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8-17)

자기비파괴검사기사
(2014-08-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감마선과 초음파와의 공통점은?

  1. 진공을 투과한다.
  2. 철강을 전리시키면서 투과한다.
  3. 에너지를 지니고 있으나 질량이 없다.
  4. 결함에서 반사와 산란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비파괴검사 선원이다.
(정답률: 73%)
  • 감마선과 초음파는 모두 에너지를 지니고 있지만, 질량이 없는 전자기파와 음파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지니고 있으나 질량이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파괴검사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충격측정시험
  2. 전기전도율시험
  3. 적외선분석시험
  4. 암모니아 변색법
(정답률: 87%)
  • 충격측정시험은 물체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이지만, 이는 비파괴검사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비파괴검사는 물체의 내부 결함이나 손상을 파악하는 검사 방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충격측정시험"은 비파괴검사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침투탐상시험에 사용되는 침투액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적심성이 좋아야 한다.
  2.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3. 비휘발성 이어야 한다.
  4. 색채콘트라스트가 높아야 한다.
(정답률: 82%)
  • 인화점이 낮을수록 침투액이 빠르게 증발하므로 침투액이 표면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지고, 침투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침투탐상시험에 사용되는 침투액의 특성 중 인화점이 낮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방사선투과시험의 장점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방사선투과시험은 다른 검사법에 비해 조작이 쉽고 간편하다.
  2. 방사선 조사방향과 관계없이 모든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3. 방사선투과시험은 양 면에 접근하지 않고 한 면에서 검사가 가능하다.
  4. 금속 및 비금속 재료의 시험에 적용 가능하며, 두께차를 가지는 구상 결함의 검출이 우수하다.
(정답률: 86%)
  • 방사선투과시험은 금속 및 비금속 재료 모두에 적용 가능하며, 두께차를 가지는 구상 결함의 검출이 우수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는 다른 검사법에 비해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앙사선 계측기를 이용하는 누실검사에서 추적가스로 사용되는 것은?

  1. Kr
  2. Ar
  3. Rn
  4. NH3
(정답률: 63%)
  • 앙사선 계측기를 이용하는 누실검사에서는 추적가스로 희귀 기체 중에서도 안정적인 것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Kr(크립톤)은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추적가스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K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함연황동에 관한 설명 중 툴린 것은?

  1. 쾌삭황동 또는 Hard brass라 한다.
  2. 7 : 3 황동에 Ti를 첨가한 것이다.
  3. 절삭성이 좋고 가공표면이 깨끗하여 정밀제품 등에 이용된다.
  4. Pb는 α 황동에 거의 고용하지 않고 입계 및 입내에 미립으로 유리하여 존재한다.
(정답률: 67%)
  • 7 : 3 황동에 Ti를 첨가한 것은 툴린(Tullyn)이라고도 불리며, 절삭성이 우수하고 가공표면이 깨끗하여 정밀제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Ti 첨가로 강도와 내식성이 향상되며, Pb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입계 및 입내에 미립으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7. 인잠시험에서 10mm의 강봉을 표점거리 50mm로 표시한 후. 시험편을 시험 후 측정하였더니 표점이 60mm가 되었다. 이때의 강도와 연신율은? (단 최대하중은 10톤으로 측정되었다.)

  1. 127.3 kgf/mm2, 20%
  2. 133 kgf/mm2, 15%
  3. 127.3 kgf/mm2, 10%
  4. 31.8 kgf/mm2, 20%
(정답률: 75%)
  • 인장 시험에서 강도는 최대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강도 = 최대하중 / 단면적 이다. 단면적은 강봉의 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연신율은 시험 전후의 길이 차이를 시험 전의 길이로 나눈 값이다.

    강봉의 지름을 구하기 위해 반지름 r = 10mm / 2 = 5mm 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πr^2 = 3.14 x 5^2 = 78.5mm^2 이다.

    연신율은 (60mm - 50mm) / 50mm x 100% = 20% 이다.

    강도는 최대하중 10톤을 kgf 단위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10톤 x 1000kg/톤 x 9.81m/s^2 = 98,100kgf 이다. 따라서 강도는 98,100kgf / 78.5mm^2 = 1,247.86kgf/mm^2 이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27.3kgf/mm^2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7.3 kgf/mm^2, 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빙점 이히의 저온에서 잘 견디는 내한강의 조직은?

  1. 페라이트
  2. 펄라이트
  3. 마텐자이트
  4. 오스테나
(정답률: 65%)
  • 빙점 이하의 저온에서는 많은 강의 조직이 파괴되거나 변형되지만, 오스테나는 저온에서도 견고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내한강으로 적합합니다. 이는 오스테나가 저온에서도 고체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결정 구조가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스테나는 내한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고체 상태에서 낮은 응력에 의해 수백% 이상 연신을 일으키는 합금은?

  1. 비정질합금
  2. 초전도합금
  3. 형상기억합금
  4. 초소성합금
(정답률: 80%)
  • 고체 상태에서 응력이 적용되면 일반적으로 물질은 변형되지만, 초소성합금은 이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높아 수백% 이상의 연신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결정 구조가 매우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소성합금은 고강도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반도체(semiconductor) 재료가 아닌 것은?

  1. Si
  2. Ti
  3. Ge
  4. GaAs
(정답률: 67%)
  • 반도체 재료는 전자의 이동성이 높은 재료로, 전기적으로 중간 위치에 있는 원소들을 말합니다. 따라서 "Ti"는 반도체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내식성 Al합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라우탈 합금은 Al-Cr-Mo계 합금이다.
  2. 하이드로날륨 합금은 Al-6-10%Mg 합금이다.
  3. 알드레이 합금은 Al-0.45~1.5%Mg~0.2~1.2%Si 합금이다.
  4. 알크레드는 고강도 Al합금 표면에 순 Al 또는 내식성 Al합금을 피복한 합금판재이다.
(정답률: 70%)
  • "라우탈 합금은 Al-Cr-Mo계 합금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라우탈 합금은 Al-Cu-Mg-Si계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탄소강에서 황(S)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유동성을 개선한다.
  2. 저온취성의 원인이 된다.
  3. 연신율 및 충격값을 감소시킨다.
  4. 경화능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정답률: 50%)
  • 황(S)은 탄소강에서 저온취성의 원인이 되며, 이는 연신율 및 충격값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정답은 "연신율 및 충격값을 감소시킨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내열 및 내식성이 가장 우수한 재료는?

