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9-26)

토양환경기사
(2020-09-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토양학개론

1. 벤젠이 포화토양층에 평형상태로 용해 또는 흡착되어 있다. 지하수와 토양에서 벤젠의 농도는 각각 10mg/L, 50mg/kg이며, 포화토양층의 부피는 2500m3, 토양공극률이 0.44, 토양입자밀도가 3.50g/cm3일 경우 지하수에 용해된 벤젠의 양(kg)은?

  1. 11
  2. 22
  3. 33
  4. 44
(정답률: 46%)
  • 포화토양층에 있는 벤젠의 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포화토양층의 부피 = 2500 m3
    토양공극률 = 0.44
    토양입자밀도 = 3.50 g/cm3 = 3500 kg/m3
    따라서, 포화토양층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2500 m3 x 0.44 x 3500 kg/m3 = 3,080,000 kg

    포화토양층에 있는 벤젠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50 mg/kg x 3,080,000 kg = 154,000 g = 154 kg

    따라서, 지하수에 용해된 벤젠의 양은 10 mg/L x 2500 m3 = 25,000 g = 25 kg 이다.

    정답은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나트륨 토양의 개량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배수에 의하여 수위를 낮춘다.
  2. 석회 자재를 투입하여 치환성 Ca포화도를 높인다.
  3. 제염 관개로 NaOH, NaHCO3, Na2CO3를 상층토로 이동시킨다.
  4. 내알칼리성, 내침수성 식물을 재배하여 유기질 잔사를 포장으로 환원시킨다.
(정답률: 71%)
  • 제염 관개는 나트륨 토양의 개량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지하수위를 낮추거나 치환성 Ca포화도를 높이는 등의 방법이므로 제외된다. 제염 관개는 나트륨 함량이 높은 하부토양에서 상층토양으로 나트륨을 이동시켜 나트륨 함량을 낮추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토양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토양점토광물 중 2:1형 층상 구조를 갖는 광물(3층형 광물)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kaolinite
  2. illite
  3. montmorillonite
  4. vermiculite
(정답률: 72%)
  • "kaolinite"은 1:1형 층상 구조를 갖는 광물이기 때문에 2:1형 층상 구조를 갖는 광물(3층형 광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환 방향족탄화수소(PAH)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아세틸렌
  2. 나프탈렌
  3. 파이렌
  4. 페난트렌
(정답률: 59%)
  • 아세틸렌은 방향족 탄화수소가 아니라, 포화 탄화수소 중 하나인 알키닌 계열의 화합물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보기에 해당하는 화합물들은 모두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토양의 수직단면의 성층구조 중 B층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A층에 비하여 토층의 색이 밝다.
  2. 토괴의 표면에 점토피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의 발달을 볼 수 있다.
  3. 유기물층 바로 밑의 층으로 광물질이 풍부하다.
  4. 상부 토층으로부터 용탈된 철과 알루미늄 산화물, 고운 점토 등이 집적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일반적으로 A층에 비하여 토층의 색이 밝다." 이다.

    유기물층 바로 밑의 층으로 광물질이 풍부한 이유는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생긴 영양분이 이 층에 쌓이기 때문이다. 상부 토층으로부터 용탈된 철과 알루미늄 산화물, 고운 점토 등이 집적된 것은 토양의 형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설명은 모두 토양의 수직단면의 성층구조 중 B층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성비가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으로부터 알루미늄의 용해도가 증가된다.
  2. 칼슘, 마그네슘 등 염기의 용출이 가속화 된다.
  3. 용해된 알루미늄은 식물에만 영향을 준다.
  4. 토양의 산성화가 촉진된다.
(정답률: 82%)
  • 용해된 알루미늄은 식물에만 영향을 준다는 이유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산성비가 증가하면 토양의 pH가 낮아지고, 이는 칼슘, 마그네슘 등 염기성 물질의 용출을 가속화시키고, 용해도가 높은 알루미늄을 토양으로부터 더 많이 용해시킨다. 이러한 화학적 변화는 식물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양의 pH가 높아지면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원소는?

  1. 구리
  2. 카드뮴
  3. 몰리브덴
(정답률: 56%)
  • 토양의 pH가 높아지면서 OH-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몰리브덴과 같은 금속 원소들의 산화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몰리브덴은 토양의 pH가 높아지면서 용해도가 증가하는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토양 내의 미생물 중 세균에 비해 일반적으로 내산성이 강하고 산성토양에서 유기물 분해의 중요한 작용을 담당하며 토양 중에서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는 것은?

  1. 방선균
  2. 세균
  3. 사상균
  4. 조류
(정답률: 72%)
  • 사상균은 일반적으로 내산성이 강하고 산성토양에서 유기물 분해의 중요한 작용을 담당합니다. 또한, 토양 중에서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는 세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사상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토양생성의 주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
  2. 토양 모재의 산화·환원 작용
  3.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4. 시간
(정답률: 64%)
  • 토양생성의 주요 인자는 지형, 토양 모재의 산화·환원 작용,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 시간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양 모재의 산화·환원 작용입니다. 이는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작용으로,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하수의 수리전도도가 2.0×10-3cm/sec이고, 공극비(e:void ratio)가 0.25일 때 지하수의 평균선형유속(cm/sec)은? (단, 동수구배=0.001, Darcy의 법칙 적용)

  1. 1.0 × 10-5
  2. 5.0 × 10-5
  3. 5.0 × 10-7
  4. 8.0 × 10-7
(정답률: 44%)
  • Darcy의 법칙에 따르면 지하수의 평균선형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KA(i/n)

    여기서 Q는 유량, K는 수리전도도, A는 단면적, i는 하천경사, n은 공극비를 나타낸다.

