컬럼 정제는 산, 염화페놀, 폴리클로로페녹시페놀 등의 극성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하며, 사용 전에 정제하고 활성화시켜야 한다.
(정답률: 53%)
  • "전자포착검출기를 사용하여 PCB를 측정할 때 프탈레이트가 방해할 수 있는데 이는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최소화할 수 있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PCB 분석 시에는 전자포착검출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플로리실 컬럼 정제는 산, 염화페놀, 폴리클로로페녹시페놀 등의 극성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하며, 사용 전에 정제하고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이는 간섭물질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또한, 초자류는 사용 전에 아세톤, 분석 용매 순으로 각각 3회 세정한 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여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고순도의 시약이나 용매를 사용하여 방해물질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0.01ppm
  2. 1mg/L
  3. 100ppb
  4. 1mg/kg
(정답률: 78%)
  • 농도는 단위 부피당 얼마나 많은 양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단위 부피당 물질의 양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0.01ppm"은 1백만 분의 0.01, 즉 1L의 물에 0.01m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1mg/L"은 1L의 물에 1m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100ppb"는 1백만 분의 100, 즉 1L의 물에 100μ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1mg/kg"은 1kg의 물에 1m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도가 가장 낮은 것은 "0.01p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저비점 석유류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BTEX의 측정에 적용하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검출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FID
  2. PID
  3. ECD
  4. GC/MS
(정답률: 53%)
  • BTEX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검출기 중에서는 FID (화염 이온화 검출기)와 PID (광전자 이온화 검출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ECD (전자 포획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합물의 검출에 사용되며, BTEX와 같은 휘발성 화합물의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ECD이다. GC/MS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를 결합한 기기로, 더욱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토양 중 수분함량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 중 수분을 0.01%까지 측정한다.
  2. 돌, 나무 등 눈에 보이는 협잡물 등은 제거한 후 시험해야 한다.
  3. 시료를 105~110℃의 건조 안에서 4시간 이상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다.
  4. 채취된 시료는 24시간 이내에 증발 처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75%)
  • "토양 중 수분을 0.01%까지 측정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토양 중 수분 함량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토양 중 수분 함량은 0.1% 이하이며, 농경지에서는 0.01% 이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정밀한 측정을 위해 0.01%까지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양 중 불소(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소가 진홍색의 지르코니움-발색시약과의 반응으로 무색의 음이온복합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이용한다.
  2. 다량의 염소이온이 함유되어 있으면 염화주석용액으로 염소를 제거한다.
  3. 토양 중 정량한계는 10mg/kg이다.
  4. 불소이온과 지르코니움 이온 사이의 반응속도는 반응혼합물의 산도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53%)
  • "다량의 염소이온이 함유되어 있으면 염화주석용액으로 염소를 제거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불소 측정 시 염소가 함유되어 있으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염화주석용액을 사용하여 염소를 제거하고 불소만을 측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검량선에서 얻어진 경유성분의 검출량이 305.5ng일 때, 토양 중 TPH(석유계총탄화수소)농도(mg/kg)는? (단, 수분보정한 토양무게=20.5g. 용매의 최종액량=2mL, 검액의 주입량은 2μL로 희석하지 않았다.)

  1. 20.5
  2. 18.7
  3. 14.9
  4. 12.6
(정답률: 49%)
  • TPH 농도(mg/kg) = (경유성분 검출량(ng) × 용매 최종액량(mL) × 1000) ÷ (토양 중 수분보정한 무게(g) × 검액 주입량(μL))

    = (305.5 × 2 × 1000) ÷ (20.5 × 2)

    = 14.9

    따라서, 정답은 "14.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pH 4인 수용액의 수소이온 농도는?

  1. 0.001
  2. 0.004
  3. 0.0001
  4. 0.0004
(정답률: 70%)
  • pH는 수소이온 농도의 음의 로그값입니다. 따라서 pH 4인 수용액의 수소이온 농도는 10의 -4승, 즉 0.00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토양 중 금속류의 함량분석을 위해 묽은질산(1+3)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에 알맞은 것은?