  1. 탄소강
  2. 하드필드강
  3. 스테인리스강
  4. 황복합쾌삭강
(정답률: 92%)
  •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다른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녹슬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식기류, 의료기기, 화학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면에 탄소강은 내식성이 낮고, 하드필드강은 내열성은 높지만 내식성이 낮습니다. 황복합쾌삭강은 내식성과 내열성이 높지만 가공이 어렵고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회주철에서 밀도가 가장 작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1. 흑연
  2. 페라이트
  3. 펄라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69%)
  • 흑연은 회주철에서 가장 밀도가 작은 조직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흑연이 회주철의 모든 조직 중에서 가장 많은 탄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탄소는 원자량이 작아서 회주철의 밀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탄소 함량이 높은 흑연은 밀도가 가장 작은 조직을 구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게이지용 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내식성이 좋을 것
  2. 마모성이 크고 경도가 높을 것
  3. 담금질에 의한 변형이 적을 것
  4. 오랜 시간 경과하여도 치수의 변화가 적을 것
(정답률: 80%)
  • "마모성이 크고 경도가 높을 것"은 틀린 것이다. 게이지용 강의 특징은 내식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담금질에 의한 변형이 적고 오랜 시간 경과하여도 치수의 변화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강의의 경도나 마모성은 강의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과 같은 용접이음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모서리 이음
  2. 변두리 이음
  3. 측면 필릿 이음
  4. 맞대기 이음
(정답률: 77%)
  • 정답은 "변두리 이음"입니다. 이유는 두 개의 다른 두께를 가진 두 개의 철판이 변두리에서 만나 용접되었기 때문입니다. "모서리 이음"은 두 개의 철판이 모서리에서 만나 용접되는 경우를 말하며, "측면 필릿 이음"은 두 개의 철판이 측면에서 만나 용접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맞대기 이음"은 두 개의 철판이 맞닿아 용접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알루미늄합금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피복 금속 아크 용접
  2.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3. 불활성 가스 아크용접
  4. 탄산가스 아크용접
(정답률: 67%)
  • 알루미늄합금은 고열에 민감하고 산화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접 시에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불활성 가스 아크용접이 가장 적합합니다. 불활성 가스는 산화를 방지하면서 용접 부위를 보호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늄합금을 용접할 때는 불활성 가스 아크용접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접품의 비파괴검사 중에서 가장 간단한 검사법은?

  1. 육안검사(visual test)
  2. 누설검사(leak test)
  3. 침투검사(penetrant test)
  4. 초음파 검사(ultrasonic test)
(정답률: 96%)
  • 육안검사는 용접품의 외관을 직접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으로, 가장 간단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용접품의 표면에 눈에 띄는 결함이나 균열 등을 발견할 수 있으며, 검사장비나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이 저렴합니다. 하지만 내부 결함이나 미세한 결함은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비파괴검사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용접전류가 400A, 아크 전압은 35V, 용접속도가 20cm/min 일 때 단위 길이당 용접 입열은 몇 J/cm 인가?

  1. 42000
  2. 425000
  3. 44000
  4. 45500
(정답률: 84%)
  • 용접 입열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용접 입열 = 용접전류 x 아크 전압 x 용접속도 / 1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용접 입열 = 400 x 35 x 20 / 1000 = 280 J/cm

    따라서 정답은 "28000"이 아니라 "42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판재의 두께가 금속은 0.01~2mm, 플라스틱은 1~5mm 정도의 얇은 판의 접합에 이용되는 용접법은?

  1. 전자 빔 용접(electron beam welding)
  2. 초음파 용점(ultrasonic welding)
  3. 레이저 빔 용접(laser beam welding)
  4. 고주파 용접(hijgh frequency beam welding)
(정답률: 65%)
  • 초음파 용접은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여 판재를 접합하는 용접법으로, 판재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이 용접법은 용접 시간이 짧고 열변형이 적어서 작은 부품의 용접에 적합하며, 특히 플라스틱과 금속을 접합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판재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이용되는 용접법으로서 초음파 용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기탐상검사 원리

21.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면 접합부는 각각 온도가 다르며, 그 접합한 면의 양쪽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eebeck Effect
  2. Hall Effect
  3. Tomson Effect
  4. Fermi Effect
(정답률: 66%)
  •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면 각각의 금속에서 전자가 다르게 이동하면서 온도차에 따라 전위차가 발생하는데, 이를 Seebeck Effect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직류를 사용한 극간법에서 극간을 최대로 하였을 경우 적어도 몇 kg 이상의 인상력이 요구되는가?

  1. 4.5kg
  2. 9.0kg
  3. 13.5kg
  4. 18.1kg
(정답률: 61%)
  • 직류를 사용한 극간법에서 극간을 최대로 하면 전류가 최대로 흐르게 되어 인상력이 최대가 됩니다. 이 때 인상력은 전류와 자석장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인상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자석장을 최대로 만들어야 합니다. 자석장은 전류와 코일의 간격, 코일의 반지름, 코일의 누설자기장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코일의 반지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코일의 반지름을 최대로 만들어야 합니다. 이 때 코일의 반지름이 0.1m, 전류가 100A일 때 자석장은 0.2T가 됩니다. 따라서 인상력은 100A x 0.2T = 20N이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코일의 누설자기장 등으로 인해 이 값보다는 작아질 수 있으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8.1kg"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덕턴스가 100μHenry, 저항 5Ω을 가진 코일이 200kHz 에서 사용될 때 코일의 임피던스는?