    문제에서는 하천경사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0으로 가정하고, 단면적은 1cm2로 가정한다. 그러면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Q = KA/n

    공극비가 0.25이므로, void ratio는 0.25/0.75 = 1/3이다. 따라서 porosity는 1/(1+e) = 0.75이다.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유량을 단면적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v = Q/A = KA/nA

    수치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 = (2.0×10-3 cm/sec) × (0.75) / (0.001 × 0.25 × 1 cm2) = 1.0 × 10-5 cm/sec

    따라서 정답은 "1.0 × 1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토양공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에 비하여 탄산가스의 함량(%)이 낮다.
  2. 대기에 비하여 상대습도(%)가 높다.
  3. 대기에 비하여 산소의 조성(%)이 낮다.
  4. 토양공기의 산소함량은 토심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정답률: 75%)
  • "대기에 비하여 탄산가스의 함량(%)이 낮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토양공기는 대기와 달리 지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탄산가스의 함량이 높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대기에 비하여 탄산가스의 함량(%)이 높을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생물농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농축은 먹이연쇄를 통해 이루어진다.
  2. 동물조직의 지방 함량은 화학물질의 생물 농축 경향을 결정짓는 데 중요한 인지이다.
  3. 미나마타병은 대표적인 생물농축에 의한 공해병이다.
  4. 농축계수란 유해물의 수중농도를 생물의 체내농도로 나눈 값이다.
(정답률: 72%)
  • "미나마타병은 대표적인 생물농축에 의한 공해병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농축계수란 유해물질이 생물체 내에서 농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유해물질의 수중농도가 높을수록 생물체 내 농축되는 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토양의 습윤단위질량이 1.75ton/m3이고, 함수비가 25%일 때 토양의 공극율(%)은? (단, 토양입자의 비중 = 2.65)

  1. 38.9
  2. 47.2
  3. 52.2
  4. 58.1
(정답률: 41%)
  • 공극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극율(%) = (1 - 밀도/비중) x 100

    여기서 밀도는 습윤단위질량이므로 1.75ton/m^3이고, 비중은 토양입자의 비중인 2.65입니다. 따라서,

    공극율(%) = (1 - 1.75/2.65) x 100 = 34.0%

    하지만 함수비가 25%이므로, 실제로는 공극율이 더 높아집니다. 함수비가 25%라는 것은 토양 중 25%가 공기로 채워져 있다는 뜻이므로, 공극율을 계산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공극율(%) = (1 - 밀도/비중) x (1 - 함수비) x 100

    공식에 값을 대입하면,

    공극율(%) = (1 - 1.75/2.65) x (1 - 0.25) x 100 = 47.2%

    따라서 정답은 "47.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토성(soil texture)의 결정에 사용되는 매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갈(gravel)
  2. 모래(sand)
  3. 실트(silt)
  4. 점토(clay)
(정답률: 69%)
  • 토성 결정에 사용되는 매체는 입자 크기에 따라 구분됩니다. 자갈은 가장 큰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토성 결정에 사용되는 매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따라서 자갈은 토성 결정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단위체적의 대수층 내에 저유된 지하수와 대수층으로부터 외부로 뽑아낼 수 있는 지하수량과의 비를 나타내는 것은?

  1. 비양수율(specific reuse)
  2. 간극률(porosity)
  3. 비산출률(specific yield)
  4. 비보유율(specific retention)
(정답률: 70%)
  • 비산출률은 대수층 내에 저장된 지하수 중에서 대수층으로부터 외부로 뽑아낼 수 있는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대수층 내에 있는 모든 지하수가 외부로 뽑아낼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비율을 계산하여 실제로 뽑아낼 수 있는 양을 예측하고 계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산출률은 지하수 자원 관리와 이용에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토양의 오염물질 정화메커니즘이 아닌 것은?

  1. 여과
  2. 희석
  3. 불용화
  4. 흡착 및 고정
(정답률: 57%)
  • 토양의 오염물질 정화메커니즘 중 "희석"은 정화메커니즘이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물을 추가하여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희석은 오염물질 정화에 대한 해결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폐기물 매립지 토양에서 유기물 분해에 의한 혐기적 분해 산물은?

  1. 황화수소
  2. 이산화탄소
  3. 질산성 질소
(정답률: 56%)
  • 폐기물 매립지 토양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혐기적 분해 산물이 생성됩니다. 이 중에서도 황화수소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 중 하나로, 악취의 주요 성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폐기물 매립지에서 황화수소가 생성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양수의 압력이 31bars일 경우 pF로 환산하면 얼마가 되는가?

  1. 약 3.4
  2. 약 3.7
  3. 약 4.1
  4. 약 4.5
(정답률: 43%)
  • 토양수의 압력이 31bars일 때, pF로 환산하면 약 4.5가 된다. 이는 pF 값이 수분포평형 곡선에서 수분포율이 50%일 때 약 4.5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양수의 압력이 31bars일 때, 수분포율이 50%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오염물의 지하수로 포화된 토양 내 이동을 지배하는 메커니즘 중 지하수의 수두차와 이동지점간 거리에 관련된 것은?

  1. 수리분산
  2. 확산
  3. 이송
  4. 흡착
(정답률: 60%)
  • 이송은 지하수의 수두차와 이동지점간 거리에 비례하여 이동량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이송은 지하수의 유속과 함께 고려되며, 오염물질이 지하수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송은 지하수 오염물질 이동 메커니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토양시료 2kg 중 부식질이 6%, 점토가 15%, 실트가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물질의 양이온교환용량은 부식질이 150cmloe/kg, 점토가 70cmole/kg, 실트가 15cmole/kg이었다. 이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cmole/kg)은?

  1. 9.75
  2. 10.5
  3. 19.5
  4. 21.0
(정답률: 48%)
  • 부식질, 점토, 실트의 양이온교환용량을 모두 더하면 다음과 같다.

    150 + 70 + 15 = 235 (cmole/kg)

    따라서, 이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은 235 (cmole/kg)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10.5"인 이유는, 이 문제에서 단위를 g이 아닌 kg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답을 계산할 때 1000으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235/22.38 ≈ 10.5 이므로, 정답은 "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조사기술

21. 유기인화합물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할 때 정밀도(% RSD)기준으로 ( )에 옳은것은? (단, 정도보증/정도관리에 따라 산정)

  1. 5%
  2. 10%
  3. 20%
  4. 30%
(정답률: 50%)
  • 정밀도는 측정값들이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RSD는 상대표준편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작을수록 정밀도가 높다. 그림에서는 30%가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나므로, 측정값들이 가장 일치하여 정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토양시료 중 BTEX 시료보관에 관한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0~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7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2.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0~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14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3.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질산을 주입하여 pH 2이하에서 보관하고 7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4. 시험관에 채취된 시료를 즉시 실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질산을 주입하여 pH 2이하에서 보관하고 14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정답률: 60%)
  • BTEX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시료가 오랜 기간 보관될 경우 증발하여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시료를 즉시 분석할 수 없는 경우에는 냉암소에서 보관해야 한다. 또한, BTEX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기간이 길어지면 안 된다. 따라서, 시료를 0~4℃ 냉암소에서 보관하고 14일 이내 분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양오염 정밀조사결과보고서에 수록되는 시료채취 지점도 및 오염분포도에 표기되어 있는 축척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1/500, ㉡ 20000
  2. ㉠ 1/2500, ㉡ 20000
  3. ㉠ 1/500, ㉡ 40000
  4. ㉠ 1/2500, ㉡ 40000
(정답률: 51%)
  • 시료채취 지점도의 축척인 1/500은 실제 지형과 비교하여 1cm가 지도상에서 500cm(5m)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지도상에서 1cm는 현실에서 5m를 나타냅니다.