  1. 150
  2. 250
  3. 300
  4. 350
(정답률: 66%)
  • 정답은 "250"입니다.

    묽은질산(1+3)은 질산과 물을 1:3 비율로 섞은 용액을 말합니다. 따라서, 질산의 양이 1부분이고 물의 양이 3부분이므로 총 4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용액을 만들기 위해 1L의 질산을 사용하고, 이에 3L의 물을 천천히 더해줍니다. 이렇게 하면 총 4L의 용액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용액을 만드는 데 사용된 질산의 양은 1L이므로, 정답은 "2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ICP-AES를 구성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주파전원부
  2. 시료도입부
  3. 분광부
  4. 시료원자화부
(정답률: 42%)
  • ICP-AES는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scopy의 약자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기기이다. 이 분석기기를 구성하는 요소는 고주파전원부, 시료도입부, 분광부, 시료원자화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시료원자화부는 가장 거리가 먼 요소이다. 이는 시료를 플라즈마 속에서 원자화시키는 부분으로, 시료가 분광부로 들어가기 전에 처리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부분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흡광광도법에서 투과도가 0.4일 때 흡광도는?

  1. 약 0.2
  2. 약 0.4
  3. 약 0.6
  4. 약 0.8
(정답률: 67%)
  • 흡광도(Absorbance)는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측정되며, 투과도(Transmittance)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투과도가 0.4일 때, 흡광도는 로그함수에 의해 1-0.4=0.6의 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 값을 다시 10의 거듭제곱으로 변환하면 약 0.25가 되지만, 일반적으로 반올림하여 약 0.4로 표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이온전극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항목은?

  1. 불소
  2. 아연
  3. 트리클로로에틸렌
  4.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정답률: 65%)
  • 이온전극법은 이온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불소는 이온 농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온전극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항목입니다. 반면, 아연, 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은 이온 농도가 높은 경우에 측정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다른 방법들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르곤을 플라즈마 가스로 이용한다.
  2. 동시에 다성분의 분석은 불가능하다.
  3. 분석 성분의 농도는 방출되는 광선의 세기에 비례한다.
  4. 여기된 원자가 바닥상태로 이동할 때 방출하는 광선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정답률: 73%)
  • 분석 성분의 농도는 방출되는 광선의 세기에 비례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계는 분석 성분이 방출하는 특정 파장의 광선을 측정하여 농도를 분석하는데, 이는 분석 성분이 방출하는 광선의 세기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분석 성분의 농도와 방출되는 광선의 세기는 비례하지 않는다. 동시에 다성분의 분석은 불가능한 이유는, 각 성분이 방출하는 특정 파장의 광선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가압시험법의 검사기기 및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가스:불활성가스를 가압매체로 사용
  2. 온도계:시험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서 최소눈금이 1℃ 이하를 읽고 기록이 가능한 온도계
  3. 가압장치:가압 시 최대 압력 100mmH2O이하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
  4. 압력계:최소눈금이 시험합력의 5% 이내
(정답률: 70%)
  • 가압장치가 최대 압력 100mmH2O이하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가압장치는 최대 압력 500mmH2O 이하가 되도록 조정됩니다.

    가압시험법은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에서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불활성가스를 가압매체로 사용하여 시설 내부에 압력을 가하고, 이를 유지한 채로 일정 시간 동안 검사를 진행합니다. 검사 중에는 온도계와 압력계를 사용하여 시설 내부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가압장치는 이러한 가압시험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최대 압력 500mmH2O 이하가 되도록 조정됩니다. 이는 시설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압력계는 최소눈금이 시험압력의 5% 이내이어야 하며, 이는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온도계는 시험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으로서 최소눈금이 1℃ 이하를 읽고 기록이 가능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압장치가 최대 압력 100mmH2O이하가 되도록 조정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토양오염물질 위해성평가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노출평가
  2. 영향평가
  3. 독성평가
  4. 위해도 결정
(정답률: 58%)
  • 토양오염물질 위해성평가는 토양오염물질이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위해성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이에 반해 영향평가는 정책, 계획, 프로그램 등이 사회, 경제,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영향평가는 토양오염물질 위해성평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석유계총탄화수소를 분석하기 위한 추출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기준)