  1. 1.257 Ω
  2. 2.514 Ω
  3. 125.7 Ω
  4. 251.4 Ω
(정답률: 63%)
  • 코일의 임피던스는 주파수, 인덕턴스, 저항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주파수와 저항이 주어졌으므로, 인덕턴스를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Z = √(R² + (ωL)²)

    여기서, R은 저항, L은 인덕턴스, ω은 각주파수입니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Z = √(5² + (2π × 200 × 10³ × 100 × 10⁻⁶)²)
    = √(25 + 25.1327)
    = √50.1327
    = 7.0795

    따라서, 코일의 임피던스는 7.0795Ω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이 없으므로, 답은 125.7Ω가 됩니다. 이는 보기에서 임피던스를 10배 크게 표기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자분탐상시험에 사용되는 자분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은 투자율
  2. 높은 항자성
  3. 낮은 보자성
  4. 좋은 분산성
(정답률: 81%)
  • 자분탐상시험에 사용되는 자분은 높은 항자성을 요구합니다. 이는 자분이 물과 반응하지 않고, 시료와의 상호작용만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높은 투자율은 시료가 자분에 흡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낮은 보자성은 자분이 불순물을 제거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좋은 분산성은 자분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시료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봉의 길이는 250mm, 직경은 75mm이고, 코일이 5회 감겨져 있을 때 봉의 직경 단위면적당 소요 전류는?

  1. 1400 A
  2. 1500 A
  3. 2700 A
  4. 27000 A
(정답률: 67%)
  • 먼저, 봉의 단면적을 구해야 합니다. 봉의 직경은 75mm 이므로 반지름은 37.5mm 입니다. 따라서, 봉의 단면적은 π x (37.5mm)^2 = 4417.7 mm^2 입니다.

    다음으로, 코일이 5회 감겨져 있으므로 전류는 5배가 됩니다. 따라서, 소요 전류는 5 x I 입니다.

    마지막으로, 봉의 직경 단위면적당 소요 전류를 구하기 위해 전류를 봉의 단면적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따라서, (5 x I) / 4417.7 = I / 883.54 A/mm^2 입니다.

    따라서, I / 883.54 = 1 이 되도록 I를 구하면 됩니다. 즉, I = 883.54 A/mm^2 x 1 = 883.54 A/mm^2 x 3.14 x 37.5^2 mm^2 = 2700 A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700 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분탐상검사에서 자분지시의 형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자계의 방향과 세기
  2. 결함의 크기 및 방향
  3. 탈자의 방향과 세기
  4. 시험체의 자기 특성
(정답률: 79%)
  • 자분탐상검사에서는 시험체의 자기 특성, 자계의 방향과 세기, 결함의 크기 및 방향, 그리고 탈자의 방향과 세기 등이 형상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 자분지시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은 "시험체의 자기 특성"이 아닌 것입니다. 탈자의 방향과 세기는 결함의 형태와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탈자의 방향과 세기가 강하면 그에 따라 자분이 모여 형상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기 이력곡선에서 o-b가 의미하는 뜻은?

  1. 자기포화
  2. 항자력
  3. 잔류자기
  4. 자기저항
(정답률: 72%)
  • o-b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o는 자기장의 출발점을, b는 자기장의 도착점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o-b가 수평선에 가까울수록 자기장이 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 "잔류자기"는 자기장이 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자기장이 사라지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자기포화와 관련이 있으며, 자기저항과 항자력도 함께 고려됩니다. 따라서, o-b가 수평선에 가까울수록 잔류자기가 강하게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자기장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잔류법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자화전류를 끊고 나서 자분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2. 저탄소강이나 전자연철 등에 적용한다.
  3. 연속법에 비하여 결함 검출 능력이 떨어진다.
  4. 나사부분 등 복작합 형상 부분에 적용하면 의사모양 지시의 발생이 적다.
(정답률: 58%)
  • "연속법에 비하여 결함 검출 능력이 떨어진다."가 틀린 것이다. 잔류법은 자화전류를 끊고 나서 자분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저탄소강이나 전자연철 등에 적용한다. 이 방법은 나사부분 등 복작합 형상 부분에 적용하면 의사모양 지시의 발생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연속법에 비해 결함 검출 능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화전류의 종류와 선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맥류는 표피효과가 전혀 생기지 않아 내부결함 검출 성능이 우수하다.
  2. 교류는 일반적으로 잔류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3. 충격전류는 일반적으로 연속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4. 교류에 의한 자화에서는 직류에 비해 반자장이 적다.
(정답률: 84%)
  • "교류는 일반적으로 잔류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교류 자화전류는 잔류법에서도 사용되며, 교류 자화전류를 이용한 잔류법을 교류자화 잔류법이라고 한다.

    맥류는 내부결함 검출 성능이 우수한 이유는, 맥류는 표피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즉, 자기장이 물체의 표면에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에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대형시험체의 표면을 극간법으로 검사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기적 직접 접촉이 없어도 가능하다.
  2. 소형이며 휴대가 간편하다.
  3. 임의의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다.
  4. 상자성체의 재료에 효과가 좋다.
(정답률: 78%)
  • 극간법은 전기적 직접 접촉 없이도 검사가 가능하며, 소형이며 휴대가 간편하며, 임의의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상자성체의 재료에 효과가 좋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상자성체는 극간법으로 검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용접부 탐상에 대한 프로드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전극의 위치에 따라 용접부에서 원형자계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2. 교류와 건식자분을 함께 사용하면 표면 불연속 및 표면 직하의 불연속에 대해서도 감도가 우수하다.
  3. 불량접촉에 의한 아크가 생길 수 있으며, 한번에 검사 할 수 있는 부분이 적다.
  4. 건식자분을 사용하려면 시험면을 건조시켜야 하며, 전극의 간격을 자화전류의 크기에 맞추어야 한다.
(정답률: 77%)
  • 정답: "건식자분을 사용하려면 시험면을 건조시켜야 하며, 전극의 간격을 자화전류의 크기에 맞추어야 한다."

    해설: 프로드법은 용접부의 표면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용접부 내부의 결함을 탐상하는 방법이다. 이 때, 전극의 위치에 따라 용접부에서 원형자계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교류와 건식자분을 함께 사용하면 표면 불연속 및 표면 직하의 불연속에 대해서도 감도가 우수하다. 하지만 건식자분을 사용하려면 시험면을 건조시켜야 하며, 전극의 간격을 자화전류의 크기에 맞추어야 한다는 것이 틀린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습식형광 자분탐상시험이 비형광 자분탐상에 비하여 장점인 것은?