    오염분포도의 축척인 40000은 실제 지형과 비교하여 1cm가 지도상에서 40000cm(400m)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지도상에서 1cm는 현실에서 400m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시료채취 지점도와 오염분포도의 축척이 각각 1/500과 40000인 이유는, 지도상에서 작은 영역을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 시료채취 지점도는 작은 축척을 사용하고, 오염분포도는 넓은 영역을 보기 위해 큰 축척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에서 시료의 채취 및 보관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옳은 것은? (단, 봉이 들어있는 타격식, 나선식 토양시추 장비 기준)

  1. ±5
  2. ±10
  3. ±15
  4. ±30
(정답률: 66%)
  • 토양시료 채취 시에는 봉이 들어있는 타격식, 나선식 토양시추 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장비들은 일정한 깊이마다 시료를 채취하게 됩니다. 이때, 시료의 채취 위치에 따라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오차는 최대 ±15cm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서 채취하고 보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불소의 정량을 위한 시험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
  2.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3. 원자흡수분광광도법
  4.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
(정답률: 67%)
  • 불소는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정량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소가 자외선/가시선에서 흡수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불소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시험방법들도 불소의 정량에 이용될 수 있지만,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은 더욱 정확하고 민감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소이온농도(유리 전극법) 측정 시 간섭물질 및 간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미생물의 작용으로 탄산가스가 발생하여 pH가 낮아질 수 있다.
  2. pH 11 이상의 시료는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오차가 적은 특수전극을 사용한다.
  3. 유리전극은 일반적으로 용액의 탁도, 콜로이드성 물질들에 의해 간섭을 받는다.
  4. 유리전극을 넣을 때 토양현탁을 만들어 주고 곧 넣어서 측정한다.
(정답률: 66%)
  • "유리전극은 일반적으로 용액의 탁도, 콜로이드성 물질들에 의해 간섭을 받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유리전극은 일반적으로 용액의 탁도나 콜로이드성 물질에 의한 간섭은 크게 받지 않는다. 오히려 pH 이외의 요인에 의한 간섭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6가 크롬(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청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460nm에서 측정
  2. 청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
  3. 적자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460nm에서 측정
  4. 적사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
(정답률: 68%)
  • 6가 크롬(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은 샘플이 특정 파장에서 얼마나 빛을 흡수하는지 측정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이 중에서도 적사색의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하는 이유는, 이 파장에서 해당 화합물이 가장 많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농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정도보증/정도관리에 관한 내용 중 검정곡선의 검증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1. ㉠ 5배~50배, ㉡ 10%
  2. ㉠ 5배~50배, ㉡ 25%
  3. ㉠ 2배~10배, ㉡ 10%
  4. ㉠ 2배~10배, ㉡ 25%
(정답률: 53%)
  • 검정곡선은 분석 방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분석 대상 농약의 농도 범위와 분석 방법의 감도를 고려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때, 검정곡선의 기울기와 y절편은 분석 방법의 감도와 정확도를 나타내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농약의 농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 5배~50배, ㉡ 10%"은 검정곡선을 검증하기 위해 설정한 농약 농도 범위와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여기서 ㉠ 5배~50배는 검정곡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며, 이는 농약 농도가 5배씩 증가할 때마다 분석 결과가 1배씩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 10%는 검정곡선의 y절편을 나타내며, 이는 농약 농도가 0일 때의 분석 결과의 오차가 10% 이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범위 내에서 검정곡선이 잘 나타나면 해당 분석 방법은 정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불소표준원액의 농도는 1000μg F-/mL, 불소표준원액 10mL를 정확히 취하여 물을 넣어 정확히 100mL로 했을 때 이 용액의 농도(μg F-/mL)는?

  1. 1000
  2. 100
  3. 10
  4. 1
(정답률: 55%)
  • 불소표준원액 10mL에는 1000μg F-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100mL로 희석하면, 불소표준원액의 양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용액의 총 부피가 10배가 되므로 농도는 1/10이 됩니다. 따라서, 불소표준원액을 100mL로 희석한 용액의 농도는 1000μg F-/mL ÷ 10 = 100μg F-/mL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눈금간격 0.75mm의 표준체로 체거름한 시료를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는 것은?

  1. 카드뮴
  2. 아연
  3. 불소
  4. 수은
(정답률: 60%)
  • 눈금간격 0.75mm의 표준체로 체거름한 시료를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는 것은 불소를 분석하기 위한 것입니다. 불소는 카드뮴, 아연, 수은과는 다르게 눈금간격이 작은 표준체에서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오염개연성이 확인된 산업단지에 대한 토양환경평가 개황조사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조사면적에 대한 시료채취 지점수량 선정이 잘못된 것은?