  1. 가온추출법
  2. 자기장추출법
  3. 적외선추출법
  4. 초음파추출법
(정답률: 64%)
  • 석유계총탄화수소는 다양한 종류의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출 과정이 필요하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기준으로는 초음파추출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초음파 파동을 이용하여 샘플과 추출제를 혼합하여 높은 압력과 온도를 가한 후, 빠르게 냉각하여 추출물을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추출 시간이 짧고 추출 효율이 높아서 샘플 손실이 적고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저장물질이 있는 누출검사대상시설-기상부의 시험법 중 미감압법 측정방법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험을 위한 진공속도는 매분 100mmHg 미만이 되도록 한다.
  2. 매 5분마다 측정된 압력변화값은 자동으로 기록되도록 한다.
  3. 누출여부에 대한 추가확인을 위하여 마이크로폰 등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4. 압력 안정화 유지시간 이후부터 매 5분마다 60분 또는 70분 동안의 압력변화를 측정한다.
(정답률: 59%)
  • "시험을 위한 진공속도는 매분 100mmHg 미만이 되도록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무런 이유 없이 정해진 값이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검사 대상물질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진공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수정되어야 한다.

    시험을 위한 진공속도는 검사 대상물질의 특성과 누출 가능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매분 100mmHg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유는 검사 대상물질이 누출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진공속도가 높을수록 누출이 더 잘 감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사 대상물질의 특성에 따라 진공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전에 검사 대상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진공속도를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일반적인 토양세척법(soil washing)의 영향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경분포
  2. 토양투수계수
  3. 유기물 함량
  4. 수분함량
(정답률: 26%)
  • 토양세척법에서 가장 거리가 먼 영향인자는 "토양투수계수"입니다. 이는 토양 내부의 물이 얼마나 잘 흐를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토양 내부의 구조와 함께 토양세척법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입경분포", "유기물 함량", "수분함량"도 토양세척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토양투수계수는 이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대수층의 두께가 평균 100m이고 공극률이 0.3인 자유면 대수층에서 2000m3/day의 양수량으로 5년간 장기적으로 취수할 경우 관전관통상의 취수정 보호를 위한 고정반경(m)은?

  1. 173.5
  2. 196.8
  3. 205.4
  4. 302.4
(정답률: 36%)
  • 고정반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고정반경 = 2 × (π × 효과반경 × 공극률 × 대수층두께 × 취수량 × 365일 × 5년 / 106)0.5

    여기서, 효과반경은 취수량과 관련된 지하수의 영향을 받는 반경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효과반경은 취수량의 제곱근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효과반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효과반경 = (취수량 × 365일 / π)0.5

    여기서, 취수량은 2000m3/day이므로,

    효과반경 = (2000 × 365 / π)0.5 ≈ 173.5m

    따라서, 고정반경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고정반경 = 2 × (π × 173.5m × 0.3 × 100m × 2000m3/day × 365일 × 5년 / 106)0.5 ≈ 196.8m

    따라서, 정답은 "196.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바이오필터의 운전에 따른 문제점으로 틀린 것은?

  1. 생물학적 처리와 물리학적 처리의 동시진행을 위한 별도의 포집가스 처리시설이 필요하다.
  2. 생물상의 온도가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상승함에 따라 유입가스에 비해 유출가스 중의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수분증발이 일어나 주기적인 수분공급이 필요하다.
  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전층이 압밀되어 바이오필터를 통과하는 배가스의 압력손실이 점차 커진다.
  4. 오염물질 분해반응에 따라 pH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정답률: 49%)
  • "생물학적 처리와 물리학적 처리의 동시진행을 위한 별도의 포집가스 처리시설이 필요하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바이오필터는 생물학적 처리와 물리학적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술이기 때문에 별도의 포집가스 처리시설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매립지에서 염소의 농도가 1000mg/L인 침출수가 누출되어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 대수층으로 유입되고 있다.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산출된 평균선형유속(m/s)은?