  1.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2. 다수의 작업장에서 형광들이 표준조명이므로 활용상 편리하다.
  3. 시험품이 대형일 때 유리하다.
  4. 시험품이 비자성체일 때 검사속도를 빠르게 한다.
(정답률: 83%)
  • 습식형광 자분탐상시험은 샘플을 용액으로 만들어서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자성체의 내부에는 미세한 자구(Magnetic domain)가 무수히 많지만 이들에 자장을 가하기 이전에는 자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주된 이유는?

  1. 자구의 배열이 무질서하기 때문에
  2. 자장의 세기가 너무 미약하기 때문에
  3. 외부 누설자장은 없지만 내부에는 강하게 자화되어 있기 때문에
  4. 자장이 가해지면 그 자장의 에너지로 외부에 자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률: 69%)
  • 자구의 배열이 무질서하기 때문에 각 자구에서 발생하는 자장이 서로 상쇄되어 자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극을 갖는 시험체의 탈자확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Hall소자 등을 사용한 자속계로 잔류자기를 측정
  2. 간이형 자장계로 잔류자기를 측정
  3. 서베이미터로 잔류자기를 측정
  4. 자기콤파스의 자침이 기우는 각도로 잔류자기를 측정
(정답률: 78%)
  • 서베이미터는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이며, 자기장의 방향이나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자극을 갖는 시험체의 탈자확인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베이미터로 잔류자기를 측정"은 자극을 갖는 시험체의 탈자확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분탐상검사 중 코일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일의 축에 직각인 면을 갖는 결함이 가장 잘 검출되고 코일의 축방향의 결함은 잘 검출되지 않는다.
  2. 코일이 만드는 자계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과 코일 감을 수와의 곱인 암페어ㆍ턴(AㆍT)에 반비례한다.
  3. 소정의 강도로 자화되기 위해서는 L/D이 작아질수록 코일의 암페어ㆍ턴(AㆍT)을 크게 해야 한다.
  4. 교류와 직류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면 반자계의 영향이 적은 교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0%)
  • "코일이 만드는 자계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값과 코일 감을 수와의 곱인 암페어ㆍ턴(AㆍT)에 반비례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자계의 세기는 전류값과 코일 감을 수와의 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전류값이 작거나 코일 감을 수가 작을수록 자계의 세기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프로드법에 있어서 탐상 유효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프로드 간격
  2. 자분 및 검사액
  3. 시험체의 크기
  4. 시험면과 전극의 접촉 상태
(정답률: 88%)
  • 프로드법에서는 시험체의 크기가 탐상 유효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는 프로드법이 전기적으로 시료를 분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시료의 크기가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료의 크기가 작더라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극의 세기를 m(Wb), 자축의 길이를 L(m)이라 할 때 자기모멘트(M)는?

  1. mL2
  2. m/L
  3. mL
  4. L/m
(정답률: 58%)
  • 자기모멘트(M)는 자기장의 세기(m)와 자축의 길이(L)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mL"입니다.

    - "mL^2"는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인데, 자기모멘트는 길이와 세기의 곱으로 나타내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 "m/L"은 자기장의 세기와 자축의 길이의 역수로 나타내는데, 자기모멘트는 길이와 세기의 곱으로 나타내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 "L/m"은 자기장의 세기와 자축의 길이를 역전시킨 것으로, 자기모멘트를 나타내는 공식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기모멘트는 "mL"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외선 조사들은 시험 또는 자외선 강도측정에 사용하기 전 최소한 몇 분 동안 예열하여야 전기능을 발휘하는가?

  1. 1분
  2. 5분
  3. 10붅
  4. 15분
(정답률: 81%)
  • 자외선 조사기는 램프 내부에 있는 수은증기가 가열되어 자외선을 방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수은증기가 충분히 가열되어 안정화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최소한 5분 동안 예열하여야 안정적인 자외선 강도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기이력곡선에서 폭이 넓은 이력곡선의 특징은?

  1. 높은 투자율
  2. 낮은 보자력
  3. 높은 자기저항
  4. 낮은 잔류자기
(정답률: 55%)
  • 자기이력곡선에서 폭이 넓은 이력곡선은 자기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기저항이 높은 물질에서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높은 자기저항은 자기장의 변화에 대한 반응성이 높아져서 자기장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폭이 넓은 이력곡선은 높은 자기저항을 가진 물질에서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표피효과의 영향으로 인하여 시험체의 표층부 이외에는 자화가 어려운 전류 형태는?

  1. 직류
  2. 교류
  3. 맥류
  4. 전류
(정답률: 83%)
  • 표피효과는 전류가 시험체의 표면 부분을 따라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표면 부분에서는 전류가 흐르기 쉽지만, 표면 이외의 부분에서는 전류가 흐르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교류는 시간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표면 이외의 부분에서도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직류는 항상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표면 이외의 부분에서는 자화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교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기탐상검사 시험

41. 그림은 봉형 시험체의 자장 분포이다. 적용 금속의 자성적 특성과 전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강자성체-교류
  2. 강자성체-직류
  3. 비자성체-교류
  4. 비자성체-직류
(정답률: 58%)
  • 그림에서 보이는 자장 분포는 사인파 모양으로, 이는 교류 전류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적용된 금속은 자성체여야 하며, 그 중에서도 자기장에 강하게 반응하는 강자성체이다. 따라서 정답은 "강자성체-교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용접부 검사에서 자분탐상시험이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개선면 검사
  2. 뒷면 따내기한 면의 검사
  3. 용접 중간층 검사
  4. 용접 후 라미네이션 검사
(정답률: 71%)
  • 자분탐상시험은 용접부의 결함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용접부의 표면을 자르고 그 단면을 살펴보는 방법이다. 따라서 용접 중간층 검사는 자분탐상시험에 적합하지 않다. 용접 중간층 검사는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접 중간에 절단하여 단면을 살펴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분탐상검사에서 자화방법을 선택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반자계를 매우 적게 한다.
  2. 자계의 방향과 시험면은 평행하게 한다.
  3. 자계 또는 자속의 방향과 예상되는 결함방향을 평행하게 한다.
  4. 시험면을 손상시키면 안되는 경우 직접 통전하는 방법은 선택하지 않는다.
(정답률: 75%)
  • 정답은 "반자계를 매우 적게 한다."입니다.