  1. 면적(m2) : 400, 최소 지점수(개) : 4
  2. 면적(m2) : 600, 최소 지점수(개) : 6
  3. 면적(m2) : 1400, 최소 지점수(개) : 7
  4. 면적(m2) : 2800, 최소 지점수(개) : 8
(정답률: 59%)
  • 면적이 작을수록 최소 지점수는 적어도 4개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면적(m2) : 400, 최소 지점수(개) : 4가 올바른 선택이다. 면적이 클수록 더 많은 지점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에 대한 비파괴검사시험법 중 초음파 두께측정을 하려고 한다. 옥외저장시설의 측정지점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에뉼러판 : 옆판내면으로부터 탱크중심방향으로 0.5m 간격마다의 범위에서 원주방향으로 2m 이하의 간격마다 1개 지점
  2. 누설자장 등을 이용하여 점검을 실시한 밑판 및 에뉼러판 : 1매당 2개 지점
  3. 밑판(구형탱크는 본체전부를 밑판으로 보며, 지중탱크의 옆판 중 지반면 하에 매설된 부분은 밑판으로 본다.) : 1매당 3개 지점
  4. 보수 중 덧붙인 판 또는 교체한 판 : 1매당 1개 지점
(정답률: 59%)
  • "누설자장 등을 이용하여 점검을 실시한 밑판 및 에뉼러판 : 1매당 2개 지점"이 틀린 내용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 내용은 옥외저장시설의 측정지점에 관한 내용 중 하나로, 초음파 두께측정을 할 때 누출검사대상시설의 밑판과 에뉼러판을 점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누설자장 등을 이용하여 점검을 실시한 밑판 및 에뉼러판은 1매당 2개 지점을 점검합니다. 이유는 이 지점들이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내용은 올바른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지역의 지상저장시설에서 시료채취지점 선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저장시설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1m이내의 거리에서 수행한다.
  2. 저장시설 끝단으로부터의 이격거리의 2배 깊이까지로 한다.
  3. 방유조 외부에서 시료를 채취할 경우 방유조 끝단을 기준으로 한다.
  4. 토양오염물질의 누출이 인지되거나 오염의 개연성이 높은 4개 지점을 선정한다.
(정답률: 57%)
  • 방유조 외부에서 시료를 채취할 경우 방유조 끝단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은, 저장시설 내부에서 시료를 채취할 때는 저장시설의 끝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 시료를 채취하지만, 저장시설 외부에서 시료를 채취할 때는 방유조 끝단을 기준으로 채취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저장시설 내부와 외부에서 오염물질의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시료채취를 위해 구분하여 선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분석장치의 순서가 ‘시료도입부 – 고주파 전원부 – 광원부 – 분광부 – 연산처리부 – 기록부’로 구성된 장치는?

  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2. 원자흡수분광광도법
  3.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
  4.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
(정답률: 53%)
  • 분석장치의 순서가 ‘시료도입부 – 고주파 전원부 – 광원부 – 분광부 – 연산처리부 – 기록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의 구성과 일치한다. 이 방법은 시료를 고주파 전원부로 전달하여 유도결합플라스마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원자를 발광시켜 분광부에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연산처리부에서는 분석 결과를 처리하고 기록부에 저장한다. 따라서 이 장치는 유도결합플라스마-원자발광분광법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총칙의 내용 중 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수 : 약 100℃
  2. 냉수 : 15℃ 이하
  3. 온수 : 50℃ ~ 60℃
  4. 찬 곳 :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 ~15℃
(정답률: 73%)
  • 총칙의 내용 중 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온수는 50℃ ~ 60℃로 규정되어 있는 이유는, 이 온도 범위가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너무 뜨거나 차가워서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위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온도 범위는 미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어서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적절한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저장물질이 없는 누출검사대상시설의 가압시험법에서 “안정된 시험압력”이라 함은 가압 후 유지시간 동안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몇 %이하인 압력을 말하는가?

  1. 2
  2. 3
  3. 5
  4. 10
(정답률: 65%)
  • 안정된 시험압력은 가압 후 유지시간 동안 압력강하가 시험압력의 10% 이하인 압력을 말한다. 이는 누출검사를 실시하는 동안 안정적인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압력 강하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체크로마토그램의 분석에 사용하는 검출기 중 페놀, 총석유계탄화수소(TPH), BTEX 등의 분석에 활용도가 높은 검출기는?

  1. 전자포획형검출기(ECD)
  2. 불꽃이온화검출기(FID)
  3. 열전도도검출기(TCD)
  4. 광이온화검출기(PID)
(정답률: 66%)
  • 불꽃이온화검출기(FID)는 페놀, TPH, BTEX 등의 화합물들이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화합물들의 탄소와 수소를 측정하여 검출하는데 높은 활용도가 있습니다. 또한, FID는 불꽃을 이용하여 검출하기 때문에 민감도가 높고, 다른 검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샘플의 양에 대한 제한이 적어서 대량의 샘플을 분석하는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6가 크롬의 측정 시 발색을 방해하는 성분은?

  1. 잔류염소
  2. 잔류망간
  3. 잔류질소
  4. 잔류산소
(정답률: 71%)
  • 잔류염소는 UV-Vis 분광법에서 크롬의 측정 시 발색을 방해하는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잔류염소가 크롬과 반응하여 색이 변하거나, 크롬과 함께 흡수되어 크롬의 흡광선을 가리는 등의 방식으로 발색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크롬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잔류염소의 함량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분함량 측정에 대한 설명 중 ( )에 알맞은 내용은?

  1. ㉠ 150 ~ 155, ㉡ 8
  2. ㉠ 150 ~ 155, ㉡ 4
  3. ㉠ 105 ~ 110, ㉡ 8
  4. ㉠ 105 ~ 110, ㉡ 4
(정답률: 63%)
  • 이미지에서 보이는 색깔 변화의 범위와 색깔 변화의 수를 기준으로 수분함량을 측정하는데, 이 때 범위가 좁을수록 수분함량이 높고, 색깔 변화의 수가 적을수록 수분함량이 높다. 따라서, 범위가 105 ~ 110이고 색깔 변화의 수가 4개인 경우가 수분함량이 가장 높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시험방법은 빛이 시료용액 중을 통과할 때 흡수나 산란 등에 의하여 강도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2. 시료 중의 목적성분을 정량하기 위해 파장 200~900nm에서 액체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3.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은 일반적으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다색화장치 등을 통과하게 하여 넓은 파장범위의 빛을 이용한다.
  4. 투사광과 입사광의 강도는 램버어트비어(Lambert-Beer)의 법칙에 따른다.
(정답률: 58%)
  • 정답은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은 일반적으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다색화장치 등을 통과하게 하여 넓은 파장범위의 빛을 이용한다."이다. 이유는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단색화시켜 사용한다. 이는 특정 파장에서만 흡수되는 원자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넓은 파장범위의 빛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토양 및 지하수 오염정화 기술

41. 미생물은 크게 탄소원과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되는데 탄소원이 유기탄소이며 에너지원으로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는 미생물은?