  1. 8.7×10-8
  2. 5.3×10-8
  3. 3.6×10-8
  4. 2.8×10-8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열탈착기술 적용 시 2차 오염물질의 발생을 제어하는 기본적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대입자는 먼저 사이클론으로 제거한다.
  2. 미세입자는 백필터나 전기집진기를 설치하여 제거한다.
  3. 잔존 유기물 제거는 벤투리 세정기를 이용한다.
  4. 페기물 중에 황, 시안 등이 있을 경우 세정장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49%)
  • 잔존 유기물 제거는 벤투리 세정기를 이용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잔존 유기물 제거를 위해 활성탄 필터나 생물필터 등의 기술이 사용된다. 벤투리 세정기는 주로 물리적인 오염물질(조대입자, 미세입자)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생물학적 처리 시 일반적으로 난분해성을 가지는 대상 오염 물질이 아닌 것은?

  1. 할로겐화된 화합물
  2. 가지구조가 많은 화합물
  3.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
  4.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
(정답률: 78%)
  • 생물학적 처리는 생물이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처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난분해성을 가지는 대상 오염 물질을 대상으로 하지만, 원자의 전하차가 작은 화합물은 생물학적 처리에 적합하지 않은 대상이다. 이는 원자의 전하차가 작기 때문에 생물이나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다른 처리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omposting 공법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퇴비화과정에서 공기가 적게 공급되면 pH가 7~8로 증가한다.
  2. 보통 초기 제어 함수율은 40~60%이다.
  3. 퇴비화 시 심한 악취가 나는 것은 산소부족에 기인된 것이다.
  4. 적정 영양물질의 비율은 C/N비로 25~30:1이다.
(정답률: 49%)
  • "퇴비화과정에서 공기가 적게 공급되면 pH가 7~8로 증가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공기가 적게 공급되면 pH가 감소하여 산성화된다. 이는 공기 부족으로 인해 혐기성 미생물이 활동하면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산성물질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오염토양 내에 인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토양 내에 존재하는 토착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시켜 생분해도를 극대화하여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기법은?

  1. 공기분사기법(air sparging)
  2. 토양증기추출기법(soil vapor extraction)
  3. 토양세척(soil washing)
  4. 바이오벤팅기법(biovnting)
(정답률: 68%)
  • 바이오벤팅기법은 오염된 토양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토양 내 토착 미생물의 활성을 촉진시켜 생분해도를 극대화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바이오벤팅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미국의 Superfund site 중에서 유해성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데 가장 많이 이용되며, 폐기물의 유해성분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은?

  1. 토양증기추출법
  2. 토양세척법
  3. 고형화/안정화
  4. 열탈착
(정답률: 76%)
  • 고형화/안정화 기술은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된 토양을 시멘트나 석회 등의 안정제를 첨가하여 고형화시키고 안정화시키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유해물질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안전한 지하수 보호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토양정화 방법 중 열탈착기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온 열처리 기술이다.
  2. 다양한 수분함량과 오염농도를 가진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이 가능하다.
  3. 토양으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한계 이하로 제거가 가능하다.
  4. 다이옥신(dioxin) 및 푸란(furan)을 생성시키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70%)
  • 열탈착기술은 자온 열처리 기술로, 다양한 수분함량과 오염농도를 가진 여러 종류의 토양에 적용이 가능하며, 토양으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검출한계 이하로 제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다이옥신(dioxin) 및 푸란(furan)을 생성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열탈착기술에서 사용되는 고온에서 토양 내의 유기화합물이 분해될 때 발생하는 부산물로, 환경오염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수직차단벽으로서의 슬러리월(slurry walls)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오염물질의 분해 또는 지체 효과를 증진시킨다.
  2. 오염물질을 고형화하여 용출률을 낮춘다.
  3. 지하로의 침출수 흐름을 제어한다.
  4.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격리시킨다.
(정답률: 56%)
  • 슬러리월은 지하로의 침출수 흐름을 제어하고,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오염물질을 고형화하여 용출률을 낮추는 역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토양경작법 운용 시 고려해야 할 토양 조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분함량
  2. 온도
  3. 산화환원전위
  4. 제타포텐셜
(정답률: 61%)
  • 제타포텐셜은 토양 입자의 표면 전하 밀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토양 입자와 주변 용액 사이의 상호작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토양경작법 운용 시 토양 입자와 작물 뿌리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때, 제타포텐셜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분함량, 온도, 산화환원전위도 중요하지만, 제타포텐셜은 이들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생물학적 통기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산소소모율을 조사한다. 평균산소 소모율(% O2/day)을 구하는 식의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입공기 유량
  2. 배가스 중의 산소농도
  3. 토양 체적
  4. 토양 투수계수
(정답률: 65%)
  • 정답은 "토양 체적"이다. 평균 산소 소모율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평균 산소 소모율 = (주입공기 유량 x (입구 산소농도 - 배가스 중의 산소농도)) / 토양 투수계수