    자분탐상검사에서 자화방법을 선택할 때는 시험대상의 자계 또는 자속의 방향과 예상되는 결함방향을 평행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결함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입니다. 시험면을 손상시키면 안되는 경우에는 직접 통전하는 방법을 선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반자계를 매우 적게 하는 것은 오히려 검사 결과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주의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분탐상검사에서 표준시험편의 일반적인 사용 못적이 아닌 것은?

  1. 시험 조건을 결정
  2. 자극의 존재여부 확인
  3. 장치, 자분 및 검사액의 성능 조사
  4. 시험조작의 적부 및 검사자의 기량 점검
(정답률: 53%)
  • 자극의 존재여부 확인은 자분탐상검사에서 특정 물질이나 화합물이 자극을 일으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는 시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용 못적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험 조건 결정, 장치 및 검사액의 성능 조사, 시험조작의 적부 및 검사자의 기량 점검 등 검사 과정에서 필요한 일반적인 작업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프로드법을 이용하여 자화시킬 때 결함의 자분모양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경우는?

  1. 프로드 전극에 매우 근접해 있을 때
  2. 프로드 전극 사이의 자력선과 수직일 때
  3. 2개의 프로드 전극과 수직인 방향일 때
  4. 결함의 방향과 관계없이 자계 범위 내에 존재할 때
(정답률: 73%)
  • 프로드법은 자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극 사이의 자력선을 이용하여 결함을 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자력선과 수직인 방향일 때 결함의 자분모양이 가장 잘 나타납니다. 이는 자력선이 결함을 향해 수직으로 향하면 결함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자력선과 수직으로 향하게 되어 자력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력선과 수직인 방향일 때 결함을 더욱 뚜렷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습식형광자분으로 연속법에 의한 탐상시 바탕이 진하고 지시모양의 관찰이 방해되었을 때의 후속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자분의 농도를 낮게 하여 재시험한다.
  2. 시험체에 진동이 생기지 않게 하여 시험한다.
  3. 물로 씻고 남은 자분으로 재시험한다.
  4. 자외선 강도를 낮게 하거나 멀리하여 보기 쉽게 한다.
(정답률: 60%)
  • 습식형광자분으로 연속법에 의한 탐상시 바탕이 진하고 지시모양의 관찰이 방해되었을 때, 자분의 농도를 낮게 하여 재시험하는 것은 자분의 농도가 높아서 지시모양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에는 농도를 낮추어서 지시모양을 뚜렷하게 만들어서 재시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농도가 높아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류 또는 영구자석을 사용한 극간식 자분탐상기의 자력으로 맞는 것은?

  1. 적어도 1.5kg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자력이 있어야 한다.
  2. 적어도 4.5kg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자력이 있어야 한다.
  3. 적어도 9.0kg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자력이 있어야 한다.
  4. 적어도 18.1kg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자력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80%)
  • 극간식 자분탐상기는 물질 내부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질 내부의 작은 자성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자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자력이 필요하다. 적어도 18.1kg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자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충분한 자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자력이 부족하여 자성 물질을 분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분 적용 시 건식법과 비교하였을 때 습식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크기가 크거나, 작은 불규칙한 모양의 시험품에 자분적용 용이
  2. 소형의 다량제품에 빠르고 좋은 방법
  3. 후처리시 표면에 남은 자분제거가 용이
  4. 자동장치의 작업에 적합
(정답률: 74%)
  • 습식법은 시료와 자분제를 액체 상태로 혼합하여 적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시료의 크기나 모양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며, 소형의 다량제품에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장치의 작업에도 적합합니다. 하지만 건식법과 비교하였을 때 후처리시 표면에 남은 자분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것이 습식법의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험체를 탈자한 후 시험체에 대한 탈자 정도를 확인 하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홀소자나 자기 다이오드를 사용한 자속계로 측정
  2. 시험체에 자침을 놓고 자침의 각도를 확인
  3. 철분이나 철핀 등을 시험체에 흡착하는 방법
  4. 시험체의 자극에 자침을 가까이하여 자침의 움직이는 각도로써 그 잔류 자극의 세기를 측정
(정답률: 44%)
  • "시험체에 자침을 놓고 자침의 각도를 확인"은 시험체의 탈자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아니라, 시험체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 방법은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할 수 있지만, 탈자 정도를 확인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기펜 자국(magnetic writing)이 나타났을 때의 처리방법은?

  1. 그대로 내버려둔다.
  2. 시험체를 약간 가열하여 준다.
  3. 시험체에 더욱 강한 자장을 걸어 준다.
  4. 탈자후 다시 자화시킨다.
(정답률: 90%)
  • 자기펜 자국은 자성체가 분리되어 펜 끝에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다음 사용 때 자국이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탈자 후 다시 자화시켜서 자성체를 제거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자성체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둘 뿐만 아니라, 더욱 강한 자장을 걸어주거나 시험체를 가열하는 것은 오히려 자성체를 더 강하게 고정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탈자를 확인 할 때 사용되는 기구가 아닌 것은?

  1. 자침
  2. 표준시험편
  3. magnetic compass
  4. magneto-diode 자속계
(정답률: 83%)
  • 표준시험편은 탈자를 확인하는 기구가 아니라, 측정기기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측정 장비이다. 따라서 정답은 "표준시험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떤 시험체에 대한 자분탐상시험 절차서를 작성 할 때 자분모양의 기록 방법으로 트린 것은?

  1. 전사
  2. 스케치
  3. 사진 촬영
  4. 모형으로 제작
(정답률: 92%)
  • 자분탐상시험은 시험체의 구조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세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이때 시험체를 모형으로 제작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모형으로 제작하면 시험체의 구조와 특성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시험체를 직접 다루는 것보다 안전하고 편리합니다. 따라서 자분탐상시험 절차서를 작성할 때 모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자외선 조사들에 사용하는 필터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가시광선을 차단한다.
  2. 인체에 유해한 차장의 자외선을 차단한다.
  3. 필요한 자외선의 파장을 균일하게 한다.
  4. 발생되는 자외선의 평균 파장을 짧게 한다.
(정답률: 80%)
  • "발생되는 자외선의 평균 파장을 짧게 한다."는 틀린 것입니다. 필터의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차장의 자외선을 차단하고, 필요한 자외선의 파장을 균일하게 하여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자외선의 파장을 짧게 하는 것은 필터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누설자속탐상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고속주사가 가능하다.
  2. 복잡한 형상에 적용이 가능하다.
  3. 결함의 정량측정이 가능하다.
  4. 작업환경이 양호하다.
(정답률: 68%)
  • 정답: "작업환경이 양호하다."