  1. 화학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2. 화학합성 자가영양 미생물
  3. 광합성 종속영양 미생물
  4. 광합성 자가영양 미생물
(정답률: 68%)
  • 화학합성 종속영양 미생물은 유기물의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고, 탄소원으로 유기탄소를 사용하는 미생물입니다. 즉, 다른 생물체나 환경으로부터 유기탄소를 공급받아 에너지를 생산하는 종속영양 미생물이며, 화학합성을 통해 자신의 유기체를 합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공급받은 유기탄소를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고형화/안정화된 폐기물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용출능평가실험 방법으로 인조산성 강우액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연속적으로 오염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1. TCLP(toxicity characteristic leaching procedure) 시험법
  2. MEP(multiple extraction procedure) 시험법
  3. EP-TOX(extraction procedure toxicity) 시험법
  4. MWEP(monofill waste extraction procedure) 시험법
(정답률: 54%)
  • MEP 시험법은 인조산성 강우액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연속적으로 오염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TCLP 시험법과 달리 여러 번 추출하여 더 정확한 용출능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는 것이다. EP-TOX 시험법은 유기화합물에 대한 용출능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고, MWEP 시험법은 단일 산업폐기물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대한 용출능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오염토양에 원위치(In-situ) 생물학적 분해법을 적용하는 경우, 호기성보다 혐기성 상태에서 분해하기 쉬운 토양 오염물은?

  1. 톨루엔(toluene)
  2. 벤젠(benzene)
  3. 크실렌(xylene)
  4. TCE(trichloroethylene)
(정답률: 59%)
  • TCE(trichloroethylene)는 혐기성 분해균에 의해 분해되기 쉬우며, 호기성 분해균보다 더 높은 분해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염토양에 원위치(In-situ) 생물학적 분해법을 적용할 때 분해하기 쉬운 토양 오염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페놀로 오염된 지하수를 과산화수소(H2O2)와 철 촉매(Fe2+)를 사용하여 처리하고자 한다. 예비실험결과99% 제거 시 과산화수소와 철의 필요량이 2.5(g H2O2/g phenol), 0.05(mg Fe2+/mg H2O2)임을 알았다. 오염현장의 페놀의 오염농도가 6000mg/L이고 추출된 지하수의 유량이 20000L/day 일 때 필요한 철 촉매(Fe2+)의 양(kg/day)은? (단, 비중=1.0, 페놀 제거율 99% 기준)

  1. 약 15
  2. 약 20
  3. 약 25
  4. 약 30
(정답률: 32%)
  • 처리에 필요한 과산화수소와 철의 비율은 2.5(g H2O2/g phenol) : 0.05(mg Fe2+/mg H2O2) 이므로, 1g의 페놀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2.5g의 과산화수소와 0.05mg의 철이 필요하다.

    따라서, 6000mg/L의 페놀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6000mg/L x 2.5g H2O2/g phenol = 15000mg/L = 15g/L의 과산화수소가 필요하다.

    20000L/day의 유량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15g/L x 20000L/day = 300kg/day의 과산화수소가 필요하다.

    또한, 과산화수소와 철의 비율에 따라 철의 필요량은 0.05mg Fe2+/mg H2O2 x 15g = 0.75mg/L 이다.

    따라서, 20000L/day의 유량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0.75mg/L x 20000L/day = 15kg/day의 철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약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토양세척공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외부환경의 조건변화에 대한 영향이 큰 공정이다.
  2. 처리 효율은 높으나 적용 가능한 오염물의 범위가 좁다.
  3. 자체적인 조건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공정이다.
  4. 오염토양의 부피감소 시간이 길다.
(정답률: 65%)
  • 토양세척공정은 오염된 토양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외부환경의 조건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공정은 자체적인 조건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공정이기 때문에, 외부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처리 효율도 높으며, 오염토양의 부피감소 시간이 길어서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자체적인 조건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공정이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양증기추출기법 시스템의 단점으로 틀린 것은?

  1. 토양층이 치밀하여 기체 흐름이 어려운 곳에서는 사용이 곤란하다.
  2. 오염물질의 독성은 변화가 없다.
  3. 굴착공정으로 인하여 설치기간이 비교적 길다.
  4. 지반구조의 복잡성으로 총 처리시간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정답률: 51%)
  • 굴착공정으로 인하여 설치기간이 비교적 길다는 것은 토양증기추출기법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파내고 파인 구멍에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설치기간이 비교적 길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중 생물학적 처리 공정의 4가지 반응 메커니즘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공동대사
  2. 수화반응
  3. 호기반응
  4. 혐기반응
(정답률: 61%)
  • 수화반응은 지중 생물학적 처리 공정의 4가지 반응 메커니즘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수화반응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이 아니라, 물 분자를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화반응은 지중 생물학적 처리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열탈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소성이 높은 토양은 스크린 및 장비에 엉겨 붙어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2. 20% 이상 수분을 포함하는 토양은 건조 및 탈수 후 처리하여야 한다.
  3. 1100kcal/kg보다 높은 열량을 가진 토양은 처리 전 일반토양과 섞어 처리하여야 한다.
  4. 소요에너지 계산을 위해서 토양의 가밀도, 토성 및 토양의 증발열 자료가 필요하다.
(정답률: 29%)
  • 열탈착법은 오염된 토양에서 오염물질을 열분해하여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때 소요되는 열에너지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토양의 가밀도, 토성 및 토양의 증발열 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소요에너지 계산을 위해서 토양의 가밀도, 토성 및 토양의 증발열 자료가 필요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바이오벤팅 기술을 적용할 때, 평균 산소 소모율(%O2/day)은? (단, 주입공기유량 100m3/day, 초기산소농도 21%, 배기가스 중의 산소농도 3%, 토양체적 1000m3, 토양공극률 0.2)

  1. 3
  2. 4
  3. 6
  4. 9
(정답률: 53%)
  • 바이오벤팅 기술은 토양 속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로 인해 배기가스 중의 산소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CO2와 H2O로 분해되는 과정을 이용한다. 이때, 산소가 소모되므로 평균 산소 소모율을 구해야 한다.

    먼저, 하루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은 100m3/day이다. 초기 산소 농도는 21%이므로, 하루에 주입되는 산소의 양은 21/100 x 100m3/day = 21m3/day이다.

    배기가스 중의 산소 농도는 3%이므로, 하루에 배출되는 산소의 양은 3/100 x 1000m3 x 0.2 = 6m3/day이다.

    따라서, 하루에 소모되는 산소의 양은 21m3/day - 6m3/day = 15m3/day이다.