    따라서, 평균 산소 소모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주입공기 유량, 입구 산소농도, 배가스 중의 산소농도, 그리고 토양 투수계수를 알아야 한다. 토양 체적은 평균 산소 소모율을 구하는 식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토양 투수계수는 토양 내부의 물이 얼마나 빠르게 흐를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토양 투수계수가 높을수록 물이 빠르게 흐르고, 산소도 빠르게 흡수되므로 평균 산소 소모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토양 투수계수는 생물학적 통기법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오염지하수의 생물학적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물학적 처리 전후에 물리화학적 처리를 병행하는 경우가 있다.
  2. 생물학적 처리방식은 부유상 처리방법과 고정상 처리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염소로 치환된 지방족화합물의 분해율이 방향족화합물보다 수십배 이상 빠르다.
  4. 생물학적 처리의 운전방식은 연속식, 회분식, 반회분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일반적으로 염소로 치환된 지방족화합물의 분해율이 방향족화합물보다 수십배 이상 빠르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생물학적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들이 염소로 치환된 지방족화합물을 분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염소로 치환된 지방족화합물은 분자 구조가 단순하고 안정성이 낮아 분해가 용이하다. 따라서 생물학적 처리에서는 이러한 화합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열탈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소성이 낮은 토양은 스크린 및 장비에 영겨 붙어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2. 20%이상 수분을 포함하는 토양은 건조 및 탈수 후 처리하여야 한다.
  3. 1100kcal/kg 보다 높은 열량을 가진 토양은 처리 전 일반토양과 섞어 처리하여야 한다.
  4. 저온 열찰탁조는 90~320℃ 범위에서 운영된다.
(정답률: 58%)
  • 가소성이 낮은 토양은 스크린 및 장비에 영겨 붙어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기오염물질로 오염된 사질 대수층이 있다. 수리전도도가 3.0×10-3cm, 유효 공극률이 0.3, 수두구배가 0.01일 때 오염운의 평균 이동속도(cm/sec)는? (단, 흡착 등에 의한 지연은 고려하지 않는다.)

  1. 10-3
  2. 10-4
  3. 10-5
  4. 1--6
(정답률: 57%)
  • 오염운의 평균 이동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 이동속도 = (유효 공극률 × 수리전도도) / 수두구배

    = (0.3 × 3.0×10-3 cm) / 0.01

    = 9.0×10-4 cm/sec

    따라서 정답은 "1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벤젠(C6H6) 40kg으로 오염된 토양을 원위치 생물학적 복원기술로 정화하고자 한다. 벤젠이 완전분해되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과산화수소로 공급한다면 필요한 과산화수소의 양(kg)은? (단, 2H2O2→2H2O+O2)

  1. 143
  2. 184
  3. 226
  4. 262
(정답률: 46%)
  • 벤젠의 분해식은 C6H6 + 7O2 → 6CO2 + 3H2O 이다. 이를 보면 1 분자의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7 분자의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0kg의 벤젠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7배인 280kg의 산소가 필요하다.

    문제에서는 과산화수소(H2O2)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한다고 하였다. 과산화수소는 다음과 같이 분해된다. 2H2O2 → 2H2O + O2

    분해식을 보면 2 분자의 과산화수소가 1 분자의 산소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80kg의 산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2배인 560kg의 과산화수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62"가 아닌 "560"이 되며, 보기에서 "262"가 나온 이유는 계산 실수로 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열처리기법의 일종으로 4000℃ 고온에서 이온화된 가스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마그마와 같이 용융시켜 유리화 시키는 기법은?