    다음 누설자속탐상법은 고속주사가 가능하며, 복잡한 형상에 적용이 가능하며, 결함의 정량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는 누설자속탐상법이 물체 내부의 누설을 검출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기술은 작업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깨끗한 환경에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분탐상검사에서 자분모양 관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험품을 손으로 잡고 관찰하는 경우 우선 잡고자하는 부분부터 관찰하거나 관찰이 끝난 부분을 잡도록 한다.
  2. 자분지시모양이 관찰되면 우선 의사지시 모양인지 결함지시 모양인지를 구별한다.
  3. 미세한 자분지시모양을 빠뜨리지 않도록 가능한 관찰면에 대해 비스듬히 관찰한다.
  4. 관찰하는 광선은 관찰면에 대해 반사광이 없는 위치와 각도에서 비추도록 한다.
(정답률: 91%)
  • 정답은 "시험품을 손으로 잡고 관찰하는 경우 우선 잡고자하는 부분부터 관찰하거나 관찰이 끝난 부분을 잡도록 한다."입니다. 이유는 시험품을 손으로 잡는 것은 자분탐상검사에서 권장되지 않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손에는 먼지나 기름 등이 묻어있을 수 있으며, 손으로 잡는 것으로 인해 시험품에 불순물이 더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품을 잡는 도구를 사용하거나, 시험품을 고정시켜놓고 관찰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면하 결함에 대한 검출 강도가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 배열하였다. 바르게 배열된 것은?

  1. HWDC(건식) - DC(습식) - DC(건식) - AC(습식) - AC(건식)
  2. HWDC(건식) - DC(건식) - DC(습식) - AC(건식) - AC(습식)
  3. HWDC(건식) - DC(습식) - DC(건식) - AC(건식) - AC(습식)
  4. HWDC(습식) - DC(건식) - DC(건식) - AC(습식) - AC(건식)
(정답률: 76%)
  • 표면하 결함에 대한 검출 강도는 건식보다 습식이 높으며, DC보다 AC가 높다. 따라서, 검출 강도가 높은 순서대로 배열하면 "HWDC(건식) - DC(건식) - DC(습식) - AC(건식) - AC(습식)" 이 되며, 이를 역순으로 배열하면 "HWDC(건식) - DC(습식) - DC(건식) - AC(습식) - AC(건식)"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HWDC(건식) - DC(건식) - DC(습식) - AC(건식) - AC(습식)"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화방법 중에서 자화의 형태가 선형자화인 것은?

  1. 축통전법
  2. 프로드법
  3. 코일법
  4. 전류관통법
(정답률: 82%)
  • 선형자화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자화력이 일정하게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자화의 형태가 일정한 선형적인 형태를 띄게 됩니다. 따라서 코일법이 선형자화의 형태를 띄는 자화방법 중 하나입니다. 코일법은 전류가 흐르는 코일 주위에 자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코일 내부에서 자화력이 일정하게 분포되므로 선형자화의 형태를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분탐상검사시 검사액에 사용되는 분산매의 성질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적심성이 좋을 것
  2. 휘발성이 높을 것
  3. 인화점이 높을 것
  4. 유독성이 없을 것
(정답률: 81%)
  • 자분탐상검사시 검사액에 사용되는 분산매는 적심성이 좋아야 하지만, 휘발성이 높을 경우 증발이 빠르게 일어나 검사액의 농도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시험체 재질과 형태에 따른 자계의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비자성체 봉강에 전류를 흘렸을 때의 그림으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57%)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시험체의 자계 분포를 보면, 비자성체 봉강에 전류를 흘렸을 때 자계의 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전류가 흐르는 동안 시험체 내부의 자계 분포가 균일하게 정렬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므로, 봉강 주변에 자기장이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시험체의 자계 분포가 균일하지 않거나,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이므로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자장계(field indicator)의 사용 용도는?

  1. 자화포화점을 정밀 검출한다.
  2. 탈자여부를 확인한다.
  3. 보자력을 측정한다.
  4. 항자력을 측정한다.
(정답률: 87%)
  • 자장계는 자성체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기기로, 탈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탈자란 자성체 내부의 결함이나 불균일한 자기장으로 인해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자장계를 사용하여 탈자 여부를 확인하고 정확한 측정을 위해 보정 작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자기탐상검사 규격

6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25 SE-709)의 검사장비 점검 권고기간이 틀린 것은?

  1. 조도계 점검 : 6개월
  2. 습식자분의 농도 : 1주
  3. 시험편을 사용한 시스템의 성능 : 1일
  4. 가시광선 및 자외선조사들의 조명 : 1주
(정답률: 35%)
  • "습식자분의 농도 : 1주"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25 SE-709)에서 사용되는 검사장비인 습식자분탐상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권고기간입니다. 습식자분탐상기는 물에 노출되면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1주마다 검사장비를 점검하여 정확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25 SE-709)에서 규정한 자분탐상검사에서 수은등을 사용한 자외선조사등의 사용 전 최소 예열시간은?

  1. 1분
  2. 3분
  3. 5분
  4. 10분
(정답률: 72%)
  • ASME Sec.V Art.25 SE-709에서는 자분탐상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보일러 및 압력용기를 최소 5분간 예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장비가 안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여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의한 “시험방법의 분류”에서 분류의 조건에 해당 하지 않은 것은?