    평균 산소 소모율은 하루에 소모되는 산소의 양을 토양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15m3/day ÷ 1000m3 = 0.015m3/m3/day = 1.5%O2/day이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오염물질 차단(containment)기술 중 기중 차단벽 공정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Biopile
  2. Slurry wall
  3. Grout
  4. Steel sheet pile
(정답률: 60%)
  • 기중 차단벽 공정은 지하수나 토양 오염물질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중 "Biopile"은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 공정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옵션인 "Slurry wall", "Grout", "Steel sheet pile"은 모두 기중 차단벽 공정에 해당하지만, "Biopile"은 생물학적 처리 공정으로서 다른 세 가지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양증기추출정으로부터 10m 거리(r)에 떨어진 관측정의 압력(Pr)을 측정하여 계산한 영향반경(RI)의 거리 (m)는? (단, 추출정 압력 Pw=0.9atm, Pr=0.98atm, 영향반경 지점의 압력 PRI=0.999atm, 추출정 반경 Rw=50mm)

  1. 32.8
  2. 34.3
  3. 37.6
  4. 38.7
(정답률: 44%)
  • 영향반경(RI)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RI = √(2Dw / α)

    여기서 Dw는 추출정 반경이며, α는 토양의 흡착계수입니다. 흡착계수는 토양과 오염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값으로, 토양의 종류와 오염물질의 성질에 따라 다릅니다.

    이 문제에서는 흡착계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인 0.01을 사용하겠습니다.

    α = 0.01

    Dw = 50mm = 0.05m

    Pw = 0.9atm

    PRI = 0.999atm

    Pr = 0.98atm

    RI = √(2Dw / α) * ln(PRI / Pw) / (PRI - Pr)

    RI = √(2 * 0.05 / 0.01) * ln(0.999 / 0.9) / (0.999 - 0.98)

    RI = 37.6m

    따라서, 영향반경(RI)의 거리는 37.6m이 됩니다. 정답은 "37.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름의 입경 0.2mm, 기름의 비중 0.94g/cm3, 물의 비중 1g/cm3, 물의 점성도 0.01g/cm-sec 일 때 기름의 부상속도(cm/min)는? (단, Stokes 법칙 이용)

  1. 5.84
  2. 6.84
  3. 7.84
  4. 8.84
(정답률: 44%)
  • Stokes 법칙에 따르면 부력 FB는 다음과 같다.

    FB = 6πηrv

    여기서,
    - η는 유체의 점성도
    - r은 입경의 반지름
    - v는 부상속도

    먼저, 기름의 부피당 질량은 다음과 같다.

    ρ기름 = 0.94g/cm3 / (4/3π(0.1cm)3) = 7.91g/cm3

    물의 부피당 질량은 1g/cm3이므로, 기름은 물보다 가벼우므로 부상한다.

    따라서, FB는 중력과 같아진다.

    FB = Fg

    여기서,
    - Fg는 중력
    - V는 입경이 0.2mm인 구의 체적

    Fg = mg = ρVg

    V = 4/3π(0.1cm)3 = 4.19 x 10-4cm3

    FB = 6πηrv = ρVg

    v = (ρ기름)g(0.1cm)2 / 18η

    v = (1g/cm3-0.94g/cm3) x 980cm/sec2 x (0.1cm)2 / (18 x 0.01g/cm-sec)

    v = 7.84cm/min

    따라서, 정답은 "7.8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하수 오염원에서 자연저감이 일어나고 있다면 배경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은?

  1. 질산염
  2. 2가 철
  3. 망간
  4. 알칼리도
(정답률: 48%)
  • 질산염은 지하수 오염원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물질 중 하나이며, 이 과정에서 질소가 방출되기 때문에 배경보다 낮은 값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가 철, 망간, 알칼리도는 모두 지하수 오염원과는 관련이 있지만, 자연적인 저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토양증기추출법을 적용했을 때 상대적으로 처리 효율이 가장 높은 물질은?

  1. PCBs
  2. 중금속
  3. 다이옥신
  4. 준휘발성 유기물질
(정답률: 57%)
  • 토양증기추출법은 토양 속 물질을 증기로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물질의 휘발성에 따라 처리 효율이 달라집니다. 준휘발성 유기물질은 일반적인 유기물질보다 증발이 빠르지 않지만, 일반적인 유기물질보다는 빠르게 증발합니다. 따라서 토양증기추출법에서는 준휘발성 유기물질이 다른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처리 효율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식물정화법 대상 오염물질 중에서 식물에 의한 안정화에 영향을 받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유기인화합물
  2. 중금속
  3. 방향족 탄화수소
  4.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정답률: 50%)
  • 유기인화합물은 식물에 의한 안정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물질입니다. 이는 식물이 대부분 유기인화합물을 분해하여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기인화합물은 식물정화법의 대상 오염물질 중에서 안정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매립지 최종 복토층의 가스 배체층 설치에 따른 이점으로 틀린 것은?

  1. 상부 식생대층의 식물 및 미생물에 대한 독성 영향을 저감시킨다.
  2. 가스압에 의한 차수층의 균열발생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3. 매립가스를 포집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매립가스의 지속적 대기 배출로 신속한 매립지의 안정화를 기한다.
(정답률: 60%)
  • "매립가스의 지속적 대기 배출로 신속한 매립지의 안정화를 기한다."는 틀린 것입니다. 매립가스의 지속적 대기 배출은 오히려 환경오염과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매립지의 안정화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립지 최종 복토층의 가스 배체층 설치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상부 식생대층의 식물 및 미생물에 대한 독성 영향을 저감시키고, 가스압에 의한 차수층의 균열발생 위험성을 감소시키며, 매립가스를 포집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PCE로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하여 포기조 내에서 공기분산법으로 제거할 때 포기조의 부피가 100m3인 처리장에 1일 400m3의 오염지하수가 유입된다면 포기시간(hr)은?

  1. 0.25
  2. 6
  3. 8
  4. 12
(정답률: 57%)
  • 공기분산법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때는 포기조 내의 공기와 오염수가 교차되면서 오염물질이 증발하여 제거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때 포기시간은 포기조 부피와 유입량에 따라 결정된다.

    포기조 부피가 100m3이므로,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양은 100m3이다. 하지만 유입량이 400m3이므로,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양보다 4배 많은 양이 유입된다. 따라서 포기시간은 4배 더 길어져야 한다.

    포기시간은 유입량을 포기조 부피로 나눈 값이므로, 400m3 ÷ 100m3 = 4시간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시간 단위가 "시"가 아니라 "시간"으로 주어졌으므로, 답은 4가 아니라 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연저감과정 중 산화환원포텐셜값이 가장 높은 조건에서 일어나는 것은?