  1. 전기저항가열기법
  2. 무선주파수기법
  3. 플라즈마기법
  4. 전기스팀기법
(정답률: 77%)
  • 플라즈마기법은 고온에서 이온화된 가스를 이용하여 오염토양을 용융시켜 유리화시키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다른 열처리기법에 비해 더 높은 온도에서 처리가 가능하며, 처리 후에는 오염물질이 안정화되어 더 이상 오염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염토양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기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토양증기추출법으로 유류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현장의 모니터링 항목 중에 온전초기에 매일 측정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흡입 공기량
  2.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농도
  3. 처리대상 물질 농도
  4. 관정 내 압력
(정답률: 60%)
  • 처리대상 물질 농도는 정화 작업을 수행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매일 측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신,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여 정화 작업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면, 흡입 공기량,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농도, 관정 내 압력은 정화 작업의 진행 상황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매일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오염토양 처리기술 중 채광공정과 폐수처리공정을 응용한 처리기술은?

  1. 토양증기추출법
  2. 토양경작법
  3. 토양세척법
  4. 저온열탈착법
(정답률: 64%)
  • 채광공정과 폐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토양에 침투하여 오염된 경우, 토양세척법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염된 토양을 물로 세척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

61. 다음 오염물질 중 토양오염우려기준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 (단, 1지역 기준)

  1. 카드뮴
  2. 페놀
  3. 수은
(정답률: 49%)
  • 답은 "납"입니다.

    카드뮴, 페놀, 수은은 모두 1지역 기준에서 토양 중 각각 0.3mg/kg, 10mg/kg, 0.1mg/kg 이상 검출될 경우 토양오염우려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납의 경우 1지역 기준에서는 토양 중 50mg/kg 이상 검출될 경우 토양오염우려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다른 오염물질에 비해 기준치가 높기 때문에 다른 오염물질에 비해 토양오염우려가 덜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시료의 채취 및 분석을 통한 토양오염의 정도와 범위를 조사하는 토양환경평가 조사단계(순서)는?

  1. 개황 조사
  2. 기초 조사
  3. 정밀 조사
  4. 오염도 조사
(정답률: 60%)
  • 토양환경평가의 조사단계는 개황 조사, 기초 조사, 정밀 조사, 오염도 조사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 중에서 정밀 조사는 시료의 채취 및 분석을 통해 토양오염의 정도와 범위를 조사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정밀 조사는 다른 조사 단계와 달리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토양오염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환경부장관이 토양보전을 위해 수립하는 토양보전기본계획의 수립 주기는?

  1. 3년
  2. 5년
  3. 10년
  4. 15년
(정답률: 74%)
  • 토양보전기본계획은 장기적인 시각에서 토양보전을 계획하고 추진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이때, 3년이나 5년 주기로는 토양보전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기에는 시간적으로 제한이 있습니다. 반면, 15년 주기로는 환경변화나 사회경제적 변화 등으로 인해 계획이 유효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10년 주기로 토양보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국립환경인력개발원장이 개설하는 토양환경관리의 교육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에 알맞은 것은?

  1. ㉠ 6월, ㉡ 8시간
  2. ㉠ 1년, ㉡ 8시간
  3. ㉠ 6월, ㉡ 18시간
  4. ㉠ 1년, ㉡ 18시간
(정답률: 71%)
  • 토양환경관리의 교육과정은 1년 동안 진행되며, 주당 1시간씩 총 18시간의 교육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1년, ㉡ 18시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연적인 원인에 의한 토양오염임을 입증하기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에 알맞은 것은?