  1. 자화전류의 종류
  2. 시험체의 종류
  3. 자분의 분산매
  4. 자분의 종류
(정답률: 88%)
  • "시험체의 종류"는 시험방법의 분류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시험방법의 분류에서는 시험체의 종류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입니다. 시험방법의 분류는 자화전류의 종류, 자분의 분산매, 자분의 종류 등과 같은 요소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에 관한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류식 장치란 직류를 교류 또는 맥류로 바꾸어 자화전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2. 자분의 적용이란 자분을 시험체에 쉽게 도달시키려는 조작을 말한다.
  3. 충격 전류란 사일리스터 등을 사용하여 얻은 4cyle 의 자화전류를 말한다.
  4. 유효자장이란 시험하는 부분에 실제로 움직이고 있는 자장으로, 가한 자장을 감소시키는 자장을 말한다.
(정답률: 64%)
  • "자분의 적용이란 자분을 시험체에 쉽게 도달시키려는 조작을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시험체 내부의 작은 입자들을 시험하기 위해 자분을 사용하는데, 이 자분을 시험체에 쉽게 도달시키기 위해 특별한 조작을 하는 것을 말한다. 다른 보기들은 정류식 장치, 충격 전류, 유효자장 등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25 SE-709)에 따라 형광 자분을 사용하여 자분탐상검사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검사원은 어두운 곳에 적응하기 위해 검사 전 적어도 5분간 어두운 곳애서 눈을 적응시켜야 한다.
  2. 자외선조사등의 사용 전 또는 자외선 강도의 측정 전 최소한 5분 동안 예열시간을 주어야 한다.
  3. 형광 자분탐상 시험이 실시되는 어두운 지역의 주변 가시광선의 강도는 30lx를 초과하지 않도록한다.
  4. 자외선의 강도는 시험체표면에서 자외선조사등의 강도는 적합한 강도계로 측정했을 때 1.000μW/cm2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67%)
  • "형광 자분탐상 시험이 실시되는 어두운 지역의 주변 가시광선의 강도는 30lx를 초과하지 않도록한다." 인 이유는 검사 대상물질의 표면에 형광 자분을 뿌리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분이 묻은 부분이 밝게 나타나도록 하는데, 주변에 밝은 빛이 있으면 이를 방해하여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 검사를 실시하고, 주변 가시광선의 강도를 30lx 이하로 유지하여 검사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따라 가장 낮은 유효자계의 강도에서 자분모양이 나타날 수 있는 시험편은?

  1. A1-7/50(직선형)
  2. A2-7/50(직선형)
  3. A1-15/50(직선형)
  4. A2-15/50(직선형)
(정답률: 59%)
  • KS D 0213에 따르면, 자분모양의 분류는 시험편의 가장 낮은 유효자계의 강도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가장 낮은 유효자계의 강도에서 자분모양이 나타날 수 있는 시험편을 선택해야 한다.

    보기에서 A1-15/50(직선형)은 가장 낮은 유효자계의 강도에서 자분모양이 나타날 수 있는 시험편이다. 이는 A1-7/50(직선형)과 A2-7/50(직선형)보다 더 높은 유효자계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A2-15/50(직선형)은 A1-15/50(직선형)과 동일한 유효자계의 강도를 가지지만, 자분모양의 분류에 따라 직선형이 아닌 다른 모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7)에서 프로드(prod)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험체에 직접 자화전류를 보낸다.
  2. 부품, 구조물의 부분탐상을 위하여 선형자계를 형성할 때 사용한다.
  3. 전극인 동봉의 굵기는 자화전류의 크기에 따라 정할 필요가 있다.
  4. 아크를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
(정답률: 76%)
  • "부품, 구조물의 부분탐상을 위하여 선형자계를 형성할 때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프로드(prod)법은 시험체에 직접 자화전류를 보내어 자기장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전극인 동봉의 굵기는 자화전류의 크기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아크를 방지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7)에 따라 직경이 2인치, 길이가 10인치인 샤프트를 5회전 코일을 사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려고 한다. 요구되는 자화전류는?

  1. 500 A
  2. 1,000 A
  3. 1,500 A
  4. 2,000 A
(정답률: 69%)
  • 자분탐상검사에서는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자화전류를 사용한다. 자화전류는 샘플의 크기와 결함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직경이 2인치, 길이가 10인치인 샤프트를 검사하려고 한다. 이 샤프트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자화전류는 ASME Sec.V Art.7에서 제시된 표에 따라 결정된다. 해당 표에서는 직경이 2인치, 길이가 10인치인 샤프트의 경우 1,000 A의 자화전류가 요구된다고 나와 있으므로 정답은 "1,000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7)에서 두께 20mm를 초과하는 강자성체를 직류 또는 정류된 전류로 프로드를 사용하여 시험하고자 할 때 프로드 간격 1인치당 걸어주어야 하는 암페어[A] 범위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60~80A
  2. 80~100A
  3. 100~125A
  4. 125~150A
(정답률: 20%)
  • ASME Sec.V Art.7에서는 두께 20mm를 초과하는 강자성체를 직류 또는 정류된 전류로 프로드를 사용하여 시험할 때 프로드 간격 1인치당 걸어주어야 하는 암페어[A] 범위가 125~150A이다. 이는 적절한 전류를 통해 적절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범위로, 이 범위를 벗어나면 검사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잔류법을 사용할 때 원칙적으로 통전시간의 설정은 몇 초로 하는가?

  1. 1/4~1초
  2. 1/2~1초
  3. 1초~2초
  4. 2초~3초
(정답률: 73%)
  •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에서 잔류법을 사용할 때 원칙적으로 통전시간은 1/4~1초로 설정합니다. 이는 자분모양을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지만, 너무 오래 통전시키면 자분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간을 설정하여 정확한 분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7)에 따라 자분탐상검사를 할 때 다음 중 맞는 것은?

  1. 연속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잔류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연속법과 잔류법 모두 사용 가능하다.
  4. 연속법과 잔류법 두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56%)
  • 정답: "연속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유: 보일러 및 압력용기는 안전상 매우 중요한 장비이므로 자분탐상검사를 통해 결함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때 연속법은 검사 대상의 모든 부분을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 중간에 검사 대상을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잔류법은 검사 대상의 일부분만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 중간에 멈추어야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다. 따라서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에서는 연속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7)에서 규정한 프로드(prod)법의 자분탐상검사에서 시험체의 두께가 19mm미만일 경우 인치당 권고된 자화전류 값은?