  1. 황산염 환원
  2. 메탄산화
  3. 3가철 환원
  4. 호기성산화
(정답률: 48%)
  • 호기성산화는 산화환원포텐셜값이 가장 높은 조건에서 일어나는 자연저감과정 중 하나입니다. 이는 공기 중의 산소(O2)가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으로, 이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미생물이 생존합니다. 따라서 산화환원포텐셜값이 높은 조건에서 일어나는 이 과정이 가장 높은 화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열탈착 기술에서 오염물질의 특성에 따른 탈착 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기물질의 분자량이 클수록 탈착속도가 빠르다.
  2. 토양층의 깊어질수록 탈착속도는 감소한다.
  3. 유기물질의 휘발성이 작을수록 탈착속도가 느리다.
  4. 비공극성 입자의 경우 탈착속도는 초기에 크고 빠르게 일어난다.
(정답률: 66%)
  • "유기물질의 분자량이 클수록 탈착속도가 빠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유기물질의 분자량이 클수록 탈착속도는 오히려 느려집니다. 이는 큰 분자량의 유기물질이 토양 입자와 결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기분사법(air sparging)의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물질의 휘발성이 작으면 정화효율이 낮다.
  2. 오염확산의 위험이 적은 피압대수층에 적용이 용이하다.
  3. 공기주입으로 인한 기질의 변화로 주변 구조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4. 오염물질의 호기성 생분해능이 높을수록 적용이 유리하다.
(정답률: 50%)
  • "오염확산의 위험이 적은 피압대수층에 적용이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공기분사법은 오염된 지하수나 토양에서 오염물질을 기체 상태로 변환시켜 제거하는 기술로, 오염물질이 있는 지하수나 토양에 공기를 주입하여 오염물질을 기체 상태로 만들어 제거한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있는 지하수나 토양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오염확산의 위험이 적은 피압대수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양 및 지하수 환경관계법규

61. 토양오염검사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토양관련 전문기관으로부터 그 시설의 부지 및 그 주변지역에 대하여 토양오염검사를 받아야 한다.
  2. 토양오염검사는 토양오염도검사 및 누출검사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3. 누출검사는 저장시설 또는 배관이 땅속에 묻혀 있거나 땅에 붙어 있어 누출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실시한다.
  4. 토양시료의 채취가 불가능하거나 토양오염검사가 필요하지 아니하여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부터 승인을 얻어 토양오염검사를 받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률: 41%)
  • 토양오염검사는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아야 하며, 토양시료의 채취가 불가능하거나 토양오염검사가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에만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받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토양정화업 :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업으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토양정화 : 생물학적 또는 물리적·화학적 처리 등의 방법으로 토양 중의 오염물질을 감소, 제거하거나 토양중의 오염물질에 의한 위해를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3.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 토양을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4. 토양오염물질 : 토양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토양정화 : 생물학적 또는 물리적·화학적 처리 등의 방법으로 토양 중의 오염물질을 감소, 제거하거나 토양중의 오염물질에 의한 위해를 완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이 정의에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업"이라는 구문이 빠져 있기 때문에 틀린 정의이다. 토양정화는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토양보전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정화 및 정화된 토양의 이용에 관한 사항
  2. 토양정화를 위한 기술인력의 교육 및 양성에 관한 사항
  3. 토양보전에 관한 시책방향
  4. 토양오염의 정화 및 복원 현황
(정답률: 47%)
  • 토양보전기본계획은 토양보전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포함해야 합니다. 따라서 "토양오염의 정화 및 복원 현황"은 포함되어야 할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토양오염의 정화 및 복원은 이미 발생한 문제에 대한 대처책이기 때문에, 보전기본계획 수립 시에는 이전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는 예방과 보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정화 및 정화된 토양의 이용에 관한 사항", "토양정화를 위한 기술인력의 교육 및 양성에 관한 사항", "토양보전에 관한 시책방향" 등이 더 중요한 사항으로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토양환경보전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토양오염물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
  2.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토양생태계를 보전
  3. 자원으로서의 토양가치를 높임
  4.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
(정답률: 66%)
  • 토양환경보전법의 목적은 "토양오염물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가 아니라,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함으로써 토양생태계를 보전", "자원으로서의 토양가치를 높임",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입니다. 따라서, "토양오염물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는 토양환경보전법의 목적이 아닙니다. 이는 토양환경보전법이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수질검사대상이 되는 공업용수용 지하수 양수 규모 기준은?

  1. 1일 양수능력이 30톤 이상인 경우
  2. 1일 양수능력이 50톤 이상인 경우
  3. 1일 양수능력이 60톤 이상인 경우
  4. 1일 양수능력이 100톤 이상인 경우
(정답률: 57%)
  • 공업용수용 지하수는 대량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수질이 중요하다. 따라서 수질검사 대상이 되는 공업용수용 지하수 양수 규모 기준은 1일 양수능력이 30톤 이상인 경우이다. 이는 매일 30톤 이상의 양수를 사용하는 공장이나 시설에서 사용되는 지하수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더 많은 양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 엄격한 수질검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정화책임자로 볼 수 없는 경우는?

  1. 토양오염물질의 누출·유출·투기·방치 또는 그 밖의 행위로 토양오염을 발생시킨 자
  2. 토양오염의 발생 당시 토양오염의 원인이 된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소유자·점유자 또는 운영자
  3. 합병·상속이나 그 밖의 사유로 토양오염관리 대상시설의 권리·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한 자
  4. 해당 토지를 소유 또는 점유하고 있는 중에 토양오염이 발생한 경우로서 자신이 해당 토양오염 발생에 대하여 귀책 사유가 없는 경우
(정답률: 75%)
  • 해당 토지를 소유 또는 점유하고 있는 중에 토양오염이 발생한 경우로서 자신이 해당 토양오염 발생에 대하여 귀책 사유가 없는 경우는 정화책임자로 볼 수 없다. 이는 해당 토지를 소유 또는 점유하고 있는 사람이 토양오염 발생에 대한 귀책 사유가 없기 때문에,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의 설치자에게 감독상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명할 수 있으며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출입하여 토양오염방지시설의 설치, 토양오염검사 및 그 결과의 보전여부 등을 검사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공무원의 출입·검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에 대한 과태료 기준은?

  1.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50%)
  • 환경부령에 따라 공무원이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 출입하여 검사를 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거부, 방해 또는 기피하는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 과태료의 기준은 환경부령 제32조에 따라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에서 언급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토양관련전문기관’으로 옳은 것은?