  1. 대상 지역의 변성
  2. 대상 지역의 기후변동
  3. 대상 부지의 지각변동
  4. 대상 부지의 기반암
(정답률: 74%)
  • 대상 부지의 기반암은 자연적인 원인에 의한 토양오염을 입증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기반암은 지하수의 이동 경로와 토양의 흡착력 등을 결정하는데, 이는 토양오염의 원인과 효과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대상 부지의 기반암을 조사하여 토양오염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토양관련 전문기관의 지정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에 옳은 것은? (단, 토양오염조사기관, 기술인력 기준)

  1. 5년
  2. 4년
  3. 3년
  4. 2년
(정답률: 73%)
  • 토양관련 전문기관의 지정기준 중 기술인력 기준에서는 최소 4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답이 "4년"이다. 다른 보기들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오염토양개선사업을 지도ㆍ감독할 수 있도록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토양관련 전문기관에 해당하는 것은?

  1. 국립환경과학원
  2.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
  3. 지방 유역환경청
  4. 한국환경공단
(정답률: 69%)
  •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역별 보건환경 문제를 연구하고 대응하는 기관으로, 지역 내 오염토양 개선사업을 지도ㆍ감독할 수 있는 전문성과 역할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위해성평가 대상지역의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에 알맞은 것은?

  1. 매년
  2. 2년 마다
  3. 3년 마다
  4. 5년 마다
(정답률: 64%)
  • 위해성평가 대상지역은 자연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위험성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매년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매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토양정화업의 등록요건 중 장비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휴대용 가스측정장비 1식(휘발성유기화합물질, 산소,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측정이 가능할 것)
  2. 현장용 수질측정기 1식(수소이온농도, 수은,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및 산화환원전위의 측정이 가능할 것)
  3. 지하수위측정기
  4. 시료채취기 1대(깊이 2m 이내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
(정답률: 78%)
  • 시료채취기 1대(깊이 2m 이내 시료채취가 가능할 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토양정화업에서는 시료채취기의 깊이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깊이 2m 이상의 시료채취가 가능한 시료채취기를 보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토양환경평가기관의 지정기준 중 자가동력시추기에 관한 내용으로 ()에 옳은 것은?

  1. 2m
  2. 4m
  3. 6m
  4. 8m
(정답률: 78%)
  • 토양환경평가기관에서는 자가동력시추기의 지정기준으로 최소 6m 이상의 깊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6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험물의 제조 및 저장시설
  2. 송유관 시설
  3. 유해화학물질의 제조 및 저장시설
  4. 석유류의 제조 및 저장시설
(정답률: 64%)
  • 위험물의 제조 및 저장시설은 다른 시설과는 달리 폭발, 화재, 독성 등의 위험성이 높아서 인근 거리에 다른 시설이나 주거지가 위치할 경우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대상시설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자는 토양오염 검사에 의하여 토양관련 전문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토양오염 검사결과를 몇 년간 보존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34%)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자는 토양오염 검사결과를 5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는 대기오염방지법 제31조 제2항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보존된 검사결과는 환경부나 지방환경청 등 관련 기관에서 요청 시 제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토양오염 관리 및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토양오염의 예방 및 규제에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검사항목별 ‘1지역-2지역’ 토양오염대책기준(단위:mg/kg)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BTEX:80-20
  2. TPH:2000-2400
  3. TCE:24-24
  4. PCE:12-12
(정답률: 50%)
  • 정답: "BTEX:80-20"

    설명: BTEX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을 의미하며, 이들은 모두 유독하고 발암성이 있기 때문에 토양오염 대책 기준에서는 매우 낮은 수치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BTEX:80-20"은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의 합계 농도가 80mg/kg 이하이어야 하고, 그 중에서도 벤젠의 농도는 20mg/kg 이하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는 "BTEX:20-80"으로 되어야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변경신고 사유로 틀린 것은?

  1. 사업장의 명칭 또는 대표자가 변경되는 경우
  2.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조업이 정지되어나 일부 폐쇄하는 경우
  3.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을 교체하거나 토양오염방지시설을 변경하는 경우
  4.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저장하는 오염물질을 변경하는 경우
(정답률: 48%)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조업이 정지되어나 일부 폐쇄하는 경우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토양오염방지 및 복원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따르면,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조업이 정지되거나 일부 폐쇄되는 경우에도 변경신고가 필요합니다. 이는 해당 시설의 운영상태가 변경되어 토양오염의 위험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하수개발ㆍ이용시공업자의 영업 등록 취소 요건이 아닌 것은?