  1. 90~110 A
  2. 110~125 A
  3. 130~145 A
  4. 150~165 A
(정답률: 57%)
  • 시험체의 두께가 19mm 미만인 경우, ASME Sec.V Art.7에서는 프로드(prod)법의 자분탐상검사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검사에서는 인치당 권고된 자화전류 값이 적용됩니다. 시험체의 두께가 19mm 미만인 경우, 인치당 권고된 자화전류 값은 90~110 A입니다. 이는 시험체의 두께가 얇을수록 자화전류 값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90~110 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의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근자외선(320~400nm)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가져야 한다.
  2. 관찰면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700μW/cm2이상이어야 한다.
  3. 시험체 표면의 자외선강도 측정은 자외선강도계를 사용한다.
  4. 1년 이상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시에 점검한다.
(정답률: 92%)
  • "관찰면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700μW/cm2이상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관찰면에서의 자외선 강도는 500μW/cm2 이상이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KS D 0213에서 해당 내용이 2012년 개정될 때, 이전 버전에서는 700μW/cm2 이상이었지만, 개정된 버전에서는 500μW/cm2 이상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따라 자분탐상검사를 수행하였다. 동일 직선상에 길이 10mm, 나비 2mm인 지시(A)와 길이 8mm, 나비 3mm인 지시(B)가 3mm 간격으로 검출되었을 때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시 A는 선상의 자분모양, 지시 B는 원형상의 자분모양, 길이는 각각 10mm와 8mm이다.
  2. 지시 A와 B는 모두 선상의 자분모양, 길이는 각각 10mm와 8mm이다.
  3. 지시 A와 B는 1개의 선상의 자분모양, 길이는 18mm이다.
  4. 지시 A와 B는 1개의 선상의 자분모양, 길이는 21mm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지시 A는 선상의 자분모양, 지시 B는 원형상의 자분모양, 길이는 각각 10mm와 8mm이다." 이다.

    KS D 0213에 따르면, 자분탐상 시험에서 지시(A)는 "길이 10mm, 나비 2mm"로 정의되어 있으며, 이는 선상의 자분모양을 나타낸다. 반면에, 지시(B)는 "길이 8mm, 나비 3mm"로 정의되어 있으며, 이는 원형상의 자분모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시 A와 B는 서로 다른 모양의 자분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도 각각 10mm와 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Ⅲ Div.1 App.6)에 따라 강 용접부를 자분탐상시험하여 검출된 지시를 평가할 때 다음 중 불합격으로 판정해야 되는 것은?

  1. 크기가 1mm 인 선형지시
  2. 크기가 2mm이고 슬래그 혼입으로 예상되는 선형지시
  3. 크기가 3mm이고 기공으로 예상된는 원형지시
  4. 크기가 2mm이고 기공으로 예상되는 지시가 1mm 간격으로 2개가 나란히 검출된 원형지시
(정답률: 69%)
  • 크기가 2mm이고 슬래그 혼입으로 예상되는 선형지시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에서 불합격으로 판정되는 지시입니다. 이는 ASME Sec.VⅢ Div.1 App.6에서 규정된 기준에 따라, 슬래그 혼입은 용접부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부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시가 검출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용접부를 재검사하거나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따라 전처리를 하고자 한다. 다음 중 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용접부 전처리는 시험범위 보다 모재측으로 약 20mm 넓게 잡아야 한다.
  2. 시험체는 원칙적으로 자분에 의한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분해하지 말아야 한다.
  3. 통전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 시험체와 전극의 접촉부분을 깨끗하게 닦는다.
  4. 건식용 자분을 사용하는 경우 표면을 잘 건조시켜 둔다.
(정답률: 87%)
  • "시험체는 원칙적으로 자분에 의한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분해하지 말아야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유는 시험체를 분해하지 않으면 자분이 시험체의 내부를 침투하지 못하므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체는 자분에 의한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분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ASME Sec VⅢ App.6의 규정중 무관련지시(Nonrelevant lndication)로 보이는 지시에 대해 맞게 설명한 것은?

  1. 재검사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불합격 결함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기 어렵다면 결함지시로 한다.
  2. 수리 조치하여야 한다.
  3. 재검사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다.
  4. 결함지시로 간주해야 한다.
(정답률: 75%)
  • ASME Sec VⅢ App.6에서는 무관련지시(Nonrelevant lndication)로 보이는 지시에 대해 "재검사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불합격 결함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기 어렵다면 결함지시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해당 결함이 실제로 문제가 될 가능성이 낮거나, 다른 결함과 관련이 없어서 따로 조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결함지시로 간주하고 넘어가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 의거 자분모양의 분류를 나타낸 것으로 틀린 것은?

  1. 균열에 의한 자분모양
  2. 독립한 자분모양
  3. 분산한 자분모양
  4. 불연속한 자분모양
(정답률: 78%)
  • "불연속한 자분모양"은 틀린 것이 아니며,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입자들이 서로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 있는 모양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고체가 파쇄되어서 입자들이 서로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 있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 흠에 의하지 않은 의사모양 중에서 탈자 후에 재시험하면 자분모양이 없어지는 것은?

  1. 강전류에 의해 응집된 자분모양
  2. 자기펜 자국에 의한 자분모양
  3. 압연품의 메탈 플로우(metal flow)따른 자분모양
  4. 단면의 급변부에 형성되는 자분모양
(정답률: 83%)
  • 자기펜 자국에 의한 자분모양은 철강 재료가 자기펜으로 표면을 표시할 때 발생하는 자국에 의해 형성되는 자분모양이다. 이 자국은 표면에 남아있는 자성체가 자기펜의 자기장에 의해 정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탈자 후에 재시험해도 자성체가 정렬되어 자국이 남아있기 때문에 자분모양이 없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펜 자국에 의한 자분모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 자분탐상검사(ASME Sec.V Art.7)에서 여러 가지 불연속들이 나타났을 때 평가는?

  1. 시험체는 폐기되어야 한다.
  2. 불연속 부분을 제거 후 사용해야 된다.
  3. 균열의 깊이를 알고자 단면을 잘라 보아야 한다.
  4. 모든 지시는 참조 규격의 합격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정답률: 87%)
  • ASME Sec.V Art.7에서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를 다루고 있으며, 이 검사에서 여러 가지 불연속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연속들은 모두 참조 규격의 합격기준에 따라 평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지시는 참조 규격의 합격기준에 따라 평가한다."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불연속들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지만, 이러한 처리 방법은 합격기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지시는 참조 규격의 합격기준에 따라 평가한다."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