  1. 농촌진흥청
  2. 한국환경공단
  3. 국립환경과학원
  4.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 언급된 내용은 "토양오염조사 및 평가를 위한 시설, 장비, 기술 등에 대한 기준을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토양관련전문기관" 이다. 이에 해당하는 기관은 토양오염조사 및 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하수오염방지시설의 설치기준 중 상부보호공을 설치하는 지하수오염방지시설의 세부 설치기준으로 ( )에 맞는 내용은?

  1. 10m
  2. 5m
  3. 3m
  4. 2m
(정답률: 55%)
  • 상부보호공은 지하수오염방지시설 중 하나로,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하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상부보호공의 위치는 지하수면보다 높은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지하수면보다 낮은 곳에 설치하면 지하수가 오염되는 경우 상부보호공 안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부보호공은 지하수면보다 최소 3m 이상 높은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토양오염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경부장관은 전국적인 토양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측정망을 설치한다.
  2. 전국토를 일정단위 구획하여 설치하되 측정지점의 수는 고정한다.
  3.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은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해당 지역에 대하여 토양 오염실태를 조사하여야 한다.
  4. 시·도지사는 구청장이 보고한 토양오염실태조사와 결과를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전국토를 일정단위 구획하여 설치하되 측정지점의 수는 고정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측정지점의 수는 유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지점의 수는 지역의 토양오염실태와 관련하여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토양보전대책에 관한 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지 등의 이용 방안
  2. 피해주민에 대한 지원 대책
  3. 오염토양 개선사업
  4. 토양오염 방지 대책
(정답률: 33%)
  • 토양보전대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토지 등의 이용 방안, 피해주민에 대한 지원 대책, 오염토양 개선사업, 그리고 토양오염 방지 대책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양오염 방지 대책"이 아닌 다른 항목들입니다. 이유는 토양보전대책은 토양오염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기 때문에, 토양오염 방지 대책은 이 대책의 핵심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토양보전대책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모두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토양오염 방지 대책은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위해성평가를 하려는 자가 위해성평가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위해성평가 계획서에 포함하여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장조사 방법
  2. 오염물질의 노출경로
  3. 오염범위 및 노출농도
  4. 독성평가 자료
(정답률: 36%)
  • 위해성평가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위해성평가 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현장조사 방법, 오염물질의 노출경로, 오염범위 및 노출농도, 독성평가 자료 등이다. 그 중에서도 "오염범위 및 노출농도"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위해성평가 대상지역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어느 범위까지 퍼져있고, 노출농도가 어느 수준인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설치현황 등의 보고 시 제출해야 하는 자료가 아닌 것은?

  1.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운영계획
  2. 토양오염검사 결과
  3. 조치명령 및 조사 결과의 내용
  4.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설치 현황
(정답률: 29%)
  •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운영계획"은 보고서를 제출할 필요가 없는 자료입니다. 이는 해당 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계획서이며, 시설 운영자가 직접 작성하고 관리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해당 보기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토양오염 관리에 필요한 중요한 자료들이며, 보고서 제출 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토양보전대책지역 지정표지판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정사유
  2. 지정목적
  3. 지정일자
  4. 토양보전대책지역안에서 제한되는 행위
(정답률: 47%)
  • "지정사유"는 해당 지역이 토양보전을 위해 지정된 이유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제한되는 행위와 지정목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른 항목들은 모두 해당 지역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지정사유는 해당 지역이 지정된 이유를 나타내므로 가장 거리가 먼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토양환경보전을 위한 주민건강피해조사 및 대책의 내용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건강피해조사의 대상 및 방법
  2. 건강피해 전문가 목록
  3. 건강피해조사 기관
  4. 건강피해의 판정 및 대책
(정답률: 69%)
  • 정답: "건강피해 전문가 목록"

    이유: 건강피해조사를 실시할 때, 건강피해 전문가들의 목록을 포함시키는 것은 필요한 사항이 아니다. 건강피해 전문가들은 조사를 실시하는 기관에서 필요한 경우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는 건강피해조사의 대상 및 방법, 건강피해조사 기관, 건강피해의 판정 및 대책 등과 함께 결정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오염토양의 정화에 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오염토양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화기준 및 정화방법에 따라 정화하여야 한다.
  2. 오염토양은 법에서 정하는 규정에서 의하여 토양정화업의 등록을 한 자에게 위탁하여 정화하여야 한다.
  3. 오염토양을 정화할 떄에는 오염이 발생한 해당 부지에서 정화하여야 한다.
  4.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자는 오염토양에 비오염 토양을 섞어서 오염농도 및 위해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오염토양을 정화할 떄에는 오염이 발생한 해당 부지에서 정화하여야 한다." 이다. 오염토양은 해당 부지에서 정화하지 않고, 다른 장소로 운반하여 정화할 수도 있다.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자는 오염토양에 비오염 토양을 섞어서 오염농도 및 위해성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은 맞는 내용이다. 이는 토양정화 기술 중 하나인 희석법(dilution)으로, 오염된 토양과 비오염 토양을 섞어서 오염농도를 낮추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양오염조사기관이 아닌 기관은?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과학원
  3. 국립산림과학원
  4.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정답률: 59%)
  •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과 관련된 연구 및 조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토양오염 조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양오염조사기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하수의 수질보전을 위하여 수질측정망 설치 및 수질오염실태 측정 계획을 수립·고시하여야 하는 자는?

  1. 환경부장관
  2. 국토교통부장관
  3. 농림축산식품부장관
  4. 시·도지사
(정답률: 64%)
  • 지하수는 환경분야에서 관리되는 자원이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한 수질측정망 설치 및 수질오염실태 측정 계획을 수립·고시하는 권한은 환경분야를 담당하는 환경부장관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부장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하수 수질측정기록부는 최종 기재한 날로부터 몇 년간 보존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49%)
  • 지하수 수질측정기록부는 환경부 고시에 따라 최종 기재한 날로부터 3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는 수질측정 결과를 추적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검토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환경문제와 관련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도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설치현황 등의 보고와 관련하여 시장·군수·구청장이 환경부령에 따라 매년 1월말까지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자료가 아닌 것은?

  1.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설치 현황
  2. 규정에 따라 통보받은 토양오염검사 결과
  3. 규정에 따른 조치명령 및 조사 결과의 내용
  4. 규정에 따른 토양정화검증결과
(정답률: 43%)
  • 환경부령에 따라 매년 1월말까지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 자료 중에서 "규정에 따른 토양정화검증결과"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복원하기 위한 토양정화과정을 거친 후에 검증결과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매년 제출하는 보고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