  1.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경우
  2. 등록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 경우
  3. 계속해서 1년 이상 영업을 하지 아니한 경우
  4.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지하수개발ㆍ이용시설의 공사를 부실하게 한 경우
(정답률: 73%)
  • "계속해서 1년 이상 영업을 하지 아니한 경우"는 지하수개발ㆍ이용시공업자가 일정 기간 동안 영업을 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영업 등록 취소 요건으로서, 다른 보기들은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한 경우, 등록기준에 미치지 못한 경우,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공사를 부실하게 한 경우와 같이 영업 등록 취소 요건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시ㆍ도지사가 상시측정, 토양오염실태조사 또는 토양정밀조사의 결과, 우려기준을 넘는 경우에 정화책임자에게 명할 수 있는 조치내용이 아닌 것은?

  1. 토양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또는 개선
  2. 오염토양의 정화
  3.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개선 또는 이전
  4. 해당 토양오염물질의 사용제한 또는 사용중지
(정답률: 21%)
  • "토양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또는 개선"은 이미 발생한 토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오염물질이 토양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시설을 설치하거나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미 발생한 오염을 정화하는 것이 아니라 예방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주민건강피해조사 및 대책의 내용에 포함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건강피해의 판정 및 대책
  2. 건강피해지역 통제계획
  3. 건강피해조사의 대상 및 방법
  4. 건강피해조사 기관
(정답률: 50%)
  • 정답은 "건강피해지역 통제계획"입니다.

    주민건강피해조사 및 대책은 건강피해의 판정 및 대책, 건강피해조사의 대상 및 방법, 건강피해조사 기관 등을 포함합니다. 하지만 건강피해지역 통제계획은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건강피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계획으로, 주민건강피해조사 및 대책의 내용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하수법 용어의 정의 중 틀린 것은?

  1. 지하수란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의 빈틈을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을 말한다.
  2. 지하수영향조사란 지하수의 개발ㆍ이용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ㆍ예측하는 조사를 말한다.
  3. 지하수보전구역이란 지하수의 수량이나 수질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역으로서 시ㆍ도지사에 의해 지정된 구역을 말한다.
  4. 지하수정화업이란 지하수에 함유도니 오염물질을 희석하지 않고 제거 또는 분해하여 지하수를 이용하는 사업을 말한다.
(정답률: 68%)
  • 정답: "지하수정화업이란 지하수에 함유도니 오염물질을 희석하지 않고 제거 또는 분해하여 지하수를 이용하는 사업을 말한다."이 정의는 옳다.

    설명: 지하수법 용어 중 틀린 것은 없으며, 모든 정의가 옳다. 따라서, 지하수정화업이란 지하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분해하여 지하수를 이용하는 사업을 말한다. 이는 지하수의 수질을 개선하고 보전하기 위한 중요한 사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하수의 보전ㆍ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지정하는 지하수보전구역이 아닌 것은?

  1. 지하수개발ㆍ이용량이 기본계획 또는 지역관리계획에서 정한 지하수개발 가능량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다고 판단되는 지역
  2. 지하수의 지나친 개발ㆍ이용으로 인하여 지하수의 고갈현상, 지반침하 또는 하천이 마르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
  3. 지하수의 개발ㆍ이용으로 인하여 주변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우려가 있는 지역
  4. 지하수의 개발ㆍ이용으로 인하여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호소수가 줄어들 우려가 있는 지역
(정답률: 39%)
  • 지하수보전구역은 지하수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지정하는 것이며, 지하수의 개발ㆍ이용으로 인하여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호소수가 줄어들 우려가 있는 지역은 보전과 관리를 위한 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이유는 간단하게 말하면, 지하수 개발ㆍ이용으로 인해 호소수가 줄어들면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데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은 보전과 관리가 필요한 구역으로 지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오염토양을 버리거나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6월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40%)
  • 오염토양을 버리거나 매립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환경보호법 제47조에 따라 정해진다. 이에 따르면, 오염토양을 버리거나 매립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이는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고려하여 높은 벌칙기준이 적용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